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분토론] "그러니까 성적이 안나오죠"

‘정시 확대’ 논란, 무엇이 공정한가
출연패널
강성태 / 공신닷컴 대표
김태훈 /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부위원장
이 현 / 우리교육연구소 대표
전경원 / 전교조 참교육연구소장
(가나다순)
2019년 11월 5일 100분토론 849회
풀버전 보기
playvod.imbc.com/Vod/VodPlay?b...

Пікірлер: 18 000

  • @MBC100
    @MBC1004 жыл бұрын

    ▼풀버전다시보기▼ playvod.imbc.com/Vod/VodPlay?broadcastId=1000842101182100000

  • @erinbronko

    @erinbronko

    4 жыл бұрын

    오 착하다 방송국 년들

  • @redshield2842

    @redshield2842

    4 жыл бұрын

    노란 리본봐라 벽이다 벽

  • @manseonghyang1905

    @manseonghyang1905

    4 жыл бұрын

    응 안봐 엠병신들

  • @seomeomeo

    @seomeomeo

    4 жыл бұрын

    걍 엠비씨 이름바꾸세요. 엠없음 으로

  • @user-bt6oj2zc7p

    @user-bt6oj2zc7p

    4 жыл бұрын

    광고 엠비시 수발러마

  • @nosbi1232
    @nosbi12324 жыл бұрын

    교육에 대한 토론에서 당사자인 학생이 빠진 것 부터가 틀려먹었다.

  • @user-bk1db3bq3z

    @user-bk1db3bq3z

    4 жыл бұрын

    hjj 123 정말로 우리도 민주주의의 확장이 필요함을 아시는분이 있음에 감사하네요 힘내요. 앞으로 나아갈 세상을 우리가

  • @user-xm8nh5xx7x

    @user-xm8nh5xx7x

    4 жыл бұрын

    그러네?ㅋㅋㅋ

  • @user-bw3sj2up3x

    @user-bw3sj2up3x

    4 жыл бұрын

    적어도 청중으로 질문이라도 받았어야함

  • @nosbi1232

    @nosbi1232

    4 жыл бұрын

    @@user-xw6gz7vb6o 우리나라가 학생들의 의견을 물어봐서 교육제도를 세운적이 있던가? 시도도 안해본것 같은데? 대학에 입학하기 위해 노력하는 얘들이 교육정책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지는 않을거야. 학생들이 수시가 불공평하다고 비판하는 걸 보면 교육정책에 대해서 어느정도 알고 있겠지. 물론 니말대로 자기 편할려고 쉬운입시 정책(니가 말한 쉬운 입시정책의 정의가 뭔지는 모르겠지만) 을 선호하는 학생들도 있겠지만 자신의 미래를 위해 그러지 않을 학생들도 있겠지.

  • @user-gq1ng4hn5s

    @user-gq1ng4hn5s

    4 жыл бұрын

    @@user-xw6gz7vb6o 틀니 5주압수

  • @user-bv8uk1it2m
    @user-bv8uk1it2m4 жыл бұрын

    전교조는 현재 학교 현실을 모르면서 강성태 시절 학교랑 지금은 다르다 하는거 정말 짜증난다 넷 중에서 강성태가 가장 최전방에서 마주하는거 같은데

  • @nalong731

    @nalong731

    4 жыл бұрын

    김용빈 그러니깐요ㅋㅋㅋㅋㅋㅋㅋ 꼰대들이 뭘 안다고 ㅋㅋㅋㅋㅋ

  • @NJSOMG

    @NJSOMG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꼰머분들... 님들은 더오래되서 모르시는가봐요

  • @user-wo7bp7vt5x

    @user-wo7bp7vt5x

    4 жыл бұрын

    바꾸고싶지않으니 교육이 이모양이죠 지들만 누리고싶은 기득권들

  • @user-nx9ez5cp3p

    @user-nx9ez5cp3p

    4 жыл бұрын

    아 내말이요 진짜 ㅡㅡ 어처구니임 지들이 더 모르면서

  • @user-nq3qk6ho4t

    @user-nq3qk6ho4t

    4 жыл бұрын

    현재 학교 현실을 모르는게 아니라 본인들 입맛대로 내신 강화로 교사들 힘을 키워 청탁이나 비리로 재산 축적하겠다는거지

  • @user-rp3yb7kv3s
    @user-rp3yb7kv3s Жыл бұрын

    진찌 웃긴게 학생들은 다 정시가 공정하다고 하는데 정치인들은 자기네 자녀들 때문에 수시를 ㅈㄴ밈 ㅋㅋㅋㅋㅋㅋ

  • @user-Neapolitan6

    @user-Neapolitan6

    Жыл бұрын

    정시나 수시나 마냥 공정하지만은 않긴 한데 당장 학종보단 나으니 수시를 하더라도 학종은 없애는 방향으로 가야 될 듯... 솔직히 수시나 논술 자체도 장기적으론 없앴으면 하는 게 수시 하면 결국 입학사정관제를 하는 미국처럼 학사비리가 만연하고 공부보단 다른 걸 잘 하는 학생들이 학교를 더 잘 가는 병폐를 떠안게 되고, 논술 또한 일본처럼 돈 있는 집안이 소논문이나 논술, 대면 주제를 미리 받아보고 합격하는 비리가 만연할 거... 무조건적인 시험만으로도 답이 없는 게 그럼 결국 중국처럼 낙오자들은 무한 재수를 하게 돼서 입시낭인들이 판을 치게 되는데 중국에서만 보이던 문제가 한국도 드리우고 있음. 카이스트, 한예종, 포스텍 등의 특수학교를 제외하면 최상위권 사립대는 n수생 비율이 이미 엄청남... 누구에게나 시간만 주면 해결할 수 있는 제도가 돼야지 창의성은 대학가서 찾아도 충분함. 애들한테 창의성을 강요하는 것부터가 문제인 듯... 경쟁력이 필요하다면 차라리 입학 연차를 조정하는 게 맞는데 그 조차도 겨우 1년차로 그 경쟁력이 부작용을 감수할만큼 이득인지 의문임.

  • @seungwoojang3530

    @seungwoojang3530

    Жыл бұрын

    뭔 자녀땜에 수시를 밀어.. 말도 안되는 소리하고 있네 ㅋㅋㅋㅋ

  • @user-wb3rz2fw8o

    @user-wb3rz2fw8o

    Жыл бұрын

    ​@@seungwoojang3530 아닐 거 같지?? 지들 자녀 땜에 있는 없는 정책 싹 다 만드는 게 윗줄인데

  • @haruharu7048

    @haruharu7048

    Жыл бұрын

    @@user-wb3rz2fw8o 응아니더라ㅋ

  • @user-wb3rz2fw8o

    @user-wb3rz2fw8o

    Жыл бұрын

    @@haruharu7048 몰라도 너무 몰라서 하는 소리지 그건 ㅋㅋㅋ

  • @user-gh2ur3dh7e
    @user-gh2ur3dh7e2 жыл бұрын

    내가 고등학교 다닐 때도 몇몇 과목은 프로젝트 형식이였고 학생이 몇몇 분야에 대해서 PPT만들어오고 발표하는 방식이 주된 수업이였는데 더 좋고 질 좋은 교육은 커녕 선생님은 그냥 평가만 하는 사람이냐는 말만 나오기 시작했고 내 지식 친구들의 지식이 아니라 구글과 위키피디아의 지식을 뱉어내는 자리였던거 같아요

  • @user-zf4jo7do3w

    @user-zf4jo7do3w

    Жыл бұрын

    그건 이제 프로젝트 학습이라고 안합니다 안타깝네요

  • @MBGS_RYZE

    @MBGS_RYZE

    Жыл бұрын

    대학 수업에 교수님께서 외국의 교수법이라면서 매주 과제를 주시고 결과물을 봐 주시는 방식을 소개해주셨는데, 문제는 그 교수님께서 피드백이 없이 좀 잘 된 결과물을 보면 함께 특허를 내자거나, 연구생 해 보겠냐는 말밖에 없었고 결국 대다수의 학생들은 과제만 해 오고 수업은 전혀 안 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 @user-Wz61mg2pb
    @user-Wz61mg2pb4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이렇게 윗사람들이 이해자체를 못하니까 우리나라 입시제도가 나아질수가 없구나 ㅋㅋㅋㅋㅋㅋㅋㅋ 요즘 수능좀 봐보세요 외워서 될거엿으면 강성태는 왜 매년 그걸 보고잇겟냐고ㅋㅋㅋㅋㅋ

  • @cidercidercidercidercider

    @cidercidercidercidercider

    4 жыл бұрын

    팩트 - 저기에 나온 새끼들중 강성태빼고 한 과목이라도 1등급 맞을 새끼 없음

  • @licanxi

    @licanxi

    4 жыл бұрын

    ᄇᄋᄅ 가조쿠면당장 구독눌러 ㅋㅋㅋㅋㅋㅋㅋㅋ

  • @davidyu1630

    @davidyu1630

    4 жыл бұрын

    @@cidercidercidercidercider 성태형 옆자리앉은사람 서울대야 ㅋㅋ

  • @jeongbinpark1350

    @jeongbinpark1350

    4 жыл бұрын

    @@cidercidercidercidercider 강성태 옆에 사람 이지영 전까지 윤사 생윤 1타 하던 사람임

  • @user-qr3ke9wm3b

    @user-qr3ke9wm3b

    4 жыл бұрын

    조국때 벙어리였다가 관심많은척하는거 극혐

  • @nickson211
    @nickson2114 жыл бұрын

    이 프로 보면 항상 전문가 한명이 멍청이 한두명 상대로 답답해하는게 주요컨텐츠임

  • @user-sl6ew5mp5n

    @user-sl6ew5mp5n

    4 жыл бұрын

    그와중에 제대로 된 말 하는 사람은 항상 상대방 말 끝까지 듣는데 상대방은 말끝마다 꼬투리잡죠

  • @user-gw6cw6go5r

    @user-gw6cw6go5r

    4 жыл бұрын

    전문가가 강성태님?

  • @user-tb2rz8ty9t

    @user-tb2rz8ty9t

    4 жыл бұрын

    @@user-gw6cw6go5r 그렇죠

  • @user-gw6cw6go5r

    @user-gw6cw6go5r

    4 жыл бұрын

    @@user-tb2rz8ty9t 갓성태 ㅎㅎ

  • @user-bj3dr8oh2z

    @user-bj3dr8oh2z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 @shiro_Baek
    @shiro_Baek2 жыл бұрын

    강성태 대표를 얕잡아서 부르면 끽해봐야 사교육 강사 나부랭이인데 그 사교육 강사 나부랭이보다 현장을 모르는 것들이 소장으로 처앉아있는데 뭐가 바뀌겠냐 ㅋㅋ 혁신은 일단 저것들한테 해야하지 않겠냐.

  • @okplokpl570

    @okplokpl570

    2 жыл бұрын

    현장을 모르는 게 아니야 ㅋㅋㅋ 학종제도 하에서야 본인들이 학생위에 군림할 수 있으니까 저런 개소리를 하는 거지 ㅋㅋㅋ

  • @user-fp6cv4gx3z

    @user-fp6cv4gx3z

    2 жыл бұрын

    지들도 알지만 권력을 위해서.

  • @Doooboo

    @Doooboo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윗 권력자 대부분이 현장을 모르는 듯

  • @user-zb7sf4sz9b
    @user-zb7sf4sz9b2 жыл бұрын

    100분토론은 진짜 전문가가 누군지 ㅈ문가가 누군지 알려주는 프로그램이다..

  • @user-li7wb4ye8w

    @user-li7wb4ye8w

    Жыл бұрын

    이거 ㄹㅇ ㅋㅋㅋㅋ 십공감

  • @user-yt7ji6yl2b

    @user-yt7ji6yl2b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누가 ㅈ문가임??

  • @def_win4689

    @def_win4689

    Жыл бұрын

    둘 다 ㅈ문가임

  • @user-sr9rb9hb3y

    @user-sr9rb9hb3y

    Жыл бұрын

    걍 싸워서 누구말이 맞는지 보여줘야지!

  • @user-sr9rb9hb3y

    @user-sr9rb9hb3y

    Жыл бұрын

    답답하다! 준석이불러와라

  • @play_kim1
    @play_kim14 жыл бұрын

    학원강사로 일하며 느낀 수시단점: 1. 수시위주가 학생에겐 더 부담이다 2. 일찍부터 진로를 확정하고 설계해야한다. 3. 수시정시 둘 다 잘사는 집 애가 유리하다. 다만 정시는 역전기회라도 있다.

  • @DP-official

    @DP-official

    4 жыл бұрын

    3번이 가장 정확하다

  • @user-mz6pb7ix4s

    @user-mz6pb7ix4s

    4 жыл бұрын

    정시의 가장큰 문제점: 공교육이 개판이 된다 -> 학교수업 아무도 안듣고 결국 사교육( 학원 ) 에만 의존

  • @user-tq4xf5el8w

    @user-tq4xf5el8w

    4 жыл бұрын

    @@user-mz6pb7ix4s 올해 수능본 고3인데 애초에 공교육을 제대로 해놓으면 사교육 열풍이 불겠음? 교사들한테 잡무 엄청 시킨다는데 학원강사보다 수업의 질이 좋을 수가 없지

  • @user-mz6pb7ix4s

    @user-mz6pb7ix4s

    4 жыл бұрын

    @@user-tq4xf5el8w 이게 문제가 루프처럼 무한반복되는거임 하나 해결하려하면 저게 문제고 저거 해결하려하면 이게문제고

  • @JS-zt7fs

    @JS-zt7fs

    4 жыл бұрын

    @@user-tq4xf5el8w 악순환임 학부모들은 공교육을 못 믿고 사교육이 증가하니 공교육의 질이 떨어지고 참..

  • @user-tv1jq1ch4p
    @user-tv1jq1ch4p4 жыл бұрын

    참... 답답한 토론이다. 사교육 강사가 오히려 맞는 말을 하고 있고... 그 반대여야할 사람들이 엉뚱한 수시 수행평가 이런 공염불이나 외우고 있고 허... 참

  • @fez4382

    @fez4382

    4 жыл бұрын

    교사들의 학생 장악력, 파워가 올라가기 때문이죠 수행평가 수시 학생부 등등 교사가 평가할 항목이 높을수록 컨트롤이 쉽다고 느끼는듯...

  • @user-mv4fz3zx6t

    @user-mv4fz3zx6t

    4 жыл бұрын

    노란리본에서 일단 거름

  • @LeeJinSung.

    @LeeJinSung.

    4 жыл бұрын

    @@user-mv4fz3zx6t 이거 ㄹㅇ 세월호는 애도할만하지만 이걸 정치적 이미지로 사용해서 보여주기식으로 하는게 너무 역겨움 실제로 세월호사건 터졌을때 참된사람은 리본살돈까지 아껴서 기부함

  • @LUADULGY

    @LUADULGY

    4 жыл бұрын

    @@LeeJinSung. 이거ㄹㅇ인게 시발 사건터질ㅈ때 봉사도 안가고 기부도 안한 새끼들이 이제와서 리본달고 지랄하는거 꼴뵈기싫음..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저러니깐 할배할매아재들이 세월호 그만하라고 하는거지

  • @user-lz5er2qo7q

    @user-lz5er2qo7q

    4 жыл бұрын

    투리우 플러스 전교조에서 거름

  • @hruvia
    @hruvia Жыл бұрын

    학종러로써 너무 힘든 점이 생기부입니다 특히 2023년 학종 전형부터는 생기부에 많은 것들이 제외되고 교과선생님들께서 적어주시는 1500바이트 생기부, 담임선생님께서 적어주시는 생기부가 매우 중요해졌는데 생기부에 선생님들 사심이 들어가서 너무 힘들었습니다.. 이런 말 좀 그렇지만 비위 맞추기였습니다... 수업시간에 비도덕적인 말씀을 하시는 분들, 누가 들어도 당황스럽고 옳지 않은 심지어 학생들의 인격을 모욕하는 말을 하시는 선생님이 계셨는데 저도 마찬가지고 친구들도 ‘생기부’ 때문에 참아야지라는 말을 달고 살았습니다 제일 심하셨던 분이 담임 선생님이셨어서 제 생기부를 전부 써주시는 분이시기에 부당한 대우를 받고 상처를 받으면서 심리적으로 매우 힘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말도 하지 못하고 1년을 참았습니다 생기부로 인해서도 갑질을 당한다는 겁니다 학교에서도 친구들끼리 장난으로 항상 그래요 우린 을이니까 그냥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고.. 학교에서 익명으로 선생님 평가하는 것도 함부로 하지 못했고 부모님께 말씀드려 부모님이 도와주시겠다고 하셨지만 제가 말렸어요 잘못되면 지금까지 쌓아놓은 생기부만 망친다고... 어이없는게 이게 제 얘기만이 아니라 저희반 친구들 모두가 그랬어요 그렇게 1년을 참았네요 웃긴게요 중학교랑 고등학교랑 선생과 제자 사이가 너무 달라져요 중학교 때는 정말 배우는 마음으로 선생님을 대했다면 고등학교 올라와서는 그저 대학을 위한 선생님을 만나는 느낌이네요 학생으로서 이게 참 슬펐어요 인격적인 만남이 아닌 뭐랄까 비지니스 관계... 이건 학생 뿐만 아니라 선생님들도 그렇게 생각하실 것 같네요 쨋든 전 수시러임에도 불구하고 생기부의 폐해가 너무 많습니다

  • @Ramen_poor

    @Ramen_poor

    4 ай бұрын

    선생뽑기가 중요하긴하죠

  • @nangyukan6628
    @nangyukan6628 Жыл бұрын

    내신 강화되기전 수능본 세대이고 당시 재학하던 학교가 정시에 중점을 둬서 그런지ㅜ몰라도 당연히 모두가 평등하게 같은 문제 풀고 받는 성적으로 대학가는 정시가 강화되어야한다고 보는데 지방이었지만 그래도 법대의대합격자포함10명이상 서울대로 보낼정도의ㅜ학교였는데 지금은 ㅠㅠ

  • @justins.
    @justins.3 жыл бұрын

    수시: 너희 일상을 평가해볼테니 한번 가식적으로 살아봐라

  • @user-js9bi5cm9c

    @user-js9bi5cm9c

    3 жыл бұрын

    잘사는 집 얘들은 수시도 잘나올수밖에 없고 비리는 더 심해지겠지.. 그나마 비빌수 있는게 정시인건데.. 정시를 옹호하긴하지만 그래도 1년에 한번이라는 기회는 너무 부담이 크긴하다 일정 점수대까지 가면 공부를 아무리 더해도 진전이 없을거같은때(다 아는거라 뭘 공부해야할지 더 공부하는게 의미가없다는 생각이 드는때)가 오는데 그런얘들도 시험날 컨디션이나 주변요인들로 망치면 또 1년 아무 의미도 없는 똑같은 공부 반복해야하고..정시도 말이 나올수 밖에 없는거같다

  • @user-fj1tr6we3d

    @user-fj1tr6we3d

    3 жыл бұрын

    @@user-js9bi5cm9c 최초의 수능은 1년에 두번이었는데 1차가 너무 쉬워서 1차 때 원하는 점수 뽑은 사람들은 맹탕 노니까 학업분위기 망치고 그 와중에도 꿋꿋이 공부하던 학생들은 2차가 1차에 비해 너무 어려워서 또 원하는 점수 못뽑고... 당시엔 표준변환이 없어서 이 난리가 났었는데 지금 표준변환 가지고 다시 1년에 수능 두 번 치면 괜찮을것같긴 해요

  • @user-hc2ft5sp9x

    @user-hc2ft5sp9x

    3 жыл бұрын

    @@user-fj1tr6we3d 무조건 1차 썻다고 중학생 선생님이 말한거 기억나넼ㅋ

  • @user-vq4rn5xl1u

    @user-vq4rn5xl1u

    3 жыл бұрын

    @@user-fj1tr6we3d 최초 수능이 두번이 아니라 기존이랑 똑같다가 두번으로 바뀌고 난이도때문에 다시 한번으로 바뀐걸로 아는데 아닌가

  • @ssapgaming

    @ssapgaming

    3 жыл бұрын

    ㄹㅇ

  • @Compassleader
    @Compassleader4 жыл бұрын

    의미도 없는 UCC만들기, 선생이 수업해야할것을 학생들이 준비해서 발표하는 것이 대부분 수행평가의 현실이다. 전교조? 사걱세? 웃기시네

  • @user-ly1um4fn9r

    @user-ly1um4fn9r

    4 жыл бұрын

    그나마 챙겨주고 싶은 선생님들은 독서 수행평가 내 주시긴 하는데 과반수는,

  • @yurukuma123

    @yurukuma123

    4 жыл бұрын

    나도 그거 햇었는데 한명씩 그날 수업할거 요약해서 쉽게가르쳐보기 그게 근데6~7년전에 한건데 아직도하는거봐선 심각하긴 한가보다 고딩애들이 수업을 어케해봐ㅋㅋㅋㅋ 대학생들이 왜 실습이라는걸 하는데ㅋㅋㅋㅋ 우리나라 입시제도 여러모로 손봐야해

  • @dinnerj2378

    @dinnerj2378

    4 жыл бұрын

    Flipped Learning

  • @bigwave6073

    @bigwave6073

    4 жыл бұрын

    와 유씨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개쓸데없는 영어 유씨씨 만들기 중고등학교 다 문제임 고등학교 때도 수학 수행평가 그냥 수학 시험임;;

  • @user-in2rd5zi5k

    @user-in2rd5zi5k

    4 жыл бұрын

    UCC는 의미 없다고 하면서 영어 빈칸 채우기, 문학 작품을 부분만 읽고 해석하기는 무뇌아처럼 외우기만 하는 학생들 ㅠㅠㅠ

  • @hahkzoonkim5742
    @hahkzoonkim57422 жыл бұрын

    7:26 강성대 대표가 서울대 자소서 우수사례 읽을 때 나머지 네명의 표정을 봅시다 사회자와 전교조 2명 표정변화 없음(이해를 못함) 그 와중에 동공이 흔들리며 자기한테 저 내용에 대한 답을 할 수 있거나 질문을 이해하냐고 물어볼까봐 근심하는 표정이 보임. 강성대 옆 패널 : 그런 세사람의 표정을 관찰 중임

  • @lgr6562
    @lgr65622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아직도 기억나는게 나 싫어했던 선생이(싫어했던 이유도 동아리 활동 너무 열심히 한다고 일 너무벌린다고 싫어함) 필기노트써서 내라했는데 반 2등애가 내거 배껴서 씀 근데 걔는 A 난 C줌 ㅋㅋㅋ 이런 수행평가 내신 반영 비중이 40~50%임

  • @user-zd1ux8pj3n

    @user-zd1ux8pj3n

    2 жыл бұрын

    선생이 개같은새끼네;;; 그런 새끼들이 선생질하고 있으니 시펄;

  • @lgr6562

    @lgr6562

    2 жыл бұрын

    @@user-zd1ux8pj3n 심지어 올 해 장학사로 갔다네요.. ㅠ

  • @user-zz4wj4zx4d
    @user-zz4wj4zx4d3 жыл бұрын

    수행평가가 높아져 ㅋㅋㅋㅋㅋㅋㅋㅋ 수행평가가 제일 멍청한 제도. 시험기간에 수행평가 내주고 공부하라고 하고 장난치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Roni

    @user-Roni

    3 жыл бұрын

    맞아 이건 진짜 이해가 안된닼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다 또라이들 같아

  • @foodsoxer9999

    @foodsoxer9999

    3 жыл бұрын

    대학교가고싶은애들 아니야?? 대학교는 학생들은 다 그래 ㅋㅋㅋㅋㅋㅋ시험기간에도 교수가 줫까 난모르니까 어느 기간까지 해와~ 하고 내주는데

  • @minseo4823

    @minseo4823

    3 жыл бұрын

    @@foodsoxer9999 씨발 고등학생이 대학생이냐?

  • @ssm_.o

    @ssm_.o

    3 жыл бұрын

    @@minseo4823 사이다

  • @hoyoonjeon6700

    @hoyoonjeon6700

    3 жыл бұрын

    ㄹㅇ ㅅ벌 ㅋㅋㅋㅋ 시험 이틀 남았는데 수행을 쳐 봄

  • @develope126
    @develope1263 жыл бұрын

    수행평가를 무슨 교육 혁신처럼 생각하는데 그냥 학생들한텐 점수 작아서 개귀찮은데 무시할 수는 없는 딱 그정도임

  • @user-fo4zx3hy9z

    @user-fo4zx3hy9z

    3 жыл бұрын

    ㄹㅇ ㅋㅋ 존나 귀찮어

  • @kisha5097

    @kisha5097

    3 жыл бұрын

    작년에 고등학교 졸업한 사람인데 오히려 수행평가가 부담을 주지 않음? 수행평가마다 다르지만 어떤 거는 몇일 잡아서 토론하고 정리하고 영상찍고 발표하고 다하는데 거기 피로도가 쌓이면 당연히 중간,기말 같은 시험 준비는 못함. 게다가 수행평가도 보통 시험기간 내에 있음;;

  • @hjc5721

    @hjc5721

    3 жыл бұрын

    @@kisha5097 ㄹㅇ임. 공부 다해서 일찍 자려해도 수행 내야되서 아침해 보고 잠든 적 있음

  • @socill470

    @socill470

    3 жыл бұрын

    그 평가를 수행하는 학생들한테는 본인들이 신경쓰고 준비하는데 쏟는 노력에 비해 대가나 실력 증진에 대한 영향이 너무 없음. 그러니까 ㅈ같을 수 밖에 없지.

  • @user-si5nk8bz8o

    @user-si5nk8bz8o

    3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만점은 받아야되는데 ㅈㄴ귀찮

  • @nirene2553
    @nirene2553 Жыл бұрын

    예전 정시(수능 60, 내신 40)시절엔 수능과 내신(배운 교과내용 지필고사 + 단순 실기평가)만 하면 되었는데... 내신이 40이 들어가서 학교 수업도 대부분 열심히 들었고 공교육이 지금보다 덜 무너졌었음... 요즘 너무 복잡해서 아이들이 많이 힘들 듯... 초등 시절 부터 옛날과는 사뭇 다른 하루 일과표를 보고 깜짝 놀라곤 합니다... 수능을 단순 문제 풀이의 양으로만 여기다니... 깜놀... 교과내용을 바탕으로 사고력과 창의력, 문제 해결 능력이 없으면 안되는 문제들이 출제되는데..... 어릴때 부터 책 많이 읽고 생각과 논리적 사고 많이 한 아이들이 국어영역(예전 언어영역) 더 잘 나오고... 이런식인데... 가난해서 학원 많이 안다녀도 수능과 내신 잘 받아 좋은 대학 가는 아이들이 많았는데... 수행평가 및 학종제도가 잘 사는 집 아이들이 초등부터 더 빨리 유리한 부분을 만들고 남는 시간에 사교육 들여 수능 준비 해서 좋은 대학 가게 변질된 건 사실임... 개혁 필요함...

  • @pipi-cm6xz

    @pipi-cm6xz

    Жыл бұрын

    수능 비율 높은 시절도 ㅋㅋ 잘 사는 집 애들 서울대 과외붙이고 그렇게 아무 걱정없이 공부에 올인하겠죠 수능이건 내신이건 돈걱정없이 아니 먹고사는데 지장없이 공부한 것 자체가 그냥 빈민가 입장에선 천운이라 할 수 있고요 수능.. 사고력 창의력하지만 국어만큼은 근본독해력 재능이 ㅋㅋ 있죠 솔까 앉아서 문제 많이 푼 사람 못 이겨요 비문학도 문제 개 많이 풀면 감 감이라 하기도 그렇고 센스가 생기고 노하우가 생기며 자신만의 공부법이 생겨요 당연히 어릴때 책 많이 읽은 애는 더 수월한거죠 그냥 수능체계를 바꾼 후 다른 방식의 정시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 @Dreams-come-true.
    @Dreams-come-true. Жыл бұрын

    이번에 고등학교 졸업하는 고등학생인데 수시는 공정한게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론상으로는 과정으로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 공정하다고 볼 수 있겠지만 현실에서는 학교마다의 차이가 너무 심합니다. 어떤학교는 학생들이 생기부를 잘 채워나갈 수 있도록 자율동아리와 같은 활동들을 지원해주고 여려분야의 학교대회들을 만들어주는 반면 저희학교는 동아리를 만들려고 해도 수학탐구동아리, 과학탐구동아리 영어문법동아리와 같은 동아리가 아니라면 동아리 계획서를 반려시키곤 했습니다. 그렇다고 생기부에 넣을 수 있는 대회가 많은 것도 어니었습니다. 이런 것들을 보면 수시는 학교마다의 차이가 너무 커서 학군의 중요성이 더 심해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수행평가의 비율이 높아져서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고 하시는데 제가 겪은 바로는 현재 고등학교에서 시행되고있는 수행평가의 대부분은 선생님들이 답을 미리 알려줍니다. 그리고 그 답을 외우면 수행평가 만점이 나오죠 발표수업같은 경우에도 그냥 아무런 주제나 가지고와서 제한시간동안 화면보고 화면에 써있는 글을 읽기만해도 만점을 줍니다. 그리고 학교에서 치루는 중간고사,기말고사들도 문제가 많은데 선생님들은 수업시간에 거의 개념만 가르쳐주시고 시험에는 블랙라벨과 같은 고난이도 문제집에서 발췌하여 숫자만 바꾼 문제들을 출제해주십니다. 그리고 책에 오류가 있어도 그대로 가져오셔서 학생들이 오류로 이의를 제기하는 경우도 적지않았습니다. 그나마 정시는 모든 학생들이 다같이 한날 한시에 치루고 문제의 난이도 분배나 퀄리티가 더 좋아서 정시가 더 공정하다거 생각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해가 지날때마다 정시비율 확대다 수시비율 확대다 하시는데 제발 실제학교에서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꼼꼼하게 확인을 하고 진행해주세요 매년 휙휙 바뀌는 입시제도에 피해를 보는건 학생들입니다.

  • @user-yj5sr6vn1y
    @user-yj5sr6vn1y4 жыл бұрын

    내신이 암기식인게 진짜 씹팩튼데... 이래서 뭘 모르는 사람들한테 감투를 씌워주면 안되는데 ㅋㅋ

  • @user-df9hz5nr6e

    @user-df9hz5nr6e

    4 жыл бұрын

    별 공부같지도 않길래 정시만파는중

  • @user-hb4vq5xj1c

    @user-hb4vq5xj1c

    4 жыл бұрын

    이승준 아무리 그래도 지금 내신 파는게 훨 현명하고 똑똑한 선택임

  • @user-df9hz5nr6e

    @user-df9hz5nr6e

    4 жыл бұрын

    @@user-hb4vq5xj1c ㅋㅋㅋㅋㅋㅋㅋ자기 길 가는거죠 훨 현명이라뇨 말싸움하기싫네여 근거가 존나많은데

  • @user-nl2mr8dm7z

    @user-nl2mr8dm7z

    4 жыл бұрын

    @@user-df9hz5nr6e ㅋㅋㅋㅋㅋㅋ맞는말이긴한데

  • @user-un1bq7wx1g

    @user-un1bq7wx1g

    4 жыл бұрын

    공부를 거의 안해도 대학 갈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 수시임. 제대로 해보겠다는 의지면 정시파야지

  • @minsjang9467
    @minsjang94674 жыл бұрын

    학종은 사교육 없는 것 처럼 지껄이는거 왜캐 역겹지 ㅋㅋ 입시코디라는 것 자체가 학종을 파고들어서 나온건데

  • @user-ub9uv4ls3s

    @user-ub9uv4ls3s

    4 жыл бұрын

    ㄹㄹㅇ 학종은 사교육을 없애서 교육비 줄이는 거 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사교육비보다 지출 더 많아지게 하는 거. 그리고 학생들을 더 굴리는 거. 공부뿐만 아니라 봉사활동부터해서 해야 될 게 많아짐..

  • @user-wz2jr3rk3b

    @user-wz2jr3rk3b

    4 жыл бұрын

    오히려 사교육이 점점 더 이상하게 변함

  • @minsjang9467

    @minsjang9467

    4 жыл бұрын

    @삶문 소대가리 갑자기?

  • @user-rx3yv4iy3f

    @user-rx3yv4iy3f

    4 жыл бұрын

    @삶문 소대가리 갑자기....? ㅋㅋㅋㅋ 양승동이 좌좀인데....NHK BS소리를 듣는 방송을 한다고?? ㅋㅋ 박근혜는 깨끗해서 황교안이 박근혜 기록을 30년후에 볼 수 있도록 막았구나....세월호 애도를 좌냐 우냐로 하는것부터가....개극혐....

  • @souskesagara4086

    @souskesagara4086

    4 жыл бұрын

    전교조 대표 세월호 위 뱃지는 왜 달고 나온거죠? 눈뽕용 인가요?

  • @user-hq6er3xq5j
    @user-hq6er3xq5j Жыл бұрын

    수행평가는 진짜 없애는 게 맞다.. 진짜 점수에 1도 영향이 없을 정도로 어이없는 경우도 있고(가끔 학습지 모아오는 걸 수행평가 대체한 다는 것도 봤음..) 뭐 토론이나 좋은 책 읽기처럼 나름 나쁘지 않고 취지도 괜찮았던 것도 있었다만 대부분이 그냥 시간 낭비하는 것과 다름없는 게 많았다 그냥 학습지 혹은 교과서 암기해서 문제 풀라고 하거나 (이럴 거면 그냥 지필고사를 봐야지) 교과서 내용 정리해서 발표하기, 뭐 교과서 내용으로 문제 만들기( 생각을 해야 풀 수 있는 어려운 문제가 아닌 그냥 1초면 풀 수 있는 영양가 없는 문제 만들기), 수학 공식으로 메뉴판 가격 만들기 뭐 이런 의미 없고 시간만 잡아 먹는 활동이 너무 많았음.. 이런 건 그냥 학생 괴롭히기밖에 안됨 저런 거 준비한다고 작년까지 진짜 얼마나 고생했는지 ㅜㅜ 이딴 식으로 운영하면서 무슨 수행평가가 혁신을 가져온다 이딴 소리를 하시는지..?

  • @livelive3294

    @livelive3294

    Жыл бұрын

    진짜 무슨 포트폴리오라면서 프린트준거 채워서 싹다 내야 10점 정도줌 ㄹㅇ개같음

  • @user-im9ww3uc6n

    @user-im9ww3uc6n

    Жыл бұрын

    그런데...그럼 간단한 수행평가나 포트폴리오만 잘 제출하면 10점 맞을 수 있는거 아닌가...? 조금만 노력하면 수행평가 만점이잖아?

  • @user-bq8ps5ed3j

    @user-bq8ps5ed3j

    Жыл бұрын

    그럼 어렵게 출제하냐? 다들 이유가 있는건데

  • @PJUNTE

    @PJUNTE

    Жыл бұрын

    @@user-im9ww3uc6n 더더욱 존재 의의가 없네요

  • @user-im9ww3uc6n

    @user-im9ww3uc6n

    Жыл бұрын

    @@PJUNTE 수능 하나로 결정하는 것도 문제있는거 아닌가?

  • @user-xh3yd5ot4k
    @user-xh3yd5ot4k2 жыл бұрын

    수행평가 좀 그만 언급해라 수행평가로 내신성적 갈리는 꼴은 전혀 본적이 없다 ㅅㅂ ㅋㅋㅋ 앞유리 가리고 운전하는 꼴

  • @seong-ilhan7614
    @seong-ilhan76143 жыл бұрын

    전교조 놈들은 진짜 현장을 1도 모르는 사람들이구나...

  • @almaloss

    @almaloss

    3 жыл бұрын

    현역분들 아님?? 오히려 현장을 잘 알면 알지 모르진 않을듯.. 알면서도 저러니 문제지만..

  • @seong-ilhan7614

    @seong-ilhan7614

    3 жыл бұрын

    내가 아는 현장하고 얘기가 너무 다른데. 도대체 어디서 교사하고 있는건지 모르겠음

  • @user-zs2zn8xf6t

    @user-zs2zn8xf6t

    3 жыл бұрын

    전교조는 학교에 있지만 학교에 속해있지않다고 생각하는 이상한 애들이에요

  • @user-yd3yt1pv2n

    @user-yd3yt1pv2n

    3 жыл бұрын

    @@almaloss 현역도 아니고 그냥 시민단체인 사람들도 많습니다

  • @superboss331

    @superboss331

    3 жыл бұрын

    걍 빡대가리 븅신새씨들임 .

  • @user-ph1xm3cd8t
    @user-ph1xm3cd8t4 жыл бұрын

    프린트 100장주면서 한장이라도 잃어버리면 9점 레전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dq3qk7iq2v

    @user-dq3qk7iq2v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공.감

  • @Adorableguy

    @Adorableguy

    4 жыл бұрын

    ㄹㅇ프린트검사 왜하는건지 모르겟음 개시1발같은데

  • @user-fo9xl4jw9q

    @user-fo9xl4jw9q

    4 жыл бұрын

    그것도 한장에 답란하나 안써놨으면 그 한장 백지 처리 시밬ㅋㅋ 가관임

  • @user-qz7hg5rw6x

    @user-qz7hg5rw6x

    4 жыл бұрын

    방심하고있다가 여기서 터졌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Junghokyun

    @Junghokyun

    4 жыл бұрын

    @고일 학생에게 가해지는 부담과 재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도록 위해 사용하기 시작된 취지에는 맞지 않는거 아닌가요

  • @aazzxxrrdd
    @aazzxxrrdd2 жыл бұрын

    시험: 1~2주 안에 끝남 수행: 1년 내내 해야함

  • @user-bx5ws4xe1k
    @user-bx5ws4xe1k2 жыл бұрын

    수행평가보고 혁신이라는 전교조 ㅋㅋㅋㅋㅋㅋ 오히려 수행평가가 더 문제야. 선생 한명이 학생 인생을 결정하는 수준

  • @alskdmcnw
    @alskdmcnw3 жыл бұрын

    강성태 제외한 모두가 학력고사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kimjitae5273

    @kimjitae5273

    3 жыл бұрын

    ㅋㅋㄱㅋ

  • @user-ue4ed2jy7p

    @user-ue4ed2jy7p

    3 жыл бұрын

    아 그래서 수능도 학력고사처럼 주구장창 암기하면 될 줄 알고 저러는 거구나 ㅋㅋ

  • @user-tk8br2up2k

    @user-tk8br2up2k

    3 жыл бұрын

    그게뭐임?

  • @kimjitae5273

    @kimjitae5273

    3 жыл бұрын

    @@user-tk8br2up2k ㅋ

  • @user-in7ig6fc2f

    @user-in7ig6fc2f

    3 жыл бұрын

    @@user-tk8br2up2k 수능 이전에 실시되던 대학입학시험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peterwoo7847
    @peterwoo78474 жыл бұрын

    학생들과 나라교육을 걱정하는 사람 vs 학교선생님 권위를 걱정하는 사람

  • @kong2144

    @kong2144

    4 жыл бұрын

    선생들 교권 추락한다 ㅇㅈㄹ 하는데 애초에 학교 주인은 학생이고 교사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무원인 주제에 지들이 뭔 대단한 스승이라도 되는 줄 마냥 떠드는거 역겨움

  • @user-cf6rz1pr1i

    @user-cf6rz1pr1i

    4 жыл бұрын

    @@kong2144 사범대학 학생인데요.. 그렇개 말씀하시니 진짜 가슴이 아픕니다. 4년 내내 배우는게 어떻게 아이들을 잘 가르칠까. 어떻게 아이들을 더 사랑할까 하면서 1천명 중에 10명 정도 뽑는 교사 되려고 아득바득 공부하는 선배, 동기들 제 주변에 이미 수없이 많이 있습니다. 공무원 따위라니요... 아이들을 위해서 자신을 평생 포기할 마음이 없는 사람은 지금 이 시대가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기에 저는 단 한명도 허투로 교사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생각을 다분히 정정하시고 교사에 대한 존중하는 마음을 가집시다... 그리고 교육의 문제는 정말 한 없이 어려운 문제입니다. 댓글 하나로 비방할 만큼 단순한 일이 아닙니다.

  • @user-gl7kf2lm7m

    @user-gl7kf2lm7m

    4 жыл бұрын

    @@user-cf6rz1pr1i 윗분의 말씀은 엄청 심하시긴해요 근데 지금까지 제가 만났던 쌤들중 정말 진심으로 대해주셨던분이 한2분정도밖에 안되네요ㅠㅠㅠㅠ 조희재님은 정말 좋은 선생님이 되주시길 바랍니다😀😀😀

  • @EYounge

    @EYounge

    4 жыл бұрын

    @@kong2144 맞는말이 맞는데여; 성적에 아예 안들어간다 하면 개판나고 교사 반죽이려는게 현실임; 저도 학생인데 님이 역겹네요

  • @user-cf6rz1pr1i

    @user-cf6rz1pr1i

    4 жыл бұрын

    @@user-gl7kf2lm7m 맞아요. 저도 얼마전까지 학생이었으니까 누구보다 잘 알죠.. 근데 지금은 또 1년 동안 2-300명의 아이들을 상대하며 엄청난 양의 업무에 시달리는 교사의 입장도 너무 잘 알아서... 교사가 되는게 여러 의미로, 진짜... 진짜 쉬운 일은 아닙니다ㅜ 응원 감사합니다. 저는 아쉽게도 우리나라의 교사가 되진 않지만, 적어도 제 동기들은 정말 훌륭한 미래 교사들입니다. 그들이라면 나중 부모님 되실 입장으로서 한국교육을 믿어보실만 하다고 저는 그리 기대합니다.

  • @user-cn9gb3cy6u
    @user-cn9gb3cy6u2 жыл бұрын

    이게 차악을 선택해야 하는 문제인것 같다. 수행평가를 통해서 정말 학생들의 성실성과 프로젝트 수행력, 의사소통능력 등 다양한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데 그걸 솔직하게 적을 수 있나? 교사가? 적으면 또 개인적인 생각 적었다고 난리 칠거고 그러니깐 점점 좋은 쪽 내용들 중에서 최선의 것들끼리 경쟁하고 그러니깐 점점 말도 안되는 전공 심화과정 내용들이 필요하게 되고 이러니 소용이 없지.... 생기부를 본 그대로 적을 수 있게 하면 좋겠지만 그것도 교사가 학생은 정확하게 본다는 근거가 없고 그걸 이용할 가능성도 있고... 결국은 차악을 고르고 계속 반복되면서 학생들만 죽어나가는 현상이 반복되는듯... 아마 정시가 계속 되었어도 지금쯤 헬이었을거다...

  • @user-zq5ur7kr8j
    @user-zq5ur7kr8j2 жыл бұрын

    다양한 활동을 어떻게 정량화할거며 내신은 학교마다 시험난이도 학생수준이다른데 어떻게 공정하게 할것인지?

  • @user-tc4oq4eq6q
    @user-tc4oq4eq6q4 жыл бұрын

    강성태가 누군지도 모르고 토론하고 자빠졌네ㅋㅋㅋㅋㅋㅋㅋ "자 이제 강성태 대표님은 요즘 학교를 잘 모르실수 있겠지만 수행평가 비율이 늘어나고 있거든요...."

  • @user-ii8yf4kj8x

    @user-ii8yf4kj8x

    4 жыл бұрын

    그 학생들 가르치는게 강성태거든요...

  • @user-eg4gq8jz7l

    @user-eg4gq8jz7l

    4 жыл бұрын

    거기에다 수행비율이 과반이라는건 또 뭔소린지..

  • @incantoheaven939

    @incantoheaven939

    4 жыл бұрын

    강성태만큼 역겨운 위선자가 있나? 김제동정도여야 비비지

  • @user-yx6bj9iq8x

    @user-yx6bj9iq8x

    4 жыл бұрын

    @@incantoheaven939 강성태가 왜?

  • @Jimin_Son

    @Jimin_Son

    4 жыл бұрын

    @@incantoheaven939오우 김제동 빠는게 더 역겨운걸

  • @user-ru8op2qe9h
    @user-ru8op2qe9h4 жыл бұрын

    학종 안해야하는 이유 저런 선생들이 학생 평가 함 ㅋㅋㅋ

  • @shskgsoeh2729

    @shskgsoeh2729

    4 жыл бұрын

    팩트 :학생들한테 물어보면 최소70%는 정시확대 찬성 :아재들이 반대하고 지랄하는거임

  • @pkd123

    @pkd123

    4 жыл бұрын

    ㅇㅈ 저런선생 밑에서 수업듣고 생기부관리하면 토쏠림

  • @user-nq4rd4bg3z

    @user-nq4rd4bg3z

    4 жыл бұрын

    특히 사립고같은 운안좋게 싸이코 선생 만나면 학생부 조지는거지 고1,2노력하고 고3때 조져서 수시 포기한애 봄 심지어 전교 5등안에 들던애인데 담임한테 의문 품고 물어봣다가 그렇게 됨 사립은 ㄹㅇ 걸러야된다..

  • @user-in2rd5zi5k

    @user-in2rd5zi5k

    4 жыл бұрын

    @@shskgsoeh2729 그래서 더 전문성이 있는거 아님? ㅋㅋㅋㅋㅋ

  • @happy_S2_

    @happy_S2_

    4 жыл бұрын

    @밤그 케바케가 아니라 니친구가 특이케이스인거임

  • @Flexibleplay
    @Flexibleplay2 жыл бұрын

    이현 선생님 윤리와사상 인강으로 들었었는데, 인생에 스승같은 분...

  • @user-ye4lz5fb3v
    @user-ye4lz5fb3v2 жыл бұрын

    고위 임원들 자녀들은 수시전형이 확대 되어야 입학이 더 쉬워짐. 정시가 강화될수록 좋을게 없지

  • @The_Joker_0247
    @The_Joker_02473 жыл бұрын

    학생으로서 제일 한심해보이는거 1.수행평가 2.주입식 교육 3.이걸 모두 합성한 내신

  • @user-qo5rf1vz1h

    @user-qo5rf1vz1h

    3 жыл бұрын

    근데 나는 수행이 괜찮다고 봄 나처럼 공부 못하는애들은 수행없이 지필100%로 성적반영하면 ㅈ되는건데 수행이 그나마 커버쳐줌 근데 지금은 코로나 때문에 수행비중이 너무 낮아져서 좀 그렇긴함

  • @Kkomeow

    @Kkomeow

    3 жыл бұрын

    @@user-qo5rf1vz1h 근데..ㅠㅠ 수행이 아마 그런 쪽으로 만들어진 건 아닐 걸요 물론 저도 공부 ㅈㄴ 못해서 좋긴한데 결국 이것도 다 이용해 먹는 게 넘 슬픔.. 이거 수행들어간다 하면서

  • @The_Joker_0247

    @The_Joker_0247

    3 жыл бұрын

    @@user-qo5rf1vz1h 너무 많아서 문제죠

  • @gege2830

    @gege2830

    3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어떤 대안이 나와도 다 한심할듯. 불만이 많아도 정작 어떤 뚜렷한 대안이 없음

  • @The_Joker_0247

    @The_Joker_0247

    3 жыл бұрын

    @@gege2830 맞음

  • @user-zz6td5bp6d
    @user-zz6td5bp6d4 жыл бұрын

    이건 그냥 능력떨어지는 교사가 지들 권위 떨어지는거 싫어서 이지랄하는거 아니냐?

  • @taeohkim1740

    @taeohkim1740

    4 жыл бұрын

    개맞지

  • @Asd-ro5oo

    @Asd-ro5oo

    4 жыл бұрын

    성적안되는데 기적사례보여주면서 수시로 희망고문하는거 ㄹㅇ

  • @user-agtpboiuyp

    @user-agtpboiuyp

    4 жыл бұрын

    저도 이 생각함

  • @BJU82

    @BJU82

    4 жыл бұрын

    옛날 생각나네..똑같이 잘못해도 나는 좆나 쳐맞고 성적도 비슷하게 오르는데 그것밖에 못하냐고 좆나 구박하고!~ 졸업하고 알고보니... 친구가 하는말이 좀 잘사는 엄마들은 선생 찾아가서 촌지 찔러준 모양..내 친구도 본인 엄마가 그랬다고 자백함... ㅅㅂ 알고 보니 몇몇 거론된 엄마들 자식들 거의 크게 혼난 기억이 없네~그땐 선생님 말이 법이었거든... 지금도 그 모양 될려하는데?학종하면 선생님 권한이 너무커짐...

  • @bbaa3409

    @bbaa3409

    4 жыл бұрын

    정답

  • @user-cb2xy9sc2d
    @user-cb2xy9sc2d Жыл бұрын

    한국 교육은 이미 침체된지 오래되었고 재능있는 사람이 성공하는 시대라 재능을 찾는게 더 빠른 성공의 시대가될듯

  • @badajeju9039
    @badajeju9039 Жыл бұрын

    정보는 갈수록 많아지고 그걸 모두 머리속에 담아둬야만 올라갈수 있는 현재의 교육제도에서 내가 하고 싶은걸 어떻게 찾고 어떻게 문제해결을 해나갈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가 우선되어야하지 않나...살면서 내가 활용할것도 아닌건 배우는 쓸데없는짓만 안해도 시간 여유있게 사용할수 있을것 같은데

  • @SlamSmack
    @SlamSmack4 жыл бұрын

    수행평가야 말로 주입식 암기고 분별력 하나도 없는데 대체 뭘 연구한 거임 ?

  • @user-hy9ng3th4f

    @user-hy9ng3th4f

    4 жыл бұрын

    심지어 베끼는 애들도 있어서 변벌력 ㄹㅇ 0임

  • @user-dn4bs2xv8v

    @user-dn4bs2xv8v

    4 жыл бұрын

    냅두셈 저런 인간은 지 대가리 든게 답이라고 말하는거..

  • @see_seon

    @see_seon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ㅇㅈ 선생님이 수행평가인데 못하는애들 도와주라고 하는데ㅋㅋㅋㅋ

  • @user-fx8mh9jv3e

    @user-fx8mh9jv3e

    4 жыл бұрын

    @@see_seon 제일 빡치는게 동료평가임

  • @2nas2h2ol9

    @2nas2h2ol9

    4 жыл бұрын

    @@user-fx8mh9jv3e ㅇㄱㄹㅇ 그냥 자기 무리면 좋게 주고 싫어하면 나쁘게 줌. 인기투표도 아니고 뭐야ㅅㅂ

  • @user-pw9vk5ti3g
    @user-pw9vk5ti3g4 жыл бұрын

    저런게 연구소장이라니 ㅋㅋ 대체 뭘 연구한거야 오늘 점심 뭐먹을까 연구했나 세금이아깝다

  • @user-re3cc8jx2u

    @user-re3cc8jx2u

    4 жыл бұрын

    ㅇㅈ 대진고나 낙생고처럼 내신 개빡샌 학교는 그냥 나가 뒤지라는거임? ㅆㅂ 내일 수능인데 적성도 못쓰고 논술은 쫄려서 정시파이터했는데

  • @user-zu3qn6rg1v

    @user-zu3qn6rg1v

    4 жыл бұрын

    점심 중요하지

  • @user-be2ru9su3e

    @user-be2ru9su3e

    4 жыл бұрын

    저런것도 연구소가 있었음??ㅋㅋㅋㅋ

  • @Passingman_

    @Passingman_

    4 жыл бұрын

    "오늘 점심"은 세기의 난제라 손도 못댐 ㅇㅇ

  • @skk6796

    @skk6796

    4 жыл бұрын

    아니 오늘 점심은 리만가설급 난제인데

  • @shawnlee3104
    @shawnlee31042 жыл бұрын

    평가라는것은 획일화된 기준과 잣대를 가지고 평가 되어야 합니다 개별 학교에서 수시로 평가하는것이 과연 공정할것인지 의문이 듭니다 사법고시가 고시낭인 양산으로 비판되어 폐지되었지만 가장공정한 시험이었죠 실력만 있으면 개천에서 용이 날수도 있는.. 어쩌면 예전에 있던 수능 100프로 특차전형이 가장 공정하지 않을까 싶어요

  • @Vi-Tzro
    @Vi-Tzro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예비교사 입장에서 강성태님에 의견에 백번 공감합니다.

  • @user-tc4bb4if8w
    @user-tc4bb4if8w4 жыл бұрын

    수행평가가 마치 진짜 교육을 위해 한다는 듯이 말하네.... 진짜 이상주의적이고 비현실적인 대안만 짓껄이고 대단하다

  • @user-bb7ui7ed5g

    @user-bb7ui7ed5g

    4 жыл бұрын

    ㄹㅇ 진짜 멍청해서 그럼 그냥 멍청한게 아니라 ㄹㅇ ㅃ대가리

  • @troublej1595

    @troublej1595

    4 жыл бұрын

    그럼 현재 교육과정 인재상인 창의융합형인재를 육성하는데 어떤 평가가 적합하다고 보나요??

  • @SaeJu-we6bw

    @SaeJu-we6bw

    4 жыл бұрын

    수행평가를 저렇게 고평가할줄은 상상도 못햇네ㅋㅋㅋㅋ

  • @wakabaka-bh4nm

    @wakabaka-bh4nm

    4 жыл бұрын

    Djanggo furious 한국학교의 수행평가가 이상하지 외국학교 수행평가는 진짜 수행평가던데

  • @lateil9988

    @lateil9988

    4 жыл бұрын

    @@troublej1595 수행평가의 목적은 맞습니다만 현실적인 문제로 실질적인 수행평가가 이루어지지 않는게 문제인거죠.

  • @snackchip06
    @snackchip063 жыл бұрын

    저 옆에 자식들 있었으면 " 아빠 조용하고 있어봐 제발 " 이랬을 듯 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cd9rl1kf9v

    @user-cd9rl1kf9v

    3 жыл бұрын

    @@user-tb3if9vd9s 존나좋은 고등학교갈정도면 스카이를가는게 당연한거아니냐

  • @user-tb3if9vd9s

    @user-tb3if9vd9s

    3 жыл бұрын

    @@user-cd9rl1kf9v ㄴㄴ 갈깝이 안되도 학종으로 갈수있게 만들어줌 그래서 하나고애 목숨거는거임 쟤들이 학종을 어떻게 만들어주는지 알면 현타올꺼다 돈으로 대학가는거란게 딱 느껴짐

  • @user-cd9rl1kf9v

    @user-cd9rl1kf9v

    3 жыл бұрын

    @@user-tb3if9vd9s 하나고 들어갈정도면 스카이 그냥간다고 ㅋㅋㅋ

  • @user-cd9rl1kf9v

    @user-cd9rl1kf9v

    3 жыл бұрын

    @@user-tb3if9vd9s누가보면 하나고가 돈주고 가는쥴알게싸

  • @user-tb3if9vd9s

    @user-tb3if9vd9s

    3 жыл бұрын

    @@user-cd9rl1kf9v 1 하나고를 들어갈 정도라고 해도 스카이 그냥갈 정도의 실력은아니다 > 입결이 증명중이고 2 하나고를 돈주고입학한다거 한게아니라 하나고에 돈퍼부우면 좋은학교 갈가능성이 훨씬높다 원래면 못갈애들도 그 난독의심되니깐 병원한번가보고 비문학 지문 연습좀 해라

  • @martinaston9233
    @martinaston92332 жыл бұрын

    사교육은 고려시대 부터 있었다. 정시확대 하고 사교육 지원 해주면 안되나? 일타강사 인강 정도는 가능하지 않나?

  • @user-lx6we5jo7n
    @user-lx6we5jo7n2 жыл бұрын

    이제는 학력인구도 줄어서 의미 없을 듯.... 저런 논쟁 자체가... 그런데 공정성만 따지자면 수능이나 학력고사가 최고이긴 하지.

  • @user-fg2bq1dr2f
    @user-fg2bq1dr2f3 жыл бұрын

    저 꼰대 지가 3년동안 수시 학생부 채우는거 개고생해봐야 정신차림 수행평가니 뭐니 말로는 퍽이나 교육 개선이겠다

  • @user-mv1ml5rl9b

    @user-mv1ml5rl9b

    3 жыл бұрын

    ㅇㅈ

  • @user-qz8gl8qm4q

    @user-qz8gl8qm4q

    3 жыл бұрын

    이게 맞는 말이지 ㅋㅋㅋㅋ학생들이 하고싶어 하는것 즉 다양성을 늘려 학생들의 길을 많이 만들어주겠다 라는 의도는 좋다 근데 대학이나 졸업후 가고자 하는 곳들이 그런걸 보냐고 ㅋㅋㅋ

  • @user-zb3kh7er5c

    @user-zb3kh7er5c

    3 жыл бұрын

    말만 잘꾸미고 실현성은 0퍼센트 ㅋㅋ

  • @GwanckleBerry3399

    @GwanckleBerry3399

    3 жыл бұрын

    한마디로 말만 번지르르하고 하는건 하나도 없는 무쓸모

  • @heartchrome1412

    @heartchrome1412

    3 жыл бұрын

    저런 논리를 펼칠수 있는건 "나만 아니면 돼" 상태이기 때문

  • @jaykim6385
    @jaykim63854 жыл бұрын

    저런 선생들이 나라 교육 망치고 애들을 사지로 내모는거다.. 진짜 현실감각 일도 없는 인간들. 학생들이랑 제대로 교류하면 저딴 말이 나오냐.

  • @minkyujo5022

    @minkyujo5022

    4 жыл бұрын

    사지가 어딘가요? 주류 사자로 끝나는 직업같은거 아니면 다 사지인가? 제대로 학생과 교류를 한다면 수능이라는 답도 안나와요. 문제있다고 수년간 말해왔고, 소수 몇명만 재미보는 시스템을 뭐하로 회귀함 현 상황의 문제는 학종도 수능과 다를빠 없게 썩어버렸다는 거지

  • @user-xe6hf6fx1o

    @user-xe6hf6fx1o

    4 жыл бұрын

    교권과 교육은 교사의 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경험으로만 봐도 잠시 수준높은 반 지도하는 교사가 일반학생 지도할때 교사의 능력을 확 느끼고 그당시 수업들은 대다수 학생이 다 이해할정도 였음 그후 대타로 몇번 해줄때 학생들 참여도 좋고 수업의 질도 좋아짐

  • @salvadorinmyroom

    @salvadorinmyroom

    4 жыл бұрын

    Min Kyu Jo 학종은 돈이 진짜 많은 애들과 돈이 정말 없는 애들 둘만 잘 감 ㄹㅇ

  • @dbwhdgus8075

    @dbwhdgus8075

    4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3대 적폐 전교조, 종북주의자, 귀족노조

  • @sk8ciov7
    @sk8ciov72 жыл бұрын

    뭘하든 전면적으로 뜯어고치지 않는 이상, 학생들은 그저 어른들의 틀안에서 자라나야 하는 슬픈 현실. 뭐가 문제인지 몰라. 전반적으로 교육을 뜯어 고쳐야제 국영수탐 중심의 교육 자체를 뜯어고쳐야 한다고...

  • @kwangminkim7997
    @kwangminkim7997 Жыл бұрын

    강성태 강사님 이야기 적극 공감합니다. 나라에 좋은 선생님들도 많은데 문제은행제로 토플이나 한국사시험처럼 과목별 수학능력측정하고 다수 국립대 육성해서 고급학부 문호를 넓히는게 좋을거 같아요. 캘리포니아대학시스템처럼요. 양질의 문제 만드는 에너지에 집중하는게 학종 관리보다 훨씬 효율적이고 건설적이라 생각해요. 학종이 수능보다 사교육 영향 더 많이 받는다 생각하고요. 어차피 이후 직업 허들을 형성하는건 세무사나 CFA 등 모두 시험 기반입니다. 시험으로 기본적인 직업소양을 체크하지요. 일상 수업 및 학습은 입시와 관련없이 개인 선호에 따라 자율적으로 이뤄지면 될 일이라 생각합니다.

  • @user-lq9eg1cr4d
    @user-lq9eg1cr4d3 жыл бұрын

    왼쪽: 찢었다 오른쪽: 짖었다 ㄹㅇㅋㅋ

  • @TTae4655

    @TTae4655

    3 жыл бұрын

    팬티 : 젖었다 지 바보양

  • @HSDW_FF

    @HSDW_FF

    3 жыл бұрын

    드립 천상계고ㅋㅋㅋ

  • @user-wp3qv9bj7y

    @user-wp3qv9bj7y

    3 жыл бұрын

    쌌다...오지게..

  • @user-rk7vt9nd6y

    @user-rk7vt9nd6y

    3 жыл бұрын

    아니 근데 김태훈 쟤 왜 계속 말 끊냐 진짜 예절 뒤졌네

  • @angryeong

    @angryeong

    3 жыл бұрын

    ㅋㅎㅋㅎㅋㅎㅎㅋ

  • @user-ne9dj5nq4z
    @user-ne9dj5nq4z3 жыл бұрын

    수능이 암기라고 하는건 존나 어이털리네 ㅋㅋㅋㅋㅋㅋㅋㅋ 오히려 내신 특히 영어가 ㄹㅇ ㅋㅋㅋㅋ 애들이 3학년 1학기 기말 영어 시험 전날에 하는 말이 더이상 내신 영어 공부안해도 된다고 존나 행복하다함 ㅋㅋㅋㅋㅋ 딱나오쥬?

  • @user-fd2wv6js5b

    @user-fd2wv6js5b

    3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ㅋㅋㅋ해석 안하고 이그잼포유같은데서 자료뽑은 다음에 암기만 존나하면 진짜 내신은 문제 읽을 필요도 없이 술술 풀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lizard9450

    @lizard9450

    3 жыл бұрын

    진짜 영어는 ㄴ답이야...

  • @jin38112

    @jin38112

    3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ㅈㄴ 행복하더랔ㅋㅋㅋㅋㅋ

  • @JC-gl9cg

    @JC-gl9cg

    3 жыл бұрын

    ㅇㅈ ㅋㄱㅋㄱㅋㄱㅋㄱㄱㄱㅋ

  • @user-ei6kc9jt7g

    @user-ei6kc9jt7g

    3 жыл бұрын

    ㅆㅇㅈ.. 문장 배열 그거 왜 해야되는데;; 그게 심지어 수행

  • @Icingberry
    @Icingberry Жыл бұрын

    이현 선생님 20년 전에 인강에서 뵙고 그때 참 많은 깨달음이 있었습니다 아직도 생각나네요 점과 선의 정의에 대한 것요 북청물장수 여진족도 기억에 많이 남습니다 선생님 덕에 윤리를 좋아하게 된 학생이었습니다 쓰고보니 3년전 영상이었군요 알고리즘으로 오래된 영상도 접하니 여러감정이 드네요 번외로... 잠깐 보았는데 전교조분들은 참 헛똑똑이들 같네요

  • @user-np6si6ie2i
    @user-np6si6ie2i Жыл бұрын

    이론가와 정책 입안자는 현장에서 실제를 겪는 사람을 결코 이길 수 없다. 이야기를 나누면 나눌 수록 이론가들의 말은 공허하기만 하다, ....

  • @HI-jh1gu
    @HI-jh1gu4 жыл бұрын

    정시 반대하는 패널들은 우리나라 교육을 하나도 모르고 있네. 진심 수행평가가 본래 취지에 맞게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현장에서는 이미 변질되고 또 하나의 지필평가에 불과할 뿐이다.

  • @coolp4680

    @coolp4680

    4 жыл бұрын

    정시늘리면 사회정의가 실현되고 퍙등해질거란 착각... 강남땅값더 높아니고 경쟁더 치열해짐 지방애들 명문대 진학률 더 떨어지짐 지금도 지방 1등보다 강남권 2등애들이 수행고사치면 성적이 더 높게나옴. 강남권 돈 많은 부자들이 정시러가면 명문대 진학률이 더 높다는 애기임

  • @user-gr9uh1mu7i

    @user-gr9uh1mu7i

    4 жыл бұрын

    @@coolp4680지방 학생과 수도권 학생 수 간의 비율이 어느 정도 유지돠어야 한다는 점엔 동의하지만 기본적으로 대학 입시는 실력으로 선발되는 것이 맞습니다. 대학의 요구 학력 수준에 맞는 학생들이 입학해야 커리큘럼을 따라 인재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죠. 수시를 높여서 지방에 있는 실력 모자란 학생을 뽑는 것이 아니라 공교육 내에서 쳐낼 선생 쳐내고 부정부패 뿌리 뽑아 교육의 질 향상과 신뢰 회복을 추구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입니다.

  • @coolp4680

    @coolp4680

    4 жыл бұрын

    @@user-gr9uh1mu7i 실력이라는게 수능에서 성적나오는대로 줄세우는게 실력입니까?? 수능 성적은 안나오는데 과학이나 수학 미술에 특화된 사람은요??? 지금 문제는 수시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쪽으로 가야지 다시 공부해서 줄세우는 정시방향으로 가는건 한국 미래를 죽이는거임 수시에사 부정한 방법이 없도록 보완 강화라는 쪽으로 가는게 맞는거임

  • @user-gr9uh1mu7i

    @user-gr9uh1mu7i

    4 жыл бұрын

    @@coolp4680 예체능 계에선 이미 수능보단 실기의 비중이 높구, 지금 수능에서 평가하는 과목이 국어 수학 영어 탐구인데 수학이나 탐구 하나만을 잘한다고 대학에서의 수학 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는 없습니다. 현재 국어 과목에선 글 읽는 능력과 사고력을 판단하고 있고 영어 과목에선(이에 대해 의견이 갈리긴 해도) 영어 능력과 논리력을 판단하고 있으니까요. 영어의 경우 비중이 절대평가 이후 크게 감소한 것도 있구요. 대학이 꼭 데려가야 할 만큼 수학과학 잘하지만 수능을 못 보는 친구들은 정시가 확대되더라도 충분히 수시로 입학해왔고 할 것입니다. 문제는 그렇게 특출나진 않은 재능을 가진 수십만 명의 학생들이 15분 간의 알량한 서류평가로 합불이 갈린다는 점입니다. 수능의 경우 수시에 비해 훨씬 더 공정하고 체계적으로 능력을 평가하고 있지만, 현재 종합 전형 기준으론 학교에서 생기부를 얼마나 관리해주는지가 핵심입니다. 생기부 비교과로 판단이 안 가니 거의 내신 따라 줄세우는 것은 덤이구요. 내신이 높은 학생과 수능이 높은 학생 중 누가 더 학업 역량이 큰진 이미 먼저 댓글에 쓰신 바 있으니 설명을 덧붙이진 않겠습니다.

  • @user-zv5be5zd8c

    @user-zv5be5zd8c

    4 жыл бұрын

    수행평가가 말이 수행평가지ㅋㅋㅋ중간&기말도 아닌데 내신점수 메겨지는 쪽지시험하나만 더생긴거다

  • @thomask4908
    @thomask49083 жыл бұрын

    전교조는 진짜 문제입니다.

  • @shige_nogoro
    @shige_nogoro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수행평가는 자라나는 학생들의 창의성을 반감시키는 도구이기도 합니다.즉 생각의 폭을 줄일수도 있다는것. 교육부는 수능방식만을 바꾸는게 아니라 학생들에게 진로의 길을 넖히는 방향으로 모색을 해야하는데 그 첫번째가 학생들에게 불필요하고 불편한 수행평가제를 없애는 것!!

  • @brynarieddie

    @brynarieddie

    Жыл бұрын

    수행평가 자체를 지들이 달달 외워서해서 그렇지 창의성 문제는 오히려 정시 100%가 반감시키죠. 스스로 어떤 문제에 대해 스스로 생각해보고 글쓰게 하는거로 대학 가게 하는 제도는 좋은 제도가 맞음. 정시100%면 누가 창의적인 생각을 하겠음? 활동의 폭이 훨씬 줄어드는건 정시 100%임.

  • @Seoul-university

    @Seoul-university

    Жыл бұрын

    @@brynarieddie 달달 외워서 해야되니까 달달 외워서하지ㅋㅋㅋㅋㅋ학생들도 외우는건 싫어해 어쩔 수 없어서 그런것 뿐이지

  • @user-cn5it3rx7v

    @user-cn5it3rx7v

    Жыл бұрын

    @@brynarieddie 넌 가난해

  • @dans5128

    @dans5128

    Жыл бұрын

    @@brynarieddie 외워서절대 대처할수없는 시험을 보면 창의성이 떨어진다라.. 예 뭐 그럴수도 있겠죠 그럼 내신은?

  • @dans5128

    @dans5128

    Жыл бұрын

    @@brynarieddie 차라리 내신을 활동 100%로 하는건어떰?

  • @user-nn8dt4or8p
    @user-nn8dt4or8p Жыл бұрын

    수시는 말이다 그냥 가진자들의 리그이다 ~~!!!

  • @user-ry1fr4eg6j

    @user-ry1fr4eg6j

    Жыл бұрын

    수시 덕분에 한국 대학의 위상과 신뢰성은 나락감.....고대 연대 나와도 어쩌라고? ㅋ 이렇게 된 현실

  • @luckkey1624
    @luckkey16243 жыл бұрын

    전교조가 얼마나 무식한지 알게 되는 장면이다

  • @user-kz4fz2de7g

    @user-kz4fz2de7g

    3 жыл бұрын

    머중이의 노예집단

  • @yuripark8078

    @yuripark8078

    2 жыл бұрын

    김대중 정부랑 전교조랑 대치국면이었죠. 전교조는 할일없어서 객기부리는 집단이에요.

  • @user-cf4px3sb7e

    @user-cf4px3sb7e

    2 жыл бұрын

    왜....내신을 늘리자는...교사가 없나요?...무슨 위원회 장....무슨 전교조....전교조 노동조합이잖아요.....현직 교사가...나와야지...뭐지?

  • @KrMorgan12

    @KrMorgan12

    2 жыл бұрын

    @@yuripark8078 뭔 대치야. 민주당2중대지.

  • @yuripark8078

    @yuripark8078

    2 жыл бұрын

    @@KrMorgan12 노무현 정부때 네이스 파동 검색해봐라

  • @user-nz3sy5kp2u
    @user-nz3sy5kp2u4 жыл бұрын

    방금 티비보다가 어이가 없어 댓글답니다 제가 지금 고등학생인데요 선생님 패널들 정말 현직교사 맞나요 정말 아무것도 모르네요 강성태 선생님말이 훨씬 더 공감됩니다 실제로 학교에서는 활동수업 뭐 이런거 전혀 없습니다 수업은 그냥 교과서내용만 나가는데 질도 떨어지구요 차라리 인강듣는게 더 도움됩니다 어차피 학종도 내신줄세우기고 비교과는 그냥 학생개인의 몫입니다 학교에서는 아무것도 안해주고요 그냥 학생들끼리 뭉쳐서 대입에 도움될만한 활동 대충 몇개하고 하는게다입니다 그리고 생기부 기재기준도 엄격해서 결국 자기하고싶은것은 못하고 정해져있는거 수학동아리 봉사같은것 밖에 못합니다 또 학생부갑질 심합니다 그 선생이 제 모든것을 평가할 정도로 대단한 사람입니까 자기가 뭔데 이 학생은 부족한학생임 이런식으로 판단합니까 선생도 인간이고 개인적으로 안맞는 선생도 있습니다 수능이 구세대적인 것도 맞고 교체나 개선이 필요한것도 맞지만 차라리 지금의 학종보다는 나은제도라고 생각합니다

  • @flower-jp1om

    @flower-jp1om

    4 жыл бұрын

    강성태 선생님 쟤가 선생님이내 유튜버지 ㅋㅋ

  • @user-mi9br2pl5r

    @user-mi9br2pl5r

    4 жыл бұрын

    @@flower-jp1om 댓글쓰신분 얘 댓글 씹으세요 ㅋㅋㅋㅋ 이유 물으세요? 답해드려요. ㅋ

  • @kkstock4102

    @kkstock4102

    4 жыл бұрын

    중국 속담에 셋이 함께 걸으면 그중에 한사람은 스승이 있다.. 라는 말이 있음.. 유튜버라도 그 사람에게 배울께 있다면 스승이지 않을까? 교탁에서 목청만 높이는 것들도 선생이라고 부르는데 말이야...

  • @noname-vs4uy

    @noname-vs4uy

    4 жыл бұрын

    @@flower-jp1om 학교엔 선생님이 이미 없다. 교놈년만이 있을 뿐. 선생님이라고 불릴려면 학생들의 인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아무도 인정하지않는다.

  • @minsjang9467

    @minsjang9467

    4 жыл бұрын

    94년생인데, 저때도 우리들의 진정한 선생님은 EBS였지 교사 새끼들이 아니었음

  • @ddoddo4491
    @ddoddo4491 Жыл бұрын

    진짜 해외 봉사, 논문은 역대급 개소리다 ㅋㅋㅋ

  • @globalhi2770
    @globalhi2770 Жыл бұрын

    통계자료를 봐도 정시가 더 공정하다고 나옴~

  • @user-vl4ii5wy3e
    @user-vl4ii5wy3e4 жыл бұрын

    ㅋㅋ..학생들을 위한 수시가 아니라 교사들의 권위를 위한 수시제도라는 걸 확실히 느끼게 해주는 ㅈ같은 토론이네

  • @user-wl8vf6kh9b

    @user-wl8vf6kh9b

    4 жыл бұрын

    전국교육노동자 놀고먹고위해서임 무노동무임금찬성

  • @ejkseason4148

    @ejkseason4148

    4 жыл бұрын

    교사들의 권위가 박살나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수시 전면화는 학생도 죽고 교사도 죽는 시스템임. 50대 50정도 유지가 되어야 교사도 살고 학생도 선택폭이 넓어짐.

  • @wind55

    @wind55

    4 жыл бұрын

    세월호 배지 달고있는 인간치고 제정신 가진 인간이 있던가?

  • @sjc6429

    @sjc6429

    4 жыл бұрын

    @@wind55 이런 댓글 다는 사람들중 제정신인 사람이 있던가? 추모하는 사람들이 잘못된것인가 모든지 정치색 넣고 삐딱하게 바라보는 사람들이 잘못된것인가?

  • @tptplayer8400

    @tptplayer8400

    4 жыл бұрын

    @@wind55 여기서 정치가 개입하는 이유를 모르겠는데요...

  • @SlamSmack
    @SlamSmack4 жыл бұрын

    설마 지들이 봤던 암기 위주의 시험인 학력고사랑 수능이랑 같다고 보는거임 ?

  • @user-ju7ss3cq4r

    @user-ju7ss3cq4r

    4 жыл бұрын

    ㄹㅇ저새끼들은 교사라는 놈이 평가원 수능출제 원칙 안보나? 단순 암기를 요하는 문제 지양하고 사고력을 바탕으로 하는 문제 지향하는데 뭔 개소리를 하는지 저런놈이 어떻게 하나고 교사인지 모르겠다

  • @user-yh1lo8jd5m

    @user-yh1lo8jd5m

    4 жыл бұрын

    @룩. 왜냐면 요즘 애새@끼들이 툭하면 핸드폰으로 동영상찍어서 신고할라하니까 선생이 열심히 하고 싶겠냐

  • @user-cl2hl4bx6p

    @user-cl2hl4bx6p

    4 жыл бұрын

    @@user-yh1lo8jd5m 찍어서 신고하니 더 열심히해야지 ㅋㅋ

  • @user-hs1rd4jv4h

    @user-hs1rd4jv4h

    4 жыл бұрын

    @@user-yh1lo8jd5m 네다틀

  • @user-hb1xc8ch4w

    @user-hb1xc8ch4w

    4 жыл бұрын

    @@user-yh1lo8jd5m 그런 일은 드무니까 뉴스에 나오죠.. ㅋㅋ 실제로는 선생이 갑질하는 일이 훨씬 빈번하니까 그건 뉴스에 안 나오는 거고 웃겨 죽겠네 아주 ㅋㅋ

  • @user-wngpwlscjswoek
    @user-wngpwlscjswoek2 жыл бұрын

    강성태 진짜 사이다다 수시 시작하고 사교육 학생부담 전부 너무 빡세짐 공정은 개나주게되고..

  • @user-eb1tz6jb5r
    @user-eb1tz6jb5r Жыл бұрын

    노란 리본은 왜 달려있는거에요?

  • @TheTjauddh
    @TheTjauddh3 жыл бұрын

    강성태님이 다니셨던 시절하고는 많이달라서 ~ 라고얘기시작하는게 개 웃기네 ㅋㅋㅋㅋㅋ 매년마다 수백 수천명 수시 입시연구하고 공부잘하는법 파는사람한테 ㅋㅋㅋㅋ

  • @qpdboo

    @qpdboo

    3 жыл бұрын

    멧돌 손잡이가 없어

  • @TheTjauddh

    @TheTjauddh

    3 жыл бұрын

    @@qpdboo 어의가없노?

  • @Dogwithoutkang

    @Dogwithoutkang

    3 жыл бұрын

    애초에 강성태님이 재학시절이 많이 다르면 전교조소장이 다닐 때면 다른게 아니라 거의 틀린 수준인데 ㅋㅋ

  • @yc2759

    @yc2759

    3 жыл бұрын

    근데 강성태 저새끼 대깨문임

  • @lofe-rx5gd

    @lofe-rx5gd

    3 жыл бұрын

    @@yc2759 ㅇㅇ 맞음 근데 대깨문인데도 불구하고 저렇게 깨어있다는게 다행임

  • @aileeinnl9412
    @aileeinnl94124 жыл бұрын

    죄송한데 전경원 저 분은 어느나라 학생 얘기하시는거죠????울 나라 고딩들 다양한 활동으로 학교안가는데요?죽어라 인강듣고 야자해서 가는디?

  • @user-xy8km4zd1e

    @user-xy8km4zd1e

    4 жыл бұрын

    진심 개ㅇㅈ

  • @user-ns9gd7gg1w

    @user-ns9gd7gg1w

    4 жыл бұрын

    이게 맞다 ㅋㅋㅋ 현실을 ㅈ도 모르는 놈들이 나와서 저러는거 역겹다 ㅠㅠ

  • @frenkie.

    @frenkie.

    4 жыл бұрын

    전교조잖어~

  • @py7427

    @py7427

    4 жыл бұрын

    저세상 ㅈㄴ웃기넼ㅋㅋㅋㅋㅋ

  • @leftsun3242

    @leftsun3242

    4 жыл бұрын

    저기서 말하는 다양한활동은 보통 대치동 이런곳에서 공부하는 잘사는 애들이거나, 과고 외고 특목고같은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죠. 다른 뉴스나 기사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대치동 같은 곳에서 사시는 분들의 자녀들은 사교육을 통해 자기소개서, 봉사활동, 수행평가같은 모든걸 케어해준다는것을 본적도 있습니다.

  • @user-wb3et1jp6d
    @user-wb3et1jp6d2 жыл бұрын

    고등 학생 되면 진짜 ㅈㄴ 공감 하는게 선생님들 시험 점수 좋은애들 잘챙겨주려고만 하는게 보이고 , 시험기간 동안 하루 수행이 2,3개씩 나오는데 그거 준비하느라 시험공부는 시험공부대로 못하고 수행때매 시험기간 1주일전까지 3시 4시에 암기하고 자는거 ㄹㅇ 역겨움 글고 저사람이 주장하는 돈없는 학생들 학생부로 보내겠다는데 그것도 ㅈㄴ 모순인게 돈있는집 애들은 학원에서 수행 까지 처챙겨줘서 결과적으론 짐 거기에 강성태님이 주장하시는거 내신 시험 그거 학원에서 그냥 외우기만 시키는데 무슨 ㅋㅋ

  • @operation_STRIX
    @operation_STRIX Жыл бұрын

    전교조 노란리본은 과학이다 ㅋㅋ

  • @volibear112
    @volibear1124 жыл бұрын

    정시를 해도 입시는 지옥이다. 그러나 정시확대를 해야 그나마 공정한 입시가 되는 것은 사실이다. 차악을 선택해야지 최악으로 치닫으려고 해서 되겠는가?

  • @thereddevils8497
    @thereddevils84974 жыл бұрын

    수행평가야 말로 프린트 외우는건데ㅋㅋㅋㅋㅋㅋ 내가 보기엔 교육정책 책임자들은 나이 40대 이상되면 자격박탈하는게 답이다

  • @user-vk3ps2kv3i

    @user-vk3ps2kv3i

    4 жыл бұрын

    수행평가라고 무작정 나쁜게 아니고 정부가 억지로 수행평가를 시키니 창의적으로 못 만들고 형식적인것임

  • @user-ct7yw5vc3p

    @user-ct7yw5vc3p

    4 жыл бұрын

    @@user-vk3ps2kv3i 그래서 자사고가 좋은건데...외우는 수행은 영어단어 하나밖에 없고 발표, 탐구위주 수행으로 선생님들이 다 창의적으로 짜놔요.. 수행도 대입할 때 스토리 만들어지도록 퀄리티있게 만들더라도요.. 근데 부모님이 해주는 애는 거의 없어요

  • @user-mj4ex6kh6r

    @user-mj4ex6kh6r

    4 жыл бұрын

    @@user-ct7yw5vc3p 생기부 좋으면 뭐합니까 내신 등급이 안나오면 말짱도무룩인데

  • @user-rd9up4ok2s

    @user-rd9up4ok2s

    4 жыл бұрын

    넌 나이 40되면 퇴사할거냐?

  • @user-sc4cb8yf4p

    @user-sc4cb8yf4p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자사고는 낮아도 알아서 대학에서 뽑습니다 ㅋㅋ 성균관 서강이 자사고 내신 낮은 애들 ㅈㄴ 빨아줘여 일반고 출신인데 고대 붙고 서성 떨어짐 ㄹㅇ ㅋㅋㅋ

  • @user-rg6ln6gw7y
    @user-rg6ln6gw7y2 жыл бұрын

    학생들이 힘들겠네.. 그 시절에 그저 공부만 해야 보상받는 시스템이니 학종은 너무 객관성이 없고 기회의 평등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함

  • @lllilllilllillillliliil6148
    @lllilllilllillillliliil6148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논리가 뭐 저따구지 하면서 보고있는데 전교조였네

  • @joonbong_
    @joonbong_4 жыл бұрын

    진짜 궁금한 게 이 사람들 중에 물리적으로 학생들과 더 가깝고 실태를 더 직관적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누군지 정말 모르는 걸까

  • @user-ye4iu6ne9p

    @user-ye4iu6ne9p

    4 жыл бұрын

    핵심은 정시를 전교조포함 고교선생님들이 반대한다는 것. 그들이 표가 많음. 그리고 민주당지지자들. 그럼 왜 전교조가 정시확대를 반대하는가? 2000년대 중반 학생들이 예체능이고 국영수 모두 수업을 안 들음. 학원에서 새벽까지 공부하다오기 때문. 그때 겪은 좌절감을 기억하기에 정시확대를 기를 쓰고 반대하는것. 전국에 있는 선생들에게 말하고 싶습니다. 교육에 1차 목표는 보육 그리고 부모가 가르칠 수 없고 책에서 찾을 수 없는걸 가르치는게 아닐까요? 이미 서울권 대학교 교양수업은 인강으로 대체하고 있는 학교도 있습니다. 시대가 변했습니다. 대입은 이제 공교육으로 막을 수가 없는거죠. 사교육을 인정하고 사교육과 싸우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든 사교육에 지지않는 시스템을 만들어 학생들로 하여금 학교선생이 필요한 존재로 인식시키기 보다는 우리 아이들에게 공평한 제도를 만들어주는게 우리 어른들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ye4iu6ne9p

    @user-ye4iu6ne9p

    4 жыл бұрын

    @루카스 공교육을 강화시키면 좋겠죠. 그러나 학교 선생님들은 학생들 가르치는 것이외에도 할 일이 많고 무엇보다 게을러서 수능 스타일 유행변화를 따라가지 못 합니다. 그리고 수리영역은 이제 선생님들 조차 혀를 내두를 수준에 다다랐습니다. 모든 과목 중에서 범위가 좁다보니 결국 난이도와 문제 풀이시간으로 등급을 가르는데 한계가 왔죠. 지금은 교과과정 처럼 보이지만 대학교 수준 즉, 상위단계에서 배워야 출제자의 의도를 알 수 있죠. 더 쉽게 말하면 배경지식이 없다면 기본공식을 아주 어렵게 활용해야 풀 수 있어요. 우리가 경시대회만 나가도 결국 상위단계의 수학을 배우면 점수가 잘 나오는 이치입니다. 그런데 그게 유행에 따라서 변하는걸 사교육 강사들이 캐치해서 자기들만 공유하죠. 수학 고득점은 이미 실력만으로 승부를 가르는 시대가 끝난것 같아요. 그렇다고 수학범위를 넓히기에는 수포자가 너무 많아서 어쩔 수 없는 상황.

  • @arenouveau2905
    @arenouveau29054 жыл бұрын

    학종이 교사권력아님? 사사로운 감정없이 교직에 임하고 있는지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봐라

  • @user-jr7uy3vx7i

    @user-jr7uy3vx7i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선생이 싫어하면 생기부 좃개판ㅋㅋㅋ

  • @iilililiiilliillilililil

    @iilililiiilliillilililil

    4 жыл бұрын

    @@Jay71335 그건 우려되는 상황이 맞음

  • @user-ig9oj5dn3i

    @user-ig9oj5dn3i

    4 жыл бұрын

    윗분들 말씀이 충분히 일리가 있습니다

  • @troublej1595

    @troublej1595

    4 жыл бұрын

    교사 권위 무너질대로 무너졌는데 대체 뭔소리를 하는거야. 그럼 생기부라도 쓸 권한이라도 있어야 생활지도라도 할 거아니야. 학교 개판나는거 보고싶은건가

  • @troublej1595

    @troublej1595

    4 жыл бұрын

    @달리란말이야 생활기록부는 학생의 생활 전반에 대한 평가입니다. 생활지도의 가장 첫번째 지도자는 담임교사인데 지도자가 평가를 하는것은 당연한게 아닌가요? 학교폭력을 일으킨 학생에게 정당한 평가도 못하나요? 이게 갑질 또는 기득권 유지로만 보기만 해서 안타깝습니다.(감정으로 인해 말이 좀 격해졌네요)

  • @user-ok9fv7pk2d
    @user-ok9fv7pk2d Жыл бұрын

    와 이현선생님 여기서 오랜만에 뵙네요. 선생님 강의듣고 08학번 수능 윤리 1개 틀렸습니다

  • @hh3977
    @hh39774 жыл бұрын

    강성태 답답해하는게 보인다. 학종 개편 외치는 사람은 실무경험이나, 해당 업계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르고 탁상공론이나 하고 있으니 저런 소리하지...

  • @aileeinnl9412

    @aileeinnl9412

    4 жыл бұрын

    황한음 그런것도 있구요 강성태 반대편에 앉은 저 사람들 정치목적으로 시험없앨려는 사람이에요 민주당 요즘 평등평등하잖아요; 과연ㅋㅋㅋ평등일짘ㅋㅋ정시를 줄이면 사교육비 있는애들은 더 창의적인 뭔갈 내 놓겠고 사교육비 없는 애들은 더 도태 되겠는게 뻔 보이는데 그저-자기 정당정치 사상에 눈이 멀어가지고 에휴ㅉ

  • @buydoji

    @buydoji

    4 жыл бұрын

    @이동욱 인헌고 사건 찾아보세요. 그 교사가 전교조 출신이었습니다. 사상에 찌든 사람들입니다. 하나의 정치세력 맞습니다. 전교조 출신 사람들이 요직에 있으면 저런 비전을 공유하겠지요. 위험한 건 맞습니다. 저 사람들이 아니라 저 사람들과 뜻을 같이 하는 세력 주목하셔야 할 겁니다.

  • @user-vq8xm6yc2u

    @user-vq8xm6yc2u

    4 жыл бұрын

    @이동욱 먼 개소리세요 교육계 최고 권력층이지 지금은

  • @user-jw1sv5pp6y

    @user-jw1sv5pp6y

    4 жыл бұрын

    전교조는 정치판에서 아양거리는 쓰레기일 뿐, 지도자라 할 수 있는가?.

  • @myboo4655
    @myboo46553 жыл бұрын

    정시가 짱이었음. 교수가 몇달간 머리짜서 낸 시험지 vs 교사가 몇주간 짜낸 시험지. 뭐가 더 퀄리티가 높겠냐

  • @user-dq1cd5lt3m

    @user-dq1cd5lt3m

    3 жыл бұрын

    몇주도아님 ㅋㅋㅋ

  • @user-iu7ey5qf5r

    @user-iu7ey5qf5r

    3 жыл бұрын

    ㄴㄴ 몇일이면 완성☆

  • @user-fi4vl9ei3w

    @user-fi4vl9ei3w

    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독방에서 문제만듬

  • @user-so1gb2xf9j

    @user-so1gb2xf9j

    3 жыл бұрын

    근데 교수도 출제 일주일인가만에 뚝딱한다고 하긴함. 그냥 안에 갇혀있는 기간이 길 뿐

  • @user-ji6ri6ct2f

    @user-ji6ri6ct2f

    3 жыл бұрын

    @@user-so1gb2xf9j 출제 기간은 실제로 짧은데 검토를 엄청나게 한다고 하더라구요. 검토에 검토에 또 검토를 한다고 출제경험하신 선생님이 그러시더군요. 그렇기 때문이 다양한 각도로 문제를 풀어도 오류가 없고 숫자도 깔끔하죠. 또 한 문제에 여러명이 달려들어 문제 자체를 아예 바꿔버리기도 하구요.

  • @puwazatza
    @puwazatza Жыл бұрын

    선택적 분노의 교과서 강성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wg7ri8ng1d
    @user-wg7ri8ng1d11 ай бұрын

    주입식 교육의 폐해가 서서히 나타나고있죠. 학생들은 더이상 공부에는 관심이 없어지고 주입식교육을 통해 성공이라는 단어에 점점 멀어져가는 현실에 기계화된 한국 교육으로부터 더욱 멀어지게되었습니다.

  • @tvjemination
    @tvjemination3 жыл бұрын

    저래놓고 본인들 자녀 성적안나오면 대치동 1타 강사 달려감

  • @jayblue5212

    @jayblue5212

    3 жыл бұрын

    이거지 ㅋㅋㅋㅋ

  • @freetibet557

    @freetibet557

    3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조민처럼 빽써서 입학할텐데 뭐하러 대치동에가누 ㅋㅋㅋㅋㅋ

  • @user-xz3ys3eg3q

    @user-xz3ys3eg3q

    3 жыл бұрын

    좌파들 하는짓이 그럼.

  • @Adorableguy

    @Adorableguy

    3 жыл бұрын

    @@freetibet557 어허 그런말하면 국시 통과했다는 틀딱들 몰려와서 뚜들겨맞아여

  • @user-jg2vc2zd3d

    @user-jg2vc2zd3d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 @brgb90
    @brgb904 жыл бұрын

    정시확대 반대하는 가장 큰이유 교사들 자존심이다 학생들이 자기 수업 안듣고 정시 공부만 하기 때문 그 이유가 가징 지배적임 학생들이 어떻게 대학가고 이런거 관심 없음 솔직히 정시야 말로 인생역전이다

  • @user-ds1kz2yn3b

    @user-ds1kz2yn3b

    4 жыл бұрын

    내신 박살난 학교 학생들은 이미 수업 시간 의미 없습니다. 그야말로 반쪽짜리 입시

  • @user-gf8do8dt7z

    @user-gf8do8dt7z

    4 жыл бұрын

    수시확대되면 1학기 기말끝나고 학교 놀자판임 ㅋㅋㅋㅋㅋㅋ 애들학교도 안나옴

  • @user-cr4mu5nk1r

    @user-cr4mu5nk1r

    4 жыл бұрын

    수시 지지하는 교사들 지들 편하려고 하는거임. 정시는 모든 학생들을 끌고가야하는게 큰데, 수시는 몇몇 상위권 학생들만 끌고 생기부 쓰면 되는 거니까. 정시? 늘면 신경쓸 애들이 많아지고 귀찮으니까 그러는거임. 특히 일반고.

  • @user-cw1cy4kr6b

    @user-cw1cy4kr6b

    4 жыл бұрын

    ㅇㅈ

  • @user-uy4rc4oz9d

    @user-uy4rc4oz9d

    4 жыл бұрын

    팩트는 잘 가르치면 애들 다 들음 중학교때도 주요과목이 아니더라도 쌤만 잘 가르치시면 애들 다 들었음 그러니 사교육 정시탓할게 아니라 지들 실력을 탓해야되는거지 신발

  • @Allin7days
    @Allin7days13 күн бұрын

    우선 모두가 좋아하는 교육방식은 없다 라는 것을 인정하고 부분적으로 조금씩 발전시키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

  • @user-fx7im8lv7e
    @user-fx7im8lv7e2 жыл бұрын

    전교조가 근거를 잘못 들었다. 강성태 말대로 수능은 암기식 시험이 절대 아니고 사고력을 필요로하고 오히려 내신이 암기인데 차라리 대학교 전공 과정과 수능 과목이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전공적합성을 보기위해 학종을 한다고 했으면 더 적절하지 않았나싶다.

  • @52nohanddr
    @52nohanddr4 жыл бұрын

    사실상 현직 교사보다 강성태가 대한민국 교육현실에 대해서 더 잘 알고 있는게 보이네ㅋㅋ

  • @All_white

    @All_white

    4 жыл бұрын

    현직교사와 강성태님을 똑같이 보면 안대지 않나..

  • @user-eh5ok4wc8r

    @user-eh5ok4wc8r

    4 жыл бұрын

    관점의 차이이지 않나? 학생의 관점과 교육전문가의 관점이랄까 어차피 지금처럼 교육이 경쟁이면 다 거기서 거기

  • @user-eh5ok4wc8r

    @user-eh5ok4wc8r

    4 жыл бұрын

    @@muller_13 아니 독일같은 경우는 고등학교만 나와도 먹고 살수 있거든 실제 대학 등록금도 무료인데도 진학률이 엄청 낮지

  • @user-bl3wr7ex3r

    @user-bl3wr7ex3r

    4 жыл бұрын

    @@user-eh5ok4wc8r 교육이 경쟁이라면 객관적이고 실력대로 대학교 가는 정시 확대가 맞지 무슨 거기서 거기같은 소리 함? 학문적으로 정시랑 학종중에 어느 게 더 가치있는지 다시 한 번 생각 해보길

  • @user-eh5ok4wc8r

    @user-eh5ok4wc8r

    4 жыл бұрын

    @@user-bl3wr7ex3r 이거든 저거든 수십년동안 여러 교육정책을 해왔지만 항상 문제가 있었지 그래서 내말뜻은 현재 한국의 교육이 경쟁이 너무 심하다는거야 공부가 꼭 필요한 사람들이 대학가고 전공도 아닌곳에 취업하는 사람들은 고등학교만 나와도 되게끔 해야한다는 말이야

  • @user-cq1ys9fp4f
    @user-cq1ys9fp4f4 жыл бұрын

    수행 비중이 높아졌다 하더라도 애들이 수행은 다 존나 잘 챙겨가지고 어차피 갈리는건 시험임ㅋㅋㅋ 수행 잘 챙기더라도 시험 망하면 그냥 내신 족치는거임ㅋ

  • @user-bd9rz9do3f

    @user-bd9rz9do3f

    4 жыл бұрын

    수행을 거의 대학 논문급으로 내라고 하면 겁나 갈릴듯ㅋㅋㅋㅋㅋㅋ

  • @user-kk5qj3go8j

    @user-kk5qj3go8j

    4 жыл бұрын

    @@user-bd9rz9do3f 고3 국어 수행 논문쓰기다 야발

  • @user-yr1sm4oq7t

    @user-yr1sm4oq7t

    4 жыл бұрын

    @@user-kk5qj3go8j 힘내세요..;;

  • @Ice_horse2

    @Ice_horse2

    4 жыл бұрын

    겐붕 원래 있지 않나요? 3년전에도 있었는데

  • @user-kk5qj3go8j

    @user-kk5qj3go8j

    4 жыл бұрын

    @@Ice_horse2 모름 전 처음해봄

  • @sanjirobin
    @sanjirobin Жыл бұрын

    최고의 레전드편.

  • @user-ln4ed3xt9v
    @user-ln4ed3xt9v Жыл бұрын

    한쪽은 이상 한쪽은 현실. 서구권 교육제도에는 맞을수 있으나 아시아권에서 수십년간 유지해온 입시위주의 경쟁구도에서는 사실상 단기간에 저런제도를 정착하기가 쉽지않지...

  • @user-qp9ui5hy6g
    @user-qp9ui5hy6g3 жыл бұрын

    내가 찐 학종러였기 때문에 앎. 진짜 지금 학종만큼 모순된 전형이 없음. 고등학교 1,2학년때는 무조건 생기부 채우라 해놓고 고3때 그것들을 이리 저리 섞어서 자소서라는 이름을 가진 소설을 쓰게 함. 솔직히 학생들이 자소서에 쓴 그대로 살았으면 우리나라에서 노벨상 100명은 나와야함. 거짓인거 다 아는 자소서가 평가요소라는 것 자체가 모순임.

  • @def_win4689

    @def_win4689

    3 жыл бұрын

    일반고는 그럴지 몰라도 영재고 과고도 그럴까요? 전 아니라고 봅니다.

  • @def_win4689

    @def_win4689

    3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자소서에 쓸만큼 자기가 뭔가 하지 않았다면 그건 고등학교 시절을 너무 수동적으로 살았다는 것 아닐까요.. 저도 능동적으로 한 일이 많지 않지만 하물며 학교 과학 과제라도 열심히 했으면 자소서에 적을만한데(실제로 저도 그렇게 했고)

  • @user-pr7dc3cp6y

    @user-pr7dc3cp6y

    3 жыл бұрын

    @@def_win4689 그럼 영재고 과고에서 지소서쓸때 자소서쓰려고 활동했다고 씁니까? 애초에 자소서를 쓰기 위해 행해지는 활동이 모순일 뿐만 아니라 느낀 점이라고 쓴 부분을 학생이 정말 느낀 것으라면 정말로 노벨상 10명은 나옵니다 ㅋㅋ

  • @def_win4689

    @def_win4689

    3 жыл бұрын

    @@user-pr7dc3cp6y 자소서를 쓰기 위해 행해지는 활동이 어디있어요? 결국 뭘 하던 간에 경험을 쌓고 그게 자소서 쓸 때 참고할 만한 것들 중 하나가 되는거지.. 대외활동 논문 학회 솔직히 말하면 1도 안 중요해요 저 영재고 나왔지만 자소서에 자율연구나 대외활동 내용은 하나도 안 적었습니다. 자기가 학교 공부 어떻게 열심히 했고 동아리 활동 할 때 마음가짐, 활동하면서 배운 점 이런게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 @def_win4689

    @def_win4689

    3 жыл бұрын

    @@user-pr7dc3cp6y 그리고.. 소설 쓰면 면접관이 모를까요? 솔직해집시다. 교수 입장에서 보면 다 애들 장난이에요. 실제로 중요한건 얘가 뭘 했냐보다 얘가 어떤 일들을 하면서 뭘 느끼고 뭘 생각하고 어떻게 살아야겠다고 생각하는지, 그 마음가짐과 자세, 열정, 또는 번뜩이는 생각 그런게 더 중요한 평가요소인거죠. 애초에 학생 교과 실력은 학교랑 내신성적 보면 기존 데이터가 있기 때문에 견적이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 @user-tc4oq4eq6q
    @user-tc4oq4eq6q4 жыл бұрын

    수시는 이념은 좋은데 유토피아인게 문제임.. 모든 잣대를 동일하게 잡고 선생 생각도 같아야 하고 지역별 차이도 별로 안나고 부모의 경제상태도 비슷해야함 뭔 사회주의도 아니고 가능할리가 없잖아...

  • @user-gv2ql2kc7v

    @user-gv2ql2kc7v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사회주의도 이념은 좋지만 유토피아죸ㅋㅋㅋ

  • @user-sf8ec7ph4k

    @user-sf8ec7ph4k

    4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전교조 자체가 사회주의, 공산주의 찬양하던 운동권 출신들이 만든 조직

  • @user-zx4zn1jw2j

    @user-zx4zn1jw2j

    4 жыл бұрын

    좌파 특징

  • @user-uy8jh6cs4r

    @user-uy8jh6cs4r

    4 жыл бұрын

    좌파=사회주의 아님?

  • @Kanzja

    @Kanzja

    4 жыл бұрын

    @@user-uy8jh6cs4r 솔직히 원래 어디서나온지는 몰라도 지금좌파는 사회주의이념임

  • @danielcho9305
    @danielcho9305 Жыл бұрын

    수행평가는 어떤형태로든 바뀌어야 할듯 합니다

  • @user-wk8ll6kf8i
    @user-wk8ll6kf8i Жыл бұрын

    지방일반고 출신 현 반수생인데 수시는 진짜 비리다 진심

  • @user-un9qu2gt2m
    @user-un9qu2gt2m3 жыл бұрын

    왜 정시가 주입식이야? 정시가 진짜 실력이고 수시가 오히려 주입식,암기지 ㅋㅋ 그리고 수시가 더 부담스럽고 더 힘듦. 나도 3학년때 진로 바뀌어서 강제 정시된 케이스. 시험 한번 망쳐도 기회가 있다고 하는데 반대로 생각하면 내내 열심히 해도 한번 망치면 내 목표가 깨질 수도 있는거임

  • @user-cs4do7on8i

    @user-cs4do7on8i

    3 жыл бұрын

    김태훈 저사람 그냥 아무것도 모르고 나온듯;;

  • @user-qp6ti6jn5s

    @user-qp6ti6jn5s

    3 жыл бұрын

    대신 정시는 그날 ㅈ되면 끝나잖아

  • @roozyy_y

    @roozyy_y

    3 жыл бұрын

    @@user-qp6ti6jn5s 정시는 다음해에 기회라도 있죠...

  • @user-qp6ti6jn5s

    @user-qp6ti6jn5s

    3 жыл бұрын

    @@roozyy_y 수시는 한번조져도 9번이있는데요?

  • @user-qp6ti6jn5s

    @user-qp6ti6jn5s

    3 жыл бұрын

    @@roozyy_y 아 근데.. 생각해보니까 대학 잘못보내는학교는 좀 그럴듯

  • @user-sh7go8bc7x
    @user-sh7go8bc7x4 жыл бұрын

    ㅁㅊ 누가 학교 내신 준비할때 이해를 바탕으로 풀냐... 특히 영어 같은 경우 본문 싹다 외워서 가야하는데...

  • @user-xw3kr8ju1z

    @user-xw3kr8ju1z

    4 жыл бұрын

    와 개쌉인정 고3때는 수특 지문 다 외우고 이게 학생이 할 짓이냐

  • @veritasforever1840

    @veritasforever1840

    4 жыл бұрын

    고등 내신도 영어본문, 지문 외움??

  • @user-zc8be8mm9v

    @user-zc8be8mm9v

    4 жыл бұрын

    Veritas Forever ㅇㅇ 우리학교는 부교재가 모의고사인데 여기서 대부분 문제 나와요. 가끔씩 엿맥일라면 서술형 교과서에서 내고..

  • @wiwaxiasilver827

    @wiwaxiasilver827

    4 жыл бұрын

    아아... 그런 식이군요. 수행평가 방법, 교육도 개선이 많이 필요한 상황이군요...

  • @user-vk3yc9wj1j

    @user-vk3yc9wj1j

    4 жыл бұрын

    @@veritasforever1840 네..본문이나 수특 지문같은거 안외워서 보면 시간내에 다 못풉니다..시험시간에 일일이 다 읽으면서 풀면 ㅂㅅ되는거고 거기에 외부지문까지 있어서...암기가 필수죠

  • @user-ld8cm4xt2n
    @user-ld8cm4xt2n Жыл бұрын

    정시확대: 현실론 수시확대: 이상론

  • @user-tz3ej1dy8y
    @user-tz3ej1dy8y2 жыл бұрын

    왼쪽: 학생들을 위한 얘기 오른쪽: 선생들을 위한 얘기

  • @user-vs6wl5rv4c

    @user-vs6wl5rv4c

    2 жыл бұрын

    왜 선생들을 위한거지…? 선생들도 세특 써야하고 생기부 써야하고 뭐 할게 더 많은데

  • @onto7015

    @onto7015

    2 жыл бұрын

    선생도 정시위주가 훨신 편하지 개소리야 ㅋㅋㅋ

  • @user-vs6wl5rv4c

    @user-vs6wl5rv4c

    2 жыл бұрын

    @초등영어사전 오히려 그게 좋지 학생들 입장에서는;;;

  • @user-qm2db7ds6k

    @user-qm2db7ds6k

    2 жыл бұрын

    @@user-vs6wl5rv4c 선생을 위한 거죠 생기부 안쓰고 세특 없으면 학생들이 선생님 말을 들을까요? 생기부안쓰면 1년이 힘든거임

  • @user-vs6wl5rv4c

    @user-vs6wl5rv4c

    2 жыл бұрын

    @@user-qm2db7ds6k 님 말대로면 수시 없을 땐 애들이 쌤 말 안 들었겠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