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교와 부사관중 고민된다면 필수시청 아니더라도 재밌으니 필수시청

Комедия

Пікірлер: 389

  • @user-xf1vd2zs1q
    @user-xf1vd2zs1q Жыл бұрын

    군가족입니다 미혼일때는 그냥 약간의 짐작만 했어요 결혼하고보니 이상과 현실의 차이는 어마어마하더라구요 잘해도 욕먹고 못해도 욕먹고 하기 싫어도 해야하는일이 있더라구요 정말 가슴아팠던게 믿을사람이 너밖에 없다는?그런이야기로 너무 부려먹는거 같다는 생각이 들때가 있었어요 대대장님 참 원망많이했지요 그래도 빛을보는날이 오긴하더라구요 정말 어렵게 상사진급했네요 직업군인 아내의자리가 쉽진않네요 새벽3시에 일어나서 밥도 차려보고 10일동안 새벽5시에 일어나보기도 하고 그래도 전 제 남편이 너무 자랑스럽고 4성 장군보다 높은사람입니다

  • @kdavid4084

    @kdavid4084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하십니다 :) 나라는 남편분이 지키시겠지만 그 남편분은 처리님이 지키시는거에요

  • @user-bt2bc8hw2b

    @user-bt2bc8hw2b

    Жыл бұрын

    장담컨데 4성장군 단 사람 님 남편보다 더 고생 많이 했을겁니다

  • @user-nh1ke4pf5d

    @user-nh1ke4pf5d

    Жыл бұрын

    킹메이커 메이커시군요!

  • @jins_k

    @jins_k

    Жыл бұрын

    @@user-bt2bc8hw2b 4성 장군보다 더 고생한다는 말 = 없음 이새끼 개념 = 없음

  • @ten-million

    @ten-million

    Жыл бұрын

    고생많으셨습니다. 원사진급은 수월하게하시길 바랍니다! 댓글감사합니다

  • @user-zr5sb4kp2p
    @user-zr5sb4kp2p Жыл бұрын

    내가 제일 좋아하던 하사님 재밌고 유쾌하고 잘 챙겨주시던 하사님이 나오니까 기분이 좋네용 ^ㅅ^)/ 맨날 같이 철검 돌고 상황실에서 웃고 떠들고 작업 같이 나갔던게 엊그제 같은데 시간이 빠르네요 유튜브 흥해서 대박나세용 !!

  • @user-rs2ui7sm8p
    @user-rs2ui7sm8pАй бұрын

    완전 현실적 조언이네요 조온나 가슴에 팍 꽂혀요

  • @Korea_1964
    @Korea_19649 ай бұрын

    아주 객관적이고 좋은 분석입니다.

  • @user-pg7zu7xi4l
    @user-pg7zu7xi4l9 ай бұрын

    와진짜 현재 병사생활 하고있어서 더욱 관심이가고 느끼고있는 주제입니다. 이렇게 잘 이해가고 흥미롭게 설명하시다니 대단하십니다.👏👏

  • @catcoin-
    @catcoin- Жыл бұрын

    썰푸는 능력이 상당하시네요.. 예비군 7년차인데도 정신없이 정주행 중입니다 ㅋㅋㅋ 자주 올려주세요

  • @ten-million

    @ten-million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열심히 해볼게요ㅎㅎ

  • @bowlingmaster89

    @bowlingmaster89

    Жыл бұрын

    전 예비군 6년차입니다 UDT 7년복무후 제대했죠

  • @user-lq8fc3fg2s

    @user-lq8fc3fg2s

    Жыл бұрын

    예비군 몇년차가 뭐가 중요하리 그저 일반인일뿐 ㅋㅋ

  • @user-vn4wl6yz7c
    @user-vn4wl6yz7c Жыл бұрын

    그리고 현실적으로ㅡ정확히 얘기하시는듯!

  • @user-ep6ub1uj5l
    @user-ep6ub1uj5l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ten-million

    @ten-million

    Жыл бұрын

    영상봐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 @user-ip6dc3qt6y
    @user-ip6dc3qt6y Жыл бұрын

    궁금했던 내용인데 말을 참 잘 하시네요ㅎㅎ 잘봤습니다!

  • @hyungsoklee
    @hyungsoklee Жыл бұрын

    너무 잘알고 계시네요 ROTC출신인데 대학교동기들 26명중 소령진급이 1명 있을까 말까하드라구요 참 살아남는게 힘든일인것 같습니다.

  • @user-fo2pq1wj6y
    @user-fo2pq1wj6y Жыл бұрын

    알보병 같이 장교도 할수있는 특기면 아무래도 부사관 권한이나 입지가 좁지만 기술병과 장비다루는 특기는 오히려 부사관 수도 많고 장교들이 못해서 부사관 대우 좋아여

  • @dlkkot

    @dlkkot

    Жыл бұрын

    그대신 그런곳은 하사때 부조리를...

  • @Daniel-un4ek
    @Daniel-un4ek Жыл бұрын

    아까 장교 전입전출로 지역 옮기는거 말씀하셨는데 이거 정말 힘듭니다. 삶의 질이 확 떨어집니다. 가족들의 희생도 매우 크구요. 애들 자주 전학다니다 보면 학교성적이나 정서적으로 좋을게 없죠. 그래서 불량학생 되는 경우도 종종. 보통 중고등학교 쯤 되면 처자식은 평생 살 곳에 살고 아빠만 근무지 생활하는 기러기가족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글구 장기 되기 정~~말 어렵습니다. 저도 숙부가 군인이여서 중령/대령 나이들면 걍 하는건 줄 알았는데 사관학교 나와도 중령달기 쉽지 않습니다. 20년 연금년수만 채워서 사회 나오는 사람도 많습니다.

  • @alpha-oe5gi
    @alpha-oe5gi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웬만하면 직업군인 안하는걸 추천함. 군인 비하가 아니고 요즘 직업군인 가성비가 너무 딸려요.

  • @alpha-oe5gi

    @alpha-oe5gi

    Жыл бұрын

    @@Matterbetter 기술직이 낫죠 이동의 자유가 있는데. 9급공무원 직렬들도 많고요

  • @alpha-oe5gi

    @alpha-oe5gi

    Жыл бұрын

    @@Matterbetter 환경미화원 ㄱㄱ

  • @alpha-oe5gi

    @alpha-oe5gi

    Жыл бұрын

    @@Matterbetter 굿

  • @onmemusic3634

    @onmemusic3634

    Жыл бұрын

    육사 가는게 꿈인데 ㅠㅠㅠㅠ

  • @user-lp8gp9kl3u

    @user-lp8gp9kl3u

    Жыл бұрын

    @@onmemusic3634 경찰대 ㄱㄱ 군인으로서 말하는데 1~2년씩 매번 이동해야댐. 가족들이 힘들어

  • @user-xn8gs5gh2c
    @user-xn8gs5gh2c Жыл бұрын

    정말 말도 깔끔히 잘하시도 외모도 출중하시고 본인 군생활을 기반으로 현실적이게 토로하시네요 건승하실꺼에요 분명 안된다면 여행이나 다른 사람들이 많이 공감하는 주제를 가지고 토크만 하셔도 많은 인기가 자리잡을꺼라고 생각합니다 잘되길빌어요!

  • @ten-million

    @ten-million

    Жыл бұрын

    너무좋은말씀 감사합니다ㅠㅠ

  • @Dream-md4wi
    @Dream-md4wi Жыл бұрын

    굳이 돈으로만 비교하면 중령까지만가도 30년 정년채우기 때문에 장교가 압도적이죠, 근데 그 중령까지가 비사출신이면 현실적으로 극소수이기에 부사관이 메리트죠

  • @EPR739
    @EPR739 Жыл бұрын

    중사 전역한 부사관입니다. 제일 좋은것은 군직종에 관련안하는게 좋습니다. 잘해도 욕 못해도 욕 먹는곳 입니다. 최근들어 용사들 월급이 올라감과 동시에 간부들도 오를줄 알았는데 거의 동결인것을 보고 책임질것과 하는것이 많은 거에 비해 취급이 별로라는것을 실시간으로 느끼게 해주더군요.

  • @user-wt6ye5hm5n
    @user-wt6ye5hm5n3 ай бұрын

    포병학교 21년전 제대하고 큰아들이 군인되겠다하여 정주행중입니다 😊 항상 응원합니다 🎉

  • @user-hw9qw6ki5j
    @user-hw9qw6ki5j18 күн бұрын

    말이 재미있게 조리있으셩 확실히 얇고 길게 보면 부사관이 최고인듯 근데 오래하면 딱히 얇지도 않어

  • @user-hb6kn6gb1j
    @user-hb6kn6gb1j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진급교류를 내년에 시행예정 이며, 부사관도 진급하기위해 몇년에 이동을 수차례 옮긴다고 하네요

  • @youngbeompark8760
    @youngbeompark8760 Жыл бұрын

    장교 많이 힘들죠 ㅜㅜ 육사출신인 제친구 말에 의하면 지금은 소령,중령진급심사가 자유경쟁심사라 육사출신이라해서 진급이 보장되지는 않고 옆에 있는 전우와도 경쟁을 해야해서 엄청 피곤하다고 하네요 작년에 중령1차심사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좌불안석일 정도였다고 하는데 그 친구는 임무를 미친듯이 해서 중령진급을 1차로 한 것 같네요. 저랑 같이 근무했던 두번째 지역대장님은 학군출신이신데 보병학교 전술담임교관하실정도로 능력과 인품이 출중한분이라 중령3차진급이 잘돼서 제가 근무햇던 특공부대 3대대장으로 취임하셨고 저랑 같이 전입온 소대장은 학사사관출신인데 중령3차진급이 잘돼서 작년 가을에 항공대대장 취임했는데 소대장직 인수를 받은 간부사관출신 소대장이 전임 소대장과 같은날에 중령2차진급을 해서 그 소대장도 대대장으로 취임했습니다. 진짜 장교는 출신을 막론하고 미친놈처럼 임무를 하면 잘되는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소령이나 중령진급이 잘 안된분들이 열심히 안했다는건 아니고 그분들은 사회에서 직장다니시며 잘 사시더라고요^^ 부사관도 괜찮은게 장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임무를 잘하면 대대 교지관,연대 교지관을 하고 군단이나 육본, 국방부같은 상급부대 담당관으로 가더라고요 저희 옆소대 부소대장과 행보관님이 그런 케이스였거든요^^ 아무튼 부사관이든 장교든 군인은 복지가 좋다면 좋은 직업이라 생각합니다^^

  • @user-gu1jv3tm6i
    @user-gu1jv3tm6i Жыл бұрын

    2002년 월드컵 끝나고 가을에 병으로 전역 했는데 대대 주임원사님 대대장 한테는 덜 쪼는데 연대장 한테는 엄청 쫄던 모습이 선합니다 진짜 백발에 한 70된줄 알았는데 제대하고 군인정년이 55세란거 인터넷으로 알고 놀랬었죠 같은 짬이라도 부사관 장교는 대우차이가 큽니다 짬되면 될 수록이요 그대신 부사관은 얇고 길게 장교는 치열하게 생존을 위해 살아야 됩니다

  • @bbongkwon1943

    @bbongkwon1943

    Жыл бұрын

    그게 연대주임원사는 연대장에겐 덜 쫄고 사단장에겐 쪼는거에요.... 사단주임원사정도되면ㅎ 대대장쯤은ㅎ 같은급으로 안봅니다ㅎ 물론 계급상 상급자이기때문에 먼저 경례하고 극존칭하겠지만ㅎ 대대장 또한ㅎ 대대주임원사에게 하듯 편하게 못해요ㅎㅎ..ㅎㅎ

  • @user-gi8ik3do8p
    @user-gi8ik3do8p4 ай бұрын

    별까지 생각하는 건 꿈속에서나 가능할까 일반적으로 장교도 극히 일부만 선택된다는거 중령까지가기도 상당한 어려움이있다는거 정말힘듬니다

  • @game-ip6hz
    @game-ip6hz Жыл бұрын

    전방 보병대대에서 본 가장 표정이 밝았던 간부는 옆 연대에서 가끔 방문하던 탄약반장(?) 준위였던 것 같네요. 참고로 병 중에는 교사 임용고시 합격하고 온 병이었구요

  • @envirhy7808
    @envirhy7808 Жыл бұрын

    6년하고 대위 전역자입니다ㅋ 1000퍼 공감합니다ㅎㅎ 저라면 부사관가고 상사달면 준사관 ㄱㄱ합니다ㅋㅋㅋ

  • @user-wd9ol8gg2t

    @user-wd9ol8gg2t

    2 ай бұрын

    국가를 위해 노고가 많으셨습니다 ❤❤❤

  • @user-of9mo8fj7i
    @user-of9mo8fj7i9 ай бұрын

    지금 군사학과로 입학을해서 장교를 할려고하는데 원래 다니는 과가 방사선과인데 거기를 계속 다니는게 나을지 아니면 장교를 도전해보는게 좋을까요?

  • @iwhsnskawnsjeun
    @iwhsnskawnsjeun Жыл бұрын

    진짜 말씀하시는게 개웃겨서 다 찾아보게 되네요

  • @heehoonyong1736
    @heehoonyong1736 Жыл бұрын

    요약해서 사관학교 출신이 아니라면 부사관이 더 나은것 같다는 말이군요

  • @jeep4858
    @jeep4858 Жыл бұрын

    요즘 육사도 자원이 안좋아 중령 못달고 소령전역 꽤되여,.

  • @Ilil1ili1111
    @Ilil1ili1111 Жыл бұрын

    저도 군생활할때 직업군인 부사관 할 생각이였죠..(09군번 아재) 불알친구는 육군상사 입니다. 현재 직업은 굴삭기 하고있는데 어린시절 군 지원 안하길 정말 잘했습니다^^

  • @user-ux3bo8nj2g
    @user-ux3bo8nj2g Жыл бұрын

    장교는 확실히 진급이 빡셉니다., 장점만 압도했으면 솔직히 부사관들 전역하고 대학 들가서 장교로 왔을듯요

  • @forever4770
    @forever4770 Жыл бұрын

    잘 결정했네요 젊은 20대 나이에서는 지휘하고 권한이 있으니까 장교를 좋다고하지만 나이가 들고 사회를 알게되면 3사도 소용없고 육사출신이 아니면 진급못하고 옷벗고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근무중 이사다니면서 계획된 생활을 하기 히들지요 즉 집하나 구입도 계획댜로 못합니다 또 진급을 위해서 위에 눈치보고 장군진급하려면 돈 갔다가 부어야 합니다 대위까지는 올라간다고 해도 소령부터는 진급이 힘들고, 23살에 군생활시작해서 소위 중위에 5년, 대위에 5-6년, 소령에 7-8년 걸리고 그안에 진급이 안되면 연금도 못받고 연금이 아쉬워서 다시 부사관으로 들어가는 대위 소령의 장교들 많이 있습니다 설사 중령진급해도 대령진급에 힘들고 중령해봤자 급여나 사회적 대우 별로입니다 쉽게말해 경찰서장이 서기관인데 중령제대후 서기관급 직장못들어 갑니다 나이들고 사회를 알면 경찰서장하지 대대장 연대장 안합니다 사회적 대우도 경찰서장이 더 쳐줍니다 박정희 정권에서야 대위복무하다 유신 사무관으로 임명되었지만 요즘 누가 일개 대위를 사무관에 채용합니까. 장군 진급이 되어서 별한개 달면 좋지만 소장못달면 옷벗고 나오고 사회에서 알아주지 않습니다 제대전에 사회직장을 얻어야 하는데 특별한 보직이 아닌한 취업안됩니다 부사관은 장교에는 권한이 밀리지만 이제 사회분위기도 근속연수와 나이를 쳐주기에 대위까지는 부사관들한테 막 대할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계획된 생활로 주택마련같은걸 체계적으로 할수가 있고 정년이 보장된 만큼 일반 직장인 처럼 살수가 있습니다 영관급보다는 부사관이 현실적으로 더 좋다고 볼수있고 장군부터는 좀 다르지만 인원이 한정되어 거기까지 올라가기에는 육사-우수성적유지하고 집안에 빽이 없으면 힘들지요 준사관인 준위도 고려해 보심이 좋을듯하네여 준사관이면서 장교대우받고 직업정년 보장되고 연금걱정없고..보직만 잘받으면 별한개의 준장도 부럽지 않고..인연으로 경찰이나 국정원에 갈수도 있고..... 주변에 중령 대령 준장제대자들이 많은데 사회에서는 인정안합니다 시대가 버뀌었고 차라리 그기간에 대기업을 목표로 사회생활하면 군생활보다야 훨 좋다고 봅니다. 상사 원사 준위는 별달기 보다야 쉽다고 보여지네요. 외국에서도 대위가 중사 상사한테 함부로 못합니다 아니 안 합니다 직위의 높고낮음으로 사람을 대하는 시대는 이미 끝났네요 전쟁시나 계엄령 하에서는 모를까.. 오래전 현대어파트 특혜분양사건으로 군장성이 20대 검사실에 불려와 조사받다가 담배를 입에 물었다가 혼쯀난 예가 그것을 증명합니다 ㅎㅎㅎㅎ....

  • @mezzohk
    @mezzohk3 күн бұрын

    회사도 마찬가지예요... 진급 신경 안쓰는 현장 생산직할래? 고장 차장에서 끝날래? 모든걸 갈아녛고 임원될래???

  • @user-bs9uz6zb7m
    @user-bs9uz6zb7m Жыл бұрын

    영상 재미있네요 공군병사로 입대하여 부사관으로 25년째 근무중입니다 내년에 명퇴 예정입니다 이유는 연금개혁 때문에 7년전부터 나가려구 준비했습니다 작년에 경제적 자유는 달성 했고 연금은 200만원은 받아야 해서 군생활 하고 있는데 군대가 예전처럼 좋은곳은 아닌것 같아요 모든게 병사 중심으로 맞추어져서 앞으로 부사관 지원을 할까 생각이 드네요 병사 급여 200만원 나오면 누가 부사관 지원할까요 요즘 병사들 보면 책임도 없고 하루종일 놀다가 칼퇴근 부사관은 방관자 모든일은 부사관이 다 하는 느낌이 드네요 이런곳이 발전이 과연 있고 얼마나 버틸지 보이네요 누구하나 병사가 잘못을 해도 말도 못하는곳이 되어버리고 있네요 이유는 잘아시겠지만 앞으로 군대가 변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user-bk8ct1sv8i

    @user-bk8ct1sv8i

    Жыл бұрын

    울딸 부사관보내놓고 유튭보고있음 어린게 어찌헤쳐나갈지 너무걱정됩니다

  • @user-gy9ki1fs6z
    @user-gy9ki1fs6z7 ай бұрын

    국민의 안전은 자주국방. 의 핵심은 군의허리인 간부 소위 하사부터 병장월급의 3배부터는 주는 인금인상대책으로 애국심이 자긍심이 생기도록 하는것입니다. 선진국은 대기업 수준임

  • @user-wtpmjgda1

    @user-wtpmjgda1

    7 ай бұрын

    말같지도않은소리하네 세금은 어디서 충당하게?

  • @cketerja7637
    @cketerja7637 Жыл бұрын

    진짜 눈물밖에안나오는 부대대장 잘나가는소령들은 작전이나 정보 하던가 사단참모로가서 진짜 잘나가는장교로 가는데 부대대장은 ㄹㅇ 불쌍맨그자체

  • @R.O.K95
    @R.O.K95 Жыл бұрын

    대학교 인서울 정도 학벌이라면 군장학생 신청하고 학군단 신분으로 소위 임관해서 의무복무기간 중 군생활 최선을 다하면 장기복무심사에서 붙을 확률이 매우 큼. 떨어지더라도 전역하고, 부사관으로 재입대하면 되니까 무조건 장교부터 하는 것을 추천함.

  • @chae1173

    @chae1173

    Жыл бұрын

    일단 팩트 인서울정도학벌이 군인을 한다 ㅋㅋ? 이것부터 오류가 큼 ㅋㅋ

  • @user-wc6pe2ue5u

    @user-wc6pe2ue5u

    Жыл бұрын

    청성투혼

  • @user-eq6ci2ng2b

    @user-eq6ci2ng2b

    Жыл бұрын

    ㅋㅋㅋ

  • @khk6756

    @khk6756

    Жыл бұрын

    서울대나오고서도 학사장교 하는 사람도 있음. 편견은 ㄴㄴ

  • @Daniel-un4ek

    @Daniel-un4ek

    Жыл бұрын

    장교 장기복무심사에서 떨어지고 부사관 재입대? 수많은 동기/후배들이 중위/대위 이상인데 하사로 임관?푸하하 ㅋㅋㅋㅋ

  • @hwang7928
    @hwang7928 Жыл бұрын

    생각만 해도 빡치는 장성방문 ㅋㅋㅋㅋ

  • @soloplay246
    @soloplay246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직업군인할 생각이면 몇몇 특별한 천성이 군인(명예)같은 경우를 제외하면 당연 공무원(안정)을 택하는 경우가 대다수일거임. 그럼 부사관이 나을듯. 그렇다고 장교 군생활이 편한것도 아니고. 나라면 부사관했을듯.

  • @user-vn4wl6yz7c
    @user-vn4wl6yz7c Жыл бұрын

    94년도 9월군번이네요 예비역 병장출신 96년도ㅡ군단장님이 대대에 왔을때 그ㅡ며칠전부터 새벽까지 쓸고ㅡ닦고 거의ㅡ대대가 뒤집어졌었네요 군단장님ㅡ오신다해서 ㅡㅡ.

  • @dunken.k4805
    @dunken.k4805 Жыл бұрын

    흠... 이제 군대 갈 준비하는 20살입니다... 계속 학사장교로 소위로 임관할지 그냥 병으로 빨리 전역 할지 고민이 상당히 많았는데 너무 재밌게 썰 풀어주셔서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uj7pj8qs6x

    @user-uj7pj8qs6x

    Жыл бұрын

    학사장교나 학군으로 단기 하실거면 병을 추천 드립니다...

  • @dunken.k4805

    @dunken.k4805

    Жыл бұрын

    @@user-uj7pj8qs6x 오… 혹시 이유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 @user-jash1ob8cv0

    @user-jash1ob8cv0

    Жыл бұрын

    @@dunken.k4805 도대체 오ㅐ 단기로 갈건데 장교로 임관할려고 하는거임? 20대에 가장 중요한 시간 아깝게 버리지말고 병으로 빨리전역하고 사회생활할 생각해야됨 군대는 절대 의무복무로 장교 부사관하는거 아니다 장기할 마음먹고 장교 부사관하는거지

  • @vanillamatnilah

    @vanillamatnilah

    Жыл бұрын

    @@dunken.k4805 장교 7년하고 대위전역한 1인으로 첨언을 드린다면 단기로 장교하실거면 안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첫번째 이유는 중위전역이 요즘시대에는 스펙이 되지못합니다. 예전에는 대기업에서도 장교특채전형이라던지 가점부여되는게 있었다지만 지금은 그런거 없습니다. 차라리 병으로 빨리 군대다녀오시고 다른 경험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두번째는 급여차이가 적습니다. 요즘 병들도 월 50이상씩 받으며 내년에는 병장기준 100받습니다. 소위~중위가 물론 병사보다 배이상 받지만 장교생활하면서 정말 알뜰히 모으는거 아니면 생각보다 돈 잘 안모입니다. 군생활에 대한 로망이나 꿈이 있으신거 아니면 병사로 빨리 다녀오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dunken.k4805

    @dunken.k4805

    Жыл бұрын

    @@user-jash1ob8cv0 넵! 충고 감사합니다

  • @user-mi4do3eg7q
    @user-mi4do3eg7q Жыл бұрын

    남자나이 40이면 평생 직업 고려합니다 ㅎㅎ 민간기업은 말할것도 없고 공기업 마찬가지 입니다 수입과 직장의 스트레스 만만치 않아 진짜 많이 고민하고 고민됩니다 전 일반대학 졸업 후에 다시 약대 진학한 사람인데 전방지대에서 약국하다 보니까 진짜 부사관 요즘에 복지가 괜찮더라구요

  • @K-Challenger
    @K-Challenger Жыл бұрын

    저희 대학원 교수님 대령 예편하셨는데 국방? 군사? 연구원이랑 교수직 2개해서 연 2~3억 버신다고 하셨어요ㅋㅋㅋㅋ 연금 가족분 다주고 전역 후 교수님 수입 손안대는걸로 쇼부보고 꽃길 걸으시는중ㅋㅋ

  • @vanillamatnilah
    @vanillamatnilah Жыл бұрын

    저는 학사장교 7년하고 대위로 전역했습니다. 장교가 되기 전에 이사 자주다녀야 하는 것, 진급에 대한 불안정성 다 알고 시작했는데도 막상 현실과 맞닥뜨리게 되니 너무나 막막하더군요.. 혼자일 때는 이사다니는거 어렵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결혼을 하고나니 저때문에 아내가 직장을 옮겨야하고 아내의 꿈을 접어야하는 상황이 되니깐 더 이상 군생활 못하겠더군요.. 이사라는 것이 정말정말 쉬운 문제가 아닙니다. 저도 다시 군인이 되는 기회가 생긴다면 어떠한 고민 없이 바로 부사관 선택합니다.

  • @The_Noble_Lucifer

    @The_Noble_Lucifer

    Жыл бұрын

    군장학생 이셨습니까?

  • @eustwggs

    @eustwggs

    Жыл бұрын

    저도 학군 7년복무(5년차전역)입니다. 완전 공감하네요 임관전에는 소문만듣고 했는데 실제로 내가 겪으니 이건 아니다 싶더군요

  • @user-qx8se6vn8m

    @user-qx8se6vn8m

    Жыл бұрын

    장교하다가 부사관으로 하게되면 호봉은 인정되고 하사로 시작하는거에요? 뭘로 직급은 뭘로 시작허는거에요?

  • @kiyjy7

    @kiyjy7

    9 ай бұрын

    요즘은 부사관도 10년이상 근무하면 강제로 지역이동을 해야한다고 합니다... 한 곳에 오래 근무할 수 있어서 부사관으로 복무하는 사람이 많은데 그거 때문에 전역하는 분들도 많다고 합니다...

  • @user-jl6oo8np8b

    @user-jl6oo8np8b

    6 ай бұрын

    @@user-qx8se6vn8m 대위이상이면 중사로 재임용 or 하사로 재임관, 미만이면 하사로 재임관 둘 다 호봉은 인정됩니다.

  • @user-nc3eg3pl4l
    @user-nc3eg3pl4l Жыл бұрын

    한마디로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네

  • @mierda1576
    @mierda157611 ай бұрын

    전 해군 장교 출신인데. 해군장교는 장기를 하고 싶으면 거의 다 된다고 보면 되고 소령까지는 100% 진급이 됩니다. 비사관학교 장교도 중령 진급율이 50%는 넘습니다. 다만 해군은 단점이 처음에 장교가 되는게 육군장교랑은 비교가 안되게 힘듭니다. 그리고 비사관 장교는 제독 to가 딱 한명이라서 별은 못단다고 봐야하고 중령이나 대령으로 대부분 끝난다고 봐야합니다. 육군은 비사관도 뽀록으로 별 몇개 따는 경우가 있다는 장점이 있죠.

  • @user-yl2fx3hb2r
    @user-yl2fx3hb2r Жыл бұрын

    이제 이런건 공공연한 사실이라 간부 지원률 급락중이고 특히 장교는 지원자 미달 상태죠ㅋㅋㅋㅋ

  • @user-mn6fj4cd2e
    @user-mn6fj4cd2e7 ай бұрын

    지금직업군인 이탈사태는 심각하다고봅니다 자주국방의 큰문제인데 아무런 대책도 없는국방부 빨리 해결책을 내놓기 바랍니다

  • @user-xn5gr2ok2g
    @user-xn5gr2ok2g Жыл бұрын

    군인연금 수혜조건 19년 6개월만 채우고 상사, 소령으로 전역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요즘 시대에 40대 초반의 나이는 새로운 일을 배우고 도전하는데 절대로 늦은 나이가 아니다. 타 직업들 나이 60에 연금받을때 상사, 소령으로 20년 복무 칼전역하면 40대 부터 군인연금받으면서 하고 싶은 일 배우고 쉬엄쉬엄 인생 즐기는게 더 행복할지도 모른다

  • @hjr___hjr___9061

    @hjr___hjr___9061

    Жыл бұрын

    동감

  • @jydasdfg3688

    @jydasdfg3688

    Жыл бұрын

    아무리 요즘이라지만 어디 공기업이나 공무원 안하는 이상 늦은 나이 아닌가요? 대한민국이 전세계에서 취업에서 나이 보는 나라 상위권인데

  • @jydasdfg3688

    @jydasdfg3688

    Жыл бұрын

    거기다 소령은 20년 충족할려면 44세에 전역하는건데 글쎄요 그나이에 새로운 일자리 찾는게 쉬운건 아니죠 본인이 특별한 기술 가진게 아닌이상 거기다 소령연금 200만원밖에 안됩니다

  • @The_Noble_Lucifer

    @The_Noble_Lucifer

    Жыл бұрын

    @@jydasdfg3688 소령연금 180도 안된다는 말이 있던데 ㅠㅠ

  • @user-wx7pz7hw4l

    @user-wx7pz7hw4l

    Жыл бұрын

    @@The_Noble_Lucifer 그돈 받으면서 놀면 안되지 ㅋㅋ 다른거 같이하면 월 300만 벌어도 480이잖아. 게다가 연금은 세금도 안떼지

  • @ususuide9373
    @ususuide9373 Жыл бұрын

    병사로가세요ㅋㅋ 현7년째근무중인데 현타쌔개오네요

  • @alfmrl
    @alfmrl Жыл бұрын

    스카이콩콩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dk2628
    @ddk2628 Жыл бұрын

    지극히 제 개인적인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장교기준 본인이 나라에 엄청난 충성심이 있고 내 목숨, 젊음, 인생 다 국가에 바칠 수 있는 분은 육사 갈 실력이 된다면 육사 가세요. 근데 그게 아니라면 그냥 지금부터라도 다른 진로 정하세요. 저는 가족 중에 육사&삼사 출신인 분들이 계셔서 군인을 꿈꾸고 임관했는데 막상 자대 가보니 현실은 대가 없는 무한한 책임과 희생뿐.. 거의 누칼협 입니다. 물론 다른 회사들도 책임은 따르지만 군대랑은 비교할게 못 됩니다.

  • @user-nv8zm1cx7q
    @user-nv8zm1cx7q Жыл бұрын

    당연하지

  • @user-ep7ko2sh5h
    @user-ep7ko2sh5h Жыл бұрын

    부사관: 안정적이면 부사관 도전 장교: 명예 경제적인게 중요할때 아니면 부사관> 장교 간부사관 갈수도 있음 이라고 주변에서 많이 하더라고요

  • @PockBan
    @PockBan Жыл бұрын

    현역 부사관이고 제가 복무하는 부대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 장교

  • @ten-million

    @ten-million

    Жыл бұрын

    1번같은경우 저도 영상에 넣으려고 했으나 시간상 제외했는데 정확히 말씀해주셨네요! 간부들의 상황을 굉장히 디테일하게 말씀해주셔서 순식간에 읽었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ㅎㅎ

  • @user-xm4pw1je8o

    @user-xm4pw1je8o

    Жыл бұрын

    시발 극공감 인정. 회의 회의 회의, 병신같은 회의, 회의를 위한 회의, 보고를 위한 회의, 보고를 위한 보고 ㅋㅋㅋ

  • @user-pq9rt5mx6i

    @user-pq9rt5mx6i

    Жыл бұрын

    너무나도 완벽한 정리...

  • @eye3836

    @eye3836

    Жыл бұрын

    장교는 책임감을 견디고 리더쉽을 가지고 지휘자 자도자가 되는 길이고 부사관은 걍 전문직임 장교는 그 어려움을 이기고 진정한 리더가 되는 과정이지 부사관 병사는 절대ㅠ모름 걍 돈만 보고 철밥통할거면ㄴ 부사관해라

  • @ToTheMoon777

    @ToTheMoon777

    Жыл бұрын

    사관학교 출신이면 당연히 장교가 낫고 학사나 학군, ROTC 출신 장교와의 비교는 부사관이 나음(둘 다 장기 됐단 전제 하)

  • @ready4-160
    @ready4-160 Жыл бұрын

    이러니 장교들이 진급에 눈이 멀어서 부대 발전은 뒤로하고 자기 별다는 거에만 관심이 쏠리는 경우가 많다. 상부한테 어필하고 사고안치려고 그냥 조용히 앉아서 아무것도 안하는게 진정한 리더인가.

  • @user-uz4ki5kp5x

    @user-uz4ki5kp5x

    Жыл бұрын

    진정한 리더는 아니고 진정한 직장인? ㅋ

  • @user-dw3ff6hg1w

    @user-dw3ff6hg1w

    13 күн бұрын

    진급을 하려는 장교가 가만히 앉아서 😅 경쟁이 치열한데 가만히 있으면 누가 진급시켜줍니까. 업무는 물론이고 자기계발도 열심히 합니다. 그래도 진급이 될까말까하는데 가만히 있다니요😊

  • @guccias1
    @guccias14 ай бұрын

    굵고 짧게 갈건지 얇고 길게 갈건지의 선택. 그런데 요즘 부사관도 예전의 메리트가 전혀 없음. 잦은 전출과 좋지않은 처우 중간에 낀 위치로 인해 받는 스트레스등등.... 여전히 똥별 천지인 현재 그냥 장교고 부사관이고 하지 않는것이 답임.

  • @user-dw3ff6hg1w

    @user-dw3ff6hg1w

    13 күн бұрын

    장교고 부사관이고 아무것도 하지마라고 하면 나라는 누가 지키나요 물론 *별도 있고 문제있는 군인도있지만 그건 극소수고 대다수는 자신의 업무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니 님도 밤에 발뻗고 주무시겠죠? 대한민국에 군인이 없어지길 바라는 집단은 북한 김정은과 군부집단 뿐이겠죠?

  • @kiyjy7
    @kiyjy7 Жыл бұрын

    진심 군 장교분들과 그 가족분들 정말 고생 많이 합니다... 장교가 다른 지역으로 가야한다면 가족이 다같이 가던지 아니면 장교만 가는 기러기 부모가 되던지 하는 수밖에 없지요... 특히 해군 간부가 정말 심하다고 합니다. 해군은 부사관도 인사이동이 있다지만 정말 해군 장교는 육군 장교보다 인사이동이 매우 잦고 이동거리가 진짜 말이 안되는 수준입니다. 짧으면 1년마다 한 번이라고 하니 말 다한 것이죠... 만일 동해쪽에서 근무하다 인사발령이 났는데 서해로 가야 한다고 하면 미리 그 곳에 숙소를 구해놓고 가족이 같이 간다면 주말을 이용해 가족을 먼저 보내놓고 동해가서 전출신고를 한 다음 서해로 간다고 합니다. 더 엿 같은건 해군은 지역이동 시 이동하는데 소비한 시간만큼만 휴가로 인정이 되고 지역이동을 바로바로 하는 수준이라 직책 관련한 인수인계를 해주거나 받지 못 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고 합니다. 육군은 그래도 지역이동 시 전출휴가 같은 것이 나오고 인수인계 기간도 어느정도 준다고 알고 있지만 해군은 그딴거 없다고 합니다.

  • @user-bk8ct1sv8i

    @user-bk8ct1sv8i

    Жыл бұрын

    동해살때 중령님댁 방문한적있는데 깜짝놀랐네요~필요한것빼곤 이사온 짐 그대로이더라고요 궁금해서 물으니 일년있다 또 갈건데 왜 짐을 푸냐고~~정말 겉만번지르르한생활~실상은 너무 마음아팠어요 그래도 우리부사관은 다음발령지까진 3~5년정돈 있는데~😥😥😥

  • @duck5006
    @duck50062 ай бұрын

    직군출신으로서 말하자면 장교와 부사관 업무차이도 심함 업무 스트레스차이도 심함 참모쪽도 그렇지만 일반쪽도 동일로 심함 책임과 권한이 큰만큼 리스크도 큰차이가 남.

  • @scv7504
    @scv7504 Жыл бұрын

    찐해답 알려드립니다 육사나왔으면 장교 이거아니면 부사관 가는게 해답

  • @user-kk7jf9og3h
    @user-kk7jf9og3h Жыл бұрын

    고졸까지의 학벌은 장교는 못하고 부사관은 가능하시다고 말씀 드려서 궁금증이 생겼어요 부사관에서 장교로 전환할수 있다해서 느낀건데 고졸에 부사관이 장교로 전환은 불가능한가요?

  • @ten-million

    @ten-million

    Жыл бұрын

    네 그게 간부사관인데 간부사관은 전문대졸업이나 4년제대학을 2학년이상 끝내야 지원가능합니다

  • @user-eg1hk6jp1z

    @user-eg1hk6jp1z

    Жыл бұрын

    대졸출신부산관이면 가능 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ㆍ전문대 나오면 삼사관 학교가면 장교 가능 합니다 ㆍ삼사관 학교는 삼군 사관학교가 아닙니다

  • @user-kk7jf9og3h

    @user-kk7jf9og3h

    Жыл бұрын

    전문대이상 학벌이면 3사관은 가능하니 대학교는 군대와 관련없는 전문대라도 상관 없는거죠?

  • @user-eq9oj2em5j

    @user-eq9oj2em5j

    Жыл бұрын

    @@user-kk7jf9og3h 그러다가 나중에 땅을 치면서 후회하세요 좀 험한 말인것 같지만 님 스펙이면 그냥 부사관 가는게 나아요 인서울 ROTC도 대부분 대위에서 안보내주고 소령부터는 걍 사관학교 여야 합니다 3사나 ROTC 학사 진급률이 10퍼 미만 입니다 장교는 소령을 진급해야 연금을 받고 먹고 살수가 있는데 대위에서 컷나면 진짜 먹고 살기 힘듭니다 중령부터는 말 할 필요 없고요 특히 간부사관은.... 별을 단 사람이 없습니다 차라리 부사관 가서 상사까지 다시고 준위 시험 또는 원사까지 다시는걸 추천드려요

  • @user-kk7jf9og3h

    @user-kk7jf9og3h

    Жыл бұрын

    @@user-eq9oj2em5j 대위에서 컷나면 부사관으로 다시 임관 할까 생각은 해봤어요 장교에서 전역하지 않고 부사관하면 하사부터 하는건 아니라고 이야기도 들어봐서인지 장교하다 대위에서 컷나면 부사관으로 다시 임관하는것도 나쁘지 않아보여요

  • @user-se5jj2fm3k
    @user-se5jj2fm3k Жыл бұрын

    10:05 혹시 이때 말하시는 당시 중대장님 성함이 ㄱㅈㅇ 이에요?

  • @user-pq7nv2wq5v
    @user-pq7nv2wq5v Жыл бұрын

    이제 중사 > 상사 상사 > 원사 진급 시에 지역 옮긴다 하네요 가뜩이나 없는 부사관 이제 망하겠어요

  • @seokc9435
    @seokc9435 Жыл бұрын

    제 주변 지인이 뭐가 낫냐 물어본다면, 둘다 하지 말고 병으로 빨리 다녀와 민간인 하라고 추천할듯 합니다 ^^

  • @seokc9435

    @seokc9435

    Жыл бұрын

    @@Matterbetter 군 성공 확률과 사회에서의 성공확률로 보자면 전 사회인듯 합니다.

  • @spop7061

    @spop7061

    Жыл бұрын

    @@seokc9435 물질적, 사회적 성공을 떠나 '자유'의 문제가 크죠... 군대에서 아무리 성공하고, 높이 올라간다 쳐도 기본적으로 '군인'이라는 신분적 제약이 평생 따라다녀서, 군인체질 아닌 사람들은 견디기 정말 힘듭니다

  • @user-do5bl7dq4o
    @user-do5bl7dq4o Жыл бұрын

    장교 잦은 이사는 없앴으면 좋겠네요 ㅜㅜ

  • @yosinorimiyamasu7153
    @yosinorimiyamasu7153 Жыл бұрын

    하사

  • @user-nb1ol3ru7s

    @user-nb1ol3ru7s

    Жыл бұрын

    중사가 소위한테 밀린다고 ?

  • @TRKS_Legend

    @TRKS_Legend

    14 күн бұрын

    쏘가리는 하사 다음에

  • @Lucas-ic9mm
    @Lucas-ic9mm8 ай бұрын

    애들이 많이 착각하는거 같다. 장교, 부사관 능력치에 비해 괜찮은 월급에, 연금 준다. 물론 장교는 중령이상, 부사관은 원사 만기 채웠을 때 이야기임.

  • @sealburger
    @sealburger10 ай бұрын

    스카이콩콩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dv5gq1ic7k
    @user-dv5gq1ic7k Жыл бұрын

    장교는 중, 대령 달기 당연 힘들고 부사관도 원사 달기 힘들다고 합니다.

  • @user-bj3iw2ve4r
    @user-bj3iw2ve4r Жыл бұрын

    세계관 체약자들의 싸움

  • @user-mn5ds4vm5p
    @user-mn5ds4vm5p Жыл бұрын

    장교가 힘든 직업입니다, 병사로 가는걸 더 추천드립니다

  • @kdavid4084

    @kdavid4084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지 ㅋㅋㅋ

  • @user-pq9rt5mx6i

    @user-pq9rt5mx6i

    Жыл бұрын

    그냥 1.5년만 하고 가라고ㅋㅋ

  • @user-pm7uh9ww6c

    @user-pm7uh9ww6c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추천합니다(진심)

  • @user-dw3ff6hg1w

    @user-dw3ff6hg1w

    13 күн бұрын

    장교 절대적으로 인원수가 부족해져서 진급이 엄청 잘되겠네요.😅

  • @ROKA-ym3lx
    @ROKA-ym3lx8 ай бұрын

    98년에 병으로 입대해서 99년에 하사관지원해 19년9월에 상사15호봉에서 전역했는데 부사관도 병과를 잘선택해야함 병과에 따라서 장기T.O가 달라진다. 보병.기갑.포병이 제일 최고이고 그외이면 단기하고 나와서 빨리 일해라 20년하고 원사진급전에 나왔는데 연금120받아서 세금내면 100만원정도 받는데 기술직 아니면 취업하기도 힘들더라

  • @jjjj-xq1zi
    @jjjj-xq1zi Жыл бұрын

    대위전역하시분들이 중사로 재입대하시는분들이 은근 계십니다. 그분들 하시는말씀이 안정적이고 이사안가도 되고 그냥 시키는거 잘하면 되니 오히려 편하다고함.

  • @user-rs6rm8gc3p
    @user-rs6rm8gc3p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사관학교 출신 장교입니다. 직업군인 할거면 부사관 하시고 육사 가실 성적이시면 그냥 일반대학 가서 알티 해보고 아니다 싶으면 나가서 취업하세요 군대는 ㅈ같은 곳입니다...

  • @DsPA-ql7ht

    @DsPA-ql7ht

    7 ай бұрын

    왜 부사관 추천 하시는지 알 수 있을까요??

  • @user-dw3ff6hg1w

    @user-dw3ff6hg1w

    13 күн бұрын

    사관학교 출신 군인이 군대를 ㅇ같다고 하는 건 처음 봅니다.

  • @repeat-77
    @repeat-77 Жыл бұрын

    군대는 계급이 깡패라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니죠. 권력의 규모가 다르고,명령의 의해 움직이는 절대적 조직이 군대죠...이거 하나로 종결

  • @dkskdksk23
    @dkskdksk23 Жыл бұрын

    우리 주둔지에 군단장이 왔음 우리는 그때 행군하고 있었음ㅋㅋㅋ빨간색바탕에 금색별3개 박힌 차가 다른 대대 연병장 돌고 갔음ㅋㅋ근대 그때 경례 소리가 아직까지 기억남 맹!!!!!!!호!!!!!!!!!!!!!!!

  • @user-zo8vk9dd7n
    @user-zo8vk9dd7n Жыл бұрын

    가늘고 길게 =부사관 굵고 짧게=장교 매우드문확률로 굵고 길게 = 장군

  • @user-nb1ol3ru7s

    @user-nb1ol3ru7s

    Жыл бұрын

    그냥 병사하라고 아 ㅋㅋ

  • @soljungkim2656
    @soljungkim2656 Жыл бұрын

    원사, 준위 급여는 보통 중령, 4급 수준입니다. 하지만 원사, 준위의 말호봉은 25년 이상 군복무한 대령, 준장(2급) 월급과 비슷합니다. 단, 수당에서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 @user-ww3hd4so1p

    @user-ww3hd4so1p

    Жыл бұрын

    그건 아닌듯 합니다 소령보다 낮습니다

  • @user-bk8ct1sv8i

    @user-bk8ct1sv8i

    Жыл бұрын

    그건아니것 같은말에 동감

  • @soljungkim2656

    @soljungkim2656

    Жыл бұрын

    @@user-ww3hd4so1p 소령은 20년 이상 복무자가 없습니다. 중령 진급 못하면 전역해야 합니다. 하지만 원사, 준위는 33년 이상을 합니다.

  • @proscourt1

    @proscourt1

    Жыл бұрын

    원사 , 준위 30년이상 하면 원사는 세후 5백대중반 , 준위는 세후 5백대후반 정도 될겁니다.

  • @user-lz1xe5lj5p
    @user-lz1xe5lj5p Жыл бұрын

    와람된 얘기지만 장교에서 별다는거랑 부사관에서 원사다는건 난이도가 천지차이라 생각합니다 경쟁자들도 수준이 훨씬 높고

  • @user-xw6ww9rg8c
    @user-xw6ww9rg8c Жыл бұрын

    장교분들이 똑똑하고 부대 관리및 인력관리하는 책임감에 우선 한표 드립니다 부사관들은 그부대 오래 근무하여 미주알 고주알 다 아는...이들이 없으면 부대운영 애로사랑 많겠죠 장교는 사병과 장교들 사이를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하는 부사관들을 잘 관리하는 관리자,부사관은 중간 관리자 부사관은 부대 특성상 최신무기를 잘 다루는 숙련된 전문가 그룹(요즘 최신 무기들은 가격이 ㅎㄷㄷ) 장교는 그런 전문가 그웁을 적재 적소에 배치하는 전략,전술가(실상 장교들은 각종 교육및 정보등을 취합하기에 본인 주특기에 비해 아는게 많음) 여러 이유가 있겠으나 부대 보직을 두루 겪어보게하여 경험을 축적시켜 군의 인재로 만들어냄,진급에따라 대학원및 각종 교육을 별도로 받음 장교들은 실력도 중요하지만 운도 따라 주어야 하며 위로 올라 갈수록 로비,인맥도 필요하다 봄 군을 계급을 가지고 먹고 사는 문제로 보지 말고 어떠한 지휘관이 유사시 생명을 다루는 상황에 잘하는지가 중요하다 생각함(그래서 똑똑한 사람이 장교해야 함) 장교는 계급및 보직 관리하는 부대 인원에 비례하여 대우가 달라진다고 보면 그것이 맞을거임 (능력이 안되면 도퇴 되는 것은 사회나 별차이 없음,군이라는 특성상 오히려 더 심하면 심했지...) 부사관은 군에서는 없어선 안될 허리 역할을하는 전문가 그룹임 거기에 맞게 대우를 해주는 거임

  • @user-bk8ct1sv8i

    @user-bk8ct1sv8i

    Жыл бұрын

    👍👍👍👍👏👏👏👏

  • @seizetheday8084
    @seizetheday80843 ай бұрын

    대위(특히 작전과) 그리고 소령들 퇴근도 못하고 업무에 치여서 새카만 낯빛으로 담배 피고 있는 모습 보면 ㄹㅇ 불쌍함

  • @user-mk6mi9zr4l
    @user-mk6mi9zr4l Жыл бұрын

    저같으면 부사관 입대해서 처음부터 준위를 노리고 준위시험 부사관 복무 내내 준비할 것 같습니다. 정말 준위만한 계급이 없는 것 같습니다.

  • @The_Noble_Lucifer

    @The_Noble_Lucifer

    Жыл бұрын

    준위 요 ㅋㅋ 대령 안부럽습니다 ㅋㅋㅋ 대령도 별 못달면 군생활 쫑나는 거죠 ㅋㅋ

  • @aaa-uj3sb

    @aaa-uj3sb

    Жыл бұрын

    @@The_Noble_Lucifer 대령이 왜 쪽이남? ㅋㅋ

  • @The_Noble_Lucifer

    @The_Noble_Lucifer

    Жыл бұрын

    @@aaa-uj3sb 전역당하죠 ㅋㅋ

  • @aaa-uj3sb

    @aaa-uj3sb

    Жыл бұрын

    @@The_Noble_Lucifer 대령 정년 만56세 까지라서 안짤려요

  • @mshsey

    @mshsey

    Жыл бұрын

    준위도 개빡씨지만.. 준위vs대령이면 100이면 100대령아닌가?

  • @princeg7171
    @princeg7171 Жыл бұрын

    ㅋㅋ 옛날 부대 작전과장 그당시 대위인데 꿈이 진급이아니라 동대장하는게 목표라던데

  • @mrj9713

    @mrj9713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소령전역자가 넘쳐나서 최소 중령전역은 되야 안정권입니다. 중령전역해봐야 53-55세인데 아직 중고등학생 자녀있어서 집에서 빈둥 거리면 마눌들이 울어대서 많이 합니다.

  • @user-mh2hb1gz6r
    @user-mh2hb1gz6r8 ай бұрын

    직업군인을 실제로 중령이상(일반회사 부장급)으로 봅니다....중령을 달아야...대대장.사단참모, 육본, 해외유학 등 다양한 군보직을 할 수 있죠. 거기다가 정년도 55세까지 가능하고....전역후에도 재취업이 용이하고....대령은 그냥 원스타라고 봐도 무방하게 성공한 편이라고 볼수 있죠....제 동기 ROTC31 중 별이 현재 5명 정도 화인되는데...최고는 사단장 2명인가....차후에 군단장, 야전사령관도 나올수 있갰죠. 장기 복무자 중 (약 200~300명장기 /3400명임관)...장기 중 약2%수준으로 별 다는 걸로...계산이 되는데...그 친구들 대학은 서울,지방 다양합니다...군체질들이죠. 장기복무자 중 그래도 10~20%정도는 대부분 중령, 대령 정도로 군생활 마치는 것 같네요....물론 대위급에서 전역도 엄청많고... 그리고 중령,대령 전역자들은 공기업이나 사기업에 비상기획관인가 하는 걸로 재취업하긴 하데요..(부장이상급) 그래도 저는 장교로 지원해보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물론 저는 중위전역했습니다만.(원래 단기지원자라) IMF때이후에 단기에서 장기지원자로 많이 갔다고 하더군요...참고로 우리때는 단기지원자들이 성적도 좋고 경쟁율이 높았습니다. 장기가 아니더라도 단기라도 장교복무 추천합니다...물론..장기지원해서 별달면 너무너무 좋겠지만... 육사에서 비해서 별달 확률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재동기가 현재 5명정도 별단거보면....꼭 어려운 것도 아닌듯 하네요 사실 동기중에 별달놈이 있을라나 했는데...최근 동문자료 보니...5명 육사도 동기 중 별 달 확률이 10% 안되는 걸로 아는데....육사도 대위 전역 많이 합니다.(5년 의무) 물론 장교출신이라고 사회에서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사회에서의 성공은 또 다른 길이라...그래서 인생에서 젊은 청춘시절 30명의 부하를 지휘해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아닐까 생각해보네요. 물론 소대장 쉽지 않습니다...요즘은 병사생활이나 급여 좋아서 지원율이 떨어진다고 하던데... 국가적 차원에선 우수한 장교 양성이 중요한데...물론 부사관 무시한다는 뜻은 아님. 참고로 육군별이 약 300개 되는걸로 아는데...아마도 육사 70% 이상 독식...물론 군핵심보직은 다 그놈이들이 그리고 비육사가 30%. 그중 ROTC가 15% 정도될려나...rotc가 50명정도 잡으면 별달 기수는 50~ 60세..1기수당 5명 정도 계산되네요.. (기수별 장기자 300명 기준하면 약 2%) 육사를 200명 정도 보면 기수당 20명....약 10% 정도(200명 임관) 계산 나오네요..확실히 육사가 유리한 것은 맞습니다. 물론... 확실한 것은 아니고 추정값입니다.

  • @liberationhomefront
    @liberationhomefront Жыл бұрын

    장교도 중장 이상 아니면 부사관이랑 사회 인지도 측면에서는 다를 게 없음. 의장, 총장, 장관 자리 아니면 이름 날려선 안되는 직업인 건 확실함. 자신의 분야에서 소소한 이름 없는 전문가가 될 지 돈 많이 받고 책임지는 이름 없는 자리 할 지 둘 중 편한 걸 하셈. 그럼 이만 돈 좀 급하게 필요해서 의무복무 채울 겸 군대 갔다온 예비역 사관

  • @user-mx4cw2kd6p
    @user-mx4cw2kd6p Жыл бұрын

    공군 전투기 조종사는 부사관보다 좋은건가요?

  • @goldenboy6826
    @goldenboy6826 Жыл бұрын

    부사관으로서 최고 명예는 합참주임원사 그 다음이 각군본부 주임원사

  • @user-bx3yx7hw1e
    @user-bx3yx7hw1e Жыл бұрын

    고명 손녀가 부사교 장학생 22-2 기 (2022.07.01) 임관후 초급 리더과정 25주 마치고 제105 여단, 제10 해안감시 기동대대에 서류상 배치되었다가 홍일점 여군이라서 초급 리더과정 수료식 당일 근무 여건상 재배치를 해주어서 여단 CCC (지휘통제실)로 배치되어 근무중입니다. 부사교 교육생 기간 공부,체력, 사격 등 그리고 초급 리더, K C T C 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 하였습니다.

  • @user-ko2wd7qm8d
    @user-ko2wd7qm8d2 ай бұрын

    장교는 사관학교출신 아닐거 같으면 부사관하는게 속편함. 부사관이야 장기만 통과하면 되지만 장교는 전역할때까지 무한경쟁임 그거 사람할짓 못되는듯. 장교는 사관학교출신 아니면 진짜 너무 직업적 안정성이 없음

  • @user-dw5jp6ip4u
    @user-dw5jp6ip4u3 ай бұрын

    장단점이 다 있습니다~~

  • @user-db2vw4nw4f
    @user-db2vw4nw4f Жыл бұрын

    부와 명예를 노린다면 사업을 하자

  • @hyeon_0108_
    @hyeon_0108_ Жыл бұрын

    천만배의 부사관 (⌒‐⌒)

  • @wkdwkdwkd
    @wkdwkdwkd Жыл бұрын

    전체적으로 모든걸 종합적으로 보자면 부사관이 살짝?좋을수도있는데 가장큰단점 50대원사되도 갓임관한 소위한테 경례 존댓말해야함ㅋㅋㅋㅋ 물론 소위가 원사를 막대할수없고 실제권한도원사가더크겠지만 현실임ㅋㅋ

  • @MBCa246
    @MBCa246 Жыл бұрын

    저희 아버지도 육사를 가시려고 하셨지만 인맥이 없으면 별을 달기 현실적으로 힘들거 같다고 판단 하셔서 서울대를 가셨다고 얼핏 들은 기억이 나네요. 어릴때 들은 이야기라 듣고 아 그렇구나 하고 넘겼는데 나이를 먹고 전역도 하고 결혼도 한 지금 다시 생각해 보니 조금 씁슬한 말씀 이셨네요.

  • @user-lp3fx3zt4d
    @user-lp3fx3zt4d Жыл бұрын

    군인이란 진짜 자기버려가면서 하는게 하는직업이라

  • @mechanicclemont4799
    @mechanicclemont4799 Жыл бұрын

    영어 관심있는 분들 위해 쓰자면 카투사는 부사관은 미군복 입는데 장교는 한국군 군복 입어야 함... 그냥 그렇다고요 😃😃😃😃😃

  • @user-ib8wd7vr8v
    @user-ib8wd7vr8v Жыл бұрын

    스카이콩콩에서 웃참실패 ㅋㅋㅋㅋ

  • @user-zj3zu6tb1g
    @user-zj3zu6tb1g Жыл бұрын

    장교는 장점보단 단점이 많죠...명예가 유일한 장점 아닐까요...요즘 젊은 장교들은 그 마저도 없죠...차라리 학벌 좋고 개념있는 똑똑한 병사가 더 나을때도 있습니다

  • @user-xz2nw6kv1f
    @user-xz2nw6kv1f Жыл бұрын

    연차 싸여도 대위 못 달아. 아~~~ 고삐리...

  • @Logan_riley6
    @Logan_riley66 күн бұрын

    한국에서 태어나서 진짜 쓸모 있고 명예롭게 조국을 위해 몸을 받치는 군인이 되고 싶었는데 이젠 아님 차라리 미하사에서 뭐 요즘 전역때 중사 달아주고 돈도 안주고 진급도 안시켜주던데 걍, 하사에서 좀 일하다 나와서 PMC 들어가서 일함

  • @kk-vb4zc
    @kk-vb4zc11 ай бұрын

    두개다 하면 안된다..직업군인은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