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Ойын-сауық

#티전드 #어쩌다어른 #알쓸인잡 #tvNSTORY
00:00:00 오프닝
00:00:07 물리학이 만들어낸 것들
00:47:04 물리학자가 사랑하는 물리학자
01:16:45 산타는 얼마나 빨라야 할까?
01:41:26 히틀러의 민낯과 만행
02:02:23 이상은 어떤 인간인가
02:24:48 찰스 다윈, 신에 맞서다
02:47:27 우리 미래를 바꿀 인간
회차 정보 : 어쩌다 어른 2회 / 알쓸인잡 1. 3, 4, 6, 7, 8회
we’re :DIGGLE family

Пікірлер: 238

  • @user-mf6yd1jh2t
    @user-mf6yd1jh2t Жыл бұрын

    유튜브틀고 자다보면 도착하는영상

  • @BoBKuY

    @BoBKuY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똑같구나

  • @Handa715

    @Handa715

    Жыл бұрын

    계속 다른 채널로 유클리드 기하학이 나와욬ㅋㅋㅋㅋ

  • @4RANG3883

    @4RANG3883

    Жыл бұрын

    대박!ㅋㅋ 저도 여기서 멈춰있습니다ㅎㅎ

  • @user-bj4li8fd7v

    @user-bj4li8fd7v

    Жыл бұрын

    새벽에 깜짝놀람

  • @zkzkdi

    @zkzkdi

    Жыл бұрын

    와 소름ㅋㅋㅋ

  • @JDUB0316
    @JDUB031611 ай бұрын

    10분만에 어린시절 배웠던 수학보다 많은 걸 이해했습니다. 좌표계,피타고라스 정리 정말 아름다운 개념이었네요. 이런분한테 수학을 배웠다면 수포자가 되어 문과가 아니라 이과를 갔거나 인생이 매우 달라졌을지도... 조카들에게도 항상 말합니다. 니가 뭔가 배우려는 열정이 있는데 도저히 이해가 안된다면 그건 니 잘못이 아니라 선생님 잘못일 가능성이 크다고. 그 당시 x,y 만 보면 짜증부터 났고 항상 학교를 가면 가르쳐주지도 않은 것을 진도나가고 공식 외우라고 시켰는데 어떤 선생님 한 명도 이게 무엇을 위한 것인지 이 공부의 목표가 무엇인지 가르쳐준 사람 없었다. 대학에서 경제학을 부전공하면서 회계와 중급회계, 경제학과목 전부 A+ 받으면서 깨닳았던 게 바로 그거고 미분,적분이 어려운 게 아니라 잘못 가르쳐서 이해하지 못했다는 거. 명제가 무엇이고 정의가 무엇인지 누구하나 제대로 가르쳐주지 않고 공식만 외우라고 시켰던 그 교육이 원망스럽네요.

  • @mikiyung1

    @mikiyung1

    11 ай бұрын

    1000% 공감.

  • @user-pv6yo2fy7j

    @user-pv6yo2fy7j

    9 ай бұрын

    음..제 생각은 조금 다른게 듣는 사람의 나이대가 중요한거같아요 어린나이대에서는 분명 수학말고 다른게 더 재밌을 나이라 귀에 들리지 않는 부분도 많을듯하네요 듣는 사람의 수준이 올라가고 나이대가 많아지면 들을 준비가 되서 이런 수학이 아름답고 재밌어지는거 같네요

  • @user-lq9dn6bq1h

    @user-lq9dn6bq1h

    9 ай бұрын

    본인들도 제대로 이해 못 헌 채로 가르쳐야 했으니.....;;;

  • @user-ur6yr5or5e

    @user-ur6yr5or5e

    9 ай бұрын

    똑같은 환경에서 잘듣고 잘하는 사람들도 수두룩해요~ 아마 흥미는 가졌겠지만 어려워서 백프로 포기했을거예요~

  • @DIABLO-xy3jq

    @DIABLO-xy3jq

    8 ай бұрын

    쉽게 설명한것일뿐 쉬운건절대아님 궁금하면 서점가서 기초서적보시길. 한국어로된책인데도 한페이지도못읽을거임.

  • @zkzkdi
    @zkzkdi10 ай бұрын

    아침마다 일어나면 틀어져있는 영상 틀어져있음 가끔 보는 영상

  • @looleli936
    @looleli936 Жыл бұрын

    내 알고리즘이 자꾸 이분으로 이끈다;; 내가 멍청한건 또 어떻게 알고 자꾸 공부시킨데

  • @starinwind
    @starinwind Жыл бұрын

    너무 힐링이 되는 영상이네요 ㅎ

  • @UJOOGALAXY
    @UJOOGALAXY Жыл бұрын

    기하하학 너무 재미있고 유익해요

  • @daeuuu
    @daeuuuАй бұрын

    1:18:46 또 정의가 궁금한 과학자..이부분 왜케 귀여우시지..ㅋㅋㅋㅋ

  • @user-qj3jn2hj2t
    @user-qj3jn2hj2t9 ай бұрын

    모든 행성들의 위성들이 같은 원리겠네요

  • @kellySunflower23
    @kellySunflower2311 ай бұрын

    목소리도 좋고 설명 잘하시네요

  • @user-ij3dl7tt6t
    @user-ij3dl7tt6t5 ай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 이야기를 들으면 물리학을 생각하다가 마무리는 철학적으로 끝나서 생각이 많아짐 그래서 사람들이 좋아하는 물리학자가 아닐까 생각함

  • @user-dc5ys1ph5t

    @user-dc5ys1ph5t

    4 ай бұрын

    김상욱교수님이 하는말은 교수님이 나오기 이전에 다 유튜버들이 한 말들이더라고요.

  • @user-jp8uq8yi4p
    @user-jp8uq8yi4p8 ай бұрын

    아.. 흥미롭게 듣고있다가 빛을 비시라고 발음하실때마다 자꾸 집중 깨진다.... 교수님!! 비치라고 발음해주세요 교수님~~~!! ㅠㅠㅋㅋㅋㅋ

  • @js-ly8dl
    @js-ly8dl Жыл бұрын

    잠이 너무 잘와요...

  • @parkhighradish
    @parkhighradish Жыл бұрын

    토론 내용보니 인터스텔라 의 메세지가 생각나네요. 시간이 영원히 변해도 사라지지않는 사랑..

  • @user-kissRudolph18
    @user-kissRudolph188 ай бұрын

    보는 내내 즐겁네요 ㅋㅋ 넘 행복해 보이셔요ㅋㅋㅋㅋ

  • @dudghs3304
    @dudghs33045 күн бұрын

    전쟁은 피흘리지 않는 자가 시작하고 피흘리는 자들만 희생한다.

  • @DDangkkul
    @DDangkkul Жыл бұрын

    24:10 사과🍎와 달🌛

  • @hyojunchon7644
    @hyojunchon76447 ай бұрын

    다 이해하고싶다 젠장. 드릅게 어려워 ㅠㅠ

  • @user-ku9hj9er6e
    @user-ku9hj9er6e4 ай бұрын

    미래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과 즉시 미래를 만드는 세상 그 차이는 없다.

  • @amaruvet4698
    @amaruvet46989 ай бұрын

    쉽게 쉽게 설명 참 잘해 주심

  • @user-kk5lx2qn1z
    @user-kk5lx2qn1z9 ай бұрын

    너무 좋다....

  • @user-cd8cd7xi5p
    @user-cd8cd7xi5p Жыл бұрын

    달이 느려지거나 멈추면 지구에 떨어질까요? 지구는 왜달주위를 돌까요? 달의크기랑 태양의크기는 지구에서볼떄 왜거의 같은크기로 보일까요 모든의문이있음 지구의 달이없었다면 지구의 생명체가 존재할수있을까요 달은 인공적인물체일 가능성은있나요? 등등

  • @user-nn7oc6ho7x

    @user-nn7oc6ho7x

    Жыл бұрын

    잘못된 질문도 섞여있네요.

  • @user-dc5ys1ph5t

    @user-dc5ys1ph5t

    Жыл бұрын

    달이 느려지거나 멈출수는없습니다. 멀어지거나 충돌할수는 있습니다. 달은 이미 지구로 떨어지고있습니다. 그것이 원운동으로 보일뿐이죠. 달과 태양의 크기, 거리의 비율이 거의 맞아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아직 모르거나 알필요가 없습니다. 달이 없었어도 생명체는 존재할겁니다. 운석에 더 많이 맞긴하지만요. 달이 인공적인물체일 가능성은 1도없습니다.

  • @user-cd8cd7xi5p

    @user-cd8cd7xi5p

    Жыл бұрын

    @@user-dc5ys1ph5t 달이없어어도 생명체존재한다는건 아직과학계도 전혀증명못한사실임 달이없으면 자전자체가 멈출가능성있고 위도가 불안정해진다고 다큐에서 본적있습니다 이런가운데 생명체가 존재한다고 어떻게 확신할수있나요 지구말고 생명체존재하는 행성한개라도 발견한적있나요? 달이인공적인 물체일가능성이없다고는 말할수없습니다 왜냐면 지구의탄생과정과 달의탄생과정을 다 가설에 불가하고 진실은 아무도모르기떄문이죠

  • @polycaprolactone1841

    @polycaprolactone1841

    11 ай бұрын

    갑자기 느려졌다고 가정한다면 떨어지려 할겁니다. 반대로 빨라지면 궤도에서 탈출할 것이고 태양과 비슷한 크기로 보이는 것은 그만큼 태양과의 거리가 달과의 거리보다 훨씬 멀기 때문입니다. 생명체는 달이 없었더라도 생겼을겁니다. 다만 형태 등에서 지금과 차이는 생길 수 있습니다.

  • @hyunkang2013

    @hyunkang2013

    11 ай бұрын

    ​@@user-dc5ys1ph5tㅋㅋㅋㅋㅈ도 모르면서 아는 척은 ㅋㅋㅋㅋㅋㅋ오류투성이다 ㅂ5아

  • @whd217
    @whd21710 ай бұрын

    오물오물 하시면서 얘기하니까 좋네요. 뭔가 같이 대화하는것 같고 ㅎㅎㅎㅎ

  • @lilithjeong
    @lilithjeong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이런 재밌는 수업 듣기가 쉽지 않은데 너무 잘 봤어요~~

  • @user-pz2tl4zz8j

    @user-pz2tl4zz8j

    11 ай бұрын

    ​@user-lp3ry3ti4q 🎉😮😮😮😮😮😮😮😮😮😮😮😮😮😮😮😮😮😮😮😮😮😮🎉😮😮😮😮😮😮😮😮😮😮😮😮😮😮😮😮😮😮😮😮😮😮😮😮😮😮😮😮😮😮😮😮😮😮😮😮😮😮😮😮😮😮😮😮😮😮😮😮😮😮😮😮😮😮😮😮😮😮😮😢😮😮😮😮😮😮😮😮😮😮😮😮😮😮😮😮😮😮😮😮😮😮😮😮😮😮😮😮😮😮😮😮😢😮😢😮😮😮😮😮😮😮😮😮😮😮😮😮😮😮😮😮😮😮😮😮😮😮😮😮😮😮😮😮😮😮😮😮😮😮😮😮😮😮😮😮😮😮😮😮😮😮😮😮😮😢🎉😮😮😮😮😮😮😮😢😮😮😮😮😢😮😮😮😮😮😮😮😮😮😮😮😮😮😮😮😮😮😮😮😮😮😮😮😮😮😮😮😮😮😮😮😮😮😮😮😮😮😮😮😮😮😮😮😮😮😮😮😮😮😮😮😮😮😮😮😢😢😢😮😮

  • @user-eg8yr9uu1m
    @user-eg8yr9uu1m3 ай бұрын

    궁금한게있는데, 우주에서 등속운동으로 무언가를 밀었을때, 어떠한 행동으로도 멈출수없기에 신체의 일부를잘라 떠나보내는수 밖에없다고 하셨는데 예를 들어 100kg의 신체를가진사람이 51kg의부피만을 잘라낸다면, 남은49kg이 떠나가나요 잘라낸51kg이 떠나가나요? 저의 이 의문점은 우주에서 손가락하나를잘라내면 손가락이 내버려지는가 손가락은멈추고 남은 몸뚱이가 떠나가는가에 시작했는데 물리학을 이해하면서 이부분이 너무 궁금하네요.

  • @user-AI89iiwppdh2zhej.z6b
    @user-AI89iiwppdh2zhej.z6b22 күн бұрын

    어른 시간

  • @TheRachel1004
    @TheRachel100413 күн бұрын

    이거좀 안뜨게할수없음? 잘때 유튜브 틀어놓고자면 이채널만 자동재생되는데 안떴으면 좋겠음

  • @user-bv8nm2rv8f
    @user-bv8nm2rv8f9 ай бұрын

    1:20:24 이거 아메리카노 그거잖앜ㅋ

  • @iiiiiiiii-qf2ry
    @iiiiiiiii-qf2ry Жыл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은 분명히 시비걸 수 없다고 했지 의심할 수 없다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하자는건데 라고 하셨지요 그런데 글 다신 분이 수학을 모르시니 잘못 배운대로 잘못 첨언하셨는데 수학자에게 검증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 같아요 정의는 의심할 수는 있습니다 다른 의미로 더 정교히 다듬어 또는 확대해 정의할 순 없을까 얼마든지 의심할 수는 있습니다 따라서 차원확대 등의 필요에따라 바뀌기도 하구요 그러나 이분 말씀은 그렇게 하자고 약속해놓고 그걸 근거로 전개된 논리들이므로 그렇게 하자는 약속에 태클걸 수 없다고 말 한 겁니다 모든 정의를 의심할 수 없다고 하는 부분은 조금 표현을 다듬을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게 하자 해놓고 전개된 이론에서 이름 붙여두기로 하자 해둔 약속에 태클을 걸 수 없다는 것 뿐입니다

  • @user-dc5ys1ph5t

    @user-dc5ys1ph5t

    Жыл бұрын

    님 진짜 바보같네요ㅋㅋㅋ

  • @iiiiiiiii-qf2ry

    @iiiiiiiii-qf2ry

    Жыл бұрын

    @@user-dc5ys1ph5t 본인이 제 말뜻을 전혀 이해 못하시는건 아니구요? 모든 수학적 정의는 현대에 이르러 다루려는 공간에따라 언제든지 바뀔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밑에 자막다신 분이 검증 없이 무지하게 다신거예요

  • @user-qb3xp6wo1n

    @user-qb3xp6wo1n

    Жыл бұрын

    수학 공부하다보면 잘 정의 되었는지 자체가 질문인 경우가 있죠

  • @DIABLO-xy3jq

    @DIABLO-xy3jq

    8 ай бұрын

    돌대가리들 이해시키려면 생략은필수임 이런돌대가리들은 생략조차이해못함

  • @joonhan1541
    @joonhan15419 ай бұрын

    김상욱교수님은 양자역학말고 사회과학분야든 무엇이든 얘기를 빠져들게하네요 ㅋ

  • @user-AI89iiwppdh2zhej.z6b
    @user-AI89iiwppdh2zhej.z6b22 күн бұрын

    영상인가 가지고 가는 건가

  • @bjm2769
    @bjm276911 ай бұрын

    12:00

  • @parkgeunjong
    @parkgeunjong9 ай бұрын

    아름답다

  • @carp6543
    @carp6543 Жыл бұрын

    완전한 어떤 것에 빈자리가 생겼는데 이걸 넣으면 간편하고 균형 있어 넣어보니 참 그럴싸한 것 같고 작동도 되는 듯 했다. 날이 갈 수록 어둑해지며 어떤문이 서서히 닫혀졌고 사람들은 빈곳을 채워넣은 뿌듯함에 그것이 비상 탈출구인지 알 수 없이 스스로 채워넣은 것에 자랑스러워하며 어둠속에 다시는 빛을 볼 수 없었다. 신은 그것을 불에 태워 버렸다.

  • @user-yf2hr1ss5h

    @user-yf2hr1ss5h

    9 ай бұрын

    @@user-qs5ue7du5zㅓ

  • @a01026358885
    @a01026358885 Жыл бұрын

    목소리만 들어도 이제 편안하다

  • @JJK99BEST
    @JJK99BEST Жыл бұрын

    저분 말장난이 심하시네😂😂😂

  • @user-ib7eh3wl6d
    @user-ib7eh3wl6d7 ай бұрын

    50:46

  • @user-ee6ib3yj4q
    @user-ee6ib3yj4q Жыл бұрын

    34:12

  • @user-wu4vr9mm7h
    @user-wu4vr9mm7h8 ай бұрын

    기본 입자의 정의 벌써 수백번 듣는데 하나도모르네 ㅠ

  • @kim-pf2nm
    @kim-pf2nm4 ай бұрын

    그래서 아예 이 영상을 켜고 잤음

  • @user-vb8xf3uc6j
    @user-vb8xf3uc6j Жыл бұрын

    모든 물질은 무게를 가지고 있으며, 무게를 거지고

  • @hyunkang2013

    @hyunkang2013

    11 ай бұрын

    거지?

  • @user-ub7so3gs8m
    @user-ub7so3gs8m10 ай бұрын

    역쉬 역쉬 조선 4번타자!! 부산고 감독,선수들 비록 졌지만 멋지다..

  • @Ilwht

    @Ilwht

    8 ай бұрын

    네?

  • @surman-zr1kc
    @surman-zr1kc11 ай бұрын

    왜 유튜브 틀다 깨면 이분나오는거임?

  • @dduaak
    @dduaak10 ай бұрын

    어렸을 때 이런 설명들이 기반이 되어 수학을 보았으면 수학공부를 할 때 수학을 조금 더 친근하게 느낄 수 있지 않았을까...

  • @user-gs9hg8qz5e

    @user-gs9hg8qz5e

    10 ай бұрын

    초등학교 선생들의 응용능력이나 전달력이 그 수준까지 미치지 못하다보니.. ㅠ 중고등학교때는 꽤 응용해서 앟려주시는 분들 계셨던거 같아요

  • @cpc5617

    @cpc5617

    5 ай бұрын

    똑같음.

  • @Hojung736
    @Hojung736 Жыл бұрын

    2:19 X의 3승 되게 오랫만에 듣네요, 요즘 젊은 세대(혹은 젊은 선생님들한테 배운 Z세대)들은 3"제곱"으로 배운다던데ㅠㅠ

  • @hyunkang2013

    @hyunkang2013

    11 ай бұрын

    예전에도 둘 다 배웠고 지금도 둘 다 배워요.....그냥 당신이 똑바로 안배운것이거나 혹은 기억을 못하는거지

  • @user-lo1ct4cd1o

    @user-lo1ct4cd1o

    8 ай бұрын

    ㄴㅅ

  • @user-lo1ct4cd1o

    @user-lo1ct4cd1o

    8 ай бұрын

  • @user-lo1ct4cd1o

    @user-lo1ct4cd1o

    8 ай бұрын

    Ssz$,/- t

  • @user-lo1ct4cd1o

    @user-lo1ct4cd1o

    8 ай бұрын

    Ttr

  • @yyy072
    @yyy07211 ай бұрын

    달은 천천히 떨어지는게 아닌가요?😮 달의 입장에선 지구가 떨어지는거구요

  • @hyunkang2013

    @hyunkang2013

    11 ай бұрын

    떨어진다? 바닥으로 떨어진다도 떨어진다이고 멀리 떨어진다도 떨어진다인데??ㅋㅋㅋㅋㅋ

  • @yyy072

    @yyy072

    6 ай бұрын

    ​​​@@hyunkang2013뜨악ㅋ 그럼 서로 가까워진다고 하죠ㅎ 근데 우주먼지 지웅배님은 1년에 3.5cm씩 멀어진다고해서...뭐가맞는건지...

  • @user-AI89iiwppdh2zhej.z6b
    @user-AI89iiwppdh2zhej.z6b22 күн бұрын

    드러가자

  • @oen-tech
    @oen-tech3 күн бұрын

    보다가 맨날잠들어서 일주일동안 절반도 못봤다

  • @user-nk7hn1rv6b
    @user-nk7hn1rv6b Жыл бұрын

    1:04 이 부분에서 '여러분이 알필요 없다'는 말은 자기분야에 집중하셔서 말씀하시다가 언어체계 오류나서 '영화를 이해하는데 여러분이 알필요 없다'라는 뜻으로 하신 말 같음... 뒤에 물어봤잖아요 하고 하신건 입력이 잘못되서 출력도 잘못나오신듯...

  • @sundory88
    @sundory882 ай бұрын

    만난적이 없 th 니까

  • @DKER-vx8qe
    @DKER-vx8qe11 ай бұрын

    24:20

  • @DKER-vx8qe

    @DKER-vx8qe

    11 ай бұрын

    30:10

  • @DKER-vx8qe

    @DKER-vx8qe

    11 ай бұрын

    31:00 탈출속도

  • @hfr75gi544
    @hfr75gi544Ай бұрын

    위대한 물리학자는 대학에 있대....

  • @user-AI89iiwppdh2zhej.z6b
    @user-AI89iiwppdh2zhej.z6b22 күн бұрын

    가치

  • @JJ-qc3oz
    @JJ-qc3oz9 ай бұрын

    분노를 이용하고 이간질과 편가르기 .. 정치인들을 조심해야해요 화해와 합의를 만드는 정치인 그런분들이 필요해요~ 히틀러... 행사mc에서 선동토크 콘서트 하러 다니는 그분이 생각나네요 ~^^

  • @user-AI89iiwppdh2zhej.z6b
    @user-AI89iiwppdh2zhej.z6b22 күн бұрын

    나니 ? 스럼그럼 369

  • @user-my3ze3mb3i
    @user-my3ze3mb3i Жыл бұрын

    쏜~💝 정면승부 근성을 보여 줘라! 포지션의 역할 연연하지 말고 패스 생각할 말고 드리블하는데까지 하고나서 슛팅으로 발라버려 ~ 인종차별적인 새까들을 눌러버려~ 이태리 놈들은 그런 생각이 강하거든... 강하다고 생각하는 넘들은 때론 더 쎄게 나가 기세를 껔어줄 필요 있다구...

  • @user-AI89iiwppdh2zhej.z6b
    @user-AI89iiwppdh2zhej.z6b22 күн бұрын

    인류가 주소 AI 큐 측,에 따리 운동라겠네

  • @user-AI89iiwppdh2zhej.z6b
    @user-AI89iiwppdh2zhej.z6b22 күн бұрын

    0

  • @user-AI89iiwppdh2zhej.z6b
    @user-AI89iiwppdh2zhej.z6b22 күн бұрын

    춘는 쫌 ♡

  • @user-AI89iiwppdh2zhej.z6b
    @user-AI89iiwppdh2zhej.z6b22 күн бұрын

    썰러먼이

  • @user-kj7qh9nr4j
    @user-kj7qh9nr4j10 ай бұрын

    지구도 다른 곳을 향해 계속 떨어지기 때문이지

  • @user-AI89iiwppdh2zhej.z6b
    @user-AI89iiwppdh2zhej.z6b22 күн бұрын

    병현한 산실던기

  • @user-dq6xp4vd9g
    @user-dq6xp4vd9g Жыл бұрын

    왜 지구가멸망한다고하지 인류가멸망인거지??

  • @rcsnake1

    @rcsnake1

    Жыл бұрын

    인류때문에 결국 멸망하게 생겻으니까요

  • @user-yl5ie5kr4e

    @user-yl5ie5kr4e

    11 ай бұрын

    지구는 멸망할 수 없습니다. 부서져서 파편이되어도 그것은 지구입니다. 멸망할수있는건 인류라는 개체입니다.

  • @hyunkang2013

    @hyunkang2013

    11 ай бұрын

    ​@@user-yl5ie5kr4eㄴㄴ. 지구라는 이름이 붙은 마땅한 정의의 이유가 있음. 형태가 바뀌면 이름도 바뀜. 햄버거에서 다 빼고 빵 위에 있던 깨만 남았다면? 그냥 깨도 햄버거임? 아니지. 그냥 깨지.

  • @user-AI89iiwppdh2zhej.z6b
    @user-AI89iiwppdh2zhej.z6b22 күн бұрын

  • @yinsyujin9891
    @yinsyujin9891 Жыл бұрын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배움이란 참 좋다 거친 세상을 향해 가는 도중에 부딪치는 현실을 잘 극복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여 전문가가 되는게 얼마나 좋은가. 그런데 배움과 지식과 학벌을 너무 내세워 우쭐거리는 건 좀 보기가 안좋다. 한국은 이런 점이 심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고쳐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 @daug_jang
    @daug_jang Жыл бұрын

    폰 노이만, 인류가 낳은 최고의 천재, 동료들은 폰 노이만은 악마가 인간을 연기하는 거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또 다른 동료교수의 증언에 이 논제가 단번에 논파가 되었습니다. "악마가 인간을 연기하는 거라면 저렇게 서툴게 연기할 리는 없다!"

  • @user-lo1ct4cd1o
    @user-lo1ct4cd1o8 ай бұрын

    🎉 ㅊㅊㅊㅊ. ,, 😊ㅌ😊😊😊😊ㅌ:':😊😊

  • @user-AI89iiwppdh2zhej.z6b
    @user-AI89iiwppdh2zhej.z6b22 күн бұрын

    아참

  • @user-AI89iiwppdh2zhej.z6b
    @user-AI89iiwppdh2zhej.z6b22 күн бұрын

    너의 파리

  • @user-lh1jc7uo5u
    @user-lh1jc7uo5u10 ай бұрын

    어제 4차원에서 똥을 쌋다

  • @user-pt8ei5ei4l
    @user-pt8ei5ei4l2 ай бұрын

    th발음이 완전장착되셨네

  • @1MshortsM1
    @1MshortsM1 Жыл бұрын

    이게재밌어?

  • @user-AI89iiwppdh2zhej.z6b
    @user-AI89iiwppdh2zhej.z6b22 күн бұрын

    섻소에 에서 ㄱ그대.ㄱ데감ㄱ.그림것은 그럼 그림.은에서 그럼에서 그림ㄱ.림

  • @1POST1DAY
    @1POST1DAY9 ай бұрын

    몇 번을 들어야 이해가 가는겨..주변 잡음만 앖으면 더 재밌을 것 같은디..

  • @bok960
    @bok960 Жыл бұрын

    찾아보는사람...?

  • @CNKMINIG
    @CNKMINIG Жыл бұрын

    달은 실제로 매년 지구로부터 조금씩 멀어지고 있는데 썸네일 작업 잘못하신듯ㅋ

  • @christopherchoi7350
    @christopherchoi7350 Жыл бұрын

    외계인의 원형 문자가 식물, 동물, 천체의 언어와 비슷하다. 현재를 살며 현재를 표현하며 서로가 다 알수 있어. 인간이 문자, 글, 말로 소통한다고 다 아는게 아니지.

  • @hyunkang2013

    @hyunkang2013

    11 ай бұрын

    ?

  • @Harry_Mione
    @Harry_Mione11 ай бұрын

    근데 달은 미세하게 지구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어서 사실 떨어지는 중은 아님 ㅋㅋㅋ 떨어지는 현상과 달의 공전에 작용하는 힘이 동일할 뿐

  • @hyunkang2013

    @hyunkang2013

    11 ай бұрын

    "달의 공전"이란 것 자체에 떨어진다, 즉, 달이 지구와 서로 작용하는 인력이라는게 포함된 개념인데 뭔 소리야...좀 똑바로 알고 씨부려....

  • @hyunkang2013

    @hyunkang2013

    11 ай бұрын

    차라리 멀어지는 힘과 가까워지는 힘이 같다그러면 이해하겠고만...

  • @Harry_Mione

    @Harry_Mione

    9 ай бұрын

    ​@@hyunkang2013 떨어진다는 단어 뜻도 제대로 생각 못하는 ㅅ기가 뭘 씨부리냐 ㅋㅋ 해마다 달과 지구 사이의 평균거리가 약 3~4cm씩 멀어지는 건 아냐? ㅈ도 모르면 같잖게 씨부리지 말고 그냥 처다물고나 있어라. 우주속도 개념도 모르는 ㅂ신 같은데 개소리 처씨부릴 시간 있으면 공부 한 글자라도 더 해

  • @user-xf6nl3ck4h
    @user-xf6nl3ck4h10 ай бұрын

    니가 어찌알어 달이떨어지는지ㅡㅡ 눈으로 보고 진실만 말해라

  • @user-lb7vf1ln6r
    @user-lb7vf1ln6r11 ай бұрын

    이게 교수냐 연예인이냐

  • @user-yh3zu4qc4o
    @user-yh3zu4qc4o Жыл бұрын

    달이 떨어진다라는 말은 전혀 과학적이지 않은 문장이네...^^;

  • @user-nn7oc6ho7x

    @user-nn7oc6ho7x

    Жыл бұрын

    편집의 문제인듯 실제론 뒷받침하는 말씀하셨을텐데 조회수 모으려..

  • @polycaprolactone1841

    @polycaprolactone1841

    11 ай бұрын

    운석도 떨어지는건데 다를게 있나요?

  • @moon-pk2ty
    @moon-pk2ty9 ай бұрын

    무려 수학시간에라고 말하는데 무려의 뜻은 놀랍게도란 뜻이 아니라 "그 수가 예상보다 상당히 많음" 을 나타내는 말임. 무려 뒤에는 수를 나타내는 단어가 옵니다. 예문 며칠 사이에 물가가 무려 갑절이나 올랐다. 그녀는 무려 열두 살 위인 사람과 결혼했다. 사상자가 무려 백만 명이 넘어서야 그 전쟁은 끝이 났다. 이 양반 다른 프로에도 무려를 놀랍게도라는 뜻인 줄 알고 쓰던데 여기서도 그러네!

  • @soonmyoung5379
    @soonmyoung5379 Жыл бұрын

    아름답죠 아름답죠 그러는데 뭐가 아름답다는거야ㅋㅋㅋㅋ 그냥 특이한변태처럼 보이고싶은 관종같아...

  • @user-vb8xf3uc6j
    @user-vb8xf3uc6j Жыл бұрын

    우주에서, 떨어진다는 말이 성립합니까? 떨어진다는 말은 위에서 밑으로 이동한다는 의미인데, 우주에서 어디가 위,아래인지 확인가은 할까요?

  • @9nine206

    @9nine206

    Жыл бұрын

    😊🎉 22:16 😂😢😅😢😮🎉😮😂😢😅🎉 23:31 🎉🎉 23:33 🎉🎉🎉😂😂😊😮😮😅😮😅

  • @user-oo3pf7cp3i

    @user-oo3pf7cp3i

    Жыл бұрын

    단어 때문에 헷갈리시는 것 같은데, 사실 떨어진다는 표현은 인간이 만든 단어일 뿐입니다. 우주 공간에서는 님 말처럼 위 아래 라는 개념이 존재할 수 없죠. 그렇지만, 지구의 중력에 의해 끌여당겨지는 사과를 '떨어진다'라고 표현하는 것과 같이, 지구의 중력으로 인해 인공위성이 지구로 당겨지는 것을 보고 '떨어진다'라고 말하는겁니다. 인공위성이나 달 같이 지구 주위에 '떠있는 것 처럼' 보이는 것들이 사실은 붕붕 떠 있는 것이 아니라, 지구 중력에 의해 끌여 당겨지고 있지만 앞으로 나아가려는 속도가 너무 빨라 그렇게 보이는 것임을 설명하기 위해 그런 표현을 쓴 것입니다

  • @Quantum1869

    @Quantum1869

    Жыл бұрын

    우주에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아래라고 보통 생각합니다

  • @user-dc5ys1ph5t

    @user-dc5ys1ph5t

    Жыл бұрын

    이사람은 왜이렇게 멍청한걸까요?

  • @user-dc5ys1ph5t

    @user-dc5ys1ph5t

    Жыл бұрын

    @@user-oo3pf7cp3i 중력은 물체를 끌어당기지 않습니다.

  • @hfr75gi544
    @hfr75gi544Ай бұрын

    물리만 해서 그런가? 좀비가 창궐해서 "지구"가 멸망해? 지구? 지구가 멸망하는 게 아니겠지. 기본이 좀. 파인만을 얘기하면서 마치 이공계는 인문과 인성이 결여되어있다는 클리셰를...

  • @user-AI89iiwppdh2zhej.z6b
    @user-AI89iiwppdh2zhej.z6b22 күн бұрын

    윤선열검선열 이울

  • @koreangenius9739
    @koreangenius9739 Жыл бұрын

    진실에 사실을 섞어서 나중에는 주관이 진실인 척 궤변은 이제 그만.

  • @blancetnior4736

    @blancetnior4736

    11 ай бұрын

    그럼 니가 해라

  • @user-kx9ek5ku1q
    @user-kx9ek5ku1qАй бұрын

    물리학자면 물리학에 집중해 히틀러라는 개인이 중요한게 아니라 바이마르공화국이 합법적으로 망한거 즉 민주주의 제도는 반역자를 거를수 없다는게 핵심

  • @user-yz2im2cn9x

    @user-yz2im2cn9x

    28 күн бұрын

    1. 물리학자가 물리학만 볼 필욘 없다 2. 히틀러라는 개인을 알아야 나치의 유대인 학살, 제2차세계대전이 일어난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3. 바이마르 공화국이 망한게 아니라 민주주의 시스템이 무너지고 독재 체제로서 작동한것이다. 4. 민주주의 시스템이 반역자를 걸러내지 못한것이 아니라 독재자를 걸러내지 못한것이고, 이것은 결국 다시 히틀러 개인이 가진특성, 즉 대중을 움직이는 선동으로 귀결된다. ㅇㅋ?

  • @user-bs4xh4ed9b
    @user-bs4xh4ed9b8 ай бұрын

    감히 마지막이란 말을꺼내다니... 정말 오만하고 멍청한 발언이다 애초에 유명세를 가리고자 양자역학을 장사하는데서 알아봄 장담하는데 이 사람이 양자역학에 말이 긴 이유? 모르니까

  • @DTEX2
    @DTEX227 күн бұрын

    뭔 연관영상으로 이게 계속 뜨는 지 좀 안 보고 싶다 솔직히

  • @user-vb8xf3uc6j
    @user-vb8xf3uc6j Жыл бұрын

    달이 떨어져요? 어디로 떨어지고 있나요? 위로 떨어지고 있나요? ㅋㅋㅋㅋㅋ 중력과 원심력이 상쇄되는 위치에 있기때문에 ,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것 아닌가요?

  • @user-fm8mr5bv3p

    @user-fm8mr5bv3p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은 중력은 시공간이 왜곡되는 공간이라고 했으니 패스하고) 뉴턴 물리학 가지고 설명하면 1. 지구 평면설 사람들 말처럼 지구가 만약에 좌우로 엄청나게 길다면 원심력을 받아도 결국 땅에 닿이겠죠 그래서 구형이라는 것을 강조한겁니다. 2. 다르게 설명하자면 중력과 원심력이 상쇄된다 = 중력이 원심력에 의해 사라진다, 는 개념으로 이해하신 것 같은데 중력은 여전히 작용합니다 중력이 작용하고 있다는 말 = 떨어진다는 말입니다 3. 더 근본적으로 설명하자면 물체가 원운동을 할 때 실제로 작동되는 힘은 구심력입니다 * 원심력은 가상의 힘이고 실재로는 존재하지 않는 힘입니다 (나무위키만 쳐보셔도 원심력에 대해 설명되어 있을 겁니다)

  • @user-mf6yd1jh2t

    @user-mf6yd1jh2t

    Жыл бұрын

    @@user-fm8mr5bv3p 캬

  • @user-yl5ie5kr4e

    @user-yl5ie5kr4e

    11 ай бұрын

    사과가 땅(지구)로 떨어진다는 표현을 쓰듯이. 달이 지구에 닿는중이라면 떨어진다는 표현이 아예 틀리표현이라고 할수는없습니다.

  • @hyunkang2013

    @hyunkang2013

    11 ай бұрын

    떨어지고 있으니까 지구 주위로 공전하는거야...제발 모르면 알아보고 와서 씨부려 장애인아...

  • @user-AI89iiwppdh2zhej.z6b

    @user-AI89iiwppdh2zhej.z6b

    22 күн бұрын

    가로세로

  • @bienerosa5740
    @bienerosa5740 Жыл бұрын

    이상빨고 뜬금없이 히틀러욕하고 ㅋㅋㅋㅋ 공산주의가 그렇게 좋냐?왜 북한욕은 못함? ㅋㅋㅋㅋㅋㅋㅋㅋ

  • @handle1a2b
    @handle1a2b10 ай бұрын

    외국학자들은 달이 조금씩 멀어진다고 했는데 떨어지는중이면 지구와 가까워진다는건데..뭐가 맞아?

  • @user-kf4lp8ke2p

    @user-kf4lp8ke2p

    Ай бұрын

    중력이로인한 지구중심 원운동을 저때는 서술하지않고 원운동하는것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인것이지 실제로 떨어지고있는건아니죠. 그냥 간단하게 하나의 설명방법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실제로는 멀어지는 중이 맞습니다.

  • @user-kf4lp8ke2p

    @user-kf4lp8ke2p

    Ай бұрын

    뒤에 교수님이 추가로 설명해주신 지갑을 매우 던졌을때 쌔게던지면 지구를 한바퀴돌아 내가있는곳으로 올것이며 계속돌거다. 이예시로 떨어지는 중이다 라는 설명을 해주신거죠. 던져진 속력과 중력이 정확이 평형을 이루면 무한하게 돌겠죠? 그것보다 속력이 아주미세하게라도 조금 낮아지면? 긴 시간후언젠가는 지구에 떨어지겠죠. 반대로 조금이라도 속도가 높다면? 점점점멀어지겠죠. 그게 달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cs259700
    @cs259700 Жыл бұрын

    대카르트의 업적은 좌표계가 아니라 세상 모든 만물을 방정식으로 표현할수 있다는걸 알아낸 것임 신기한건 그이전엔 대수학과 기하학은 완전 별개라고 생각함

  • @user-nn7oc6ho7x

    @user-nn7oc6ho7x

    Жыл бұрын

    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없는 법칙이 아직 존재하지않나요?

  • @user-pv1ox3ni4f

    @user-pv1ox3ni4f

    Жыл бұрын

  • @iiiiiiiii-qf2ry

    @iiiiiiiii-qf2ry

    Жыл бұрын

    무슨 말씀인 지는 알겠으나 표현을 좀 다듬을 필요가 있어보이네요

  • @skrduqql

    @skrduqql

    Жыл бұрын

    좌표계 또한 방정식 또한 다 데카르트의 업적이쥬 뭔가 너무 확일적인 생각을 지니시고 계시네유

  • @user-oj9rw1fb7m

    @user-oj9rw1fb7m

    Жыл бұрын

    ​@@user-nn7oc6ho7x 😊😊

  • @user-dv5tn3gs8o
    @user-dv5tn3gs8o10 ай бұрын

    개소리마세요 달이든 태양은 그 자리에서 유지하고 있어요

  • @user-pk3yl4jk4v

    @user-pk3yl4jk4v

    8 ай бұрын

    지구 달 태양 간의 거리도 엄밀히 따지자면 조금씩 변하고, 태양계 전체도 우리 은하를 중심으로 공전하고있습니다. 님의 눈으로 보기에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같다고 같은게 아닙니다.

  • @obh1767
    @obh176711 ай бұрын

    50:40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