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포럼] 아인슈타인의 삶과 우주 / YTN 사이언스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세기의 천재로 추앙받는 아인슈타인.
뉴턴의 고전 물리학을 종식시키며 우주의 시간과 공간은
절대적이지 않다는 이론을 만들어낸 개척자인다.
하지만 결정적인 사건으로 인해 정작 젊은 물리학자들의 도전에
인색한 사람이 되었을뿐 아니라, 물리학계에 매우 중요한 양자역학을
끝까지 받아들이지 못하게 되는데...
아인슈타인이 “내 인생 최대의 실수”라고 말 한 그 사건!
그리고 편협한 사고에 갇혀버린 그의 씁쓸한 말로.
‘사람’ 아인슈타인을 이해해본다.
■ 이독실 / 과학 칼럼니스트
========================================================
00:00 | 프롤로그
01:42 | 아인슈타인 탄생부터 첫 직장은?
04:35 | 기적의 1905년
07:36 | '일반 상대성이론'의 탄생
09:35 | 상대성이론을 증명하지 못한 이유
12:46 | 일반 상대성이론을 증명하다
14:46 | 일반 상대성이론 증명 후 대중의 반응은?
16:48 | 일반 상대성이론을 수정한 아인슈타인
19:27 | 보어와 아인슈타인의 논쟁
========================================================
#아인슈타인 #우주상수#일반상대성이론 #양자역학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science.ytn.co.kr/program/vie...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Пікірлер: 99

  • @junghyunlim5685
    @junghyunlim56854 күн бұрын

    먼저, 아인슈타인이 무슨 몰락을 했나요? 아무리 유튜브 클릭수 유도하는 어그로 제목이라고 이런 말 안되는 제목 막 갖다 붙이지 마세요. 양자역학을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표현도 왜곡이죠. 정확히는 코펜하겐 해석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 뿐이죠. 양자역학의 근간이 되는 방정식을 만든 슈뢰딩거도 마찬가지였고요. 지금도 아무도 이해할 수 없는 양자역학의 여러 현상에 대해 그 근본적인 원인이나 이유는 밝혀진 게 없죠. 그냥 현상을 잘 설명하니까 닥치고 쓰기나 해, 뭐 이런 분위기 아닌가요? 그나마 아주 오래 된 코펜하겐 해석, 숨은 변수 이론, 다세계 해석 등등... 여러 해석이 있을 뿐. 그리고, 아인슈타인이 말년에 추구했던 연구는 정확히는 그때까지 잘 알려진 중력과 전자기력을 통합하려던 시도였지, 요즘 사람들이 말하는 대통일장 (전자기력+약력+강력) 이론같은 게 아니었습니다. 아직까지도 중력은 다른 세 가지의 힘과 동떨어진 외톨이로 남아 있는데, 중력은 사실 힘이 아니므로 제 생각엔 아마 통합될 일도 없을 겁니다. 1955년에 사망한 아인슈타인이 나중에 가속기 실험 등을 통해 실험결과가 쌓이고 양자색역학이 나오면서 알려지게 된 쿼크의 존재조차 몰랐던 시대에 전자기력+약력+강력을 통합한다는 게 가능했겠습니까? 머레이 겔만의 쿼크 논문이 나온 게 1964년입니다. 글래쇼, 와인버그, 살람 등에 의해 전자기약력이 통합된 게 1960년대 일이고, 그 후 강력까지 포함한 대통일 이론이 제안된 게 1970년대입니다. 아인슈타인이 말년에 몰두했던 중력+전자기력 통합 시도가 실패한 이유는 그가 양자역학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 아닙니다. 지금도 초끈이론과 루프양자중력이론 같은 시도들이 있지만 아직도 중력은 수수께끼 상태로 남아 있지 않나요? 역사나 과학이나 오류의 전파, 오류의 확산이 참 많이 일어나고 있고, 한번 확산되면 참 오랫동안 고쳐지기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3 күн бұрын

    (중력은 사실 힘이 아닌거 같음으로) = 중력은 단순히 우리가 현재 느끼는 ’시간의 흐름‘ 같은 ’과정‘ 아닐까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엄청나네? 그렇지, 왜 꼭 중력이 ’힘=수치 결과값‘이여야 된다고 우리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었던거지? 과정도 수치 표기가 가능한가? 시간의 흐름의 과정은 10:00 ~ 12:00 수치 표기가 가능 하네~ 재미있네. 저 시간의 흐름은 ’힘‘인가? 우리는 ’흘러가는 과정들의 연속체‘라고 설명하지 않나? 주로? ㅋㅋㅋ 😂

  • @junghyunlim5685

    @junghyunlim5685

    2 күн бұрын

    m.blog.naver.com/richerman21

  • @Hamayarawaa
    @Hamayarawaa6 күн бұрын

    아인슈타인 일화에 관한 이야기 너무 재밌네요 ~

  • @dckusr2629
    @dckusr26298 күн бұрын

    아인슈타인한테 몰락이라는 표현으로 어그로를 끌다니

  • @user-vw1gm5ux9b
    @user-vw1gm5ux9b4 күн бұрын

    이독실 최고🎉

  • @curious-3802
    @curious-38028 күн бұрын

    26세, 1905년이 아니고 23세, 1902년에 특허청에 취직합니다. 이런 사소한건 틀려도 괜찮을 것 같지만 전반적으로 내용의 신뢰성을 떨어 뜨립니다. 에딩턴 사진도 확실하게 이해한 것 같지 않아 보이고 공부를 좀 더 하고 방송해야 할 것 같네요. 우주상수는 정적인 우주를 상정했기 때문에 집어 넣은건데 오히려 동적우주인 팽창에 쓰이게 된거죠.

  • @Hamayarawaa

    @Hamayarawaa

    7 күн бұрын

    이 영상이 과학수업 영상입니까? 영상의 주제가 먼지 부터 파악하세요..

  • @user-cd4tl4zj1x

    @user-cd4tl4zj1x

    6 күн бұрын

    @@Hamayarawaa 과학 수업 영상 아니라고 과학이야기 하면서 틀린것 대충 넘어가? 그런건 과학이 아님. 과학이 아니면서 과학을 입에 담으면 안되지.

  • @Hamayarawaa

    @Hamayarawaa

    6 күн бұрын

    @@user-cd4tl4zj1x 이 영상에 틀린 과학이 먼지 근거 제시 해보셈 ㅋㅋ

  • @Hamayarawaa

    @Hamayarawaa

    6 күн бұрын

    @@user-cd4tl4zj1x 성격 참 별나시네 이분 ㅋㅋㅋㅋ 과학적인 부분에서 틀린 내용이 먼지 부터 근거 제시하고 얘기해라 ㅋㅋ 너 과학에 대해서 뭐 앎? 미적분은 알고 얘기하니? ㅋㅋ

  • @user-cd4tl4zj1x

    @user-cd4tl4zj1x

    6 күн бұрын

    @@Hamayarawaa 과학적인 부분에서 틀린 것은 내가 따로 댓글로 쓴게 있고. 그 외의 사소한 사실을 지적한 것도 중요한데 역사적 사실에서 틀린것을 지적한 글에 과학적 사실 운운하고 싶냐?ㅉㅉ 그리고 얼마나 멍청한 놈이면 제 말에 토달면 미적분도 못할 거라고 생각하냐? 니 수준엔 미적분도 대단한 공부없으면 모를거 같냐? 한심한 놈..ㅉㅉ

  • @tugomail
    @tugomail4 күн бұрын

    이런 지식이 필요했어.

  • @user-lb9if6hu6h
    @user-lb9if6hu6h2 күн бұрын

    1905년은 아인슈타인에게 있어서 대한민국에 있어서 다른 의미로 놀라운 해이긴 하네요

  • @hklee6664
    @hklee66645 күн бұрын

    이 자는 venomfangX 같은 인간이군

  • @Hamayarawaa
    @Hamayarawaa7 күн бұрын

    이독실님이 전해주는 과학이야기 너무 재밌어요!

  • @user-cd4tl4zj1x

    @user-cd4tl4zj1x

    6 күн бұрын

    니가 이독실 본인 아니냐?ㅋㅋㅋ

  • @Hamayarawaa

    @Hamayarawaa

    6 күн бұрын

    @@user-cd4tl4zj1x 정신병 있으면 정신병원에 입원 하렴 ^^ㅋㅋ

  • @Hamayarawaa

    @Hamayarawaa

    6 күн бұрын

    @@user-cd4tl4zj1x 머리가 아프니? ㅋㅋ 수준떨어지니깐 말 걸지마라 ^^

  • @Hamayarawaa

    @Hamayarawaa

    6 күн бұрын

    @@user-cd4tl4zj1x 수준 떨어지네 ㅋㅋ

  • @user-cd4tl4zj1x

    @user-cd4tl4zj1x

    6 күн бұрын

    @@Hamayarawaa 왜 찔려?ㅋㅋㅋ

  • @sunyata4812
    @sunyata48123 күн бұрын

    우주상수 사건 하나로 고지식해졌다..?

  • @shawngreen81
    @shawngreen816 күн бұрын

    목소리가 지대넓얕 나오시는분 살짝 닮음

  • @user-nv7rn9gb8t
    @user-nv7rn9gb8t4 күн бұрын

    양자역학이 틀렸다기보다는 너무 이론이 빈약하고 입증이 안되는 부분이 많은데다가 결정적으로 그게 왜 그런지 설명이 전혀 안된다는 겁니다. 그러니 법칙으로서의 가치가 없으니... 양자가 왜 도약하는지..왜 전자가 2중성을 가지는지..왜 동시성이 있는건지..왜 양자얽힘이 있는건지 왜 빛보다 빠른지 아는게 하나도 없고 설명할 수 있는게 하나도 없으니 그게 무슨 과학이론이냐..' 아인슈인타인도 그점 지적하는 겁니다.

  • @user-uf9mg6ve7y
    @user-uf9mg6ve7y6 күн бұрын

    당신의 명 강연에 백만표를 짝짝짝!

  • @OMRSCANNER
    @OMRSCANNER8 күн бұрын

    아인슈타인의 우상화 외에는 아무런 내용이 없군요 제대로 아는 것도 아니고 하긴 알 수도 없겠지요 그냥 하는 소리 같아서 하나 지적할께요 에딩턴이 관측한 것에 대한 해석은 정확했을까요? 당시에 관측 사진 중에서 아인슈타인에 유리한 단 한 장의 사진을 사용했다는 말이 있고 이를 안 당시 많은 과학자들이 항의했으나 이미 신문에 나면서 묻혀 버렸다 하는데 아시나요? 나아가 이러한 문제 때문에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 18개월 마다 있는 개기 일식 때에 관찰하였으나 결국 100년이 더 지난 지금까지 확인하지 못한 것은 아시나요? 아 물론 1970대 퀘이샤를 관측하고 확인했다고 배웠을 것입니다. 하지만 궤이샤의 관측은 전혀 다른 문제라는 것도 모르겠지요. 기본적인 부분에서 모르니 무엇이든 제대로 알 수 있겠어요?

  • @user-ox9fl1ke7s
    @user-ox9fl1ke7s7 күн бұрын

    지대넓얕 을 모르는 사람들이 이독실님을 평가하려 드네 ㅋㅋㅋ

  • @joyjin
    @joyjin5 күн бұрын

    최고의 과커 독실이😂!!!

  • @user-zn6uw4ys9x
    @user-zn6uw4ys9x7 күн бұрын

    물리학이 전공이 아니라서 일반역학이나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니 전체적 설명이 억망이고 아인슈타인과 닐스보어의 논쟁은 제대로 설명도 하지못한 엉터리 강의네요...

  • @Hamayarawaa

    @Hamayarawaa

    7 күн бұрын

    이 영상의 주제가 먼지부터 파악하세요 ㅋ 요즘 과학영상 좀 유행한다고 별 오지라퍼들 다 등장하고 앉았네 ㅋㅋ

  • @user-cd4tl4zj1x

    @user-cd4tl4zj1x

    6 күн бұрын

    @@Hamayarawaa 본인부터 주제 파악하고 엉터리 영상 옹호하길.

  • @Hamayarawaa

    @Hamayarawaa

    6 күн бұрын

    @@user-cd4tl4zj1x 머가 엉터리인지 근거 제시하고 얘기해! 못하면 너 주제 파악먼저 하시고

  • @user-cd4tl4zj1x

    @user-cd4tl4zj1x

    6 күн бұрын

    @@Hamayarawaa 내가 쓴 댓글 따로 있고 근거는 거기에 달아뒀으니 보던가. 이 글에는 네놈이 이 영상 지적하는 글마다 헛소리 하길래 한 소리 거들어줬다. 알겠냐? 주제파악 안되는 놈아..ㅉㅉ

  • @user-cd4tl4zj1x

    @user-cd4tl4zj1x

    6 күн бұрын

    @@Hamayarawaa 근거는 내 딴 댓글 보렴.. 그리고 본인은 근거 하나도 제시 안하는 놈이 남보고는 대뜸 근거 운운일세..ㅉㅉ

  • @user-xj5ki7wu4s
    @user-xj5ki7wu4s7 күн бұрын

    1905년은 기적의 해가 아니라 암흑의 해입니다. 기적의 해는 오히려 2024년입니다. 그날 통일장 법칙이 완성됩니다.

  • @user-cd4tl4zj1x

    @user-cd4tl4zj1x

    5 күн бұрын

    올핸데? 그런데 통일장 법칙이라는 아이디어 자체가 아인슈타인이 발상한 목표 아닌가?ㅎㅎ

  • @user-gg6ki1fj3c
    @user-gg6ki1fj3c7 күн бұрын

    과학에 종교 끌어들여서 오만 가지 이유 다 붙여 미신을 믿는 자.. 이런 자는 좀 안 나왔으면 좋겠다.

  • @Hamayarawaa

    @Hamayarawaa

    7 күн бұрын

    너같은 악플러나 안나왔으면 좋겠다

  • @youngpark3019
    @youngpark30198 күн бұрын

    은근히 아인슈타인 이야기 하면서, 자기 소개하는 양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cd4tl4zj1x

    @user-cd4tl4zj1x

    5 күн бұрын

    @@Hamayarawaa 이독실 면상이나 좀 보렴 도대체 누가 걔같이 생긴놈에게 열등감 느끼겠냐?ㅋㅋ

  • @user-no4jt6qx4w
    @user-no4jt6qx4w6 күн бұрын

    비추누루고 가요

  • @user-oo8yx4bv5m
    @user-oo8yx4bv5m5 күн бұрын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 2찍이시네..

  • @user-si4un5hn3n

    @user-si4un5hn3n

    3 күн бұрын

    ㅂㅅ 죄명이가 니 아버지냐??ㅋㅋ

  • @b.i.h156
    @b.i.h1568 күн бұрын

    저때의 교육환경이 지금 우리 현실이나 다를바없고 정치적상황도 히틀러시대나 비슷함.

  • @Infinityisone
    @Infinityisone3 күн бұрын

    3:33 제길! 나도 10~20년 기다려야함? 아~ 아인슈타인 인생이 내 인생 전반기랑 너무 닮았네. 우리 엄마가 이야기 들어도 어? 뭐야? 내 자식이랑 똑같네? 라고 하겠네. ㅋㅋㅋ 😂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3 күн бұрын

    3:33 독학으로 이론 썼자나~ 나 좀 불러줘~ 나도 인류에게 보탬이 되고 내 이름 석 자 기록물에 남기고 싶단 말이야!!! 😂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3 күн бұрын

    4:30 거기 특허청에서 새로 나오는 기술 심사하면서, 엄청 많이 배웠겠네. 특허청이 아인슈타인에게는 대학원 그 이상인거네… ㅋㅋㅋ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3 күн бұрын

    10:56 나도 이거 내 손으로 직접 연구해서 증명하고 싶네… 😢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3 күн бұрын

    17:08 문제 없는 완벽한 하나의 은 안나오지 않을까요??? 아인슈타인도 본인 말년에 자진해서 정신병원까지 들어가서 을 쓰고 싶어 하였지만, 아마도 계속 로 계속 돌아왔을걸요? 일종의 ‘패러독스’처럼? 결국은 과거 노자나 장자가 설명한 것이나,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소크라테스가 설명한 것 처럼; “우리 인간은 절대적으로 ‘진리’를 모른다. 단지 ‘진리‘라는 무언가에 가까이 도달하려고 매 순간 노력 할 뿐이다.” 인거 같은데요??? 노력 중에 의도하지 않게 새로운 것들이 튀어나오는거고… 😂🎉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3 күн бұрын

    18:20 우주 상수 람다(人)가 내 눈에는 오늘은 중국어 한자 기하학으로 보이네??? ㅋㅋㅋ 사람 인(人)으로 내 눈에는 관측 되는데? 오 미친 ㅋㅋㅋ 😂 세상은 말장난 인건가?… ㅋㅋㅋ 우주를 움직이는 ‘에너지’가 우리 ‘인간’ 또는 ‘운동량’이라고 하는 ‘람다 에너지’라는 뜻 아닌가요? ㅋㅋㅋ G = Gravity (Pull)의 상태. 人 = 람다. = 사람(인) = 운동량 (Push). T = Time-space = 시공간 4차원 우주. 그 위에 SR의 각기 다른 차원들의 우주의 ‘막’의 교집합의 연결 다중 우주 상태. 즉, 블랙홀 속에는 또 다른 새로운 ‘더 거대한 우주’가 보일 것이다. 재미있네 ㅋㅋㅋ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