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수백마리의 벌레들이 날아드는 벌레 지옥입니다! 매년 반복되는데 참혹합니다...

Үй жануарлары мен аңдар

안녕하세요 생물도감입니다.
오늘은 작년 이맘때 소개했던 제주도의 죽음의도로에 다시한번 방문해봤는데요 이곳은 밝은 가로등으로인해 주변 곤충들이 마구 날아들어 죽어가는 일명 곤충들의 무덤이었습니다.
그로부터 1년이 지난 지금 이곳의 상황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Пікірлер: 200

  • @user-zy2zd9we5o
    @user-zy2zd9we5o9 ай бұрын

    까망형때문에 한참웃었어요ㅋ생물도감님응원합니다

  • @bugM2
    @bugM29 ай бұрын

    역시 생물의 구조자 생물도감! 머찌다!! 까망형도 멋찌다! 좋은일 한다고 고생했어요!

  • @user-scharnhorst1943
    @user-scharnhorst19439 ай бұрын

    동네 주변에도 몇년전 산기슭에 도로가 새로나고부터 여름만 되면 갑충들의 무덤이 되어가지고 밤마다 랜턴들고 갑충들 줍곤 했는데 여긴 앞자리 숫자부터가 후덜덜하네요 가로등 교체가 절실해보입니다

  • @user-gd7ws5wc6g

    @user-gd7ws5wc6g

    8 ай бұрын

    기야운 갑충 칭구들이 아푸디말기를

  • @mnmpo9

    @mnmpo9

    2 ай бұрын

    네덜숲등판 멸치똥 효능

  • @lost_find
    @lost_find9 ай бұрын

    생도님 고생했어요

  • @hyeryungkang4460
    @hyeryungkang44609 ай бұрын

    TV생물도감 ❤❤사랑합니다. 100만 축하해용 🎉🎉🎉🎉❤❤❤❤😊😊😊😊😊😊😊😊😊 따봉. 사랑해용

  • @user-ps7yt7dr7f
    @user-ps7yt7dr7f9 ай бұрын

    정말 안타까운 상황입니다. 그렇게 많은 개체들이 죽는다니 놀랍습니다. 와우 구조해 주다가 까망님이 죽을뻔 했군요. ㅋ 항상 좋은 일 감사드립니다. 2차 장마가 오늘부터 시작된다고 합니다. 조심하시고 항상 건강하세요.

  • @nangtv7721
    @nangtv77219 ай бұрын

    남양주에 사는데요 진접 쪽으로 가면 제비나비들이 고속도로 위들 날아다니다 차들에 휩쓸려 다니고 합니다. 아마도 작은 새라고 착각할 제비 나비들을 보는 마지막 해가 될듯해요 . 궁집쪽에서 제작년 까지 많이 봤는데 정비 되면서 올해는 못 봤네요 . 사라지는 생물들 ㅠㅠ 입니다.

  • @Wise-blog
    @Wise-blog9 ай бұрын

    와 ㄷㄷ 저렇게 많은 갑충은 처음보네요 ㄷㄷ

  • @user-dp3hv7rx4j
    @user-dp3hv7rx4j9 ай бұрын

    대단하세요👍

  • @xxxx-hu7pm
    @xxxx-hu7pm8 ай бұрын

    와 장난아니네요 엄청 많네요

  • @user-zp8br9of8d
    @user-zp8br9of8d9 ай бұрын

    진짜 많네요!!! ㅋㅋㅋㅋㅋ 몸에 직접 여러 마리 붙인 거 처음 봐욬ㅋㅋㅋㅋ 맨 살에 닿으면.. 따갑구나😅 생도님, 까망님 좋은 일 하셨어요!

  • @user-fn4jl3px3p
    @user-fn4jl3px3p2 ай бұрын

    진짜 생명을 살려주다니 당신들은 대단합니다.

  • @miraclej7790
    @miraclej77909 ай бұрын

    좋은일 하시는 만큼 좋은일 더 많이 생기실 거에요~! ^^~~~~!

  • @jun____young
    @jun____young9 ай бұрын

    크 날도 더웠을텐데 참 대단해 👍 😎

  • @ejaguar211
    @ejaguar2119 ай бұрын

    두분 상받으셔야해요. 분명 두분은 먹는 생명보다 구하는 생명이 훨씬 많으실 듯.. 그나저나 까망님 얼마나 다급하셨으면 ㅗㅜㅑㅎㅎㅎ

  • @user-gm4br9po9t
    @user-gm4br9po9t9 ай бұрын

    정답 제주도. 가로등에 그렇게 엄청 모인다는데 참 안타까워요.

  • @user-pm4er7qy7s
    @user-pm4er7qy7s9 ай бұрын

    전 서귀포 사는데 태어나서 처음으로 올 해 두점박이 봤는데 날씨 때문인지 하루에 한 번씩 계속 보이더라구요 갑충류들 다 좋아하지만 두점박이는 정말 이쁘더군요

  • @user-zm7fc5xo2d
    @user-zm7fc5xo2d9 ай бұрын

    그렇게 까망형은 사슴벌레와 함께 제주도 어딘가에 방생되었다고 합니다... 😂😂😂 까망님 생도님 곤충들 구조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어요 😊😊

  • @KKaMangH

    @KKaMangH

    9 ай бұрын

    살려주세요((당근당근))

  • @user-scharnhorst1943

    @user-scharnhorst1943

    9 ай бұрын

    ​@@KKaMangH까망님 랍스터는 잘잡으시면서 갑충에 약하시군요 (메모)

  • @user-vp8wj3qb3k
    @user-vp8wj3qb3k9 ай бұрын

    싸가지없는 애들 왜이리 많냐 고생하십니다 생도행님 잘보고있습니다😅

  • @user-ki1wj7ql4t
    @user-ki1wj7ql4t9 ай бұрын

    십수년전엔 잘안보이던 풍뎅이류들이 도시에서도 많이 보이던데 이유가있나요?

  • @junhasuk1480
    @junhasuk14809 ай бұрын

    8:30 살모사 귀엽네요

  • @user-gy9rt3fx3v
    @user-gy9rt3fx3v9 ай бұрын

    아름다운 두점박이사슴벌레와 소똥구리 등을 볼 수 있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user-vq9qm4xr6w
    @user-vq9qm4xr6wАй бұрын

    구독좋아요 눌렀습니다.

  • @nr5005
    @nr50059 ай бұрын

    우와 진짜 너무 좋은데요 사슴벌레랑 장수풍뎅이 너무 좋아하는뎅

  • @user-fo3wi4sv2y
    @user-fo3wi4sv2y9 ай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 @tv.seangdo

    @tv.seangdo

    9 ай бұрын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rs8qe7cf2u
    @user-rs8qe7cf2u8 ай бұрын

    벌레들이 귀여워요

  • @user-up2sx8wn3k
    @user-up2sx8wn3k9 ай бұрын

    헉 까망님 👾

  • @user-hc2od9vf3l
    @user-hc2od9vf3l9 ай бұрын

    8:15 얼룩무늬 번쩍이며 정글을간다~

  • @Haepari_guitar
    @Haepari_guitar5 күн бұрын

    어린시절에는 풍뎅이와 사슴벌레에게 둘러 쌓이는게 소원이였지만 지금은 무섭기만 하네요 ㅋㅋ ㅠㅠ

  • @TVrhksckff
    @TVrhksckff9 ай бұрын

    썸네일 대박입니다😊

  • @user-fw9qo9kz2k
    @user-fw9qo9kz2k8 ай бұрын

    까망님 장수풍댕이의 왕이 되셨네요~

  • @user-if3jh6pn7v
    @user-if3jh6pn7vАй бұрын

    제주도 거주 중입니다! 혹시 위치를 알 수 있을까요?

  • @user-qt8vh7ia
    @user-qt8vh7ia9 ай бұрын

    개구리 나와서 궁금한게 생각났는데요 아파트 단지에 연못이 있는데 밤되면 진짜 개구리소리가 엄청 납니다 창문열어놓으면 단지에 다 울리는 수준? 근데 연못이 겨울되면 물을 다 빼버리거든요! 그리고 생물도 일부러 개구리를 넣어놨단 얘기도 없었고, 낮에 눈으로도 본적이 없구요 이경우에는 개구리가 어디서 자연발생하고 겨울엔 동면하다 나오는걸까요??😲😲 개구리가 도심에도 살 수 있나요?

  • @user-om4vr2ic5m

    @user-om4vr2ic5m

    9 ай бұрын

    저도 궁금했어요ㅎ

  • @Gol_A_pa_duck
    @Gol_A_pa_duck8 ай бұрын

    아니 까망형 안나오는 생물 유투브가 없네

  • @user-ui5sj1sz9c
    @user-ui5sj1sz9c9 ай бұрын

    거기 어디에요??

  • @user-th7qd2sq3n
    @user-th7qd2sq3n9 ай бұрын

    8월에 가니까 갑충은 거의 없더라구요~

  • @user-sx6pe2bh1g
    @user-sx6pe2bh1g9 ай бұрын

    10:48 귀여워진짜ㅋㅋㅋㅋ

  • @neo4na2
    @neo4na29 ай бұрын

    아... 까망님 분장 어디갔어요...ㅋㅋㅋㅋㅋㅋ

  • @user-is7zy9lm5s
    @user-is7zy9lm5s9 ай бұрын

    좋은 일 하셨네요

  • @bong-goo
    @bong-goo8 ай бұрын

    저 작년인가..? 서귀포서 사슴벌레들 떼죽음 당한 거 인스타에 여쭤봤었어요! 정말 기묘하다 싶게 가로등밑 바닥에 다 죽어있더라고요.

  • @WHITEDRAGON006
    @WHITEDRAGON0064 күн бұрын

    근데 갑충은 뒤집히면죽는것 아닌가요?

  • @fcredsdf2
    @fcredsdf29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6세 아들 키우는 아빠입니다~ 제주도에 살고 있는데, 저희 아들이 곤충들 구조하러 가자고 하여 수색하였으나 찾지를 못하네요ㅠㅠ) 어느 지역일까요..?

  • @user-yb5hr2wj9d
    @user-yb5hr2wj9d5 күн бұрын

    죄송한데 여기도로 좌표좀 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

  • @user-lh8tc1oy2h
    @user-lh8tc1oy2h9 ай бұрын

    제주도 어디에 사슴벌레가 많아요?

  • @user-hn6wu6jl4p
    @user-hn6wu6jl4p9 ай бұрын

    와..고슴도치는 자주봤어도 장수풍뎅이 수컷은 살면서 한번도 못봤는데 저렇게 많은 개체들이 살고잇었네요..덕분에 신기한거 보고갑니다

  • @7HAH77lmoonjain
    @7HAH77lmoonjain9 ай бұрын

    나어릴때 여러식구들하고 같이 가야산놀러갔는데 휴양림인가 가야가든앞 주차장 땅에 가로등불보고 떨어진 매미를 포대기로 두포대기정도쓸어담아서 가져와서. 동네에 풀었다가 동네 난리난적있었는데 그때가 생각나네요ㅎㅎ

  • @user-ti7gc4hs4v

    @user-ti7gc4hs4v

    9 ай бұрын

    와 이거는 진짜 중범죄인데 ㄷㄷ

  • @user-dc3hp1rl1u

    @user-dc3hp1rl1u

    2 ай бұрын

    왜그래요? 벌레를 풀어?

  • @7HAH77lmoonjain

    @7HAH77lmoonjain

    2 ай бұрын

    큰포대기는 아니었지만 볼트자루 두개였음 그때가4학년때인데 온동네 애들 다 나눠주고 던지면서 날리고 놀았는데 한며칠 밤낮으로 매미가 좀시끄럽게 울었음 매미는 벌레가 아니고 레어템곤충이었띠 1994년도ㅎㅎ

  • @SJ-xc4se
    @SJ-xc4se8 ай бұрын

    ㅋㅋ 정말 웃긴장면이네요

  • @youngm785
    @youngm7859 ай бұрын

    LED보다 옛날 가로등에 더 모인다고 들었습니다 LED로 교체가 시급합니다.

  • @Lu.Xiohei
    @Lu.Xiohei9 ай бұрын

    족대질의 신 곤충마저 ㄷㄷ😂😂

  • @kylu1314
    @kylu13149 ай бұрын

    장수풍뎅이 잡을때 앞뿔로 잡으면 몸에 데미지가 많이가지 않나요?

  • @user-dp2lr2tc3c

    @user-dp2lr2tc3c

    9 ай бұрын

    저도 잘모르지만 장수풍뎅이가 무언가 잡고 있을땐 머리가 잘릴수 있다고 본거 같은데 바닥같은데는 괜찮지 않을까요?

  • @tv.seangdo

    @tv.seangdo

    9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다만 그건 나무기둥이나 옷가지등 발톱이 붙들고 버티기 좋은곳에 있을경우 그렇게 잡으면 타격이 심한데 보도블럭처럼 매끈한곳에서는 큰 타격은 없습니다^^

  • @kylu1314

    @kylu1314

    9 ай бұрын

    항상 저는 핸들링할때 몸통뿔을 잡아서 말씀드려봤네요. 사람으로 따지면 목을잡고 움직이는거랑 마찬가지라서

  • @tv.seangdo

    @tv.seangdo

    9 ай бұрын

    @@kylu1314 네 말씀하신대로 흉각을 잡고 드는게 가장 좋습니다^^

  • @hiyokopyoko
    @hiyokopyoko9 ай бұрын

    하..제주도구나...

  • @user-to6wv7vr6q
    @user-to6wv7vr6q9 ай бұрын

    와 빨리 LED로 바꿔야 되겠네요😢

  • @user-Fishvillain
    @user-Fishvillain9 ай бұрын

    으아악...무지 따갑겠네요

  • @hyeryungkang4460
    @hyeryungkang44609 ай бұрын

    우리 엄마 도TV생물도감 봐 용❤❤❤🎉🎉🎉😊😊😊😊😊

  • @ENFP-T
    @ENFP-TАй бұрын

    까망이형 폼 미쳤다

  • @user-hy7bm4xz1p
    @user-hy7bm4xz1p9 ай бұрын

    인간의 탐욕이 만들어낸 참사네요...지금이라도 도로를 폐쇄하고 가로등을 없애서 자연 그 상태로 되돌려야...

  • @A_puppy_winking_is_cute.
    @A_puppy_winking_is_cute.9 ай бұрын

    시미켄 보자마자 바로 구독함

  • @user-go6mv1wn3d
    @user-go6mv1wn3d9 ай бұрын

    쇠똥구리 환경부에서 현상금 걸지 않았나요??? 제주고는 열외인가?

  • @dna4825
    @dna48259 ай бұрын

    와 갑충들이 이렇게 많은건 처음봅니다...

  • @URUS81
    @URUS819 ай бұрын

    어디든 나타나는 까망형이라니... 저형 내가 보는 채널에 거의 다나오네 ㅋㅋ

  • @sungminamohe
    @sungminamohe9 ай бұрын

    여기가 어디에요?

  • @Gol_A_pa_duck
    @Gol_A_pa_duck8 ай бұрын

    11:02 포켓몬고 헤라클로스만 잡은 까망형

  • @ganjangtwigym73
    @ganjangtwigym739 ай бұрын

    수은등 땜에 모이는건가여

  • @user-zx9of2ks6h
    @user-zx9of2ks6h9 ай бұрын

    서식지네..저정도면 뭐로막아놓거나.둘러놓고 보호구역같이해놓으면 안되는걸까

  • @user-gq3cc7mt1y
    @user-gq3cc7mt1y9 ай бұрын

    어우😅

  • @KimTaeYeong93
    @KimTaeYeong939 ай бұрын

  • @pqvlog6282
    @pqvlog62828 ай бұрын

    Ok

  • @risjjl3328
    @risjjl3328Ай бұрын

    생물도감님 새들에게 진자 위기에 처한 것은 장수풍뎅이가 아니라 꿀벌과 말벌이에요 벌매는 말벌집을 공격하고 다른 새들도 벌집을 공격해서 왠만하면 벌들이 다 죽어요

  • @user-rp3px3ne8k
    @user-rp3px3ne8k9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 @schnitzel6282
    @schnitzel628210 күн бұрын

    8:27 진짜 위험한 놈

  • @Standing_EGG
    @Standing_EGG9 ай бұрын

    10:50 영화 미이라에서 본 것 같은데

  • @user-kb9hy1yv3v
    @user-kb9hy1yv3v9 ай бұрын

    제주 어느도로 인가요?!장수풍뎅이 채집하러 다녀봐도 안보이던데 ㅠ 등화채집해도 안 모이고,,,;;;ㅠ

  • @TV-kim28
    @TV-kim289 ай бұрын

    근데 요즘은 두점박이사슴벌레를 키울수 있습니더

  • @Ho-qn3ex
    @Ho-qn3ex9 ай бұрын

    와.. 부럽네요 서울살아서 저런거 한마리도 안보이는

  • @user-pd8tg8bo1o
    @user-pd8tg8bo1o9 ай бұрын

    두점박이의 경우 아무래도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지정이 풀리면 분명 전국에서 저거 잡겠다고 우르르 몰려가서 그야말로 씨를 말려버리는 사태가 벌어질 가능성이 높기도 하고 또 충인들 중 일부 몰지각한 사람들은 분명 키우다 감당 안된다고 인근 숲에 버리고 갈거란 말이죠? 카더라이긴 한데 저게 톱사슴벌레와 교잡이 가능한 종이라는 이야기를 여러 곳에서 들어서 역시나 저걸 명종위기종을 풀아줄 가능성은 거의 없을거라고 봅니다. 저도 표본을 수집하는 입장에서 저 개체를 몇점이라도 표본해서 가지고 싶긴 하지만 합법적인 루트가 없는 한 손가락 빨며 구경하는 것으로 만족해야죠..

  • @user-mw2yj3nu8u
    @user-mw2yj3nu8u9 ай бұрын

    자바서 산체로 먹어 보자를 실천하는 ㅈㅅㅁㅂ님에겐 뷔페 겠군요 ㄷㄷ

  • @kggro
    @kggro9 ай бұрын

    🙀💯

  • @Melville24017
    @Melville240179 ай бұрын

    일주일전 제주 43공원에 야간 사진 촬영하다 다우리아사슴벌레 찾아서 상당히 기분 좋았었습니다.

  • @naro6835
    @naro68359 ай бұрын

    두점박이 사슴벌레는 산란목이 있어야 산란을 하나요?

  • @user-ep9vp4zg4v

    @user-ep9vp4zg4v

    9 ай бұрын

    암컷 못구함니다

  • @user-uy8ez3jl8i

    @user-uy8ez3jl8i

    9 ай бұрын

    톱밥 꽉꽉 눌러서 단단하게 만들어서 산란해도 되구요 산란목 엄청 불려서 부드럽게 만들어서 산란해도 됩니다. 가장 베스트는 맨 밑바닥 톱밥 딱딱하게 눌러두고 중간에 부드러운 산란목 두는 방법이요.

  • @user-uy8ez3jl8i

    @user-uy8ez3jl8i

    9 ай бұрын

    단 산란목은 심 없는걸로 해야 좋습니다.

  • @myeonseokLee
    @myeonseokLee9 ай бұрын

    오~~ 생물도감 1호 광대 까망흉아~~ㅋㅋ

  • @user-tm1mq1iv2x
    @user-tm1mq1iv2x9 ай бұрын

    노린재가 짝짓기할때 더듬이를 흔드는 이유가 있는지요?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 @user-it4ye5uj5w
    @user-it4ye5uj5w9 ай бұрын

    제주도인가요?

  • @user-yj7dj4bx8f
    @user-yj7dj4bx8f2 ай бұрын

    맛집이넼ㅋㅋㅋ

  • @user-nh3bs6op5j
    @user-nh3bs6op5j9 ай бұрын

    헐 풍뎅이들 로드킬 당하는거 너무 불쌍하네요

  • @user-gb6hh7lt8z
    @user-gb6hh7lt8z9 ай бұрын

    와 썸네일보고 소름돋음...ㄷㄷ

  • @user-xt9nq4pj5q
    @user-xt9nq4pj5q9 ай бұрын

    부산살면 이런거 보기 정말 힘든데 여기가 같은 대한민국이 맞나 싶어요 ㅋㅋㅋㅋ

  • @user-lg8cy4tr9r
    @user-lg8cy4tr9r8 ай бұрын

  • @fightonemoreroundagain
    @fightonemoreroundagain9 ай бұрын

    저런게 내 어릴때 있었다면 좋았을텐데

  • @user-misuboy
    @user-misuboyАй бұрын

    ㄷㄷㄷㄷ

  • @cross313
    @cross3139 ай бұрын

    천안엔 저런거 잡히는곳업나 조카들 잡아주고싶은데

  • @KkebiHi
    @KkebiHi29 күн бұрын

    새가 파먹은게 너무 슬픔.. ㅜㅜ

  • @user-gu1hh6nx2o
    @user-gu1hh6nx2o9 ай бұрын

    일찍 일어난 새가 장수풍댕이를 먹는딘더니 진짜네 ㅎ

  • @mammothw.4007
    @mammothw.4007Ай бұрын

    저기는 대체 어디길래 소똥구리같은 멸종 위기종도 보이는거지ㄷㄷ

  • @user-ts8fg9kf2m
    @user-ts8fg9kf2m9 ай бұрын

    근데 새한테 먹힌 장수풍뎅이 돼게 불쌍하네요. 새한테 먹히고 개미한테 먹혀도 신영이 살아있고 계속 아팠을텐데 말이죠. 레드기어로 보이던데 불쌍하다 멋진 친구인데..ㅠ

  • @hepariful
    @hepariful4 ай бұрын

    인디아나존스 찍고 계시네

  • @user-ep9vp4zg4v
    @user-ep9vp4zg4v9 ай бұрын

    어디인가요?

  • @lv99ant
    @lv99ant9 ай бұрын

    가로등 led로 교체하면 소모전력이 적어 전기도 절약하고 수명도 길어 관리도 쉽고 장기적으로 오히려 경제적이고 발열도 적고 곤충도 덜죽고.. 단점이 없는데 왜 안바꾸지?

  • @tv.seangdo

    @tv.seangdo

    9 ай бұрын

    아마도 저곳이 국도가 아닌 사유도로라서 그런듯 합니다 ㅠ

  • @user-th7qd2sq3n

    @user-th7qd2sq3n

    9 ай бұрын

    내륙 및 제주도 주요 도로는 대부분 led로 교체가 된 상태입니다.

  • @user-ir1op5gj3n
    @user-ir1op5gj3nАй бұрын

    와 저게 다 얼마야ㅋㅋㅋ

  • @dozo4746
    @dozo47469 ай бұрын

    우와. 제주도에서 넓적 사슴벌레 잡아서 뱅기타고 서울로 갖고올수 있나요?

  • @tv.seangdo

    @tv.seangdo

    9 ай бұрын

    네 캐리어에 잘 포장해서 넣어 오심 문제 없는듯 합니다

  • @user-uu4zj8gw4p
    @user-uu4zj8gw4pАй бұрын

    저거 잡아다 파는 사람도 있지 않을까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