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친구

이슈친구

Пікірлер

  • @user-ic8hj4nr6x
    @user-ic8hj4nr6x4 сағат бұрын

    일본인중에 한국인 키작다고 생각하는 사람 1도없는데. 그냥 한국인은 키크다가 고정관념으로 잡혀있음.

  • @user-zp3en8pk7m
    @user-zp3en8pk7m4 сағат бұрын

    93년도면 노태우 김영삼 의 국짐당 정권 때네요 그땐 정말 북한이랑 남한이랑 비슷한시기였죠 개인의 인권이 없고 개인의 자유보단 기득권의 자유만 있던 전체주의 시절이였던건 인정 합니다 ㅎㅎ

  • @user-np6ee3cu6e
    @user-np6ee3cu6e4 сағат бұрын

    대신 공기 쓰레기 ㅇㅇ

  • @Brian-qy4rc
    @Brian-qy4rc5 сағат бұрын

    글과 말은 다른 겁니다 한국어는 세계적으로 배우기 어려운 언어로 꼽힙니다. 한글은 가장 쉽게 배울 수 있는 문자 입니다. 언어와 문자는 다릅니다

  • @injoy2u
    @injoy2u5 сағат бұрын

    고라니 는 수출만이 답

  • @user-hn7lh3pg9i
    @user-hn7lh3pg9i6 сағат бұрын

    한국이 빨랐던 게 어디 한 두개임? 세계 최고 발명품을 내놔도 미국 중국이 인정 안하면 시장에도 도태되는 거임. 돈 되겠다 싶던가 아니면 머지 않아 유행할 거 같으면 시장을 막아놓고 미국이 준비를 함. 준비 다 되면 시장 열고 글로벌 시장 장악. 그 사이 한국의 기술은 도태되던가 사라짐. 이게 현실임. 그러니 기똥 찬 거 있으면 미국으로 가. 실리콘벨리 가면 돈 대주는 사람들 많아.

  • @user-xr6fe1ku5m
    @user-xr6fe1ku5m6 сағат бұрын

    가정은 의미가 없어 그리 될일도 아니고

  • @user-ql5fx4sn8g
    @user-ql5fx4sn8g8 сағат бұрын

    비둘기가 친숙해서 닭둘기라고 하는거 아닌데요.. 하두 이것저것 많이 먹어서 닭처럼 크다고 닭둘기라고 해요..

  • @moosoyou
    @moosoyou8 сағат бұрын

    하지만 한민족은 급속히 멸종 중...

  • @user-vr7vy9id7u
    @user-vr7vy9id7u11 сағат бұрын

    근데 비버는 직접 커피를 사러오는거야?

  • @user-mg4ux2sb3m
    @user-mg4ux2sb3m18 сағат бұрын

    울 수돗물은 믿을수 있지만 노후된 수도관은 믿을수 없다 정수기가 잘 필리는 이유다

  • @user-lb3fb9vd5k
    @user-lb3fb9vd5k19 сағат бұрын

    우리 스미래양 만세 ㅎㅎㅎㅎㅎㅎㅎㅎㅎ

  • @user-ig1ht8nz6t
    @user-ig1ht8nz6t19 сағат бұрын

    앨빈 토플러는 실패한 일본의 과정을 따라하지 말라고 경고하였습니다.친일 정치인, 친일 교수,친일 국민들이 자기는 친일이 아니라고 하지만 간접적으로 일본은 이렇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이렇게 된다고 자랑스럽게 말하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고 일본을 배워야 한다고 말하는 사람들 또한 많이 있어 슬프다

  • @Jesus-Christ_
    @Jesus-Christ_20 сағат бұрын

    한국 일본 얼음물 많이 먹음

  • @ppeume4300
    @ppeume430021 сағат бұрын

    아인슈페너나 크림라떼는 인기없을수가 없음...

  • @jeenee_s
    @jeenee_s22 сағат бұрын

    일본이 더 냉수 많이 마심 겨울에도 식당가면 얼음물 나옴

  • @jeong-cheolpark1560
    @jeong-cheolpark1560Күн бұрын

    자막에 "군주로써"가 아니라 "군주로서"가 바른 표기입니다. 한글 관련 내용을 다루면서, 한글 맞춤법을 틀리니 좀...

  • @lastcoin_
    @lastcoin_Күн бұрын

    걱정이다 이런 뉴스보고 또 ㅂㅅ들이 가서 한국카페라고 하고 가게열까봐..

  • @user-ze4nv9rt6m
    @user-ze4nv9rt6mКүн бұрын

    이렇게 '물' 이 좋은국가 에서~ 왜? 욕! 으로 사용되는 표현 에 ~ '물 멕인다' 라는 표현 이 있는걸까? 혹시(?) '(다른나라 의)물 멕인다' 의 줄임말인가?

  • @user-il6jq7kw8z
    @user-il6jq7kw8zКүн бұрын

    간단하고 배우기쉬운점과세계언어를 표현할수있기때문이다

  • @c1soju78
    @c1soju78Күн бұрын

    뭔... 하이라이트 나오고, 내용 나오다가 하이라이트 부분 나오다가 다시 도입부 나왔다가...

  • @user-nm2de2fk4g
    @user-nm2de2fk4gКүн бұрын

    이것이 바로 문화의 힘.

  • @user-te2ln2mf2r
    @user-te2ln2mf2rКүн бұрын

    연구 개발 예산 삭감은 윤석열 정권의 위대한 업적이다.

  • @user-yf6ck3je3x
    @user-yf6ck3je3xКүн бұрын

    아는내용인데 중국은한달이라고들음

  • @skj4409
    @skj4409Күн бұрын

    후백제유민들도 대거 넘어간걸로 아는데

  • @TM-xw4lt
    @TM-xw4ltКүн бұрын

    자작 소설도 정보냐

  • @user-mw7pu3ir2e
    @user-mw7pu3ir2eКүн бұрын

    한복이 참 잘 어울리는 친구네요... 여류바둑발전에 많이 힘써주세요.

  • @user-kr5tj5hx4h
    @user-kr5tj5hx4hКүн бұрын

    우리 조상님 들은 선진국 으로 사셨기때문에 놀랄것도 없다

  • @ysjo8761
    @ysjo8761Күн бұрын

    중국과 일본의 역사왜곡 때문에 우리 고대역사와 삼국시대가 완전히 뒤바뀌었다. 고구려 신라 백제 삼국은 중국이나 대만의 고지도에 보면 현 중국땅안에 있었다.

  • @joonlacas3261
    @joonlacas3261Күн бұрын

    사람들은 비자런(무비자 입국후 체류허용기간동안 머물다 그 체류기간이 다되가면 근처 국가로 나갔다 하루나 몇일 후 다시 돌아 오는것)이 마치 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건 편법이지 합법이 아니다. 30년 여행하면 변천사가 보인다. 태국에 불법으로 돈벌이를 하며 정식 비자를 안받고 관광비자로 비자런이 많으니 태국에서 문제가 된적이 있고 비자런 의심자는 입국불허한적이 있다. 우리가 태국 불법노동자를 이야기하면 태국은 비자런을 이야기한다. 오래전엔 벳남도 인도네시아도 무비자기간이 길었다. 인도네시아는 3개월이었다. 그런데 비자런이 횡횡하자 방문비자를 만들고 기간도 대폭줄였다. 비자런은 불법 취급 받는 편법이지 합법이 아니다. 돈이 들고 귀찮더라도 투자비자던 은퇴비자던 무슨비자던 간에 본인 상황에 맞는 비자를 가지고 활동해야 한다.

  • @user-ti9hn6lb9h
    @user-ti9hn6lb9hКүн бұрын

    조속히 제주도 중국 무비자 없애라. 제주도가 중국화 되어간다

  • @user-ve7yr9zh6t
    @user-ve7yr9zh6tКүн бұрын

    저도 30에 미국사람이랑 나이 얘기하다가 20아니냐고 놀랬던 경험이 있었어요ㅎㅎ

  • @sunglee500
    @sunglee500Күн бұрын

    LA 뉴요커.?....유투버들 수준..참....

  • @weekenddoit42
    @weekenddoit42Күн бұрын

    한글이 남는게 놀랍다고?당연한거지 ㅎ

  • @hung-uc2lq
    @hung-uc2lqКүн бұрын

    베트남어 공부했는데, 한글로 절대로 표기못합니다, 한글모음은 2연음이 한계라, 베트남어의 3연음을 표기할 수 없어요. Nguyễn, 이걸 한글로 억지로 쓰자면 응웬 혹은 응우이옌인데 말그대로 억지라서 현지인 발음을 표현할 수 없고요, 성조는 어쩔건데ㅋ, V, F 발음도 그렇고요. 한글이 자랑스러운 이유는 한나라의 왕이 백성을 안타까워해서 문자를 창제하고, 발음을 한글자로 담아낸 것이 대단한 발상이고 배우기 쉽고 이건 거지, 모든 한글은 알파벳으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 @user-zn5pr6oh7l
    @user-zn5pr6oh7lКүн бұрын

    미국에서도 "어머"를 쓴다는데 너무 웃김 ㅋㅋ

  • @jeongyj3078
    @jeongyj3078Күн бұрын

    한국은 인구는 줄어들면서 소멸하고 한글만 세계 속으로 퍼져 나가네요. 이렇게 세종대왕님께서는 전쟁도 하지 않고 한글 하나로 세계를 통일하시는 겁니다

  • @starroyal8927
    @starroyal8927Күн бұрын

    밤에 고속도로에서 고라니 간혹 가만히 서있는데 빵빵대도 고라니가 차 인지하고 피하는데 오래걸림. 코앞에 가서 가까스로 서야 고라니가 놀라서 도망감.

  • @user-ip5pi5xd4z
    @user-ip5pi5xd4zКүн бұрын

    박정희 대통령님 감사합니다

  • @user-zh8up8gc6b
    @user-zh8up8gc6bКүн бұрын

    거짓말 너무 심하다

  • @user-uo6lc3xz3g
    @user-uo6lc3xz3g2 күн бұрын

    그럼 뭐하냐? 국가에서 버린 분 인걸..그시기 한국은 공산당이였어.. 사십도 안된 애들은 모르겠지만...

  • @user-zp3en8pk7m
    @user-zp3en8pk7m4 сағат бұрын

    93년도면 노태우 김영삼 의 국짐당 정권 때네요 그땐 정말 북한이랑 남한이랑 비슷한시기였죠 개인의 인권이 없고 개인의 자유보단 기득권의 자유만 있던 전체주의 시절이였던건 인정 합니다 ㅎㅎ

  • @ajsegspwlq
    @ajsegspwlq2 күн бұрын

    저기서 치즈, 야채, 참치, 매운어묵미니 김밥까지 말아서 팔면 완전 게임 끝. 울동네 카페 커피도 완전 맛집인데 이 집은 특이하게 빵이 아닌 김밥을 파는데 완~전 대박 남. 거기다 미숫가루 스무디 도 별미. 카페라 빵만 팔아야 한다는 편견을 뒤집어 무수히 많은 카페들중 틈새시장에 적중. 진짜 대~~박.

  • @chartres89
    @chartres892 күн бұрын

    카페베네, 탐탐이 망한건 스타벅스 공식을 그대로 미국에 적용했기 때문임. 미국에 널리고 널린게 스벅인데, 스벅 커피와 포뮬러를 그대로 카피해서 팔면 경쟁력이 있을 턱이 없지. 이렇게 고품질의 소규모 스페셜티 카페로 승부하는게 맞는 방법이다

  • @user-younataemin
    @user-younataemin2 күн бұрын

    90년초 일본같은 한국인 댓글..중국인들이 개무시하걶지.

  • @beckie5922
    @beckie59222 күн бұрын

    언제든 세계적인 것은 변해야 합니다. 그래야 여러 민족들이 다양한 가치관을 존중하면서 서로를 존중하면서 살 수 있습니다. 어떤 문명도 우세하지 않습니다. 어떤 종교도 우세하지 않습니다. 어떤 민족도 우세하지 않습니다.

  • @CH_Sudal
    @CH_Sudal2 күн бұрын

    방금 아파트 단지 앞에 고라니 뛰어가더라. 존나 어이없더라. 그리고 겁나 잘 뛰고 멀리 뛰더라. 노루 같이 생겼지만 아마도 고라니겠지 ;;

  • @elliec9200
    @elliec92002 күн бұрын

    왜 뉴요커라고 하죠?? 엘에인데 ㅋㅋ

  • @R-st1re
    @R-st1re2 күн бұрын

    흑인들이 동양인 상대 차별이 더 심하면서 쟤들은 뭐 피해망상주의냐? 백인들이 치를 떠는 이유를 알것 같기도

  • @user-si8ul4hs9k
    @user-si8ul4hs9k2 күн бұрын

    저 피부과의사인데요. 크린징하고 나서도 화장한걸로 보이는 얼굴 많이뇨 비 현실적 아닙니다

  • @summer_snow_
    @summer_snow_2 күн бұрын

    거품 엄청 나는 샴푸,클렌징폼 집에서 쓰던거 덜어서 일본에 가서 썼는데 거품이 거의 안나서 당황했어요 .일본물도 한국물과 많이 다른걸 느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