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랑괴】쥐의 낙원을 만들어주자 그곳은 점점 지옥으로 변했고 멸망으로 치달았다. - 쥐의 낙원 실험. [실제]

Ойын-сауық

존 B 칼훈 박사는 쥐들의 이상향을 만들어 그곳에 쥐들이 어떠한 과정을 겪는지 실험한다.
그야말로 쥐들의 낙원을 만들어 주었으나 쥐들은 멸망으로 차닫게 된다.
John B. Calhoun 박사의 universe 25. rat utopia실험
#쥐의낙원 #캬랑 #실제

Пікірлер: 3 300

  • @Mindcolor
    @Mindcolor11 ай бұрын

    쥐들 실험한 거랑 우리 사회랑 비슷하게 흘러가니 정말 소름돋네요... ㄷㄷㄷ

  • @user-ji2bk1rm8v

    @user-ji2bk1rm8v

    11 ай бұрын

    출산율 0.7명 오느 누구누구는 출생율로 바꿔야 한다고 ㅋㅋ

  • @Moonkyeager180

    @Moonkyeager180

    11 ай бұрын

    “조선인의 안락사…”

  • @laifancheung404

    @laifancheung404

    11 ай бұрын

    사실 우리도 인간이상인 존재들에게 인간낙원 실험하고 있는거임ㄷㄷ

  • @user-qu3gy7un7h

    @user-qu3gy7un7h

    11 ай бұрын

    ​@@laifancheung404진짜 그럴지도 몰라서 무서움 ㄷ

  • @user-bv7nm6mh9j

    @user-bv7nm6mh9j

    11 ай бұрын

    어디선가 들은바로는 쥐의 사회구조가 인간의 사회구조와 매우 비슷하다고 합니다. 사회실험하는데 있어 쥐처럼 좋은것도 없는거겠죠.

  • @user-mw3hz4ot8o
    @user-mw3hz4ot8o11 ай бұрын

    여태 아무 생각 없었는데 우리 사회랑 과정이 똑같으니까 소름 돋는다 진짜 와..

  • @Teocis

    @Teocis

    11 ай бұрын

    시민이 아무 생각없이 살면 사회가 이렇게 멍청해진다는걸 보여주는거죠...

  • @Moonkyeager180

    @Moonkyeager180

    11 ай бұрын

    조선인의 안락사는 옳았다…

  • @user-gc2dz7ml6u

    @user-gc2dz7ml6u

    11 ай бұрын

    쥐들은 성행위 자체를 안 하는 거고, 한국은 성행위 자체는 예전보다 훨씬 늘어났는 데 출산과 결혼을 안 함.

  • @user-kr6op5vm6w

    @user-kr6op5vm6w

    11 ай бұрын

    @@user-gc2dz7ml6u 슈카월드에서는 성행위 자체가 엄청 떨어졌던데 어디서 늘어났다는거임?

  • @user-jt9yq4ns5x

    @user-jt9yq4ns5x

    11 ай бұрын

    ​@@user-gc2dz7ml6u너만못하는건데 찐따야 세상을 니기준으로 말하지마라 ㅋㅋ

  • @jae7626
    @jae762610 ай бұрын

    실험중단 안했으면 다시 소생하는 단계가 있었을지도... 자연섭리라는건 거스를수 없지만.. 스스로 인위적인 자멸이 아니라면 반드시 다시 소생시키려는 메커니즘일듯한데..

  • @daystar5279

    @daystar5279

    2 күн бұрын

    저런 제한적인상황에서 동물들의 지적수준으로 갑자기 분위기가 바뀌긴 어렵다 판단했을듯

  • @user-wh2yz5zg2l

    @user-wh2yz5zg2l

    21 сағат бұрын

    우리나라가 지금…. 소생 의지가 있나요. 사회와 정부 정책들 보면 소생이 아닌 파멸로 이르고 있는데 ㅎ

  • @cheonjaesonyeon

    @cheonjaesonyeon

    19 сағат бұрын

    @@user-wh2yz5zg2l글을 전혀 이해를 못하시네요 ㅎ

  • @user-ml2dt2xc9y
    @user-ml2dt2xc9y8 ай бұрын

    아 진짜 많은걸 생각하게되는 그런 시간이었습니다!~ 영상 잘봤습니다!~

  • @user-zy1je5hd7d
    @user-zy1je5hd7d10 ай бұрын

    이런걸 보면 얼마나 자연이 밸런스를 잘 맞춰놨는지가 보임…인위적으로 낙원을 만들어도 결국 자연을 뛰어넘지 못하는게 참…

  • @derejoin

    @derejoin

    10 ай бұрын

    필터이론ㄷㄷ

  • @user-hh1kt6sx5j

    @user-hh1kt6sx5j

    5 ай бұрын

    자연을 뛰어넘지 못하는게아니라 문명이 진화해 자연에서 발생 할 일이 먼저 일어나는거죠 쥐들은 문명을 진화 할 힘이 없으니 실험에서 나타난거고

  • @tekuondoblackbelt

    @tekuondoblackbelt

    2 ай бұрын

    자연스럽게

  • @user-lf3jn8bh2v

    @user-lf3jn8bh2v

    2 ай бұрын

    자연을 뉴가 만들어논것처럼 이야기하시네요 제생각운 자연스럽게 진화되며 생겨진거같아요

  • @user-dk9ts1mu1b

    @user-dk9ts1mu1b

    Ай бұрын

    @@user-lf3jn8bh2v자연스럽게 이 모든게 맞아떨어질 확률이 얼마죠 ㅋㅋ

  • @angelkkkr8768
    @angelkkkr876811 ай бұрын

    사람사는 세상이랑 어쩜이리 비슷한지 신기하다.

  • @heeueung_

    @heeueung_

    11 ай бұрын

    이 세상은 결국 쥐띠들이 지배할것이따

  • @goodiuaiu

    @goodiuaiu

    11 ай бұрын

    사람도 동물이니까..

  • @blackdragonangrycat

    @blackdragonangrycat

    11 ай бұрын

    본능적인 욕망 추구를 강조하는 자본주의 결말이 이런거라니...

  • @miririririririri

    @miririririririri

    11 ай бұрын

    그래도 사람은 새로운 곳으로 탐험을 하고 내부의 문제를 생각하고 고치려고 하죠

  • @eidbkdn8193

    @eidbkdn8193

    11 ай бұрын

    개인의 욕망에 따른 선택으로 굴러가는 사회니 욕망에 따라 움직이는 쥐들과 비슷한거 아님? 다만 쥐들은 좀 더 눈앞의 직접적인 욕망에 따른다는 차이가 있고

  • @zartman7512
    @zartman75125 ай бұрын

    컨텐츠 너무 좋네요. 요즘 시대를 보는 느낌입니다.

  • @keep5273
    @keep52739 ай бұрын

    너무 신기하다 저런 연구도 했었구나...과학자들 리스펙

  • @user-rd5xt3se1m
    @user-rd5xt3se1m11 ай бұрын

    캬랑님 영상은 진짜 버릴게 1도 없네....너무 재밌게 보고 있어요

  • @axu_xo
    @axu_xo11 ай бұрын

    처음엔 그저 실험 결과를 알려주는 줄 알았는데 우리의 사회와 비슷하다는 점을 알려주는 부분에서 정말 놀랐네요.. 영상을 보면서 지금의 대한민국과 겹쳐 볼 생각은 못 했는데 처음부터 다시 보니 겹치는 점이 많긴 하네요 결말까지 같다고 확신을 가지고 얘기할 순 없지만 유사한 점이 많은 과정은 신기할 뿐..😮

  • @user-ps7ws8tu3w

    @user-ps7ws8tu3w

    11 ай бұрын

    @@thefirstlife255 꼬였네

  • @user-ym6zn5xj4t

    @user-ym6zn5xj4t

    11 ай бұрын

    ​@@thefirstlife255 바로 나왔네 출산율 떨어뜨리는 장본인 ㅋㅋ

  • @chickenbaby1

    @chickenbaby1

    11 ай бұрын

    ​@@thefirstlife255추추

  • @mangmang007

    @mangmang007

    11 ай бұрын

    ​@@thefirstlife255말개더럽네

  • @user-mv4ib8yd1s

    @user-mv4ib8yd1s

    11 ай бұрын

    ​@@thefirstlife255우리 급식이 저급하네. 항상 그 태도를 유지하렴. 그럼 니 인생은 정말 환상적일거야.

  • @mug3154ify
    @mug3154ify8 ай бұрын

    쥐 실험 자체는 알고 있었는데 이렇게 상세하게 보니 재밌네요! 감사합니다. 두 사회가 비슷하게 흘러가게 된 이유에는 협력이 필요하지 않은 시대가 되었다는 것도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실험 자체를 중단하지 않고 끝까지 어떻게되었을지라던가 해결 방안까지 찾았으면 좋았을 것 같다는 아쉬움이 듭니다.

  • @bethe9903
    @bethe99036 ай бұрын

    실험이 중단된게 아쉽군요... 미래 인간세상을 알수있게끔 하는 동영상 감사합니다... (_ _)

  • @googlea.i.3913
    @googlea.i.391310 ай бұрын

    와~ 소름돋을정도로 몰입해서 봤네요...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UL-MAN
    @UL-MAN11 ай бұрын

    진짜 무서운거 없이 무섭게 잘 만드시네요...

  • @user-ij1yy6ij4g
    @user-ij1yy6ij4g7 ай бұрын

    지금의 인간사회에 실험결과를 대입하니 어디쯤 와있는지가 보이네요~

  • @user-ub5dm3zs3j
    @user-ub5dm3zs3j7 күн бұрын

    무심코 그냥 봤는데…의미심장한 영상이네요..흥미롭습니다👍 중지하지 않았으면 어땠을까도 궁금해지네요 영상 잘봤습니다!

  • @user-gl7sx3qd5x
    @user-gl7sx3qd5x11 ай бұрын

    진짜 인간사회같네요....진짜 흥미로운 실험이에요

  • @user-ez4wk9tc1h
    @user-ez4wk9tc1h10 ай бұрын

    더 소름끼치는건 지금 우리의 사회는 침체단계도 아닌 죽음단계와 비슷하다는게.......

  • @HappyLara114

    @HappyLara114

    10 ай бұрын

    뭐 나쁘지 않아요~ 우리나라 인구는 좀 줄 필요가 있어요

  • @user-pf2ed4ey3e

    @user-pf2ed4ey3e

    10 ай бұрын

    ​@@HappyLara114언젠가 부동산 버블은 온다..

  • @Cloud-rl9pn

    @Cloud-rl9pn

    10 ай бұрын

    ​@@jeongsachung 뭔소리야 뭐가 꾸준해. 이런 애들 댓글 못달게 하면 안 됨? 현생 인류 빙하기 간빙기 딱 한 번 겪었어. 마지막 빙하기 때 멸종 직전까지 몰려서 초파리랑 염색체 수 다이다이 까는게 현생 인류인데 뭔소리야. 온도가 좋아서? 4대 강 문명은 강이 시원해서 강에서 생겼어?

  • @ssk9312

    @ssk9312

    10 ай бұрын

    ​@@Cloud-rl9pnㄹㅇ 인터넷에서 대충들은거로 씨부리면서 역사에 관심이 어쩌구 하는거 쌉극혐이네요 34번은 대놓고 뇌피셜 개소리

  • @Drink_All

    @Drink_All

    10 ай бұрын

    @@jeongsachung인류로 안보고 한국에서인데요 ㅎㅎ

  • @mrmr7415
    @mrmr74158 ай бұрын

    공감 소름이네요.

  • @nomore3498
    @nomore349826 күн бұрын

    편안한 컨텐츠네요 힐링됩니다😊

  • @user-xp8pj4ln1b
    @user-xp8pj4ln1b11 ай бұрын

    영상을 진짜 너무 잘 만드시는 것 같아요.... 괴담이나 공포 뿐만 아니라 모든 영상을 깔끔하게 잘 만드셔서 항상 보고나면 기분이 좋네요

  • @packempty2523
    @packempty252311 ай бұрын

    매우 흥미로운 실험이었습니다. 어쨌든 실험을 시작했으면 그래도 끝까지 지켜봐야하는데, 곧 멸망할 것이라고 실험자가 미리 추측하고 실험을 중단해버린것은 아쉽네요. 추측보다는 실제 눈으로 결과를 확인하려고 실험하는거니까요.

  • @user-vg2nr4oi9u

    @user-vg2nr4oi9u

    10 ай бұрын

    다 죽어가는게 마음이 아팠나 왜 중단했을려나

  • @hnyhnyh

    @hnyhnyh

    10 ай бұрын

    돈이 많이드니까..

  • @invink6716

    @invink6716

    10 ай бұрын

    쥐 유지비 상당할텐데 이미 더 지켜보는게 의미가 없었나봄

  • @whats578

    @whats578

    10 ай бұрын

    ㄹㅇ 지금은 그후가더 궁금한데 그시대에는 그후가 궁금하지않았나보내요.

  • @RESET_TEAM

    @RESET_TEAM

    8 ай бұрын

    엔딩이 좀 궁금하긴 하네요 인간 사회 엔딩도 조금은 예측 가능 할거 같은데

  • @kyokim85
    @kyokim852 ай бұрын

    아주 유익한 영상이네요

  • @user-qs4er5vo2v
    @user-qs4er5vo2v7 ай бұрын

    흥미롭고 재밌네요~

  • @pig_master_
    @pig_master_11 ай бұрын

    삶과 문화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되네요 굉장히 흥미로운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nc7ch9gr6g
    @user-nc7ch9gr6g11 ай бұрын

    진짜 컨텐츠가 끊이질 않는다.... 캬랑님 대단하신거 같아요 이거 하나하나 조사하고 자료 찾고 영상 만들기 쉽지 않으실텐데 존경합니다!!

  • @user-hu6uo4mb1r

    @user-hu6uo4mb1r

    10 ай бұрын

    2:48 섹스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10 ай бұрын

    조선시대 500년간 쇄국 했고 DNA 가 같을수록 매력을 못느끼고 다를수록 매력적으로 느낀데요. 한국의 남여 갈등도 DNA 적으로 너무 같아져서 싸우고 헐뜯고 배척 , 비난 하는걸 수도 있어요. 한국 남성 분들 빨리 일본이나 외국인 여성 만나세요. 이대로는 한국은 국가 소멸 합니다.!!!!!!!!!!!!!! 심리 학자가 한국인은 "이왕이면 다홍치마" 심리 래요. 이것도 잘하고 저것도 잘하는 뭐하나 빠지는게 없는걸 좋아 한데요. 근데 세상에 그런건 없고 그건 무언가의 희생이고 착취라고 했습니다. 남여 모두 "이왕이면 다홍치마" 시각으로 상대를 보니까 마음에 들 이유가 없죠!!!!!!!!!!!! 그리고 한국만 유독 특이하게 남여 간에 즉각적으로 연락하고 ,하루에도 여러번 연락하고 ,고가의 선물하고 ,... 이렇게 극성 맞게 연애하는 나라 없다고 합니다. !!!!!!!!!!!! 유럽 , 일본 의 연인들은 하루에 한두번 짧게 연락하고 심지어 다음날 연락 해도 연애하는데 아무 지장 없다고 합니다. !!!!!!!! 극성 맞게 연애해야 한다는 고정 관념 있으니까 스트레스 엄청 받고 그래서 아예 시도조차 안하고 혼자 살 생각 하게 됩니다. 또 하나 아주 중요한건 한국인 특유의 "평균 올려치기" 입니다. 남여 모두 엄청 높은 기준을 잡고 "남자가 수도권에 자가집 , 다이아 반지 , 상위 5% 대학 , 번듯한 직장 , 꿀리지 않는 외모..." 있어야 결혼할 상대로 생각한다는 거죠. 이게 여자 뿐만 아니라 남자도 평균치가 엄청 높아서 스스로 자기검열 해서 "난 그런 남자 못되니까 그냥 포기하고 혼자 살자" 라고 쉽게 생각 하죠!!!!!!!!!!! 한국은 남여가 가망 없어요. 출산율은 0 에 수렴 할겁니다. 장담 합니다. 남여 모두 DNA 다른 외국인을 만나야 합니다. ~~~~!!! 19년간 자살율 세계 1위 인데도 남이 죽든말든 , 남이 고통 있든말든 매일 국뽕 먹고 "오~ 필승 코리아" 만 외치는 나라!!!!!!! 말 못하는 아기들을 수십년간 해외입양 세계 1위. !!! 초저출산 세계 1위 . 은둔형 외톨이가 61 만명. 한국에 대한 문제점을 말하면 "그렇게 불만이면 너가 이민 가라" "너는 어느 나라 사람이냐?!" "너가 게을러서 그렇다 . 더 노력 해라" "너나 잘 해라".... 전부다 개인탓만 하는 사이코패스적인 사회!!!!!!!! 매년 국적 포기자가 한국은 2만명 정도 , 인구 2.5배 많은 일본은 3천명 정도 . 일본 보다 16배 국적 포기자 많은 한국.

  • @orton9441

    @orton9441

    10 ай бұрын

    이거 ㅈㄴ오래된 사실임ㅋㅋㅋ

  • @user-vg8so7qs6v

    @user-vg8so7qs6v

    10 ай бұрын

    @@orton9441? 원래 미스터리는 대부분 오래된 일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orton9441

    @orton9441

    10 ай бұрын

    @@user-vg8so7qs6v 이게 왜 미스터리임?ㅋㅋ ㅈㄴ오래된 유명한 실험임 이거ㅋㅋㅋ

  • @sdo7458
    @sdo74589 ай бұрын

    크게보면 인간도 동물이기때문에 비슷하게 흘러간다고 봐야함.. 동물적 본능과 생활은 전지구적으로 아주 크게보면 행동패턴이 비슷하기 때문. 지능으로 어느정도 보완만 하는거지 크게 보면 인간과 저 쥐낙원실험이 비슷한 이유도 인간도 크게보면 동물이기 때문임..

  • @user-do2gc5ew7w

    @user-do2gc5ew7w

    19 күн бұрын

    인간은 동물이 아닙니다 독보적인 존재입니다

  • @user-fz4br4jg8j
    @user-fz4br4jg8j6 ай бұрын

    와. 굉장히 유익한 영상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hochul0787
    @hochul078710 ай бұрын

    와 진짜 어쩌다가 들어오게됐는데 너무 유익한데요..? 단순히 쥐의 실험으로 접근을했는데 현재, 지금 이지구에 일어나는 데스단계에 이미 접어든거같은, 현재상황과 쥐의실험 단계 상태가 오마주처럼 와닿네요! 구독 누르고 갑니다!

  • @levanmagnus3499

    @levanmagnus3499

    10 ай бұрын

    ㄴ 아직 침체 단계임. 죽음 단계는 잘 보면 오히려 윤택해졋다함 저출산은 여전하고

  • @user-rb6wl2hx7r

    @user-rb6wl2hx7r

    10 ай бұрын

    죽은뒤에 누구나 심판을 받는다. 하나님이 악인을 놔둔다면 그는 의로운 사람이 아니다. 하나님계명은 크게 하나님사랑 이웃사랑이다. 그러나 이웃에게 미움을 품는것또한 하나님입장에서는 죄기때문에 우리는 지옥에가야한다. 그래서 하나님은 세상에 의인이 단 한명도 없다고 하셨다. 그래서 아들을 보내신것이다. 그것말고는 우리를 의롭게할 다른 방법이 없었다.

  • @levanmagnus3499

    @levanmagnus3499

    10 ай бұрын

    @@user-rb6wl2hx7r 그래서 기독교 애들이 헤이트 스피치를 더 자주하네요. 특히 우파라고 주장하는 기독교애들이 ㅋㅋㅋ

  • @connormullen8823

    @connormullen8823

    10 ай бұрын

    츨산율 2에 한참 떨어지는 동아시아는 죽음단계 맞는것같고 이슬람권 국가나 인도 이런데는 오히려 필요이상으로 늘어나고있죠 ㅜ

  • @user-lv5zf8lk7g

    @user-lv5zf8lk7g

    10 ай бұрын

    이건 오마주라고 하는 거 아닌데.. 우리가 주의 사회를 존경하고 따르는 것도 아닌데..

  • @2003ccccccccccc
    @2003ccccccccccc10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논리적으로 오류를 지적하는 것까지 너무 좋은 실험분석 영상이네요.

  • @user-dv2pd1uj4z
    @user-dv2pd1uj4z10 ай бұрын

    이미 이 영상을 봤었지만 정말 흥미로웠고, 왜 결과를 열린 결말 식으로 그 후의 진행을 하지 않고 종료 했던 것일까요 그 후를 미리 알고 어느정도 인간 시점으로 봐서 대비할수 있었을텐데 과연 겪어보라는 것일까요 그건 아닌가요 아무튼 저는 재미있고 유익하고 참신하다고도 생각 합니다 이 쥐낙원 실험에서 다른 오점은 저는 없다고 생각 하고요 이미 영상에서 쥐와 인간은 다르다는 식의 쥐낙원 실험을 인간의 대입 해보는 것의 대한것을 인간의 차이를 통해서 설명을 해주셨고요 감사하고 영상 몰입하며 잘봤습니다 응원해요

  • @doping_t
    @doping_t10 ай бұрын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영상이네요

  • @Gold_D_Rose
    @Gold_D_Rose11 ай бұрын

    마치 현 대한민국을 보고있는것 같내요~

  • @YOUJUNG2
    @YOUJUNG211 ай бұрын

    쥐의 낙원에서 저런 결과가 나왔다는 점에서 초반에는 "아니 전부 편하게 살 수 있는데 왜 굳이 싸워서 개판만들지? 너무 멍청한데?"라는 생각이 들었다 근데 우리도 다를 바가 없구나 사람도 이 지구에서 모든 사람이 배부르게 먹을 수 있음에도 굶어죽는사람과 부유층이 극명하게 나오는걸 보니 쥐에게도 그럴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이 든다... 마치 신같은 존재가 우릴 보면 자멸랬다고 비웃겠지만 그걸 알면서도 난 더 오르기 위해 노력할 수밖에 없다... 실험 결과가 현재의 대한민국과 너무 닮은 것 같아 정말 소름이네요

  • @user-kg4bo7yr7z

    @user-kg4bo7yr7z

    11 ай бұрын

    공산주의를 만든 마르크스는 신이었을 지도..... 기회를 저 버린 인간.... 인간 조삼모사...

  • @user-kg4bo7yr7z

    @user-kg4bo7yr7z

    11 ай бұрын

    사람들은 공산주의가 실패작이라고 말하는 데, 사실은 인간이 그걸 쓰는 데 실패한 겁니다... 인간수준보다 시대를 앞서간거지요....

  • @spaceflying

    @spaceflying

    11 ай бұрын

    ​@@user-kg4bo7yr7z你这是什么意思? 你上次不是说你不会忘记天安门而且必定找回民主主义吗。 너 지금 무슨 소리야? 너는 지난번에 천안문도 잊지 않고 민주주의도 반드시 되찾겠다고 말했잖아.

  • @user-yy6cd3tx1s

    @user-yy6cd3tx1s

    11 ай бұрын

    ​@@user-kg4bo7yr7z 대부분의 유토피아가 공산주의로 그려짐. 그런데 그 시스템을 만들고 굴려야 할 인간의 이기적인 면모 때문에 불가능에 가깝다고 볼 수 있음. 정말 이념적으로 완벽한 공산주의를 완성하려면 AI의 통제를 받아들이던가.

  • @garangbii

    @garangbii

    11 ай бұрын

    @@user-kg4bo7yr7z 수백만년전이랑 현재랑 인간은 거의 비슷하니까 공산주의를 성공적으로 사용하려면 수백만년간 인종개량을 거쳐야할지도?

  • @ecoistmusic
    @ecoistmusic13 күн бұрын

    와...신기해요!!!이런 실험도 했었군요 인간도 포유류라 다를게 없네요

  • @user-jh6km5hr6y
    @user-jh6km5hr6y9 ай бұрын

    오우 흥미롭다

  • @user-ld5yf9kh8w
    @user-ld5yf9kh8w11 ай бұрын

    이번화는 유익하면서도 좀 무섭고 아주 캬랑스러운 영상이였던것 같아요 항상 잘챙겨보고있습니다

  • @user_na505
    @user_na50510 ай бұрын

    여러가지의 공포를 느끼게 해주는 유튜버👍

  • @BunGGuilD
    @BunGGuilD7 ай бұрын

    충분히 인상적이고 깊은 생각하게 만듭니다

  • @user-ft3ek9zt6d
    @user-ft3ek9zt6d7 ай бұрын

    스토리 흥미진진하네요

  • @wocjf9138
    @wocjf913810 ай бұрын

    깊이 생각해 볼 만한 주제를 던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단순히 '지능'의 수준이 아닌 '의식'의 수준에서 차이가 생기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수많은 사람들을 봐오면서 정말 '본능'을 위해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에(생각 없는 사람도 간간히 보게됩니다.) '본능'을 억제하고 '이성'을 가지고 생각하며 행동하는 소수의 사람들도 존재합니다.(점점 많아지는 것 같아요.) 저는 이분들을 정말 좋아하고 존경하고 그리고 존중하게 되는 것 같아요. 실험결과가 우리 사회와 닮은 것이 결국엔 본능이 지배하는 쥐와 같은 사람들은 같은 결과를 맞이할 것을 보여주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지만 주장하는 것은 아니고 그냥 제 생각입니다.

  • @user-et7pm4jt2w
    @user-et7pm4jt2w10 ай бұрын

    마지막 남은 쥐들이 얼마안가 멸망할 것이라 예상하고 미리 실험을 끝낸 게 아쉽네요 ..그 쥐들은 낙원 전체의 지속성은 달성하지 못하더라도 각각 번식이나 경쟁에 얽매이지 않는 행복의 단계에 접어든 걸수도 있지 않았을까요

  • @demoplay7001

    @demoplay7001

    Ай бұрын

    줄어들다가 갑자기 반등할지도 모름

  • @cigarno.3y156

    @cigarno.3y156

    28 күн бұрын

    실험은 마지막 수컷이 사망한 시점에서 끝났습니다. 암컷밖에 남지 않았으니 멸종은 이미 확정된거라 실험이 끝난거죠. ㅎㅎ

  • @must8036

    @must8036

    21 күн бұрын

    죽음은 또다른 의미의 행복임

  • @user-yu2ug3lg9h

    @user-yu2ug3lg9h

    7 күн бұрын

    좋은 말 외부에서 바라봤을 때 실패한 모습으로 여겨지더라도 이것을 인간사회에 빗대면 틀에 묶이지 않고 각자가 행복할 수 있는 가치를 쫓는 게 개개인의 삶에서는 성공하는 인생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user-jy6nx8dv2l
    @user-jy6nx8dv2l5 ай бұрын

    인류역사에서 사라진 문명, 국가중에 쥐 낙원과 비슷한 횡보를 보였던것도 있고 아니었던것도 있을것 같네요. 한번 케이스를 분류하는 콘텐츠를 보고 싶네요.

  • @user-kp2tg8vn3i
    @user-kp2tg8vn3i6 ай бұрын

    연구의의 오진다 디스커션 조져

  • @seasparkle0222
    @seasparkle022211 ай бұрын

    와 인간 사회와 너무 닮아서 소름돋네요. 근데 한편으로는 역으로 이 실험을 활용해 어떻게 인간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면 좋을지 방법을 모색하는 것도 좋을 것 같군요. 그 와중에 쥐들 귀엽네요ㅋㅋㅋ

  • @user-rj1ii5xr9l
    @user-rj1ii5xr9l10 ай бұрын

    앞으로 한국과 인류의 미래가 궁금했는데...설마 했는데 이정도 일줄이야. 컨텐츠가 맘에 쏙듭니다. 잘봤어요.

  • @Parkgenius
    @Parkgenius8 ай бұрын

    저 실험은 진짜 사회적인 모습을 겁나게 잘보여주네

  • @user-md9tv2cy3j
    @user-md9tv2cy3jАй бұрын

    정말 이 영상은 레전드임 🥹

  • @Spacebioaging
    @Spacebioaging10 ай бұрын

    요즘 사회현상을 어느정도 설명해주는 실험인 것 같군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illillilllilllllil
    @illillilllilllllil10 ай бұрын

    와...넘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ronee2913
    @ronee29137 ай бұрын

    낙원까진 아니었지만 물고기 키울때도 똑같은 모습을 본적이 있어 신기하네요

  • @QWE-nn8it
    @QWE-nn8it7 ай бұрын

    모든게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는게 부정적 영향을 주는건 인간사회와 명백한 공통점일 것 같네요. 서로 싸우게 될 수 밖에 없고 여기에 피로를 느끼다보면 동족을 혐오한다는 탈출구를 향하게 되고 인간끼리의 정이 점차 무뎌지게되는.. 옛날과 다른 이유는 인터넷으로 마을 지역 나라 세계가 이전보다 밀접하게 연결되어서 혐오가 가중되고 있는거죠. 반려동물 컨텐츠의 인기 급증, 혐오문화, 출산율 감소 생각보다 어려울거없는 명확한 현상이네요

  • @bubble2320
    @bubble232011 ай бұрын

    한국이 떠오르네요. 정확히 저 실험대로 가는 것 같습니다.

  • @bubble2320

    @bubble2320

    11 ай бұрын

    '죽음 단계'의 모습과 한국의 현재 모습이 소름돋을 정도로 닮아 있습니다. 많은 비약이 있지만 칼훈의 쥐 실험에서 나타난 현상들을 보니, 한국이 마치 거대한 실험장인 것 같다는 착각마저 불러일으키네요.

  • @user-lc4pb5kj1f
    @user-lc4pb5kj1f11 ай бұрын

    영상 정말 깔끔하게 잘 만드시네요 ㅎㅎ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 @user-jd5he3nc2r
    @user-jd5he3nc2r10 ай бұрын

    우와 영상 볼 수록 진짜 한국 사회가 계속 떠오름😮

  • @user-gp2mz8ff9c
    @user-gp2mz8ff9c7 ай бұрын

    신기하네요~

  • @f_min
    @f_min11 ай бұрын

    하지만 캬랑 박사는 구독자분들의 주말 낙원을 만드는 것을 성공시키는데...

  • @HolmLockSherles

    @HolmLockSherles

    11 ай бұрын

    고마워 쥐돌아 너희의 죽음 덕분에 주말 10분동안 즐거웠어

  • @user-mk6rv9kn5e

    @user-mk6rv9kn5e

    11 ай бұрын

    이제 우리가 그 주말을 디스토피아로 만들 거야

  • @user-sz2bh8zy4d

    @user-sz2bh8zy4d

    10 ай бұрын

    ​@@HolmLockSherles진짜 무서운 말인데 공감간다ㅋㅋ

  • @user-of7gy5yd7q
    @user-of7gy5yd7q10 ай бұрын

    부유층과 빈곤층, 부랑자가 존재하는 세계는 익숙하면서도 낯설게 느껴지는게 굉장히 오묘하네요. 만약 실험끝에 남은쥐들이 야생에 다시 돌아간다면 문명을 잃은 야만자 같을지, 적응자가 될지, 도퇴될지 정말궁금하네요

  • @123carth

    @123carth

    10 ай бұрын

    도태

  • @user-sr6yu5pu5n

    @user-sr6yu5pu5n

    8 ай бұрын

    야생에서 못 살겠죠. 여지껏 물과 식량을 풍부하게 제공해줬는데 이젠 스스로 구해야한다면 대부분 도태될것같습니다.

  • @religion-is-psychosis

    @religion-is-psychosis

    7 ай бұрын

    인간이 문명을 잃게 되면, 범죄자 성향을 가진 이들은 살아남을 수 있겠지만, 일반 시민 성향을 가진 사람은 살아남기 힘듦

  • @user-xk5sf4uw1o

    @user-xk5sf4uw1o

    5 ай бұрын

    당연히 도태

  • @professionalappreciator

    @professionalappreciator

    5 ай бұрын

    어휘력 폼 미쳤다

  • @user-nq4ys4ms8z
    @user-nq4ys4ms8z6 ай бұрын

    오 존나 시사하는 바가 큰 실험과 영상이네요

  • @user-pc6by6tz5s
    @user-pc6by6tz5s5 ай бұрын

    보면서 데자뷰하고 우리 사회랑 공통점이 느껴지던데 엄청 소름 돋네요.

  • @Sputnik0814
    @Sputnik081411 ай бұрын

    왜 매트릭스에서 인간을 위한 천국을 만들었지만 인간이 결국 멸망했는지 이 영상을 통해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우리 사회도 침체기에 접어든 것 같아 씁쓸하네요.

  • @javaxerjack
    @javaxerjack11 ай бұрын

    계층이 생겼다는데 주목해야 하는데, 사실상 새로운 공간을 확보하는 것보다 이들이 나누게 하는게 더 힘들다는게 더 큰 문제로 보이네요. 제 생각에는 이게 그 종의 한계라면 이 루트를 따라가는 것도 나쁘지는 않지 않을까 싶어요.

  • @Ahnsia
    @Ahnsia7 ай бұрын

    진짜 소름돋네요

  • @sleep_ant
    @sleep_ant2 ай бұрын

    역시 유튜버하려면 짜집기도 잘해야됭

  • @user-wh5gj7jt5z
    @user-wh5gj7jt5z11 ай бұрын

    보통 실험에서 사용하는 쥐들은 근친교배를 너무 많이 시켜서 서로의 유전자가 동일하게 되어버린 일종의 클론들 입니다. 그래서 근친으로 인한 문제는 배제시켜도 될듯함.

  • @user-uj4di9zd3v

    @user-uj4di9zd3v

    10 ай бұрын

    ​@@pokowon2309댓글 작성자는 그얘기 하는게 아니라 이미 실험쥐들은 근친교배를 엄청나게 해온 상태라 저기서 근친교배 몇세대 더 한다고 유전적으로 갑자기 이상해질 확률이 거의 없다는거다

  • @hwanjunu6789

    @hwanjunu6789

    10 ай бұрын

    @@pokowon2309근친교배의 문제는 배제해도 된다라고 하는데 왜 다시 근친문제를 들고와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hi6mf5bp9d

    @user-hi6mf5bp9d

    8 ай бұрын

    ​@@pokowon2309병신임?

  • @ksw591

    @ksw591

    7 ай бұрын

    @@hwanjunu6789요즘 문해력이 좀 그렇죠.

  • @user-hhf6t82be5j3

    @user-hhf6t82be5j3

    3 ай бұрын

    ​@@ksw591 그놈의 요즘 문해력 ㅆㅂ 저인간이 몇살인줄 알고 그런말 하는거냐

  • @user-ww8xs4wi5m
    @user-ww8xs4wi5m11 ай бұрын

    와 진짜 흥미로운 실험이네..

  • @user-lu7sh9mv2h
    @user-lu7sh9mv2h5 ай бұрын

    와 마치 소설 이나 드라마를 보는거 같네요 어찌이리 인간세계랑 같은지... 이게 현실이라니..

  • @user-vg6tl5dv8j
    @user-vg6tl5dv8j8 ай бұрын

    지금 대한민국을 보여주는 훌륭한 예시다

  • @dandcc9192
    @dandcc919210 ай бұрын

    사람들이 착각하는게, 애초에 좀비칼흔드는 박사는 이게 유토피아/낙원이라고 한 적이 없음. 애초에 당시에도 최소한의 의식주만 해결된다고 낙원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았을 뿐더러 이 실험의 의도 자체가, 인구포화 및 그로인한 부작용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진행되는지 및 최소한의 의식주만 해결되고 행동풍부화(enrichment)요소가 매우 부족한 환경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를 알아보려고 한 실험임.

  • @user_Naeng-sue

    @user_Naeng-sue

    17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나는 다함께 가난한 편이 낫다는 말이 개소리라고 생각함

  • @user-Grow_Build_OverLordofTop
    @user-Grow_Build_OverLordofTop11 ай бұрын

    타영상도 충분이 충격이였지만 이번영상만큼은 뇌리에 우리의 모습과 대조되며 확실히 각인되네요...

  • @cuzin6260
    @cuzin62607 ай бұрын

    박사님이 실험을 중간에 중단하지말고 더 이어갔다면 몇몇 개체의 예상치 못한 이상활동으로 다시 출생이 안정되거나 반등하는 상황 또한 나타나지 않았을까싶은데 너무 일찍 실험을 종료한게 아닌가 아쉽네요

  • @user-pt6ib5pe3t
    @user-pt6ib5pe3t3 күн бұрын

    출산은 생명체의 본능이 아니라는 것 같아 오묘하네요~!

  • @few_years_later
    @few_years_later10 ай бұрын

    진짜 있는 실험이었군요 ㄷㄷ 이실험을 인간사회에 그대로 적용할수는 없지만 인간사회가 계속 발전 과도기 종말 발전 과도기 종말을 반복했다는 반증이 될지도 모르겠네요

  • @user-sn9vb5su2j
    @user-sn9vb5su2j10 ай бұрын

    인간도 역시 동물이구나 사회가 이미 영상과 같은 파멸의 흐름으로 흘러가는것같아 무섭기도 하면서 속시원한 느낌도 드네요 사는게 참 힘들다ㅜ.ㅜ

  • @give_kim5105
    @give_kim51057 күн бұрын

    와... 소름이네요

  • @user-wg6do5qo6n
    @user-wg6do5qo6n5 ай бұрын

    참고는 되겠네요. 비슷하기도 하고.

  • @user-tf5jq8hx9p
    @user-tf5jq8hx9p10 ай бұрын

    이분은 진짜 영상 개재밌게 만든다니까;

  • @user-qu4gm5dp9u
    @user-qu4gm5dp9u11 ай бұрын

    인간사회와 다를것이 없군 배울점이 많다

  • @user-mh2xo2cn8q
    @user-mh2xo2cn8q2 күн бұрын

    실험 조건을 수정해서 다시 해보고 싶네요. 영상의 가상사회는 식용 수면욕 성욕밖에 충족할 수 없죠 욕망의 피라미드 이론에 따라 다양한 활동을 가능하게 했으면 어땠을까 아쉽네요

  • @seeitfar
    @seeitfar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상황과는 수도권 과밀화 문제로 겹침 좁은 공간에 개체를 밀어넣으면 당장 자신의 생존을 위해 번식을 포기하니 수도권 출산률은 타지방보다 아주 작살났지만 정부와 수도권은 지금도 지방 죽이기에 여념이 없지

  • @syanroy12
    @syanroy1211 ай бұрын

    쥐들의 유토피아를 만들었지만 쥐들은 디스토피아를 만들었다

  • @user-yf9pm6ju3r

    @user-yf9pm6ju3r

    11 ай бұрын

    와 드립 미쳤네

  • @Sup3rS41y4n

    @Sup3rS41y4n

    11 ай бұрын

    Hello Dystopia

  • @Mindcolor

    @Mindcolor

    11 ай бұрын

    역시 살기 위해 더 나은 삶을 위해 경쟁하는게 동물들도 다 똑같나보네요...

  • @parrotlovingcat

    @parrotlovingcat

    11 ай бұрын

    진짜 이 이야기 주제를 관통하는 말

  • @Locker-Room

    @Locker-Room

    11 ай бұрын

    "코즈믹 호러"

  • @lobe2073
    @lobe207310 ай бұрын

    와 역시 실험이 정확하네. 죽음단계에 있는 대한민국 역시 대단해.

  • @user-hg8lz4nq3c
    @user-hg8lz4nq3c8 ай бұрын

    뉴스에서 많이 보던모습이네요

  • @tyl2542
    @tyl25427 ай бұрын

    이거 근데 쥐들 근친교배 된거 아님?

  • @user-nw5sx3uz9y

    @user-nw5sx3uz9y

    4 күн бұрын

    ㅇㅇ

  • @user-kz6wq5tt6l

    @user-kz6wq5tt6l

    2 күн бұрын

    영상에 나오자나 그게 이 연구의 한계라고

  • @tyl2542

    @tyl2542

    16 сағат бұрын

    @@user-kz6wq5tt6l ㅇㅇ

  • @user-xc1up4ke4n
    @user-xc1up4ke4n11 ай бұрын

    이런거 보니까 어쩌면 우리도 지구라는 하나의 실험장에서 어떤 존재들에게 실험당하고 있는게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든다

  • @user-zx5cr4pq1z

    @user-zx5cr4pq1z

    10 ай бұрын

    그걸 시물레이션 하는거 같음 지구가 감옥행성이라고 언급한 로즈웰 ufo 추락사건 외계인도 있었고

  • @user-pf2ed4ey3e

    @user-pf2ed4ey3e

    10 ай бұрын

    ​@@user-zx5cr4pq1z사실 그건 날아다니는 스파게티께서 안배하신 일입니다

  • @user-xl2nb6gk9w

    @user-xl2nb6gk9w

    10 ай бұрын

    이세상은 존재하지않습니다 우주의 끝이있어도 모순 없어도 모순입니다

  • @user-do8pt8em6i

    @user-do8pt8em6i

    10 ай бұрын

    쉽게 말해서 이성과 도덕성을 중요시하는 인간은 발전하고 감정과 본능만을 추구하는 인간은 도태된다. 종종 감정과 본능만을 추구하는 돼지들이 주변에 종종 보이죠^^ 만족하는 돼지보다 만족하지 못하는 인간이 낫다. 만족하는 바보보다 만족하지 못하는 소크라테스가 낫다. 돼지와 바보가 생각이 다르다면 이는 모든 문제를 자기쪽에서만 바라보는 이기주의적인 생각때문일 것이다.

  • @user-of9sg1vv1w

    @user-of9sg1vv1w

    7 ай бұрын

    때가 되면 실험자의 의지로 멸망?ㄷㄷㄷ

  • @dackchua4444
    @dackchua444411 ай бұрын

    진짜 좋은공간이 여러개있는데도 특정공간에 몰려있는현상..우리나라 서울공화국과 같다고 생각들었다.우리나라는 인프라,교통,직장등등 때문에 어쩔수없이 서울로 쫒겨나야하는 이유가 있었지만 쥐들은 쥐들 나름대로 이유가 있었겠지.현재 지방인으로서 참 안타깝다ㅠ아득바득 서울에 가지않아도,지방에 인프라 교통 직장을 좀만 더 풍족하게 해줘도 서울공화국은 심해지지않을텐데..

  • @lostbutter001

    @lostbutter001

    11 ай бұрын

    서울이 이미 포화인데도 거기다 계속 투자를 하고있다는게 미친거아닌가싶음 서울에 미사일 떨어져서 실시간으로 죽어나가는 사건 일어나지않는한 답 안나올듯싶음

  • @OliveOlea

    @OliveOlea

    10 ай бұрын

    서울에서 2년정도 살다가 정신병 걸릴 것 같아 호주로 도피했던 기억이 나네요 ㅋㅋㅋㅋㅋ 도피해서 좋은 기억으로 남았지만.. 다시는 못가겠습니다.. 지금 대전 살고 있는데 대전도 너무 사람많게 느껴지네여 ㅠ

  • @puyoungchang2291

    @puyoungchang2291

    10 ай бұрын

    @@OliveOlea 저도 대전 시민입니다. 저(79년생)는 대전에서 평생 살았지만, 이 정도면 만족하고 살아요. 현재 받는 월급에서 50~100만원만 인상되면 아주 행복하겠습니다. ㅎㅎ

  • @U2HS1D

    @U2HS1D

    7 ай бұрын

    서울에서 직장생활 하는거 자체가 정신병 유발

  • @user-il2mm7rv7i
    @user-il2mm7rv7i10 ай бұрын

    점점 인간사회를 보는 듯 하다 ㄷㄷㄷ

  • @inmore.rental
    @inmore.rental5 ай бұрын

    재밌고 유익하네요 진정한 유투버십니다

  • @user-jw9ol3lr8c
    @user-jw9ol3lr8c10 ай бұрын

    인구가 계속 늘어난다고 멸망 안할거란 생각은 진짜 짧은 생각이다. 지구가 버티질 못하고 환경은 빠르게 망가지고 식량생산을 하기 힘든 자연환경이 되면 단체로 다 굶어죽게된다. 오히려 지금처럼 출산율이 줄어드는게 인류에게 더 좋은 방향 일 수 있다.

  • @user-di9ns5xr9j

    @user-di9ns5xr9j

    10 ай бұрын

    맞는 말임. 이미 바꿀 수 없는 방향으로 돌아섰다면 돌아가지지도 않을 뿐더러 그걸 억지로 돌리려고 같은 사람끼리 싸우기 보다는 그에 맞게 적응하는게 과제라고 봅니다.

  • @user-rs8cd1jj8z

    @user-rs8cd1jj8z

    10 ай бұрын

    한국은 예외구요 출산율 안살리면 ㅈ됨

  • @user-bx7pn3rr3u

    @user-bx7pn3rr3u

    10 ай бұрын

    ​@@user-rs8cd1jj8z예외는 없습니다 일본홋카이도가 500만 입니다

  • @stargalaxy3127

    @stargalaxy3127

    9 ай бұрын

    혹시 일루미나티신가요?

  • @user-bx7pn3rr3u

    @user-bx7pn3rr3u

    9 ай бұрын

    @@stargalaxy3127 혹시 찢재명 이신가요

  • @k-pot
    @k-pot11 ай бұрын

    쥐들이 완전히 죽지 않은 상황에서 실험이 끝났으므로 끝까지 지켜봤더라면 어떻게 되었을지 궁금하네요

  • @baronknight3774

    @baronknight3774

    10 ай бұрын

    ㄹㅇ

  • @user-jr9ne2qt4y

    @user-jr9ne2qt4y

    10 ай бұрын

    ㄹㅇ

  • @user-pz3zx4sl1k

    @user-pz3zx4sl1k

    10 ай бұрын

    응 그래 글케 궁금하면 니가 쥐대신 실험용으로 들어가봐

  • @k-pot

    @k-pot

    10 ай бұрын

    @user-pz3zx4sl1k 아이 그 진정하시고, 저도 당연히 순수한 궁금증일 뿐이지 막 쥐들이 고통스럽게 죽는 걸 보고 싶은 게 아닙니다.

  • @yoruhai

    @yoruhai

    10 ай бұрын

    어느정도 수가 줄어들면 결국엔 다시 늘어날 것 같은데

  • @suekim6689
    @suekim66897 ай бұрын

    객관적으로 연구에 대해서 설명하기보단 상당히 주관적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일부 정확하지 않고 설명이 부족한 부분도 많았고요 짧은 시간 안에 재미있는 내용을 담으려고 그렇게 된것 같아 아쉽네요. 덕분에 직접 연구를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 @jung-hyunlee9761
    @jung-hyunlee97617 ай бұрын

    실험을 1800일 이후도 해줬으면 좋았을텐데 아쉽네요 정말 다 죽는지 아니면 다시 똑같은 사이클을 반복하는지

  • @Alopias_Rafines
    @Alopias_Rafines11 ай бұрын

    하나의 사회과학실험으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에 경각심을 주는 무언가가 되었네요. 지금도 비슷하게 흘러가고 있어서 정말 소름돋습니다

  • @junolee3424
    @junolee342410 ай бұрын

    그 실험 여러 조건으로 다시 실험해보면 좋을듯 표본이 더 많을수록 신뢰가 갈듯

  • @rightspirit2103
    @rightspirit21034 ай бұрын

    핵심은 5년간이나 쥐실험을 한 미국인의 실험정신이 놀라운 것이다.

  • @jbkim7569
    @jbkim756911 ай бұрын

    와...인간 사회를 예측할수 있는 실험이었네

  •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20 күн бұрын

    이게현실 ~!

  • @user-ru7sd2xe6u
    @user-ru7sd2xe6u11 ай бұрын

    5:47 개인적으로 이 때 실험을 중단하지 않았다면, 더 흥미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지 않았을지 생각해봅니다. 결국 생물의 본질은 생존과 번식입니다. 쥐의 개체수가 늘어나고, 다시 줄어드는 과정은 낙원의 환경에 알맞는 유전자가 선별되는 진화의 일부가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 @goodyomi

    @goodyomi

    11 ай бұрын

    오.. 이거 그럴듯하네요 과연 멸망을 앞에두고 쥐는 어떤 결정을 내릴까 그걸 확인했어야 되기는 했음 서서히 죽었을까? 혹시나 새로운 체제를 만들고 유지하지 않았을까? 같은

  • @Curse_of_Leo

    @Curse_of_Leo

    11 ай бұрын

    고작 8마리예요... 고작 4쌍의 유전자... 이들은 모조리 근친이라고요...

  • @minioreocupcookie

    @minioreocupcookie

    10 ай бұрын

    이거 실험 중단하게 실험 상 가장 큰 결함같은데..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더 오래 관찰했어야함

  • @dd-ci1lv

    @dd-ci1lv

    10 ай бұрын

    ​@@Curse_of_Leo그러니까 돌연변이가 더 많이 일어나서 그 환경에 맞는변이종이 나오겠지

  • @list132

    @list132

    10 ай бұрын

    ​@@Curse_of_Leo그러네 ㄷㄷ 끝까지 갔어도 유전병으로 다 죽었겠네...

  • @MrJcho5
    @MrJcho52 ай бұрын

    딱 현재 대한민국의 모습이네

  • @user-zt6ld8kk5z
    @user-zt6ld8kk5z2 ай бұрын

    쥐. 집단 실험으로 인간사회 전체를 해석하기에는 어렵겠지만, 최소한 인간은 생각하는 사고지능이 탑재되었고, 저출산, 사회계층갈등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있기때문에 쥐집단실험 처럼은 되지 않을것이라는 희망이 있을뿐

  • @mr.1522
    @mr.152211 ай бұрын

    결국은 쥐 뿐 아니라 인간도 욕심이 문제 그러나 그 욕심이 사화발전을 일으키는 경쟁의 원동력이라면서 부채질하는게 더 문제 전부는 아니겠지만 쥐 무리도 어느 정도 커지면서 강자와 약자로 나뉘기 시작하는 것이 사실상 비극의 시작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인간은 학습을 통해서 배우기에 개선의 여지가 조금은 쥐보다 낫다는 차이점 정도..

  • @uuk4611

    @uuk4611

    11 ай бұрын

    강자는 여기서든 저기서든 부족함 없이 살고있다는게 뿌듯하네요ㅎ

  • @mr.1522

    @mr.1522

    10 ай бұрын

    @@uuk4611 저는 이런 상황이 좀 허탈하네요

  • @user-sh9cr7sy1e

    @user-sh9cr7sy1e

    10 ай бұрын

    *집값으로 장난치는건 민주당이고 부동산 23번 올리고 젊은이들 집포기와 헛탈감과 국가부채 늘려도 또 민주당 찍잖아요ㅋㅋㅋ국가 빚은 늘리고 40 50대 세금 파티하고 빚은 젊은이들 세금으로 갚아라??ㅋ*

  • @user-do8pt8em6i

    @user-do8pt8em6i

    10 ай бұрын

    쉽게 말해서 이성과 도덕성을 중요시하는 인간은 발전하고 감정과 본능만을 추구하는 인간은 도태된다. 종종 감정과 본능만을 추구하는 돼지들이 주변에 종종 보이죠^^ 만족하는 돼지보다 만족하지 못하는 인간이 낫다. 만족하는 바보보다 만족하지 못하는 소크라테스가 낫다. 돼지와 바보가 생각이 다르다면 이는 모든 문제를 자기쪽에서만 바라보는 이기주의적인 생각때문일 것이다.

  • @user-sm2lc5sf3o

    @user-sm2lc5sf3o

    10 ай бұрын

    ​@@user-sh9cr7sy1e 부동산을 x도 모르는군. 집값이 왜 올랐는지 알아? 대출과 갭투기야. 대출없으면 집못사고 갭투기 안하면 집값 덜올라! 결국 대출이 문제지. 과도한 대출. 대출을 절제한 정부가 누구고, 조장한 정부가 누군가 찾아봐. 그리고 대출한 넘들이 누구야? 전국민이 투기꾼이야. 헛소리 좀 하지마라. 석열이 대출 어떻게 하니?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