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코드 STUDYCODE

스터디코드 STUDYCODE

막연함의 끝, 완전한 확신의 공부.

스터디코드 유료강의 - www.STUDYCODE.com/

Пікірлер

  • @user-gm8zm6dj2p
    @user-gm8zm6dj2p8 сағат бұрын

    2009도 예전걸 참고해도 되는걸까요? 문이과 구분없이 과탐사탐 확통까지 싹다 모든걸 다 배우는데 예전대로 홈피에 올린거 참고하면 될깡ㆍ?

  • @MinedReady
    @MinedReady18 сағат бұрын

    놀았는뎅

  • @user-nc6mg9dl7g
    @user-nc6mg9dl7g21 сағат бұрын

    대학생활을 하면서 영어회화나 코딩쪽의 공부를 하고있다가 영어회화나 코딩쪽에 공부를 하다가 이렇게 공부해야하나 의문을 가지게 될때 쯤에 이런 영상을 보게되니 번듯하게되네요 수험생이 아니여도 정말 많은걸 얻고갑니다...

  • @user-ud3wk2ls9r
    @user-ud3wk2ls9rКүн бұрын

    자습

  • @user-dh6uh3bt8s
    @user-dh6uh3bt8sКүн бұрын

    중2인데 지금도 가능한가요?

  • @quaerou3410
    @quaerou3410Күн бұрын

    무기. 놀만큼 놀아봤다. 놀만큼 놀았다.

  • @VSD-fs9nr
    @VSD-fs9nrКүн бұрын

    제가 진로를 못정했습니다. 6개월간 좋아하는 일을 보았는데 전부 말초쾌감같은 거였네요. 그나마 아닌게 가르치는 거(많이 하긴 했으나 기쁘진 않음)였습니다. 저 어떻게하죠.

  • @user-tx2du8fl2b
    @user-tx2du8fl2bКүн бұрын

    진로가 없다고해서 공부를 못하는게 아닙니다. 학종은 고1때부터 완벽한 하나의 길만을 걸어온 학생을 뽑는게 아니라, 치열하게 자신의 미래를 고민하는 학생을 뽑는겁니다. 진로가 없어도 앞으로 찾아나가면됩니다. 우선 하루에 30분이라도 책을 읽으세요. 그리고, 남은 하루의 모든 가용시간을 공부에 투자하세요. 그것말고는 딱히 방법이 없습니다.

  • @VSD-fs9nr
    @VSD-fs9nrКүн бұрын

    @@user-tx2du8fl2b 그게.. 선택과목 정할때 문제가 되서요. 최근에 비슷한 질문 올린 것 같긴 한데 선택과목 문제가 아직도 해결 안됬네요. 선택과목은 여름방학 전에 정한다 합니다. (선택과목 정하는게 결국 진로찾기의 이유중 하나라 생각. 선택과목은 바꾸기 불가니 잘 선택해야 함. 근데 여름방학전에 정해야 되니 빨리 정해야 함) 선택과목으로 진로가 변하고, 인생이 바뀐다 생각합니다. 참고로 가르치는 건 스코에서 가르치기란 스킬을 알려줘서 쓴거였네요.

  • @VSD-fs9nr
    @VSD-fs9nrКүн бұрын

    @@user-tx2du8fl2b 그래서 인터뷰를 읽어보려 하는데 왠지 도움이 안되는 것 같아요. 제가 최근에 유튜브 라이브 했을때 코치님께서 답변 안해주는 거(maybe) 답변했거든요. 근데 빨리 더 답변하고 싶고 기분이 좋아졌어요. 그래서 입시 컨설턴트 인터뷰 찾아봤더니 딱히 와닿는게 없네요.

  • @user-tx2du8fl2b
    @user-tx2du8fl2bКүн бұрын

    ​@@VSD-fs9nr지금은 일단 내신대비와 수능기반학습에 전력을 다하세요. 선택과목은 언제든지 바뀔수가 있습니다. 굳이 여름방학 전까지 정해야한다고 압박을 가질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그런태도는 학종에 아무런도움이 안되고, 마이너스일 뿐입니다. 그보다는 진지하게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하루에 30분씩 매일 고민해보세요. 이 고민의 시간이 너무 길어서는 안됩니다.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공부하는데 쏟으시기를 바랍니다.

  • @VSD-fs9nr
    @VSD-fs9nrКүн бұрын

    @@user-tx2du8fl2b ?? 선택과목 정하고 바꾸는게 가능한가요?

  • @user-dg6pl4pf3f
    @user-dg6pl4pf3fКүн бұрын

    적당히 하는데 성적 잘 나오면 재밌음

  • @lagdollengine
    @lagdollengineКүн бұрын

    할 일을 항상 미루는 것을 검색했는데 왜 이게 뜨는 걸까

  • @user-rr1ld7pk8w
    @user-rr1ld7pk8w2 күн бұрын

    생각해보게 되는 내용이에요. 서팀장, 유팀장팀 감사합니다.

  • @christinelee7518
    @christinelee75182 күн бұрын

    문과도 선택과목이 의미가 있을까요? 경제 빼고는 다른 건 뭘 선택하든 별 의미 없다 고 그래서요

  • @christinelee7518
    @christinelee75182 күн бұрын

    오히려 인원수 무조건 많은 거 들으라고 그러더라구요

  • @user-gm5sk4fu1h
    @user-gm5sk4fu1h2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이화여자고등학교 진학교사입니다 최근 스터디코드 고입 영상 중에 가장 인상적이어서 댓글 남김니다 중학교 자녀를 둔 학부모님들께서 학교로 전화주셔서 입결만 툭 여쭤보실 때, 입결 이외에 어디까지 얘기를 드려야하나 약간 고민이 되곤 합니다. 이미 가치관과 신념을 갖고 전화하신 건데 굳이 입결 이외의 이야기를 드리는 게 오지랖일까? 본 영상에서 말해주시는 관점을 얘기해드리는 것이 괜한 불쾌감을 야기할까. 혹은 입결에 자신없어서 하는 소리처럼 보일까라는 생각도 듭니다(자신있어도요). 아니면, 잘 모르실 수 있으니 짚어드려야 하는 건가 하는 고민이 그 짪은 찰나에 듭니다 입결도 참 중요하지만 어떤 관점으로도 고입을 봐라봐야할 지 짚어주셔서 좋네요 : )

  • @SULLYOON_salanghe
    @SULLYOON_salanghe2 күн бұрын

    중간은 젤 늦게 보고 기말은 젤 빨리 보는. 우리학교 ㅎㅎ

  • @kingofpenguin854
    @kingofpenguin8542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jeem2914
    @jeem29142 күн бұрын

    부모인 제가 성향이 아이와 달라서 늘 걱정만 하면서 이끌어주지 못했는데 아이는 경쟁분위기에서 성장하는 스타일이에요~중학교도 내신 어렵다고 하는곳에 떨어져서 걱정했는데 전교권 잡고 빡쎄다는 학원도 걱정해서 늦게 보냈더니 잘 따라잡더라구요~이런 아이 자사고 간다고 하는데 지원해줘야 하나요ㅜ거긴 더더 넘사벽인것 같아서요ㅜ

  • @bring1913
    @bring19132 күн бұрын

    조별과제에서 조원평가 엄청 낮게 받았는데 어쩜..ㅠㅠ 글구 팀아랑 조별과제 하는개 너무 어려워요 ㅠ 애들하고 소통도 잘안되는거 같구..팀과제늩 해야되는데 ㅠㅠ 너무 두려워요 😢 시험도 망하고 수행도 망했는데 학종으로 못가나요...

  • @bk4995
    @bk4995Күн бұрын

    학종은 성장가능성도 많이 참고해서, 지금 좀 못하더라도 앞으로 좋은 기록이 쌓인다면 잘될겁니다

  • @katechung3112
    @katechung31122 күн бұрын

    일반고가서 더 공부 안하고 망하는 케이스도 있어요. 그냥 가고싶은데 가면 됩니다. 그래야 후회가 없어요.

  • @bring1913
    @bring19133 күн бұрын

    고1은 모고 챙기지 말고 내신에 더 올인하자 고1

  • @user-co4de7fn5k
    @user-co4de7fn5k3 күн бұрын

    생기부 잘 관리해주는 학교 ㅡ특목.사립? 내신받기쉬운학교 ㅡ일반고?

  • @bring1913
    @bring19133 күн бұрын

    힘내자!!

  • @user-pj5hu3rs1h
    @user-pj5hu3rs1h3 күн бұрын

    너무재밌어요 이해도 잘되고 아이와 다시 보려구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user-mi9oo4lc4b
    @user-mi9oo4lc4b4 күн бұрын

    동기부여가 되는 이야기네요~감사합니다.^^

  • @23kim43
    @23kim434 күн бұрын

    배경지식 없으면 걍 4따리 나옵니다. 최소한 아무리 못해도 경제만큼은 알고 가세요.

  • @bk4995
    @bk49954 күн бұрын

    특목고/자사고가 대입에 좋다는 것 하나만 바라보는 사람들은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어차피 거기 가서 바닥 깔아주면 대학 못 갑니다. 일반고 가느니만 못합니다.

  • @user-pv7mw7kf7p
    @user-pv7mw7kf7p4 күн бұрын

    지금과 크게 다를게 없는것 같아요 일반고는 교과내신이 유리하고 특목고는 여전히 학생부종합전형이 유리한건 큰 변동이 없네요 큰애 대입을 치루고 둘째가 28년대입예정인데 일반고에서 학종으로 상위대학 가기가 힘듭니다 본인이 악착같이 생기부 챙기지 않으면 힘들어요 정말 28년대입에서는 교과와 학종을 같이 보는 대학이 늘어난다면 두개다 챙길수밖에 없는데 결국 내신1등급학생들이 학종 챙기기도 유리한건 지금이랑 다를게 없네요

  • @user-pj9ke1wg4p
    @user-pj9ke1wg4p4 күн бұрын

    이런 유익한 영상이 조회수 1천회도 안찍힌다는게 너무 안타깝습니다… 항상 스터디코드 최고^^!!❤

  • @user-tx2du8fl2b
    @user-tx2du8fl2b4 күн бұрын

    와.. 제가 중3 겨울방학때는 그저 무조건 명문대만 생각하고, 제 중학교내신으로는 갈수도 없는 명문고를 쓰다가 광탈하고 이상한 고등학교(?)를 가서 힘들어했었는데, 지금 돌이켜보면 많이 후회가 됩니다.. 그저 사회에서 잘나갈수있다는 명문대에 진학하기위해서, 그리고 치열하게 공부하는것보다는 명문고의 네임밸류만을 보던 저였습니다. 거창한 친구들과의 우정을 쌓을 필요까지는 없겠지만, 그저 지금의 자신이 무엇을 할수있을지, 자신을 진심으로 사랑한다는게 뭔지, 그 깨달음을 얻을수있는 최고의 청춘을 모두가 보낼수있었으면합니다. 성공은 그저 자기자신을 뛰어넘는 과정입니다. 남을 뛰어넘는건, 뒤통수치면 할수있는 아주 쉬운일입니다. 자신을 뛰어넘는다는건, 직관적이지도 않고 무엇을 뜻하는지조차도 애매한게사실이죠. 그러나 그 과정에서 자신을 되돌아보고, 평가하면서 간접적으로 대학수학능력을 기를수조차 있다면, 대한민국의 심히 관료제스러운 이 비인간적인 공교육속에서도 최고의 반짝임(?)을 만들수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돌이 될것까지야없겠지만, 자신의 학교에서 최고로 빛나는 학생이 될수있기를 모두에게 기원합니다. 언제나 기억하세요. "지금의 자신을 뛰어넘을 뿐입니다." "이길때는, 모두가 함께 이기는겁니다."

  • @STUDYCODEofficial
    @STUDYCODEofficial5 күн бұрын

    📢 고등학교 공부법의 모든 것을 한번에 대비하고 싶다면? 스터디코드 유료강의 - www.STUDYCODE.com/?m=N735 🔻수행평가 만점 받는 3가지 방법🔻 🎬 kzread.info/dash/bejne/mqtmtM-KZsnVZqQ.html

  • @STUDYCODEofficial
    @STUDYCODEofficial5 күн бұрын

    📢 고등학교 공부법의 모든 것을 한번에 대비하고 싶다면? 스터디코드 유료강의 - www.STUDYCODE.com/?m=N555 🔻2028 대입에 유리한 고등학교🔻 🎬 kzread.info/dash/bejne/dXaTo7WQeLKwfcY.html

  • @user-or5jq8jk6q
    @user-or5jq8jk6q6 күн бұрын

    유팀장님 컨설팅 받고싶은데 연락처 알수 있을런지요

  • @ijjijjijjijjijjijjijj
    @ijjijjijjijjijjijjijj6 күн бұрын

    🤍

  • @VSD-fs9nr
    @VSD-fs9nr6 күн бұрын

    스터디코드 유료강의 구매했습니다. 제가 예비고1 공부를 전혀 안한 고1입니다. 예비고1용 코드특강을 시청해야 할까요. 고민됩니다. 기준이 이름일 것 같아 써놓아요. 이름 정도는 적어도 될 것 같기도 하구.. 이름보면 막 내용이 생각날 것 같아서요. 1. 예비고1, 3월 모고 어떻게 준비할 것 인가 2. 고1 첫 중간고사의 의미 3. 예비고1을 위한 동기부여 4. 예비고1, 반드시 바꿔야 할 학습습관 5. 겨울방학 학습계획 6.겨울방학 공부법 예비고1 여기서 뭐 들으면 될까요.

  • @VSD-fs9nr
    @VSD-fs9nr7 күн бұрын

    스터디코드 유료강의 구매했습니다. 제가 예비고1 공부를 전혀 안한 고1입니다. 예비고1용 코드특강을 시청해야 할까요. 고민됩니다. 기준이 이름일 것 같아 써놓아요. 이름 정도는 적어도 될 것 같기도 하구.. 이름보면 막 내용이 생각날 것 같아서요. 1. 예비고1, 3월 모고 어떻게 준비할 것 인가 2. 고1 첫 중간고사의 의미 3. 예비고1을 위한 동기부여 4. 예비고1, 반드시 바꿔야 할 학습습관 5. 겨울방학 학습계획 6.겨울방학 공부법 예비고1 여기서 뭐 들으면 될까요.

  • @frame6569
    @frame65697 күн бұрын

    10:05

  • @user-ev1mb1oe9b
    @user-ev1mb1oe9b7 күн бұрын

    중학교때까진 영어 수학 학원 다녀서.. 저 중학교땐 영어 수학 학원 다니면서 80점대 맞았어요. 근데 사실 중딩때 영어 수학만 공부 했음 솔직히 그때 다른 생각도 안하고 공부를 왜하나 생각도 안해보고 걍 학원 다닌거죠 ㅋㅋ 그리고 솔직히 영어 학원쌤이 나한테 화내서 걍 영어는 맨날 쌤한테 잔소리 듣고 큰 소리 막 듣고 그러면서 수업 들음... 같이 수업 듣는 애가 한숨 쉬고... 영어쌤은 큰소리로 나한테 뭐라하고 숙제 안햇냐면서....하 근데 중딩때 수학은 재밌었음 아니 수학은 그래도 괜찮았던거 같아요 나중에 중간 기말고사 보고 성적 받으면 70점대 아니면 80점대였음 근데 사실 영어 수학만 공부함 학교는 다녔지만 다른 과목은 공부 안함 수행평가도 안챙긴듯 열심히는 안챙김 하 그래서 걍 그렇단거지만 왜일까 학원다니면 점수가 잘 나오는데 왜 학교에서만 수업 들으면 성적이 잘 안나올까 아 사실 그건가 학원에서보면 족보닷컵 기출문제 문제 프린트 쌤이 해줌 그럼 그 문제 비슷한거 시험에 나온 적 있는 듯 시발 진짜 중딩때 영어 학원 다니는데 나 시험 전이라고 영어쌤이 나한테 프린트 문제 그 두껍고 많은걸 나한테 풀라고 줄거라고 그러셨음 진심 학교 학원 가기만 해도 토 나옴 ㅋㅋㅋㅋㅋㅋㅋㅋ 사실 고딩때 인생의 고난을 겪었음 덕분에 공부에 손 놓음 ㅋㅋㅋㅋㅋ 어차피 고딩 영어 수학은 뭐 시발 그걸 풀라고 준거냐 시발 하 사람 죽으란거냐 미친거 아니야 진짜 ㅋㅋㅋㅋㅋㅋㅋ

  • @user-db3sk2cd4w
    @user-db3sk2cd4w7 күн бұрын

    수학의 CODE에서 해결책 모색력이라는 것 개념 너무 중요하죠 말씀하신대로 수학은 진심으로 숫자도 바꾸고 변형도 많아서 처음보는 문제를 그 자리에 풀어내는 능력이 중요한데 저는 수학이 노베이스 라서 너무 힘들다 할만큼 개념도 안되있고, 문제도 안 풀려서 수학 시험을 망치고 깨닫게 되는 부분이 많은데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조 코치님

  • @user-mi9oo4lc4b
    @user-mi9oo4lc4b7 күн бұрын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STUDYCODEofficial
    @STUDYCODEofficial8 күн бұрын

    📢 고등학교 공부법의 모든 것을 한번에 대비하고 싶다면? 스터디코드 유료강의 - www.STUDYCODE.com/?m=N99 🔻확신있는 노력 vs. 확신없는 노력🔻 🎬 kzread.info/dash/bejne/c5V6wdl-YZuYmKw.html

  • @user-ou4vt5mm9c
    @user-ou4vt5mm9c8 күн бұрын

    1학기 수행 거의다 끝내고 이걸 봐버렷네요..ㅠㅠ

  • @COCOLANKA
    @COCOLANKA8 күн бұрын

    저는 외국에 7년 살면서 국제 학교 다니는데 2학년이나 떨어졌지만 포기 안합니다

  • @user-ow6mx6kp5q
    @user-ow6mx6kp5q8 күн бұрын

    ㅅㅂ 3.5로 인가경 학종으로 ㅈㄴ 비벼야 겨우간다

  • @user-ne1kf1kr6f
    @user-ne1kf1kr6f8 күн бұрын

    수행평가를 왜 하는지 모르겠다 아이들을 더 힘들게 하는 나라 요즘 애들 보면 불쌍하다 공부공부 진짜 지옥일듯 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