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홀은 어떤 공간이고, 어디에 있으며, 어떻게 만들어질까? (곽재식 작가)

Ойын-сауық

잡지사 방송 | 매주 월~금 오후 7시30분~8시 CBS 라디오 표준FM 98.1MHz
※12/13 수요일 방송분
#잡다한지식사전 #블랙홀 #곽재식

Пікірлер: 49

  • @zapzisa
    @zapzisa6 ай бұрын

    00:53 다 빨아들이는 블랙홀 01:44 왜 이름이 ‘블랙홀’일까 🕳️ 05:40 블랙홀 힘의 원천, 중력 10:18 블랙홀의 크기가 0이라고?? 15:05 스티븐 호킹이 위대한 이유 19:30 호킹이 과거시험을 봤다면 📝 21:38 사건의 지평선 23:46 블랙홀 덕에 지구가 있고 우리가 있다 27:17 블랙홀 연구가 가져올 미래 🧐

  • @mica-ya
    @mica-ya6 ай бұрын

    이강민의 잡지사와 곽재식 작가님이라는 블랙홀에 빠지고 있네욤😂 매의 눈으로도 안보이는 블랙홀!! -너 왜 매의 눈으로 보니?-나 맨데? ㅎㅎ 취향저격 멘트입니다

  • @jhunterkim
    @jhunterkim6 ай бұрын

    블랙홀에 가장 잘 어울리는 블랙 자켓 매니아 검블 곽작가❤

  • @user-kk6qp3sb7y
    @user-kk6qp3sb7y6 ай бұрын

    블랙홀이 우주의 사랑과 영혼 비유에서 빵 터졌어요 😊

  • @jklee6609
    @jklee66096 ай бұрын

    네이버엔 지식인 잡지사엔 재식인! 쩌는 라임인데 좋아요 안눌러주셔서 슬펐는데요 방송타다니 영광입니다!😍🎉 ㅋㅋㅋㅋㅋ재식인! 화이팅 재식인 멋져요ㅋㅋㅋㅋㅋㅋㅋ ❤️

  • @yeramfafa
    @yeramfafa6 ай бұрын

    제가 참 좋아하는 곽작가님 입담으로 블랙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 좋습니다, 진짜 우리우주는 양자장보를 사건의 지평선으로부터 받아 만들어진 블랙홀 안의 홀로그램일 것 같아요

  • @MoonsikKang
    @MoonsikKang6 ай бұрын

    곽자가님 팬입니다. 기후변화에 관심이 많아서 곽자가님 책을 비롯해 이것저것 읽다가 인공광합성과 오란티오키트리움이라는 조류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곽자가님께서 설명해주신다면 두고두고 가문의 영광이겠습니다. 항상 유익하고 소중한 지식을 너무 재미나게 이야기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vi4ek1kd4p
    @user-vi4ek1kd4p6 ай бұрын

    ♥곽재식 박사님을 이 시대에 한국으로 보내주신 하나님께 무한 감사♥♥♥

  • @user-vi4ek1kd4p

    @user-vi4ek1kd4p

    6 ай бұрын

    ㅎㅎㅎ 사모님은 칭송보다는 험담 먼저 할 것 같습니다 ㅋㅋ 곽박사님처럼 해박하고 달변이며 한국말 하는 한국사람을 이시대에 한국으로 보내주신 주님 은혜가 그저 감사할 따름입니다 ^^

  • @user-mo8bz3ip6f
    @user-mo8bz3ip6f6 ай бұрын

    갓재식!!! 이걸 해주시다니

  • @tlopsol
    @tlopsol6 ай бұрын

    잊고 싶은 기억은 다 블랙홀에 넣어버리고 싶지!

  • @user-mm2mo8ed1g

    @user-mm2mo8ed1g

    6 ай бұрын

    꺅🎉

  • @user-qm6oi5fp4f
    @user-qm6oi5fp4f6 ай бұрын

    곽재식 작가님 캐릭터 인형 나왔으면 좋겠어요. 😅😅😅

  • @user-qo4np7tz5k
    @user-qo4np7tz5k6 ай бұрын

    세상엔 정말 똑똑한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요.

  • @user-rc9ru9dt2g
    @user-rc9ru9dt2g6 ай бұрын

    좀전에 라디오 듣고 왔음~~

  • @salva303
    @salva3036 ай бұрын

    재밌게 설명잘해주신

  • @user-pg2jb8nw5t
    @user-pg2jb8nw5t6 ай бұрын

    진짜..10대때 곽재식 교수님 만났으면 나 인생이 달라졌을듯 과학이 너무 재밌다..이제서라도 아기 낮잠재우며 과학공부중..😅

  • @kallisto8375
    @kallisto83756 ай бұрын

    역시 오늘도 블랙홀같은 매력을 보여주시는 과하학재식 선생님... 과하학ꉂ(ᵔᗜᵔ*)ㅋㅋㅋㅋ🧪👩‍🔬👨‍🔬과하하학🧪☢️👩‍💻과핳핳핳🐜🐌🐝🦋🕷과학학ꉂ(ᵔᗜᵔ*)ㅋㅋㅋㅋ🐝🦋과항항항🦂🦟🪰과학학(ᵔᗜᵔ*)🐛🕸🪰🐞과핳핳핳핳🦗🦑 과학학ꉂ(ᵔᗜᵔ*)ㅋㅋㅋㅋ🐟🌊과하하학🐢🦜과핳핳항🐸🐔과학학ꉂ(ᵔᗜᵔ*)ㅋㅋㅋ👩‍🔬👨‍🔬👩‍🔬👨‍🔬👩‍🔬👨‍🔬과학학학

  • @zzzarent5269
    @zzzarent52696 ай бұрын

    어우야 곽작가님 설명 진짜 잘한다ㅋㅋㅋ

  • @dianediane8733
    @dianediane87333 ай бұрын

    곽박사님 대단😊

  • @user-pd7bz7rh2j
    @user-pd7bz7rh2j4 күн бұрын

    카이스트 82년 소설가 교수님

  • @jungwonjiwonchoi1995
    @jungwonjiwonchoi19956 ай бұрын

    Muy Bien

  • @Youngstone88
    @Youngstone886 ай бұрын

    ❤❤❤❤❤❤❤❤

  • @tel0243
    @tel02436 ай бұрын

    내 지난 과오와 허물과 금융부채를 모두 사건의 지평선 너머로 보내주고 싶군요~

  • @user-em3gd4fh9v
    @user-em3gd4fh9v6 ай бұрын

    예전에 끈이론에 대한 다큐를 본 적이 있는데요 그 이론이라면 전자기력과 중력을 통합 할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끈이론에 대한 방송도 기대해 봅니다

  • @zzzarent5269

    @zzzarent5269

    6 ай бұрын

    하지만 끈이론은 검증이 근원적으로 불가능해서 앞으로도 주류이론이 될 수 없을거에요. 태극과 오행을 논하고 기와 이를 논하는 사변적인 동양철학과 다를게 없는 수준이라

  • @user-zz7hx5hh3v
    @user-zz7hx5hh3v5 ай бұрын

    4:44 매눈 드립은 쇼츠로 나와야 합니다

  • @kyoungkoo
    @kyoungkoo6 ай бұрын

    금속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금속을 다루시는 분들 중에 간혹 예전에 나온 쇠가 더 좋다.. 라고 하시는 분들이 있더라구요. 금속을 만드는 기술이나 합금 기술등이 시대가 지나서 더 발전했을텐데.. 옛날 쇠가 더 좋다고 말하는 분들은 그저 기분이나 느낌을 갖고 하는 말일까요? 아니면 정말 에전에 생산된 쇠, 금속들이 더 좋은 부분이 있어서일까요? 그것도아니면 금속도 오래되면 뭔가 숙성이 되어서 좋아지는 걸까요?

  • @user-zz7hx5hh3v
    @user-zz7hx5hh3v6 ай бұрын

    아 매의눈 드립 미쳤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isangjun
    @aisangjun6 ай бұрын

    곽재식 작가님 화이트홀도 있다는데 가르쳐주세요

  • @joonyoon55

    @joonyoon55

    6 ай бұрын

    과거에 블랙홀이 있다면 화이트홀이 있지 않을까 하는 가설이 있었지만 현재는 화이트홀은 없다고 결론이 나있습니다 화이트홀이란 블랙홀로 빨려들어간 물질들이 무한대로 빨려들어갈 수가 없으니 어딘가로 빠져나올 것이다라는 가정이었지만 현재는 그를 뒷받침할 이론이나 공식도 없고 관측도 되지 않고 있습니다. 대신 웜홀은 킵 손 교수에 의해 이론적 수식은 만들어졌습니다. 문제는 그러기 위해서는 음의 에너지라는 것이 있어야 하는데 그건 그냥 가정일 뿐이고 계산상으로도 최소한 태양 정도되는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아직은 그냥 수식으로만 존재하죠

  • @user-xg4sj5dh4w
    @user-xg4sj5dh4w5 ай бұрын

    곽박사 심괴에서 다시보고싶음

  • @user-bo3ic8fi3n
    @user-bo3ic8fi3n6 ай бұрын

    다 블랙홀에 넣읍시다.

  • @wdee1218
    @wdee12186 ай бұрын

    곽재식 작가님 보면 매불쇼에 안진걸 소장님이 오버랩되는건 왜일까요...

  • @jungmunkim6011
    @jungmunkim60116 ай бұрын

    곽작가님과 썬킴님 중 누가더 박학다식한지 궁금해져요.ㅎㅎㅎ

  • @user-fr8tq8in3c

    @user-fr8tq8in3c

    6 ай бұрын

    두 분 분야가 너무 달라서…ㅋㅋㅋㅋ

  • @gbjeon5617

    @gbjeon5617

    6 ай бұрын

    곽작가..넓고얕음 썬낌...많이넓고살짝깊음

  • @joonyoon55

    @joonyoon55

    6 ай бұрын

    @@gbjeon5617곽자가님이 얕다뇨. 카이스트 출신의 화학박사인데요. 과학에 대해서는 아주 깊습니다

  • @gbjeon5617

    @gbjeon5617

    6 ай бұрын

    @@joonyoon55 거기까지만깊다는말입니다..

  • @user-dq6do3ri4o

    @user-dq6do3ri4o

    6 ай бұрын

    @@gbjeon5617썬킴이 뭐가 깊어요 당장 댓글만봐도 맨날 틀리더만

  • @gugeanirang
    @gugeanirangАй бұрын

    지금 보다가 궁금한점이 생겼는데요~ 블랙홀에 강착원반이 있잖아요? 강착원반이 생긴다는건 블랙홀의 중심이 특정한 방향으로 회전한다는 거고 방향성이 있으려면 부피가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 @user-mm2mo8ed1g
    @user-mm2mo8ed1g6 ай бұрын

    구독자들의 관심을 빨아들이는 인간 블랙홀 곽재식은 못 참지!

  • @user-fc9pv7kx7n
    @user-fc9pv7kx7n6 ай бұрын

    일반 상식선에서 생각하면 블랙홀이 무한이 작아진다면 질량도 거의 없어지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그런데 질량이 높을 수록 강한 중력을 가지게 되니까 블랙홀은 질량이 큰 거겠죠? 무한히 작아질 수 있으면서 어떻게 거대한 질량을 가질 수 있나요?

  • @zzzarent5269

    @zzzarent5269

    6 ай бұрын

    작아진다는건 3차원에서의 부피의 개념이고 강한 중력은 질량의 개념인데 무한히 작은 부피 즉 0에 수렴하는 공간에도 질량이 존재할수 있습니다. 인간의 생활 스케일로 생각하면 이해 불가지만 스케일이 좀만 달라져도 생각도 못한 희한한 일이 벌어지는게 본질적인 우주임. 일단 수학적으로 전혀 모순이 없음. 우주는 수학으로 만들어져 있으니까 수학적으로 가능하면 우주 어딘가에선 그 사건이 무조건 발생함

  • @user-fc9pv7kx7n

    @user-fc9pv7kx7n

    6 ай бұрын

    @@zzzarent5269 부피 없이 질량이 존재할 수 있다는 거군요. 감사합니다.

  • @zzzarent5269

    @zzzarent5269

    6 ай бұрын

    ⁠@@user-fc9pv7kx7n별말씀을.. 부피는 없지만 질량은 존재하는 그것을 특이점이라고 하죠. 블랙홀의 중심이 특이점이고 빅뱅이 일어난 그 무언가가 특이점.

  • @user-ko2kt5jk5z
    @user-ko2kt5jk5z6 ай бұрын

    왠지 전 싫어하는사람을 블랙홀에 넣어버리고싶은 마음이 드내요 ^^

  • @user-dy9yg6vk1k
    @user-dy9yg6vk1k6 ай бұрын

    우주의 쓰레기통이다

  • @user-zk5zy2jo8o
    @user-zk5zy2jo8o6 ай бұрын

    이 정권을 블랙홀에 넣어 버리고십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