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 행성의 크기와 거리비교

원본링크 : • Solar System Model Fro...
수업 및 수업지원 목적으로 만든 영상입니다.
저작권법(제25조2항)에 따라 학교 수업을 위한 저작물(사진, 글, 그림, 영상 등)은 본 페이지에서만 이용 가능하며, 이 외의 공간에서 저작물을 공유 또는 게시하는 행위는 저작권법 위반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Пікірлер: 552

  • @user-ko2yy5ie6x
    @user-ko2yy5ie6x3 жыл бұрын

    태양 크기를 2mm로 줄인 후 혜화역 마로니에 공원에 두면 가장 가까운 항성인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35km 떨어진 수원시청에 있음

  • @user-ix4vm4tf3c

    @user-ix4vm4tf3c

    3 жыл бұрын

    35km가 아니라 정확히 37.532km임

  • @pyswilson7952

    @pyswilson7952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 @decainguranium

    @decainguranium

    3 жыл бұрын

    @@user-ix4vm4tf3c 니가 선생하면 훌륭한 수면제의 표본이 되겠구나

  • @user-mn3ju1gt3t

    @user-mn3ju1gt3t

    3 жыл бұрын

    @@user-ix4vm4tf3c혹시 계산함?

  • @user-iu9xk9sw7b

    @user-iu9xk9sw7b

    3 жыл бұрын

    @@user-mn3ju1gt3t 마로니에 공원이랑 수원시청의 거리를 말하는것일듯

  • @ma2pm1
    @ma2pm12 жыл бұрын

    이거 그동안 너무 궁금했는데 드디어 알게되었네요 태양과 지구가 저렇게 많이 떨어져 있는데도 태양에너지가 충분히 영향을 미친다는게 정말 신기합니다🌞

  • @user-jm7dm4vc8q

    @user-jm7dm4vc8q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먼데,,, 자전축 기울이로 인한 거리 차이가 계절을 만든다니... 되게 이상하게 느껴지네요 ㅋㅋㅋ

  • @user-wc8ed3ks2q

    @user-wc8ed3ks2q

    Жыл бұрын

    태양을 전구나 불타는공같은게 아니라 끊임없이 수억만번 폭발하는 거라고 생각하면 이해되실거에요

  • @myuuno671

    @myuuno671

    Жыл бұрын

    @@user-jm7dm4vc8q 계절이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어 생기는 건 맞지만, 거리의 차이가 아니라 각도의 차이 때문에 발생합니다. ㅇ가 태양이고 /가 지구라고 한다면 ㅇ \ 이런 모양으로 있을 때는 조도, 즉 단위 면적 당 받는 빛의 밀도가 높아져 여름이 되고 ㅇ / 이런 모양으로 있을 때는 조도가 낮아져 겨울이 되는 것이죠 보다 쉬운 이해를 위해서, 손전등을 켜 바닥과 수직으로 비춘 것과 비스듬히 비춘 것의 빛의 양상을 관찰해보면 이해가 빠릅니다 수직으로 비추면 빛이 좁아지는 대신 밝아지죠. 반면 비스듬히 비추면 빛이 넓어지는 대신 어두워집니다. 손전등에서 나오는 빛의 총량은 같을 테니 전자의 경우 단위 면적 당 빛의 밀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고 반대로 후자의 경우 낮아짐을 알 수 있죠.

  • @user-jm7dm4vc8q

    @user-jm7dm4vc8q

    Жыл бұрын

    @@myuuno671 아하! 입사각이 중요한 거군요, 그래서 남중고도일 때 가장 햇빛이 강하다고 했던 것 같기도 하고 ㅎㅎ

  • @user-jm7dm4vc8q

    @user-jm7dm4vc8q

    Жыл бұрын

    남중고도가 가장 높을 때?

  • @user-mz7wf8yd3i
    @user-mz7wf8yd3i Жыл бұрын

    중력이라는 게 진짜 말이 안되는 힘이구나...

  • @soosunjang

    @soosunjang

    Жыл бұрын

    웃긴건 강력, 전자기력, 약력, 중력 순으로 중력이 가장 약하다는 거야.

  • @user-nn1eb3zh3u

    @user-nn1eb3zh3u

    Жыл бұрын

    중력은 존나 약하다 태양이 무식하게 무거운것 뿐이다

  • @SSS-gg3rz

    @SSS-gg3rz

    Жыл бұрын

    중력은 다른 힘에 비하면 말도 안되게 약한 힘인데 태양 질량이 너무 커서 중력이 센거

  • @user-mz7wf8yd3i

    @user-mz7wf8yd3i

    Жыл бұрын

    @@soosunjang 당연히 알죠. 근데 존나 신기해서 그러는거임

  • @user-nf3ml4tg2w

    @user-nf3ml4tg2w

    Жыл бұрын

    바깥쪽 중력은 약함

  • @user-uq9lo9nv6i
    @user-uq9lo9nv6i3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멀리까지 중력이 미치는것이 신기하다.

  • @kakim6408

    @kakim6408

    Жыл бұрын

    그만큼 태양이 거대한거

  • @user-kq6ut7wv2p

    @user-kq6ut7wv2p

    Жыл бұрын

    제대로 미친거지...

  • @Pra_seodymium

    @Pra_seodymium

    Жыл бұрын

    이래도 태양이 천체 중 겨우 중간 수준이라는 게 더 놀라운 거

  • @아새

    @아새

    Жыл бұрын

    @@Pra_seodymium 상위 1%이긴 해요

  • @llililliiilllilll

    @llililliiilllilll

    Жыл бұрын

    우주 어딜가도 중력이 0인 곳은 없음 매우 작을 뿐이지 ㅋㅋ

  • @user-bl8ho4lp5u
    @user-bl8ho4lp5u Жыл бұрын

    크으~ 수업 자료로 딱이네요ㅋㅋ 영상 길이, 흥미 유발, 내용 등등 최곱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we6mz5ew1i
    @user-we6mz5ew1i Жыл бұрын

    태양계 모형이 잘못됐고 태양과의 거리가 엄청 멀다는건 알고 있었지만 저정도였구나...ㅋㅋㅋ 진짜 태양의 빛은 둘째치고 열이 지구까지 도달해서 따뜻하게 만들어주고있다는게 엄청 신기하네요. 성능(?)이 얼마나 좋은거야

  • @ojing8494

    @ojing8494

    Жыл бұрын

    태양이 있기에 지구가 있고 인류가 있고 기계가 있고 성능이 있는건데 태양의 성능이라고 하면...

  • @Leenuuuu

    @Leenuuuu

    Жыл бұрын

    @@ojing8494 외국인임?

  • @avgui

    @avgui

    Жыл бұрын

    @@ojing8494 이해 못하시네

  • @purple_cat

    @purple_cat

    Жыл бұрын

    대체 명왕성은 얼마나 멀었던걸까

  • @Teemo_Buff

    @Teemo_Buff

    Жыл бұрын

    @@ojing8494 뭐지 이 국평오는

  • @J_E_A_Y_U_N
    @J_E_A_Y_U_N Жыл бұрын

    와.. 옛날 유튜브에서 많이 보던 자막, 영상 스타일

  • @user-yx6dg5bz9u
    @user-yx6dg5bz9u3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잘못 알고있는 다른 과학 지식들도 소개되면 좋겠네요

  • @low_gravity_tv
    @low_gravity_tv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빈공간이 많은데 운나쁘면 저 바늘끝에 달린 동그라미만한 크기에 설탕가루만한 소행성을 맞는다는 얘기잖아 ㄷㄷㄷ

  • @user-mx3le8qn9n
    @user-mx3le8qn9n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멀리있는데도 태양 중력의 영향을받고 태양을 공전한다는게 신기하네..

  • @rayzz8115

    @rayzz8115

    Жыл бұрын

    태양이 가진 중력의 영향권 범위는 대략 1광년입니다. 10조km 조금 안되는 거리까지는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합니다. 이걸 빗대어 생각해보십쇼. 우리은하 중심에는 아주 거대한 블랙홀이 은하10만광년 전체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 @isdelicious1848

    @isdelicious1848

    Жыл бұрын

    @@rayzz8115 ㅅ바 이렇게 생각하니까 우리은하쉨 존나 대단한 새끼였네

  • @opwerden

    @opwerden

    Жыл бұрын

    @@rayzz8115 블랙홀이 은하에 영향을 끼치기는 하나 덧붙여서 말하자면 우리은하 중심에는 궁수자리 A 블랙홀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블랙홀은 우리 은하 질량의 0.0001%정도도 되지 않죠. 정확히 말해서 은하를 공전하는 항성의 공전주기를 분석한 결과 은하 전체에 빛과 상호작용하지 않는 아직 미지의 물질인 암흑물질이 퍼져있고 이때문에 은하가 모양과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 @user-ml3sm9xv2u

    @user-ml3sm9xv2u

    Жыл бұрын

    @@rayzz8115 우리 은하 중심의 블랙홀은 우리 은하에는 별 영향을 못미칩니다

  • @Leenuuuu

    @Leenuuuu

    Жыл бұрын

    @@rayzz8115 우리은하가 회전하는 건 우리은하 중심에 있는 블랙홀 힘 때문은 아님

  • @jo35600able
    @jo35600able3 жыл бұрын

    이런게 진짜 와닿네요

  • @zookchang
    @zookchang4 ай бұрын

    유튜버들아 이런 걸 만들어라. 정말 유용하고 몸에 와 닿는 자료네요. 실제로 거리가 상대적으로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있네요. 저렇게 멀리 떨어진 태양이 빛과 열과 그리고 중력의 영향을 미치다니 놀랍네요. 이런 자료를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cb3pv4xk6e
    @user-cb3pv4xk6e2 жыл бұрын

    와...화성에 간다는건.. 좌표 정확히 찍고가는 기술이 대단하다

  • @justinkim4561

    @justinkim4561

    Жыл бұрын

    소수점을 몇조까지 계산하는게 이해가 되는부분 ㅋㅋ

  • @Zzapnt

    @Zzapnt

    Жыл бұрын

    @@justinkim4561 자릿수 하나라도 틀리면 화성에서 금성으로 목적지 바뀔수도

  • @justinkim4561

    @justinkim4561

    Жыл бұрын

    @@infrared_ 그래요 근데 그 나노미터때문에 사고가 생기니까 그러겠죠?

  • @user-wb7fx1sw8n
    @user-wb7fx1sw8n Жыл бұрын

    진짜 뜬금없이 떠서 봤는데 너무 재밌다...

  • @user-mm6qx1xh4m
    @user-mm6qx1xh4m3 жыл бұрын

    보이져가 얼마나 멀리갔는지 알수있는영상

  • @kpsychology848
    @kpsychology8483 жыл бұрын

    이건 좋아요를 누르지 않을 수 없는 영상이네.

  • @RogerJSkim
    @RogerJSkim Жыл бұрын

    멋진 영상. 유익한 영상.감시합니다.

  • @Jaypark1024
    @Jaypark10243 жыл бұрын

    심지어 평평하게 태양 주변을 도는것도 아니고 태양을 따라 끌려가는 나선 형식으로 배치되어있음

  • @user-mz7wf8yd3i

    @user-mz7wf8yd3i

    Жыл бұрын

    태양도 어떤 천체를 중심으로 공전하기 때문에...

  • @crispin_hyun

    @crispin_hyun

    Жыл бұрын

    @@user-mz7wf8yd3i 우리은하 중심을 기준으로 2억 5천만년의 공전주기를 가지고있죠..

  • @irismoon8765

    @irismoon8765

    Жыл бұрын

    그런데 다른 궤도로 튕겨나가지 않고 도는것도 신기하네요. 공전 속도도 무척 빠를텐데 말이에요. 😮

  • @gu91ic2ifo6la

    @gu91ic2ifo6la

    29 күн бұрын

    ​@@irismoon8765튕겨나갈 애들은 이미 수십억년 전에 다 튕겨나가고 안정적인 8개만 남은거죠

  • @user-xi7zo7iu9r
    @user-xi7zo7iu9r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먼데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있다는게 정말 신기하네요. 우주가 얼마나 넓은거냐 ㄷㄷ

  • @user-ir1lc9ey9o
    @user-ir1lc9ey9o Жыл бұрын

    지나가던 28세 직장인 잘 보고 갑니다아

  • @user-yk3sm1yn6k
    @user-yk3sm1yn6k3 жыл бұрын

    이제야 제대로 된 과학지식을 얻네요

  • @yinissie9893
    @yinissie9893 Жыл бұрын

    아.. 정말 우주의 밀도는 무와 다름없구나.. 정말 의미있는 건 내 마음뿐인것같다

  • @MY-nr4cf
    @MY-nr4cf Жыл бұрын

    영상많이찾아봐야 그거리를 알수 있는데. 하지만 작게 표현한건. 대단한듯. 작게하면 생각보다 짧다는 느낌이네요.

  • @user-gv9lt3kd8w
    @user-gv9lt3kd8w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완전 제대로 팍팍되네

  • @user-qe9nw1ct1d
    @user-qe9nw1ct1d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멀리있고 막 몇광년 몇광년 하는데 저런 존재를 알아내고 거리 측정한거 넘 신기…

  • @mango______8188
    @mango______81883 жыл бұрын

    이런게 제대로된 지식의 공유지

  • @izakhamiziudonga4283
    @izakhamiziudonga42833 жыл бұрын

    아.. 태양-목성 거리에서 약간 감탄사를 냈어. 그러니까 인력이란 힘이 이렇게 엄청난 것이었군.

  • @user-oh9hb8uc9w
    @user-oh9hb8uc9w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멀리서 태양의 영향을받아 공전한다는게 신기하네요..

  • @user-oy7bk9es9r
    @user-oy7bk9es9r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먼데도 중력이 작용해서 태양을 공전 한다는게 놀랍네 정말 얼마나 강력한건가…

  • @mwmw458
    @mwmw458 Жыл бұрын

    원본 링크는 있는데, 그 채널과 제휴는 된 건가요? 아니면 허락없이 단순 번역 업로드인가요?

  • @Dark_Rober

    @Dark_Rober

    Жыл бұрын

    저도 걍 허락없이 가져와서 링크 하나 띡 걸어놓고 딴데 쓰지 말라고 지 저작권 타령인게 거슬리네요 선생이 이러니 ㅉㅉ

  • @enchant7
    @enchant710 ай бұрын

    쉽게 말하면 파리 한마리 퍼덕이는게 태양이라면 파리 날개짓에 멀리 먼지 한조각 날아가는게 지구이고 조금 큰 먼지는 목성이겠네요 태양계를 방안에 두고 있다 가정한다면 대충 그려볼수 있겠군요😊

  • @realshabushabu
    @realshabushabu Жыл бұрын

    대단한 영상이다 ㅋㅋㅋ

  • @user-mn4wu2ip3k
    @user-mn4wu2ip3k Жыл бұрын

    지구와 달 사이 공간에 나머지 태양계 천체를 모두 우겨넣어도 공간이 남는다.

  • @naruhd
    @naruhd Жыл бұрын

    태양이 백혈구라면 우리은하는 미대륙 크기라고 들었던게 기억나네요..ㅋ

  • @foreverlove9308
    @foreverlove9308 Жыл бұрын

    저렇다면 행성들 공전속도 어마어마하게 빠른거네요 ㄷㄷㄷ

  • @kkkkkkks1

    @kkkkkkks1

    Жыл бұрын

    지구 공전속도 시속 11만 킬로미터 가장 먼 행성인 혜왕성의 공전속도는 시속 8만4천 킬로미터,,,이 빠른 속도로도 겨우 163년에 한번 태양을 돕니다

  • @foreverlove9308

    @foreverlove9308

    Жыл бұрын

    @@kkkkkkks1 시속 11만킬로미터면 총알보다도 훨씬빠른데 지구에 사는 생명체들은 그 속도감을 못느낀다는게 신기하네요

  • @time_ory

    @time_ory

    Жыл бұрын

    @@foreverlove9308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이용할 때도 빠른속도지만 우리는 느끼지 못하죠

  • @irismoon8765

    @irismoon8765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그 엄청난 속도라면 소리도 엄청 크지 않을까요? 비행기 소리처럼요. 그런데 우린 그런 소리는 못듣는것도 신기해요😯

  • @N2alje

    @N2alje

    Жыл бұрын

    ​@@irismoon8765 우주에는 공기가 없어요

  • @user-cf1wx1gj6s
    @user-cf1wx1gj6s3 жыл бұрын

    넘 재밌다

  • @minseokkang2315

    @minseokkang2315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AlicE-mo2if
    @AlicE-mo2if Жыл бұрын

    새삼 빛이란건 정말 아름다운 기적이라는게 느껴진다.

  • @norsoncw701
    @norsoncw701 Жыл бұрын

    c/H, 우주의 크기가 다시금 감탄스럽네요

  • @user-qf7bj4gc6r
    @user-qf7bj4gc6r2 ай бұрын

    그래~이거야!!!!👍👍👍

  • @alnestnd
    @alnestnd Жыл бұрын

    이야 저런데 태양을 중심으로 도는게 신기하네요..지구와 달 사이는 그렇다 쳐도 어떤 힘이 작용하는 거지..ㄷㄷ

  • @XELLOSS_V
    @XELLOSS_V3 жыл бұрын

    저 상태에서 먼지 보다 작은 소행성들이 돌아다님

  • @owen_7331
    @owen_7331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먼데 태양 중력의 힘에 이끌린다는게 너무 신기하다

  • @root365_
    @root365_ Жыл бұрын

    사람들한테 거리 나타내보라 할때 한 저정도1m도안되는 거리면 상식적으로 태양이 하늘을 가득 채우고도 남아야함 우리가 보는 정도의 태양크기가 될려면 그거리보단 훨씬 멀꺼라는게 생각해보면 알만한거임

  • @user-us5oo1cl9y
    @user-us5oo1cl9y8 ай бұрын

    오히려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은 태양과 근거리고 목성부터 거리감이 다가오네요 천왕성 해왕성은 진짜 아득하게 멀게 느껴집니다 엄청난 속도ㅢ 보이저호가 명왕성까지 날아가는데 9년 반 걸렸다는데.. 태양계 안의 거리가 이런데 우주전체는ㄷㄷ 이 모든 행성이 모두 지구를 위해 존재하는 듯 싶네요

  • @user-yz5vk9eo3q
    @user-yz5vk9eo3q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확실이 체감되네요

  • @kennycha-9691
    @kennycha-9691 Жыл бұрын

    1. 태양지름 약 139만km (축구공 -> 5호 22cm) 2. 태양->지구 거리 1AU=약 1억4900만km (태양 지름의 약 106배) 3. 축구공크키 22cm x 106 = 약 23미터

  • @user-pr7ty9xd7u

    @user-pr7ty9xd7u

    Жыл бұрын

    달의 공전궤도는 약 야구공 크기 정도인데 지구에서 달이 좀 멀리 있네요

  • @bladefist5849
    @bladefist5849 Жыл бұрын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은 알파 센타우리로 이 영상 비율 대로라면 약 6516.22km.

  • @ilillili1404

    @ilillili1404

    Жыл бұрын

    지구반지름이넼ㅋㅋㅋㅋ

  • @MH-pn8um

    @MH-pn8um

    Жыл бұрын

    태양계가 '개미' 수준의 활동범위니 꿈도 못꿀만 하다. 아니 개미만도 못한가..

  • @infrared_

    @infrared_

    Жыл бұрын

    사실 적색왜성이라 눈에는 안 띠지만 가장 가까운 항성은 같은 센타우로스 자리 프록시마임. 알파 센타우리보다 0.15광년정도 더 가까움.

  • @leechanghyun
    @leechanghyun Жыл бұрын

    태양계 거리 설명하는 영상 중에 이게 최고다 ㅋㅋㅋㅋㅋㅋ 중력장까지 시각으로 표현하면 어떨까 싶기도 하네 ㅎㅎ

  • @user-ho4zx9lf7u
    @user-ho4zx9lf7u Жыл бұрын

    어떻게 이렇게 먼 거리의 행성까지 중력과 온기가 영향을 미치는지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태양이 행성에 미치는 중력은 태양의 질량과 각 행성의 질량에 비례합니다. 태양의 질량은 약 백양 킬로그램입니다. (1*10^30kg) 1조는 0이 12개 있고 1경은 0이 16개 있습니다. 즉 이는 1 뒤에 0이 30개나 있는 숫자입니다. 지구 질량의 33만배나 됩니다. 여기에 영향을 주는 행성의 질량을 곱합니다. 지구의 질량도 6자 킬로그램 (6*10^24kg) 6뒤에 0이 24개 있는 질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중력 상수 G를 곱하고 거리에 비례하여 나누면 중력의 힘을 구할 수 있습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거리가 멀수록 중력이 약해지는것도 거리의 제곱으로 값을 나누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그 숫자는 상상하기 어려운 큰 숫자입니다. 중력이 얼마나 강력한지 감이 잡히실지 모르겠네요. 온기의 전달은 사실 빛의 전달입니다. 태양은 별이기 때문에 스스로 빛을 냅니다. 빛은 태양으로부터 출발해 모든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그 속도는 1초에 3억 미터를 갈 수 있는 속도입니다. 이는 약 8분 정도입니다. 빛은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그 빛 입자들이 지구에 도착하면 빛이 생기고 그와 동반된 열기도 함께 도착하는 겁니다. 태양과 지구의 엄청난 거리 차이로 우리는 사실 현재의 빛이 아닌 8분전 과거의 태양 빛으로 살아가게 됩니다. 지구가 태양과 매우 가까워지지 않는다면 우리는 영영 태양의 현재 빛을 받을 수 없습니다. 당장 태양이 사라져도 8분 후에나 알아차리게 될 것이란 말입니다. 신기하지 않나요?

  • @user-ir3uh8us4d
    @user-ir3uh8us4d Жыл бұрын

    중력의 범위가 어마무시 하네요

  • @igniz2002
    @igniz2002 Жыл бұрын

    아 전에 비슷하게 비유해준 어느 유튜브 영상에서 해왕성은 500미터도 더 떨어져 있다더니 이런 것이었군요 ㄷㄷ

  • @tae_won
    @tae_won Жыл бұрын

    시작하자마자 자블라니 칠하는거 엄청 웃기네 ㅋㅋㅋㅋㅋ

  • @pupil6075
    @pupil6075 Жыл бұрын

    지구와 달사이의 거리에 태양계내의 지구를 제외한 행성들( 왜행성인명왕성도 포함)이 들어가고도 조금 남는다는것만 알고있었는데 놀랍네요

  • @user-xv8cd7xb5i
    @user-xv8cd7xb5i Жыл бұрын

    와 좋은 정보 감사 합니다

  • @Gazeuha
    @Gazeuha Жыл бұрын

    so nice video. perfect ^^

  • @user-nq6sc8ku7d
    @user-nq6sc8ku7d Жыл бұрын

    이걸보니까 골디락스존은 1게의 은하계로 치자면 얼마나 범위가 줄어드는지 알꺼같네요 근데 그 골디락스존을 우주 전체로 계산하면...음.. 아니다 오늘은 그냥 자고 내일 생각하자

  • @bin3228
    @bin3228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먼 거리인데도 인력이 작용한다는게 넘 신기하다

  • @pillyahn1278

    @pillyahn1278

    Жыл бұрын

    중력

  • @bin3228

    @bin3228

    Жыл бұрын

    @@pillyahn1278 "5000배"

  • @Geguri77

    @Geguri77

    Жыл бұрын

    @@pillyahn1278 인력도 맞는거 아닌가요?

  • @dc-2104

    @dc-2104

    Жыл бұрын

    @@Geguri77 척력이 아니니 인력이라 해도 맞긴 하죠

  • @user-pr7ty9xd7u

    @user-pr7ty9xd7u

    Жыл бұрын

    달의 위치가 좀 잘못된게, 달까지 거리가 태양 반지름 절반정도

  • @user-ct4yz2gf1j
    @user-ct4yz2gf1j Жыл бұрын

    심우주 탐사하며 점점 태양에서 멀어질수록 태양광 발전도 힘든수준이 되는게 확 느껴지네요.. 태양이 조그만 별처럼 보일듯

  • @pitot0philo207

    @pitot0philo207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심우주탐사선엔 태양광배터리가 아니라 플루토늄 배터리가 들어갑니다.

  • @N2alje

    @N2alje

    Жыл бұрын

    RTG를 사용합니다 방사성 물질이 붕괴될때 나오는 에너지로 전력을 공급해요

  • @Awesome-im1sf
    @Awesome-im1sf Жыл бұрын

    툭툭 끊기는줄 알았는데 소리는 잘나오네 ㅋㅋ

  • @qzpm1324
    @qzpm1324 Жыл бұрын

    전에 인터넷에서 토성을 태양보다 크게 그려놓은 거 보고 ㅈㄴ 웃겼었는데 ㅋㅋㅋㅋㅋ

  • @user-yq3cm1pj2z
    @user-yq3cm1pj2z Жыл бұрын

    교직에 있을 때 이런 형태로 구상했는데, 결국 비율이 어긋나는 것은 마찬가지라 포기한 것. 운동장 대각선 길이 80미터.

  • @mnemonic_design
    @mnemonic_design Жыл бұрын

    녹화를 어떻게 한거임? 프레임 드랍 너무 심하네

  • @user-tf1nw9dd4i
    @user-tf1nw9dd4i Жыл бұрын

    완벽하게 원운동을 하는건 아니라서 거리가 좀 멀어졌다가 가까워지는 것 까지 설명해줬으면 더 좋았을거 같네요

  • @nightcrow9222
    @nightcrow9222 Жыл бұрын

    저리도 거리인데 태양이 크다면 크고 작다면 너무 작네 신기하다

  • @user-pt9ff9hh4z
    @user-pt9ff9hh4z Жыл бұрын

    우주의 빈공간이 99.99퍼라고 할땐 그렇게까지 되나 싶었는데 99.999999…이라고 해도 할말이 없겠네요

  • @user-sd3kl4yo7m

    @user-sd3kl4yo7m

    Жыл бұрын

    그냥 빈공간이라고 보면 됌니다 태양계에 수많은 행성과 운석 소행성 해성 외행성 얼을구룸등이 있지만 질량의 99.8프로가 태양이고 태양이 1미터라고 가정하면 가장 가까운 별이 무려 3천700백 킬로 미터 거리에 있습니다. 즉 은하계는 그냥 핵융합하는 항성 3700k 마다 있는 1미터 짜리 공의 크기의 밀도와 극도로 희박한 가스층 빼고는 그냥 빈공간(99.9999999999999999.....)

  • @user-lj7mb8qj9b
    @user-lj7mb8qj9b Жыл бұрын

    우와 엄청난 크기와 거리다

  • @kimkimkim5339
    @kimkimkim5339 Жыл бұрын

    태양계만한 블랙홀이 있다는것도 신기하네 ㄷㄷ

  • @user-mz6fx6ri7f
    @user-mz6fx6ri7f Жыл бұрын

    이렇게보니까 실감이나네

  • @YT-ll8ns
    @YT-ll8ns Жыл бұрын

    태양빛이 해왕성에 반사되어서 지구에 도달하는게 말이 되는건가 싶다. 축구공만한 빛이 700m 떨어진 완두콩을 밝히는거

  • @scuderiaunjae7073

    @scuderiaunjae7073

    Жыл бұрын

    하늘의 별들도 적게는 수 광년 멀게는 수십억 광년인데도 보이죠

  • @jaemin887
    @jaemin887 Жыл бұрын

    태양이 이렇게 큰 즁력을 행사할 수 있는건 질량이 아주 커서 그런건가요?

  • @ilillili1404

    @ilillili1404

    Жыл бұрын

    네 시공간 자체를 휘게하니 영향범주가 상상이상으로 큼 저거도 해왕성까지지 카이퍼벨트 + 오르트구름대까지하면 어마어마한 사이즈

  • @insane6084
    @insane6084 Жыл бұрын

    인간은 얼마나 작은 존재인가

  • @ysy294

    @ysy294

    Жыл бұрын

    근데 인간은 우주끝까지 생각하고 끝을 상상으로 바라보고 있음 ..소름.$

  • @hyunsookim7278
    @hyunsookim7278 Жыл бұрын

    태양계 질량의 99%이상은 태양..그냥 태양계는 태양이 전부임..나머진 그냥 주위에 있는 뿌스러기일뿐..

  • @user-no9gw4zt1y
    @user-no9gw4zt1y Жыл бұрын

    + 지구랑 달 사이의 거리는 태양계의 모든 행성이 들어가도 남을 정도

  • @Eating_Buldak
    @Eating_Buldak Жыл бұрын

    멀다라는 걸 알고 봤는데도 진짜 상상 이상으로 멀구나

  • @amyni8590
    @amyni8590 Жыл бұрын

    제 인터넷이 문제인가요 스탑모션 동영상인가요

  • @dotory_lounge
    @dotory_lounge Жыл бұрын

    지구 바로 옆에 화성있는데 왜 못감?? 이러는 애들이 이 영상을 꼭 봐야하겠네요.

  • @judgejung488
    @judgejung488 Жыл бұрын

    집에 하나씩은 있는 LED손전등 십만개를 모아 최대 밝기로 켜서 한방향으로.... 백미터는 훤하게 밝힐 수 있음. 수박만한 LED광원의 태양이 모래알만한 지구를 비추고 있음.

  • @user-dh8mu2pk7k
    @user-dh8mu2pk7k7 ай бұрын

    대박이다^^

  • @woole9249
    @woole9249 Жыл бұрын

    나는 가끔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그 끝없는 거리감과 공허함이 무서움

  • @user-vy5gw6rk1g
    @user-vy5gw6rk1g Жыл бұрын

    대단히 대단히 거대한 공간

  • @kato25t
    @kato25t Жыл бұрын

    30년전 중학 과학쌤이 이런얘기했을때 좀 충격적이었음. 그냥 텅빈태양계..

  • @user-sr2gl3ep6u
    @user-sr2gl3ep6u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멀리 떨어져있는데 차가운 우주공간을 뚫고 지구까지 온다는게 신기하다

  • @blackheadcat
    @blackheadcat Жыл бұрын

    what’s wrong with the frame rate?

  • @dbgncksful
    @dbgncksful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보니까 저 별들을 관측해서 찾아낸거 자체가 신기하네

  • @dus3070
    @dus3070 Жыл бұрын

    보이저호가 생각보다 엄청 멀리 간거였네 ㄷㄷ

  • @user-ex1br6ci9n
    @user-ex1br6ci9n Жыл бұрын

    지구가 26야드밖에 안떨어져있었다니… 실수로 넘어지지 않게 조심해야겠네요

  • @user-pm1op4wo3p

    @user-pm1op4wo3p

    Жыл бұрын

    ?

  • @user-hz3rb1kk6e
    @user-hz3rb1kk6e Жыл бұрын

    태양은 어떻게 저렇게 멀리까지 영향이 가는거지.. 저렇게 작은데;

  • @user-sd8ux6nz3g
    @user-sd8ux6nz3g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사실상 우주 공간은 빈 공간이라 볼 수 있다죠..

  • @gorani-bange
    @gorani-bange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멀리 있는데 태양계가 유지가 되는구나

  • @user-jv5mo2qr1d
    @user-jv5mo2qr1d3 жыл бұрын

    와... 우주 너무 크다...

  • @evzlife
    @evzlife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에 나오는 축구공 크기를 태양으로 가정하면, 여태 발견된 가장큰 항성 크기는 천왕성 거리만큼 큰 공임.

  • @Y-NOT-

    @Y-NOT-

    Жыл бұрын

    실제 천왕성이요? 아니면 저기나온 핀모양 천왕성이요?

  • @evzlife

    @evzlife

    Жыл бұрын

    @@Y-NOT- 영상에 나오는 핀모양 천왕성거리 정도의 거리가 됩니다.

  • @gamja0121

    @gamja0121

    Жыл бұрын

    ㅎㄷㄷㄷㄷ

  • @evzlife

    @evzlife

    Жыл бұрын

    @@ivanpetrenko7888유튜브 항성만 치면 나오는걸 뭔 개소리 하다니요?? 혹시 뭐 잘못드셨나요???

  • @infrared_

    @infrared_

    Жыл бұрын

    @@ivanpetrenko7888 반지성주의

  • @user-xj1lq6rh7t
    @user-xj1lq6rh7t Жыл бұрын

    태양도 이렇게 거대한데 태양보다 100억배나 더 큰 스티븐슨 2-18은 얼마나 크다는것인가.. 스티븐슨이 태양의 위치에 있다면 천왕성까지 닿는다고 하던데..ㄷ

  • @RgRg-kb1kj
    @RgRg-kb1kj Жыл бұрын

    과학이 수학없이 이해조차 안되는이유가 이겁니다

  • @user-apeunsalam
    @user-apeunsalam Жыл бұрын

    저렇게 작고 멀리 있는게 행성으로 불릴 정도로 우주는 텅 비었구나

  • @withyou354
    @withyou354 Жыл бұрын

    우리는 우주의 먼지 그 자체다

  • @jewooksong2802
    @jewooksong2802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니 빛이 1초에 지구를 7바퀴 반 돈다고 하는데 태양에서 지구까지는 8분 30초 정도 걸리니까 저정도 스케일이 나오겠구나

  • @Leenuuuu
    @Leenuuuu Жыл бұрын

    친구가 자꾸 지구에 소행성이나 운석같은 거 충돌 안 하는 거 수상하다고 음모론 펼치던데 행성이나 항성 사이 거리가 쥰내 넓어서 서로 부딪힐 확률 자체가 적고 앵간한 크기 돌덩이 아니면 오더라도 대기에서 다 걸러진다고 백날 설명해줘도 안 믿더라… 니가 상상하는 그 이상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고 하루 종일 설명해줘도 안 믿음 아오

  • @evenel8570
    @evenel8570 Жыл бұрын

    달력은 그럼 얼마나 쎈 거임?

  • @zirokiki5179
    @zirokiki5179 Жыл бұрын

    여기서 주목할것 하나. 축구공만한 태양이 사방으로 에너지를 발산하는데 그중 고작 헤어핀만한 지구가 받는 눈꼽만한 비율의 에너지로 지구상의 모든 생명이 살아가고, 그중에서도 지구상에 쏟아지는 태양 에너지중 단 1%만 축적할 기술이 있어도 전 인류의 에너지 문제는 해결됨. 태양의 에너지는 인류의 상상력을 아득히 뛰어넘는 수준, 그런데 그게 50억년간 유지되고 또 앞으로도 그정도 유지될 예정. 심지어 그태양은 우주 단위에서 비교적 작은 항성일뿐이고 이런 태양 지름의 수백배, 부피는 수만배에 달하는 항성도 많음. 항성 내부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을 봐도 태양은 고작 1번 원소가 2번으로 융합되는 수소 헬륨의 가장 기초적인 융합 반응만 일어남. 그게 무려 태양인데. 지구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원소들이 어떻게 만들어졌을까를 상상해 보면 고대 항성들의 크기가 얼마나 엄청났는지 쉽게 추측 가능 철이나 알미늄이 만들어진 항성은 대체 얼마나 컸던 걸까? 우라늄은?? 상상 불가. 그런데 그조차도 뛰어넘어 시공간을 휘어버리는 블랙홀의 에너지는?????

  • @user-rm4rj3oj5d
    @user-rm4rj3oj5d Жыл бұрын

    이 커다란 우주에 지구에만 인격체가 존재한다면 그야말로 말도 안되는 수준의 공간낭비구나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