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생명체는 잠을 잘까?

잠은 생명활동에 필수적이므로 대부분 생명체는 잠을 잡니다. 그런데 모든 생명체가 잠을 잘까요? 너무 작거나 일상에서 보기 힘든 생명체들이 자는 것을 본 적이 없기에 주제의 궁금증이 생깁니다. 벌레처럼 뇌가 작은 생명체는 잠이 필요 없을 것 같기도 한데, 관련 내용을 알아봤습니다.
[오타] 01:51 포유강 → 양서강
- 사물궁이 유튜브 채널 구독 : / @사물궁이
- 사물궁이 시리즈 정주행 : • [사물궁이] 전체 영상 모음
- 궁금증 제보 : forms.gle/xT6HQEpVTYbfe9EY8
- E-Mail : facebookspeedwg@gmail.com
※ 참고자료·논문자료·자문 등 도움
- 미시간대학교 의식과학센터에서 의식과학 분야를 연구 중인 장현우
- Stages of Sleep: REM Sleep, Deep Sleep, and Circadian Rhythm
: www.helpguide.org/harvard/bio...
- Siegel, Jerome M. "Clues to the functions of mammalian sleep." Nature 437.7063 (2005): 1264-1271.
- Rattenborg, Niels C., and Gianina Ungurean. "The evolution and diversification of sleep."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2023).
- Hobson, J. Allan. "Electrographic correlates of behavior in the frog with special reference to sleep." Electroencephalography & Clinical Neurophysiology (1967).
- Shaw, Paul J., et al. "Correlates of sleep and waking in Drosophila melanogaster." Science 287.5459 (2000): 1834-1837.
- Li, Xinjian, Feng Yu, and Aike Guo. "Sleep deprivation specifically impairs short-term olfactory memory in Drosophila." Sleep 32.11 (2009): 1417-1424.
- Cirelli, Chaira, and Daniel Bushey. "Sleep and wakefulness in Drosophila melanogaster."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129.1 (2008): 323-329.
- Tainton-Heap, Lucy AL, et al. "A paradoxical kind of sleep in Drosophila melanogaster." Current Biology 31.3 (2021): 578-590.
- de Souza Medeiros, Sylvia Lima, et al. "Cyclic alternation of quiet and active sleep states in the octopus." Iscience 24.4 (2021).
- Pophale, Aditi, et al. "Wake-like skin patterning and neural activity during octopus sleep." Nature 619.7968 (2023): 129-134.
- Nichols, Annika LA, et al. "A global brain state underlies C. elegans sleep behavior." Science 356.6344 (2017): eaam6851.
- Liu, Yi, and Deborah Bell-Pedersen. "Circadian rhythms in Neurospora crassa and other filamentous fungi." Eukaryotic cell 5.8 (2006): 1184-1193.
- Dvornyk, Volodymyr, Oxana Vinogradova, and Eviatar Nevo. "Origin and evolution of circadian clock genes in prokaryote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0.5 (2003): 2495-2500.
▪ 배경음악
: Burlesque Heartache - RKVC
: After the Soft Rains - South London HiFi
: Eyes of Glory - Aakash Gandhi
: Sky View Well - South London HiFi
: Cartoon Bank Heist (Sting) - Doug Maxwell/Media Right Productions
: Gunpowder Tea - Mini Vandals
▪ 애니메이션 감독 : Studio D
▪ 음향효과 :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정자료 이용 및 자체제작
▪ 기타 사진·영상 :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진과 영상 이용
#사물궁이 #궁금증 #호기심 #과학 #잠 #수면 #뇌 #수면과학 #뇌과학 #생물 #동물잠
Copyright. 사물궁이 잡학지식. All rights reserved

Пікірлер: 149

  • @사물궁이
    @사물궁이4 ай бұрын

    [오타] 01:51 포유강 → 양서강 / 죄송합니다. [추천 영상] 잠을 안 자면 어떻게 될까? kzread.info/dash/bejne/oWxnmNOff8TZeKw.html

  • @user-pk4kd5yv5e

    @user-pk4kd5yv5e

    4 ай бұрын

    다음주제: 이어폰 줄은 왜 자꾸 꼬일까?

  • @Mypleasure6789

    @Mypleasure6789

    3 ай бұрын

    사물궁이님, 현재 일어나고 있는 역사는 누가, 어디서, 어떻게 기록하는지 궁금합니다!!

  • @user-zo2hs4lr7j

    @user-zo2hs4lr7j

    3 ай бұрын

    04:10 예쁜꼬마선충(Caenrohabditis elegans)은 썩은 유기물에서 박테리아를 포식하며 살아가는 선충류로 기생충이 아닙니다.

  • @hayeonkim7838
    @hayeonkim78384 ай бұрын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 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도움되는 영상 넘 감사합니다 ㅎㅎ

  • @raidd632
    @raidd6324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4 ай бұрын

    1:52 오류가 있네요 양서류는 포유강이 아니라 양서강으로 아예 다른 강에 속하는 분류군입니다

  • @HyuKeyRu
    @HyuKeyRu3 ай бұрын

    밥먹으면서 이런 연구자료를 쉽게 풀어준 영상을 볼 수 있다니..

  • @seongkiehong4300
    @seongkiehong43004 ай бұрын

    개미가 비틀거리는거며 나무 허리 굽히는거며 모두 귀여웡 😊😊

  • @user-cr4dl6fz4y
    @user-cr4dl6fz4y4 ай бұрын

    따근따끈한영상이다

  • @munbo
    @munbo4 ай бұрын

    영상 너무 귀여움

  • @yj810104
    @yj8101044 ай бұрын

    이번에도 궁금증이 해결되었습니다. 각종 생물들을 잘 표현한거 같고 굉장히 귀엽네요. 감사합니다.

  • @user-ue5fs1fj2x
    @user-ue5fs1fj2x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는 도덕수업에서 선플달기 활동 중인 중학교 2학년 학생입니다 영상에서 알고 싶었던 점을 중간중간 귀여운 그림과 자세하고 재밌는 설명을 함께 말해주는 점이 너무 좋았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부탁드립니다!!

  • @bluemountain8608
    @bluemountain86084 ай бұрын

    와 재밌네요

  • @NoveltyPulseHub
    @NoveltyPulseHub4 ай бұрын

    술을 좋아해서 자주 술먹을 때 8-9시간 자야 몸이 풀렸는데 술 끊고는 6시간만 자도 충분하다고 느끼네요.. 물론 일어날 때는 간혹 힘들기는 한데 낮에는 괜찮음... 특히 술 끊고 커피 끊어서 더 조음.. 잘봤습니다. ~!!

  • @42dadrink

    @42dadrink

    4 ай бұрын

    저는 언젠가부터 4~5시간만 자도 충분하게 되었어요. 솔직히 잠자는 시간도 아깝고

  • @user-en5df1bf6q

    @user-en5df1bf6q

    Ай бұрын

    ​@@42dadrink 뇌에 무리가서 그러시면 안됨 7시간 정도는 충분히 자야함

  • @awesomekoreaa
    @awesomekoreaa4 ай бұрын

    거미공포증 있는데 귀여운 그림체 감사합니다

  • @88bb43
    @88bb434 ай бұрын

    저희 집에 있는 사랑초는 해가 안 비치는 밤에는 잎이 다 죽어 있고 해가 비치는 아침이 되면 생생하게 살아 있네요. 밤에는 잎으로 가는 에너지를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인 것 같은데 이것을 자는 거라고 하면 될 것 같네요.

  • @eemsuhae
    @eemsuhae4 ай бұрын

    조류는 뇌로 교대근무하네

  • @IRON-DICK

    @IRON-DICK

    4 ай бұрын

    쥬지 근무교대

  • @storyANDcreature.Bwhale

    @storyANDcreature.Bwhale

    4 ай бұрын

    고래처럼

  • @user-qu1oi4qz5j

    @user-qu1oi4qz5j

    4 ай бұрын

    @@esakclarck3149 ㅅㅂ ㅋㅋ

  • @user-yh7qm6rc3v

    @user-yh7qm6rc3v

    3 ай бұрын

    사실 일찍일어나는 새는 없었다

  • @user-uy3wg6ls1i

    @user-uy3wg6ls1i

    3 ай бұрын

    교대근무하는 새가 벌레를 잡는다

  • @LtoE2002
    @LtoE20024 ай бұрын

    5:27 힘들기전에 저세상~ㅋㅋ

  • @leakim_kai3008
    @leakim_kai30083 ай бұрын

    아니 초파리 너무 기여워ㅠ

  • @TGuardians
    @TGuardians4 ай бұрын

    오 예전에 본 '좋은 밤 되세요' 란 영상 생각나에요

  • @user-bg2qb1yn4j
    @user-bg2qb1yn4j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사물궁이님! 저는 도덕 수업 과제로 좋은 댓글 달기 활동을 하고있는 중학교 2학년 학생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사소하지만 궁금증을 가지게되는 이야기들을 단순하고 귀여운 그림으로 설명해주셔서 썸네일이 뜰 때마다 항상 누르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항상 유익한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하고 덕분에 평소 가졌던 궁금증이나 의문도 해소되었던 것 같아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부탁드려요!

  • @dfdfsdfa
    @dfdfsdfa4 ай бұрын

    생물이라면 각자 다른 방식으로 잠을 자는데 낮과 밤의 패턴이 다르면 사실상 잠과 같네요

  • @Yepmaeniya
    @Yepmaeniya4 ай бұрын

    They are 귀여워요! ❤

  • @jamfather26554341
    @jamfather265543414 ай бұрын

    초파리 너무귀여운데 ㅋㅋ

  • @rickenbacker660

    @rickenbacker660

    4 ай бұрын

    하지만 너의 음식에 앉는다면?

  • @jamfather26554341

    @jamfather26554341

    4 ай бұрын

    @@rickenbacker660 저렇게 귀엽게 생겼으면 좀 떼어주죠 뭐 ㅋㅋㅌ

  • @shapeofoh

    @shapeofoh

    4 ай бұрын

    지랄하지마 ㅠㅠ

  • @jamfather26554341

    @jamfather26554341

    4 ай бұрын

    반박시 여러분 말이 다 맞습니다 ㅋㅋㅌ!!

  • @user-yz4ql5mp9r

    @user-yz4ql5mp9r

    3 ай бұрын

    니가 더❤

  • @eni0724
    @eni07244 ай бұрын

  • @user-zl1bq6sg4f
    @user-zl1bq6sg4f4 ай бұрын

    사물님 그 요즘 조류랑 파충류는 서로 묶여져있어서 석형류로 하셔야 될거 같아요

  • @Mypleasure6789
    @Mypleasure67893 ай бұрын

    사물궁이님, 현재에 일어나고 있는 역사는 누가, 어디서, 어떻게 기록하는지 궁금합니다!!

  • @user-xs3jd6zp5f
    @user-xs3jd6zp5f4 ай бұрын

    근데 꿈을 꿨는데 새벽 중간에 깼는데 제가 그 꿈을 더 꾸고 싶어서 생각하면서 잤더니 이어서 꿈을 꿨는데 이게 어떻게 가능한걸까요?? 그리고 3일 정도 동안 꿈을 이어 꾼적도 있는데 이것도 ..

  • @storyANDcreature.Bwhale
    @storyANDcreature.Bwhale3 ай бұрын

    양서강 입니다

  • @ChairLord90
    @ChairLord904 ай бұрын

    사람에게 키워져서 위협요소가 전혀 없으면 야생에 있을때보다 잠을 더 길게 잘까요? 코고는 새랑 잠꼬대하는 강아지 영상들 보면 궁금해지네요

  • @Nomong_kw
    @Nomong_kw4 ай бұрын

    진짜 썸네일 보기 전까지는 궁금하지 않았는데 ㅋㅋ

  • @user-mz7wu5bs9c

    @user-mz7wu5bs9c

    4 ай бұрын

    섬네일의중요성

  • @user-du9cx4zn1v
    @user-du9cx4zn1v3 ай бұрын

    궁금증이 해결 된갓도 있는데 더많은 궁금증이 생겼어요 어케 하실거에요??

  • @Koreanraichu
    @Koreanraichu4 ай бұрын

    식물도 자긴 잡니다. 사랑초나 괭이밥같은 식물은 잘때 잎을 접고 자고 애기장대의 경우 살짝 축 늘어진 채로 잡니다.

  • @88bb43

    @88bb43

    4 ай бұрын

    저희 집에서 키우는 사랑초가 딱 르렇네요. 밤에는 잎이 축 쳐져있고 해가 비치는 낮에는 싱싱하고

  • @seonsaeng-anajwoyo

    @seonsaeng-anajwoyo

    4 ай бұрын

    식물도 광합성과 호흡을 번갈아가며 빛이 없는 밤에는 호흡을 하며 휴식해야 하기때문에 무작정 24시간 빛을 비추는건 비효율적이라 합니다

  • @Koreanraichu

    @Koreanraichu

    4 ай бұрын

    @@seonsaeng-anajwoyo 실험실의 경우 14-10 혹은 16-8로 조절해서 키우더군요. 종자 발아용 인큐베이터는 24시간 켜둡니다.

  • @nymbasinban
    @nymbasinban4 ай бұрын

    믹스커피를 마시다가 든 궁금증입니다. 커피가루가 제대로 녹지 않았을 때 찬물 혹은 미지근한 물을 더 넣으면 물의 양이 많아져서 더 잘 녹을지, 아니면 물의 온도가 낮아져 잘 안녹을지 궁금합니다.

  • @kimdosoon
    @kimdosoon4 ай бұрын

    놀이공원에 있는 범퍼카 뒤 꽁무니에 달린 철사같은 것이 위에 석쇠철판 같은거와 마찰을 일으키게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ttiyongti5945

    @ttiyongti5945

    3 ай бұрын

    그냥 전기흘려보내는거아니였음??

  • @ZETA_

    @ZETA_

    Ай бұрын

    _전기 공급 용도입니다. 자세히 보면 천장과 닿는 부분에 스파크가 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_

  • @user-ov5zm5rz3v
    @user-ov5zm5rz3v3 ай бұрын

    처리할 데이터가 작으면 작업도 조금만 하면 되겠지요! 하지만 이 메인터넌스를 위해 뇌가 생겨낫다고 생각하면 뇌를 가진놈들은 결국 잘 수 밖에 없다고 생각 합니다.

  • @breadgoblin9499
    @breadgoblin94994 ай бұрын

    1:36 보통 우뇌는 왼쪽눈, 좌뇌는 오른쪽 눈을 담당하지 않던가요? 새는 다른가보네요

  • @dntjd94
    @dntjd944 ай бұрын

    참 신기혀.

  • @kainigwon5433
    @kainigwon54333 ай бұрын

    여기 나오는 대사들이 실제대사 녹음해서 변조시킨게 재밌음 ㅋㅋ

  • @user-xm1fk3jc1g
    @user-xm1fk3jc1g4 ай бұрын

    지구 온난화에 따라 빙하가 녹으면서 안에 있던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다는 애기를 들었었는데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비활성화 상태였다가 일정 조건을 갖추면 활성화가 되는 경우도 일종의 수면 상태겠죠?bb

  • @muhan.muyaho
    @muhan.muyaho4 ай бұрын

    세균도 균류에 포함되는데 그러면 세균에 감염된곳을 치료할때 세균이 잘때 치료하는게 더 효과적인가?

  • @starsuper3536

    @starsuper3536

    4 ай бұрын

    분류학에서 말하는 균류는 진핵생물문 중에 진균계고, 세균은 원핵생물문이에요. 세균은 단세포생물, 균류(진균계)는 다세포생물이라 천지차이예요.

  • @_Tritium_

    @_Tritium_

    3 ай бұрын

    영상을 끝까지 보면 세균이 잠 안잔다고 나오는데 흠흠

  • @muhan.muyaho

    @muhan.muyaho

    3 ай бұрын

    @@_Tritium_ 균류가 잔다고 하니깐 어릴때 균류에 세균이 포함된다배워서 쓴건데.....

  • @_Tritium_

    @_Tritium_

    3 ай бұрын

    @@muhan.muyaho 대부분의 경우에는 2번째 댓글이 해답이 될 수 있겠네요. 제가 알기로는 균류라는 이름이 들어간 것 중 prokaryotes의 점균류를 제외하고 그 외의 균류는 eukaryotes의 fungus(균계)에 속합니다. 점균류도 저희가 아는 세균과는 다른 친구죠. 세균은 prokaryotes이고 (진)균류는 eukaryotes로 알고 있습니다.

  • @MokokoProfil
    @MokokoProfil4 ай бұрын

    적어도 진핵세포생물에 한해서, 모든 생물이 무조건 잠을 잔다고 확정하긴 어려우나 생체시계를 가져 밤낮의 활동이 다름이 확인됨 그러나 원핵세포의 경우 생체시계를 가지는것 조차 확인되지 않아 사실상 잠을 자지 않는다고 볼 수 있음

  • @user-gz2qc1fm5b
    @user-gz2qc1fm5b3 ай бұрын

    반구수면 개꿀이다..부럽다

  • @user-sv7ug4br9t
    @user-sv7ug4br9t2 ай бұрын

    극도로 단순화된 생물은 기계와 다를바가 없다는거군요. 고도화된 생명체일 수록 잠을 자야하고요. 정밀기계의 os의 경우 한 번씩 껏다켜줘야 에러가 안 생기는 것과 비슷해서 신기하네요.

  • @user-dm8sl8yw9o
    @user-dm8sl8yw9o3 ай бұрын

    와~ 좌우뇌 교대근무 쩔었다....

  • @user-oy2qp8xq9n
    @user-oy2qp8xq9n3 ай бұрын

    얼굴이 좌우 대칭이 아닌 이유는 크게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선천적 요인 유전: 부모로부터 유전된 유전자의 영향으로 얼굴 뼈와 근육의 성장이 불균형하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선천적 기형: 태아 발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인해 얼굴 뼈나 근육에 이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질병: 선천성 뇌성마비나 마비 등의 질병은 얼굴 근육의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후천적 요인 생활 습관: 음식을 한쪽으로만 씹는 습관, 턱을 괴는 습관, 옆으로 자는 습관 등은 얼굴 근육과 뼈의 발달에 영향을 미쳐 비대칭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외상: 사고나 충격으로 인해 얼굴 뼈나 근육이 손상되면 비대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질병: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턱관절 질환, 근육 질환 등은 얼굴 비대칭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노화: 나이가 들면서 얼굴 근육과 뼈가 약해지고 처지면서 비대칭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얼굴 비대칭의 정도는 사람마다 다르며, 대부분의 경우 경미한 정도입니다. 심한 비대칭은 외모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줄 수 있으며, 턱관절 장애나 발음 장애 등의 기능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얼굴 비대칭을 교정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교정 치과: 치아 교정을 통해 턱과 치아의 위치를 교정하여 비대칭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성형수술: 뼈나 근육을 절개하거나 이동시켜 비대칭을 교정하는 방법입니다. 보톡스: 근육을 마비시켜 비대칭을 완화하는 방법입니다. 마사지: 얼굴 근육을 풀어주고 혈액 순환을 개선하여 비대칭을 완화하는 방법입니다. 얼굴 비대칭을 완전히 치료하기는 어려울 수 있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개선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얼굴 비대칭이 심하다고 생각되면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

  • @버블진조
    @버블진조4 ай бұрын

    하루에 8시간 넘게 자지 않으면 너무 피곤해요♡♡

  • @user-lc6kn5rd4o

    @user-lc6kn5rd4o

    4 ай бұрын

    저도 최소 9시간은 자야 컨디션이 괜찮더라구요

  • @user-bp3yv7yn1q

    @user-bp3yv7yn1q

    3 ай бұрын

    뒤에 하트는 왜 붙이나요 이러면 좋나❤

  • @user-iw6ol6bb6t

    @user-iw6ol6bb6t

    3 ай бұрын

    이사람 요즘 존나 많이보이네

  • @audghks2012

    @audghks2012

    3 ай бұрын

    ​@@user-iw6ol6bb6t 구독자수

  • @Kinnryuukenn07

    @Kinnryuukenn07

    3 ай бұрын

    하아앙 ❤

  • @user-48fk3kkd99
    @user-48fk3kkd994 ай бұрын

    잠을 자지 않아도 피로가 회복되는 방법을 개발한다면 과연 세상은 어떻게 변하려나 ㅡ ㅅ ㅡ..

  • @love-tn1is

    @love-tn1is

    3 ай бұрын

    ㅎㄷㄷ

  • @user-ms2bc7jj8z
    @user-ms2bc7jj8z4 ай бұрын

    참치도 잠을 자나요? 참치는 움직이면서 숨을 셔서 움직이지 않으면 질식사 한다던데??

  • @JiwooLee0205
    @JiwooLee02054 ай бұрын

    근데 황소개구리는그때당시 어떤 원리로 안잔다는 걸 밝혀 낸건가요? 궁금하네요

  • @sXCNJdMcvf6Rlgl
    @sXCNJdMcvf6Rlgl4 ай бұрын

    나도 잠깐만 자도 개운했으면 좋겠다 자도자도 졸려

  • @LtoE2002
    @LtoE20024 ай бұрын

    4:00 눈뜨고 자는 문어

  • @songroid4847
    @songroid48474 ай бұрын

    파리를 목도로 얼마만에 잡을 수 있을까 어릴때 한여름에 실험(?)해봤었는데.. 한여름에 방문 다 닫아두고, 파리가 쉴려고 앉을때마다 계속 날도록 주위를 위협하면.. 대충 20분~30분쯤 지나면 파리가 날아도 목도로 쳐도 잡을 수 있을 정도로 엄청나게 느리게 남. 그런데 그 전에 사람이 체력 방전 먼저 되면 끝.

  • @user-dg8ve1dv9k
    @user-dg8ve1dv9k4 ай бұрын

    '노는건 왜 재미있고 공부는 왜 재미없을까?'주제도 다루어주세요. 사소하지만 궁금합니다!!

  • @Aesculapius1976
    @Aesculapius19764 ай бұрын

    이기자부대는 4일을 못 자게 하는데.. 6:00

  • @user-uu9oe3vi3x
    @user-uu9oe3vi3x4 ай бұрын

    초파리 ㄱㅇㅇ

  •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4 ай бұрын

    과연... 잠을 정말로 잠을 취하지 않아도 되는 동물이 있을까...?

  • @user-yt7rs2gm6d
    @user-yt7rs2gm6d3 ай бұрын

    궁금하지 않았던 것도 궁금하게 만드는 채널

  • @user-qr8fk2cx9p
    @user-qr8fk2cx9p4 ай бұрын

    오늘은 이걸로 수면행

  • @Heechangs
    @Heechangs3 ай бұрын

    지식은 역시 사물궁댕이

  • @FAHQWCJKTXB
    @FAHQWCJKTXB4 ай бұрын

    3:03: 이거 대학생인ㄷ

  • @TheRyua
    @TheRyua4 ай бұрын

    눈이 얼마나 바쁘게 움직이는지 더이상 모르겠는 놈 여기 있습니다- -_-- --^--^^---_-__^ ... 셈 부럽다... 초파리야 부럽다 ㅠㅠㅠ 초파리 저눔은 완전 꿀잠 주무시나보네 ㅠ

  • @Hoshikawa_Mitsuki
    @Hoshikawa_Mitsuki3 ай бұрын

    저는 잠이 없는 사람들이 부럽더라고요. 나는 적어도 8시간 이상은 자야 개운하던데.. 아기도 아니고.. ㅎㅎ..

  • @user-si6rk1br4i
    @user-si6rk1br4i2 ай бұрын

    난 예전에 파리가 자는거 본적있음..ㅋㅋㅋ 불다꺼진 곳에서 벽에 파리 한마리 붙어 있었는데 가까이 다가가도 안날아 가길래 뭐지 하고 유심히 봤는데..파리 입에서 무슨 이상한 거품? 같은게 나오던데..왜 만화 같은거 보면 잠잘때 코에서 거품 나오면서 오르락 내리락 하잖음? 그런거 처럼..이게 뭐지 하고 한참을 보다가 조심히 다가가서 엉덩이 살짝 툭 치니까(그래도 안날아갔음ㅋㅋ) 입에서 나오던 거품이 점점 사라지더니 꿈틀 하길래 잠시 좀 떨어져서 지켜보니까 다시 천천히 거품 같은거 나오더니 미동도 없던데..가까이 다시 다가가도 안날아가고..그때 처음으로 파리가 자고 있는걸 봤는데 ㅋㅋ(맞겠지?ㅋ) 좀 신기했음 ㅋㅋ 파리종류는 흔히보이는 검은색파리 였음..ㅋㅋㅋ

  • @Morrneyo
    @Morrneyo4 ай бұрын

    1:51 포유강 양서류 -> 척추동물 양서류?

  • @syuang
    @syuang4 ай бұрын

    1:43 양눈 다 감은 새는 떨어지네 ㅋㅋㅋ

  • @youtube_ksb
    @youtube_ksb4 ай бұрын

    힘들기전에 죽어요 ㅋㅋ ㅠㅠ

  • @user-np6lf5gm9v
    @user-np6lf5gm9v4 ай бұрын

  • @user-ov1dr8fh2w
    @user-ov1dr8fh2w2 ай бұрын

    힘들기전애죽어욬ㅋㅋㅋㅋㅋㅋ아 하찮다

  • @intooctavarium
    @intooctavarium2 ай бұрын

    1:37 조류는 시신경 교차가 없나요?

  • @Min._.han._.
    @Min._.han._.4 ай бұрын

    반만 자는건 무슨 느낌일까

  • @perising
    @perising4 ай бұрын

    모든 생명체가 작정하고 안자면 시뮬레이션이 렉걸리거나 다운될까?

  • @user-wr7wu8rs9q
    @user-wr7wu8rs9q4 ай бұрын

    새는 뇌간이 없나요?

  • @user-cs4ow2wh4n
    @user-cs4ow2wh4n4 ай бұрын

    재채기할때 코 끝이 간지러우누이유..?

  • @Dromaeosaurus6600million
    @Dromaeosaurus6600million3 ай бұрын

    야행성은 밤에 활동하는종이고 주행성은 낮에 활동하는 종입니다.

  • @KOVA_SIGONG
    @KOVA_SIGONG3 ай бұрын

    검은수염티치 = 조류

  • @user-ci1vv9yv7l
    @user-ci1vv9yv7l4 ай бұрын

    정주영 " 잠 적게 자고 일한다는 사람은 미국황소개구리 아니면 사기꾼"

  • @namuhyen
    @namuhyen3 ай бұрын

    모든 동물이 잠을 자도 절대 잠들지않는 마샬 d 티치 그는 도대체...

  • @iosu0623
    @iosu06234 ай бұрын

    좀비는요?

  • @user-zq9pw8cx4d
    @user-zq9pw8cx4d4 ай бұрын

    의문 : 모든 생명체는 잠을 잘까? 대답 : "신경계를 지닌" "대부분"의 생물은 잠 비슷한 것을 잔다. 주제의 의문은 해결됐고...????

  • @bologcom
    @bologcomАй бұрын

    2:55 초파리한테 카페인을 주겠다는 생각은 누가 한 거야 ㅋㅋ

  • @user-rj6yc2ny9t
    @user-rj6yc2ny9t4 ай бұрын

    헬라 신화의 아르고스의 놀라운 능력이 마법에 의한 게 아니라면 잠을 자지 않는 것이고 아서 왕 전설의 기사 케이도 9일을 자지 않는 이능력을 가졌다던데. 이게 당대인들에게 얼마나 신비한 능력이라고 평가되었는지 알 수 있다는 거죠. 사실 자다가 비명에 가는 애들이 신화에선 많이 나옵니다. 메두사나 아스테이오스처럼. 잠이라고 하기는 조금 힘들지만 방심하다가 멸망한 트로이아나 술에 취해서 뒤비 자다가 당한 야마타노오로치라든가.. 인도의 쿰바카르나는 반년을 뒤비 자는 저주를 당해서 그때 깨어나면 겨울잠에서 깬 곰마냥 폭식해야 하고.. 잠을 안 잔다는 건 그런 무방비한 상태에 있지 않을 수 있고, 많은 시간을 더 살아있다는 의미(타나토스님과 휘프노스님은 형제 사이)이기도 하니 굉장한 능력이죠.

  • @Morrneyo

    @Morrneyo

    4 ай бұрын

    신화잖

  • @user-vu8yv5db6f
    @user-vu8yv5db6f3 ай бұрын

    15-20년전에 군대 다녀온 사람들은 다 알 잖아. 우리도 자면서 걸었던거 알지?? 야간 행군때.....

  • @user-re7gf7ps9i
    @user-re7gf7ps9i4 ай бұрын

    외계인도 잠을 잘까요?

  • @MissTerry709
    @MissTerry7094 ай бұрын

    엄마 안잔다!!

  • @MalDDuk2
    @MalDDuk24 ай бұрын

    하루살이도 잠을 잘까? ㅋㅋ

  • @eunduckkwack8365
    @eunduckkwack83654 ай бұрын

  • @user-di5eb2sl2o
    @user-di5eb2sl2o4 ай бұрын

    해적영화애 나오는 대포느크기는 있나요? 그리고 그외력은 얼만해요?

  • @kakao3838
    @kakao38383 ай бұрын

    황수개구리도 겨울잠 또는 잠을 자는데 그 외국교수논문이 가라식으로 만들었나😅

  • @user-xd2ph2er4r
    @user-xd2ph2er4r3 ай бұрын

    단세포는 잠을 자냐? 그럼 세포는 잠을 자냐?

  • @thc5251
    @thc52514 ай бұрын

    World

  • @violetcrown8998
    @violetcrown8998Ай бұрын

    2024년 4월 27일 토요일 오전 11시 41분

  • @oxf7013
    @oxf70134 ай бұрын

    달팽이도 잠을 자던

  • @user-cz7xe1xg5d
    @user-cz7xe1xg5d3 ай бұрын

    비트코인 사고 잠을 늘려

  • @vlacy4424
    @vlacy44243 ай бұрын

    피 뽑을 때 주사바늘을 넣으면 뚤린 만큼의 피부조직은 어디로 가나요? 두부에 빨대를 꽂으면 동그랗게 뚤리는 것처럼 바늘도 그렇게 뚤리나요?

  • @krEiEi
    @krEiEi4 ай бұрын

    _

  • @galaxy_dust
    @galaxy_dust4 ай бұрын

    잠을 안자고 살 순 없을까 왜 잠을자게 진화한거야ㅠㅠ

  • @Mr.G_334

    @Mr.G_334

    4 ай бұрын

    잠을 안자는 동물은 모두 죽었으니까 ㅋㅋㅋㅋㅋ 실제로 잠을 절대 못자는 병에 걸리면 치사율 100% 무조건 죽음

  • @starsuper3536

    @starsuper3536

    4 ай бұрын

    잠을 자는 동물도 100% 죽는데?

  • @user-ty6gp7bt5b

    @user-ty6gp7bt5b

    4 ай бұрын

    잠을 안자도 되게 진화했으면... 근로시간이 늘어나지 않았을까요..

  • @JH-ek5bn

    @JH-ek5bn

    4 ай бұрын

    ​@@starsuper3536 걔네들은 자식도 못낳고 죽으니까

  • @user-cv1zt5bk9d
    @user-cv1zt5bk9d4 ай бұрын

    우사인볼트가 전속력으로 다달았을때 지뢰를 밣으면 피해를 받을까요

  • @YDSnim
    @YDSnim4 ай бұрын

    헤헤

  • @adeul297
    @adeul2974 ай бұрын

    그거네 배따지 벅벅 긁으면서 자는 인간들하고 정상적인 활동을하는 인간들로 분류되는구먼

  • @user-ue3zr6zl7z
    @user-ue3zr6zl7z2 ай бұрын

    균류 발음이 이상해요. 귤류로 들림…

  • @gorilla345
    @gorilla3454 ай бұрын

    다음 주제 북한에서는 한국을 어떻게 볼까?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