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생톡톡] 참나안주 요결

☝'좋아요'와 댓글은 학당 영상이 퍼지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하단에 자막 텍스트 있습니다!)
- 홍익학당 교육과정 안내: hihd.imweb.me/course01
- 홍익학당 공식홈페이지:www.hihd.co.kr
- 홍익학당 네이버 카페:cafe.naver.com/bohd
- 홍익학당 후원안내:cafe.naver.com/bohd/64598
- 홍익학당 후원계좌 국민은행 879601-01-245696 (흥여회)
- ARS 후원 : 1877-1974
- 문의 : 02-322-2537 / help@hihd.co.kr
- 'SUPER THANKS'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영상 하단 'Thanks' 버튼을 눌러주세요.♥
본 동영상은 흥여회 후원으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게 도와주신 '흥여회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오늘 지금 읽어드릴 '참나안주 요결'만 열심히 하면
1주에 안착할뿐더러 1지로 나아가게 되는 기틀이 잡힌다.
그래서 1주를 다지고 1지로 나아가는, 1지는 엄청난 경지인 게
1지는 진짜로 고속도로 톨게이트 통과하는 거예요.
1주 보살은 한 1급이라고 보고, 그 1급은 고속도로 하이패스
줄 쳐진 라인에는 들어온 거예요. 파란색 줄 있잖아요? 그 줄은
탄 거고, 실제 통과하는 거는 한 1지 보살은 돼야 한다.
왜냐하면 뭔 차이냐? 1주는 참나 안주가 기본값이 되는 사람이고,
참나 각성이 기본값이고, 1지는 양심 각성이 기본값이에요.
6바라밀이 안에서 그냥 자동으로 출동할 정도 돼야 해요.
어떤 일을 겪어도 6바라밀이 출동하는 경지가 1지이기 때문에
레벨 차이는 있다.
그런데 닝마파 족첸이나 모든 선불교의 최상승선법들은
에고의 닦임을 중시하지 않고, 참나에 안주했느냐만 보기 때문에
1주면 이미 고속도로 톨게이트 통과한 것처럼 얘기한다는 거예요.
이미 부처 다 된 걸로 얘기하고, '아예 부처다!' '견성했으면
성불이다!' 깨달았으면 '돈오', 그냥 부처다! '돈수',
이런 경지의 차원에서 보자면 그냥 이미 부처 된 거예요.
그러니까 1주 보살이 이미 부처 되고, 그 뒤에 1지·2지 부처의
소양 교육 배운다고 보면 돼요. 면허는 1주에 따고, 1지·2지는
이제 실력 키우는 거로 이렇게 볼 수도 있어요, 그러니까
선불교식으로 보면.
'면허 땄으면 이미 부처지!'하는 거예요. '부처 면허 땄으면
부처지!', '견성했으면 부처지!' 이런 관점에서 한번 보세요.
참나각성 요결 최상승선법에 해당하는 4조(홍범14조中)는,
그때 했는데 다시 한번 해보죠, 그대로 이어지니까.
첫째, '과거에 집착하지 말라!' 그냥 참나 만나려면 참나 각성이
뜻대로 되지 않았던 기억에 대해, 특히 '모른다!' 해라!
이 얘기가 일체를 '모른다!' 해야 하는데 그냥 과거에 집착하지
말라! 과거, 떠오르는 모든 과거는 '몰라!' 해버리면 돼요.
특히 여기 심법으로 적어놓은 게 뭐냐면, 최상승선 닦으려면
참나 각성이 내 뜻대로 안 됐던 그런 기억도 '몰라!' 해라!
'이거 어려운데? 참나 각성은 어렵지' 하고 참선에 들어가지
말라! 그것도 '몰라!' 해라. 그냥 그것도 과거니까 '몰라!' 해라.
(둘째) '미래 걱정하지 말라!'라는 건 앞날에 대해서 기대하는 거,
일체를 '몰라!' 해 버려라! 특히 '참나 각성이, 지금 내가 하는
참선이 뜻대로 안 되지 않을까?' 하는 그것, 특히 '몰라!' 해라.
약간 더 세밀하게 적어드린 거예요, 제가.
그다음 세 번째, '에고를 내세우지 말라!' 이걸 최상승선법으로
쓰면 이름 '몰라!' 해라! 내 이름도 모른다! 이름만 '몰라!' 하면
그냥 참나예요, 사실.
지금 과거·현재도 떼고, 3조만 써도 이름 '몰라!' 해 보세요, 이름.
누군지 모르고 존재해 보세요! 그럼 자연물이죠, 지금.
알아차리고 있는 자연물이고. 알아차리는 돌멩이고, 자연물이고,
알아차리는 목석이고. 이름만 '몰라!' 해도 견성합니다.
근데 과거 떼고, 미래 떼고, 이름 떼버리면 견성 안 할 도리가
없잖아요, 지금? 그때 느껴지는, 과거 '몰라!' 할 때 느껴지는
그 다 일체를 '몰라!' 했더니, '몰라!' 하는 주체인 참나자리만
남거든요, 나라는 존재감. 그죠?
미래 걱정 안 하고 '몰라!' 하고 있으니까, 그냥 알아차리는
이놈만 있지 아무것도 없고, 이름도 '몰라!' 했더니 이름도
모르는 그놈만 있지, 아무것도 없어요.
그 자리가 참나니까, 그 존재감, 그 알아차리는 그 느낌 자체에
집중하면서 만족해라! 그 느낌이, 참나의 느낌이 강하건 약하건
'아 좀 약한데? 강한데?' 이걸 분별하지 말고, 그냥 '몰라!' 해 버리고
만족해라. 그러니까 만족의 '몰라!'죠. '아! 몰라! 괜찮아!'하는
그 '몰라!'
'몰라! 괜찮아!', '딱 좋아, 지금!' 만족해 버려요. 이 4조만 하면
이거는 그대로 이 4조가 아주 유사한 형태로 파드마삼바바가
전했다는 닝마파 족첸의 아주 최고 요결입니다.
이것만 닦으면 돼요. 그냥 바로 '견성'이에요. 근데 여기에 지금
뭐가 빠졌냐 하면 '지혜'가 없죠? 그 지혜가 마침, 제가 닝마파
거를 참고해서 만든 게 아닌데, 제가 너무 자명해서 만든
'(홍익보살 실천지침)14조 진리'에 들어 있어요.
5조, '일체의 존재는 참나의 신비임을 알라!' 그러니까 참나 각성한
상태에서 떠오르는, 지금 이 순간의 생각·감정·오감이에요,
과거 거 말고. 과거, '몰라!' 했잖아요? 미래, '몰라!' 했잖아요?
지금 떠오르는 그 괴로움, 그 생각, 그 고민, 그게 참나의 작용
이라고 알아차려라!
이거, 과거·미래 거 아니에요. 과거의 뭘 끄집어내지 말고, 미래의
뭘 가져오지 말고, 지금 이 순간 일어나는 그 생각·감정·오감을
이 참나의 작용임을 인가해라!
어제 거 가지고 하지 말고, 오늘 거 갖고 해봐라! 이거예요, 지금.
여력이 있으면 옛날 것도 떠올려보고, 미래 것도 떠올려보면서
또 굴려볼 수 있지만, 지금 여기서는 일단 지금 떠오르는 그놈들을
가지고 연구해라!
어차피 미래 거 가져오고, 과거 거 가져와도 어차피 떠오르긴
지금 떠오르니까 그놈들과 승부만 하면 돼요. 지금 일어나는,
그 생각·감정·오감만 승부하면 돼요.
지금 떠오르는 그거가 참나의 작용이라고 딱 인가할 수 있는지
봐라! 이거예요. 이게 참나 각성이 제대로 되면, 참나 51%가
넘으면 이 인가가 나옵니다. 51%가 안 되면요, 밀려요.
에고 힘이 더 세가지고 긴가민가하게 흐려버려요.
그런데 참나가 강해지면 또렷해져요. 이거 참나작용이네!
참나에서 나온 거지, 딴 데서 나온 게 아니네! 그리고 돌아갈
자리도 참나네! '몰라!' 해버리면 참나로 돌아가지 어디로
돌아가겠어요?
또 한 생각하면 참나에서 튀어나오고, 그래서 이렇게 해가지고
자기 지금 힘든 번뇌를 진짜 참나한테 맡길 수 있는지도
봐야 해요.
그래서 6조, '참나의 현존에 일체를 맡기며 살아가라!'
참나자리에다 한번 맡겨보시라는 거죠. 지금 일어나는 번뇌도
참나의 신비 즉, 참나의 나툼이고 작용이니까 '몰라!' 하고
참나한테 맡겼을 때 녹아지는지 한번 보는 거예요.
그러니까 나온 자리에다 돌려놨을 때 잘 녹아지는지,
빛 안에서 정화되는지, 한번 보는 거예요.
그러면 이게 연습이 되면, 5·6 조가 연습이 되면 지금 '지혜'도
늘뿐더러, '지혜'. 아까 '선정'을 닦았죠, 4조까지 해서.
5·6조는 '지혜'일뿐더러, 지혜의 실천인 '맡김'까지 닦는 거예요,
5·6조를 통해 맡길 수 있는지를.
나눠서 얘기하면, 5조가 '진리'라면 6조는 '맡김'이죠.
맡겨볼 수 있냐고요? 실제로 맡길 수 있는지.
원래 맡긴다는 거는 '참나의 진리'에도 맡기고, '현존'에도
맡기는데, 일단 여기서 '현존'에 한번 맡겨보라는 거예요.
참나자리에다 한번 맡겨봐라! 거기서 나왔으니까.
'진리에 맡긴다'라는 거는 '일체의 존재는 참나의 신비'라는
그 진리에다가 한번 맡겨봐라! 이거예요.
그러니까 지금 이 안에는 다 들어있죠? '현존'에 맡기라고
했지만 결국은 '진리'에 맡기는 거예요. 왜냐하면 참나의
신비인 줄 알고 맡기는 거니까.
쓰여있기는 '현존'에 일단 맡겨봐라! 한 건데, 들어가 보면
'현존'에만 맡기는 게 아니라 뭐죠? '참나의 신비'라는
진리를 믿고 맡기는 거죠. 이거까지 이해하시면 좋겠어요.
일단은 '현존'에 한번 맡겨봐라! 이렇게 써놨어요.
근데 5조랑 연계해서 생각하면 '진리'에도 맡기는 거다.
알고 맡기는 거니까요.
그래서 이제 좀 더 나아가서, 여기까지만 하면 확실한
'확철대오'입니다. 여기까지만 하면 선불교나 닝마파 어디 가도.
근데 결국은 선불교에도 들어가면 이게 있어요.
'참나 안에는 6바라밀이 다 들어있다!' 이 얘기가 나와요,
구공 얘기가. 공(空) 안에 다 들어있다.
닝마파 쪽 가도 참나의 핵심 요소로 '텅 빔'과 '알아차림'과
'따뜻한 자비심'을 얘기해요. 구공이 또 나와요. 그러니까
결국 이게 1주에서 1지로 넘어가는 거예요. 결국 1지를
예비하는 거예요.
근데 안타까운 건 선불교는 1주만 강조하기 때문에
닝마파나 다 똑같아요, 족첸이나. 따뜻한 마음을, 자비를
강조하듯 '지금 참나 안에 안주해서 현존해 있는가?'에
포인트를 두고, 1지부터는 '그게 진짜로 6바라밀로 현실에서
구현되는가?'에 초점을 두는 거예요.
구현될 수 있는 게 안착이 돼야, 구현이 기본값이 돼야 1지고.
그 6바라밀을 품고는 있되, 참나에 안주해 있는 기본값이
더 중시되는 관점에서 보면 1주고, 그런 거예요.
그래서 선불교니, 족첸이니 마하무드라는 1주 측면에서 강조하지,
왜냐? 참나에 안착했느냐만 강조하지 그걸 실제로 갖다 쓰는 걸
강조하지는 않아요. (후략)

Пікірлер: 32

  • @annette_2017
    @annette_2017 Жыл бұрын

    참나안주 요결~ 1주(참나 각성이 기본값)에 안주하는 동시에 1지(양심 각성이 기본값)에 나아가는 공부법~ 이것만 되면 인류는 개벽한다~ 열공 가즈아~ 오~늘~ 감사합니다~

  • @user-kz3oo6hs1i
    @user-kz3oo6hs1i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yugyeongchoi2754
    @yugyeongchoi2754 Жыл бұрын

    고마워요🧡

  • @user-sq1zm9ry2n
    @user-sq1zm9ry2n Жыл бұрын

    깊히 감사드립니다 !

  • @user-fp1xk7nf5x
    @user-fp1xk7nf5x Жыл бұрын

    요즘 머리 아프고 계절우을증도 있고 해야할 일도 많은데 뭐부터 해야할지 도저히 모르겠네요 그래서 선생님 말씀대로 그냥 모른다 모른다고 속으로 외치고 있네요 시간이 지나면 엉킨 실마리가 하나하나씩 풀리겠죠 믿습니다

  • @user-fi4bd3ci7v
    @user-fi4bd3ci7v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ln9lx6pf9m
    @user-ln9lx6pf9m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감사합니다!

  • @user-ku4qo5cm9r
    @user-ku4qo5cm9r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 @Binstar1104
    @Binstar110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bc9jg2yk8j
    @user-bc9jg2yk8j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Anna1004da
    @Anna1004da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J.a.hyeon_anne13
    @J.a.hyeon_anne13 Жыл бұрын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 @milkcoffee01
    @milkcoffee01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 @user-nv9vi3rs8q
    @user-nv9vi3rs8q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happybodhisattva
    @happybodhisattva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hongikHD

    @hongikHD

    Жыл бұрын

    소중한 후원 감사드립니다!🙏🌸

  • @user-gz9jn4gh8g
    @user-gz9jn4gh8g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iv4dn4hn2z
    @user-iv4dn4hn2z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많이 도움이 됩니다

  • @user-nz8gb9sn8y
    @user-nz8gb9sn8y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 @lee-kko
    @lee-kko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er9ox7nz5f
    @user-er9ox7nz5f Жыл бұрын

    귀중한 말씀 감사합니다🙏 모르는게 너무 많아서 모른다 모른다 하겠습니다 😂🙏👍❤

  • @user-fv5mh5nr5g
    @user-fv5mh5nr5g Жыл бұрын

    귀한말씀 감사합니다

  • @MoruDare
    @MoruDare Жыл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 @hongikHD

    @hongikHD

    Жыл бұрын

    후원 감사드립니다~🙏

  • @1_SIMU
    @1_SIMU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pr8tu4yd2b
    @user-pr8tu4yd2b7 ай бұрын

  • @seongjae24
    @seongjae24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hongikHD

    @hongikHD

    8 ай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jaehyeokshin4169
    @jaehyeokshin4169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yb7zi8pw8f
    @user-yb7zi8pw8f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1_SIMU
    @1_SIMU5 ай бұрын

    올한해 참나에 안주하는것을 목표로 하며 진리인가하고 실천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1년 뒤에 다시보니 훨씬더 새롭고 도움이됩니다. 감사합니다 🙏💕🙆‍♂️

  • @Lee_Sangmin
    @Lee_Sangmin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