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안에 2등급은 찍는 '국어 공부법'

3월 모의고사 국어 시험 분석 후 가장 현실적인 공부법을 제안합니다.
수능 국어 공부법.
leecoach.com
수능 국어 강사 이코치
더 코어 인터넷 강의 개강
#수능 #국어 #3월모의고사 #공부법 #모의고사 #메가 #현우진 #오르비

Пікірлер: 98

  • @user-nightsky
    @user-nightsky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Goma_7
    @user-Goma_72 ай бұрын

    사랑합니다♡

  • @user-ow9xn1qu6u
    @user-ow9xn1qu6u2 ай бұрын

    훈련은 교육청 모고로 해도 괜찮나요?

  • @user-wn2py6zn2n
    @user-wn2py6zn2n2 ай бұрын

    복습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ㅠ 깨닫고 필기한 부분을 다시 보는 방법인가요?

  • @동탄의제왕엄준식
    @동탄의제왕엄준식2 ай бұрын

    이번 고1 3모 국어 86점 턱걸이 2등급인데 6모는 1한번 찍고 오겠습니다

  • @zo5newal
    @zo5newal2 ай бұрын

    이 연습을 어떤 지문으루 하나요? 수특?

  • @user-yh4or2bz4v
    @user-yh4or2bz4v2 ай бұрын

    사관시험 준비중인데 수특 연계가 없는만큼 이런 방식으로 독해력을 올리는 방식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Jun-tn7ot

    @Jun-tn7ot

    19 күн бұрын

    혹시 국간사 가시나요?

  • @choanny1874
    @choanny18742 ай бұрын

    내가 진짜 국어를 못하는데 syntax, 한 문단씩 읽고 문제풀고 털어버리기, 손가락 걸기로 수능 2 맞았음. 원래 글 잘 읽는 사람들은 지문 통째로 읽고 풀어도 상관없지만 난 그렇게 하면 3-4등급 나오더라

  • @user-hp4kq7dm5h

    @user-hp4kq7dm5h

    2 ай бұрын

    인강이나 수업 뭐들으셨나요?

  • @user-wo3uh4xz6g

    @user-wo3uh4xz6g

    17 күн бұрын

    1. 나를 아는 것이 최고의 지식이다. 이 말은 100번 넘게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2. 신이 있나 없나는 개인의 생각과 신념에 달려있다. 3. 학교폭력은 녹음기로 녹음해서 고소하면 된다. 4. 운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엄청 몰입해서 노력해도 결과가 엄청 안좋을 수도 있다. 5. 공부 습관이 잡혀있지 않다면 그냥 포기하라. 공부 습관을 잡는 데만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6. 책 출간하면 어디 대학이든지 가능하다.,. 7. 내신(학교 시험)이 수능의 기초다. 내신 절대 포기하지 말라! 해외대학에 갈 때, 쓰이는 바탕 자료가 학교 시험이기 때문이다. 8. 몇 년간 다른 사람 페이스북 프로필을 계속 보고 있었다. 참고로 그 이전에 과거에 막 심하게 괴롭히고 학교 친구들이 보는 앞에서 막 때리기도 했었었다. 그렇게 내가 말을 걸었다. OO야, 너 나 괴롭혔던 거 반성하니?

  • @user-lp3iy6oz6n
    @user-lp3iy6oz6n2 ай бұрын

    2ㅣ문을 한번 읽었는데 이해 안되면 몇번이곤 읽고 문제푸나요?

  • @user-wp5kt5ep6d
    @user-wp5kt5ep6d2 ай бұрын

    문학도 똑같은 방법으로 하면 되나요?

  • @dys7600
    @dys76002 ай бұрын

    한번에 풀어라

  • @hyungminkim3758
    @hyungminkim37582 ай бұрын

    고1입니다 혹시 내신은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영상 좀 추천해 주실 수 있나요?

  • @user-wt6ss6tq6r

    @user-wt6ss6tq6r

    2 ай бұрын

    내신 국어는 진짜 암기임 지문 포인트나 문학작품 해석이 오로지 학교 선생님의 주관적 의견에 달려있기 때문에 선생님 수업을 그냥 학교 수업이라 생각하지 말고 무려 '출제자 직강'이란 마음으로 쌤이 하는 말 다 주워 담아서 암기

  • @GoodLife5312

    @GoodLife5312

    2 ай бұрын

    자습서 외우기 풀기

  • @user-wo3uh4xz6g

    @user-wo3uh4xz6g

    17 күн бұрын

    1. 나를 아는 것이 최고의 지식이다. 이 말은 100번 넘게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2. 신이 있나 없나는 개인의 생각과 신념에 달려있다. 3. 학교폭력은 녹음기로 녹음해서 고소하면 된다. 4. 운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엄청 몰입해서 노력해도 결과가 엄청 안좋을 수도 있다. 5. 공부 습관이 잡혀있지 않다면 그냥 포기하라. 공부 습관을 잡는 데만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6. 책 출간하면 어디 대학이든지 가능하다.,, 7. 내신(학교 시험)이 수능의 기초다. 내신 절대 포기하지 말라! 해외대학에 갈 때, 쓰이는 바탕 자료가 학교 시험이기 때문이다. 8. 몇 년간 다른 사람 페이스북 프로필을 계속 보고 있었다. 참고로 그 이전에 과거에 막 심하게 괴롭히고 학교 친구들이 보는 앞에서 막 때리기도 했었었다. 그렇게 내가 말을 걸었다. OO야, 너 나 괴롭혔던 거 반성하니?

  • @user-wt6ss6tq6r
    @user-wt6ss6tq6r2 ай бұрын

    현역 때 5떠서 진짜 개현타오고 별 공부 안했는데 이번 3월엔 83나오길래 또 현타옴... 국어 왜이러지

  • @user-mv7wf6rn3i

    @user-mv7wf6rn3i

    Ай бұрын

    재수왜하냐?

  • @user-wt6ss6tq6r

    @user-wt6ss6tq6r

    Ай бұрын

    @@user-mv7wf6rn3i 수시때매라도 하는게 개이득임

  • @user-qt7hn1pg2h
    @user-qt7hn1pg2h2 ай бұрын

    세부정보 난사하는 부분에선 다시 돌아가지 않고 어떻게 선지를 털어내나요..? 일단 냅다 나온대로 연습을 해야하나 ..

  • @Motglass

    @Motglass

    2 ай бұрын

    평가원에서 그딴거로 변별 안합니다

  • @user-qt7hn1pg2h

    @user-qt7hn1pg2h

    2 ай бұрын

    @@Motglass 음 그런가요? 세부내용 물어보는 기출문제 몇개 있었던 것 같은데요 요즘은 추론형 문제가 강세라 잘 안 나오는것 같지만요

  • @JU-mw8sz

    @JU-mw8sz

    2 ай бұрын

    세부정보 난사 그니깐 그냥 나열하는 부분은 다시 돌아가야 합니다 절대 기억 못해요 인간의 단기 기억력은 동물들보다 약하니까요 ㅎ

  • @codemaster9332

    @codemaster9332

    2 ай бұрын

    지문 이해가 진짜 제대로 됐다면 자신감을 가진 상태로 서치를 할 수 있어서 속도도 빨라요:)

  • @user-ct8xj2zm6n

    @user-ct8xj2zm6n

    2 ай бұрын

    세부 정보를 담고 있는 카테고리가 ‘분명’있습니다 (평가원 기준) 그걸 기억(자연스럽게 납득) 그러면 쉽게 처리할 수 있게됩니다

  • @user-nn1ms3ep2f
    @user-nn1ms3ep2f2 ай бұрын

    기출으로 개념공부하고 지문이해하는 실정훈런 같은거는 n제로 하는건가요?? 아님 안풀어본 기출로?

  • @user-rh5xy6gq5s
    @user-rh5xy6gq5s2 ай бұрын

    문학 좀 남기고 다 5번 찍었는데 거의 다 맞아서 2등급 ㅋㅋ 문학은 뭔 지문인지도 기억 안남

  • @catnvlrt

    @catnvlrt

    2 ай бұрын

    공통 뒤에 5번 ㅈㄴ 많더라..

  • @user-ix9bm9do7i

    @user-ix9bm9do7i

    2 ай бұрын

    ㅅㅂ 문학 뒤쪽 333으로 찍었는데 답 555 ㅜㅜㅜㅜ

  • @GoodLife5312

    @GoodLife5312

    2 ай бұрын

    저도 ㅋㅋㅋ 3355555로 찍었다가 5개 맞음 ㅋㅋㅋ

  • @user-re8hu2rh3e
    @user-re8hu2rh3e2 ай бұрын

    이제 영상 내려주시면 됩니다🙇‍♀️

  • @lights6220
    @lights62202 ай бұрын

    국어. 한 달 안에 2등급은 찍는 '국어 공부법'

  • @jaff3245
    @jaff32452 ай бұрын

    근데 문학 같은 경우에는 굵은 글씨나 그런 건 어쨌거나 제시문을 돌아가야 하는데 문학은 돌아가도 괜찮은가요?

  • @ronla6796

    @ronla6796

    2 ай бұрын

    고3고정 1에 현역 백분위 100이였는데요, 저도 늘 돌아갔습니다. 다만 본인이 읽는 속도가 좀 느리다면 차라리 한번 읽을 때 정보를 최대한 그러모으는게 좋겠네요.

  • @lucyoh
    @lucyoh2 ай бұрын

    뭔가 전 이해했다고넘어갔는데 항상 한지문에 2개씩은 틀리는데 도대체 어느정도가 이해했다고 할 수 있는걸까요...? 지문을읽을때 앞에 문장과 연결하며 읽는데 항상 60점대. 너무 답답해요 매번 4등급인 재수생입니다 진짜 국어 성적 올리고싶어요

  • @humanchuchu4169

    @humanchuchu4169

    Ай бұрын

    정독이랑 중심문장 찾는 연습부터 하세요. 고3이면 기출지문으로 반복해서 거의 외우듯 읽으시면 2등급 가능

  • @oo-gv2oq

    @oo-gv2oq

    Ай бұрын

    @@humanchuchu4169 지문 반복을 어떤식으로 해야하나요? 그냥 무작정 외우듯이 계속 읽으면 되나요?

  • @user-hi8wx5sv1t

    @user-hi8wx5sv1t

    20 күн бұрын

    @@oo-gv2oq이해를 해야죠..

  • @user-ms9ex7vk6h
    @user-ms9ex7vk6hАй бұрын

    곧 6모를 앞둔 고1입니다 모고기출을 풀 때 마다 항상 한문제 차이로 4등급으로 떨어지는데 올리기 위해서 어떤 식으로 공부를 해야할까요?2등급 꼭 받고 싶습니다

  • @user-jo6lj7vb9f
    @user-jo6lj7vb9f2 ай бұрын

    현역 고3인데 내신 국어 1.25고 작년 6모 9모 연속 1이었는데 이번에 수학 영어 1 나왔는데 국어만 72점 처음 받아보는 점수받아소 3떳어용 ㅠㅠ

  • @user-ol5cz4id3p

    @user-ol5cz4id3p

    2 ай бұрын

    고2 모의고사는 그냥 고3이랑은 완전히 다른 시험이고 또 평가원은 교육청이랑 차원이 다른 시험입니다. 그냥 독립변수라 생각하시는게 마음편함

  • @sonkkasonbbongduldafxxkyou

    @sonkkasonbbongduldafxxkyou

    2 ай бұрын

    교육청은 솔직히 1대1 대응하고 좀 집중하면 잘 풀리지만, 평가원은 지문 이해가 가장 중요해서… 많이 다를 겁니다.

  • @user-bp4pc2bg9r

    @user-bp4pc2bg9r

    2 ай бұрын

    그대로 유지하면 M수생 다 들어오는 수능에선 5에서 6정도 뜰거임

  • @Motglass

    @Motglass

    2 ай бұрын

    강민철을 안들으니까 떨어지지..

  • @user-xk4uz8fg7t

    @user-xk4uz8fg7t

    2 ай бұрын

    ㄹㅇㅋㅋ​@@Motglass

  • @user-sr3rd6mf3l
    @user-sr3rd6mf3l2 ай бұрын

    수학 7이야 😅

  • @user-IllIllIllI
    @user-IllIllIllI2 ай бұрын

    14학년도 수능국어 원점수 98점이고 백분위 99% 였는데.. 전반적인 본채널 내용에는 되게 공감을하는데 돌아가지 말기 이런거는 잘 모르겠네요. 이게 되게 오래된 논쟁인데 정독해서 한방에 문제풀기 vs 문제읽고 필요부분 파악해서 읽기(혹은 필요시 왔다갔다) 정독방식의 문제는 한번 늪에 빠지면(지문 난도가 실제로 높거나 본인 컨디션이 안좋거나 마침 생소하던 소재라거나) 시험운용에 있어 발란스 잡기가 어렵다는 점입니다. 잘읽으면 시간 안부족하다고 하는데 모두가 그런 것도 아니고 매번 그런 것도 아닙니다.

  • @user-zw1nd4jt1p

    @user-zw1nd4jt1p

    2 ай бұрын

    14학년도 국어랑 지금 국어랑은 아예 지문이나 문제가 달라요 아저씨

  • @Motglass

    @Motglass

    2 ай бұрын

    돌아가지 말자는 좀 많이 아닌거 같긴해요 콘크리트 지문 안 돌아가는 사람들 있나? ㅌㅋㅋㅋ

  • @Motglass

    @Motglass

    2 ай бұрын

    돌아가는 정보랑 이해하는 정보랑 다른데

  • @user-xk9pm8et2k

    @user-xk9pm8et2k

    2 ай бұрын

    예전에 비슷한 질문에 이코치님께서 답변하신 걸 본 적 있는데, 후자의 방식으로 공부하면 수능 국어까지는 가능할지 몰라도 리트 같은 시험에서는 털린다고 말씀하셨어요. 그래서 제 생각엔 수능 국어 정도는 후자로도 커버 가능하지만, 이코치 님은 오직 수능만을 위한 공부보다는 국어 능력 자체를 키우는 방향을 원하시는 것 같네요.

  • @JU-mw8sz

    @JU-mw8sz

    2 ай бұрын

    @@user-zw1nd4jt1p지금이 훨씬 어렵죠 ㅠㅠ 저도 현역때 수능보다가 금 본위제 지문 헤겔보고 멘탈 갈려서 재수했네요

  • @bill5185
    @bill5185Ай бұрын

    5:09

  • @leecoach-manager
    @leecoach-managerАй бұрын

    6월 이후, 역전하려는 현역과 N수를 위한. 이코치 2025 수능 '반수 THE CORE' 개강 (사전 구매 할인 - 2024년 6월 9일까지) www.leecoach.com/course/course_list.jsp?cid=115083

  • @user-fg8ts9sz3z
    @user-fg8ts9sz3z2 ай бұрын

    5등급은 어떻게 하나요 ㅋㅋ

  • @v.chan329

    @v.chan329

    Ай бұрын

    맞춤법부터 인증 확실...

  • @user-ft5ff8cd5n

    @user-ft5ff8cd5n

    Ай бұрын

    어떻 ㅋㅋㅋㅋㅋㅋㅋ

  • @user-qt7hn1pg2h

    @user-qt7hn1pg2h

    Ай бұрын

    @@v.chan329아 웃으면 안되는데 ㅋㅋㅋㅋ ㅠㅠ

  • @user-ib7nd4qn9z

    @user-ib7nd4qn9z

    2 күн бұрын

    게 빠뜨린거 아님?

  • @user-fg8ts9sz3z

    @user-fg8ts9sz3z

    13 сағат бұрын

    @@user-ib7nd4qn9z 맞아요 ㅋㅋ

  • @user-cn2ov9yl7o
    @user-cn2ov9yl7o2 ай бұрын

    문학파트 고전시가를 너무 어려워하더라구요. 이번 3학년 국어도 문학이 어렵게 출제됐던데요. 언매도 그렇구요. 이것도 기출을 풀면 해결이 될까요? 아이는 자꾸 따로 공부하려고 해요. 언매가 안되니 언매문제집따로 고전시가가 안되니 고전시가 문제집 따로요 이렇게 하다보니 정작 기출풀 시간도 수능특강할시간도 없더라구요.답답해서 글남겨봅니다

  • @user-by6ir1jy7m

    @user-by6ir1jy7m

    2 ай бұрын

    언매만 따로 공부하고 나머진 기출 ㄱㄱ

  • @user-zk7wv9xr8c

    @user-zk7wv9xr8c

    2 ай бұрын

    고전시가가 젤 쉬운건데..

  • @choanny1874

    @choanny1874

    2 ай бұрын

    고전시가는 암기시키세요 주요 작품 암기시키면 다 반복입니다

  • @deded11

    @deded11

    Ай бұрын

    고전시가는 고어(古語)학습,한자 학습(계절이 뭔지 등 파악 가능), 주제(충•효•사랑•탈속 및 자연 은거•자연에 은거했는데 속세에 미련이 계속 남음)학습이 사실상 끝이에요 뭐 과하게 비유적라서 어려운 문장도 결국 주제흐름타고 가면 역접이 있지 않은 이상 쉽게 알 수 있음 (역접 없다면 계속 주제가 이어진다는 말)

  • @deded11

    @deded11

    Ай бұрын

    그리고 이번 수능 문학이 어렵게 나왔는데 여기서 묻는 건 결국 똑같아요 "글 이해했니" 그래서 결국엔 국어 능력(독해력•논리관계이해 능력)을 늘리는 게 답입니다 고어는 요즘에 안 나오는 추세긴 하지만 언제 또 나올지 모르는 국면이라 하는 게 좋죠

  • @user-gy6wz4er3g
    @user-gy6wz4er3g2 ай бұрын

    1빠!

  • @user-bx2nu3sy5g
    @user-bx2nu3sy5gАй бұрын

    코어 / 변태 이분화

  • @tomb4007
    @tomb40072 ай бұрын

    2등급 받을거면 공부왜함

  • @user-yv5qt8xs3r

    @user-yv5qt8xs3r

    2 ай бұрын

    2등급도 못받으실거 같은데

  • @user-st9ye7jb6q

    @user-st9ye7jb6q

    2 ай бұрын

    맥락파악 못하는거보면 2등급도 못받을거같노 ㅋㅋ

  • @user-wj5gk6vg8p

    @user-wj5gk6vg8p

    2 ай бұрын

    그따구로 살건데 왜사는중?

  • @user-si2ql3lx4s

    @user-si2ql3lx4s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 @gichae

    @gichae

    2 ай бұрын

    인문학적 소양과 사회성 부족. 안타까운 사람입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