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크멘터리 전쟁史] 69부 고려의 여진정벌 2

신흥강자의 도발을 저지하기 위해 비장의 특별 군대를 조직한 고려!
복수를 꿈꾸는 고려와 여진의 재대결이 시작된다!
고려의 여진정벌 그 두번째 이야기.

Пікірлер: 852

  • @user-tv1cg9ix9v
    @user-tv1cg9ix9v6 жыл бұрын

    두번째로 여진정벌에 동원한 병력문제입니다. 지난 번 수나라 100만대군 이야기가 나왔을 때 한번 추가할까 하다가 말았는데, 앞으로도 계속 이런 문제가 나올 것 같아서 설명 내지 해명을 드립니다. 전근대 사회 전쟁에서 병력은 정말 골치아픈 문제입니다. 일단 과장이 문제고, 정말 문제는 전투병이란 용어 문제인데, 전투병을 정규군으로 해석하는 분도 있고, 일선에서 적과 전투를 벌이는 전투병으로 해석하는 분도 있는 것 같아요. 현대에도 이 개념이 정확치는 않죠. 일단 정규군 안에 전투병이라고 하면 2차대전이나 월남전에서도 실제 전투병의 비율은 정규군 내에서도 절반 이하였다고 하죠. 더 적었다고도 하는데, 수송부대, 전투지원부대, 기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병사들이 있습니다. 이번에 사용한 전투병이란 용어는 전투병=정규군이 아니고 정규군 내에 전투병을 의미하는 것이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전근대의 군대는 정규군 내에 비전투병이라고 해야하나 하여간 수송, 전투보조, 경비, 공사 등을 하는 병력이 현대보다 훨씬 많다고 봅니다. 기병들은 자신들의 노비(보조병)을 2,3명을 데리고 와야죠. 물론 이들도 전투를 합니다. 특히 수성전에서는 비전투병도 다 동원이 되겠죠. 그래서 전투병이라는 용어가 적합치는 않은데 별로 다른 용어도 마땅치 않네요. 이들 외에 중간에 이동하는 지역에서 동원하는 토병도 있습니다. 동원에서 전선으로 가는 경우도 있을거고,, 주요 보급로나 성을 지키는데 배치하기도 할 것이고 수성, 진지구축, 도로를 닦거나 다리를 놓거나 군량을 수송하는데 동원하는 지역병력도 있겠죠. 옛날에는 수송수단이 생각보다 힘들어서 정말 많은 인력동원이 필요합니다. 특히 군대가 행군하는 동안 중간중간에 식량을 저장해 놓아야 하는데, 여기에 식량을 옮겨놓는데만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여기에 필요한 노동력은 역으로 징발하니까 기록에는 병력으로 간주되는데, 일반 민간인인 경우도 많습니다.때로는 이들 중에 정규군 못지 않은 용사도 있었겠죠. 고려는 조선과 달리 그런 센 토병집단이 많았을 겁니다. 그래도 기록이 전체 몇 만 이렇게 뭉뜽그려 놓으면 이들은 전투병, 정규군, 아님 기타 어디로 분류할 지 막막합니다. 분류나 할 수 있으면 다행인데 기록에는 이런 병력을 세분해서 기록도 안해놓습니다. 그러면 고려, 조선시대의 병력에 대한 기록은 이들을 다 포함하는 걸까요 안하는 걸까요. 그걸 몰라요 예를 들면 고려의 2군6위 중 하나인 용호군 2령을 동원했다고 하면 분명 전투병 2천명(1령=1000명)을 동원한 겁니다. 그런데 10일 후에 고려군 1만이 의주성을 포위했다고 합시다. 이 1만은 용호군같은 전투병만 일까요. 아니면 그들이 분명히 데리고 갔을 노비, 중간에 동원한 수송부대까지 포함한 병력일까요. 그런 부분을 우리 기록은 명확히 설명해 주지 않습니다. 여진 정별처럼 총동원병력으로 나오면 정말 갑갑하죠. 전투병만 17만은 아니겠죠. 정규군만일까요. 아니면 따라온 수송, 경비부대 포함일까요 아니면 9성까지 가는동안 동원한 군민을 다 합친 연동원인원일까요. 어렵죠. 조선 세종, 세조, 성종 때 여진정벌에 동원한 병력이 1만 5천에서 2만, 많아도 3만 미만일겁니다. 이 병력은 중간에 동원한 사역민은 포함하지 않았겠지만, 기병의 노비까지 포함한 정규군 병력일까요, 노비는 빼고 전투병과 비전투병과를 포함한 정규군일까요 .(과거에도 한번 분석했는데 쉽지 않더군요 나중에 4군6진 할 때 정말로 다시 세밀하게 한번 분석해 보겠습니다) 고려의 여진정벌 때 전투병이 1-2만이라고 한 것은 이런 사정을 감안해서 전투병을 추산한 겁니다. 이걸 정규군으로 확대하면 3-5만이라고 할 수도 있겠죠. 백성 이주사업도 했으니 지역토병도 사역과 경비, 수성에 필요한 만큼 동원했겠죠. 다만 고려 때는 마치 봉건제 하의 군대처럼 지역군대가 잘 편제되어 있고 강해서 전투병-정규군을 나누는게 좀 억지스럽긴 합니다. 지역에서 동원한 병력, 9성 축조 후 집단이주민도 수성전에서는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전에 수, 당전쟁을 마친 후에도 보니 전투병에 관심들이 높아서 이번에 대상을 정규군 내의 전투병으로 잡고 말한 겁니다. 추가 설명을 했어야 했나 싶기는 한데, 막상 말을 하려니 고려의 군사제도 사회제도부터 설명해야 하는데 난감하더라구요. 따라서 고려의 전투병 1-2만 많이 잡아 2-3만이라고 해도 그건 전투에 동원되는 부대가 1,2만이라는 뜻도 아니고, 절대로 고려의 군사력을 낮춘게 아닙니다.

  • @user-ig7th2vg2x

    @user-ig7th2vg2x

    6 жыл бұрын

    임용한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MKCho-ux7wm

    @MKCho-ux7wm

    6 жыл бұрын

    이렇게 까지 신경을쓰시며 자세한설명을 해주시다니 정말 감사할따름입니다.

  • @field-nomad

    @field-nomad

    6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by7ei8uv3r

    @user-by7ei8uv3r

    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항상 재미 있게 보고있어요.추석때 가족들한태두 추천 방송으로 소개했어요 ㅎㅎ

  • @user-op7dj8co4u

    @user-op7dj8co4u

    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tv1cg9ix9v
    @user-tv1cg9ix9v6 жыл бұрын

    여진정벌 편에서 9성 위치와 병력문제로 논란이 발생하겠다 싶어서 걱정을 했습니다. 그래도 방송에서 충분히 전후 사정을 얘기했다 싶은데, 괜한 논쟁이 벌어지는 것 같아서 글을 남깁니다. 먼저 9성의 위치에 대한 설에서 방송에서 간략히 얘기했는데, 늘 하는 변명이지만 이 프로에서 주제 강연을 할 수는 없습니다. 9성에 대한 다른 분들의 인터넷 강연도 있고, 제 책도 있고 다른 분 책과 논문은 더 자세한 것도 있습니다. 일부러 생략하거나 몰라서 뺀 건 아니죠. 아 그리고 실학자들이 주장해서 옳다고 생각한다는 것도 아닙니다. 결론적으로 선학의 결론과 같으니 소개한 것이죠. 하지만 방송에서 말했듯이 아직 어떤 설도 확정된 증거는 없다는 것이 제 판단입니다. 조선후기 지도에 선춘령이 두만강 북쪽에 표시된 것도 있고, 방송에서 언급했듯이 그곳에 답사를 갈 뻔 했던 적도 있는데, 그것도 결정적 증거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물론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분도 있겠지만, 제가 객관적으로 봐서는 - 제 설도 포함해서 - 그렇습니다. 9성의 위치는 아직은 선택의 문제, 정황증거와 본인의 역사적 지식, 상황판단을 종합해서 하는 선택의 영역에 있습니다. 그리고 개인의 선택은 자유이고 그것은 서로 보장해야 합니다. 본인은 신념을 가지고 확신한다고 해도 선택의 문제로 상대를 비난하거나 비판할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한가지 더 부탁하고픈 말은 최근 우리 사회에서 식민사학, 사대주의라는 프레임을 덧씌우는 것이 갑자기 유행하고 있는데, 대다수의 학자들에게 이건 정말 당혹스런 일입니다. 요즘 우리 학계의 연구수준은 그런 프레임으로 재단할만큼 어수룩하지 않습니다. 물론 발전적인 측면에서 보면 언제나 문제는 있고, 저도 비판하고 지적할 일은 많습니다. 그러나 그건 21세기를 선도하는 더 높은 수준으로 가자는 고민에서의 비판입니다. 결론적 유사성을 가지고 사대주의나 식민사학의 프레임을 씌우는 것은 정말 안타까운 일입니다.

  • @user-op7dj8co4u

    @user-op7dj8co4u

    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gm7tt3vt5p

    @user-gm7tt3vt5p

    6 жыл бұрын

    임용한 방송하시면서 많이 힘드시는걸 느낌니다, 힘네세요

  • @user-yi9hf7sj7

    @user-yi9hf7sj7

    6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여기있는 사람 모두 만족시킬순 없습니다. 어쩌면 욕먹을 지도 모르죠. . 하지만 오히려 이런 저런 압력에 자기 생각을 말 못하거나. 타협하는게 학자로서 욕먹을 일이라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박사님이 옳다고 생각하는 주장이나 혹은 불확실한 의견이라도 어떠한 주저없이 다 말씀해주세요. 그게 시청자들이 진짜 바라는 일입니다.

  • @user-ig7th2vg2x

    @user-ig7th2vg2x

    6 жыл бұрын

    리플 감사합니다 정말 고생 많으십니다 박사님

  • @skjung1720

    @skjung1720

    6 жыл бұрын

    방송보면 분명 가설들 나열해 주셨고, 당시 상황 및 이어지는 상황에 근거해서 합리적인 부분으로 선택하여 방송진행이 필요하다고 하셨기에 많은 사람들 또한 공감했으리라 보는데...식민사학이니 사대주의 운운하는 사람은 솔직히 눈쌀 찌푸려 집니다.이 방송을 본방에 어플로 다시보는 이유는 재미+생각하면서 볼 수 있는 점이라고 생각하는데(1회부터 충실히 지켜져 왔다고 봅니다.박사님 안나오신 편은 안봐서 모르겠습니다만...), 왜 박사님 연휴에 쉬시지도 못하게 방해하는지...다음회 준비하셔야 하는데;;;

  • @immunezoo
    @immunezoo5 жыл бұрын

    왕장군.. 왕씨성을 가진 지휘관 ㅋㅋㅋㅋ 볼드모트 급 ㅋㅋㅋㅋ

  • @user-or4gb9qf1s

    @user-or4gb9qf1s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 ㅋㅋㅋㅋ 🤣

  • @minmanjo5064

    @minmanjo5064

    2 жыл бұрын

    척준경을 소재로 한 드라마가 만들어질 수 없는 이유ㅠㅠ

  • @user-us6be2fm8l

    @user-us6be2fm8l

    2 жыл бұрын

    그분의 이름을 공중파에서 부를 수가 없어ㅠ 드라마로 제작하면 이름 바꿔야지

  • @user-oh6uf5mw6v

    @user-oh6uf5mw6v

    2 жыл бұрын

    @@user-us6be2fm8l ㅋㅋㅋㅋㅋ진짜 멍하게보다가 ㄱ터졌네 ㅋㅋ

  • @mun4946

    @mun4946

    2 жыл бұрын

    성 이름 둘다 완벽 ㅋㅋㅋㅋㅋ

  • @user-qc1ck5te4j
    @user-qc1ck5te4j6 жыл бұрын

    명절에도 역시 전쟁사

  • @anonymous-yx6kf
    @anonymous-yx6kf6 жыл бұрын

    왕씨성을 가진 장군..ㅠㅠ............................ 이름만 조금 달랐어도 역사책에 척준경이랑 오르락내리락 했을텐데.. 차마 아가들한테 보여줄 수 없는 이름과 성의 조화..;;

  • @yhansookim7850

    @yhansookim7850

    4 жыл бұрын

    고딩때 담임 강성기

  • @xingkey

    @xingkey

    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고구려 장수왕의 아들 조다가 욕설이 되었듯이, 왕자지 장군은 자랑스러운 이름이 되었을 수도.

  • @user-iq9cb3qy7c

    @user-iq9cb3qy7c

    4 жыл бұрын

    @@yhansookim7850 저는 학생주임 선생이 안성기선생

  • @user-wb7pv4cl4o

    @user-wb7pv4cl4o

    4 жыл бұрын

    2차성징 수북해진 중고딩보고 아가라니 구에에엑

  • @examsystem0083

    @examsystem0083

    3 жыл бұрын

    그 왕자지 때문에 그 시기 사극이 못나온 썰이 ㅠ.ㅠ ㅋㅋㅋ

  • @jhlim3321
    @jhlim33216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밌게 보고있어요~ ㅋㅋ

  • @user-vl2mm6gx5r
    @user-vl2mm6gx5r6 жыл бұрын

    잘보고있어요

  • @maxian9859
    @maxian98596 жыл бұрын

    명절에도 올려주시는군요.. 감사합니다.

  • @user-mk1et4wo4b
    @user-mk1et4wo4b6 жыл бұрын

    명절기간동안 69편을 3일 날새면서 유튜브로 모두 보았습니다. 웃으면서 감동받으면서 미래를 생각하는 힘! 그리고 깊이 생각 하면서 역사는 이것이구나! 참 감사합니다.

  • @gatsby2298

    @gatsby2298

    3 жыл бұрын

    ㅠㅜ폐지ㅜㅠ

  • @user-su8cy6vg2t
    @user-su8cy6vg2t6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잘보고있어요!! 평생 방송 해줘요!!

  • @ms8233
    @ms82336 жыл бұрын

    네분의 진행 어쩜 이리도 잘하시는지 계속 기다렸네요 ^^

  • @user-vl9jz2lr8r
    @user-vl9jz2lr8r6 жыл бұрын

    으아 기다렸어요ㅜㅠㅠ 너무 재밌어 미치겠다!!!

  • @user-xn6gr1fn6g
    @user-xn6gr1fn6g6 жыл бұрын

    그동안 잘 봐오면서도 좋아요를 처음 눌러보네요. 이런 역사이야기프로가 있어서 고맙고 짬 내어 시청하는 내내 즐겁습니다.

  • @user-mb5dv4yu1b
    @user-mb5dv4yu1b6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자기 전에 꼭 챙겨보고 잡니다 재미있게 보겠습니다

  • @KIMGGOMSU
    @KIMGGOMSU6 жыл бұрын

    아 정말 이 프로 최고네.. 잘 보고 있습니다..

  • @yops8574
    @yops85745 жыл бұрын

    인간적으로, , 너무 재미있는거 아닙니까!

  • @user-gr7yl6xh1n
    @user-gr7yl6xh1n6 жыл бұрын

    29:53 아임 유어 퐈더ㅋㅋㅋㅋㅋ

  • @yoriro
    @yoriro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naruhd
    @naruhd6 жыл бұрын

    이번에도 잘 보았습니다. 세금이 이렇게 잘쓰이다니 기분까지 좋네요 ^^

  • @choijeongin
    @choijeongin6 жыл бұрын

    네 분 찰떡궁합!!!

  • @jj-cs2qm
    @jj-cs2qm5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이 날 패션은 당근같으시네요 박사님 강의가 너무너무 재미있어서 구독도 했어요. 토크멘터리 전쟁사 만세

  • @user-uc3uj8rm7d
    @user-uc3uj8rm7d6 жыл бұрын

    일주일에 2번은 꼭 해줘라 진짜... 여태까지 공중파 케이블다 합쳐도 이거보다 재미있는 역사 프로그램 한번도 못봄

  • @user-uz1bk3co8m
    @user-uz1bk3co8m6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렇게 재밌는 역사는 처음이에요

  • @user-qo2ud8py1d
    @user-qo2ud8py1d6 жыл бұрын

    일잘해 칭찬해 ^_^빠른업뎃고마워열

  • @user-ze6ql1kz3z
    @user-ze6ql1kz3z6 жыл бұрын

    두분다 넘나 좋은거 잇죠

  • @ChunbaeA.K.A.Jangsan_beom
    @ChunbaeA.K.A.Jangsan_beom2 жыл бұрын

    왕씨성을 가진 지휘관 ㅋㅋㅋㅋㅋㅋㅋ 이세환 기자님 동공이 말씀하시는데 계속 떨림 ㅋㅋ

  • @user-ng3rz3qu4f
    @user-ng3rz3qu4f6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역시 최고! 무턱대고 비판하는 사람들 말들은 무시하시길~

  • @arnshutain
    @arnshutain4 жыл бұрын

    1:28 실전 배치,그러나 3:17,8:52,41:32,44:16 명언 03:44 만주 국가의 전략 5:01 1라운드 7:19 농경민족 전쟁. 8:03 작전 9:01 첫번째 성공 9:55 길주까지 진출. 11:47 이주 12:37 척준경의 전공1 14:42 동북9성 위치. 18:18 간도. 19:19 4군6진 21:07 귀문관. 22:02 샛길. 22:44 일자 방어선이 됨.... 24:17 2라운드. 25:06 전공2. 27:38 척춘경 승진. 29:49 ㅋㅋㅋㅋ 30:29 전공3 31:54 여진족의 9성 공격 35:35 길주성 전투 37:44 타협 39:41 전공이 많지만, 정치를 몰라서 최후를 맞이한 척준경.... 42:15 전쟁 이후 금나라 43:14 사료부족

  • @user-un4py1pv6q
    @user-un4py1pv6q6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살면서 척씨는 한번도 못봤어요 ㅎ 너무너무 재미 있어요^^

  • @user-hy5yj1rg7h
    @user-hy5yj1rg7h6 жыл бұрын

    진짜 인생프로그램 10년 20년오래오래갓으면좋겠어요

  • @ssatda_bro
    @ssatda_bro6 жыл бұрын

    32:32 왕자지

  • @S-nowman8910

    @S-nowman8910

    6 жыл бұрын

    이승준 프사누구에요?

  • @user-wg7ni9in1v

    @user-wg7ni9in1v

    4 жыл бұрын

    ㄱㅅ

  • @hwlee761
    @hwlee7616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나폴레옹전쟁사도 한번 방송해 주셨음 합니다 수고하세요~~

  • @user-gm7tt3vt5p
    @user-gm7tt3vt5p6 жыл бұрын

    좋아 너무좋아 이걸우짠데ㅋㅋ

  • @user-kv4qi2kt1l
    @user-kv4qi2kt1l6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여진정벌편! 듣고 나니 힘이 납니다. 인도 무굴제국이야기도 있고 일본전국시대도 있습니다. 인도나 일본 다른 아시아 전쟁사 이야기 다뤄주세요! 기대하겠습니다.

  • @user-dn6pw5te8t
    @user-dn6pw5te8t6 жыл бұрын

    영화 남한산성을 이어서 전쟁사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해주세요!!!! 당시에 조선이 청나라 상대로 이길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는지 임용환 박사님과 이세환 기자님 의견이 궁금해요!

  • @bluespring6279
    @bluespring62796 жыл бұрын

    다음번엔 발해역사도 해주세요 ㅠㅠ

  • @orbanga9209
    @orbanga92096 жыл бұрын

    다 이기는데는 이유가 있고 지는데는 다 이유가 있다는 걸 다시한번 느끼네요, 제발 소는 잃을수있지만 잃고 난 다음에 외양간은 고치는 마인드의 필요성을 느낍니다, 척준경은 드라마 소재로 너무 좋은데 여진정벌도 드라마틱 하고 우리역사에서 국경외에서 싸운 몇 안되는 전투이기도 하고 사극 좀 나왔으면 좋겠네요. 왕장군 때문에 힘든가 ㅋㅋ

  • @whistler5843
    @whistler58436 жыл бұрын

    재밋당ㅋ

  • @user018bdjsnxbzmdjf
    @user018bdjsnxbzmdjf6 жыл бұрын

    고려 여진 정벌에 이어서 조선시대 병자호란도 해주세요~ 최근 개봉한 영화 남한산성 때문에 관심이 많습니다

  • @user-ng6mx3hc9y
    @user-ng6mx3hc9y6 жыл бұрын

    청일전쟁, 러일전쟁도 해주세요

  • @sshrk7439
    @sshrk74396 жыл бұрын

    척준경 당신은 대체....

  • @user-xp4dx4mg3y
    @user-xp4dx4mg3y6 жыл бұрын

    왕자지 장군의 호가 소중이었던 걸로 압니다. 왕소중.. 자세히 확인하니 아명이 소중이군요ㅎ

  • @ssatda_bro

    @ssatda_bro

    6 жыл бұрын

    이화평 드립이죠?진짜면ㅋㅋㅋ

  • @hellsa3068

    @hellsa3068

    6 жыл бұрын

    아 진짜 ㅋㅋ

  • @user-xp4dx4mg3y

    @user-xp4dx4mg3y

    6 жыл бұрын

    이승준 자세히 알아보니 아명이 소중이군요ㅎ

  • @ssatda_bro

    @ssatda_bro

    6 жыл бұрын

    이화평 설마...

  • @user-lk4ty8yw9o

    @user-lk4ty8yw9o

    6 жыл бұрын

    소중한 왕자지?

  • @LeeHoSung27
    @LeeHoSung276 жыл бұрын

    미국남북전쟁, 일본전국시대, 중국춘추전국시대에 관한 토크멘터리 전쟁사를 보고 싶습니다. 언젠간 나오겠죠????

  • @user-qq1qi1zy4w
    @user-qq1qi1zy4w5 жыл бұрын

    이런 방송이 있다니요~~~

  • @cgkangkang
    @cgkangkang6 жыл бұрын

    어떡해요! 저 이 토크멘토리에 중독 되가는거 같아요 ^^ 정말 제작진들과 출연진들 ♥♥♥^^ 부탁이 있는데요 한반도에서 백제의 진정한 멸망과 함께 한중일 현 동아시아의 구도가 만들어진 "백강전투"는 굉장히 중요한 전투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너무 안 알려진거 같습니다 박사님께서 우리역사에서 백강전투에 대해 설명해 주시고 , 그 의미에 대해 설명해 주셨으면 합니다 부탁해용

  • @yungu8
    @yungu86 жыл бұрын

    태평양전쟁편 했었지만 진주만 공습과 미드웨이 해전에 대해 토크해주세요 ㅎㅎ 갈리폴리전투처럼

  • @Jin-ue9lr
    @Jin-ue9lr3 жыл бұрын

    32:36 이때 임박사님 머리속에 (왕자지..왕자지...)하면서 얼머무리다가 끝내 왕장군이라고 말씀하시며 간신히 위기극복!

  • @user-hh3sm8zf8l
    @user-hh3sm8zf8l6 жыл бұрын

    척준경에 대해 더 알고 싶은 기회가 있었으면 합니다^^

  • @VeryOldFossil
    @VeryOldFossil6 жыл бұрын

    왜 왕자지라고 말을 못하니 ㅋㅋㅋㅋㅋㅋㅋㅋ

  • @xingkey

    @xingkey

    4 жыл бұрын

    왕자지장군 ㅜㅜ

  • @user-bx5sp9bt4f

    @user-bx5sp9bt4f

    4 жыл бұрын

    척준경이 사극에 못나오는 이유ㅋㅋㅋ

  • @Allin7days

    @Allin7days

    4 жыл бұрын

    @@user-bx5sp9bt4f 도깨비에서 공유가 맡은 역인 김신장군이 척춘경을 모델로 했다는... 아마도 전생에 나라를 구해서 공유가 직장을 주고 집과 차를 준 그 사람이 아마도 왕장군이 아니었을까 하는...

  • @user-bx5sp9bt4f

    @user-bx5sp9bt4f

    4 жыл бұрын

    @@Allin7days 도깨비는사극이 아닌가 하는...

  • @user-hp5ow3yz8o

    @user-hp5ow3yz8o

    2 жыл бұрын

    편집될까봐

  • @user-ld3vu5rm3u
    @user-ld3vu5rm3u6 жыл бұрын

    이세환 기자님 넘웃기심ㅋㅋㅋ

  • @user-mv1vn5oh6w
    @user-mv1vn5oh6w6 жыл бұрын

    국방tv가 만든것중 처음으로 재밌고 잘 만든듯 ㅋㅋㅋㅋ

  • @aiphage
    @aiphage5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참 말 잘하심. ㅎㅎ 마력의 언변 !

  • @user-cr4tf4kg6c
    @user-cr4tf4kg6c6 жыл бұрын

    월남전 이야기 해주세요

  • @user-kt3uz9ux9k
    @user-kt3uz9ux9k6 жыл бұрын

    아니 왕자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왕자지 장군ㅋㅋㅋㅋㅋㅋㅋㅋ 교수님들 이름 피하는거봐

  • @user-je2fe2mr7j

    @user-je2fe2mr7j

    6 жыл бұрын

    저도 겁나 당황 ㅋㅋㅋㅋ 순간 '내가 뭘본거야?'ㅋㅋㅋㅋ

  • @joonchoi6675

    @joonchoi6675

    Жыл бұрын

    자는 소중이랍니다ㅋㅋㅋㅋㅋ😂아니 진짜로 ㅋㅋㅋ

  • @user-cw8ri8yv7c

    @user-cw8ri8yv7c

    5 ай бұрын

    전설의 BBC 장군

  • @brotherjew3656
    @brotherjew36566 жыл бұрын

    토크멘터리 전쟁사가 70회나 되었는데 아직도 '전투병이 몇명이냐' ' 몇명 vs 몇명 (누가 좀더 싸움 잘했냐)' 궁금해 하는건 유치하다고 생각합니다. 교수님이 말씀하셨죠 ''전쟁은 경영이다. 전쟁은 치밀한 전략과 계산이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그 경영,전략, 계산의 사례를 보아 미래를 대비하자는 것이죠.

  • @user-xt4zq1km1b
    @user-xt4zq1km1b5 жыл бұрын

    이프로 정규방송 가즈아~~~~~~~~~~~~~~~~

  • @user-gq5us3nh7y
    @user-gq5us3nh7y6 жыл бұрын

    전쟁이라는것 자체가 존재하면 누군가는 무조건적으로 절망에 빠질일인데 아주 오래전 이야기거나, 제 3자로서 볼때는 왜이리 재밌지...

  • @user-sl7rr7tz6f
    @user-sl7rr7tz6f6 жыл бұрын

    다음주는 편집본인가봐요

  • @user-fj1ee7fh5i
    @user-fj1ee7fh5i6 жыл бұрын

    공개방송 한번 해주세요

  • @kwp6950
    @kwp69506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방송감사합니다^^ 혹시 고려말 왜구의 침략과 후삼국시대에 대해 방송하실 생각은 없나요???

  • @user-zz1sg1sv4w
    @user-zz1sg1sv4w6 жыл бұрын

    토크멘터리 보고... 본게임도 기대하고 봤는데.... 역시 토크멘터리.... 퀄리티가 달라

  • @yungu8
    @yungu86 жыл бұрын

    고려판 다스베이더 윤관ㅋㅋㅋ 그나저나 윤지연 아나운서 콧소리 넘 귀여움

  • @kisehn
    @kisehn6 жыл бұрын

    매주 토크멘터리 전쟁사 재밌게 꼼꼼히 챙겨보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요즘 영화 남한산성 관심이 뜨거운데 이 시점에 정묘호란, 병자호란에 대해서도 다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우리나라는 임진왜란같이 극적이고 승리한 전쟁위주로만 대중에 관심이 많고 알려지는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사실 병자호란은 '인기없는' 역사이지만 더 많은 교훈을 줄수 있는 귀한 역사라고 생각해요. 왜 인조가 그와 같은 판단을 내렸는지? 쌍령전투의 실상은 무엇인지? 등등... 궁금한게 너무 많습니다.

  • @mseiksby4541

    @mseiksby4541

    6 жыл бұрын

    일단 위키같은데서 병자호란 정묘호란 치면 많이 나와요 예습한다치고 정독해두면 괜찮을겁니다 알고 보는거랑 아예 모르고 보는거랑 또 다르죠

  • @user-xj8wp9ql2m
    @user-xj8wp9ql2m6 жыл бұрын

    그런데 기자님이랑 교수님은 자료를 어디서 수집하시는건가요?

  • @user-jr8mm7vr8k
    @user-jr8mm7vr8k6 жыл бұрын

    백제 와 신라 전쟁도 해주세요... 부탁합니다

  • @Masin071
    @Masin0716 ай бұрын

    이번 화는 왕장군 한마디로 압축되네요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5 жыл бұрын

    이 프로그램이 재미있어서 제 1부부터 찾아서 보는중... KBS의 역사관련프로그램이나 JTBC 의 차이나는 클라스보다 이 프로그램이 훨씬 훌륭하고 재미있네요.^^;;

  • @user-qy4pw3bb2v
    @user-qy4pw3bb2v6 жыл бұрын

    기자님 군사나 무기같은거는 어디서 찾으시는건지요?? 혹시 조선군에 대한 책같은거는 없나요?? 정말 알고싶은데ㅠㅠ

  • @avohpuc

    @avohpuc

    6 жыл бұрын

    남호양 조선 무기에 대한 서적은 꽤 있는 편입니다

  • @ckik8929
    @ckik89294 жыл бұрын

    크고 아름다운 장군

  • @user-gd5jc4xv2n
    @user-gd5jc4xv2n6 жыл бұрын

    멋찌다 척준경😘

  • @user-zs8pg8ed3x
    @user-zs8pg8ed3x4 жыл бұрын

    고려역사가 이리 재미있었다니

  • @limjayson3361
    @limjayson33616 жыл бұрын

    정말 훌륭한 명언입니다."전쟁을 잊은 민족에게 평화와 번영은없다"6.25가 끝나고 단지 정전협정만이 존재하고있을뿐인데 우리는 너무나 평화가 당연하고 자연스럽게만 생각하고 안일하게만 생각하고있는것같습니다.그리도 절실히 바라는 평화는 강한 군사력과 더불어 구성원들의 단결력과 수호의지가 있을때 가능하다는 사실을 다시한번 깨닫게됩니다.

  • @user-kn2qc6tp9c
    @user-kn2qc6tp9c6 жыл бұрын

    고려에 척준경이 있다면, 금나라에는 사묘아리가 있고, 고려가 동북 9성을 포기한 결정적인 전투였던 갈라수 전투가 없네요. 편집된 건가요 ?

  • @hotworkkim
    @hotworkkim6 жыл бұрын

    기다렸습니다 ㅜㅜㅜㅜㅜㅜㅜㅜ

  • @user-ks5vj4lc3p
    @user-ks5vj4lc3p6 жыл бұрын

    척준경 장군님은 대단하시군요

  • @user-gq5us3nh7y
    @user-gq5us3nh7y6 жыл бұрын

    교수님말씀 공감가는게, 농경민족은 평화를 사랑한다는것... 당장 농부이신 우리 아부지만 봐도, 놀러가는건데도 좌불안석... 휴경기인데도 할게 만다고, 뭘 놀러가냐고 하셨는데... 휴경기면 휴경기대로 다음 농사 준비하느라 바쁘고, 농번기면 당연히 바쁘고, 지금이야 기계라도 있지 고려시대엔 믿을게 소 하나, 그마저도 없어서 동네사람들 품앗이 바라보고 있을껀데 장정들 죄다 군으로가면 암담했을듯...

  • @cjw1222
    @cjw1222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vivivi3865
    @vivivi38654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십자군전쟁 영상 뭔가요? 영화?

  • @Ray-tr3vl
    @Ray-tr3vl6 жыл бұрын

    몇회차 인지는 까먹었는데 짧게나마 포클랜드 전쟁 이야기가 나온 회차가 몇회차인지 아시는분??

  • @kyj2299
    @kyj22996 жыл бұрын

    역시 기다린 보람이 있습니다 역사를 배우는 이유가 장단점을 파악해서 장점은 더욱 발달시키고 단점은 철저히 분석해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는 전에 하신 말씀도 생각나고 이번화의 기억에 남는 것은 우리의 입장에서 볼게 아니고 국제정세와 상대방의 노림수를 파악해야 한다는 겁니다 지금 북핵때문에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전쟁에 대한 위협이 높아가고 있는데 우리의 입장(평화)만 주장할게 아니라 북한과 주변국들의 노림수를 파악하는 인재가 나왔으면 합니다만...없겠지요

  • @Jaundae
    @Jaundae6 жыл бұрын

    소드마스터!

  • @user-tn2et1pi9p
    @user-tn2et1pi9p6 жыл бұрын

    음...이름거참 대단하군

  • @love_xxaplee
    @love_xxaplee7 ай бұрын

    이 편에 드디어 왕씨 성을 가진 장군이 나오시는구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cw8ri8yv7c

    @user-cw8ri8yv7c

    5 ай бұрын

    BBC 장군

  • @laputa8099
    @laputa80996 жыл бұрын

    떳구나!!

  • @user-cx4tg9us5k
    @user-cx4tg9us5k5 жыл бұрын

    나도 예전에 본적있다 모지도에 선춘령 두만강 북쪽에 있었다는걸로....긴가민가?어찌되었든 고려는 최선을 다한거임... 결국 화친하고 9성 돌려주고 물러났지많....그 기상은 높이 사줄만하죠.

  • @user-wn5of4og8i
    @user-wn5of4og8i6 жыл бұрын

    무신정변 처인성전투도 부탁드립니다

  • @user-nt1oq8ys4l
    @user-nt1oq8ys4l6 жыл бұрын

    왕자지 장군님 내용 어디 쯤에?

  • @user-jz1nf2dv3r
    @user-jz1nf2dv3r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일제사관의 역사의식으로 정치하시는분들이 많아요 역사공부를 잘 못하면 역사의식도 곁길로 간다는것을 알게됬네요 박사님

  • @hy1913
    @hy1913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역사공부를 할때 윤관장군이 여진을 정벌하고 9성을 쌓았다가 여진이 달라고 해서 그냥 줬다고 되있어서, 나약한 고려군이라고 생각했는데, 애초에 9성이 지키기 불가능한 곳이였네요. 재대로 배워갑니다 ㅎㅎ

  • @user-fm9rt4jo7v
    @user-fm9rt4jo7v6 жыл бұрын

    왕장군님이 이름만 아니면 척준경과 함께 드라마나 영화에도 엄청 출연하셨을텐데... 이태리 명품 브랜드중에는 boggi 가 있음 왕장군님 이름과 함께 억울하게 호부호형을 못함. 그리고 이세환기자님 임용한교수님께 척준경을 발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라고 이거 보시면 전해주세요.^^

  • @user-lj9vs1om8l

    @user-lj9vs1om8l

    3 жыл бұрын

    보기라고 읽으면 되잖아

  • @choco8348
    @choco83486 жыл бұрын

    왜 이렇게 업로드가 안되나요? 어디 다른데서 미리 볼 수 있는곳이 있기라도 한가요???

  • @user-iu5pe6co1c
    @user-iu5pe6co1c5 жыл бұрын

    학원에서 국어 가르치는데 가끔 국사배경지식이 필요한 작품들은 설명하는데 애들이 정말 역사에 관해 무지한건 뭐 개인차가 있다지만 전반적인 분위기가 옛날얘길 왜 배워야돼? 라고 하는데 진짜 가슴아픕니다 ㅠㅠ

  • @user-kg5hd6xx5v
    @user-kg5hd6xx5v6 жыл бұрын

    전투요원1~2만면 나머지 비전투요원15~16만은 보급부대나 요역인가요?

  • @user-gc7xo5di5l

    @user-gc7xo5di5l

    3 жыл бұрын

    ㅇㅇ 전쟁에서 젤 중요한 건 보급

  • @Ima184mm
    @Ima184mm6 жыл бұрын

    원거리 특화 유닛만 배출하다가 돌연변이로 가끔 저렇게 절정의 근접 특화 유닛이 나왔구나

  • @junhapark6901

    @junhapark6901

    3 жыл бұрын

    괴자마? 척준경?

  • @comicplaying80
    @comicplaying806 жыл бұрын

    오우 드디어 최신편 따라잡았다

  • @user-fp6wf5vy2y
    @user-fp6wf5vy2y3 жыл бұрын

    8:50 전쟁에는 도덕이 없다. 전쟁이 따지고 보면 집단학살인데 그 상황에서 도덕이 어디 있나요.

  • @user-cd4mv8hb6d
    @user-cd4mv8hb6d6 жыл бұрын

    그시절의 왕장군님! 개명좀 해야겠다~~~

  • @user-zi6wj3oh4u

    @user-zi6wj3oh4u

    6 жыл бұрын

    손성호 왕고추!!

  • @s.koreaman1933

    @s.koreaman1933

    6 жыл бұрын

    김진호 앜ㅋㅋㅋㅋㅋㅋㅋㅋ

  • @knownun5030
    @knownun50305 жыл бұрын

    척준경의 성장기때가 거의 일진 날건달이라고 기록돼어 있다고 하는데 고려시대때 할수있는 일진짓,날건달짓이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음주승마폭주?

  • @user-mg4cn2fm6k

    @user-mg4cn2fm6k

    4 жыл бұрын

  • @vivivi3865

    @vivivi3865

    2 жыл бұрын

    승마폭주 개꿀잼각ㅋㄱㅋ

  • @leehez1224
    @leehez12245 жыл бұрын

    존경하는 왕자지 장군!!!

  • @user-jjy1015
    @user-jjy1015 Жыл бұрын

    26:26 놀랍게도 척준경 이야기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금나라기록에도 있어서 교차검증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더믿을수가 없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