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분토론] '학생부 갑질' 이라고?!

‘정시 확대’ 논란, 무엇이 공정한가
출연패널
강성태 / 공신닷컴 대표
김태훈 /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부위원장
이 현 / 우리교육연구소 대표
전경원 / 전교조 참교육연구소장
(가나다순)
2019년 11월 5일 100분토론 849회
풀버전 보기
playvod.imbc.com/Vod/VodPlay?b...

Пікірлер: 3 900

  • @MBC100
    @MBC1004 жыл бұрын

    ▼풀버전다시보기▼ playvod.imbc.com/Vod/VodPlay?broadcastId=1000842101182100000

  • @ddaz1125

    @ddaz1125

    4 жыл бұрын

    전교조 현실을 하나도 모름 반대로 이야기 하네 ㅋㅋㅋㅋ

  • @9wins

    @9wins

    Жыл бұрын

    그냥 교사들을 3년에한번씩 전국적으로 뺑뺑이돌려 그래야 고교서열화가사라지지 선생들도 경쟁될거고 똥통선생들이 학구열좋은학교가봐라 바로 털리고 사직할듯ㅋㅋ

  • @mswkorea
    @mswkorea4 жыл бұрын

    임용고시를 수시로 한다고 해바라 교사들이 뒤집어진다

  • @user-cu3ic1np7b

    @user-cu3ic1np7b

    4 жыл бұрын

    ㅋㅋ인정

  • @mswkorea

    @mswkorea

    4 жыл бұрын

    @@user-cu3ic1np7b 교수가 학종 쥐고 있고ㅋㅋㅋㅋㅋㅋ 4년공부해서 10분만에 임용 탈락ㅋㅋㅋㅋㅋㅋ

  • @user-pj8vk1wz2z

    @user-pj8vk1wz2z

    4 жыл бұрын

    공무원시험도 수시로 하자 그럼

  • @user-jp2bi8uk4h

    @user-jp2bi8uk4h

    4 жыл бұрын

    그렇게 합시다,,임용고시도 수시로 ..쌈박하고도 기똥찹니다

  • @waterexisting9651

    @waterexisting9651

    4 жыл бұрын

    캬 명쾌하다 ㅋㅋㅋㅋ

  • @DossMon
    @DossMon4 жыл бұрын

    우리 수학선생님이 학생한테 하는 입버릇같은 말이 '그렇게하면 아무것도 안써줄거야 알아서해' 입니다. 들을때마다 정말 ㅈ같아요.

  • @mm-lt3ir

    @mm-lt3ir

    4 жыл бұрын

    와 공감가네요

  • @passj8640

    @passj8640

    4 жыл бұрын

    본인 행실도 생각해보는게 ㅋㅋ 아.. 물론 저도 정시러 ㅎㅎ

  • @youtubeDwellEyday

    @youtubeDwellEyday

    4 жыл бұрын

    l 치프 l 관련된 내용으로 성적 좋은 애들만 신경써서 써주는 경우도 많음

  • @user-mj4ex6kh6r

    @user-mj4ex6kh6r

    4 жыл бұрын

    이거 진짜 맘에 안듬

  • @user-ob9nb1eb2y

    @user-ob9nb1eb2y

    4 жыл бұрын

    진짜 시발 생기부로 협박하는거 개때리고싶다

  • @user-rg5wm5wu3i
    @user-rg5wm5wu3i4 жыл бұрын

    강남에서 5천만원들여도 서울대못가고 시골에서 이투스 23만원 프리패스끊어서 공부하는 학생이 서울대 가는게 이것이 정시다 대역전이 가능한 공평한시험

  • @user-qg8xs8ef5y
    @user-qg8xs8ef5y3 жыл бұрын

    정시파 패널 : 상대방의 주장을 사고를 통한 논리를 바탕으로 반박 수시파 패널 : 준비해온 자료를 바탕으로 암기해서 주장

  • @user-cj3wr5jw7n

    @user-cj3wr5jw7n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않이 이 댓글이 왜 묻혀있지 올라가세요

  • @acacia1754

    @acacia1754

    2 жыл бұрын

    @@user-cj3wr5jw7n 아니.. 않이는 뭐지??

  • @durup03

    @durup03

    2 жыл бұрын

    @@acacia1754 드립이잖아;;

  • @care1004

    @care1004

    2 жыл бұрын

    심지어 수시파 자료도 억지스러움

  • @acacia1754

    @acacia1754

    2 жыл бұрын

    @@durup03 저게 드립이라고? 알려줘 무슨 드립인지

  • @minmin365Go
    @minmin365Go4 жыл бұрын

    학교가 좋아졌다고 왜 선생들 입에서 나오냐 학생들 입에서는 그지같다는 말만 나오는데

  • @user-sh5zg5kl5x

    @user-sh5zg5kl5x

    4 жыл бұрын

    인정합니다.

  • @sunj4936

    @sunj4936

    4 жыл бұрын

    핵 인정

  • @20111261

    @20111261

    4 жыл бұрын

    그건 인정 교사들이 뭔데 좋다고 정하는거지?

  • @user-em2kh1md2u

    @user-em2kh1md2u

    4 жыл бұрын

    학생이 지들인줄 알고있나봄 븅신임

  • @mineul410

    @mineul410

    4 жыл бұрын

    공감

  • @user-ck8zw8yi1p
    @user-ck8zw8yi1p4 жыл бұрын

    정시는 돈 쏟아부어도 안될 놈 안됨. 수시는 돈 쏟아부으면 다 되고도 남음.

  • @wjy7843

    @wjy7843

    4 жыл бұрын

    ㅇㅈ 학종없던 시절에는 돈만으로는 죽어도 안됨 부모님 부장판사에 부장검사여도 같은 반친구들 대학도 못갔음 나는 걍 학교수업만듣고 인서울했는데 2010년도에는. 지금이면 돈쳐발라서 인서울 학종 프리패스지. 사립이여서 그 친구들 선생들이 짜고 내신도 좋게 줬는데 수능서 박살남

  • @user-ck8zw8yi1p

    @user-ck8zw8yi1p

    4 жыл бұрын

    @@wjy7843 맞아요 대치동도 사교육 고액과외 쳐발라도 스스로 공부 안하면 정시는 안됩니다. 학종, 내신은 돈으로 비리 충분히 생길수 있죠.

  • @kim-ql2is

    @kim-ql2is

    4 жыл бұрын

    90년도에도 외국 유학보냈다 서울에있는 대학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있었음. 대신 그땐 스카이는 어려웠는데 지금은 그게 쉬워졌다는거다. 문제가 있는거다

  • @youtubeDwellEyday

    @youtubeDwellEyday

    4 жыл бұрын

    인트로에 나오는 정시는 돈많은집 부모들이 해줄 수 있는게 비싼 사교육밖에 없다는 말이 진짜 ㄹㅇ;;;; 학종은 오만가지 방법으로 돈쳐발라서 갈수있음

  • @user-ix4ig5cp5c

    @user-ix4ig5cp5c

    4 жыл бұрын

    정시가 진짜 실력이다. 비리든 뭐든 6과목에서 등급이, 점수가 각각 나온다. 좁은 문이라도 이게 진짜 역량이라고 본다.

  • @user-mb8ye3kb5x
    @user-mb8ye3kb5x3 жыл бұрын

    정시가 공정한 이유가 부모가 해줄 수 있는게 비싼 사교육 시켜주는 것 뿐이기 때문에라.... 감명 깊었습니다 ㅠㅠ

  • @Insiljot

    @Insiljot

    3 жыл бұрын

    진짜 전교조들이 무슨말을 씨부려도 저거 하나면 정리가능

  • @user-ru5ct7fq8l

    @user-ru5ct7fq8l

    3 жыл бұрын

    박정희도 박근혜 서울대 못 보냄. 이건희도 이재용 재수하는거 못 막아줌. 이거 두개면 모든 반론 정리 가능. 권력이 아무리 막강하고 돈이 아무리 많아도 학생이 능력 안되고 본인 스스로 안하면 원하는 곳 못 들어감.

  • @anfwoijwej1742

    @anfwoijwej1742

    2 жыл бұрын

    현대그룹 창업자 정주영도 정몽준 한명 서울대 보내고 엄청 기뻐했다고 정몽준 빼고 나머지 형제들 전부 서울대 못감.

  • @user-tx2nu6wt1p

    @user-tx2nu6wt1p

    9 ай бұрын

    @@user-ru5ct7fq8l 이야~~그런 일이 있었군요 ~ 그런데 전교조는 왜 정시를 까기만 할까?

  • @user-ru4po8ci9b
    @user-ru4po8ci9b3 жыл бұрын

    02:13 이번 토론은 이걸로 정리됌

  • @destiny1004s
    @destiny1004s4 жыл бұрын

    ㄹㅇ 박정희가 박근혜 서울대 못보낸거 보면 빼박 정시가 공평한거다.

  • @user-fyvyfvrscyu

    @user-fyvyfvrscyu

    3 жыл бұрын

    와ㅅㅂ ㄹㅇ이다

  • @user-ru5ct7fq8l

    @user-ru5ct7fq8l

    3 жыл бұрын

    이재용도 재수하고 결국 경영학과나 경제 학과 같은 본인 커리어에 도움 될만한 메이져 전공 못 갔음. 정시 제도 하에선 돈 많다고 돈쳐발라서 해줄 수 있는게 한계가 있다는 명백한 증거지. 이미 그 시절에도 국내 재계 3손가락안에 넉넉하게 들어가던 삼성가 재벌도 못해 주는거 일반적인 가정이 돈 좀 있다고 뭔 수로 해줌.

  • @user-eq5re3kb7s

    @user-eq5re3kb7s

    3 жыл бұрын

    @@user-ru5ct7fq8l 이재용은 안간거아님?

  • @user-ru5ct7fq8l

    @user-ru5ct7fq8l

    3 жыл бұрын

    @@user-eq5re3kb7s 재수해서 서울대 동양사학과 나왔는데 나중에 경영학으로 석박사 땄음. 굳이 학사만 일부러 동양사학과 나올 이유가 없죠. 경영 생각 없었던 것도 아니고요

  • @whattheheckishandle

    @whattheheckishandle

    3 жыл бұрын

    @@user-ru5ct7fq8l 그건 삼성가에서는 경영학은 학사때하지말고 인문학을 배우라는 이병철 창업주의 마인드때문이라고하네여

  • @user-zj5vz1lm1t
    @user-zj5vz1lm1t4 жыл бұрын

    가슴에 손을 얹고 말을 해라. 학교 선생님들이 수행평가에 그렇게 많은 정성을 쏟는지 처음 알았네요 ㅋㅋ

  • @user-jo6ho8gp2m

    @user-jo6ho8gp2m

    4 жыл бұрын

    이게 정답. 수행평가도 매년 똑같음

  • @highmusi933

    @highmusi933

    4 жыл бұрын

    모든 이들이, 12년동안 각 1명의 담임 선생님들을 만나고, 각 과목 평균 2년을 함께할 것이다. 내가 만나는 선생님이 대한민국 전체의 교사인 양 생각하는 것은, 성인이 되어서도 성급한 일반화를 하고있음을 자각하지 못함인가?; + 수행평가를 통해 학생들이 무엇을 경험하게 될 지, 어떤 자료가 더 학생들의 성장과 발달에 유익한지 연구하는 많은 선생님도 많이 있음을, 내가 경험하지 못했다면 없는 것이라는 착각에서 벗어나길...

  • @user-xk4cw8yj9i

    @user-xk4cw8yj9i

    4 жыл бұрын

    진짜 수행평가에 그렇게 정성을 쏟냨ㅋ 내가 다녔던 학교는 국어 : 모둠 비문학 풀기 수학 : 확통 문제풀기 영어 ; 단어 외우기 영어 듣기 사회 : 명언 만들기 과학 : 실험하기 대부분 이렇던데..ㅎㅎ

  • @hjj670

    @hjj670

    4 жыл бұрын

    케바케이겠지만 수행평가로서 학생의 능력 하나하나를 평가하는 건 어렵겠죠. 다만 조별활동이라면 대입전에 미리 타인과 협동하는 방법, 또 그런 평가를 꾸준히 미리미리 준비하는 성실성의 대략적인 틀을 볼 수 있지 않을까요?

  • @user-xk4cw8yj9i

    @user-xk4cw8yj9i

    4 жыл бұрын

    @@hjj670 그것 또한 말이 안되는게 모둠활동이라고 하나부터 다하는 아이하고 모둠내에서도 아무것도 안하는 아이하고 같은 점수를 준다는것도 불공평해요

  • @user-yx1nw5yo2m
    @user-yx1nw5yo2m3 жыл бұрын

    우리 일본어쌤 가관이던데 '내가 너네 좋은 대학은 못보내도 학종 쓰는애들 대학못가게는 할수있어 잘들하자'이지랄하던데

  • @user-th5uw2rl3m

    @user-th5uw2rl3m

    3 жыл бұрын

    미친 ㅋㅋ

  • @user-yk1zb9rp4t

    @user-yk1zb9rp4t

    3 жыл бұрын

    진짜 제가 복붙해서 댓글 쓰는 거 싫어하는데 이것만 할께요.여기에 있는 분들 모두 청와대 국민청원 가서 정시확대에 대해 논리적으로 설명해서 청원글을 올리거나 그러한 내용의 글에 동의하는 것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고구마 먹다가 질식사 한 기분이네요

  • @okm4472

    @okm4472

    3 жыл бұрын

    어디서 국뽕 야동배우를 섭외해놓고 일어선생이라고 앉혀놓은거 같노

  • @bluefr9066

    @bluefr9066

    3 жыл бұрын

    좆본어 선생 선넘네..

  • @user-ch7xt9zt2y

    @user-ch7xt9zt2y

    3 жыл бұрын

    근데 국영수나 탐구도 아니고 제2외국어쌤이 그럴수있나? ㅋㅋㅋ 뭐 잘쓰여지면 유리하긴 하겠다만...ㅋㅋ

  • @user-ni5rt5un6w
    @user-ni5rt5un6w4 жыл бұрын

    우리 과학 쌤 늘 하시는 말씀 "너 그렇게 하면 아무것도 써줄 수가 없어"

  • @user-lw3cu8yq6c
    @user-lw3cu8yq6c4 жыл бұрын

    왜 자꾸 교사입장에서 생각하는거냐 전교조는... 학생입장에서 생각해야지

  • @jino854

    @jino854

    4 жыл бұрын

    날카롭네

  • @user-nn2ty4si2q

    @user-nn2ty4si2q

    4 жыл бұрын

    그리고 막상 교사입장에서도 절대 학종이 좋지 않음 학교에서 수행평가 준비 중간기말 준비 심지어 요즘 교육부에선 이거 해라 저거해라 그리고 쌤들도 애들 한반에 30명가까이 되는애들 학생부 다 써야지 그런거 쓰면 당연히 시간없으니깐 선생님들의 수업질 좋은 쌤들도 떨어질수밖에 없고 그렇게 되면 자연스레 애들 참여안하니깐 학생부로 협박할수밖에 없음 물론 그게 좋다는건 아니지만 평범한 학교들은 쌤들이 죽어나감

  • @user-kj8hs2fr7x

    @user-kj8hs2fr7x

    4 жыл бұрын

    교원노조니까교사입장

  • @acond503

    @acond503

    4 жыл бұрын

    교사 입장은 무슨 헛소리냐. 교사 입장에서 최고는 수능 올인인데? 수행평가 학생부 쓰는거 개귀찮은 일인데 말야

  • @user-ho2lr3kg8v

    @user-ho2lr3kg8v

    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교육부

  • @user-rj2yq5db9u
    @user-rj2yq5db9u4 жыл бұрын

    말은 솔직히 하자 수행평가가 까놓고 무슨 자유로운 수업을 시켜주냐 또 하나의 과제지

  • @user-pp8mw6xi9k

    @user-pp8mw6xi9k

    4 жыл бұрын

    슈발 그거 인정 수행평가 개 같은 것

  • @user-tx4ry3bj3q

    @user-tx4ry3bj3q

    4 жыл бұрын

    @@janesong500 솔직히 수행 개같음. 동영상 만들 줄도 모르는 선생이 영상 만들라고 수행 냄. 그리고 학생들이 만듦. 여기까진 좋은데 근데 선생이 영상 질 평가할 줄 앎? 동영상 뭐 알긴 알어? 진짜 친구 중에 피디하고픈 친구 있었는데 그 친구가 만든거랑 대충 특수효과 막 넣어서 급조 티 확 나는 친구랑 수행점수 차이 거의 나지도 않는거 보고 개 빡돔. 그리고 비중 너무 큼 40인데 1과목당 2개만 내도 적어도 14개는 넘는데 그것도 시험기간에... 한 달 전에 공지라도 해주면 감사하지. 근데 공지는 거의 다 며칠 전에 알려주니... 이러고 대충한다고 지적한다는 사람도 신기할 따름...

  • @user-bq3jp9ps4x
    @user-bq3jp9ps4x3 жыл бұрын

    2:17 결론 수능은 부모의 재력으로 1타 강사 찾는 거 까지가 최선이고 나머지는 공부는 학생의 몫이다. 학종은 부모의 재력으로 1타 강사 찾아서 자소서, 수행평가 등을 대신 시킬 수 있다.

  • @user-ze8zl4ui7h
    @user-ze8zl4ui7h4 жыл бұрын

    생기부 구걸하는 우리 기분을 니네가 아니ㅠㅜ 수업 잘 듣고 나서도 선생님 한 분 한 분한테 잘 보여야 생기부가 풍부해지는데 니들은 이렇게 만든 생기부를 20분 보고 만다고? 사람 ㅈㄴ 허무하게 만든다

  • @user-nk3wo9ck3v
    @user-nk3wo9ck3v4 жыл бұрын

    저기 현역고등학생 한명만 앉아잇어도 방향이 달라질듯;;

  • @user-wd4ov1md2f

    @user-wd4ov1md2f

    4 жыл бұрын

    강성태가 최대한 학생 입장을 얘기하려하는데...

  • @user-cr7qg1ly5t

    @user-cr7qg1ly5t

    4 жыл бұрын

    현역고3이 앉아있어야했는데....

  • @user-gt7ke1bk1j

    @user-gt7ke1bk1j

    4 жыл бұрын

    그 학생이 전교조 교사 안들이받으면 다행...

  • @user-vw8pd5qi3i

    @user-vw8pd5qi3i

    4 жыл бұрын

    그럼 시발 방송 터졌다 책상 뒤엎을만한데

  • @user-mv3cf2xb9z

    @user-mv3cf2xb9z

    4 жыл бұрын

    현역 고3 앉혀놓고 비판 하면 그 학생 학생부 씹망하겠죠..

  • @user-dz8zv9vr2b
    @user-dz8zv9vr2b4 жыл бұрын

    왜 대한민국 교육은 학생 중심이 아니라 교사 중심이냐?ㅋㅋㅋ 뭐가 잘못되도 한참 잘못된거 아니냐?ㅋㅋㅋ

  • @user-uz5nm2zf5i

    @user-uz5nm2zf5i

    4 жыл бұрын

    교사한테 물어보니 학생 중심이라던데 갑질이 하늘을 찌르더라던데!? 자기가 교사인지 학원 강사 인지 모르겠다던데!? 반에 폰 잃어버려도 소지품 검사도 의심 가는 학생한테 양해를 줬나 구하고 해야 하더만 그거 말안고 해도 학부모 한테 일른다매 이게 학교냐!?

  • @user-uz5nm2zf5i

    @user-uz5nm2zf5i

    4 жыл бұрын

    @@1131alan ㅉ ㅉ.....

  • @user-cn2yy7ru1n
    @user-cn2yy7ru1n4 жыл бұрын

    학생부 갑질 너무나도 인정... 학생부는 내 권한이야 이런식의 말로 항상 학생들한테 압박감을 주고 긴장감을 줍니다. 항상 눈치봐야하고 그 선생님 피하게 다니게 되고 이렇게 학교 다니는데 너무 힘드네요. 솔직히 이런건 개선하기도 힘들구요. 학생부 갑질 정말 지겹습니다. 속상하네요 증말

  • @logic8182

    @logic8182

    Жыл бұрын

    ㄹㅇ 고1때 자사고였는데 세특 가지고 갑질 ㅈㄴ함

  • @omega11279

    @omega11279

    Жыл бұрын

    미국도 선생이 갑이란다 평가받는 입장에서 당연히 눈치 봐야지 왜 안보려는건지?

  • @user-js7jq5kp2e

    @user-js7jq5kp2e

    Жыл бұрын

    @@omega11279 님 눈치보는거랑 갑질이랑 같나요? 지금 학생부갑질 말하고 있는데 미국에서 선생 눈치본다는 이야기가 왜 나오나요?ㅋㅋ 머리통 대신 절구통 들고 다니시나 그러니까 수시 비중 줄이고 정시 하자는 이야기 아닙니까 평가받는 입장에서 눈치보는 것 지당하고 당연하긴 한데 눈치살살보고 선생 똥구멍 긁어주면서 아부로 평가받는게 아니라 시험성적으로 평가받자는 얘기하고 있는데 왜 시비걸고 다니시나요 ㅋㅋ

  • @omega11279

    @omega11279

    Жыл бұрын

    @@user-js7jq5kp2e 그럼 사회가 다 그렇지 뭔 개소린지 그리고 뭔 똥구멍이야 미국만해도 무조건 입학사정관 면접도 봐야되고 교사 교장이 추천서 안써주면 좋은데 못가는데 아부하는것도 지 능력이지

  • @Seoul-university

    @Seoul-university

    Жыл бұрын

    @@omega11279 미국 미국 ㅅㅂㅋㅋㅋㅋ미국이 뭐 어쩌라고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xt7er8fb9p
    @user-xt7er8fb9p3 жыл бұрын

    7:42 학교를 너무 모르세요 ㅇㅈㄹ 어이없어서 웃는 거 보솤ㅋㅋㅋㅋㅋㅋ

  • @Running18864

    @Running18864

    2 жыл бұрын

    강성태한테 시이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누군지도 모르는 게 분명하다

  • @ShowKui_BS

    @ShowKui_BS

    2 жыл бұрын

    평생 절해도 모자란분을...

  • @mizk1070
    @mizk10704 жыл бұрын

    나도 교사였고 지금 고3 엄마고 내 친구들도 다 교사지만 다 정시 지지 한다 전교조 몇 퍼센트의 의견이 교사 대다수의 의견이 아니다

  • @user-qo9tq1rh4z

    @user-qo9tq1rh4z

    4 жыл бұрын

    @희망꿈과 낄끼빠빠해라 ^^

  • @user-kRyan

    @user-kRyan

    4 жыл бұрын

    @FUT B 댓 지우고 결국 ㅗ 의 수즌

  • @user-mj4ex6kh6r

    @user-mj4ex6kh6r

    4 жыл бұрын

    @FUT B 혹시 전교조 부계정이신가요?

  • @user-ve2ey9pr4u
    @user-ve2ey9pr4u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개같은 학종하고 사교육비 줄었냐? 공정해졌냐? 소외된 계층이없어졌냐?ㅋㅋ

  • @user-cr4mu5nk1r

    @user-cr4mu5nk1r

    4 жыл бұрын

    더 늘어남요... 생기부도 학생이 쓰는 마당에..

  • @cabbage0307
    @cabbage03074 жыл бұрын

    팩트 교육부 장관중에 교사 출신이 아무도 없음. 학생 마음을 과연 알까?

  • @user-rd4qv8wl6r

    @user-rd4qv8wl6r

    4 жыл бұрын

    선량한크리 교육부 장관이 교사 출신이 되더라도 저기 나와있는 현직 교사들이랑 똑같을겁니다

  • @user-yk1zb9rp4t

    @user-yk1zb9rp4t

    3 жыл бұрын

    강성태가 교육부 장관 됐으면

  • @user-gd1sm8df9u

    @user-gd1sm8df9u

    3 жыл бұрын

    @@user-rd4qv8wl6r 그래더 철학과 보다 낫지 않을까요?

  • @sayhello226
    @sayhello2264 жыл бұрын

    전교조 비유 ㅋㅅㅋㅋㅋㅋㅋㅋㅋ 진짜 저것들은 교육을 좀 먹음. 모르면 그냥 닥치고 가만히라도 있으면 되는데, 잘못된 신념가지고 바꾸어 보려고 개씹노력하니깐 그 피해는 온전히 학생에게 돌아감. 제에발 어디가서 학생위한다고 하지마세여

  • @user-ob8ze3dn4d
    @user-ob8ze3dn4d4 жыл бұрын

    정시확대쪽이 구구절절 맞는말하네 . 정시확대하면 조는게 아니고 수업이 좋으면 안 존다 백번공감 ㅋㅋ

  • @miraclelee

    @miraclelee

    4 жыл бұрын

    유니 맞아요ㅋㅋㅋ예전에 메가 조정식쌤도 그러셨죠 만족도평가 좋으면 연봉 억으로 주고 안좋으면 바로 해고시키면 수업 좋아진다고 그러면 공교육 살아난다고ㅋㅋㅋㅋ

  • @calvin5054

    @calvin5054

    4 жыл бұрын

    @@user-fm4sd1ik2l 애초에 자는새 끼는 학생이라치면안되죠 ㅋㅋ

  • @user-me6cd8bg4f

    @user-me6cd8bg4f

    4 жыл бұрын

    언수외 515 과탐 말아 먹은애를 대입진학률높이려고 재수 절대안권하고 잡대보내는게 전교조 병신들임

  • @user-hb3ku9er6k

    @user-hb3ku9er6k

    3 жыл бұрын

    놔이키 학원가 일타강사, 인강급으로 잘가르치는 쌤이 수업하면 들을걸요 제학교도 진짜잘가르챠주는 쌤들은 정시파애들 잘들어요

  • @user-yk1zb9rp4t

    @user-yk1zb9rp4t

    3 жыл бұрын

    @@calvin5054 그건 학교마다 실정이 다르니까 함부로 말하면 안되죠

  • @user-ro4tt6dj1w
    @user-ro4tt6dj1w4 жыл бұрын

    전교조 교사가 수시는 우리한테도 좋은거 없다, 교사가 애들 다 관찰하고 뭐 써야한다 이러는데, 야 교사가 무슨 애들을 관찰하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그냥 학기말 되면 성적좋은애들 몇 불러다가 뭐라고 써줬으면 좋겠냐 물어보고 문예창작해오라 시키는데 ㅋㅋㅋ

  • @dbwhdgus8075

    @dbwhdgus8075

    4 жыл бұрын

    ㅇㅈㅇㅈㅇㅈㅇㅈ

  • @mstlrr9963

    @mstlrr9963

    4 жыл бұрын

    ㅍㅌ

  • @user-ds4gh5np7z

    @user-ds4gh5np7z

    4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지 ㅅㅂ

  • @bs-io4tk

    @bs-io4tk

    4 жыл бұрын

    이거임 진짜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KimHaeSuk1

    @KimHaeSuk1

    4 жыл бұрын

    @최용혁 그게 늘 문제죠. 그리고 그건 어느 곳에서나 하는 고민이구요.

  • @user-wngpwlscjswoek
    @user-wngpwlscjswoek2 жыл бұрын

    4:38 너무 팩폭이라 빵터지신 이현대표님 ㅋㅋㅋㅋ

  • @sarahoh9579
    @sarahoh95794 жыл бұрын

    수시와 정시에 대해 크게 생각해본적이 없었지만 이걸 보고 확실하게 지지하게됐습니다 정시확대가 아주 당연한거였네요 수시가 사라졌으면 좋겠어요

  • @syh2257
    @syh22574 жыл бұрын

    하나고 선생 저 사람도 하나고 부모들이 어떻게 하는지 훤히 알고있으면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bryan_kim

    @bryan_kim

    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나와가지고 저러죠 혹시나 정시 전환해서 하나고 서울대 인원 떨어질까봐~~ㅋ

  • @user-ky4eh7vz9y

    @user-ky4eh7vz9y

    4 жыл бұрын

    하나고 가려면 수학은 미적분 끝내고 영어는 1등급 중등때 찍고 가야합니다

  • @OoO-jm4vw

    @OoO-jm4vw

    4 жыл бұрын

    @@yeone4721 빡대가린가 하나고같은 수시 합격율 높은 상위권 고등학교는 학교 내에서도 정시 공부 안시킨다 ㅋㅋㅋ 내신 및 상위 대학 수업 미히 교육시키지 진짜 아는 만큼 보인다고 ㅋㅋㅋㅋ 오히려 내신 망한 하위권 학생들만 수능 준비하니까 수능 합격률이 낮아보이는거지

  • @jhman0

    @jhman0

    4 жыл бұрын

    @@yeone4721 하나고 정시로 5명 왜못감 ㅋㅋ 개소리하네 못해도 10명은간다

  • @yeone4721

    @yeone4721

    4 жыл бұрын

    @@OoO-jm4vw 꼬우면 정시로 연의뚫어봐 ㅋ

  • @pionarlesmordo9310
    @pionarlesmordo93104 жыл бұрын

    누가 보면 정시 백프로 하자고 하는 줄 알겠네 반반 하자는게 그리 힘든건가 오히려 지금 수시 몰빵이 더 문제지

  • @frisebichon1519

    @frisebichon1519

    4 жыл бұрын

    정시 100프로가 가장 공평하다

  • @user-mj3cq2mr4j

    @user-mj3cq2mr4j

    4 жыл бұрын

    @@frisebichon1519 그러면 촌애들 다 뒤짐

  • @user-bt8tl9ee9i

    @user-bt8tl9ee9i

    4 жыл бұрын

    윤규식 요즘 인강도 많이 유명해지고 들을 수 있는 건데 왜 촌 애들이 죽는 거임

  • @user-kw7yi7kj2q

    @user-kw7yi7kj2q

    4 жыл бұрын

    오히려 의지가 있다면 학원보다 인강이 100배는 좋아요..급이 다른 교육퀄이 있는데 의지없으니 학원가는거지..오히려 수능을 올려줘야 촌에서 살아도 희망이있는겨

  • @user-kw7yi7kj2q

    @user-kw7yi7kj2q

    4 жыл бұрын

    수능 몰빵은 솔직히 아니라고 봄..그렇게되면 학교안가죠..만약 간다고해도 선생을 개같이 무시할거예요 저는 학교는 필요하다고봐요

  • @syoungjohn
    @syoungjohn4 жыл бұрын

    교육계에 있는 경험자로서 말하자면 정말 선택받은 소수만을 위한 학종

  • @user-dg1nu7zp1o

    @user-dg1nu7zp1o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전교조 선생님이 기회의 균등과 과정의 공정을 외치면서 학종의 존재 이유를 들고 있지만, 그부터가 하나고 선생님이라는 아이러니. 정작 사교육 선생님들은 실상을 알리고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현장을 말하고 있는데, 전교조 선생님은 그걸 들으려 하지 않는 것 같군요... 게다가 학종에 유리한 하나고 선생님이니 보편적인 교육현장의 목소리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 @yoon8046
    @yoon80463 жыл бұрын

    저는 작년에 그냥 평범한 고등학교에서 학종으로 인서울을 했는데요. 한편으론 3년동안 학교생활 열심히 해서 학종덕분에 대학 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객관적으로 보기엔 정시확대가 답인건 맞습니다.. 진짜 생기부때문에 학생들이 어떤 생활을 하는지, 3년동안 그 생기부 한줄이라도 더 채워서 대학합격하려고 별의별 짓을 다합니다.. 그런데 그걸 제가 직접 겪으니까 다신 할게 못됩니다. 진짜 이렇게 제 진로희망사항 관련학과와 연결짓는걸 3년동안 하다가 문득 보면 "아 그냥 3년동안 수능 준비하는게 나았으려나"합니다.. (물론 수능성적이 그렇게 나쁘진 않았습니다.) 진짜 이런 점뿐만 아니라 생기부를 선생님들께서 직접 적어주시다보니 차별도 그만큼 극심합니다. 이런 일반화는 위험할 수 있겠지만 영상에서 강성태님께서 언급하셨듯이 생기부를 써주는 게 AI도 아니고.. 하하.. 이게 과연 공정한 제도가 맞는지 학종으로 대입한 제가 의문이 들 정도인데 다른 분들은 어련하시겠나요.. 참.. 제 조카가 나중에 커서 이런 걱정은 안했으면 좋겠네요

  • @user-ki2jl5xh4x
    @user-ki2jl5xh4x4 жыл бұрын

    가장 억울한 사람. 서울 살면서 중상 정도의 일반고에 다니며 부모님의 소득은 6000 이하인 사람. 특혜x 농어촌x 학원x 내신 따기 힘듦.

  • @user-hm9ri5hl5q

    @user-hm9ri5hl5q

    4 жыл бұрын

    저는 아버지 혼자 월 200으로 우리 삼형제 먹여 살리셔서 보탬하기 위해 마이스터고 지원했네요 ㅠㅠ

  • @user-dw8gp6cy5p

    @user-dw8gp6cy5p

    4 жыл бұрын

    그럼 정시공부하면 됨

  • @user-ki2jl5xh4x

    @user-ki2jl5xh4x

    4 жыл бұрын

    @@user-xr1yr8nb6g 난 그래서 정시 찬성임 전국 모의고사는 4% 안에 꾸준히 들었는데 내신따기 힘들어서 좋은 데 못감ㅋㅋ

  • @user-mw6ln3vq8x

    @user-mw6ln3vq8x

    4 жыл бұрын

    @@user-dw8gp6cy5p 정시 뽑는 수가 너무 적음...

  • @user-dw8gp6cy5p

    @user-dw8gp6cy5p

    4 жыл бұрын

    @@user-mw6ln3vq8x 진짜 수시가 이상적이긴 한데 한국현실에 안 맞는듯

  • @turnriver3948
    @turnriver39484 жыл бұрын

    한 때 사탐 일타였던 이현이 공교육의 정상화를 외치고 있고 공교육 선생들은 공교육을 늪으로 밀어 넣고 있고 세상 참 아이러니 하네

  • @user-ro5cf3uj2m

    @user-ro5cf3uj2m

    4 жыл бұрын

    사탐 일타가 무슨 뜻이에요? 괜한 질문이면 ㅈㅅ합니다

  • @user-bb6gw1ng9v

    @user-bb6gw1ng9v

    4 жыл бұрын

    @@user-ro5cf3uj2m 일타강사요 겁~~~~나 잘가르치는 인강선생님?정도로 해석하시면 될꺼에요

  • @user-vg7wk1ul4u

    @user-vg7wk1ul4u

    4 жыл бұрын

    이현 쌤 강의 듣던 때로 돌아가고싶다

  • @kante2612

    @kante2612

    4 жыл бұрын

    이댓글을 보니 일타강사와 교사가 역할들을 바꾸면되겠다고 생각이드네요

  • @user-me6cd8bg4f

    @user-me6cd8bg4f

    4 жыл бұрын

    @@kante2612 자기밑에 교재연구하는 연구원들 사례를 고정된 월급으론 못 커버함

  • @user-ew6ck2ye4k
    @user-ew6ck2ye4k3 жыл бұрын

    정시는 수능 출제의원 소수만 감시하면 비리를 줄일수 있지만 수시는 학교 전체에 대한 감시가 이뤄져야 하는 만큼 더 비리를 줄이기 힘들꺼 같습니다.

  • @user-eg9es2gh6p

    @user-eg9es2gh6p

    3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유출은 애초에 불법인데 그 지랄한거잖아 수시는 재력으로 만들어도 합법이라고 그냥 지들 밥그릇 합법적으로 챙기겠다는거 아니냐고

  • @completelieistruth
    @completelieistruth3 жыл бұрын

    그냥 전교조 저쪽 사상 색깔 사람들의 전형적인 생각과 사상임ㅋㅋㅋ경쟁, 서열 이런거 적폐시하고 다 똑같이 만들어버리는척하면서 지들 아들 딸은 좋은곳 보내기 ㅋㅋ

  • @anfwoijwej1742

    @anfwoijwej1742

    2 жыл бұрын

    좌파새끼들의 학벌집착이 우파보다 더 심함 ㅋ

  • @moon52276
    @moon522764 жыл бұрын

    교사분들 말씀 동의 할 수 없다. 학부모로써 할 말 진짜 많은데....교사들 보니 한 숨만 나온다.

  • @user-xo8sn9kh5z
    @user-xo8sn9kh5z4 жыл бұрын

    현직 선생이라는 작자들이 실태를 더 모르고 있는 것 같은데ㅋㅋㅋㅋㅋㅋ

  • @hejsjeususuchae125

    @hejsjeususuchae125

    4 жыл бұрын

    모르지 않아요. 자기의 영향력(권력이나 돈)이 정시보다는 훨씬 이득이니까요. 뭐가 공정한지는 중요하지 않아요. 이 토론은 쇼니까요.

  • @user-xv8vs5on4f

    @user-xv8vs5on4f

    4 жыл бұрын

    @@hejsjeususuchae125 이게 맞지. 저 사람들 절대 멍청한 사람들 아니다. 정치인들도 진짜 멍청해 보이지만 다들 공부 엄청한 사람들임. 전부 다 쇼, 방송, 언론이고 다들 밥그릇챙기는거지

  • @user-vw8pd5qi3i

    @user-vw8pd5qi3i

    4 жыл бұрын

    @@hejsjeususuchae125 진짜 팩트다 박씨처럼 진짜 개 빡대가리가 아니면 다들 머리 ㅈㄴ좋고 공부도 뒤지게 했던 사람들인데 왜 ㅇㅈㄹ이냐 하면 돈이지 뭐

  • @leeyoung6012

    @leeyoung6012

    4 жыл бұрын

    @@hejsjeususuchae125 정말 팩트네요..

  • @choanny1874

    @choanny1874

    4 жыл бұрын

    내가 다닐때는 수능으로 40%정도 뽑아줘서 선생들 개무시까고 수능 공부해서 저 마음 이해는 됨 ㅋㅋ 학교 선생들 ㅈㄴ 실력 없잖아.

  • @slee2239
    @slee22394 жыл бұрын

    강성태: "언제 이뤄질까요?" 이현: "(읖..ㅋㅋㅋㅋㅋㅋㅋ)" 강성태님이나 이현님은 현장에서 누구보다 더 많은 수의 학생들을 봐오셔서 학생의 입장에서 일반적으로 공정하게 먹힐(?)만한 공부법과 대입이 무엇일지 잘 아시겠죠. 이분들의 노력을 더해서 제 후배세대들이 더 편안한 마음으로 공부를 즐기며 대입 할수 있기를 바랍니다.

  • @user-wngpwlscjswoek

    @user-wngpwlscjswoek

    2 жыл бұрын

    3800년 후에요 ㅋㅋㅋㅋㅋㅋ

  • @luckkey1624
    @luckkey16243 жыл бұрын

    강성태 옆에 계신분 옳으소리 하시네 아무리 부자여도 시험은 학생이 가서 보지만 학종 서류는 부자 부모님이 사람 고용해서 학생 대신 만들어준다

  • @user-ht8ef1xk2e
    @user-ht8ef1xk2e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말대로 학종은 그래도 ‘쓸만’합니다 근데 ‘쓸만’한걸 비율은 70%로 올려서 ‘꼭’ 쓰게 만든게 문제죠

  • @LuceteMoon

    @LuceteMoon

    4 жыл бұрын

    학생부 교과 30% 종합 10% 논술 10% 정시 50% 정도로 해야지 정상적인듯

  • @user-ri1vz2vo5v

    @user-ri1vz2vo5v

    4 жыл бұрын

    @@LuceteMoon 정시가 일단 비율이 가장 높고 나머지 수시들이 나눠서 비율을 갖는게 올바를 것 같긴 하네요

  • @majornoh5339
    @majornoh53394 жыл бұрын

    정시는 EBS라도 보고 시간으로 조지면 오르기라도하지, 학종은 학기내내 뺑이치거나 아니면 진짜 잘사는집 잘사는동네 서울강남 이쪽이 더 다양하게할텐데 지방이나 일반고애들이 그나마 따라잡지않나 내 잠재력을 지들이 어떻게 평가할건데

  • @dbwhdgus8075

    @dbwhdgus8075

    4 жыл бұрын

    결국은 내신 성적

  • @user-cr4mu5nk1r

    @user-cr4mu5nk1r

    4 жыл бұрын

    나도 그렇고 아는 몇몇애들 성적조작도 있는 판인데 내신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을까.?

  • @hussarkorean8520

    @hussarkorean8520

    4 жыл бұрын

    애매한 애들이 피해보는거시여... 애매한 도시권 애매한 강북 애매한 경기권..

  • @user-py4vd2nv2m

    @user-py4vd2nv2m

    4 жыл бұрын

    수시도 줄세우기임 결국 ㅋㅋ 차라리 다 같이 치는 수능이 낫지 않냐 공정성이라도 있지.

  • @user-vl3bk7kz8t

    @user-vl3bk7kz8t

    4 жыл бұрын

    결국 답은 반반이죠 최소한 그게 맞다고 보는데 지금은 뭐 7:3이니..

  • @user-cz1kr6gq7p
    @user-cz1kr6gq7p3 жыл бұрын

    10여년 전에 담당 화학 쌤이 ebs에서 강의 했던 쌤이었는데 근데 확실히 다른 수업의 쌤보다 수업의 질이 좋았음. 하지만 그런 쌤이 별로 없다는 게 아픈 현실이지.

  • @-_-...
    @-_-...4 жыл бұрын

    그러게 좋은 선생님 만나면 괜찮음ㅋㅋㅋ 근데 학종해도 괜찮은 좋은 선생님 비율 한...1프로 될까?

  • @user-tu7xg1xr5q
    @user-tu7xg1xr5q4 жыл бұрын

    왼쪽은 학생을 변호하고 오른쪽은 교사를 변호하고ㅋ 토론인지 청문회인지 모르겠네

  • @imttadragon

    @imttadragon

    4 жыл бұрын

    전교조가 원래 그런 단체임 ㅋㅋㅋ

  • @IOOvsI

    @IOOvsI

    4 жыл бұрын

    이게 전교조 수준임

  • @user-up3fh8gq5o

    @user-up3fh8gq5o

    4 жыл бұрын

    처음 전교조는 이렇지 않았는데 안타까움 전교조 89년에 만들때는 옳바른 교육하자고 만든건데 권력과 명예가 다 망치나봐요

  • @femc523

    @femc523

    4 жыл бұрын

    검찰개혁과 함께 전교조 개혁도 합시다 학생이 아닌 선생들 권한을 찾는데 학생들은 인생이 달려있어요 전교조 선생

  • @user-rh9sh8tc9i

    @user-rh9sh8tc9i

    4 жыл бұрын

    참된 교사들은 전교조 싫어함.

  • @user-ee4vy7uf6i
    @user-ee4vy7uf6i4 жыл бұрын

    나는 공신이 공부비법만 좋은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아는게 너무 많은데? 괜히 공신이라고 불리는게 아니었네.

  • @user-sh5zg5kl5x

    @user-sh5zg5kl5x

    4 жыл бұрын

    학습 연구를 굉장히 많이 하십니다.

  • @hs2538

    @hs2538

    4 жыл бұрын

    정치성향에 대한 논란이 있었을뿐이지 제3자가 이렇게 학생을 잘알고 많이생각하는 사람은 정말 몇없음. 그 몇없는 사람중 탑수주임

  • @Kanzja

    @Kanzja

    4 жыл бұрын

    @@hs2538 ㅇㅈ 정치문제 제외하고 공부쪽에서 봤을때 이사람은 그냥 탑이지

  • @Kanzja

    @Kanzja

    3 жыл бұрын

    @정민교 민주당은 안까고 통합당은 깐다 이런거로 한참 논란됐었음

  • @user-gv1cc7he8x

    @user-gv1cc7he8x

    3 жыл бұрын

    그냥 선생이란 직업은 정치성향은 물론이고 정치관련 언급조차도 자제해야함

  • @yeopyeop4098
    @yeopyeop40983 жыл бұрын

    학종 : 훌륭한 선생님만 많은 비율로 있다면 합당하게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이상적인 제도 정시 : 훌륭한 선생님이 적으니 대안으로써 측정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방안

  • @MrJeo85
    @MrJeo854 жыл бұрын

    이현 선생님 만 보이고 들린다 ㅎㅎㅎㅎ 멋지셔..

  • @user-xg1or3if6h
    @user-xg1or3if6h4 жыл бұрын

    딱하다 전교조 수준이. 학종하려면 교사들 제끼고 AI가 일괄 처리하고 처리과정 알고리즘 공개하는걸로 하면 모두 지지해줄듯. ㅋㅋㅋ그러면 또 교사들 발광하겠지만

  • @Yeheul

    @Yeheul

    4 жыл бұрын

    그 AI마저도 돈으로 매수해서 조작해서 애새끼 의대 보내려는 부모들 무조건 생김ㅋㅋㅋ 그냥 학종은 축소 또는 폐지가 답이다

  • @user-xg1or3if6h

    @user-xg1or3if6h

    4 жыл бұрын

    예흘 그정도까지 할 미친놈들은 걍 의대 보내줘야지ㅋㅋㅋㅋㅋㅋㅋ 뭔 전형을 만들든 결국 갈 놈 아니냐

  • @hjj670

    @hjj670

    4 жыл бұрын

    예흘 특) 본인은 서울대 의대는 커녕 지잡대도 예비번호 받음;; 상위권 입시 경험해보지도 못한 놈들이 스카이캐슬 보고 키보드 워리어짓하누ㅋㅋㅋ

  • @jjw3890

    @jjw3890

    4 жыл бұрын

    와씨 나랑 이름같네 나인중

  • @user-fp8gl5ly4r

    @user-fp8gl5ly4r

    4 жыл бұрын

    @@Yeheul 무슨 로봇이 귤까먹으면서 티비보는 소리하고 있누

  • @user-vs2ot1qu3r
    @user-vs2ot1qu3r4 жыл бұрын

    진짜 수업이 좋으면 잘듣는다 인정한다 학교 쌤들은 진짜 하....진짜 너무함

  • @psl4875

    @psl4875

    4 жыл бұрын

    공립고등학교 수업 질은 나쁘지 않다 들었어요. 사립고등학교 나온 사람으로서 교사 대부분이 이사장 인맥 출신이었습니다. 돈 내고 교사되는 건 뭐 즐비한 일이었죠. 20프로? 정도를 제외하고 80프로의 교사 수업은 도저히 들을 수 없는 정도였습니다.

  • @user-vs2ot1qu3r

    @user-vs2ot1qu3r

    4 жыл бұрын

    저도 사립고에요...

  • @psl4875

    @psl4875

    4 жыл бұрын

    유지후 앗 네네! 지후님 반박이 아니라 일반사립고등학교 교사와 수업의 질을 비판하고자 하는거였어요. 영상에서 자사고 선생님이 교사와 수업의 질이 좋다고 하는게 웃겨서요. 그렇게 차이 나니 특목고 수요가 높은거잖아요.

  • @user-vs2ot1qu3r

    @user-vs2ot1qu3r

    4 жыл бұрын

    넵넵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확실히 교육은 변화가 필요할것 같아요

  • @user-nf2pj8zf7v

    @user-nf2pj8zf7v

    4 жыл бұрын

    저 못사는 동네에서 공립고등학교 다녔는데 학교 성적은 낮았는데 쌤들이 수업을 너무 잘하더라구여 무슨일이지? 싶어서 나중에 알아보니까 서울대 연세대 경북대 흔하고 한분은 하버드 박사인가 석사 ㅋㅋㅋ.... 공립이라 누릴 수 있었던 거 같네요 쌤들 전부 인성도 좋았음

  • @user-sw4ui9nh9z
    @user-sw4ui9nh9z3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토론다운 토론 보는듯합니다 앞에보았던 게임중독관련 영상들과는 너무나도 다르네요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고 논리적인 말과 뒷받침되는 근거자료들 영상 잘보았습니다

  • @HEK_001
    @HEK_0014 жыл бұрын

    수업이 좋으면 수업을 잘 듣는다 = 공교육 수준이 높다면 공교육에 충실하다 절실히 공감합니다. 고등학교 때 과학을 가르치시는 선생님께서 누가 들어도 어려운 내용임에도 최대한의 이해를 돕고자 교단을 벗어나 학생들 손을 잡으며(이론 비유를 위해) 내용을 설명하고 팔동작, 목소리 모든 걸 동원해 수업하십니다. 3년 고교생활 중 그 선생님 수업만 2년을 들었는데, 단 한번도 그 선생님 수업에서 졸거나 딴짓하는 애들 본 적이 없습니다. 반면 단순하게 교단에서 딱딱하게 수업하시는 사회 선생님 수업에서는 3년 동안 그 선생님 수업을 들었는데, 절반에 가까운 학생들이 엎어져 잡니다. 선생님은 체념하신듯 그냥 수업을 진행하시구요. 저는 훌륭하고 능력 있는 교사의 공교육이 그 어떤 사교육보다 낫다는 것을 두 눈으로 확인하고 깨달았습니다. 그런데 전체적인 공교육 현실은요..? 12년 학교생활 중에 그런 선생님 딱 3분 만났습니다. 선생님들의 수업 외 기타 행정업무 등으로 인해 수업의 퀄리티가 낮아지는 것은 정말 안타깝고, 이로 인해 불철주야 고생하시는 선생님들께는 죄송하지만 학생들은 높은 퀄리티의 수업과 고효율의 아웃풋을 원합니다. 현 공교육은 이러한 학생들의 요구와 니즈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고 있구요. 수시축소 정시확대를 논하기 이전에 그 근본적인 출발점인 공교육의 현실과 한계를 개선하고 공교육의 목적을 제대로 살릴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자 접근하는 게 먼저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Tower_RooK

    @Tower_RooK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수업은 그 수업시간이 기다려지는데 대부분의 교사들은 그냥 교과서를 1시간 읽고 나가서 젠짜 그럴바엔 따른과목 공부함...

  • @cychoi3363
    @cychoi33634 жыл бұрын

    강성태 옆에 계시는 분 정말 논리 정연하게 토론 잘하십니다. 존경합니다.

  • @user-lh9zc9hl8q

    @user-lh9zc9hl8q

    4 жыл бұрын

    엄훠.. 극공감요

  • @pants589

    @pants589

    4 жыл бұрын

    네ㆍ공감합니다!

  • @user-rs4yx2up1g

    @user-rs4yx2up1g

    4 жыл бұрын

    진심 인정

  • @onzhlaf

    @onzhlaf

    4 жыл бұрын

    참선생님이십니다

  • @mymelody754

    @mymelody754

    4 жыл бұрын

    이현 선생님이라고 유튜브 쳐보면 명강의 많습니다. 윤리 선생님이신데 강의 정말 잘하십니다

  • @sango1220
    @sango1220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전교조 진짜 개빡치는게 고등학교 사회문화쌤 전교조였는데 맨날 맨날 정치얘기 쳐하고 시험기간 일주일남았을때 급하게 수능특강 진짜 토씨하나안틀리고 그대로읽으면서 수업하고 시험냄 ㅋㅋㅋㅋ진짜 전교조 우웩ㅇ다

  • @user-ib6jb5ij1d

    @user-ib6jb5ij1d

    3 жыл бұрын

    와 미쳤네. 우리 학교 이야긴 줄;;;

  • @user-yk1zb9rp4t

    @user-yk1zb9rp4t

    3 жыл бұрын

    진짜 제가 복붙해서 댓글 쓰는 거 싫어하는데 이것만 할께요.여기에 있는 분들 모두 청와대 국민청원 가서 정시확대에 대해 논리적으로 설명해서 청원글을 올리거나 그러한 내용의 글에 동의하는 것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고구마 먹다가 질식사 한 기분이네요

  • @dddd-yj2ck

    @dddd-yj2ck

    3 жыл бұрын

    그런 좆교조 좋다고 민좆당 좋다고 뽑아준게 3040 내또래 개새ㄲ1 들이다 내가 다 미안하다 나는 단 한번도 좋아한적 없다는 변명을 하고 싶다. 나는 학교 개판으로 제끼고 쳐자고 했는데 정시덕분에 인서울 뚫었다. 요즘 같은때에 교사 갑질하면 존나 돌아버릴거 같다. 나 졸업하고 전교좆 새끼들 내신 올리네 공교육 살리네 ㅇㅈㄹ 할때 저새끼들 밥그릇 ㅈㄴ 챙기네 역겨웠는데 결국 이리되고 말았네. 오히려 학생에게 한번 실수하면 낙인 찍고 기록을 남겨 두번의 기회조차 박탈하고 옛날 옛적 선생에 촌지주고 아쉬운 소리 하게 만든 옛날을 그리워 하는거 같다 이 씨발 좆교조 새끼들은 나는 초 중딩따까진 쓰레기 새끼들 많았지만 고등학교딴 그래도 아쉬운 소리 안하고 다녔눈데 지금은 어떨찌 참 불쌍하다 애들이

  • @cherryfarmz

    @cherryfarmz

    3 жыл бұрын

    나도 전교조 쌤이 정치색 존나 들어내서 좆 같앗는데

  • @skh276

    @skh276

    3 жыл бұрын

    우리 학교 전교조 선생은 맨날 국가보안법 폐지외침

  • @sohyepark
    @sohyepark4 жыл бұрын

    이현 샘 윤리 인강 대단했습니다 정말 그렇게 카리스마있는 강의는 처음이었고 너무나 깊이있게 잘 배웠어요 벌써 20 년전 일이지만요 ^^ 이현샘의 포인트- 모든 건 사교육이 들어가지만 - 수능은 비싼 사교육 시켜주는거지만 성적을 만들어줄수가 없다.......... 애들이 시험을 봐야한다는 말씀 정말 너무너무 예리하네요 미국의 항상 gpa 를 신경쓰는걸 우리나라같은 교육 과열 사회 - 모두가 내신 점수 잘 받기 위해 난리치는 나라 풍토에서 - 수시에 포커스를 맞추는게 가능할까요... 우리나라는 미국이 아닌데 (저는 참고로 유학원에서 일하는 사람이고 미국교육에 지지합니다 그러나 한국에 모두 적용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봅니다) 우리나라의 과열된 사회만큼 정시가 중요한 나라가 없다고 봅니다 이현샘 강성태샘 응원합니다

  • @user-to8xr1ju6v
    @user-to8xr1ju6v3 жыл бұрын

    7:43 웃참 레이스 시작

  • @user-mg1ky8st6q
    @user-mg1ky8st6q4 жыл бұрын

    학교다닐때 선생님이 이뻐하는 애들한테만 정보주고 그들에게 점수 더준거 모르는 학생들이 있나? 그 이뻐받는 방법을 배우러 학교다니나? 그러니까 사회가 더러워지는거다 어렷을때부터 실력보다 그런것을 먼저 배워서

  • @user-zc3ll8bw4o

    @user-zc3ll8bw4o

    4 жыл бұрын

    저 고3담임쌤이 하필 그런 인간이라 스트레스진짜 많이 받았어요...진짜 ㅆㄹㄱ..저한텐 원수임

  • @0paz524
    @0paz5244 жыл бұрын

    전교조는 왜 자꾸 교사의권위를 내세워 학생들 위한다고 말하지마라

  • @user-bn8fs4mf6x
    @user-bn8fs4mf6x4 жыл бұрын

    학종을 해야 교사와 대학 파워가 커지니까(내세울께 많고 굽신굽신하게 만드니까) 유지하고 싶은거지. 세상에 돈과 권력 외에 설명 안되는 거 없다.

  • @user-fv3hx6qk7n
    @user-fv3hx6qk7n3 жыл бұрын

    와 이현 이분 진짜 말 너무 잘한다

  • @bycw3547
    @bycw35474 жыл бұрын

    이현 이분 진짜다 말을 이렇게 조리있게 이해가 쉽게 말하는 분 찾기힘들다 목소리도 안정적이시고

  • @user-zz2hc7in2v

    @user-zz2hc7in2v

    4 жыл бұрын

    저 이분 강의 찾아보다 팬됐습니다. 강의력이 누구보다 좋아요

  • @skybaek6751

    @skybaek6751

    4 жыл бұрын

    03학번인데 윤리 강의 듣고 만점 받음 ㅋ

  • @isaki54

    @isaki54

    4 жыл бұрын

    서울대나오신 윤리강사님

  • @cdk4

    @cdk4

    4 жыл бұрын

    수능계의 전설임

  • @user-zq4ik8sw4c

    @user-zq4ik8sw4c

    4 жыл бұрын

    수능강사 출신이라서 확실히 다르신거같아요

  • @user-tg9qo5jv2v
    @user-tg9qo5jv2v4 жыл бұрын

    더이상 선생. 스승은 없다. 그냥 공무원만 있는거지.

  • @user-er1ep1ev9s

    @user-er1ep1ev9s

    4 жыл бұрын

    더이상?? ㄴㄴ 이나라에 스승이라는건 없다.

  • @user-vp4jk3np8w

    @user-vp4jk3np8w

    4 жыл бұрын

    그냥 교육만의 문제가 아님 나라가 전체적으로 썩어있는데 우리나라 개돼지들이 냄비근성이고 관심이 없으니까 이꼴난 거임

  • @user-fz9mo6xs5i

    @user-fz9mo6xs5i

    4 жыл бұрын

    그냥 학교시스템 부터 문제가 있음.......

  • @user-lq2zf3gx8l

    @user-lq2zf3gx8l

    3 жыл бұрын

    국가교육서비스 정직원

  • @marcopolo7712

    @marcopolo7712

    3 жыл бұрын

    씹루저새끼들ㅋㅋㅋ패배자새끼들답네

  • @hyeryuhwa
    @hyeryuhwa4 жыл бұрын

    와...저런 거 들을 때마다 느낀건데 우리학교 선생님들이 정말 훌륭하신분들이구나 싶다. 물론 뭐 1타강사들 만큼 잘 가르치시지는 않지만 우리모두에게 다 관심을 가지려고 노력하는 부분이 있는게 너무 좋다. 세종이라 쌤들이 다 어려서 그런 거일수도 있지만

  • @user-nw5ow4ne8u
    @user-nw5ow4ne8u3 жыл бұрын

    강성태씨가 확실히 토론자세가 돼있네 상대방 존중하면서, 자기 의견피력하는거.. 똑똑한사람임

  • @peterrabbit3302
    @peterrabbit33024 жыл бұрын

    전교조가 왜 저렇게 됐냐 학생을 위한 게 아니라 교권이 더 중요한가 보네 학생들한테 갑질하니 직장생활 편한거 전교조는 저러면 안되지

  • @user-zl9gb1vk8j

    @user-zl9gb1vk8j

    4 жыл бұрын

    전교조 설립 목적 자체가 학생을 위한게 아닌 선생 권리 부르짖으려 만든 단체에요

  • @nowewable

    @nowewable

    4 жыл бұрын

    전교조는 뿌리부터 선생들 이권을 위한 집단인뎅..

  • @rkpa3011

    @rkpa3011

    4 жыл бұрын

    전교조는 원래 그런 단체입니다. 토론 보시면서 느끼셨겠지만 쟤네들도 문제가 뭔지 다알고있는데 선생들 교권 지킬려고 우린 무슨 노력하고있다 뭐하고있다 하는겁니다. 역겹네요 정말

  • @user-id3nr2ju6h

    @user-id3nr2ju6h

    4 жыл бұрын

    인헌고 교장교감새끼들만봐도 전교조 수준나오지

  • @minlove7575
    @minlove75754 жыл бұрын

    전교조 진짜 답없다.. 전교조가 없어져야 공교육이 산다

  • @user-mj4ex6kh6r

    @user-mj4ex6kh6r

    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하나고가 수시폐지당하면 55명 서울대중 3명빼면 다 나가리란 얘긴데 그니까 실적때메 수시폐지란 말을 못하지;; 그래도 하나고 수준정도면 정시로 바꿔도 잘할거같은데

  • @user-ix1iu8jm4n

    @user-ix1iu8jm4n

    4 жыл бұрын

    저도 수시에는 반대하는 입장이지만 교육과정은 교육부에서 정하는 거라...전교조하고는 상관이 없습니다 교육부와 전교조는 다른 집단이예요

  • @gray8477

    @gray8477

    4 жыл бұрын

    @@user-ix1iu8jm4n 전혀 다르지는 않습니다 전교조가 이익집단이고 교육부가 그 이익을 관철시켜주는 집단인데 상관이 없나요? 둘사이에 로비가 있다고 해도 이상하지도 않습니다 막말로 전교조가 나서서 수시반대하면 교육부가 가만히 있을까요

  • @hyeryangpark7767
    @hyeryangpark77673 жыл бұрын

    어느 편을 떠나서 느낀점 1. 양쪽 모두 상대방의 발언을 막지않고, 일단 듣고 자신의 의견을 얘기해서 보기 좋았다. (정치계의 누구들은 상대방의 얘기는 듣지도 않고 끝까지 지 할말만 하는 것과는 비교됨) 2. 상대방의 의견이 논리적이면 어느정도 공감하는 것이 느껴지며, 굉장히 이성적으로 얘기한다.(토론 내내 큰소리 내지않고, 상대쪽 발언에 눈을 마주치며 고개를 끄떡임. 상대방의 발언시간에 딴짓하는 정치계의 누구들과는 다름.)

  • @doeremi6160
    @doeremi61603 жыл бұрын

    4:26 강성태쌤 진짜 어이없어하는 표정..

  • @user-wngpwlscjswoek

    @user-wngpwlscjswoek

    2 жыл бұрын

    4:38 강쌤의 팩폭에 빵터진 이현대표님 ㅋㅋㅋ

  • @user-vb9ym7lp4b
    @user-vb9ym7lp4b4 жыл бұрын

    이현, 강성태가 보살이다....

  • @user-yk1zb9rp4t

    @user-yk1zb9rp4t

    3 жыл бұрын

    ㅇㅈ

  • @user-iy5xf8yl6q
    @user-iy5xf8yl6q4 жыл бұрын

    아 ㅋㅋ 왜 정당한 경쟁을 이렇게 보기 싫어하냐 지들 기득권들만 계속 다 해쳐먹을라고 ㅋㅋ

  • @sinfootball

    @sinfootball

    4 жыл бұрын

    조국수호!!! 정시 폐지! 수시 확대! 검찰개혁!

  • @SK-ru4so

    @SK-ru4so

    4 жыл бұрын

    @@sinfootball 와.. 이와중에 정시폐지 수시확대라고? 대단하다 혹시 전교조이신가요?

  • @clerksus3576

    @clerksus3576

    4 жыл бұрын

    신축구 정신병자네 저런 정치적성향 가진놈들이 있으니 교육이 이꼬라지지 뭐? 정시폐지하고 조국수호하자고? 여기서도 정치질이네 정신병자ㅉㅉ

  • @user-iy5xf8yl6q

    @user-iy5xf8yl6q

    4 жыл бұрын

    @@sinfootball 혹시 정당한 경쟁을 학종으로 보신건가요? 전 정시를 정당한 경쟁이라고 한건데 ㅋㅋ ;

  • @SHkim-st9iv

    @SHkim-st9iv

    4 жыл бұрын

    @@sinfootball 그냥 대가리가 깨지신거 같은데

  • @kanadaramaba
    @kanadaramaba2 жыл бұрын

    2:06 진짜 어른스러운 토론자세 저런 스피치스킬을 배우고싶다

  • @user-eh3fk7jl4u
    @user-eh3fk7jl4u3 жыл бұрын

    수업이 좋으면 잘 듣는다는 말 정말 공감함. 현재 강남4구 소재 일반고등학교 다니고 있는 학생임. 본인 학교에 수능 4점짜리 문제도 못푸는 선생들이 차고 넘쳤음. 수업 수준은 말 안해도 알거라고 생각함. 그런 수업 들을바엔 자습하겠다는데 자습하는 모습이 보이기라도 하면 바로 생기부 타령함. 아예 교장까지 나서서 자습 금지령을 내려버렸는데 교사들은 이게 제대로 된 교육 시스템일까? 라고 한번이라도 자기 스스로한테 되물어 봤으면 좋겠음.

  • @user-dg1nu7zp1o

    @user-dg1nu7zp1o

    Жыл бұрын

    20년 전이랑 바뀐게 없군요. 우리 수학 선생님도 칠판에 문제 혼자 계속 풀다가 결국 못 풀고 저 포함 학생들이 풀고나니 쉬는 시간에 뛰쳐들어오셔서 알려주겠다고... 교무실 가서 해답지라도 보고 오신건지.... 그나마 그땐 나혼자 수능 공부 미친듯이 하면 서울 탑권 대학 갈 수 있었는데,, 지금같이 복잡한 전형에 생기부 권한을 쥐고 있는 선생들 밑에서 입시했으면 정말 어떻게 됐을지 알 수가 없네요. 그땐 자습이라도 알아서들 했지...

  • @user-tx2nu6wt1p

    @user-tx2nu6wt1p

    9 ай бұрын

    우리때도 수학쌤 못푸는 문제 많았는데 지금도 그렇군요

  • @donovanpark530
    @donovanpark5304 жыл бұрын

    이현 선생님 너무 현명하시네. 말씀도 너무 논리정연하고 담담하게 잘 풀어내심.

  • @user-rv2xx3wo9w

    @user-rv2xx3wo9w

    3 жыл бұрын

    솔직히 가장 핵심이고 가장 논리정연하고 현역고3 입장에서 가장 공감되는 말함..

  • @user_vsjfmexjancjrk

    @user_vsjfmexjancjrk

    2 жыл бұрын

    일타강사님이셨음. 현장을 잘아심

  • @gwakts
    @gwakts4 жыл бұрын

    이현 이사람 말 캐공감 - 박정희도 박근혜는 서울대 못 넣었다 .. 암만 돈이 있고 빽 있어도 고액 과외 붙여 주는게 끝이고 시험장엔 어차피 지 혼자 들어가서 시험 봐야 한다 근데 수시는 뭐 학생의 실력 이외에 너무 많은 것들이 영향을 끼치 잖아?

  • @user-sh4jm3se3d

    @user-sh4jm3se3d

    4 жыл бұрын

    일반전형 제외

  • @K8_V6_owner

    @K8_V6_owner

    4 жыл бұрын

    ㅋ 근데 그 "딸"은 고려대 잘갔죠? ㅋ 지들이 유리한 전형만들고 이용해먹기 ㅋ

  • @user-sh4jm3se3d

    @user-sh4jm3se3d

    4 жыл бұрын

    일반전형은 일반교과 전형 말한건데요

  • @user-cw3jv8vi6g

    @user-cw3jv8vi6g

    4 жыл бұрын

    이상민 그리고 반미 외치시는 림종석 동무께서는 자기 딸년이를 미쿡으로 유학 보내셨죠.

  • @lukelee3062

    @lukelee3062

    4 жыл бұрын

    진짜 당시 제왕이라 불려도 할말 없는 박정희도 장녀를 서울대에 못넣게한 정시의 위엄이네 ㄷㄷㄷ 얼마전엔 개나 소나 조금 지위있으면 논문 품앗이 따위로 스카이 들어갔는데 ㄷㄷ

  • @ASLKG
    @ASLKG3 жыл бұрын

    2:14 초부터 그냥 정답임. 다른거 다 필요없고 과외를 하든 뭘하든 일단 시험은 학생이보고 대학은 그 점수로 판단함.

  • @nulo1016
    @nulo10163 жыл бұрын

    7:00 학교는 학생이 주인인가 선생이 주인인가 그 싸움인듯

  • @FromDaytoDayb
    @FromDaytoDayb4 жыл бұрын

    2:14 “공부는 학생이 해야 되는 거에요” 킬포

  • @user-ez8xg8zk7n
    @user-ez8xg8zk7n4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좋으면 의사 검사 교사 다 학종해 대학가서 학종으로 해라 ㅋㅋㅋㅋㅋㅋ교수한테 갑질한번당해봐라 ㅋㅋㅋㅋㅋㅋㅋ시험보지말고 ㅋㅋ

  • @user-mb5ls9pd9e
    @user-mb5ls9pd9e4 жыл бұрын

    수시 준비하면서 교사 추천서 망치는거 두 눈으로 보고싶냐는 소리까지 들어봤어요 ㅋㅋㅋㅋ 학생부 갑질이라는 얘기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 @yoojustice
    @yoojustice3 жыл бұрын

    이현선생님 말씀에 국민 대다수가 공감할듯.

  • @Broomup
    @Broomup4 жыл бұрын

    진짜 이 토론 보고 나서 정시 확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공정사회 만들자

  • @keke-bv2tz
    @keke-bv2tz4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정시가 백프로 공정하진않다 하지만 학종은 그냥 불공정 그자체다. 세상 어디나 완벽한 공정은 없다. 그러면 비교적 공정한것인 정시를 선택하는게 당연한거고 맞는 생각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oc3ky6fy6q

    @user-oc3ky6fy6q

    4 жыл бұрын

    차악이라는 건가

  • @user-xc6gs4bc8d

    @user-xc6gs4bc8d

    4 жыл бұрын

    흔한팬 모든 선택은 차악이죠. 대표적인게 대통령 투표

  • @user-qi1li3mr6w

    @user-qi1li3mr6w

    4 жыл бұрын

    @@user-oc3ky6fy6q 이건 차악이라기보다 생활환경 차이로 정시도 차이가 날수가 있죠.. 강남 대치동 같은곳에서 수능분석해서 예상문제라든지 내용을 강의듣고 정리하는 학생이랑 교과서위주,ebs강의 위주로 하는 학생이랑 차이가 날수도 있다는 말 같은데요.. 그래도 그나마 이게 공정한 평가가 아닌가 싶네요..

  • @user-uf6qt4mt7r

    @user-uf6qt4mt7r

    4 жыл бұрын

    @이한 현강 안 들어보셨나요? 인강이랑 차원이 다르게 챙겨주는데

  • @srxysjw

    @srxysjw

    3 жыл бұрын

    @@user-uf6qt4mt7r 그거 다 보기는 해요? 글고 양에 비해 퀄도 ;;ㅋㅋ 별로던데

  • @user-jh7gt9ji1o
    @user-jh7gt9ji1o2 жыл бұрын

    2:07 The 진리 : 비싼 사교육을 시키더라도 공부는 학생이하는 것이고 시험은 애가보는것이다.

  • @Crouzel
    @Crouzel4 жыл бұрын

    사교육 강사 : 공교육 살리자 공교육 교사 : 에베벱ㅂ베 학생들 : @!%&@?♡

  • @user-ci8ii3bu6e
    @user-ci8ii3bu6e4 жыл бұрын

    사회자는 허수아비냐?ㅋ 미리 나서서 토론을 통제해야 완전히 주장을 듣고 반박하는데 말끊기에... 억지 반박에... 토론 개판되면 그때 슬금슬금 나옴ㅋ 대학교 토론 동아리도 이렇게는 안한다 ㅋㅋ

  • @nmmr7

    @nmmr7

    4 жыл бұрын

    논점 정리도 잘못하고 카리스마가 없다보니까 토론을 리드하지도 못하고 센스도 없고. 손석희만한 인물이 없는건지. 사회자가 만만하면 토론이 개판이 됩니다.

  • @user-yt2er9zg1u

    @user-yt2er9zg1u

    4 жыл бұрын

    고교 토론 동아리도 저거보단 나음

  • @user-es7go3om6w

    @user-es7go3om6w

    4 жыл бұрын

    사회자 여자남자 평등 관련된 토론할때 클로징 멘트 들으면 소름돋음 지가 유리천잔 깻다고 걍 여자편들고 끝남 사회자 역량이안됨

  • @user-cw3jv8vi6g

    @user-cw3jv8vi6g

    4 жыл бұрын

    사용자이름없음 얌마 손석희였으면 전교조편 대놓고 들었어 ㅋㅋㅋ

  • @x8908

    @x8908

    4 жыл бұрын

    이 사회자분이 좀 많이 약함...

  • @user-nx8dq8if2n
    @user-nx8dq8if2n4 жыл бұрын

    강성태님 말 잘하시네요 "좋은 수업을 잘듣는건 수업이 좋은면 잘들어요" 학교서 퀄리티 있는 수업을 못하니 사교육을 가는건데 포인트 잘 잡으시네요 그리고 할말 진짜 많은데 방송이다보니 많이 가려서 하시는거 같네요..ㅋㅋ

  • @youtubeDwellEyday

    @youtubeDwellEyday

    4 жыл бұрын

    hj 약간 전통시장 살리자고 이마트 일요일에 쉬게 하자고 하는느낌 ㅋㅋ; 전통시장의 품질과 경쟁력을 올려서 유동인구를 늘려야지 이마트를 쉬게한다고 시장을 가나 홈쇼핑을 하지 ㅋㅋ

  • @user-xf6bf8ik7p

    @user-xf6bf8ik7p

    4 жыл бұрын

    ㅇㅈ 학교쌤들 물론 준비 열심히 하시는 분도 있지만 자기 할말만 주욱 늘어놓고 나가는 사람 엄청 많던데요... 무슨 집중력 강화 훈련도 아니고

  • @user-nw5fc5lm2h

    @user-nw5fc5lm2h

    4 жыл бұрын

    편집했음에도, 말 참는게 보이네요 ㅋㅋㅋ

  • @user-lr2jz1xo1p

    @user-lr2jz1xo1p

    3 жыл бұрын

    @@taehoekang7197 지방에도 해당 지방의 명문고가 잇음.... 님이 아는 고등학교는 그냥 인문계 고등학교인거임... 지방 명문고 애들은 그런 수업태도 없음.

  • @limlaw_

    @limlaw_

    3 жыл бұрын

    성태님좋아하는데 이건 오류인듯 학교수업퀄리가도 좋아도돈많으면 사교육은 무조건받는디

  • @ililiil9830
    @ililiil98304 жыл бұрын

    나는 수시 확대되기 직전에 졸업하고 정시로 대학갔는데 정말 시대를 잘타고난거 같다는 생각이 든다 학생부니 내신이니 아무 고민없이 선생들 눈치 안보고 오로지 앉아서 공부만 할 수 있는 환경에서 공부할 수 있어서 정말 행운이였다는 생각이 든다. 저런 역겨운 전교조 교사들 눈치보면서 학생부 만들어낼 생각하니까 정말 토나올거 같다

  • @jsy914
    @jsy914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선생님한테 공부 좀하는애가 시험문제 채점결과 따지러갓는데 아무한테도 말하지말라고하고 맞게 해줫다고 햇단다 .... 수시 늘리는건 진짜 상상속 환상같은거임 ㅠ

  • @suprsoien4221
    @suprsoien42214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말이 인상깊네 교육에 교육이없고 정치만 있다..

  • @user-rx3yv4iy3f

    @user-rx3yv4iy3f

    4 жыл бұрын

    인정....다른 문제는 몰라도 아이들의 미래와 꿈이 달린 교육문제는...여.야를 떠나서 진짜 서로 합의해서 해나갔으면 좋겠음....근데 결국 국회의원들도 기득권이라....이번 조국 사태뿐만 아니라 왠만한 있는 집 자식들 서울대 교수 외 온갖 대학에 교수들 자녀들을 다 논문1저자에 이름올리고.... 수능이 그나마 기득권들의 접근을 조금이나마 멀리할 수 있어보임 진짜 조금이겠지만...

  • @clerksus3576

    @clerksus3576

    4 жыл бұрын

    교사나 교육부나 교육엔 관심없고 정치만해대니 학종 수시같은 비리 편법의 도구가 판치는 세상이된거아니냐 수능정시상대평가 100%가 제일공정하다

  • @user-ss4ed3pd6k

    @user-ss4ed3pd6k

    4 жыл бұрын

    @@user-rx3yv4iy3f 근데 저기 강대표는 조국하고 딸년 편들다가 비난 무지 먹었죠.

  • @dkdkdasas9455

    @dkdkdasas9455

    4 жыл бұрын

    @@user-ss4ed3pd6k 깔건있어도 제대로깝시다. 정유라사건 때는 먼저 나서서 깠는데 조국사건때는 아무말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는다고 욕먹었어요

  • @user-ss4ed3pd6k

    @user-ss4ed3pd6k

    4 жыл бұрын

    @@dkdkdasas9455 그런가요? 제가 잘못 알고 있나 확인은 해 볼게요.

  • @hahaha4788
    @hahaha47884 жыл бұрын

    전교조 교사님들 당신들이 주장하는 학종이 교사를 위한 학종인가 학생을 위한 학종인가?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봐라! 니네들 밥그릇 지키기로 보인다. 이놈들아

  • @user-nj1gx5vk2f

    @user-nj1gx5vk2f

    4 жыл бұрын

    으으으 좌파 전교조~

  • @user-te5qz4om3f

    @user-te5qz4om3f

    4 жыл бұрын

    논리봐 좌파라고 뭐라그러네

  • @academian9827

    @academian9827

    4 жыл бұрын

    논리를 따지고 들어가봐야지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봐라라는 식의 핀잔은 좋지 않다고 봅니다. 전교조에서 나오신 분의 논리도 일리가 있죠. 학종으로 인해 교사들의 업무가 과중되는데 교사들이 갑질한다는 논리에 맞설 수 있죠. 다만 우리는 논객으로서 학종의 폐해가 심각하다는 걸 알기에 전교조의 논리에 반박한다면, 교사의 업무가 과중되어서 교사의 책임이 늘어난 것도 맞지만, 교사가 학생에게 갑질하는 경우도 쉽게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대입에 있어 학종의 비율을 25%정도로만 하자. 라고 댓글러로서 논리적으로 말할 수 있는거 아닌가요?

  • @academian9827

    @academian9827

    4 жыл бұрын

    @@user-nj1gx5vk2f 무논리로 좌파라고 매도하는것은 박규성씨 당신의 무지를 드러낼 뿐입니다

  • @T.W.Hong.

    @T.W.Hong.

    4 жыл бұрын

    Amor 8대 고시 정도쯤이면 몰라도 수능 "따위"에 재능을 운운하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물론 스카이 학생들은 학습능력이 월등하거나 아니면 뛰어난 성실성이라는 재능을 가지고 있더라고요. 스카이를 제외한 소위 서성한중경외시로 이어지는 대학에 입학함에 있어서는 재능이 유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지만 노력으로 충분히 극복이 가능한 수준입니다. 저 또한 오래전에 수험생활하면서도 느꼈었고 용돈벌이로 과외하면서도 많이 느꼈던 부분입니다.

  • @gunddo
    @gunddo4 жыл бұрын

    10:50 문제가 있으면 그 문제를 해결하고나서 정책을 시행해야되는것 아닌가? 그 정책이 문제가 있는것을 알면서 왜 시행하는거지??

  • @mylife0_00
    @mylife0_003 жыл бұрын

    0:17 이현 이분 진짜 사이다 돈 많은 부모가 해줄 수 있는 사교육은 비싼 사교육밖에 없어 진짜 학생들이 공부하는 거지 하..무슨 정시확대반대측의 논리가 아주 골때린다

  • @tikklemoataisan
    @tikklemoataisan4 жыл бұрын

    전교조ㅋㅋㅋ 경쟁보다 협력이라고?ㅋㅋㅋ 그냥 유토피아 지어서 거기서 지지고볶고 하렴^^

  • @user-zw2pe1bu3z

    @user-zw2pe1bu3z

    4 жыл бұрын

    실제로 많은 학교가 시도하구 있구요 성공 사례가 줄줄이 배출되고 있습니다. 갈매고등학교, 이우학교 등등 많은 학교에서 협력 위주의 학교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 @terrye6707

    @terrye6707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많은 학교가 시도하고 성공하는 학교는 극 소수다. 얼마나 더 입시로 애들 테스트 하려고하냐? 누가봐도 공정하고 완벽한 길이 있는데 부정하고 거부하는건 사상에 문제 있는거 아닌가싶다

  • @user-ls1ze1cm9w

    @user-ls1ze1cm9w

    4 жыл бұрын

    상대평가의 온상이 내신인데 대체 협력을 어케 한다고 나불거리노 ㄹㅇ 머릿속에서 꽃밖에 없노

  • @user-zc3ll8bw4o

    @user-zc3ll8bw4o

    4 жыл бұрын

    @@user-zw2pe1bu3z 이우고 그런 곳은 10년전에도 시도 중인 학교 중 하나라고 소개많이되었었는데 지금도 대표사례로 언급되는거보면 세상 그대로네ㅋㅋㅋㅋㅋ좋게 변한게 없음

  • @henam5780

    @henam5780

    4 жыл бұрын

    @@user-zw2pe1bu3z 협력위주의 학교면 대학도 서로 양보해가면서 가겠네 현실은 현실이야 대학은 경쟁이고 대학가는데 협력위주가 왜 필요하지? 대학가서 팀플과제만해봐 매번 발암걸리지 지금이 무슨 새마을운동하던 시기니?

  • @juyongshim
    @juyongshim4 жыл бұрын

    왼쪽: 현실적, 주장에 따른 근거 충분 오른쪽: 이상적, 주장에 따른 근거 없음

  • @user-kd3bg3cr5f

    @user-kd3bg3cr5f

    4 жыл бұрын

    오른쪽 전라도

  • @user-wf5cw3ps7r

    @user-wf5cw3ps7r

    4 жыл бұрын

    @@user-kd3bg3cr5f 지역간 불화 일으키는 발언은 삼가 합시다

  • @been6471

    @been6471

    4 жыл бұрын

    @@user-kd3bg3cr5f 지역발언은 좀 모잘라보인다 인종차별이랑 다른게뭐냐

  • @user-bc8or7er8s

    @user-bc8or7er8s

    4 жыл бұрын

    @@user-kd3bg3cr5f 미안한데 나 전라도 사람이다 틀딱아; 난 정시 비중 늘려야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야

  • @godking3073

    @godking3073

    4 жыл бұрын

    @@user-kd3bg3cr5f 추하다 미니기..

  • @user-mo5qf7oe9c
    @user-mo5qf7oe9c3 жыл бұрын

    3800년 ㅋㅋㅋ 킬링포인트

  • @cyongs
    @cyongs3 жыл бұрын

    5:32 완전 공감합니다. 수능세대고 지방 평준화 지역 학교입니다. 저를 비롯해 고등 동창들 고등학교 3년 동안 학원 다닌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학교수업의 질이 좋았고 그에 대한 선생님들 자부심도 대단했죠. 당연히 진학율도 지역 최고였습니다.

  • @Berserker195
    @Berserker1954 жыл бұрын

    강성태랑 이현 이분은 실전에 입각해서 얘기하고 있는데 전교조로 나온 사람들은 교직원이란 분들이 현실을 모르는 건지 의도적으로 무시하는 건지..

  • @user-so4vi2yg9l

    @user-so4vi2yg9l

    3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전교조 분들은 상위1%를 위해 살신성인 하시는듯

  • @jek5557

    @jek5557

    3 жыл бұрын

    아몰랑 수시가최고야 빼애애액

  • @user-yk1zb9rp4t

    @user-yk1zb9rp4t

    3 жыл бұрын

    @@jek5557 지능형 안티로 수시를 반대하시군요,방법은 별론데 노력은 인정합니다

  • @user-dg1nu7zp1o

    @user-dg1nu7zp1o

    Жыл бұрын

    아이러니하게도 사교육 선생님들은 교육 현실의 문제를 짚고 사교육이 늘어날 수 밖에 없는 현실에 대해 이야기하고, 전교조 선생님들은 사교육걱정없는 교육에 대해 얘기하며 각종 사교육에 불을 지피는 정책 유지에 대한 얘기를.... 게다가 전교조 참교육? 선생님은 다른 학교도 아닌 하나고 선생님이라는 것... 보편적인 학생들의 현실을 안보려는 것지 못보는 건지...

  • @user-wo7qp6fc1s
    @user-wo7qp6fc1s4 жыл бұрын

    공교육을 강화하는 건 공감하네요. 강성태씨가 말했던 것 처럼 강의를 잘하면 돈내서라도 다 듣는데. 교사들도 실력없으면 짤라야한다고 생각드네요. 그게 진심으로 공교육을 강화하는 방법이라고 생각드네요.

  • @IOOvsI

    @IOOvsI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그러면 전교조랑 개노답 선생들 온갖 개지랄을 할 게 뻔함

  • @ideal9985

    @ideal9985

    4 жыл бұрын

    현실적으로 자르긴 힘드니까 교사의 행정적 업무 부담을 줄여준다던가 교사의 교수법 강의를 더 늘린다던가 등 공교육 경쟁력 향상시킬 방법은 반드시 찾아야함 사교육 질 수준까지는 당연히 어렵겠지만 진짜 사람같이는 가르쳐야 할 것 아니겠음...

  • @user-wo7qp6fc1s

    @user-wo7qp6fc1s

    4 жыл бұрын

    기업들 엔지니어들 보면 살아남으려고 경쟁력가질려고 발악을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정작 교사들은 정년이 보장되니까 교사들중에서 정말로 학생들 교육에 대해 고민하고 이행하는 교사가 몇이 될까요? 행정업무도 많은 것도 마찬가지고 교사들이 학생들로 가르치는게 의미없다는 생각안들게 저것만큼이나 교권이 바로서게 하는 것도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이 드네요.

  • @user-mg4sr8jv1d

    @user-mg4sr8jv1d

    4 жыл бұрын

    10년 공교육동안 수십 수백명 교사를 보았지만 딱1분 빼곤 별루였다. 교사들 수준 높아져??...그냥 웃는다.ㅋ

  • @user-rh2sv8mx7i

    @user-rh2sv8mx7i

    4 жыл бұрын

    교사들이 실력없으면 잘라야한다가 아니고 노력은 해야되는거 아닌가요 수능은 개천에서 용날수 있습니다

  • @user-ho9jr6qi2h
    @user-ho9jr6qi2h4 жыл бұрын

    답은 하나다...정시 확대... 수시합격자가 최저 못 맞출까봐 걱정하는것만봐도..ㅠ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