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기법] 150쪽 시험 범위를 도대체 어떻게 암기하나요? | 서울대 내신 공부법

▼서울대생의 '내신 벼락치기 공부법'▼
• 평균 10점 오르는, 서울대생의 내신 벼...
=============================
엄청난 암기량을 최상위권들은 어떻게 감당하는지 알게 됩니다.
내신 사회/과학 뿐만 아니라 모든 과목, 모든 시험에 대한 암기법을 알게 됩니다.
개인마다 다른 기술(Skill)이 아닌, 본질(CODE)을 알게 됩니다.
내신 공부법, 그리고 모든 시험을 위한 암기법에 대해
가장 확실한 답변을 갖게 됩니다.
📢 고등학교 공부법의 모든 것을 한번에 대비하고 싶다면?
스터디코드 유료강의 - www.STUDYCODE.com/?m=NR39
#공부법 #동기부여 #공부자극 #스터디코드

Пікірлер: 92

  • @STUDYCODEofficial
    @STUDYCODEofficial2 ай бұрын

    📢 고등학교 공부법의 모든 것을 한번에 대비하고 싶다면? 스터디코드 유료강의 - www.STUDYCODE.com/?m=NR39 🔻서울대생의 '내신 벼락치기 공부법'🔻 🎬 kzread.info/dash/bejne/Z4uautWTZJiTfqw.html

  • @user-eg3jq4qn6z
    @user-eg3jq4qn6z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번 사탐 내신에 참고해서 해볼게요. 1등급을 향해 날아가볼게요~😊

  • @user-nh5zh1zv6b
    @user-nh5zh1zv6b2 ай бұрын

    과목·파트마다 이해/암기 비중이 다릅니다 그리고 이해/암기 같이 가면 좋습니다 하나만 하는 건 전장에 창 혹은 방패만 들고 가는 걸 수 있죠 창·방패 다 들고 가는데 말이죠 암기의 경우에는 요약, 두문자, 인출 등이 있죠

  • @battlep
    @battlepАй бұрын

    정승제 선생님이 호기심 많은 사람은 계속해서 '왜' 그런지 생각하면서 이해하기 때문에 수학을 잘한다고 했는데 이분도 "왜?" 그런지에 대해 생각하면 이해가 되면서 암기가 된다고 하셔서 "왜" 를 떠올리는게 정말 중요한거 같아요.

  • @user-th8hk8pe5l
    @user-th8hk8pe5l11 күн бұрын

    진짜 그 어디에도 없는 명쾌한 방법이네요

  • @user-tx2du8fl2b
    @user-tx2du8fl2b2 ай бұрын

    과학과 사회뿐만이 아니라 수학도 저렇게 이해하셔야합니다. 수학도 약속과 공식이 어떻게 응용되는지, 어떻게 활용되는지 다 이해해야 익힘책과 내신문제집의 방대한 유형을 외울수가 있어요. 국영수의 지문이나 기본문제같은 경우는, 자신이 틀린 이유를 why? 질문으로 찾아내시면 됩니다. 이렇게 공부하면 내신 전과목 암기는 21일로 충분히 대비가 됩니다. 그리고 평소의 고1,2와 방학은 오직 수능 기반학습에만 온전히 투자해야한다는것이지요. 고3때는 내신을 제외하고는, 매일 수능 응시과목을 조금씩 전부 공부합니다. 방학때는 부족한 기반학습이나 문제풀이를 공부하면 됩니다. 이것이 바로 그 유명한 '베스트 플랜' 이죠. 논술도 이 스케줄대로 따라가다가, 고3때 첨삭용 학원정도 붙였다 땠다 하면 대비는 충분합니다. 오늘도 스터디코드 화이팅입니다!

  • @twinkle-vi8ib

    @twinkle-vi8ib

    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그때 질문드렸던 학생입니다. 옛날에 질문했던것 같은데 답변이 늦었네요 ㅠ. 우선 그때 답변주신 내용(한국사 이해관련) 정말 감사합니다. why공부법을 알고있었으나 한국사에 적용이 어려웠었는데 가이드를 잡아주셔서 지금은 현재 진도 나간 범위의 약 70%는 "이해" 된것 같습니다.(너무 좋습니다. ㅎㅎ). 그런데 사회는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사회도 100%는 아니지만 지금 당장 써먹을수 있는 실용적인 기준? 같은거라도 알려주실수 있을까요?? 사회는 용어가 많이 나오는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ㅜㅜ

  • @user-tx2du8fl2b

    @user-tx2du8fl2b

    2 ай бұрын

    @@twinkle-vi8ib 용어 하나하나가 실생활에서 어떤 사회현상을 묘사하고 있는건지 연결지으면서 공부하면 됩니다. 별로 어렵지않아요. 예를들어 '준거집단' 이라는 용어가 나온다면, 왜 이런 단어를 명명한건지, 이러한 용어는 왜 이렇게 정의될수밖에 없었던건지 실생활의 예시를 들어서 이해해보는겁니다. 이때는 단어의 한자나 어원자체를 분석해보는게 큰도움이 됩니다.

  • @twinkle-vi8ib

    @twinkle-vi8ib

    Ай бұрын

    @@user-tx2du8fl2b 넵 일단 사회도 이해해볼려고 노력해보겠습니다.^^ 아 그리고 제가 궁금한게 하나 더 있는데요 어떤거냐면 전 비록 중학생이지만 평소엔 이해를 베이스로 깔아두고 시험기간, 즉 3주정도만 매일 교과서를 1회독씩 하는데요(국어, 영어, 수학(수학은 매일 문제풀이)사회, 과학), 그렇게 하면 이해도 해놨고 매일 한번씩 보니 암기가 잘 되는데 고등학교의 시험기간땐(3주)는 매일 교과서를 1회독 하는건 불가능할까요? 중학생이라 잘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아마 스터디코드의 뉘양스대로라면 불가능할것같이 보입니다만

  • @user-tx2du8fl2b

    @user-tx2du8fl2b

    Ай бұрын

    ​@@twinkle-vi8ib아마 불가능할것같습니다. 하지만 내신은 능력에 더해서 수능보다 더 세세한 암기가 필요하기때문에, 3주동안 한장이라도 더 보려는 태도는 절대 잘못된 태도가 아닙니다!

  • @user_timinyong

    @user_timinyong

    Ай бұрын

  • @pyswilson7952
    @pyswilson7952Ай бұрын

    저거 뒤에 1786 누가 일처리빨라육으로 하던데

  • @Sseonnin

    @Sseonnin

    Ай бұрын

    이제 누가 17286으로 헷갈릴듯

  • @user-uo1ro5lk3w

    @user-uo1ro5lk3w

    Ай бұрын

    일찍(칙->칠)팔아유(육)

  • @battlep

    @battlep

    Ай бұрын

    창의성 보소 ㅋㅋ

  • @user-qc5hb7zd8z
    @user-qc5hb7zd8z2 ай бұрын

    원래 이거 말고 다른영상 있지 않나요?

  • @user-yz8rk1rr3b
    @user-yz8rk1rr3bАй бұрын

    로스쿨 다니고 있습니다.. 중간 범위 3000p 정도 되네요.

  • @canyoupickacolor
    @canyoupickacolorАй бұрын

    이 영상 2년전인가에 봤는데 아직도 2482는 잊지를 못함ㅋㅋㅋㅋㅋㅜ 진짜 이해가 중요한거임..

  • @jungwoo_l

    @jungwoo_l

    16 күн бұрын

    ㄹㅇㅠㅋㅋㅋㅋ2482도 2482인데 1786까지 기억남

  • @Alololol1111
    @Alololol1111Ай бұрын

    아니 어제 시험때 나와주지 왜 이제 .....

  • @battlep

    @battlep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 @ENELL253
    @ENELL2539 күн бұрын

    음...? 책에는 이렇게 나와있다 그런데 왜 라고 의문을 가져봤다 병렬 운전조건 1.극성이 같을 것 왜?? 2.권수비 1차 및 2차 정격 전압이 같을 것 왜?? 3.각 변압기의 임티던스가 정격 용량에 반비례 할 것 왜?? 4.각 변압기의 저항과 누설 리액턴스비가 같을 것 왜?? 음... 그래도 기억이 안나는군...

  • @user-cv9wi6lx3m
    @user-cv9wi6lx3mАй бұрын

    영어가 너무 많아요 100지문이 넘는,,

  • @user-kmj9963
    @user-kmj99632 ай бұрын

    1:33 "하루"만에 150쪽을 어케 이해해요?

  • @user-tx2du8fl2b

    @user-tx2du8fl2b

    2 ай бұрын

    이해는 평소에 하는것입니다. 평소에 기반학습을 하지않은상태에서 시험이 하루앞으로 다가왔다면 암기를 우선시해야합니다. 안타깝지만, 이 경우에는 고득점을 쟁취하기가 어렵습니다. 그경우에는 그냥 속독으로 암기하는것밖에는 별다른 돌파구가 없습니다.

  • @Thisisnotaname-um8rh

    @Thisisnotaname-um8rh

    Ай бұрын

    평소 배경지식으로

  • @pyswilson7952

    @pyswilson7952

    Ай бұрын

    영상에서 하루만에 이햐하라고는 안했습니다...

  • @user-rx3lo5zz6t

    @user-rx3lo5zz6t

    Ай бұрын

    수업시간에 뭐하냐?

  • @shfurgodk
    @shfurgodk2 ай бұрын

    🎉🎉

  • @user-cr3gl7jc6p
    @user-cr3gl7jc6pАй бұрын

    이해가 안되는 거는 어케해요? 아무리 봐도 인강을 들어도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어케 해요?

  • @user-ro5bb4yx3w
    @user-ro5bb4yx3wАй бұрын

    나 이거 보고 30점 오름

  • @user-js7kn3cb4m
    @user-js7kn3cb4m18 күн бұрын

    150쪽 시험범위를 암기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지금 당장 폰을 끄고 유튜브를 끄고 책을 보세요

  • @narangedcider8814
    @narangedcider8814Ай бұрын

    ㅈ반고 구석기부터 임진왜란까지

  • @user-io8yy9lm8w

    @user-io8yy9lm8w

    Ай бұрын

    저희는 쌤도 두명이셔서 구석기~고려 / 흥선대원군~일본의 일제강점기까지잉ㅁ요..

  • @LIOHRI

    @LIOHRI

    Ай бұрын

    저희는 삼국통일인데 ㅋㅋ

  • @user-en4iv8ds7c

    @user-en4iv8ds7c

    Ай бұрын

    저희도요...​@@user-io8yy9lm8w

  • @user-kt4xe4vm3d

    @user-kt4xe4vm3d

    Ай бұрын

    부럽노..

  • @user-ks2sm7do9x

    @user-ks2sm7do9x

    Ай бұрын

    시험 일주일 남았는데 역사 벼락치기 가능할까요 ㅠ

  • @user-tf5vv6dv8c
    @user-tf5vv6dv8c2 ай бұрын

    68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급으로써 말하는데 내신 한국사 버리셈 문제가 답이 없음

  • @user-hw8qf9nj3f

    @user-hw8qf9nj3f

    Ай бұрын

    내신을 잘받아야되는데 버리면 안되죠... 😂

  • @kaneharry5796

    @kaneharry5796

    Ай бұрын

    1급이 뭔 대수냐? 왜 버려

  • @user-dj1ke1gm3o

    @user-dj1ke1gm3o

    Ай бұрын

    그럼 내 내신은 누가 챙겨줘요...

  • @acrnm09

    @acrnm09

    Ай бұрын

    왜버리노 ㅋ

  • @Yunseost
    @Yunseost2 ай бұрын

    근데 저희는 한국사 범위가 30p인데요..

  • @ROHEADOEN

    @ROHEADOEN

    2 ай бұрын

    그럼 외울 것도 없고 개꿀이지

  • @Yunseost

    @Yunseost

    2 ай бұрын

    @@ROHEADOEN 그럼 어렵지 않나여ㅜㅜ

  • @liilliilliillli864

    @liilliilliillli864

    2 ай бұрын

    중학교?

  • @user-gu7fx8tm7i

    @user-gu7fx8tm7i

    Ай бұрын

    어쨌든 달달 외우세요

  • @user-po8jg6wl8z

    @user-po8jg6wl8z

    Ай бұрын

    ​@@user-ou4vt5mm9c 나는 ㅈ반곤데 한국사 40장 밖에 안됨

  • @user-gt8dg2gn4x
    @user-gt8dg2gn4xАй бұрын

    앙기모띠

  • @user-oz3xb6rq1v
    @user-oz3xb6rq1vАй бұрын

    안해

  • @soo8853

    @soo8853

    Ай бұрын

    할수있어

  • @user-oz3xb6rq1v

    @user-oz3xb6rq1v

    Ай бұрын

    @@soo8853 감사합니다.. 고3인데 버티기 힘들어서 이런 댓글좀 써봤습니다..

  • @soo8853

    @soo8853

    Ай бұрын

    @@user-oz3xb6rq1v 화이팅 항상 응원합니다❤️

  • @user-ju1hd7ud5b

    @user-ju1hd7ud5b

    Ай бұрын

    ​@@user-oz3xb6rq1vㅎㅇㅌ

  • @user-kj4bx3mq2c

    @user-kj4bx3mq2c

    Ай бұрын

  • @user-sq1iw3cr7x
    @user-sq1iw3cr7x19 күн бұрын

    이해를 해야 암기가 되는데 암기 안되는 사람은 애시당초 이해가 안되는 사람들이다. 기본 역량이 부족해 이해조차 안되는데 이해하라고 하니 공부는 희망고문이 되버린다. 살짝 생각만 바꾸면되는 간단한 일 방식을 바꾸는데 스스로 고치는데 5년 걸리는 사람이 있고, 5초 걸리는 사람이 있다. 생각하나 바꾸는 게 이리 어렵다. 근데 공부는 얼마나 어렵겠나! 오늘도 유투브 보면서 희망고문 당하고 있는 나는 이제 첨엔 반짝이든 눈이 눈물 맺혀 슬프다. 왜 이리 머리가 안돌아가?하며 운다.

  • @user-bf3sk4km9z
    @user-bf3sk4km9z4 сағат бұрын

    평소에 암기하면됨 안하니까 머리를 쥐어짤려하지

  • @user-dz3eq3kn5v
    @user-dz3eq3kn5vАй бұрын

    ?

  • @LeftBlackflamedragon
    @LeftBlackflamedragonАй бұрын

    난 이해해도 잘 안외워지던데….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