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민족의 또 다른 활, 쇠뇌 / YTN 사이언스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활을 잘 쏘았던 우리 민족의 또 다른 활, 쇠뇌?
그러나 우리 조상들이 사용한 활에는 각궁뿐만 아니라 쇠뇌도 있었다!
우리 조상들의 우수한 과학기술이 담겨 있는 쇠뇌!
신라시대 기술자 구진천은 뛰어난 쇠뇌 제작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당에 불려가기도 했을 정도였는데, 각궁에 비해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소중한 우리 역사의 한 부분인 쇠뇌에 대해 알아보자!
사람이 들고 쏘는 쇠뇌, 연발로 쏠 수 있는 쇠뇌, 사람이 직접 쏠 수 없어 기계 장치의 힘을 빌려야 하는 쇠뇌까지 다양한 쇠뇌의 발사 장면과 특징, 쇠뇌를 설치할 수 있는 노대를 중요시했던 정조의 수원화성.
그리고 쇠뇌의 기록이 담긴 노해와 훈국신조기계도설, 그리고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등 우리 역사 문헌에 계속해서 등장하는 쇠뇌의 역사적 사실을 되짚어가면서 쇠뇌가 군사적으로 그리고 역사적으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쇠뇌의 흥망성쇠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과학 좋아하는 사람 여기여기 붙어라~!
YTN사이언스의 다양한 채널을 만나보세용! :)
홈페이지 ▶ science.ytn.co.kr/
페이스북 ▶ / ytnscience
네이버밴드 ▶ band.us/band/68281794
네이버포스트 ▶ post.naver.com/my.nhn?memberN...

Пікірлер: 465

  • @HistoricalWeapons
    @HistoricalWeapons Жыл бұрын

    Awesome crossbows to make

  • @user-yy5cy7vs7f
    @user-yy5cy7vs7f8 жыл бұрын

    유럽중세시대서나보던석궁이울나라에도잇엇다니...

  • @lch8313
    @lch83134 жыл бұрын

    영조 정조 시기때면.. 쇠뇌보다 조총이 훨씬 많이 쓰일 시기인데..

  • @user-wv2sf9rk1l
    @user-wv2sf9rk1l6 жыл бұрын

    24:09 한마디로 칼

  • @oicha
    @oicha4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석궁이 원래 허가가 필요 없었습니다. 그런데 어떤 교수가 판사 배때기에 석궁을 쏴버린 사건으로 석궁도 허가제로 바뀌었죠. 그 당시 사건 영화로도 나왔죠(안성기 주연)

  • @Estate300

    @Estate300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ㅁㅊ놈이네 왜쏨?

  • @oicha

    @oicha

    3 жыл бұрын

    @@Estate300 그 판사가 판결을 매우 뭣같이 내려서 교수가 매우 빡침. 그 판사 뱃대기 지방을 못뚫어서 사람들이 얼마나 부패한 판사면 뱃대기에 지방이 저리 두꺼워서 석궁으로도 못뚫냐고 이야기가 많았음.

  • @Estate300

    @Estate300

    3 жыл бұрын

    @@oicha ㅋㅋㅋㅋㅋ ㅈㄴ 웃기노

  • @user-st7mn8yf7e

    @user-st7mn8yf7e

    2 жыл бұрын

    원래 안쐈는데 미디어에서 주작치고 실형받은 부러진 화살이라는 영화도 나왔음

  • @TeiTo216
    @TeiTo2167 жыл бұрын

    아 그 석궁말인데 석궁은진짜 따로 돌을 쏘는 활이였습니다 근데 어느샌가 쇠뇌의 뜻으로 바뀜

  • @user-xn2zc9tm4m

    @user-xn2zc9tm4m

    5 жыл бұрын

    아... 그래서 발리스타가 화살이아닌 돌을 날렸던거구나... 아 ㅋㅋㅋ 그래서 석궁이구나 ㅋㅋㅋ

  • @user-yk5fv6cb6s

    @user-yk5fv6cb6s

    4 жыл бұрын

    처음알았다

  • @user-ef2zp1cb2c

    @user-ef2zp1cb2c

    3 жыл бұрын

    건 투석기 아닌가요

  • @TeiTo216

    @TeiTo216

    3 жыл бұрын

    @@user-ef2zp1cb2c 투석기는 트레뷰셋이랑 같은친구입니다 석궁은 활처럼 생겻는데 화살이아니라 돌맹이를 던져여 엄청큰 슬링샷 같은거라구 보시면 됩니다

  • @user-er2lk2hi1i

    @user-er2lk2hi1i

    2 жыл бұрын

    ㅅㄱ

  • @shinsamdoo
    @shinsamdoo8 жыл бұрын

    걍 성능 어느정도인지나 말해주고 쏘는 부분좀 많이 보여주지....

  • @toydokill4633
    @toydokill46332 жыл бұрын

    신라시대때부터 이런무기가 우리나라에 있었구나.... 난 중세시대 서양에서 계발된 무기인줄...

  • @muchsoso8468

    @muchsoso8468

    Жыл бұрын

    석궁이요? 한국에선 청동기시대부터 썼어요

  • @guilhaha

    @guilhaha

    Жыл бұрын

    ​@@muchsoso8468 환빠나 할 소리 같지만 이게 진짜란 것에서 한 번 놀라고 이 정도로 활에 환장했다는 것에서 두 번 놀랍니다

  • @aruiarth
    @aruiarth8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학자들이 얼마나 연구를 게을리하면 이지경일까. 연구가 미약하니 드라마나 영화에도 전혀 고증을 안해서 국민들이 이렇게 생소해한다. 진 전쟁과 연구안되고 고증안된 허술한 모습만 보고 떠올리며 역사적 열등감에만 빠져있지. 누더기옷 삼지창 ..

  • @hh9514

    @hh9514

    5 жыл бұрын

    아니요. 애초에 방송 관계자가 고증을 잘 안합니다. 고증을 지켜낼 사람은 충분히 있는데, 비용, 번거로움, 그리고 고증을 지킬때 줄어드는 몰입감 등을 이유로 안지켜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 @haraoratsho

    @haraoratsho

    3 жыл бұрын

    삼지창은 당파라는 물건인데 특수병기 여서 지금으로 치면 특수부대원들 무기를 쫄병한테 준거임 ㅋㅋ

  • @user-oj6hr9ey6c
    @user-oj6hr9ey6c4 жыл бұрын

    수박이랑 사이다캔이 뭐야 새총쏘는것도 아니고 황당하네요

  • @prom2311

    @prom2311

    3 жыл бұрын

    관통 되는 영상을 보면 ~ 급소 맞으면 사망입니다..

  • @user-lu7fm3df1n
    @user-lu7fm3df1n7 жыл бұрын

    이영상 진주성에있는 박물관에서 진주대첩이라는 주재로 상영중인 영상인가?

  • @bruce722
    @bruce7225 жыл бұрын

    방어무기 자체가 오는 적들 공격하는 건데 방어용이니 공격용이니 나눠서 하는 거 자체가 식민사관입니다 칼이나 창, 활은 방어용인가요? 공격용인가요? 반월형 석검이 농사용이라는 것도 그렇고요 전세계 몽골리안들 대부분이 고기를 썰거나 가죽을 벗길때 반월형 석검과 같은 것을 사용하고 현재까지도 쇠로 만든 같은 모양을 쓰고 있습니다(농사해본 사람들은 알죠 차라리 손으로 뽑고 말지...)

  • @user-gb5ej2mn8l
    @user-gb5ej2mn8l5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댓글 특) 아무도 서양에서 먼저 쇠뇌 썼다고 말 안하는데 동양이 원조니까 입다물고있으라고 쉐도우복싱함 ㅋㅋㅋ

  • @user-uu6pm8fq1j
    @user-uu6pm8fq1j4 жыл бұрын

    10:01 신라가 '삼국을 통일했다' 가아니라 '신라가 당나라의 힘을 빌려서 삼국을 통일했다'가 맞는듯한...

  • @driverpaul4073

    @driverpaul4073

    4 жыл бұрын

    연남생이 망친 고구려를 당에주고 나머지를 신라가 먹었다.

  • @user-xy9cx1uk2m
    @user-xy9cx1uk2m6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쇠뇌기술자 잡아가서기술 뽑았는데 이백보이상물건은 않가르쳐줬다는 야기있잖아요..

  • @Lotus0927

    @Lotus0927

    3 жыл бұрын

    뭔 헛소리??

  • @user-ok1bh9dz5j
    @user-ok1bh9dz5j5 жыл бұрын

    활은 아무리 힘이세도 전투한번에 쏠수있는 횟수가 제한적임 석궁은 그것을 해결하는방법으로 개발되었다고도 얘기할수있음 그리고 훈련도가 활 보다 적어 애용되었음 그렇기에 활을쓰는 문화권에는 거의 다 있다고 보면 됨

  •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5 жыл бұрын

    근데 제작이 어려워서 보급이...

  • @taeyoenh2911

    @taeyoenh2911

    4 жыл бұрын

    각궁등의 제작이 비교적 어려운 편이구요 석궁의 경우는 규격화가 되는 부분이 많아서 한꺼번에 많이 생산이 가능해요 다만 제작단가가....대량생산이다 보니...

  • @idrtdfftf54

    @idrtdfftf54

    5 ай бұрын

    신기전이 짱임. 세계최초 다연발 로켓포임.

  • @user-xp2gh4ew1w

    @user-xp2gh4ew1w

    5 ай бұрын

    @@idrtdfftf54어느 역사학자가 그러더라 무기로서 성능보다는 사기진작용이라고..

  • @idrtdfftf54

    @idrtdfftf54

    5 ай бұрын

    @@user-xp2gh4ew1w 역사학자? 신기전 까내리고 남들이 예스할때 노라고 말하고 싶은 관종인가 보네요. 님이 그냥 지어낸 말이거나. 이게 유럽이나 하다 못해 일본산이었다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누구나 다 아는 세계최초 다 연발로켓포였겠죠. 근데 이걸 사기진작용 이러네 ㅋㅋㅋ

  • @user-ps8ez6jq4w
    @user-ps8ez6jq4w8 жыл бұрын

    음~~~~좋네~~~~~

  • @rusianhug
    @rusianhug6 жыл бұрын

    산업혁명 이전에는 동양의 과학기술이 서양과는 비교도 할수 없을정도로 훨씬 앞섰습니다. 그놈의 십선비 유교 영향으로 기술이 천대받아서 산업혁명으로 가지를 못했죠.

  • @user-mb2bi6en7s

    @user-mb2bi6en7s

    5 жыл бұрын

    ㅈㄹ을해라 과학교육 안받았냐? 거기서 동양인이름 몇번이나 나오데?

  • @Lotus0927

    @Lotus0927

    2 жыл бұрын

    뭔 개소리여 ㅋㅋ 웃고 간다

  • @user-uf8ti9sw1i
    @user-uf8ti9sw1i6 жыл бұрын

    과거 역사를 보면 한국은 좋은 무기를 개발해도 왕들이 혹시나 그무기들고 역성혁명이 일어날까바 보급을 꺼린 경우가 많음...

  • @Lotus0927

    @Lotus0927

    2 жыл бұрын

    그것이 조선이다. 반역도의 왕조.

  • @padamibr
    @padamibr6 жыл бұрын

    Hello, is this available anywhere with english subtitles?

  • @Returns_B
    @Returns_B5 жыл бұрын

    영상에 블소 브금 많이 사용하셨넹

  • @taktak900__
    @taktak900__5 жыл бұрын

    진짜 심각하다.. 학자라는 것들이 식민사관에 찌들어 있으니..

  • @drk9788
    @drk9788 Жыл бұрын

    (활) 활이 어떤 목표를 정확히 맞추는 저격용 무기로 역할을 했지만.........전쟁터에서 무기로서의 활의 무서움은............ 전쟁에서 활을 지금의 저격용총 처럼 사용하는줄 아는데.......집단으로 화망 구성해서 쏘는 무기임. 활의 정확도,명중률 따지는 사람들은 전쟁에 대해 모르는 사람들....... 하나의 각궁.......저 활의 위력이 대단한데......... 그 먼 옛날부터 전쟁터에서....... 수백,수천의 각궁 활을 가지고........ 수백, 수천의 궁사들이 쏘아대던 하늘을 뒤덮은 ........그 화살들의 무리들은 얼마나 위력이 있었겠나 ......상상되네요. 한국과 일본은...... 사계절이 모두 있지만..... 그래서, 자라는 식물,나무, 숲도 전혀 다르다. 일본은 습도높고 습도많은 것을 좋아하는 강수량이 큰곳에서 잘자라는.....관엽성 큰나무(목재용)들이 잘자라고....... 한국은 건조하고 습도를 싫어하는 식물,나무,숲이 (소나무,진달래,철쭉....) 형성되는 비교적 일본보다 작은 나무들이 자라는것이다. (습도,수분,물의양,강수량....차이) 때문 한국과 일본은..... 기후(습도)도 다르고 자라는 식물,나무들도 다른 .....전혀 다른 기후(습도)환경이라 보면된다. 일본은..... 높은 습도로 인해....... 음식이 쉽게상하기때문에...... 한국과 달리 음식문화까지도 달라지는것이다.(주로 날것,싱싱한것 선호, 발효음식 발전못함) 일본의 무기...... 활이....... 여러재료를 아교(본드)로 붙이는 ...... 복합궁(각궁),합성궁을 쓰지못하고...... 장궁(하나의 긴 나무활)을 쓰는 이유.... (섬나라 영국도 동일하게 장궁(긴활) 사용)... 높은 습도 때문이다. (영국의 안개와 잦은 비)

  • @enjoyyourlive
    @enjoyyourlive5 жыл бұрын

    유럽에선 플린트락 머스킷과 슈라프넬 포탄, 전열함을 이용해 세계대전을 벌이던 30년전쟁과 나폴레옹전쟁의 시대였는데, 조선에서 1400년대 중국병서를 보고 요새를 짓고 이미 구식화된지 수백년이된 crossbow를 연구했던게 그렇게 자랑스러운것인가?

  • @user-id8es8hi5o
    @user-id8es8hi5o8 ай бұрын

    私は長い間朝鮮の武器は中国のコピー品だと思い込んでいましたが、今では朝鮮独特のユニークな装備品の数々に感銘しています

  • @user-jq4vr2or5c
    @user-jq4vr2or5c3 жыл бұрын

    와....상노는줄여논건데저정도면실제크기는얼마나크고힘도얼마나셌을까....

  • @user-bw9fw6ku4h
    @user-bw9fw6ku4h3 жыл бұрын

    흠, 그렇군요.

  • @stevenrhee8398
    @stevenrhee83985 жыл бұрын

    최약소국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수있었던 이유중의 하나가 쇠뇌였다. 일반화살과 활은 오랜기간 수련을 해야 능숙하게 다룰수 있지만, 쇠뇌는 작동법만 알면 오합지졸 농민군도 바로 실전에 투입될수있을만큼 다루기가 쉬웠다.

  • @Lotus0927

    @Lotus0927

    2 жыл бұрын

    뭔 개소리야. 중국에 다 팔아먹고 받치고 혼자 살아남은걸 쇠뇌 때문이라니 ㅋㅋ개소리도 이런 개소리가 없네.

  • @BaehrChaney

    @BaehrChaney

    Жыл бұрын

    근데 1Km 나간다는 쇠뇌가 있었다고 믿는건 아니시죠? ㅋㅋㅋ

  • @user-ku2wt5qj1b
    @user-ku2wt5qj1b8 жыл бұрын

    이거보면서 내가 깨달은건 단 하나다. 재연해놓은 노의 퀄리티가 오덕들이 만든 물건만 못하다는 거다. 씨바... 저렇게 큰 상노가 코앞에 있는 수박을 뚫었는데 바로 각도가 훅 꺾여... 아무리 전시용이라도 그렇지 얼마나 대충 만들었으면..

  • @user-fq5wp3gk6v

    @user-fq5wp3gk6v

    7 жыл бұрын

    우루서스 대공감 원래 한민족은 뛰어난 민족인데 임란, 호란때 뛰어난 사람은 다 죽고 기회주의자 아부하는자 비겁한 자람 살아남아 오늘 우리나라가 된건아닌지

  • @hdhsbshsudbfm

    @hdhsbshsudbfm

    6 жыл бұрын

    보여주기로 대충만들었다지만 좀

  • @bruce722
    @bruce7225 жыл бұрын

    허가가 필요하네요.... 예전에는 통신판매로 막 팔았었는데...

  •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5 жыл бұрын

    크로스보우로 사고난적이 있어서 총기로 규정강화되서리. 대신 수노기는 스포츠용품이래요.ㅋ

  • @user-kl9bx7qm7k
    @user-kl9bx7qm7k Жыл бұрын

    쇠뇌는 사실 수나라에서 들여온건데 막상 발전은 한반도가 더 빨라서 당나라때는 당나라가 신라의 쇠뇌기술을 얻으려고 필사적이였죠.

  • @user-iz1gq7oq3p

    @user-iz1gq7oq3p

    11 ай бұрын

    등신아! 기마유목국 고조선에서 수나라로 전파되거지 수나라에서 들어온게 아니란다!

  • @jin2256
    @jin22567 жыл бұрын

    쇠뇌는 총포도검화약 허가받아야되고 각궁은 괜찮고 이건뭐고 따지고보면 각궁도 화살 사람 쏘면 무기지

  • @JGHan-eu6rr

    @JGHan-eu6rr

    4 жыл бұрын

    쇠뇌는 훈련이나 수련따위 없이 바로 살상가능. 활은 사람쏘려면 훈련이 필요함. 그런 차이가 있죠.

  • @sionpark8480
    @sionpark84804 жыл бұрын

    사극에서 왜 나오지 않는지...

  • @arcyoon
    @arcyoon5 жыл бұрын

    아직도 평양에 한사군을 얘기하네. 한나라 고조선 전쟁에 출장한 한나라 장군들은 모조리 참수당하거나 유배당했다는 것은 한나라가 참패한 전쟁이란 얘기다. 한사군이라는 것 자체가 한나라의 뻥에 가까운 얘기인데 그것도 모자라 위치를 평양에다 갖다 놓나??

  • @user-ey4je2fj9z

    @user-ey4je2fj9z

    5 жыл бұрын

    이병도의 식민사관 baby들 입니다.

  • @yoshitsune1184

    @yoshitsune1184

    4 жыл бұрын

    낙랑군 평양에 있는거 맞습니다. 구글에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검색해서 사이트 들어가서 중국정사조선전 항목 눌러서 삼국지 동이전 항목을 봐보세요. 고구려 남쪽에 낙랑군 조선현 있고 낙랑군 조선현 밑에 대방군 있고 대방군 밑에 마한 진한 변한 있고 변한 밑에 바다 건너 왜국이 있습니다.....

  • @enjoyyourlive
    @enjoyyourlive6 жыл бұрын

    다큐멘터리 초반에 나오잖아. 무기기술은 순식간에 확산되므로 누가 최초니 뭐니 따지는게 어렵다고. 크로스보우건 합성궁 이건 그냥 유라시아 대륙에서 기원전부터 화약등장 전까지 보편적으로 널리 쓰인 투사무기일 뿐, 무슨 민족의 우수성 이런 국뽕과는 거리가 멀다. 우리 민족이 활에 특히 집착했다고 하는 것도 조선 중기까지 조총의 등장 전까지 이야기일 뿐이지.

  • @herhaho
    @herhaho4 жыл бұрын

    정조때 쇠뇌.... 이미 수백년전에 총이 발명됨..미국 독립전쟁시기인데 그떄 쇠뇌를 썼을까?.. ㅠㅠㅠ

  • @korea-NO1
    @korea-NO1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활이 세계에서 가장강력해

  • @user-gz3ld2jq7j
    @user-gz3ld2jq7j5 жыл бұрын

    쇠뇌의 기원을 따지면 신라를 뺄수 없죠.

  • @Lotus0927

    @Lotus0927

    2 жыл бұрын

    뭔 쇠뇌의 기원이 신라여????

  • @user-gz3ld2jq7j

    @user-gz3ld2jq7j

    2 жыл бұрын

    @@Lotus0927 천보노 때문에 뭔가 오해할 만하게 적었네요.

  • @user-lv7fg6sn7c
    @user-lv7fg6sn7c3 ай бұрын

    쇠뇌는 신라시대 김유신 장군의 필수무기였습니다

  • @chriskim2958
    @chriskim29587 жыл бұрын

    근데 왜 활보다 우월한 쇠뇌가 덜 보급화 되었나요? 제작비용이 비싸서? 근데 듣기로 생각보다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말이 있더라고.

  • @user-tx2ty8lf8e

    @user-tx2ty8lf8e

    7 жыл бұрын

    Chris Kim 화살길이가 길어질수록 명중괘도는 오차가 나기쉽죠. 그래서 편전이 생긴걸태고요. 가격은 각궁도 마찬가지로 비쌋지만. 그보다 큰 활을 사용할태니 더 비싸고 재작기간도 길겠죠?

  • @sfk1031
    @sfk10314 жыл бұрын

    대포를 배치해달라고 하는데 묵살했는데 쇠뇌가 가능했을까? 반란을 더 두려워 했는데

  • @pentium0308
    @pentium03083 жыл бұрын

    이거 보니까 생각나는데요 기계식 활 하고 미사일화살 만들어 이동식 차량에 고정하면 인구대량으로 죽이고요

  •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7 жыл бұрын

    활은 어려서 부터 오랜동안 수련한 경우를 예를 들어야 하므로 20kg 20-50파운드라는 활은 아주 약한것일 확률이 높음. 영국의 장궁만 해도 어려서부터 장궁훈련을 한 병사들 양성했는대 100-150파운드까지 나옴

  • @manssang342

    @manssang342

    7 жыл бұрын

    장궁은 길이에 비해 파괴력이 약했습니다.

  • @user-xh1ky7jp5v

    @user-xh1ky7jp5v

    7 жыл бұрын

    뭣모르고 지생각이맞다고판단함. 구글이나 영문위키정도는 서치해보고 싸지를것.

  •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

    7 жыл бұрын

    생쉽 너 부터 제데로 찾아보고 공부나 해보라. 원래 장궁도 최대 100파운드 이하라고 학자들이 떠벌렸는데 장궁 유물이 발견되면서 개소리로 판명났거든? 150파운드 짜리도 발견되었다. 한국인들이 올리는 서양의 무기관련 이야기는 엉터리가 많다.

  • @WriterNakwanjong

    @WriterNakwanjong

    7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활에 대해서 1g도 모르네

  • @user-xh1ky7jp5v

    @user-xh1ky7jp5v

    7 жыл бұрын

    gokcha Kwon 근거와 출처 좀

  • @user-iy2qj2yg8i
    @user-iy2qj2yg8i Жыл бұрын

    거북선이 있고 성능좋은 대포와 각궁이 있으나 만든 숫자가 턱없이 적고..당쟁과 임금이 나라와 국민을 고통에 빠지게 하였다.

  • @user-dn5mc5rc6k
    @user-dn5mc5rc6k4 жыл бұрын

    석궁의 개발자는 치우천황제/(손무기ㅡ활궁 ㅡ기계적인 힘 ㅡ도구에 의거한 장거리 보내는 무기 ㆍ석궁으로 부터 장거리 보내는 무기시스템이 개빌되기 ㅡ최첨단 하이테크 무기라고 정의한다ㆍokay

  •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5 жыл бұрын

    수질구궁노. 쉽게 쇠뇌형태의 다연발 쇠뇌를 말하는거 아닐까요.? 활로에 사각 화살함에 화살 약9개분량만큼 넣고 현에 특수장치설치해서 9발을 동시에 날렸다고 생각되는데

  • @charmcharmee
    @charmcharmee3 жыл бұрын

    나만 일반 각궁이든 궐장노든 등근육이 더 중요해보이냐? 팔다리 측정할게 아닌거 같은데?

  • @U.S.A.Government
    @U.S.A.Government3 жыл бұрын

    수질9궁노 = 3x3 배열로 커다란 수레에 싣고 다니지 않았을까?? 오목에서도 쌍삼은 필승이지..

  • @sksdksckddn
    @sksdksckddn5 жыл бұрын

    모두죽었는데 어떻기 했는말이 기록될수있지?

  • @user-mf9tp7dv7y
    @user-mf9tp7dv7y2 жыл бұрын

    이때도 정비사들은 뼈가 빠졌겠구나 생각했슴다 ㅋㅋㅋㅋㅋ

  • @user-vm5vg7pv3l
    @user-vm5vg7pv3l5 ай бұрын

    쇠뇌는 소 달구지에 활과 화살, 그리고 줄을 연결한 화살을 들고 다니면서 사용하던 활 이라고 보면 됨. 발명자는 오자서 임.

  • @goldingot3796
    @goldingot37965 жыл бұрын

    쇠뇌는 서양권에서도 있엇어요 그것도... 기원전 로마 이전때부터...

  • @taehunkim2359
    @taehunkim23593 ай бұрын

    한국판 스파르타 300 ..... 인데... 왜 이런걸 역사공부시간엔 못 배우고... 이제서야

  • @q1w21
    @q1w215 жыл бұрын

    석궁은 전 세계에 퍼져있어서 그 근원지를 찾기 힘든 무기입니다.

  • @OO-rc2xt

    @OO-rc2xt

    5 жыл бұрын

    중국 진나라가 아닌가요

  • @q1w21

    @q1w21

    4 жыл бұрын

    @@OO-rc2xt 아마 시작은 중국 쪽일 겁니다.

  • @JGHan-eu6rr

    @JGHan-eu6rr

    4 жыл бұрын

    @@q1w21 가장 오래된 쇠뇌유물은 기원전 7세기 고대 그리스의 가스테라페테스입니다.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유물은 기원전 5세기 조나라유물이고요.

  • @tuna572

    @tuna572

    5 ай бұрын

    @@JGHan-eu6rr 헤론이 말하길 기원전 420년경에 개발되었다고 주장했고 그전 유물은 없다고 나오는데요

  • @user-zw6vg5eq5b
    @user-zw6vg5eq5b3 жыл бұрын

    광고 왜 이리 많아 짜증

  • @4kingCplusplus
    @4kingCplusplus4 жыл бұрын

    진짜 18톤이 아니고 쎄다의 의미로 1000을 썼겠지. 천 보도 마찬가지고. 그렇게 좋은 석궁이 있으면 뭐하나 매번 크게 터지고 화약 무기 도입도 늦었는데

  • @user-ig1lz1bf6r

    @user-ig1lz1bf6r

    4 жыл бұрын

  • @gimgankoomg4168
    @gimgankoomg41683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석궁이라고 숱하게 오역이 많이 되어 알면서도 할 수없이 석궁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죠. 석궁 = 쇠뇌, 노.

  • @user-fg1sx2jb9e
    @user-fg1sx2jb9e Жыл бұрын

    15:40 17:36

  • @user-ky1zp7we4v
    @user-ky1zp7we4v7 жыл бұрын

    쇠뇌가 서양에서 왔다고 하는데 서양사람들이 우리나라에 처음 온 날짜나 시대를 알고 말하는걸까?

  • @user-ws8mq9zs9b

    @user-ws8mq9zs9b

    6 жыл бұрын

    갓청자 뭐..서양에서 기원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실크로드를 통해 물건만 들여왔을수도 있겠죠?

  • @alcohol_soju_drunk1218

    @alcohol_soju_drunk1218

    5 жыл бұрын

    양금도 서양인이 오기전에 피아노의 원리를 본따서 만들어진거고 화약도 중국에서 나옴 유래되었다가 뭔지 생각해보시길

  • @chanoo629

    @chanoo629

    4 жыл бұрын

    아니 기원전 1-2세기 유물이 있는데 유럽에서 들어왔다는거는 너무 오버아닌가

  • @chiwooemp
    @chiwooemp6 жыл бұрын

    석궁이 서양이 최초라니... 무식인증인가? 가장 오래된 석궁은 이미 춘추전국시대때부터 등장함. 심지어 진나라는 쇠뇌의 부품들까지 전부 규격화 시켜놔서 고장나면 교체할수 있는 시스템까지 일찍이 갖추었음.

  • @JGHan-eu6rr

    @JGHan-eu6rr

    5 жыл бұрын

    춘추전국시대 훨씬 이전부터 등장함. 현재 발굴된 가장 오래된게 고대그리스라 현재 기준으로 서양이 맞음. 동양쪽에서 더 오래된 유물이 발굴되면 달라지겠지만요.

  • @user-lz6yu5yz4u

    @user-lz6yu5yz4u

    5 жыл бұрын

    굳이 따질이유가 읎음 활 이란걸 구석기때 만들었으니 활을 다른방식으로 만든 석궁은 신석기때 나와도 놀랄일이 아님

  • @goldingot3796

    @goldingot3796

    5 жыл бұрын

    쇠뇌 자체가 어디서 시작됫건 그게 중요한게 아니라 첫 시작 시대를 봐야겠죠 고대 기원전 시대 그리스때도 사용되엇고 아프리카 이집트 문명때도 존재했엇어요...

  • @goldingot3796

    @goldingot3796

    5 жыл бұрын

    그리고 로마 전성기 시대때 전쟁할때 적이 쇠뇌중에 스콜피온인가 하는 쇠뇌로 압도하는 전력으로 공격해서 로마는 발이 묶여서 병력들이 쇠뇌에 못이겨 쓰러져 나갓고 이후에 로마에서 그 쇠뇌를 어디서 노획했나 구했나 해가지고 전략을 더해서 이겻던 이야기가 있어요

  • @ddddd815

    @ddddd815

    5 жыл бұрын

    무식인증하셨네요 ㅎ

  • @user-kg5hd6xx5v
    @user-kg5hd6xx5v6 жыл бұрын

    정조가 화성에 노대만들었을때 다른나라는 총쓰고있었는데

  • @OfficialMINIm

    @OfficialMINIm

    6 жыл бұрын

    이경식 조선도 그때당시엔 조총이랑 다향한포들을썼습니다. 불이나 화약이불필요한무기이때문에 매복하거나성안에서쏘기엔 적합해서그런거죠. 그때당시에 총이나 포는 쏘면 몸에해로운연기가많이 배출됐어요.

  • @user-kg5hd6xx5v

    @user-kg5hd6xx5v

    6 жыл бұрын

    OfficialMINIm 그래서 서양애들이 총을 알고서 썼다는말인가요?

  • @OfficialMINIm

    @OfficialMINIm

    6 жыл бұрын

    이경식 서양에선 철이많았고 철제로된 plate armor 가고도로발달되어있었습이다. 보통철이아니고 강철로 (carbon steal) 주로 갑옷을제작하고 그것도모자라 heat treatment (열로 철의성분을 더 단단하게하는기술) 덕분에 16-17 세기의 plate armor 는 아무런투척무기로도 뚦을수없었다고 보면됩니다.. 근데 왜 어느순간부터 갑옷을 버리기시작했을까요? 바로 총때문입니다. 총의힘은너무강령해서 강철로만든 갑옷도 뚦어버린거죠. 그이후로는 서양에서 총이주무기가되고 서로 전쟁하면서 총이고도로발달하게됩니다. 조선은 청나라와의 전쟁이후론 완만하고 조용한 시간을보냈죠. 만약 우리도유럽인들과오랜정쟁을했다면우리의 총/포도고도로발달했겠죠? 역사의흐름은 바뀌울수없는겁니다. 참고로, 쇠뇌의장점은조용하고, 불이나 화약이필요하지않기때문에, 매복하거나 성내에서 쏘기엔 적합했습니다. 하지만 파괴력에선총이훨신더강력했죠. 17-18세기당시의 화약은 많은양의발포했을때많으영의연기를뿜었구요, 몸에해로운걸또나서, 아군시야도가렸습니다. 그걸 성내에서쏘면 어떻게될까요..? 지금우리가탄환에쓰는화약은 smokeless-gunpowder 라고 다른종류의 화약입니다. 우리조상들이 쇠뇌를늦게까지쓴건 다 이유가있어서입니다. 조상들의 지혜가담긴이유들이죠.

  • @manen0

    @manen0

    6 жыл бұрын

    네대미국독립전쟁때머스깃총쓰고 리볼버도나오고

  • @dannnybboy

    @dannnybboy

    6 жыл бұрын

    근데??

  • @BVV_HYUNJUN
    @BVV_HYUNJUN8 жыл бұрын

    31:23 블소 혈전 BGM 나오네

  •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3 жыл бұрын

    쇠뇌 파괴력의 집중 수원화성 흔적을..... 임진왜란 이후에 정조는 난공불락 고고학적인 낙랑시대 고조선도..... 가능하리라

  •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3 жыл бұрын

    박제광 건국대학교 박물관 쇠뇌를 말하다

  •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3 жыл бұрын

    김성혜 육군사관학교 유물관 쇠뇌서책

  • @thisisCHOPZZ
    @thisisCHOPZZ5 жыл бұрын

    @22:13 교수님이 645년에 고구려에게 살해당한 돌궐왕족을 "아사마" 라고 말씀하시는데, 자막에는 "이사마"라고 적혀있는데. 어떤 이름이 맞는건가요? ㄱㅅ

  • @user-gz8ve3yh7b
    @user-gz8ve3yh7b7 жыл бұрын

    신라의 장인이 만들었다는데

  • @user-xg7oz5xc5n

    @user-xg7oz5xc5n

    4 жыл бұрын

    성능이 더 좋게 개량했다더군요 사정거리가 3천보...

  • @user-qj2ou8nj5e
    @user-qj2ou8nj5e7 жыл бұрын

    무기군ㅡㅡㅡ규제 ♥

  • @PX4001
    @PX40012 жыл бұрын

    왕건에 보면 나오는데요

  • @wnltoznlEofuwkqrl
    @wnltoznlEofuwkqrl7 жыл бұрын

    크레모어네

  • @juwonchoe88
    @juwonchoe885 ай бұрын

    아 조총이 필요가 없었다니까... 활 뇌 ... 뭘따져봐도 조총보다 앞섬... 애초에 지들끼리 치고박고 하는 전투전문가 16만을 400년간 평화에 찌든 만도 안되는 군이 어케 이김여..ㅠㅠ

  • @user-uq6yg9yr8t
    @user-uq6yg9yr8t Жыл бұрын

    에이~너무가까운거 아닌가요?

  • @manen0
    @manen06 жыл бұрын

    21:51왜태종이 피를빠라줌? ??

  • @kyc70087
    @kyc700875 жыл бұрын

    참 훌륭한 무기네 전방에 전진배치 해라

  • @j8663
    @j86634 жыл бұрын

    수노기는 중국에서는 제갈량이 만들었다 해서 제갈노 라고 불리는데 이게 명나라때 만들어진거랑은 틀리다고 하더군요 서양에서는 이걸 추고누 라고 불리우구요 명나라때 만들어진건 지금으로 치면 기관단총 급으로 사거리는 짧지만 연사력은 빠른것이 특징이라고 하더군요 반면 조선에서 만든 수노기는 삼시 수노기 라고도 하는데 제갈노 보다 연사력은 떨어지지만 사거리가 길고 명중율도 높았다고 합니다. 제 생각에는 이순신 장군이 지휘 하는 전라 좌수군이 삼시수노기를 즐겨 쓰지 않았을까 합니다.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위아래로 흔들리는 배 위에서 총알이 날아 오는데도 꼿꼿이 서서 쏘는데 솔직히 그상황에서 총에 맞아 죽는다 해도 전혀 이상 하지 않았을꺼라고 봅니다. 근데 전쟁 내내 상대적으로 부상이나 전사자 수가 적었던건 아마 수노기를 사용 해서 싸웠기 때문에 그런게 아닌가 합니다. 앉았다 일어났다 할 필요도 없이 앉아쏴 자세 에서 화살통 위에 있는 손잡이만 제끼면 되니 말이죠

  • @mukfeel
    @mukfeel4 жыл бұрын

    우리 민족은 활의 민족이다.

  • @Lee-eu7hk
    @Lee-eu7hk7 жыл бұрын

    유럽? 산업혁명이전으로는 모든기술이 동양이 압도적인 우위였음.

  • @user-tx2ty8lf8e

    @user-tx2ty8lf8e

    7 жыл бұрын

    순신 Lee 석탄이 뿅! 하고 나타나고나서는 서양이 돈맛들려서 식민지 막만들더니 최강국됨...

  • @user-vm5zt5bc6y

    @user-vm5zt5bc6y

    7 жыл бұрын

    정동건 증기기관 하드캐리 ㄷㄷㄷ

  • @Lee-eu7hk

    @Lee-eu7hk

    7 жыл бұрын

    자원은 원래존재하던것이구요. 갑작스러운 유럽의 과학 기술에 발달로 기인한것임. 동양도 화포 총기 초기모델 있었음. 근대 유럽서 갑자기 뛰어난 과학자 철학자들이 쏟아져나옴. 진공개념.미분.적분.통계학.합리주의철학.뉴턴.갈릴레이.오 형제등등. 그로인해. 증기기관 탄생. 엄청난 자원수송. 공장기계. 증기선.기관차.탄생. 그로인한 어마어마한 대량생산. 무기? 기관총. 요거이 무서운거임. 그리고 그 힘을 바탕으로 근대식 군대로 동양권을 싹쓸이 남냠 쩝쩝하다가? 지들끼리 세력다툼하다 망해버림?? 이젠 주도권이 다시 우리쪽???

  • @fkhgndk3009

    @fkhgndk3009

    7 жыл бұрын

    산업혁명 이전이라기보단 르네상스 이전이죠

  • @user-xb5gt8yb3z

    @user-xb5gt8yb3z

    6 жыл бұрын

    산업혁명 이전이라니....르네상스 이전이겠지 서양에서 흑사병 돌때 격차를 벌렸어야되는데 동양의 망할 유교사상때문에 삽질하다가 르네상스때 엄청난 격차가 생겼지....뉴턴이 만유인력, 미적분 만들때 조선에서 뭐 했는지 알면 간달할듯

  • @kwankim9179
    @kwankim91795 жыл бұрын

    무기만드는 기술자가 노비신분이였고 황소보다 천대받고 살았으니 조선이 망하는것은 당연한 일이였다.. 지금도 기술자들 천시하는 습관은 그대로 물려받아서.. 소모품처럼 쓰다가 버리면 그만이라고 생각하는 경영자들 천지다..

  • @user-lc1fd9lq3l
    @user-lc1fd9lq3l7 жыл бұрын

    조헌 700의병이랑 영규대사인가 승병들은 말 않해주네 승병들도 같이 싸우다가 다죽엇다던데

  • @krauskim7662
    @krauskim76627 жыл бұрын

    수노기 신기하네요. 원리좀 알려주지

  • @snaghoonlee9503
    @snaghoonlee95035 жыл бұрын

    쇠뇌 천년의신화에 백제하면 나오던데

  • @user-po3ed4ky1i
    @user-po3ed4ky1i6 жыл бұрын

    에이!! 석궁이면 적어도 두께가 2mm 이상 되는 철판을 관통하는 걸 보여주셔야죠. 석궁은 파괴력 아닙니까?

  • @user-ss3fv4hj4k

    @user-ss3fv4hj4k

    3 жыл бұрын

    쇠뇌...

  • @user-bg1ik1oy8u
    @user-bg1ik1oy8u8 жыл бұрын

    현대식 쇠뇌 그냥 석궁 아님?

  •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8 жыл бұрын

    구조와 원리는 같은데 활의 재질이 다르죠..ㅋ

  • @user-kz2dw4du4b

    @user-kz2dw4du4b

    8 жыл бұрын

    석궁은 잘못된명칭이고 쇠뇌가 맞는표현입니다.

  • @user-ok9lm3fj5l

    @user-ok9lm3fj5l

    8 жыл бұрын

    탄궁이라고 활인데 활시위에 가죽으로된 주머니가 달려서 화살대신 돌이나 쇠구슬같은걸 날리는 병기가 있었습니다. 숙련자가 아니면 활을 쥔 손을 맞출 가능성도 있었기 때문에 이를 쇠뇌형태로 만든 무기들또한 등장했습니다. 흔히 생각하는 쇠뇌모양에 화살대신 탄환을 올려서 새총처럼 날리는거였죠. 그걸 돌을 쏜다고 해서 석궁이라고 부르다가 쇠뇌의 잘못된 명칭으로 굳어진겁니다. 따라서 석궁 뿐만이 아니라 화살을 쏘는 기계활과 탄창식 연노등을 통틀어서 쇠뇌라고 부르는게 맞습니다.

  • @cdccdccdc

    @cdccdccdc

    7 жыл бұрын

    곰돌슨 석궁에 석이 돌석자고 잘못된 표현이었군요 처음 알게 된 사실이네요

  • @sdafjsfdaklkfsda
    @sdafjsfdaklkfsda6 жыл бұрын

    신라에 6두품 기술자 구진천이 목숨걸고 지킨 기술인데.. 다들 중국꺼래ㅜ

  • @user-ri8hf5vb7s

    @user-ri8hf5vb7s

    5 жыл бұрын

    기원이 그렇다는 거 아닐까요? 구진천님은 기술자고.

  • @user-yq4jg8px7i
    @user-yq4jg8px7i2 жыл бұрын

    비롯서 우리나라는 희생 뒤에 만든다.ㅆ ㅂ

  • @user-cn4rm2jd5f
    @user-cn4rm2jd5f4 жыл бұрын

    적군으로부터 기득권을 지키는 성이었겠지

  • @user-nz9dt5jj8r
    @user-nz9dt5jj8r4 жыл бұрын

    임진왜란때 화포가 배치되어있는 몇몇성에서 화포쏘고 재장전할동안 쇠뇌와 활로 시간을 벌었으면 조총에 허무하게 털리지 않았다 징비록 부산진 전투보면 알잖아

  • @seun2782
    @seun27825 жыл бұрын

    난 장궁이랑 각궁만 알았음

  • @user-ub9ln2wf1w
    @user-ub9ln2wf1w3 жыл бұрын

    소울나이트에 깃털쇠뇌?

  • @user-yq4jg8px7i
    @user-yq4jg8px7i2 жыл бұрын

    맞아 봣냐고

  • @joong-ockmoon9024
    @joong-ockmoon90242 жыл бұрын

    쇠뇌보다....임진왜란 이후 조총..을 좀 더 개발했었으면.......

  • @joong-ockmoon9024

    @joong-ockmoon9024

    2 жыл бұрын

    @동해안오징어 개발은 ..? 똑같은 화승총...

  • @joong-ockmoon9024

    @joong-ockmoon9024

    2 жыл бұрын

    @동해안오징어 참...네, 할말이 없네... 네...잘 나셨습니다.

  • @joong-ockmoon9024

    @joong-ockmoon9024

    2 жыл бұрын

    @동해안오징어 좋아하니 다행이네..ㅋ

  • @Lotus0927

    @Lotus0927

    2 жыл бұрын

    고종 모르냐? 개틀링건을 오죽 좋아하셔서 일본에 하청 줘서 자국민 학살했잖아. 개틀링건도 지원하고 ㅎ

  • @joong-ockmoon9024

    @joong-ockmoon9024

    2 жыл бұрын

    @@Lotus0927 참 오래사신분일쎄... 우찌 알았는지...반말도 하시고.

  • @Lotus0927
    @Lotus09272 жыл бұрын

    1851년에 해저 케이블 도버해협 깔던 영국이랑 비교하자니 ㅋㅋ 웃음만 나오네. 근데 이거 그리스가 최초 아니냐?

  • @user-oz8mq1xc8b
    @user-oz8mq1xc8b5 жыл бұрын

    베인 누가 키웠냐??

  • @skalwbd17..
    @skalwbd17.. Жыл бұрын

    근데이쇠뇌는 강하긴해도 사정거리가작은데

  • @maroon5988
    @maroon59884 жыл бұрын

    두유노 쇠뇌?

  • @user-ey4je2fj9z
    @user-ey4je2fj9z5 жыл бұрын

    한사군? 낙랑? 아직도 그걸 정설로 말하네 더구나 교수란 사람이 허~~식민사관이 언제쯤 사라질까?

  •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5 жыл бұрын

    3년전 방송인데. 지금은 다르지안을깡ᆢ

  • @dlpul7870

    @dlpul7870

    4 жыл бұрын

    죽어야 사라진다 고 봄

  • @user-pm9qg2md8d
    @user-pm9qg2md8d10 ай бұрын

    활은 우리 역사의 무기다. 서양무기가아니다. 고구려.신라.백제.고려무기다

  • @user-de9is6pu3d
    @user-de9is6pu3d6 жыл бұрын

    쇠뇌는 커녕 일반활만드는것도 존나 힘듭니다. 제가활만들어봤는데 9시간30분 좀 넘게 걸립니다. 진짜 구석기인 무시하면안됩니다. 10만년전 인류는 현대인만큼 대단한사람입니다. 무시하실만큼 놀고먹지 않았습니다.

  • @tedkim3066
    @tedkim30664 ай бұрын

    가장 구석의 신라? 저때 신라는 대륙 양자강의 동신라요

  • @user-xr2tz3rx2g
    @user-xr2tz3rx2g6 жыл бұрын

    국뽕 싫어하긴 하지만.. 댓글보니 좀 어이가 없네요.. 석궁은 유럽과 중국 둘다 고대부터 쓰던것이고 중국의 쇠뇌도 한국에 전달되어 옛날부터 한국에서 쓴거 맞아요..

  • @user-ke1nz8hr1j
    @user-ke1nz8hr1j8 жыл бұрын

    삼국사기에 보면 거인들이 신라영토를 침범하면 신라인들이 성위에서 쇠뇌를 쏘아 거인들과 싸웠다고 기록되있다. 상국사기들을 찾아 보삼.

  • @Lotus0927
    @Lotus09273 жыл бұрын

    이게 우리 민족꺼임????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