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사람들의 화장실 문제로 탄생한 놀라운 것들 ㅋㅋ (하이힐, 향수, 모자..) | 역사를 보다 EP.6

Ойын-сауық

오늘은 허준님과 썬킴님, 중동학자 박현도 교수님, 이집트 고고학자 곽민수 소장님을 모시고 ‘화장실의 역사와 고대 7대 불가사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00:00 오프닝
03:03 고대 시대에도 화장실이 있었을까?
11:19 역사학자들이 말하는 고대 불가사의
16:56 한국이 모든 글자를 표기할 수 없는 이유
21:55 피라미드를 능가하는 역대 최대 미스터리
24:58 솔직한 역사학자들의 특징
28:45 고대 시대를 공포로 몰아넣은 불가사의한 군대
31:43 최강의 페르시아는 왜 알려지지 않았을까?
BODA 보다에 출연을 원하신다면 요기를 눌러주세요
forms.gle/1XKVXfBrALz1GHEH8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제작 : 어썸엔터테인먼트 (주)
awesomeentad.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보다 #역사 #불가사의 #미스터리 #역사를보다

Пікірлер: 625

  • @ililiilll1805
    @ililiilll18059 ай бұрын

    아침 먹는데 감사합니다.....

  • @user-lv5bx6fr3t

    @user-lv5bx6fr3t

    9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BaeMatYT

    @BaeMatYT

    9 ай бұрын

    😅😅😅😅😅😅😅😅

  • @user-rq8hq2qd6o

    @user-rq8hq2qd6o

    9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hide4128

    @hide4128

    9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 @lws5712

    @lws5712

    9 ай бұрын

    햇반가져와!!!!

  • @mainisnumber
    @mainisnumber9 ай бұрын

    이번 편은 교수님께서 얼마나 이슬람 문화권에 대한 애정이 진심이신지 확인할 수 있었던 회차같네요!! 좋은 의미로 인상이 깊었습니다

  • @mna833

    @mna833

    9 ай бұрын

    김학도형 오랜만 ㅋ

  • @sang-joonlee7594
    @sang-joonlee75949 ай бұрын

    명절연휴라서 여유있게 점심때부터 맥주한잔 하면서 유익한 재미거리를 찾다가 들렀습니다. 어이구 섭외력이 대단하시네요 이곳에서 무려 박현도 교수님을 뵙게 되네요 더군다나 이집트의 최고 전문가 곽민수소장님까지 ! 그리고 썬킴님까지 뭔가 균형이 자연스럽게 맞아들어가는 출연진 구성 같습니다

  • @user-si4zu4mv5w

    @user-si4zu4mv5w

    9 ай бұрын

    ​@GbffhtteyTfsbvxhh이딴거 하지 마셈

  • @NijumiK
    @NijumiK9 ай бұрын

    허준님이 MC 맡는 게 진짜 개인적으로 좋다고 생각함. A B C D 이렇게 주제를 바꾸는 게 아니라 말 그대로 친구들끼리 농담하든 구렁이 담넘어 가게 A~~~~~~~D 처럼 진행이 됨 집중이 참 잘됨

  • @Imsosexykorean
    @Imsosexykorean9 ай бұрын

    오 국립국어원 이야기 되게 인상깊네요 생각해본 적 없던 점인데... 역시 비판적 수용이 중요하구나 느낀 듓,,,!!! 자장면-짜장면 예시로 다른 게 아니라 이런 것이 인문학의 힘이다 말씀해주시는 것도 와닿았어요!!! 저도 틀에 박히지 않고 열려있고 변화하는 것에 대해 늘 생각하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ㅎㅎ

  • @prococonut

    @prococonut

    9 ай бұрын

    ​@@duanecherenek 폐지하면, 현대 사전 편찬, 한국어 기초교육 표준이 사라집니다. 개편을 하면 했지. 폐지는 아니라고 생각 되네요. 굉장히 보수적 성향을 가진건 맞습니다.

  • @Good-Week

    @Good-Week

    9 ай бұрын

    짜장면은 그런데 '김밥'은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김밥/김빱

  • @user-oj7ip8iz3w

    @user-oj7ip8iz3w

    9 ай бұрын

    ​@@duanecherenek교화 때문에 한 것이 아닙니다. 어원을 보여주기 위해서 한 거예요. 민간학자가 한다고요? 통일성 포기하려고 작정했나요.

  • @user-oj7ip8iz3w

    @user-oj7ip8iz3w

    9 ай бұрын

    국립국어원이 발음나는 대로 표준어를 만들지 않는 이유는 우리글은 그 어원까지 보여줌으로써 더 편하고 정확하게 사용하기 위해서입니다. 맑다와 막다는 발음은 똑같지만 글을 봄으로써 그 뜻을 그 자체로 파악할 수 있죠. 즉 우리글은 말뿐만 사니라 보기만 해도 해독되는 글입니다. 정확하게 어원까지 파악해서요. 실제로 조선시대엔 발음나는대로 적었기에 사람들 사이에 혼동이 많았습니다.

  • @3sdk4po19

    @3sdk4po19

    9 ай бұрын

    국립국어원은 그냥 서울대국문과생들 일자리 창출하는 철밥통 집합소죠. TV에 나와서 짜장면이 자장면 된게 중국사람에게 물어봤다 라고 말하는 것들이니까요. 실제로 방송국에서 중국인대상 설문하니 죄다 짜장면이 가깝다고 했었죠. 그뿐인가요. 닭도리탕-닭볶음탕, 트랜스지방-변이지방, 홈페이지-누리집, 넷티즌-누리꾼, 골드미스-황금독신여성 등등.. 정말 세금루팡잉여인력들 집합소

  • @user-md2lw7jd9h
    @user-md2lw7jd9h9 ай бұрын

    역사도 과학만큼 정말 재밌어요. Mc분들과 패널분들의 조화도 너무좋은거같아요. 전문가분들의 본인분야에대한 지식과 애정도 크게 느껴지고, 샘킴님의 상식과 야사? 관련한 질문도 재밌어요. 감사합니다 보다

  • @Bladeseal
    @Bladeseal9 ай бұрын

    신조어를 보고 한글 파괴자라 하며 세종대왕께서 릉에서 탄식할거라 하는 시람들 한테 전에 어떤 국어학자께서 세종대왕께선 한글로 그렇게 다양한 글을 표현 하는걸 보면 기뻐하셨을 거란 말을 하신게 생각나네요

  • @user-oo4mj1uq8g
    @user-oo4mj1uq8g9 ай бұрын

    페르시아가 참 많은 영향력이 꽤 컸었군요. 저는 그 역참 몽골인줄 알았느데 그게 아니었군요. 참 좋은 역사적 지식 가르쳐 주신 박혁도 교수님, 곽민수 소장님 감사합니다.

  • @user-wr3js1jm9x
    @user-wr3js1jm9x9 ай бұрын

    21:46 그저 이제 시작이라 행복해하는 애굽민수를 보니 저도 행복해지네요. 박현도 교수님이 계셔서 애굽민수님과 박현도 교수님의 중근동 이야기가 콜라보가 되어서 너무 좋습니다. 가면 갈수록 네 분의 합도 잘 맞는 느낌

  • @sogogiits5238
    @sogogiits52389 ай бұрын

    과학 시리즈에 이어서 역사까지 빠짐없이 전부 재밌어서 나오자마자 보게되네요. 각자의 분야에 열성적인 모습 즐겁고 유익하게 잘 봤습니다!

  • @hwkim6042
    @hwkim60429 ай бұрын

    언어이야기 ㄹㅇ 공감가는게 국립국어원의 가장 심각한 폐악은 문법임... ㄹㅇ 법칙이라 해놓고 변칙을 ㅈㄴ 만들어 놓으니... 이정도면 현대 한국어의 문법은 수능 문제 출제를 위해 지금의 아수라장을 만든게 아닐까 싶음

  • @소원이있어요

    @소원이있어요

    9 ай бұрын

    차라리 단순하게 갈꺼면 진짜 단순하게 가고 규칙을 확고하게 갈꺼면 규칙을 확고하게 간다거나.. 뭐 하나가 되야하는대 이상한 변칙들은 전통이라면서 박제하고 더 이상의 변화는 억제하니 이도저도 아닌 걍 지들 밥그릇 싸움하는 철밥통이 되버림

  • @gle_Goo

    @gle_Goo

    9 ай бұрын

    공감!

  • @2rm730

    @2rm730

    9 ай бұрын

    꽉막힌 집단임

  • @user-dl3bz9fl1i

    @user-dl3bz9fl1i

    9 ай бұрын

    변칙은 언어를 쓰는 화자들이 자꾸 지멋대로 쓰고 그게 일반적인 단어가 되어버리니 표준어로 등재하게 된 거 아닐까요?

  • @hwkim6042

    @hwkim6042

    9 ай бұрын

    @@user-dl3bz9fl1i 단어가 아니라 문법이야기 하는데 뭔소리이신지;;

  • @user-jeong2410
    @user-jeong24109 ай бұрын

    우리 썬킴 선생님 음료 리필좀 해주세요 ㅋㅋㅋㅋ 역사를 보다 볼때마다 혼자 음료 싹비우심ㅋㅋㅋㅋㅋ

  • @hanbok9225
    @hanbok92259 ай бұрын

    18:44 사실 가래 끓는 듯한 소리가 나는 해당 발음이 중세 한국어에서는 있었습니다! 바로 쌍히읗(ㆅ)이죠. 물론 음가가 세조 시대에 벌써 사라져 글자가 쓰이지 않게 되었기 때문에 정확한 것은 아니고 이외에 다른 발음이라는 학설도 있기는 합니다.

  • @heytoj
    @heytoj9 ай бұрын

    40분이 훌쩍 지나갈 정도로 너무 재밋게 봤습니다. 앞으로 자주 올려주세요.

  • @넥코
    @넥코9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국립 국어원이 꼭 보길 기원함

  • @user-cl9fs6rr7w
    @user-cl9fs6rr7w9 ай бұрын

    너무 재미있습니다 역사에 대해 좋아하는데 설명잘하시는 3분과 중재를 잘하시는분이 1분이 조합이 너무좋네요 감사합니다 더 잘되서 잘못된 역사를 알수있게해주세요^^

  • @narrle6920
    @narrle69209 ай бұрын

    분명 ㅋㅋㅋ 오프닝은 가벼웠는데 가면갈수록 복잡한 페르시아이야기라니... 박현도 교수님 넘 좋아요

  • @user-rd1ho1dp7s
    @user-rd1ho1dp7s7 ай бұрын

    편집이 굉장하네요!! 마 뜨는 구간 하나도 없이 템포가 빠르게 핵심만 잘 추려져있어요👍👍

  • @lanabanana2418
    @lanabanana24189 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하고 재밌습니다. 항상 챙겨봅니다!

  • @kang8599
    @kang85999 ай бұрын

    이 4분 나오면 제일 재밌음 ~ 시간 가는줄 모르고 봤네요 !! 최고 😮

  • @wald7750
    @wald77509 ай бұрын

    역사를 보다를 볼 때 마다 학자분들의 사고하는 방식을 배우게 되는 것 같아 좋습니다

  • @MixSoup1972
    @MixSoup19729 ай бұрын

    우라나라 옛분들은 화장실에 재를 쌓아두었다가 대변 본 후에 재로 덮었지요. 장점은 화장실을 깊이 파지 않아도 되었고 냄새도 덜했으며 구더기 등 벌레가 거의 없었죠. 또한 다른 작물 찌꺼기와 섞어 발효시키면 좋은 거름이 되었죠. 지금은 시골도 양변기가 거의 보급되어 사라진듯하나 제 할아버지만 해도 화장실을 이런 식으로 지어 썼죠. 나무를 연료로 하는 시골은 지금도 무척 유용한 방법 아닐까 생각합니다.

  • @invitebyte3278

    @invitebyte3278

    9 ай бұрын

    깊이 안파서 여름에 홍수나면 똥이 넘쳐서 온 도시가 똥물천지가 되었음 일제시대 조선총독부가 처음 한 일이 경성(=서울)에 상하수도 시설 건설하는거였고 일제 36년동안 주구장창 했던 일도 한반도 각 도시들 똥 치우기였음 심지어 1910년도땐 조선총독부 예산 80%가 똥치우는데 들어갔을 정도고.

  • @ysl8731
    @ysl87319 ай бұрын

    영상의 완성도도 높고, 논의된 내용들도 깊습니다. 보물같은 영상 잘 보았습니다.

  • @choedongsin
    @choedongsin9 ай бұрын

    오프닝 마지막즈음에 한글에 대한 견해를 들으면서 정말 많은 공감 했습니다.

  • @moonseokjang2959
    @moonseokjang29599 ай бұрын

    진짜 너무 꿀잼이야 ㅠㅠㅠㅠ 일주일에 2개씩 줘요..

  • @kephas7772
    @kephas77729 ай бұрын

    로마시대엔 흐르는 하수도를 따라 건물을 짓고 화장실을 만들었다는 다큐를 보았습니다...변기 아래가 하수도길이라는 것이었죠... 공중목욕탕에서 목욕과 사우나를 했기에 중세 시대 보다 몸이 깨끗했다고 들었습니다..로마는 정복지에 우선 수도교를 만들어 깨끗한 상수원을 도심에 공급하는 일을 먼저 했다죠...그런데 로마가 멸망한 이 후 중세시대엔 다시 고리적 옛날처럼 우물물로 되돌아 갔다는 얘기를 하죠...수도교를 만들어 운영할 자금이 없어서겠지만요...

  • @gimgankoomg4168

    @gimgankoomg4168

    9 ай бұрын

    로마보다 훨씬 이전부터 중근동과 인도에는 그런 시설들이 많았죠. 하지만 지금 인도를 보면 또 하찮은 수준이잖아요. 역사란 게 원래 그런가 봐요.

  • @소원이있어요

    @소원이있어요

    9 ай бұрын

    찬란했던 문화 과학적인 문명들이 단지 힘만을 추구한 정복 문명에 스러지기도 하고.. 특정 종교가 득세하면서 문명이 역행하기도하고.. 결국 그렇게 발전하고 퇴행하고를 거쳐 현대에 오긴왔다지만 참 아쉬운 경우들이 많죠. xx사건만 없었어도 현대 문명이 몇백 몇년년을 빨랏을꺼다 이런거 엄청 많잖아요 ㅋㅋㅋ

  • @nyq12

    @nyq12

    9 ай бұрын

    로마를 정복한 민족이 로마보다 문화적으로 열등했던 게르만계였으니 발전은 커녕 유지도 힘들었음

  • @EE22EE22
    @EE22EE229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게 잘 봤습니다😊😊

  • @hmmmhmmm8327
    @hmmmhmmm83279 ай бұрын

    17:20 용찬우 내용 잘 들었습니다

  • @user-xb3po8zh9f
    @user-xb3po8zh9f9 ай бұрын

    사실 국립국어원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시대에 맞게 맞춤법 개정도 좋은데 자꾸 기존에 불편하지 않았던 맞춤법들까지 바꾸니까 자주 짜증도 납니다 어릴때부터 지금까지 크게 맞춤법 개정이 두번인가 있던걸로 아는데 (예:읍니다 에서 습니다 같은경우…)오래산 사람들은 짜증나네요 ㅠ 바꿔서 말하면 영어가 자꾸 단어를 바꾸면 비영어권분들은 불편하겠죠? 예전이야 한글을 배우는 분들 얼마 없다 했지만 지금은 많은분들이 한글을 접하고 배우는 상황에서 맞춤법 개정은 정말 신중해야 한다고 봅니다 맞춤법 개정 이란 소릴 들으면 아~그분들도 뭔가를 했어요!라는걸 보여줘야해서 자꾸 바꾸나 싶기도하고.. 꼭 필요한 짜장면은 왜10년이 걸렸냐구요 ㅋㅋ 과학쪽 얘기를 재밌게 보다가 넘어왔는데 역사쪽도 재밌네요

  • @user-ir9nc8pn1m

    @user-ir9nc8pn1m

    9 ай бұрын

    아오 장문충

  • @user-xh9em4cy3b

    @user-xh9em4cy3b

    9 ай бұрын

    ​@@user-ir9nc8pn1m아오 충충

  • @2rm730

    @2rm730

    9 ай бұрын

    얘네 싹다 개편해야함 ㅋㅋ ㅈㄴ 무능함

  • @elvenisar

    @elvenisar

    9 ай бұрын

    읍니다->습니다는 실제발음과 괴리가 있던 표기법이니 바꿔야 했죠. 근데 짜장면은 그반대의 짓을 했으니 속이 터졌던거😅

  • @user-xb3po8zh9f

    @user-xb3po8zh9f

    9 ай бұрын

    @@user-ir9nc8pn1m 길면 읽지마시오!

  • @kidmanblue7526
    @kidmanblue75269 ай бұрын

    볼꺼생겼다!!!! 연휴시작에 영상 참 좋구요

  • @hsg9934
    @hsg99349 ай бұрын

    너무너무 재미있네요. 페르시아와 아랍문화가 정말 많은 영향을 주고 받았네요. 일할때 가끔 이란분들을 뵐 때가 있는데 문화에 대한 자긍심이 하늘을 찌를듯 높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어요. 근거가 _있는_ 자신감이었네요

  • @user-wq6sd6lq9i
    @user-wq6sd6lq9i9 ай бұрын

    너무 유익하네요

  • @duwduwland7532
    @duwduwland75329 ай бұрын

    썬킴님 너무 웃기셔요 ㅋㅋㅋ 셋의 케미가 너무 잘어울려요!!

  • @user-qo4np7tz5k
    @user-qo4np7tz5k9 ай бұрын

    와 많이 재밌습니다. 잘 모르는 고대사까지 어우러지니 좋습니다.

  • @user-yf3fb8up6d
    @user-yf3fb8up6d9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시간이 된다면 고대문명중 하나인 수메르 문명에 대한 해석도 풀어보는 시간이 있으면 좋겟어요 :)

  • @user-bv9iv5cr1i
    @user-bv9iv5cr1i9 ай бұрын

    우와~~대박이네요 요점만 정리한 강의 들은거 같네요 앞으로도 쭉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페르시아 문화..... 대박이네요

  • @Panierdemini
    @Panierdemini9 ай бұрын

    너무 재미잇습니다🎉🎉

  • @manj00deli95
    @manj00deli959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 @LHK168
    @LHK1689 ай бұрын

    빠른 주기의 업데이트 아주 좋아

  • @user-vi5zi8em7p
    @user-vi5zi8em7p9 ай бұрын

    국립국어원은 반성해야 합니다. 무한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한글을 너무 제한하고 있음. 유교적인 사상에서 벗어나 모든 언어를 기록해야 합니다.

  • @user-uu6kg9mf6h
    @user-uu6kg9mf6h9 ай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

  • @DJrobin75
    @DJrobin759 ай бұрын

    너무너무 재미있어요..😊😊

  • @user-lh9uq4ix6m
    @user-lh9uq4ix6m9 ай бұрын

    아 네분 이야기 너무 좋아! 아 아프지마시고 추석 잘보내십쇼

  • @Fzeppelin
    @Fzeppelin9 ай бұрын

    저도 페르시아 문화 이란 문화하면 굉장히 흥미있고 또 고대 페르시아 제국하면 대단하다 라고 생각한 부분이 있는데 박현도 교수님의 학자로써의 팬심이라고 해야할까요?? 굉장히 동감가고 또 재밌네요 ㅋㅋㅋ

  • @mask5905
    @mask59059 ай бұрын

    이번영상으로 인해 얼마나 페르시아 역사가 중요한지 알게 됐어요 감사합니다👍

  • @1203taehyun
    @1203taehyun9 ай бұрын

    05:26 빵 터졌습니다ㅋㅋㅋㅋㅋㅋ

  • @suziq2443
    @suziq24432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와! 네분 진짜 진짜 재밌게 봤습니다❤ 구독합니다:)

  • @user-vf1vb5ey4u
    @user-vf1vb5ey4u9 ай бұрын

    이분들 조합 너무 좋아요~

  • @user-lv7nl1tf2b
    @user-lv7nl1tf2b5 ай бұрын

    오늘 이야기는 특히 더 재밌네요!! 그리고 소개하신 영화들 설연휴때 다 찾아볼겁니다!❤❤❤❤

  • @basaraki
    @basaraki9 ай бұрын

    이걸 보고 다시 느낀게 역사는 역시 승자의 이야기라는 걸 다시금 생각하게 되네요.

  • @bangmu369
    @bangmu3699 ай бұрын

    많이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ov2ji5wx2w
    @user-ov2ji5wx2w9 ай бұрын

    많이 배웁니다 고맙습니다

  • @e.s583
    @e.s5839 ай бұрын

    너무 재미있다!

  • @redigzag
    @redigzag9 ай бұрын

    볼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아는 만큼 보이는것 같습니다. 재밌는 말씀 감사합니다.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어요 ^^

  • @poong322
    @poong3229 ай бұрын

    재밋네요....이 조합 참 괜찮네요

  • @dud-sp7wc
    @dud-sp7wc5 ай бұрын

    점심 먹으면서 잘~보구 있어요 유익하네요

  • @빵뿌이
    @빵뿌이9 ай бұрын

    우아 놀랐어요!!!

  • @jinwoocho6874
    @jinwoocho68749 ай бұрын

    네 분 수고하셨습니다. 재밌게 봤습니다^^

  • @user-ez3ci2cf6c
    @user-ez3ci2cf6c9 ай бұрын

    박현도 교수님 정말 좋아요 저도 페르시아 좋아하는데 말씀 많이 해주셧으면 좋겠네요!

  • @user-jz2eb6rd6u
    @user-jz2eb6rd6u9 ай бұрын

    넘 재미있어요👍👍👍

  • @saehanlee695
    @saehanlee6959 ай бұрын

    와 오늘 한글에 대한 내용이 대단합니다

  • @spyfamily42
    @spyfamily429 ай бұрын

    페르시아 특집 한 번 가야겠네요 ㅋㅋㅋㅋ

  • @gimgankoomg4168
    @gimgankoomg41689 ай бұрын

    미국의 야구를 하지는 않지만 페르시아나 북아프리카 등 여러 곳에 야구와 비슷한 놀이가 아주 옛날부터 있었습니다. 아라비안 나이트에도 비슷한 놀이가 나오기도 하고요.

  • @user-lc6kn5rd4o
    @user-lc6kn5rd4o9 ай бұрын

    배변 처리나 양치는 어떻게 했는지 일상생활이 너무 궁금하더군요😊 제겐 너무 유익한 보다❤애정합니다

  • @user-ds8im2gs8g
    @user-ds8im2gs8g9 ай бұрын

    와 ~ 너무 재미있다 ~

  • @kwanghoshin7742
    @kwanghoshin77424 ай бұрын

    전 허준님땜에 봐요. ㅎㅎ 유쾌하시고 진행도 넘 잘하시고

  • @역사Hogisim
    @역사Hogisim3 ай бұрын

    시간가는 줄 모르고 봤습니다 ^^

  • @elvenisar
    @elvenisar9 ай бұрын

    창밖으로 오물을 버리는것이 그렇게까지 일반적이진 않았다는게 요즘의 정설입니다. 영상에 나온 삽화도 "이런 행위를 하면 처벌한다"는 조례의 삽화구요. 처벌조항이 있었으니 아예 없던일은 아니었던거지만요.

  • @user-mz7bx2lq7i
    @user-mz7bx2lq7i9 ай бұрын

    많이 올려주세요 재밌음

  • @user-to9rj6jk7i
    @user-to9rj6jk7i9 ай бұрын

    최고의 방송!

  • @user-pj6nw5rp1j
    @user-pj6nw5rp1j9 ай бұрын

    너무 즐거운 이야기 보다는 정말 보다보다 질릴때까지 보고 싶아요😊

  • @yiu9788
    @yiu97887 ай бұрын

    우와 너무 재밌어요

  • @dduaak
    @dduaak9 ай бұрын

    국어를 배웠던 사람으로서 생각해보자면, 중세국어에는 있었으나 사라진 발음들 표기들이 많죠. 역사와 사회에 의해 안쓰이는 것은 사라지고 변화해온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국어사를 배우면 모음체계의 변화, 단모음화가 일어나고 합용병서가 사라지고 등등 그렇습니다. 제가 당시의 훈민정늠 발음까지는 모르겠으나, 합용병서로 'ㅅㄷ'이 있기 때문에 훈민정음 때라면 어쩌면 말씀하신 th발음을 표기할 수 있지 않았을까, 개인적으로는 생각해봅니다. 안타까운 것은 일제강점기에 훈민정음을 쓰지 못하게 하고 그것을 살려내고 지켜낸 것이 한글이기에 주시경 선생님의 정리때부터로 시작합니다. 국립국어원이 보여주는 모습이 완전히 만족스러울 수는 없지만 지금의 규칙과 체계에서 최대한 보수적으로 지켜내려고 한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고급지다는 한글의 문법에 위배된 표현입니다. 모두를 그대로 받아들이면 그 혼란은 또 국립국어원의 몫이겠죠

  • @-Sun1919
    @-Sun19195 ай бұрын

    허준 진행 잘한다 역시 짬밥이 ㄷㄷ

  • @WhiteCliip
    @WhiteCliip9 ай бұрын

    점심밥먹으면서 영상잘보았습니다

  • @JJiJilBottle
    @JJiJilBottle9 ай бұрын

    2분전은 못참지!

  •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9 ай бұрын

    오프닝이 절발이얔ㅋㅋㅋㅋㅋㅋ

  • @user-sm9fs2ou9g
    @user-sm9fs2ou9g9 ай бұрын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봤습니다

  • @mchee6890
    @mchee68905 ай бұрын

    썬킴님 재미썽 😊

  • @user-qd9ix1us6o
    @user-qd9ix1us6o9 ай бұрын

    이분들로 역전다방 같은 프로 만들면 너무 재미밌을거 같아요~~

  • @user-ps3tc9fl9p
    @user-ps3tc9fl9p9 ай бұрын

    잼나네용ㅋㅋ

  • @user-oh7hh9vs6x
    @user-oh7hh9vs6x9 ай бұрын

    개꿀잼입니다

  • @mmmijuo5407
    @mmmijuo54079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다

  • @nicesein
    @nicesein9 ай бұрын

    17:16 와우 쥬래건차누의 영향이 여기까지ㅋㅋ

  • @SHJeon-xf3dr
    @SHJeon-xf3dr9 ай бұрын

    그래도 박교수님 덕분에 중동인식이 확 바꼈어요~~!!😊

  • @yeonna2005
    @yeonna20059 ай бұрын

    모르는 역사를 배우는 기쁨!!!

  • @ononononon3426
    @ononononon34269 ай бұрын

    곽소장님은 다른채널에서도 이제 그냥 애굽민수네요 😂😂

  • @ggmind
    @ggmind9 ай бұрын

    피라미드가 손실이 된 경우가 그 돌을 빼서 건축 자제로 쓴 경우도 있었지

  • @invitebyte3278

    @invitebyte3278

    9 ай бұрын

    피라미드 돌 하나가 30톤이 넘는데 그걸 무슨수로 개인이 빼다 써?ㅋㅋ국가단위로 노동력 동원해도 될까말까이고 그 노동력이면 피라미드 돌 빼내는 것보다 채석장에서 돌 캐내서 쓰는게 더 효율적임

  • @joanlee4083
    @joanlee40839 ай бұрын

    재밌쓰요~~~~~~

  • @justice-1730
    @justice-17309 ай бұрын

    썬킴 목소리 억양 최고다 증말

  • @geunyang019
    @geunyang0199 ай бұрын

    한글의 재밌는 능력중 하나.. "볂억이 앉되개 쓹수도 읻다'는 것 임..ㅋㅋ

  • @user-ou9ve3oe9y
    @user-ou9ve3oe9y9 ай бұрын

    와..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봤네 ㄷㄷ

  • @gu4127
    @gu41279 ай бұрын

    허준님 좋아요!

  • @thismandal1322
    @thismandal13229 ай бұрын

    이 조합 좋아!

  • @user-pl5pu6it5x
    @user-pl5pu6it5x8 ай бұрын

    역덕 미치는 컨텐츠네요.. 사랑합니다..

  • @user-dd7rg5hu9j
    @user-dd7rg5hu9j9 ай бұрын

    개꿀잼

  • @user-ne9tk1ox8l
    @user-ne9tk1ox8l9 ай бұрын

    비잔티움 역사도 다뤄주세요~!!

  • @sgp6518
    @sgp65183 ай бұрын

    박현도 교수님 팬입니다😂

  • @msk1827
    @msk18279 ай бұрын

    1회성으로 허준님과 정영진님의 상대쪽가서 mc를 보는 컨텐츠도 한번 ㅋㅋ 문과 이과 체험해보기

  • @user-he5mt4cl2e

    @user-he5mt4cl2e

    9 ай бұрын

    정영진도 문과임

  • @yuneifique
    @yuneifique9 ай бұрын

    멕시코에서는 “조심!“ 이라는 말을 ”aguas!”라고 하는데요. 왜냐고 물으니 배설물을 창밖으로 던져버리면서 외쳤던 ”물(조심)”이라는 말이 지금까지 쓰이는 것이라고 해서 웃었던 기억이 나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