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크멘터리 전쟁史] 36부. 비잔티움 제국 전쟁사 2편

천년의 역사를 가진 비잔티움 제국 그 두번째 시간

Пікірлер: 374

  • @user-mt8pp3eq6e
    @user-mt8pp3eq6e7 жыл бұрын

    진짜 국방이 제대로 하나 뽑은듯

  • @gatsby2298

    @gatsby2298

    3 жыл бұрын

    폐지됨

  • @user-ou2vg9mp1o

    @user-ou2vg9mp1o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ㅜㅜ

  • @user-eb4zj8jx6e
    @user-eb4zj8jx6e7 жыл бұрын

    방송하시는 네분 최고 입니다 .. 역사방송을 좋아해서 여럿봐왔지만 .. 이프로 만큼 깊이 있고 핵심을 깊이 파고 드는 방송은없는거 같습니다 .. 최고 입니다 .. 오래오래 많은 분야를 다루어 주셧으면 좋겠습니다 .

  • @gatsby2298

    @gatsby2298

    3 жыл бұрын

    폐지ㅡㅡ

  • @user-ju9eb5wh2j
    @user-ju9eb5wh2j Жыл бұрын

    임용한 박사님의 자주국방에 관한 의견에 백프로 동감합니다. 박사님의 지식에 감히 비할수는 없겠지만 저도 전쟁사를 좋아하는지라, 국가는 힘이 있어야된다는 생각을 늘 가지고 있었습니다. 내가 사는 시대에도, 그 후에도 전쟁이 안 일어나길 바라지만...그럼에도 일어날 수 있는게 전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제대한지 15년이 지났음에도 군복을 아직 안 버리고 있습니다.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 @user-wn5tc3jz4k

    @user-wn5tc3jz4k

    Жыл бұрын

    임용한 박사님의 평화는 돈으로 살수없다는 말씀때문에 이프로가 폐지된듯요...어처구니 없죠.

  • @user-xn4mj1wl5r

    @user-xn4mj1wl5r

    Жыл бұрын

    @@user-wn5tc3jz4k 그렇게 생각하는 근거가 뭔가요? 카더라 통신이나 뇌피셜인 것 같은데요.

  • @user-cc2ie2hr3g

    @user-cc2ie2hr3g

    10 ай бұрын

    ​@@user-wn5tc3jz4kㅂㅅ1

  • @jamiealger7246
    @jamiealger72465 жыл бұрын

    이때까지 비잔티움 제국에 대해 무지 했었고 또한 관심도 없던 제가 이 방송분을 계기로 새롭게 보게 되었습니다. 좋은 방송 너무 감사 드립니다!

  • @user-wk8dd5xx4s
    @user-wk8dd5xx4s7 жыл бұрын

    이건 중고등학생 필독 동영상입니다. 토크멘터리 전쟁사 보기 운동을 전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33puravida98

    @33puravida98

    7 жыл бұрын

    중선 중고등학생요? 중고생만 이 기쁨을 누리라고요? 누구나 다 봐야 합니다.

  • @user-dk8pf2cz1x

    @user-dk8pf2cz1x

    7 жыл бұрын

    중선 똥☆들이 필독 영상입니다.....특히 육사출신 똥☆~

  • @lapark4524

    @lapark4524

    7 жыл бұрын

    중선 난 먼나라이웃나라 만화로 봣엇는데 격세지감이네여 ㅋㅋ

  • @user-wq4rq5pg4i

    @user-wq4rq5pg4i

    7 жыл бұрын

    아 내가 달려고 했는데

  • @lapark4524

    @lapark4524

    7 жыл бұрын

    정연우 타이밍 ㅍㅌ???

  • @am_ihuman
    @am_ihuman7 жыл бұрын

    이제서야 나오네요! 참으로 기대됩니다. 그리고 이제 저도 얼마안있으면 군대에 가는데 여러분들의 응원에 힘입어 군대의무 열심히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bl9qd4ly9t

    @user-bl9qd4ly9t

    5 жыл бұрын

    전역했겄네 ㅋㅋㅋㅋ

  • @Ds-qn8tx

    @Ds-qn8tx

    3 жыл бұрын

    @@user-bl9qd4ly9t 오 진짜 ㅋㅋ

  • @Black_Dove99

    @Black_Dove99

    2 жыл бұрын

    그리스의 불은 현대의 네이팜탄처럼 불에 닿은 물체에 달라붙었고 바다속에서도 불길이 어느정도 유지되었다고하네요 kzread.info/dash/bejne/o2Fqo8Sjg6i1m9o.html

  • @am_ihuman

    @am_ihuman

    2 жыл бұрын

    전역한지 2년이 되었습니다. 이 답글들을 이제야 보내요 ㅋㅋㅋ

  • @am_ihuman

    @am_ihuman

    2 жыл бұрын

    전역한지 2년이 되었습니다. 이 답글들을 이제야 보내요 ㅋㅋㅋ

  • @roji4077
    @roji40777 жыл бұрын

    국방부는 정훈교육할때 그냥 이거나 틀어줘라.

  • @been1711

    @been1711

    5 жыл бұрын

    SR G 진짜 우리 장병들 정신교육시간에 강군비타민 이런거 말고 이런거 봤으면..

  • @user-ir9xy7gs3n

    @user-ir9xy7gs3n

    4 жыл бұрын

    예비군 교육할때도 이거 틀어주면 잼잼

  • @user-sv6vf9ux3c

    @user-sv6vf9ux3c

    4 жыл бұрын

    팩트에 기반한게 이렇게나 재밌다니

  • @juhnnyb

    @juhnnyb

    4 жыл бұрын

    "정훈 또 언제 합니까?"

  • @tkwkah77

    @tkwkah77

    4 жыл бұрын

    이런걸국방부가 지루하다가 폐지함

  • @primarch02
    @primarch022 жыл бұрын

    이 프로는 정말 좋은 교양 프로.... 진짜 10년후에도 볼 프로그램이다....

  • @user-vt4th5nv2m
    @user-vt4th5nv2m7 жыл бұрын

    2편 보라고 정말 기대하였습니다.

  • @napleongyi4266
    @napleongyi42667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짧은 세계사 내용으로는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았던 십자군 전쟁의 비밀을 알다.

  • @arona6971
    @arona69717 жыл бұрын

    몇일전부터 연속보고잇는데 정말재밋네요. 인류역사는 전쟁역사란 말처럼 이채널만 봐도 전세계 역사를 배울 수 잇게되네요. 좋은 프로그램 감사합니다, (꾸벅)

  • @jelom-db3pg
    @jelom-db3pg7 жыл бұрын

    자주국방 화이팅입니다 ^^👍🏻👍🏻

  • @Lz129
    @Lz1297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중세 전쟁사가 이렇게 흥미진진 할수가 있나요?? 박사님 ㅠㅠ 이번 얘기는 지금까지 나온것중 다섯손가락 안에 꼽을수 있을듯. 시간 가는 줄 몰랐네요

  • @pangcoo3932
    @pangcoo39327 жыл бұрын

    매주 잘보고있어요..

  • @user-ov6rf6mh6z
    @user-ov6rf6mh6z3 жыл бұрын

    요즘 국방TV 푹빠져서 열심히 보고있습니다 외~이제 보는건지 건투를 빕니다 화이팅하세요 ^^^

  • @moonkyushin3511
    @moonkyushin35116 жыл бұрын

    이세한 기자님 진자 넘 좋음

  • @Goryeodabang
    @Goryeodabang3 жыл бұрын

    뒤늦게알게되어 너무재미있게 보고있어용! !

  • @user-dz2ts6sj5r
    @user-dz2ts6sj5r7 жыл бұрын

    이번 편 역대급 재미다8ㅅ8 다음 주 까지 어떻게 기다리나요ㅜㅠ

  • @user-op7dj8co4u
    @user-op7dj8co4u6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있습니다

  • @onesimo9858
    @onesimo98586 жыл бұрын

    감사요~.

  • @user-fb3ni3bm1i
    @user-fb3ni3bm1i6 жыл бұрын

    넘 잼나요~~ 세상 전쟁사는 다 나왔으면 좋겠어용 ㅎㅎ

  • @peasantofbretonnia5244
    @peasantofbretonnia52446 жыл бұрын

    고오오오급지다 프로그램이 정말 굳굳

  • @user-ys5ne2wk7s
    @user-ys5ne2wk7s3 жыл бұрын

    이제야 알고 봅니다. 너무 재밋어요^^

  • @user-zr9ir9rj7t
    @user-zr9ir9rj7t7 жыл бұрын

    재미썽~~!

  • @user-wu3rg4dj4b
    @user-wu3rg4dj4b7 жыл бұрын

    수능 때 세계사 선택했었고 대학 가서도 세계사 공부를 틈틈이 했었는데 몰랐던 사실에 대해서도 많이 알고 갑니다.

  • @shaftanton3844
    @shaftanton38444 жыл бұрын

    4차 십자군 때 털린 동로마 문화재 중 청동상 일부와 대리석은 베네치아로 옮겨져 후에 산마르코 성당을 장식하는 용도로 쓰였고, 현재도 가면 당시에 약탈해온 유물들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예쁜 바닥의 대리석과 볼거리들인 청동상들이 약탈해온거라는게 씁쓸한 십자군의 흑역사죠.....

  • @Black_Dove99

    @Black_Dove99

    2 жыл бұрын

    그리스의 불은 현대의 네이팜탄처럼 불에 닿은 물체에 달라붙었고 바다속에서도 불길이 어느정도 유지되었다고하네요 kzread.info/dash/bejne/o2Fqo8Sjg6i1m9o.html

  • @user-xx4nd1zi6n
    @user-xx4nd1zi6n7 жыл бұрын

    크 다음편 기대됩니다

  • @AeMaeK
    @AeMaeK7 жыл бұрын

    드디어떳다 ㅋㅋ 잘볼게영

  • @user-yi4ky8iw1y
    @user-yi4ky8iw1y7 жыл бұрын

    와 ~ 드디어 기다리던 십자군 전쟁이 나옵니다...ㅎㅎㅎ...감사헙니다...!...재미있게 보겠습니다...ㅠ ㅠ ㅠ ㅠ ....ㅎㅎㅎ...

  • @onelee4236
    @onelee42367 жыл бұрын

    질 봤습니다~

  • @ultrahwb
    @ultrahwb7 жыл бұрын

    일단 좋아요 누르고 시청!!

  • @oodelicious
    @oodelicious3 жыл бұрын

    와 마지막에 임용한 교수님 말씀 명언이다 ㅠㅠ 감동

  • @lifesound141
    @lifesound1416 ай бұрын

    수면을 위한 영상으로 잘 보고 있습ㄴ

  • @sjsjdjdjd9484

    @sjsjdjdjd9484

    25 күн бұрын

    광고도 없어서 끊김 없이 듣고 잠 ㅋㅋㅋㅋㅋ

  • @shsh09608
    @shsh096085 жыл бұрын

    박사님 "그랬더니 저 용감한 할아버지가..." ㅋㅋㅋㅋㅋㅋ

  • @user-ir9xy7gs3n
    @user-ir9xy7gs3n4 жыл бұрын

    영상이 참 유익해

  • @goodcitizen1401
    @goodcitizen14013 жыл бұрын

    21년에도 보는중 😍

  • @ii-xk2qe
    @ii-xk2qe3 жыл бұрын

    졸잼이에요 정말

  • @junhapark6901
    @junhapark69013 жыл бұрын

    17:26~17:34 흔한 기자의 연기력 ㅋㅋ 이세환 기자님 재연할 때 너무 웃겨

  • @avonjohn3393
    @avonjohn33934 жыл бұрын

    교양과 재미가 넘치는 프로그램 너무 감사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우리가 지켜야 한다는 교수님의 결론에 백번 공감하지만, 덧보태고 싶은 말은 군대에 가지도 않고 정치 지도자 혹은 사회 지도자라고 행세하는 자들부터 청소합시다. 그래야 군대에 가기 싫어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없앨 수 있을 것입니다.

  • @user-xd6tq2oc3r
    @user-xd6tq2oc3r7 жыл бұрын

    3편 기다립니다

  • @user-xc6vf6nm6q
    @user-xc6vf6nm6q7 жыл бұрын

    꿀잼

  • @max-carving4203
    @max-carving42033 жыл бұрын

    자주국방!!!!!

  • @user-hz2fc3gb4h
    @user-hz2fc3gb4h7 жыл бұрын

    크루세이더 기대만땅입니다😀

  • @user-vt4gb5ro5z
    @user-vt4gb5ro5z7 жыл бұрын

    잼있다

  • @user-cq3wm6dy7f
    @user-cq3wm6dy7f7 жыл бұрын

    14:40 철쇠→철쇄(鐵鎖)입니다.

  • @user-yy2sq5pv6x
    @user-yy2sq5pv6x7 жыл бұрын

    좋네

  • @bulbob100
    @bulbob1005 жыл бұрын

    나 진짜 역사 사회 선생님이 이분들이었으면 만점이었다 아니 아니 그냥 대학 진로도이쪽으로 확실히 정했을듯 넘나 재밌음

  • @user-uh5by9dh1j
    @user-uh5by9dh1j5 жыл бұрын

    개꿀잼

  • @user-nx5ce5ko5u
    @user-nx5ce5ko5u7 жыл бұрын

    진짜 재미있다 ♥♥

  • @layssaltvinegar6280
    @layssaltvinegar62807 жыл бұрын

    잠수함이나 미사일, 첨단무기, 특수부대 암살단들 해주세요~

  • @piusx100
    @piusx1004 жыл бұрын

    3. 비잔티움의 무기로 "그리스의 불"을 들고 나왔는데, 그리스의 불이라는 명칭은 십자군 시대 이후 영미권 등지에서 불 명칭으로 원래는 "바다의 불" (πῦρ θαλάσσιον), "로마의 불" (πῦρ ῥωμαϊκόν), "전쟁의 불" (πολεμικὸν πῦρ) 등이라고 불렀습니다.

  • @user-lx2pt6oy6e
    @user-lx2pt6oy6e2 жыл бұрын

    불변 역사의 교훈 자주국방!

  • @user-vd5dz1es5r
    @user-vd5dz1es5r7 жыл бұрын

    비잔틴멸망 후 오스만은 거포,해안포가 발달하고 유럽은 야전에서 끌고다니는 야포가 발달합니다.

  • @user-th8hj9zd6d

    @user-th8hj9zd6d

    7 жыл бұрын

    김정관 그러군 음음

  • @user-hy6sv1dm8p

    @user-hy6sv1dm8p

    7 жыл бұрын

    orientpianosang 육군대학이나 국방대학원 출신이세요?????(다들 전문가 같아요)

  • @user-ok9lm3fj5l

    @user-ok9lm3fj5l

    7 жыл бұрын

    그래서 1차대전에 오스만제국 영국군이랑 싸우는 영화들 보면 거대 해안 요새포들이 보이는건가요? 안습인건 그래도 영국군 함포보다 사거리 딸림ㅠㅠ

  • @user-vd5dz1es5r

    @user-vd5dz1es5r

    7 жыл бұрын

    네. 그렇죠. 처칠의 삽질때문에 갈리폴리 전투에서 승리하긴 했으나 무기에서는 너무 낙후된 기술을 가지고 있었죠. 하지만 사정권에만 들어온다면 거포가 얼마나 무서운 무기인가는 증명했죠. 현대전에서도 해안포는 무시하지 못할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 @user-ok9lm3fj5l

    @user-ok9lm3fj5l

    7 жыл бұрын

    김정관 그렇기 때문에 저공 공격기가 미사일를 뿌려대고 그앞에 초라한 밥신세가 되죠. 그리고 그때문에 레이더와 SAM등 각종 대공체계를 설치하죠. 그때문에 대 레이더 미사일과 스텔스 공격기가 떠오르죠. 그때문에... 고만좀 해 미친놈들아...

  • @Dog-xl7ms
    @Dog-xl7ms7 жыл бұрын

    십자군 전쟁 특집 해주세요 현기증난단 말이에요

  • @QueensLumination
    @QueensLumination4 жыл бұрын

    문명5에 나오는 엔리코 단돌로가 여기에서 나오네

  • @piusx100
    @piusx1004 жыл бұрын

    4-2. 오히려 비잔티움 쇠퇴의 원인은 테마 제도(군관구) 해체가 아닐까 싶습니다. 중국식으로 번역하자면 농사를 짓는 둔전병인데, 관료와 호족 세력간의 갈등으로 인한 내분으로 황제들이 테마 관리에 거의 힘을 못 썼고, 그 사이에 귀족 세력의 둔전 사유지화 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나면서 제국의 변경 방어력이 상당히 약화된 것이죠. 이는 유능한 니키포로스 2세, 바실리오스 2세 때도 꾸준히 진행되던 현상입니다. 요안니스나 바실리오스는 이러한 경향을 억제하긴 했습니다만, 그 이후 고삐가 풀려버리지요.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국은 그마나 4차 십자군 때까지는 통합된 힘을 유지하지만요. 4차 십자군의 일격을 맞고 제국은 두 번 다시 옛 영광을 회복하지 못하죠. 물론 영광을 회복하지 못했다 해도 제국이 얼마나 놀라운 저력을 가졌는지, 제국의 분국들이 보인 활약상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그래봐야 "합쳐진 상태였다면?" 하는 가정에서 끝나지만요.

  • @shaftanton3844

    @shaftanton3844

    Жыл бұрын

    테마제도의 경우는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동로마제국이 가지고 있던 야전군다운 야전군(테마군)이 "증발"해버리면서 유명무실해져버렸고, 용병 비율이 날이 갈수록 높아지면서 망했죠

  • @Erintarianumenoro
    @Erintarianumenoro7 жыл бұрын

    [이런 연상 볼때마다 느끼는 건데, 유스티니우누스 시절 고토 회복, 그리고 십자군 전쟁은 주구장창 설명하면서 정작 로마 제국(당시에 그들은 비잔티움이 아닌 스스로가 로마인이라 생각했다.)중흥기인 마케도니아 왕조의 대한 서술은 다 제외시키네요. 또한 십자군을 언급하더라도 이후의 필로멜리온 전투에서 롬 술탄국을 패퇴시킨것, 또한 마누엘 대제의 이르러 다시한번 전성기를 이룬것의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네요.]

  • @myungkyunseo3072

    @myungkyunseo3072

    3 жыл бұрын

    Constantinus Palaeologus 이런 글 왜남김? ㄹㅇ 자기 지식 자랑하고 싶어서 근질근질 하노 시간 없어서 최대한 줄인건데 어떡하라고

  • @user-qz1zt3gs9e

    @user-qz1zt3gs9e

    3 жыл бұрын

    @Every man need a good blow 마케도니아 왕조가 자질구리..?;; 비잔틴 전쟁사에서 가장 중요한것 중에 하나가 바실리오스 2세 치세의 동로마군인데 그걸 제외한게 아쉽다고 말도못함?

  • @user-zg6rx4rm9q

    @user-zg6rx4rm9q

    2 жыл бұрын

    @Every man need a good blow 바실리오스가 자질구리?? 니키포로스 2세, 이라클리오스와 같이 수많은 로마 황제 중에서 가장 뛰어난 정복자들중 하나였는데?

  • @judgeyong6
    @judgeyong67 жыл бұрын

    십자군 전쟁 완전기대!!! 살라딘 VS 리처드

  • @JazzMusicLofi
    @JazzMusicLofi5 жыл бұрын

    예비군때도 다른거보다 이거 틀어주면 좋겠어요

  • @gatsby2298
    @gatsby22982 жыл бұрын

    LEGEND

  • @youngc3276
    @youngc32767 жыл бұрын

    아 진짜 꿀재미 이영상을 보고 터키에 가볼까 한다 아 역사여...

  • @user-cq6cz5lh2q
    @user-cq6cz5lh2q7 жыл бұрын

    드디어 나왔네

  • @user-vp9dd7nz5i
    @user-vp9dd7nz5i7 жыл бұрын

    항상 결론은 자주국방, 그리고 적한테 돈주고 사는 평화는 평화가 아니다. 딱 이거암. ㅋ 아무튼 졸잼

  • @user-ur4ce9pl5m

    @user-ur4ce9pl5m

    4 жыл бұрын

    @@user-fi2vi5xj7f 극단적인 방법으로 지지를 얻으려 하지 좀 말아봐 그렇지 않아도 정치판은 얼마나 깔게 많은데.그렇게 해서 지지 얻는게 빠르고 단기적으론 효과가 좋겠지만 결국 나중에 보면 똑같이 생각없는 떨거지 모으는 것뿐임

  • @ack3145
    @ack31455 жыл бұрын

    썩어도 준치라고 로마의 유산이 그냥 있는게 아니네....ㅎㄷㄷ

  • @grom-89
    @grom-897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역사상식을 쌓을 수 있는조은 프로그램 국방부가 비리에 온상이지만 이 프로그램에 들어가는 돈은 아깝지 않은듯...

  • @FriedrichTheGrasse
    @FriedrichTheGrasse7 жыл бұрын

    꿀잼 꿀잼

  • @flashkims
    @flashkims7 жыл бұрын

    다음편엔 살라딘과 리차드왕이 나오겠군요

  • @user-yo6dj9uh3q
    @user-yo6dj9uh3q5 жыл бұрын

    언제 한번 4분이서 그리스의 불부터 중세 무기를 직접 제작하고 사용해보는 시간을 가져도 정말 꿀잼일꺼 같아요 크라우드펀딩이라도 열어서 제작비 충당하면 어때요?

  • @user-zv1vb8fk4q
    @user-zv1vb8fk4q2 жыл бұрын

    사장바뀌고 없어져 버린 토전사ㅜ

  • @user-kz1qe7ns2s
    @user-kz1qe7ns2s6 жыл бұрын

    돈으로 산 평화는 오래갈수 없다.전쟁을 바라는 사람은 없지만 전쟁이 필요한 상황에서 피해서는 안된다.

  • @Hyuchan1002

    @Hyuchan1002

    3 жыл бұрын

    1000년 넘었는데 ㅋ

  • @hitgirl6201
    @hitgirl62017 жыл бұрын

    역시 잼나다...그리고 담주....리차드과 살라딘이 나을듯

  • @user-nx5ce5ko5u
    @user-nx5ce5ko5u7 жыл бұрын

    네이팜탄이랑 백린탄은 뭐가 다른가요?

  • @shaftanton3844
    @shaftanton38444 жыл бұрын

    만지케르트에서 테마군의 주력이 증발하면서 동로마의 몰락을 앞당긴건 맞습니다..... 이 때 잃은 군단들은 회복이 안됐고, 테마는 변질되거나 쇠퇴하였고, 동로마인들은 군역을 지려고 하지 않고 국방비를 내는 풍조가 생겨나면서 동로마의 군사력은 점점 약해져갔죠.....

  • @user-zg6rx4rm9q

    @user-zg6rx4rm9q

    2 жыл бұрын

    게다가 만지케르트 이후 디라키움 전투에서마저 노르만족한태 박살나서.. 알렉시오스는 최악의 상황에서 임기를 시작했죠

  • @swy7017
    @swy70177 жыл бұрын

    이번 전쟁사 끝나면 고구려vs수,당 전쟁사 해주셧으면 좋겠습니다 ㅠㅠ

  • @napleongyi4266
    @napleongyi42667 жыл бұрын

    우리는 후손에 물려줄 아름다운 조각품은 만들고 있는지?

  • @user-ok9lm3fj5l
    @user-ok9lm3fj5l7 жыл бұрын

    그리스의 불 화학반응으로 인해 폭발력으로 발사된다고 말씀하셨는데, 삽화의 펌프질은 오류인건가요?

  • @koreanwhistleplayeryiwonja329
    @koreanwhistleplayeryiwonja3297 жыл бұрын

    언제 해주실꺼예요.

  • @joecho1427
    @joecho14275 жыл бұрын

    스케일이 다르네

  • @user-uf8ti9sw1i
    @user-uf8ti9sw1i7 жыл бұрын

    역시 정직하개 살아야한다는걸 알려준 화였내...

  • @user-li7gw7jp2w
    @user-li7gw7jp2w7 жыл бұрын

    바실리우스 비중이 너무 작은듯 좀만 더 키워서 주면 좋겠어용 저의 의견일 뿐이니 뭐라고 하진 말아주세요

  • @Ima184mm
    @Ima184mm7 жыл бұрын

    저때 비잔티움 털림은 후에 유럽의 르네상스 부흥에 기인하는데...

  • @user-rn7nb5vj8s
    @user-rn7nb5vj8s5 жыл бұрын

    아 저렇게 십자군이 아....와

  • @vxsxxa6608
    @vxsxxa66087 жыл бұрын

    대다수 분들이 살라딘과 리처드의 대결이라고 보시는데 저는 좀 이걸 2편으로 나눴음 좋겠습니다. 만화 십자군 전쟁을 보니까 1차 십자군도 기묘하지만 개인적으로 2차 십자군 전쟁이 가장 흥미진진 하더라구요. 하나의 편으로 만들기엔 너무 아깝다는 생각이 나서.....

  • @user-vd5dz1es5r
    @user-vd5dz1es5r7 жыл бұрын

    전쟁사를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토탈워시리즈, 유로파유니버셜리즈4 강추합니다.

  • @miasan49er

    @miasan49er

    4 жыл бұрын

    김정관 크...마리우스 군제개혁 토탈워에서 배움 ㅋㅋ

  • @Black_Dove99

    @Black_Dove99

    2 жыл бұрын

    그리스의 불은 현대의 네이팜탄처럼 불에 닿은 물체에 달라붙었고 바다속에서도 불길이 어느정도 유지되었다고하네요 kzread.info/dash/bejne/o2Fqo8Sjg6i1m9o.html

  • @user-ir4ne3jn3c
    @user-ir4ne3jn3c7 жыл бұрын

    우선 방송시간을 두배로 늘려서 좀더 세세하게 들어가봅시다

  • @papapang1
    @papapang15 жыл бұрын

    왕좌의 게임에 나오는 와일드파이어가 그리스의 불을 모티브로 한 것인가보네.

  • @verwon1
    @verwon17 жыл бұрын

    업로드가 월요일인줄 알았는데 화요일로 바뀐거가요

  • @piusx100
    @piusx1004 жыл бұрын

    4-1. 비잔티움 쇠퇴의 원인으로 만지케르트 전투를 들고 오셨는데, 사실 만지케르트 전투 자체로 잃은 땅은 얼마 되지도 않습니다. 알프 아르슬란 자체도 아르메니아 지역 이상으로 들어갈 생각은 안 했고, 시아파 칼리프인 파티마 왕조에 더 신경쓰던 상태라 요구한 영토도 도시 몇개 뿐인 정도고요. 로마노스 4세도 패배하긴 했지만 이전에는 셀주크를 강하게 압박하고 황제가 되기 이전 페체네그 족을 여러 번 격퇴하는 등 능력은 있는 황제였고, 현실감각도 있었기 때문에 로마노스가 계속 제위에 있어서 알프 아르슬란과 약속을 지켰다면 제국 자체에 큰 타격은 없었을 거라고 학계는 보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후 후임 정권에서 진짜 아무런 대책도 없는 상태에서 알아서 협정 깨고 셀주크를 자극했고 경제정책도 연달아 실패해 재정도 파국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알프 아르슬란이 로마노스 4세의 복수를 빌미로 침공하자 아나톨리아가 순식간에 넘어간 것이죠.

  • @user-gq2jg7lv6d
    @user-gq2jg7lv6d7 жыл бұрын

    나가서 싸우려고 하는 사람이 몇 있을까...? 요즘 헬조선 헬조선 하는데... 과연 지킬려고 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 @user-hk9gr7sx5h
    @user-hk9gr7sx5h7 жыл бұрын

    역사를 기억하라

  • @juokhan6
    @juokhan63 жыл бұрын

    베네치아가 콘스탄티노플에 맺힌 마음이 많았었나보네요.^^

  • @MK-rt2rs
    @MK-rt2rs4 жыл бұрын

    1:41 2/3(삼분의 이)가 맞습니다

  • @user-ke8bm4ku2c
    @user-ke8bm4ku2c7 жыл бұрын

    그리스 인 황제의 제국! 유일한 로마의 후예! 위대한 팔라이올로구스의 최후까지! 바실레오스 만세! 근데 가장 궁금한게 있는 데 제국의 안티오크 소실 이후에 트레비존드가 그 이상을 이어받으면서 재정적 위기가 있다고 생각하긴 어렵지 않을까요? 유배만 한것도 아니죠! 눈도 뽑고 코도 자르고 그.... 음... 거기도 자르고(...)

  • @younghounkim9935
    @younghounkim99357 жыл бұрын

    지연씨 연예가중계에서 봤어요 오~~이쁘게 나오던데요 항상 응원할게요!!

  • @user-yh7ec1ce8f
    @user-yh7ec1ce8f9 ай бұрын

    비잔틴 제국 중흥기를 대표하는 바실리우스 2세, 콤니노스 왕조 이야기를 다루지 않은게 아쉽네요ㅠㅠ 그래도 나머지 이야기는 잘들었습니다

  • @piusx100
    @piusx1004 жыл бұрын

    지적할 점 2. 비잔티움 제국 사람들은 자신들을 로마인(Ρομαίοι, 로메이)으로, 자신들의 나라를 로마 제국이라고 불렀습니다. 심지어 그들이 쓰던 그리스어도 로마어(Romaic)라고 불렀습니다. 고대 로마 시대의 정부와 국가 체제가 단절 없이 그대로 이어졌기 때문에 당대 비잔티움 사람들의 인식은 그대로 로마 제국이었습니다. "그리스를 중심으로 재편"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그리스 문화나 그리스인이 어느 날 갑자기 제국에 들어온 게 아니라 이미 로마 공화정 말기 때 군사적으로 정복당해 편입되면서 그리스인들도 로마 제국의 일원으로 들어오게 된 것입니다. 대중적 인식과는 달리 로마 제국은 라틴어만을 쓰는 라틴 민족들만의 국가가 아니었으며, 그리스어는 이미 그리스가 로마 제국에 편입된 시절부터 제국 동방의 공용어로 널리 쓰여 왔습니다. 신약성경이 그리스어로 저술되었다는 점, 그리스어로 '물고기'를 뜻하는 단어인 'ἰχθύς'를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하는 암호로 사용했다는 점, 그리스어로 '그리스도'를 가리키는 '흐리스토스(Χριστος)'의 첫 번째 글자 Χ와 두 번째 글자 Ρ를 조합한 '카이-로(Chi-Rho)'를 예수 그리스도를 뜻하는 모노그램으로 썼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고대 로마 시대의 초기 기독교를 구성하던 중심 언어 역시 라틴어가 아닌 그리스어였습니다. 밀라노 칙령 역시 제국의 서방과 동방 모두에 대한 적용의 일환으로 라틴어와 그리스어 두 언어로 공포되었습니다.

  • @user-gx9hk8gt3k
    @user-gx9hk8gt3k7 жыл бұрын

    학교에 비치 되어 있는 분말 소화기의 성분이 인산암모늄인데 이걸 만드는데 들어가는 재료가 암모니아 , 메타인산, 물 입니다. 오줌에는 당연히 암모니아 성분이 있으니까 팔 같은 곳에 그리스의 불이 붙어 있는 곳에 오줌을 뿌리면 냉각 및 질식 효과가 생깁니다. 인체의 70퍼센트는 물 이고 메타인산은 어떤 동물의 조직에라도 다 있습니다. 인간도 마찬가지.

  • @user-er3cx2gd8g
    @user-er3cx2gd8g3 жыл бұрын

    36:29 문명5 엔리코 단돌로 베네치아

  • @user-oy1xi5zj6n
    @user-oy1xi5zj6n6 жыл бұрын

    일본 전국전쟁도 궁금한데.. 나오려나 정주행중이긴하다만 나왔음 좋겠다

  • @miasan49er
    @miasan49er4 жыл бұрын

    시오노 나나미 십자군 이야기보다 더 재밌네 썰로 들으니까 ㅋㅋ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