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인물 사담회 - 제14화 원자폭탄을 만든 오펜하이머, 창조자인가, 파괴자인가?

Ойын-сауық

인류 최초로 원자폭탄을 개발한 ‘맨해튼 프로젝트’의 수장이었던 물리학자 오펜하이머. 그가 개발한 원자폭탄은 역사를 바꿨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 국제사회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극비리에 진행된 원자폭탄 개발 과정과 그 속에서 오펜하이머가 추구했던 신념을 살펴본다.
역동적인 세계사 그 뒤엔 시대를 풍미한 '이 사람' 이 있었다!
이에 우리는 세기의 업적을 세운 영웅을,
세계사를 뒤흔든 악당을 본격적으로 파헤쳐보고자 한다.
[1TV] 월요일 밤 10시50분
#인물사담회#오펜하이머#원자폭탄#창조자#파괴자#맨해튼프로젝트#물리학자# 크리스토퍼놀란감독#과학자#신념

Пікірлер: 1 100

  • @hrclass4798
    @hrclass479810 ай бұрын

    원자폭탄의 제2희생자는 우리 국민들이었다는 것도 추가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아요. 추악한 일본인들이 초토화된 지역 재건을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맡긴 것.. 피해는 우리도 많이 봤죠ㅠ 일본은 아직까지도 제대로 사과도 안하고 있고요.

  • @MrHarim95

    @MrHarim95

    9 ай бұрын

    우리 대통령의 역사인식은? ㅜㅜ

  • @gh3532
    @gh353210 ай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의 설명과 중간중간 내비치는 교수님의 인간적 고뇌와 오펜하이머가 겪었을 수 많은 갈등이 오버랩 되면서 감명깊게 들은 강의입니다. 많은 여운과 생각을 갖게하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 @jamesjung
    @jamesjung10 ай бұрын

    영화를 관람하기 전 이 영상을 보는 걸 추천 하고 싶네요. 아주 유익한 영상입니다. 개봉일인 오늘(8/15) 영화를 봤습니다. 역시나 보고 가길 잘했네요. 영화는 물리학 영화도,원자폭탄 영화도 아니라 오펜하이머 개인의 이야기입니다. 3시간 러닝타임이 지루하지 않으려면 이 방송 꼭 보시고 가길 권해 드립니다.!!

  • @user-sr3vn3jb8t
    @user-sr3vn3jb8t10 ай бұрын

    오펜하이머 영화 볼 계획이어서 인물 공부 좀 하려고 했는데 김상욱교수님 잘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훨씬 영화감상에 도움이 될거 같네요.

  • @heyheyhey1131
    @heyheyhey113110 ай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 말씀하실때 집중력이 👍 오펜하이머의 몰랐던 부분도 알게되고 유익했습니다. 곽재식 교수님도 너무 친근하고 재밌게 설명해 주셔서 너무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인물사담회 시즌 2 시즌3....시즌100까지 쭉 해주셨으면 좋겠어요. 배우게 되는 점, 알게되는 점이 많아서 좋아요.😊

  • @user-rm7lu8wl7n

    @user-rm7lu8wl7n

    9 ай бұрын

    ㅡㅈ ㄷ

  • @seokjolee8316
    @seokjolee831610 ай бұрын

    일본이 아시아에 지은 죄를 생각하면 감상적인 감정은 사치라고 생각해요.

  • @user-et8se3od1p

    @user-et8se3od1p

    10 ай бұрын

    그리고 원폭 피격 전까지 일본군 지도부는 "최후의 1인까지 옥쇄한다"는 방침이었습니다. 그게 원폭을 보자 마자 무조건 항복(사실은 항복을 빙자하여 얻어낼 것은 다 얻어 냄. 일본 대신 조선을 분할 통치하는 것 포함)으로 선회했죠. 그러니 역설적으로, 원폭으로 가장 많은 인명 피해를 줄인 나라는 일본인 입니다. 그게 아니었다면 최후의 1인까지 옥쇄로 내몰렸을 테니까요. 그리고 전쟁이 끝난 뒤 지금까지도, 원자탄은 가장 많은 인명을 살린 발명품입니다. 그 전까지 도무지 전쟁을 멈출 줄 몰랐던 인간들이, 원자탄의 위력을 보자 전쟁을 자제했기 때문이죠. 그래서 3차대전 대신에 냉전(냉전은 실제 전쟁처럼 사람이 많이 죽지 않는 전쟁입니다)이 있었던 것이고, 세계대전 대신에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국지전(불행히도 그 국지전 중 가장 큰 규모의 전쟁이 바로 한국전쟁이었죠)만 일어났던 겁니다. 즉 3차대전을 막은 1등공신이 바로 원자탄인 것이죠. 그리고 잘 생각해 보면, 원자탄의 발명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것이 바로 한국(조선)입니다. 일본 대신 분할되게 되었고, 가장 큰 규모의 전쟁까지 겪어야 했으니까요. 그런데 우습게도 일본이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는 겁니다. 그들이 죄과를 떠넘긴 걸로도 모자라 전쟁 통해 돈까지 번 일본이 말이죠.

  • @user-sz4nk2qx2k

    @user-sz4nk2qx2k

    10 ай бұрын

    일론 마스크 부름니다 스페이스 엑스 우주는없다 스페이스 엑스 우주는없다 스페이스 엑스 우주는없다 스페이스 엑스 우주는없다 알려줘도 쳐믿는 속는년놈들 졸많으뉘 속이는년놈들이 날뛰지 답답허다 생각좀허고살자 뇌없냐 우주는없다 코로나도없다 인공위성 🛰 도없다 둥근지구 핵구라 지구 🌎 지구도없다 따라해봐 천지 하늘땅 천지 하늘땅 천지창조 이것이답이다 눈뜬장님들 졸많으뉘 속이는놈들 날뛰지 답답허다 생각좀허고살자 우주 지구 🌎 쳐믿다가 디짐 영원한 뜨거운 🔥 지옥확진이다 생각좀허고살자박 차고 태어나서 부모한테 속 고 부모도 속고 유치원에가니 선생이 속이고 선생도 속고 초등에 가니 선생이 또 속이내 ㅋㅋ 선생도 속고 중딩에 가니 선생이 또 속이내 선생도 속고 고딩에 가니 선생이 또 속이더라 선생도 속고 대학에 가니 올 가라지가 돼는군아 ㅋㅋㅋ 참 어이없는 구라세상 ㅋㅋㅋ 속고 속이는 놈들 뿐이라뉘 진리가 없나 있징 ㅋㅋㅋ 진리가 무엇인지 창조주가 누구인지 찾자라 그럼찾즐거이요 생각좀허고살자 우주는 없다 둥근지구 핵구라 지구 🌎 지구도없다 인공위성 🛰 도없다 진화론 진화 자연 개구라 개사기 한국사 세계사 올 개구라 개사기 개소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확진 핵구라 개구라 개사기 쳐믿다가 디짐 헬게이츠 18년놈들 교황 18년놈들 일당들이 투게더 영원한 뜨거운 🔥 지옥확진이다 생각좀허고살자 우주는없다(언론정부주뎅이 🐕사기 🐕구라 방역쳐야지 🐕로나 🐕사기 종식이다 ) 목사 신부 수녀 전도사 선교사 땡중 교황 18년놈 세상의 모든 종교 개종자들 눈먼인도자다 개종자들 따라가다 같이 구덩이로빠진다 도망쳐라 성경두루마리책 읽고 듣고 기도해봐 그럼찾즐거이요 성경두루마리책 다써있다 성경두루마리책 증거 엉아가 다가지고있다 다찾자다 종교엔 구원이 없다고 성경두루마리책 다써있다 성경두루마리책 읽고 듣고 기도해봐 그럼찾즐거이요 성경두루마리책 다써있다 성경두루마리책 증거 찾자라 그럼찾즐거이요 못찾즘 100년도 못살고 평생 노예로 속고살다가 영원한 뜨거운 🔥지옥확진이다 라고 성경두루마리책 다써있다 언론정부 주둥이 개구라 방역해야지 코로나 핵구라 🐕구라 🐕사기 종식이다 생각좀허고살자 속는놈들 졸많으뉘 속이는놈들 날뛰지 답답허다🔥 교는 이유없시 🔥 지옥확진이다 🔥 교는 666짐승이다 666가라지 가라지는 단으로묵어서 꺼지지안는 🔥 지옥확진이다 개구라작작쳐라 속는놈이더큰죄다 🔥 교는 석가 모니 돌대가리 석가 허구이다 소설이다 답답허다 생각좀허고살자 뇌없냐 땡중 은 그냥 돌대가리 리다 생각좀허고살자 뇌없냐

  • @seokjolee8316

    @seokjolee8316

    10 ай бұрын

    @@Iamgod9999 미친 X

  • @user-wi6fd2no6n

    @user-wi6fd2no6n

    10 ай бұрын

    ​​@@Iamgod9999일본이 우리한테만 저지른거만 생각해도 끔찍한데 니 조상들이 희생당하고도 그런 말이 나오는구나

  • @user-oz3mc4ug2d

    @user-oz3mc4ug2d

    10 ай бұрын

    @@user-wi6fd2no6n그럼이제 중국 북한이 저지른 행동은 잊고 일본의 만행만 기억하면서 살겠습니다. 알려줘서 고마워요!

  • @seungheelee6953
    @seungheelee695310 ай бұрын

    오펜하이머는 페르미 연구소의 초대 소장이자 한국이 낳은 천재물리학자 이휘소박사의 스승이기도합니다.

  • @user-sq7km4cv1k

    @user-sq7km4cv1k

    9 ай бұрын

    기분좋아?

  • @upinta

    @upinta

    9 ай бұрын

    와 그렇군요!!!

  • @hjlim5173

    @hjlim5173

    9 ай бұрын

    ​@@user-sq7km4cv1k그것도 싫어?

  • @legh8701

    @legh8701

    9 ай бұрын

    적당히 해라

  • @stellycat
    @stellycat10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오펜하이머를 개봉하자마자 관람을 하고왔는데 과학적, 정치적, 역사적 배경지식을 알고 관람하시면 더욱 재밌으니까 참고하세요!

  • @pauxary

    @pauxary

    10 ай бұрын

    존나 부럽습니다..

  • @usSVT13_luv486

    @usSVT13_luv486

    10 ай бұрын

    진짜 부럽습니다ㅠㅠ얼른 보고싶어여ㅠㅠㅠㅠ

  • @user-jt8rr5ij6g

    @user-jt8rr5ij6g

    10 ай бұрын

    오펜하이머는 얼마나 좋았을까 부자인데

  • @private5260

    @private5260

    10 ай бұрын

    @@user-jt8rr5ij6g 어우 진짜ㅋㅋㅋㅋㅋㅋㅋ 그럼 너도 저런 과학자 되던가 쉬지말고 일해ㅋㅋㅋㅋ

  • @mmmnnn3873
    @mmmnnn387310 ай бұрын

    재밌었습니다 오펜하이머 영화 기다리고있었는데 김상욱 교수님이 설명해주시니 쏙쏙들어왔어요

  • @youn68
    @youn6810 ай бұрын

    해외 살고있는 교포입니다 . 어제 7월23일 별 생각없이 본 영화 "오펜하이머"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미국스러운 영화이지만, 꼭 보시길 추천드립니다.많은 연기파 배우들의 출연도 영화의 깊이를 더합니다.

  • @JOjh1025

    @JOjh1025

    10 ай бұрын

    크리스토퍼놀란 감독의 작품을 너무 좋아하는 팬입니다. 그래서 오펜하이머 개봉을 너무 기다리고 있기도 하고요ㅎㅎ 궁금한게 미국은 R등급(?) 청불인데 국내는 15세 관람가던데 이유가 뭘까용? 장면이 삭제되나요?? 등급판정을 우리나라에서 유하게 준걸까요??

  • @youn68

    @youn68

    10 ай бұрын

    @@JOjh1025 두번 정도 오펜하이머와 그의 여친의 정사 장면이 있지만, 노골적이지 않아 괜찮을 것 같아요. 한번은 가벼운 침대신, 한번은 그의 사생활이 세상에 밝혀지는 표현으로 연출되는 부분이라 문제 없을듯 합니다. 그날 오펜하이머, 임파서블 두편을 보았는데, 아내와 저 오펜하이머👍. 역사적 인물들과 수소폭탄, 러시아스파이역과 대배우들 연기, 그리기 오펜하이머역의 킬리언 머피의 연기는 오펜하이머 그 자체라 좋은 시간이 될겁니다.

  • @jaupjadeuk

    @jaupjadeuk

    10 ай бұрын

    ​@@Dude-vc1qj 완전 공감 미국국뽕 영화라기엔 대통령 씬이......복잡 미묘 불편한 감정들까지 전부 연기에 녹아 내려서 보는 사람마저 속이 답답해지는... 어쨌든 진짜 오랜만에 좋은영화....

  • @me_travlog
    @me_travlog10 ай бұрын

    어제 보고 왔는데 역시 대박 영화! 놀란 감독의 연출은 정말 찐임~~ 한국개봉하면 꼭 보세요!

  • @bella__swan
    @bella__swan10 ай бұрын

    역시 김상욱 교수님 나오는거는 바로 보게되는…ㅎㅎ 너무 재밌어서 시간 가는줄 몰랐어요!!

  • @bitnaranova

    @bitnaranova

    10 ай бұрын

    저도! ㅋㅋ 자동 클릭

  • @shinpe9713

    @shinpe9713

    10 ай бұрын

    저도요💜💙

  • @thisisgoogleaccount
    @thisisgoogleaccount10 ай бұрын

    리처드 파인만이 어떤 모습으로 등장할지가 정말 기대되네요. 활자로만 만났던 파인만, 베테, 페르미, 보어, 하이젠베르크 등등 인류 최고의 석학들과 그 천재들을 휘하에 두고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끈 그로브스, 이들이 어떻게 묘사되었을지

  • @user-ij7mj9nn6o
    @user-ij7mj9nn6o10 ай бұрын

    정말 시간 가는줄 모르고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 @mirrorspring5112
    @mirrorspring511210 ай бұрын

    중학교 때 과학 선생님이 첫 수업에서 한 말이 있죠..."과학은 인간에게 이로운 것이어야 한다"

  • @jojolo-cy6xi
    @jojolo-cy6xi10 ай бұрын

    풀방송을 유튜브 채널에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화질로 재밌게 봤습니다

  • @user-mz8ov8eu7f
    @user-mz8ov8eu7f10 ай бұрын

    그가 만들어 낸 건 인류 최악의 무기고 그가 투하에 행한 행동은 누군가에겐 인간으로써 용납할 수 없는 행동이지만 결국 그가 바란 건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세상이었다.

  • @user-nk8qm9ug6l
    @user-nk8qm9ug6l10 ай бұрын

    25:50 32면체가 바로 축구공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지금 이 부분에서 곽재식 박사님이 말씀하시는 것은 바로 폭축렌즈(explosive lens)입니다. 육각형 20개와 오각형 12개로 이루어진 구체의 각 면에 심지를 달아서 폭약을 터뜨립니다. 이때 아무리 동시에 심지를 터뜨려도, 터뜨린 곳의 중심은 빠르게 움직이지만 주변은 느리게 움직이죠. 그래서 이걸 보완한 아이디어가 바로 렌즈효과 입니다. 볼록렌즈를 예로 들때, 빛이 렌즈의 가운데에서는 속도가 느리고 위 아래에서는 속도가 빠릅니다. 가운데가 더 두껍기 때문이죠. 바로 이 원리를 이용하여, 심지 중심에서는 폭발의 영향이 느리게 움직이도록 하고 주변에서는 빠르게 움직이도록 해서 정확하게 우라늄의 임계질량에 한치의 오차없이 다다르도록 한 것입니다. 이는 맨하탄 프로젝트의 핵심 중 핵심이었죠. 그리고 이 폭축렌즈 개발의 멤버 중 한 사람이 바로, 38:20에 나오는 "클라우스 푹스" 라는 독일 출신 망명과학자인데, 이 사람이 바로 소련의 스파이였습니다. - 국방TV 『소련의 스파이편』 참조 - 30:54 어머니의 이름이 폭격기의 이름이 되었다는 이 표현은, 바로 폭격기 조종사의 어머니의 이름이 "에놀라 게이"였기 때문입니다.

  • @user-rd4ky6qy2y
    @user-rd4ky6qy2y10 ай бұрын

    시간가는줄 모르고 본 영상이네요 한 인물에 대해 그의 생애를 심도깊게 관찰하고 풀이해준 것 같네요 정말 재밌네요 강한 과학기술에는 언제나 그 빛과 어둠이 있죠 어둠울 적절히 제재하면서 빛울 촤대한으로 내야좋을것같네요

  • @mmmjlee8433
    @mmmjlee843310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 @user-rp5sj2ey9p
    @user-rp5sj2ey9p9 ай бұрын

    오펜하이머에 대한 설명중 최고인거같습니다.

  • @davidbreen555
    @davidbreen55510 ай бұрын

    사고친건 제국주의인데 왜 고민은, 괴로움은 우리의 몫인가. 원자폭탄이 떨어졌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참상은 끔찍하지만 일본 제국주의가 아시아에, 아니 한국땅에 싸질렀던 행패들에 비하면 새발의 피일 뿐.

  • @CodeGibbon

    @CodeGibbon

    10 ай бұрын

    한국에겐 그저 빛이었을 뿐.

  • @user-ke5wq2nx4f

    @user-ke5wq2nx4f

    10 ай бұрын

    웃기고 있네....세상에 원자폭탄이나 핵보다 끔찍한게 뭐가 있냐...지구가 끝장날 수도 있는데....

  • @Sigma-1990

    @Sigma-1990

    10 ай бұрын

    ​@@user-ke5wq2nx4f지구는 이미 끝장나고 있는데?

  • @JOjh1025

    @JOjh1025

    10 ай бұрын

    @@Sigma-1990ㅋㅋㅋㅋㅋ뼈때리셨다

  • @user-wi6fd2no6n

    @user-wi6fd2no6n

    10 ай бұрын

    ​저때 죽은거보다 옛날 니 조상들이 일본한테 희생한게 더 많아 빨갱아

  • @user-jo2vm7iz4i
    @user-jo2vm7iz4i10 ай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께서 말씀하신것 처럼 정부와 권력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이 책임지고 사용해야 하는것이 맞지만 우리 과학자분들도 단순히 "난 내 일을 했어", "내 일을 열심히 할 뿐이야" 라는 단어 뒤에 숨지말고 윤리적으로 도덕적으로 일을 해야한다고 봅니다. 특히 새로운 분야와 발전되는 분야의 윤리 제도가 잡혀있지 않아 모호하기도 하고 결국 법적 제도적 윤리는 정치로 만들고 있기 때문에 과학자들이 그 외 판단해서 진행해야 할듯 합니다. 결국 기술은 과학계가 선도하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진행했으면 합니다. 특히 클로닝 등등.

  • @user-vd9ep5rd8w

    @user-vd9ep5rd8w

    10 ай бұрын

    말씀 하신것 때문에, 전쟁의 시기에 기하급수적으로 과학기술이 발달 하는 것 같습니다. 전쟁의 시기에는 아무래도 도덕적 기준은 후순위로 밀리니깐요.

  • @thisisgoogleaccount

    @thisisgoogleaccount

    10 ай бұрын

    @@user-vd9ep5rd8w 현대문명의 대부분은 전쟁의 시대에서 탄생한거죠. 찾아보면 이게 그때 발명된거라고? 싶은 것들이 정말 많습니다.

  • @user-uo7vg7zv9p

    @user-uo7vg7zv9p

    9 ай бұрын

    아이러니하게도 역사적으로 돌이켜보면 과학과 의학의 발전은 아이러니하게도 전쟁의 시기에 전쟁 영향으로 발전한경우가 많습니다 추가로 의학이 발전하는 계기나 과정이나 따지고보면 윤리에서 어긋난짓을 많이 해서 발전한경우도 있구요

  • @user-io8mr7fg1t
    @user-io8mr7fg1t10 ай бұрын

    넘넘 재밌게봣어요❤

  • @TheSanghyuk77
    @TheSanghyuk7710 ай бұрын

    44분이라는 시간이 그냥 순삭되버렸네요. 원래 흥미있던 부분이기도 했었지만 장도연씨와 배성재씨의 편안한 진행과 김상욱, 곽재식 두 박사님의 설명 또한 편안하게 잘 들었습니다. 확실히.. 핵은 양날의 검이라는 게 다시금 느껴지네요.

  • @hc.kms.327.c

    @hc.kms.327.c

    10 ай бұрын

    원자폭탄과 함께 죽음으로 날아간 조종사에게 경의를...

  • @young_jin9503
    @young_jin950310 ай бұрын

    어제 조조로 보고 왔습니다. 인간에 대한 이야기. 타이틀롤 올라가는데 어쩐일인지 눈물이 나서 오래도록 홀로 앉아 있었네요. 주말에 한 번 더 볼 생각입니다.

  • @jihnhobeom2857
    @jihnhobeom285710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프로그램이네용😮😊

  • @winter-KIM
    @winter-KIM9 ай бұрын

    장도연은 지식채널도 무리없이 잘 소화해네요. 발음도 뚜렷하고 목소리도 힘이 있어서 멋져요

  • @user-rr6gs4ry5f
    @user-rr6gs4ry5f11 ай бұрын

    재밌게 봤습니다~!

  • @user-nd9fc2lc1b
    @user-nd9fc2lc1b10 ай бұрын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ㅎㅎ 영화 개봉하면 꼭 봐야겠어요~!

  • @nicelady3252
    @nicelady325210 ай бұрын

    좋은방송 감사합니다

  • @redcarpetJH
    @redcarpetJH10 ай бұрын

    우와 44분이라는 시간이 지루하지 않다라는 느낌을 주는 영상이네요. 마지막에 폭탄의 위력을 알면서도 다시 개발했을 것이라는 말에 여러 생각을 주게 되었네요.

  • @mdmptpjag
    @mdmptpjag10 ай бұрын

    오펜하이머를 잘 몰랐던지라 개봉소식에도 관심이 없었는데 프로그램 보고 관심이 업업되었습니다🙂개봉 기대해욥

  • @lets77
    @lets7710 ай бұрын

    일본은 맞을만해서 히로시마 나가사키에 한방씩 맞고 21세기에도 후쿠시마에 스스로 터트렸습니다.

  • @noseelongtime1044
    @noseelongtime104410 ай бұрын

    영화 오펜하이머 8월15일 개봉에 가슴이 웅장해집니다☺

  • @acktericks
    @acktericks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놀란영화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게 될 거 같아요

  • @fruitsandvegetables4ever
    @fruitsandvegetables4ever10 ай бұрын

    국내에서 꼭 흥행하길 바랍니다🎉

  • @Kira-ys3zc
    @Kira-ys3zc10 ай бұрын

    8월15일 놀란 감독의 오펜하이머 영화가 나오는데 나오기전에 인물에 대해서 알기위해서 보네요 너무 기대됨

  • @user-vu4qv1bz9x
    @user-vu4qv1bz9x10 ай бұрын

    정치. 군사. 물리학을 좋아하는 사람이라 영화를 엄청 기대하고 있어요.

  • @NOKMANtube
    @NOKMANtube10 ай бұрын

    무기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분이죠. 핵무기에 의한 인류의 평화와 그에 상응하는 공포. 둘 모두를 가져 온 분.

  • @user-ej2xx5ik3j
    @user-ej2xx5ik3j10 ай бұрын

    엠씨두분도 차분하고 교양있어 편안했고 스타일이 전혀 다른 전문가두분의 설명도 듣기 좋았습니다

  • @OIEILI

    @OIEILI

    10 ай бұрын

    곽재식 저분은 발음만 좀 좋았으면 콧소리가 좀 듣기 어려움 😅

  • @hyunk2655

    @hyunk2655

    10 ай бұрын

    여자 엠씨의 과장된 표정과 의미없는 대사가 거슬리네요.

  • @sss_Wl

    @sss_Wl

    10 ай бұрын

    한명은 김보름한테 사과나 하고 한명은 방송적 재능이 뭔지도 모르겠는데 여초에서 좋아하는 유형이라 쓰이는 전형적인 비호감 상들인데 무슨 ㅋㅋ 교수님 때문에 억지로 봤다 ㄹㅇ

  • @OOCCNN

    @OOCCNN

    10 ай бұрын

    ​@@sss_Wl우리게이는 왜이렇게 화가 많노ㅋㅋ

  • @user-ws4dh6gt7o

    @user-ws4dh6gt7o

    10 ай бұрын

    @@sss_Wlㅋㅋㅋㅋㅋ 누가 억지로 보라고 칼들고 협박하나? ㅋㅋㅋㅋ 엿이나 까 잡숴 부들대지 말고

  • @TheOmote88
    @TheOmote8810 ай бұрын

    유익한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 @dianediane8733
    @dianediane873310 ай бұрын

    곽박사님 응원해요😊

  • @user-vx6mj5my3x
    @user-vx6mj5my3x10 ай бұрын

    영국에서 며칠전에 봤어요 세시간 정도 시간인데 ᆢ 당근 자막없으니 ㅎ 알아듣진 못해도 밤늦은 시간에도 졸지않고? ㅎ 잘 봤습니다 한국에서 다시 보고싶은 영화네요 선댓글 달고 ᆢ 리뷰 보겠습니다 ~^^

  • @limbaksa
    @limbaksa10 ай бұрын

    아인슈타인의 자유분방함보다도 아인슈타인이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면 아인슈타인이라는 일반인들도 잘 알고, 유명한 과학자가 갑자기 3년동안 사라져야 하는데 그러면 계획을 눈치챌 수도 있다는 판단이였을 것 같습니다.

  • @watzmaname

    @watzmaname

    10 ай бұрын

    오 이런 시간도 있을 수 있겠네요

  • @SsSs-jp9od

    @SsSs-jp9od

    10 ай бұрын

    그때는 3년 사라져도 그게 그렇게 빠르게 퍼지는 세상은 아니라서 뭐 그건아닐듯 독일도 미국이 폭탄을 만들고 있다고 항상견제하고있었을거고 정보가 극비리라는거지

  • @user-xs2ir8di2g

    @user-xs2ir8di2g

    9 ай бұрын

    ​@@SsSs-jp9od뭔 개소리 그 당시만해도 라디오,신문 보편화 되었고 히틀러 죽은것도 당일에 신문으로 다 퍼졌는데 아인슈타인 3년이면 다 퍼지지 무슨 그때 말타고 전달하는줄아나

  • @happyfreak2022
    @happyfreak202210 ай бұрын

    아니 김상욱 교수님 화장을 왤케 이뿌게 해놓으신 거예요 제작진 너무하네 😂😂😂

  • @rowe1124

    @rowe1124

    10 ай бұрын

    리즈갱신

  • @mckinseyand2022

    @mckinseyand2022

    10 ай бұрын

    분장이 너무 쎄요..

  • @user-vd8zf1qn2j
    @user-vd8zf1qn2j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cooking_whale
    @cooking_whale10 ай бұрын

    교수님최고시네요.이해가쏙쏙😂

  • @user-mf1vi9fk4e
    @user-mf1vi9fk4e10 ай бұрын

    광복의 아버지 오팬하이머님.

  • @kjblueskyjp

    @kjblueskyjp

    10 ай бұрын

    맞아요 오펜하이머는 한국인들에게 있어 리라이팅의 파더 가 되는 것 이겟지요

  • @katagirieririka3474

    @katagirieririka3474

    10 ай бұрын

    맞네 광복의아버지ㅎㅎ

  • @user-kd4og7op1e

    @user-kd4og7op1e

    10 ай бұрын

    갓파더

  • @user-yh7qm6rc3v

    @user-yh7qm6rc3v

    10 ай бұрын

    3.1절 무슨의미냐 폭탄 한방이면 세상이 바뀌는데

  • @user-ry8tr3ku4u

    @user-ry8tr3ku4u

    10 ай бұрын

    광복??? 분단일 임

  • @mckinseyand2022
    @mckinseyand202210 ай бұрын

    UC버클리에서 교수로 있을때 별명도 "오피"로 지어 학생들이 불렀죠. 인기 많은 교수님 이셨습니다.

  • @coldtruth3944
    @coldtruth394410 ай бұрын

    처음이자 마지막 원자폭탄의 사용으로 인해 수많은 민간 일본인 뿐만 아니라 한국인도 수만명이 희생 되었죠. 현재의 핵폭탄은 당시의 폭탄과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강력하고 미국과 러시아는 수천발의 미사일들이 상호 자동 대응 공격 시스탬으로 운영되고 있어서 한발이라도 사용 될 경우 인류는 수십분 만에 종말을 맞을 겁니다. 절대 다시는 사용 되서는 안되겠죠.

  • @maye1672

    @maye1672

    10 ай бұрын

    모두다 알고 있는 사실이고 거기에 동의하지만, 언젠가는 우리 선조들과 같은 상황에 떨어지는 국가가 있을 수 있고, 그 상황에서는 물불안가리기 때문에 핵은 또 사용될거라 봅니다

  • @CIoudStrife
    @CIoudStrife10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14명의 인물중 이게 가장 재밌네.

  • @JinyoungLees
    @JinyoungLees10 ай бұрын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떨어진 폭탄은 땅(지상)이 아닌 상공에서 폭발해서 그 위력이 더 강했다고 합니다. 원래 그렇게 터져야 하는게 맞구요. 폭탄이 지면에 닿으면 폭탄에 따라 틀리겠지만 땅에 닿으면 유효한 사거리가 줄어드는 건 자명하겠죠.. ^^;자세한 설명이 없어서 댓글 달아 봅니다..

  • @rcn810

    @rcn810

    10 ай бұрын

    공중폭파와 지면폭파 모두 장단점이 있습니다. 공중폭파는 폭발 자체의 파괴력이 최대한 발휘되지만 방사능에의한 2차피해는 대폭 줄어들고 지면폭파는 폭발 자체의 피해는 제한적이지만 대신 방사능 피해는 극대화 됩니다.

  • @seonwoohwang9175
    @seonwoohwang917510 ай бұрын

    영화보고왔습니다 (캐나다) 정말 재밌습니다. 좀길긴한데 중반부터는 긴장감이 상당해서 이후시간은 정말 빠르게 가더군요 좀 더 알고가면 좋은게 원자폭탄원리 ? 소련/미국 관계 2차세계대전 배경지식 ? 몰라도 충분히 재밌지만 알면 디테일이 보일꺼같더라구요

  • @user-dw1qp1pn7h

    @user-dw1qp1pn7h

    10 ай бұрын

    😊😊

  • @TheSmartJ
    @TheSmartJ10 ай бұрын

    누구도 멈출수 없지만 우리가 움직이는 죽음의 열차를 만드는.. 심지어 그걸 알면서도 멈출 수 없는…

  • @CG-xn6zv
    @CG-xn6zv10 ай бұрын

    무한도전 매니아들은 모를수없는....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 @jjca_travel
    @jjca_travel10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게 잘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전정보없이 또 자막없이 보았더니 이해는 안가고 의문투성인채로 극장을 나왔네요 ㅠㅠ 내용을 전혀 모르는 분들은 (물론 자막과 함께면 상관없겠지만 ^^) 이 영상 보시고 가시면 더 영화를 즐기실 수 있을것 같아용!

  • @user-ni4zb9zl1r

    @user-ni4zb9zl1r

    10 ай бұрын

    ㅣㅑ

  • @user-gi4hi1yg9m
    @user-gi4hi1yg9m10 ай бұрын

    생각을 많이 하게 만드네요

  • @tapioca5545
    @tapioca554510 ай бұрын

    와우 영화그대로 ..꼭보고 가세요 ❤

  • @blackjoy315
    @blackjoy31510 ай бұрын

    ai도 국가와 기업들간의 이기적인 경쟁으로 인해 위험한 결과가 되지 않게, 한번더 숙고하여 기술을 개발하는 쪽으로 가면 좋겠습니다.

  • @user-mq8lm4qw7n
    @user-mq8lm4qw7n9 ай бұрын

    3년전 한 일당백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 4편짜리 한번 보세요.. 약 1시간씩 4편... 정말 유익해요..

  • @user-bw8mb7xk6h
    @user-bw8mb7xk6h10 ай бұрын

    물리가 참 어려워서 이해가 될지 모르지만 한번에 이해하려고 놀란감독 작품보는건 예의가 아니죠 다음주가 기대되네여

  • @yumino_de
    @yumino_de10 ай бұрын

    독일에서는 7.20일 개봉되어 보고왔어요. 역사에 대한 또한 원자폭탄에 대한 사전지식이 있으면 폭넓게 이해할 수 있고요. 15세 아들과 함께 봤는데 애가 다소 힘들어 하고 이후 질문을 쏟아내더라고요. 그래도 저는 관람 추천드립니다!

  • @user-xl6hu5ke9m

    @user-xl6hu5ke9m

    9 ай бұрын

    7.20 음모로요?

  • @smallsmithh
    @smallsmithh10 ай бұрын

    크리스토퍼 주목한 감독도 놀란 과학자!

  • @bonkoo5953
    @bonkoo595310 ай бұрын

    100년도 못사는 인간들이, 그냥 평화롭게 살면되지 뭐 그리 남의 것을 뺏들려고, 전쟁질 하고 그 많은 선한 사람을 죽음으로 모나.. 일본 국민이 죽임을 당한 것은 참 아타깝지만, 다른 국가를 침략하고, 악탈하고 많은 사람을 죽인 것에 대한 댓가는 피할 수 없다

  • @dianwangluoji1072

    @dianwangluoji1072

    10 ай бұрын

    댓가(x) 대가(o)

  • @LukeMcloud

    @LukeMcloud

    10 ай бұрын

    좋은 생각이긴 한데, 저도 이 생각 해봤거든요. 그네 인류 역사상 그런건 없었고, 과거에도 현재에도 미래에도 없을 꺼 같습니다. 그렇다면 그냥 현실을 받아들이는게 나은가? 아니면 계속 머리속에서 관념속에서 이상향 유토피아를 그려보는게 내게 도움이 되는가? 나한테 별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이 들더라고요. 현실은 다르니깐.

  • @user-ll7yg4kp3x
    @user-ll7yg4kp3x10 ай бұрын

    한국인에겐 좋은형이야

  • @user-hl7iz2gs1q
    @user-hl7iz2gs1q10 ай бұрын

    오늘 오펜하이머 영화를 보고 더 궁금해졌어요

  • @user-nk1ug1vn3f
    @user-nk1ug1vn3f10 ай бұрын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그가 세상을 떠났을때 가족들은 얼마나 슬펐을까

  • @HAL9000_SKY
    @HAL9000_SKY10 ай бұрын

    유엔 상임 이사국 5개국(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소련)은 모두 2차 세계대전 승전국이 된 후 핵무기를 갖게 되었죠. 세계 평화를 지향하는 유엔내 권력도 결국 핵이라는 압도적이고 절대적인 힘에 기초함을 보여주네요. 사랑, 인류애 및 세계평화와 같은 관념적인 게 군사력 같은 유물론에 기초할 수 있다는 것. 국제정치는 냉혹하고 야만이 넘치는 야생이란 생각의 반례란 있을까요?

  • @G80G70

    @G80G70

    10 ай бұрын

    거기에 힘겹게 북한도 꼇죠. 역시 깡이 고구려의 후예답긴 한데... 고구려는 멸망의 길을 걸었다는게...

  • @DowningKang

    @DowningKang

    10 ай бұрын

    힘이 있어야 평화가 온다는 말은 공산주의자들도 아는 말이죠. 역사는 결국 산자들의 기록이듯 우리나라도 대비해야할 것 입니다!

  • @songsong6939
    @songsong693910 ай бұрын

    오늘 광복절날 개봉하자 봤어요..이번주 일요일 나가사키 여행 가서 그런지, 이런저런 생각이 들게 한 영화네요..

  • @user-ie6xq4hf8l
    @user-ie6xq4hf8l10 ай бұрын

    왜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인가 했더니...이 분의 뒷 생애를 듣고나니 그 제목이 딱이네싶네요

  • @markwebber8028
    @markwebber802810 ай бұрын

    킬리안 머피(몇 년전 앤트로포이드 에서 정말 잼나게봤던) 예전부터 보아오던 배우인데 큰 영화에 주연 맡았군요. 잘 되길 바랍니다.

  • @user-vd2nj6fn3k

    @user-vd2nj6fn3k

    10 ай бұрын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페르소나죠. 킬리안 머피의 파란색 눈..(진짜 파랑색)에 감독들이 환장한다고 하고요. 놀란 감독의 배트맨에서도 배트맨으로 테스트촬영?은 했지만 감독이나 배우가 모두 안어울린다고 말했고 결국 닥터 크레인 역을 맡게 되었어요. 인셉션에서는 맘에드는 역할 아무거나 고르라고 했을 정도였고요. 인셉션에서는 다크나이트 라이즈에 같이 나온 톰 하디도 나왔는데 스키를 타는 씬이 있잖아요. 톰 하디는 스키를 못탐에도 출연하고 싶어서 얼버무렸고 나중에 못탄다니까 감독이 갈궜는데 킬리언 머피도 스키를 못탄다니까, 별 말 없이 둘다 스키강사를 붙여줬을 정도라네요 ㅎㅎ 이후 또 덩케르크에도 나오고... 오펜하이머...놀란 감독 영화에서 처음 주연이라서 낯설기도 반갑기고 하고 그러네요 ㅎㅎ

  • @markwebber8028

    @markwebber8028

    10 ай бұрын

    덕분에 알아갑니다. 배트맨에서 스크린 테스트 같은걸 받았었군요.

  • @NativeBakJaesaram0001
    @NativeBakJaesaram000110 ай бұрын

    22년 9월부터 찾아보기 전 원문 출처까지 1073쪽에 달하는 그리고 직역으로 된 한국어판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를 23년 7월에 다 읽었다. 마치, 대하 소설처럼 많은 인물과 사건, 인간군들을 보면서 순수과학자들이 정치에 악용되어 희생 당한 모습에 매우 씁쓸했다. 영화로 나오면 꼭 볼 생각이다.

  • @hwankani
    @hwankani10 ай бұрын

    영화 기대하고있다

  • @Taylor_Ashae
    @Taylor_Ashae10 ай бұрын

    핵 맞을것도 모르고 싱글벙글 진주만 쳐들어가서 우리가 미국의 뒤통수를 쌔게 때렸다! 하고 좋아했을거 생각하니까 개웃기네ㅋㅋ

  • @user-rs4sg2tz6k
    @user-rs4sg2tz6k10 ай бұрын

    와 근데 진짜 핵폭탄이 개발된 이후, 주도 국이 딱 두 개로, 미국과 소련으로 나뉘어져서 서로 냉전 상태에서 경쟁했다는 것은 인류가 멸망하지 않을 수 있었던 굉장한 행운이었네요.. 만약 제 3국이 하나 더 껴 있다든가 냉전 상태가 아니었다든가 했으면 그냥 마구잡이로 터지고 터져서 인류 멸망했을 텐데

  • @NOKMANtube

    @NOKMANtube

    10 ай бұрын

    사실 인도나 파키스탄 이스라엘은 완전히 냉전 때문이라기보다 정치적, 지정학적 상황때문에 핵개발을 서두른거라 제3세력으로 분류된다면 지금도 충분히 위험한 상황이 연출 될 수 있는 환경이라고 봅니다. 애초에 인도는 파키스탄이 미국이랑 친했을때 자위권 확보로 개발을 시작했고 파키스탄역시 인도가 핵을 가진데 대한 자위권으로. 이스라엘은 몇 차에 걸친 중동전쟁에서 언제한번 거의 전세가 고꾸라질 뻔 한걸 만회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 특히 인도와 파키스탄은 국제 제재를 받으면서까지 독자핵개발을 진행한거라 사용할 순간이 되면 할 것이라는 의지가 미국과 러시아 못지 않을 거라 봅니다.

  • @user-zm5qr9xj3m
    @user-zm5qr9xj3m10 ай бұрын

    리틀보이 팻맨 두분의 열사덕분에 광복햇지

  • @user-ke5wq2nx4f

    @user-ke5wq2nx4f

    10 ай бұрын

    갖다붙이기는....

  • @user-zm5qr9xj3m

    @user-zm5qr9xj3m

    10 ай бұрын

    @@user-ke5wq2nx4f 예? 팩트아님?

  • @user-kk4mh7xt5i

    @user-kk4mh7xt5i

    10 ай бұрын

    사실입니다

  • @athanasius0000
    @athanasius000010 ай бұрын

    정의의 수호자. 자유의 구도자. 심판의 화신.

  • @user-eb9vl6yi4q
    @user-eb9vl6yi4q10 ай бұрын

    이건 영상이랑 전혀 다른 얘기이기는 한데... 성재 형님 살 엄청 빠지셨네요. ㅋㅋㅋ 8월에 개봉한다고 하는데 이 영화는 꼭 영화관에 가서 보고 싶네요. 아마 올해 최고의 영화가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기대해 봅니다.

  • @user-md9tw4wq4y
    @user-md9tw4wq4y10 ай бұрын

    요즘 나오는 프로 중에 참 괜찮은 프로 같아요

  • @rowe1124
    @rowe112410 ай бұрын

    리차드 파인만은 ㄹㅇ 사기캐인게 이름까지 멋짐 키크고 잘생긴데 유머감각까지 줬으면 이름이라도 구려야하는거아니냐고 흑흑.... 시벙....

  • @yongsunlee9451
    @yongsunlee945110 ай бұрын

    진짜 찐이다!

  • @user-ad7vt9cn8b
    @user-ad7vt9cn8b10 ай бұрын

    오늘 영화 보기 전에 보고가용

  • @9llish
    @9llish10 ай бұрын

    구세주이지 일본에 절대 사과할 필요없는 사람. 일본은 절대 피해자가 아니라 가해자임을 잊지마라 니혼

  • @user-wi6fd2no6n

    @user-wi6fd2no6n

    10 ай бұрын

    옳다 동지

  • @rigae2

    @rigae2

    10 ай бұрын

    일본 매체에서 한 일본 사람 데려 나와서 우는 일본인 피해자에게 사과 할 생각없냐고 pressure 넣는 옛날 영상 봤읍니다. 정말 간사한 일본. 미국에 미디아 매체에 돈 투자 많이해서 히로시마 맨날 떠드어 데요.

  • @Kkim0830
    @Kkim083010 ай бұрын

    곽재식 교수님 얘기 좀 하게 해주세염…. 말씀하시는것도 좋아하시고 항상 좋은 콘텐츠도 많으시고요 ㅎㅎ

  • @pikapace
    @pikapace10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8월에 영화 보러 가야겠어요!!

  • @s.y6315
    @s.y631510 ай бұрын

    아인슈타인이 평화를 위해선 무력이 아닌 이해를 해야한다고하죠. 나라간에 사람간에 갈등의 원인은 이해하지 못하고 욕심과 욕망에 사로잡혀 서로를 존중하지 않는거에서 비롯된거같네요.

  • @Im_Lalakang
    @Im_Lalakang10 ай бұрын

    무게감 잇고, 사운드는 정말 최고였고, 내용도 탄탄하고 빠저들게 만든 훌륭한 영화더라구요. 너무 길어서 나중엔 어디 혈관 막혀서 나 죽나~ 이런느낌이 들긴 했어여. 재밋어서 나가지도 못하고 보느라 정말 힘들었음. 후훗.

  • @JOjh1025

    @JOjh1025

    10 ай бұрын

    화장실 중간에 안가게 콜라도 조금씩 마실까봐요 ㅋㅋㅋ ㅠ

  • @user-nd6mb8dg5v

    @user-nd6mb8dg5v

    10 ай бұрын

    좋은 선생님

  • @ara5884
    @ara588410 ай бұрын

    로버트는 얼마나 좋았을까? 오펜하이머 볼때마다 생각남ㅠㅋㅋㅋㅋㅋ

  • @user-vq2bc2ww8c
    @user-vq2bc2ww8c8 ай бұрын

    아..씁….이거 보면 늦잠 잘거같은데 우히히힛 다보고 내일 영화봐야지

  • @MONOLITH-th8dh
    @MONOLITH-th8dh3 ай бұрын

    곽재식 교수님 코스튬 너무 귀엽곸ㅋㅋㅋㅋ 김상욱 교수님 출현이 놀랍네요🤔

  • @user-cz3nk6wy3h
    @user-cz3nk6wy3h10 ай бұрын

    실질적인 한국 독립의 결정적인 역활을 하게된 인물이죠

  • @user-ke5wq2nx4f

    @user-ke5wq2nx4f

    10 ай бұрын

    아니 오펜하이머는 한국이 어디붙어있는지도 몰라 이양반아...갖다 붙이기는....

  • @henryv4989

    @henryv4989

    10 ай бұрын

    ​@@user-ke5wq2nx4f니엄마 테어난게 오펜하이머 덕이라고 임마 ㅋㅋ

  • @user-wi6fd2no6n

    @user-wi6fd2no6n

    10 ай бұрын

    ​@@user-ke5wq2nx4f아니 말 뜻을 못알아듣나 오펜하이머가 핵을 쏴서 맨날 우리들을 괴롭히던 일본을 박살내서 그런짓을 그만한거지 모르면 입을 다물어 이 양반아....

  • @hsh_hsh
    @hsh_hsh10 ай бұрын

    이 프로그램 너무 유익하네요! 오펜하이머 영화 보러가기 전 미리 공부하고 갑니다 ㅎ 배성재님 다이어트 너무 잘 하신 거 같은데 예전에 통통하실 때가 더 보기 좋은 거 같아요ㅠㅠ 곰돌이 남친 이미지가 없어졌엉😢

  • @hyunsookyu
    @hyunsookyu10 ай бұрын

    오펜하이머에게 감사 드리고 싶습니다. 그분이 평안하시길...

  • @user-yi7ob9vl4u
    @user-yi7ob9vl4u10 ай бұрын

    영화 오펜하이머 볼꺼라서 열심히 봤네 ㅋㅋㅋㅋ

  • @Witch_choi
    @Witch_choi10 ай бұрын

    오펜하이머하면 무도밖에 생각안남. 얼마나 좋았을까?,...... 하하 독후감😜😆😉🙌🏻

  • @gracey5512
    @gracey551210 ай бұрын

    Oppenheimer 가 안 만들었어도 결국엔 누군가가 만들었겠죠. 위험한 나라에서 선수쳐서 먼저 만들었다면 더 위험했을수도 있어요

  • @user-ip3th6cn8w
    @user-ip3th6cn8w10 ай бұрын

    얼마나 좋았을까..

  • @hannalee8437
    @hannalee84379 ай бұрын

    오펜하이머 보고 궁금한 게 많아서 시청합니다

  • @hanbangsabjill
    @hanbangsabjill10 ай бұрын

    참고: 당시 부통령 이었던 해리 트루먼도 영상에 나오지만 맨해튼 프로젝트는 정말 아무것도 몰랐다가 대통령 되고 나서야 알았다고 함(트루먼이 대통령 당선되고 재임시작 날짜가 원폭 투하되기 불과 4개월 전 이었음)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