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에서 얻은 지혜 - 최재천 교수│[사색의 공동체, 스미다]

Ойын-сауық

삶에서 얻은 지혜 - 최재천 교수
동물학자,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생물학 박사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
(전) 초대 국립생태원장

Пікірлер: 123

  • @user-hu2jn1fd2g
    @user-hu2jn1fd2g Жыл бұрын

    최재천 교수님은 훌륭한 대한민국의 지성인 이시지요 종교를 떠나서 우리나라의 보물같은 분이시라 생각합니다 지구와 생명체를 위한 노력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 @w.e.y8518
    @w.e.y851811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의에 빠져 들었습니다 진정한 지성인 이십니다

  • @user-nz7in5th3k
    @user-nz7in5th3k11 ай бұрын

    이렇게 좋은 강의을 들을 수 있어서 너무 행복합니다. 교수님 너무 감사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 @user-nr9zo7pe3b

    @user-nr9zo7pe3b

    3 ай бұрын

    적극 공감합니다

  • @psyche105
    @psyche105 Жыл бұрын

    언제 들어도 멋진 최재천 교수님의 강의 잘 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yr4wz1xi9z
    @user-yr4wz1xi9z7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영상을 보면서 2년가까이 나라돌아가는 현상에 지처있던 심신이 새로이 깨어나는듯하여서 너무나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 @eunjuecheong4947
    @eunjuecheong49477 ай бұрын

    실력을 넘어 내공을 갖추신 교수님 강의 감사합니다

  • @user-yt1ng4oq8k
    @user-yt1ng4oq8k3 жыл бұрын

    최재천 교수님의 강의는 항상 진실하고 진정성있는 삶의 충고입니다. 논쟁은 누가 옳으냐를 알기위해서가 아니라 무엇이 옳으냐를 알기위해서이다. 소통을 위하여 숫찌르레기마냥 필사적으로 최선을 다해야한다. 정말 진지하고 귀한 강의 잘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user-ld2nk8jn7c
    @user-ld2nk8jn7c3 жыл бұрын

    아름다운 재돌이와 그의 친구들 이야기와 존경하는 넬슨 만델라의 이야기처럼 아름다운 이야기를 들을수 있어서 이 아침이 너무 행복합니다 저는 25번째 항암을하고 온 첫날입니다

  • @user-ty9lw1gy7w
    @user-ty9lw1gy7w2 жыл бұрын

    멋진분입니다.

  • @user-we7qy7df9p
    @user-we7qy7df9p11 ай бұрын

    교수님 훌륭하십니다 대한민국 발전에 큰 동력이 되었어면 좋겠습니다

  • @utopiau2430
    @utopiau24306 ай бұрын

    숙론 존중합니다 최고의 해석 인듯 합니다

  • @user-dv5ok6so1j
    @user-dv5ok6so1j8 ай бұрын

    훌륭한 최교수님!감사합니다.감사합니다!

  • @user-ue5vc3ft8j
    @user-ue5vc3ft8j Жыл бұрын

    박사님.항상 건강하셔서 좋은 이야기 많이 해주세요.

  • @user-oc4zi8rj8z
    @user-oc4zi8rj8z2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강의가 정말 좋아서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sophialee5103
    @sophialee51033 жыл бұрын

    자신이 전하고 싶은 내용을 온건하면서도 설득력있게 이렇게 말씀하시는 분, 역시 이런 분이 지성인이라는 생각을 다시금 해 보게 됩니다!

  • @eunjinchoi4419
    @eunjinchoi44193 жыл бұрын

    최재천 박사님 감사합니다^^ 생활에서 삶에서얻는지해 우리에게 꼭 필요한삶에지해 실천해야겠죠!^^ 제멋데로 잘났다고 살고있는 우리인간들은 참 어리석은 한심한 무의미한 삶을살다죽는 공수레인생살다 가는 한심한 동물이네요.. 어떻게 살아야 동물들처럼 지혜롭게 살아야하는지 많이 생각하게하는시간이였어요 박사님 감사합니다 .. 앞으로는다른 동물들을보면서 본이돼서 부끄럽지않은 삶을살아야겠죠..🙂🙏

  • @Elsa0709
    @Elsa0709 Жыл бұрын

    좋은영향력을 많이 앞장서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nr9zo7pe3b

    @user-nr9zo7pe3b

    3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 @cosmos.yellow
    @cosmos.yellow9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의 감동깊게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ds9yj7yb3n
    @user-ds9yj7yb3n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유익한 강의 감사하게 잘 들었습니다. 건강하십시요.

  • @haeyunhwang4058
    @haeyunhwang40587 ай бұрын

    교수님. 너무 재밌게 듣고 있 습니다 계속 하시면 지혜가 무럭무럭 즐거워듣습니다

  • @user-ny9nw8px7i
    @user-ny9nw8px7i7 ай бұрын

    교수님 최고입니다~^^

  • @user-fr3gt6zc1p
    @user-fr3gt6zc1p Жыл бұрын

    대학에서 학부생들에게 많은 숙론의 장을 만들어 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 @user-nc7hk1fr8h
    @user-nc7hk1fr8h7 ай бұрын

    남의 입장에서 문제를 바라보면서 행동을 미리 조심하면 갈등을 만들어내기 어렵지 않을까 한다..깊은 배려심있는 말씀이십다

  • @nzstella4737
    @nzstella47373 жыл бұрын

    아침을 깨워주는 강의였습니다. 토론! ㅎㅎㅎㅎㅎㅎ 웃음이 나와요. 맞아요. 우린 토론을 그런식으로 하지요. 비장한? 까지는 아닐지라도.. 외국에 살면서 느끼는 건데.. 정말 대한민국 사람들은 머리가 정말 좋고, 빠르게 습득하고, 항상 앞서 가는데.. 토론에 입각해서는 좀 다르지요..ㅎㅎ 웃음도 나오며... 숙론!! 많은 비유들을 통해서 마음도 훈훈해지고... 미래의 우리 젊은이들은 구세대의 저희보다 다른.. 멋진 앞날을 열어갈것이다 라는 확신도 들어요?

  • @haeyunhwang4058
    @haeyunhwang40587 ай бұрын

    토론. 참 휼륭한 의미이군요. 우리 나라는 언제나 아름다운 토론이 됄까요

  • @user-ld2nk8jn7c
    @user-ld2nk8jn7c3 жыл бұрын

    숙론이 답이다 라는 결론 적극 지지합니다 ㅡ 아이들에게 가르치고 싶은 1순위입니다

  • @tv-dn8wq
    @tv-dn8wq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py9qu3lc6m
    @user-py9qu3lc6m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홧팅

  • @enlfr
    @enlfr7 ай бұрын

    꼭 필요한 강연이었습니다. 이런 강연을 듣게 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user-rz3mv2lv3w
    @user-rz3mv2lv3w3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은 그냥사랑입니다 감사합니다~

  • @yeungsikpark664
    @yeungsikpark664 Жыл бұрын

    숙론을 유치원 부터…. 교수님을 미래교육을 위해 즉시 교육부총리 추천을 간곡히 부탁드리는 바 입니다 ^*

  • @user-nc7hk1fr8h
    @user-nc7hk1fr8h7 ай бұрын

    언제나 변함이 없으신 답변이십니다 반려인 우리는..ㅋ

  • @user-gc3cx5ki8l
    @user-gc3cx5ki8l8 ай бұрын

    숙론. 멋진 강의 고맙습니다.

  • @user-li5ob9pv6l
    @user-li5ob9pv6l Жыл бұрын

    미국은 평화롭고, 잔잔하고, 모든 게 안정적 이라 구요? 평화롭고, 잔잔한 곳에서만 살았고.. 안정적인 거만 보셨구먼요... 부럽습니다.

  • @user-kw1dz3wh1c

    @user-kw1dz3wh1c

    19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평화 로 웠고 아침에 새 소리 에 잠에서 깨었으며.. 모든 것들이 그대로 있는데 ~ 사람만..사람만 바뀌었습니다. 계시던 분들은 연세 드셔가구요~^^

  • @user-wn4rb9hp5u
    @user-wn4rb9hp5u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 감사합니다~

  • @user-rm1ci3ni6p
    @user-rm1ci3ni6p19 күн бұрын

    참 지식인 존경합니다

  • @user-zy2hz5rm3c
    @user-zy2hz5rm3c3 жыл бұрын

    이렇게피와살이되는명강의댓글이없는게이상한일이다

  • @user-nr9zo7pe3b
    @user-nr9zo7pe3b3 ай бұрын

    늘 좋은 말씀 잘 듣고 있습니다. ♥♥♥♥♥♥♥

  • @user-jv2wp7sr3i
    @user-jv2wp7sr3i3 жыл бұрын

    토론 . 잘 배웠어요 .감사합니다

  • @user-ld2nk8jn7c
    @user-ld2nk8jn7c3 жыл бұрын

    단체의 이익 개인의 명분이 아니라 어떻게하면 재돌이가 자연으로 돌아갈수 있느냐를놓고 싸워라 (토론ㅡ숙론하라)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VipassanaRunner
    @VipassanaRunner Жыл бұрын

    호주에서도 숙론은 기본이지요 잘 봤습니다.

  • @user-fp3fo4km8m
    @user-fp3fo4km8m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hm8sd3op1u
    @user-hm8sd3op1u2 ай бұрын

    주한 사랑한데이 언제나 늘 응원한다 친구가 어떤일을 한든 다 잘될꺼야.. 혼자가 아니야 우린가족이야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5 ай бұрын

    참 좋은 말씀 들었읍니다. 미국 변 완수 배

  • @user-np1nw6gb5h
    @user-np1nw6gb5h3 жыл бұрын

    오호.지적인 모습.

  • @user-fv5tt8zi2w
    @user-fv5tt8zi2w3 жыл бұрын

    비엔나 분들이 나를 좋아하지. 비디오로 온 마을을 다 소개해 주셨어요.

  • @user-mc5ul8fo5x
    @user-mc5ul8fo5x2 жыл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미국교육이 우수한 면이 있지요 좋은 건 배워야하죠 숙론을 생각해봅니다 재미없는 천국이 좋아요

  • @livelovelaughbless

    @livelovelaughbless

    Жыл бұрын

    총기소지하는 천국? 노노

  • @shimseon

    @shimseon

    Жыл бұрын

    제가 짧게 본 미국은 그렇게 평온하지도 재미 없지도 않던데요 마약도 바도

  • @user-oc8xn4xi1s
    @user-oc8xn4xi1s3 жыл бұрын

    최교수는 언제나 옳다이므로 덧글달고말고 할 필요가 업스므니다 ㅋㅋㅋ

  • @juyeon_kim
    @juyeon_kim3 жыл бұрын

    숙론이 답이당🐨

  • @kyunglee2349
    @kyunglee23493 ай бұрын

    박사니~~임 짝 짝 짝 느 윽 떼 다시함 짝짝짝짝

  • @user-pn2cx8ur5p
    @user-pn2cx8ur5p3 жыл бұрын

    좋아요

  • @margaretwhang8928
    @margaretwhang89283 ай бұрын

    눈치:Eye measurements 자를 가지고 재지 않고 눈 짐작으로 가늠 하때가 있다.

  • @user-gj1qj9jx9h
    @user-gj1qj9jx9h Жыл бұрын

    이해관계 있는사람들과 숙론하면 됨

  • @user-xq5kx7cn3c
    @user-xq5kx7cn3c3 жыл бұрын

    찬미예수님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우리가 하늘에서 사랑하듯이 땅에서 도 사랑한다는 것은 우리가 저승에서 영원히 그러하듯이 이승에서 서로 아 껴 주는 법을 배운다는 것은 얼마나 좋 은 일입니까 !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 님 찬미받으소서 무 한 감사드립니다 꾸벅 **

  • @yeungsikpark664

    @yeungsikpark664

    Жыл бұрын

    세계 최고의 지성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교수 ‘이기적 유전자 ‘의 저자 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시’을 권합니다 제발 읽고 깨우침을 얻으시길~

  • @user-in9nt3lu2k
    @user-in9nt3lu2k3 ай бұрын

  • @user-mx8co4go2m
    @user-mx8co4go2m3 жыл бұрын

    토론이 안맞으면 정론이 맞을 듯하네요

  • @zzi87
    @zzi879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나오는 노래 제목좀 알려주세요~ ㅠ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4 ай бұрын

    늘 즐겁게 강의를 듣고 있읍니다. 한가지. 긴 자를 짧게 잘못 발음 하신 예: 통섭 , 재 해석. 소개자는 "고맙습니다" "고마씀니다"로 듣김. 선생께서"눈치"를 보기를 건하셨는데, 이것을 "배려"한다는 뜻으로 받으면 참으로 귀한 제언입니다만, "눈치를 본다"는 말은 강용상 별로 좋은 뜻으로 쓰여지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제가 쓴 책 한권 읽어 주시겠읍니까. "한국 어문을 고발함"입니다. 미국 변 완수. 배

  • @user-jk4fw3bw3r
    @user-jk4fw3bw3r Жыл бұрын

    이렇게 훌륭한 교수님 수업이 폐강이라네요. 수업이 어렵고 점수도 잘안주신다며..ㅜㅜ 이화여자대학생들에게 쫌 실망

  • @user-jk3ho9bx8g

    @user-jk3ho9bx8g

    8 ай бұрын

    자녀에게 물어보니 교수님 강의가 적어서 신청을 못 하고 있다는데요. 채플에 오셨는데 청강 신청이 쇄도했다고 합니다.

  • @user-jk4fw3bw3r

    @user-jk4fw3bw3r

    8 ай бұрын

    @@user-jk3ho9bx8g다행입니다.

  • @mbeyongkonyak1784

    @mbeyongkonyak1784

    4 ай бұрын

    ​@@user-jk3ho9bx8g:,7😅'"#😊😊😊

  • @yamorange6379

    @yamorange6379

    3 ай бұрын

    ​@@user-jk3ho9bx8g 오오 정보 고맙습니다♥

  • @pahkk
    @pahkk Жыл бұрын

    논의로 하면 더 쉽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user-km7rf4kg2y
    @user-km7rf4kg2y14 күн бұрын

    살기위한. 몸부림 ㆍ 식물도 야생동 물도. ㆍ 정글. ㆍ 인간삶도. 저는정글입니다 ᆢ

  • @user-zy2hz5rm3c
    @user-zy2hz5rm3c3 жыл бұрын

    쥐들도공감한다쥐실험쥐들이얼마나사람들을원망할까 수많은쥐들을죽이며다음사람들이쥐들의바이러스에죽어갈것이다지구상의모든생명들은같은한줄기의생명들인데

  • @user-in9nt3lu2k
    @user-in9nt3lu2k3 ай бұрын

    나름 행복한사람같구먼

  • @user-xq5kx7cn3c
    @user-xq5kx7cn3c3 жыл бұрын

    찬미예수님 비밀스러운 갈망 은총은 본성적인 부족함을 채워 줍니 다 은총은 인간의 인간 안의 더 거룩 하고 더 드높으며 더 좋은 것을 끌어냅 니다 하느님은 인간의 마음속 가장 비 밀스러운 갈망에 응답하시기 때문에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어 주십니다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 님 찬미받으소서 무 한 감사드립니다 꾸벅 **

  • @JellyBag
    @JellyBag2 жыл бұрын

    투표를할때 바뀔 미래를 심사숙고해서 투표하는건 맞긴한데 워낙 대통령들은 공약내세워도 막상 대통령되도 되면 좋고 아니면 말고식이라 정말 이로운 공약을 해도 지킬지는 그때 가봐야아는거라.. 투표하는족족 무효표던지고 옵니다

  • @user-xb7qw3uu8m
    @user-xb7qw3uu8m3 жыл бұрын

    허리가 부러져도 편안하게 역도를 할 수 있는 이유는! 저는 70이 넘은 나이에 요추(허리) 2번의 20%가 부러지는 골절상을 입고도 설악산 대청봉을 등산하고 역도를 하고 있지만 세상 사람들은 이를 믿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흉추 11번이 압박골절로 30%가 손상되고 요추 2번의 20%가 으스러져 산산조각이 나서 또 손상된 상태에서 70이 넘은 노인네가 어떻게 설악산 대청봉을 등산하고 역도를 할 수 있느냐고 반문합니다. 사실 저도 처음에는 이러한 일들이 가능하리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허리 통증을 조금이라도 줄여보기 위해서 병원과 한의원을 문지방이 닳도록 들락거려도 조금도 줄어들지 않는 허리 통증의 고통을 겪어보신 분들이라면 제가 지금부터 하는 이야기에 동감을 할 것입니다.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병원과 한의원에서 허리통증에 대한 치료를 하였으나 전혀 차도가 없었고, 이런 저를 안타깝게 여긴 주변 분들이 여러 가지 운동을 권유했습니다. 누구 누구는 무슨 운동으로 허리병을 고쳤다더라 하면서 말이죠. 국립국악원에서 전통무용까지 배우는 등 무수히 많은것을 해봤지만 허리통증은 악화만 되었습니다 달리 선택할 방법이 없었기에 마지막 심정으로 우리 조상들이 험한 들판과 산길을 누비며 수렵 채취를 하며 생활한 것을 본받아 주말에는 용기를 내서 오대산을 등산하고 설악산 대청봉을 등산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생각과 달리 허리는 상쾌하고 통증은 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허리통증의 원인은 약해진 허리 주변근육이 자신의 몸이 누르는 중력을 지탱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몸의 반응이 통증임을 알아 냈습니다 저는 허리주변근육을 단련하기 위해 사무실과 집에도 평행봉을 비치하여 거꾸로 매달려 윗몸일으키기 등 시도 때도 없이 미친듯이 운동을 하고 주말에는 높은 산을 등산하고,2019년 4월부터는 매일 역도를 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우리 허리 뼈가 일자로 되어 있는 기둥으로 우리 몸의 대들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건물의 기둥인 대들보는 일자로 되어 있어 부러지면 집을 받치지 못하여 집이 무너집니다. 그러나 우리 허리 뼈는 일자로 된 기둥이 아니고 33개의 작은 뼈마디 구성 되어 있는 기관이기 때문에 어느 하나가 조금 손상되면 나머지를 가지고 사용하면 됩니다. 저는 흉추 11번이 30% 손상되고 허리 2번이 20%가 부러져 손상되었으므로 전체 33개의 뼈를 놓고 보면 전체 뼈의 1.5%가 손상되어 그 정도로 보면 아주 작은 정도의 손상이지만 이 작은 손상이 주는 통증에 인간은 거의 삶이 망가질 정도입니다. 통증을 제외하면 1.5% 정도의 작은 손상은 나머지 98.5%의 기관이 작동하는 데 전혀 지장을 주지 못합니다. 즉 우리는 척추뼈가 어느 정도 손상되었다고 하더라도 나머지 부분을 사용하여 일상적인 생활이 충분히 가능합니다. 사람들은 자신들의 척주가 33개로 뼈마디로 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식을 못하고 일자로 된 기둥으로만 생각되기 때문에 허리 뼈가 조금만 손상되어도 몸을 받치지 못하게 되어, 결국 우리 몸이 금방 주저 앉는 것으로 착각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33개의 뼈 모두 손상이 되지 않으면 더 좋겠지만 어떤 일로 인하여 일부가 손상되었다고 하더라도 걷기에 이어 등산과 역도 등 자신의 여건에 맞는 운동을 꾸준히 하여 허리 주변근육을 단련하면 아무 걱정 없이 지낼 수 있다는 것을 체험으로 자각하고 매일 역도를 하며 즐겁게 지내고 있습니다. 등산과 역도는 우리 몸에 작용하는 중력을 극복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운동입니다. 유듀브 등 언론 매체를 보면 허리가 아픈 것은 나쁜 자세 때문이라고 하면서 의자에 반듯하게 앉아 있으라고 합니다. 허리가 아픈 사람은 윗몸일으키기나 등산을 하거나 역도를 하면 아주 나쁘다고 하면서 못하게 하며 평지를 살살 걷거나 뒷방에서 누워 있으라고 합니다. 저도 처음에는 몰라서 평지를 살살 걷고 등산도 안 하고 방에 누워 있었더니 낫기는커녕 더 아파서 사실이 아님을 제 자신이 체험적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수 년 전 제가 허리 통증에 대하여 연구할 때 학생들의 과학교과서나 체육교과서 등을 꼼꼼하게 공부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중학교 과학교과서가 중력을 예로 들면서 사과나 비가 땅으로 떨어지는 예를 들고 있었습니다. 저 역시 중학교 때 이를 배웠지만 그게 무슨 말인지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교과서 저자에게 중력을 설명할 때 사과를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것도 좋지만 학생들이 이해하기 쉬운 몸을 예로 들어 설명하여 달라고 건의했더니 건의 받은 저자는 과학적 사실을 실생활과 연결해서 설명하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라고 하며 다음 교과서 수정 시 반영하겠다는 답변을 보내왔습니다. 그 후 몇 년이 지나서 교과서를 확인했더니, 2개 출판사의 교과서는 중력을 극복하는 스포츠로 역도 등이 있다고 수정 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제가 건의할 당시 저는 역도가 중력을 극복하는 운동인 것을 몰랐습니다. 과학교과서 저자는 참으로 머리가 좋은 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70이 넘은 나이에 역도를 시작한 이유는 역도가 몸이 누르는 중력을 빨리 극복할 수 있는 운동으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건강을 목적으로 할 경우 여자분은 10kg, 남자는 15내지 20kg 정도만 가지고 인상을 해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몸은 참으로 신기하게 진화가 잘 되어서 허리뼈가 부서져 일부가 없어지더라도 대신 운동으로 근육을 단련시키면 일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사람은 왜 목,허리,무릎이 아플까? 4쇄본 본문 중에서) 2021,1 사람은 왜 목 허리 무릎이 아플까? 저자 허리튼튼법무사 이 희 숙(남)

  • @hjk10801

    @hjk10801

    3 ай бұрын

    대단한(실천적 이고실질적)인글 감동받고 많은척추(디스크)문제로 고통받고있는 분들께 격려가 되는 좋은글 감사합니다❤

  • @hjk10801

    @hjk10801

    3 ай бұрын

    사람은 외 목 허리가아플까? 저자 이희준 교보문고 에서 구입할수있을까요

  • @user-ld2nk8jn7c
    @user-ld2nk8jn7c3 жыл бұрын

    몽플뢰르 컨퍼런스

  • @user-ld2nk8jn7c

    @user-ld2nk8jn7c

    3 жыл бұрын

    몽플뢰르 시나리오 ㅡ너무 아름답네요

  • @cheezy1727
    @cheezy17273 жыл бұрын

    영흥고 화이팅

  • @user-np1nw6gb5h
    @user-np1nw6gb5h3 жыл бұрын

    그래 속아줄께.귀뚜라미 소리좋다.

  • @user-cv6yy9sc4r
    @user-cv6yy9sc4r3 жыл бұрын

    숙론

  • @user-wg4go4xx9d
    @user-wg4go4xx9d3 жыл бұрын

    강의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성함보고 사기꾼 최재천 전 의원으로 오해했습니다..

  • @user-vg9uc2xn3z

    @user-vg9uc2xn3z

    3 жыл бұрын

    .

  • @user-xq5kx7cn3c
    @user-xq5kx7cn3c3 жыл бұрын

    찬미예수님 주님 앞에서 십자가에 못 박히신 우리 태양이신 주 님 앞에서 이렇게 기도합시다 "오, 주 님 ! 우리 마음의 아름다운 태양이시 여 당신의 그 선하심의 빛으로 모든 것 에 생명을 주셨습니다 생명력을 잃고 죽어 가는 우리를 당신의 뜨거운 빛으 로 되살려 주소서."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 님 찬미받으소서 무 한 감사드립니다 꾸벅 **

  • @yeungsikpark664

    @yeungsikpark664

    Жыл бұрын

    세계 최고의 지성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교수 ‘이기적 유전자 ‘의 저자 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시’을 권합니다 제발 읽고 깨우침을 얻으시길~

  • @user-jx2vv7sp4e
    @user-jx2vv7sp4e Жыл бұрын

    대중들에게 지식전달을 해주실려고 이맇게 대학 폐강이 되었을까요?

  • @user-in9nt3lu2k
    @user-in9nt3lu2k2 ай бұрын

    가화만사성

  • @user-cx3jq2xz7e
    @user-cx3jq2xz7e2 ай бұрын

    얼마나 머리가 나쁘면 이 시대에 애를 낳냐고 하신 교수님....^^ ㅋㅋ 공감해요. 참 힘들죠..

  • @user-np1nw6gb5h
    @user-np1nw6gb5h3 жыл бұрын

    되게겠다고 오래전에 얘기 안했다.

  • @prolitariat5032
    @prolitariat50323 жыл бұрын

    사회는 가정과 차원이 다른 사회 나름의 또 다른 차원의 믄제가 있다. 노자는 각 차원을 생각하지 못하고 모든 단위의 문제를 동일시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 아나운서는 뭐 대단한 복음을 전하듯 노자를 인용하는데, 머리를 좀 써라.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3 ай бұрын

    소개하는 미인의 발음문제: 첫 소리가,"세상"!! 세상의"세" 는 길게 발음해야 하는 것을 이 미인께서 ""짧게"발음하셨다. 이것을 문제로 삼는 것이 잘못입니까?? 이 미국 동포는 몹시 걱정정도가 아니라 분개합니다. 언어가 타락하면 모든것이 흔들립니다. 그러나, 참 다행인 일은 이 강사 같은 분이 계시다는 것입니다. 겸해서, 고국 동포께 간곡히 권하옵노니,"한국 어문을 고발함" 이라는 책을 읽어 주시옵소서. 미국 변 완수 드림

  • @hjk10801

    @hjk10801

    3 ай бұрын

    꼭 구해서(사서)읽어보겠읍니다

  • @junghwalee9887
    @junghwalee98873 жыл бұрын

    Qwp-content algal Xmas

  • @user-ng9oh4qo2b

    @user-ng9oh4qo2b

    3 жыл бұрын

    Shema immanuel

  • @user-uu8be2fz7v
    @user-uu8be2fz7v5 ай бұрын

    극좌 = 극우

  • @user-mx8co4go2m
    @user-mx8co4go2m3 жыл бұрын

    팔십프로가 불안에 떨고 있는데 쉬고 있다니요

  • @user-np1nw6gb5h
    @user-np1nw6gb5h3 жыл бұрын

    덱끼 그런 농담을..

  • @shimseon
    @shimseon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앉아계신 분들 이해잘 못하는 표정인데요🥲 어쩌다 오신 분들인가요?

  • @user-mm2rq7gl5p
    @user-mm2rq7gl5p3 ай бұрын

    간첩은걸러내고 투표

  • @user-np1nw6gb5h
    @user-np1nw6gb5h3 жыл бұрын

    알았다.민주주의가 어쩌고 저쩌고 하지마라.

  • @younghocha677
    @younghocha6773 жыл бұрын

    곽상도, 김도읍, 조수진이 부터 바꾸면 되겠네

  • @jhdpark21

    @jhdpark21

    3 жыл бұрын

    혹시 광신도 문빠아닌가..

  • @user-pu1xd8oe3z
    @user-pu1xd8oe3z2 жыл бұрын

    태초의 생명의 근원은 하나님입니다. 이 사실이 인식되지 않은 과학은 인류의 근본문제에대한 해답을 찾을 수 없습니다. 대표적 진화론자

  • @yeungsikpark664

    @yeungsikpark664

    Жыл бұрын

    세계 최고의 지성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교수 ‘이기적 유전자 ‘의 저자 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시’을 권합니다 제발 읽고 깨우침을 얻으시길~

  • @yeungsikpark664

    @yeungsikpark664

    Жыл бұрын

    세계 최고의 지성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교수 ‘이기적 유전자 ‘의 저자 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시’을 권합니다 제발 읽고 깨우침을 얻으시길~

  • @prolitariat5032
    @prolitariat50323 жыл бұрын

    숙론이라고 굳이 한자로 표기할 필요가 있나. 대부분의 사람이 알지도 못하는데, 차라리 컨시리언스 이렇게 쓰고 발음하면 되자나. 어처피 슥론 이라는 말 발음도 중국과 다른데, 영어를 다시 중국어로 번역하고 또 한글로 발음하고. 그 중국어의 발음도 중국과는 다르게 아무렇게나 하는데.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4 ай бұрын

    "세상"의 발음도 제대로 못하는 소개자!! 긴자를 짧게 잘못 발음한 예: 좋습니다.제가(나),정부,대표적,반면에,사실 , 등, 이렇게 유명하신 학자가 이처럼 장단음 문제가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입니다. 더욱 놀라운 일은, 하고 많은 학자들의 발음문제를 지적하는 사람을 본적이 없읍니다. 정확한 발음은 음성 언어의 생명입니다. 여러분께. 한 가지 권하고싶습니다. "한국 어문을 고발함"이라는 책을 읽어 주시옵소서. 한국 어문의 타락상이 하 분하여"눈물로" 쓴 책입니다. 미국 변 완수 배

  • @prolitariat5032
    @prolitariat50323 жыл бұрын

    나는 이 사람 알지도 못하지만, 하나만 물어 보자, 군대는 정상적으로 갔다 왔나?

  • @shimseon

    @shimseon

    Жыл бұрын

    너는 뭐하는 사람인데 따지냐? 이 분은 아는데

  • @prolitariat5032
    @prolitariat50323 жыл бұрын

    이 사람은 미국 유학 갔다 온걸 죽을 때 까지 써 먹을 것 같다.

  • @shimseon

    @shimseon

    Жыл бұрын

    유학 못 다녀와서 슬퍼서 그러니 ?

  • @free-bq9wb
    @free-bq9wb10 ай бұрын

    이 분 전공이 정치외교학인가? 은근 정치색 짙네~~전달하고픈게?~소통ㆍ불통?~~!

  • @greensook9207
    @greensook92073 жыл бұрын

    엠비씨 정직한 뉴스나 하세요 너네 방송은 뭐든 안믿어져서,,,

  • @sunyoo3695
    @sunyoo36953 жыл бұрын

    세계적인 동물학자? 그냥 어용학자 아닌가?

  • @shimseon

    @shimseon

    Жыл бұрын

    훌륭한 동물학자 맞음. 어용학자 아니고 그 반대 같던데 그럼 넌 뭔데? 남 까는건 쉽지

  • @user-if5qd6vl7j
    @user-if5qd6vl7j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in9nt3lu2k
    @user-in9nt3lu2k3 ай бұрын

    숙론

  • @user-ub9ql2qh8h
    @user-ub9ql2qh8h3 жыл бұрын

    영흥고 화이팅

  • @tomorrowEXIT
    @tomorrowEXIT Жыл бұрын

    숙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