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주년 역사상 최대 위기라는 현재 디즈니 근황|크랩

#크랩 #디즈니 #위시 #kbs뉴스
라이온킹, 알라딘, 겨울왕국 등 우리의 기억 속에 '디즈니' 하면 떠오르는 작품들 정말 많은데요.
꾸준히 만화로 '꿈과 희망'을 전해온 디즈니가 2023년, 벌써 100주년을 맞이했다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새해가 되자마자 100주년 기념작 [위시]가 개봉하기도 했죠.
그런데 최근 개봉작들에 이어 [위시]에 대한 평마저 크게 갈리며
100주년을 맞은 디즈니는 현재 창사 이래 가장 큰 위기에 직면했다고 합니다.
어떻게 된 일일까요?
크랩이 디즈니의 현재 그리고 지난 100년을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Пікірлер: 2 200

  • @clochan
    @clochan4 ай бұрын

    "언제부터인가..웃음에 대한 원초적 접근보다는 매회 의미를 부여하려고 하지 않느냐....." - 정형돈 (무한도전 선택 2014 중)

  • @blueinjia7537

    @blueinjia7537

    4 ай бұрын

    와 무도 유니버스

  • @tpsk17

    @tpsk17

    4 ай бұрын

    무한도전은 진짜 무한이 아닐까?

  • @user-jr3cb4gn8l

    @user-jr3cb4gn8l

    4 ай бұрын

    근데 그저 일회성의 재미만 추구하는 매체나 컨텐츠는 결국 소재가 고갈나게 되어있음.. 그리고 망하기 직전 전조증상이 개콘 후반부 같은 증상이고… 괜히 옛 어른들이 연예인들 보고 광대 취급 한줄 아나??? 10년전에 한창 잘나가던 예능들 끝이 안보이던 예능들 다 폐지됐잖아 무한도전, 1박2일, 위대한 도전 스타킹, 스펀지, 웃찾사, 세바퀴, X맨, 패밀리가 떴다, 안녕하세요, 골든벨, 정글의 법칙, 1대 100, 위기탈출 넘버원 한 백개는 될텐데 어느순간 소리소문없이 사라졌음.. 요새 초등학생들 무한도전 모르는 애들도 많고 영원한건 절대 없어 그나마 심의 자유롭고 유행에 편승하면 되는 snl이나 아직까지 살아있는 것 뿐이지 snl도 곧 고착화 되버리면 답 없음 나혼산은 애초에 매니아층이 ㅈㄴ게 두터워서 괜찮은거고

  • @tpsk17

    @tpsk17

    4 ай бұрын

    @@user-jr3cb4gn8l 또 그렇게 보니까 디즈니가 참 오래 버티긴 했네요. 그래도 이 정도까지 버텼으니 보완만 잘 한다면 다시 살아날 것 같네요. 머리 쥐어 짜네야지 뭐...

  • @ISG-IDOL

    @ISG-IDOL

    4 ай бұрын

    정형돈이 그런 생각을 자주했던것같음 가족들이 모여 TV앞에 앉았을때 즐거움을 주는게 자기들의 역할이지 교훈도 좋고 다 좋지만 그게 과연 예능의 본질일까? 에 대한 고찰을 많이한것같음 디즈니도 비슷한느낌이지 더이상 흥미롭고 재밌다기보단 그 세계관의 기득권층이 잘못을 하고 다른 한쪽이 세상의 편견과 무시를 깨는...뭐 이런쪽으로 자꾸 가니까... 그게 차라리 동물이나 장난감 뭐 이런거였으면 그나마 괜찮았을텐데 그게 전부 다 흑인이여...누가봐도 의도가 다분하잖아...

  • @0.K.J.W.0
    @0.K.J.W.04 ай бұрын

    이전에 디즈니를 좋아했던 사람들은 있는 그대로의 디즈니 작품을 좋아했지만 어느순간 성공에 취해서 그런가 디즈니 스스로가 없는 편견마져 만드는 작품들을 만들면서 문제가 된거라 생각함 결국 사람들은 원작을 좋아한거지 억지로 이상한 논리를 껴서 만든걸 좋아하지는 않앗던거라 생각함

  • @user-ke4ndsem3s

    @user-ke4ndsem3s

    4 ай бұрын

    또또 디씨애들 몰려와서 Pc가 문제니 이런다ㅋㅋ 알라딘은? 메리다와 마법의 숲은? 모아나는? 뮬란은? 겨울왕국은? 넷 다 특이점이 다른 인종을 데려왔고+전형적이지 않은 여성상인데 이건 PC아니고? 갑자기 새롭게 시도했다는양 이때다싶어 물타기하는거 개역하네ㅋㅋ 심지어 겨울왕국은 디씨인사이드에서 개빨아서 프갤까지 흥했었잖아? 누가 지적했던거처럼 스토리의 부진인거지 PC와는 무관한건데 이때다싶어 니 디씨사상섞어서 "여아 애니"에 감놔라배놔라하지마세요ㅋㅋ 통계내려보면 디즈니 시청층에서 가장낮은지분이 이대남일거뻔한데 니들이 목소리젤크게내는거 우스움 그리고 pc의 수혜 가장많이받은 동양인이면서ㅋㅋㅋ

  • @plasma3620

    @plasma3620

    4 ай бұрын

    페미 pc로 몰락하는중 백인이 부흥켰는데 흑인여성이 강제떡락시켜버리네

  • @anb00

    @anb00

    4 ай бұрын

    진취적인 나 제법 멋져요 라는 허영심에 매몰되서 스스로 "차별이라고 주장" 하는 요소들을 만들어내기 시작하는 수준이 됨 ㅋㅋㅋㅋ 마치 악당이 자기 물리쳐줄 히어로가 없어지니 스스로 히어로를 만들어내서 싸운 메가마인드 같은 상황

  • @chrisjohn6270

    @chrisjohn6270

    4 ай бұрын

    걍 디지니에서 사람 잘 못 뽑은거지!! 어디든 사람을 잘 뽑아야합니다!!

  • @Wiseeman

    @Wiseeman

    4 ай бұрын

    닉어공주가 방점 찍었지 뭐

  • @pianotrio7
    @pianotrio72 ай бұрын

    꿈을 심어주는 게 아니라 자신들의 사상과 이념을 사람들에게 가르치려고 하는데서 질려버림. 난 더이상 보지 않는다 .

  • @user-uy9vq5mn9q
    @user-uy9vq5mn9q4 ай бұрын

    1:50 저친구는 겨울왕국 2를 얘기하는 거겠지.. 겨울왕국은 13년게 찐인데.... 진짜 아직도 그 충격을 잊지 못함

  • @choec1072

    @choec1072

    2 ай бұрын

    렛잇고소리만 들어도 진절머리 날정도로 인기였음

  • @hururuk18

    @hururuk18

    2 ай бұрын

    벌써 11년이나 지남?? 시간 개빠르네

  • @user-fn5jq7eb4x

    @user-fn5jq7eb4x

    Ай бұрын

    겨울왕국 1나올때 한 두살 이었을거같은데 ㅋㅋ

  • @user-ed4hg6nm5o

    @user-ed4hg6nm5o

    2 күн бұрын

    태어나지도 않았을듯 ㅋㅋ

  • @kookim1354
    @kookim13544 ай бұрын

    1. 실사화는 원작에 충실해야함 2. 마블 큰 스토리 끝났음 리부팅 했어야함 3. 너무 욕심 많게 좋은 회사 합병하고 디즈니 묻힘 4. 만화의 주인공은 매력적이어야함

  • @Water_ls_Self

    @Water_ls_Self

    4 ай бұрын

    한국같은 외국 에서는 4번이 되게 컸지 대부분 사람이 인종차별에대한 경험이 없고 인종차별에 관한 역사도 없다시피 하니 백인 캐릭터가 흑인이 되는 무리수가 3자입장에서는 너무 부담스러웠음

  • @B1ack_Fox

    @B1ack_Fox

    4 ай бұрын

    스타워즈 시퀄 꼬라지도 빼놓으면 섭섭

  • @maverick5408

    @maverick5408

    4 ай бұрын

    ​@@B1ack_Fox 하...스타워즈 진짜

  • @user-nj1hs8oj8o

    @user-nj1hs8oj8o

    4 ай бұрын

    ​@@B1ack_Fox? 스타워즈는 6편이 끝이었는데요? 시퀄이 없을텐데?

  • @B1ack_Fox

    @B1ack_Fox

    4 ай бұрын

    @@user-nj1hs8oj8o 아 팬픽을 정식으로 착각하는 대역죄를 저질렀습니다 죄송합니다 지금부터는

  • @cyphy0818
    @cyphy08184 ай бұрын

    2D시절 디즈니가 좋았는데..그 특유의 그림체와 웅장한 합창 ost가 좋았음

  • @Kittylasua

    @Kittylasua

    4 ай бұрын

    ㅇㄱㄹㅇ

  • @panzer8672

    @panzer8672

    4 ай бұрын

    3D 라고 딱히 나쁜것도 없었음.. 딱 모아나 까지만 괜찮았어

  • @robinkang5340

    @robinkang5340

    4 ай бұрын

    댓글 보자마자 잠자는 숲속의 공주가 생각나네요 그때 백뮤직은 합창 성악 오케스트라가 국룰이었죠

  • @2nas2h2ol9

    @2nas2h2ol9

    4 ай бұрын

    ​@@panzer8672모아나 주토피아 빅히어로 이거 3개 나올때가 제일 전성기였음... 그냥 이제 보기 싫다...

  • @user-tp1xi3st9j

    @user-tp1xi3st9j

    4 ай бұрын

    이 댓글 보자마자 생각난 띵작 라이온킹..

  • @amumid
    @amumid4 ай бұрын

    한 달 전쯤인가 디즈니 100주년 팝업스토어에 우리 딸이랑 갔었는데.. 미친 .... 2인가 3시에 마감 때리고 있네.. 그럼 진작에 바로 밑 유료 주차장 입구에서 막던가 ㅡ.,ㅡ 지하 주차장 개 핼이였는데 겨우 주차했는데 ;;;;;;;; 그래서 직원들이 스토어 매장은 갈 수 있다네? 그래서 ... 딸 좋아하는 신데렐라 피규어 하나 샀는데 왜 미친;;;;;;;;;;; 랜덤박스냐고 분명히 랜덤박스라고 안 쓰여있는데 겉에는 신데렐라 그림인데 뮬란이가 나오냐고.. 37개월 딸이 하는 말 "이게 공주야?" .. 진짜 개 킹 받았다 ㅠㅠ

  • @jakek3552
    @jakek35524 ай бұрын

    아동용 애니메이션 회사가 재미가 아닌 사회적 옳바름에 꽂혀서… 드림웍스 봐 재미에 집중하고 사회적 올바름은 스파이스 정도로 취급하니 괜찮은 영화 계속 만들잖아

  • @user-pc4sn5og8i
    @user-pc4sn5og8i4 ай бұрын

    위시를 본 어른들과 아이들의 반응이 다른 이유는 몇가지 있겠지.. 아이들에 비해 어른들은 더 많은 양질의 컨텐츠를 봤기 때문에 만족의 기준이 높음. 그리고 아이들은 디즈니가 숨겨놓은 정치적 메세지를 못보지만 어른들의 눈에는 그게 다 보임.. 그런 부분이 크게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해서 긍정적인 점들을 다 사라지게 만들지.

  • @soogilss2016

    @soogilss2016

    4 ай бұрын

    어른들입장에서는 디즈니가 자신의 사상을 내 아이들에게 강제로 주입시키는게 느껴지니 점점 사양하게 됨.. 아이들을 이용하는 느낌이 들어서 너무 불쾌해요.

  • @user-kl6lp5pf2v

    @user-kl6lp5pf2v

    4 ай бұрын

    약간 어린애 눈높이에 설치된 편의점 담배광고같아짐..

  • @anyugo2568

    @anyugo2568

    4 ай бұрын

    ​​@@user-kl6lp5pf2v 맞네요 담배 피는 광고를 봤을때 어른이나 아이나 둘다 멋있어 보인다라고 느낄수 있지만 어른들은 담배가 왜 몸에 안좋은지 두가지의 모습을 볼수 있기 때문에 담배에 대한 인식이 안좋죠 아이들은 그걸 모르고 단순하게 멋있다만 생각하고요 적절한 표현이네요

  • @kimeb8327

    @kimeb8327

    4 ай бұрын

    애초에 메세지가 없으면 없다고 욕먹고, 메세지를 넣으면 넣는다고 욕먹고 백인만넣으면 진부하다고 욕먹고 흑인이나 동양인 주인공으로 넣으면 그걸 가르치는거라고 욕 먹는게 디즈니임ㅋㅋㅋㅋ 메세지가 와닿지않는 볼륨으로 축소되거나, 기존의 진부한 공주 스토리를 바탕으로 인종만 바뀐상태인게 어른들이 공감할수 없는 본질적인 문제인데 그걸 무작정 pc가문제니 가르치려드는게 문제니 뭐니하고있는거보면 뭐가문젠지 앞뒤분간을 못하고있는거같은느낌.

  • @christoahn

    @christoahn

    4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뽀로로가 개 멋있게 담패를 피는 광고라는거죠?@@user-kl6lp5pf2v

  • @nan-agi-Penguin
    @nan-agi-Penguin4 ай бұрын

    차라리 100주년으로 지금까지 나온 디즈니 공주들 다 모아서 콜라보 영화 만든게 더 재밌었을듯ㄹㅇㅋㅋ

  • @user-yd1di2us6o

    @user-yd1di2us6o

    4 ай бұрын

    ㅇㅈ

  • @1492to

    @1492to

    4 ай бұрын

    와 ㄹㅇ 디즈니프린세스 어쎔블이네

  • @UwU.52

    @UwU.52

    4 ай бұрын

    ㅇㅈ

  • @user-qm6cv1ji4m

    @user-qm6cv1ji4m

    4 ай бұрын

    몇년전에 디즈니 프린세스 다 모이는 영화 만드려고 했는데 폐기됨.. 그래서 주먹왕랄프2에 공주들 잠깐나옴..

  • @user-dk2jrjfq5je

    @user-dk2jrjfq5je

    4 ай бұрын

    그럼 전통적인 여성 어쩌고하면서 지랄남

  • @millionairefastline
    @millionairefastline4 ай бұрын

    토이스토리 처음 나왔을때가 진짜 혁명이었는데..그립다

  • @ljk8249

    @ljk8249

    17 күн бұрын

    토이스토리는 픽사.. 물론 이제 픽사도 디즈니한테 먹혔죠..

  • @user-oh8mw3bm2q
    @user-oh8mw3bm2qАй бұрын

    봉준호 감독이 맞음 그 영화 그 영상 자체가 재밌어야함 어쨌든 즐거움을 위한 산업이므로 1순위는 재미인게 당연하다고 생각 감독이 주고자 하는 메세지나 교훈등은 관객이 영화를 보고 집에오고 나서 생각해야할 부가적인 요소일 뿐이고 그 메세지나 교훈 자체가 목적이 되면 그건 그냥 영화가 아닌 프로파간다일뿐

  • @user-pj9hp5di7d
    @user-pj9hp5di7d4 ай бұрын

    ceo의 말처럼 의미부여가 너무 많으니 스토리가 뭉게지는건 맞는거같아요 동화처럼 감동이있고 교훈이있는건 좋지만 과도한 의미부여와 각인시키는듯한 pc화는 부정적인 이미지만 만들뿐더러 아이들이 보는 애니메이션이랑은 거리가 멀죠 블랙애니메이션이나 정치만화쪽으로 빠지는게....

  • @lowlanz

    @lowlanz

    4 ай бұрын

    일드가 맨날 교훈 주려고 하다 망했죠. 단순한 예시로 권선징악이 옳은거라고 그걸 요즘 영화에 그대로 밖으면? 애들 교육용 비디오 되는거

  • @K.Y.S.

    @K.Y.S.

    4 ай бұрын

    ​@@lowlanz 근데 디즈니는 예전부터 권선징악 아니었나요

  • @Space-xXx

    @Space-xXx

    4 ай бұрын

    좋은 교훈을 담고 있는 것과 동시에 좋은 스토리를 보여줘야 명작인거죠. 예를 들면 소울이라던가..

  • @user-zb8uv5lu1b

    @user-zb8uv5lu1b

    4 ай бұрын

    대놓고 다양성에대한 pc적인 교훈 때려박은 주토피아랑 겨울왕국은 흥행하고 윗분말처럼 가족간의 이해와 화합, 선의에 대한 믿음이라는 다소 고전적인 교훈 내세운 라야, 엔칸토는 흥행망했죠; 애초에 가치중립적메세지를 내세우거나 교훈을 내세웠는지가 중요한게아니라(애초에 교훈 안내세운 디즈니애니는 없음..) 그교훈을 얼마나 캐릭터속에 잘녹여냈는지 교훈이 매력적으로 스며들수있는 세계관인지가 핵심이란 증거임; 이후로 흥행못한 작품들 객관적으로 인종, 배경 바뀐거 지우고보면 거의 이전의 디즈니 공주 스토리답습에 의존+비주얼이나 스케일적으로도 흥행작들에 못미침 이게 이전작 흥행만못한 본질적인이유이지ㅋㅋ솔직히 주인공 인종 하나다르게 내세웠다는이유로 디즈니가 pc라서 노잼인거고 pc를 가르친다고욕먹는거 진짜 이해가 안됌 그냥 디즈니 망하는건 pc내세우는 탓이다라고 믿고싶은거같음ㅋㅋㅋ

  • @Space-xXx

    @Space-xXx

    4 ай бұрын

    @@user-zb8uv5lu1b 메세지를 얼마나 잘 녹여내는가. 얼마나 매력적으로 스며드는 스토리인가. 그걸 지금 PC 내세우느라 못하고 있잖아요 ㅋㅋ PC 때문에 노잼이라는건 정치적인 메세지를 극단적일정도로 그득그득 집어넣는 순간부터 스토리 곱창나는게 뻔한 순리여서 그런겁니다. 주토피아가 그렇던가요? 겉모습을 보고 편견을 가지지 말아라? 얜 아니죠. 갑자기 생물의 다양성을 존중해야한다면서 주디를 반달곰으로 바꾸면 어떻게 되겠어요? 스토리 상으로도 이상해지고, 메세지도 못 전달하겠죠?

  • @shenar133
    @shenar1334 ай бұрын

    디즈니가 꿈을 팔적엔 정말 좋았음. 근데 점점 사상을 팔려 하면서 불쾌함만이 늘어나기 시작함

  • @JJ-zf3cy

    @JJ-zf3cy

    2 ай бұрын

    캬.. 명대사다

  • @goooodbuy

    @goooodbuy

    Ай бұрын

    지금 디즈니가 하는 사상을 심는 행위는 나치가 한 짓거리랑 다른게 없음 ㅋㅋ

  • @Sandy-9987

    @Sandy-9987

    Ай бұрын

    급진적 페미니즘은 파시즘이랑 다를게 없음

  • @dlcsamo4940

    @dlcsamo4940

    Ай бұрын

    오 정답

  • @joonbaik3994

    @joonbaik3994

    Ай бұрын

    흑어 여자 ㅈㄴ 씷음

  • @minsuoh6747
    @minsuoh67472 ай бұрын

    메시지라는건 부여하는 것보단 보는 사람들이 재미를 느끼고 몇 번을 자발적으로 반복하면서 찾아가는게 맞는 것 같음 아이때 그냥 재밌게 본게 어른이 되서 볼 때 이런 의미로 볼 수 있구나 곱씹게 되는것처럼 (그 과정에서 제작하신분이 이런 마인드로 만들었겠구나 생각도 하게되고) 결국 만드시는 분의 마음가짐이 정말 중요한데 이게 티 안 날 것 같아도 계속 보다보면 어떤 마음이었는지 느껴지는 것 처럼 정작 나도 디즈니보면서 아 나는 반대 스타일로 만들어야지 했었는데 (영화를 보는 순간은 내가 저 판타지의 세계를 사는것처럼 행복하지만 러닝타임이 끝나면 다시 현실을 마주봐야 하기 때문에) 나는 마법이나 판타지라는 소재를 쓰지 않지만 현실적이지만(불쾌한 골짜기를 피해야겠지만) 어른들이 점점 잊혀가는 낭만적인 마음(막연한 꿈이 아닌 꿈을 차츰차츰 이뤄나가고 있는 모습)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쓰고 싶었는데-> 드라마 스토브리그나 미생이 가장 가까울드 (만화 영상속의 인물들도 자기들 세계에서 이겨나갈려고 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동질감을 느끼면서 찾아주시는 관객들도 이겨낼 힘이 생겼으면 좋겠다 했는데) 더 나아가 현실에서 모두가 주인공이 될 순 없지만 특정순간에 힘을 발휘하게 되게 되는 순간이 있고 다양한 포지션에서 다채롭게 이뤄가는 스토리가 최종 목표인데(모든 등장인물의 주인공화) 너(꿈과 희망의 디즈니)를 보고 그런 생각을 했는데 너가 변하면 어떡하냐 임마 군대 때 하도 겨울왕국2개봉했다 해서 어터케든 예매 잡고 휴가 때 군복입고 바로 보면서 와 미쳤다(그 특유의 뮤지컬 컷씬보며) 하고 복귀하면서 하 야발 이랬는데 ㅋㅋㅋ 뭐 어쩌겠어 스스로 깨닫지 않으면 바뀌지 않겠지 옛날엔 꿈팔이니 뭐니 해도 돈을 맛깔나게 벌어 재끼더니 요즘 왜 이렇게 맛없게 버냐 덩치에 걸맞지 않게 좀생이처럼 애니메이션 제작이 꿈인 사람으로써 아니 걍 디즈니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예매해서 봤던 사람으로써 초심을 찾길 바란다 제발

  • @cdab3072
    @cdab30724 ай бұрын

    톨킨이 괜히 디즈니랑 가까이하지 말라고 한 이유가 있음 ㅋㅋㅋㅋ

  • @Rosadoamane
    @Rosadoamane4 ай бұрын

    인어공주는 주인공 뿐만 아니라 노래잘하던 세바스찬이랑 우리의 친구 플라운더도 캐릭터성을 다 무너뜨린데 문제가 크다고 생각함. 어제 엄마가 끓여준 꽃게탕에 들어 있던 애가 앞에서 노래하고 춤추는데 정이 가겠나....

  • @user-lo9py3hq4l

    @user-lo9py3hq4l

    4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 @user-bt4lz5uj9f

    @user-bt4lz5uj9f

    4 ай бұрын

    인어공주를 보는데 왜 매운탕이 마렵냐 이말이야

  • @LIFE-mc3pl

    @LIFE-mc3pl

    4 ай бұрын

    옛날 투니버스랑 디즈니가 진짜 순수 그 자체였는데 지금은 사람들 심리 어떻게 불편하게 만들까 고민하면서 만드는거 같음

  • @user-hf7zw7je5g

    @user-hf7zw7je5g

    2 ай бұрын

    ​@@user-bt4lz5uj9f형이 제대로 알려주겠단 말이야

  • @user-xt6um1if3u

    @user-xt6um1if3u

    2 ай бұрын

    진짜 솔까 인어공주에 나오는 물고기들은 불쾌한 골자기같이 느껴진거같음

  • @CH-wn2ro
    @CH-wn2ro4 ай бұрын

    걍 2019년에 엔드게임, 알라딘, 라이온킹, 겨울왕국2로 피크찍고 그 뒤로 계속 삽질 중. 한때 디즈니는 하나의 장르라고 생각했던 사람으로서 이젠 남은 정도 없다 진짜

  • @ferma5101

    @ferma5101

    4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라이온킹부터 삽질이 시작된듯

  • @K-Malang_E

    @K-Malang_E

    4 ай бұрын

    ​@@user-fj2eu1rv9r라이온킹은 몰라도 엔드게임이랑 알라딘은 좋았음, 근데 겨울왕국2는 애초에 1이 너무 압권이라

  • @user-xt6um1if3u

    @user-xt6um1if3u

    4 ай бұрын

    겨울왕국은 솔직히 ost랑 그래픽은 뛰어났지만 스토리는 재미없음..

  • @user-go9zb8sj3l

    @user-go9zb8sj3l

    4 ай бұрын

    엔드게임도 영웅 총집합+로다주 하드캐리라 재미있던 거지 별로 재미는 없었음.

  • @user-dy7ei2wq7z

    @user-dy7ei2wq7z

    4 ай бұрын

    개업할때 창업멤버있을때가 제일 재밌고 날파리들 꼬이면 재미없어지는거지

  • @user-ne7ym3lc5x
    @user-ne7ym3lc5x2 ай бұрын

    디즈니가 여태까지 가장큰성공을누빌수있었던건 어떤영화건 어린이들을위해서 만들었던거지 어른들의사상을 만족시키고자 만들지않았음. 누구나다어린시절의꿈과희망가득했던 또는 그추억이있기에. 어린이나 어른들도 영화를보면서 잠시나마동심에젖어들게하는 또는 큰감동을주는게. 예전디즈니였다

  • @kidandRaftel
    @kidandRaftel4 ай бұрын

    아직도 렛잇고보면 소름돋는데 디즈니 꼭 부활했으면 좋겠다...

  • @Crenberry
    @Crenberry4 ай бұрын

    내가 디즈니를 좋아했던건 현실을 잊고 잠시나마 환상속에서 행복할 수 있었던 것이지 현실을 들춰가며 교훈을 받는 방식은 아니었다 그래서 더욱이 PC에 거부감을 느낄 수 밖에 없음

  • @user-uj9hj2kq5b

    @user-uj9hj2kq5b

    4 ай бұрын

    진짜 인정합니다,,, 우리는 환상을 기대한 거지 현실적인 요소를 원한 게 아니죠

  • @XD-ch6jc

    @XD-ch6jc

    4 ай бұрын

    심지어 딱히 신랄한 현실지적도 아님. 단지 PC 사상을 드러내고자 하는 목적만으로, 원작을 훼손까지 하고... 이에 반대하면 편협한 사람으로 몰고가는 식으로 대응. 토악질 나오지 정말...

  • @wind1220

    @wind1220

    2 ай бұрын

    도대체 누구를 위한건지 이해하기 힘든 작품밖에 안나오니까 점점 관심이 사라짐

  • @sol4793
    @sol47934 ай бұрын

    아직도 멀었다 싶음. 더 쓴맛을 봐서 회사가 분해되어야함. 지금 디즈니의 독과점이 너무 심한것도 큰 원인중 하나라고 생각함.

  • @lIIIllllIIl

    @lIIIllllIIl

    4 ай бұрын

    가만 보면 조선인들은 자아가 참 비대하신 듯? 애플 디즈니 망한다고 걱정하시는 거 보면 ㅋㅋ 대만한테도 중국한테도 지는 삼성이랑 출산율 0.6조선 걱정을 먼저 하시는 게

  • @Dohyun1110

    @Dohyun1110

    4 ай бұрын

    더 나아지길 바래야지 뭔 회사가 분해되길바라노? ㅋㅋㅋ 디즈니 경쟁사가 없다는거는 디즈니만한 만화영화 회사가 없다는건데 디즈니 분해되면 뭐보고사냐 ㅋㅋ

  • @Yorphderck

    @Yorphderck

    4 ай бұрын

    디즈니 없으면 뭐보고살지 고민하는 M생 답노 ㅋㅋㅋㅋㅋㅋㅋㅋㅋ@@Dohyun1110

  • @Dohyun1110

    @Dohyun1110

    4 ай бұрын

    @@Yorphderck 아니 나도 디즈니 찬양하고 그런사람은 아님;; 디즈니가 뭔 범죄기업도 아니고 분해되어야 한다는 말이 이상해서 말한거임

  • @SungEReum

    @SungEReum

    4 ай бұрын

    @@Dohyun1110분해라는게 꼭 공중 분해만이 아닌 경쟁을 할 수 있는 상태를 생각한다면 맨 처음 글에 공감이 됩니다. 글 쓰신 것처럼 디즈니 하나만 거의 혼자 애니메이션계를 휘어잡고 있는데 그로 인해 현재 디즈니 영화들의 발전이 느껴지지 않습니다. 그리고 또 문제는 애니메이션만 해당되면 괜찮다고 할 수 있지만, 과거 스토리면과 CG면에서 우수한 작품들을 뽑아냈던 마블을 인수합병하면서 결국 마블도 똑같이 경쟁력을 잃고 있으니까요. 공급에 다양성이 있고 그로 인해 공급자들간에 경쟁이 있어야 우리 소비자들은 품질 좋은 영화를 많이 볼 수 있겠죠.

  • @user-yc2cx9id6y
    @user-yc2cx9id6y4 ай бұрын

    참 재밌는 영화들을 잘 내어서 옛날은 디즈니니 믿고 보는 것도 있었는데 요즘은 디즈니니까 안 보게 되는게 참 어질어질하네요

  • @user-eh8kr8tb9n
    @user-eh8kr8tb9n4 ай бұрын

    나도 예전엔 디즈니 시리즈 무조건 챙겨보러 영화관갔는데 요즘은 관심이 사라짐..신작 나오면 애들영화 또 나왔네 하고 맘

  • @ahs0912
    @ahs09124 ай бұрын

    진짜 순수하게 작품을 사랑하고 매력넘치고 따뜻한 메세지를 전하던 디즈니는 어디가고 모두가 아는 상식을 이상한 방식으로 강요하고 심지어 어린 시절 동심을 인질로 잡아버렸어

  • @user-yh7je8wq4l
    @user-yh7je8wq4l4 ай бұрын

    각종 걸출한 미디어 회사 인수하고 엔드게임으로 인피니티사가 피날레 찍었을 때만 해도 디즈니의 영광은 영원할 것만 같았는데, 불과 몇 년 사이에 이렇게 되다니 믿기지가 않는다

  • @user-vi4rw6zm3e

    @user-vi4rw6zm3e

    4 ай бұрын

    17년도에 스타워즈 라스트제다이 나온 순간부터 좆망 각이였음

  • @wind1220

    @wind1220

    2 ай бұрын

    ​@@user-vi4rw6zm3e 그때는 그냥 스타워즈가 절망적이었던거지 디즈니자체는 계속 성장하고있었음

  • @KSKnife3833
    @KSKnife38334 ай бұрын

    토이스토리 처음 봤던 감동을 다시 느끼고 싶은데.... 픽사가 디즈니 안에 있으니 독점 때문에 너무 슬프다. ㅠㅠ 미국 애니도 안본지 한참된거 같음.

  • @CHTVp1
    @CHTVp14 ай бұрын

    솔직히 이전에도 다른 인종 캐릭터 차용하는 일은 잦았음 그래도 아무도 뭐라 안한 이유는 단순히 그게 재밌었기 때문임 그 수혜를 가장 톡톡히 본게 알라딘의 윌스미스였고 굳이 찾고 찾다보면 원작 캐릭터를 다른 인종의 사람으로 갈아써서 색다르다고 호평받은건 수도없이 나올것임 그 외에 뻔히 다 아는 올바름에 대해 관객을 훈수하는 내용을 담는것도 , PPL 많이 넣는것도 , 상품화 생각하고 뇌절치는것도 마찬가지임 그럼에도 사람들이 좋게 본 이유는 그냥 그게 재밌었기 때문임 요즘 디즈니 영화들 보다가 1900년대 디즈니 애니메이션 한번 유튜브에 풀려있는것들 보면 정말 그렇게 포근한 느낌을 줄 수가 없음 그런거 보다가 요즈음 블랙워싱 화이트워싱 왓다리갓다리 하는 디즈니영화들 보면 속터지는게 당연하지 내용과 컨셉은 내다버리고 무조건 새로운것 , (만든놈 기준에만) 무조건 옳은것이면 분별없이 아무튼 꽉채워넣으니 그런 알맹이없는 영화는 당연히 안보겠단 어른들이 더 넘치지

  • @iridescentcloud11
    @iridescentcloud114 ай бұрын

    그냥 아무 생각없이 재밌게 즐길 수 있는 작품이 나오면 좋겠다...

  • @donghyeonkim9958

    @donghyeonkim9958

    4 ай бұрын

    어림도 없지. 우리 여성 대단해! 우리 흑인 멋있어!

  • @DMC-I2

    @DMC-I2

    4 ай бұрын

    ​@@donghyeonkim9958 ???:흑인홍보 덜됬어?

  • @qnqyyy

    @qnqyyy

    4 ай бұрын

    영화들이 관객들을 가르치려들어

  • @user-wk4xv6ws2s

    @user-wk4xv6ws2s

    4 ай бұрын

    그럴때는 예전에 나온 작품들 찾아보면 좋음

  • @Lee-ss2md

    @Lee-ss2md

    4 ай бұрын

    @@qnqyyy그러니까.. 지들이 뭐리도 되는줄 알어

  • @JH-hr7ym
    @JH-hr7ym4 ай бұрын

    우선순위란 말 정확하네요. 최대 다수의 최대 만족을 저버리고 아이들도 보는 픽션에 어른의 정치를 시도한것에서 디즈니는 가장 중요한걸 잃었습니다 그렇게 집착하는 pc마저도 초창기의 주토피아가 가장 좋았다고 생각이 드네요 요즘처럼 우악스럽게 들이밀다 거부당하는거보다 조심히 권하며 조금씩 융화하자는 방식이 참 우아했는데 말이죠

  • @gggg12131

    @gggg12131

    4 ай бұрын

    @@user-nj3rl4nc1l있냐없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우선순위가 중요한거라고 말하잖음..

  • @JH-hr7ym

    @JH-hr7ym

    4 ай бұрын

    디즈니가 순수히 존중을 하기 위해 정치적 올바름을 넣은것만은 아니겠지요. '정치'적 올바름이라 명명된것 외에도 디즈니랜드에서 no say gay 정치 캠페인에 크게 반대한것도, 뮬란 엔딩 크레딧에 중국 공안의 감시하에 있는 신장에서 촬영장소로 허가해준거에 감사하는 이중적인 행보도, 결국 정치적인 의도를 내포하고 있죠. 미국의 기득권은 원주민을 총으로 쫓아낸 백인들이고 백인들은 그 기득권은 놓지 않지만 공정하고 공평한 척은 하고 싶을 겁니다. 윤리와 정의로 포장된 엔터테인먼트들이 그 방패 역할을 하죠. PC 자체는 나쁜건 아닙니다. '정치'적 올바름을 주토피아나 매드맥스, 에일리언처럼 세련되게 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우악스래 인종만 바꾸고 들이민 결과가 지금의 실패인거죠. 엔터테인먼트도 결국 자본을 목적으로 합니다. 그들에겐 pc도 돈벌려고 있는 수단중 하나죠. 이제 밥 아이거가 그 수단이 실패한걸 인지했네요.

  • @soogilss2016

    @soogilss2016

    4 ай бұрын

    ​@@user-nj3rl4nc1l어린이 입장에서 보면 흑인, 성소수자, 여성은 그냥 존재하고 그 자리에 있기만 해도 되는데 걔들이 굳이 자신의 성정체성을 드러내거나, 연애하는 장면을 보여준다던지(오히려 헤테로 커플은 안보여주면서), 남자들의 역할보다 여성의 역할을 지나치게 강조한다던지 영화의 스토리를 깨면서까지 어필하는게 느껴지니 문제인거죠.

  • @soogilss2016

    @soogilss2016

    4 ай бұрын

    글고 장애인/동양인은 그 장면에서 거의 배제되어있음.

  •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4 ай бұрын

    요즘 미국에서는 어린 아이들에게도 학교에서 LGBTQ교육을 하는게 보통이라 미국기준으로 이상한게 아님ㅋㅋ 특히 민주당세가 해먹는 지역들. 미국 좌파들은 진짜 미쳐가고 있음 제정신이 아님. 그러니 트럼프가 지지받지

  • @Mihar20000
    @Mihar200003 ай бұрын

    영화는 본질적으로 엔터테인먼트라서 현실을 잊고 순수하게 재미를 추구하러 가는 곳인데 영화관에서 조차 교육을 받게되니 거부가 쌓이는것 주토피아도 pc가 섞여있지만 위화감이 없었을때 재미는 어느정도 보장이 되었었는데 근래 디즈니 작품들은 하나같이 전투적으로 사상교육에만 치중함 흥행에 실패한 이유까지 분석하면서 감독, 배우 모두 관객을 가르치려고만 하고있음 본질적으로 엔터테인먼트로서의 가치를 잃어버렸으니 결국 재밌으러간 영화관에서도 '피곤'해지는것 사람의 본능과 무의식을 절대 무시하면 안되는게 한번 피곤하다고 느껴진건 다음 선택때 꺼리게 되어있음 그리고 마지막 결론적으로 pc와 엔터테인먼트 컨텐츠는 서로 추구하는 방향이 다르기에 이런 주제에 대한 고찰이 없으면 앞으로도 하향세만 계속될것

  • @user-saon
    @user-saon2 ай бұрын

    흑인이 나오든 백인이 나오든 동양인이 나오든 외계인이 나오든 퍼리가 나오든 상관 없으니까 매력적인 주인공과 재밌는 스토리만 보장해주면 된다고..

  • @Sm-HYBE-tlqkf
    @Sm-HYBE-tlqkf4 ай бұрын

    디즈니 사가 망하는 건 상관없지만 내 어린시절이 망가지는 게 너무 슬픔

  • @dan4536dg

    @dan4536dg

    4 ай бұрын

    이게 무슨 모순적인 말인가

  • @user-rb6cb3wc5v

    @user-rb6cb3wc5v

    4 ай бұрын

    ​@@dan4536dg왜 모순임?

  • @Nana_And_Erth_World_Together

    @Nana_And_Erth_World_Together

    4 ай бұрын

    @@user-rb6cb3wc5v 어린 시절이 곧 디즈니였다고 말하는데 디즈니가 망하는 게 상관 없다고 도 하는 모순이 담겨있음

  • @user-he8ui1rq6w

    @user-he8ui1rq6w

    4 ай бұрын

    난 상관있음 디즈니 사는 나의 동심 그 자체임 얘는 꼭 계속, 평생 남았으면 좋겠음..

  • @ohohohohio

    @ohohohohio

    4 ай бұрын

    ​​​@@lIIIllllIIl야 선족아, 영화로 저렇게 적자+이미지 타격+잘나가던 ip 조짐 을 콤보로 당하면 놀이동산이라고 똑바로 운영이될까?애초에 그 놀이동산도 디즈니 캐릭터 ip로 장사해먹는거 아님?근데 넌 선족이냐 일뽕이냐.

  • @IkemanJ
    @IkemanJ4 ай бұрын

    흑인 인어공주 흑인 팅커벨...팬들 무시하고 원작파괴하면서 끝까지 밀어붙이더니 꼴좋네...지들이 저래놓고 흥행부진하니까 직원해고하는걸로 해결했다던데...

  • @user-rx8oh1dy2i

    @user-rx8oh1dy2i

    4 ай бұрын

    저는 인어공주라 안하고 툭눈금 공주라 부릅니다.

  • @user-oy6ii5iy6w

    @user-oy6ii5iy6w

    4 ай бұрын

    흑어공주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tv1gt9me1z

    @user-tv1gt9me1z

    4 ай бұрын

    사실 일본 원전오염수 방류로 돌연변이가 된 넙치랍니다

  • @user-jw9ol3lr8c

    @user-jw9ol3lr8c

    4 ай бұрын

    직원이 무슨죄라고 ㅠㅠ 그게 무슨 정치적 올바름인걸까요. 돈앞에서 사람 자르는게 정치적 올바름인가… 지들이 말하는 pc도 결국 마케팅이면서..

  • @user-ev6qe5gh6n

    @user-ev6qe5gh6n

    4 ай бұрын

    흑인 팅커벨 정말 웃겼던게 빛나는 빛덩어리 요정으로 나와야 하는데 시커매서 보이지를 않아 그거 보고 영화 꺼버림 이건 마치 흑과 백의 처절한 싸움같더라... 세상에 검은색을 흰색으로 보이려고 하니 그게 가능하냐? 정말 모순적이더라

  • @a52159355
    @a521593554 ай бұрын

    월트 디즈니가 살아돌아와서 지금 이 꼬라지 봤으면 경영진 전부 쏴죽였다 ㅋㅋㅋ

  • @user-cx9hr4no6w
    @user-cx9hr4no6w18 күн бұрын

    과도한 올바름 따지다 썩은 잡탕밥으로 소비자들에게 외면 받음.그냥 그따구로 소수만을 위한 그룹으로 하향화하면 됨

  • @knowatoz3157
    @knowatoz31574 ай бұрын

    솔직히 메세지성은 상관이 없음 근데 그냥 영화가 재미가 없어 비슷한 주제를 가진 다른 작품들 중에 잘나가는 게 있는데 디즈니는 흥행을 못했다면 그냥 스토리텔링이 딸린 것뿐임 겨울왕국 이후로 노잼인데 겨울왕국도 기존 로맨스 클리셰 타파로 충분히 메세지성이 강한데 인기 끌었잖아 그런데 그 다음에 히트작이 없다는 건 그냥 신선하지 않으니까 재미가 없으니까 다음이 기대가 안됨 요즘 디즈니는 신선하지도 그렇다고 재밌지도 않아 기술력보다 스토리에 투자를 더 해라 영상이 얼마나 화려하든 재미가 없으면 다음은 없음 영화의 본질은 스토리니까

  • @likebebel

    @likebebel

    4 ай бұрын

    ㄹㅇ 옛날 영화 중에 cg 기술력이 별로여도 명작이라고 부르는 영화는 많았음. 결국 스토리문제 재미가없으니깐

  • @ramih1693

    @ramih1693

    4 ай бұрын

    그나마 엘리멘탈 재밌었음

  • @user-mv5xv3le2h

    @user-mv5xv3le2h

    4 ай бұрын

    ​@@ramih1693 걔도 막상 까보면 뭔가 부족한면이 있을정도로 요새 문제가 많다는 뜻임

  • @hoiz133

    @hoiz133

    4 ай бұрын

    아니지 과격성도 중요하지 겨울왕국 정도면 아주 유한거고 인어공주에 바로 인맥 흑인 박아넣는게 이런 문제지

  • @user-wo6iw1li6e

    @user-wo6iw1li6e

    4 ай бұрын

    @@hoiz133인어공주 실사판은 cg랑 스토리 꼬라지 보면 누굴 데려다놔도 망했을것같음. 물고기랑 게딱지 참 먹음직스럽게 생겼더라

  • @user-ie8fc7un4y
    @user-ie8fc7un4y4 ай бұрын

    최대피해자는 픽사랑 마블,루카스 필림인뜻.

  • @user-fp2dg1cn4y

    @user-fp2dg1cn4y

    4 ай бұрын

    마블도 넣어주세요!

  • @user-pi3fm6rq8k

    @user-pi3fm6rq8k

    4 ай бұрын

    루카스 필름...

  • @shade256

    @shade256

    4 ай бұрын

    마블이 최대피해자임.. 스탠리가 실사화에 성공한 자신의 자식과 같은 마블캐릭터들을 다른 pc주의자들이 pc를 묻혀서 아예 관짝으로 보내버렸잖음..

  • @hearthjotmanggame

    @hearthjotmanggame

    4 ай бұрын

    스타워즈 시리즈만 할까....40년 이상을 장수해온 프랜차이즈계의 살아있는 전설인데 7편 무난하게 뽑더니 8편으로 관짝보내고 9편으로 부관참시 시켜버렸음....웃긴게 외전격인 만달로리안은 명작으로 뽑았고 아소카, 안도르는 나름 잘 뽑았음

  • @user-cb8dg9ig7x

    @user-cb8dg9ig7x

    4 ай бұрын

    @@hearthjotmanggame그냥 가만히 냅두면 될 걸 기존 시리즈 설정까지 깨부시면서 7, 8, 9 만든 거라 더 화남 심지어 스토리도 엉망일 뿐더러 pc 범벅..

  • @mmsu92
    @mmsu924 ай бұрын

    4:26 2D애니메이션의 '정점'이라고 하신 것 같아요~ 장점이 아니라:)

  • @jameshan379
    @jameshan3794 ай бұрын

    스스로 자초한 일이다. 악으로 깡으로 버텨라ㅋㅋ

  • @user-cx8bs9xx6g
    @user-cx8bs9xx6g4 ай бұрын

    어느 순간부터(개인적으로는 라푼젤 이후) 그래픽 기술! 디테일! 요런 것들에 더 치중하고 스토리는 상대적으로 연구나 투자가 부족하다 아쉽다 라는 감상을 꾸준히 해 온 듯(이건 내가 나이 먹어서 그럴수도) 결국 필요한 건 재밌는 이야기라는 말 공감합니다

  • @user-cx8bs9xx6g

    @user-cx8bs9xx6g

    4 ай бұрын

    그래도 디즈니 음악은 항상 최고입니다요

  • @intp0430
    @intp04304 ай бұрын

    제발 사람들이 원하는 걸 보여줘라…. 그냥 특별한 이야기가 없어도 다 아는 이야기여도 예쁘고 눈이 즐거워서 보는데 대체 왜 자꾸 그걸 없애냐…

  • @user-gg6hb9gj3q
    @user-gg6hb9gj3qАй бұрын

    작품에 현실을 담다보면 그 경계가 없어지고 없어지다보니 예술이라 볼수없는 현상이 생기지요

  • @1_g_
    @1_g_4 ай бұрын

    예술은 표현의 영역이지 주장의 영역과는 많이 다릅니다. 나의 생각과 이야기 , 그리고 이미지를 멋있게 표현하는 분야로서 상대방에게 주장하는 형태와는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주장은 사회 예술이 그나마 용납되는 형태인데도 그 사상에 대한 선동일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 @ssy7561
    @ssy75614 ай бұрын

    과도한 pc주의가 제일 문제라고 봄. 재밌는 영화를 만든게 아니라 특정 사상 주입시키기위해 만들었다는 의도가 너무 다분한데다 그 의도에 반론제시하면 차별주의자로 몰아감. 대표적으로 인어공주. 원작과의 괴리감이 심해서 사람들이 불편해서 안보니깐 그 사람들을 인종차별주의라고 몰아감.

  • @neoely

    @neoely

    4 ай бұрын

    정작 그 인어공주도 노래 잘부르는 사람을 주인공 시킨것도 편견이고 올바르지 못하다고 볼수도 있음 ㅋㅋ

  • @jess7142

    @jess7142

    4 ай бұрын

    디즈니가 주입 시키려는 특정 사상이 뭔디?

  • @ericryu8615

    @ericryu8615

    4 ай бұрын

    @@jess7142PC라고 떡하니 박혀있는데? 국평오 ㄹㅇ

  • @_enderby

    @_enderby

    4 ай бұрын

    ​@@jess7142 pc라고 적었네 저기

  • @rhodanthe1943

    @rhodanthe1943

    4 ай бұрын

    그 무언가 불쾌함.. 내 생크림 케이크를 짓이겨놓은 느낌임.

  • @user-ic4rm8qm1t
    @user-ic4rm8qm1t4 ай бұрын

    우울할때마다 꺼내보는 편안하고 희망적인 디즈니였는데... 이젠 디즈니영화보면서도 편하지가 않고 머리아픔ㅜ 정말 원작에 대한 존중없이 바꾼건 팬들에겐 엄청난 상처임... 제발 정신차려ㅜㅜ

  • @carrotsg6012
    @carrotsg6012Ай бұрын

    알라딘 실사 이후로 디즈니에게 시들해졌음... 라푼젤(+유진), 엘사 디자인 잘 뽑아놓고 그 뒤로는 매력적인 주인공 디자인을 보기 어려웠음. 영화는 원작에 충실한 배우를 기용하는 날이 오기를...

  • @showdownhill8218
    @showdownhill82183 ай бұрын

    우린 이것을 업보라고 부릅니다

  • @antiean666
    @antiean6664 ай бұрын

    예전 디즈니 : 아무 생각없이 재밌게 함 지금 디즈니 : 굳이 의미 부여를 함

  • @user-dy5hj7vq9l

    @user-dy5hj7vq9l

    2 ай бұрын

    ㄴㄴ 예전에도 의미는 다 있었음. 근데 예전에는 이야기에 먼저 초점을 맞추고 그안에 의미를 집어넣으니 이야기만 봐도 재미있고 조금 더 깊게 생각해보면 의미를 찾을 수 있어서 좋았는데 지금은 의미를 먼저 넣고 거기에 이야기를 짜맞추니까 이야기를 보다가 굳이? 이렇게 한다고? 이런 부분이 나오는거임

  • @duckdollba

    @duckdollba

    2 ай бұрын

    ​​​​@@user-dy5hj7vq9l애니과 인데 작가가 제작과정에서 메세지를 먼저 짰는지 아닌지 그것까진 모르겠지만 어떤 작품이든 메세지가 중요하지 않은 작품은 없음. 시나리오는 모두 메세지로 부터 시작함. 과거 디즈니 작품도 모두 스토리가 처음부터 끝까지 메세지 하나를 향해 감. 그게 스토리의 기본임. 결국에 스토리는 메세지를 얼마나 재미있게 어떤 소재와 인물들로 독자들에게 이해시키느냐임. 그 메세지가 얼마나 대단한 메세지인진 모르겠지만 그저 그 메세지와 메세지를 전하고자 하는 방식이 이상하게 변한 것 뿐임.

  • @user-dy5hj7vq9l

    @user-dy5hj7vq9l

    2 ай бұрын

    @@duckdollba 제 말뜻은 실제로 무엇을 먼저 만들었냐가 아니라 무엇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만들었냐는 뜻이였어요. 지금 디즈니는 의미 전달에만 급급해서 재미를 뒷전으로 하고 있다는거죠. 그래서 오히려 의미도 사람들에게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지도 않고요.

  • @user-ww1pg3rq6w

    @user-ww1pg3rq6w

    2 ай бұрын

    의미부여를 하더라도 페미나치 사상이나 피씨 사상을 가르치려드는게 문제임

  • @user-xt6um1if3u

    @user-xt6um1if3u

    2 ай бұрын

    노노 스토리도 재미있으면서 좋은 메시지도 덤으로 주는 갓띵작이였음 지금은 이상한 의미부여나 하면서 주입시키고 스토리가 너무 시시하니까 퀼리티에만 집중하는거 같음

  • @dspark2131
    @dspark21314 ай бұрын

    그렇게 당하고도 위시를 보러가고 또 거기서 희망고문을 부여잡는 찐팬들의 눈물겨운 모습. 난 디즈니가 좋아서 보는게 아니라 그냥 재밌어서 봤는데 디즈니였던 것 뿐이라 2년간의 검증 뒤에 미련없이 손절쳤음. 오히려 이젠 디즈니라는 딱지가 붙으면 과연 이게 재미있을지 돈 버리는 바보짓일지 고민하게 됨.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4 ай бұрын

    요즘엔 믿고 거르는 디즈니 ㅋㅋㅋ

  • @whatthetteok
    @whatthetteokАй бұрын

    디즈니 작품에 이름 올리고싶은 꿈이 있어서 애니메이션 일을 하게되었었는데 , 꽤 오래 일하다가 작년에 회사가 어려워서 애니업계를 떠났고, 인어공주 실사버전 부터 디즈니 영화가 뭔가 정이 떨어져버림.. ㅠㅠ 예전에 꿈 있던 시절이 그립다.. 지금은 애니 뭐 개봉하는지도 모름..

  • @user-im7vi5wv3s
    @user-im7vi5wv3s4 ай бұрын

    위시라는 어마어마한 작품을 만들기 위한 지금까지의 엄청난 빌드업을 한것이 아닐까 싶다

  • @JW-7
    @JW-74 ай бұрын

    2:59 PC 주의의 선봉장 한겨레계열 씨네21 편집장도 절레절레하는 디즈니의 PC 주의...ㅎㄷㄷ...

  • @choux_
    @choux_4 ай бұрын

    출산율도 낮아지고 있어서 어린이도 적어지고있고 그래도 예전에 본 지금 어른이된 아이들이 보기엔 리메이크나 실사화를 원작을 따라가는것도 아님 코로나 이후 영화관에 정말 히트작 아니면 가는 경우가 줄어들기도 했고... 최근에 여러 논란까지 겹치다보니 당연한 결과같기도함

  • @user-rv5xo1ct1u
    @user-rv5xo1ct1u4 ай бұрын

    디즈니 진짜 너무 좋아하는데 제가 기대가 너무 커서 그랬는지... 보다가 졸았어요....ㅜㅜ

  • @challengerRunble
    @challengerRunble4 ай бұрын

    디즈니 영화보고 실망 한 적이 없는데 위시는 100주년 기념인데도 불구하고 좀 아쉽더라구요

  • @wincup

    @wincup

    4 ай бұрын

    전 20세기 이후는 거의 다 실망중.

  • @user-ky6wj9fq9e

    @user-ky6wj9fq9e

    4 ай бұрын

    맞아요..저도 요번에 보고 왔는데 좀 아쉽더라고요ㅜㅜㅜ

  • @user-uy4jd3wc7q

    @user-uy4jd3wc7q

    4 ай бұрын

    많이 실망스럽죠

  • @HeeGeonKang

    @HeeGeonKang

    4 ай бұрын

    저는 개인적으로 겨울왕국보다 나은것 같더라고요 물론 위시 보면서도 참...개연성 없다 생각하는데 겨울왕국은 뭐랄까...그냥 보는 내내 쟤는 왜 저러는걸까 싶은 느낌??

  • @lililil295

    @lililil295

    4 ай бұрын

    흑인어는?

  • @user-vd4ke7nf4d
    @user-vd4ke7nf4d4 ай бұрын

    인어공주랑 뮬란은 제발 다시 제작해줘...

  • @user-id3id7ld7y
    @user-id3id7ld7y4 ай бұрын

    올해 접어들면서 창작과 실사영화 등 다양한 소재를 이끌었으면 좋겠어요

  • @user-ne7ym3lc5x
    @user-ne7ym3lc5x2 ай бұрын

    내가생각한디즈니는 꿈과희망을 모토로 주인공의시련과이겨내는과정을통해 어린이를위해만든영화였어도 어른들에게도 잠시나마 동심으로돌아가서 감동도주는 회사였음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영화하나하나에 꿈이아닌 사상이들어가기시작하면서 영화를보는 어린이들한테도 무의식적으로 사상을주입하는회사로 변질시킴 이게 요즘디즈니임

  • @DeathAndLove
    @DeathAndLove4 ай бұрын

    낭만이 없어졌어..낭만이....

  • @user-rl1gm2bz7g

    @user-rl1gm2bz7g

    3 ай бұрын

    디즈니는 낭만이 90퍼였는데 이제는 10퍼의 껍데기만 남았으니....

  • @user-rv7dy5fg4p
    @user-rv7dy5fg4p4 ай бұрын

    너무 공장형으로 찍어내는것도 문제인듯..제작을 조금 더 신중하게 해줬으면 좋겠음

  • @cbs6283
    @cbs62832 ай бұрын

    과거에는 기업 디즈니는 현실에서는 저작권 깡패짓 했다지만 영화에서는 꿈을 팔았다면, 현재 디즈니는 프로파간다를 영화랍시고 팔아먹는게 문제. 스타워즈 3부작, 마블 페이즈 4는 말할 것도 없고, PC를 표방한다면서 정작 디즈니 프린세스 중 가장 주도적인 여성 서사를 가진 뮬란 실사화는 밴드 인 차이나 그 자체.

  • @user-zd4yu9ou6o
    @user-zd4yu9ou6o4 ай бұрын

    이번 "100주년 기념작"위시로 확실히 된거:얘네 알츠하이머 걸림

  • @6_6k46
    @6_6k464 ай бұрын

    디즈니..돌아와줘..내 어린 시절 그 자체 였다고..이대로 사라지지 말고 계속 그 감동으로 남아줘..ㅠ

  • @G_amgam2
    @G_amgam24 ай бұрын

    이야기의 메인 설정이 있는데그걸 무시하고 다 pc pc하면서 캐스팅을 이상하게 하고 실사화에만 집중하니까 팬들이 실망할 수 밖에.. 나도 마블팬인데 아이언맨이고 캡틴이고 서사나 발전과정, 갈등 이런게 현실적이고 탄탄했는데 이제는 왜 그러는지도 모르겠고 개연성도 이상하니까 어느 순간부턴 안 봄 제발 정신차려주길..

  • @user-ke4ndsem3s

    @user-ke4ndsem3s

    4 ай бұрын

    또또 디씨애들 몰려와서 Pc가 문제니 이런다ㅋㅋ 알라딘은? 메리다와 마법의 숲은? 모아나는? 뮬란은? 겨울왕국은? 넷 다 특이점이 다른 인종을 데려왔고+전형적이지 않은 여성상인데 이건 PC아니고? 갑자기 새롭게 시도했다는양 이때다싶어 물타기하는거 개역하네ㅋㅋ 심지어 겨울왕국은 디씨인사이드에서 개빨아서 프갤까지 흥했었잖아? 누가 지적했던거처럼 스토리의 부진인거지 PC와는 무관한건데 이때다싶어 니 디씨사상섞어서 "여아 애니"에 감놔라배놔라하지마세요ㅋㅋ 통계내려보면 디즈니 시청층에서 가장낮은지분이 이대남일거뻔한데 니들이 목소리젤크게내는거 우스움 그리고 pc의 수혜 가장많이받은 동양인이면서ㅋㅋㅋ

  • @user-ng1go8xx5j

    @user-ng1go8xx5j

    4 ай бұрын

    꿈을 주면 세금도 없고 일자리도 많고 군사력도 강한 나라에서 살게 해주는대 주인공 이샛기는 지 할아버지 꿈 못 일우어준다고 왕 뚝빼기 박살냄 ㅋㅋㅋ

  • @user-po7lg6ts2z

    @user-po7lg6ts2z

    Ай бұрын

    어벤져스 때 캡틴마블 첫 등장 너무 어이없었는데 그게 시작이었네 ㅋㅋㅋ

  • @Neiwuq
    @Neiwuq4 ай бұрын

    최근 디즈니 보면서 참 충격을 많이 받았지.. 버즈라이트에 임신하는 레즈비언 커플 , 스트레인지 월드에서 아들의 게이 보이프랜드를 지지하는 아버지의 모습, 흑어공주, 흑설공주 등등 .. 백인의 역사에 억지로 흑인을 끼워 넣어 귀족옷을 입은 흑인들을 보는것도 어색한데 ..

  • @kim4583
    @kim45834 ай бұрын

    디즈니가 올바른 길로 가주길...

  • @user-rz8oe7bs1t
    @user-rz8oe7bs1t4 ай бұрын

    PC 녹여낼려다가 작품까지 녹여버렸으니... 흑어공주는 진짜 역대급이였다. 동심파괴 하나로만 보면 곰돌이 푸 공포영화도 넘어섰을듯 ㅋㅋ

  • @he_he_he_

    @he_he_he_

    4 ай бұрын

    앗 pc를 넣어야 하는데 염산을 넣어버렸네

  • @vantablue1044
    @vantablue10444 ай бұрын

    2000년대 디즈니 작품들 한번 쭉 봐보세요... 요즘 나오는 작품들보다 더 다양성을 존중하고 무엇보다 그러한 요소들이 자연스럽게 담겨 있어요 요즘은 거의 흑인 여성에 집중되어 있는 듯한 느낌이네요

  • @eunkyungchoi7715

    @eunkyungchoi7715

    2 ай бұрын

    하하..흑인 여성이라..트페미들은 오히려 한창 좋아할거란 사실..😂

  • @duckdollba
    @duckdollba2 ай бұрын

    애니과 학생인데 디즈니는 지금 지 혼자 좋다고 자급자족 중임. 모두가 이해하고 모두가 좋아할 메세지와 스토리여야하는데 디즈니 혼자 만족하는 스토리가됨. 디즈니가 소규모 회사라 나 하고싶은 거 다한다 하는 회사였으면 모르겠는데 디즈니는 모든 애니과 학생들의 꿈이고 사람들의 재미였음. 혼자 자급자족해서는 회사 운영도 안되는데 예술병 걸려서 그지랄하니까 그런거임 당장 내 꿈이었던 디즈니로 돌아와. 지브리도 그렇고 디즈니도 그렇고 애니과 학생들의 꿈이 무너지면 대체 우리는 뭘 자극 삼고 공부하냐 ㅅㅂ

  • @witchwhite2291
    @witchwhite22913 ай бұрын

    가장큰 문제는 꿈을 팔아서 돈벌던 회사 더이상 꿈을 팔수없는 회사가 됐다는거죠, 사실상 디즈니 미래가 없다고 생각하게됐었다,

  • @lyneylover
    @lyneylover4 ай бұрын

    Pc를 넣더라도 적당히 재미있게 녹여내면 모두가 잘 볼수 있었을텐데 과도하게 넣으니까 이도저도 아닌게 되어버림 최근 디즈니 작품들중에 pc를 좀만 줄였다면 확실히 흥행했을만한 작품도 있어서 아쉬워요

  • @user-pj9hp5di7d
    @user-pj9hp5di7d4 ай бұрын

    인어공주가 내 인생 첫 만화영화였는데 실사화 듣고 신데렐라나 미녀와야수처럼 나오는건가 두근두근했지

  • @user-hz5tr7me1e

    @user-hz5tr7me1e

    4 ай бұрын

    흑어공주 ㅋㅋㅋ

  • @Kittylasua

    @Kittylasua

    4 ай бұрын

    그래서 인어공주 실사화 어땠어요...?ㅎ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4 ай бұрын

    그 순수한 아리엘이 무슨 지상을 평정하려고 야심을 불태우는 야만족 족장처럼 보이더라 ㅋㅋㅋㅋㅋ

  • @non5962
    @non5962Ай бұрын

    아이들에게는 꿈을 어른들에게는 추억을 모두가 즐거운 이야기는 지금은 어른들의 추억을 철저하게 깨부수고 있는 데, 어른들의 꿈도 희망도 철저하게 패대기 쳐댔으니, 당연하다면 당연한 수순이죠. 진정한 정치적 올바름은 이런 역차별 속에 있는 것도 아니니 그저 옛날처럼 순수하게 즐길 수 있는 디즈니로 돌아왔으면...

  • @retrogame80
    @retrogame804 ай бұрын

    게임 라스트오브어스2 도 제작자의 신념(?)이랄까...많은 팬들의 우려를 무시한 스토리로 엄청난 타격을 입었죠... 금전적 손실보다 더 큰 건 팬들의 등돌림이 아니었나 싶네요...

  • @500oe
    @500oe4 ай бұрын

    난 마블이 디즈니 넘어가고 망한것도 너무 화남... 마블 디즈니 넘어가기 전까지가 딱 좋았어

  • @user-mt9tu4en8t
    @user-mt9tu4en8t4 ай бұрын

    이러한 위기를 정면으로 맞았으니 디즈니가 다시 원래 초심으로 돌아오면 좋겠습니다. 특히 백설공주 실사 캐스팅도 지금 여론이 거센 상황인데 어쩌면 지금 상황과 더불어 재검토에 신중을 기울일지도 모르겠네요. 많은 걸 바라는 게 아닌 실사영화를 만들 경우 지금까지의 그 정치적 올바름에서 깨어나서 그 캐릭터에 맞는 배우를 제대로 캐스팅하고 라이온킹, 미녀와 야수, 겨울왕국같은 대작을 시간이 걸리더라도 많이 만들어주는 것, 이 2가지만 바랄뿐이고 이 2가지만 잘해줘도 과거의 영광을 되찾을 수 있겠죠. 항상 디즈니 영화를 볼때의 오프닝 이전 나오는 디즈니 전용 성, 특유의 뮤지컬, 캐릭터들이 어릴적 동심이었고 이러한 디즈니의 요인들을 좋아해왔는데 디즈니가 이제부터라도 정신차리고 정치단체가 아닌 원래의 꿈과 희망을 전하는 판타지월드로 돌아오길 소망합니다.

  • @nikkkkk3387
    @nikkkkk33874 ай бұрын

    2000년~2010년:디즈니 암흑기 2011년~2020년:디즈니 부흥기 2021년~지금 : 다시 암흑기 10년 마다 달라지네

  • @dodoking689
    @dodoking6894 ай бұрын

    예전에는 믿고보는 디즈니 였는데 이젠 믿고 거르는 디즈니가 되었네요

  • @user-wp9ih9lv9z
    @user-wp9ih9lv9z4 ай бұрын

    인종차별 운운하면서 관객들을 가르치려 들지를 않나 관객들 의견은 개무시하고 원작도 개무시하고 자기들 멋대로 애초에 제목이 백설공주인데...

  • @user-ke4ndsem3s

    @user-ke4ndsem3s

    4 ай бұрын

    또또 디씨애들 몰려와서 Pc가 문제니 이런다ㅋㅋ 알라딘은? 메리다와 마법의 숲은? 모아나는? 뮬란은? 겨울왕국은? 넷 다 특이점이 다른 인종을 데려왔고+전형적이지 않은 여성상인데 이건 PC아니고? 갑자기 새롭게 시도했다는양 이때다싶어 물타기하는거 개역하네ㅋㅋ 심지어 겨울왕국은 디씨인사이드에서 개빨아서 프갤까지 흥했었잖아? 누가 지적했던거처럼 스토리의 부진인거지 PC와는 무관한건데 이때다싶어 니 디씨사상섞어서 "여아 애니"에 감놔라배놔라하지마세요ㅋㅋ 통계내려보면 디즈니 시청층에서 가장낮은지분이 이대남일거뻔한데 니들이 목소리젤크게내는거 우스움 그리고 pc의 수혜 가장많이받은 동양인이면서ㅋㅋㅋ

  • @nanun-jayeoninida

    @nanun-jayeoninida

    4 ай бұрын

    @@user-ke4ndsem3s 얘 친구 없을 듯

  • @user-aaa95

    @user-aaa95

    4 ай бұрын

    @@user-ke4ndsem3s 바보임? 약자 입장에서조차 거부감 드는게 과도한 PC주의라는 뜻임 이런 과격한 사상주입은 거부감만 확산시키고 정작 세상에 받아들여지지가 않음. 이것도 이해 못하면 댓글 달지마라

  • @FLYINGTAUREN

    @FLYINGTAUREN

    4 ай бұрын

    하지만 어림없지 갈설공주 빔!!

  • @user-on2ue2pf9l

    @user-on2ue2pf9l

    4 ай бұрын

    ​@@FLYINGTAUREN 갈보 빔이라니.. 너무 야하잖아..

  • @yondu93
    @yondu934 ай бұрын

    좋은 지적이예요. 디즈니도 그렇고 마블도 그렇고 부진을 면치 못하는 이유는 재미보다는 PC에 몰두하니 정작 오락 영화로서 즐길 수 없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PC의 취지에는 공감하나 이야기의 중심이 돼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메시지를 던지는 데에는 주인공이 흑인 혹은 여성이여야 던질 수 있는 건 아니니까요.

  • @user-ke4ndsem3s

    @user-ke4ndsem3s

    4 ай бұрын

    또또 디씨애들 몰려와서 Pc가 문제니 이런다ㅋㅋ 알라딘은? 메리다와 마법의 숲은? 모아나는? 뮬란은? 겨울왕국은? 넷 다 특이점이 다른 인종을 데려왔고+전형적이지 않은 여성상인데 이건 PC아니고? 갑자기 새롭게 시도했다는양 이때다싶어 물타기하는거 개역하네ㅋㅋ 심지어 겨울왕국은 디씨인사이드에서 개빨아서 프갤까지 흥했었잖아? 누가 지적했던거처럼 스토리의 부진인거지 PC와는 무관한건데 이때다싶어 니 디씨사상섞어서 "여아 애니"에 감놔라배놔라하지마세요ㅋㅋ 통계내려보면 디즈니 시청층에서 가장낮은지분이 이대남일거뻔한데 니들이 목소리젤크게내는거 우스움 그리고 pc의 수혜 가장많이받은 동양인이면서ㅋㅋㅋ

  • @user-yl1pp4sx2r

    @user-yl1pp4sx2r

    4 ай бұрын

    Pc가 없던 시절에도 엄청나게 pc하고 성공적인 영화 뮬란은 실사화때 망했다는 것도 상당히 코미디죠

  • @user-aaa95

    @user-aaa95

    4 ай бұрын

    원작파괴도 문제지만 매번 메시지를 주입시키려 하니 관객 입장에서는 너무 피곤해지죠 그저 즐겁게 웃고 감동하고 싶어서 오락 영화를 보는 건데.

  • @Dohan06

    @Dohan06

    4 ай бұрын

    ​@@user-yl1pp4sx2rpc가 없던 때는 사람들이 그래도 "에이, 이러다가 좀 말겠지" 했는데, 끝없이 그걸 남발하니 사람들도 점점 짜증이 생기고 결국 손절하는듯.

  • @deepdarkgoat

    @deepdarkgoat

    4 ай бұрын

    ​@@user-yl1pp4sx2r뮬란은 중국겨냥해서 온갖 중국떡칠했는데 정작 중국에서 폭망한게 ㅋㅋㅋㅋ

  • @user-qf3yk1eu9i
    @user-qf3yk1eu9i2 ай бұрын

    특정 인종 특정 조직 특정 성별 만을위해서 만드는 작품이 아닌 모든 사람이 즐거워할수있는 작품으로 다시 돌아와주길

  • @gga-cu6uq
    @gga-cu6uq21 күн бұрын

    스릴을 넣고 주인공이 죽을뻔하면 자연스럽게 걱정이 생기고 그로인해서 주인공을 응원하고 더 애착하게 되지요..., 요즘 작들은 그런 연출이 없는게 많이 아쉽네요.., , 예를들면 히로인 두명이 영원히 떨어진다던지 아니면 칼에 찔려서 죽을 뻔한다던지 아니면 저주에 걸렸다가 극적인 연출과 함께 해결된다던지여

  • @W.O_O.K
    @W.O_O.K4 ай бұрын

    일단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그냥 편하게 가서 재미있게 보고 싶은거지 PC주의 따지면서 굳이 배역을 손본다거나 세계관 확장하면서 공부를 해가면서 보게 만든다거나 하면 당연히 일부 매니아층만 살아남고 다른 관객들은 등 돌릴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함

  • @user-mq2tx2ph3i
    @user-mq2tx2ph3i4 ай бұрын

    재밌는 영화를 보러간건데 나를 자꾸 가르치려 들고 영화가 별론것같은데? 하며 의견을 꺼내면 인종차별주의자로 몰아가는 디즈니의 영화들 망해도싸다

  • @gga-cu6uq
    @gga-cu6uq21 күн бұрын

    솔찍히 옛날 디즈니 영화들은 주인공이 위기에 빠지고서는 죽을 뻔한 상황이 많이 연출됐었죠.... 벤10도 비슷한 방식으로 긴장감과 눈요김을 주면서 성공했지요.... 다음작은 스릴이 있었으면 좋겄네요....

  • @gyulpark9269
    @gyulpark92692 ай бұрын

    우리는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사람들을 위로하는 것도 중요시 해야하지만 더 나아지려는 사람들을 격려하는 것도 잊지말아야합니다.

  • @Mireu_
    @Mireu_4 ай бұрын

    월트 디즈니가 지금 디즈니를 보고 있으면 사업 때려치라고 다 뒤집어 엎을듯

  • @ryubs97
    @ryubs974 ай бұрын

    pc운동도 좋은 의도에서 시작된거고 긍정적인 영향을 일으킬수도 있지만 디즈니는 메세지 전달을 위해 본래있던 작품의 정체성을 파괴해 pc를 거부감있게 전달 한게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함 메세지 전달보단 애니메이션 본연의 재미를 살리는 영화들을 만들어 주었으면 좋겠음 메세지 전달은 그 다음이고.

  • @user-tl7xv2fd2d
    @user-tl7xv2fd2dАй бұрын

    일요일날..부모님도 아직 주무시는데 혼자 일어나 디즈니 만화동산 보면서 컷는데....수십년이 지나...이제는 내 아이한테 설명 해줘야 하는 디즈니가 됐다....너무 슬프다..

  • @soojeonglee534
    @soojeonglee5344 ай бұрын

    미국이나 한국이나 의미부여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이런 작품들이 대중의 외면을 받는건 글로벌한 지구촌 경제 상황 전쟁 등 피로한 사회 속에서 단순 일률적인 작품을 찾게만 되는 현상을 만든 건 아닐까 싶기도 하네요 한국에서도 실제 있었던 작품을 단순하게 빠른 진행으로 긴 시간을 긴장감 있게 풀어냈다거나 단순하게 그저 나쁜놈은 줘 패면 되는 시각을 보여주는 영화가 사랑받는 이유가 아닐까 싶네요

  • @sunday_elote
    @sunday_elote4 ай бұрын

    난 원작이랑 유사하게 싱크로율 맞춰서 살리길 바랄뿐이였는데 ㅜㅜㅠ

  • @Little-qh6gh
    @Little-qh6gh4 ай бұрын

    비전공자라 잘 모르지만 위시 그림체도 무슨 AI 가 그린것마냥 정교하지 않고 대충 그린 느낌이 들었음.. 겨울왕국은 작은 디테일도 하나하나 엄청나게 신경쓴게 느껴졌는데.. 엘사가 너무 예뻐서 넉놓고 바라볼 정도로 좋았는데...

  • @user-bv4gt1vk2k

    @user-bv4gt1vk2k

    4 ай бұрын

    움직임은 3D 프로그램을 이용하되 외곽선을 그린다든가 채색을 연하게 한다든가 하는 느낌으로 2D 느낌을 살린 것 같습니다. 완성도가 낮다기보다는 애초에 의도한 효과였던 것 같아요. 물론 감상과는 별개지만

  • @HP-sv7oo

    @HP-sv7oo

    4 ай бұрын

    @@user-bv4gt1vk2k 이게 맞음 디즈니 기념작이라서 2d 시절 감성도 자극하는 의미로 한거 같음

  • @evayang1990

    @evayang1990

    4 ай бұрын

    맞아요 약간 게임 그래픽느낌이라고 해야하나....?

  • @user-ev6qe5gh6n

    @user-ev6qe5gh6n

    4 ай бұрын

    마블 영화들 십년전 마블영화랑 비교하면 오히려 퇴보했음 그만큼 돈을 안 쓴다는거임 그도 그럴것이 디즈니 요즘 만드는 영화마다 다 망하고 돈이 없어서 인수한 기업들 직원 다 내 쫒고 그럴거면 대체 인수는 왜 한건지? 멀쩡히 잘 있는 기업들 인수해서 쓰레기 만드는게 요즘 디즈니가 하고 있는 일

  • @user-on5yh7zq9q

    @user-on5yh7zq9q

    4 ай бұрын

    겨울왕국까지 일했던 한국인 직원 퇴사하고, 중국 자본 묻어서 촌스러워짐.

  • @dlfmatjd9940
    @dlfmatjd99404 ай бұрын

    미키 마우스 얼굴이 흰색이잖아요. PC 경향에 맞게 얼굴색을 검게 하면 디즈니는 떡상할 것입니다.

  • @user-jj6pu9cn5d
    @user-jj6pu9cn5d4 ай бұрын

    월트디즈니가 무덤에서 울고 있을듯

  • @hellcats2012
    @hellcats20124 ай бұрын

    초등학교시절 90년대초 ... 일요일아침 나를 늦잠 못자도록 만든게 하나있었으니 바로 디즈니만화동산.... 그립다.. 그시절.... 그때 만화는 재미와 낭만이 있었죠..

  • @hangroooooo

    @hangroooooo

    4 ай бұрын

    그건 비디오용 2급 스튜디오에서 나온거나 마찬가지라 지금 말하는 디즈니가 아닌듯요

  • @c.y1067
    @c.y10674 ай бұрын

    제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본 영화는 곰돌이 푸에요. 4~5살쯤 처음 봤었는데 정말 너무 좋아해서 몇백번은 거뜬히 넘길정도로 봤고, 아직까지도 영화 대사까지 다 기억날 정도입니다. 6살때는 겨울왕국이 나와서 영어도 잘 모르는데 렛잇고를 발음만으로 통으로 외워버릴 정도로 많이 봤었어요😂 그 외에도 지금까지 즐겁게 본 디즈니 영화나 고전디즈니 단편 애니는 아마 셀수도 없을겁니다. 하지만 요즘 디즈니는 영상에서도 언급했듯,사회 문제나 여러가지 문제들을 제시하면서 디즈니만의 동심의 세계가 무너진것같아 슬픕니다. 디즈니는 저의 어린시절의 큰 한부분이고 제가 사랑하는 영화제작사입니다. 지금부터라도 좋으니 제발 예전의 디즈니로 돌아와주세요😢😢

  • @user-iv7zl9dl4g
    @user-iv7zl9dl4g4 ай бұрын

    디즈니 PC땜에 디지니?

  • @gqjiwoerkwqty
    @gqjiwoerkwqty3 ай бұрын

    90년대 일본 만화를 보면, 사실 이게 이런데서 나온다고?? 싶을 정도로 PC적인 면모들이 갖춰진 경우가 많음. 동성애자, 트랜스젠더, 여성서사 같은 게 작품의 여러 소재 중 하나로 쓰이고 그게 보는 사람도 쉽게 이해하고 납득가능하도록 받아들여짐. 작품의 재미를 해치지도 않고, 오히려 그런 요소들을 또다른 재미요소로 써먹음. 그걸 보고 자란 어린아이들은 아 저게 나쁜게 아니구나~ 하는 레벨에서 자연스럽게 체화가 되고. 만일 이게 30년 정도 지속됐으면 이미 PC주의자들이 원했던 세상이 만들어졌을 거임. 근데 2020년대의 디즈니 작품은 PC주의를 쓰면서 대놓고 가르치려 드는 걸 넘어서, 아예 프로파간다적인 느낌마저 들 정도로 노골적임. 90년대 작품은 어쩌면 저걸 받아들이지 못하는 우리가 잘못이 아닐까? 라는 질문을 던지는 수준이라 사람들에게 생각을 해볼 여지를 준다면, 2020년대 디즈니 작품은 이걸 안 받아들이면 너는 쓰레기야. 라고 대놓고 모욕하는 느낌임. 그러면서 재미도 없어. 그러니까 이런 꼴이 나는 거지. 세상 만사를 쭉 배워보면서 느낀 건, 급진적인 사람들이 나서면 반드시 거기에 반대되는 세력을 형성하게 되고 한 바탕 전쟁을 치뤄야만 사그라들게 된다는 것임.

  • @dydyuu32
    @dydyuu324 ай бұрын

    사상주입에 미쳐서 작품의 재미와 완성도를 버린 놈들인데 다 자기들 업보지ㅋㅋㅋ

  • @user-ke4ndsem3s

    @user-ke4ndsem3s

    4 ай бұрын

    또또 디씨애들 몰려와서 Pc가 문제니 이런다ㅋㅋ 알라딘은? 메리다와 마법의 숲은? 모아나는? 뮬란은? 겨울왕국은? 넷 다 특이점이 다른 인종을 데려왔고+전형적이지 않은 여성상인데 이건 PC아니고? 갑자기 새롭게 시도했다는양 이때다싶어 물타기하는거 개역하네ㅋㅋ 심지어 겨울왕국은 디씨인사이드에서 개빨아서 프갤까지 흥했었잖아? 누가 지적했던거처럼 스토리의 부진인거지 PC와는 무관한건데 이때다싶어 니 디씨사상섞어서 "여아 애니"에 감놔라배놔라하지마세요ㅋㅋ 통계내려보면 디즈니 시청층에서 가장낮은지분이 이대남일거뻔한데 니들이 목소리젤크게내는거 우스움 그리고 pc의 수혜 가장많이받은 동양인이면서ㅋㅋㅋ

  • @user-ke4ndsem3s

    @user-ke4ndsem3s

    4 ай бұрын

    사상ㅋㅋ주입ㅋㅋ 까지ㅋㅋㅋ 참 대단한 식견이네

  • @FLYINGTAUREN

    @FLYINGTAUREN

    4 ай бұрын

    @@user-ke4ndsem3s 뭔 병있냐? 혹시 그쪽 사상? 약 좀 꼬박꼬박 먹으라니까 ㅉㅉ

  • @lIIIllllIIl

    @lIIIllllIIl

    4 ай бұрын

    어차피 디즈니 최대수익원은 디즈니랜드고 영화 독점 기업인 이상 망할 일 없음 ㅇㅇ 조선인들은 중국한테도 대만한테도 지는 삼성 걱정이나 해야될 듯?

  • @user-hs8kg8qz6w

    @user-hs8kg8qz6w

    4 ай бұрын

    ​@@user-ke4ndsem3s맞말인데 뭐ㅋㅋ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