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도 100%의 물이 위험한 이유 ㄷㄷ (충격주의)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순도 100%의 물과 혈액이 섞이면 어떤 현상이 나타날까요?
증류수는 물을 끓여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증류 과정을 통해
(증류 : 끓는점 차이를 이용해 혼합물들을 분리하는 방법)
물속의 유기물과 무기염류(미네랄)들을 제거한
순도 100%의 순수한 물입니다
이러한 증류수에는 여러가지 이야기들이 있는데,
바로 마시면 설사한다는 소문과
오히려 마시면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소문이죠.
이렇게 양극단으로 나뉜 평가의 진실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증류수를 이용하여 직접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증류수의 비밀을 영상에서 확인해주세요!
#증류수 #물 #과학
궁금하신 주제를 댓글로 남겨주세요!
문의 메일 : fishyfish2019@gmail.com
수상한생선의 도서
『수상한생선의 진짜로 해부하는 과학책 1,2』 도 사랑해주세요-!

Пікірлер: 846

  • @user-ne2zf7td9l
    @user-ne2zf7td9lАй бұрын

    증류수는 싫어해도 증류주는 좋아하는 신기한 사람들

  • @romtp9334

    @romtp9334

    23 күн бұрын

    "또 술을 마실 이유를 찾았군요"

  • @bamboo__helicopter

    @bamboo__helicopter

    21 күн бұрын

    저 부르셨나요

  • @quuu213
    @quuu213Ай бұрын

    굉장히 올바른 자세. 내 안에서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사실은 정보로써는 받아들이되 신빙하지 않습니다. 과학만이 아니라 유튜브나 심지어 뉴스에서조차 이런 자세가 굉장히 필요합니다.

  • @piyac7981

    @piyac7981

    Ай бұрын

    똑똑한 청년.

  • @dnjfqor4585

    @dnjfqor4585

    Ай бұрын

    민주ㄷ 선ㄷ.. 광우ㅂ... 어...으흠.. 저는 투표권 없습니다ㅠ 응애...

  • @LeeWonWoo

    @LeeWonWoo

    Ай бұрын

    @@dnjfqor4585이러지 말라는 말입니다. 주워들은걸로 이렇게 떠들고 다니지 말라고요.

  • @llIlIllIIlllIlIIIlIl

    @llIlIllIIlllIlIIIlIl

    Ай бұрын

    @@LeeWonWooㅇㅈㅋㅋ

  • @user-wc9rt7wj3z

    @user-wc9rt7wj3z

    Ай бұрын

    ​@@dnjfqor4585 모자란 청년

  • @warden5055
    @warden5055Ай бұрын

    선생님 엽전현상도 없고 적혈구 건강하십니다

  • @dayservant

    @dayservant

    Ай бұрын

    엽전현상이 뭔가용?

  • @kch3351

    @kch3351

    Ай бұрын

    Saline이 섞인 혈액이라 연전이 풀린걸 지도...?!

  • @kch3351

    @kch3351

    Ай бұрын

    ​@@dayservant 간단히 말하자믄 적혈구가 옛날에 쓰던 동전 화폐 (엽전)을 모아놓은 것 맨키로 서로 엉겨붙어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 @kch3351

    @kch3351

    Ай бұрын

    ​​@@dayservant 간략히... 기전을 설명하자믄 적혈구막은 약한 음전하를 띄는데 염증성 단백 같은 양전하를 띄는 물질이 혈액 속에 많아지면 적혈구 막 외부의 음전하가 약해지면서 서로 엉겨 붙어서 엽전처럼 보이는 현상입니다. 근데 사실 이렇게 거창하게 써놨지만 일반인도 탈수가 심하시거나 (예를 들어 술을 거하게 드시고 응급실에 실려오신..) 그런분들도 가끔 혈액 도말한 slide 보면 연전현상 있고 그럴수도 있습니다. 진짜 병 때문에 연전현상 있는게 아니면, 연전현상 보인다고 너무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 @hhhjjj82

    @hhhjjj82

    Ай бұрын

    ​@@kch3351 롤룩스랑 엽전현상이 같은건가요..? 몇일전에 수행평가로 이 원인 조사했는데 롤룩스라고 나와서요ㅠㅠ

  • @BosoBoso3117
    @BosoBoso3117Ай бұрын

    공부하고갑니다😊

  • @user-ew1qf6wy8i

    @user-ew1qf6wy8i

    Ай бұрын

    ↑🙃

  • @lambition
    @lambitionАй бұрын

    미국은 그냥 마트에서 생수파는데가면 팔아요.. 의료용만큼 순도가 높지는 않겠습니다만 (그냥 생수통에 팔아서) 요리 할때도 종종 쓰이고 가습기 등 미네랄 성분을 원치 않을때 사용하더군요. 저는 보통 자동차 부동액 희석할때 사용합니다. 수도물로 희석해도 되기는한데, 증류수보다는 않좋죠.

  • @user-zk9qo5nz5g

    @user-zk9qo5nz5g

    Ай бұрын

    한국만 유독 증류수 먹으면 큰일 나는 줄 아는데 다단계 정수기 팔이 회사들이 얼마나 거짓말을 하는지..

  • @sangnamja313

    @sangnamja313

    Ай бұрын

    ​@@user-zk9qo5nz5g 그냥 속아주고 정수기 이용해줍시다. 기업이 살아야 나라가 살고 국민이 사는거죠 수많은 정수기 기업들에서 일하는 근로자들 하며 기업들이 납부하는 세금이 이 나라를 지탱하는거 아니것습니까 기업을 적대시 하는 이상한 문화는 구시대의 유물입니다 악덕기업이 없고 노동자들의 세상 그것은 북한

  • @nso7747

    @nso7747

    Ай бұрын

    ​@@sangnamja313 사기 많이 당하세요~ 사기꾼들도 우리나라 국민이고 그 사람들도 먹고살아야 나라가 돌아가니까~

  • @sangnamja313

    @sangnamja313

    Ай бұрын

    @@nso7747 누가 사기꾼들한테 당하랍디까 에휴

  • @nso7747

    @nso7747

    Ай бұрын

    @@sangnamja313 가짜광고 허위광고도 사기입니다 사기치는 기업 물건 쓰라매요? 그쪽도 꼭 사기당해서 경제발전에 이바지 하세요~~

  • @user-gi4ek2dj9d
    @user-gi4ek2dj9dАй бұрын

    1:38 이 맥아리 없는 신음소리 ㄷㄷ

  • @Byungmat_penguin

    @Byungmat_penguin

    Ай бұрын

    ⚡🔻⚡ 💭(😍)

  • @user-on1im8ui6j

    @user-on1im8ui6j

    Ай бұрын

    ❤❤❤❤❤❤❤1:39❤❤❤❤❤❤❤❤❤❤❤

  • @lovebird9989

    @lovebird9989

    Ай бұрын

    아앙❤

  • @6uess

    @6uess

    Ай бұрын

    너무 좋아요...😍❤

  • @alalalal-lb9ls

    @alalalal-lb9ls

    Ай бұрын

    오늘은 이거다

  • @hantank97
    @hantank97Ай бұрын

    설사를 지려보기 위해 직접 증류수를 마셔본 선생님 감사합니다. 다음번에는 자두와 푸룬주스에 대해 알려주세요! 😊

  • @matrix_potato
    @matrix_potatoАй бұрын

    항상 재밌게 잘 보고있습니다

  • @stillliveon
    @stillliveonАй бұрын

    생1 생2 과목에 나오는 내용이었는데 직접 보니 재미있는 실험이네요

  • @user-lt7hf8ul8k
    @user-lt7hf8ul8k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있는, 모두 배웠던 그렇지만 살짝 잊혀 진 아는 지식들일건데.. 오해와 견해들에 대한 교정을 해주시는게 정말 대단하신 것 같아요👍👍

  • @kimi-ud8wg
    @kimi-ud8wgАй бұрын

    진짜 이 채널 콘텐츠들 너무 좋고 개취!!!!

  • @oiljang12345
    @oiljang12345Ай бұрын

    바로 구독,. 이시대 진정한 유튜브

  • @user-qc8sg2qf6w
    @user-qc8sg2qf6wАй бұрын

    현미경 스팩이 궁금해요~!

  • @user-nt9ox2vy9k
    @user-nt9ox2vy9kАй бұрын

    대박 저 오늘 학교에서 삼투 실험 했는데 실패했거든요....ㅜㅠㅠㅜㅠㅠ근데 성공한 결과 보니까 신기하네요!!!! 진짜 빵빵해지고 진짜 쪼그라드네요!!!! 싱기해~~~ 다음에는 양파 표피 세포로도 해주세요~~~ 원형질 분리 되는 거 디게 신기하더라구요!!!! 항상 너무 잘 보고 있어용!!! 재미있는 영상 감사합니다!!

  • @kime5000
    @kime5000Ай бұрын

    크.... 정말 좋은 내용

  • @lionlollol493
    @lionlollol49317 күн бұрын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yeaho5579
    @yeaho5579Ай бұрын

    한때 생물이었을 수도(?) 있는 석유에 대해서도 해주세요

  • @user-mf1hj3qf4x

    @user-mf1hj3qf4x

    Ай бұрын

    석유의 근본적인 발생원인은 아직 오라무중--

  • @user-ss4wb1by1b

    @user-ss4wb1by1b

    29 күн бұрын

    석유의 근원은 생물이 아니라는게 현재 학계의 정설임

  • @user-ju4wi9zv2l
    @user-ju4wi9zv2lАй бұрын

    지금 초4맡아서 수업실무실습 중인데 생선님 영상 아이들한테 보여줄까 합니답:) 식물 단원에서 한 단계 더~라는 식으로 써볼까 합니다ㅋ.ㅋ

  • @user-lv1ic8yt4s

    @user-lv1ic8yt4s

    Ай бұрын

    애들도 지루해하지 않고 좋을거 같은데요

  • @user-ju4wi9zv2l

    @user-ju4wi9zv2l

    Ай бұрын

    @@user-lv1ic8yt4s 응원 감사합니다 ^ㅡㅡㅡ^주말 동안 열심히 만들어봐야겠네여~ㅎㅎ

  • @vinylstage

    @vinylstage

    Ай бұрын

    아이들이 부러운데요 ㅋㅋㅋ

  • @jwp-eb7jv

    @jwp-eb7jv

    Ай бұрын

    이용료도 없이 남의 컨텐츠에 기생하는 거 보소.ㅋㅋ 본인만의 수업 자료를 만들어서 가르칠 생각을 해야지.ㅉㅉ

  • @user-oc1bl3rs5k

    @user-oc1bl3rs5k

    Ай бұрын

    니​@@jwp-eb7jv 니 고졸이지? 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co8zc3ol6y
    @user-co8zc3ol6yАй бұрын

    우와 적혈구를 진짜로 보는건 처음이라 신기하네요! 실험 잘 봤습니당!!😊

  • @cna7568

    @cna7568

    Ай бұрын

    아직 진짜로 안보셨는데요..!?

  • @user-co8zc3ol6y

    @user-co8zc3ol6y

    Ай бұрын

    @@cna7568 그... 제가 말한곤 그거에여ㅠ.,ㅠ 현미경으로 보는...ㅋㅋㅋㅎㅋㅋ 항상 그림으로만 봤어서요 ㅋㅎㅋㅎㅋ 말을 너무 헷갈리게 햇네용!!

  • @ajhrevolution
    @ajhrevolutionАй бұрын

    흔히 볼 수 있는 일반적인 물에는 보통의 물 분자가 아니라 핵에 중성자가 붙은 수소가 들어간 중수(重水) 분자가 극미량 함유되어있다고 하는데 저러한 증류수에도 중수가 함유되어있는지 아니면 중수도 걸러져서 없어지는지 궁금합니다

  • @chaehyoungoh1478

    @chaehyoungoh1478

    Ай бұрын

    포함됩니다~~!

  • @kaipark451
    @kaipark451Ай бұрын

    직접 실험 좋아요~, 손가락은 오늘도 좀 아프시겠네요. ㅜㅜ

  • @user-ww3sz7ot9w
    @user-ww3sz7ot9wАй бұрын

    여기서 소개하는 증류슈가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DW를 의미하는건가여?

  • @anizebal6984
    @anizebal6984Ай бұрын

    나 이 유튜브 너무 좋아 그냥 평화로우면서 재밌어 ㅎㅎㅎㅎㅎ

  • @user-pt4vl2dx2p
    @user-pt4vl2dx2pАй бұрын

    통과 시간에 배운 내용인데 실험으로 보니 재밌네요

  • @ItsYou-yn9rs
    @ItsYou-yn9rsАй бұрын

    고1 때 통합과학에서 확산, 삼투현상에서 배웠던 기억이 조금씩 올라오네용~~

  • @cloud_love_conan10
    @cloud_love_conan10Ай бұрын

    영상 재밌게 봤습니다! 혹시 2:59 여기부터 삽입된 음원의 정보를 알 수 있을까요ㅠㅠ

  • @l77777

    @l77777

    Ай бұрын

    네 알려드렸습니다~

  • @MT_PPp
    @MT_PPpАй бұрын

    헉 다이하이드로젠 모노옥사이드 ㅎㄷㄷ.. .

  • @z0108174

    @z0108174

    Ай бұрын

    ㄷㄷㄷㄷ

  • @kingshark1016

    @kingshark1016

    Ай бұрын

    일산화 이수소 ㄷㄷ

  • @kwa4209

    @kwa4209

    Ай бұрын

    일산화이수소 ㄷㄷㄷ

  • @StarShevron

    @StarShevron

    Ай бұрын

    그거 섭취한 사람은 다 죽었대...

  • @king_SFP

    @king_SFP

    Ай бұрын

    익사를 유도하는 물질ㄷㄷㄷㄷ

  • @88bb43
    @88bb43Ай бұрын

    오~ 이런 영상을 어디서 보겠노. 좋은 교육자료 입니다.

  • @chldbrl5026
    @chldbrl5026Ай бұрын

    용혈 현상을 현미경으로 보니 너무 신기해요 ㅎㅎㅎ 이렇게 실험을 통해 가설을 확인하고 인지해 나가는게 너무 좋네요! ㅎㅎ

  • @user-cg7hp4uj5v
    @user-cg7hp4uj5vАй бұрын

    재밌게 잘 봤어요

  • @user-xi2lg7ke2r
    @user-xi2lg7ke2rАй бұрын

    만약 입안에 상처가 있다면 증류수를 마셨을 때 문제가 생기나요? 아니면 설명 해 주셨듯이 체액과 닿으며 변질되어 상관 없나요?

  • @MrArcry
    @MrArcryАй бұрын

    증류수는 장기복용해도 아무 상관 없습니다. 일반 물을 통해 섭취하는 유효 성분들은 평소에 먹는 음식 만으로도 충당 하고도 남습니다.

  • @Junhyeock

    @Junhyeock

    Ай бұрын

    개인마다 식습관이 다른데 상관이 있을수도 있지 않나요?

  • @MrArcry

    @MrArcry

    Ай бұрын

    @@Junhyeock 통상적인 식사를 기준으로 한 말이고, 어떤 식으로든 극단적인 식습관을 가진 경우라면 문제가 있을 수 있겠네요. 그런데 그 정도로 극단적이면 애초에 물이 문제가 아니죠.

  • @wonsukchung2979

    @wonsukchung2979

    Ай бұрын

    @@Junhyeock 생수 한 컵에 있는 무기질을 다 합쳐봐야 0.1g도 안됩니다. 그런데 음식에 들어있는 무기질은 1g이 넘습니다. 우리가 정상식사를 한다면 무기질은 아무 문제가 안됩니다.

  • @user-gm4ko4qi4r

    @user-gm4ko4qi4r

    Ай бұрын

    성분문제라기보다는 흡수율에는 관련없을까요..?

  • @HnGi4

    @HnGi4

    Ай бұрын

    @@user-gm4ko4qi4r 일반적인 음식 + 증류수 하는 순간 이미 그속의 수분은 음식+생수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게 되니까요.

  • @user-tv5rq7oc6o
    @user-tv5rq7oc6o22 күн бұрын

    저거 생명과학2에서 배우는데 선생님 너무 유익해요

  • @user-fj4gm2df6x
    @user-fj4gm2df6xАй бұрын

    세포 삼투 얼마 전에 했던 실험인데 저는 적혈구 용혈이든 쪼그라든거든 잘 관측이 안되더라고요... ㅠㅠ 혹시 현미경 몇배율로 관찰하셨는지 그리고 소금물 몇M 농도로 사용하셨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 @user-wr3hh5ku9i

    @user-wr3hh5ku9i

    Ай бұрын

    영상에 10%소금물 1000배확대라고 쓰여 있네용

  • @no3arch387

    @no3arch387

    Ай бұрын

    실험하실때 우연히 식염수와 비슷한 농도로 제조하셨었나보네요ㅎㅎ

  • @salmonmayo
    @salmonmayoАй бұрын

    저도 어릴 때 증류수를 마시면 탈이 난다는 말을 듣고 자랐는데... 이렇게 몸소 실천해 주시면서 재미있게 알려주신 덕분에 지식을 얻고 갑니다~! 최근 들어서 손가락 찌르는 컨텐츠가 많아서 재밌기도 한데 한 편으로는 아플 것도 같아요 ㅠㅠ 감사합니다!

  • @hajunj
    @hajunj10 күн бұрын

    증류수를 식물에 줘도 될까요? 생각해 보면 비에도 물말고 뭐 다른게 있는지 모르겠네요. 비가 만들어지는거도 이슬점을 통한 순수 물 분리인데.. 대기에서 추가되는 물질이 많은지.

  • @sjson5586
    @sjson5586Ай бұрын

    진짜 어쩌다가 마시면 위험하다는 게 상식처럼 자리 잡았는지 신기하네요 👍

  • @user-ph8xc6ru8p

    @user-ph8xc6ru8p

    Ай бұрын

    무식한 선생들이 퍼트림.

  • @feelk5627

    @feelk5627

    Ай бұрын

    약국에서 구입 할 때 약사들이 증류수(정제수로 바뀜) 그냥 마시면 설사 한다고 하면서 마시지 말라고 하더라 구요

  • @BogleVanguardZealot

    @BogleVanguardZealot

    6 күн бұрын

    @@feelk5627 그런데 말입니다. 평소에 먹지 않던 종류의 물 (외국 물 등) 을 먹으면 1-2차례 설사를 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는 적응이 되어 아무렇지 않게 되지요. 증류수도 마찬가지로 처음 먹게 되면 1-2차례 설사 할 수 있지만 그 뒤에는 괜찮습니다. 오랫동안 증류수를 먹은 경험에 비추어 봤을 때 증류수 단점은 일단 맛이 없고, 갈증이 더 나는 것 같은 느낌이 있어 물을 자주 마시게 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지금은 주로 생수를 마시고 가끔씩 증류수 먹어서 장운동(?)을 시키지요~

  • @greatjudith1571
    @greatjudith1571Ай бұрын

    적혈구 너무 귀여워요

  • @Exupery_ArtLab
    @Exupery_ArtLabАй бұрын

    존나재밌다...ㄷㄷㄷㄷㄷ

  • @user-sh2xj8fm2n
    @user-sh2xj8fm2nАй бұрын

    적혈구가 너무 귀여워요

  • @oppapara
    @oppaparaАй бұрын

    5차 증류수 도 궁금합니다.

  • @Aaaaaaaaaaaaaaaaaaaa12344
    @Aaaaaaaaaaaaaaaaaaaa12344Ай бұрын

    다음 영상으로는 설치류 해부가 궁금해요!!👍

  • @red8763
    @red8763Ай бұрын

    라면국물 혈관주사만 안 하면 먹어도 되는 거죠? ㅠㅠ

  • @HonRanE
    @HonRanEАй бұрын

    채소, 고기 등을 익히기 전과 후의 세포 변화가 보고싶어요!

  • @rmlyome
    @rmlyomeАй бұрын

    증류수, 초순수 데미워터도 같이했으면 어땟을지 궁금하네요

  • @DanbiEo-uk1sk
    @DanbiEo-uk1skАй бұрын

    저도 현직 고등학교 과학교사인데 1학년 통합과학에 나오는 내용이네요~ 너무 설명 잘해주시고 현미경 영상도 좋은데 수업시간에 보여줘도 될까요 ㅎㅎ 애들이 훨씬 잘 이해할 거 같아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mangododo4591
    @mangododo4591Ай бұрын

    수상하게 유익해

  • @jeongmo2002
    @jeongmo2002Ай бұрын

    먹으면 안된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고 영상 끝날때 마셔도 돤다는걸로 다시 알았네요. 그럼 영상을 보기전 상태로 돌아온거네요. ㅋㅋ

  • @Necromecha
    @NecromechaАй бұрын

    진짜 과학은 항상 새롭다... 은근 증류수같이 알려진게 자꾸나옴

  • @user-th1nt6iq5s
    @user-th1nt6iq5s11 күн бұрын

    증류수와 정제수는 같은건가요?

  • @kiki21
    @kiki21Ай бұрын

    직접 아프게 찔러 몸 아끼지않고 실험해서 검증하신 샘께 경의를 표합니다! 미국에선 분유타는 용도로 일갤런씩 증류수 distilled water 팝니다. 저는 양압기의 가습기 용도로 증류수를 쓰고 있고요.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 @toover7121
    @toover7121Ай бұрын

    증류수의 생식소는 어디인가요?

  • @user-iz7uj6bi2k
    @user-iz7uj6bi2kАй бұрын

    진짜 나중에 교육부 장관 되셔서 해양수산부랑 협조하에 고래해부 부탁 드리겠습니다.

  • @Lettuce1214

    @Lettuce1214

    Ай бұрын

    💀💀💀

  • @DWG_KIA

    @DWG_KIA

    Ай бұрын

    호들갑 지리노

  • @user-ro6dl9se4c

    @user-ro6dl9se4c

    Ай бұрын

    그냥 쥐잡으셔서 해부하시면 됩니다.. 뱃속은 똑같거든요... 콧구멍만 조금 위치가 다를 뿐...😅😅😅

  • @Sapsal-dog

    @Sapsal-dog

    Ай бұрын

    교육부장관 되서 해양수산부랑 협조하는것보다 해양수산부장관이 되는 게 좋을듯

  • @bumjunkim1424

    @bumjunkim1424

    Ай бұрын

    고래 포경은 불법

  • @user-pe7ek6pw7r
    @user-pe7ek6pw7rАй бұрын

    오... 그러네요.. 저도 당연히 먹으면 안된다했는데 몰랐던걸 알아서 좋은 것 같습니다!

  • @user-vv2hg8kx3w
    @user-vv2hg8kx3w18 күн бұрын

    설명만 들었을땐 농도차이가 많이 나서 그렇다던데 그럼 혹시 일반 생수와 적혈구가 만나도 동일한 반응이 일어나지 않은가요?

  • @user-kh9xy2wn3d
    @user-kh9xy2wn3dАй бұрын

    생리식염수 말고 일반적인 수돗물에는 어떻게 반응하나요?

  • @user-wu8ij7hf8t

    @user-wu8ij7hf8t

    Ай бұрын

    일반적인 물도 혈관에 주사하면 증류수처럼 세포가 팽창하거나 터집니다

  • @user-hk1or9dc4v

    @user-hk1or9dc4v

    19 күн бұрын

    ​@@user-wu8ij7hf8t오~~~그렇군요 좋은 정보감사

  • @matohwagi
    @matohwagiАй бұрын

    선생님의 적혈구를 봤더니 오늘따라 크리스피도넛이 먹고싶네요

  • @Veruveto
    @VeruvetoАй бұрын

    차량용 탈취제 원액 희석할 때 자주 사용하고 있어서 입에 대 볼 생각은 한번도 안해봤는데 먹어도 문제 없었군요 ㄷㄷ 혈액관련 유용한 지식까지 굿 오늘도 하나 배워갑니다~

  • @user-vm2kq1fu1i
    @user-vm2kq1fu1iАй бұрын

    와 올바른 정보

  • @siwureaid6878
    @siwureaid6878Ай бұрын

    피 관련 실험 할 때마다 너무 아파보여요 ㅋㅋㅋㅋㅋ;;

  • @GamCham3
    @GamCham3Ай бұрын

    국내에서도 예전에 증류수 식음료상품화 해서 판적 있었음

  • @user-kc4ii5mm3r
    @user-kc4ii5mm3rАй бұрын

    2:37에 나오는 적혈구 말고 기다란 것은 무엇일까요?

  • @dodokiwi7-we
    @dodokiwi7-we2 күн бұрын

    대조군 실험군 딱 보여주니 아주 맘에드는 채널이다.

  • @vona6054
    @vona6054Ай бұрын

    초순수도 한번 해주세요

  • @perfect_peach
    @perfect_peachАй бұрын

    너무 신기하고 재밌어요!

  • @nowar9298
    @nowar9298Ай бұрын

    무엇보다 궁금한것은 증류수를 혈액과 섞어서 현미경 관찰시 혈구들 뒤에 지렁이 형태의 기다란 무언가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user-fx3ko9op9j
    @user-fx3ko9op9j4 күн бұрын

    문송합니다만..훑꾸시마 오염물을 혈액에 적용하고 난 후가 궁금합니다 ㅠ

  • @user-it4eu1tg2w
    @user-it4eu1tg2wАй бұрын

    공장에서 쓰는 DI워터는 뭐하는 건가요

  • @user_525mqwfgxbkxz

    @user_525mqwfgxbkxz

    Ай бұрын

    이온을 제거한거요.

  • @andoryusei

    @andoryusei

    Ай бұрын

    DeIonized water의 약자로, 보통 물에 들어있는 이온을 제거한 물이라고 하네요

  • @user-ic3dx7gt3b

    @user-ic3dx7gt3b

    Ай бұрын

    증류수는 단순 증류를 통해 만들어져 물속에 있던 불순물들이 대부분 제거 되지만 극미량의 이온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DI워터의 경우 이온교환수지를 통해 극미량의 이온까지 제거하여 영상에서 증류수를 순도 100%의 순수한 물이라고 칭하였지만, 증류수보다는 DI워터가 순도 100%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 @lovelysharon
    @lovelysharonАй бұрын

    수액에 대해서도 알려주세요

  • @tekkyun
    @tekkyunАй бұрын

    비교군으로 그냥 생수나 수돗물 같은것도 있었으면 좋았겠네요. 결과는 증류수랑 다르지 않았겠죠?

  • @elgb5671

    @elgb5671

    Ай бұрын

    크게 다르지는 않겠지만 차이가 있기는 하지 않을까요

  • @Kudax
    @KudaxАй бұрын

    예전에 생명과학 시간에 배웠던 건데 삽화 말고 진짜 현미경을 써서 보는건 처음이네요 🤩

  • @sunurissopretty
    @sunurissoprettyАй бұрын

    아진짜 여기 유튜브 맨날보구싶다!!!!!!!! 영상 자주올려조 보고시퍼!!!!!!@!@@ 사랑해!!!

  • @user-oc8jm5ws2e
    @user-oc8jm5ws2e24 күн бұрын

    재밌네용

  • @slstreet1
    @slstreet1Ай бұрын

    생수도 실험에 넣으셨으면 좋았을텐데 아쉽네요

  • @elle_lee

    @elle_lee

    Ай бұрын

    생수도 당연히 적혈구 터져요😅

  • @user-vk3fe5db3k

    @user-vk3fe5db3k

    23 күн бұрын

    @@elle_lee 댓글에 생수 관련해 질문하는 분도 많더라고요, 저장액 관련해서는 짧게만 언급하고 지나가다보니 궁금한 분들이 많아서 그런것 같습니다

  • @d_gomdol
    @d_gomdolАй бұрын

    일상에서 증류수는 자동차 냉각수보조탱크에 붓는 수단으로만...

  • @user-cm4ot1lt1v
    @user-cm4ot1lt1vАй бұрын

    고1 통합과학시험범위라서 유튜브 보는 죄책감이 덜하네요 감사합니다

  • @jwonPRINT
    @jwonPRINTАй бұрын

    무안단물도 테스트 부탁드립니다

  • @user-ej5ix8mw3b
    @user-ej5ix8mw3bАй бұрын

    하루 한잔은 다이어트에 도움이 될지도..? 궁금하네요

  • @KORmatrixmod
    @KORmatrixmodАй бұрын

    한국출신 채널이었군요 ㅋㅋㅋ 일본인것같은 의심은 들었었는데 예전에 이것저것 해양생물 해부하는거 보고 재밌어서 자주 봤습니다~

  • @iiieeieei390
    @iiieeieei390Ай бұрын

    슈퍼 아이돌...무서운 존재였군요.

  • @sonsonking00

    @sonsonking00

    Ай бұрын

    예?

  • @gyeolkim157

    @gyeolkim157

    Ай бұрын

    ​@@sonsonking00w중국 슈퍼 아이돌이요

  • @pulllop

    @pulllop

    24 күн бұрын

    증리우쉐이~

  • @JPark-tx2ii

    @JPark-tx2ii

    22 күн бұрын

    쫑류 쉐이~

  • @user-rs7ih5sk3c
    @user-rs7ih5sk3cАй бұрын

    식염수 소금물 증류수 정수물 수돗물 같이 2개 대조군 추가 필요합니다

  • @eyeless3992
    @eyeless3992Ай бұрын

    1:32 증류수가 문제가 아니라 혈관으로 들어오는 대부분은 위험할텐데

  • @user-qi5hx6dd2e

    @user-qi5hx6dd2e

    Ай бұрын

    염산은 혈관으로 넣어도 안죽음

  • @SwrfgUub-lh1bb
    @SwrfgUub-lh1bbАй бұрын

    순수물이 되게 위험하다고 언뜻 들은 것 같았는데 아니었네요. 언젠가 한 번 마셔보고 싶네

  • @user-he5uz1mz2q
    @user-he5uz1mz2qАй бұрын

    선생님 증류수는 칼로리가 아예 없나요?

  • @user-yk6sx3go4c
    @user-yk6sx3go4cАй бұрын

    증류수는 생존주의적으로는 보관이 용이해서 나을 것 같긴 합니다. 장기간 물을 보관하기에 나은 것 같아요.

  • @user-wy4rh1lg7b
    @user-wy4rh1lg7bАй бұрын

    저장액이니까 세포가 농도를맞추려고 물을 흡수하쥐요.

  • @cm10024
    @cm10024Ай бұрын

    덕분에 DI water를 안심하고 마실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선생님

  • @haam4975
    @haam4975Ай бұрын

    우리 강현이가 완전 순도 100퍼센트의 물은 없다 그랬어요

  • @auriha05

    @auriha05

    Ай бұрын

    초순수

  • @user-jo5jp1px9m

    @user-jo5jp1px9m

    Ай бұрын

    야초에 이세상의 존재하는 물질중의 순도 100프로가 가능한 물질이 존재하긴 함?

  • @convenie_isoge

    @convenie_isoge

    Ай бұрын

    하지만 무한전기는 가능하더랬죠...

  • @jazzycozzy

    @jazzycozzy

    Ай бұрын

    그래서 물에는 칼로리가 있죠(진짜임)

  • @backmtowl

    @backmtowl

    12 күн бұрын

    ​@@user-jo5jp1px9m이런게 오해인데 당연히 순도 100%인 물질은 존재함 그냥 분자 하나 놔두면 그게 순도 100%지. 근데 이걸 측정하는 과정에서 측정장비의 한계로 오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음. 즉 순도 100%를 측정하는것은 불가능하지만 순도 100%인 물질이 존재하지 않다는것은 아니다

  • @Sewoonsorisa
    @SewoonsorisaАй бұрын

    속이 뻥 시원한 내용이었습니다. 어떤 분들은 증류수는 미네랄이 없어서 몸에 안좋다고 하시는데 조금만 생각해보면 저희가 먹는 음식에는 필수 영양소뿐만 아니라 미네랄도 충분한데 증류수 먹으면 큰일 난다고 하는 말이 답답했습니다. 생수에 미네랄이 있어도 음식에 비하면 아주 적은 미네랄인데 말이죠... 어떤 분은 증류수에 이온이 없어서 내장에 흡수가 안된다고 하시는데... 삼투압 원리를 생각하면 오히려 찐한 소금물이 탈수를 일으키는데 말이죠... 저는 어릴 적 학교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증류수 먹어도 괜찮다고 하셨습니다. 대신 과학실의 증류수는 오래동안 방치되어 있고 실험에 사용 후 남은 내용물은 공기 중 균에 의해서 오염이 되어 있을 수 있으니 먹지 말라고 배웠습니다. 덕분에 위험한 이유를 알게 되었구요. 학교 선생님 덕분에 저는 이유와 원리를 알게되었습니다. 다짜고짜 '안된다' '배탈난다' 라고만 하지 않고 그 이유와 원리를 다른 분들도 학생들에게 알려주시면 참 좋을텐데... 라는 생각이 드네요.😊

  • @Sewoonsorisa

    @Sewoonsorisa

    Ай бұрын

    물론 저도 공업용 증류수는 안마실겁니다. 냉각수 보충용도의 증류수는 미네랄 제거가 우선순위이지 균에의한 오염은 상관없으니 포장할 때 관리를 하지 않을테니깐요. 마시더라도 약국에서 판매하는 증류수를 마실겁니다.

  • @user-cg5rf7ko7k
    @user-cg5rf7ko7kАй бұрын

    한번도 설사한다는 소리 들어본적이 없는데 그런말이 있었네요 ㅎㅎㅎ

  • @Sun-fc3cf

    @Sun-fc3cf

    Ай бұрын

    저도 첨 들었네요 오히려 무인도에 물 없을 때 생존 방법으로 바닷물 끓여서 증류수 만들어 마실 수 있다 이런건 봤는디요

  • @user-hi5ql4vi6c
    @user-hi5ql4vi6cАй бұрын

    생수 먹다가 피처형 정수기 사용해서 물 마시니까 갑자기 설사 하기 시작해서 다시 생수로 바꿧어요 근거는 없다고 해도 몸에 따라서 설사 하는 체질이 있나 보더라고요

  • @Solamon_Eula
    @Solamon_Eula15 күн бұрын

    헤에 그러면 실험실에 있는 초순수 제조장치에서 나온 물은 상처에 닿으면 조금 해로울 수 있겠네요.

  • @---kd9it
    @---kd9itАй бұрын

    아마 정수기업체랑 밀접한 연관이 있지 싶어요. 또 다른 탐구해 볼 사항이 있는데 카페인등 이뇨작용이 있는 차나 음료같은건 물을 더 많이 배출해서 물대신 못먹는다라고 이분법적으로 알고 있던데 염도가 바닷물처럼 되는거 아닌이상 제 생각에는 그거 아닌데 말이죠. 그런것도 허구성을 다뤄 주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sz8kg1ql4x
    @user-sz8kg1ql4xАй бұрын

    차량 대쉬보드랑 유리닦을때 좋습니다.

  • @lacrimosa0
    @lacrimosa0Ай бұрын

    1:24 과하게 마시면 그냥 물도 위험함 ㅋㅋㅋㅋ ㅠ_ㅠ

  • @vany3699
    @vany3699Ай бұрын

    얼마전 영화에서 배터리 증류수 먹는거 보고 검색했더니 된다 안된다 다들 말이 달랐는데 오늘에서야 정답을 찾았네요! ㅋㅋ

  • @user-cn4mz8gl6b
    @user-cn4mz8gl6bАй бұрын

    세바스찬은 무지개보러갔습니까?

  • @user-jc9rv4sb1x
    @user-jc9rv4sb1xАй бұрын

    고등학교 통합과학에서 나오는 내용인데 수업용으로 사용해도 되겠어요

  • @Pfelix-dj3gu
    @Pfelix-dj3guАй бұрын

    생리식염수가 증류수같은거라고 생각했는데 둘이 다른 액체였네요? 그냥 약국에서 파는 더 깨끗한물 같은 느낌으로만 막연히 알고있었어가지고😅 새로운거 알았네요

  • @schwij
    @schwijАй бұрын

    사실 증류수 먹고 설사한다는 소리는 아무래도 세균/바이러스성 장염이 아닐까 싶습니다. 화학실험이나 용액 조제 기준으로는 문제없이 걸러냈다곤 하지만 기기내에서 걸러내지 못하거나 남아있는 잔여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섞여나온게 음용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다면 문제가 될 수 있을거에요 해서 UV 조사 등의 살균과정을 더 거치고 적합한지 검사도 돌리는걸로 알고 있어요 실제로 말통이나 드럼에 담긴 세제나 섬유유연제 같은거도 제조시 정제수 섞는데 균 때문에 변질이 오기도 하고 고온으로 담아두면 저온살균 되서 문제 없었던 경우도 있다 하니까요

  • @user-ph8xc6ru8p

    @user-ph8xc6ru8p

    Ай бұрын

    ????? 그건 증류수가 아닌데요? 물속에 배탈이 날 정도의 세균이 있다면 전기도 통함. 그냥 글로만 배운 무식한 선생들이 퍼트린겁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