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언니

열심언니

🤎취업, 이직, 부동산, 재테크, 자기계발 :-)

* 현재 서울, 12년차 직장인
* 전직 공기업/공단 근무 프로이직러

💌[email protected]

Пікірлер

  • @user-di8cy8bg9z
    @user-di8cy8bg9z2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이번에 공기업을 처음 준비 시작하려는 취준생입니다! 혹시 궁금한게 있어서 연락드리고싶은데... 상담 부탁드려도 될까요...!?

  • @be-sincere
    @be-sincereКүн бұрын

    네! 메일주시면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부분은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 @patricK-us7vu
    @patricK-us7vu3 күн бұрын

    기계직도 작년부터 발전 쪽은 전부 쌍기사 따야 서류 붙겠더라고요... 전체적으로 점점 상향 평준화되고 있는 것 같아요.

  • @be-sincere
    @be-sincereКүн бұрын

    ㅠㅠ 기계도 쌍기사라니 정말 점점 힘들어지네요....

  • @user-nv7wu4jf1k
    @user-nv7wu4jf1k3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헷갈려서 그런데 취득세 감면은 잔금 치르기 전에 신청하는건가요 아님 먼저 내고 환불받는 형식인가요?

  • @be-sincere
    @be-sincere3 күн бұрын

    먼저 전체금액 납부하고 환불받는 방식입니다^^

  • @user-fb6nl1qp5q
    @user-fb6nl1qp5q3 күн бұрын

    오지근무싫어 회식싫어 순환근무싫어 좀 배부른 소리같다 공기업은 순환근무자 배려차 기숙사 줘 밥도 줘 9-6정시퇴근에 당일연차 반차 워라벨 최상에 돈도 많이버는 신의직장이라고 생각함 그정도는 감수하고 일해야지 민원같은 스트레스면 몰라도 이유가 공감은 안되네요

  • @user-by6ed8ii5t
    @user-by6ed8ii5t4 күн бұрын

    왜 저렇게 낮지..

  • @user-ji3gu9zr8y
    @user-ji3gu9zr8y4 күн бұрын

    영상잘봤어요 지금 타은행 주담대실행중이에요 , 타은행 주담대 상환하고 카뱅 주담대실행 가능할까요? 저희가 집을매도햇는데 매수자한테 이삿날에 돈받으면 주담대상환하고 매수할집으로 주담대 실행해서 갈려고해요

  • @be-sincere
    @be-sincere3 күн бұрын

    신규 주담대를 카뱅에서 받으신다고 가정했을때, 보통 이럴경우, 잔금날 바로 카뱅에서 기존 은행에 보유중인 주담대를 갚아주는 형식으로 진행이 되는걸로 알고 있어요.. 정확한건 카뱅 주담대 문의에 남겨보시고 답변 받으세요 :)

  • @test01-qk9fb
    @test01-qk9fb4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혹시 상여금(떡값) 도 받으셨을까요??

  • @be-sincere
    @be-sincere3 күн бұрын

    네~ 공단도 공무원도 매년 상여금 있습니다 ^^

  • @test01-qk9fb
    @test01-qk9fb3 күн бұрын

    ​@@be-sincere 답변 감사합니다 설날, 추석 2번 받으셨나요?? 그리고 혹시 식대랑 직급보조비(보전수당)도 별도로 받으셨나요??

  • @user-zb7qx4qe1m
    @user-zb7qx4qe1m4 күн бұрын

    구 공단은 운영수당 150,000원이 없네요 ㅠㅠ 직급보조비도 시에서는 140,000원정도 성과급도 말도 안됩니다... 명절수당도 60프로가 아니라니.... 제 경우는 공무원을 하다가 시 단위 시설관리공단으로 가고 나서 공무원때보다 1년에 500~600정도 더 받는거 같아요 ㅠㅠ 몰론 공무원9급에서 공단9급으로 간 기준입니다...

  • @be-sincere
    @be-sincere3 күн бұрын

    공단의 경우 지자체에 따라 규정이 다릅니다. 서울시 자치구 내 25개 공단이 모두 같을 수는 없으니까요.. 제가 다녔던 곳은 운영수당이라는 항목은 없었고, 명절수당도 40%였습니다. 제가 근무했던 곳이 매우 열악했네요 ㅠㅠ

  • @user-zb7qx4qe1m
    @user-zb7qx4qe1m3 күн бұрын

    @@be-sincere 정말 열악하네요 ㅠㅠ

  • @user-gj4ss9dw5r
    @user-gj4ss9dw5r5 күн бұрын

    잘보고있습니다. 현직자들의 얘기가 참 좋네요. 이젠 코레일 조차도 내년 하반기부터 토익, 3기사가 들어갑니다. 전공,ncs 시험은 그렇다치는데 사실 면접이 제일 중요한 것 같네요. 이젠 중고신입이 필수인 거 같습니다.

  • @be-sincere
    @be-sincere3 күн бұрын

    와 3기사라니요 ㅠㅠ 정말 상향평준화 되는 것 같습니다.. 정말 저도 이직하면서 느끼는게 결국엔 면접이 제일 중요하더라구요, 의견 나눠주셔서 감사드려요 :)

  • @patricK-us7vu
    @patricK-us7vu3 күн бұрын

    직렬이 어디신데 3기사를 보나요?? 전자쪽인가요?? 너무 빡세네..

  • @user-gj4ss9dw5r
    @user-gj4ss9dw5r5 күн бұрын

    주변 이직하신분들..대부분 연고지로 가신건가요? 결국 지방공기업인건지..

  • @be-sincere
    @be-sincere3 күн бұрын

    네~ 맞습니다. 제 주변 이직한 동기들은 전부 연고지 공공기관으로 옮겼습니다.

  • @test01-qk9fb
    @test01-qk9fb5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정보 감사드리고 문의드릴게 있어서 댓글 남깁니다. 서울 구단위시설관리공단 7급 관리직은 9급이랑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알 수 있을까요?? 그리고 성과급은 매년 등급을 매겨 나오는 걸로 알고 있고 명시가 되어있던데 상여금(떡값 명절 때 2번) 은 따로 없었을까요?

  • @be-sincere
    @be-sincere3 күн бұрын

    제가 다니던 곳은 명절 2번 40% 있었습니다. 성과급은 말씀하신데로 등급에 따라 매년 1회 나오구요~ 7급과 9급 차이는 명확히 말씀드리기가 애매하네요 ㅠㅠ 클린아이에 평균연봉 및 호봉표 한번 참고해보세요!

  • @timeless0819
    @timeless08196 күн бұрын

    좋은 말씀 고마워요 전 3개월 되었어요 포스팅 140개 정도 올렸는데 일일 방문자 30명... 아직은 멀었고 남들이 광종이라고ㅠ욕할 까 내리고 싶을 때도 있어요

  • @be-sincere
    @be-sincere3 күн бұрын

    이 세상엔 생각보다 나보다 관종인 사람이 훨~~씬 많고, 아무렴 관종이어도 어떤가요, 그냥 가만히 있으면서 월급 인플레이션 맞는것보단 내가 내 역량 펼치면서 부수입 내는게 훨씬x100 멋지다고 생각합니다!! 응원할께요!

  • @YoMatYo
    @YoMatYo2 күн бұрын

    저는 1일 방문자 100명 이하, 포스팅 50개 이하 였어요. 카테고리 주제와 맞는 포스팅 이라면 조건에 미흡해도 애드포스트 자격 받을 수 있다해서 신청했는데 승인됐어요. 한번 신청해 보세요❤

  • @user-jg3bu1nz6k
    @user-jg3bu1nz6k6 күн бұрын

    제가 광역급 시설 11년차인데~ 세전 7천 넘는데 공뭔이 11년차 7천 넘나요? 행시 시작 아님 힘들텐데요

  • @user-wk1ff3oe6n
    @user-wk1ff3oe6n7 күн бұрын

    공무원할거면 공기업을 왜 때려쳤나요 ㅋㅋㅋㅋㅋ

  • @user-di4nr7yg3w
    @user-di4nr7yg3w7 күн бұрын

    아주 잘 하셨습니다. 시간이 좀 지나면 알게 되실겁니다.

  • @be-sincere
    @be-sincere3 күн бұрын

    좋은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열심히! 버텨볼께요 :)

  • @user-mw6vz4pf8l
    @user-mw6vz4pf8l8 күн бұрын

    선생님 안녕하세요 우선 영상보고 많이 공감이 되기도 하고 궁금한 점도 있어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정말 고생많으셧을것같은데요ㅠㅠ 저는 급여는 대략적으로 들어서(공무원 9급 기준 적용) 알고는 있는데 시산하 도시공사나 구산하 시설관리공단에서 수행하는 공공시설물(체육관, 수영장 등) 운영 및 관리 시 발생하는 교대근무와 관련된 질의를 드리고 싶어서요. 혹시 같이 근무하셧던 동기분들 중 일반행정으로 공공시설물쪽 배치받으신분들은 교대근무를 하신다고 알고있는대요 혹시 수영장과 같은 곳은 새벽5시에도 오픈을 해야한다고하는데 인접지역 거주자가 아닌 자차가 없으신분들은 교대근무시간이 새벽5시면 출근이 불가하실텐데 이럴경우 어찌하셨는지 보신적 있으신지 문의드릴수 있을까요..?

  • @be-sincere
    @be-sincere7 күн бұрын

    우선 제가 다녔던 곳은 일행직을 교대근무로 넣은 경우는 못봐서요 ㅠㅠ(교대근무를 해야하는 팀의 경우, 연장근로만을 위한 보직을 따로 뽑아서 운영되는 곳이었습니다.)말씀을 드리기가 살짝 애매하네요.. 만약 일행인데 교대 업무에 배정이 되셨다면 아무리 새벽출근이어도 어떠한 지원은 해주기가 제도적으로 좀 어렵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드네요 ㅠㅠ

  • @user-mw6vz4pf8l
    @user-mw6vz4pf8l4 күн бұрын

    @@be-sincere 우선 답글 달아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저는 현재 전국 순환근무를 하는 곳에 다니다보니... 지역 연고지인 곳에 가고픈 열망이 있어서...그리고 그나마 많은 곳이 시설관리공단이나 도시공사쪽이 들어가기가 수월하다고 해서 문의드리게 되었습니다. 혹시 시설관리공단과 같은 곳은 9급 공무원 급여 기준이 많아 주로 해당 지역 내 생활임금을 적용받는다고 얼핏 들었는데...혹 맞으실까요?

  • @be-sincere
    @be-sincere3 күн бұрын

    @@user-mw6vz4pf8l 네~ 맞아요, 현재 저는 공단을 퇴사한 상태이지만, 제가 근무했을 당시 막 생활임금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그런데 아마 생활임금은 보통 공단기준 9급 1~3호봉 정도 수준인 초년생 분들만 해당되실거에요, 제가 당시 8급 5호봉이었는데 해당되지 않았습니다 ㅠㅠ

  • @junja880
    @junja8809 күн бұрын

    대학준비를 하고있는 고3입니다. 취업도 생각을 해서 공기업을 목표로 지거국 대학을 갈까 아니면 인서울 대학을 갈까 하루 하루 고민합니다. 그런데 요새 공기업 to적다고 하는데 이제 곧 베이비붐 세대들이 정년퇴직할 시기인데 다시 to가 늘까요? 그리고 공기업을 목표로 한다고 해서 지거국으로 가는것에 큰 메리트가 있을까요?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 @be-sincere
    @be-sincere7 күн бұрын

    to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뭐라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ㅠㅠ 그때그때 정부 기조에 따라서도 확확 달라지는 부분이라서요, 다만 성적이 충분하신데도 오직 공기업 취업만 보고 지거국을 가시면 조금 아쉽지않을까 싶어요, 지나고보니 생각보다 대학4년이라는 시간이 정말 값지고 많은 경험을 할 수 있는 황금기같은 시간이더라구요 ㅠㅠ

  • @ore2505
    @ore25059 күн бұрын

    부대비용이 상당히 차이가 나네요 다른 부분은 장점이겠는데 비용부분이 좀 아쉽네요

  • @be-sincere
    @be-sincere7 күн бұрын

    네~ 실제로 진행하다보니 추가로 드는 비용이 있더라구요, 영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qm5fl4vg7h
    @user-qm5fl4vg7h9 күн бұрын

    사기업을 안다녀봐서 모르겠지만 조직문화가 너무 힘들어요 그래도 어쩌겠나요 사기업가서 경쟁할 자신은 없어서 그냥 다녀요 다행이 NCS는 잘해서 쉽게 이직했지만 조직문화는 똑같네요😂(ㄱㅂ->ㅁㅅㅎ로 이직)

  • @be-sincere
    @be-sincere7 күн бұрын

    헉 ㅁㅅㅎ로 이직하셨나요? 리스펙합니다..(어떻게 하면 갈 수 있나요?ㅋㅋㅋㅋㅋ 진심으로 지금이라도 붙여만 주면 저도 가고싶네요...) 그런데 ㅁㅅㅎ도 조직문화가 제가 올린거랑 비슷한가요? 궁금하네요ㅎㅎㅎ

  • @user-zm1ho7dg9q
    @user-zm1ho7dg9q9 күн бұрын

    군대서 근무설때 맨날 새하고 구름 하늘 산만보임 ㅋ 그런것과 비슷할듯

  • @juanlaza3360
    @juanlaza336010 күн бұрын

    당시에는 전공시험이 없었나요?

  • @be-sincere
    @be-sincere7 күн бұрын

    전공 자체 시험은 없었고 전공기반 NCS 전형이 있었습니다!

  • @SuHyunPark-jn6tq
    @SuHyunPark-jn6tq10 күн бұрын

    기계직 면접을 남겨두고있습니다 기술 지식 태도 중에 태도를 강조하는 편이 낫겠죠?

  • @be-sincere
    @be-sincere10 күн бұрын

    면접이 최종인지, 1차인지에 따라 다를것 같은데요~ 최종이면 인성/태도가 중요한듯 싶습니다!

  • @user-wx2dt2fg9w
    @user-wx2dt2fg9w11 күн бұрын

    ㅈ소충들이 들으면 ㅂㄷㅂㄷ 할 수 밖에 없는 소리 ㅋㅋ ㅈ기도 ㅈ소 다니면서 통근 1시간반 ~ 2시간 걸리면서 출퇴근하고 월급 3백따리 4백따리 근근히 받아가며 다니는 사람이 봤을땐 초봉도 5천인데 주말에 하루 올라오는거 ㅈ같다고 때려친다는거니까 배부른소리 라고 할 수밖에 ㅋㅋ 뭐 본인 능력되면 더 좋은곳으로 이직하는거고 능력안되면 오지근무 하는거고 그것보다 능력 안되면 공기업 못가고 ㅈ소다니는거긴해

  • @user-mm6tl4cb4e
    @user-mm6tl4cb4e11 күн бұрын

    차라리 대전으로 이전했어야 했다

  • @be-sincere
    @be-sincere10 күн бұрын

    동의합니다ㅎㅎ 발전교육원은 대전으로 이전했죠ㅎㅎ 그 이후에 파견으로라도 가고싶어하는 사람들 엄청 많아진거로 압니다..

  • @HanAnthonyKang
    @HanAnthonyKang12 күн бұрын

    자세한 경험담 감사합니다. 그리고 응원합니다. :)

  • @be-sincere
    @be-sincere10 күн бұрын

    응원해주시고, 영상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HanAnthonyKang
    @HanAnthonyKang12 күн бұрын

    급여성 초과근무수당 수령을 위한 월 30시간 야근...... 익숙한 이야기어서 슬프네요. 실수령액 185만원은 장난 아닌데... 몇 년 전 이야기인가요?

  • @be-sincere
    @be-sincere10 күн бұрын

    2018년경이었어요~ 그때 한창 생활임금 제도가 시행되고 있었어서, 지금은 아마 최저시급 이하로 받는 경우는 없으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급여성 초과근무는 아직 있는거 같더라구요;;;ㅎㅎ

  • @yhjikle6413
    @yhjikle641313 күн бұрын

    서울에살아야지 지방 외지서 왜살아.공기업 거의 지방에 쳐박혀있어.대기업이 좋아.

  • @user-nh8uw4rq4o
    @user-nh8uw4rq4o14 күн бұрын

    현재 모든 공무원 공기업의 문제점: 1990년대 쉽게 들어가고 90년대 문화를 그대로 흡수한 사람들이 현재 전국곳곳 모든 공공기관의 부장급 이상의 우두머리. 일처리방식 + 회식문화 + 인수인계+ 줄타기 등등 90년대 스타일로 함 ㅋㅋ 이런 사람들이 우두머리가 돼있으니 조직문화는 말할 것도 없음. 사실 돈이 예상보다 적더라도 조직문화가 좋으면 사람들이 참고 다님. 반대로 돈은 좀 주는데 조직문화가 개판이면 퇴사율 높음. 문제는 공무원은 둘다 안되고 공기업도 초봉은 공무원보다 높지만 생각보다 적음. 10년차 되면 엄청 올라가지만 10년뒤에 생각하며 참고 다니자니 내 젊음이 아까움 --> 퇴사

  • @user-mf7xd4bo8q
    @user-mf7xd4bo8q14 күн бұрын

    업무강도가 어디가 가장 널널한가요~?

  • @be-sincere
    @be-sincere10 күн бұрын

    기관 유형에 따른다기 보다는 직무에 따른 부서 바이 부서 같아요~ 공단이 젤 일많고 제일 열악했던건 확실합니다ㅎㅎ

  • @wewho350
    @wewho35015 күн бұрын

    중앙공기업으로 이직 후 더이상 이직없을거라 생각했는데요 여긴 순환을 안하더라구요ㅜㅜ(연차 높으신 선배분들만 수도권근무하고 젊은세대는 수도권가기 쉽지않은 상황입니다) 30중반에 또 이직하는게 맞는지 싶었는데 내년에 수도권에서 결혼할예정이고 남자친구가 지방으로 이직하긴 어려워서 저도 이직이 맞는것같아요 😢 같은 고민겪으신 이야기 들으니 위안이 되네요

  • @be-sincere
    @be-sincere15 күн бұрын

    그 상황을 저도 똑같이 겪었어서 정말 공감이 많이 됩니다ㅠㅠ 사실 결혼 이후부터는 정말 현실이더라구요.. 누구 하나가 옮겨갈 수 없는 상황에서 주말부부로 언제까지나 살 수 있는건 아니니까요 그래서 전 이직을 선택했습니다 ㅠㅠ 연봉 엄청 포기했지만, 지금 다시 결정하라고 해도 전 이직했을것 같아요.. 오히려 매주 서울-지방 왔다갔다 안해도 되니까 엄청난 시간을 얻었고 가정을 얻었고 삶의 만족도를 얻었습니다. 응원할께요!!

  • @wewho350
    @wewho35014 күн бұрын

    @@be-sincere 퇴직사유 영상도 다 너무 공감갔어요 잦은 회식하고 회사 사내커플 많은거나 진짜 친구처럼 지내는분들도 많으시구요 제가 잘 못찾아서 그랬는지 모르지만 비연고지 근무에 대해 딱 공감가는 영상이 없었는데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편안한 저녁되세요~!

  • @user-qb9im7fv1k
    @user-qb9im7fv1k15 күн бұрын

    늘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작년 청년인턴 수료 후 다음주부터 공공기관 계약직으로 근무합니다. 좋은 경험 쌓고 오겠습니다.

  • @be-sincere
    @be-sincere15 күн бұрын

    아 청년인턴 하고 계신다고 댓글 주셨던거 기억납니다! 저도 항상 응원할께요 좋은 경험, 나만의 무기 많이 만드는 기회 되시길 바랄께요 :)

  • @user-rt9xc2gk7u
    @user-rt9xc2gk7u16 күн бұрын

    솔직히 배부른 소리다.나로말할거같으면 sk노가다 2개월, 술집,음식점 알바,현장노가다1개월,중견건설회사 9개월 그리고 메이저공기업 계약직까지 알바,노가다,좆소,좇견,공기업 다 경험해봤는데, 내가 노동자로서 가장편하고 쉽게 돈벌수있는건 공기업이 최고이자 팩트이고 부정할수없음.감독관이라는 명예+업무강도최하 이러면서 돈까지많이줌.밖에 노가다,알바,좆소 다녀보면 돈을 진짜개같이벌고, 돈버는거 존나힘든거라는거 암.사회생활을 공기업으로바로시작하는 사람들은 그걸모름.꼰대가아니라 밖에 세상이 진짜그럼. 그렇다고 돈도없는데 사업할꺼임? 머싫고머싫고 결국 자기선택이지만, 돈버는걸 가볍고 쉽게생각하면 안됨.다 먹고살려고하는거임.

  • @user-cv5sb3bc1o
    @user-cv5sb3bc1o13 күн бұрын

    니생각대로 살고 저사람은 저사람 생각대로 사는 거지 그러니 너같은 애들이 저런 직장에서 꼰대하는 거임 ㅋㅋㅋ

  • @user-rt9xc2gk7u
    @user-rt9xc2gk7u13 күн бұрын

    @@user-cv5sb3bc1o지인생이니깐 저사람이 어떻게 살던말던 내알빠도아니고 관심도없음.다만,내가 경험한바에 의하면 노동으로돈버는것중 가장쉬운게 공기업인데 왜그걸 때려치는지 돈버는것에 대한 감사함이 부족하지않나 안타까워그런거임.공기업퇴사자중 장담하고 10에9은 후회함.능력좋아서 더좋은대로 이직하는건 상관없는데,괜히 특별하게 할것도없으면서 불만만많다가퇴사하면 이도저도 안된다는거임.

  • @user-cv5sb3bc1o
    @user-cv5sb3bc1o13 күн бұрын

    @@user-rt9xc2gk7u 알빠논데 댓글 왜 쳐달아 ㅋㅋㅋ

  • @user-lw3kc5sn8b
    @user-lw3kc5sn8b17 күн бұрын

    임장 안하고 카카오맵으로 보면 다나올텐데요..발품 파는건 최종적으로 이 아파트로 매수하겟다고 마음 먹엇을때... 하는것.*

  • @user-mb7bk9in1i
    @user-mb7bk9in1i17 күн бұрын

    00시시설관리공단의 경우 신입 연봉이 어떻게 되나요? 연봉 세전 5후반 받고있는데 책임 및 업무과중으로 인해 이직할려하는데 괜찮을까요? 추가로 시단위 시설관리공단의 경우 각 도시별로 연봉 차이 많이 다른가요?

  • @be-sincere
    @be-sincere15 күн бұрын

    지방공기업의 경우 ’클린아이‘ 사이트에 들어가보시면 평균연봉, 초봉 등의 정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시산하 도시공사 다니는 지인이 있는데 연봉은 그리 높지 않지만 그래도 만족하면서 다니긴 하더라구요, 구산하는 박봉에 업무강도도 높고 야근도 많고 처우 자체가 좋지 않습니다. 잘 비교하시고 결정하세요!

  • @user-di5tp4nl4f
    @user-di5tp4nl4f17 күн бұрын

    헐 저도 발전소 공기업다니다가 오지가 힘들어 지금 서울쪽 시설관리공단 9급합격해서가려고하는데 노답이네요.... 다른곳가야하나 ㅜ

  • @be-sincere
    @be-sincere17 күн бұрын

    저랑 상황이 완전 똑같으시네요;; 전 조심스레 비추드립니다 ㅠㅠ 혹시나 올라오셔서 다시 또 이직준비 하실거라면 모르겠지만요.. 전 시설공단 근무시작 6갤만에 현실직시하고 다시 이직준비 했어요ㅠㅠ

  • @haeunlee-rw6oy
    @haeunlee-rw6oy18 күн бұрын

    공겹취준생인데 정말 떠먹여주시는 좋은 정보들이 많네요ㅠㅠ 감사합니다!! 혹시 그런데 영상중에 언급된 특수법인인 공직유관단체들(한국무역협회, 대한상공회의소, 한국표준협회, KPC 등)에 해당하는 기업들을 좀 더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직접 찾아보고싶었는데ㅠ 알리오에도 안나오고, 따로 정리된 목록이 인터넷에 떠도는 것도 없더라구요 ..! 혹시 따로 찾는 방법이 있을지 의견 여쭙고 싶습니다 !!

  • @be-sincere
    @be-sincere18 күн бұрын

    영상들이 도움이 되신다니 오히려 제가 더 기쁩니다! 따로 목록이 있다기 보다는 제가 공기업/공공기관 취준과 이준을 하면서 사전조사도 해보고 지원도 해보면서 자연스럽게 알게된 알짜기업들을 영상에 담은거라서요~ ㅠㅠ 추가로 각종 공제회들도 꽤 좋은 조직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랄께요^^

  • @user-cg5qh7oy9m
    @user-cg5qh7oy9m18 күн бұрын

    대단해용..

  • @be-sincere
    @be-sincere18 күн бұрын

    과찬이십니다 ㅠㅠ 영상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sc4pi3oe3z
    @user-sc4pi3oe3z19 күн бұрын

    자기만의 시간을 중요시 하는편이여서요. 퇴근후 직원들이랑 어울리지 않고 바로 들어가보겠습니다! 이런식으로 이미지 잡고 직장생활 하시는분도 있었을까요?

  • @be-sincere
    @be-sincere18 күн бұрын

    아무래도 발전공기업의 경우는 한 지역에서 모든 직원이 거주하면서 근무를 하는 구조라 서로 어울리며 유대관계를 돈독히하는? 분위기가 강한 편이었어요 그래서 먼저 가보겠습니다! 딱히 이런 이미지의 직원은 많지 않았던 것 같아요 다만 다른 공기업은 이와는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user-gf8cg1yf8v
    @user-gf8cg1yf8v22 күн бұрын

    기본급이 168만원이면 최저시급도 안되는거 아닌가요?! 근무시간이 9-6가 아닌건가요?

  • @be-sincere
    @be-sincere15 күн бұрын

    그래서 공단의 경우 하위직급 초임 호봉 직원에 대해서는 최소생활임금 보전 명목으로 좀더 수당을 주는 제도도 도입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ㅠㅠ

  • @yeon0029
    @yeon002922 күн бұрын

    중앙공기업에서 지방공기업으로 안가시고 공무원이 더 나은이유가 무엇인지 의견 듣고싶습니다...!

  • @be-sincere
    @be-sincere18 күн бұрын

    지방공기업인 서울 구산하 공단도 1년 6개월 다녔는데 너무 처우가 열악해서 ㅜㅜ 다시 이직한 케이스 입니다^^

  • @JMGS21815
    @JMGS2181522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부모님과 서로 아파트 분양받은걸 증여했는데 아파트금액이 얼마안되서 당연히 증여세도 나오진 않았구요 ㅠㅠ 이럴때도 생에최초 취득세감면 받을 수 있을까요??

  • @be-sincere
    @be-sincere3 күн бұрын

    우선은 증여도 주택수로 산정이 됩니다.ㅠㅠ 자세한건 해당 지자체 세무과로 문의해보세요!

  • @Amazing_Fresh
    @Amazing_Fresh23 күн бұрын

    너무 힘들어 퇴사한 사람들꺼 일해서 가중되어도 상이 아니라 전에 해결 못했던 것들이 문제가되어 벌을 받으니 미치고 환장할 노릇임 진짜 퇴사 마렵다

  • @tae_hyung_30
    @tae_hyung_3023 күн бұрын

    몇년차때 4800을 받았나요?

  • @be-sincere
    @be-sincere23 күн бұрын

    2년차때 연봉입니다. 1년차때는 기타 성과급 등을 받을수가 없어서요~~

  • @user-rt1ki8rc8u
    @user-rt1ki8rc8u24 күн бұрын

    공기업에서 공기업으로 이직 준비 중인데 이직하셨을 때 자소서에 경험은 거의 전 직장에서의 경험 위주로 작성하셨나요??

  • @be-sincere
    @be-sincere23 күн бұрын

    네! 맞습니다, 자소서도 거의 경력과 했던 업무 위주로 예시를 들어서 썼어요!

  • @user-ql5bs2jv5l
    @user-ql5bs2jv5l25 күн бұрын

    7급준비안하시나요?

  • @be-sincere
    @be-sincere23 күн бұрын

    네~ 따로 준비하지 않고 순리에 따라.. 승진하고 있습니다..ㅎㅎㅎ

  • @luigy-ni1yv
    @luigy-ni1yv26 күн бұрын

    진짜 회식은 오지게 함 전부 법카로 ㅋ 국민세금 살살 먹죠

  • @user-xx5gv4vb7n
    @user-xx5gv4vb7n26 күн бұрын

    공기업도 이젠 인구감소며 게ㅔ속 세금부족으로 매년 적자인데 연봉도 올리는거 앞으로 불가능하죠

  • @espa2178
    @espa217827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대출 나올 때 혹시 kb시세를 기준하여 한도가 나오셨나요 아니면 매매가를 기준하여 나오셨나요? 영상 잘봤습니다 👏🏻❤

  • @be-sincere
    @be-sincere27 күн бұрын

    대출 kb시세 기준으로 나왔습니다^^ 영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espa2178
    @espa217827 күн бұрын

    @@be-sincere 감사합니다 편안한 하루되세요 ^^

  • @lemn2449
    @lemn244927 күн бұрын

    첫회사부터 공기업 다니고 있습니다. 근데 여기 나오는게 당연한게 아닌건가요?? 사기업은 9-6아니에요? 연차 자유롭지않아요?? 유연근무제도 없나요? 진짜 질문드립니다

  • @new_blance
    @new_blance6 күн бұрын

    네 사기업 거의.없어요

  • @user-yd7ef2tf2y
    @user-yd7ef2tf2yАй бұрын

    쥐꼬리, 어떻게 그 월급으로 사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