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ікірлер

  • @user-kj7hv1cm6w
    @user-kj7hv1cm6w5 сағат бұрын

    장하석 교수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를 읽다가 여기까지 왔네요 원자, 양자 등등 인문학에 익숙한 저에게는 힘들었는데... 덕분에 눈을 쬐금 열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quality 대단합니다. 양자역학 관련 교수님이세요?

  • @user-tm9md2wj1l
    @user-tm9md2wj1l7 сағат бұрын

    잘 보았네요. 감사합니다.

  • @Masanmann
    @Masanmann13 сағат бұрын

    지구과학이나 우주론도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터 형님

  • @user-vx4ug8tf2v
    @user-vx4ug8tf2v15 сағат бұрын

    푸코의 진자에 대한 정말 제대로 된 설명이구나.

  • @user-fp7fm5dz4c
    @user-fp7fm5dz4c15 сағат бұрын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책에 나오는 수식을 이해하고 깔끔하게 설명해주시는 능력이 대단하십니다! 구독 좋아요로 다른 영상도 재밌게 볼게요 ~😊

  • @user-dw6eo1vf9d
    @user-dw6eo1vf9d17 сағат бұрын

    힘드실줄 압니다. 저도 후원 동참 하겠습니다.

  • @arhyziggychoi8432
    @arhyziggychoi843220 сағат бұрын

    진심 댓글란에 기후문제 얘기만 꺼내면 조롱하고 정치성향 성별 나이 정해주고 비아냥대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데요, 이러한 영상이 많이 퍼졌으면 좋겠습니다.

  • @kimjunsik540
    @kimjunsik5403 сағат бұрын

    너 반일국뽕전교조전라도페미비건캣맘루리웹친중종북좌파조선족이냐? 에휴ㅉㅉ

  • @MarkiiNa
    @MarkiiNaКүн бұрын

    시그마에 대해 정확히 알려주세요

  • @Kurzzzzzzzzzzz1010
    @Kurzzzzzzzzzzz10109 сағат бұрын

    정규분포에서 평균으로부터 표준편차의 n배 이상 떨어져 있을 확률 = n시그마

  • @MarkiiNa
    @MarkiiNa8 сағат бұрын

    @@Kurzzzzzzzzzzz1010 표준편차라는 뜻이군여 .감사합니다.

  • @Elliot-fs3zk
    @Elliot-fs3zkКүн бұрын

    허세 없는 아름다움

  • @Elliot-fs3zk
    @Elliot-fs3zkКүн бұрын

    걍 담생에는 자연상수로 태어나고 싶네요

  • @O.B.E271
    @O.B.E271Күн бұрын

    38시그마는 들어본 적이 없는 신뢰도수치네 ㅎㄷㄷ

  • @GoongyeMetal-sp1gl
    @GoongyeMetal-sp1glКүн бұрын

    최고에요 진짜 영상과 설명까지 너무 좋습니다

  • @user-du4xg1ny1y
    @user-du4xg1ny1yКүн бұрын

    당신의 지식을 나눠주는 영상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냥 보기 미안해서 가입합니다.

  • @user-sc6wh6fy8l
    @user-sc6wh6fy8lКүн бұрын

    평평지구 머저리들은 이걸알려줘도 가짜래

  • @333handle
    @333handleКүн бұрын

    적은양이 맞다

  • @user-ff2zb1jo9w
    @user-ff2zb1jo9wКүн бұрын

    4장중 1장이면 영향 많이 끼치긴 햇네

  • @user-fr5nf2em2s
    @user-fr5nf2em2sКүн бұрын

    질산아이네해

  • @user-xw1ns5yv8z
    @user-xw1ns5yv8zКүн бұрын

    태양이 은하 안쪽 3시 방향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지구에 더 많은 빛이 들어와 지구가 뜨거워 지는 것이고 반대로 태양이 9시 방향으로 진행하면 지구엔 빛이 감소 해서 빙하기가 오는 것임 이 싸이클에서 태양이 9시에서 3시로 넘어갈 때 기후가 점점 따뜻해 지므로 자연스럽게 식량이 풍부해 지기 때문에 인구가 늘어나고 불을 이용한 문명이 발전해서 이산화 탄소가 문제로 인식 되는 것이지 진실은 태양의 움직임 때문임

  • @MrGammja
    @MrGammjaКүн бұрын

    원래 온난화 : 태양이 으앙 하면 지구가 에윽! 함. 현재 온난화 : 사람이 배출한 탄소가 지구 코팅해서 열을 가둬벌임. 해결 방법 : 온난화는 너무 파괴적이니까 온나화 합시다. 지구에게 돌핀팬츠를!

  • @user-zi6lu6hr7k
    @user-zi6lu6hr7k2 күн бұрын

    10:16 ㅋㅋㅋㅋㅋ 드립 레전드

  • @WIITMNTP
    @WIITMNTP2 күн бұрын

    내가 지금껏 본 그 모든 유튜브 비디오 중 가장 역작

  • @user-zi6lu6hr7k
    @user-zi6lu6hr7k2 күн бұрын

    영상 아주 예전부터 보던 사람인데요, 설명을 너무 잘해주셔서 쏙쏙 이해가 되네요. 시간 나면 방델브로 집합에 대해서도 다뤄주실 수 있으실까요?

  • @NewsAnony
    @NewsAnony2 күн бұрын

    이산화탄소량이 그만큼 늘어났다는 것 근거는 뭘까?

  • @LonLon489
    @LonLon4892 күн бұрын

    탄소배출 신경쓸거 없는거네

  • @user-cg9iw3vg3c
    @user-cg9iw3vg3c2 күн бұрын

    오존층 파괴된거 고친거만해도, 인간이 얼마나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 알수있다. 제발 ㅈ같은 소리로 사람들 현혹시키지마라.

  • @eddychild1326
    @eddychild13262 күн бұрын

    엥 겨우 4장? 탄소줄이기는 구라였나? 했다가 오존 기체의 양을 보고 아.....4장만으로도 충분히 지랄나겠구나 다시 느낌...

  • @forthemaxandminmin152
    @forthemaxandminmin1522 күн бұрын

    백날 지랄해바야 안바뀜 그냥 때되면 다같이 죽으면 됨

  • @kimdongmean
    @kimdongmean2 күн бұрын

    기체 파워는 오존과 탄소가 훨씬 강하다는거네

  • @user-ic9vr9ft7q
    @user-ic9vr9ft7q2 күн бұрын

    정치 + 환경론자들의 대환장 콜라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pastachio17
    @pastachio172 күн бұрын

    결론은 인간 때문에 지구온난화가 일어난다는 게 과학적으로 99.9999퍼센트 확실하단 얘기네

  • @pushup100time
    @pushup100time2 күн бұрын

    ㅅㅂ 내가 너를 좋아하면 안되냐? 살려주세요 아저씨

  • @hahngeolkim8263
    @hahngeolkim82632 күн бұрын

    최곱니다 ㅎㅎ

  • @father-choi
    @father-choi2 күн бұрын

    포기하고싶다

  • @father-choi
    @father-choi2 күн бұрын

    와아 쫌... 치는데

  • @user-cm4fm1wr5u
    @user-cm4fm1wr5u2 күн бұрын

    '진리는 다수결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정말 훌륭한 말입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그렇다고 해서 마냥 믿고 앵무새같이 주장하는것이 아닌 그 근거를 찾고 또 증명해내는 것이 꼭 필요한데 이 채널에서 그러한 역할을 해주는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handollh4505
    @handollh45052 күн бұрын

    인류가 처음 보는 별빛을 찾는 신비로움, 미지의 세상을 접하는 아름다운 여행, 지적 호기심.

  • @CNBAOPTHEKILLER
    @CNBAOPTHEKILLER2 күн бұрын

    오존은 못만드나 ? 그것도궁금해지는 나

  • @jangpeter8626
    @jangpeter86262 күн бұрын

    이분 내가 아는 모든 유투버 중 가장 천재인듯..

  • @clumsymm
    @clumsymm2 күн бұрын

    최소 백만뷰의 가치가 있는 휼륭한 컨텐츠네요

  • @dutong-N.ssadaegi
    @dutong-N.ssadaegi2 күн бұрын

    지구의 나이를 24시간이라고 한다면 인류가 나타난 시간은 오후 11시 58분쯤 된다는데 그런 인류가 지구를 망치고 있다

  • @user-qr7eo2ww9n
    @user-qr7eo2ww9n2 күн бұрын

    오 이런 설명 매우 좋음

  • @archyth1078
    @archyth10782 күн бұрын

    환경을 보호해야 하는건 지구를 지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인류가 생존하기 위해서이다. 지구를 위해 인간이 죽어야 된다는 소리처럼 위선적이고 멍청한 소리가 없다. 그리고 온난화의 원인은 이산화탄소 뿐만이 아니라 열을 대기와 바다에 가두는 모든 현상과 활동이다. 특히나 원전 인근해의 수온이 올라서 양식장에 피해가 생긴 사례가 존재한다. 또한 수증기도 온실가스이다. 이산화탄소만 때려잡는다고 온난화를 해결할 순 없다.

  • @DMTPARK
    @DMTPARK2 күн бұрын

    누가 지구를 위해 인간이 죽어야 한다던가요?

  • @ownnormal
    @ownnormal2 күн бұрын

    ㅉㅉ

  • @BCA-id1hw
    @BCA-id1hw2 күн бұрын

    인간의 탄소배출이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지만 이는 극히 미미한 수준이며 지구의 자기장 역전과 태양의 흑점 주기가 중대한 영향. 태양계의 99%가 태양으로 이뤄졌고 나머지가 행성과 위성으로 구성됐다는 점과 유사함. 고로 인간이 기후변화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니 탄소중립해야 한다는 것은 다국적 기업의 범지구적 사기. 과학과 수학 영상 업로드에 열중하시는 편이 좋아보여요

  • @DMTPARK
    @DMTPARK2 күн бұрын

    성층권 냉각현상은 무엇때문인가요?

  • @ownnormal
    @ownnormal2 күн бұрын

    미미할수는 있지.. 하지만 바가지에 작은 똥찌꺼기 하나만 빠져도 물은 탁해져.. 그리고 지구는 그 물바가지와 같이 우주에서 고립된 환경이고.. 그 작은 똥찌꺼기는 누가 만들어 내고 있을까?

  • @sunghoonjung9570
    @sunghoonjung95702 күн бұрын

    이탄화탄소나 온도 변화가 자연적으로 일어나는건 수천수만년에 걸쳐서 일어납니다. 200년만에 거시적 수준의 변화가 일어나는건 인간의 활동을 제외하면 백악기 대멸종같은 운석충돌이 있지요. 지금 운석충돌같은게 일어났나요?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을 의심하는건 나쁘지 않지만 밑도 끝도 없이 의심하는건 좋은 태도가 아닙니다.

  • @user-ef9rw7zl8k
    @user-ef9rw7zl8k2 күн бұрын

    온실가스가 그냥 지구활동으로 늘수도 있는거 아닌가요?

  • @DMTPARK
    @DMTPARK2 күн бұрын

    13C의 비율이 늘고있다는것은 온실가스 증가가 화석연료연소 때문이라는데 대한 중요한 증거 입니다 : www.climate.gov/news-features/climate-qa/how-do-we-know-build-carbon-dioxide-atmosphere-caused-humans

  • @user-zb1rj7pw3y
    @user-zb1rj7pw3y2 күн бұрын

    오존도 많아지면 치명적이지않나요?

  • @DMTPARK
    @DMTPARK2 күн бұрын

    오존은 인간이 흡입시 건강상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지만, 영상에서 말하는 성층권 오존은 우리가 마실일이 없기 때문에 괜찮습니다.

  • @user-pt9ff9hh4z
    @user-pt9ff9hh4z2 күн бұрын

    미국과 중국이 국가통일을 이루고 거기서 막강한 권력을 가진 독재자가 미친정책을 펼쳐 ㅌ탄소배출을 줄이지않는 이상 답이없음 세상은 개개인에게 자유를 주었는데 개개인은 절대로 자유를 포기하지못함

  • @user-tt6jb6et1g
    @user-tt6jb6et1g2 күн бұрын

    이분 유명해졌음 좋겠다 설명진짜 잘하시네

  • @KKK72842
    @KKK728422 күн бұрын

    어렸을때 300PPM으로 배웠는데 그사이 바뀌었네;;;

  • @JaeTarot_TV
    @JaeTarot_TV2 күн бұрын

    한징짜리 초고효율 이불😅여긴 메탄가스도 😢

  • @sunghoonjung9570
    @sunghoonjung95702 күн бұрын

    태양활동을 비롯한 기타 자연적인 주기로 기후변화가 일어나는건 상당히 긴 시간인 수천, 수만년에 걸쳐서 일어나지요. 그런데 현재의 기후변화는 산업혁명 시기부터라 간주해도 2백년 내외 정도지요. 굉장히 급격한 변화입니다. 인간활동이 가장 큰 요인인거죠. 보아하니 이상한 댓글을 단 분도 있는데, 뭐..... 주장은 자유롭게 할수 있습니다. 그 주장이 얼마나 근거가 있고 신뢰할수 있는지는 별개의 문제인거죠.

  • @POWER-ADE
    @POWER-ADE2 күн бұрын

    조선 중기에도 10여 년 사이 지구 기온이 몇 도가 떨어지면서 벼가 익지않아 식량부족으로 대량아사한 시기가 있었습니다. 지구 기온의 변화는 태양 활동 변화의 영향이 가장 크고 그 다음이 지구 내부의 영향이죠. 지표면의 생물이 대기에 주는 변화는 극히 미미한 정도입니다. 탄소 이슈는 오존층 이슈와는 결이 다르죠, 지구에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구조가 오존층 하나밖에 없죠 뚫리면 자외선이 크게 지표면에 쏟아지지만, 태양의 복사에너지는 오로지 탄소분자들만 흡수하나요? 질소와 산소 아르곤이 대기의 99% 이고 이산화탄소는 단 0.3% 내외입니다. 그 대기 중 극소량의 분자들의 극소적인 증가로 지구기온이 1도 2도씩 올라간다는 주장에는 의문이 드는 게 사실입니다.

  • @lll6880
    @lll68802 күн бұрын

    @@POWER-ADE온실가스 규제에서 대표물질을 이산화탄소로 했을 뿐 다른 온실가스들도 함께 다룹니다. 그 중 탄소가 포함되어 있는 가스들도 있고, 아닌 것도 있습니다. 님과 같은 의문을 과학자들은 물론 아마추어들도 다 검토하는 사실입니다. 아마 님도 이과의 피가 흐르는?? ㅎㅎ 만약 님이 반론을 제기하고 싶다면, 데이터를 제시하던가, 기존 데이터의 오류를 지적하던가, 획기적인 다른 메카니즘을 제시하면서 검토해 보자고 해야 할 것 같습니다. 현재의 기후변화 연구는 적어도 수천만년 단위의 기후 데이터(빙하에서 찾아낸)를 검토하면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과거 지구의온도가 지금보다 더욱 높을 때도 있었습니다. 문제는 속도 입니다. 급격한 기후 변동은 식생의 변화, 공기/해류 순환의 변화를 동반하고, 생명체에게 적응 or 멸종을 요구합니다. 인간이 이 믾은 인구와 산업을 짧은 시간에 적응시킬 수 있을까??? 이주할 수 있을까?? 그런 문제입니다.😂 그리고 CO2가 그정도 밖에 없어서 그나마 지금 수준입니다. 금성은 어떤지 아시죠?

  • @hayoun3
    @hayoun3Күн бұрын

    저는 그냥 지구 평평이들 주장이랑 비슷하다고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