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스타일은 따로 있다.

leecoach.com
수능 국어 강사 이코치
#겨울방학 #재종 #성적표 #내신 #모의고사 #메가

Пікірлер: 826

  • @leecoach-manager
    @leecoach-manager8 күн бұрын

    6월 이후, 역전하려는 현역과 N수를 위한. 이코치 2025 수능 '반수 THE CORE' 개강 (사전 구매 할인 - 2024년 6월 9일까지) www.leecoach.com/course/course_list.jsp?cid=115083

  • @user-wu1fh4bt9e
    @user-wu1fh4bt9e2 жыл бұрын

    우연히 들어왔는데 하나같이 ㄹㅇ맞는말인거같음 고3 되서야 정신차리고 1년빡세게 한 스타일인데 1년내내 거리주가 아닌 시간주로만 목표를 세웠고 그냥 시간만 떼우기식으로 하고 모고같은거 보고 공부법도 안바꾸고 개비효율적으로 해서 어중간하게 공부한 애들이랑 큰 차이가 없는게 됐음 ㅇㅇ 이 영상도 참고하면서 재수 성공해야겠다

  • @dlsgurdldi

    @dlsgurdldi

    2 жыл бұрын

    반수는 힘들더라 ㅋㅋ

  • @user-th4os8ei9v

    @user-th4os8ei9v

    2 жыл бұрын

    빡새게 시간주로 1년을 했는데 어중간한 애들이랑 큰 차이 없는건 다른 문제가 있는 것 같네요

  • @user-yuri__

    @user-yuri__

    2 жыл бұрын

    되서야x 돼서야o

  • @xion_x2105

    @xion_x2105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줄에서 이미 다른 애들이랑은 차이나는거임

  • @user-cs4lv2uq2w

    @user-cs4lv2uq2w

    2 жыл бұрын

    근데 개인차 있는듯 나는 의대생은 아니고 한양대 공대생인데 시험볼때가 100이면 평상시에는 40정도로 한것같은데

  • @nookie2519
    @nookie25192 жыл бұрын

    와..현역때 9월까지 허수 식으로 공부하다가 뭔가 스스로 깨달아서 공부 방법 바꾸고 미친듯이 했었을때 방식 그대로 설명해주네..공부가 마치 게임 같이 느껴짐. 아침에 플레너 짤때 내 최대치가 어느정도인지 가늠이 됐고 npc가 던져주는 과제 하나씩 쳐 내는 느낌으로 리드미컬하게 공부 했던것 같음. 심지어 우울하거나 현타 올때 마다 생윤 개념 약점 같은거 a4용지에 냅다 정리 했었음ㅋㅋ

  • @user-qe2sr5vf8h

    @user-qe2sr5vf8h

    2 жыл бұрын

    와.. 그래서 결과 어떻게 되셨나요?

  • @sexy9325

    @sexy9325

    2 жыл бұрын

    @@user-qe2sr5vf8h 한국외대 기계공학과 시라고 하네요

  • @nookie2519

    @nookie2519

    2 жыл бұрын

    @@sexy9325 이...이건 뭔데..

  • @nookie2519

    @nookie2519

    2 жыл бұрын

    @@user-qe2sr5vf8h ㅋㅋ..9월까지 성적이 너무 안 좋았어서 수학, 생윤, 사문 3합 4는 되는것 같은데 국어때문에 반수할 것 같네요..

  • @PDHDHDH

    @PDHDHDH

    2 жыл бұрын

    저도 과탐은 양치기다라고 하시는 선생님덕에 양치기로 수능특강,완성 3개년치 3-4회독한 것 같은데ㅋㅋㅋ 물1 화1 개념 빈 노트에다가 내가 개념을 까먹은게 있나 불안할 때마다 전단원으로도 적어보고 단원마다 더 세세하게 적어보기도 하고 이런 열정으로 하면 탐구는 진짜 안 틀려요 물론 재수생이긴 했는데 그 당시에 수능포함해서 매달 모의고사 봤다면 12번 정도 봤던 것 같은데 50점 아닌게 더 적었던 것 같음

  • @user-cq3yz1mz4r
    @user-cq3yz1mz4r2 жыл бұрын

    "효율 따지기" 1. 계획 - 하나하나 처리하는 시간 재서 총 걸리는 시간 예측 -> 이거에 맞춰서 계획 수정 융통성 있게 바꿀 수 있어야 됨 - 시간주 X 거리주 O 예를 들면 국어 세 지문을 풀겠다(거리주) 한 지문에 3분 걸리니까 세 지문을 9분 안에 풀겠다. 2. 기술 - 손이 놀면 안 됨!!! 일단 쓰고 맞는지 생각하기 -> 집중력 유지됨 중요한 거 먼저 보고 쓰려고 하면 집중력 하락

  • @gyul6713

    @gyul6713

    2 жыл бұрын

    진짜 국어 1지문에 3분씩 걸리세요??? 국어 황이신가... 아니면 현대시예요?

  • @user-cq3yz1mz4r

    @user-cq3yz1mz4r

    2 жыл бұрын

    @@gyul6713 시간을 예측하고 계획을 짜야한다는 예시예요... 제가 3분만에 푼다는 건 아니구요 😅😅

  • @waterprune

    @waterprune

    2 жыл бұрын

    @@gyul6713 예를 들면이라고 써있는데....

  • @lilillilllilil

    @lilillilllilil

    2 жыл бұрын

    선쓰후생 일단 쓰자!!!

  • @user-mf8pt7ju4t

    @user-mf8pt7ju4t

    Жыл бұрын

    와드

  • @Niuuuuuuuuuuuu
    @Niuuuuuuuuuuuu2 жыл бұрын

    전교2등출신 고대생인데 동감합니다 ㅋㅋ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실용적"으로 시간을 쓰라는겁니다 수능공부는 "지식"을 넓히는게 목적이 아니라 "제한시간 안에 한문제라도 더 맞추는" 것이 목적인거죠 그 목적으로 공부를 해야합니다

  • @user-ed4ec9rk6w

    @user-ed4ec9rk6w

    2 жыл бұрын

    나는 전교등수없는 정시 연대생인데 반대의견임. 수능공부는 오히려 '지식'을 넓히는 방식으로 공부하는거라고 봄. 내신은 그냥 무작정 기계적으로 하는거고. 그래서 내가 수능스타일에 잘 맞았다고 생각함. 실용적으로 시간을 쓰는건 동감함.

  • @user-fc3jg6lx1n

    @user-fc3jg6lx1n

    2 жыл бұрын

    @@user-ed4ec9rk6w 지식을 어떻게 넓히나요?

  • @user-uj7yb7rt5q

    @user-uj7yb7rt5q

    2 жыл бұрын

    아ㅋㅋ 결국 지식을 넓히든 문제를 풀든 공부나 하라고~

  • @assj165

    @assj165

    2 жыл бұрын

    전교1등출신 서울대생입니다 ㅈ밥들 싸움보고 웃고 갑니다^^

  • @user-yg5kk7tc8t

    @user-yg5kk7tc8t

    2 жыл бұрын

    @@assj165 MIT 공대 출신인데 웃고 갑니다

  • @thatsyou4187
    @thatsyou41872 жыл бұрын

    문제 풀 때마다 시간 체트하고 타이트하게 가는 거 진짜 좋은듯... 국어 모의고사 80분 내내 집중하는 게 너무 안돼서 맨날 안풀고 이러다가 모고 맨날 말아먹엇는디 각 문항마다 몇분 걸렷는지 계속 체크하고 이런 방식으로 풀었더니 이번 국어 하나 틀림...ㅋㅋ 확실히 게임하는 것 같고 재밋엇어요 집중하느랴 시간가는 줄 몰랐다 이게 아니라 내가 집중하는 사이에 시간이 이맘큼 흘럿구나 이걸 보는 게 좋은듯...bb

  • @user-tu1bm7sd5m

    @user-tu1bm7sd5m

    2 жыл бұрын

    와 대체 어떻게 국어 공부하셧나요..

  • @user-wt3em2gb9m

    @user-wt3em2gb9m

    2 жыл бұрын

    @@user-tu1bm7sd5m ㅇㄷ

  • @user-qv2cx1lm7z

    @user-qv2cx1lm7z

    2 жыл бұрын

    와 멋있으세요!!

  • @user-rr2ev1ph4z

    @user-rr2ev1ph4z

    2 жыл бұрын

  • @meow20211O

    @meow20211O

    2 жыл бұрын

    문제 풀 때마다 시간 체크 ㅇㄷ

  • @IN-se1kj
    @IN-se1kj2 жыл бұрын

    근데 수학같은 과목은 시간가늠하기가 힘듬...풀다가 모르는거 나와서 잡고있으면 나도 모르는사이에 1,2시간이 지나버리는지라... 국어영어나 탐구는 저렇게 되는듯.

  • @user-jq7be1op2l

    @user-jq7be1op2l

    2 жыл бұрын

    맞음 국어/영어/탐구는 가능할듯 수학은..

  • @user-ej4cw5il9q
    @user-ej4cw5il9q2 жыл бұрын

    이거 정말 너무 공감합니다.. 공부를 많이 하면 잘하게 된다고 흔히들 생각하는데 그게 아니더라구요. 정말 공부는 보여주기식으로 하면 망하는 가장 빠른 지름길입니다. 질적으로 좋은 , 최대한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게 가장 현명한 것 같습니다 정말. 특히 시간 재고 오늘 공부한 시간 보면서 스스로 자위하는 분들이 더러 계시는데별로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 @user-oh4fy8hv5w

    @user-oh4fy8hv5w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공부한 시간으로 자위했던 생각이 나네요;;

  • @many6396

    @many6396

    2 жыл бұрын

    열품타 처럼요

  • @user-zr2jx5xp6m
    @user-zr2jx5xp6m2 жыл бұрын

    공부를 도덕적으로 한다는 거에서 진짜 뼈 맞았다 ㅋㅋㅋ

  • @serendipity0923
    @serendipity09232 жыл бұрын

    수능 몇번 쳤지만 시간이 많다, 꾸준히 했다고 할수있는 초반 수능 보단 단기간에 빠르게 승부봐야하는 마지막 수능을 제일 잘친거같음. 잡념을 가질 시간을 안주고 공부에 대한 생각만 주니까 수능 잘나오더라. 새벽에 좋은영상이네요.

  • @_borntobeblue
    @_borntobeblue2 жыл бұрын

    그냥 발등에 불떨어지면 돼요. 공부 설렁설렁 하던 애들도 시험 한달전이면 효율적으로 시간 써서 시험에 필요한 가장 중요한 공부들을 하려고 하죠. 그 텐션을 1년 내내 가져가는 사람이 있고, 불 떨어졌을 때 텐션 확 오르는 사람이 있고 그런것 같습니다.

  • @user-vq9nb8fn9t
    @user-vq9nb8fn9t2 жыл бұрын

    수능과는 이제 거리가 먼 대학생이지만 쇼크 받고 갑니다.. 이거 말로 풀어서 이렇게 체계적으로 말할 수 있는 부분이었구나..

  • @user-db1vy9pz1u
    @user-db1vy9pz1u2 жыл бұрын

    [ 정보 습득 또는 훈련량 /시간 ]이 중요하고 저걸 높이려면 살짝 전투적인 자세여야 하는데 그러려면 시간 제한을 걸어두고 그 시간 안에 끝내려고 해야합니다. 그 때 최고의 효율 주는 긴장 상태가 되는 거 같습니다.. 또 손으로 쓰는 걸 말씀하셨는데 입모양으로라도 중얼거리는 게 외국어 학습 중 암기에 정말 좋은 거 같습니다.!! 비슷한 효과를 주는 거 같아요

  • @YS-zo8yt
    @YS-zo8yt Жыл бұрын

    이과 수학 9등급 -> 1등급으로 올렸는데 공감되는 얘기가 많네요. 저같은 경우 9달동안 평균적으로 5~6시간 공부했던 것 같습니다. 대신 진짜 변태적으로 했던것 같아요. 다른 학생들이 귀찮아서 넘기거나 외울려고 하는 부분을 끝까지 생각하고, 주어진 상황을 일반화하거나 특수화 했던것 같습니다. 그리고 항상 시험에서의 상황을 고려하여 문제를 분석할때 풀이 전략을 생각했어요.

  • @flowerbeautifulnotitsokay
    @flowerbeautifulnotitsokay4 ай бұрын

    1:09 실수의 집중 정도 1:30 허수의 특징1 시간 많으면 점수 오른다 착각 1:47 꾸준히(이어간다)란 말 사용 2:11 도덕적으로 생각 (하면 성과가 온다 생각) → 효과적, 효율적으로 해야 함 2:37 계획적 측면 : 공부할때마다 시간 측정 → 시간 흘러감 확인 → '계획한 양이 "제한시간" 내에 끝내기'가 목적이 되도록 (공부=게임) + 실시간으로 계획 변경 3:30 거리주 방식 = 분량 중심의 계획 짜서 끝날때까지 멈춤x 초과시간 넘기면 계획 cut → 내일부턴 양 줄여야지 4:25 기술적 측면 : 딴생각 X ∴선쓰후생 (선 쓰기 후 생각) = 손이 놀지 않게

  • @lights6220
    @lights6220 Жыл бұрын

    수능형. 다수의 허수. (1:30) ①15시간 17시간 조진다. (X) 시간이랑 연관이 없거든. → 1 문단, 1 Page 시간 측정 무조건 했어. e.g., 3분 30초 (2:40) 5페이지를 21분 안에 끝낸다. 가 목적이 되도록. → 계획을 융통성 있게 계속 변경 가능하도록 ②꾸준히(라는 단어를 쓰는 학생일 수록, 수능에서 성공하기 어렵다.) → Is 폭발적 X 계속 이어간다. → 폭발적 O → 공부는 철저하게 거리 주로 가야 해. (시간 주 - X) e.g., 16시간 씩 6달 → 효율성이 굉장히 떨어지고 집중력도 떨어진 상태에서 → 수학을 3단원, 기출을 2회독을 한다. 이런 식으로 짠 다음에 이거 끝날 때까지 멈추지 않는 방식. 스릴있게 집중이 된 상태로 계속 갈 수 있다. 7시/9시에 끝날 수도 있고. 11시까지 넘을 것 같으면 자야하니까 이제 계획을 잘라버리고 내일부터는 이제 계획을 줄여야겠다. 이런 식으로 해야 해. → ③도덕적(열심히·성실히 하면→성과가 나올 것이다.) → 효과적 O 효율적 O → (4:23) 기술적인 얘기는 굉장히 단순한 건데 집중력이 유지되려면 다른 생각이 들어서는 안 돼. (4:28) 사람의 뇌에서 1/3 차지하는 게 '손'이야. 손이 놀고 있으면 집중력이 떨어진다. '선쓰후생' → 수학이든 탐구든 국어든 '단원' 그거를 먼저 써. 먼저 생각을 하고 쓰잖아. → (5:19) 과업이 유지되기 위해서 무조건 형식적으로 어떤 것을 써준다. → (5:31) 수학에서 ①문제 번호 ②숫자 ③영어(번호) + 그림 (국탐도 마찬가지) (5:55) 사고력 깊이가 있으면서 집중력도 유지되고 속도도 빨라지면서 신경적 순발력도 높아지는 수능적 인간이 되는 거지. (최소 서성한)

  • @user-pl2fm6pt5i
    @user-pl2fm6pt5i2 жыл бұрын

    삼수생임. 국어 때문에 n수한 케이스. 국어는 정말 해도 늘기가 쉽지가 않더라. 고딩때나 재수할 때 모의고사에선 1등급도 나름 자주 나올 정도의 실력이었지만 수능에서는 진짜 실력이 드러나는건지 2도 맞아본 적이 없었음... 내가 미련하게 멍청하게 공부하지 않는 스타일인 것도 알고 솔직히 똑똑하게 공부했다고 생각함. 다른 과목들도. 하지만 국어는 단기간 (1~2년)만에 콘크리트 같은 견고함이 생기긴 힘든 과목인 건 확실한 거 같음. 그래서 n수 하는동안 너무 고통스러웠고. 애초에 내가 대학 목표를 높게 잡지 않았다면, 고등학생 때부터 모의고사도 계속 못쳐서 희망조차 없었다면.. 이라는 생각도 많이 했음. 그래도 꾹 참고 공부해서 세번째 수능에서 국어 2 맞고 나머지 1에 아랍어까지 1맞고 대학 갔음... 난 개인적으로 국어실력은 백분위 80이상들은 쉽게 올리기 쉽지 않다고 봄. 오히려 시간을 적게 투자해야 하고 최악의 경우를 가정해서 대학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봄. 국어는 시간 투자대비 성적이 적게 오르지만 그만큼 떨어지지도 않는 과목이라고 조심스럽게 생각. 고작 3수했다고 너무 오만하게 말했지만 실제로 반수하거나 재수하는 친구들, 후배들한테 내 경험 말해주면서 방향 잡아주면서 너무 뿌듯하고 실제 결과도 좋아서 내 방향이 틀리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좋았음. 공부를 보여주기식으로 시간만 채운다는 식으로 공부하는 친구들은 일단 공부에 '몰입'자체를 못했다고 생각함. 몰입하게 되면 '시간'이 내 공부에 절대적 기준이 되지 않고 얼마나 가성비 있게 내가 공부했냐 라는 걸 계속해서 생각하게 된다고 생각함. 그리고 n수하면서 선생님들이나 주변인들에게 많은 상담을 받는 친구들이 많았는데 나는 입시상담 제외하고 상담한 번 내가 의도해서 받지 않았음. 그저 문제관련 질문만 했음. 상담을 해도 결국에는 선생에 대한 확신이 없으면 내 스타일대로 감. 설사 타인의 말을 따른다 해도 '몰입'이 안됨. 심리적인 안정을 위해 상담하는 것도 도움 안된다고 봄. 장기적인 상담도 아니고 몇 번 해서 달라지지 않음. 결국 심리적인 안정은 1) 자기합리화(나쁜합리화아님) 랑 2) 성적 상승 이 도움된다고 생각함. 이 유튜버 선생님 분도 너무 좋은 얘기 하시지만 가장 중요한 건 자기만의 기준을 세우고 그 루트에 몰입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 또 항상 1시간마다, 30분마다, 5분마다 내가 가고 있는 방향이 제대로된 방향인지 돌아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계속 음슴체로 써서 마지막엔 합니다 체 씁니다. 한 분이라도 읽고 도움 되셨으면 좋겠네요. 수능 친 분들은 수고 많으셨고 수능 칠 분들은 고생 하세요. 그 고생도 인생에서 중요한 밑거름이 되는 것 같습니다.

  • @user-ok6bt2so1x

    @user-ok6bt2so1x

    2 жыл бұрын

    아랍어는 어떻게 1 맞으셨어요...? 공부하셨나요?

  • @user-rc5vo4id2s

    @user-rc5vo4id2s

    2 жыл бұрын

    멋져요

  • @user-ff7es7ws7i

    @user-ff7es7ws7i

    2 жыл бұрын

    내가 가는 방향이 맞는 방향인지 확인하는 것 만으로도 도파민이 분비되면서 일을 더 할수있다던데 이걸 아시네 ㄷㄷ

  • @user-pl2fm6pt5i

    @user-pl2fm6pt5i

    2 жыл бұрын

    @@user-ok6bt2so1x 매일 점심먹으면서 + 남들 점심먹고 쉴 때 8개월 정도 공부했어요. 결국 아랍어 쓸 일은 없었다고 합니다 ㅜ

  • @user-px4wb2or5o

    @user-px4wb2or5o

    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cogbrain2479
    @cogbrain24792 жыл бұрын

    하루 6시간 미만으로 공부하고 연대 전전 현역으로 왔던 학생인데, 공감하고 갑니다. 지진으로 수능 미뤄졌었지만 1주 미뤄진동안 히오스 배치 10판 다 보고 다이아찍고 수능보러갔던ㅋㅋㅋ 당시에는 철이 없어서 덜 공부하고 더 잘나오는 그런 기만을 하려고 효율적으로 빡세게 하려는 마인드를 가져갔었어요. 공부는 몇시간을 하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짧은 시간이라도 얼마나 집중해서 올바른 방향으로 달리느냐, 내가 지금 공부하고 있는것이 정말 효율적인가? 가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전 매 순간 제가 하고 있는 공부가 왜 필요하고 어떤 방식으로 해야 가장 효율적인지 공부를 하면서도 계속 고민했었습니다. 오래 하더라도 꼭 자신이 올바른 방향으로 달리고 있는지, 이 방법이 최선인지, 최고의 효율로 집중해서 하고 있는지를 생각하시길 바라요. 다들 파이팅!

  • @user-oo2lp3ek4x

    @user-oo2lp3ek4x

    2 жыл бұрын

    그 선생님? 혹시 선쓰후생이란게 뭔지 알려주실 수 있으십니까 저 이제 고1 들어갑니다... 먼저 쓰고 이후에 생각하라는게 내가 이 것을 아예 몰라도 일단 써보고 생각하라는 것인가요?

  • @user-qx4zs7tr1g

    @user-qx4zs7tr1g

    2 жыл бұрын

    멋있네요. 재수하면서 작년에 못해서 아쉬운 것들 하나하나 다 귀담아 듣자 하니 너무 다양한데 역시 본질은 효율적인 공부 같아요. 시간은 크게 신경쓰지 않고 시작하는 편이 좋을것 같아요. 질적인 부분을 신경 쓸 시간이 필요할것 같네요. 늘 내가 하는 방식이 효율적인지 잘하고 있는지 자주 점검하는 자세 잘 배우고 갈게요. 감사합니다.

  • @cogbrain2479

    @cogbrain2479

    2 жыл бұрын

    @@user-oo2lp3ek4x 선쓰후생이라는 말은 처음 들어보네요ㅎㅎ 떠오르는 번뜩이는 생각을 메모하라는것같기도 하고, 혹은 쓰면서 더 많은 감각을 활용하며 공부하라는것같기도 한데 잘 모르겠습니다!

  • @user-oo4ly9ck1d

    @user-oo4ly9ck1d

    2 жыл бұрын

    그냥 특출난거 같은데 ㅋㅋㅋㅋㅋ 아니면 책한권 내시면 잘팔릴듯요

  • @user-xq7tm8dd5t

    @user-xq7tm8dd5t

    Жыл бұрын

    이런애들은 그냥 타고난거임 ㅅㅂ

  • @user-wz4qn4vs5f
    @user-wz4qn4vs5f2 жыл бұрын

    진짜 찔리네.. ㄹㅇ 시간은 안중요한건 아니지만 아무리 열몇시간해도 빡집중해서하는 2시간 효율도 안나오는 경우 ㅈㄴ많음 그게 나였다… 04 정시러들이 있다면 꼭 시간위주가 아닌 분량위주로 공부해서 한번에 끝내시길 바랍니다!

  • @user-ku2rn7rl6d

    @user-ku2rn7rl6d

    2 жыл бұрын

    04 정시러에요! 힘낼게요ㅠㅠ

  • @batman_93
    @batman_932 жыл бұрын

    와...ㅋㅋ 수능과는 이제 관련없는 나이인데 너무 재밌어서 끝까지 보게됨 진짜 맞는말

  • @user-wo3uh4xz6g

    @user-wo3uh4xz6g

    14 күн бұрын

    1. 나를 아는 것이 최고의 지식이다. 이 말은 100번 넘게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2. 신이 있나 없나는 개인의 생각과 신념에 달려있다. 3. 학교폭력은 녹음기로 녹음해서 고소하면 된다.. 4. 운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엄청 몰입해서 노력해도 결과가 엄청 안좋을 수도 있다., 5. 공부 습관이 잡혀있지 않다면 그냥 포기하라. 공부 습관을 잡는 데만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6. 책 출간하면 어디 대학이든지 가능하다. 7. 내신(학교 시험)이 수능의 기초다. 내신 절대 포기하지 말라! 해외대학에 갈 때, 쓰이는 바탕 자료가 학교 시험이기 때문이다. 8. 몇 년간 다른 사람 페이스북 프로필을 계속 보고 있었다. 참고로 그 이전에 과거에 막 심하게 괴롭히고 학교 친구들이 보는 앞에서 막 때리기도 했었었다. 그렇게 내가 말을 걸었다. OO야, 너 나 괴롭혔던 거 반성하니?

  • @Lee_kyungjun
    @Lee_kyungjun2 жыл бұрын

    공부보단 그림에 시간을 훨씬 쓰는 학생인데..그냥 추천에 떠서 본 영상에서 너무나 많은걸 얻어 가네요. 공부가 들어갈 곳에 그림 연습이란 말만 넣어도 어째서 제가 요새 작업량과 집중력은 떨어지고 작업 시간만 계속 느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오늘부터 영상에서 나온 해결방법을 당장에 실행에 옮겨야겠네요. 너무나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asdk2123s0
    @user-asdk2123s0 Жыл бұрын

    요약: 공부습관을 수능형으로 바꾸려면 집중력을 언제나 100으로 유지해야한다. 선쓰후생 잊지말자

  • @user-sh3jy1pm9o
    @user-sh3jy1pm9o2 жыл бұрын

    초창기에는 나도 어떻게든 하루 10시간만 채우면 뿌듯하게 독서실에서 나왔었는데 어느샌가 계획한 분량을 끝내지 못하면 13, 14시간 몇시간이 넘어도 자책하면서 오게 되더라

  • @user-ue6nk6rl7c
    @user-ue6nk6rl7c2 жыл бұрын

    굉장히 공감.. 집중력은 정말 결과를 결정함

  • @Retis1
    @Retis12 жыл бұрын

    수능본지 10년 정도 지났는데도 궁금해서 들어옴. 감상 후기는 내가 지잡대 갔을 때 공부법이 딱 여기서 말하는 대부분의 학생이었고 대학교에서 열심히 할 때 스타일이 이 영상에서 설명하는 방법이었던거 같음. 나는 설카포들만 나오는 대회 같은거랑 연이 없는줄 알았는데 이런 식으로 하니까 어떻게든 비빌 수 있긴 하더라. 물론 그 중에서도 최상위권까지는 재능의 문제인지 노력의 문제인지 부족했지만 일반 사람들도 충분히 노력과 공부법만으로 이룰 수 있는게 많은거 같음

  • @user-rr4uz4gg4k
    @user-rr4uz4gg4k2 жыл бұрын

    제가 3등급→1등급 가기 영상 보고 왔는데 거기서는 지문을 집중해서 정독하라고 말씀하셨는데 이때도 시간을 재면서 해야 하는 건가요?첫번째 클래스에서 시간 재고 풀고 선생님께서 해설 두번째 클래스에서는 완전 학생들에게 이해를 시킨 다음에 문제를 풀게 시키셨다고 하셨는데 이때도 시간을 재야하는 건지...

  • @leecoach_soongong

    @leecoach_soongong

    2 жыл бұрын

    문제풀이에 시간 체크한다기보다는 문제풀고해설확인하고 진도나가는 속도늘 체크하는 개념으로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 @user-ck1re9gx7n
    @user-ck1re9gx7n2 жыл бұрын

    초반까지는 그냥 보고 있었는데 와 시간 계산 못하는 거 딱 나네ㅋㅋㅋㅋㅋㅋㅋㅋ 공부로 노력해본 적 없이 그냥 놀아도 성적 잘 나오는 애로 살아왔는데 수능 준비하려니까 스터디 플래너에 계획을 작성하지도 못하고 지키지도 못하는 거 보고 충격 받음... 공부한 적이 없어서 양이랑 시간을 어림잡지도 못하고 하기 싫으니까 시간도 안 재게 되고 목표치 미달이어도 왠지 내일 하면 될 것 같고ㅠ

  • @Chleosl
    @Chleosl2 жыл бұрын

    단순히 경험을 통해 알게 된 팩트, 즉 노하우가 많은 선생님한테서 배우는거를 저는 굉장히 별로인 선생님과 학습이라고 생각하는데 혹시 이거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경험을 통한 팩트가 아닌 명제에 대한 인과관계와 명제의 근본적인 것들을 이해하(려)시고 그거를 토대로 논리적인 사고를 통해 그 결과를 비로소 학습에 적용, 즉 단순히 맞는 것을 추구하는 게 아닌 옳은 것(근본적으로, 궁극적으로)을 추구하시고 그걸 토대로 가르치시는 선생님이야말로 학생되기 좋은 선생님이 아닐까요?

  • @user-ep1hi5nv2i
    @user-ep1hi5nv2i2 жыл бұрын

    타임어택 식으로 공부하는 것도 좋아요. 일단 내가 몇 페이지까지 풀겠다! 하고 내가 할 수 있는 한, 풀로 집중해서 풀어요. 그래서 만약에 1장에 20분이 걸렸으면 다음에는 20분 안에 1장 푸는 것을 플래너에 적는거죠. 이렇게 할 일을 타임어택 식으로 게임처럼 끝내면서 하면 퀘스트 깨는 느낌도 들면서 재미도 있고 좋더라구요.

  • @leafnature
    @leafnature2 жыл бұрын

    선배님들 지금 3모고본 응애 고3인데 3모고까지 성적은 별로 의미없나요? 영상에서랑 정반대로 ㄹㅇ 꾸준히 자습실은 가서 겉보이는 시간은 많지만 ㄹㅇ 공부중에 자고싶으면 자고 계획없이 매일 기분따라서 풀고 싶은 과목만 풀고 시간재는것도 안하고 심심할때는 인터넷하는디 이상하게 성적이 안떨어지는데 이 영상보고 갑자기 자괴감, 현타오고 수능때 망하는 미래가 겹쳐보여서 댓글 적는데 저 ㄹㅇ 망할상인가요? 아님 성적유지되면 지금 그대로 가도 괜찮나요?

  • @user-xl3wi7vg4e
    @user-xl3wi7vg4e2 жыл бұрын

    수능과는 일절상관없는 장사하는 자영업자인데 장사에 대입해봐도 공감이 많이 가네요? 신기합니다. 짧은 영상인데 새벽에 생각없이 본 영상이 임팩트가 강하게 옵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user-eb3cv1ri4l

    @user-eb3cv1ri4l

    2 жыл бұрын

    맞는말같네요

  • @user-bq2fc6uk1m

    @user-bq2fc6uk1m

    2 жыл бұрын

    어느 분야나 본질은 같나봐요 ^^

  • @user-tu3fx6vi4u
    @user-tu3fx6vi4u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예비고3 국어가 노베라 일단 시간 측정하지를 않고 발췌독을 피하고 반응하려고 노력하는데 지금부터 시간측정하면서 해야되는건가요?

  • @leecoach_soongong

    @leecoach_soongong

    2 жыл бұрын

    공부하는 행위에서는 항상 시간 체크가 있어야 합니다♡♡

  • @user-jf2yu3yw5i

    @user-jf2yu3yw5i

    2 жыл бұрын

    노베의 기준이 어느 정도인지는 모르겠지만 4등급 이하라면 시간 신경쓸때가 아님. 4등급이하면 그냥 지문도 두루뭉술하게 읽고 제대로 근거도 못찾고 찍어서 맞추거나 혹은 제대로 읽었다한들 시간이 오래걸리기에 그런 것이라 적어도 3등급 안정권 확보하고 문학이랑 선택과목 확실하게 잡아놓은 상태에서 비문학까지 절반 이상을 확실한 근거로 맞춘 상태에서 그때서야 시간측정하는 공부와 그렇지 않고 그냥 맘편하게 읽는 공부 병행해야 한다고 봄. 4등급이하가 아닌 노베 즉, 3등급 이상이어도 문학, 선택과목 잡은 상태에서 시간 측정해야함. 이번 수능이 지문은 짧지만 그 안에 독해를 못하면 정말 힘들게끔 설계해놓음

  • @user-rw5ew1of6c
    @user-rw5ew1of6c2 жыл бұрын

    수시러지만 궁금해서 시청해봤는데, 학교 내신 역시 계획&거리 위주로 공부하면 도움 많이되니까 수시도 챙기는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 @user-sx1tt9lm3i

    @user-sx1tt9lm3i

    2 жыл бұрын

    수시러가 좋은대 갈려면 정시도 해야지

  • @user-qg3fn9dz1m
    @user-qg3fn9dz1m2 жыл бұрын

    영상 후반에 수학영어국어 이런걸 번호나 기호쓴다음 생각해본다는게 무슨말인가요?? 영어에 기호가..? 수학은 문제 써있는걸 제가 한번 더 요약해서 써본다음 읽어본다는건가요?? 국어도 이해안되는부분 쓰면서 푸는거고?? 국어는 개념공부에만 해당되는건가.. 딴건 와닫는데 이건 잘 모르겠어요ㅠㅠ

  • @B1A4ari
    @B1A4ari2 жыл бұрын

    이건 수능뿐만이 아니라 대학생한테도 해당되는 말인 것 같음 물론 대학생때는 꾸준히 해야 되는 것들도 많이 생기지만, 수능처럼 효율적으로 공부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도 절대적으로 생기기 때문에 정말 도움되는 스타일인 것 같다

  • @user-kt1li5kf9r
    @user-kt1li5kf9r2 жыл бұрын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남은 기말고사 열심히 해서 잘 치르고 겨울방학 알려주신대로 악착같이 해서 꼭 부모님 자랑 되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fd9jx9ki7c
    @user-fd9jx9ki7c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물어보고싶은게 있어요ㅜㅜ 제발 답해주세요 이렇게 오늘 시간을 다 재면서 공부를 했는데 진짜 시간에 쫒기면서 하다보니까 체력이 원래보다 엄청 빨리 소진되는데 그러면 쉬어야 되잖아요 근데 제가 선생님이 말한거 처럼 매일 꾸준하게 해오던 .. 그런 학생인데 공부를 해야될 시간에 공부를 안하고 쉬어야되니까 좀 심리적 갈등이 있는데 이렇게 폭발적으로 하고 쉬는게 맞나요 ..?? 지금 당장 공부를 안하고 있으니까 이래도 되는가 싶어서요..

  • @user-bg1rv7mg2q
    @user-bg1rv7mg2q2 жыл бұрын

    선쓰후생의 의도는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서라는 건 이해하지만 영상을 계속 봐도 수학은 1. 문제 번호 2. 숫자 3.영어(기호) + 그림 이 부분이 이해가 안 가요ㅠㅠ 예를들면 문제 번호가 1번인데 1번을 통해 무엇을 생각하라는 것인가요!!?..ㅜ 제가 영상을 이해를 못해서 아시는 분들 댓글 부탁드립니다!

  • @asa-hc8bx
    @asa-hc8bx2 жыл бұрын

    진짜 구구절절 맞는말이라고 느껴지는게 고3 재수때는 저런 스타일로 하던거를 고시생되어서 못했던게 고시 실패한 이유같음.. 고시도 결국 수능이랑 비슷한 것 같은데 대학 학점은 그런 느낌이 아니었어서 감떨어졌던건가.. 싶어짐

  • @user-rw7et2rh9m
    @user-rw7et2rh9m2 жыл бұрын

    예비고2 인데 고등학교때부턴 공부를 아예안해서 평균 7,8등급인데 겨울방학부터 수학 영어같은거 기초도모르는데 공부하면 수시로갈때 평균3등급 까지 올릴수있을까요? 그리고 얼마나힘들까요??

  • @mymy_4440
    @mymy_4440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대박이다 들으면서 소름돋았습니다 너무 감사해요 현역인데 방학 한달이라도 남은 시점에서 이거 봐서 너무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 @da4790
    @da47902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에 떠서 볼까 말까 했는데 안봤으면 재수할 뻔했네요…이렇게 하면 안된다는 걸 다 하고 있었어요 .. 이번 영상을 계기로 수능 스타일로 해야한다는 걸 계속 기억해야겠어요

  • @83sa84

    @83sa84

    2 жыл бұрын

    유튭을 본거자체가 재수를 위한 지름길

  • @user-oi2wd5hk2u

    @user-oi2wd5hk2u

    2 жыл бұрын

    오바 ㄴㄴ 하셈 저거 본다고해도 똑같음

  • @user-pv1hj4lk5l

    @user-pv1hj4lk5l

    2 жыл бұрын

    @@83sa84 주변 친구들 유튜브 보면서 의치약 잘만 갑니다

  • @logisong9866

    @logisong9866

    2 жыл бұрын

    핵심만 추출하고 바로 런 하면 되는거임. 그니깐 이런 영상은 너무 몰입해서도 안되고, 그렇다고 너무 경시해서도 안됨.

  • @user-qc9nu1ou3l

    @user-qc9nu1ou3l

    Жыл бұрын

    @@83sa84 ㅋㅋㅋㅋ

  • @portermichael2658
    @portermichael2658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영상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질문이 있는데, 시간을 타이트하게 재면서 공부하다보면 어느 순간 더 이상 머리를 쓰기 힘들다싶을 정도로 괴로워서 쉬고 싶은 순간이 있을텐데요, 그순간에 그걸 이겨내고 다시 초집중할 수 있게 된다면 그 자체로 수능적 역량이 늘었다고 볼 수 있을까요?

  • @leecoach_soongong

    @leecoach_soongong

    2 жыл бұрын

    그걸 이겨낼 때마다 역량이 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대한 불안과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상태에서의 타이트함을 추구하면 더 좋겠습니다♡♡

  • @user-wb4ep2mu7j

    @user-wb4ep2mu7j

    2 жыл бұрын

    @@leecoach_soongong 제가 수능 터진 이유가 여기있네요.. 전 한과목을 하루치 분량을 정해놓고 그것만 했어요 매일매일 '꾸준히'. 많이 틀렸어도 감을 교정하지 않고 다 했으면 그냥 다음 과목으로 넘어갔어요 부족한 과목 부족한 부분은 더 시간을 들여서 역량을 늘리고 깊은 이해를 해야되는데 피상적인 하루치 분량에만 매달려서 이런 보완 작용이 잘 안된 것 같습니다

  • @leecoach_soongong
    @leecoach_soongong2 жыл бұрын

    leecoach.com 수능 국어 강사 이코치

  • @user-pk9rf5se1k
    @user-pk9rf5se1k2 жыл бұрын

    비록 수시러이긴 하지만 제가 내신 공부한거랑 겹치는 부분이 엄청 많네요.. 진짜 공부할 때 "변태적으로 하되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걸 목표로 공부했거든요.. 그래서 하루에 공부시간이 많지 않아도 공부시간 때 만큼은 진짜 집중해서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공부하다가 피곤해지면 그냥 그만두고 자거나 쉬러간 적도 많았어요.. 별 생각없이 들어왔다가 진짜 경험상 겹치는 말이 너무 많아서 놀랐네요. 영상 보는 여러분 2023 수능 꼭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 @user-sv5nm2ux8h
    @user-sv5nm2ux8h2 жыл бұрын

    완전 바닥에서 단기간에 최상위권 대학에 입학한 학생인데, 선생님 말씀처럼 공부할때 시간을 기준으로 한적은 단 한번도 없습니다. 추가로 효율성을 극도로 추구해서 졸리면 자고 잡생각이 나는 우울한 날이면 공무를 시작조차도 하지 않았습니다.ㅋㅋㅋㅋ 심지어 공부하는 시간자체도 거의 40퍼센트 이상을 공부를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과 계획짜는 것에 투자했구요 !!

  • @Decoy_0318

    @Decoy_0318

    2 жыл бұрын

    인증하는거 참 쉬워요. 완전바닥에서 는 인증하기 힘들어 보이고 최상위권 대학은 인증해주면 설득력이 올라갈것 같네요 님 닉네임 김딜딜 종이에 적고 개인정보 가린 학생증이나 졸업증명서 같은거 짧은영상 으로 올리면 됩니다. 참 쉽죠? 최상위권 대학이라면 서울대생이신가? 아님 의치대생정도?

  • @Boo-jh3lg

    @Boo-jh3lg

    2 жыл бұрын

    @@Decoy_0318 진짜 같잖네 ㅋㅋ

  • @Decoy_0318

    @Decoy_0318

    2 жыл бұрын

    @@Boo-jh3lg 혹시 김딜딜이 부계니? 아니면 너한테 한 말도 아닌데 왜 이런 반응을 보임? 인증 해보라니까 뭐 쫄려? 니가 김딜딜이 아니라면 너한테 한말이 아니니까 오지랖 좀 부리지마

  • @jeong4389

    @jeong4389

    2 жыл бұрын

    @@Decoy_0318 걍 맏기 싫으면 안믿으면 되는거지…ㅋㅋㅋ별;;

  • @user-pe3mc5wf4f

    @user-pe3mc5wf4f

    10 ай бұрын

    일주일동안 어느정도 시간을 투자하셨는지 알려주실수있나요?ㅠㅠ 고1인데 스카가서 계속 주구장창 딴생각하다 옵니다.. 이걸 어떤식으로 고쳐야할지도 모르겠습니다..도와주세요ㅠㅠ

  • @OnarahH
    @OnarahH Жыл бұрын

    다른건 모르겠는데 나도 수능볼때랑 평소 공부할때랑 집중력이 거의 비슷했음. 공부하는 내용에 너무 몰입해서 주변 소리 하나도 안들리고 끊임없이 생각하는 느낌이었음. 진짜 영상에 나온 표현처럼 폭발적으로 공부하는 느낌. 오랜만에 느껴보고 싶네..

  • @user-ps3rm6zd6g
    @user-ps3rm6zd6g2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수능은 공부를 많이 했다고 잘 보는 건 아닌 것 같아요. 저도 요령껏 풀어서 공부량에 비해 시험 점수가 항상 잘 나오는 편이었는데 다들 고등학교때부터는 안 통한다 어쩐다 했는데 통하더라구요. 올해 수능 국어도 D-20일부터 하루에 모고 2개 이하, 화작 인강 일주일에 2시간 보고 쳤는데 2등급 맞았습니다. 머리가 좋은 것과 노력, 시험을 잘 보는건 슬프지만 별개인 것 같아요. 시험이랑 잘 맞는 체질(?)인지와 집중력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추구하느냐가 중요한듯...

  • @user-ps3rm6zd6g

    @user-ps3rm6zd6g

    2 жыл бұрын

    물론 그렇다고 공부 안 하면 절대절대 안되지만 시간, 공부량이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라는 것...! 저도 국어는 2등급 맞았지만 사탐같은 암기과목은 아예 진도 다 못 나가서 바로 최저 광탈 당했다는>< 수험생들 이제 곧 2023수능의 해가 다가오는데 다들 효율적이게 공부 잘 하시고 좋은 결과 얻어오세요...어쩌면 그 현장에서 만나뵐 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 @user-ps3rm6zd6g

    @user-ps3rm6zd6g

    Жыл бұрын

    @금수은 죄송해요ㅠ 전 수학을 던졌답니다🥲 최저 몰빵용으로 썼구요 맨 앞장만 풀고 다 찍어서 7등급 나왔어요..ㅎㅎ 선택과 집중을 잘 하시라는 말씀밖에는 드릴 말씀이 없네요😂 지금이라도 쉬운 문제 풀이 개념 짚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수학은 역시 개념공부가 최고인 것 같아요! 전 수포자라 승제 생선님과 함께 했답니다..

  • @xjwufk
    @xjwufk2 жыл бұрын

    회계사 시험 준비중인 26살입니다. 정말 많은 것을 공감하고 배우고 가네요 ㅎ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wz3gw2ic5l

    @user-wz3gw2ic5l

    2 жыл бұрын

    이놈

  • @user-po7pz2bl4f
    @user-po7pz2bl4f2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번 고3 현역 실패 이유는 효율,시간 인 것 같아요.. 진도도 너무 느려지고 공시 10시간만 신경쓰고 정작 집중력은 뚝뚝.. 특히 수학 같은거 안풀리면 좀 넘어가줘야하는데 실력도 안되면서 너무 고난이도 문제들 붙잡고있고 정작 개념은 텅텅 비고 시간만 채우고 만족하고 .. 재수땐 쌤말대로 해볼게요 ㅠ 근데 재수 너무 고민돼요 .. 독학을 하면 제 스스로 시간관리 빡세게 집중력있게+커리따라가기+양치기 이런거 다 혼자 하기가 현역때 실패를 맛보니 겁이 나고 정작 재종을 가려니 낮은반은 수업 질이 다 별로라 해서 ㅠ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재종 말고 학원 다니며 독재학원 다니기..도 있긴한데 또 학원 다니면서 왔다갔다하는데 흐름 깨질까봐 그리고 독재랑 학원 둘 다 하려면 돈이 많이 나가는데 ㅠ 최선의 선택이라는 확신이 들면 가겠는데 여튼 여러모로 고민이 되네요 ㅠ 조언 해주실 분 있으시면 말해주세요 ㅠ

  • @user-mm6eo6oi1k

    @user-mm6eo6oi1k

    2 жыл бұрын

    ㅇㄷ

  • @ti5311

    @ti5311

    2 жыл бұрын

    재종, 학원+독재 해본 사람입니다. 갠적으로 재종 다녀보고 수업이 아니다 싶으면 바로 나오는거 추천….그리고 제가 다닌 재종은 반이 낮을수록 수업의 질이 안 좋았다고 생각하진 않는데 다른 재종은 어떨지 모르겠네요. 일단 현강 다닐 수 있으면 현강 다니면서 독재학원 다니는거 추천드립니다. 집독재 말고요. 글구 전 재종이랑 독재+학원이랑 비용이 거의 비슷했어서…비용 문제는 크게 상관없다고 봐요. 물론 학원을 몇 개 다니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요. +그리고 어딜 가든 본인이 어떻게 공부하느냐가 제일 중요해요. 제 조언은 참고만 해주세요.

  • @user-po7pz2bl4f

    @user-po7pz2bl4f

    2 жыл бұрын

    @@ti5311 조언 감사합니다 ㅠㅠ 저희 지역은 재종 송원 한달 90 인데 독재는 한달 50~60 에 현강 하나에 20~30 정도라서 ㅠㅠ 가격차이가 좀 나요.. 일단 2월에 재종 가보고 그럼 영 아니다 싶으면 나와서 독재+현강 하려구요..! 재수 시작은 2월에 해도 안늦다고 보시나요??

  • @ti5311

    @ti5311

    2 жыл бұрын

    @@user-po7pz2bl4f 재종도 보통 2월에 많이 시작하니까 상관없다고 봅니다. 많이들 2월에 시작하고요.근데 1월에 재종가기 전에 본인공부나 인강 듣는 것도 나쁘지 않을듯합니다. 저도 1월부터 공부했고요. 미리 공부해두어서 나쁠 건 없어서ㅎ

  • @otter_
    @otter_2 жыл бұрын

    이제 고3 바통을 넘겨 받은 고딩인데 이 영상보고 공부법 잘 알아갑니다 ㅎㅎ 요즘 세특발표를 마무리하면서 슬슬 일년을 어떻게 보낼지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는 중인데 고1, 고2 때 공부를 너무 적게 했다 꾸준히 10시간씩 하면 되겠지? 라고 생각하고 있었네요 꾸준히라는 단어 얘기에서 찔렸습니다 ㅋㅋㅋㅋ큐ㅠㅠㅠㅠㅠㅠㅠ 저도 공부를 저렇게 게임처럼(?) 하고 싶어서 계획짤 때 시간 재면서 해보려고는 해봤는데 이게 맞는지 모르겠고 정확히 어떻게 해야할 지 몰랐는데 매번 한 페이지, 한 문제를 기준으로 시간을 재면 시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없겠네요 감사합니다!! 이번에 일년 이렇게 공부해서 원하는 대학 갈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이 채널에 제게 적용할 만한 영상들이 많아서 좋네요!!

  • @otter_

    @otter_

    2 жыл бұрын

    들으면서 너무 맞는 말들이라 필기도 해뒀어요

  • @Wowie_
    @Wowie_2 жыл бұрын

    오 다 맞는 말. 공부 잘하는 편이었는데 절대 15-17시간씩 공부하지 않았음. 들인 시간에 비해서는 성적이 잘 나왔고 머리가 엄청 좋아서라기보다는 공부하는 법을 알았던 것 같음. 공부하는 법을 자세하게 연구한 건 아니지만 영상에 나온 거랑 비슷한 방법으로 공부해왔음. 믿고 저대로 해도 될 듯

  • @CkL-vk1ng
    @CkL-vk1ng2 жыл бұрын

    저 혹시 공부 조언좀 해주실 수 있나요? 현재 고1 자공고 다니는 학생이고 1학기 내신 3.59 2학기 중간내신 약 3.5(정확한 건 아님) 3모 122 6모222 9모223 11모 123 탐구, 국사 대부분 1또는 2 현재 성적은 이러합니다.. 저는 솔직하게 말하자면 의대 가고 싶습니다.. 주제넘는 목표인거 어느정도 알기는 한데 .. 어떻게든 가고 싶습니다 그래서 정시 생각 많이 하고 있는데 혹시 어떤식으로 해야 할지 뭐부터 해야 할지 조언 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쓰는거 먼저하라는 말을 좀만 더 자세히 설명해 주실분 없으신가요..? +예습은 수2, 물1, 생1까지 되어 있고 영어는 제가 생각해도 많이 부족합니다..

  • @user-rm6jr9el5f
    @user-rm6jr9el5f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쓰고 생각하라는 말씀이 정확히 이해가 안됐는데 무엇을 쓰고 생각해야되는 건가요? 공부 하기 전에 공부할 단원을 쓰라는건지 아니면 공부 내용을 쓰라는건지 아니면 일단 공부관련된 거 아무거나 적고 하라는 건지 이해가 잘 안가서요..

  • @Etz_Chayim
    @Etz_Chayim2 жыл бұрын

    다른 수능조언은 '꾸준히'나 도덕적인 측면을 너무 강조해서 거부감들고 짜증났는데 여기서는 핵심을 찌르고 있는것 같네요. 의지의 문제라기보단 기술의 문제다 라는걸 받아들이는게 첫번짼것 같습니다.

  • @user-cs4lx3vc3f
    @user-cs4lx3vc3f2 жыл бұрын

    거리주로 공부하라고 하셨는데 그러면 제가 지금 독재를 다녀서 강제로 10시간 넘게 공부하고 있는데 차라리 독재를 끊고 혼자 공부하는게 나을까요..? 독재 다니면서 공부할때 집중력이 낮아졌다고 느끼긴 했는데 독재를 끊으면 공부량이 줄어들거 같아서 쉽게 못 끊겠어요..

  • @user-wq1cn2rk8z
    @user-wq1cn2rk8z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백 번, 천 번 감사합니다 ㅠㅠ 꼭 실천할게요

  • @hapvii
    @hapvii Жыл бұрын

    요즘따라 고민이 많았는데 딱 좋은 영상을 보게 됐네요 정말 느끼는 게 많아요 내일부터 바로 적용해 봐야겠어요 꼭 덕분에 성공했다는 댓글 달 수 있도록 잘 적용 시키고 노력해 볼게요

  • @user-fn3sp2cs6c
    @user-fn3sp2cs6c2 жыл бұрын

    보통 선생님같은 마인드로(양

  • @user-jd7bf4dl4i
    @user-jd7bf4dl4i2 жыл бұрын

    여러분 수능은 노력과 비례하는 결과를 내는 시험이 아니란건 꼭꼭 알아두세요~...

  • @Decoy_0318

    @Decoy_0318

    2 жыл бұрын

    개인차는 있겠지만 2등급 이상은 노력외의 재능 사고력, 응용능력, 추론능력이 상당히 필요한 것 같습니다. 특히 수학 변별력 가르는 문제는 죽었다 깨어나도 못풀것 같던데

  • @user-so1rh7kv8s

    @user-so1rh7kv8s

    2 жыл бұрын

    @@Decoy_0318 수학 1등급 중 걸친 1등급 말고 진짜 확실한 1등급은 머리도 어느 정도 있어줘야 하는 거에 동감합니다.... 머리가 없으니 열심히라도 해야죠 뭐

  • @user-oo4ly9ck1d

    @user-oo4ly9ck1d

    2 жыл бұрын

    @@Decoy_0318 수학 통합된 상태에서는 1등급 까진 가능하다고 봐요 1등급 상위는 노력+머리 까지 갖추어야 하겠지만

  • @user-rf3cx6my3h
    @user-rf3cx6my3h2 жыл бұрын

    재수 실패하고 이 영상을 보는데 제가 정말 뼈저리게 느낀 걸 말씀해주시네요…

  • @soundwg1831
    @soundwg18312 жыл бұрын

    예비 고1인데 제가 공부하면서 최근에 느끼고 깨달은게 여기 쫙 있네요 감사합니다….

  • @user-qw3yc3lg9g
    @user-qw3yc3lg9g2 жыл бұрын

    김동욱강사가 처음에는 시간을 신경쓰지 않고 하라는데 어떻게해야하죠? 처음 잘 못하는상태에서도 시간을 꼭 측정하면서해야하나요

  • @user-dv6pg4bj5k

    @user-dv6pg4bj5k

    2 жыл бұрын

    김동욱이 말하는 시간을 신경쓰지 말라는 말은.... 4등급 이하 기본적인 독해력도 못 갖춘 학생들이 괜히 비문학 10분 안에 풀기 연습한다고 하는 걸 말리는겁니다... 영상에서 나온 시간과는 개념이 달라요

  • @user-oo4ly9ck1d
    @user-oo4ly9ck1d2 жыл бұрын

    여기 댓글 보고 효율적인 공부한답시고 하루에 대여섯시간 한다는 생각집어 칩시다. 대여섯 시간 공부한다고 스카이 가는 사람들이 몇이나 될거같음? 그냥 특출난거임 효율적인 공부하는것도 중요하지만 책상 앞에 진득하게 앉아서 매일하는것만큼 중요한게 없다고 보는데 여기댓글들은 좀 위험하네

  • @NICEKARNER1234
    @NICEKARNER12349 ай бұрын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선쓰후생이란 개념이 감이 잘 안잡히는데, 예를들어 문제를 풀 때 여백에다가 관련된 개념이나 그런걸 적으면서 생각을 계속 하시란건가요?

  • @preo-ly8lk
    @preo-ly8lk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공부 해본사람은 알죠 양으로 공부하기엔 머리가 복잡해지고 초조해지고 긴장 되고 반대로 질이면 정해놓고 딱딱 해놓으면 집중력 100으로 끝낼수있는 차이가있죠

  • @invain2444

    @invain2444

    2 жыл бұрын

    양도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소입니다. 보통 집중이 항상 100이 아니니까 대부분의 사람은 머리를 머리로 극복하는것에 한계가 있어서 몸으로 극복하는 시도를 해야하는데 예를들어 읽기 위주의 공부에서 쓰기 위주의 공부방법 전환이 되겠죠 본인스스로 정해놓고 공부 할수 있다는 마인드는 오만한거같아요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100퍼의 노력이 아니라 150퍼의 노력을 해야 실전에서 100수준으로 나온다고 봅니다

  • @snipperon

    @snipperon

    2 жыл бұрын

    윗분 말이 맞는게 기출을 강조하고 질을 중요하다라고 강조하는 상위권 분들도 알고보면 양도 기본으로 깔고 가더라구요. 막 실모 1일1개씩 기본 깔거나 전과목으로 n제 수십권은 푸는식으로요. 근데 이걸 일반 사람이 양보단 질이 중요하다라고 오판하고 양을 줄이고 질만 추구하다 보면 망할 수 밖에 없죠.. 결국에는 질은 질대로 중요하지만 양도 닥치는대로 많이 푸는것도 중요한건데 말이죠.

  • @invain2444

    @invain2444

    2 жыл бұрын

    @@snipperon 맞습니다 정점이 아닌이상 계속 해야합니다 정점인 상태에서 유지하기 위해서야 질이 중요한 부분이겠지요

  • @user-rt6ri7ty2z
    @user-rt6ri7ty2z2 жыл бұрын

    혹시 이런방법을 쓰게 된다면 하나를 끝내려면 많은시간이 들거 같은데 처음에 이런 생각들어도 계속 한페이지씩 시간재고 만약 한 페이지 공부하고 외우는데 5분이 걸렸다 이러면 한시간 계산하면 12페이지가 되는데 오래 걸려서 끝낼거 같아 걱정이에요..ㅜㅜ그리고 한페이지에 5분이 넘어가게 되면 이럴땐 어떡하죠???

  • @xiaoming-ko1es
    @xiaoming-ko1es2 жыл бұрын

    재수 스카이 삼수 의대 간 친구가 이거 보더니 자기가 알고보니까 딱 이 스타일로 공부했다고 하네요 정말 신기해요

  • @user-yb5mm8nf1l
    @user-yb5mm8nf1l Жыл бұрын

    이건 수능, 공부 뿐만아니라 다른 모든것에서 다 맞는 말이다.. 느슨해진 삶에 긴장감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shinemsmsk
    @shinemsmsk Жыл бұрын

    요즘 집중 너무 못하고 있었는데 덕분에 집중도 잘되고 흥미도 생깁니다 남은시간얼마남지 않았지만 좋은 결과를위해 노력해보겠습니다!!

  • @user-uu4mz8rw6h
    @user-uu4mz8rw6h2 жыл бұрын

    와,, 뼈를 때리시네

  • @6335069
    @63350692 жыл бұрын

    1. 실전과 같은 몰입있는 공부가 중요 2. 시간주가 아니라 거리주로 공부 3. 잡생각 하지말고 손을 움직이며 먼저 요약하면서 몰입

  • @user-ve3vl5xb2y
    @user-ve3vl5xb2y2 жыл бұрын

    근데 이거 수학문제풀땐 적용안해도 되나요? 저는 스피드올리기엔 실력이 아직 부족해서 문제풀이할땐 생각하는 시간이 아직 길어서요

  • @user-mo1qb4bx6w
    @user-mo1qb4bx6w Жыл бұрын

    전문직 시험준비하는 사람인데 다른 좋은 동기부여 얘기해주는 영상보다 이분꺼보고 마음가짐 리셋해서감... 게으른 사람 얘기부터 다 공감되고 제 상황에 잘 들어맞는 이야기만 하시네요

  • @hoons5798
    @hoons57982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저도 항상 공부시간과는 거리가 먼 생활을 해왔음.. 커리도 남들 하는 길 쉽게 따라가지 않고 과감하게 스스로에게 맞는 것을 찾았고.. 대신에 공부하는 순간만큼은 불을 붙였습니다. 100까진 아니어도, 거의 85~90? 정도로 했던 것 같네요. 그러다 85~90이라는 집중력에서 슬슬 떨어지기 시작하면 그냥 드러누웠습니다. 그래서 결국 올해 평균 공부시간은 네다섯시간 내외였죠. 목표에서 약 2% 부족하긴 하지만, 6/9평보단 잘봤으니 이걸로 만족합니다

  • @user-xr7zx8gx2b
    @user-xr7zx8gx2b2 жыл бұрын

    영상 다 공감가는데 꾸준히 이야기하실때 다른 개념 설명하시려는거 알긴한데 꾸준히를 폄하하면 안됨 공부효율안나와도 하루에 한과목은 한다 라는 마인드로 쉬면 안됨 한번쉬면 계속 쉬고싶어짐 마지막에 선쓰후생도 결국 의식의 흐름을 꾸준히 유지한다는 원리인데

  • @minjiminji_
    @minjiminji_ Жыл бұрын

    고3입니다... 애매하게 희망 주는 영상보다 단호하고 확실하게 말씀해주셔서 마음 다잡을 수 있었네요!! 공스타도 가만히 생각해보니 남에게 보여주시 위함인 것 같아요. 접어야겠어요 😂 일년도 안남은만틈 졸라게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선생님

  • @cat1jin
    @cat1jin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안녕하세요 5:32 부터 뭐를 쓰라는지 잘 모르겠는데 다시 영상 올려 주실 수 있나요??? ㅠㅠ

  • @user-bo6vm1uy6o
    @user-bo6vm1uy6o2 жыл бұрын

    제가 밀렸다는 핑계로 공부를 엄청 미루는데 많은시간동안 많은양을 해야한다는 생각 때문에 미루는거같아요 그래서 플래너에도 밀린 양을 해치워야한다는 생각으로 너무 많은 양을 적어서 실행력도 떨어졌어요 동기부여도 안됐고요 영상에서 더 짧은시간이더라도 효율적으로 쓰라는 말을 듣고 지금부터 제가 정말 공부할 수 있는 양을 정해서 꼭 너무 오랜시간 해야한다는 강박을 버리고 그 날 해야 할 분량만을 생각해보려고하는데요 해야 할 양이 엄청나게 밀려버린 저에게도 해당하는 방법일까요?.. 그날 그날 정말 할 수 있는 목표를 딱 정해두고 오늘 하루는 이것만 지킨다는 생각으로 해보려고하는데요.. 방학동안 꾸준히 열심히 하고있는 친구들보다 좀 더 뒤에 있는 제가 이 방법을 써도 괜찮은걸까요..?ㅠㅠ 고2입니다

  • @user_abc92361

    @user_abc92361

    2 жыл бұрын

    처음에 적은 양부터 시작해서 자신감 잡힐 때 차차 늘려가시면 돼요 적은 양이라도 아무것도 안하는 것보단 낫죠..

  • @jun6224
    @jun62242 жыл бұрын

    이대로 해볼게요. 최대한.. 요즘 좀 공부 방향을 바꾸고 있는데 아버지가 강조했던게 이 영상에 많이 들어있음.. 몇시간이 중요한게아니라 얼마나 했느냐가 중요한거라고.. 또 다시 새로운 과제? 목표가 생겼네요 해낸다 반드시

  • @rhksdyd7410
    @rhksdyd74102 жыл бұрын

    성머생으로서 왜 우리학교를 걸고 넘어져 이러고 들어왔는데 맞말만해서 저게 맞지 하고 갑니다 오래하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효율이 중요하단말 진짜 맞다고 봅니다 다른말도 충분히 납득가고 인정할수있는 얘기라고 생각되네요

  • @won-hoyun1861
    @won-hoyun1861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진짜 덕심(?)으로 미친 듯 빠져들어야 무리에서 빼어난 결과가 나오더라구요

  • @ohmyggg439
    @ohmyggg439 Жыл бұрын

    인정. 공부는 단시간에 해도 최대의 집중력으로 본인이 정리하는 습관이 있으면 결국 오름. 근데 반박하자면 공부에도 감이라는게 있고 재능이라는게 있음. 이게 부족하거나 없다면 양으로 조지는 방법밖에 없음. 이 영상은 기본기가 좀 있으면서 감이 좀 있는 국어,수학 3등급권 영어2등급권 애들이 봐야할 애들임

  • @minseokshin4514
    @minseokshin4514 Жыл бұрын

    이건 수능 뿐 만 아니라 업무를 하는데 있어서도 굉장히 중요한 스킬입니다. 업무 속도가 느려도 상관 없으니, 예측 가능하게, 그리고 자신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일을 잘 한다고 저는 생각이 듭니다. 언제 항공기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하나 한 적 있는데, 제 동료 엔지니어들 중에서 업무에 대한 이해도도 높고 효율적으로 하는 동료들을 보면 어느 주에 몇시간은 어떤 것을 하는지에 관해서 계획이 다 있더라고요.

  • @minseokshin4514

    @minseokshin4514

    Жыл бұрын

    다만 우리가 주의해야 할 것은, 개인적으로 어떤 것을 "공부"한다는 프로세스를(일명 공부법이라고들 합니다만) 잘 정립해 두고, 그것이 비효율적이지 않는지 돌아보는 자기 평가를 꾸준히 해 주는게 중요한거 같습니다. 제가 대학교 1학년때 공학수학 과목을 여름방학에 걸쳐서 공부하고 8월(영국은 학기가 9-10월에 시작됩니다)에 재시험을 봤었어야 했는데 멘탈관리도 안되고 공부법도 정해놓은걸 바꾸고 싶지 않은 집착 때문에 과목 전체를 커버하지 못하고 재시험을 봤었어야 했습니다. 점수가 69점이 나왔는데(영국 대학은 70점이 1등급입니다) 하느님께서 "넌 안일하게 시간만 때우는 공부를 했으니 1등급에서 1점만 가져가겠다" 라고 말씀하신것만 같은 느낌이 들더군요.

  • @user-ig8zn1ri9i
    @user-ig8zn1ri9i2 жыл бұрын

    와.. 시험 2주 정도 남았는데 보게 되서 다행이네요 진짜.... 알고리즘 땡큐... ㄹㅇ꿀팁주는 분 하나 알았네

  • @Drinkingparty
    @Drinkingparty2 жыл бұрын

    ㅋㅋ옛날생각나네요 수학을 풀땐 눈으로 읽고 이미 문제는 머릿속으로 다 풀고(이런이런식으로 값을구해내면 답이 나오겠다) 손으로는 그 숫자계산, 수식정리만 하면 결국 답이 나오는거 대학1,2학년때 수학 과외할때 종종 얘기했었는데 ㅎㅎ

  • @damnvro
    @damnvro9 ай бұрын

    개념같은건 어떻게해야하나요? 개념 공부할 때도 시간 측정해서 해야하나요? 저는 개념같은 경우는 진득하게 푸는 스타일리라..

  • @user-uq7ht1qf2r
    @user-uq7ht1qf2r2 жыл бұрын

    맞는말임 보통 내 집중도가 7시간 가는데 기 이후량은 16시간이 되든 큰 공부 성과량 ( 얻어가는 양 ) 자체는 크지 않음 국어로 대표해서 말하자면 3지문을 보는거보다 한 지문 마스터할 정도로 이해하는게. 이해하고 푸는게 공부에 더 도움됨. 물론 난 집중도 7시간짜리 새기지만 시간파이기도 때문에 12~16시간 공부한다. 일단 양을 챙겨봐 그럼 질은 어느정도까진 따라온다. 애초에 3시간 해서 3시간 풀집중하면 그거만으로 재능임 일단 압도적인 시간을 챙기고 그 사이에 질을 끼워넣자

  • @user-dy7qp9qh1z
    @user-dy7qp9qh1z2 жыл бұрын

    현타 씨게맞고 갑니다.. 지금이라도 이 영상을 본게 너무 행운같아요 빨리 자고 당장 내일부터 이 방법 적용 해 볼생각에 설레네요 양치기가 답이라고 생각하고 2년동안 해왔는데 성적은 떨어지는 이유를 몰랐어요 이제야 알게됐네요 감사합니다

  • @LostKwangya
    @LostKwangya2 жыл бұрын

    제가 이래서 시간도 적게 2~3시간 꾸준하게 하지않고 일주일에 한 3,4일만 성실하지 않고 그냥 삘받을때만 공부해서 목표점수를 달성했습니다^^

  • @user-rt9wv8or1m
    @user-rt9wv8or1m2 жыл бұрын

    진짜 감사합니다! 제가 첫 내신때 수학하고 탐구만 좀 친 케이스인데 저는 제가 공부를 엄청 많이 했는데 왜 점수가 안나오는지 이해가 잘 되지 않았습니다.지금 생각해보니까 효율성이 너무 떨어졌던것 같습니다.시간을 채우려고 공부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까 정말 망청한 짓을 하고 있었네요 효율성을 최대로 끌어올리는 공부를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user-gr8vr6cp7r
    @user-gr8vr6cp7r Жыл бұрын

    나이 40에 영상 보고 많이 배웁니다. 이유는 나온 방법이 다른 여러분야에도 적용할수 있을것같아요. 학생여러분 좋은 방법은 배워두면 복리적으로 인생에 많은 도움이 되는것 같습니다. 즐거운 공부하세요.

  • @user-sg7hx9ts5z
    @user-sg7hx9ts5z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ㅠㅠ

  • @ashishitriphathi2816
    @ashishitriphathi28162 жыл бұрын

    다른애들에 비해 공부시간 대비 성적 잘나오는 편이었는데, 이거인가봐요. 항상 시간 재면서 타이트하게 하고 한번 할 때 빡 집중하는편이었스요.

  • @moscosmos
    @moscosmos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뼈 세게 맞은 느낌이네요 이 영상을 보지 않았다면 재수할 확률이 더 높았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lights6220
    @lights6220 Жыл бұрын

    (댓글 출처 : nookie 님) 공부가 마치 게임 같이 느껴짐. 아침에 플레너 짤때 내 최대치가 어느정도인지 가늠이 됐고 npc가 던져주는 과제 하나씩 쳐 내는 느낌으로 리드미컬하게 공부 했던것 같음. 심지어 우울하거나 현타 올때 마다 생윤 개념 약점 같은거 a4용지에 냅다 정리 했었음ㅋㅋ

  • @user-yq3jx8do3z
    @user-yq3jx8do3z2 жыл бұрын

    이제 떠나가는 전직 재수생이지만 한마디 해보자면 저는 거리주에 시간주를 덧붙인 느낌? 으로 했습니다 일정시간을 정해두고 정해진 거리주를 시간안에 성공하면 거리주를 살짝 늘리고 못 맞추면 거리주를 줄이는방식으로요. 그렇게 시간에 알맞은 거리주를 나름대로 구해지면 거리주로 해도 오늘 얼마나하면 귀가시간과 맞겠다 같은 계획을 짤 수 있었어요.

  • @user-qo1kn3wg1w
    @user-qo1kn3wg1w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모든 과목은 꾸준히가 맞음 근데 그 꾸준이 하는동안 얼마나 집중했냐는 차이지 이 영상의 핵심은 우리가 평소 공부할때도 집중력을 쏟아부어서 하라는 말인듯

  • @karahanyosan2497
    @karahanyosan24972 жыл бұрын

    진짜 이건 모든 시험에 적용되는 진리

  • @user-xd1ll3bl4z
    @user-xd1ll3bl4z2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저렇게 타이트하게 오늘할 분량을 엄청노력해서 따라가려고하면 오히려 하던것을 조금 소홀하거나 대충풀고 깊이없이하게되버릴거같은데 어떡해야할까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