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이런 모양의 기호가 됐을까? l 수포자도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이야기

Ойын-сауық

자주 쓰게 되는 물건부터 수학 공식까지,
매일 쓰면서도 왜 이런 '모양'인지 생각해 본 적 있나요?
덧셈 뺄셈은 왜 +, -으로 표기할까요?
전원 버튼, 블루투스 기호는 어떤 의미로 그려진 걸까요?
국제기구들의 복잡한 마크는 어쩌다 생긴 건지…
흔히 접하는 기호들의 역사를 알면
일상이 더욱 풍요로워진다!
이번 교양만두는 '기호'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지식이 고플 만두하지? B급 교양 채널 '교양만두’
이야기가 유익하셨다면, 좋아요와 구독하기 눌러주세요!
#모양 #기호 #공식 #산수 #역사 #지식 #정보 #교양만두
일러스트│박도경
* 참고문헌
『알아두면 쓸모 있는 모양 잡학사전』 지적생활추적광, 유엑스리뷰
『세계의 기호와 상징 사전』 D.R. 매켈로이, 한스미디어

Пікірлер: 276

  • @smartmandoo
    @smartmandoo Жыл бұрын

    영상 속 오류에 대해 구독자 여러분께 사과 말씀드립니다. 3:04에 게재된 이미지는 요하네스 비트만이 아닌 르네 데카르트입니다. 구독자 여러분께 혼동을 드려 죄송합니다. 영상을 더 꼼꼼히 확인해 정확한 정보를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Jang9pe

    @Jang9pe

    Жыл бұрын

    타짜는요?

  • @lmNOOB-ph5pk

    @lmNOOB-ph5pk

    Жыл бұрын

    @@Jang9pe 모르죠

  • @xgate32

    @xgate32

    Жыл бұрын

    오류 말할려고 했더니 이미 적어놓으셨네요.

  • @notte2552

    @notte2552

    Жыл бұрын

    의술의 신의 이름도 아스클레피오스 입니다

  • @JY-pl2nc

    @JY-pl2nc

    Жыл бұрын

    어째 얼굴이 낮익어서 댓글로 쓰려고 했는데...

  • @jonin_cunren
    @jonin_cunren Жыл бұрын

    한지문화권에서는 별을 동그라미로 표현했습니다. 실제로 서기 700년경 중국 당나라 때 측천무후가 제정한 별 성(星)의 이체자인 '〇'가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습니다.

  • @T1_pengu

    @T1_pengu

    Жыл бұрын

    이건 동양이 맞았네

  • @well-fed-sophist

    @well-fed-sophist

    Жыл бұрын

    무측천때 사용되고 사장된 이체자더라구요. 궁금해서 찾아보니 대만 이체자자전에는 없네요.

  • @Hijackin_

    @Hijackin_

    Жыл бұрын

    그거 지금은 零 대체용으로 밖에 안 씁니다.

  • @user-rp5ms6pb1d

    @user-rp5ms6pb1d

    Жыл бұрын

    Dirty china Corona china 18 china

  • @sk.p4885

    @sk.p4885

    Жыл бұрын

    하늘은 둥글고 그래서○이고 땅은 네모라서 □이죠

  • @Ice_8570
    @Ice_8570 Жыл бұрын

    근데 기호 만든 사람들도 대단한 게, 최대한 심플하고 그리기도 쉬운 모양을 개발하는 거니까 창의력 고수인 듯

  • @user-kp4sr2sg6s

    @user-kp4sr2sg6s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미/적분에서 일반적으로는 라이프니찌의 기호가 쓰이지만 천문학자들은 뉴튼의 기호를 쓰고 있습니다. 라이프니찌의 기호보다 짧다고......(워낙 다루는 숫자의 크기가 크다 보니 말이죠)

  • @2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Жыл бұрын

    와!

  • @user-mg7gj5uu8y
    @user-mg7gj5uu8y Жыл бұрын

    Tmi: 전원버튼에 작대기가 원 밖으로 나와있는 모양은 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도 전력이 소모된다는 의미이며, 작대기가 원 안에 갇혀있는 모양은 사용하지 않을때는 전력이 소모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 @elvenisar

    @elvenisar

    Жыл бұрын

    진짜 tmi : 원과 작대기가 아니라 이진수 0과 1입니다. 0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상태, 1은 전기가 통하는 상태죠.

  • @elvenisar

    @elvenisar

    Жыл бұрын

    영상에 나오네....

  • @Ycmjg37143

    @Ycmjg37143

    10 ай бұрын

    근데 사실 windows가 가장 많이 하고 있는게 2진법으로 계산한 뒤 그걸 10진법으로 환산해서 쓴걸 십진법단위로 쓰고 있어서 벌어지는 문제가 많다고 합니다. 그래서 윈도우 컴퓨터화면에서 용량나올 때 바이트, 기가바이트, 메가바이트라고 표시된 건 전부 잘못된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일본은 현재까지도 플로피디스크를 쓰고 있다고 해요. 올해 일본정부가 공공기관에서 플로피디스크 사용을 의무화해놓았던 법안을 삭제했다고 해요.

  • @user-xd6ed9th7h
    @user-xd6ed9th7h Жыл бұрын

    교양만두님 언제나 건강하세욧

  • @PiVillain

    @PiVillain

    Жыл бұрын

  • @lemontree11
    @lemontree11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었어요! 영상도 자주 올라오니 좋네요!!

  • @Dawn._
    @Dawn._ Жыл бұрын

    교양만두에서는 영상에서 배울 수 있는 교양도 당연히 좋지만 댓글에서 지식인분들이 덤으로 알려주시는 여러 사실들도 흥미롭고 너무 좋아...

  • @user-mz6ho3yf4x
    @user-mz6ho3yf4x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만두처럼 내용이 꽉찼네요🙂 잘 보고 갑니다~~

  • @JaeTarot_TV
    @JaeTarot_TV Жыл бұрын

    05:44 05:44 05:44 05:44 정확히 말하면 대기전원 마큽니다. 저 마크가 있으면 대기전력이 쓰여지고 있다는 뜻 입니다. 대기전원이 쓰여지고 않는 장비는 o과 l라고 나누어 표시 돼있어요.

  • @user-cx1fl8fw1f

    @user-cx1fl8fw1f

    Жыл бұрын

    0안에 1이 있는 모양으로 0이 닫혀있으면 완전 단전, 0이 1로 막혀있으면 대기전력 있음

  • @aguccimm
    @aguccimm Жыл бұрын

    평소에 당연한 듯이 썼던 기호에 이런 스토리가 있는지 몰랐네요. 재밌어요!

  • @user-xk8cg7nn5e
    @user-xk8cg7nn5e Жыл бұрын

    교양만두 너무 좋아요 ❤ 재밌는 영상으로 교양을 전달하는게 넘 재밌고 중독성 있는 것 가타요 .ᐟ 항상 목요일만 기다리는 중

  • @user-gj6eq9tn9k
    @user-gj6eq9tn9k Жыл бұрын

    3:10 독일의 비드만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프랑스의 데카르트 같은

  • @user-ex1ks8np3f
    @user-ex1ks8np3f Жыл бұрын

    역시교양만두에여! 이런 영상도 정말 재밌게 하셔서 너무 재밌게 봤어요!

  • @user-pq3pn3bi5s
    @user-pq3pn3bi5s Жыл бұрын

    오를은 목요일 교양만두~ 기호에 대한 이야기 잘보고갈게요~ 영상 고생들하셨어요(특히 노예1호 만두님) ^^

  • @lalakim9258
    @lalakim9258 Жыл бұрын

    요즘 교양만두팀 너무 열일하시는데 이러시면 제가 너무 좋습니다

  • @user-hp3yd1ov3o
    @user-hp3yd1ov3o Жыл бұрын

    요즘 욕 안 나오고 클린해서 너무 좋아요 ㅠㅠ 비속어 없이도 재밌고,, 너무 유익한 교양만드 최고,,

  • @teusme
    @teusme Жыл бұрын

    A4/B5 등의 크기는 황금비 아니에요. 그냥 1/√2 예요... 그래야 반으로 잘라도 비율이 유지되니까 그렇게 만든 겁니다...

  • @user-ft4pp5re2x

    @user-ft4pp5re2x

    Жыл бұрын

    1:20 맞음 황금비는 1:1.168 정돈데.....

  • @user-zy1px7ce8g

    @user-zy1px7ce8g

    Жыл бұрын

    루트2는 1.168로도 해석 할 수 있지 않나

  • @user-ft4pp5re2x

    @user-ft4pp5re2x

    Жыл бұрын

    @@user-zy1px7ce8g 루트2는 1.414 정돈데 이걸 해석할 수 있다고?

  • @teusme

    @teusme

    Жыл бұрын

    @@user-zy1px7ce8g 그게 해석할 내용인가

  • @JOJINGU

    @JOJINGU

    Жыл бұрын

    싸우지들 마세요. 어차피 황금비라는게 일종의 미신 비슷한거니까. 정확하게 황금비를 지키는 상품이나 유물은 없어요.

  • @B__5_0627
    @B__5_0627 Жыл бұрын

    평상시에 그냥 쓰던 기호에도 이야기가 있다니 신기해요!!

  • @user-xk9go8ok5h
    @user-xk9go8ok5h Жыл бұрын

    1:11 황금비가 적용됐다고 나오는 예시들 모두 거짓이라고 판명났습니다… 조금만 찾아봐도 알 수 있는 사실이에요. 더 교양있고 질좋은 영상 만들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starrynight1520

    @starrynight1520

    Жыл бұрын

    여기에 더해서 황금비는 수학적으로만 의미가 있을 뿐, 미적인 의미는 와전된 것이라고 합니다.

  • @user-of6jt9db5l
    @user-of6jt9db5l Жыл бұрын

    03:07 데카르트인줄ㅋㅋㅋㅋ 아니 데카르트 맞네요?? 참고로 데카르트는 아파서 누워있다가 천장에 붙은 파리를 보고 좌표평면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 @user-lIlIlllllIIll

    @user-lIlIlllllIIll

    Жыл бұрын

    데카르트 아님?

  • @user-xn4mj1wl5r

    @user-xn4mj1wl5r

    Жыл бұрын

    데카르트 맞음.

  • @greatescape786
    @greatescape786 Жыл бұрын

    불타는 목요일은 교양만두💜

  • @user-ss5xs4fs8m
    @user-ss5xs4fs8m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christinakim2154
    @christinakim2154 Жыл бұрын

    흥미롭네요 감사합니다

  • @jhshin9413
    @jhshin9413 Жыл бұрын

    이발소의 나선모양의 회전간판. 의학적인 의미가 있음. 하얀색은 붕대.파란색은 정맥 빨간색은 동맥.

  • @user-rb6tg9fo2h

    @user-rb6tg9fo2h

    Жыл бұрын

    원래 이발소는 의사들을 따로 고용해 성형수술도 같이 했었지요 당시에는 경각심이 없는 분위기 였었죠 나선 모양 회전간판도 성형수술 후 피를 닦아 내던걸 깃대에 둘둘 말아서 걸어놓은 것이 시초 였어요

  • @user-oq1th7ks8k

    @user-oq1th7ks8k

    Жыл бұрын

    오..흥미롭네요

  • @usbin_nibsu
    @usbin_nibsu Жыл бұрын

    팀장님 목소리 잘생겼다!! 오늘도 1일1만두 하고갑니당

  • @user-no7nz4op3b
    @user-no7nz4op3b Жыл бұрын

    너무 흥미로운 주제네요! 별의 기호를 만든 사람이 피타고라스 였다니! 넘 재미있어요 ㅎㅎㅎ

  • @belle-vv2bj
    @belle-vv2bj Жыл бұрын

    고마워여 항상 학원 끝나구 보는데 완전 재밌어요

  • @richdonna05
    @richdonna05 Жыл бұрын

    무심히 사용하던 블루투스 와 전원버튼 유래 유익했습니다.~~~

  • @liillllilliiliiililliil1477
    @liillllilliiliiililliil1477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봤습니다.

  • @user-uk2un3zl3x
    @user-uk2un3zl3x Жыл бұрын

    잘봅니다 수고하십니다

  • @bookchoicer
    @bookchoicer Жыл бұрын

    재미있는 이야기네요^^

  • @hackbumlee725
    @hackbumlee725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보고 갑니다

  • @user-ue8zh6cy4j
    @user-ue8zh6cy4j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

  • @kanghyunyoo6690
    @kanghyunyoo6690 Жыл бұрын

    주제가 좋습니다.

  • @hamsimyeeeee
    @hamsimyeeeee Жыл бұрын

    저 5만때 부터 봤는데 하루하루 볼때마다 구독자가 많이 늘어났었는데 벌써 이렇게 성장하다니 기쁘네요

  • @user-nq7gb4fp8h
    @user-nq7gb4fp8h Жыл бұрын

    유익하네요 머리에 쾅 박히는 느낌

  • @jun8390
    @jun8390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정보였고 기호의 탄생 역사에 대해 모르던 사실 잘 알고 갑니다~! 수고 하셨어요...^^

  • @user-nq7gb4fp8h
    @user-nq7gb4fp8h Жыл бұрын

    와ㄷ 잘 보고 갑니다

  • @user-gh2zh5xs8m
    @user-gh2zh5xs8m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근데 3:05 르네 데카르트 아닌가요???

  • @Kevin-ps9yf
    @Kevin-ps9yf Жыл бұрын

    1:40 어쩐지 가면라이더 렌겔의 무기가 철퇴 같이 때리는 형태인 이유가 있었네

  • @very_thanks
    @very_thanks Жыл бұрын

    2:53 아무도 모르는거같은 디지몬 테이머즈 패러디

  • @user-nb6tp8sr3g
    @user-nb6tp8sr3g Жыл бұрын

    와 맨날 들으면서 느끼는 거지만 진짜 여러모로 소름 돋는다 뭔가 큰 그림이 있었다는 게 ㄷㄷ

  • @notasuperiordrag
    @notasuperiordrag Жыл бұрын

    1:19에 오류가 있습니다. A4용지의 가로와 세로 비율은 1:1.618이 아닌 1:1.414 입니다. 2등분해도 자르기 전과 닮은꼴이 나오게 하기 위해서죠.

  • @user-vo3zz2gy4l
    @user-vo3zz2gy4l Жыл бұрын

    잘보고 갑니다

  • @user-nq7gb4fp8h
    @user-nq7gb4fp8h Жыл бұрын

    고향만두 먹고싶네요 굿굿

  • @user-rf4js4sr9w
    @user-rf4js4sr9w Жыл бұрын

    평소에 관심도 없었는데 영상보니까 궁금해짐

  • @ma_deng
    @ma_deng Жыл бұрын

    유튜브의 역사 소개도 좋을것같네요. 영상 재미있었습니다

  • @user-vv9tf6bj5m
    @user-vv9tf6bj5m Жыл бұрын

    와! 나 진짜 카드 좋아하는데 역시 교양만두야 최고!♡

  • @user-nk9sf3mr1q
    @user-nk9sf3mr1q Жыл бұрын

    기호의 기원에 대해서도 알아보니, 우리가 일상 속에서 볼 수있는 간단한 기호들이 여러사람들의 기발하고, 또 슬프고, 노력이깃든 것이라 생각을하니 우리가 지금편하게 쓸수있는 것들, 당연하게 쓰는 것들, 또한 우리 주변에 보이는 모든 것들이 조상의 지혜와, 스토리, 다양한 사건을통해 만들어졌다 생각하니, 다른 물건들의 기원에도 관심이 생겼습니다 이로 인해서 삶의 재미가 무엇인지, 재미의 요소에는 무엇이있는지 생각해보면서 하루를 지내면 하루하루가 의미있는 하루가 되었다 생각되네요.

  • @user-ki4ru3ui6k
    @user-ki4ru3ui6k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쓰는&이 기호도 플러스와 뿌리가 같다고 하더라고요

  • @JWoo-hk3wo
    @JWoo-hk3wo Жыл бұрын

    디스켓 모양을 설명해 주어야 하는 시대가 왔구나 세상에

  • @rachelkim7771
    @rachelkim7771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만두가 요요 팀장님 미남으로 만들려고 열일하넹

  • @user-nx8nl2rw6m
    @user-nx8nl2rw6m Жыл бұрын

    넘 유익한 영상 감사해요!🥰 요요님 넘 잘생김❤!ㅋㅋ

  • @user-gs7lm5cb4r
    @user-gs7lm5cb4r Жыл бұрын

    5:26 뭐야 이 곰인형 ㅋㅋㅋㅋㅋ 썸뜩

  • @user-ft4pp5re2x
    @user-ft4pp5re2x Жыл бұрын

    3:09 이젠 하다하다 비트만이랑 데카르트를 헷갈리네;;;;;;; 자료조사 이거 맞나...

  • @user-vk2nl9rz7f
    @user-vk2nl9rz7f Жыл бұрын

    3:05 사진이 잘못됐어요 영상에 나오는 사진은 데카르트인데..

  • @user-hu8gl4gr2u
    @user-hu8gl4gr2u Жыл бұрын

    4:04 현제 우즈베키스탄 에서도 곱셈을 그렇게쓰고있어요

  • @user-uf5kx2ot5n
    @user-uf5kx2ot5n Жыл бұрын

    3:04 이 그림은 르네 데카르트인데요;;

  • @user-jd3us8ny9h
    @user-jd3us8ny9h Жыл бұрын

    목요일에 국룰하나만말해줄게요 바로!!! 교양만두보고좋아요누르는날

  • @user-lb5ho5gw7l
    @user-lb5ho5gw7l Жыл бұрын

    교양만두 ❤ 🤍

  • @shawnpark18
    @shawnpark18 Жыл бұрын

    3:05 사진 르네 데카르트 아닌가?

  • @HIRIT08
    @HIRIT08 Жыл бұрын

    03:06 요하네스 비드만 초상화 르네 데카르트 아닌가요?

  • @user-ey5tp2xt3g
    @user-ey5tp2xt3g Жыл бұрын

    팀장님 세계 여러나라들의 전통주에 대해 알려주세요

  • @joonjoonie
    @joonjoonie Жыл бұрын

    0:54 2등분이라면 같은 길이가 되도록 나눈 것 아닌가요? "똑같은 비율로 나눈 선들"이라는 표현이 더 정확할 것 같습니다

  • @user-no4rk3lw1z
    @user-no4rk3lw1z Жыл бұрын

    교양만두 너무 재미있어요 엄마가 구독 하지 말라고 해서 못하지만 다 챙겨봤습니다

  • @user-uw8rw2sd3w
    @user-uw8rw2sd3w Жыл бұрын

    그리스의 의술의 신 이름은 '아스클레피오스'입니다. 영상에서 자막이랑 나레이션 둘 다 '아클레피오스'라고 나오네요.

  • @Internet_shade

    @Internet_shade

    Жыл бұрын

    아폴론 도 의술의 신 아님? 다방면으로 하는걸로 아는데.

  • @wjw.

    @wjw.

    Жыл бұрын

    @@hsm8612 혹시 그거 아닌가요? 죽은 사람까지 살려내는 의술을 펼치다가 제우스의 벼락 맞고 죽었다던 그 인물?

  • @phj89327

    @phj89327

    Жыл бұрын

    @@wjw. 맞음. 죽을 사람이 자꾸 살아나니 하데스가 제우스에게 부탁해 제우스가 번개 내리친거. 그리고 아폴론은 지 아들 죽였다고 차마 제우스에게 항의는 못하고 제우스의 번개를 만든 키클롭스들에게 꼬장을 부렸다고 하죠.

  • @Soit.
    @Soit. Жыл бұрын

    와!! 알림떴다.

  • @iunbrick3354
    @iunbrick3354 Жыл бұрын

    아이와 함께 늘 챙겨보는 교양만두 항상 재미있고 유익하게 보고있습니다. 궁금한게 있어서 그런데요 . 요하네스 비트만 얼굴이랑 데카르트 얼굴이랑 매우 비슷? 한거 같은데 여기저기 뒤져보니 비트만은 얼굴이미지가 거의 없고 데카르트는 이미지가 엄청 많은데 비트만 스러운게 많더라구요. 요하네스 비트만의 이미지는 어느책에 있는지 알려주세요.

  • @user-lf2qw2oj6f
    @user-lf2qw2oj6f Жыл бұрын

    1:20 A4용지는 1:1.41비율 입니다!

  • @LeeHyun2Rang
    @LeeHyun2Rang Жыл бұрын

    루트가 나오던 중학교 때 수학을 포기했지만 잘 살고 있습니다. 모든 수포자 여러분 힘내십시오!!

  • @pcnix3461
    @pcnix3461 Жыл бұрын

    전원 버튼 기호에서 동그라미가 열려 있으면 전원이 완전히 차단되지 않고 기기를 꺼도 항시 대기전원이 소모되고 있다는 것이고 동그라미가 닫혀 있으면 기기를 끄면 전원이 완전히 차단 된다는 의미 이기도 합니다. 근데 요즘 나오는 전자제품들은 거의 대부분 대기전원을 소모하는 형태라 잘 보기 힘들고 - O 이렇게 되어있는 전기제품들이 있는데 이건 대기전원이 완전히 차단 된다는 뜻 입니다.

  • @user-oz3jw1qb1x
    @user-oz3jw1qb1x Жыл бұрын

    3:08 데카르트 아니에요????

  • @utoggia0817
    @utoggia0817 Жыл бұрын

    의식주 - 일어나서 옷 입을때도. 맛나게 밥 먹을때도. 누워서 뒹굴 거릴때도 알고리즘에 이끌려 보게되는 교양만두

  • @user-fj9wh7gt4v
    @user-fj9wh7gt4v Жыл бұрын

    교양만두에게도 하트 격하게 보냅니다ㅋㅋㅋ❤️❤️❤️❤️❤️❤️💕❤🧡💛💚💙💜🤎🖤🤍💗💓❣️💟❤️‍🔥💞💘💝💖

  • @user-er4tt2po7z
    @user-er4tt2po7z Жыл бұрын

    3:03 에 요하네스 비트만... 왜이렇게 철학자 데카르트랑 비슷하게 생겼을까요...?

  • @young-hacho1727
    @young-hacho1727 Жыл бұрын

    A4용지는 황금비가 아니고 반으로 잘랐을때 닮은꼴이 되는 비율이에요 1:1.414(루트2)

  • @user-pb5rn6xt6q
    @user-pb5rn6xt6q Жыл бұрын

    3:03쯤 나오는 사람, 데카르트 아닌가요?..

  • @user-pi3nj7do7y
    @user-pi3nj7do7y Жыл бұрын

    저도 사랑합니다. 모두 무병장수 하셔서 좋은 영상 오랫동안 올려주세요.

  • @zombiewing860
    @zombiewing860 Жыл бұрын

    전원버튼도 동그라미 안에 1이 들어가 있는건 대기전력이 없는거고 나와있는건 대기전원이 있는거라 합니다

  • @user-ml5uj4se4n
    @user-ml5uj4se4nАй бұрын

    저도 하트 드립니다❤❤❤ 앞으로도 재미있는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 @wincup
    @wincup Жыл бұрын

    0:12 요즘사람들 저 별인간이 뭘 가져다 쓴건지 아는 사람 있을까...웹툰의 원조였던 [마린블루스]의 인기조연 불가사리군.

  • @koreanwhistleplayeryiwonja329
    @koreanwhistleplayeryiwonja329 Жыл бұрын

    만두님 @는 어떤 유래인가요? 평소 궁금하던데

  • @user-xn4mj1wl5r
    @user-xn4mj1wl5r Жыл бұрын

    03:05 요하네스 비드만 설명할 때 왜 르네 데카르트 이미지가 나오는 거죠?

  • @user-kx6yf1nm9s
    @user-kx6yf1nm9s Жыл бұрын

    재밌다

  • @user-tw2tm4xo6l
    @user-tw2tm4xo6l Жыл бұрын

    3:09에 초상화 데카르트 초상화 같습니다.

  • @hagosari
    @hagosari Жыл бұрын

    3:07 이 사람은 데카르트 아닌가용?

  • @BoiIgotaBadNews
    @BoiIgotaBadNews Жыл бұрын

    트럼프 카드 문양에서 정정할 것은, 먼저 스페이드는 검이 아니라 창을 형상화한 것에 가깝고, 하트는 직접적으로 성직자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 때 쓰던 술잔을 형상화한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클로버도 주로 집안일을 할 때 쓰던 나무방망이에 붙은 잎사귀이고, 다이아몬드도 돈과 보석을 뜻하여 상인이 된 겁니다. 코트 카드에서는 클로버 킹이 구약 성서의 다윗, 다이아몬드 퀸이 구약 성서의 라헬을 뜻한다고 하네요.

  • @yeonkyungkim4693
    @yeonkyungkim4693 Жыл бұрын

    전원표시 대기전원이 있고 없고도 언급하면 좋을거 같아요

  • @heavenstar0707
    @heavenstar0707 Жыл бұрын

    비드만이라고 나오는 초상화는 데카르트 초상화 같은데 아닌가요?

  • @littlelotus_yeon
    @littlelotus_yeon Жыл бұрын

    이런 거 보면 진짜 사람들이 존재하지 않는 걸 존재한다고 믿고 있다는 주장이 왜 생겼는지 알 것만 같아요. 사실 영상에 나온 여러 상징들은 진짜로 실제적인 의미를 지니거나 실체 자체는 없단 걸 생각해보면... 저도 제가 뭐라는지 모르겠어서 킹받네요 ㅈㅅ;

  • @user-tb8li5dy2s

    @user-tb8li5dy2s

    Жыл бұрын

    예리하시네요

  • @aaronamen8294
    @aaronamen8294 Жыл бұрын

    0:07 지금이 잘 생긴거면 본래는...

  • @user-br6ft5gu6z
    @user-br6ft5gu6z Жыл бұрын

    03:06 데카르트가 여기서 왜 나와...?

  • @slzhf4848
    @slzhf4848 Жыл бұрын

    만든~ 만두~만두 만두

  • @mhkim8698
    @mhkim8698 Жыл бұрын

    이제는 연로하시어 만두를 빗는것도 힘들어하시지만 엄마가 빚어주신 김치만두를 먹고싶습니다 ㅠㅠ

  • @user-qo4pi4qu9m
    @user-qo4pi4qu9m Жыл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 @O_DongDong0808
    @O_DongDong0808 Жыл бұрын

    진짜 간단해보이지만 저런 기호들은 천재들이 만드는 거…

  • @user-md5ii1gk6r
    @user-md5ii1gk6r5 ай бұрын

    6:18 모바일 게임 에 나오는 백출의 목을 감고 있는 하얀 뱀 "장생"이 떠오르네요.

  • @user-rb6tg9fo2h
    @user-rb6tg9fo2h Жыл бұрын

    옛날에는 도형 미술과 철학 그리고 수학 이 세가지가 하나의 종목이었어요(고대 그리스 시대) 그래서 수학에 간혹 도형 그림이 미술을 넘어 예술작품으로 나온것이 이때부터 였어요 참고로 서양 문화에 그리스 로마 신화나 중동권의 영향이 의외로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 @9944Kal
    @9944Kal Жыл бұрын

    플로피디스크 아직 쓸 수는 있습니다 ㅋㅋㅋㅋ 일본에선 아직 꽤 쓰인다는 ㅋㅋㅋ 그래서 아직 많은 파워 제조사들이 플로피디스크 전용 파워 단자를 넣고 있습니다 빼는 경우에는 별도의 커넥터로 제공하고요. 일본처럼 아직 쓰는 국가들이 있어서요 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미친게 아닌가 싶지만 ㅋㅋㅋㅋ 심지어 아직 국내에서 fdd 기기 팔고도 있습니다 뭐... 3종뿐이고 그나마도 가장 최근게 2014년도인가 만들어진 것이지만 아직 어찌저찌 쓰이고 있는 증조 할배... 급식때 저기에 한글 파일 과제한거 한개 두개 담아서 제출하고 그랬는데 ㅋㅋㅋ

  • @phj89327

    @phj89327

    Жыл бұрын

    포켓몬 넣어가지고 다니는게 국룰 아니었나요.파란 디스크에 블루버전 넣고 그랬는데.

  • @voICE_ICE
    @voICE_ICE Жыл бұрын

    5:26 밤에 몰폰하다 걸릴 만한 비쥬얼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