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스포)애니마저 PC에 삼켜진 디즈니의 망작. 위시 리뷰

Фильм және анимация

#튜나 #위시
위시 [3/10] : 무해하려다 무개성이 되어버린 공허한 외침
튜나 채널 정기 후원(팬딩)하기 : fanding.kr/user/meanTUNA
영상에 대한 피드백/비판은 모두 환영합니다
다만 클린한 댓글 문화를 위해
악플[욕설/광고/『영화,리뷰와 전혀 연관이 없는 정치적인 댓글/혐오/비하표현』은
내용 캡쳐 후 삭제하고 있으며 댓글 3회 삭제시 채널 밴 처리 됩니다
혹시라도 댓글이 부당하게 지워졌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메일 주시면 사유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Contact me : taefal0724@gmail.com

Пікірлер: 2 000

  • @303.Feel3
    @303.Feel3Ай бұрын

    소원도 낮은확률이지만 들어주고, 내 소원을 지켜줄 뿐만 아니라 다양성을 존중해서 사람들 다 받아주고 집주고, 심지어 월세도 안 받는데 원하는건 오직 존경심이라고? 존경심은 무슨 바로 그냥 발가락 핥는다 갓그니피코

  • @user-ss3fz1ol5z

    @user-ss3fz1ol5z

    Ай бұрын

    심지어 자원입대하는 병사들 제외 국방력(마법)을 담당해서 딴놈들이 쉽게 쳐들어오지도 못함…

  • @user-wn9fz8rt7y

    @user-wn9fz8rt7y

    Ай бұрын

    돈 생각 당장 먹고 살 생각 안하고 착한사람들과 어울리며 살수있는데 내 소원까지 이뤄질 기회도 있다? 심지어 복권보다 확률도 높다? 아샤는 그냥 배가 불러서 저러는거임

  • @user-gz7ts2ms8e

    @user-gz7ts2ms8e

    Ай бұрын

    @@user-wn9fz8rt7y 작품내에서 캐릭터를 논하고싶은데 진짜 스토리 굴러가는꼬라지보면 걍 디즈니 자체 꼴보기싫어짐 주인공이 대가리속꽃밭이고 권리만 주장하고 책임을 안지는 개년만 만잇는거같음

  • @user-vy1rc7xd8i

    @user-vy1rc7xd8i

    Ай бұрын

    ㄹㅇ 그냥 지상락원인데?

  • @user-vk6ko6lz2w

    @user-vk6ko6lz2w

    Ай бұрын

    이제 누가 소원들어주냐

  • @user-de2qy1jz8n
    @user-de2qy1jz8nАй бұрын

    하늘에서 월트 디즈니: 이 시벌로마 어캐 키운 회사를 ㅂㄷㅂㄷ

  • @user-cf1kk6oc5l

    @user-cf1kk6oc5l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월트 디즈니 노한다

  • @Lilyos

    @Lilyos

    Ай бұрын

    월트 디즈니는 인종차별주의자 였다 설립자의 사상과 반대로가는 신기한 회사이다..ㅋㅋㅋㅋ

  • @Napalm47

    @Napalm47

    Ай бұрын

    제작자들 지들도 각본쓰며 이상하다는걸 못 느꼈나?

  • @user-iq1fj6vk4f

    @user-iq1fj6vk4f

    Ай бұрын

    @@Lilyos이 정도면 인종차별이 옳을지도 몰라 제일 차별받는 동양인이 이 생각 하게 만드는게 지금의 pc주의임

  • @print_helloworld

    @print_helloworld

    Ай бұрын

    @@user-iq1fj6vk4f 동의함 우생학이 옳은 것일지도 몰라 ..

  • @user-ho9my8bt9m
    @user-ho9my8bt9mАй бұрын

    매그니피코는 걍 지도자의 책임으로써 소원을 거절한거뿐이었잖아 심지어 걍싫어도 아니고 어느정도 합당한 이유까지 말해줬는데 ㅋㅋㅋㅋㅋㅋ

  • @helikemoney

    @helikemoney

    Ай бұрын

    민주주의조차 대통령이 법안을 거절할 수 있는데 왕국에서 왕이 소원하나 거절하는게 ㄹㅇ 왜 나쁜건지 모르겠네 ㅋㅋㅋㅋ

  • @STAR-xg3wq

    @STAR-xg3wq

    Ай бұрын

    걍 빌런 주인공이 자기 말 안들어준다고 ㅈ되봐라 이런거임 디즈니는 점점 이렇게 역한 주인공만 배출하는듯

  • @user-yr4hl8xn8t

    @user-yr4hl8xn8t

    Ай бұрын

    ​@@STAR-xg3wq광어공주도 그렇고 주인공 ㅈ같이 뽑아내기 대회하나봄ㅋㅋ

  • @Power_midurduk

    @Power_midurduk

    Ай бұрын

    중세 왕정 국가임에도 국민 개개인의 허락을 받음. 단 혼자 국가의 전반을 책임, 운영하면서 무일푼으로 일함. 왕국이 번영한게 전부 자기 마법 덕분임. 그런데 수많은 소원중 갑자기 자기 소원들어달라고 했다가 거절 당해서 쿠데타를 일으켜? 소설도 이딴식으로 쓰면 욕먹음 감성과 낭만만으로 일으킨 혁명은 모두 실패함. 프랑스혁명도 나폴레옹 안나왔으면 그냥 그대로 멸망했을거고 소비에트 혁명도 결국엔 자본주의에 패배함. 이상과 현실은 다른 영역인데 한쪽에만 뇌가 지배 당하니 저런듯

  • @inzulmi132

    @inzulmi132

    17 күн бұрын

    ​@@helikemoney 심지어 건국, 국방, 행정, 로또(소원)까지 혼자서 해내는 올타임 레전드임 ㅋㅋㅋㅋㅋㅋ

  • @ry_on
    @ry_onАй бұрын

    차라리 매그니피코 왕이 처음부터 흑심을 품은 전통적인 디즈니 악당이였거나 아니면 아샤가 왕에게 반감을 가지면서도 내적으로 갈등하는 묘사로 매그니피코 왕처럼 입체적인 캐릭터성을 부여해야 했는데 단순하고 머리 꽃밭인 주인공에 진중하고 입체적인 악역을 대치시키니 주인공이 하는 짓이 하나같이 유치해보이고 그럴듯한 선악구도가 생기지 않음...

  • @Yellow_nyawongE

    @Yellow_nyawongE

    6 күн бұрын

    별 튀어나오니까 그거 믿고 나대는 주인공 지능 수준ㅋㅋㅋㅋ

  • @user-mt8yn8ui3p
    @user-mt8yn8ui3pАй бұрын

    왕비가 제일 소름이야 자기 남편이 어떤 사람인지 젤 잘 아는 사람이 십대 소녀한테 선동 당해서 자기 남편 감옥 보내고 본인은 자기 말 듣는 마법사 하나랑 국가권력 쥐는 거 ㄷㄷ

  • @user-qy5gp7jd2b

    @user-qy5gp7jd2b

    Ай бұрын

    근데 문제는 저 나라는 왕의 마법으로 유지되던 국가라 왕이 감옥가면 더이상 유지가 안되는 나라임 ㅋㅋㅋㅋㅋ 몇년안에 멸망 확정 ㅋㅋㅋ

  • @minon522

    @minon522

    Ай бұрын

    스탑럴커당한 왕 ㅠㅠ

  • @user-fk9cl7fk9r

    @user-fk9cl7fk9r

    Ай бұрын

    편하게 왕 밀어내고 노네 이야그냥 너무 깐깐한 독재정치 아녀 그 나라에 들어온 게 문제지

  • @user-fk9cl7fk9r

    @user-fk9cl7fk9r

    Ай бұрын

    굳이 신경 써야 할 말인가? 포인트가 국민 가스라이팅 당한 거 같긴 한데 왕이 깐깐한 독재정치 맞잖아 근데 힘들게 갖고 있던 소원 기억 잊혀주고 가지고 있다가 들어줄라기엔 반역 기질이나 너무 개인양상 보이면 안 들어줄래인데 머리 돌아 ㅋㅋ

  • @Lalumi_ing

    @Lalumi_ing

    Ай бұрын

    ​@@user-fk9cl7fk9r이미 다 받아드리고 이민왔던거아냐? 영상안본건가 ㅋㅋㅋㅋㅋ 그게 싫었음 오질말던가 본인들이 다 숙지하고 들어왔고 편리받고 권리받고 편하게 잘만 살더니 이제와 이런다? 문제 있다 보는디 ㅋㅋ

  • @user-ku5rm8nt3o
    @user-ku5rm8nt3oАй бұрын

    마녀에게 홀린 엄마 찬탈당한 왕위, 적합한 계승자 매그니피코 주니어의 아버지의 명예와 빼앗긴 나라를 되찾는 모험이 시작 된다. 위시2 : 왕의귀환 개꿀잼각임

  • @bluerain7736

    @bluerain7736

    Ай бұрын

    십ㅋㅋㅋㅋㅋㅋㅋㅋㅋ 왜 기대되냐

  • @user-jq8cv4cd7i

    @user-jq8cv4cd7i

    Ай бұрын

    불합리한 별과 맞서는 진정한 혁명가 무브. 꿀잼이겠네요

  • @youandmehere_youtube

    @youandmehere_youtube

    Ай бұрын

    미친거 아님? ㅋㅋㅋㅋㅋㅋㅋ 아 개웃김 ㅋㅋㅋㅋㅋ

  • @user-gd4yf8pk9t

    @user-gd4yf8pk9t

    Ай бұрын

    ​​디즈니 작가는 이거보고 당장 2편 만들어라

  • @user-yh7je8wq4l

    @user-yh7je8wq4l

    Ай бұрын

    1편 전체가 빌드업이었다니 디즈니의 큰 그림 지렸다

  • @gjrjrjr12345
    @gjrjrjr12345Ай бұрын

    주인공이 괴벨스네 여왕이 히틀러고 착한왕 보내버리고 자기들이 권력 독점 ㅋㅋㅋㅋㅋ 와 진짜 완벽한 영화다

  • @king_bo_rider

    @king_bo_rider

    Ай бұрын

    괴벨스 인정

  • @Qqqwedjci

    @Qqqwedjci

    Ай бұрын

    그래도 히틀러 당시 독일은 경제 파탄났기라도 하지 저기는 유토피아인데 ㅋㅋㅋㅋ

  • @sbj8203

    @sbj8203

    28 күн бұрын

    괴벨슼ㅋㅋㅋㅋㅋㅋㅋㄹㅇ 맞다ㅋㅋㅋㅋ

  • @user-qp9uh8kn3g

    @user-qp9uh8kn3g

    6 күн бұрын

    페미 pc가 평화를 망친다 이런 내포된 의미먄 킹정

  • @Yellow_nyawongE

    @Yellow_nyawongE

    6 күн бұрын

    ​@@Qqqwedjci그렇게 될 예정

  • @GivenGWayn
    @GivenGWaynАй бұрын

    노래는 위험하지 않다라... 그래, 예술을 사랑하는 오스트리아인이 그렇게 위험할 줄은 아무도 몰랐지...

  • @AIM7Sparrow

    @AIM7Sparrow

    Ай бұрын

    미대 떨어져서 위험한 생각을 품고 살자한 콧수염 아저씨ㅠㅠ

  • @K69534

    @K69534

    Ай бұрын

    그 인간 노래도 좋아함 특히 바그너

  • @gazzzzza

    @gazzzzza

    29 күн бұрын

    "영감을 주는 그림을 그리고 싶었어" "빨간 물감보다 붉은 피로 칠하는 것을 사람들이 더 오래 기억해주더군"

  • @reinhard290

    @reinhard290

    5 күн бұрын

    뭣...!

  • @ORN-no7pb
    @ORN-no7pbАй бұрын

    디즈니가 100주년이라고 주인공은 전통적인 대가리가 디즈니 꽃밭인 주인공으로 내놓고 빌런은 요즘 디즈니가 보여주려하는 현실적인 빌런으로 만들어놓음 ㅋㅋ

  • @user-ss3fz1ol5z

    @user-ss3fz1ol5z

    Ай бұрын

    오히려 반대지,현세대의 악(즈그들 기준)인 백인남성을 몰아내는 아무튼 백인은 아닌 현실에서 볼법한 유색인종여자아이와 그놈의 인종색깔 그딴거 신경 안쓰고 모두를 포용하는 현세대에선 있을 수 없는 판타지 그자체를 실현한 누구보다도 비현실적인 악당

  • @user-si7lx4xw8x

    @user-si7lx4xw8x

    Ай бұрын

    이 정도면 본인들 돌려 까는거 아니냐고 ㄹㅇㅋㅋ

  • @circle31415

    @circle31415

    Ай бұрын

    아니 애초에 차라리 매그니피코가 사람들의 소원으로 사람들에게 영혼이나 희망을 뺐는거라면 나을텐데 , 현실은 걍 호의가 게속되면 둘리인게.... 아쉽네요

  • @user-ep4zo1vs5w

    @user-ep4zo1vs5w

    Ай бұрын

    그냥 100주년이라는 의미있는 영화니까 이번만큼은 악역이 없는 디즈니 영화도 괜찮았을꺼같은데

  • @bavillio

    @bavillio

    Ай бұрын

    ​@@user-ep4zo1vs5w맞아요 픽사긴 하지만 인사이드아웃같이..

  • @StormshieId
    @StormshieIdАй бұрын

    자기가 진심이면 그게 옳은일 일거라고 생각하다니... 히틀러가 따로 없네.

  • @user-cu6ui1hf6v

    @user-cu6ui1hf6v

    Ай бұрын

    아니 중간까지만 하더라도 왕이 너무 착해서 이상한 소원도 다 들어줄려다 보니 문제가 생기는건가? 싶었는데 정 반대였단게 너무 소름 ㅋㅋㅋㅋㅋ

  • @spiralshit05

    @spiralshit05

    Ай бұрын

    역사적으로도 악인들이 가장 자신들의 신념에 대해서 진심이었던 걸 생각하면 그냥 말같지도 않은 쌉소리 ㅋㅋㅋㅋㅋㅋㅋ

  • @iliilillillili3004

    @iliilillillili3004

    Ай бұрын

    @@user-cu6ui1hf6v ㄹㅇ 차라리 그런 맑눈광이여서 주인공이 막아서는 이야기가 더 좋을거같은데

  • @user-qy5gp7jd2b

    @user-qy5gp7jd2b

    Ай бұрын

    심지어 주인공이 노래부르면서 사람 선동하는 장면에서 본인 스스로 할아버지의 소원은 위험하지 않다는 주장에 반박해버림 ㅋㅋㅋㅋㅋㅋ

  • @sean7082

    @sean7082

    Ай бұрын

    PC 패거리와 Woke의 발상임. 자기가 옳고 니네는 틀렸고, 반박하면 차별주의자.

  • @H_ero0122
    @H_ero0122Ай бұрын

    21:45 난 이번 영화로 확신함 인어공주 때도 나왔던 얘긴데 흑인 배우 쓰라는 요구가 생기니 절대 흑인이면 안되는 인어공주를 흑인으로 캐스팅 하면서 이쁘지도 않은 물고기로 ㅈ같은 영화 뽑고 흑인 배우 써서 망했다로 돌리는 거 아니냐 같은 말이 있었음 위시도 분위기만 밝지 ㅈㄴ 베드엔딩임 마녀의 집에서 마녀한태 몸 뺏긴 딸 샷건으로 쏴죽이는 엔딩이랑 다를 거 없다고 봄

  • @security6880

    @security6880

    Ай бұрын

    일주일전에 흑어공주 애니시리즈 티저가 공개됐습니다. 애리얼? 흑인입니다. 우르술라? 흑인입니다. 트라이튼 왕? 흑인입니다. 다른 인어들? 흑인입니다. 배경이요? 맥시코랍니다. 디즈니요? ㅂㅅ입니다.

  • @hongkim3855

    @hongkim3855

    Ай бұрын

    @@security6880 배경이 미국인건 또 싫나보군요.

  • @security6880

    @security6880

    Ай бұрын

    @@hongkim3855 애초에 원작이 덴마크입니다. 에리얼 흑인됐다고 난리나니까 덴마크인도 흑인일 수 있다라면서 뭐라 하는 사람들은 인종차별자로 몰고 갔습니다. 그래놓고 흑인여왕까지 나오는건 에바라고 생각했는지 막상 실사영화 배경은 카리브해 근처... 그 실사화에선 그놈의 인종 다양성이니 뭐니하면서 트라이튼 딸들은 무슨 민족 대통합을 해놨으면서 갑자기 애니 시리즈는 그냥 인종이 무슨 흑인들만 있는것 처럼 획일화 하고 배경은 또 멕시코... 7대양 다스린다면서 무슨 전시하는거 마냥 인종들 나열하더니 그냥 다 흑인으로 퉁치는데 그게 역겨운거지

  • @hk2900

    @hk2900

    Ай бұрын

    ​@@security6880멕시코에서 자신의 종족의 능력을 활용하여 마약을 바다를 통해 옮기는 마약 유통업자 이야기라면 말이 되겠네요....

  • @Yellow_nyawongE

    @Yellow_nyawongE

    6 күн бұрын

    ​@@hk2900밀수ㄷㄷ

  • @user-dw5fx2xo7p
    @user-dw5fx2xo7pАй бұрын

    이 영화는 명작입니다 현대 정치인들이나 감성충들이 사람들을 선동하고 사람을 묻어가는 과정 또, 나라가 망해가는 과정을 잘 보여주네요😂😂😂

  • @user-cs1kr3vf9l

    @user-cs1kr3vf9l

    Ай бұрын

    현대 미술이였네

  • @user-bs9xe7le3r

    @user-bs9xe7le3r

    24 күн бұрын

    피카레스크인듯

  • @user-bw9rd7yu1q

    @user-bw9rd7yu1q

    14 күн бұрын

    딱 좌익사상이 만연한 현 한국의 모습이네

  • @mark11242

    @mark11242

    11 күн бұрын

    근데 이미 감성충 아닌 정치인들은 없어진지 오래임.

  • @b2thegoodness
    @b2thegoodnessАй бұрын

    감정적으로 선악을 구분한다는 말이 와닿네요... 감정에만 호소하며 원리원칙, 의무, 책임은 지지 않으려는 것. 그냥 어린애잖아요

  • @MadnessJackey

    @MadnessJackey

    Ай бұрын

    놀랍게도 해외 커뮤 가면 그런 애들 만나는 거 하루이틀이 아님. 크든 작든 그런 애들 투성이임 진짜.

  • @chankyokim3517

    @chankyokim3517

    Ай бұрын

    ​@@MadnessJackey그....비단 해외 커뮤만 그런거 아닙니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심연이란 깊고 어둡거든요.

  • @MadnessJackey

    @MadnessJackey

    Ай бұрын

    @@chankyokim3517 한국 커뮤는 안그렇다는 게 아님. 근데 둘 다 활동해보고 체감상 해외가 논리 1도 없는 애들 더 많다고 느낌.

  • @chankyokim3517

    @chankyokim3517

    Ай бұрын

    @@MadnessJackey 어차피 양쪽 다 '사람 말을 들을 생각을 안한다'라는 부분에서는 결이 똑같습니다. 안타깝게도 그저 '싸움'만 원하는 모습이 제 가슴을 아프게 하더군요.

  • @user-rn4po2ms1g

    @user-rn4po2ms1g

    Ай бұрын

    근데 면접장에서 저런거면 부정 청탁 아닌가?ㅋㅋㅋㅋㅋ

  • @user-lr4xu5rw5b
    @user-lr4xu5rw5bАй бұрын

    주인공이 빌런인 작품 ㅋㅋㅋ

  • @user-nm6go3dw7e

    @user-nm6go3dw7e

    Ай бұрын

    만약에 별이 매그니피코를 견제하기 위한 존재가 보낸거라면 라는 상상도 하게되는

  • @N_th_ng

    @N_th_ng

    Ай бұрын

    피카레스크였네

  • @TheMmm1mmm

    @TheMmm1mmm

    Ай бұрын

    이게 딱 맞는 표현이네요

  • @user-cu6ui1hf6v

    @user-cu6ui1hf6v

    Ай бұрын

    아니 이거말고는 설명이 안되는데 ㅋㅋㅋㅋ

  • @user-cw2lf3li8j

    @user-cw2lf3li8j

    Ай бұрын

    피카레스크 영화라 자기가 선역이라 주장하는 악당이 주인공인 영화면 뭐 개연성은 괜찮네

  • @user-qj6tg4wj9o
    @user-qj6tg4wj9oАй бұрын

    저 영화의 판타지는 소원도 별도 흑마법도 아니고 혼자서 국가 운영하면서 모두를 먹여 살리던 메그니피코 왕이야...

  • @ccsh2543
    @ccsh2543Ай бұрын

    최대한 좋게 봐줄려고 노력하고 또 노력해도 뭘 말하고 싶은지 의심하게 만드는 영화 자기 할아버지가 로또1등을 하지 못했다고 로또회사의 사장을 선동과 날조로 해치우고 사장자리에 올라가 똑같이 로또를 파는 무슨 말도 안되는 스토리의 영화

  • @rando2517
    @rando2517Ай бұрын

    왕 하나만으로 국가 시스템이 유지되는 것에다가 인품까지 좋은데다 소원만 바치면 그 뒤로 무상 공공 서비스에 주택까지 무상제공인데 이게 왜 나쁜 왕이자 왕국인거임? PC사상에 언제 아나키즘 들어갔냐 거기에 언제적 데우스 엑스 마키나임 진짜ㅋㅋㅋㅋㅋ

  • @print_helloworld

    @print_helloworld

    Ай бұрын

    진짜로 ㅋㅋ 그리스 로마 신화가 훠얼얼얼신 계연성 있고 재밋음

  • @reinhard290

    @reinhard290

    Ай бұрын

    @@print_helloworld 서양 문화의 근본이 ㅈ으로 보이십니까 휴먼?! 비교할걸 하셔야지 ㅋㅋㅋㅋㅋㅋ

  • @blackdragonangrycat

    @blackdragonangrycat

    Ай бұрын

    실제 공산주의도 그러지는 않았는데... 러시아 제정이 붕괴되고 소비에트 연방이 들어선 것의 원인부터가 니콜라이 2세의 완벽한 무능이였음. 아주 조금만이라도 민정에 신경 썼다면 소련은 커녕 볼셰비키 정치에 발도 못들임.

  • @print_helloworld

    @print_helloworld

    Ай бұрын

    @@reinhard290 ㅋㅋㅋㅋ

  • @blackdragonangrycat

    @blackdragonangrycat

    Ай бұрын

    군주제인것만 빼면 완전 소비에트 연방이네 ㅋㅋ 심지어 왕이 존나 유능한 서기장이잖아.

  • @wow7509
    @wow7509Ай бұрын

    출신에 상관 없이 오는 사람을 모두 받아주는 왕국 -> 이민자들이 힘을 합쳐 자신들을 받아준 왕을 몰아냄 이 작품은 사실 이민 정책을 반대하고 있는게 아닐까

  • @Medic_Raccoon

    @Medic_Raccoon

    Ай бұрын

    머리검은 짐승은 거두지 말라는 교훈

  • @user-of5gy1vt2h

    @user-of5gy1vt2h

    Ай бұрын

    아ㅋㅋㅋㅋ 겨울왕국 2를 이은 정치적 관점 ㅋㅋㅋ

  • @allive2615

    @allive2615

    Ай бұрын

    아.. 이민을 받으면 안되는 이유 만화였구나

  • @yarkhe

    @yarkhe

    Ай бұрын

    으역시 평등이라는 탈을 쓰고 불평등이라는 생각을 가진 디즈니 으역시 의무는 안지키고 권리만 지켜도 된다는 무정부주의적 생각을 가진 디즈니 으역시 pc랑 페니나치를 신봉하는 디즈니 디즈니가 디즈니했다~크~

  • @user-yr4hl8xn8t

    @user-yr4hl8xn8t

    Ай бұрын

    난민반대 만화였네 시발ㅋㅋㅋ

  • @chocoLemon655
    @chocoLemon65528 күн бұрын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인줄 안다는 말이 딱 어울리는 스토리 ㅋㅋㅋ 열심히 노력해서 객관적으로 최고의 왕국을 만들어 베풀어줬더니 지 말 안들어준다고 사람들 선동하고 반란을 쳐하네.

  • @user-om3vd4si8e
    @user-om3vd4si8e10 күн бұрын

    전 오히려 이런 전개가 의도적이란 생각이 드네요. 소원과 이상은 그 누구에게도 평가받을 수 없고 모두가 그 소원을 본인 스스로 잊지않고 품어야한다는게 작품의 주제같은데, 오히려 악역쪽에 선역같은 인물을 배치함으로써 아무리 선한 사람이라도 당신의 소원과 이상을 평가할 수 없고, 그 소원을 잊게하는 것은 잘못됐다고 제시하는 것 같아요. 소원이 이뤄질 확률도 낮고, 이러한 조건을 알면서도 저 나라에서 거주하는 것 등이 오히려 작품의 주제를 더 강화한다고 생각해요. 각종 세금 및 거주비같은 현실적인 문제를 위해 소원과 이상을 왕에게 바치는거죠. 물론 왕이 이런 소원으로 뭐 에너지를 뽑아낸다든가, 사악한 짓을 한다든가 그런건 없습니다만.. 오히려 그래서 현실적으로 느껴졌어요. 현대에선 그 누구도 저희가 꿈과 이상을 버리고 현실을 보며 살아가라고 강요하지 않거든요. 하지만 거의 모든 사람이 현실적인 문제로 꿈과 이상을 ‘자발적으로’ 버리고 현실을 택하죠. 작품 전개가 모순이 있다거나 설정이 잘못된게 아니라 오히려 작품 주제를 극단적으로 강화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pc는 글쎄요~ 그다지 언급할 가치는 없는 것 같습니다.

  • @user-qy5gp7jd2b
    @user-qy5gp7jd2bАй бұрын

    심지어 아샤가 주장하는 할아버지의 소원은 위험하지 않다 -> 이건 본인의 행동으로 부정되죠 실제로 노래로 사람들 선동해서 반란일으킴 ㅋㅋㅋㅋㅋ

  • @7_eleveen

    @7_eleveen

    Ай бұрын

    아 성공했으니 '혁명' 이라고 ㅋㅋㅋ

  • @user-hala-madrid514

    @user-hala-madrid514

    Ай бұрын

    성공했으니 혁명인걸로ㅋㅋ

  • @sharkantuna32

    @sharkantuna32

    Ай бұрын

    실패하면 반역! 성공하면 혁명 아닙니까!?

  • @user-bj9sh1qq4j

    @user-bj9sh1qq4j

    Ай бұрын

    왕이 노래하는 소원을 보고 위험한 거라고 했던게 처음엔 이해가 안됬는데 노래로 왕의 마법을 제압하는거 보니까 이해가 됐음 노래가 마법의 약점이니까 할부지 소원을 거부했던 타당성이 생김

  • @jeseongkwon2922

    @jeseongkwon2922

    Ай бұрын

    아하.. 세뇌의 노래네요..

  • @elpresidente124
    @elpresidente124Ай бұрын

    아시아인 스테레오 타입이라고 하면 왜 꼭 안경을 씌우는걸까.... 그리고 보통 동북아 인은 세계적으로 비만율이 매우 낮은 지역인데 왜 나왔다 하면 비만으로 나오는걸까

  • @user-ss3fz1ol5z

    @user-ss3fz1ol5z

    Ай бұрын

    홍차를 즐겨마신 문화권 캐릭터가 항상 비만으로 나오는건 진짜 얼탱이없긴함ㅋㅋㅋㅋ그러면서 미국캐릭터는 살이있어도 듬직해보이는 인상이지 비만캐는 보기도힘듬

  • @pokemon0126

    @pokemon0126

    Ай бұрын

    결국 "깨어있다"고 외치며 행동하는 정치적 올바름도 미국 사회라는 틀에 갇힌 좁은 시야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아이러니겠죠

  • @spiralshit05

    @spiralshit05

    Ай бұрын

    정작 초고도비만 국가는 어디? 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oo8ud8qi8o

    @user-oo8ud8qi8o

    Ай бұрын

    평등 어쩌고 주장하지만 그안에도 다시 급나누기

  • @bluerain7736

    @bluerain7736

    Ай бұрын

    그놈의 주근깨 안경 찢어짖눈 단발머리 만두형얼굴좀 그만보고싶다고

  • @sesejong6500
    @sesejong6500Ай бұрын

    인생은 애니메이션 뮤지컬처럼 노래 한번 부른다고 꿈이 이루어지는 곳이 아니라고 말하셨던 주토피아의 보고 서장님.... 이번작을 보니 당신이 옳았습니다....

  • @user-wn5ct2ym8f
    @user-wn5ct2ym8f27 күн бұрын

    픽사의 소울도 소망에 관련된 내용도 담겨있는데 이렇게 수준차이가 나는게 참 ㅋㅋ

  • @user-zs1qc4ry1r

    @user-zs1qc4ry1r

    21 күн бұрын

    소울은 튜나님이 10점을 주셨답니다ㄷㄷ

  • @user-mu2rg7lp2k

    @user-mu2rg7lp2k

    17 күн бұрын

    소울은 위시랑 다르게 엄청 현실적인 내용이잖음 소망을 이뤘다고 해서 그 인생이 무조건 행복만 있으리라는 보장은 없고, 소망이 없어도 누군가는 하루하루를 즐겨 살기도 하며, 인생은 소망만이 목표가 아니고 그저 살아가는 것 자체가 가치있다는 내용이니까 위시의 주제랑 완전히 안티테재적인 작품임 물론 작품성도

  • @Yellow_nyawongE

    @Yellow_nyawongE

    6 күн бұрын

    ​@@user-mu2rg7lp2k안티 디즈니

  • @Yuzu.x
    @Yuzu.xАй бұрын

    주인공이 전혀 사랑스럽지가 않음 본인입으로 남을 너-무 배려한다는데 영화 보는 내내 타인을 배려하는 이타적인 행동은 1도 보이지 않았음 비슷한 시기에 드라마 밤에피는꽃에서 이하늬 역할이 진짜 남을 엄-청 배려하는 이타적인 인물이라 그런지 더 비교됐었음 아샤는 그냥 평화로운 유토피아 왕국을 본인의 이기심으로 무너트리려는 악당임 전혀 사랑스럽지 않은 주인공

  • @koreanmagicconch
    @koreanmagicconchАй бұрын

    사실 이 영화는 현재 문화계에 퍼진 PC 사상을 고도로 돌려까는 블랙코미디가 아닐까? 그래야만 함...

  • @rkrworhemfdjrka

    @rkrworhemfdjrka

    Ай бұрын

    안그러면 말이안됨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mi5hj9ev9c

    @user-mi5hj9ev9c

    Ай бұрын

    이거였네

  • @_o-ob

    @_o-ob

    Ай бұрын

    ㅋㅋㅋㄹㅇ 가끔 약간 지구평평단애들한테 평평한 지구본 가져다주면서 "그럼~느그들 말이 다~ 맞제~"하는 기분이 들때도있음ㅋㅋ 정상인들은 그냥 끄덕이고 지나가게하려는듯이

  • @rando2517
    @rando2517Ай бұрын

    1:27 사실 여기 보고부터는 '그래도 할배니까 좀 입발린 소리한걸텐데 너무 꼬아서 해석하신거 아닌가?' 했는데 뒤로 갈수록 진짜 주인공이 이런걸 굳게 믿어서 이 개판을 친게 아닐까 하는 의문이 생김...

  • @user-fi4lm3jt5h
    @user-fi4lm3jt5hАй бұрын

    평등하지도 않고 자기 할아버지 소원부터 들어달라는 인맥 위주의 아샤... 정치인 되면 끼리끼리 해 처먹을 스타일이죠.

  • @user-cu6ui1hf6v
    @user-cu6ui1hf6vАй бұрын

    아니... 조금 찌질하다는거 빼곤 거의 완벽에 가까운 왕인데 전개가 이렇게 된다는게 너무 우습네요 ㅋㅋㅋ 여자친구랑 영화 보고 나와서 쟤가 악역이 맞냐 아니냐로 한참 토론을 했었는데 이 영상을 보여주면 참 좋을 것 같습니다. 전에 튜나님이 올바른 메세지를 전달하기 쉬운 방법이 애니메이션이라 조금 더 고평가 한다고 하셨던거 같은데 그 말 그대로인거 같아요... 메세지가 잘못되면 그만큼 마이너스란걸..

  • @user-ew1bu6tp1c

    @user-ew1bu6tp1c

    Ай бұрын

    세금도 안받고 나라 운영하는데 난 차마 저걸 찌질하다 말하지 못하겠다

  • @user-cu6ui1hf6v

    @user-cu6ui1hf6v

    Ай бұрын

    @@user-ew1bu6tp1c 저같아도 저정도 해줬는데 국민들 흔들리는 모습보면 흑마법 손댈거 같아요 ㅋㅋㅋㅋ

  • @user-hl1sm8qx8r

    @user-hl1sm8qx8r

    Ай бұрын

    사실 상 왕이 혼자 다 입히고 먹이고 재워주는 나라에서 국민들이 저러고 있으면 현타 씨게 오지 ㅋㅋㅋㅋ

  • @user-oh9fb7rm9w

    @user-oh9fb7rm9w

    Ай бұрын

    그 찌질함이라도 넣지 않았다면 어린애들조차 주인공이 빌런이라고 눈치챘을테니까요

  • @parkwimgeonm

    @parkwimgeonm

    Ай бұрын

    제발 월트 디즈니 노조가 저거 보고 감명받아서 디즈니 임원들 다 지하에 매장시키고 자기들이 주식 다 나눠가졌으면 한다 지들이 원하던 이상향이 이거일거 아님?

  • @user-lo2lh6hy3z
    @user-lo2lh6hy3zАй бұрын

    이 작품의 가장 큰 문제점. 영감을 주는 노래가 굳이 마법이 필요한 소원인가? 마법 없이 이룰 수 있는 소원을 꼭 마법으로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순간 당위성이 없지

  • @Medic_Raccoon

    @Medic_Raccoon

    Ай бұрын

    천재성도 없고 노력도 안하는 인간들이나 들어찬 '해줘' 국가였다는 증명인듯

  • @user-lw8rd4qd2k

    @user-lw8rd4qd2k

    Ай бұрын

    엄청 큰 꿈이면 이해하기라도 하지 노래 영감 ㅋㅋ

  • @daniellee5913
    @daniellee5913Ай бұрын

    새로 나오는 마블 시리즈가 욕 먹는 이유도, 이들은 노력에 대한 서사가 없다는 거임 토니 스타크나 캡아나 토르, 스파이더맨을 보면 모두 영웅이 되기까지의 고뇌와 노력이 필수로 들어가는데 2세들은 그냥 "천재"나 "유색인종"으로 퉁치려 듦... 블랙 걸 매직!!

  • @bluerain7736

    @bluerain7736

    Ай бұрын

    모랄레스도 그렇고 서사만 충분하면 남자건 여자건 흑인이건 공격헬기건 납득 할수있는데 그놈의 PC넣는다고 아무튼 강하고 아무튼 착하고 아무튼 천재인데 정작 서사가 없으니 행동으론 일관성이 ㅈ도 없는 모순덩어리가 탄생함

  • @AIPenguinStudio
    @AIPenguinStudio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좋은 주제.. 저런걸로도 그런 시사점을 뽑네요. 잘 보고있습니다!

  • @user-yk6fd6qe7t
    @user-yk6fd6qe7tАй бұрын

    개인적인 의견이긴 하지만... 그동안 좋든 나쁘든 다양성을 표출해 온 디즈니인만큼 뭔가 결말도 매그니피코 왕을 감빵에 보내버리는 것이 아닌, 백성들의 소원을 하나로 모아 아샤가 대표로서 매그니피코 왕에게 감사함을 표하고, 동시에 매그니피코 왕의 소원인 "더는 외롭고 싶지 않다"를 이뤄주는 마무리로 가는 것이 더 좋았을 것 같아요. 꿈과 동심을 표방하는 디즈니인만큼 현시대에는 이런 결말이 더 디즈니스럽다고 생각하거든요. 아, 그리고 동시에 흑막은 왕비였다고 하고 깜빵에 넣어버립시다.

  • @_o-ob

    @_o-ob

    Ай бұрын

    하나의 적을 만들거면 차라리 흑마법서가 사실 오랫동안 봉인된 마왕 영혼이라도 되어서 국민 떼창에 흑마법기운만 다시 봉인되서 빨려들어가고 "내가 무슨짓을.." 하는 왕에게 "거봐요 민중의 노래는 흑마법도 이겨요" 같은 개소리로 설득이라도 하던가...

  • @user-mu2rg7lp2k

    @user-mu2rg7lp2k

    17 күн бұрын

    실제로 초기 설정에서 흑막은 왕비였음

  • @user-cm8cs5nx7s
    @user-cm8cs5nx7sАй бұрын

    실패하면 '반역' 성공하면 '혁명' 아닙니까!?

  • @RX-78GP03D

    @RX-78GP03D

    Ай бұрын

    이거다 ㅋㅋㅋㅋ

  • @user-vr6nn8jy9e

    @user-vr6nn8jy9e

    Ай бұрын

    삐빅 반역입니다~

  • @user-vk6ko6lz2w

    @user-vk6ko6lz2w

    Ай бұрын

    반동이다! 전위대! 전위대!!!

  • @mwuhaji

    @mwuhaji

    Ай бұрын

    이야 서울의 봄이아니라 로사스의 봄이였네...

  • @Umm-hq2mt

    @Umm-hq2mt

    Ай бұрын

    소원의 봄ㄷ

  • @something3633
    @something3633Ай бұрын

    이거 공개된 초기 컨샙이랑 아이디어 보면 아주 속 터짐. 아니, 좋았는데 위에서 갈아 엎으라고 한건지 뭔지 좋았던 부분들 싹 살아지고 이꼴 난 거라. 커플 빌런 얼마나 좋아요!! 별 소년과의 로맨스 얼마나 좋아요!! (근대 피터팬 느낌이 나긴 함) 해외 영상 보면 가장 비판하는 것들 중 하나가 주인공의 성격 이기도 함. 라푼젤에서 안나, 안나에서 이번 주인공으로 내려온 말괄량이(?) 귀여운 성격이 비판을 받는 중임. 이유가 라푼젤과 안나는 고립된 어린시절을 보내서 그 성격에 개연성이 있지만 이번 주인공은 없다는 거야.

  • @user-hp5mg3ch6o
    @user-hp5mg3ch6oАй бұрын

    어린이의 꿈을 중요시하고 그것 하나 하나는 존중받아야한다 그런 옛 디즈니 스러러운 그리고 많은 미국 애니메이션 회사의 주제가 되는 이야기였는데 억지로 피시를 넣어 나는 존중 받아야 해로 확 줄어들고 타인종과 장애인들을 오히려 스테레오 타입으로 프레임에 갇히게 만드는 차별주의자적 생각을 넣고 또 시대에는 따라가야 하니 입체적인, 그는 과연 악역일까 싶은 빌런은 넣어야겠고 다 넣으려면 설득력이 너무 떨어지니 감정에 호소하고 전체적으로 제작자의 욕심과 무능함이 뚝뚝 흘러나오는 작품인것 같아요 드림웍스의 가디언즈 같은 아이들의 꿈을 지켜주고 심어주는 영화를 보고싶네요

  • @user-dr3us8pd8e
    @user-dr3us8pd8eАй бұрын

    사실 디즈니는 100세 시대니까 100살 처먹었으면 후배들을 위해 자리를 피해줘야 한다며 일부러 벽에 똥칠을 하는 다크 히어로가 아니었을까..?

  • @user-ws4vc9ul4s

    @user-ws4vc9ul4s

    Ай бұрын

    디즈니가 치매와서 벽에 똥칠하는거 같아 두렵다...

  • @user-vb2fm6ki9t

    @user-vb2fm6ki9t

    Ай бұрын

    아ㅋㅋ 치매와서 각본이 저런거였어? ㅋㅋㅋ

  • @AspiLav

    @AspiLav

    Ай бұрын

    그럼 박수칠 때 떠났어야 했던 것 아닐까요? 😢

  • @user-yr4hl8xn8t

    @user-yr4hl8xn8t

    Ай бұрын

    디즈니 치매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yase_Mayoi

    @Ayase_Mayoi

    Ай бұрын

    ???: 악역은… 익숙하니까

  • @KYI1498
    @KYI1498Ай бұрын

    사실 이 작품은 지극한 사회 풍자적인 내용이었을지도. pc를 비롯한 다양한 '사상'에 휩쓸려 쉽게 선동되는 사람들, 별다른 해결책도 없이 무책임하게 자신의 주장과 생각이 옳음을 무작정 주장하는 사람들... 현대 사회의 문제가 이 애니 한 편에 모두 담겨있네요.

  • @user-ss2ee7nz5f

    @user-ss2ee7nz5f

    Ай бұрын

    별은 소원을 이뤄주는듯한 마약이고 아샤는 pc폭동꾼이고 마그니피코는 어질지만 국민을 우민화하고 폭동은 힘으로제압하는 대통령 ㄷㄷ

  • @user-lonestrider

    @user-lonestrider

    Ай бұрын

    말씀대로 현실의 PC주의를 돌려까는 내용으로도 해석할 수 있네요

  • @kimjihoon2042

    @kimjihoon2042

    Ай бұрын

    희망회로 엄청 돌리시네 아직 디즈니 실체를 모르시나

  • @Assarabeeya

    @Assarabeeya

    Ай бұрын

    ​@@kimjihoon2042 그런게 아니라면 설명이 안될정도라는 돌려까기입니다.

  • @user-gd4yf8pk9t

    @user-gd4yf8pk9t

    Ай бұрын

    스토리작가가 빡쳐서 일부러 저렇게 만들었을수도

  • @mainaHighway
    @mainaHighwayАй бұрын

    솔직히 이 작품이 피카레스크 였으면...꽤나 재밌었을 거 같아요. 주인공이 착한 척하는 거 같아서 몰입이 잘 안되는 데다 제가 1인칭 시점으로 왕이 오히려 진 주인공이 아닐까? 하고 기대를 했지만 너무 전형적인 엔딩이라 역시 디즈니의 잘못된 색채가 애니를 망쳐버렸네요. 다음 작품이 나온다면 아샤가 그냥 대놓고 타락해서 새로운 주인공 앞세워 이번엔 용사물로 등장하는 영화로 꺼내면 꽤 반전적이고 재밌는 작품이 탄생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양성을 존중한다지만 이건 언더독을 이용한 위선에 더 가까운 영화 같아서 이게 차라리 프롤로그의 내용이고 뒤에 내용을 추가하면 꽤 볼만할 거 같습니다.

  • @user-of8ku8mw5o
    @user-of8ku8mw5oАй бұрын

    어릴 적 디즈니의 낭만은 어디 갔을까..ㅋㅋㅋㅋ 왜 작품성을 제대로 추구하질 않고 pc라는 틀 안에 갇혀서 우월의식이라도 느끼려는건지..아니면 부족한 작품성에 대한 배리어라도 만드려는건지 애초에 빌런인지도 모르겠는 왕과 떼쓰는 주인공의 스토리로 뭘 말하고 싶었던걸까 전개하고는 참

  • @Jelly_Burger
    @Jelly_BurgerАй бұрын

    하다못해 소원을 바친 국민들은 무기력하고 우울한 허수아비같은 존재가 되는거였으면 서사가 납득은 될거 같은데, 소원이 외부로 나와서 부숴진 이후에야 우울해진다라는 설정은 또 굳이 왜 붙였나 모르겠네요... 이제보면 자기들이 무슨 말을 하려는지도 모르는거 같아요.

  • @Coward_Montblanc
    @Coward_MontblancАй бұрын

    왕 볼때마다 저걸 선동당해 넘어간사람들도 참... 그냥 주인공이 빌런인데 빌런이 이기는 서사가 나와버리니까 너무 한숨밖에안나오더군요

  • @user-gx6gk1zj3k
    @user-gx6gk1zj3kАй бұрын

    영화를 본게 아니라 어떤 흐름으로 왕비가 가담하는진 모르겟는데 왕이 폐위되고 왕비가 남는다는 전개도 이상하게 다가오네요 보통 부부는 같은 속성으로 묶이는데다 원래부터 반목하기보다 왕비의 조언에도 충분히 왕이 반응하는거 같고... 마치 기존 pc 주의들처럼 억지로 왕비는 원래 권력자니까 괜찮다는 이상한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보이네요

  • @bmo411
    @bmo411Ай бұрын

    영화 보는 내내 계속 찜찜한 기분이 들었는데 그 이유가 다 여기 설명되어있네욬ㅋㅋㅋㅋㅋ 자잘하게 설명해주셔서 사이다 한사발 들이키고갑니다....아 정말 다시는 이런작품 보고싶지 않아요ㅠ 정말 이상한 메세지 주입하는거 없이 깔끔하게 즐길 수 있는내용의 영화가 나오면 얼마나 좋을까요....그리고 솔까 메인곡 보다 메그니피코가 부른 this is thanks i get이 노래가 더 좋음ㅋㅋㅋㅋㅋㅋㅋ 이정도면 정말 반pc를 의도하고 제작한게아닌지...ㅋㅋㅋㅋㅋ

  • @jhl6304
    @jhl6304Ай бұрын

    '애들보는 영화'라고들 하지만,, 애들도 알거 다 압니다. 오히려 지식이 부족하고 경험이 적기에 어른들은 생각도 못한 파트를 파고들기도 하죠. 어릴때 보는게 평생 기억나듯, 어릴때 심어진 사상이 반평생 이어지기도 하고. 그래서 '애들보는 영화'라고 대충 만들고 볼게 아니라 오히려 그렇기에 더더욱 깐깐하고 엄중한 잣대를 들이미는게 맞습니다. 뭐 복잡한 철학 넣으라는게 아니죠. 권선징악, 사필귀정, 자유의 중요성,우정과 사랑같은 유니버셜한 주제로 직관적으로 묘사하면 될 일.

  • @script_sound
    @script_soundАй бұрын

    차라리 결말에 매그니피코가 아샤 말 듣고 소원 다 뿌리자 마을 깽판나고 아샤가 그제서야 자기가 틀린 걸 이해하고 별들로 모든 소원을 깨부시자 이제 마을이 진정해집니다. 그리고 소원을 잃어버린 사람들이 비참해지자 매그니피코가 말하죠 "저들은 소원이 없어 이제 살아갈 가치를 잃은 거야 소원이 있어야만 살아간다고" 그러자 아샤가 말하죠 "우리의 소원은 없는 게 아니야 단지 찾아내지 못할 뿐 소원은 그저 바라는 거고 그거를 이루는 건 마법이 아닌 우리들의 노력이야" 이러면 메시지로 누구나 소원을 가지고 있으며 이루고 싶지만 소망(wish)하는 것으론 이룰 수 없다. 다만 그 소원(wish)은 마법이 아닌 우리가 직접 이루어야 가치가 있다. 이러고 엔딩에 할아버지는 마법이 아닌 자신만의 힘으로 노래하며 성공하고 행복하게 지내고 마을 사람들도 마법이 아닌 노력으로 성공하게 끝나면 지금보단 그나마 나아졌을지도 모르는데 아쉽네요. 애들이 저거보고 소원 없는 난 어카지 이런 생각하면 어떨까 걱정해 적어봤어요

  • @longswordparkour511

    @longswordparkour511

    Ай бұрын

    오 너무 낫네요 ㅜㅜㅜㅜ 그리고 해피엔딩?이고요

  • @CB-L

    @CB-L

    Ай бұрын

    영화 '브루스 올마이티'에서 신 대행 하다 머리아파진 브루스가 기도 다 OK 때렸다가 세상 멸망할 수준으로 개판나서 그거 보고 정신차리던 전개가 생각나네요. 권능이 아닌 자신의 노력으로 목표를 이뤄야 한다는 깨달음을 얻는 부분도..

  • @noneAccount5695

    @noneAccount5695

    Ай бұрын

    솔직히 무조건 이 결말로 갔어야 했어요. 근데 그러지 않고 전형적인 쓰레기 pc범벅 엔딩으로 가니 개같이 망한 것 이지요...

  • @fang_derer970

    @fang_derer970

    Ай бұрын

    원작초월 인정합니다

  • @KTX-whale

    @KTX-whale

    Ай бұрын

    찐 해피엔딩

  • @davidkim3943
    @davidkim3943Ай бұрын

    진짜 이거 리클라이너 관에서 본거 신의 한수....보다가 편하게 잘 수 있어서 너무 좋았음.....

  • @user-fe8dq5xs2i
    @user-fe8dq5xs2iАй бұрын

    드레드 머리가 이젠 짜증난다 ㅋㅋㅋ인어공주 이후로 말이지…..

  • @popin_star
    @popin_starАй бұрын

    줄타기에 실패했다는게 제일 완벽한 설명이긴 함 근데 영상에서 빠진 영화 포인트가 있는데 로사스 국민이 소원을 바치면 그 사람은 자신의 소원을 이루어질때까지 영영 기억을 못함 디즈니는 이 포인트를 가지고 '마음에 소원을 품지 않은 삶은 의미가 없다+남이 자신의 소원을 함부로 평가하게 두지 마라' 라는 말을 해주고 싶었던 것 같은데 와중에 또 악역이 그냥 나쁜 사람 이기만 하면 요즘 시대상에도 안맞고 오히려 욕만 먹으니 입체적인 인물로 엄청 빌드업을 쌓아뒀음 근데 그것 때문에 아샤는 굉장히 빈약하게 설정이 되었고, 거기다 영화의 권선징악 결말은 정해져 있다보니 악역의 공들인 빌드업이 굉장히 빠르고 허무하고 진부하게 무너져내렸음

  • @kimbsanggimotti

    @kimbsanggimotti

    26 күн бұрын

    이 글보니까 디즈니가 약간 이해가 가긴 하네… 존나 약간이지만

  • @user-om3vd4si8e

    @user-om3vd4si8e

    10 күн бұрын

    동의해요. 소원을 잊게한다는 것 자체가 가장 큰 문제라는게 작품의 주제일텐데 그에 대한 언급은 거의 없어요. 작품성자체는 말하신대로 설정 줄타기 실패가 문제가 있지만 작품 주제 자체는 굉장히 명확한 것 같아요.

  • @user-mr8fj2jn4m
    @user-mr8fj2jn4mАй бұрын

    중학생 시절에 흑설공주라는 지문을 읽었던 적 있었는데 편견 깬답시고 억지로 까만 눈 내리게 하면서 개연성 다 말아먹어놓고는 정작 계모는 나쁘다는 편견은 계속 밀고 나간 지문이라 정말 어질어질했던 기억이 나네요...

  • @user-oy3lb5ix8x

    @user-oy3lb5ix8x

    Ай бұрын

    와씨 글로만 보는데도 정신이 나갈것같은데요

  • @user-dy9gf1ez2v

    @user-dy9gf1ez2v

    Ай бұрын

    아 이 책 오랜만이네

  • @spiralshit05

    @spiralshit05

    Ай бұрын

    중학생 시절에 그 ㅈ같은 책을 접했다는 거 보니 동년배같군요 진짜 페미니즘 도서랍시고 그딴 거 독서 강요당한 거 생각하니 또 열받네

  • @Space-xXx

    @Space-xXx

    Ай бұрын

    사실 그건 화산재야~ 다 죽고 말거라고 18 ㅠㅠ

  • @AspiLav

    @AspiLav

    Ай бұрын

    시베리아의 광공업 도시에선 가끔 정말 검은 눈이 내립니다. 유독성 공해물질이 섞여서 검죠. 보통 하얘야 할 눈이 까맣다면, 그래도 예쁘다고 할 게 아니라 이게 왜 이러냐고 놀라야 할 일이거늘 편견을 갖지 말자는 이야기로 엮다니... 😂

  • @harpyobba
    @harpyobbaАй бұрын

    10:13 인간의 광기에 관심을 가진 존재가 자신의 아이를 내려보내니, 이는 혼돈과 광기의 시대의 시작이라... 별의 정체는 크툴루 스타 스폰 이었군요.

  • @Bluetoothicon
    @BluetoothiconАй бұрын

    아니 ㅅㅂ 소원 바치고 존경만하면 먹여주고 재워주고 심지어 잘하면 소원도 들어주는데 걍 이검 세상물정 모르는 잼민이가 봐도 ㅈㄴ 존경할만 한데?

  • @user-qd2ns9xb4j
    @user-qd2ns9xb4jАй бұрын

    처음엔 소원을 추출해냈을때의 부작용 같은게 있어서 그걸 주인공이 발견하고 혁명이라도 일으키나 했는데 소원을 빼내고 아무런 부작용도 없고 세금도 안 내고 왕은 마법으로 소원을 제외한 다른 모든걸 이뤄주고 바라는건 고작 존경심 하나뿐인 선한 왕이라고? .....이런 유토피아를 왜 무너뜨리지?

  • @noneAccount5695

    @noneAccount5695

    Ай бұрын

    그러니까요 정말 이해가 안된다니까요?😅

  • @lIlIlIlIlIlIlIlIlIlIlIlIlIllII

    @lIlIlIlIlIlIlIlIlIlIlIlIlIllII

    Ай бұрын

    모순덩어리 주인공임 애초에 한달에 한명 소원 이뤄준다 했고, 국민들은 자기가 이루기 어렵다 판단한 간절한 소원을 자발적으로 바친거임 병사도 자원입대한 애들밖에 없고 오직 매그니피코가 자기 왕국 지키고 모든 일을 관할함 주인공의 멍청한 사상에 넘어간 백성들이 매그니피코의 유토피아에 배가 부른거같음 애초에 처음부터 주인공이 그릇된 사상을 가졌고 매그니피코가 그에 반박하면서 타협점을 찾거나, 매그니피코가 아샤의 말대로 해서 나락간 왕국 모습 보여주면서 바로잡아가는 엔딩이 맞다봄

  • @randent

    @randent

    4 күн бұрын

    자신의 소원이 무억인지 잊어버리는게 부작용이라고 영화속에서 명시합니다

  • @user-nm6go3dw7e
    @user-nm6go3dw7eАй бұрын

    하다 못해 매그니피코 왕이 마법을 쓰기위해 소원들을 하나하나씩 에너지원을 쓴다는 그런설정이 있더라면

  • @aran0921

    @aran0921

    Ай бұрын

    이거였으면 영화는 ㅈ@나 완벽했다

  • @user-vk6ko6lz2w

    @user-vk6ko6lz2w

    Ай бұрын

    세율 "0배"

  • @popin_star

    @popin_star

    Ай бұрын

    영화 후반부에 타락하고 나서는 나오긴 합니다 그전까지의 빌드업에 비해 너무 급발진이라 그렇지..ㅋㅋㅋ

  • @user-lw8ul2ux2x

    @user-lw8ul2ux2x

    Ай бұрын

    근데 소원이 한번 뺐긴다고 영원히 그 꿈을 꿀 수 없나?

  • @popin_star

    @popin_star

    Ай бұрын

    @@user-lw8ul2ux2x ㅇㅇ 영화에선 그렇게 나옴 소원을 바치면 매그니피코가 이루어줄 때까지 자신이 바친 소원을 기억 못함

  • @Pichel_
    @Pichel_Ай бұрын

    아직도 보는사람들이 애새끼들뿐이라고 생각하는거지 아니다 ㅋㅋ 애들도 이거보면 내 생각이 틀리고 이기적이어도 이해해줄거고 범죄저질러도 남탓하면 세상이 도와준다는 마인드가 장착될 수 있음 진짜 개악질 가스라이팅 애니메이션이네

  • @prankim2163
    @prankim2163Ай бұрын

    영화는 안봤지만 튜나님 덕분에 무슨 내용인지 왜 이런저런 소리가 나오는지 알게되었네요 항상 리뷰 감사합니다

  • @user-os7rj5hs9c
    @user-os7rj5hs9cАй бұрын

    매그니피코 왕이 얼마나 성군인지 알 수 있는 캐릭터가 달리아. 왕실 제빵사인데 다리가 불편한 장애인 캐릭터 매그니피코는 빵 만드는 데에 기술만 좋다면 다리가 불편한 건 문제되지 않았던 건지 달리아의 제빵 실력을 인정하고 동네 빵집도 아니고 무려 왕실 제빵사로 고용해서 쓰고 있었던 것 중세 시대쯤 되어보이는 로사스같은 시대에 이런 마인드를 가지는 게 쉽지 않은데 시대를 앞선 마인드를 가졌던 것이 매그니피코 왕

  • @Power_midurduk

    @Power_midurduk

    Ай бұрын

    거진 보두잉 군주님 급

  • @dueehffjqj
    @dueehffjqjАй бұрын

    망했다고 하는것도 관심인데 그냥 디즈니 언급도 안되는 시기가 오길바란다.

  • @gamerheaven9315

    @gamerheaven9315

    Ай бұрын

    조금 말이 심한것 같지만 어쩌면 이 영화는 노래만 좋은걸지도 차라리 프린세스 스타가 더 나은것일지도

  • @Nang_Mang_12
    @Nang_Mang_12Ай бұрын

    빌런의승리로 암울한 세계관을 보여주는 작품이네요...

  • @user-fm2yq4fj8u
    @user-fm2yq4fj8uАй бұрын

    이 영상은 리뷰가 아니라 사실 애니메이션임 편집자가 만들고 튜나가 더빙하는거지 보통리뷰는 원작 영상이 전부인데 여기는 편집하고 나레이션이 전부임 보통 1시간 넘길래 이거 보고 전체비율에서 편집이 얼마큼인지 오늘 알았내

  • @entity_663
    @entity_663Ай бұрын

    *"실패하면 반역, 성공하면 혁명 아닙니까!!!"* [로사스의 봄]

  • @fly-gon59

    @fly-gon59

    Ай бұрын

    정작 결말은 서울의 봄보다 더욱 답 없는게 킬 포인트던데요 전두광은 그래도 자기가 혼란스러워진 이 나라의 우두머리가 되려는게 목적이였지만, 아샤는 자기 말 안 들어준 멀쩡한 왕을 몰아내고 이후 별다른 대책을 세우려하지도 않은 무정부주의자에 불과하게 묘사되잖아요.

  • @user-lc7rp4kn6s
    @user-lc7rp4kn6sАй бұрын

    2:48 개인적으로 이부분이 영상의 킬포라고 생각하는게 장애인을 빼면 PC가 아니더라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조합인데도 작품의 분위기에따라 빼도박도 못하는 PC요인이 되었다는거임 앞으로는 캐릭터 포인트(장&단신, 피부색 등)가 있는 모든 등장인물이 나오는 작품은 자신이 PC한 작품이 아님을 적극적으로 소명해야할 의무가 생김 문화작품의 탈을 쓴 프로파간다덕에 잠재적 PC물이 되어버린 문화작품들이 불쌍하네요

  • @seanshroom

    @seanshroom

    Ай бұрын

    물어보고 싶은게 있습니다. 어째서 PC가 문제가 된다고 생각하신가요. 참고로 미리 말씀 들이지만 악의도, 따지고 싶은것도 아닙니다. 그저 궁금할 뿐입니다. 결국 소수자=PC라는게 현제의 인식이고 이게 PC가 쓰레기다라고 주장하는 사람들 대부분인데 님이 말씀하시는 방식을 감안했을때 그런 이유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만 말씀하신 "캐릭터 포인트" 를 넣는것 자체가 PC로 보인다고 소명해야할 임무가 생긴다고 말씀하신게 이해가 안됩니다. 이미 PC가 거절되고 있는 이유가 "소수가자 나오는 메체"라는 변질된 정의로 해당 소수자가 나오는 것을 거절하기 위해서 사용되는데, 즉 현제 주류적인 인식상으로는 해당 캐릭터 포인트 자체를 PC라고 이 논쟁이 나올때부터 사용되어왔습니다. 그래서 궁금해지더라고요. 그러면 님은 PC를 무엇으로 인식하고 있는가라는 순수한 호기심이요. 악의도, 따지고 싶은것도 아닙니다. 그저 궁금할 뿐입니다. 전에 튜나님은 PC에 대한 영상을 만드시면서 단순히 다른 인종이나 성정체성이 등장한다고 PC가 아니다. 라는 내용이 포함된 영상을 만드신적이 있습니다. 저는 예전부터 이렇게 PC를 인식해왔습니다. "차별적인, 편향적인 요소를 배제하자" 그리고 제가 PC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이유 역시 "이걸 명분삼아 자신의 작품에 비판을 가하는 것을 원천차단하기 때문"이라고요. 하지만 대부분의 "안티 PC"라고 하는 사람이나 댓글의 주장을 들을때는 소수자, 즉 댓글에서 표현하신 "캐릭터 포인트" 자체가 역겹다. 이런걸 배제하자. 이런 움직임이 보였던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분들이랑은 다른 주장을 하시는거 같거든요. 그래서 궁금해지더라고요. "다른 인종이나 못난 외모는 작품에서 보고 싶지 않기에? 작품에 어울리지 않기에"가 보통 나오는 대답이였고 저는 보통 이런 경우는 대답을 이렇게 하였습니다. 오히려 이것 역시 검열로 사용될수 있지 않을까요? 실제 과거 흑인이 냉철한 캐릭터는 어울리지 않다는 이유로 밤의 열기속으로 라는 작품은 영화화 되었을때 흑인 형사 캐릭터 버질 팁스(Virgil Tibbs)가 다혈질에 폭력적인 흑인의 스테리오타입을 가진 캐릭터로 변질된적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저는 말씀하신 "캐릭터 포인트" 자체에 PC라는 딱지를 붙히고 부정을 하는 것은 논점을 흐린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리고 비슷하게도 포인트 자체는 부정할것이 아니다라고 예기하시기에 궁금해졌습니다.

  • @user-kc7wp9fc3u

    @user-kc7wp9fc3u

    Ай бұрын

    @@seanshroom 캐릭터 포인트 자체에는 문제가 없지만 대부분의 PC 영화의 요소에 이러한 캐릭터 포인트가 있기 때문에 캐릭터 포인트 자체에 거부감이 생기는 게 아닌가 싶어요. 튜나님이 이번 영상에서 언급하셨다시피 다양한 인종을 넣는 거 자체가 문제가 없는 건 머리로 알지만 혹시?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PC가 문화에 뿌리깊게 자리 잡고 있고, 돈을 주고 즐거움을 얻기 위해 소비하는 문화에 그러한 생각을 하는 경험이 피곤하고 불쾌하게 느껴지는 것이겠죠.

  • @user-gd4yf8pk9t

    @user-gd4yf8pk9t

    Ай бұрын

    예시를 들자면 만약 어느날부터 도마뱀이 등장한 대부분의 작품이 개연성 박살에 위험한 사상 생각없는 스토리를 지닌다면 어느순간부터 관객들은 영화에 도마뱀이 나온다면 일단 부정적으로 볼수밖에 없죠

  • @seanshroom

    @seanshroom

    Ай бұрын

    @@user-gd4yf8pk9t 그래서 공포의 심볼이 되어야한다? 그러면 결국 뭐가 변하죠? 그냥 "일단 거른다"가 된다면 어떤 변화가 있을수 있죠? 저는 그런 방식은 상당히 위험하다고 생각해요. 아에 배척하는것. 아무리 나치즘처럼 극단적이라도 이것이 왜 유행하였는가, 이게 역사적으로 어떤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는가를 알면 최소한 비판은 할수 있습니다. 최근 한국의 "안티 PC'를 보면서 느끼는 점이지만 자신이 비판하는것의 정의조차 모르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그냥 소수자=PC이정도로 생각하는 경우도 있었기에 비판점을 하더라도 얼굴이 어울리지 않는다, 역차별이나 한다 같이 정의도 이해하지 못하고 비판하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그정도되면 그냥 욕으로 점철된 비난으로 더이상 이것의 신용성이 없어집니다. 최소한 비판할거라면, 두렵더라도 마주해야 제대로 맞서싸우지 않을까요? 대충 그래보이니까 싸잡아서 욕하자. 이건 대충 "중국인이랑 한국인, 일본인은 다 동양인이니까 비슷할것이다" 랑 똑같은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비판은 할거라면, 제대로 알고 비판해야하지 않겠냐고요.

  • @seanshroom

    @seanshroom

    Ай бұрын

    @@user-kc7wp9fc3u 그러면 왜 신경을 쓰시나요? 신경을 쓰고 싶지 않다면 그냥 무시하면 그만 아닌가요? 그런면에서 저는 의문을 가지게 되더군요. 그리고 애초에 PC라는 것은 이전에 튜나님의 영상에서 나온듯 "PC 주의"라고 지칭할만한 사상이 아닙니다. PC운동이라는 말은 있지만 PC 주의 당이라던가 그런 말은 없잖아요. 단순히 다양한 캐스팅에 PC를 두려워하는 것은 그런 관점에서 봤을때 솥뚜껑보고 자라본듯 놀라는것에 가깝지 않나 싶습니다. PC랑 다양성은 별계의 이야기니깐요. 차별을 반대하자는 메세지가 나오면 PC, 아니면 아닌거죠. 당연히 없는건 없는거고 있는건 있는거 아닐까요? PC의 정의만 놓고 본다면 "차별을 방지하자"이므로 만약에 영화속 메세지가 "소수자도 보호받아야한다"같은거라면 PC가 주된 메세지인 영화라고 할수 있겠지만 그렇지도 않고 그냥 성소수자나 소수인종이 등장하는것 만으로 PC라고 생각한다면 정의를 잘못알고 괜한것을 두려워하는 것일겁니다. 그렇게 치면 한국 작품도 보면 안될지도 모릅니다. 한국의 여러 작품들은 동양인 위주로 등장하는 PC작품이니깐요. 웃기게 들리시나요? 캐나다에 살고있는 사람으로서 개인적인 경험입니다만은 K-문화가 대부분 꺼려지는 이유로 가끔 나오던 이야기입니다. 누구나 수용적인 시점으로 예기할수는 없겠다만 개인적으로 완전히 배척 당하는것이 초래할 일이 저는 두렵습니다. 제가 PC를 빌미삼아 비판을 차단하는 행위등에서 PC에 부정적인 시선을 가지고는 있다만 동시에 그것에 감정적으로 대응되는 댓글이나 제대로 된 비판없이 공포한듯 꺼려하고 회피만 하고 있는 모습을 볼때마다 개인적으로 두려워하는 부분입니다. 결국 PC랑 마찬가지로 단순히 상대를 적으로 보고 다양성이나 비슷한 코드를 문화적으로 꺼려하고 배척한다면 결국 이것이 비판하는 PC랑 다를것이 무엇이나요.

  • @user-nt7xr3ch6f
    @user-nt7xr3ch6f27 күн бұрын

    디즈니가 주토피아에서 보여줬던 PC에 대한 시각은 상당히 공감가고 인상깊었는데 최근 몇년간의 행보를 보면 상당히 일차원적이고 양산형 주입식 영상 느낌이라 아쉽긴합니다.😢

  • @user-go9fp9zg9i
    @user-go9fp9zg9iАй бұрын

    아니 차라리 노력없는 성공에는 남는 것이 없다라는 주제로 주인공을 설정했다면 차라리 대립구도라도 생길거 같은데 이건 뭐...아쉬울 따름

  • @pup5355
    @pup5355Ай бұрын

    아니.. 저런 유토피아작 나라(월세가없는)에 불만을 가지다니.. 계속됀 호의를 권리로 받아들이면 어떡해돼는지 잘 보여주는 교훈적영화네;;;

  • @user-yr4hl8xn8t

    @user-yr4hl8xn8t

    Ай бұрын

    호이가 계속되면 둘리인줄 암ㅋㅋ

  • @user-emiya_kookejja
    @user-emiya_kookejjaАй бұрын

    ㄹㅇ 성인들은 무시하면 되는데 애들이 이런거 보고 이상한 사상에 젖을까봐 겁남. 모태 PC 너무 무섭다..

  • @user-so7lp8ge7j

    @user-so7lp8ge7j

    Ай бұрын

    이상한건 느그 불편충들이고ㅋ

  • @chaos6420

    @chaos6420

    Ай бұрын

    ​​@@user-so7lp8ge7j 사람에게 충 이라는 표현 쓰지 마세요.

  • @you_suck_bitch

    @you_suck_bitch

    Ай бұрын

    ​@@user-so7lp8ge7j 캣맘 평균 ㅋㅋ

  • @skorpion1168

    @skorpion1168

    Ай бұрын

    ​@@user-so7lp8ge7j님은 시비충인듯

  • @user-zv9py8gk6j
    @user-zv9py8gk6jАй бұрын

    보면서 든 생각들을 얘기해줘서 시원하네여

  • @user-zv9py8gk6j

    @user-zv9py8gk6j

    Ай бұрын

    그저 G.O.A.T. 매그니피토

  • @user-mr8fj2jn4m
    @user-mr8fj2jn4mАй бұрын

    정작 이런 PC 부류는 동양인은 절대 옹호하지 않는다는 게 함정

  • @sean7082

    @sean7082

    Ай бұрын

    일본에서 위시가 나름 인기 있었음. 그런데 주인공은 인기 없고 매그니피코 팬아트만 올라옴.

  • @user-md4kh2ef7k

    @user-md4kh2ef7k

    Ай бұрын

    @@sean7082 일본사회가 제일 극혐하는 존재가 주인공 같은 인간이라 ㅋㅋㅋ 문제는 진짜 합리적이고 제대로 된 말을 해도 이지메와 사회적 죽음으로 병신 만들어 놓는게 문제

  • @Demacia365

    @Demacia365

    Ай бұрын

    애니캐들 빼고

  • @user-mu2rg7lp2k

    @user-mu2rg7lp2k

    Ай бұрын

    @@user-md4kh2ef7k 일본은 너무 반항을 안해서 문제

  • @dsads4187
    @dsads4187Ай бұрын

    노력은 하지않고 그냥 소원이루어준다는데 자기 가족이 소원이 안일어준다고 왕을 패위하는 국가

  • @user-cu6ui1hf6v

    @user-cu6ui1hf6v

    Ай бұрын

    돈도 안내고 노동력을 받치는거도 아니고 자기 권력을 마음대로 휘둘러 사람들을 탄압하는 것도 아니고 사람들의 소원을 강제적으로 뺏어가는 것도 아닌데 자기가족 소원이 위험할 수 있다고 안들어주는거 하나때매 악역이다?

  • @ohohohohio

    @ohohohohio

    Ай бұрын

    지들이 생각없이 산게 왕탓이냐. 쉬불놈들 전하를 석방하라

  • @user-dd1uc3dx2b

    @user-dd1uc3dx2b

    Ай бұрын

    패위x 폐위o

  • @taraxacumplatycarpumdahlst5380
    @taraxacumplatycarpumdahlst5380Ай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

  • @tpdnb4me
    @tpdnb4meАй бұрын

    적당히 해야지ㅋㅋ 이건 디즈니가 멍청한건지 반반PC든 두번 꼬아서 낸건지 어느쪽이든 말이 안되는데대상 연령 고려하면 그냥 멍청한데다가 이상한 메시지를 담으려 하니까 이런 쓰레기가 나오는거임

  • @user-ik3nw9on6s
    @user-ik3nw9on6sАй бұрын

    PC로 매출 엿박았다고 성토했다면서 아직도 이러는거임? 그전에 만들어놓은건가?

  • @onelight5720

    @onelight5720

    Ай бұрын

    당연히 전에 만든거죠.이미 그때 이 작품은 마케팅 거하게 하고있었음.

  • @gurihaa5339

    @gurihaa5339

    Ай бұрын

    아직도 만들어놓은거 꽤 있는걸로 암

  • @MisonoMikaS2

    @MisonoMikaS2

    Ай бұрын

    ㅇㅇ 그말하기전에 개봉한게 위시인걸로 알고 아직 더 남았음 손해를 조금이라도 줄일려고 만든건 내보낼꺼임

  • @meosseug

    @meosseug

    Ай бұрын

    보통 극장용 애니나 영화 만드는데 1년 정도 걸리고 저 애니는 23년에 미국에서 개봉함. 즉 한창 PC 마케팅 하던 21~22년도에 기획 제작한거고 PC로 매출이 내려가는 23년에 제작비 일부 회수라도 할려고 개봉한거고

  • @user-handdle
    @user-handdleАй бұрын

    pc의 문제점은 무분별하게 판단기준을 개인화한다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시작 부분부터, '누구보다 소원을 이룰 가치가 있는 사람' 에 대한 '개인적 판단' 을 하는 모습을 비춰주는 모습이 참 씁쓸하네요. 물론 판단기준이 개인이 아닌 집단, 집단보다 규칙에 있기만 한 것도 옳지 않을지도 모르나 어떤 판단기준이 '어쩔 수 없이 개인적' 일 수 밖에 없는 것처럼 어떤 판단기준은 '어쩔 수 없이 규칙적' 일 수 밖에 없어야 합니다. 그리고 대안우파가 규칙에 매몰되어 개인적 판단기준을 자신들만의 규칙에 밀어넣는 차별을 행하고 있다면 pc는, '개인' 에 매몰되어 규칙적인, 혹은 집단적인 판단기준을 개인으로 해체하는 차별을 행하고 있어 보입니다.

  • @user-handdle

    @user-handdle

    Ай бұрын

    저는 계속해서 68운동이, 그리고 그로 인해 촉발된 포스트모더니즘적 세계관이 과연 지금과 같은 크기였어야 하는지 계속해서 의문이 듭니다. 물론 68운동은 독일의 나치청산을 더욱 확실히 하였으며 (그 이전까지 독일은 나치에 대해서도 미온적으로 나섰다고 합니다. 68운동이 계기가 되어 나치에 대한 청산이 뚜렷해졌다고 하죠.) 그 외에도 세상의 어젠다? 시대정신을 변화시켰음에는 이견이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이 지점에서 한가지 의문점을 가질 수 있어야 합니다. 68운동은 '프랑스' 에서 촉발되었다는 사실을요. 68운동이 가지고 있는 성질이, 포스트모더니즘이 가지고 있는 성질이,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이 학문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는 pc주의가 가지고 있는 성질이 '개인주의적인 이기심과 규칙에 대한 반발' 이라는 특징이 정말 좋게만 돌아갈 물건이었다면 독일이 아닌 프랑스는 최소한 독일만큼은 과거사 청산을 했었어야 합니다. 현실은 어떨까요.

  • @user-handdle

    @user-handdle

    Ай бұрын

    개인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과 pc의 숭배는, 심지어 '공산주의' 진영에서도 학을 뗍니다. 물론 그것이 구시대적인 혁명론이고, 실현될 수 없는 이상주의의 또 다른 한 축이라는데서 또한 공감할 수는 없으나 자본에 대한 노동의 저항이 실현되어야 하는 그들의 입장에서 '노동' 을 개인으로 해체하는것도 모자라 '마르크스 주의를 자임하면서 마르크스주의를 해체' 하는 pc주의자들,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의 태도가 얼마나 고깝겠습니까? 그들은 그들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욕, '자본주의의 개' 라는 표현까지 불사하며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을 공격합니다. 그들이 마르크스스주의를 자칭하고 있는데도 말입니다. 저는 감히 이렇게 평가합니다. 68운동은 실패했다. 위시에서 아샤가 말하는 것은 또 다른 68운동의 부흥을 원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은 실현될 수 없고, 실현되어서도 안될 뿐더러, 그 이유는 실현되어도 또 다른 68운동의 재림일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68운동은 세상을 바꾸었지만, 그것은 규칙과 희망, 견고한 무언가, 기대어 바라볼 수 있는 버팀목을 제물로 바친 것에 불과했습니다. 사람들은 개인들로 쪼개졌고, 자본의 횡포를 막을 이들은 개인주의로 흩어져버렸으며, 그 상황에서조차 '모두가 행복한' 같은 허황된 이기심의 말로만을 노래할 뿐입니다. 종합적으로, 68운동은 실패했습니다. 그것은 성공했다고 말하기에는 서구권을 너무나도 몽매주의적인 환경으로 가라앉혀 버렸습니다.

  • @Littlewings_P

    @Littlewings_P

    Ай бұрын

    PC에 대해 전혀 모르시네 ㅋ 개인과 집단으로 초점을 맞춰서 생각하시니깐 거기에 맞춰서 얘기하자면 PC자체가 집단을 위해 개개인의 가치관 또는 이해관계 정돈 쉽게 희생되어도 괜찮다는 사상입니다. 개인에 매몰되어 집단적인 판단기준을 개인으로 해체한다?? 현대 자유민주주의, 즉 개인주의의 문명을 살고 있는 사회에서 이게 도데체 어떻게 성립이 되는지도 모르겟지만 이말은 거의 전체주의를 옹호하는 말과도 같습니다 PC의 본질은 모른체 겉으로 보이는것만으로 너무 자기 가치관에 유리한 방향대로만 해석하려고 하시는거 같네요

  • @user-handdle

    @user-handdle

    Ай бұрын

    @@Littlewings_P The Truth vs My Truth 논쟁만 봐도 Pc주의는 집단을 개인으로 해체하는 사상이 맞습니다. pc 사상의 이론적 근거를 대주는 포스트모더니즘은 찐 맑스주의자들에겐 '맑스주의를 자임하며 맑스주의를 해체한다' 라는 이야기까지 하게 만들 정도로 극혐 대상이 되어 있고요. 뭘 모르긴요.

  • @blackdragonangrycat

    @blackdragonangrycat

    Ай бұрын

    구좌파(정통 마르크스주의, 주류 아나키스트)들은 PC주의를 계급투쟁의 커다란 목적을 망실하고 자본 권력이 지배한 현대 사회에서 장기적 투쟁이란 고통 없이 아주 조금 더 나아진 사회만을 갈망하며 그것에 만족하고 안주 해버린 지식인들의 배부른 기만이라 생각하죠.

  • @ganny531
    @ganny531Ай бұрын

    그니까 이제 한달에 한번이라도 소원을 이뤄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나라에서 내힘으로 극복해내야하는 나라가 된건데 다들 행복해졌다는건가...? ㅋㅋㅋㅋ 저 나라에 사는 이유가 소원로또인건데 주인공이 이기적인게 맞다

  • @user-dr4lc5ri3t
    @user-dr4lc5ri3tАй бұрын

    혈통으로 물려받은 왕위도 아니고 왕국을 혼자의 힘으로 세워 유지하는 위대한 창업 군주의 능력을 보고 모여든 사람중 한명이면서 니가 몬데 ㅋㅋㅋ 진짜 디즈니의 스토리텔링 능력은 주토피아 이후로 갖다 꼴아 박아버린듯하다

  • @khj5798
    @khj5798Ай бұрын

    이 사람들은 사회를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도, 사회의 역학 내지 작동방식에는 경악스러울 만큼 무관심하기 일쑤입니다. 자신들이 바로 살아있는 진리인데, 남들이 어떻게 생각하든 그게 무슨 상관이겠습니까. 그래서 서로 다른 이념들이 충돌해 벌어지는 문제를 가져오면 대답을 하는 대신 흘려넘기거나 도망쳐 버립니다. 그러니 생각의 깊이도 얄팍해질 수 밖에.

  • @Hanla99

    @Hanla99

    Ай бұрын

    이 댓글 보고 많은 생각을 했어요 감사합니당

  • @user-rd5zm7yx2v

    @user-rd5zm7yx2v

    Ай бұрын

    핵심을 관통하는 말이네요 바꾸자고 말하면서 사회가 작동하는 방식은 무관심하다는 말이 정말 와닿습니다

  • @MulTisssssu_Desu
    @MulTisssssu_DesuАй бұрын

    그저 국민들에게 고맙다는 이야기를 듣고 싶었을 뿐인 대황 매그니피코좌… 마법이라는 대체불가 요소를 통해서 소시민과 위험요소를 조작없이 정확히 분리해낸 대황 매그니피코좌… 자신의 힘을 믿고 국민들에게 모든 배려를 행한 매그니피코좌… 23분 영상에서 그 존안을 뵈었으나 그립읍니다… 다음 생에서는 올바른 곳에서 모두를 도우시길…

  • @Udhdnejcjiowshxyxhwhfci

    @Udhdnejcjiowshxyxhwhfci

    26 күн бұрын

    메그니피코 그립읍니다 ㅠㅠ

  • @aanjfhgkwl
    @aanjfhgkwlАй бұрын

    차라리 아샤가 메그니피코한테 빌어서 할아버지 소원이 이뤄졌는데 그 노래때문에 폭동이 일어나서 왕이랑 아샤가 해결하는 스토리가 더 재밌겠네

  • @curoyoma
    @curoyomaАй бұрын

    이 애니메이션은 정말 독특하네요. 권악징선 악당이 주인공이라니...

  • @Ricetrich
    @RicetrichАй бұрын

    아무리 생각해도 '소원으로 세워진 마법의 왕국'이라는 좋은 컨셉이 이미 있었는데 모종의 이유로 안 쓰이다가, 100주년 기념으로 선택되어지고 나서 거기에 공급만 있는 취향인 반체제 PC주의가 곁들여진거 같은 기분이 드네요.

  • @user-ug3px1li5e

    @user-ug3px1li5e

    Ай бұрын

    오 이게 맞다!! 정확하다!

  • @user-lm7jy9uk4l
    @user-lm7jy9uk4lАй бұрын

    매그니피코의 사상이나 행동을 초반엔 어느정도 이해가 가는 꽤 철학적인 빌런으로 묘사하다가 얘를 어떻게든 주인공과 강제적으로 대립시키려 하다보니 1차원적 악당으로 점점 변해가는게 너무 아까웠음

  • @DirectorSangHoonLim
    @DirectorSangHoonLimАй бұрын

    영화를 보면서는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모두의 소원이 이루어질 것같은 내용으로 억지로 전개시키는데, 제작진들은 소원에도 상극이 있다는 생각을 전혀 안한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자신의 불로불사의 존재로 만들어달라고 빈다고 칩시다. 근데 동시에 B가 그사림을 죽여달라는 소원을 빌 수도 있겠죠. 그럼 이 두가지는 철저하게 상극입니다. 둘 중 하나만 성립될 수 있죠. 이게 어떻게 다 이뤄질 수 있나요? A가 하루종일 죽다살다 반복해야 하나요?

  • @user-hl8ec1vd1
    @user-hl8ec1vd1Ай бұрын

    나는 디즈니 100주년+제목 위시길래 그동안 디즈니 작품 오마주 들어가면서 에피소드마다 소원을 이뤄주는 가슴 따뜻하고 훈훈한 애니메이션 기대했는데… 그냥 쓰레기 하나를 내놨네… 진부한 흑백논리+무논리 pc주의가 아니라 그동안의 디즈니를 추억하는 것 만으로도 훌륭한 작품이 나왔을텐데

  • @davidowen423
    @davidowen423Ай бұрын

    PC에 대한 모습 그대로 보여줬네요 ㅎㅎ 논리 없이 떼쓰기, 본인이 싫어도 정치적으로 이용하기, 나에게 유리한게 곧 공정한 것이다 등등 ㅎㅎㅎ

  • @bbackbut
    @bbackbutАй бұрын

    이 영화때문에 다시 한 번 떠올랐는데 다크앤타커 사태가 터졌을때 넥슨이 피해자인게 확실했음에도 불구하고 해외에서는 아이언메이슨의 편을 들어줬음, 그저 거대한게 악이고 작은게 선이라고 구분지어 버렸던게 이 영화랑 찰떡같네요...

  • @user-md4kh2ef7k

    @user-md4kh2ef7k

    Ай бұрын

    근데 넥슨이 요즘 어떤 일로 구설수에 올랐는지 보면 세상은 피카레스크 물이라는 걸 알수 있다는게 아이러니

  • @user-mu2rg7lp2k

    @user-mu2rg7lp2k

    Ай бұрын

    @@user-md4kh2ef7k 정신 못차리고 또 ‘메이플’ 해버림 뿌리 사태때 시민단체들이 아샤마냥 지들끼리 연대하고 지랄해서 넥슨이 불쌍하다고 생각했는데 이번엔 지들이 지랄함ㅋㅋ 모든 집단에는 명과 암이 분명하다는걸 알게 해주는 사태였음

  • @mtmo5261
    @mtmo5261Ай бұрын

    현재 미국은 PC주의가 의무적입니다. 필수이자 사회에서 암묵적으로 실천해야 될 노블레스 오블리주 같은 느낌 그래서 반강제로 사회적 지휘높은 사람이 사회의 눈치보며 할 수 밖에 없죠.

  • @Silpry
    @SilpryАй бұрын

    거꾸로 생각하면 디즈니의 또다른 큰 그림일수도 있죠. 항상 볼때마다 "어때? PC가 이렇게 해롭단다"를 가장 잘 보여주는 회사가 아닌가 싶어요 ㅋㅋ 회사의 손해까지 감당하면서 PC의 부정적인 면들을 끊임없이 보여주는 아낌없는 나무...

  • @dhkang7939
    @dhkang7939Ай бұрын

    WISH 내용 리뷰 감사합니다. 요즘 디즈니 PC의 대한 내용에 대해서 이렇게까지 깐깐하게 봐야 하냐는 물음이 동일하게 드는데요. 정말 내 아이들이 저런 병신같은 PC주의를 보면서 사회적 통념에 반하는 잘못된 개념을 얻는 다는 것부터가 가장 큰 걱정입니다. 만약 아이들이 잘못된 소원을 빌었을 때 그것이 남을 해칠 수 있기 때문에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을 애니를 통해서 배워야 할텐데 오히려 내 소원은 소중해 라는 한 문장에 꼿혀 남을 원망하게 되는 상황이 이루어지는건 아닐까 걱정이 되네요 ㅠㅠ

  • @jiminhan4333

    @jiminhan4333

    Ай бұрын

    예전에는 주토피아를 유쾌하고 즐겁게 봤었는데, 지금 분위기에서는 설령 주토피아가 지금 나왔다고 해도 깐깐하게 '저거 무슨 의도를 담은거지?' 하면서 보게 될 거 같습니다. 이게 결코 좋은 태도가 아닌데 말이죠....

  • @dhkang7939

    @dhkang7939

    Ай бұрын

    @@jiminhan4333 정말 공감합니다

  • @IRHG

    @IRHG

    Ай бұрын

    pc 담는답시고 plot

  • @user-pd9wi5zm1h
    @user-pd9wi5zm1hАй бұрын

    14:38 가면라이더 기츠라고 해서 작년 정도에 나온 소원,욕망,경쟁을 주제로 한 가면라이더가 있는데,여기서 탈락해서 소원을 잃은 라이더는 그 소원을 아예 잃고 무력해지는 묘사가 있었음. 그런데 여기랑 비슷하면서도 그전 빌드업이 제대로 되있어서 더 처참하게 느껴지는 그런 장면이었음 잘 빌드업만 하면 저런 묘사도 좋아지는데......

  • @user-lw8ul2ux2x

    @user-lw8ul2ux2x

    Ай бұрын

    그 작품은 진짜 괜찮은게 처음에는 소원을 남에게 이뤄주는 시스템로 이루는데 나중에는 의존하지 않고 인물 자신이 이뤄나감. 소원이란 소재를 다루는거에 있어서 이 작품이랑 비교가 안되지.

  • @user-pd9wi5zm1h

    @user-pd9wi5zm1h

    Ай бұрын

    @@user-lw8ul2ux2x ㄹㅇ

  • @AIM7Sparrow

    @AIM7Sparrow

    Ай бұрын

    젠장 또 가면라이더야 없는게 없어

  • @moonjaein0124

    @moonjaein0124

    Ай бұрын

    젠장 또 기츠야 난 에이스를 숭베해야만 해

  • @user-pd9wi5zm1h

    @user-pd9wi5zm1h

    Ай бұрын

    @@user-lw8ul2ux2x ㄹㅇㅋㅋ

  • @TheMdigi
    @TheMdigiАй бұрын

    보면서 왜 망한지 알겠더라고요 영화가 설득력이 1도 없음 또 하나 마블영화에서 보던 여자니까 그냥 강하다를 여기에도 적용시켜버림 너무 익숙한 똥맛이야..

  • @velissa810
    @velissa810Ай бұрын

    초반에 주인공이 할아버지 소원 들어달라고 다짜고짜 면접자리(!)에서 왕에게 떼쓰는거 보고 바로 껐습니다. 같이 보던 신랑도 그래픽도 이상하고 스토리 저질이라고 욕 나올 것 같다 하더군요. 훗날 아이가 생기더라도 디즈니는 안 보여줄 것 같습니다. 여주마냥 자기 생각만 중요하고 타인은 안중에도 없는 뜬구름만 잡는 쓰레기같은 사상을 은연중에 주입시키게 될까봐 무섭네요. 디즈니 참 좋아했는데...이제 나락인건가..

  • @nudagiPP
    @nudagiPPАй бұрын

    애들한테 노력을 부정하고 떼쓰기와 감정으로 해결하는 걸 가르치기 위한 작품 심지어 100주년 기념으로.

  • @ROK.Wakanda
    @ROK.WakandaАй бұрын

    이게 진정한 PC주의지ㅋㅋ 빌런을 주인공으로 만드는 디즈니 한잔해~

  • @wj8814
    @wj8814Ай бұрын

    레딧에서는 ai로 스토리를 만들었다는 썰이 있습니다 ㅋㅋ

  • @yyyyyyyaaa
    @yyyyyyyaaaАй бұрын

    와 요약편 10분만 들었는데 뒤가 안 궁금하다...ㅋㅋㅋㅋㅋㅋㅋㅋ

  • @youdong00
    @youdong00Ай бұрын

    Pc주의는 진짜 자기 객관화의 부재와 자기중심주의 끝판왕인듯 사회의 아무런 도움도 안되고 어떤 기여도 하지 않는 자신들이 다른 사람들만큼, 아니 그 이상을 존중받아야 하는것은 그냥 자신이기 때문일 뿐이고 만약 자신의 마음대로 일이 흘러가지 않는다 싶으면 감정에 호소하면서 말도안되는 소리를 하기 시작함

  • @user-qi5hx6dd2e

    @user-qi5hx6dd2e

    Ай бұрын

    자기객관화가 부족한 사람들이 진짜 차고 넘칠정도로 많지

  • @user-dv6uu1rf1p

    @user-dv6uu1rf1p

    Ай бұрын

    페미니즘이 딱 그런 부류죠

  • @YUN-dv8ks
    @YUN-dv8ksАй бұрын

    전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매우 좋아하는데, 차라리 왕이 전형적인 빌런이었으면 더 재미있게 봤을 것 같네요. 빌런이 애매하니, 주인공도 애매하고, 죄 다 애매한 결말을 향해 달려가더군요.

  • @STAR-xg3wq

    @STAR-xg3wq

    Ай бұрын

    솔직히 이건 주인공이 빌런이라 주인공만 없었으면 왕도 흑화할 이유가 없었응

  • @mehua00
    @mehua00Ай бұрын

    지극히 아이의 사고를 바탕으로 진행되는 것 같아요 내 말 안 들어준다고 떼쓰고 왕과는 소통이 안 될 거라며 멋대로 판단하고 행동하고.. 그래서 아이들은 감동적이었다는 평을 남기고 어른들은 이해가 안 된다는 평을 하게 되는 게 아닐까 싶네요

  • @monsterkim1115
    @monsterkim1115Ай бұрын

    디즈니 빌런들 최후는 추락사가 클리셰인데, 매그니피코님은 추락사를 안하셨으니 절대로 빌런이 아닙니다

  • @M4skedBoi
    @M4skedBoiАй бұрын

    오히려 뮤지컬 애니메이션으로서는 인디 애니메이션인 해즈빈 호텔이 더 나았음 ㅋㅋ 심지어는 해즈빈 호텔도 PC가 적절히 들어간 작품임 ㅋㅋ

  • @user-vz4he8qh1j

    @user-vz4he8qh1j

    Ай бұрын

    잘 만든 인디 애니, 대기업 애니 안부럽다.

  • @M4skedBoi

    @M4skedBoi

    Ай бұрын

    @@user-vz4he8qh1j ㄹㅇ 요즘 머기업은 픽사 정도만 좀 기대된달까나 오히려 인디 애니메이션이 작품성, 창의성, 오락성에선 훨씬 뛰어남

  • @hk2900

    @hk2900

    Ай бұрын

    ​@@M4skedBoi같은데서 만든 헬루바 보스만 해도 주인공이 남자랑 해대고 게이들이 많이 나오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