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사관? 장교? 중대장의 모든것 [대위] 1부

Ойын-сауық

황서진대위 • 예비군훈련 가서 안보교육받다가 대대장에게...
00:28 군인의 출신성분
00:40 육군사관학교
01:13 학사장교 군 장학금
01:42 학사장교와 ROTC 뭐가 더 좋아요?
02:00 장교의 면접
02:25 부대는 자신이 정하는건가요?
03:08 보직은 자신이 정하는건가요?
03:50 진급이 잘되는 보직은?
04:07 인사과, 정보과, 작전과, 군수과, 동원과
04:43 보직별 특징
05:04 “군대는 솔직히 작전이 제일 파워가 쎄요”
05:32 학벌은 영향을 안미치나요?
05:47 육사가 그렇게 대단해?
06:50 “높은 자리는 육사 출신이 많아요”
08:07 장교를 할까? 부산관을 할까? 고민이라면?
09:50 장교의 월급
직업의 모든 것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전합니다.
선생님이 악플을 달면 제가 현실을 전하기 힘들어집니다.
건전한 댓글문화 우리 함께 만들어요.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Пікірлер: 1 000

  • @jikmo.
    @jikmo.4 жыл бұрын

    황서진대위 kzread.info/dash/bejne/paeNqtOPcde1eZM.html 00:28 군인의 출신성분 00:40 육군사관학교 01:13 학사장교 군 장학금 01:42 학사장교와 ROTC 뭐가 더 좋아요? 02:00 장교의 면접 02:25 부대는 자신이 정하는건가요? 03:08 보직은 자신이 정하는건가요? 03:50 진급이 잘되는 보직은? 04:07 인사과, 정보과, 작전과, 군수과, 동원과 04:43 보직별 특징 05:04 “군대는 솔직히 작전이 제일 파워가 쎄요” 05:32 학벌은 영향을 안미치나요? 05:47 육사가 그렇게 대단해? 06:50 “높은 자리는 육사 출신이 많아요” 08:07 장교를 할까? 부산관을 할까? 고민이라면? 09:50 장교의 월급 직업의 모든 것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전합니다. 선생님이 악플을 달면 제가 현실을 전하기 힘들어집니다. 건전한 댓글문화 우리 함께 만들어요.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brownbottle3173

    @brownbottle3173

    4 жыл бұрын

    크흠 부산관 X => 부사관

  • @LOL-xw1yk

    @LOL-xw1yk

    4 жыл бұрын

    전방 직할 통신이였지만 통신의 주적은 작전과다.

  • @piglet_in_cafe

    @piglet_in_cafe

    4 жыл бұрын

    @@LOL-xw1yk ㅇㅈ

  • @user-co8cd2pd4z

    @user-co8cd2pd4z

    3 жыл бұрын

    8ㅎ

  • @maxwon7627

    @maxwon7627

    3 жыл бұрын

    @@LOL-xw1yk ㅇㅈㅇㅈ

  • @지산카센터
    @지산카센터4 жыл бұрын

    앗! TV러셀님 출연하셨군요. ^^ 직업 군인의 면모를 일반인분들이 알기 쉽고 가볍게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군장학생으로 ROTC하면서 학사장교를 하는 것이 좋군요. 전방 작전 후방 동원 잘 알았습니다. 유익한 영상 시청 잘했습니다. ^^

  • @TV러셀
    @TV러셀4 жыл бұрын

    많이 부족하지만 인터뷰를 잘 이끌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잠깐지만 매우 즐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neomind9229

    @neomind9229

    3 жыл бұрын

    aoc 나온 병사입니다 이렇게 전역후 활동하시는걸 또 보게될줄은 몰랐네요 ㅋㅋ 반갑습니다

  • @kkokkosae

    @kkokkosae

    3 жыл бұрын

    빠진 ^이^ 채워드림

  • @nono6821

    @nono6821

    2 жыл бұрын

    말 잘못했을때 '다시'하고 말했으면 완벽

  • @user-ix8uu6gk3d
    @user-ix8uu6gk3d4 жыл бұрын

    평소 자주보던 두 분이 한영상에 같이 나오니까 뭔가 되게 신기하네요 ㅋㅋ

  • @user-jx7sp8gy7s
    @user-jx7sp8gy7s4 жыл бұрын

    소령진급도 육사출신일때도 1차에 붙는경우도 60%밖에 안됩니다. 현실은 육사출신으로 중령까진 무난하나 1차에 무조건붙진않습니다. 대령진급까진 육사출신이여도 정말 어렵습니다. 현 육군 소령올림

  • @user-jx7sp8gy7s

    @user-jx7sp8gy7s

    4 жыл бұрын

    추가로 월급이 적은편은 아니지만 많은편도 아닙니다. 보통 대위임관하여 가정을 꾸리는장교가 많고,나라에 헌신하며 개인의시간을 줄여도 전부 보상은 받지않습니다. 나라를 지키며 국민을 위해 복무를 잘하는 군인분들도 정말 많습니다. 주적은간부라고하지만 지휘체계를 유지하며 전쟁을대비하는 곳에서 인권을 지키며 병사들을 이끌다보면 그누구든 싫은소리 싫은행동을 할수밖에 없습니다.

  • @user-naeshhh
    @user-naeshhh4 жыл бұрын

    궁금했는데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user-cm2vt8ib4g
    @user-cm2vt8ib4g4 жыл бұрын

    정말좋은 컨텐츠입니다 직업에대해 궁금한점들 다해결되고 진로결정하신는분들은 도움많이되겠어요

  • @user-vr5sp8yh3z
    @user-vr5sp8yh3z4 жыл бұрын

    ㅋㅋㅋ 드디어 올라오셨군여. 기다렸슴..

  • @lee5093
    @lee50934 жыл бұрын

    재밌다

  • @user-uk1nu9jg7p
    @user-uk1nu9jg7p4 жыл бұрын

    9:13 하는게 없다뇨?저희 아빠가 군생활 22년차 육군 중령이신데 주말도 없이 부대 왔다갔다하시고 명절에도 어디 가지도 못하시고 평소에도 밤 10시 전에 퇴근하시는걸 본적이 거의 없는데;특히 전방부대에 계실 땐 가족들이랑도 떨어져지내게 되는 경우가 대다수고 진짜 고생 많이 해요 장교분들ㅠㅠㅠㅠ그런 식으로 함부로 말하지 않으셨으면 해요

  • @user-st3iq8ln4k

    @user-st3iq8ln4k

    4 жыл бұрын

    중령 진급하셨으면 걱정 한 시름은 놓으셨겠네요

  • @borishanawesometv

    @borishanawesometv

    2 жыл бұрын

    사령부나 군단급 부대 작전과장이나 작계과장이 대령 진급 노리는 중령 보직인데 저기 가면 진급 발표나기전에는 칼퇴없을겁니다. 하루 4~5시간 자나

  • @user-nt5vl5eq9l
    @user-nt5vl5eq9l4 жыл бұрын

    간부도 스트레스 많이 받든데요ㅋㅋ충분히 이해갑니다

  • @italy311
    @italy3114 жыл бұрын

    제일 좋은 보직은 군면제 입니다.

  • @user-by1bk2jr2z

    @user-by1bk2jr2z

    4 жыл бұрын

    Taesung Kim 꿀보직이거나

  • @_bicycletraveler2581

    @_bicycletraveler2581

    4 жыл бұрын

    여기 영상에 나오신 분은 직업군인 출신이라 제외겠지만, 일반적으로 징집된 병사들은 면제가 신의 아들 맞음. 1년 6개월인가 지금 현역? 그 긴 시간을 기왕이면 다른데 쓰자 다들.

  • @user-pl4jy6ek4e

    @user-pl4jy6ek4e

    4 жыл бұрын

    @@_bicycletraveler2581 만약에 사회에서 할게없으면 어떡하나요?

  • @_bicycletraveler2581

    @_bicycletraveler2581

    4 жыл бұрын

    @@user-pl4jy6ek4e 뭐라도 있죠ㅋ 학업, 자기개발, 취업, 경험(여행, 도전, 취미활동 등) 등등 할 수 있는 건 무궁무진하죠. 내가 어쩔 수 없이 강제로 하는거랑, 내가 하고싶어서 하는거랑은 천지차이입니다.

  • @user-ri6gf1mg6e

    @user-ri6gf1mg6e

    4 жыл бұрын

    필요는 하는데 나는하기싫고.남들이야 하든지 말든지 그런말은ㅋ 애도 아니고 할건합시다.ㅋㅋ

  • @user-wo9pk9pn1x
    @user-wo9pk9pn1x4 жыл бұрын

    학사장교와 군장학생은 다른 제도인데 같은 것처럼 이야기하셨네요. 엄연히 다른 제도입니다. 군장학생: 의무복무기간 6년 4개월(7년), 대학 4년의 등록금에 대한 장학금을 받음. 군장학생시험에 붙고 나서 학군단(ROTC) 시험 응시가능. 학군단에 합격하게 되면 학군사관 신분 획득, 대학 3.4학년 간 학군사관후보생으로 생활, 졸업 후 임관. 학군단 시험을 응시하지 않으면 자연스레 학사사관으로 임관. 대학(학사)졸업 후 16주 훈련 후 임관 학사장교: 의무복무기간 3년 대학(학사)4년제 이상 졸업예정자 또는 졸업자 중 제한사항이 없는자에 한해 가능. 졸업 후 16주의 기초훈련 후 임관 학군사관(ROTC) : 의무복무기간 2년 4개월 대학교 1.2학년 때 지원 가능. 합격시 3.4학년간 후보생생활과 방학 간 훈련을 병행. 졸업 후 바로 임관 즉 군장학생이면서 학사장교인 사람도 있고, 군장학생이면서 학군장교인 사람도 있습니다.

  • @user-wh1wo5oh6v

    @user-wh1wo5oh6v

    4 жыл бұрын

    제가 군장학생인데 정확하시네요

  • @kenjoduya

    @kenjoduya

    4 жыл бұрын

    저도 이 말을 하고싶었는데 대위전역출신 그것도 비육사출신이 이런 상식을 모르는게 실망이네요

  • @musicshorter5415
    @musicshorter54154 жыл бұрын

    공군이랑 다르네요. 공군은 기훈단(후보생) 성적순으로 특기를 지원하고 특기학교에서 성적순으로 근무지를 선택하게 됩니다. 본인실력만 있다면 꿀특기+꿀부대를 노려볼 수 있죠!

  • @user-zs2zq4gg2p
    @user-zs2zq4gg2p2 жыл бұрын

    질문하는 젊은이, 음성이나 말투나 질문내용이나 정말 ㅜㅜㅜㅜㅜㅜㅜ 이 표시 백개다 ㅜㅜㅜㅜㅜㅜㅜ

  • @dan1018
    @dan10184 жыл бұрын

    합참 작전처에 생각보다 RT 출신 꽤 있어요. 그리고 병사들이 간부 소,중,대대장만 봐서 잘 모르는데 그런 지휘관 역할은 1-2년 잠깐이고 사령부나 국직부대가면 실무자 역할 엄청 많이해요. 업무량 굉장히 많고 퇴근 엄청 잦음. 훈련때마다 남들 다 휴가갈때 휴가 반납해야되고. 월급 업무량에 비해서 많은거 절대아닙니자.

  • @Laura-ri6yr
    @Laura-ri6yr4 жыл бұрын

    공부를 잘해야 육사를 가지만, 가서도 4년 내내 열심히 공부하고 체력 훈련받는게 육사생도들입니다. 서로 으쌰으쌰하는 학우애도 자연스레 커지고 어찌보면 졸업 후에도 서로 대우해주고 대우받고 잘되는게 당연할 지도 모르는..

  • @allezliverpool3335

    @allezliverpool3335

    4 жыл бұрын

    프리패스라서 문제지 사실 공정하게 경쟁해도 육사가 잘하긴 매한가지죠

  • @user-kz7sk9mh5q

    @user-kz7sk9mh5q

    3 жыл бұрын

    근데 그 육사생도들이 병보다 못뛰는 새키들 많던데 ㅋㅋ 비율이 병이 압도적으로 많아서 생도들이 뛰어나보이는거지 둘이 서로 맞추면 오히려 병이 이길수도 있다고 보는데 그리고 전쟁도 안치뤄본새키들이 뭘 공부 더했다고 뛰어나다고 ㅈㄹ하는거지 ㅋㅋ 진짜 뛰어난 사람들은 6.25 뛴 사람들인데 그사람들한테는 개차반취급하면서 ㅈ같은나라

  • @user-jt9yq4ns5x

    @user-jt9yq4ns5x

    3 жыл бұрын

    @@user-kz7sk9mh5q 네다음 학사

  • @user-cr2pv7gd2d

    @user-cr2pv7gd2d

    3 жыл бұрын

    @@user-kz7sk9mh5q 3사 어서오고

  • @user-hx4gd7fe1d

    @user-hx4gd7fe1d

    3 жыл бұрын

    육사 입결 개허벌인데 ㅋㅋ

  • @lgh5887
    @lgh58874 жыл бұрын

    중대장 취미 : 실망하기 특기 : 실망하기

  • @Merovingian2003

    @Merovingian2003

    4 жыл бұрын

    결론:병신

  • @CarrotCarrot.

    @CarrotCarrot.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 @user-jamjam77

    @user-jamjam77

    4 жыл бұрын

    @@Merovingian2003 ㅁㅊㅋㅋㅋㅋㅋㅋㅋㅋ 시원하시네요

  • @heojun58

    @heojun58

    3 жыл бұрын

    의사양반 훅들어오시네ㅋㅋ

  • @user-yc2oe7ty2n

    @user-yc2oe7ty2n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onghyunkwak6058
    @donghyunkwak6058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대위로 전역한 사람들은 사회로 나가면 적응 못한다는게 이소리인듯... 대위전역하고 나갔는데 사회나가서 기업에 들어간이 200도 안되는 월급을 받으니 환장 하것지.

  • @user-jh6kb3ud9u

    @user-jh6kb3ud9u

    3 жыл бұрын

    지잡대rt제외하면은 보통 3천초중반시작하고 1년차만 지나면 성과급 4천대인데?

  • @user-mb5fe1pv3k
    @user-mb5fe1pv3k4 жыл бұрын

    방송국의 방송기술직렬도 알고싶어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jjj-mf5qz
    @jjj-mf5qz4 жыл бұрын

    소방관도 해주실수있나요?ㅠㅠ

  • @user-hq6hk2yb8r
    @user-hq6hk2yb8r3 жыл бұрын

    육사랑 비육사랑 인간 자체의 피지컬부터가 차이가 심한데 육사는 인서울 포기하고 군에 뜻이 있어서 가는거고 비육사는 어디 대전에 BMW 다니다 할수도 있는거고 물론 일반화의 오류지만 소수 개체들은 출신을 뛰어넘는 피지컬과 뇌지컬을 갖춘거고 그걸로 서열정리가 다시 이뤄지는 케이스고 똑같음 사장한테 같은 임금 주고 서울대 뽑을래 대불대, 혜전대 뽑을래 물어보면 100이면 99는 서울대 뽑는다 하지

  • @jlee6958
    @jlee69584 жыл бұрын

    근데 이건 알아야 합니다! 육사 포함 사관학교가 가기 힘들다곤 하지만 막상 가보면 입학은 아무것도 아니구나~하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1학년생활은 이등병보다 못한 대우로 속칭 짬찌로 1년을 살아갑니다.. 아무리 생도생활을 군생활로 인정 안해주지만 고된생활의 연속입니다. 육사육사하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은거죠

  • @borishanawesometv
    @borishanawesometv2 жыл бұрын

    군장학생하고 학사장교는 다른 제도입니다. 군장학생 제도는 학군단 또는 예비학사장교로 선발된 자원이 군장학생 선발 시험에 합격하면 4년치 대학등록금과 함께 의무복무기간이 4년 더해지는 제도입니다. 학군군장학생 6년4개월 학사군장학생 7년

  • @geochoi165
    @geochoi1653 жыл бұрын

    부바부 캐바케 인듯. 내가 있었던 부대는 작은 독립 중대였는데 장교분들은 맨날 일이 많아서 9시 10시 되서 퇴근하는게 다반수 였고 그렇게 하는데도 통제장교님은 병사들 노고 진짜 많이 생각해주셨는데 부사관들은 칼퇴근 기본이고 한 준위는 개밥 주는게 일과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일 안하는 거 보면서 부사관들이 장교 일하는거 좀 도와주지라는 생각 많이 들었었는데

  • @metaku19
    @metaku194 жыл бұрын

    해군 해상직별이면 풀수당 약 90 하사 본봉 약 160 250 그 외 연가보상비 이런것도 있음

  • @user-tl1kq5nl2t
    @user-tl1kq5nl2t4 жыл бұрын

    제 꿈이 장교인데 요즘은 학벌이아니라 진급도 개인능력 평가로 진급한다는데 사실인가요 학벌따지는건 예전이야기라고 저희학교 군특교사분이 말해주셨습니다..

  • @shakesky86

    @shakesky86

    4 жыл бұрын

    다른 학벌을 따지지는 않습니다만, 육사는 예외입니다. 중요한건 내가 진급심사들어갈때 같이 진급심사 들어가는 같은 부대에 있는 진급대상자가 누구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 진급 대상자중에 육사가 있다면, 그 육사출신이 특별한 사고를 쳐서 진급 불가대상이 아니라면, 기본적으로 진급 한자리는 뺏긴 상태로 들어간다고 보면 맞습니다.

  • @cptham15
    @cptham152 жыл бұрын

    저희 아빠가 삼사관나와서 소령까지 다셨는데 그것도 정말 잘한거라고 하더라구요. 지금은 결국 중령못다시고 더 돈 많이 버는 직업 가지셨네요

  • @shakesky86
    @shakesky864 жыл бұрын

    13년 전역하고 예비군 6년차까지 끝낸 중위 전역 학사장교출신입니다. 장교 출신성분 설명할때 간단하게만 말씀하시고 누락된게 있기도 하며, 대부분의 병사출신이나 부사관출신인분들도 자세하게 구분하지 못하시는것 같아서 세부사항 적어봅니다.1/ 육사출신-다 아시다시피 육군사관학교 졸업후 소위로 임관하는과정입니다. 기본 의무기간은 10년입니다. 육군사관학교는 일반4년제 대학을 대체하는 군대학이라고 보시면 되며, 4년간 군사훈련 및 일반대학처럼 지내게 되며 기본적으로 기숙(준 군생활)을 기본으로 합니다. 2/ 3사출신-3사관학교라는 곳이 있는데, 전문대졸 or 4년제 일반대학 2학년수료 후 편입 으로 지원할 수 있으며, 장교가 기본적으로 4년제 대학출신이어야 하기때문에, 3사관학교에서 군사교육및 대학3-4학년 과정을 수료한 후 소위로 임관하는 과정입니다. 의무기간은 6년입니다.3/ RT출신-ROTC라고하며 보통 장교들 사이에서는 학군출신 이라고합니다. 학군은 일반4년제 대학중에서도 ROTC제도가 있는 대학에서만 지원이 가능하며, 대학2학년때 지원하여서 합격하면 학교내에서 3-4학년 기간중 방학기간에 군사훈련을 받고, 학교내에서도 준생도(육사 및 3사)와 비슷한 생활을 하게됩니다. 의무기간은 2년4개월입니다.4/ 학사출신-학사는 옛날에는 전반기(군장학생), 후반기(일반학사)로 나뉘어서 훈련을 받았었으나, 제가 훈련받던 2010년부터 여군사관과 함께 통합해서 훈련을 받았었습니다. 학사는 기본적으로 일반 4년제대학 졸업후 양성기관(4개월 훈련)이후 소위로 임관하게됩니다.세부적으로 군장학생은 일반4년제 대학 1학년때 신청을하여 합격하게 되면, 대학교4년의 등록금을 장학금으로 받게되며, 의무기간은 7년입니다.@받았던 장학금을 반납하게되면 의무기간은 줄어드는데, 1년 장학금당 1년의무기간이라 보시면됩니다. 단기학사장교(여군사관포함)는 4년제대학 졸업예정자 및 졸업후 지원가능하며, 의무기간은 3년입니다.(참고로 양성기간은 의무기간에 해당안됨)5/간부사관-병사 및 부사관출신이 지원가능한 제도로 병사 및 부사관이 정해진 신청자격요건을 갖추어 지원하여 합격하면 양성기간(학사보단 짧았던걸로 기억만 나네요 죄송합니다.)을 거쳐서 소위 임관 후 의무기간3년을 보냅니다. 4년제 졸업을 하지않고 소위로 임관할수있는 유일한 방법이지만, 전문대졸or 4년제 2학년까지 수료를 해야 지원가능합니다.기본적으로 육사와 3사는 장기적인 군 간부 배출에 목적이 있고, RT,학사 ,간부사관등은 중소위가 많이 필요하기에 단기적인 인재들을 배출할 목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RT가 인구수로 압도적으로 많기때문에 가장 흔한 출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user-dt3gl2nd8z
    @user-dt3gl2nd8z4 жыл бұрын

    저희신랑은부사관인데 힘들다던데ᆢ 우리신랑 같이일하시는분들은 맨날술먹고 힘들다고 하소연하던데ᆢㅋ 하지만 장교분들계급 그만큼 희생도따르고 잃는게 만다고들었어요ᆢ세상에 거저얻는게 있을까요ᆢ아오ᆢ나도여부사관 생각못했지ᆢ정말 안정적이고좋은직업이에요

  • @sdy8442

    @sdy8442

    3 жыл бұрын

    직업부사관 할만해요 사회는 더 피터지게 근무하고 스트레스 받아요 성실히하면 상사 연금 인생산다는것 별것아님 이왕 태여 낳으니 열심히 살아야죠 군 선배 조언임

  • @user-bb4xh2iu1x
    @user-bb4xh2iu1x4 жыл бұрын

    인터뷰 능력 쩌시네요

  • @ggashong
    @ggashong2 жыл бұрын

    헐 ㅋㅋㅋㅋㅋ 이분이 이분이셨구나..!!!!!!!!!!!!!!!!!!!!!!!!!!!!!!!!!!!!!!!!!!!! 2년전 영상을 보니까 놀랍네요!!

  • @dwpckr
    @dwpckr3 жыл бұрын

    논외로 군생활할 시절에는 중대장도 노인처럼 보였는데 ㅋ 한참지나 생각해보니 애 였어.. 장군까지 화이팅하십셔

  • @user-rd9ey5fh8d
    @user-rd9ey5fh8d4 жыл бұрын

    음.. 너무 재밌게봤습니다.. 근대 ㅋㅋ... 목소리나 외모가 자위왕 찬우박 장교버전 같아서 계속 생각하면서봤습니다.

  • @gg-ic6rh

    @gg-ic6rh

    4 жыл бұрын

    미친 농 ㅋㅋㅋㅋㅋㅋ

  • @seo_11

    @seo_11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rt8xc8zb9y

    @user-rt8xc8zb9y

    3 жыл бұрын

    와ㅆ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yr9ps4nk2x
    @user-yr9ps4nk2x2 жыл бұрын

    사단에서 군생활할때 병사입장에서 보더라도 대위, 소령때 육사출신이 아닌분들은 좀 뒤늦게 진급하거나 진급을 못해서 전역하는 경우가 많네요. 또 육사출신이 확실히 기가 쎄네요. ㅎ

  • @user-cd6cj9gw2t
    @user-cd6cj9gw2t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사관학교입시를 준비하고 있는 예비고3 학생입니다,일단 영상 재밌게 잘봤습니다.평소에 장교분들의 생활에 대해 상당히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이 영상을 보고 많은 궁금증들을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그리고 개인적으로 영상에 대해 좋았던점은 장교의 생활뿐만이 아니라,여러가지 종합적인 측면들을 세세히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또한 군인이라는 직업은 출신성분이나 그런것을 다 떠나서 국가를 위해 헌신하는것이 군인으로써의 최우선의 가치라는것을 다시 한번 느끼게 해준 영상이였던것 같습니다.장교란 직업이 힘들고 어찌보면 일하는거에 비하면 보상을 제대로 못 받는다고 생각 할 수도 있지만 그만큼 자기자신이 국가에 헌신한다는 보람이 크면 저런 부분들도 커버 칠만큼 좋은 직업이라고 생각합니다(개인적인 생각)저도 앞으로 열심히 노력해서 군인의 본분인 위국헌신을 실천하고 오직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하는 장교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qwer-es8pm
    @qwer-es8pm4 жыл бұрын

    흉부외과나 응급의학과 전문의 부탁해요!!

  • @weswardsmusic
    @weswardsmusic4 жыл бұрын

    군대에선 인사 정보 작전 군수 줄여서 인정작군을 자주 얘기하던데 동원도 있는줄 몰랐군요

  • @cbh47811

    @cbh47811

    4 жыл бұрын

    후방에만잇어서 전방분들은 잘모르더군요

  • @asdwe3645
    @asdwe36454 жыл бұрын

    다이어트 프로그래머, 체형관리사도 다뤄주세요 ㅎ

  • @kcrollerskate3404
    @kcrollerskate34042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 @skyloveryoun719
    @skyloveryoun7194 жыл бұрын

    저도 학군출신입니다. 과거와 다르게 육사 비육사 진급티오를 나누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대령까지는 출신끼리 경쟁하죠. 군인에대한 뜻이 없더라도 장교는 사회초년생에게 정말 값진 경험입니다.

  • @aH-sf3wp

    @aH-sf3wp

    4 жыл бұрын

    👍👍

  • @cho_seongdeuk7619

    @cho_seongdeuk7619

    4 жыл бұрын

    정말 값진경험이죠 인정합니다.!^^

  • @yesoh5799

    @yesoh5799

    2 жыл бұрын

    대령까지라기보다는 중령까지가 맞는듯 ㅎㅎ; 사실 비육사는 그 이상 올라가는 것이 밤 하늘의 별 따기이기에

  • @UBIS_
    @UBIS_4 жыл бұрын

    아 이채널 진짜 유용하네요~

  • @user-rp1gi5bi5p
    @user-rp1gi5bi5p3 жыл бұрын

    뭐 전쟁이 없어서 그렇지 전쟁나면 목숨걸고 나가는 직업인데 많이 받아야죠 그 대신 개인 신체 단련이나 훈련을 빡시게 해야죠 이론 공부도 물론

  • @user-ct3ys6cy5t
    @user-ct3ys6cy5t4 жыл бұрын

    병사들 입장에선 같은 군인이니까 부사관이나 장교들이 돈을 많이 받는것처럼 보이겠지만 솔직히 하는 일에 비해서 많이 받는건가 싶음 일도 엄청 많이 하는 편이라 생각함

  • @user-wo1zp3ze9l
    @user-wo1zp3ze9l4 жыл бұрын

    Jungdaejang was disappointed.

  • @user-es4zs4jt8t
    @user-es4zs4jt8t3 жыл бұрын

    다른영상에서는 몰랐는데 이 영상이서 어떤 분이신지 파악했네요 ㅎㅎ 저는 안보겠지만 번창하세요~

  • @user-sg5tl8vr4p
    @user-sg5tl8vr4p4 жыл бұрын

    제가 직업군인이 되고싶은데 아직 학생이여서 잘 모르겠는데 어떡해야 직업군인을 할수잇고 어떤것을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koreankim9617

    @koreankim9617

    4 жыл бұрын

    직업군인이 가능한 루트 사관학교 사관학교는 고교 졸업이후 가는 과정. 고3시절 신청가능. 내신도 보고 자체시험도 필요함. 체력측정, 면접 등등 다양한 시험이 필요함. 3사관학교 주로 대학교 2학년을 마칠쯤 편입시험으로 들어감. 체력특정 면접, 등등 내부 시험이 다양함. Rotc 대학교 1학년 중간 rotc 신청 가능 본격적으로 3학년이 될 시 시작 학사장교(군장학생) 대학교 졸업 이후 신청하여 임관하는 코스. 육군모집란에 신청가능.

  • @ryuryu354
    @ryuryu3544 жыл бұрын

    급여는 중사 6호봉? 정도가 대위 갓 단사람하고 비슷한걸로 기억되네요. 직업군인은 대학 다닌다면 멈추고 입대하는게 나아요. 장기가 안되도 야간대 가면 등록금 할인해줘요.

  • @user-hp3sq5lu2i
    @user-hp3sq5lu2i4 жыл бұрын

    이채널 너무 좋아요! 경찰도 해주세요 ㅠㅠ

  • @skxjeidoo

    @skxjeidoo

    4 жыл бұрын

    직업의모든것 견찰ㅋㅋㅋㅋㅋㅋㅋ

  • @user-kl7zc7wi6l
    @user-kl7zc7wi6l4 жыл бұрын

    병사 제대 후 대학교 졸업하고 장교로 복무중인 군인입니다. 육해공 어느 군이라고 밝히진 않겠습니다. 둘다 생활해 봤던 입장에서 솔직히 뭐가 더 힘드냐 라고 단정지을수는 없습니다. 저도 병사때 부조리들 겪어봤고 보병출신이라 몸도 많이 힘들었어요. 지금 장교로서는 솔직히 부조리는 거의 없다고 보면되지만 책임감이 따른다는게 부담이되고 힘듭니다. 당연한 말이라 생각할 수 있는데 책임이라는게 무시할 수 없어요. 솔직히 병사때는 아무생각없이 21개월 버티면 전역했는데 장교가 아무 생각없이 군생활하면 속된말로 정말ㅈ됩니다. 업무관련해서 뭐든지 알아야하고 배워야하고 관심기울이고 판단하는게 장교입니다. 교육훈련과 더불어 행정적인 업무로인해 버거운 경우도 많아요. 하지만 영상처럼 병사보다 많은 월급 따박따박 들어오는거는 참 좋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월급이 미래를 위한 적금통장으로 빠지지만 그래도 병사보다 많은 돈으로 한달을 살 수 있죠. 아 그리고 영상에서 육사 비육사 출신 이야기 나왔는데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장교로서 군생활해본 시선으로 사관학교 출신이 높은자리까지 올라가는 것에는 올라가는 이유가 있습니다. 사관출신들 정말 똑똑합니다. 그리고 똥별똥별하는데 정말 군인정신 투철한 지휘관분들도 많습니다. 저랑 동기거나 비슷한 사관출신 위관급 장교들도 정말 열심히 생활하고 매일매일 자기관리 소홀히 하지 않습니다. 체력관리도 열심히하고 공부와 독서도 짬나는대로 정말 많이 합니다. 물론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보여지는 사소한 모습들이 정말 비사관출신들과는 다르다라는걸 느낍니다. 출신에 따른 차별은 없지만 영상처럼 자기가 군에 뜻이있고 그중 장교가 되고 싶다면 사관학교가세요.

  • @yoonholee5212
    @yoonholee52122 жыл бұрын

    전설의 시작

  • @user-ef2do5hk4l
    @user-ef2do5hk4l4 жыл бұрын

    RNTC 기술부사관도 좀 알려주세요..

  • @user-on2gv4jh5z
    @user-on2gv4jh5z4 жыл бұрын

    전후방 통틀어서 10년 넘게 장교생활했지만 진급은 연대, 대대급에서 전후방 다 작전이 거의 됩니다. 사단급 이상 가면 인,정,작,군,동 참모부 실무자 중에서 경쟁을 붙여 뽑습니다. 통상 사단급에 TO가 많죠. 육사가 진급이 잘 되는건 물론 엘리트들만 있고, 기반이 탄탄하기 때문이기도 한데 육사를 졸업하는 수준은 위탁교육을 갈 최소한의 수준이 됩니다. 위탁은 민간대학, 해외대학 등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는 교육을 국비로 받는 자격인데 임관하고 나서 위탁준비는 이미 늦었습니다. 그정도 수준은 되야 육사 졸업도 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사람들하고 부딪히고, 뛰고, 쏘고, 구르고, 깨부시는 람보같은 군인을 바란다면 장교하면 안됩니다. 기껏해야 소대장때 잠깐 그런 경험을 해볼뿐이고, 참모 생활을 하면 지휘관과 상급부대에서 끊임없이 임무가 떨어집니다. 중대장까지는 정말 군생활 잘 하다가 참모 시작하면서 적응 못해서 나가는 장교들 많습니다. 자기가 연대, 대대 실무자, 과장급이면 그 참모의 펜대에 부대가 좌지우지 되기때문에 부담도 많고, 일이 잘 되지 않았을때 질책이나 피해도 크기 때문이죠. 그리고 진급은 자기 실력과 눈치가 중요합니다. 정말 실력이 좋은 장교는 알아서 모셔갑니다. 출신을 무시하진 못하지만 정말 잘 한다고 인정받은 사람은 연대, 사단에서 모셔가려고 합니다. 그 외에는 지급 시기에 얼마나 경력관리가 되었고, 평정은 잘 받았고, 진급 추천을 받았느냐인데 진급시기에 진급추천을 무조건 받아야 진급이 됩니다.

  • @user-qd8yq7ro9x
    @user-qd8yq7ro9x4 жыл бұрын

    월급적어요. 장교라고 힘은 주고싶은데 02년 첫월급 130 ㅋ. 나름 좋았는데 훅사라짐. 대위되면 아무리써도 쓸수없다고 누가 뻥쳐서 ㅠ. 그것도 훅~ㅋ 10년이상해야 월급다운 월급나오더라고요. 그전에 나와서 다행 ㅋ 회사돈이 짱임. 마통에 집값도 오르고 짱임.

  • @prosciutto1234
    @prosciutto12344 жыл бұрын

    비록 병사 출신이지만 작전과 작전통제병으로 있었습니다. ㄷㄷ 역시 진급 제일 잘되는 곳이였군요

  • @MJJ-pb9nf
    @MJJ-pb9nf3 жыл бұрын

    27사단 이기자 수색나왔습니다... 초반에 화천얘기가 나오던데 하.... 혹한기때 지휘소 온도계 28도까지 찍힌거봤습니다

  • @Yesnim515
    @Yesnim5154 жыл бұрын

    병사일땐 장교나 대위급보면 마냥 윗사람이였는데 지금보면 앳돼고 젊고 어리고.. ㅠ

  • @jryu4701

    @jryu4701

    4 жыл бұрын

    계급이랄까..위치가 자리를만듬 훈련병때는 조교 병사들이 어른스럽고 더 나이있어보이고 지금생각해보면 다 20초반 어린데

  • @user-wf6cl2tb4f
    @user-wf6cl2tb4f3 жыл бұрын

    4년동안 전문적으로 군분야만 집중하는 육사출신이 대우받는게 당연한거

  • @hskorea6517

    @hskorea6517

    2 жыл бұрын

    당연하긴 한데 난 군간부도 아니지만 지들끼리 카르텔마냥 주요보직 꾁잡는게 말이되나? 노력으로 극복이 안되니까 문제지

  • @ryuryu354
    @ryuryu3544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많이 바뀌고있죠. 병사수가 줄면서 부사관을 많이 뽑고있고, 장기가 어렵다고 하지만 지금 미달되서 장기 그냥되는 사람도 있고요. 이젠 장교는 전투교리연구나 승인 확인 업무이고. 부사관이 교육계획수립, 측정. 사후관리, 부대관리. 병상담 등등 다해야 해요. 쉽게 말해 부대 일어나는 일은 다 부사관이 하고, 장교는 승인하고 잘못되면 징계 주는 일만하는거죠. 잘되면 장교가 잘 지휘한게 되니 장교가 1차로 덕보는거고요.

  • @user-ou3mb2pz1x
    @user-ou3mb2pz1x4 жыл бұрын

    러셀티비님 진짜 말 잘한다 편집도 안된것같은데 ㅎㄷㄷ

  • @user-qd5pt6cg7w
    @user-qd5pt6cg7w4 жыл бұрын

    황서진님 목소리가 조우진 배우님 닮으셨네요. ㅋㅋㅋ

  • @user-vt6bp2ky8i
    @user-vt6bp2ky8i4 жыл бұрын

    소방관이 꿈인데 소방관도 해주세요!

  • @madkkm87
    @madkkm873 жыл бұрын

    본인이 정말 군생활에 뜻이 있다면 무조건 보병가는게 맞다. 보병은 그만큼 TO도 많아서 장기선발이나 보직도 많은데 그외 병과들은.. 영..

  • @user-nx3nc3ef1q
    @user-nx3nc3ef1q4 жыл бұрын

    여쭤봅니다 부사관관심있는데 스트레스를 많이받는다고 학사장교를 추천많이들하던데 어떤지요? 현제는 많이바꼈다는데

  • @user-pf9wu9xl2t

    @user-pf9wu9xl2t

    3 жыл бұрын

    현 해병대 군 가산복무 지급대상자 입니다. 장교는 자신이 이끌어 갈 능력이나 지도할수 있는 용기와 자신감 그리고 다양한 방면으로 발전하고 싶으시다면 장교이고 안정적이고 한 방향을 고수하고 한 분야의 전문 인력이 되고 싶으시다면 부사관입니다. 만약 대학을 진학중이시다면 저는 군 가산복무 대상자와 학군단을 병행 하시는 걸 추천 드리며 만약 임관후 결정하시는 스타일 이시라면 재학중에 예비장교후보생 시험을 보시든가 혹은 4학년때 학사사관후보생 시험을 보셔서 합격하신후에 대학졸업후 훈련받으셔서 임관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soobark7143
    @soobark71434 жыл бұрын

    2:53 그렇죠... 누가 화천을 가고 싶겠어요... 하아... 화천... 추억돋네요.

  • @bigwow2339
    @bigwow23394 жыл бұрын

    선배님 제가 정정하겠습니다 학군 = ROTC 3~4학년 수료 후 임관 28개월복무 학사 = 4년제 졸업 후 입소, 임관 3년복무 군장학생 = 국방부에서 장학금 4,000만원 지급 후 6년 4개월 복무 계약 (학군, 학사 중 선택) 학사랑 군장학생은 다른 개념입니다

  • @No.9-Mount

    @No.9-Mount

    4 жыл бұрын

    6년 4개월 복무 아닙니다^^

  • @ROK_MAVERICK

    @ROK_MAVERICK

    4 жыл бұрын

    잘못된 내용 짚어드리겠습니다. 학군사관 선발된 상태에서 군장 합격하면 6년 4개월이며, 바로 군장 선발되면 7년 복무입니다. 군장은 본질적으로 학사와 동일하지만 유일한 차이점은 장학금 수혜 여부입니다. 물론 편성 예산이 한정되어있어 일정부분 오차 범위가 존재하겠지만 군장학생 장학금 지급액은 4,000만원이 아니라 각 개인마다의 대학교 및 학과/학부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user-yj2tw7kr5m

    @user-yj2tw7kr5m

    4 жыл бұрын

    4년치 등록금을 넣어주는거라 문과면 2천좀 넘게받음 ㅋㅋ 사립 공대면 3천후반

  • @No.9-Mount

    @No.9-Mount

    4 жыл бұрын

    @@user-yj2tw7kr5m 대학마다 다르지

  • @user-yj2tw7kr5m

    @user-yj2tw7kr5m

    4 жыл бұрын

    @@No.9-Mount ㅇㅇ맞음 그래서 ㄹㅇ현명한 제테크는 비싸고 좋은 사립공대다니면서 학자금대출 생활비 대출받아서 저금리땡기고 군장학금+부모님 대출해서 부동산투자하는거임

  • @user-rt5gz9pn5i
    @user-rt5gz9pn5i4 жыл бұрын

    같은 군생활하고 나왔는데 이분은 왜이렇게 설명을 잘할까요 난 기억도 잘 안나는데... ㅎㅎ 이런 말은 어떤가요 계약직 장교, 비정규직 부사관....^^

  • @user-ri4tw2dw9q

    @user-ri4tw2dw9q

    4 жыл бұрын

    그게 부사관이랑 장교차이죠 노가다 and 엘리트

  • @pp-kx6vr
    @pp-kx6vr3 жыл бұрын

    프로 실망하고 3소대장 찾는 아죠씨당. 여기서 또 보니 반갑습니다.

  • @user-ti5ht5ew2n
    @user-ti5ht5ew2n4 жыл бұрын

    국군 안보지원사령부 감찰부서로 근무중입니다

  • @nicechangchang

    @nicechangchang

    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너 소속이 어디야?

  • @user-gj8uy7jq3y

    @user-gj8uy7jq3y

    4 жыл бұрын

    넌 기무사가아니고 군인권센터 감찰부서 같은데

  • @user-wy3fl8yw4x

    @user-wy3fl8yw4x

    3 жыл бұрын

    @@user-gj8uy7jq3y 애초에 기무사라 한적도없는데?

  • @user-gj8uy7jq3y

    @user-gj8uy7jq3y

    3 жыл бұрын

    @@user-wy3fl8yw4x 글 수정했자너

  • @LK-fj4wm
    @LK-fj4wm4 жыл бұрын

    군인이 월급 많이 받는다고 말하시는 분 첨이라 놀랬습니다. 간호사 신규 첫 월급선이 중소병원230 대학병원450만원인데, 스튜디어스도 350만원 번다는데, 십년 근무 대위 280가량인거 보고 놀랐습니다. 군인월급 진짜 적다고 생각하네요.

  • @enstin54

    @enstin54

    3 жыл бұрын

    원래 공무원 월급이 그렇게 많은 편이 아니에요 다만 공무원 중에서도 경찰 소방 군인등은 수당이 많이 붙어서 공무원 중에서도 월급이 많은 편이죠

  • @bungbung1245

    @bungbung1245

    3 жыл бұрын

    280봉급 + 시간외 대략 60 이외 교통비 등 추가하면 360 나옵니다 이외 떡값 3 월 9월 다포함하면 세후 4600정도 수령받습니다. 확실히 간호사분들이 많이 받긴합니다만, 대위연봉 적진않습니다.

  • @user-me3gl2gr2r

    @user-me3gl2gr2r

    3 жыл бұрын

    뭔간호사랑 비교를합니까ㅋㅋ 공무원이랑 비교해야지

  • @user-me3gl2gr2r

    @user-me3gl2gr2r

    3 жыл бұрын

    간호사월급이 많다고생각하세요? 주야교대 근무에다 공부 ㅈ빠지게해야되는데 그게많나요? 대가리는장식이 아닙니다

  • @JC-fr1yr

    @JC-fr1yr

    3 жыл бұрын

    저희 아버지 형사 당직비 하루 15만원, 소방관 당직비 10-20, 군인 평일 1만원 주말, 공휴일 2만원입니다

  • @Name-pi9sf
    @Name-pi9sf3 жыл бұрын

    저희 아버지가 군대나오셨는데 무슨 꽃같은게 2개나 박혀있어요 특수병사인가요?

  • @3captain977
    @3captain9774 жыл бұрын

    학사장교와 군장학생은 다릅니다! 학사장교와 군장학생을 같은 것으로 착각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소위로 임관하는 방법은 육사 삼사 학군 학사 단간 총 5개가 있고 군장학생은 말그대로 학비를 지원받고 의무복무 4년을 더 하는 장학생입니다. 학군 군장학생은 의무복무 6년 4개월 학사 군장학생은 의무복무7년입니다! 학사장교는 대학을 졸업하고 훈련을 받고 학군장교는 2학년 겨울 방학부터 졸업 전까지 동계 2회 하계 2회 훈련을 받습니다.

  • @richardkim1654
    @richardkim16543 жыл бұрын

    나는 간부가.... 힘든부대 출신이구나 싶네요... 우리부대 간부들은 정말 잠못자며 매일같이 고생하시던데....

  • @user-wl8mc3nl3m

    @user-wl8mc3nl3m

    3 жыл бұрын

    무슨말임?

  • @user-lc6xw4gy8v
    @user-lc6xw4gy8v4 жыл бұрын

    군대다녀온 사람으로써 아무리 그래도 어떻게 현역군인이랑 병이랑 월급을 비교하지? 병이 월급은 심각하게 작게주는건 맞아도 애초에 부사관 장교는 엄연히 직업인데...

  • @jihyunseo6445

    @jihyunseo6445

    3 жыл бұрын

    병이랑 당연히 비교될수밖에 없지 않나요? 전쟁나면 죽을걸 각오하고 하는게 군인이라는 직업인데 병사들은 그 각오가 되어잇든 말든 강제로 징용시키는게 대한민국인데요? 병들은 전쟁나서 뒤져도 훈련중에 다쳐도 보상도못받는 나라인데요

  • @user-jz1qf3il1n

    @user-jz1qf3il1n

    3 жыл бұрын

    장교든 부사관이든 그복무기간 끝나면 일반사병처럼의무적으로 입대해야하니?

  • @user-lc6xw4gy8v

    @user-lc6xw4gy8v

    3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정그러면 님들이 군인을 왜 안하는건지 진심으로 궁금함 그렇게 부사관 장교 집업군인들이 월급 병들보다 많은거가지고 징징거리고 그럴거면 왜 군인을 안하는 거임? 분명 전쟁잃어 나면 그래도 앞장서고 지위하는건 장교나 부사관일텐데

  • @jihoon2298

    @jihoon2298

    3 жыл бұрын

    김동호 누군가를 부리는 입장인 사람과 강제로 부려지는 사람이 같이 공존하는 곳에서 군 수뇌부의 군인은 평등하다 라는 문구를 내세웠음에도 다른 처우를 받는가에 대한 고찰임 단편적으로 월급을 예로 들었으나 복지나 휴가제도 자유를 예로 들어도 과연 장교와 일반병의 비교가 잘못 된거임? 꼬우면 간부해라 마인드가 아니라 징집된 병사에 대한 부족한 복지개선과 군납비리, 장교,부사관의 근무태만 등등으로 주적은 간부다 라는 말이 나오는건데 글의 본질을 읽는 연습을 하셔야될것 같네요

  • @user-uq6wt8fg4f

    @user-uq6wt8fg4f

    3 жыл бұрын

    육군땅깨 병사새끼들 체력이 운동선수 출신 재외하고 주임원사보다 쓰레긴데 뭘 그래 징징거리냐 ㅋㅋㅋ나도 병장 제대지만 진짜 적당히 해라 같은 나라에서 비교질하는거 안쪽팔리냐 하사 1호봉 월급 160 소위도 이거보다 조금 높은걸로 아는데 이걸 지금 많ㅇ다고 그럼 병사새끼들이랑 같이 받으라는거냐?ㅋㅋㄷ 누가 보면 특전산줄 알겠네 아 아니지 특전병새끼들 훈련 개 밥이구나 제발 적당히좀 해라 이빨깔거면 그안에서도 적어도 일머리 나라에 대해 충성심 훈련부터 거리 중사,대위부터 이기고 온나 제발

  • @leejs4695
    @leejs46954 жыл бұрын

    그 대대장이 정말 꼬장이 엄청 심했는데 많은 간부들이나 병사들이 왜 그 대대장을 좋아했는지 간부들을 비롯해 병사들 다 포상휴가 잘 주고 꼬장은 심했어도 풀때는 확실히 풀어주는 그런분이었던거 그래서 그 대대 간부들도 불만이 없고 병사들은 당연히 불만이 없었고ㅎㅎ

  • @Iwannabelike
    @Iwannabelike4 жыл бұрын

    육사출신들이 부대안에서 군인으로서의 평가가 안좋은경우는 본적이 없습니다

  • @user-sf6di5un1n
    @user-sf6di5un1n4 жыл бұрын

    학사장교 군장학새우아닌경우도 있는데 잘 모르는 사람이 그릇된 정보를 주네요

  • @user-cx8hm3eh2d

    @user-cx8hm3eh2d

    2 жыл бұрын

    그렇네용...ㅋㅋ학사 쪽 개념을 잘못 알고 있네요

  • @user-ks8vb2iu3r
    @user-ks8vb2iu3r4 жыл бұрын

    학사랑 rotc차이설명이 잘못된거같습니다 군장학금 여부의 차이가 아니라 rotc는 rotc가 있는 대학교에서만 선발가능하며 같은 대학교학생들끼리만 경쟁해서 선발됩니다 학사는 학교의 rotc유무관계없이 대학학사취득자 혹은 학사취득예정자를 대상으로 모집하며 전국단위로 경쟁해서 선발됩니다 가장큰차이라면 rotc는 3학년때부터 방학마다 훈련을가며(4회)복무기간은 28개월입니다 학사는 학교기간에는 훈련이없고 대학졸업후 rotc가 방학때 받는 훈련을 한번에 몰아서 받습니다 복무기간은 3년입니다 영상에서 말씀하신 군장학생은 학사든 rotc든 상관없이 별도 지원하여 선발됩니다

  • @user-tn1px6hj1m

    @user-tn1px6hj1m

    4 жыл бұрын

    학사 4년입니다

  • @user-lm5yf9tx1c
    @user-lm5yf9tx1c4 жыл бұрын

    학사장교랑 군장학생제도랑 잘못설명하셨습니다. 사람들에게 바른정보를 전달해주시기바랍니다 정정해 주세용

  • @taehyungroo7382
    @taehyungroo73823 жыл бұрын

    어... 정보가 잘못된게있네요.... 초반에말씀하신 장학금받는건 군장학생제도라는겁니다 비육사출신중에 ROTC(다른말로 학군사관, 학군장교)과 학사사관(다른말로 학사장교)으로 나누어 집니다. 이와 별개로 러셀님이 언급하신 장학금받는건 군장학생 제도라는게있는데 학사사관 합격자와 ROTC 합격자중에 시험을통해서 4년 간의 대학 장학금을 받는대신 의무복무를 4년 더하는 제도가있습니다. 즉 ROTC 든 학사장교든 시험을쳐서 군장학생 선발에 합격을하면 4년 복무더하고 장학금받을수있습니다

  • @AimFix618
    @AimFix6184 жыл бұрын

    제 꿈이 직업군인인데 이거 보고 더 확실히 하고 싶어졌어요 그리고 이채널 정말 좋아요

  • @onmywaystill7067

    @onmywaystill7067

    4 жыл бұрын

    이 바보야 진짜 아니야~~~~

  • @muse1129

    @muse1129

    4 жыл бұрын

    장교들 전출다니느라 바쁘고 ㅋㅋ 부사관들 눈치 보느라.바쁘고 ㅋㅋㅋ

  • @user-po6wu9ns2c

    @user-po6wu9ns2c

    4 жыл бұрын

    소령 못 달면 ㅂㅅ되는데

  • @user-fq1rf4ee4p

    @user-fq1rf4ee4p

    4 жыл бұрын

    저 군대가면 잘해쥬세여...

  • @user-zq7ri9ic7x

    @user-zq7ri9ic7x

    4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아 이거 정말 좋아~~

  • @user-ks7yz5nf2s
    @user-ks7yz5nf2s4 жыл бұрын

    벌써 끝?ㅜㅜ

  • @user-dn5wz2mk4p
    @user-dn5wz2mk4p2 жыл бұрын

    2년 후 이분들은 엄청 친해집니다

  • @user-tw9lw3ev1e
    @user-tw9lw3ev1e4 жыл бұрын

    제가 꿈이 육군이라,,그런데 ROTC랑 3사관학교는 6군4관대학교처럼 소위부터 시작하나요??

  • @user-kv6ki5kz8d

    @user-kv6ki5kz8d

    4 жыл бұрын

    네 소위로 임관 합니다.대신에 진급은 상대적으로 육군은 육사가 제일 잘됩니다

  • @user-xj8yu5tm6o
    @user-xj8yu5tm6o4 жыл бұрын

    근데 장교가 힘든게 애매하긴해요 대위에서 진급이 안되면 소령이나 나이가 으으

  • @user-kr8zd4ff7d

    @user-kr8zd4ff7d

    4 жыл бұрын

    게다가 겨우 소령 달았는데 중령 못달고 전역하면 예비군도 해야하고 연금도 중령부터 나와서 소령까지는 연금도 안나옴...

  • @user-wd3ol5bn3d

    @user-wd3ol5bn3d

    3 жыл бұрын

    @@user-kr8zd4ff7d 소령부터 연금나오는거 아닌가요 소령으로 20년해도 연금나오는걸로 알고잇는데

  • @user-pf9wu9xl2t

    @user-pf9wu9xl2t

    3 жыл бұрын

    @@user-kr8zd4ff7d 소령 달았다는 소리는 장기복무가 되었다는 것이고 소령만기까지 채우면 군생활20년이 넘어서 연금수령가능합니다.

  • @user-kr8zd4ff7d

    @user-kr8zd4ff7d

    3 жыл бұрын

    @@user-pf9wu9xl2t 연금 나이는 제가 잘못 알고 있었나보네요...

  • @user-bc9zl5ex4k
    @user-bc9zl5ex4k4 жыл бұрын

    극 소수의 폐급간부나, 땡보 단기복무 장교들 제외하고는 밥값 그 이상 하는 직업임. 일하는거 가까이서 본 사람이면 암 사단 이상급 부대 실무자 가면 가족 버리고 일해야함

  • @user-cy6ms6qv8y

    @user-cy6ms6qv8y

    3 жыл бұрын

    원래 어느 집단이건 큰 규모로 가면 가족 버리는거 다반사임

  • @user-wi1ny1qx1o
    @user-wi1ny1qx1o2 жыл бұрын

    화면 나오시는 중대장님 병사들 많이 챙겨주시다가 민원에 시달리셨던분이라 들었습니다.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셔요.병사들 햄버거 사주셨다가 여대생들이 민원넣었다는 얘기들은 기억 납니다. 마음 아픕니다

  • @TurkistanSeneti

    @TurkistanSeneti

    Жыл бұрын

    햄버거 사줬는데 왜 민원넣어요?

  • @user-wi1ny1qx1o

    @user-wi1ny1qx1o

    Жыл бұрын

    @@TurkistanSeneti 군인이 부대에서 짬밥먹어야지 왜 햄버거 먹냐구 민원넣었다고 해요 참 가관입니다. 자기 친오빠나 남동생이 군인이어도 그랬으려나

  • @parkjeongcheol0
    @parkjeongcheol04 жыл бұрын

    02년 부사관 임관할때 70미만으로 받았고 그 이후 기본급 70에서 각종 수당 붙으면 130되고 거기에 매달 보너스 주니 160인가 170인가 연봉 2400정도 될걸로 기억하는데

  • @user-vd2xp6wp5s

    @user-vd2xp6wp5s

    4 жыл бұрын

    최저임금이 높아져서 물가도올라가니 오른겁니다 여전히 부사관 월급 ㅈ병신이죠 지금 최저임금보면 200은 받아야되는데 160입니다

  • @user-on7km6yn6t
    @user-on7km6yn6t4 жыл бұрын

    현역 공군 중사입니다. 되게 많이 싸우시네요 안정적인 부사관이 짱입니다. 그중에서도 공군이 젤 비전있습니다 ㅎㅎ

  • @ball1299

    @ball1299

    4 жыл бұрын

    박진우 공군이 확실히 좋죠 부대가 대부부 도시에 있어서 환경적인 부분도 차이가 크고 진급도 육군은 원사도 힘든데 공군은 비행단에 대대마다 원사가 아니라 준위들이 있을 정도니 거기다 장교들 마인드도 다르고

  • @user-um2xc1cu5h

    @user-um2xc1cu5h

    4 жыл бұрын

    공군부사관이 젤신사적이고 전문적이긴하지ㅎㅎ

  • @user-gq6nm3ws3z
    @user-gq6nm3ws3z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학연지연이 심해서 솔직히 사관학교안나오면 진급하기 힘듬. 소령달아도 대단한거임.

  • @user-uq7cz1ff2m

    @user-uq7cz1ff2m

    4 жыл бұрын

    대령까진 쉽지.. 별 달기가 어려워서 글치

  • @user-gq6nm3ws3z

    @user-gq6nm3ws3z

    4 жыл бұрын

    @@user-uq7cz1ff2m 뭔 대령까지 쉬워 미필새ㄲ끼야.;;; 사관학교가 소령까지 확정이고 RT, OCS가 대위까지 쉽게 다는거지. 능력안되면 전역하는거고

  • @No.9-Mount

    @No.9-Mount

    4 жыл бұрын

    @@user-gq6nm3ws3z ㄹㅇㅋㅋㅋ 대령이 쉬우면 너도나도 군대가지

  • @user-qc5ip5rl2h
    @user-qc5ip5rl2h2 жыл бұрын

    굿

  • @user-sl7ne5ru5x
    @user-sl7ne5ru5x4 жыл бұрын

    육사다음에어렵고잘봐주는게 육삼사아닌가요,,?. ㄱ여성분들이 잘진급되는 것도 작전쪽인가요?

  • @user-df1xv2xc7h

    @user-df1xv2xc7h

    4 жыл бұрын

    육사 말고는 다 똑같음. 진급은 작전인데 여자는 잘 안시켜줍니다. 작전장교는 사람 취급도 안해주듯이 일만시킴

  • @aegis7231
    @aegis72314 жыл бұрын

    러셀님이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yj2fy4qq9l
    @user-yj2fy4qq9l4 жыл бұрын

    전기 기술사 부탁드려요...!

  • @CC-cs7pb
    @CC-cs7pb4 жыл бұрын

    보통 부사관,장교 전역하면 공무원 시험 준비 하시않나요??

  • @user-zy3ny4md6k
    @user-zy3ny4md6k4 жыл бұрын

    해병대 장교도 해주세요

  • @nochuckchu
    @nochuckchu4 жыл бұрын

    올해 19년 6월30일 전역한 예비역 대위입니다. (대위 4호봉) 학군출신이고, 연봉 세전 5100만 찍혔습니다. 궁금하신분들을 위해.. (육사, 3사는 호봉이 더높기에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user-CPT_RA

    @user-CPT_RA

    4 жыл бұрын

    혹시 특전반 김동진?

  • @user-uu4tq1mo6n

    @user-uu4tq1mo6n

    4 жыл бұрын

    세전 5100이면 괜찮네 ㅋ

  • @user-CPT_RA

    @user-CPT_RA

    4 жыл бұрын

    @@user-uu4tq1mo6n 근데 생각외로 뜯는게 많아요 ㅠ

  • @user-wo4is4zw3i

    @user-wo4is4zw3i

    4 жыл бұрын

    학군이 rotc인가요

  • @ghgh5257

    @ghgh5257

    4 жыл бұрын

    세전 5100 일반 월급을 받을때 나오는 금액인가요? 아니면 훈련수당 같은거 다 합쳣을때 그 금액인가요?

  • @user-qv1bj1yh7m
    @user-qv1bj1yh7m4 жыл бұрын

    마지막은 중사출신으로 쫌 그렇네요 맴이 아픔니다

  • @user-io9qt3ke1o
    @user-io9qt3ke1o3 жыл бұрын

    임관을 하게 되면 출퇴근으로 하나요 아니면 부대에서 생활하나요 ?

  • @user-qz8ln1nc9u

    @user-qz8ln1nc9u

    2 жыл бұрын

    부대 근처에 간부 숙소들이 있습니다 최전방에선 부대에서 생활하지만

  • @bsluis2786
    @bsluis27863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부모님이 계급높으면 원하는곳 갈수있나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