[

Ойын-сауық

#갓구운클립 #유퀴즈온더블럭 #tvN
구독하기 ☞ / tvndent

Пікірлер

  • @tvNDENT
    @tvNDENT2 жыл бұрын

    따끈한 유퀴즈 최신회차 하이라이트 다시보기✨ 👉 kzread.info/head/PLTnyq-p4P5n1HJMWBx96igX4X2WcT9RvL

  • @user-li6fb3uc7d

    @user-li6fb3uc7d

    2 жыл бұрын

  • @koonsso7639

    @koonsso7639

    Жыл бұрын

    중국과는 무관한건가요?

  • @luckksy
    @luckksy2 жыл бұрын

    "자연이 행복해야 우리가 행복하다"교수님 말씀 정말 심금을 울리네요

  • @ens1927

    @ens1927

    2 жыл бұрын

    우리도 자연에 일부니까요~ 참선공부 하다보면 관상이 이렇게 생긴분들 많이 오십니다. 나는 원자로 만들어 졌고 자연 모든 물질이 원자로 이뤄졌죠 그 작은 원자도 원자 핵주변엔 텅빈... 원자와 원자핵사이에는 텅비었죠 그 공간 텅빈 그공간이 우주의 원리와 같습니다. 밖에서 보면 원자는 아주작아 꽉차있는듯 보이지만 그원자도 텅비었죠 양자역학 과학의 끝엔 "색즉시공 공즉시색"이있지요 나무 한그루 한그루가 자연에 일부이고 나도 자연에 일부고 난 자연이고 자연은 지구고 지구는 우주에 일부죠 고로 나는 곧 자연이고 우주임 내몸은 수많은 원자들로구성됨 모든물질은 원자로 이루어 졌다 -리처드 파인만-

  • @ens1927

    @ens1927

    2 жыл бұрын

    @@user-qs1ip7dd8e 님은 아버지와(수) 어머니(암)가 번식(교미)해서 낳은 일종에 자연에 일부 자웅이체임 누군가를 만나야 번식이 되고 화학적결합 (H+O2)처럼 자석에 N극과 S극처럼 붙었다 떨어졌다 반복 70억 인구중에 암,수 비율은 번식하기 좋게 일정함 이것조차 신비로운일 님 부모는 오다가다 만나서 님을 낳고 님도 또 누군가를 만나 정자를 배출하며 번식.

  • @ens1927

    @ens1927

    2 жыл бұрын

    @@user-qs1ip7dd8e 다른 동물보다 지능이 높다 뿐이지 월등 하진않음 개체수,욕망(물질,성욕,경쟁,사랑,행복) 욕구(번식,번영,전쟁,정복욕)를 표현(말,예술,철학,생각,음악) 을 멈출수없을 정도로 나약한게 인간임 이성적으로 절제가능하다 생각함? 더불어 살아가니 최소한 법만 절제하는것 이성적이다 자부하지만 본능에 충실한 동물 님도 지금 댓글로 자신의 생각을 "인간은 다르다는걸" 표현하고 싶어함. 무언가를 지속적으로 표현하고 자유를 누리고 싶어함 자유로움을 추구한다면 동물임 님이 죽어 썩어 토양에 흡수되고 석유가 되든 거름이되든 화장하여 연기로 날아가더라도 지구상에 총합 물질은 사라지지않음 원자단위로 지구상 어딘가에서 계속 존재함.

  • @user-fb9md5kf9y

    @user-fb9md5kf9y

    2 жыл бұрын

    @@user-qs1ip7dd8e 상식적으로 지구라도 떠나서 이런 소리를 해라

  • @user-fb9md5kf9y

    @user-fb9md5kf9y

    2 жыл бұрын

    @@user-qs1ip7dd8e 자연이랑 자연현상도 구분 못 하는 놈이ㅋㅋㅋㅋ 이래서 모르는게 약이라는 말이 있나 봐 얘 봐 아는게 없으니 속 편하게 헛소리를 지껄이고도 낄낄대잖아 얼마나 건강한 삶이야ㅋㅋ

  • @user_worhdvdkaheo
    @user_worhdvdkaheo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에 관심이 있어서 강의계획안을 찾아봤는데 매주 2,000자 짜리 레포트를 두개씩 제출하고 10,000자 짜리 학기말 레포트를 제출하는 강의였습니다.. 제대로 이수만 한다면 사유하는 능력과 글을 구성하는 능력은 더할나위없이 늘겠지만 전 뒤도 안돌아보고 도망쳤습니다.

  • @user-gr2zs3ud2s

    @user-gr2zs3ud2s

    2 жыл бұрын

    와……

  • @user_worhdvdkaheo

    @user_worhdvdkaheo

    2 жыл бұрын

    여기 더해서 팀플까지 있답니다..

  • @many2533

    @many2533

    2 жыл бұрын

    전공과목도 아닌데....ㅋㅋ부담스러울만 하네요 교유님은 마음에들고 좋은 기회라는 것도 인정하지만 부담백배일듯한 ㅋ

  • @user-lv5il2nv4c

    @user-lv5il2nv4c

    2 жыл бұрын

    미친ㅋㅋㅋ돔황챠;;

  • @parkgg7654

    @parkgg7654

    2 жыл бұрын

    교양이라는게 핵심...

  • @koonwildly735
    @koonwildly7352 жыл бұрын

    진짜 느린 속도로 차근차근 의미를 전달하시는 모습이 멋지시네요.. 말의 유창성에서 오는 의미 전달이 아닌, 어법과 단어 선택으로 청중을 몰입하게하는 힘이 있으신거같습니다.

  • @JK-hw8ck
    @JK-hw8ck Жыл бұрын

    이분이 호주제폐지에 기여하셨다니. . 그것도 과학자의 입장에서 변론하시고 도움을 주셨다니 너무 멋있으세요!

  • @simonlee8154
    @simonlee81542 жыл бұрын

    현 세계질서 리더들이 귓담어 들어야할 최교수님의 강의.

  • @hether5516
    @hether55162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지식과 박식함도 놀랍지만 진심으로 겸손하시고 순수하게까지 느껴지는 인품이 보여서 너무 재밌고 기분좋게 봤습니다. 시대의 좋은 어른이시네요

  • @user-qq7gs5gg6y

    @user-qq7gs5gg6y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유튜브 채널 있어요!! 최재천의 아마존 채널에 재밌는 얘기 많아요 추천합니다>

  • @kaeonly
    @kaeonly2 жыл бұрын

    10:54 제작진까지 당황해서 숙연해지고 말나오는거 웃으면 안됄것같은데 개웃겨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vc5dp2tp8f
    @user-vc5dp2tp8f2 жыл бұрын

    논문이라고는 봐본적도 없고 연구 절차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근거들어서 설명해주는 교수보다 똑똑하다니 대단하신 분들이 많네요ㅋㅋㅋㅋㅋ 그 용기는 존경합니다

  • @lrvihsyeind

    @lrvihsyeind

    Жыл бұрын

    멍청해서 주제파악 안돼서그럼

  • @user-vd7kt7ry7z
    @user-vd7kt7ry7z2 жыл бұрын

    동물생태학이 생소하면 생소하지만 하버드에서도 배울수없는 인생의 기초가 되는 지혜를 가르치는 교수님이세요 오래오래 이렇게만났으면좋겠어요

  • @cj3700
    @cj37002 жыл бұрын

    현재 캐나다에서 ecology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교수님 말 정말 다 맞는 말씀이세요. 한국에서는 문과 이과 이렇게 나뉘어져서 문과 학생들은 biology를 들을 기회가 많이 없는데 이런 부문 관련 해서는 정말 학생들도 쉽게 배울 기회가 주어졌으면 해요. 정말 이 지구가 돌아가는데 ecosystem이 얼마나 중요한지 같이 공부했으면 좋겠어요 + 여기 댓글보니까 "그런데 중국은 박쥐를 먹으니까", "어쨌든 코로나는 중국에서 왔음" 이러시는 분들 몇 보이는데 그런 분들은 영상 끝까지 보지않고 교수님이 하시는 말씀이랑 완전히 다른 얘기를 하고있는 겁니다. 생태계 다양성 불균형으로 인한 원인과 기후변화 문제 +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분명 다양한 이유들이 원인이예요. 지구온난화가 어떻게 중국만의 책임입니까? 본인이 오늘 사용하고 그냥 버린 일회용 제품들, 오염 가스배출, 오늘 먹은 소가 배출하는 CO2의 양 이런거 본인과 관련 없다고 생각하시는지요? 모든 인류의 책임입니다. 코로나 발생국이 중국이었을 뿐이지 이전에 발견된 다양한 바이스러스들 다 중국에서만 처음 발견된게 아닌데요. 남탓 할 시간에 더 공부하고 어떻게하면 이 지구를 건강하게 되돌릴 수 있을지 고민을 해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bavan4744

    @bavan4744

    2 жыл бұрын

    신이데올로기라고 할까요? 일베든 펨코든 페미든 어느 한 이데올로기에 갇혀서 온갖 편견을 쏟아내는 루저들이 하루종일 인터넷만 해서 그래요.

  • @user-su6nd6zy4n

    @user-su6nd6zy4n

    2 жыл бұрын

    @@bavan4744 페미니즘은 새로운 이데올로기가 아닙니다

  • @cj3700

    @cj3700

    2 жыл бұрын

    @@bavan4744 일베랑 페미니즘을 왜 같은 선상에 두고 말씀하시는지요? 교수님이 앞에서 말씀하진 호주제 폐지도 페미니즘 운동중 하나인건데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페미니즘은 성차별로 인해 여성들이 겪는 불평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개념입니다만) 편견은 sexist들이 하는 거지 페미니즘이랑은 거리가 완전 먼데요? 그리고 제 댓글과 관련 없는 답댓글 안해주셨으면 합니다. 일베를 까든 페미를 까든 알맞는 컨텐츠가서 까세요. 먼저 시작하셨으니 하나 덧붙이자면 한국이 특별나게 페미니즘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해서 오해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제가 다니는 학교든 북미 미국 캐나다 어디든 이런 발언 하면 학교에서 리포트 당하고 심하면 퇴학까지 가능합니다. 이런 발언은 정말 온라인이라 본인이 이렇게 그냥 댓글 달 수 있는거라는거 아셨으면 좋겠구요. 그리고 저도 여기와서 처음으로 과학학부에 들어가서 공부하면서 "세계여성과학인의 날"이라는게 있다는 것도 처음알았습니다(한국에서는 20n년차 살면서 들어본적도 없어요). 그 만큼 여성들이 과거에 학문에서 배제되었고 모든 학문은 남자만 공부할 수 있었죠. 그들이 더 똑똑해서가 아니라 여성한테 기회를 아예 주지 않았기 때문에 유명한 과학자들이 전부 남자인 것 또한 알고계신지요. 알고 계신다면 이런 댓글 안다셨을 것 같아서 말씀드리는겁니다. 서점만 가보셔도 페미니즘 관련된 책 정말 많아요 일베에 관한 책은 하나도 없고요. 일베랑 페미는 같은 선상에 놓일 수 없다는 걸 지금 아주 짧고 간략하게 제가 서점을 예로 들어 말씀 드릴 수 있는 거네요. 더 궁금하시면 스스로 검색해보시길 바랍니다.

  • @bavan4744

    @bavan4744

    2 жыл бұрын

    @@cj3700 언어상의 오류 같은데요. 님이 말하는 페미니즘과 제가 말한 페미가 같지는 않은 것 같은데요.

  • @cj3700

    @cj3700

    2 жыл бұрын

    @@bavan4744 본인이 말씀하시는 페미랑 제가 말하는 페미가 뭐가 다른거죠? 분명 다 퉁쳐서 "일베든 페미든"이라고 하셨는데 본인이 말하는 페미는 뭔가요 그럼

  • @Passionfruitforme
    @Passionfruitforme2 жыл бұрын

    최재천 교수님 학교에서 하시는 온라인 교양 강의는 많은 학생들이 재미있게 듣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다음 학기에는 다른 어려운 수업도 학생들이 좀더 용기 내서 많이 들을 거같아요 ㅎㅎ 학교에서 가장 인기 높은 교수님중 한분이십니다!!

  • @user-tv6lo5ut8q

    @user-tv6lo5ut8q

    2 жыл бұрын

    인기와 탈주가 동시에 1위를 하는 그는....

  • @Passionfruitforme

    @Passionfruitforme

    2 жыл бұрын

    넘 존경하고 좋아하긴 하지만 학점 관리라는 현실의 벽이 있기도 하니까요,,, ㅎㅎ

  • @jheartu7036

    @jheartu7036

    2 жыл бұрын

    제가 대학다니면서 제일 좋아했던 선생님 🙌👍👍

  • @user-fb9md5kf9y

    @user-fb9md5kf9y

    2 жыл бұрын

    @@user-qs1ip7dd8e 이 정도면 열등감이라니까

  • @user-ub3bv8gs5d

    @user-ub3bv8gs5d

    2 жыл бұрын

    세계 최고의 교수라한들 저정도로 빡세면 아무도 수강 안 하려고 하지..

  • @user-vd6tx6hs7q
    @user-vd6tx6hs7q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아이가 태어날 때 아빠는 핵만 주고 양분과 미토콘드리아 등 아이가 필요한 요소들은 다 엄마가 준거라.. 실제로 유전학적으로도 엄마의 족보만 추적할 수 있어서 진짜.. 오래전 일이지만 폐지되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fk4to4go8n

    @user-fk4to4go8n

    2 жыл бұрын

    근데 호주제가 폐지 됐는데도 미혼부나 뻐꾸기 아빠 등의 문제는 안 없어졌죠

  • @user-ki3hz5ij2c

    @user-ki3hz5ij2c

    2 жыл бұрын

    이 말은 조금은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거 엄마만 같으면 유전적인 요인으론 아빠를 찾을수 없다는 말과 같다는거,,,,

  • @user-wu1vc9rp2e

    @user-wu1vc9rp2e

    2 жыл бұрын

    @@user-ki3hz5ij2c 흥선대원군처럼 무조건 막지말고 글을 다시 읽어봐요 극단적으로 해석하지말구.생물학적으로 설명한 댓글이잖아요

  • @user-xb5ep9zb8z

    @user-xb5ep9zb8z

    Жыл бұрын

    @@user-fk4to4go8n 그게 무슨상관인가요?이 말이랑? 그런문제가 없다고 한 말이 아니잖아요 맥락을 파악하세요

  • @user-fk4to4go8n

    @user-fk4to4go8n

    Жыл бұрын

    @@user-xb5ep9zb8z 상관이 있지 ㅋㅋㅋㅋ 정작 진짜 필요한 문제는 개정 안 하고

  • @user-je5ye2ku6c
    @user-je5ye2ku6c2 жыл бұрын

    유퀴즈...지구온난화 환경관련 기후난민...이것 꼭 자주자주 방송해주세용....진짜 관심 없는 대중들한테 한번씩 가볍게 훓어줘야합니다...환기가 꼭 필요해요!

  • @ejch4940
    @ejch49402 жыл бұрын

    정말 존경하는 학자입니다.

  • @user-ss6pg2wt1w

    @user-ss6pg2wt1w

    2 жыл бұрын

    한줄 요약💯💯💯💯💯

  • @All_white
    @All_white2 жыл бұрын

    요즘 제가 생각하는 전문인 유튜버가 유퀴즈에 나오니 신기하네요 저는 최재천 교수님이 얼마나 대단하신지 모르고 책으로 먼저 접했는데 이리 흥미있는 책과 작가에게 관심을 가진건 처음이었습니다 책을 거의 탐구할 정도로 읽을때마다 적을정도였어요 교수님이 몇십년간 노력하시고 얻은 경험을 저는 한순간에 얻을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mayrose_ar

    @mayrose_ar

    2 жыл бұрын

    최재천의 아마존 유투브도 재미있고 유익해서 잘 보고 있어요^^ 오래오래 건강하셨음 좋겠어요

  • @user-wq2pe9sx9m

    @user-wq2pe9sx9m

    2 жыл бұрын

    어떤 책 읽으셨나요? 추천해주세요~

  • @user-si1ic2kf5m

    @user-si1ic2kf5m

    2 жыл бұрын

    무슨책인가요

  • @user-fo1ec9ig5y

    @user-fo1ec9ig5y

    2 жыл бұрын

    @@user-qs1ip7dd8e 영상 제대로 본거 맞냐? 영상 제대로 보고서도 이런 얘기 하는거면 실질적 문맹이니까 책 좀 읽어라...문맥 파악 못하는 거 심각하네 진짜

  • @silverfosfos2056

    @silverfosfos2056

    Жыл бұрын

    실망스럽겠지만, 그 책들이 다 남의 것 가져와 짜집기 한 수준입니다.

  • @JJ0901
    @JJ09012 жыл бұрын

    “자연이 행복해야 우리가 행복해진다” 이 말씀 너무나 공감해요. 저도 최근 몇 년간 기후변화에 더욱 큰 관심이 생겨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개인으로서 할 수 있는 것들을 실천하고 있는데 인간의 기호에 따라 마음대로 원하는대로 자원이 소비되고 낭비되는 모습들을 보고 있으면 너무 속상하고 화가나요. 그걸로 모자라 땅에, 물에 온 데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들도 이해가 안 되고요. 인간도 조금 불편하게 살아야 되는데 무조건 편하고 간단하고 빠르고 예쁘고에 기준을 두다 보니 체감되는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느끼며 참 씁쓸합니다. 갈 길은 먼 것 같지만 하루빨리 기후 변화에 대해 모두가 더욱 심각하게 생각하고 개개인과 국가들이 솔루션을 적극적으로 실천해내서 자연과 더불어 조화롭게 건강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 @lmm87340
    @lmm873402 жыл бұрын

    지금생각하면 호주제 폐지는 진짜 당연한건데ㅋㅋ.예전보다는 그래도 많이 개선된 지금 시대에 살고있어서 그나마 다행이네요

  • @jaemunns5180
    @jaemunns51802 жыл бұрын

    존경스럽습니다 교수님. 미국에서 응원과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 @user_user00_00
    @user_user00_002 жыл бұрын

    최재천 교수님이 드디어 유퀴즈에!! 최재천의 아마존이란 이름으로 유튜브도 하시는데 교수님 영상 정말 도움이되고 재밌는 이야기가 많습니다 많이들 보러 오세요!

  • @New-gp4mi

    @New-gp4mi

    2 жыл бұрын

    재미님이시구나 반가워요! 교수님 유튜브 홍보 많이 됐음 좋겠어요!

  • @user-wg7oe3fm3s
    @user-wg7oe3fm3s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e-mooc 인간은 왜 질병에 걸릴까 수강 듣는 학생입니다❤️ 비록 대면 강의는… 30학점 같은 3학점이라는 소리를 듣고…:)…. 차마 들을 수 없었지만 온라인 강의 정말 재밌게 듣고 이수하고 있습니다!! 존경하는 교수님 수업을 대학 와서 들을 수 있어 넘 행복해요~~🤤

  • @coolhejun
    @coolhejun2 жыл бұрын

    졸업 막학기에 이 학교를 왔으면 최재천 교수님 강의는 꼭 듣고 졸업해야하지 하고 무리하게 온라인 교양강의를 넣었었는데.. 너무 재미있었고 딱 한번 오프라인으로 강의 하셨을때도 너무 재밌었어요! 끝나고 교수님께 완전 팬이라고 싸인받았었던거같은데.. 지금은 졸업하고 유럽에서 석사하면서 유투브로 교수님채널 매일 보면서 밥먹어요! 이대 다니시는 분들 꼭 강의 들으셨으면 좋겠어요 - 내용도 어렵지않고 생태학을 공부하면 세상의 진리를 알아가는 느낌이 너무나도 흥미로워요!

  • @user-xk4zb9kb4f
    @user-xk4zb9kb4f2 жыл бұрын

    암컷,여자만이 그 조상을 추적 할수 있음 ㅋㅋ 이건 kbs다큐에서도 나왔음 그러니 굳이 호주를 정한다면 생물학적 근본적으로 여자임 그리고 자료 나온대로 유전자 기여도도 여자가 훨 많음 그리고 안그렇다해도 열달품어 낳는것 생각하면 엄청난 수고 기여도도 여성임 이 영상 보는데 정말 가슴이 뻥 뚫리면서도 아직도 부부가 아이를 낳으면 거의 아무렇지 않게 무조건 남자성 따르는게 참 기이합니다 마치 우리 사회는 단체로 최면이 걸린것 같아요 그치만 점점 적극적으로 호기심을 갖고 이 이상한 현상들을 파헤치는 여성들 그리고 소수의 깨어있는 남성들이 있어서 다행이예요 그중에서도 박사님 나타나주셔서 참 감사합니다 남성에 고학력 박사에 명예까지 있는 나이 있는 남성이 같이 목소리는 내는것 당연한 소리를 그동안 못하고 살았던 여자들의 대변인이십니다

  • @dmskschsu239

    @dmskschsu239

    2 жыл бұрын

    페미 ㄲㅈ

  • @kordojjang

    @kordojjang

    2 жыл бұрын

    유리한거 나오면 기가멕히게 악착같이 들러붙는단 말여.

  • @user-ld4cm8ts5i

    @user-ld4cm8ts5i

    2 жыл бұрын

    페미니스트세여?

  • @AmesaGim

    @AmesaGim

    Жыл бұрын

    페미가 무슨 욕이냐....한심한 새끼들 진짜 정신 좀 차려라

  • @user-kg3ur9ou4n

    @user-kg3ur9ou4n

    Жыл бұрын

    꼴페미

  • @Mary-tc4is
    @Mary-tc4is2 жыл бұрын

    말씀을 어떻게 저렇게 잘하시는지.. 존경합니다 교수님

  • @seo0.
    @seo0.2 жыл бұрын

    제 평생의 롤모델.... 유퀴즈에 나오셨었군요 정말ㅠㅠㅠㅠ 5살때부터 항상 제인구달님과 함께 제 롤모델이셨습니다ㅠㅠㅠㅠ 롤모델 대회나 발표하면 꼭 최재천 박사님의 삶을 얘기하고, 최재천 박사님이 집필하신 책도 모두 읽고 꾸준히 다양한 환경기금에 기부하고 있는데 예능으로 또 만나뵐 수 있어서 너무 영광입니다ㅠㅠㅠ꼭 직접 만나뵙고 싶어요 언젠가ㅠㅠㅠㅠㅠ저는 비록 국제환경활동가라는 꿈을 사정상 조금 미뤄두고 현실적인 직업을 쫓아 공부하는 고삼이 되었지만 환경에 대한 열망과 제 열정은 평생 이어져 열심히 연구하고 관심을 가지며 살아갈겁니다ㅠㅠㅠ 진짜 놀라서 달려왔네요 항상 명강의 감사합니다❤️

  • @user-chanwon
    @user-chanwon2 жыл бұрын

    최재천 교수님 수업 하나만 들어도 학비 안아까울 듯...

  • @user-ji3vo7bh3c
    @user-ji3vo7bh3c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정말 너무 좋아해요!!!! 고등학생 때 교수님이 쓰신 책 읽고 진화론으로 세상이 정갈하게 설명되던 경험.. 잊혀지지 않습니다ㅠㅠㅠ 글도 정말 잘 쓰시고 늘 배우고 열려계신 태도도 존경스러워요 행복하고 건강하세요 오래오래 많은 배움받고 싶습니다

  • @user-wk7vq8ck2w
    @user-wk7vq8ck2w2 жыл бұрын

    아.. 정말 소름 돋았네요.. 18년도에 중국 남부에서 유학을 했는데 여름 저녁만 되면 걸어다닐 때 머리 위로 박쥐가 엄청 날아다녔는데.. 도망다니느라 바빴거든요ㅠㅠ 그땐 몰랐는데 지구온난화때문에 박쥐가 올라온다니… 정말 지구가 많이 아프구나 생각합니다..ㅠㅠ 많이 배우고 갑니다!

  • @uoppeueod7753
    @uoppeueod7753 Жыл бұрын

    호주제 폐지 얘기는 들을 때마다 울컥하네요 교수님 감사합니다 교수님은 절대 비겁하시지 않아요 욕을 듣다보면 더 숨고 상관하지 않는 사람들이 넘치는 이 세상에 누구보다도 용감하고 멋지신 분이세요

  • @bavan4744
    @bavan47442 жыл бұрын

    다 좋은데, 소개가 아쉬워요. 최재천 교수님에겐 “석학” 두 글자를 아낄 필요가 없습니다. 어느 학계에나 거두가 한 분씩은 계신데, 동물학계의 최재천 교수님도 그렇습니다. 좀 방송국에서 잘 몰랐던 거 같네요. 워낙 겸손하시고 이 짧은 인터뷰에서도 클라스를 입증하시니까 상관은 없는데, 소개할 때 좀 아쉽네요.

  • @sust8413
    @sust84132 жыл бұрын

    와 충격적이다.. 막연한 문제로만 생각했던 기후변화가 우리에게 이렇게나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었구나.. 박쥐를 식용한 중국인들에게만 초점을 맞췄지 그 박쥐가 어떻게 코로나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었고 왜 거기 있었는지 생각해본 적이 없는데 처음 안 사실이네요. 마지막에 확률적으로 인간이 각종 바이러스의 타겟이 될 수밖에 없을 거라는 이야기도 충격적이었습니다.

  • @Lee-is8yl
    @Lee-is8yl2 жыл бұрын

    요즘 대학에서 환경윤리 관련 수업을 듣는데 진짜 자연이 인간 때문에 훼손이 되는 과정과 그로인한 결과가 슬금슬금 보여지는 현실적인 이야기를 들으면 진짜 무서운데 이걸 평소에 접하지 않으면 심각성을 갖기는 어려운 듯하다.. 개인이라도 힘쓰려 노력하고 사회적 인식이 조금씩 바뀌어야 할 듯한데 또 쉽진 않은 이야기라 안타까울 뿐이다..ㅜㅜ

  • @dm_9999
    @dm_99992 жыл бұрын

    호주제도 그렇고, 동성애에 관한 것도 그렇고 사람들에게만 민감한 문제를 생물의 관점으로 바라보면 아무것도 아닌, 전혀 특이할 것이 없는 것이 신기했어요 ㅋㅋ

  • @h_i9840

    @h_i9840

    Жыл бұрын

    여기서 동성애 이야기가 나왔나요??

  • @user-js2kv4dl4k

    @user-js2kv4dl4k

    Жыл бұрын

    동성애 얘기는 이 영상에 없습니다.

  • @user-nr9pr3wc2m

    @user-nr9pr3wc2m

    Жыл бұрын

    어디 단체 댓글달고 좋아요 눌렀나?

  • @mooyook2

    @mooyook2

    Жыл бұрын

    @@user-js2kv4dl4k 여기에는 없지만.. 사자 숫사자 두마리가 응가하는 영상 유튭에도 있습니다. 즉 동성애는 사람만 하는 것이ㅜ아니라 동물 세계에서도 존재하는 본성적 사안이라는 이야기죠.

  • @user-js2kv4dl4k

    @user-js2kv4dl4k

    Жыл бұрын

    @@mooyook2 어떤 영상인지 링크 좀 알 수 있을까요?

  • @versushee
    @versushee2 жыл бұрын

    멋진교수님 강의 꼭 듣고싶어요 자연이 행복해야지 우리가 행복하다ᆢ가슴에 새기겠습니다

  • @youngsunyun8742
    @youngsunyun87422 жыл бұрын

    호주 살고 있습니다. 아이를 낳고 출생신고서를 쓸때 엄마의 엄마 이름을 적는 란 1개만 추가로 더 있습니다. 모계쪽의 이름을 한번 더 넣는다는건 아주 의미가 있죠....

  • @user-og8sw1ip1t
    @user-og8sw1ip1t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책 처음 나왔을때 재미있게 읽었다고 감상문 이메일 보냈었는데 답장을 주셨었어요!!!!!!!! 그때 얼마나 좋았는지^^ 일개 독자의 메일에 답메일까지 보내주신 선생님 너무 좋아요♡♡♡

  • @user-wt1zi9gx9e
    @user-wt1zi9gx9e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 교수님의 말씀이 낮은 곳에 있으시면서 편안히 말씀하시는 모습이 존경스럽습니다.

  • @benedictcho8053
    @benedictcho8053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대학은 학생에게 맞춰주는 구조적 시스템을 갖추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대학은 학문을 공부하는 곳이지 학생 피로도를 조절하는 곳이 아니니까요. 학문에대한 열정 존경합니다.

  • @user-wi7ck8km7v
    @user-wi7ck8km7v2 жыл бұрын

    최재천 교수님께서 유퀴즈라니 ..!!! 유튜브 너무 재밌게 보고있어요 ㅠㅡㅠ

  • @happydays2542
    @happydays25422 жыл бұрын

    하버드 얘기가 가장 인상적이네요. 공부만 해서 성적 좋은 사람은 존경하지 않는다.. 어려서부터 공부만 하고 그걸로 우쭈주 받고 평생 자라서 사회생활이라고는 해본 적도 없는 인간들이 남의 인생과 미래를 멋대로 결정짓는 우리나라 판검사들하고 참 비교가 되네요..

  • @user-qy2xu3mx4d
    @user-qy2xu3mx4d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유투브도 너무 잘보고 있습니다! 이번 유퀴즈도 정말 인상깊었어요 감사합니다😊

  • @user-wf1tm9cq9w
    @user-wf1tm9cq9w2 жыл бұрын

    늘 그렇듯 너무나도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교수님 채널에서 들었던 이야기들 이렇게 보니 또 반갑네요 ㅎㅎ 뼈가 되는 말씀 감사합니다 교수님!

  • @younglee6718
    @younglee6718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은 사람들이 잘 모르는 것들을 생물학적 관점으로 차근차근, 천천히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더 쉽게 전달되는 것 같습니다. 교수님의 말씀을 들어보면 정말 인간의 기초가 되는 지식들을 알려주는 것 같아 제 자신마저 되돌아보게 되는 것 같네요. 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교수님!

  • @juju1073
    @juju10732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강의 중 책 읽는법과 교수님 유튭 꼭꼭 꼭 봐주셔요.ㅠㅠ..으른중에 최고 으른..ㅠㅠ 가득찬 지식을 모든이가 이해가능하게 설명해주시는 문장력 통찰력.. 존경이란 단어가 늘상 나오시는분😭😭😭

  • @user-or3bg8fr2h
    @user-or3bg8fr2h2 жыл бұрын

    꺄 쿄수님~~~~~~~~ 여기서도 뵙다니ㅜㅜ 역시 갓재천이십니다!! 진짜 매력쟁이 bb 교수님 영상은 책은 뭐든 모두 너무너무 유익하고 감동적이랍니다b 유툽 영상 새롭게 뜬게 있나 9보러가야겠어여~~~~

  • @pcbyr0103
    @pcbyr0103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ㅜㅜㅜ 환경에 더 힘쓸게요 존경합니다.

  • @ghb4449
    @ghb44492 жыл бұрын

    와~ 교수님 강의...정말 최고네요. 귀에 쏙쏙들어오고 생각이 많아집니다. 누구탓도 아닌 나 자신, 인간이 문제라는걸 반성하게 됩니다. ㅠㅠ

  • @user-tb1du3nq1d
    @user-tb1du3nq1d2 жыл бұрын

    정말 명강의네요, 배우고 갑니다 교수님

  • @pbg1028
    @pbg10282 жыл бұрын

    눈물이 흐를 정도로 너무 공감되고 많이 깨달았습니다.. 이런 교수님이 한국 사람이라는게 너무 좋네요. 존경합니다 교수님!

  • @Helloworld-rv9gz

    @Helloworld-rv9gz

    2 жыл бұрын

    @Jeremy Van Lewis 눈물이 흐를 ‘정도’라고 쓰여있는거 안보임? 그리고 다른 사람 운다는 댓글을 네가 왜 비웃고 난리ㅋㅋ추하다

  • @jll142

    @jll142

    2 жыл бұрын

    @Jeremy Van Lewis 참..꼬인 인간이네... 앞날이 비디오다

  • @JinyHLee
    @JinyHLee2 жыл бұрын

    아 너무 좋은 강의..

  • @user-ej1pt9ty9k
    @user-ej1pt9ty9k2 жыл бұрын

    교과서에 실려있던 최재천 교수님의 과학자의 꿈이라는 작품을 읽으며 어떤분이실까 정말 궁금했어요. 유튜브 알고리즘으로 익숙한 이름이 보여 제 손이 이영상으로 이끌게되었네요.! 최재천 정말 멋있는분이세요.. 영상을 보며 존경스럽고 감사하다는 생각이 들어요!이 다음에 커서 저도 이렇게 멋진어른으로 컸으면싶어요!

  • @eunsaelee7209
    @eunsaelee7209 Жыл бұрын

    11:14 설명도 나긋나긋 잘해주시고 교수님 그리고 넘 귀여...우세요

  • @허스키장
    @허스키장 Жыл бұрын

    말씀도 편하고 잼나게하십니다 정확한 포인트말씀 잘들었습니다

  • @user-fc3qr1iz9s
    @user-fc3qr1iz9s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 방송보면서 너무 많은 걸 느끼게 됐어요 존경합니다

  • @gracepark5465
    @gracepark54652 жыл бұрын

    본방을 보고 너무 값진 강의를 들은거 같아서 다시 들으러 또 왔습니다. 교수님 정말 너무 멋지시고 존경스럽습니다. 지구의 밸런스를 맞추는게 쉽지는 않겠지만 다들 각자의 자리에서 할 수 있는것들을 실천하다보면..백년후에는 더 좋은 세상이 만들어지지 않을까요? 근데 이 와중에 댓글로 우한연구소니 뭐니..이런 말 하시는 분들은..도대체 어떤 사고방식을 가지고 계시길래..실제로 이런 사람들이 있다는게 충격.

  • @CMyH7BTxHQ
    @CMyH7BTxHQ2 жыл бұрын

    호주제 폐지가 무려 2000년대라니 이렇게 후진국일수가 있나

  • @user-ne1ji6mn7r
    @user-ne1ji6mn7r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두렵기는 하나 ... 수업 다음 학기에 너무 듣고 싶습니다. 새내기인 저를 데려가세요오오 ㅠㅠ 레포트는 제가 어떻게든 해보겠습니다 !

  • @user-xt5ld5hy5e
    @user-xt5ld5hy5e2 жыл бұрын

    이제야 유퀴즈 나오셨네요 ㅎㅎ 교수님 유튜브 잘 보고 있습니다!!

  • @jinataiwan
    @jinataiwan2 жыл бұрын

    와. 교수님 말씀에 박수가 절로 나왔어요. 열대지방에 서식하던 박쥐들이 온대지방으로 이동해서까지 듣고 그럼 박쥐들을 없애면 되겠네라고 생각한 자신을 반성했습니다.

  • @awedrt10
    @awedrt10 Жыл бұрын

    막연하게만 생각하던 환경 보호ㅡ 생물다양성에 대한 지속가능성이 왜 중요한지 깨달을 수 있는 좋은 영상입니다. 최재천의 아마존 영상도 덕분에 너무나 흥미롭게 보고 있습니다. 언젠가 꼭 직접 강연 들어보고 싶습니다 🙂

  • @dltmdwn7311
    @dltmdwn7311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좋은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ㅜㅜ!!!

  • @user-qd1qj2cd3j
    @user-qd1qj2cd3j2 жыл бұрын

    유튜브 보고 알게되었는데 팬이에요~^^

  • @user-tj6pv9kx5o
    @user-tj6pv9kx5o2 жыл бұрын

    대학이 취업을 더 신경쓰게 되면서 발생하는 딜레마. 수업을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들이 많으심. 취업 준비하느라 바쁜데 수업이 어려우면 그 수업을 기피하거든.

  • @user-wz2kg6fl6w
    @user-wz2kg6fl6w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수업 들을수 있는 학생들 넘 부럽네요

  • @Mjp247
    @Mjp247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들 감사합니다

  • @sagekim8219
    @sagekim82192 жыл бұрын

    생명다양성의 의미를 새롭게 알게 되었어요! 그러면서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서도 궁금증이 많아지는 인터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rc2wf1pm7k
    @user-rc2wf1pm7k2 жыл бұрын

    세계적으로 유명한 석학이신데, 모르는 소리라는둥 댓글 하시는 분은 ㅋㅋㅋ 무슨 분야에서 전공이셔서 그런건가요? 심지어 저분이 말씀 하시는게 지극히 상식적인 얘기인데(새로운 관점이나 쟁점 사항도 아님) 이런데에도 분란글을 쓰는 사람들은 인터넷좀 못쓰게 하면 좋겠다 🤣

  • @user-trutht2727

    @user-trutht2727

    2 жыл бұрын

    저분 노벨상 받으셨나요?

  • @user-rc2wf1pm7k

    @user-rc2wf1pm7k

    2 жыл бұрын

    @@user-trutht2727 노벨상이 왜나오나요?

  • @user-fo1ec9ig5y

    @user-fo1ec9ig5y

    2 жыл бұрын

    @@user-trutht2727 그냥 세상 살면서 아는게 노벨상 하나 뿐이지ㅋㅋㅋㅋㅋㅋ

  • @user-vc6ju3mp3k

    @user-vc6ju3mp3k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무식이 신념이 되면 무섭죠.

  • @yoamajapan8982
    @yoamajapan89822 жыл бұрын

    굉장히 유익하고도 신선한 충격을 받게 된 시간이었습니다. 교육계에서 다루는..생업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교육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인류와 어찌보면 가장 밀접한... 이러한 주제가 앞으로는 필수가 되어야 하는..살아있는 교육이지않을까 싶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분들을 만날 수 있는 유익한 방송이 되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aktnf333
    @aktnf333 Жыл бұрын

    진짜 찐교수님이다.!!!! 진짜 강의대충하시는분 많은데 존경스럽습니다.

  • @jeanneyang349
    @jeanneyang3492 жыл бұрын

    저도 재미 입니다 ^^ 교수님 유키즈에서 뵈니 더 반갑습니다 ^^

  • @annelove3571
    @annelove35712 жыл бұрын

    이 시대에 함께 계셔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dh7nl5yn7y
    @user-dh7nl5yn7y2 жыл бұрын

    중학교 다니는 아이의 학교 선생들이 교수님 자료를 많이 활용하시더라구요 그만큼 훌륭한 컨텐츠를 공유해주시는것 같습니다 덕분에 저도 요즘 교수님의 작품들과 조우하게 되어 너무 행복합니다

  • @boxknxg
    @boxknxg2 жыл бұрын

    너무 존경스럽습니다... 이제 그만 개발을 멈추고 환경을 생각하는 분들이 많아졌음 좋겠어요...

  • @cye0531
    @cye05312 жыл бұрын

    헉 어릴때 교수님이 쓰신 책들 많이 읽었는데 여기서 뵙다니 신기해요

  • @user-xk4wj5gk2n
    @user-xk4wj5gk2n6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연 듣고 얼마나 재미와 감동을 받았는지.. 교수님같은분들이 계시기에 지구가 버티나봅니다. 존경스럽고 감사합니다

  • @user-mb6ny3ul7s
    @user-mb6ny3ul7s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 @user-hx9ie7uv4i
    @user-hx9ie7uv4i Жыл бұрын

    진짜 느린 속도로 차근차근 의미를 전달하시는 모습이 멋지시네요.. 말의 유창성에서 오는 의미 전달이 아닌, 어법과 단어 선택으로 청중을 몰입하게하는 힘이 있으신거같습니다. 교수님의 지식과 박식함도 놀랍지만 진심으로 겸손하시고 순수하게까지 느껴지는 인품이 보여서 너무 재밌고 기분좋게 봤습니다. 시대의 좋은 어른이시네요

  • @kongdekhwa
    @kongdekhwa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훌륭한 일을 하시고 하실 분이시네요^^ 감사합니다^^

  • @gravity4164
    @gravity41642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양심과 용기에 경의를 표합니다

  • @Nemiology
    @Nemiology2 жыл бұрын

    진짜 지식인 중에 지식인

  • @Helium5120
    @Helium51202 жыл бұрын

    최재천 교수님 채널 구독자 확확 늘어나려나!? 여기 재미 한명 응원하고 갑니다~

  • @user-cb6wp3ob8y
    @user-cb6wp3ob8y2 жыл бұрын

    유퀴즈...참 고퀄합니다

  • @maokkyo3029
    @maokkyo30292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에 대해 대강은 알고 있어서 환경보호를 해야한다는 생각은 가지고 있는데, 지구가 망가지면 우리가 망가진다는 사실은 실감 못합니다. 그저 야생동물들이 죽는구나 생각하죠. 그런 의미에서 지구온난화가 계속되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을 쉽고 간단하게 말씀해주셔서 인상깊었고 역시 존경스럽습니다!

  • @hitit_2
    @hitit_22 жыл бұрын

    이강의의 요약 한줄 : 생물다양성을 존중하고 지키지 않으면 지구의 90%이상을 장악한 호모사피엔스(인간)이 결국 가장 고통받게된다.

  • @sevendaffodils5944
    @sevendaffodils59442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신분입니다. 존경합니다. 늘 건강하십시요.

  • @so-ro8zw
    @so-ro8zw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재미” 중 한명이에요~! 뜻하신 바가 꼬옥 이루어지길 바라봅니다~~

  • @llllIIIIllllIIIIllllIIIIllll
    @llllIIIIllllIIIIllllIIIIllll2 жыл бұрын

    그저 멋지다는 말 만으론 부족하신 분입니다 존경스러워요

  • @user-ug5wx2bk9p
    @user-ug5wx2bk9p2 жыл бұрын

    진짜 대한민국엔 멋진사람이 많아

  • @user-xr7zr9it4d
    @user-xr7zr9it4d2 жыл бұрын

    진짜 멋있으신 분이시네요

  • @estherkim2117
    @estherkim21172 жыл бұрын

    교수님.,제가 지금은 도저히 무리고ㅜㅜ 막학기에 꼬옥 교수님 강의 수강하겠습니다!! 교수님의 케이묵 수업은 일학년때 들었는데 너무 재밌고 유익했어요ㅎㅎ

  • @user-cv7dr1rf2m
    @user-cv7dr1rf2m2 жыл бұрын

    우리 유명한 최재천교수님 부드럽고 설명도 유려하게 잘 말씀 하시는 멋진교수님

  • @user-cv7dr1rf2m

    @user-cv7dr1rf2m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유트브 채널도다봅니다

  • @Nangtt
    @Nangtt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정말 존경합니다 유익한 말씀 감사해요

  • @user-bk1iz8hj5d
    @user-bk1iz8hj5d2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하세요 존경합니다

  • @skyjimi5428
    @skyjimi54282 жыл бұрын

    최근에 유툽에서 뵙고 구독해서 열심히 보고있습니다. 고딩딸은 진작부터 즐겨보고있더라구여. 유키즈에서 뵈니 넘 반갑습니다~

  • @Neo12253
    @Neo12253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17분 강의 중 최고의 강의네요 교수님🥹👍🏻

  • @rrr-lf7oy
    @rrr-lf7oy2 жыл бұрын

    이말이 공감가는것이 툰드라 다큐보면 기후온난화로 얼었던땅이 녹으면서 땅이 부풀었고 그안에 있던 아주 오래된 탄저균이 다시 활동하면서 수많은 순록을 죽였다고 나왔다 그로인해 인간도 감염되서 사망했다 기후는 전세계적으로 경각심을 가져야한다 특히 중국!! 코로나 대유행때 중국공장이 멈추었을때 대기사진을 찍은것이 있던데..그것만봐도 중국이 기후문제에 너무아니한것이 아닌가싶다

  • @heather2833

    @heather2833

    2 жыл бұрын

    이미 자국민 피해 봐서 중국이 환경 문제 신경 쓰기 시작하긴 한 것 같은데, 아직은 그 꼬라지라 화나고 답답하죠ㅠ 한국에 오염된 대기로 피해 주는 것에 대해 중국이 책임 회피도 했고, 현재의 세계 환경 오염 기여도는 중국이 높으니 비판 받아야죠. 하지만 그 중국 생산 공장의 본사는 선진국인 경우가 많죠. 그리고 지금의 기후위기라는 결과에 대한 원인을 따지면 산업혁명의 선두에 섰던 나라들이 일으킨 환경 파괴 탓이 큽니다. 사실 우린 중국보단 선진국의 노년층 엄청나게 욕해야 하며, 중국이 공장 없애지 않는 이상은 공해 줄이려면 made in china 저렴해도 안 써야 합니다.(대표적인 게 다이소) 비유를 하자면, 부유한 집 거덜낸 헤픈 선대 때문에 부족한 돈으로 겨우 끼니 만들어 먹는 후손들한테 절약 강조하는 꼴이죠. 아끼긴 해도 먹기는 먹어야 사람이 살 것이며 나도 그 밥상에 수저 들이밀고 있으면서, 이 꼬라지에서 살림 꾸려가는 몇몇한테 뭐라 하는 건 불공평하다 생각지 않으세요? 그런데도 현실은 세계에서 환경과 관련해 핍박 받고 욕 먹는 건 생산을 담당하는 중국과 개도국들입니다. 20세기를 무분별한 자원 사용과 환경 파괴로 부유해진 나라들이 주도해 만든 각종 환경 규제를 따져 가며 개도국에 공장 하나 세우게끔 됐어요. 노동력과 자본의 문제까지 엮인 문제지만 환경만 놓고 따져 보면, 내 나라에 생산 공장 만들면 자국 환경 훼손되고 자국민도 안 좋아하니 해외로 간 것도 있잖아요? 그러니 중국 욕하시면서 현지공장을 해외에 둔 (한국을 포함한) 선진국 기업에게도 책임을 많이 물어야 한다는 생각도 같이 해주세요^^ 저 중국인 아니고 중국 욕 하지 말라는 것도 아니며, 전세계가 환경 문제에 더 관심 가져야 하며,선생님의 의견에 동의하는 가운데에 제 의견도 덧붙인 것이지 반대 주장이 아닙니다.

  • @Gdghjkbcsagikhvnkg
    @Gdghjkbcsagikhvnkg2 жыл бұрын

    우와 최재천 교수님이시다!! 이시대의 찐어른!!!!!

  • @baileys0511
    @baileys05112 жыл бұрын

    정말 존경하는 교수님. 자연생태계를 파괴하는 인간의 이기심을 반성하게 됩니다.

  • @hojikim1410
    @hojikim14102 жыл бұрын

    국어 교과서에 실려있던 '황소개구리와 우리말'로 처음 접했던 최재천 교수님! 넓은 식견과 재치있는 설명이 가득 담긴 유튜브 잘 보고 있습니다. +유재석씨 요즘 머리 왜케 이쁨....!!

  • @user-gi7io7td7o
    @user-gi7io7td7o2 жыл бұрын

    너무 멋있으십니다 ,,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