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눈이 3~4개였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Ойын-сауық

사람뿐만 아니라 대부분 생명체의 눈은 2개입니다. 두 눈으로 세상을 보는데, 눈이 조금 더 많았다면 더 생존에 유리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왜 눈은 딱 2개인 걸까요? 그 이유와 매우 많은 눈을 가진 생명체에 관해서 알아봤습니다.
- 사물궁이 유튜브 채널 구독 : / @smgi
- 사물궁이 시리즈 정주행 : • [사물궁이] 전체 영상 모음
- 궁금증 제보 : forms.gle/xT6HQEpVTYbfe9EY8
- 유튜브 멤버십 가입 : / @smgi
- E-Mail : facebookspeedwg@gmail.com
※ 참고자료·논문자료·자문 등 도움
- 안과 전문의 전제휘
- Linton, Paul. "Minimal theory of 3D vision: new approach to visual scale and visual shape."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378.1869 (2023): 20210455.
- Charlton-Perkins, Mark A., Markus Friedrich, and Tiffany A. Cook. "Semper's cells in the insect compound eye: Insights into ocular form and function." Developmental Biology 479 (2021): 126-138.
- Land, M. F. "Structure of the retinae of the principal eyes of jumping spiders (Salticidae: Dendryphantinae) in relation to visual optics."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51.2 (1958): 443-470.
- Parietal_eye by Wikimedia Commons
: en.wikipedia.org/wiki/Parieta...
: en.wikipedia.org/wiki/Parieta...
▪ 배경음악
: Burlesque Heartache - RKVC
: Ether Oar - The Whole Other
: Whole Tone Limbo - Godmode
: Worse - The Tower of Light
: Eyes of Glory - Aakash Gandhi
: Cartoon Bank Heist (Sting) - Doug Maxwell/Media Right Productions
: Gunpowder Tea - Mini Vandals
▪ 애니메이션 감독 : Studio D
▪ 음향효과 :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정자료 이용 및 자체제작
▪ 기타 사진·영상 :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진과 영상 이용
00:00 원고 투고자 소개
00:08 주제 소개
00:42 눈이 1개라면 장단점은?
01:13 눈이 2개일 때 장단점은?
02:23 눈이 3~4개라면 장단점은?
02:58 눈이 3~4개라면 어떤 변화들이 생길까?
03:24 눈이 많은 생명체는 없는 걸까?
03:59 제3의 눈을 가진 동물도 있다고?
04:16 정리
#사물궁이 #궁금증 #호기심 #과학 #눈 #진화 #안구 #안과 #인체 #제3의눈 #눈3개
Copyright. 사물궁이 잡학지식. All rights reserved

Пікірлер: 380

  • @OBrabbit
    @OBrabbit6 ай бұрын

    냅다 그러게요? 하고 들어옴

  • @user-ch6lb8si4i

    @user-ch6lb8si4i

    6 ай бұрын

    ㄹㅇ ㅋㅋ

  • @aa-pe1vo

    @aa-pe1vo

    6 ай бұрын

    ㄹㅇㅋ

  • @user-eb2on8db8y

    @user-eb2on8db8y

    6 ай бұрын

    ㄹㅇ ㅋㅋㅋㅋ

  • @ThreeStar_apple

    @ThreeStar_apple

    6 ай бұрын

    그러네요?

  • @user-uo5ep9je3d

    @user-uo5ep9je3d

    6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6 ай бұрын

    뇌에서 눈이, 턱에서 귀가 생겼다는 진화발생학 얘기만큼이나 재밌네요. 많다고 좋은 게 아니라 정확성을 높이는 게 중요해서 가장 알맞은 개수로 최적화한 거군요.

  • @user-ly9wr3zo2c

    @user-ly9wr3zo2c

    6 ай бұрын

    이게 더 재밌는거 같은데... 턱에서 귀요?

  • @deo4800

    @deo4800

    6 ай бұрын

    턱에서 귀가 더 흥미로운데요?

  • @nofeelappreciated

    @nofeelappreciated

    6 ай бұрын

    생각해보니까 턱이랑 귀랑 연결된부분이 많긴함

  • @karim-ht4qi

    @karim-ht4qi

    6 ай бұрын

    고막도 뇌의 연장아님?

  • @verystrongcat7148

    @verystrongcat7148

    6 ай бұрын

    턱이랑 귀 거의 소울메이트임 귀 근육 움직이는것도 턱이 어느정도 보조하고 귀 압력 조절도 턱의 영향이 있고 턱관절에 장애가 생기면 귀도 덩달아 이명이라던지 질환이 생길수도 있다고 했음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6 ай бұрын

    2:02 한편으로 천문학에선 이러한 오차를 계산해서 별과 지구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기도 하는데 이를 연주 시차라 합니다 3:54 또한 거미나 전갈의 경우는 여러 개의 홑눈으로 사냥감이나 포식자의 움직임을 포착하고 공격하거나 회피하는 데에 쓰죠

  • @user-ti4sp6yk7o
    @user-ti4sp6yk7o6 ай бұрын

    오늘도 신기하네요~~

  • @yj810104
    @yj8101046 ай бұрын

    넵. 이번엔 제대로 궁금증이 해결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tictok-5236
    @tictok-52366 ай бұрын

    진짜 생각없다가도 궁금하게 만드는 능력은 최고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dn6ke1ft7y
    @user-dn6ke1ft7y6 ай бұрын

    중간중간 그림들이 정말 예뻐요

  • @hayeonkim7838
    @hayeonkim78386 ай бұрын

    오늘도 정말 흥미롭고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ㅋㅋㅋㅋ

  • @wavikle4495
    @wavikle44956 ай бұрын

    섬네일 강렬하네요 ㅋㅋㅋㅋ

  • @user-qu2sr7cj7c
    @user-qu2sr7cj7c6 ай бұрын

    정말 알면 알수록 생명체와 자연은 너무 신기한거같아요

  • @immof44
    @immof446 ай бұрын

    사냥을 하는 깡총거미는 앞에 보이는 것만 눈이 4개고 정확히는 눈이 8개라던데, 그건 왜 그런 거죠? 눈이 많은 게 사냥에 불리하다면 눈이 그렇게 많은 형태로 진화할 이유가 없었을 텐데.

  • @maktubalchemist190

    @maktubalchemist190

    6 ай бұрын

    눈 마다 역할이 다르다네요

  • @bsk_enfp

    @bsk_enfp

    6 ай бұрын

    곤충과 인간은 눈의 구조가 달라요

  • @brrrrff

    @brrrrff

    6 ай бұрын

    거미는 척추동물이 아니라 그럽니다.

  • @user-bg4hb2bj2m
    @user-bg4hb2bj2m6 ай бұрын

    이거 예전에 과학 특강 카오스에서 본 거 같은데 2개가 사물을 구별하고 판단하는데 적합하고 눈이 많아지면 뇌에서 소비되는 에너지가 많아서 비효율 적이라고 했던거 같아요

  • @guswns1655
    @guswns16556 ай бұрын

    처음 봤는데 너무 재미있네요 저도 유튜브 시작하고 싶어 지네요 하지만 저에게 어려울것 같죠 힘내세요 처음 밨지만 구독자가된 김땡땡이

  •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6 ай бұрын

    눈이 꼭 정면에 3,4개 달리는 게 아니라 뒤통수에 눈이 달리는 건 어떨까 하는 것도 있군요. 이건 생존에 적잖은 도움을 줬을텐데... 잠을 자기 힘들어지는 문제 때문에 그런걸까...? 뒤를 바라볼 수 있으면 기습을 당하는 상황을 막긴 굉장히 유리한 부분도 있고 뒤를 고개를 돌리지 않고 볼 수 있다면. 그로 인해 얻는 장점이 아예 없지는 않을테지만,... 뭔가 다른 문제점이 더 있으니까 그런 형태의 동물을 찾아볼 수 없나 싶습니다.

  • @Hayden53679

    @Hayden53679

    6 ай бұрын

    그러면 뇌가 인식하는 상이 2개가 됩니다 시각정보를 처리하는 뇌 부위가 2배는 커져야 할거고 다른 부위도 모니터 두대를 한번에 보고 있으려면 에너지 소모가 엄청나겠죠

  • @verystrongcat7148

    @verystrongcat7148

    6 ай бұрын

    당연히 등뒤에 눈이달린 개체도 분명히 있었을겁니다 몇십억년을 살아왔으니까요 하지만 그보다 훨씬 전에 청각이라는 감각이 이를 어느정도 커버해주면서 쓰잘대기 없어졌겠죠

  • @starmaker23871

    @starmaker23871

    6 ай бұрын

    사람 기준으로 대뇌피질의 절반이 상을 처리하고 편집하는 것에 사용됩니다. 만약에 여기서 눈이 더 추가된다면... 뇌에 상당한 무리가 가겠죠.

  •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

    6 ай бұрын

    @@Hayden53679 그렇다면... 단안. 눈 2개가 앞뒤로 있는 구조 말곤 답이 없겠군요.(...) 분명 기습을 막을 수 있다는 건 이득이긴 한데...그래서야 답이 없겠습니다.

  •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

    6 ай бұрын

    @@verystrongcat7148 청각만으로는 완벽하지 않지만, 커버할 정도는 되었기에 지금의 인류 형태가 갖춰진 것 같군요.

  • @user-mr2sn3uy7k
    @user-mr2sn3uy7k6 ай бұрын

    썸네일이 징그러운데 귀엽네요ㅋㅋㅋ

  • @user-hy1wu2ck7v
    @user-hy1wu2ck7v6 ай бұрын

    03:01 귀여워 ㅋㅋㅋ

  • @hfkais
    @hfkais6 ай бұрын

    궁이는 눈이 하나여도 귀엽네 😂

  • @liar_withlongnose
    @liar_withlongnose6 ай бұрын

    문득 눈과 팔이 4개인데도 그 시절 최강의 저력을 보여준 료멘 스쿠나가 새삼 대단해보이네...

  • @KZO-ql1fd

    @KZO-ql1fd

    6 ай бұрын

    대 쿠 나

  • @moosimja
    @moosimja6 ай бұрын

    진화가 이러하다면 외계에서도 비슷하게 적용되겠네요 외계인을 인류와 비슷하게 표현하는게 인류중심적이 아니라 진화적으로 맞는 것일수도 있겠군요

  • @mycallful
    @mycallful6 ай бұрын

    곤충들처럼 시신경과 근육의 긴밀한 작용이 덜 필요한 겹눈을 추가한다면 어땠을까요? 뭐 가능한지 아닌지의 여부를 따지기보다는 인간의 눈 주변에 겹눈이 작게 몇 개 더 붙어있는 겁니다. 우리 눈이 시선을 집중해서 한 쪽은 잘 보이되 다른 쪽은 잘 안 보이는 것처럼, 단순히 시야각과 범위만 넓혀주는 역할을 하는 거죠.

  • @IlIlllIlIIllllI

    @IlIlllIlIIllllI

    6 ай бұрын

    진화 과정을 본다면 기존에 있던 기관을 약간식 수정하며 변해가는거라서 겹눈이 생길려면 눈 주변에 새로운 광 수용체 세포를 만드는것부터 시작해야합니다. 그럴바에야 그냥 기존에 있던 눈의 시력을 증가시키는 쪽이 더 비용이 적게들기도 하고, 동물의 눈과 곤충의 겹눈은 구조가 완전히 다른걸 보면 시작점부터도 많이 달랐을겁니다. 동물은 더 복잡한 구조를 가진 쪽으로, 곤충은 눈(시각세포)가 한 개 더 생기는 돌연변이가 생겼을꺼에요.

  • @mycallful

    @mycallful

    6 ай бұрын

    @@IlIlllIlIIllllI 하긴 인위적으로 만든다면 모를까 진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건 어렵겠네요

  • @dfdfsdfa
    @dfdfsdfa6 ай бұрын

    2개로 최적화 하도록 진화했군요 넙치는 눈에 모래 들어가면 안되니까 한쪽에 몰아넣게 진화했고요

  • @user-ww1xw1rb9j

    @user-ww1xw1rb9j

    6 ай бұрын

    진화가 아니라 양쪽에 있는 넙치는 생존에 불리하니까 한쪽에 몰려있는 넙치가 자연선택 된거죠

  • @dfdfsdfa

    @dfdfsdfa

    6 ай бұрын

    @@user-ww1xw1rb9j 그걸 우린 진화라고 부르기로 했어요 근데 어린 넙치는 또 눈 제대로 달려있어서 나중에 자기가 일부러 바꾼거라고 하더라고요 신기방기

  • @cw-hi4ge

    @cw-hi4ge

    2 ай бұрын

    @@user-ww1xw1rb9j 나대다쳐맞노 ㅋㅋ

  • @BULE1024
    @BULE10246 ай бұрын

    저는 선천적으로 한쪽 눈이 거의 실명에 가까운데 살면서 일상 생활에 불편 하다고 느껴 본적 한번도 없고 시야각 입체시 이런거 생각해 본적도 없습니다 아무래도 살면서 눈에 문제가 생긴게 아니라 원래부터 그렇게 살아서 그런가 불편한거 모릅니다 어릴적 부터 오토바이를 탔고 운전을 하면서 불편 하다거나 제 실수로 사고가 일어난 적도 없고 불편 한거 못 느낍니다 보고 싶은게 있다면 매직아이랑 3d 영화를 보고 싶은데 보고 싶어도 못 봅니다 ㅠ

  • @Croatam31
    @Croatam316 ай бұрын

    그러고보니 눈이 두개 이상인 동물은 많은데 하나인 동물은 없네요? 확실히 자연에서는 앞에 사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보단 공간감을 인지하는게 도움이 되는가봐요.

  • @moonspear869
    @moonspear86914 күн бұрын

    눈이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감각 기관이라 유지비용 효율면에서 알맞게 진화한 것 같습니다

  • @user-mg7gj5uu8y
    @user-mg7gj5uu8y6 ай бұрын

    필승! 사람은 어느 쪽의 손을 주로 쓰느냐에 따라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가 나뉘듯 어느 쪽의 눈으로 주 초점을 잡느냐에 따라 오른눈잡이와 왼눈잡이로 나뉜다고 합니다!

  • @ssu_hong

    @ssu_hong

    6 ай бұрын

    왼손잡이 오른눈잡이인데 사격할때 조금 불리하더라구요 첨부터 오른손으로 쏠걸 ㅋㅋ ㅠ

  • @user-gu7kn3np4y
    @user-gu7kn3np4y6 ай бұрын

    썸네일이 OMG!

  • @user-jr8zd9jn2j
    @user-jr8zd9jn2j6 ай бұрын

    제목 보고 천진반이나 히에이... 떠올랐어요

  • @kev851
    @kev8514 ай бұрын

    생각해본적 없는데 ㅋㅋ. 그렇군요

  • @NormalDressing
    @NormalDressing6 ай бұрын

    외눈박이랑 세눈박이는 누구 방송에 찾아가면 자주 볼수 있습니다~

  • @user-lo2vp3pp7u
    @user-lo2vp3pp7u5 ай бұрын

    마스터이ㅋㅋㅋ

  • @io2w3
    @io2w36 ай бұрын

    반대로 팔이 4개면 어떨까 생각 많이 해봤는데 ㅋㅋ 두손도 모자를 경우가 있으니

  • @002l

    @002l

    6 ай бұрын

    기초대사량이 높아짐에 따라서 생존에 불리해짐

  • @dracorex8119

    @dracorex8119

    5 ай бұрын

    다리가 여섯개인 곤충도 팔 역할로 쓰는 다리가 2개뿐이라는 건(사마귀등) 확실히 팔 4개 괴력몬 메타는 생존에 불리하다는 뜻인듯, 상술해주신 기초 대사량 문제 말고도.

  • @dracorex8119

    @dracorex8119

    5 ай бұрын

    생각해보면 게들도 다리는 많은데 팔은 두개네요

  • @hiyeom_
    @hiyeom_6 ай бұрын

    어우 저 복시 현상 생각만해도 . . . . . 눈수술 했는데 그때 복시 현상이 너무 심하게 나서 . . 다시 경험 해보고 싶지 않는 경험 이네요 . . 모든 물체가 진짜 아예 두개로 보여서 어지럽기도 하고 걸을때 무섭기도 했내요

  • @junny3741
    @junny37414 ай бұрын

    “두개까지가 꼭 필요하고 그이상을 갖는데 소모되는 자원보다 늘어나는 효용은 적어서겠지” 이리 생각하면서 들어왔는데 딱맞네. 진화쪽의 이유들은 이거인 경우가 많은듯

  • @dwqeqe103
    @dwqeqe1035 ай бұрын

    난 컴퓨터를 워낙 많이 봐서 그런가 한쪽 눈으로 볼땐 한쪽은 감고 있음. 이런식으로 계속 한쪽씩 쉬어줄수있음

  • @user-rh6bl3vr7g
    @user-rh6bl3vr7g6 ай бұрын

    왜 잠잘때는 재채기를 안하나요? 잠자는 동안에는 먼지를 다 들이마시는 건가요?

  • @user-ri1dz9yw8j
    @user-ri1dz9yw8j5 ай бұрын

    그럼 지금 수준의 진화가 되기 전까진 눈이 1개였거나 3개 이상이었던 개체가 있었을수도 있는건가요??

  • @Goraebar_moc
    @Goraebar_moc6 ай бұрын

    왜 2개일까요는 과학적으로 과학적인 근거에 맞출게 아니라 인간이 원숭이 시절때부터 왜 눈이 2개인 상태로 진화했는가.. 를 봐야하는데 이건 아무도 모르지 않을까용? 초기때부터 눈이 하나였다면 이영상은 "우리 눈은 왜 하나일까?" 가 되지 않을까도 싶네요!!

  • @KangShinKwang
    @KangShinKwang6 ай бұрын

    원래 눈은 1개로 발생하고, 코가 발생해서 내려오면서 눈을 갈라서 2개가 되었다는걸 본적이 있는데, 만약 돌연변이로 코가 안내려오면 눈이 1개로 태어나는 기형이 생기고 두개로 나눠지지 않았기 때문에 더 크다고 합니다. 사이클롭스가 그렇게 생겨난 전설이라 들은적이 있는데.. 사실인가요?

  • @user-xm1fk3jc1g
    @user-xm1fk3jc1g6 ай бұрын

    눈이 두개인게 생존에 가장 유리하기에 진화된거네요~bb

  • @justins.
    @justins.6 ай бұрын

    2:09에 시신경이라 되어있는부분은 눈돌림신경으로 눈알을 돌리는 근육의 대부분을 지배하는 신경이고, 시신경은 그 위쪽에 굵은 신경을 말합니다.

  • @user-fe3wj8dk3i
    @user-fe3wj8dk3i6 ай бұрын

    천진반의 나약함이 이해되는 영상이었습니다

  • @p123l
    @p123l6 ай бұрын

    그러면 뒤통수에 눈이 달리면 어떻게 되나요?

  • @gerughigiulio9190
    @gerughigiulio91906 ай бұрын

    눈이 급소다보니 무의식적으로 최우선 보호할려는 기능상 외부의 공격이나 자기 손가락으로 찌른다든가 하는 실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극히 적은데 눈이 많으면 그만큼 공격당할 가능성이 높아짐... 간혹 지나가다 마빡을 부딪히는 경우가 생기는데 하필 그 자리에 눈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아이쿠야 정도로 끝날 일이 절대 아님...

  • @user-kv8if8yl9h

    @user-kv8if8yl9h

    6 ай бұрын

    그 자리에 눈이 있으면 애초에 박을 일이 없죠

  • @Bluejay2464
    @Bluejay24646 ай бұрын

    몬스터는 있는데...(참고로 일부 플랑크톤도 해당)

  • @kainigwon5433
    @kainigwon54336 ай бұрын

    제가 드래곤볼에 관해서 큰 질문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천진반은 외계인도 아닌데 왜 눈이 3개 있는가? 도대체 어떻게 눈 3개를 갖게 되었는가? 설명이 안 나와요! 2. 런치는 초반 부터 등장하고, 그때 이미 '초사이어인 변신'을 할 수 있었는데 왜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는가? 만약 런치가 같이 싸웠으면 지구평화를 훨씬 더 쉽게 지킬 수 있었을텐데 아쉽~ 😕 글구 런치는 죽지도 않았는데 왜 사라졌는가? 당시에 유일한 초사이어인이면 매우 중요한 캐릭터일텐데?

  • @june_joy
    @june_joy5 ай бұрын

    그러고보니 척추동물은 모두 코는 하나, 귀는 두개, 입도 하나, 심장도 하나, 외부 생식기도 하나(총배설강 여부는 다르지만), 사지가 4개네요 (앞다리가 날개로 된거 포함) 눈은 일부 도마뱀등에 두정안이라는 제3의 눈이 있긴하대요.

  • @user-sm2sq6ny3j
    @user-sm2sq6ny3j6 ай бұрын

    안궁금했는데 왜 그럴까? 물어봐서 그러게? 왜그럴까?하고 궁금증 풀고 나갈려고 하면 혹시 자네~ 이건 왜 이런건지 아는가? 라고 물어봄 그렇게 보다보면 오늘도 몇시간 못자고 출근 해야되는 무서운 채널 😱😱😱

  • @user-lx8br3vg5o
    @user-lx8br3vg5o6 ай бұрын

    천진반 그는 도덕책...

  • @user-ko7ly6ur2g
    @user-ko7ly6ur2g6 ай бұрын

    시신경 위치도 궁금합니다 오징어의 눈이 최고의 눈이라던데 이건 오징어의 시신경이 안구 뒤에 있어서 그렇다고 들었어요 인간은 눈은 시신경이 앞에 있어 그걸 이미지상 지우느라 뇌가 더 많은 작업량을 감당하기 때문에 비효율 적이라구요. 혹시 이것도 이유가 있을까요?

  • @miragon777
    @miragon7775 ай бұрын

    그림체가ㅋㅋ웃음을 유발함ㅋㅋ토끼 네눈모자ㅋ귀엽

  • @user-xw1bz3fk8s
    @user-xw1bz3fk8s6 ай бұрын

    두개면 초점맞추는데 충분하죠; 예시로 제가 가지고있는 갤럭시 s23 울트라가 초접잡는 부분도 2개의 구멍(?)이 있죠. P.s. 깜빡했는데, 제가 난시인데 개같음.. 초점 안맞아서 투사체가 5개로 번짐.. ㅋㅋㅋ

  • @88bb43
    @88bb433 ай бұрын

    사람의 눈이 3개 이상이었을 때 사시가 온다면 엄청 불편할 것 같네요. 외사시가 있는 저로서 (눈이 2개가 있는 저로서 ㅎ)도 엄청 불편한데 말이죠. 그리고 병원에서 검사 하는데도 배로 걸릴 것 같고 병원비도 더 많이 나올 것 같고 ㅎ

  • @sori-jong
    @sori-jong6 ай бұрын

    전에 이거 궁금해서 자료 찾아보려니까 찾고 싶은 자료 안나와서 포기했는데

  • @view4219
    @view42194 ай бұрын

    0:54 궁이 날라가는거 졸귀엽네ㅋㅋ

  • @zoo2_dev
    @zoo2_dev3 ай бұрын

    입체시에 대한 반론 :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는 눈이 2개임 > 입체시를 위해 눈이 2개일 필요가 있을까? 대칭성이 있는 구조는 눈만 따로 놓고 바라보는건 불합리함 그냥 원래 포유류는 물고기랑 비슷하게 세로로 납작한 생물에서 진화해 왔기 때문에 좌우 대칭이라는 썰이 더 신빙성이 높을듯

  • @user-vh8zc6gc2b
    @user-vh8zc6gc2b6 ай бұрын

    썸네일에 포비는 어디있죠

  • @seodongbin0712
    @seodongbin07125 ай бұрын

    눈이 하나만 있는경우는 외눈이라 부릅니다(외눈박이라 부름) 세개의 눈인 경우는 제3의 눈이라 부름(세눈박이 라고도 부름) 네개의 눈이 있는경우는 다안이고요(일명 거미눈)

  • @unh8910
    @unh89106 ай бұрын

    썸네일 둘다 아이작에선 좋은데 ㅋㅋ

  • @patrickchoi9120
    @patrickchoi91206 ай бұрын

    결국 생물의 모습은 자연에 적응한 결과인 것이죠~

  • @Lalafel_0309
    @Lalafel_03096 ай бұрын

    이거도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최적의 진화를 한거군요?

  • @cmj7260
    @cmj72606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2개가 가장 가성비 좋다는 거군요.

  • @shortstv3870

    @shortstv3870

    10 күн бұрын

    그..렇죠?

  • @lLofi_boyl
    @lLofi_boyl4 ай бұрын

    문득 궁금해지는데, 혹시 그럼 반대로 눈이 하나인 동물/생물도 있을까요?

  • @user-ft7ey3wn1k

    @user-ft7ey3wn1k

    4 ай бұрын

    생존에 불리하여 예전에 절멸햇을듯

  • @user-vd2pe5pg7r
    @user-vd2pe5pg7r6 ай бұрын

    왜 사람만 눈썹이 있는걸까?

  • @noonting999
    @noonting9996 ай бұрын

    그렇군요… 눈이 많으면 머리가 커져서 티셔츠에 머리가 안 들어가니 눈이 2개인 거네요..

  • @djjskkawi
    @djjskkawi3 ай бұрын

    앞 뒤로 2개 2개씩 총 4개가 있는 동물은 없을까요. 후방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거 같은데

  • @user-gp1oj8jm7i
    @user-gp1oj8jm7i3 ай бұрын

    삼각측량에 대해 배웠다면 대충 감이 오긴 하죠

  • @user-bw7xk7mu3x
    @user-bw7xk7mu3x6 ай бұрын

    어우 썸넬 좀 기괴해요 ㅋㅋㅋ

  • @title1209
    @title12096 ай бұрын

    헤헤... 7번째 좋아요.

  • @Luluy_a
    @Luluy_a4 ай бұрын

    눈이 늘어나면 눈화장 더해야하자나ㅠㅠ

  • @user-hg9rg2xn9p
    @user-hg9rg2xn9p6 ай бұрын

    형 머리 뒤에 눈이 달리는것도 그럼 안좋은거야?

  • @uu5626
    @uu56266 ай бұрын

    사람눈이 3개거나 1개였으면 적응하면서 살았을까? 적응의동물 이니까?

  • @user-xk4ez3gx1h
    @user-xk4ez3gx1h6 ай бұрын

    썸네일이 gpnvg-18이군..... 밀덕이군

  • @jemanon73
    @jemanon736 ай бұрын

    뒤통수에 있으면 하나 더 있어도 아주 편리해짐. 지금 세상 물건들이 손이 두 개인 사람에게 맞춰져 있으니 손가락이 하나 더, 손, 팔이 하나 더 있으면 기가 막히게 편할 것 같다는 것과 같은 이치임. 그 쿠바에 사는 양 손 손가락이 6개씩 있다는 아저씨, 나무 탈 때 너무 편하다고 했었음.

  • @dracorex8119

    @dracorex8119

    5 ай бұрын

    시각이랑 후각이 뒤통수의 눈을 대신하는거 아닐까요? 이상한 소리, 냄새가 나면 보통 바로 고개를 돌려서 확인할 수 있으니까요

  • @user-ou9qm2dg5w
    @user-ou9qm2dg5w6 ай бұрын

    눈이 6개인 상현1 코쿠시보는 왜 얼굴도작고 눈깔이 제작기 움직여서 존나 강한거예요??

  • @rehago6617
    @rehago66176 ай бұрын

    헐 두개였음?!

  • @Hafnium71
    @Hafnium716 ай бұрын

    사물궁이 특 : 갑자기 궁금해져서 들어옴

  • @Lee_Joonsik
    @Lee_Joonsik6 ай бұрын

    천진반처럼 되면 좋을까 아닐까 의문돨🐕

  • @eddy1700
    @eddy17006 ай бұрын

    인간의 팔이 4개였다면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 @user-rhhhxfgj

    @user-rhhhxfgj

    6 ай бұрын

    게나 곤충들을 보면 다리가 여러개이나 팔역활이 단 두개인걸 알수 있듯이 사람의 팔이 여러개면 직립보행에서 사족보행의 형태로 바뀌고 늘어난 팔은 결국 앞다리의 역활로만 국한 될거에요 또한 머리위치가 수직에서 수평으로 바뀌었으니 척추가 변형되고 목뼈는 두꺼워지며 다리가 조금더 짧아진 형태로 진화했을겁니다

  • @support_dogu
    @support_dogu6 ай бұрын

    천진반은요?

  • @user-wi2tt3tm8c
    @user-wi2tt3tm8c6 ай бұрын

    눈이 얼굴쪽에 2개 둿통수쪽에 2개있으면?

  • @user-uw1er5ov9g
    @user-uw1er5ov9g6 ай бұрын

    비슷한 궁금증으로 왜 손가락은 다섯개인가..더 많으면 좋은 거 아닌가?

  • @illliilllil
    @illliilllil6 ай бұрын

    눈이 여러개 있던 개체들이 있었지만 도태되어 없어졌을지도

  • @user-ex5xc3hc6j
    @user-ex5xc3hc6j6 ай бұрын

    오늘도 인류뽕에 취하고갑니다

  • @youdieee
    @youdieee6 ай бұрын

    3:00 만렙토끼에 래빗소대급 장구라니..

  • @user-br1js7yi2o
    @user-br1js7yi2o3 ай бұрын

    아 그래서 모기가 안잡히는거구나

  • @user-wr2pg5ec6l
    @user-wr2pg5ec6l6 ай бұрын

    천진반은요.?

  • @Giyomiranbow_sexy
    @Giyomiranbow_sexy3 ай бұрын

    너무 슬퍼요 🥀🥀🥀🥀🥵🥵🥵🥵

  • @kfeel300
    @kfeel3006 ай бұрын

    천진반은 왜 눈이 3개인가요?

  • @user-gr3ty5xn3h
    @user-gr3ty5xn3h4 ай бұрын

    우리팀 마이의 눈이 7개여도 맵리가 안되는걸 보면 마냥 많다고 좋은것이...

  • @user-wu9zo4cl3d
    @user-wu9zo4cl3d6 ай бұрын

    3:57 깨알 "데저트 이글"

  • @shparkjune18
    @shparkjune186 ай бұрын

    그럼 천진반은 생존에 불리한 신체 조건 가지고 있네...😅

  • @8rang_17
    @8rang_179 күн бұрын

    3:51 ㅋㅋㅋㅋㅋㅋㅋ

  • @kv_kive
    @kv_kive5 ай бұрын

    그럼 인간에게 있어 눈이 4개일땐 전차로 따지면 다포탑 전차라는 느낌이고 2개일땐 단포탑 전차 느낌인건가? ...너무 억진가?

  • @ytj_4ever
    @ytj_4ever6 ай бұрын

    0:35 바프 궁이 ㅋㅋㅋㅋ

  • @ksn6064
    @ksn60646 ай бұрын

    어떻게 보이고 초점이 맞고 안 맞고의 문제도 있지만 외관상 영향도 진짜 큼. 만약 3의 눈이 우리 두 눈 처럼 안와 눈알까지 있을 거 다 있으면 그냥 얼굴이 커지는 문제가 아니라 뇌가 더 위쪽에 위치해야 해서 머리가 더 길쭉 했을거고 머리에 손이 안 닿을테니 그만큼 팔도 더 길어질거고 그럼 그 비율 맞출려고 몸통도 다리도 기괴해질지도 모름. 그러니까 요약하자면 얼굴은 푸딩인데 머리는 베가펑크, 팔 다리는 수장족이랑 족장족 마냥 길쭉하겠지. 생각만해도 징그럽다..😨

  • @user-gv2xu9jy3g

    @user-gv2xu9jy3g

    6 ай бұрын

    그건 우리가 지금 이렇게 생겨서 그렇게 생각하는거고 만약 눈이 3개로 진화했다면 지금의 눈 2개달린 생물을 징그럽다고 했을걸요 ㅋㅋ

  • @dracorex8119

    @dracorex8119

    5 ай бұрын

    ​@@user-gv2xu9jy3g그건 맞음. 사람 의식은 무조건 나랑 닮은 것=옳은 것이라고 인식해서

  • @xsxdxf1
    @xsxdxf16 ай бұрын

    거미는요?

  • @user-ch2og2ru3t
    @user-ch2og2ru3t6 ай бұрын

    3:53: 와! 파리는 총알도 피할 수 있나요??? 파리"제가요?"

  • @user-wl8wk9ln4u
    @user-wl8wk9ln4u6 ай бұрын

    뒤통수에도 눈이 있다면 피할 수 있겠죠 로봇을 만들 때 눈을 여러개 만들 수 있습니다 사람 보다 유리 하죠 로봇에는 주파수 전파 감지기라든가 그 외에 적외선 전류 가스 탐지 등 다양한 탐지 장비를 내장 시킬 수 있습니다 인간의 진화로는 못 따라 가겠죠

  • @user-nn4rc6ul6g
    @user-nn4rc6ul6g6 ай бұрын

    몸속에 여분의 눈알이 몇개 있었으면 좋겠다. 스패어 눈깔 👁👁

  • @user-lz3fd1nj6q
    @user-lz3fd1nj6q6 ай бұрын

    제 3의눈.. 분명 슈카형이 있다고 했는데 ?

  • @namulnara

    @namulnara

    6 ай бұрын

    우리는 두개골안에 숨어있다고 했습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