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 끝은 어디일까? 🪐 관측 가능한 우주 크기 비교 | 은하 | 시리우스 | 오르트구름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 관측 가능한 천체의 크기 비교
지구 12,742km / 목성 139,820km / 태양 1,390,700km / 시리우스A 2,380,000km / 베텔게우스 1,200,000,000km / 스티븐슨2-18 3,000,000,000km / TON618블랙홀 390,000,000,000km.
◾️ 1광년 = 9조 4,600억km (진공 상태에서 빛이 1년 동안 이동한 거리)
- 오르트 구름 1.6광년 (태양계 바깥쪽에 먼지와 얼음이 뭉쳐진 덩어리)
- 창조의 기둥 5광년(성간가사와 먼지덩어리, 가스와 먼지 속에서 새로운 별이 탄생)
- 오메가 센터우리 160광년 (센타우루스 자리에 있는 구상성단, 중력으로 인해 별이 둥글게 뭉침)
- 소마젤란 은하 7,000광년
- 대마젤란 은하 14,000광년
- 솜브레로 은하 70,000광년
- 우리은하 120,000광년
- 안드로메다 은하 220,000광년
- 국부 은하군 10,000,000광년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 520,000,000광년
- 물고기자리 고래자리 복합 초은하단 1,000,000,000광년
- 관측 가능한 우주의 영역 93,000,000,000광년
#우리은하 #안드로메다 #창조의기둥 #소마젤란은하 #우주크기 #더홈
▶️ 프로그램 : XR우주 대기획 - 더 홈 5부, 우주의 크기
▶️ 방송일자 : 2022.12.06

Пікірлер: 1 600

  • @user-vf3qb8dl9f
    @user-vf3qb8dl9f6 ай бұрын

    우주가 이렇게나 큰데.. 내가 만난 모든 스쳐간 사람들이 모두 특별한 인연이라 생각된다 … 악을 품지 말고 선으로 남을 대하고 존중하고 감사하고 사랑해 줍시다

  • @user-rc2iq4pj3u

    @user-rc2iq4pj3u

    3 ай бұрын

    이거 먼 개소리여

  • @dumbstruck1111

    @dumbstruck1111

    2 ай бұрын

    ​@@user-rc2iq4pj3uㅋㅋ이런 미물도 살아가긴 하네

  • @user-rc2iq4pj3u

    @user-rc2iq4pj3u

    2 ай бұрын

    @@dumbstruck1111 니얼굴

  • @user-zl8gq6yj4d

    @user-zl8gq6yj4d

    2 ай бұрын

    @@user-rc2iq4pj3u 아동시절에 학대받은 금쪽이의 댓글을 보고 계십니다.

  • @user-ye7ym1qk5o

    @user-ye7ym1qk5o

    2 ай бұрын

    ​@@user-rc2iq4pj3u 니같은것도 품어주고 보듬어주란 소리지

  • @user-yz5fs7wu3m
    @user-yz5fs7wu3m9 ай бұрын

    우주의 먼지보다도 작은 티끌같은 존재인데 싸우고 미워하고 전쟁하고 경쟁하는데 유한한 인생 서로 평화롭게 아름답게 살아도 아주 부족한 시간이다.

  • @user-jn4pm7pi8j

    @user-jn4pm7pi8j

    9 ай бұрын

    격하게 공감합니다

  • @user-sq1vx2uf3t

    @user-sq1vx2uf3t

    8 ай бұрын

    경쟁과 싸움은 인력과 척력 상호작용 때문에 생기는 우주의 이치다

  • @user-xj3cn9dp2m

    @user-xj3cn9dp2m

    8 ай бұрын

    이게 암 생각없이 생각하면 그럴싸한 말같지만 다른게도 생각해보셈 이지구 인간이 얼마나 특별한 존재임

  • @user-xj3cn9dp2m

    @user-xj3cn9dp2m

    8 ай бұрын

    사실 이건 좀 멍청한 생각임

  • @eiqiq

    @eiqiq

    7 ай бұрын

    @@user-sq1vx2uf3t지금에 와서는 불필요한 과도한 결과만을 나을 뿐이죠, 경쟁와 싸움, 그것 때문에 삶이 괴롭고 사회적 삶이 괴로워 더 나아가 건강하지 못한 국가가 되어 버린다면, 진정한 본질적 문제, 지구 환경, 전쟁, 기아, 같은 것들을 무시하게 되며, 그저 생존의 존패만을 두고 싸우게 되는 지구촌 세상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어떻게 보면 우리 인류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라고 생각이 드는 우리의 존재에 대한 의문과, 우주적 관심이 ,우리 미래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dokdo8888
    @dokdo8888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가지고계신 소망 모두 이루소서 ☀️ 수고하셨습니다

  • @user-qi2lw6xy3j
    @user-qi2lw6xy3j2 ай бұрын

    설명도 지루하지 않고 제가 좋아하는 주제이다 보니 너무 재밌는 영상이네용ㅎㅎ

  • @inspiration0515
    @inspiration05154 ай бұрын

    영상 퀄리티 !! 멋집니다여

  • @user-yj1ss6dr2c
    @user-yj1ss6dr2c8 ай бұрын

    차분한 설명 감사합니다. 보는 내내 우주의 광활함에 매료되었습니다.

  • @hukulou5063
    @hukulou50636 күн бұрын

    작은 것에서부터 점차 큰 것을 대조·비교해 나가는 설명 방식과, 그를 뒷받침 해 주는 좋은 이미지 자료가, 우주의 크기나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해 주네요.

  • @mongsilfamily
    @mongsilfamily9 ай бұрын

    난 저걸 다 알아내고 관측했다는 인류도 정말 엄청나게 대단하다고 봄

  • @user-tm1oy4sc5z

    @user-tm1oy4sc5z

    9 ай бұрын

    사실 전부 추측일 뿐입니다. 현재 인류의 기술로는 가까이 있는 수성의 표면조차 고화질 사진이 없죠.

  • @user-pn5qi2ou3z

    @user-pn5qi2ou3z

    9 ай бұрын

    지금 봄이 아니고 가을임

  • @cyber_entertainment-sur2kt

    @cyber_entertainment-sur2kt

    9 ай бұрын

    현재까지 관측가능한 우주로만 본다면 970억광년 정도입니다 아무리 현대기술로 빨리 가더라도 오래걸린다 이말이지 우리가 우주선을 타고 가도 이미 시체겠지

  • @user-fz4mt2qo1p

    @user-fz4mt2qo1p

    9 ай бұрын

    저걸 사실로 믿고 있는거 아니시죠..? 추측일뿐 입니다

  • @sohansome1

    @sohansome1

    9 ай бұрын

    지구를 찍은 사진이 없지만 지구가 둥굴다는걸 증명했고 실제로 그랬다. 다 여러가지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관측 한것이니 전부 추측일 뿐이라 치부할건 아닌 듯.

  • @smfgkdtkd
    @smfgkdtkd9 ай бұрын

    퀄리티가 너무 좋네요 ㄷㄷ

  • @coreaamerica1183

    @coreaamerica1183

    8 ай бұрын

    그쵸 나사 그래픽은 좀 잘합니다

  • @user-cj7yu2eb3o
    @user-cj7yu2eb3o2 ай бұрын

    나레이션 너무 좋아요❤

  • @KHWON8593

    @KHWON8593

    9 күн бұрын

    나레이션 때문에 30초만에 넘김

  • @sarang...

    @sarang...

    6 күн бұрын

    @@KHWON8593 명작을 목소리 때문에 놓치다니... ㅂr보같은 짓을 하셨군요.

  • @user-cl8ln8te6r
    @user-cl8ln8te6r3 ай бұрын

    과학지식과함께 이지아님의 새롭고신비한(?)매력을느낀 멋진시간이었네요

  • @njf164
    @njf1649 ай бұрын

    과학다큐 좋습니다.

  • @Electricguitar-KR
    @Electricguitar-KR4 ай бұрын

    Watching...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user-gi4ti9tz9l
    @user-gi4ti9tz9lАй бұрын

    그래픽 퀄리티도 좋고, 과학자가 아닌 아리따운 연예인이 조곤조곤 이야기 해주 는 것도 또 다른 경험이네요 ^^ 좋아요~

  • @user-qh8qu4qn4n
    @user-qh8qu4qn4n6 ай бұрын

    설명하시는 나레이터님과 또 다른 인연으로 만나는 두 우주가 합쳐 새로운 우주를 생성하니 생명이요 우주팽창이며 자손번성 이모두 사랑입니다. 우주의 만남의 사랑과 존속보존의 사랑.❤

  • @kuma7056

    @kuma7056

    4 ай бұрын

    이완용급 친일파 자손 이지아가 설명하는건데..

  • @kathrynshin998
    @kathrynshin9989 ай бұрын

    조금만 더 길게 만들어주세요…💤💤💤 감사합니다..

  • @user-pullbang

    @user-pullbang

    9 ай бұрын

    그래봐야 관측 가능한 우주보다 더 볼수는 없습니다. . . . 농담입니다.

  • @karaoke_solo
    @karaoke_solo9 ай бұрын

    1940년대만 하더라도 우리은하가 우주의 전부라고 생각했다고 하더라고요. 과연 100년후의 과학은 우주를 어느정도 까지 더 파악하고 있을지 궁금하네요

  • @TV-rt5jm

    @TV-rt5jm

    9 ай бұрын

    우주비밀을 다모르고 죽는게 아쉽네요ㅠ 옛날 지구가둥근지 네모난지도 몰랐던 시절보단 보단낫지만 ㅎㅎ

  • @DPRK_President_MoonJaein

    @DPRK_President_MoonJaein

    9 ай бұрын

    애들보면 능지가 점점 개박살났던데 지금 기술 유지도 못하고 퇴화할게 뻔함

  • @user-ee9gz1jw6l

    @user-ee9gz1jw6l

    8 ай бұрын

    @@DPRK_President_MoonJaein 유사과학하는 놈들의 지능이 개박살난거지 과학자의 지능이 박살난게 아님..... 지금도 화성의 탐사선 보내서 관측하고 사진도 보내고, 몇년 후에는 우리나라도 유인 달 탐사선도 보내고 미국이랑 중국도 몇년 안에 유인 탐사선 보낸다는데 어떻게 퇴화중이라는 건지.... 보이저 호도 지금도 계속 나아가면서 우주의 정보를 보내고 있는데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8 ай бұрын

    @@DPRK_President_MoonJaein 시대의 격변기에 신분상승의 기회가 열리며 능력있는 자가 그 능력을 발휘하며 위로 올라가면 그게 자기가 잘나서 그런 건 줄 알고 자기 자식에게 그 특권을 물려주고 싶고 왠지 흙수저 아이 중에 자기 자식보다 더 똑똑한 놈이 나와서 자기 자식 위에 올라가는 꼴은 보고 싶지 않고 그렇게 사다리 걷어치우고 돈 없으면 제대로 된 교육도 얻지 못하게 만들고 부모가 붙어서 애들 관리할 여유 안되는 아이들 바보만들고 그러는 거임. 민주주의 사회가 되었다고 해도 본질은 과서 세습 신분제사회와 크게 바뀌지 않았음.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8 ай бұрын

    허블 우주 망원경이 1990년에 올라가고 그냥 시험삼아 아무것도 없어보이는 우주 공간에 한참동안 초점을 노출시켜서 사진을 찍어봤는데 어느방향을 향해도, 아무리 배율을 올려도 그 안에 무수히 많은 은하들이 나타나서 깜짝 놀랐다고 하더군요.

  • @user-dw4se2nz4l
    @user-dw4se2nz4l2 ай бұрын

    우와 너무 실감나는 크기 !!! 찾던 영상!!!! 감사합니다

  • @user-tildaaaaaa
    @user-tildaaaaaaАй бұрын

    와 나레이션 덕에 귀에 쏙쏙 들어옴

  • @stephback30
    @stephback309 ай бұрын

    우주의 신비로움은 ㄷㄷㄷㄷ

  • @user-fm1tk5mw9j
    @user-fm1tk5mw9j9 ай бұрын

    풀버전 올려주시면 안돼요?? 설명 보니까 예전에 했던 다큐 분할해서 올리는 거 같은데 이럴바에 걍 풀버전으로 올려주세요...

  • @hyunsookim6096

    @hyunsookim6096

    4 ай бұрын

    그러면 돈이 안됨😊

  • @kww527

    @kww527

    Ай бұрын

    이거 풀버전 14분이던데 걍 거기서 거기임

  • @user-kr8zu9sb9k
    @user-kr8zu9sb9k5 ай бұрын

    이 끝이 없을 것만 같은 공간에 생명체가 없다는게 오히려 더 이상하겠죠. 신비롭고 신비롭네요

  • @solifesoso81
    @solifesoso815 ай бұрын

    목소리 좋으시다

  • @user-jl7oe4yl5y
    @user-jl7oe4yl5y8 ай бұрын

    멋있습니다. 설명하시는 옥체와 보이스가 말입니다.

  • @user-bk9ve7do3v
    @user-bk9ve7do3v25 күн бұрын

    헐~~ 이넓은 우주~~ 너무 경이롭고 너무 거대해서 실감이 안나네요~~ 나레이션~~하시는분 넘 이쁘심~~😊 목소리두 굿~~ 우주로 가고 싶습니당~ㅋㅋ 저~~은하로~ 고 ~고

  • @user-pp8lc2tn2t
    @user-pp8lc2tn2t7 ай бұрын

    저렇게 비교하니 진짜 우주라는곳은 신비,미지의 공간인것같네요 어떻게 별이 생겨났으며 어떤원리로 빛을 발산하는건지도.. 지구는 진짜 우주에서 봤을때 먼지한톨도 안된다는게 신비롭네요

  • @starsailor3108
    @starsailor31089 ай бұрын

    이 얼마나 하찮지만 아름다운 존재인가

  • @wearereallydump
    @wearereallydump9 ай бұрын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가 우주 자연이 빌려준 유전자와 육체를 가지고 찰나를 잠깐 살다가는 생존기계일 뿐이죠. 한 생에 인간의 기준에서 10년 20년 100년은 굉장히 오랜 시간이지만 우주의 기준으로는 정말 찰나라고 하기에도 민망한.. 아주 짧은 초 단위도 안되는 시간일 뿐이죠.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래알 수보다 훨씬 많은 별들이 존재하는 넓디 넓은 우주라는 공간의 창백한 푸른점에서 잠깐 태어나 찰나를 살다가는 하찮은 먼지보다 못한 존재들일 뿐인데 누군가를 때리고 빼앗고 훔치고 욕하고 거짓말하고 성폭행하고 살인하고 아웅다웅 거리면서 살아가는 이 상황을 바깥에서 제 3자가 들여다 본다면 정말로 희극이 따로 없을겁니다.

  • @LOL-fd2lz

    @LOL-fd2lz

    6 ай бұрын

    도대체 우주는 왜 존재하는지 ㅜ_ㅜ 누가 만들었을까. 나는 왜 존재할까. 몇십년 살다 곧 죽을텐데 왜케 아웅다웅 힘겹게 살아가는지

  • @zhem44

    @zhem44

    6 ай бұрын

    ​@@LOL-fd2lz힘내라구 삶에 의미는 없어 태어났으니 사는거야

  • @LOL-fd2lz

    @LOL-fd2lz

    6 ай бұрын

    @@zhem44 그러게 ㅎㅎ 태어났으니 그냥 살아야지, 죽을수도 없고ㅋ

  • @zLkTRyJHVfnBSdqqd

    @zLkTRyJHVfnBSdqqd

    4 ай бұрын

    그것도 자연의 법칙이니까.... 우주도 팽창 흡수 탄생 충돌 다 하잖음....

  • @sfxfchcfhjhfh

    @sfxfchcfhjhfh

    4 ай бұрын

    육체의 존재는 미미하나 정신의 크기를 우주만큼 확장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부처, 예수, 노자, ...

  • @user-vc5kf1eg5r
    @user-vc5kf1eg5r4 ай бұрын

    놀랍고 대단합니다

  • @user-bx5sk5rp9q
    @user-bx5sk5rp9q4 ай бұрын

    목소리가 너무좋다.....

  • @Romansoo303
    @Romansoo3038 ай бұрын

    저 거대함 속에 100년도 못사는 인간의 인생이 얼마나 찰나의 순간인지....오늘 하루도 열심히 살아야 겠다

  • @zoozeonja158

    @zoozeonja158

    8 ай бұрын

    90살 넘어서 장수했다고 축하해봤자 남들보다 기껏 2,30년 더 살았다는것뿐 큰의미없음. 다만 인간입장에선 DNA에 장수에 대한 욕망이 프로그램되어있어 조금더 사는것을 추구함

  • @iijliljllij

    @iijliljllij

    7 ай бұрын

    하루살이 열심히 산다고 안달라져요, 걍 대충 힘빼고 사세여 스트레스받음😊

  • @user-uh6yi8ie9e

    @user-uh6yi8ie9e

    4 ай бұрын

    열심히 사는데 더허망한거 같은건머죠?

  • @janet_grape

    @janet_grape

    3 ай бұрын

    @@user-uh6yi8ie9e 열심히했기에 허무함을 느낀겁니다. vanitas vanitatum et omnia vanitas

  • @user-ff8ce6mj5q

    @user-ff8ce6mj5q

    2 ай бұрын

    뻥이요!

  • @user-wg8jx8cm4p
    @user-wg8jx8cm4p5 ай бұрын

    다큐가 시처럼 아름다워요

  • @user-yh8dl8mv5j
    @user-yh8dl8mv5j9 ай бұрын

    저모든걸 담고있는 우주 그자체는 정말..

  • @08again49

    @08again49

    8 ай бұрын

    저게 다차원 우주주우하나일수도 잇다는

  • @user-sh2yy6ft8o
    @user-sh2yy6ft8o4 ай бұрын

    사람이 이걸 관측했다는게 대단!!! 이지아 목소리 아닌줄...좋네요

  • @newera9710
    @newera97103 ай бұрын

    나레이션 너무 좋아요

  • @hyunwoo.
    @hyunwoo.8 ай бұрын

    사회자님 예쁨이 우주의 크기보다 크실꺼 같습니다 ~ 영상 너무 신비하고 잼있게 잘보고 갑니다

  • @bluejin025
    @bluejin0257 ай бұрын

    어떻게 상상을 더 해야 될지 그저 놀라울 뿐입니다

  • @user-vd2ro5hb5v
    @user-vd2ro5hb5v9 ай бұрын

    지금의 '나'라는 우주의 유기체가 바라보는 저 우주...우주의 시간에 비하면 한없이 짧은 시간 생명으로 태어나 우주를 바라본다... 우주의 원리...사랑 돈..그리고 수많은 욕심들... 도덕... 종교 ...이 모든 것이 뒤섞이다 보면...우주의 질서는 너무도 명확한데..나는 너무 혼란스럽다 어찌보면 다시 우주의 원소로 돌아갈 우리들...한없이 공평하지만 너무 우울하고 슬퍼져 지금 이 댓글을 달며 울고 있다.. 우주속에 흝어지더라도 다시 우주의 확율이 작용해서 꼭 우리 아버지, 어머니의 아들로 다시 태어 나고 싶다...

  • @NJ-hg5yp
    @NJ-hg5yp8 ай бұрын

    옛날 말로 국민학교 3 학년 과학시간에 지구는 개똥속에 존재하고 개주인이 삽으로 개똥을 버리면 지구는 멸망 할 수도 있다고 하니 친구들은 그냥 웃었지만 선생님은 진지 하셨던 40년전 기억 선생님 감사합니다. 왜 그렇게 생각하냐는 진지하신 질문에 우리의 100년은 또 다른 생명체의 1초도 안될수 있다고 했더니 친구들은 또 웃었지만 더 진지해신 선생님 감사합니다 .그 땐 저는 진지 했습니다.

  • @kkong2.79

    @kkong2.79

    Ай бұрын

    내가 개똥을 치우지않는이유.jpeg

  • @sfc7434

    @sfc7434

    21 күн бұрын

    비범 하셨네요

  • @eric33057
    @eric330572 ай бұрын

    낯익은 얼굴이다 했더니 이지아구나! 매우 신선하고 집중하게 만드는 능력이 있구만. 그나저나 우주가 저렇게 큰데 다른 생명들이 없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

  • @user-zw1un8hn5q
    @user-zw1un8hn5q6 ай бұрын

    얼굴도 이쁘시고 말도 참 차분하고 조리 있게ㅐ 잘 하시네요~~~ 이 좁디 작은 나라에서 저마다의 욕심은 ... 다 부질 없다란 걸 ~~~ ^^

  • @user-gw1sr8nu7z
    @user-gw1sr8nu7z3 ай бұрын

    가장 많이 본 장면이 지아누나 클로즈업이라 인상적이었습니다

  • @TV-uz2ni
    @TV-uz2ni2 ай бұрын

    넘 신비로워요

  • @incheonhandiman
    @incheonhandiman9 ай бұрын

    흥미로운 컴퓨터 시뮬레이션입니다. 대한민국은 달탐사는 언제쯤 할 수 있을까요? 인도도 보냈는데...

  • @prinjame1754
    @prinjame17549 ай бұрын

    우리은하만 해도 그 자체로 하나의 거대한 우주지 우리은하가 얼마나 거대한지 가늠해보자면 그 지름이 10만 광년이라는데 이게 어느정도 크기냐면, 고조선부터 시작되는 우리나라의 장구한 역사가 다해봐야 5천년도 안된다. 다시말해 고조선부터 요이땅! 시작해서 엄청난 빛의속도로 수많은 세월을 지나 지금까지 달려와도 우리은하의 20분의 1도 못온거다는거다 다시말해 빛의 속도로 우리나라 전체 역사 기간을 20번 이상 반복한만큼 달려가야 도달할수 있는 거리란 말임. 우리은하 자체로 상상초월의 거대한 우주라고 할수있다 근데 이런 우리은하조차도 우주에서 하나의 점에 불과하니, 우주는 감히 크기라는 잣대로 대볼수 있는것이 아닌, 그냥 무한대로 보는게 맞다

  • @user-dp1sr5gw8g

    @user-dp1sr5gw8g

    5 ай бұрын

    빛의속도가 가능해야 비교도 가능하죠 ㅋ

  • @user-zu1uv2cs6r

    @user-zu1uv2cs6r

    Ай бұрын

    빛의 속도는 10×10의 8승 M/SEC입니다 먼훗날 빛의

  • @user-vo1ec6sv7m
    @user-vo1ec6sv7m4 ай бұрын

    이런거 너무좋다 ㅠㅠ

  • @dongsookim3702
    @dongsookim370211 күн бұрын

    우주에관한영상이면 거의다 딱딱한화면인데 나레이터분 너무아름다우시고 기획잘하셨네요,

  • @SAlNTLAURENT

    @SAlNTLAURENT

    6 күн бұрын

    배우 이지아임

  • @user-ox5by7bw1m
    @user-ox5by7bw1m9 ай бұрын

    재미있어요

  • @shyang5646
    @shyang56469 ай бұрын

    목소리가 매력적~

  • @WonhwaBear
    @WonhwaBear9 ай бұрын

    이지아님... 은하철도999의 메텔 닮아보여서 참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 @user-wf1mf6pf1h

    @user-wf1mf6pf1h

    8 ай бұрын

    철이는 너냐 ㅋㅋ

  • @gogirri

    @gogirri

    4 ай бұрын

    ​@@user-wf1mf6pf1h너 여자친구 없지

  • @user-dy6vf3lf3i

    @user-dy6vf3lf3i

    3 ай бұрын

    ㅋ.ㅋ.철이 ㅋ ㅋ 철이구나.

  • @gogirri

    @gogirri

    3 ай бұрын

    철이 ㅎㅇ

  • @mingyulee993
    @mingyulee9939 ай бұрын

    잘 만들었다 짝짝짝 풀 영상 어디가야 있나요 링크 부탁해요 ㅎㅎ

  • @user-nu6ro9jv4c
    @user-nu6ro9jv4c8 ай бұрын

    지아누나가 나레이션해주니까 녹네ㅎ

  • @user-mb9fm7zd7l
    @user-mb9fm7zd7l9 ай бұрын

    끝없는 우주와 수많은 행성들에 비교해보면 우리는 작은 미생물보다도 못한 크기인데 지구안에서 서로부대끼며 살아가는게 뭔가 신기하면서도 아무것도 아니라는 존재라는게또 괜한 우울감이오네

  • @BaeMatYT

    @BaeMatYT

    8 ай бұрын

    근데 또신기한게 우리안에 미생물 뿐만아니라 작은 세포 원자 그이하의 엄청작은 단위도있으니

  • @PETBOY

    @PETBOY

    8 ай бұрын

    영혼같은건 없음 그냥 죽으면 컴퓨터가 꺼지는것과 같다. 환생도 없고, 우울감도 가질필요 없다. 그냥 생존 본능때문에 뇌가 진화해온것일뿐, 그게 끝임

  • @jonghyukpark6528

    @jonghyukpark6528

    4 ай бұрын

    그냥 자기들이 전부인양 잘난체로 살아가는거지 뭐

  • @giannakim119
    @giannakim1198 ай бұрын

    오, 이지아 발음 정말 정확하다. 목소리가 아나운서 치곤 차분하다..생각했는데, 이지아 였네.

  • @TV-uz2ni
    @TV-uz2ni2 ай бұрын

    넘 예뻐요❤인류는 어떻게 저걸 다 관측했을까요??

  • @user-pn9py2ht5t
    @user-pn9py2ht5t3 ай бұрын

    잠잘때불안할때 듣습니다.감사합니다.

  • @tiger2566
    @tiger25668 ай бұрын

    이지아 넘 이쁘다 우주에 관해 꽤 전문 지식을 갖고 있다고 하던데 ㅎㅎ

  • @user-ld3or3nx3o
    @user-ld3or3nx3o8 ай бұрын

    와 인간 완전 겸손해 지네요.

  • @tuna0316
    @tuna03169 ай бұрын

    자기전에 보니깐 꿀잠각

  • @user-wt4se9br1h
    @user-wt4se9br1h2 ай бұрын

    너무흥미진진하다..😮😮

  • @uhohohot
    @uhohohot9 ай бұрын

    놀랍게도 시리우스, 베텔게우스는 겨울에 밤하늘에 눈으로 볼 수 있습니다 ㄷㄷ; 엄청 커서

  • @user-js9gk3jd6p

    @user-js9gk3jd6p

    9 ай бұрын

    엄청 커서 그렇다기 보단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깝고 밝은 별들이죠

  • @user-gr7hl4pz7r

    @user-gr7hl4pz7r

    8 ай бұрын

    안타라스도 추가

  • @coreaamerica1183

    @coreaamerica1183

    8 ай бұрын

    나사 그래픽을 믿?? 나사를 창설한 집단이 누구인지는 알고요? ㅋㅋ

  • @Honolulu12

    @Honolulu12

    8 ай бұрын

    ​@@coreaamerica1183당신보다는 신뢰가 가는데요? ㅋㅋㅋ

  • @coreaamerica1183

    @coreaamerica1183

    8 ай бұрын

    @@Honolulu12 그냥 세뇌되어 지금처럼 사세요.

  • @user-bc5hr7hd4s
    @user-bc5hr7hd4s7 ай бұрын

    이지아님 설명도 또박 또박 머리에 쏙쏙 들어오게 설명을 잘 하시네요

  • @rjadms12

    @rjadms12

    6 ай бұрын

    대본임

  • @user-bo9gl7lp5d

    @user-bo9gl7lp5d

    3 ай бұрын

    그다지 도도한척 극혐

  • @heart-of-people
    @heart-of-people7 ай бұрын

    은하계가 어마어마하게 큰 궤도로 공전을 하고 있다면 지구의 움직이는 속도가 빛보다 빠를 수 있지 않나요?

  • @yunadrift
    @yunadrift8 ай бұрын

    이지아님 처음 등장 하실 때 렛잇고 열창이라도 하시는 줄 알았습니다. 드레스랑 배경이...

  • @BOMB584
    @BOMB5848 ай бұрын

    어렇게 상상도 하기 힘든 어마 무시한 우주에서 설령, 외계인이 있더라도 그 외계인이 지구를 찾기란......태평양 바다에서 바늘 찾기보다 힘들듯

  •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6 ай бұрын

    외계인 토템사상

  • @winterview

    @winterview

    3 ай бұрын

    바늘이면 너무 크게 쳐준거 아닐까싶다. 원자 분자 단위로 가도 될까말까인데

  • @kimminung1806
    @kimminung18069 ай бұрын

    이집 꿀잠 맛집이넹

  • @AsOneLove
    @AsOneLove2 ай бұрын

    _우주의 크기도 궁금하지만.. 여자친구 유주도 너무 이뻐요😂_

  • @user-ok4ql4ii7n
    @user-ok4ql4ii7n6 ай бұрын

    목소리 너무 이뿌다

  • @Isanman
    @Isanman2 ай бұрын

    이지아님 수고하셨습니다. 은하철도999의 메텔같네요,

  • @ellinM
    @ellinM6 ай бұрын

    나레이션을 차분하게 잔잔히 잘한다.. 방송시간만 길어도 잘때 켜놓고 자도 좋을듯... ^-^;;

  • @user-bo9gl7lp5d

    @user-bo9gl7lp5d

    3 ай бұрын

    이지아 뭐라도 된마냥 도도한척 하는게 꼴뵈기시름

  • @jinhyuk1108
    @jinhyuk11084 ай бұрын

    경이롭다는 말 밖에 안 나오네요 허무맹랑한 이야기 같기도 하구요 눈으로 직접 볼 수 없으니 말이죠 그렇지만 우주를 나가지 않고서도 지구에 비교만 하더라도 우리는 정말 작디 작은 존재이죠 지구 안에서도 80억명의 사람들이 살고 있고 그 사람들은 지구 면적의 30%에 살고 있고 나머지 70% 바다가 차지하고 있고 바다는 아직 완전히 관측되지 않은 미지의 세계이며 아마 우리의 터전인 땅도 어딘가 사람의 발길이 한 번도 닿지 않은 그런 곳이 있지 않을까요? 우주로 갈 것도 없이 지구 안에서도 우리 존재란 아주 작디 작은 존재인데 영상의 마지막에 나왔듯이 이렇게 작은 존재가 서로와 서로가 얽혀 희노애락을 느끼며 일생을 살아가는다는 것. 기적이 아니고서야 이럴 수가 있을까요? 우리 존재의 자체는 기적입니다. 그래서 저는 사람으로서 생명이 다한 그 뒤가 정말 너무나 궁금하네요. 죽고 난뒤의 세상은 어떤 세상일지 아무것도 없는 텅빈 곳일지 아니면 또 다른 세계가 펼쳐질지 나의 원자들이 퍼지고 퍼져 우주의 한 부분이 될지 궁금하네요

  • @user-mm6kr6bx6j
    @user-mm6kr6bx6j9 ай бұрын

    우주과학에 딱맞는 목소리와 외모.

  • @user-by2lu5qe5d
    @user-by2lu5qe5d9 ай бұрын

    설명이 명괘합니다

  • @user-lf4nb5yr8t
    @user-lf4nb5yr8t4 ай бұрын

    우리은하도 작은게 아니지만 안드로메다 은하계보단 5만원권 현금 한장이 더크게 느껴지는 시대에 살고 있는게 더 경이롭습니다

  • @user-bz1kq4yj3r
    @user-bz1kq4yj3r25 күн бұрын

    잘만들었다 더 만들어주세요

  • @StellarEVE2
    @StellarEVE29 ай бұрын

    아나운서 누군가했는데 ㅋㅋㅋㅋㅋㅋ너무 잘한닼ㅋㅋㅋㅋ속아부렷어

  • @ArchAngel_of_valor
    @ArchAngel_of_valor8 ай бұрын

    거대한 우주속에 얼마나 많은 행성들이 존재하는지 지구를벗어나 보고싶다.

  • @jungtang181
    @jungtang1813 ай бұрын

    진짜 점입가경이란 말이 딱 들어맞네... 은하 나오면서 부터는 가늠조차 안된다.

  • @liy-0102
    @liy-01024 ай бұрын

    우주의 크기보다 저걸 알아냈다는게 더 신기하고 믿어지지 않을뿐이다.

  • @user-np8hm2tu1l
    @user-np8hm2tu1l9 ай бұрын

    먼지가 모여 별이 되고 별이 모여서 성단이 되고 성단이 모여서 은하가 되고 은하가 모여서 은하군이 되고 은하군이 모여 은하단...또 은하단이 모여서 초은하단이... 그런대 지금 우리 인류가 관측 가능한것이 이정도이고 이걸 통틀어 우주라 하는대 혹시나 만약에 우리 인류보다 더 뛰어나고 위대한 종족이 있다면 우주가 우리가 보는 하나의 태양계 혹은 은하같은 구조물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아직 우리가 관측가능한 영역이 적고 태양계 그이상을 정밀하게 관측하기 시작한게 60여년정도 밖에 안된걸 생각하면요 우주를 초월한.. 우주가 모여 만들어진 뭔가가 있을갓 같은.. (다중우주랑은 다른의미)

  • @user-xg6cj3ib5f
    @user-xg6cj3ib5f8 ай бұрын

    광대무변. 끝이 없다...가 진리죠!!! 우주가 한 개념의 덩어리라면 또 다른 물질과 운동성을 가진 개념의 무엇이 수도 없이 끝도 없이 있을 것이고....

  • @urxcgzn
    @urxcgzn8 ай бұрын

    5:43 대마젤란 은하는 14,000광년, 솜브레로 은하가 7,000광년인 것이 맞나요? 화면상으로는 솜브레로 은하가 더 커보이는데 숫자상으로는 작네요

  • @user-ul6bs7nn7k
    @user-ul6bs7nn7k9 ай бұрын

    과거 우주에 대해 잘 못 판단한것 처럼... 지금의 우주 관측또한 오류가 있을 수 있겠죠??

  • @nostalgia_star
    @nostalgia_star9 ай бұрын

    지아누나 계속 나오게 해주세요. 몰입도가 굉장합니다!!

  • @rx68000
    @rx680006 ай бұрын

    볼 때마다 신기하고, 소름돋는다.... 관측가능한 우주범위보다 더 넓고 광활하고, 심지어 더 팽창중이니 더 가늠이 안되는 곳이 우주인데, 그런 작은 행성 중, 지구가 있고, 대륙이 있고, 바다도 있고, 사람이 살지만, 그 조차도 우주에선 그냥 atom일 것 같네요...

  • @The-Kop

    @The-Kop

    4 ай бұрын

    저런게 어떻게 왜 존재하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저렇게 거대한곳에서 티끌만한 지구에 생명체가 존재하는것도.. 생명체가 어떻게 생겨난지도.. 인간이 어떻게 지성을 가졌는지도.. 남녀관계 새생명 탄생..모든게 이해가 안됨

  • @cnddus1000

    @cnddus1000

    3 ай бұрын

    ​@@The-Kop그래서 종교를 믿나봐요

  • @user-dd3qx8by4g

    @user-dd3qx8by4g

    Ай бұрын

    @@The-Kop 성경을 읽어보심 답나옴

  • @user-ow1up9ev2x
    @user-ow1up9ev2x4 ай бұрын

    옳은말이다. 인류가 천문학적인 거리에 우주를 헤아린다는게 얼마나 어려운가.대단하다. 과학자들께 경의를 표한다.

  • @user-ck1hq7ck6p
    @user-ck1hq7ck6p4 ай бұрын

    우리가 사는 지구입니다. 따듯하고 평안하고 ㅡ우주의 끝을 찾아서

  • @user-sy2on9rp8y
    @user-sy2on9rp8y6 ай бұрын

    우주보다 지아님 이 더 궁굼하네요 어쩜 저리도 예쁘실까 목소리도 나긋나긋하고 정말 너무 보배롭습니다

  • @fkflddjs
    @fkflddjs9 ай бұрын

    VR로 보면 어떨까 싶어지네…

  • @chans9005
    @chans90052 ай бұрын

    대단함

  • @Ushxbbxmkckfka
    @Ushxbbxmkckfka21 күн бұрын

    아니 우주 설명하는데 이렇게까지 이뻐야했나 싶었는데 이지아였네ㅎㅎ

  • @nunes6936
    @nunes69363 ай бұрын

    이지아가 예쁘니까 더집중이되네요 ❤❤❤

  • @user-lo3dm5ec3c
    @user-lo3dm5ec3c8 ай бұрын

    이지아 배우님 우주랑 너무 잘어울리세요~은하옆에 계시니까 엄청커보이시네요~

  • @user-ym2yv8ry5j
    @user-ym2yv8ry5j8 ай бұрын

    삶은 버겁고,힘드네요. 죽으면 원자로~나를 표현할까요? 자신이 살아 있을때..사랑하고,고마워하고,미안해 하고,그래도~울 어머님의 사랑만큼..살다 갈거에요!

  • @QT-gn1ef
    @QT-gn1efАй бұрын

    학교에서 이 영상을 봤는데.... 충격과 신비로움을 동시에 느낌

  • @stillalive8432
    @stillalive84325 ай бұрын

    우주를 지금까지 관측 가능한곳까지 봐도 저렇게 무수히 넓은 공간에 우리는 너무나도 작은 존재인거 같습니다 ‘채근담’에서는 “달팽이 뿔 끄트머리 만한 세상에서 서로 잘났다고 겨룬들, 그 세상이 얼마나 되겠는가?” 이 문구가 떠오르는거 같습니다 한없이 겸손해야 할거 같습니다

  • @Zman158
    @Zman1589 ай бұрын

    관측 가능한 우주 도 우주 전체의 티끌만도 못한 일부일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는 것이 더 무섭다 그야말로 깊이가 가늠이 안되는 검은 물 을 보는 듯한 미지의 공포. 그리고 빛 이라는 관측 수단이 더이상 먹히지 않는 영원히 알 수 없는 바깥 우주. 한술 더 떠서 지금 이 순간에도 그 바깥 우주는 팽창하며 빛보다 빠르게 우리에게서 더 멀어지고 있고...

  • @user-cj9qm1hz5q

    @user-cj9qm1hz5q

    Ай бұрын

    지구상 파악된 생물 종만 2003년기준 160만종임.. 생물마다 각각 특성이 다르지만 결국 비슷함 수명이 다를뿐 수명을 갖고있고 환경이 다를뿐 삶과 죽음이 있음 우주가 아무리 넓은들 결국 우주안에서 작용하는것이고 형태나 물질이 다를수 있을지언정 태양계의 지구와 별반 차이 없을듯

  • @user-cj9qm1hz5q

    @user-cj9qm1hz5q

    Ай бұрын

    에너지를 갖고있는 모든것은 "DIE" 우주도 팽창하지만 결국 에너지를 갖고있는것이고 언젠간 "DIE"

  • @user-cj9qm1hz5q

    @user-cj9qm1hz5q

    Ай бұрын

    DIE라는 맥락으로 날파리 같은 하루살이나 우주나 크게 다르지 않음 다르다고 생각하는건 인간의 기준일뿐

  • @user-ie5jt6bj9y
    @user-ie5jt6bj9y8 ай бұрын

    사랑해염❤

  • @Uaeh
    @Uaeh9 ай бұрын

    현재 ton 618보다 더 큰 블랙홀이 이미 알여져 있습니다. phoenix a

  • @Moonlights2024
    @Moonlights20249 ай бұрын

    우리 생명체는 저 우주에서 금 은 보다 귀한 존재입니다. 우주가 놀랄만큼 작고 소중한 우리❤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