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방토크] 넌 아니야! 견성을 봉쇄해버린 불교계 _240417

"지금 '몰라!'해서 참나 접속되시죠?"
이 간단한 말이요,
"지금 6식·7식·8식 너머에 9식 만나셨죠?"
이 소리예요.
성철 스님이 문제가
이 말을 못 하게 만드는 거예요,
성철 스님이.
6식이 다 정화된 뒤에
7식이 다 정화되고,
그 뒤에 8식이 다 정화된 뒤에
자성청정심·참나 만난다는 거예요.
어떻게 만나요, 이걸?
그러니까 우리 (유튜브영상) 제목이
'견성을 막아버린 성철 스님' 했잖아요.
진짜 견성 막아버렸어요.
그 뒤로 지금 견성했다는 말을
누가 감히 할 수 있어요?
"견성하셨나요?" 다 물어보면
다 우물쭈물해요. 왜냐하면
지금 6식·7식·8식을
다 정화했다는 소리인데,
그러면 12지(地)라는 소리인데,
"당신 12지인가요?" 그러면
성철 스님도 말 못 했어요.
"당신 그럼 부처란 말인가요?"
제자가 하니까 말 못 했다고요.
자기도 이상한, 말이 이상하잖아요.
왜 꼬였는가? 바로 알 수 있는 거를
너무 어렵게 만든 거예요.
그래서 8식이니 뭐니 어려운 거 아니에요.
지금, "몰라!' '괜찮아!'하고
정신 또렷하면 그건 8식도 아니에요,
9식이지.
근데 이건 이해하셔야 해요.
내 내면에 깨어있는 생각은 6식이에요.
깨어계실 때, 깨어있는 중에 보이는
5식이나 6식은 다 현전해요.
그리고 나의 에고의식도
작동할 수 있어요, 7식도.
8식도 그 모든 업보를 저장하고 있어요,
지금 활발하게.
그러면서도 청정광명심이
그대로 드러날 수 있다고요.
깨어계신다는 게 그런 거예요.
이런 거 설명 전혀 못 해요,
성철 스님 이론으로는.
'깨어있는데 이미
청정광명심이 드러나 있다.'
이거 이해를 못 하니까요,
이건 어려운 얘기인데
티베트 겔룩파에서도 이거 이해 못 해요.
왜냐하면 티베트에서는
어떻게 이론이 되어 있냐면,
우리가 언제 청정광명심을 만날 수 있냐면,
죽을 때.
그러니까 임사체험 정도의
깊이 들어가는, 일체 모든 식이
다 멈췄을 때,
성철 스님하고 뭐가 다르냐면요,
성철 스님은 '이식이 다 정화됐을 때
견성이 된다.' 그럼, 12지나 돼요.
그건 아니죠.
자, 티베트 겔룩파식 주장은
뭐가 또 문제냐면, '이 모든 식이
다 작동을 멈췄을 때만 9식이 드러난다.'
그러니까 언제 드러나요? 죽을 때.
그래서 겔룩파의 창시자인
총카파는 언제 견성했냐?
죽은 뒤에 견성했대요.
그걸 누가 알아요?
그럼 또 죽은 뒤에 한 건 누가 들어요?
죽고 나서 지수화풍이 다 흩어지고
의식이 다 흩어져서 7식·8식,
8식까지 작용이 멈췄을 때,
그때 정광명이 드러났다는 거예요.
'티베트 사자의 서'가
누구나 이때 한 번 기회가 오니까
이때 견성하라고 가르쳐 준 게
'사자의 서'예요.
살아서도 못한 놈이 죽어서 하겠어요?
요것도 꽝!
그런데 닝마파나 까규파 주장이 뭐냐면
'지금 여기서 바로 접속 가능하다, 9식이.'
왜? 6식·7식·5식이 다 청정심,
자성청정심의 작용이니까
5식·6식·7식이 아무리 작동해도
전혀 방해하지 않는다,
청정광명심·9식을 만나는데.
이게 닝마파, 까규파고,
우리 입장이에요. 학당의 입장이에요.
우리 조사 스님들 입장이에요.
선불교 조사 스님들.
조계종 이쪽이 다 원래 티베트로 가면
밀교예요. 무상요가 최고 밀교예요.
단박에 접속하는 법이기 때문에.
여기에 겔룩파는 없어요.
그래서 겔룩파 달라이라마가
닝마파 경전 강의하면,
"우리는 이렇게 안 보지만
닝마파는 지금 곧장 망상 속에서도
청정광명심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계속 말해요.
"우리랑은 다르지만~"하면서 말해요.
"우리는 완전히 깊은 선정에 들어서,
임사체험 정도의
멸진정에나 들어야 만납니다." 이거죠.
아니면 진짜 죽든가.
그런데 닝마파는
'재채기하다가도 만난다고 한다.'
이렇게 가르쳐요. 우리랑 똑같지 않아요?
딱 재채기할 때 찰나,
앞뒤 끊어지고 주객 끊어졌을 때,
그때 청정광명심이라는 거예요.
이렇게 쉽다, 이렇게 가르쳐야 돼요.
그래서 만공 스님 같은 분은
"장맛 짠 줄 알면 견성할 수 있다."라고
그랬어요. 장 맛보고 "짜네~" 하고
알아차릴 정도면 견성할 수 있다.
그 만공한테 가서 성철이 배우다가
만공한테 의문을 품은 거예요.
만공 스님이 아무한테나 견성 인가를
막 주는 것 같은 거예요.
당연하지 않아요?
"어, 너도 알았네! 견성!"
남녀노소, 누구나 오면 인가 해 준 거예요.
성철이 거기에 불만을 품었어요.
'견성이 얼마나 어려운 건데 저렇게 막 주나?'
그래서 자기가 나왔어요.
'만공한테 배울 거 없다.'
그래서 자기가 혼자 도 닦고.
또 나중에 만공 스님을 간호 하면서
마주쳤는데, 만공스님이
배추 밭에서 배추 뽑고 있는데,
성철 스님은 견성하신 분이면
계~속 오매일여·동정일여 화두가
흘러야 한다는 망상이 있으니까,
"스님 지금 배추 뽑을 때 화두 있나요?"
하니까 만공 스님이,
"배추 뽑을 땐 배추만 뽑아야지
화두 잡으면 딴 걸 뽑아, 딴 걸 뽑게 돼."
그러니까 '가짜다, 이 스님 가짜다.'
돌아버리죠. 공부를 뭐로 생각한 거예요?
엉뚱한 생각을 하니까,
화두가 계속 흘러야 무의식이 정화되는데
화두를 안 잡고 있다고?
만공 스님은 참나상태로 한 거잖아요.
참나상태라는 걸
이해를 못 하신 거예요, 이분은.
화두를 극도로 잡아서
모든 업장을 다 날렸을 때만,
태양처럼 참나가 탁 떠가지고
완벽해진다는 이상한 이론을
혼자 세우신 거예요.
그래서 이해를 못 한 거예요.
'만공 스님, 이 양반 아니다.'라고 해서
자기가 독자적으로 이제
견성 선언하고 한 게
자기가 그냥 인가한 거예요.
셀프인가하고 간 거예요.
'고승들 못 믿겠다.'
'만공도 저 지경이면 누구한테든
인가받을 필요가 없겠다.' 하고.
자기 친구인 향곡이랑 서로 인가해 주고
향곡 스님의 제자가 진제 스님이거든요.
둘이 서로 인가해 주고.
그때 향곡 스님은 아무튼 어디
스승한테, 자기 스승한테 인가받고
또 뭐 이런 분이긴 한데요,
둘이 서로 인가해 주고 하면서
지금 조계종 가풍을 만든 거예요, 이 양반들이.
근데 뭐가 잘못됐는지 아시겠죠?
수행관이 단단히 잘못됐습니다.
그분들이 가시고
왜 제가 계속 비판을 하냐면
그분들이 가시고 나서도요,
지금 그분들의 망령이
조계종을 다 사로잡고 있어서
견성한다 그러면 다 성철 스님
기준을 갖고 맞추려고 그래요.
아무도 나오질 않죠.
만약에 저한테 견성 인가권을
절에서 주시면, 제가 한 절 털 때마다
견성자들이 계속 나오겠죠.
그럼 충격받을 거예요.
스님 아닌 사람들이 자꾸 견성자 받으면,
견성했다고.
스님들 안 주고 막 재가자들 주고 있으면
충격받겠죠. 그런 일을 겪어야 돼요.
불교는 거듭나려면, 승속 계급장 떼고
계급장 떼고 여기 오면은,
우리한테 해달라고 하면 아웃소싱해 줄게요.
우리랑 MOU를 맺든지,
가서 견성 우리가 인가해 주마!
단, 각오해라! 주지, 견성 안 될 수 있다.
밥하는 분이 견성될 수도 있죠.
밥 도와주다가 자꾸 '몰라!'를,
학당 강의를 들었을 뿐인데... "인가!"
이거 그러니까 못 까는 거죠, 차마.
까면 난리 나요. 제가 장담하건대,
상 많은 분들이 견성 더 못해요.
그러니까 '내가 뭐다'라는 상이 많고
불교 경전 좀 많이 봤고, 지식이 많고 하면요,
100% 이분들 힘듭니다.
'몰라!'도 못해요. '몰라!'하라고 그러면
막 검색하고 있어요.
'능엄경'에 있는 어떤 가르침과 유사하군.
막 이런 이상한 생각 하고 있어요.
'몰라!' 하면, 입을 다물어야 하는데
입을 안 다물고 어떻게 8식을 초월할 거예요?
계속 머리 굴리고 있는데 어떻게
6식도 못 초월해요, 이러면.
유식학을 글로 배워봤자 의미 없다.
바로 내가 식을 초월할 줄 알아야 해요.
그래서 지금 그걸 정확히 아시고
나중에 해보면요,
'몰라!' 할 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도
의식 차원에서도 알 수 있어요, 자기가.
'몰라!'라고 딱 할 때,
지금 6식이 막 돌아가는 게
작동이 점점 무뎌지고,
그러다가요, 에고 감각이 사라지면
7식도 작동을 멈춘 거예요.
나인지 남인지도 모르게 돼요.
'몰라!'를 자꾸 하다 보면
개체성을 못 느끼게 돼요.
그러다 보면 딱 참나가 또렷해질수록
참나는 이미 그전부터 드러나겠지만,
더 더 더 또렷이 드러나죠.
9식이 없다가 생긴 게 아니라,
원래 9식은 성성해요, 매 순간.
우리 관심이 6식·7식
6식 작용에 빠져 있어서 그렇지,
6식과 5식, 6근 작용에.
거기에 이제 작동이, 7식이 작동하면서
계속 나를, 개체성을 의식하게 만든다고요.
나를, 남과 분리하는 의식이
계속 작동하고 있는데,
내가 '몰라!'만 잘하면
점점 에고가 무뎌진다는 걸 아는 게요,
나다 남이다 가르는 힘이 점점 약해져요.
그러다가 딱 순수하게
존재만 하는 상태에 들어가요.
이때는 나라는 존재감이라고 해도
나와 남을 나누지 않는 그냥
내가 존재한다는 느낌인 거지,
남과 구별을 못 하는 상태에 들어가요.
그럼, 거기가 9식이에요.
8식도 아니에요. 9식이에요.
성철 스님 쪽은 이러면요,
그 8식 놀음에 빠졌다고 막 또 난리 칩니다,
8식이 뭔지도 모르는 분들이.
8식은 그렇게 우리가
그렇게 하는 자리가 아니에요.
8식과 7식은요, 무의식적으로 작용해요.
그러니까 우리가 정확히 의식하는 데는
9식이에요, 8식이 아니고.
막 무의식을 의식했다고
막 난리 치는 경우죠.
뭔 식인지도 모르고 막 떠드는 거예요.
왜냐하면 남이 한 거는 까고 싶은 거예요.
그래서 막 정신이 밝대요.
어느 날 신자가 와서요,
"막 밤낮으로 정신이 밝아요."
...5000자 제한
(240417 양덕선방)
- 홍익학당 교육과정 안내: hihd.imweb.me/course01
- 홍익학당 공식홈페이지:www.hihd.co.kr
- 홍익학당 네이버 카페:cafe.naver.com/bohd
- 홍익학당 후원계좌 국민은행 879601-01-245696 (흥여회)
- ARS 후원 : 1877-1974
- 문의 : 02-322-2537 / help@hihd.co.kr
- 'SUPER THANKS'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영상 하단 'Thanks' 버튼을 눌러주세요.♥
본 동영상은 흥여회 후원으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게 도와주신 '흥여회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Пікірлер: 46

  • @migo-zb2kf
    @migo-zb2kf14 күн бұрын

    모른다 명상 알리신 숭산스님은 불교계에서 영향력이 없나요? 불교계는 개혁이 필요하네요

  • @user-pc1yg1mh5z
    @user-pc1yg1mh5z14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Lee_Sangmin
    @Lee_Sangmin14 күн бұрын

    강의가 너무 자명해서 정신이 밝아지네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 @user-xm2ln5pv7i
    @user-xm2ln5pv7i14 күн бұрын

    견성은 누구나 쉽게 할수 있어야하고 육바라밀이 화두가 되어야 하는데 거꾸로 된걸 바로 잡아주시는 윤대보살님 감사합니다.

  • @user-xx4lh3rk6b
    @user-xx4lh3rk6b14 күн бұрын

    생활에 몰라진경은 정말로 피안으로 다가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 @user-dw2xf2lo8g
    @user-dw2xf2lo8g14 күн бұрын

    지금의 조계종은 견성하기 어려운 분위기군요 현재로썬 탈조계종화 돼야 견성할수 있겠네요

  • @user-qb2fg7kg3v
    @user-qb2fg7kg3v14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자기 마음 인데 😂

  • @hyunjongsong5981
    @hyunjongsong598114 күн бұрын

    저도 견성은 아주 훌륭한 상근기들이나 하는걸로 알았지만 학당강의 들으면서 몰라 괜찮다 따라해보고 하다보니 항상 있는 고요하고 선명하고 만법을 비추는 존재인 참나를 알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BG-mr6bo
    @BG-mr6bo14 күн бұрын

    늘 진실만을 말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user-ce4nz2xy5l
    @user-ce4nz2xy5l14 күн бұрын

    고맙습니다.

  • @user-wq3to3xc8s
    @user-wq3to3xc8s14 күн бұрын

    최고다요

  • @_Lovely_1004
    @_Lovely_100414 күн бұрын

    역시 대보살 윤선생님! 모든 중생을 따뜻하게 인도 해주시고, 늘 자명한 말씀 전해주심에 마음 깊이 감사드립니다 ❤

  • @maMa-kq2wi
    @maMa-kq2wi14 күн бұрын

    너무 항상 감사합니다

  • @1_SIMU
    @1_SIMU14 күн бұрын

    대표님 덕분에 방구석에서 견성했습니다. 여러분~! 그냥 해보면 됩니다. 몰라~괜찮아~ 다들 견성하시고 보살되시길 바랍니다 🙏🤠

  • @standbell
    @standbell14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fp9kh4pg6v
    @user-fp9kh4pg6v14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 @isfreedoby6526
    @isfreedoby652614 күн бұрын

    진짜 나를 아는건데 뭔 이리 복잡 해야하는지 대표님 말씀이 맞습니다 남은 속여도 자신은 못속이지요 진짜 나가 뭔지 아는것을

  • @user-kz3qt5go1j
    @user-kz3qt5go1j14 күн бұрын

    보고듣고맛보는 바로그놈이 그놈일진데~

  • @deogsilhan5781
    @deogsilhan578114 күн бұрын

    속이 시원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 @user-dx4dw2ee2g
    @user-dx4dw2ee2g14 күн бұрын

    누구도 하지 못하는 일을 하고 계시는 대표님!!감사합니다 늘 함께 합니다

  • @user-qr9iq2vs9x
    @user-qr9iq2vs9x13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정말

  • @user-ss5jy7ow8z
    @user-ss5jy7ow8z14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아실만 하신 스님이 죽는게 무섭다고 하신 이야기를 하시더라고요 그이야기를듣고 저는깜짝 놀랐습니다 제가 홍익학당 듣기 전에는 진짜 죽는게 너무 무서웠어요 지금은 죽는것이 무서운게 아니 더라고요 홍익학당 알고부터 죽는다는것 무섭지않아요 매순간 즐겁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

  • @user-kq4qq9wh2n
    @user-kq4qq9wh2n14 күн бұрын

    어떤분은 30년 몰라해서 안됐다고 합니다. 참 답답한 사람입니다. 오늘도 자명한 설법 감사합니다.

  • @user-nz8gb9sn8y
    @user-nz8gb9sn8y14 күн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

  • @user-pg9xm5fm9y
    @user-pg9xm5fm9y13 күн бұрын

    참나상태가 무었인가요!? 고기나 구우세요. 우문현답입니다. ㄱㅅ합니다. 대표님

  • @user-ie6el7mg8j
    @user-ie6el7mg8j12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hongikHD

    @hongikHD

    12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ch6cm7ii9l
    @user-ch6cm7ii9l12 күн бұрын

    미륵존 여래불 찬탄합니다

  • @chmp7285
    @chmp728514 күн бұрын

    MOU 맺고 아웃소싱~@강력 추천드립니다~❤

  • @user-ii1nb1ju8b
    @user-ii1nb1ju8b14 күн бұрын

    천국은 여기있다, 저기있다 할 수 없나니 천국은 너희 안에 있느니라~~😊 너희가 어린아이같지 아니하면 결단코 천국에 들어올 수 없느니라~~😊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저들의 것이요 ~~😊 지금 바로 견성합시다!!!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득견연래~~😊 선생님 돌 맞을 각오로 가르침을 감행하심을 응원합니다~🎉🎉

  • @user-er9ox7nz5f
    @user-er9ox7nz5f14 күн бұрын

    제가 몇년전에 불교과제 낼때 살아서 열반을 경험할수있을까... 로 마무리 멘트를 했는데 ... 정말 경험할줄 몰랐네요. 자명하게 개념 알려주시는 학당 공부덕에 견성 공부 그나마 쉽게? 경험 가능했습니다. 더 깊은 공부를 향하여 go go~~♡ 늘 감사드립니다 😊❤

  • @user-ej4ep5tr7q
    @user-ej4ep5tr7q14 күн бұрын

    혹시 건담베이스 오셨나요?

  • @flying_tiger86
    @flying_tiger8614 күн бұрын

    '자명한 진리' '모든 사람이 부처다' 이런 말만 봐도 누구라도 자명한 진리가 적용되어야 하는데, 현 불교에 지식만 추구하는 자들은 상에 사로 잡혀서 진짜 어렵게 말합니다. 그분들 설명들 하나도 와 닿지도 않고, 부처님 당시에도 몸을 관하는 수행으로 제행무상 제법무아를 일체개고 등 我空사상을 가르칠 때 몸 수행법을 설명해줘도 부처님 설명이 어려웠는가 스님들이 이해를 못해서 그 수행 중에 자신의 몸의 더러움과 악업을 보고서 이 생을 버릴려고 자살하는 일이 허다했습니다. 15일 뒤에 부처님이 "왜 스님들이 줄었지?" 했는데, 아난존자의 설명을 듣고서 부처님은 진리를 더 쉽고 간결하게 하는 방편으로 호흡수련(아나사나빠띠)을 가르칩니다. 가장 쉽고 자명한 진리이기에 몸을 관해서 자살하는 스님들이 늘어날 때 쉬운 방편을 설명해준 것처럼, 진리를 어렵게 설명하는 사람들은 저는 자기가 그 진리를 소화못했거나 사이비라고 봅니다. 대표님의 가르침은 항상 쉽고 자명하게 설명해주셔서 그런 면에서 존경합니다. 그런 잘못된 상에 갖힌 사람들의 불교 때문에 불교가 현 사회에 기여한 것이 없습니다. 그들은 현학적인 지식만족에 그쳤을 뿐입니다. 진짜 대표님 말씀처럼 이렇게 쉽게 접근 가능해야 진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려운 진리를 이렇게 쉽게 풀고 이렇게 자명한 근거가 진리인데, 어슬프게 상에 잡힌 사람들은 자기합리화의 망상에 사로 잡혀서, 대표님을 비방하는 사람들 보면 안탑깝더라구요. 적어도 대표님의 가르침 대로 살아만 가도, 이 세상이 불국토가 될 수 있을 만큼 사회기여도 합니다. 근데 대부분 불교 믿는 자들은 신통이니 뭐니 이런거 떠들면서 골방에 갇혀서 명상의 단계가 어떠하니 따지고 있습니다. 또 그런 사람들이 견성했고 신통을 얻었다면 이 세상에 그 힘으로 도움주는 것이 있습니까? 오히려 부처님이 자신이 견성해서 최대한 이 생에 계실 때 많은 중생을 구제해서 이로움을 전파하듯이.. 소위 말해서 그렇게 견성했다는 분들은 골방에서 명상만 할 것이 아니라 사회에 홍익사상처럼 부처님이 그랬던 것처럼 전파해야 하는 것이 더 불교의 진리에 가깝지 않나요? 인터넷에 아무말 대잔치로 영상올리는 사람들이 많아서 진리를 찾는데 혼란스러웠는데, 홍익학당을 알게 된 이후로, 너무 자명해서 저는 의심이 없을 정도입니다. 또한 실제 제 생업을 살아가는데도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이 증명도 되었어요. 대표님, 앞으로도 삿된 현학에 멈춰있는 불교에 , 대표님의 인욕과 예절로 자명한 가르침을 계속 전파해주세요.

  • @user-ys7to5kq1t
    @user-ys7to5kq1t8 күн бұрын

    아니 본인의 기준으로도 제자의 '성불하셨나요?'라는 질문에 대답을 못하는 사람이 무슨 견성입니까.

  • @Anna1004da
    @Anna1004da14 күн бұрын

    불교계 수행자들중 성철스님 비판에 대한 대표님 영상 반박하는 유튭 봤는데요. 불교이론, 톨레 등 자기 나름대로 분석한 영상 올리는 분이셨는데.. 이분 하와이를 가본적이 없는 사람이 하와이에 대한 얘기를 책으로 접하고 자기 경험인양 분석하고 상상해 마치 가본 듯 얘기하는거 보고 답답했습니다. 하와이 한번이라도 가본 사람이라면 하와이 자주가본 사람의 얘기를 귀기울이지 가보지도 않은 사람 얘기 듣지 않습니다. 않가본 사람들은 직접 경험하지 않고는 내가 더 듣고 싶은쪽 얘기를 듣겠죠. 이 분이 글로 배운 분석듣고 감사하다 얘기하시는 분들 보고.. 😩 이게 다 같이 헤메게 만드는 건데.. ㅠㅠ 답답한 현실입니다. 하와이 가는 법은 많이 가본 전문가에게 듣는 것이 가장 좋은데 말이죠. 학당오면 먼 길 둘르지 않고 바로 가는 법과 그 보다 더 소중한 보편 지식들도 배울 수 있는데 전문가 사칭하는 비전문가들이 너무 많은것 같습니다.

  • @user-ii1nb1ju8b

    @user-ii1nb1ju8b

    14 күн бұрын

    소경이 소경을 이끄니 둘다 구렁에 빠지는 격이죠

  • @user-xm2ln5pv7i

    @user-xm2ln5pv7i

    14 күн бұрын

    그래야 돈벌이가 되겠죠.

  • @use_bb
    @use_bb14 күн бұрын

    진짜 완전 공감합니다. 체험 해보면 자명한것들인데 .. 참나 만나고 난다음에 이것으로 대화하고싶어 마음공부,불교 뭐 이런 카톡오픈 채팅방 갔더니 불교방에서는 개념,이론 얘기만 하고있고 ㅋㅋㅋ제가 참나 찾았다고 하니 그양반들 하는소리가 깨달은 사람은 말이없대요 ㅋㅋㅋㅋ (어디서 주워들은 소리는 있어갖고 ㅋㅋ)그러면서 자랑하지 말라네요 ㅡㅡ 참나 배울라는 양반들이 그딴소리나 하고있습니다 그게 자신들이 그토록 없애고 싶은 에고(상 만들기)인지도 모르나봅니다 아휴 화두 타령 하고있고 시를써보라고 하지않나 ... 와... 진짜 답답하기 짝이없습니다. 저는 심리-자아-참나 순서로 자연스럽게 공부하며 찾은것이라 사람마다 특정한ego 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이론을 공부했던지라 어느정도 명확히 아는데.. 이사람들은 경전이나 어려운 한자만 보고 앉았고 , 기독교도 다르지않습니다. 예수,석가 성인들 저도 좋아하고 인정하고 배우려고 하는데 막 신격화 하지는 않는데... 이사람들은 뭐 성역입니다 아주 ㅋㅋㅋㅋㅋ 결론적으로 윤홍식 선생님이 `총대를 멘다` 라는 말이 진짜 이해됩니다 자기 상에빠져있고 자기눈에 티끌은 보지못하면서 다른이들을 비판하는 종교인들 정신 차려야합니다

  • @user-bw1kc9fc5g
    @user-bw1kc9fc5g14 күн бұрын

    견성이 엄청 저 높은 곳에 성스러운 곳에 특별한 사람들만 하는 것처럼 하니 불교 신도조차 견성을 어렵게 생각해. 또아리 틀고 앉아야만 견성? 바쁜 일반인들은 견성 못하는 걸로?

  • @use_bb

    @use_bb

    14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그렇죠 다들 자기가 모른다는걸 모르니 답답할 노릇 체험이 없으니 알리가 만무하죠

  • @BG-mr6bo

    @BG-mr6bo

    14 күн бұрын

    @@use_bb 그렇죠!!!

  • @jolee60
    @jolee6014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