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혈액형의 피를 섞으면 나타나는 충격적인 현상 ㄷㄷ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혈액에는 많은 적혈구가 존재합니다
사람의 피는 모두 똑같아보이지만
혈액형이라 불리는 여러 종류의 혈액 타입이 있습니다.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있는 당단백질, 당지질, 탄수화물, 단백질 등으로 이루어진 항원에 의해 정해지는데, 사람마다 다른 항원을 가지고 있죠.
사람의 혈액형에는 수십여 종류가 있지만..
다른 혈액형에게 수혈했을 때 가장 심각한 문제가 일어나는 ABO식과 Rh식 혈액형이 가장 유명합니다
오늘은 ABO식 혈액형이 다른 혈액이 섞였을 때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현미경으로 직접 관찰해보았습니다!
#혈액형 #현미경 #과학
궁금하신 주제를 댓글로 남겨주세요!
문의 메일 : fishyfish2019@gmail.com
수상한생선의 도서
『수상한생선의 진짜로 해부하는 과학책 1,2』 도 사랑해주세요-!

Пікірлер: 563

  • @science_devil
    @science_devil2 ай бұрын

    돌아다니던 b형 님과의 원만한 합의 바랍니다.

  • @0930_hook

    @0930_hook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 @ATELLASDREADNOUGH9865

    @ATELLASDREADNOUGH9865

    2 ай бұрын

    겁나아프겠다.

  • @ImSin_MyeongLi

    @ImSin_MyeongLi

    2 ай бұрын

    닭 잡는 소리가 나는데?

  • @99gugu796

    @99gugu796

    2 ай бұрын

    O형 의견은 없어? ㅠㅠ

  • @mephi-ipnida

    @mephi-ipnida

    2 ай бұрын

    원만한 합의 ㅋㅋㅋㅋ

  • @sr.park.
    @sr.park.2 ай бұрын

    B형이신 분 손 딸 대마다 "끄악!"하고 소리내시는거 귀여운거가틈.

  • @user-tj9nw5gy1z

    @user-tj9nw5gy1z

    2 ай бұрын

    그게 뭐가 귀엽냐

  • @user-cj9kw2kw1u

    @user-cj9kw2kw1u

    2 ай бұрын

    고라니 좋아하는 취향.

  • @yonglee791

    @yonglee791

    2 ай бұрын

    @@user-tj9nw5gy1z너보단 귀엽지 않을까?

  • @user-h27r53v4k

    @user-h27r53v4k

    2 ай бұрын

    @@user-tj9nw5gy1z니애미도 너보고 똑같은 생각함

  • @user-tj9nw5gy1z

    @user-tj9nw5gy1z

    2 ай бұрын

    @@yonglee791 너 애미보단 내가 더^^

  • @jangoon8974
    @jangoon89742 ай бұрын

    채혈 효과음 너무 리얼하네요 ㅋㅋㅋㅋㅋㅋ

  • @chn8971
    @chn89712 ай бұрын

    1:24 고라니...? 를 잡아오셨나요?

  • @dandelion-fh4qu

    @dandelion-fh4qu

    2 ай бұрын

    고라니😂

  • @user-xs6fr5bo4t

    @user-xs6fr5bo4t

    2 ай бұрын

    고라니소리 처음 들어봅니다

  • @dandelion-fh4qu

    @dandelion-fh4qu

    2 ай бұрын

    @@user-xs6fr5bo4t ㅋㅋㅋ

  • @tlzms_endrornfl
    @tlzms_endrornfl2 ай бұрын

    너무 유익했습니다 재밌어요 지나가던B님 재출연 기원~

  • @shasha6214
    @shasha62142 ай бұрын

    교과서나 글로만 봤지 직접 보니 궁금증 풀리고 좋네유

  • @hayeonkim7838
    @hayeonkim78382 ай бұрын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흥미로운 영상 진심 넘 감사합니다 ㅎㅎ

  • @user-jc2om3bn8s
    @user-jc2om3bn8s2 ай бұрын

    3:34 다만, 혈액형마다 질병에 대한 면역 양상이 조금씩은 다르다는 건 사실입니다. 혈액형도 일종의 면역 체계니까요.

  • @JYool10

    @JYool10

    2 ай бұрын

    코비드에는 o형이 더강하죠

  • @juk9940

    @juk9940

    2 ай бұрын

    @@JYool10ㅇㅎ.. 그래서 제가 무증상이었나보군요

  • @jolyn-bn8es

    @jolyn-bn8es

    2 ай бұрын

    아 그래서 a형인 엄마와 동생은 2번 3번씩 걸리고 o형인 아빠와 저는 한번밖에 안걸린걸까욬ㅋ..

  • @user-ce8rh3xn1k

    @user-ce8rh3xn1k

    2 ай бұрын

    B형인데 가족들 걸렸을때 혼자 안걸렸네요 사바사 몸바몸 인듯 ㅋㅋ

  • @JYool10

    @JYool10

    2 ай бұрын

    다른혈액형에비해 O형이 코비드에 강하다는거지 O형이라고 코비드에 안걸린다는거는아닙니다;;

  • @PuppleStorm
    @PuppleStorm2 ай бұрын

    와 이거 말로만 들었었는데 직접 보니까 무섭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vm2kq1fu1i
    @user-vm2kq1fu1i2 ай бұрын

    직접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 @leadiana77
    @leadiana772 ай бұрын

    저 ab형인데, ab형은 다른 혈액형에게 받는 것만 되는군요ㅎㅎ 이 영상 통해서 혈액형을 한층 더 공부하게 됐어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1lliON_vangogh
    @1lliON_vangogh2 ай бұрын

    1:24 땨앍! 1:28 땳 1 2:03 땳 2

  • @user-mj4mn7bp7z

    @user-mj4mn7bp7z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Pfelix-dj3gu

    @Pfelix-dj3gu

    2 ай бұрын

    1:24 얉!

  • @jingo6812

    @jingo6812

    2 ай бұрын

    조용한 스터디 카페에서 모르고 뿜었습니다 책임지세요

  • @Jhg0709

    @Jhg0709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vr9pm8pq3t

    @user-vr9pm8pq3t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짱아임?

  • @user-nj9td7il2u
    @user-nj9td7il2u2 ай бұрын

    혈액형 수업을 듣고 30년만에 어떻게 되는지 영상으로 확인하게됬네요.. 요즘 학교는 시청각 자료가 풍부하겠죠?

  • @sunsetin.
    @sunsetin.2 ай бұрын

    너무 궁금했단 내용인데 기획햐주셔서 감사합니다!!!

  • @seoyun2jjang
    @seoyun2jjang2 ай бұрын

    우와 제가 어렸을때 생명과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을때부터 해보고싶고 궁금했던 실험인데 해주시다니ㅠㅠㅠㅜㅠㅠ 정말 감사합니다ㅠㅜㅠㅠㅜㅠㅠㅜㅠㅜㅠㅠㅠㅠㅠ

  • @Luce_14

    @Luce_14

    2 ай бұрын

    생명과학 잘하시겠네요 ㅋㅋ 응원합니다

  • @Lotto-channel
    @Lotto-channel2 ай бұрын

    친구분 도움 매우 컸네요

  • @user-zf6lz8um2k
    @user-zf6lz8um2k2 ай бұрын

    오늘도 유익.

  • @kimdadadadada
    @kimdadadadada2 ай бұрын

    이제 선생님들이 항원항체 반응을 설명하실 때 자료로 쓰일듯 백퍼

  • @user-fk8pb6cz1n
    @user-fk8pb6cz1n2 ай бұрын

    간호산데 학교다닐때 주구장창 배우고 외웠는데도 이해가 안됬었던부분이라 그냥 무조건 외우기만했었던거같은데 졸업하고 7년만에 이영상으로 한번에 이해했어요...심지어 재밌어하면서 보고있는 저를 발견.. 항상 유익한영상 많이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eomSdd
    @eomSdd2 ай бұрын

    와 근데 진짜 신기한게 뭔가 잘못된 반응을 보이는 경우엔 그냥 모르고 봐도 섬뜩하고 거부감 드는 비쥬얼임 ㅜㅜ

  • @V0_0v
    @V0_0v2 ай бұрын

    영상 너무 재미있구..,, 너무 짧아서 아쉬울 정도에요ㅜㅜㅋㅋㅋㅋㅋ

  • @namasteindra364
    @namasteindra364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혹시 현미경은 어떤 것 쓰시는지 알 수 있을 까요? 항상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 @user-lz3fd1nj6q
    @user-lz3fd1nj6q2 ай бұрын

    헌혈하고 귀가중인데 딱 피 얘기라니.. 기회가 된다면 헌혈에 대한 얘기도 한번 해보시면 어떨까요

  • @dodoanitube
    @dodoanitube2 ай бұрын

    댑악 오늘도 잘 보구 갑니당^^

  • @user-Soonbak1207
    @user-Soonbak12072 ай бұрын

    오늘 학교 생명과학 시간에 영상 내용이랑 똑같은거 배웠는데 실제 실험영상으로 보니까 훨씬 더 와닿는거 같아요

  • @user-kp8ze2rd8v
    @user-kp8ze2rd8v2 ай бұрын

    2:33 실제로 적혈구 항원만 맞추면 소량은 수혈가능하단 게 이거 때문인게 실감이 나는 장면. 걍 배워서 아는 게 다였는디

  • @Necromecha
    @Necromecha2 ай бұрын

    피나는 노력덕분에 좋은 영상이 나온거네요

  • @OooOoO0O0_00

    @OooOoO0O0_00

    2 ай бұрын

    진짜 '피'를 내서 나온 노력물ㅋㅋㅋㅋㅋㅋ

  • @serene5333
    @serene53332 ай бұрын

    1:27 끼엑! 2:03따악! ㅋㅋㅋ 실험을 위해 고생많으셨습니다😂

  • @U-Sojung
    @U-Sojung2 ай бұрын

    사람 피를 뽑아야지 익룡피를 뽑으면 안되져 슨생님

  • @yj531
    @yj5317 сағат бұрын

    학교 생명시간에 배운걸 이렇게 보니 또 신기하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kaipark451
    @kaipark4512 ай бұрын

    손꾸락을 아끼지 않고 호기심을 풀어주셨네요, 구독 안 할 수가 없네 ;;;

  • @user-eq3lp3do7v
    @user-eq3lp3do7v2 ай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

  • @Ribble
    @Ribble2 ай бұрын

    진짜 궁금하던건데 감사합니다!

  • @user-se8ll4ld3e
    @user-se8ll4ld3e2 ай бұрын

    역시 수상한 생선님은 인형

  • @maybach1260
    @maybach12602 ай бұрын

    현미경에 적혈구가 보일려면 몇배율이 되야하나요?

  • @user-sg6jc7yg7t
    @user-sg6jc7yg7t2 ай бұрын

    선생님 홍어를 정말 좋아하는 사람인데 홍어해부도 해주세요! 홍어 안드시는 분들은 홍어코, 애 이런거 자세한 거를 모르시는 분들이 있어서요!

  • @user-qt9wc6xl2m
    @user-qt9wc6xl2m2 ай бұрын

    B형 공작새인가요? 울음소리가 들리네요

  • @user-pq7ew3ie2n
    @user-pq7ew3ie2n2 ай бұрын

    RH- 혈액형으로 2탄 만들어 주세요 너무 궁금해요!

  • @hellcross9103

    @hellcross9103

    2 ай бұрын

    구하기도 어려울거 같은데

  • @1987-MAD

    @1987-MAD

    2 ай бұрын

    혈액 수급해주면 가능하실듯

  • @user-pq7ew3ie2n

    @user-pq7ew3ie2n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아 그렇네ㅋ

  • @APROBONG

    @APROBONG

    2 ай бұрын

    ABO 보니까 Rh+ -도 궁금해지네요 정말

  • @areswin0

    @areswin0

    2 ай бұрын

    rh-는 적십자에서 특별히 관리함. 비상연락망도 있고 서로 모임? 연락? 하는사람들도 있다고 그랬음. 서로 헌혈도 자주한다던거같고.

  • @taehyunhan8033
    @taehyunhan8033Ай бұрын

    이론으로만 알던 것을 실제로 보니 더 신기하고… 안전한 수혈이 가능해진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 새삼 더 다행스럽네요!ㄷㄷ

  • @Splore.
    @Splore.2 ай бұрын

    오... o형은 다른 혈액이랑 저렇게 응집안돼는줄알았는데 응집되는군요 다음은 지나가던 a ab형도 잡아서 실험해주세요 b형분도 재소환을...

  • @mephi-ipnida

    @mephi-ipnida

    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지나가는 ab형입니다 잡히기 전에 다른 데로 튀겠습니다

  • @kilet555

    @kilet555

    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지나가던 a형 입니다 잡히기전에 다른데로 튈게요

  • @user-np2sq7ki6w

    @user-np2sq7ki6w

    2 ай бұрын

    ㅋㅋㅋ

  • @lye0909
    @lye09092 ай бұрын

    그럼 rh식은 어떤 형태로 항체가 형성되는 거에요? 오늘도 영상 감사합니다.

  • @user-ry7ln2ju7i
    @user-ry7ln2ju7i2 ай бұрын

    수혈의 기본이론이 밝혀지기 전에 실패율이 높았다는게 이런 사실을 몰랐기에 일어난 일이겠죠... 감사합니다 당신들의 발자취가 모여 혈액의 과학은 여기까지 진보되었어요

  • @user-kf2gu5ek7c
    @user-kf2gu5ek7c23 күн бұрын

    어제 과학시간에 선생님 영상을 봤숩니다

  • @9uk9un_282
    @9uk9un_2822 ай бұрын

    고딩때 했던 실험인데 추억이네요

  • @namulnara
    @namulnara2 ай бұрын

    자막으로 짧게 지나간 희귀혈액형도 해주세요

  • @redyong_

    @redyong_

    2 ай бұрын

    너무 희귀해서 한국에 없는 경우도 있고,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혈액형도 있지만 적혈구가 녹아내리는 혈액형도 있습니다. 혈액형 종류 찾아보시면 나올 겁니다.

  • @taemankim558

    @taemankim558

    2 ай бұрын

    서양엔 15%있지만 동아시아엔 0.5%있는 RH-/RH-중 가장대표적인 D와 C, E, c, e중에 D만 있는 바디바바디바(-D-/-D-)5개 모두 없는 RH null 한국에만 존재하는 보통 AB형은 염색체 하나에 A다른 염색체에B이렇게가지고 있는데 하나에 염색체에 AB다 가진 cis-AB형 제가 아는건 이정도

  •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Ай бұрын

    ​​@@taemankim558AB형은 동아시아부터 지중해까지 사계절지역에 집중분포. B형에 이어 AB형도 서구백인이 가장 드뭄. 라틴아메리카는 자체데이타를 안내놓음.

  • @user-cb1uf3eo1h

    @user-cb1uf3eo1h

    22 күн бұрын

    ​@@taemankim558우오., 제가 cis AB형입니다 하핫😂

  • @Ar__.
    @Ar__.2 ай бұрын

    아 B형친구님ㅋㅋㅋ 꾸준 헌혈하는 사람인데 전혈 헌혈할 땐 저 따끔이로 혈색소수치 검사 하거든요. 기분탓인지 대바늘 꽂는 것보다 저 따끔이가 더 아픔...

  • @user-ih8gy1qt9d

    @user-ih8gy1qt9d

    2 ай бұрын

    진짜 주사 잘 놓는 간호사쌤한테 맞으면 바늘이 들어오는지도 모르겠더라구요 ㅋㅋㅋㅋ 바늘 자체는 따꼼이가 더 가느다란 물건일텐데 왜인지 저게 더 아프긴 해요 ㅋㅋㅋㅋㅋㅋ 손가락 끝이 더 예민해서 그런가

  • @user-gd1pn8xs3x
    @user-gd1pn8xs3x2 ай бұрын

    적혈구 너무 귀엽게 생겼어요

  • @user-wh2bl4dg1w
    @user-wh2bl4dg1w2 ай бұрын

    혈액의 응집반응이 에반게리온의 LCL과 비슷한 형태를 가지네요......쩐당

  • @ElEl_3959
    @ElEl_39592 ай бұрын

    수상한 생선님이 수상한 인간님으로 바꼈어😊

  • @user-xe3qm8pl1g
    @user-xe3qm8pl1g2 ай бұрын

    B형님은 피를 내주고 무얼 얻으셨는지 궁금합니다. 착한 O형 수생님은 그냥 넘어갔을리가 없습니다.

  • @bluepants135
    @bluepants1352 ай бұрын

    왜 자꾸 b형 괴롭혀요

  •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Ай бұрын

    A형O형들이 감성팔이.

  • @hrj1881
    @hrj18812 ай бұрын

    굳이 실험하실거면 a와 b랑, 또는 ab와 o형을 섞으시면 강하게 일어났을 겁니다 눈으로 보아도 차이가 있을 정도는 됩니다 그렇다고 막 시약으로 반응시킨 것퍼럼 엄청난 차이는 아니긴 합니다만… 반응을 오래시켜보면 확실히 응집도 차이가 있는 편입니다 사바사, 케바케가 있어서 다를 숨 있지만요…

  • @PaleBlueDOT_dust
    @PaleBlueDOT_dust4 күн бұрын

    돌아댕기던 B형 손가락님 출연료 두둑히 주시요 ^^ 많은 웃음을 주었음으로 ㅋㅋ

  • @Coin-qu7zx
    @Coin-qu7zx2 ай бұрын

    ABO식 혈액형 말고 다른 혈액형 분류 체계가 있다는 사실 자체를 처음 알았어요,,,!!!! 세상은 넓고 모르는지도 몰랐던 분야도 넓어지기만 하는군요

  • @zharamis
    @zharamis2 ай бұрын

    아닠ㅋㅋ 이번편은 나래이션 외에 비명소리가 섞였는데 리액션이 웃기네욬ㅋㅋ😂

  • @uwu-nw6rt
    @uwu-nw6rt2 ай бұрын

    골수이식을 받으면 혈액형이 바뀐다는 얘기를 들은 기억이 있는데 그건 어떤 원리인가요?

  • @bologcom

    @bologcom

    2 ай бұрын

    골수 이식 = 조혈모세포 이식. 혈액은 조혈모세포에서 만들어지는데, 이식 전에 환자의 기존 조혈모세포는 고용량 항암제와 전신 방사선으로 제거되기 때문이죠. 물론 기본적으로는 같은 혈액형인 사람의 조혈모세포를 이식 받겠지만...

  • @user-ek7ux1sk1m
    @user-ek7ux1sk1m2 ай бұрын

    와 나 진짜 피 못보는구나... 헌혈하다 기절한거는 그렇다 쳐도 이렇게 한방울만 나와도 속이 메스껍네 ㅠㅠ

  • @SHK-hn9yn

    @SHK-hn9yn

    2 ай бұрын

    이 분 살해현장 보면 쇼크사하실듯

  • @tearsofblood7

    @tearsofblood7

    2 ай бұрын

    곱게 커서 그럼

  • @eunieeeee1121

    @eunieeeee1121

    2 ай бұрын

    겁쟁잉~

  • @user-jl2kr6rs4c

    @user-jl2kr6rs4c

    2 ай бұрын

    ​@@SHK-hn9yn혈흔은 흩어진피라 아무생각 없는데 실린더에 담겨 검붉은색의 끈적하게 농축되어 고여있는 피는 징그러움...;;

  • @user-zw3fb9iw1n

    @user-zw3fb9iw1n

    2 ай бұрын

    예전에 좀 많이 다쳐서 피로 웅덩이 만든 적 있는데 응고돼서 검붉은색 끈적한 젤리가 되어있는 건 같음

  • @user-iy6uh4mc2z
    @user-iy6uh4mc2z2 ай бұрын

    신기방기 잘 봤습니다. 여태 궁금한게 있는데요, 적혈구가 산소? 공기? 를 운반한다고 상식으로 알고 있는데, 운반 이라는 말이 쉽게 납득이 안됩니다. 적혈구에 기포형태로 운반되는 건지? 아니면 산화철 반응으로 이동했다가, 필요한 곳에서 산소가 분리되는 과정을 운반이라고 하는 건지요?

  • @user-jf5pl8hd6i

    @user-jf5pl8hd6i

    2 ай бұрын

    후자

  • @bkh1338

    @bkh1338

    2 ай бұрын

    그래서 헤모글로빈에 있는 Fe2+가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철이 되고 붉은색을 띄는거죠

  • @Jjajjan
    @Jjajjan2 ай бұрын

    피 색깔이 왜저러지... 했는데 배려해주셔서 필터 씌우신 거였군요!! 감사합니다!

  • @user-xi5gl5pj5j
    @user-xi5gl5pj5j2 ай бұрын

    비형님 손가락 예쁘신데 혹시...여친분...?!

  • @zxcv225
    @zxcv2252 ай бұрын

    삼국유사 같은 고대자료를 보면 피를 섞었을 때 엉기는 것을 친자라는 증거로 삼던데, 생각해보면 혈액형이 다른 거니까 친자일 가능성은 오히려 낮았겠군요

  • @lattattui
    @lattattuiАй бұрын

    오 이거 과학동아리에서 실험하고 선배가 결과 안알려줘서 보고서 못쓸뻔햇는데 감삼다ㅠㅠ

  •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2 ай бұрын

    이걸 눈으로 볼 방법,수단이 생기기 전엔 수혈 자체가 이루어지기 어려웠지요... 그러다 올바른 수혈과 문제 없는 수혈 방법이 확립이 되면서 그제야 많은 생명이 위험을 막을 수 있었지만, 그러기까진 참 많은 일들이 있었던 과거를 보면 정말 얼척없는 짓들이 있었죠. =-=;;;;

  • @jhp9903
    @jhp99032 ай бұрын

    이제는 혈마술까지 습득하려는 수상맨ㄷㄷㄷ

  • @Dvhjgdsfhkmhhk
    @Dvhjgdsfhkmhhk2 ай бұрын

    적혈구 확대된 그림으로만 봤었는데 실제 현미경으로 보니 꽤 귀엽게 생겼네요

  • @bologcom
    @bologcom2 ай бұрын

    항B 혈청으로 적혈구 응집된 것을 확대해서 보여주는 좋은 영상!

  • @user-wn7dw6tx1m
    @user-wn7dw6tx1m2 ай бұрын

    A형 B형같이 같은 항원-항체 끼리 만났을때 응집반응이 궁금하네요..

  • @user-gz6et4mb7c
    @user-gz6et4mb7cАй бұрын

    지나가던 임상병리사입니다. 내용도 잘 정리되어 있고 좋은 영상인데 몇가지 덧붙여 말씀드립니다! 1. 항체가 직접적으로 세포를 파괴한다기보다는 다른 균이나 이물질이 침투할 때와 동일하게 항원(몸의 입장에서는 이물질)에 감작(표면에 들러붙어), 응집(감작된 항체들이 다리를 만들어서 덩어리를 만듬)해서 대식 작용(세포를 잡아먹거나)이나 파괴할 수 있는 세포들에게 "여기 이물질!!!알림!!! 파괴해!!!"하는 역할이 큽니다. 2. B형 혈액과 O형 혈액을 섞었을 때가 시약과 혈액을 섞었을 때보다 반응이 적었던 이유는 영상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체외이기 때문에 항원 항체 반응이 덜 일어나서, 또는 시약만큼 농도가 진하지 않아서이기도 하지만 사람마다 가진 항체의 정도가 달라서일 수도 있습니다. 같은 B형이더라도 어떤 사람은 anti-A가 많고 어떤 사람은 anti-A가 적어서 반응을 시킬 때 느리게 나타나기도 해요. 병원에서 혈액형 검사를 하면 영상에서 한 것처럼 혈구형 검사만 (피검자의 혈구 + 시약의 항체)할 수도 있지만 수혈을 하는 경우에는 혹시라도 혈구형 검사로 판독이 어려울 경우 또는 수혈은 절대로 판독이 잘못 되는 경우가 없어야 하기 때문에 혈청형 검사 (피검자의 항체+시약의 혈구)를 병행하여 혈구형 검사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이때 검사를 해보면 같은 시약에 같은 혈액형이더라도 어떤 분은 시약과 반응시킨지 1분만에 눈에 확연하게 응집이 보이고 어떤 분은 3~4분 뒤에 반응이 나타나요. 사람마다 가진 항체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반응이 덜 일어나기도 합니다. 3. ABO 혈액형에 대해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일단 A형, B형, O형, AB형 모두 H 항원이라는 구조물을 적혈구에 가지고 있어요. 여기서 H항원에 A항원이 붙으면 A형 H항원에 B항원이 붙으면 B형 H항원만 있으면 O형 H+A, H+B가 있으면 AB형입니다. 이 항원에 붙는 항체를 사람마다 다르게 가지고 있는데 A항원이 있어서 A형인 사람에게 A와 붙을 수 있는 anti-A 항체가 있다면 자기 몸에서 스스로 항원항체 반응이 계속 일어나겠죠? 이 상태를 자가 응집이라고 하고 보통 이런 경우 수혈을 보류하게 됩니다. 자가응집이 계속 일어나면 몸에서 알아서 응집이 일어나고 알아서 적혈구를 파괴해버리니 큰일나겠죠. 그래서 보통 자신이 가진 항원에 반대되는 항체를 가지고 있어요, 예를 들면 A형인 사람은 anti-B, B형인 사람은 anti-A, O형인 사람은 anti-A, anti-B를 모두 가지고 있고, AB형인 사람은 anti-A, anti-B가 없습니다. 4. 수혈을 하기 전 병원에서는 영상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잘못된 수혈로 인해 환자가 위험하지 않도록 여러가지 검사를 마친 뒤 가능하다고 판정이 될 때 진행해요. 그렇지 않은 상황은 의료사고입니다. 기본적으로 1) 환자와 수혈팩의 ABO 혈액형 Rh항원이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2) 비예기 항체라고 영상에서 나왔던 다른 여러가지 혈액형에 대한 항체가 환자에게 없는지 확인해요. 마지막으로 영상에서 혈액과 혈액을 섞은 것처럼 환자의 피와 수혈팩의 피가 섞였을 때 반응이 잘 나타나지 않아서 문제가 없다고 판단될 수 있는 오류들을 막기 위해 3) X-M검사를 진행합니다. 보통 문제가 되는 경우는 수혈팩의 혈구와 환자의 항체가 만났을 때 위험한 상황이 생기기 때문에 gell card라는 특별한 검사 용기에 수혈팩의 혈구+환자의 항체를 반응시킨 후 원심을 통해 아주아주 작은 응집이라도 있는지 꼭 확인합니다. 혹시라도 수혈을 받게 되신다면 의사가 "수혈치료 하겠습니다." 하고 나서 임상병리사들이 이런 여러가지 검사들을 다 거친 후에 수혈받으시는 거니까 혹시라도 "어? 영상처럼 다른 혈액형 섞어도 크게 상관 없던데? 그냥 아무나 피맞아도 되는 거 아니야?" 또는 "검사에서 알 수 없는 상황이 생기는 거 아니야?" 걱정하실 일이 없습니다!

  • @SunnyStar-456
    @SunnyStar-4562 ай бұрын

    B한방울과 O한반울을 섞으면 응집이 일어나는데.. B형에게 O형의 피를 소량 수혈 할 수 있다는 얘기는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100개의 적혈구를 수혈한다 치면 응집으로 한 10개가 파괴되니 한 90개 정도가 정상 작용한다 뭐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 @hrj1881

    @hrj1881

    2 ай бұрын

    혈액형이 완전히 일치하면 전혈을 줍니다 순수한 혈액을 통으로 주는거죠 혈액형이 다른 경우, 적혈구만, 또는 백혈구만, 혈소판만, 혈장만 등등 성분 수혈을 합니다 빈혈 및 실혈로 인해 적혈구가 부족한 경우, 적혈구만 주어도 되긴 합니다 ABO 혈액형에서, A외 B는 항원(적혈구 표면의 단백질)이고 사람이 A형이면 적혈그 표면에는 A항원이 있지만, 혈액/혈장 내에는 B항원에 대한 항체가 있습니다 (B형은 반대) 이에 따라서 A와 B형은 서로 다른 항원 항체를 가져서 서로 혈구도 혈장도 서로 줄 구 없습니다 하지만, AB형은 항원 두가지를 다 가지고 항체는 가지지 못 합니다 , O형은 항원을 가지지 않고, 항체는 두가지 다 가집니다 이에 따라, AB형은 적혈구만 받을 경우, 나머지 혈액형에게 다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적혈구를 줄 수 없죠 O형은 나머지 혈액형에게 적혈구를 받을 수 없지만, 자신의 혈구를 줄 수는 있습니다 B형과 O형을 섞으면 O형 혈액의 B에 대한 항체 때문에 응집이 일어납니다 보통 약하게 일어납니다 대신, A형 과 B형을 섞으면 서로 반응이 강하게 일어날 겁니다 두 종루의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AB와 O를 섞어도 마찬가지로 두 종류의 항원항체 반응이라 좀 더 강하게 일어날겁니다 물론 사바사 케바케는 있지만, 평균적으로 그런 경향이 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병원에서 근무하면서 (의사는 아님) B형에게 O형 전혈을 그냥 쌩으로 주는 경우는 못 봤는데, 아마 기관별 규정이나 법적인 문제로 못주게 되어있을 겁니다… 야전에서나 진짜 열악한 환경 또는 급바관 경우에나 제한적으로 쓸 수 있다 정도의 개념으로 이해해주시면 됩니다 환자에게 그냥 냅다 전혈 잘못 때려넣으면, 아무리 반응 약하다고 해도 나중에 수혈 부작용으로 회복 못해서 죽기 쉬워서 의료기관에서 그런 책임을 지려고 하지 않을거라 절대 안 줄 겁니다…

  •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Ай бұрын

    응집반응이 나와도 미세해서 별 일 아니니 소량수혈끼진 가능.

  •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Ай бұрын

    O형은 항체만 있고 AB형은 항원만 있어 AB형을 O형에 수혈하면 응집반응 덜해 소생이 상대적 쉬울. A형과 B형간 수혈하면 A형이나 B형 항원항체 다들어와 응집이 심해 소생이 더 어려워 더 위험할.

  • @sejong24
    @sejong242 ай бұрын

    사람말고 다른 동물도 혈액형이 있을것 같은데 인간처럼 oab 인가요?

  • @BubbleJinzo
    @BubbleJinzo2 ай бұрын

    혈액 속 적혈구가 저렇게나 많다는 건 처음 알았어요♡♡

  • @namhwanoseon
    @namhwanoseon2 ай бұрын

    시약으로 반응후 보니 아침 부실해서 그런지 딸기쨈처럼 보이네요. 저는 받는것 밖에 모르는 욕심쟁입니다!♡

  • @user-be5yg2xk5k
    @user-be5yg2xk5k2 ай бұрын

    비명 소리 크게 틀어줘요 😂

  • @1nvincible410
    @1nvincible4102 ай бұрын

    서로 다른 종끼리 수혈이 가능한 동물종도 있을까요?

  • @namerna

    @namerna

    2 ай бұрын

    저도 궁금해서 검색해보니 개의 혈액을 고양이에게 수혈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 @1nvincible410

    @1nvincible410

    2 ай бұрын

    @@namerna 과 단위에서 다른 종끼리 수혈된다니 대단하네요

  • @LULU-tk5bn
    @LULU-tk5bn2 ай бұрын

    이거보니까 피가 안멈추는 병(혈우병) 에 대해서도 궁금해지네요~

  • @user-ig8en2pl8v
    @user-ig8en2pl8v2 ай бұрын

    수상한 생선님 명태 해부 해주세요

  • @old_young_plant

    @old_young_plant

    2 ай бұрын

    정중한 부탁.

  • @BidenBlessesYou
    @BidenBlessesYou2 ай бұрын

    그럼 혈액형 검사 시약이 몸에 들어가면 독이 될 수 있는 건가요?

  • @chae10412
    @chae104122 ай бұрын

    왜 이 영상이 지금에서야 내 알고리즘에 나타난걸까요 제 생물학 시험은 지난주 금요일이었는데 🥲🥲

  • @estelle_eunjin_lee
    @estelle_eunjin_lee2 ай бұрын

    같은 항원이여야만 반응이 일으키는 거군요 헌혈했을 때 검사하기 전에 혈액형 검사도 하는데 이런 게 있어서 왜일까 싶었는데 신기하네요 그리고... 저는 그 망할 혈액형 성격설 때문에 제 혈액형을 싫어하게 된 계기도 있어서......휴;; 지금도 물어보면 싫어합니다.

  • @joone0811
    @joone08112 ай бұрын

    현미경 모델명 알려주실수 있나용.?

  • @DKBS_TV
    @DKBS_TV2 ай бұрын

    신기합니당 정말ㅎㅎ

  • @jph4634
    @jph46342 ай бұрын

    ㅋㅋ 두분 넘 재밋다

  • @user-kz4pv4cr4v
    @user-kz4pv4cr4v2 ай бұрын

    2:04 의자 뒤로 미는 소리인가요?

  • @user-te7mk1zy9z
    @user-te7mk1zy9z2 ай бұрын

    옛날에 왕실에서 친자인지 알아보기위해 혈액을 섞어보았다는게 일리있는 말이었네여

  • @user-we3pu6mc2u
    @user-we3pu6mc2u13 күн бұрын

    역시 오형!! 그치 오형이 좀 착하긴 하지 ㅋ

  • @junestonekim906
    @junestonekim9062 ай бұрын

    세바스찬님은 잘 계신지..

  • @user-sf2ub4tr7v
    @user-sf2ub4tr7v2 ай бұрын

    다른 혈액형의 혈액을 먹으면 어떻게 되나요?

  • @goodsun7522
    @goodsun75222 ай бұрын

    덱스터 보니까 이게 뜨네

  • @iplayoldgames1
    @iplayoldgames12 ай бұрын

    중간에 음성 변조하고 피 딸때 내지르는 비명이 웃기네요.ㅋㅋㅋㅋ

  • @Clinkz007
    @Clinkz0072 ай бұрын

    과학시간에 관련 내용 배웠던거 같은데 기억이 안나...

  • @mephi-ipnida
    @mephi-ipnida2 ай бұрын

    1:23 B형은 이 일을 기억하기조차 싫어할 것입니다

  • @uw92kdi
    @uw92kdi2 ай бұрын

    원래 O형은 항원이 없어서 응집 반응이 약하거나 안일어나지 않나요..?

  • @ES-hg4wh

    @ES-hg4wh

    Ай бұрын

    O형은 항원은 없지만 응집소(항체)는 두 가지 모두 존재하거든요

  • @darkcirclefish2197
    @darkcirclefish21972 ай бұрын

    O형은 항원이 없는 대신 혈액응고 반응이 느려서 출혈이 발생하면 피가 다른 혈액형에 비해 느리게 멈춘다네요 급해도 남의 피도 못받고 피도 안멈춰서 수요도 많은데 급하면 다 쓸 수 있으니 헌혈집 가면 늘 O형 피가 모자른 이유가 있었네요…

  •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Ай бұрын

    출혈심해봐야 미세차고 다른 혈액형도 헌혈함. O형이 세계적으로 드물에서 모자란 것임. O형이 괜히 잘난체 하는게 아닌 느낌. 희소가치.

  • @user-kt3jq1ll7g

    @user-kt3jq1ll7g

    Ай бұрын

    @@user-rn8kc3wl4v o형이 드물어요? 우리집은 가족5명 다 o형인디

  • @user-gg6ho3nr9m

    @user-gg6ho3nr9m

    Ай бұрын

    한국 통계에 보니 A>O>B>AB

  • @jongminkim4565
    @jongminkim45652 ай бұрын

    B형에 O형을 섞으니 반응이 없는거죠....B형에 A형이나 AB형을 섞어야 반응이 있을텐데요..

  • @user-oc5ce4kj4j

    @user-oc5ce4kj4j

    2 ай бұрын

    배운지 오래돼서 기억은 잘 안나지만 B형의 B 응집원과 O형의 B 응집소가 반응해서 응고되지 않나요?

  • @user-nj1bj6cn1o

    @user-nj1bj6cn1o

    2 ай бұрын

    뭔 개소리임;;

  • @hrj1881

    @hrj1881

    2 ай бұрын

    A와 b가 경쟁적으로 표지자로서 발현되기 때문에, 완벽하게 반으로 딱 떨어지진 않겠지만, 항원의 양이 단일 a형 b형의 절반씩 가지고 있음 그래서 o형 혈액에 항체가 아무리 많아도 반응성이 떨어져서, 결국 응집도가 적음 즉 부작용도 적다는 뜻 그렇다고 무시할 정도는 아니라서 o형 전혈 그대로 때려넣으면 위험함 그리고 응집소(항체) 하나가 하나의 혈구의 항원과 다른 혈구의 항원을 끌어들여서 떡지게 만들어서 피가 굳는게 가장 큰 부작용이고 그 뒤가 적혈구가 터지는 용혈임 그래서 반쪽자리 항원항체 반응이기에 응고되는게 덜해보이는거임

  • @user-fp2gp2qx1l

    @user-fp2gp2qx1l

    2 ай бұрын

    반응 있지 않았나요 게다가 후에 소량수혈 가능하다고도 나왔는데

  • @user-qe1bh4fh2l
    @user-qe1bh4fh2l2 ай бұрын

    근처에 돌아다니는 b형님이 불쌍합니다.ㅜㅜ

  • @yunzzang
    @yunzzang2 ай бұрын

    B형과O형말고 A형과 B형을 섞었으면 응집현상을 더 잘 관찰 할 수 있었을텐데 아쉽네요 ㅋㅋ

  • @user-iy2xk7um7j
    @user-iy2xk7um7j2 ай бұрын

    찌른데 또 찌르신건가요....?

  • @universe1214
    @universe12142 ай бұрын

    적혈구 상태가 매우 건강하시네요 생혈액관찰 책 봤었어요ㅎ ㅋ

  • @universe1214

    @universe1214

    2 ай бұрын

    근데 삐형 실험자분은 타원형 적혈구도 보이네요

  • @Yepmaeniya
    @Yepmaeniya2 ай бұрын

    2:00 아까 그 B형 ㅋㅋㅋㅋㅋㅋㅋㅋ

  • @Jhg0709

    @Jhg0709

    2 ай бұрын

    끄아아아ㅏㅇㄱ!

  • @daleks5568
    @daleks55682 ай бұрын

    영화나 그런데서 혈액을 다른 액체로 바꾼다거나 혈액 전체를 잠깐 다른 혈액으로 바꿨다가 다시 원래혈액으로 바꾼다거나 하는건 말그대로 영화였군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