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나 깊이 땅을 팔 수 있을까? | 범준에 물리다

📢오늘의 주제: 지하 세계
안녕하세요, 범물리 구독자 여러분
새해 첫인사드립니다.🙇🏻‍♂🙇🙇‍♀
지난번 연말 특집으로 ‘과학자의 영화 추천’을 보여드렸는데요.
이번엔 ‘지하 세계’에 대해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지하공간은 주거용, 대피용, 연구용 등 생각보다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데요.
우리가 그동안 무심코 지나쳤던 지하 세계에 대해 여러 가지 교수님께 여쭤봤습니다.
오늘도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타임라인🔻
00:00 인트로
00:45 달리는 지하철 안에서 점프하면 뒤로 밀려날까?
03:40 서울은 어떻게 그 많은 지하철을 지하에 지었을까?
06:19 고층 건물로 인해 점점 가라앉는 뉴욕
09:16 지하 500층도 뚫을 수 있을까?
11:34 핵 전쟁이 일어난다면 지하 몇 층부터 안전할까?
12:20 유독 한국에 반지하가 많은 이유
13:54 한국에 지하도시가 생길 수 있을까?

Пікірлер: 259

  • @user-zn3zr4ws6k
    @user-zn3zr4ws6k5 ай бұрын

    뭐가 계속 허전한가 했더니,,,, 교수님 앞에 빵이 없었다....

  • @user-cq6wq3ld5p

    @user-cq6wq3ld5p

    5 ай бұрын

    김빵준 교수님

  • @LiamJones_M

    @LiamJones_M

    5 ай бұрын

    그거다

  • @user-ko8sm7nt1i

    @user-ko8sm7nt1i

    5 ай бұрын

    장범준과 브레드, 김범준과 빵

  • @hjj3893

    @hjj3893

    5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dn3po5kr3r

    @user-dn3po5kr3r

    5 ай бұрын

    ㅎㅎㅎ

  • @comsports-korea3427
    @comsports-korea34275 ай бұрын

    땅위에서 살자는 말씀에 동감합니다. ^^

  • @user-hv5qj9ee2s
    @user-hv5qj9ee2s5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천진난만 웃음은 백만불짜리 입니다!

  • @user-sj8ho6hy7f
    @user-sj8ho6hy7f5 ай бұрын

    김범준교수님 너무 이야기를 일반인이 재미있고 알기쉽게 설명해주셔서 집중이 잘되요 과학을 보다 보다 알고리즘 떠서 처음으로 봤는데 역시 범준교수님 이네요 너무 재미 있습니다 구독 들어갑니다

  • @daincnt
    @daincnt5 ай бұрын

    지반보강 전문 업체로써 너무나도 흥미롭고 재미있게 시청했습니다.

  • @user-ox7zi4ny9u
    @user-ox7zi4ny9u5 ай бұрын

    저는 교수님 목소리가 너무 좋아요~ 보다에서도 교수님 말씀하실때 더 귀 쫑긋해서 듣게됩니다. 😊 항상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 @user-ek8oj1ch2y
    @user-ek8oj1ch2y5 ай бұрын

    우리때 제물포(제때 물리 포기)라는 유행어가 있었는데 보다에서 교수님과 다른 교수님들의 설명을 듣다보면 재미있는 학문이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동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 @user-ep5ib2hn8q
    @user-ep5ib2hn8q5 ай бұрын

    교수님 참 인상좋으십니다 항상 좋은 지식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minkim6879
    @minkim68795 ай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 항상 건강하세요 : ) 우리 백만 구독자와 함께 오래오래 봐욥 ^-^

  • @user-oc7sz9rx4r
    @user-oc7sz9rx4r5 ай бұрын

    교수님 영상 재미있어요. ^^

  • @cielogrey
    @cielogrey5 ай бұрын

    교수님 빨간목도리 멋져요😻

  • @user-il2bd2uf6f
    @user-il2bd2uf6f5 ай бұрын

    덕분에 오늘도 꿀잠 잡니다

  • @user-lo1dm5kh2h
    @user-lo1dm5kh2hАй бұрын

    김범준교수님! 어찌도 물리학이란 학문을 그리도 흥미진진과 아주 이해 쉽게 설명을 잘하세요? 대단한 능력을 가지고 계세요? 부럽습니다! 👏 👏 👏!!!

  • @IsolestiK
    @IsolestiK5 ай бұрын

    와우 벌써 8만 ㄷㄷ 교수님 쵝오

  • @sejongshim9825
    @sejongshim98255 ай бұрын

    너무재밌어요 교수님

  • @TV-gy6cx
    @TV-gy6cx2 ай бұрын

    반지하가 많은 이유는 물리학과 상관 없지만 차분하게 생각을 말씀해주시는 모습이 보기좋네요

  • @user-po2id7dc4m
    @user-po2id7dc4m5 ай бұрын

    꾸준히 업로드 해주셔서 감사해요❤❤❤

  • @ud35607
    @ud356075 ай бұрын

    15분이 짧네 이거야 말로 타임머신.. 빛의 속도보다 빠른 영상.. 중력이 강력하다.. 가 아닐까

  • @EU-rn3wv
    @EU-rn3wv5 ай бұрын

    사랑합니다 교수님!!

  • @cubic980
    @cubic9805 ай бұрын

    물리학자 교수님 때문에 물리학을 배워보고 싶어졌어😢

  • @milk0107
    @milk01075 ай бұрын

    교수님 감기 조심하세요 🥰

  • @puwazatza
    @puwazatza5 ай бұрын

    오늘은 배경합성 없이.자연스럽게 가네요. 개인적으로 이것도 좋네요

  • @user-ku8bg4uw6p
    @user-ku8bg4uw6p5 ай бұрын

    재밌게 잘보고있어요.

  • @annakim3018
    @annakim30185 ай бұрын

    예!! 1등!!!!!! 선댓글후감상 갑니다 교수님 오늘도 감사해요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_fooddrink6496
    @_fooddrink64965 ай бұрын

    와 구독자 벌써 8.5만!! 축하합니다 물리학도 출신으로 교수님 좋아해요~

  • @floverr929
    @floverr9295 ай бұрын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 @DIABLO-xy3jq
    @DIABLO-xy3jq5 ай бұрын

    서울의반지하는 남침사태발생시 시가전용도로 법으로 만들었으나, 그게 부족한 집의 저렴한 수요로 변질된걸로 알고있어요!

  • @ki_yoon
    @ki_yoon5 ай бұрын

    7:51 이 부분 부터 마찰말뚝을 지지말뚝이라고 하신거 같네요

  • @user-nr4te4kn8j
    @user-nr4te4kn8j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cq3de7ye5r
    @user-cq3de7ye5rАй бұрын

    아 반지하... 저두요... 지금은 빌라하나 월룸하나. 강의 항상잘보고 있어요 돌아가기싫은 반지하...

  • @domdombox
    @domdombox5 ай бұрын

    Animation vs. Physics 라는 유튜브 영상보고 해설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Dohy0400
    @Dohy04005 ай бұрын

    편집이.. 익숙한 맛이다..

  • @user-yl4cg4lm7t
    @user-yl4cg4lm7t27 күн бұрын

    교수님 귀엽게생기셨당❤

  • @user-rt3wk5ou5i
    @user-rt3wk5ou5i5 ай бұрын

    여러 TV 방송에 나오신 것도 많이 보고, 유튜브 채널도 구독해서 모든 편을 잘 보고 있습니다. 폭 넓게 여러 주제를 선정하시는 점이 특히 마음에 들어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대본 (혹은 참고자료) 을 책상에 두시지 말고 카메라 위아래나 옆에 가까이 두시면 (프롬프트처럼) 고개나 시선이 많이 움직이지 않고 더 자연스러울 것 같습니다.

  • @user-dg6qg9yb5r
    @user-dg6qg9yb5r5 ай бұрын

    이번 영상을 보고 질문 드리는데요 예전부터 궁금한게 있었는데요 정지된 자동차 안에서 드론을 띄우고 자동차가 출발하면 드론이 뒤로 밀리지 않고 자동차와 같이 가는것은 무슨 이유때문일까요? 같은 공간에 있어서 그런것일까요 만약 창문을 열고 있으면 어떻게 될까요 궁금합니다.

  • @user-yk3xi6qs7b
    @user-yk3xi6qs7b5 ай бұрын

    첫따봉 누르고 시청!

  • @lastsailor
    @lastsailor5 ай бұрын

    예전에 영화 더 코어 라고.. 지각뚫고 맨틀에 들어가서 여행하는 그런게 있었는데, 지각을 뚫고 맨틀 내부로 소형 잠수선 같은 것으로 진입하는게 가능할까가... 궁금하긴 했어요. ㅎㅎ

  • @helio3569
    @helio35695 ай бұрын

    어느 영상에서 반지하는 6.25 이후 시가전 시에 전술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들었네요

  • @2_1_0_1_2
    @2_1_0_1_25 ай бұрын

    범준교수님 담당하는 촬영팀이어디인지모르겠으나. 음향이 너무 먹으면서들어가는느낌이라. 계속 교수님말씀 듣는게 힘이듭니다. 마이크문제일것같은데 마이크를 바꾸시거나 하는게좋을것같아요.

  • @user-yu6or9ev2k
    @user-yu6or9ev2k5 ай бұрын

    구독 했어요! 앞에 빵도 놓아주세요~!

  • @user-pv2ny2fo2j
    @user-pv2ny2fo2j5 ай бұрын

    허허 오늘 목도리 잘어울리심

  • @deweychoice7873
    @deweychoice78734 ай бұрын

    교수님 오늘꺼 보고 질문 드립니다 아주 깊은 곳에서 살면 상대적으로 자전 속도가 빠르고 중력도 강하니까 시간이 빨리 가나요? 미세한 차이라도 있을까요? 반대로 아주 높은 곳에 살면 시간이 느리게 가는게 맞나요? 아니면 반대일까요?

  • @user-fe8xt3ho1i
    @user-fe8xt3ho1iАй бұрын

    교수님 그러면 지하철에서 드론을 날리고 있는 상태에서 지하철이 출발하는건 어떻게 되나요 창문응 닫고 열고에도 차이가 있는지요?

  • @user-gd5lq9bg7c
    @user-gd5lq9bg7c5 ай бұрын

    우와 3빠네 범교수님 반갑습니다 ^^~ 오~~~벌써 8만9천

  • @dongugkim6969
    @dongugkim6969Ай бұрын

    현직 설계잡니다 고층 건물 올릴때 파일을 박거나 팽이기초 같은거로 지반 개량을 합니다 주택은 매트나 줄기초도 됩니다 근데 지반조사 보고서는 내야됩ㄴ...

  • @user-cw5px2cm2t
    @user-cw5px2cm2tАй бұрын

    현재 전세계 국가에서 보유 하고 있는 핵 위력이랑 과거 핵인 차르붐바 기준으로 하면 어느정도 추정이 가능할거 같은데...

  • @yonglee5855
    @yonglee58552 күн бұрын

    교수님!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근데 제가 솔직하게 하나 건의하려고 합니다 교수님의 밝고 활발한 모습이 좋긴합니다만 좀더 길게 보고 있자면 좀 산만하다고 느껴집니다 보통 카메라로 녹화할때는 흔들리면 시청할때 피로감이 빨리오듯이 교수님의 화면을 보다가 보면 너무 움직이시기 때문에 빨리 눈이 피곤해서 길게 보는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물론 제 개인 의견이긴 합니다 참고바랍니다 건강하세요!!!

  • @user-op2sx7oi9c
    @user-op2sx7oi9c5 ай бұрын

    한국에 반지하가 많은 이유에 대해 유현준교수님은, 한국전쟁 이후, 만약에 전쟁이 재발될 경우 시가전을 대비해서 진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당시 건축법에서 반지하공간을 의무적으로 짓도록 규정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시더라고요

  • @user-gz5xo3ko3j

    @user-gz5xo3ko3j

    5 ай бұрын

    유현준 교수의 설명이 맞을까하고 의문이 생기네요.

  • @masterediy

    @masterediy

    5 ай бұрын

    아니오 워래 지하실이였는데 집값이 비싸져서 집으로 바꾼게 시작입니다.

  • @user-xz1tn3tx1i

    @user-xz1tn3tx1i

    5 ай бұрын

    전쟁 대비 반공호로 쓰기위해 만들어진게맞아요 그런데, 공간이 아까우니 집으로 리모델링해서 셋방으로 내놓은게 맞습니다.

  • @user-yw4hr2ky7q

    @user-yw4hr2ky7q

    5 ай бұрын

    글쎄..성남같은경우 구시가지에 반지하가 엄청많은데 그 이유가 지형때문입니다. 언덕이 많은데 그 경사면을 그대로 낭비없이 사용하기위해서 반지하개념이 생기는거죠.

  • @ahs1670hs

    @ahs1670hs

    4 ай бұрын

    저도 이걸로 알고있음 원래 북한침투대비 방공호 역할하다가 어느순간부터는 주거형태로 굳혀지면서 그래서 반지하는 우리나라만 있는 특이한 건취이라던데

  • @user-hd3zo6xs4y
    @user-hd3zo6xs4y5 ай бұрын

    차안에 같이 탄 파리가 급가속하면 뒷 유리창에 부딪히게 되나요? 달리는 중에는 차안을 여기저기 날라다니던데 이것도 지하철에서 뛰는것과 같은건가요?

  • @user-id6xn5kx5x
    @user-id6xn5kx5xАй бұрын

    응원헙니다~~

  • @mirrorspring5112
    @mirrorspring51125 ай бұрын

    지구는 자전과 공전을 하고, 태양과 은하도 공전을 하는데, 지구의 나이를 약 46억 년으로 봤을 때 이러한 운동과 지구의 중력으로 인해 천천히 흐른 시간은 그 영향을 제거한 시간보다 얼마나 느리게 갔을까요?

  • @Mysteryp7
    @Mysteryp75 ай бұрын

    힘든게 햇던 말 또하고 또 설명하고.. 교수라는 직업 존중합니다. 교사, 교수 교육자님들 대단하셔요

  • @brianjung1733

    @brianjung1733

    Ай бұрын

    나도 했던일 또하고 또설명하고 또반복하고 또가르키고 또배우고 그러는데 꼭 교수나 선생만 존경 받아야되나요? 유럽 오세아니아는 모든직업이 존중받습니다

  • @wonsik0723
    @wonsik07235 ай бұрын

    건축가 유현준 교수님도 모셔서 같이 이야기 나누시면 재밌는 얘기도 많이 나올 것 같아요!

  • @user-rz6cn4mk5b

    @user-rz6cn4mk5b

    5 ай бұрын

    와 저도 딱 이 생각 했어요!!

  • @heyjaehey

    @heyjaehey

    5 ай бұрын

    아닙니다.

  • @FictionorGame
    @FictionorGame5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 @user-djd6yr3jfjk
    @user-djd6yr3jfjk5 ай бұрын

    학창시절때 물리과목에 호기심은 있었는데 수학을 잘 못해서그런지 너무 어려웠거든요.교수님같은 선생님이 가르쳤다면 훨씬 좋았을거같아요.

  • @kkruppingbbong

    @kkruppingbbong

    5 ай бұрын

    비싸요

  • @user-ji9li6cs7b

    @user-ji9li6cs7b

    5 ай бұрын

    이렇게 공부하면 시험점수가 안나와요. 마구 외워야함. ㅋ

  • @user-or9bn9mx3i
    @user-or9bn9mx3i5 ай бұрын

    얼음에 직접닿지 않고 가까이 손을 두면 손이 차갑다고 느끼는 현상은 얼음 주변은 얼음표면이 녹으면서 주변 잠열을 흡수해서 주변이 차가워지고 손 주변은 손의 복사열로 공기가 따뜻해져 그 사이의 대류로 인한 것이 맞나요? 그렇다면 대류는 수평으로도 나타날 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 @user-jg7oj2uu2k
    @user-jg7oj2uu2k5 ай бұрын

    반지하는 인구문제때문이 아니라 과거에 의무적으로 전쟁을 대비해서 지어야했음. 그런 규정이 바뀌면서 최근건물들은 반지하가 오히려 적습니다.

  • @ri-nanana
    @ri-nanana5 ай бұрын

    비행기가 날고 있는데 한쪽 (왼쪽이나 오른쪽)사람들만 모두 일어나서 점프하면 비행기가 한바퀴 돌아가요ʔʔ

  • @jadethai
    @jadethai2 ай бұрын

    깊은 지하의 기압과 열을 이용한 발전방법은 없을까요?

  • @user-hm9qz6iu7i
    @user-hm9qz6iu7i5 ай бұрын

    땅을 파는곳이 어디인가가 중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티벳고원에서 판다면 더 깊이 팔수 있지 않을까요?

  • @js2540
    @js25405 ай бұрын

    코페르니쿠스는 천체의 회전에 대하여 라는 이론을 발표할때 무서워서 자기 이름을 적지 않았다고 해요 자신의 건강이 안 좋아졌을때 이름을 넣어 재출판 했어요

  • @user-vr1tv3pg4v
    @user-vr1tv3pg4v5 ай бұрын

    제가 이해를 잘못한건지 마찰말뚝 설명하시다가 7:50 여기서 지지말뚝이라고 하셨는데 뭐가 맞는걸까요?

  • @G-TL-
    @G-TL-5 ай бұрын

    영상과 상관없는 댓글 사과드립니다. 혹시 보다 채널에서 말씀하신 위상동형 부분에 대해서 정정이나 사과는 있었나요?

  • @kaishun86
    @kaishun863 ай бұрын

    지히철이 아니라 자동차나 마차 오토바이 등이라하면,, 위로 뛰면 그냥 바닥에 착지하는데,,,, 지히철이랑 자전거랑 뭐가 차이일까요?

  • @comfix
    @comfix21 күн бұрын

    초반에 1km만 내려가도 100기압이라고 하셨는데 중국의 2km 지하 벙커에선 어떤 방법으로 생존하나요?

  • @Tohsaka_Gwangjuautocraft
    @Tohsaka_Gwangjuautocraft5 ай бұрын

    오 빵준선생님 땅파는 이야기다

  • @sunhyungka
    @sunhyungka5 ай бұрын

    1킬로미터 지하로 가면 기압이 100기압이 된다는것은 오류이신듯 물깊이에 따른 수압을 착각하신거 아닌가요? 탄광도 1킬로지하가 흔한데 그곳이 100기압이라면 작업이 안되죠

  • @ssisollee

    @ssisollee

    5 ай бұрын

    1km 깊이에서의 기압: 2.5기압

  • @chp438
    @chp4385 ай бұрын

    버스 안에도 같은가요? 3:16

  • @yacht-responce
    @yacht-responce5 ай бұрын

    한국은 어떡하면 주택 밀도를 높일지 고민하는데, 미국은 그런거 없이 중산층이면 십중팔구 교외 단독주택에 삽니다. 공간을 넓게 쓸 수 있으면 쓸데없는 고민이나 마찰을 할 필요가 없는거죠. 마찬가지로, 땅 위에서 살 수 있다면 땅 위에서 사는 게 최고입니다.

  • @user-fw4wz5jv1n
    @user-fw4wz5jv1n4 ай бұрын

    사용후 핵연료를 굴착가능 깊은 지하에 놔두면 고온으로 인해서 무거운 우라늄은 내핵으로 가라앉을것 같은대

  • @user-wu3jt5zb3s
    @user-wu3jt5zb3s5 ай бұрын

    그렇다면 달에서 기압을 맏추려면 한 1킬로미터쯔음 땅을파고 들어가면 해결되나요?

  • @vamp_c502
    @vamp_c5022 ай бұрын

    튀르키예의 데린쿠유, 호주의 쿠버패디, 멕시코의 어스 스크랩퍼가 생각납니다.

  • @user-cw5px2cm2t
    @user-cw5px2cm2tАй бұрын

    글고 지지말뚝을 박는만큼 그쪽을 피해서 지어야겠네요 근데 커브구간은 못피하는데 어케 만들까요..

  • @usu336
    @usu3363 ай бұрын

    반지하.... 캐나다에도 많아요. 물론 건조한 기후라서 곰팡이 뭐 이런건 덜 할수있고 집 크기에서 반지하공간이 더 넓겠죠? 한국에만 반지하가 있는게 아니라 미국 캐나다 등등 많이 있어요. 영상보면 한국은 잘사는데 정부에서 반지하에 사는 사람들에게 집을 주고 반지하가 없어져야 한다고 말씀주시는데 잘사는 나라일수록 주거 문제가 심각합니다. 그건 비단 한국만의 문제도 아니구요. 그리고 집없는 사람 즉 홈리스도 사회문제가 되고 있고 엄청난 사람들이 텐트에 의지하는 곳도 있구요. 정부에서 제공되는 임시 숙소가 있지만, 안가고 싶어하는듯 합니다. 암튼 한국은 아직도 크게 발전하고 앞으로도 더욱 발전하는 곳이 될겁니다.

  • @user-mn8ib4po4t
    @user-mn8ib4po4t5 ай бұрын

    지하철에서 점프했을때 뒤로 밀리지 안는다?? 비행기에서 뛰어내리면 비행기와 같은 속도로 날아가는가??

  • @genius_ten7777
    @genius_ten77775 ай бұрын

    친자연적인 세트장 같은곳에서 마치 지하철의 회색의자와 따뜻하며 열정적인 중년의 상징인 붉은 목도리를 하셨는데 핵대피시설 공간과 민군합군 대피훈련에서 비상시에 최우선적으로 안전을 생각하신듯한 연설가의 모습과 8프레임의 화면에서 미세한 소리파동 간격과 더불어 뇌의 회백질 부분이 말랑말랑하는듯한 흥미로움을 연상시켜 주시어 잘보고갑니다. 🍩🍞🧇

  • @user-sv1tx7nt2d
    @user-sv1tx7nt2d5 ай бұрын

    목도리 영창꺼 인가요?

  • @user-si6lx6od3r
    @user-si6lx6od3r5 ай бұрын

    요즘 개인땅에 건축물 짓는거 보니까 전부다 시멘트,벽돌,콘크리트 없이 철골 구조물로만 짓던데요. 이러면 소음이나 진동에 취약하지 않나요? 철이 벽돌이나 콘크리트보다 진동 음파 같은거 전달율이 높지 않나요?

  • @hwkim6042

    @hwkim6042

    5 ай бұрын

    지나가던 건축학과입니다 철골이 단위 부재당 단가도 철근콘크리트나 조적보다 더 비싸지만 인건비의 상승 문제 및 인부들의 숙련도 저하 문제로 인해 공장에서 생산되는 양질의 부재를 가져와 현장에서 조립만 하면 된다는 것과 건식공법으로 인한 공기축소의 이점으로 철골구조로 지어지는 건물의 비중이 늘어나는겁니다. 소음의 경우 벽과 슬라브로 이루어진 벽식구조에 비해서 슬라브에서 발생한 소음이 보에 전달되고 그다음 기둥으로 전달되는 방식의 라멘구조가 상대적으로 유리할 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콘크리트는 인장력에는 약하고 압축력에만 강하기에 철근을 같이 쓰는건데, 철골은 인장과 압축강도 모두 우수하기에 철골조를 쓴다고 구조적으로 문제 없습니다. 오히려 철근콘크리트 기둥보다 더 얇은 기둥을 만들어 낼 수 있어서 실내 면적이 늘어날 수 있는 장점이 있죠

  • @kks2783
    @kks27835 ай бұрын

    여기서 빵론

  • @user-vq3bb8zi6r
    @user-vq3bb8zi6r5 ай бұрын

    교수님 제가 "보다 채널" 에서 뇌의 대한 영상을 보다가 문득 생각이 드는게 고양이 같은 동물들의 반사신경이 보통 인간들보다 더 좋은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물리학이랑 관계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ㅠㅠ

  • @user-zc8wk2mu9f

    @user-zc8wk2mu9f

    16 күн бұрын

    그부분은 물리학 보다는 생물학 쪽으로 가야하지 않을까요? 진화의 의해서 반사신경 안좋은 고양이는 다 죽었을거고 생존환경이 안좋아서 그런쪽으로 발달했다 정도의 답변만 가능할듯 한데

  • @sanglee4686
    @sanglee468626 күн бұрын

    서울에 철도가 지하 화 된 것이 도시에 개발이 먼저 러는 건 납득 하기 어렵습니다. 최초 경성에는 전차가 있었죠. 도로에 있었습니다. 하지만 도시 개발을 위해 그 전차들을 다 철거 했죠 다시 말하면 효율 때문이지 누가 먼저 생겼기 때문은 아니란 얘기가 되지 않을까요?

  • @jinukmen5294
    @jinukmen52945 ай бұрын

    러시아가 실험한게 있음. 수직으로 12킬로인가 내려갈수록 지층이 딱딱한게 아니라 내부의 열로인해 밀가루 반죽 같은 형태라 했음. 깊게 들어 갈수록 시추 장비가 열로 인해 흐물흐물 해져서 더 이상 들어가지 않는다 함.

  • @batbingo
    @batbingo5 ай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하게 잘보고 있습니다. 질문이요~ 저도 가끔 생각에..엘레베이트가 떨어진다면..마지막에 부딛칠때 뛰어올라 살아남을수있나?하는 생각을 합니다. 지하철 예를 들어주셨는데요..공감은 가는데요.. 만약 리어카를 타고가다가..위로 살짝 뛰었는데 리어카가 움직이면..바닦아닌가요? 의문이 생깁니다~^^

  • @user-oz7co2tk8h

    @user-oz7co2tk8h

    5 ай бұрын

    리어카는 주변이 오픈돼있잖아요. 맞바람이 불어서 님 점프하는 순간 감속이 엄청나겠죠? 지하철은 밀폐된 공간이라 객실 내 대기까지 함께 움직이니 점프 뛰어도 상관없는거

  • @user-oz7co2tk8h

    @user-oz7co2tk8h

    5 ай бұрын

    점프하려면 그 점프를 하기위해 바닥을 딛고 차올라 점프해야하는데 엘베 추락하는 중에 그게 되겠나요, 님 몸 전체가 떠올라서 천장에 붙어있을텐데. 어찌어찌 몸이 안떠오른다 쳐도 점프하려고 바닥을 차려고 하면 그 엘베 바닥도 지금 계속 밑으로 추락중인데 점프 할 힘을 못받죠.

  • @kyelight81

    @kyelight81

    5 ай бұрын

    그 엘리베이터 추락 질문에 대한 답변은 보다 채널에 있습니다

  • @justinkwon9325
    @justinkwon93255 ай бұрын

    아파트에 반지하가 만들어지게 된 계기는 , 1960~70년대 북한 군사력이 우리나라보다 강했을 때 국방 정책상 북한군에 대응한 시가전 목적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반지하가 참호 역할을 하는 거죠 .

  • @user-sk7pt4xs6g
    @user-sk7pt4xs6g5 ай бұрын

    픽엽트럭 뒤에 타서 높이 점프하면 차는 지나가는데요 사람은 떨어져요

  • @user-qu1yz2zs4f
    @user-qu1yz2zs4f5 ай бұрын

    뉴욕맨하탄은 원래 돌섬으로 농사도 못짓는 몹쓸땅이었으나 지반자체가 무지무지 안전한곳입니다 당시 별 건축술없이 높게지을수 있었을겁니다 건물하중으로 어느곳이든 완공후 지반짐하는 조금씩 있습니다

  • @mikeyun8042
    @mikeyun80425 ай бұрын

    지하철 제자리점프 들으니 생각나서 묻습니다. 30년전에 어릴때 궁금했었는데,, 달리는 버스의 가장 뒤 창문으로 파리가 들어오면 파리는 버스 뒷면에 부딪혀야 하지 않나요? 그런데 부딪히지 않았던 거 같은데,, 착시였는지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Billion._.Master

    @Billion._.Master

    5 ай бұрын

    달리는 버스에 파리가 날라들어오려면 파리도 달리는 버스와 같은 진행방향으로 날면서 들어오니깐 뒤에 안박죵

  • @KongGae

    @KongGae

    4 ай бұрын

    버스 안의 공기도 같이 움직이고있기 때문이에용

  • @user-ft4zh7np9z
    @user-ft4zh7np9z5 ай бұрын

    사실 히로시마떄 기록이나 증언을 보면 지면에서 단 1미터만 낮아져도 폭심지 주변에서 살아남을만합니다. 방사선도 폭심지 주변이라면 충분히 두꺼운 콘트리트안에 있어야겠지만 조금만 떨어져도 급감하기 떄문에 지하이기만 하다면 살아 남을 수 있어요... 실제로 미국이 했던 지상 핵실험들 유튜브에 올라가 있는데 보시면 실험용으로 세운 건물들과 자동차는 싹 날려도 흙은 겨우 몇십센티 날립니다...대략 아파트 지하주차장이면 핵전쟁에서 살 수 있다는겁니다...

  • @user-fq7fo1gr8i
    @user-fq7fo1gr8i5 ай бұрын

    그럼 시속 150km로 달리는 트럭 위에서 류현진선수가 진행방향 반대로 150km로 야구공을 던지면 제 자리에 떨어지나요?

  • @MJ-mh3rc
    @MJ-mh3rc5 ай бұрын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교수님. 이게 물리인지는 모르겠는데 남반구에 있는 사람들은 거꾸로 서있는 건가요? 남반구에 있는 사람이 어떻게 정상적으로 살고 북반구에 있는 사람이 남반구에 가도 변화를 왜 못 느끼나요?

  • @mooncheeze_lina

    @mooncheeze_lina

    5 ай бұрын

    우주범위에서 보면 위아래는 의미가 없습니다. 남반구 지역에 있는 나라 예를 들면 호주같은 데서 지도를 그릴땐 남반구가 적도 위로 오게 그립니다. 중력은 지구중심으로 작용하기에 지표위에 물체가 붙어 있을 수 있는 것 입니다. 중력이 없다면 북반구 남반구 관계없이 우주공간으로 날아가겠죠

  • @user-vs1ml9vm5i
    @user-vs1ml9vm5i5 ай бұрын

    서울 주택의 반지하는 잔쟁 발생시를 대비한 임시 피난시설 반공호의 목적으로 지어진 것입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군인들의 진지구축 역활도.. 그런데 서울로 인구가 급격히 집중되면서 일부 가난한사람들이 반지하 반공호에 불법으로 거주해 살게 되면서 이것이 일반화 되고 세를 주는 건물주의 이해관계도 맞아 떨이지고.. 정부의 묵인하에 자연스럽게 반지하거주 문화가 확산 된것이죠.. 분단국가의 생존 산물입니다.

  • @user-en3ou9cz1v
    @user-en3ou9cz1v5 ай бұрын

    핵폭탄이 직격만 하지않는다면 지하50m 는 안전하다고 합니다.이정도 깊이에서 2달정도 버티면 지상의 인체에 피해를 줄정도 방사능은 사라진다고(기후,바람등 영양) 하여 지상으로 나와 핵폭발 오염지역을 벗어나면 된다고 합니다

  • @vnfma7
    @vnfma75 ай бұрын

    셜록 범준 콜라보 기원...

  • @zzanglee6635
    @zzanglee66355 ай бұрын

    1 km 지하에 100 기압은 지하수, 혹은 대수층 때문에 오는 압력 입니다. 빈공간을 만들면 (방수처리 후) 지상의 기압과 별 차이가 없습니다(아주 약간 높겠죠). 공간을 둘러싼 구조물이 받는 압력이 100 기압 입니다. 그리고 그 공간 구조물이 unconsolidated (예를 들어 흙) 아래 설치 되었다면 이라면, 약 250-300 기압 정도 됩니다(aka overburden pressure)

  • @user-ji9li6cs7b
    @user-ji9li6cs7b5 ай бұрын

    지하철에서 점프하면 당연히 뒤로 밀릴 것 같은데요. 가속도 때문에 점프하는 순간에는 지하철과 같은 속도로 전진하지만 지하철은 계속 동력을 제공 받아 앞으로 나가지만 점프한 사람은 가속도가 점점 떨어질 것이니 결국 뒤로 밀리는 것 아닌가요? 아주 적은 거리지만.

  • @user-ju9ey9zh6w
    @user-ju9ey9zh6w5 ай бұрын

    1km 땅속 온도가 60" 이면 우리가 이용하는 지열 보일러는 사기인가요 !!??

  • @parkbrandon5944
    @parkbrandon59445 ай бұрын

    커밍 아웃 하는 건가요?

  • @user-fv8lf8mp5f
    @user-fv8lf8mp5f5 ай бұрын

    지하 10킬로 아래가 1000기압은 이해가 안가네요 그럼 심해 바다 10키로는 몇기압 인가요?

  • @user-ml9kv6mg7t
    @user-ml9kv6mg7t2 ай бұрын

    뛴순간과 착지한순간 사이에 하철이가 출발하면 뒤로감

  • @user-rk4bh5yh2w
    @user-rk4bh5yh2wАй бұрын

    파일을 암반까지 내려갑니다 암반이 없을때 파일을 엄청박아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