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비닐로 기름을 만든다고!? 돈 버는 현장 가봄 / 비디오머그

폐비닐 등 폐플라스틱으로 기름을 만든다고!? 한때 사회적 문제가 됐던 가짜 등유나 가짜 경유 아닌가 싶기도 한데요, 해마다 수백만 톤씩 각 가정 등에서 분리 배출되는 폐비닐 등 폐플라스틱을 활용해 진짜로 등유 급의 기름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환경부는 향후 10년 내 이런 폐플라스틱 재생유 생산량을 100배가량 늘리겠다는 계획도 내놓았습니다. 계획대로 된다면 미래에는 환경도 개선하고 폐플라스틱이 돈이 될지도 모릅니다. 비머에서 직접 재생유 생산 현장을 급습했습니다.
배달 문화가 활성화되면서 배출량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는 폐플라스틱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정부 차원에서 고민이 많은데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이런 플라스틱 쓰레기를 중국 등 동남아시아 국가로 수출했었습니다. 하지만 현지에서도 문제가 되면서 이제는 수출길도 막힌 상태입니다. 정부는 할 수 없이 폐플라스틱을 소각하거나 매립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구적인 처리 방법도 아닌 데다 소각하면 다이옥신 등 환경오염 물질이 배출되고 매립지도 포화상태입니다. 그래서 폐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재생유 생산 기술이 최근 주목받고 있습니다.
폐비닐로 기름을 만든다고!? 돈 버는 현장 가봄 / 비디오머그
✔신뢰할 수 있는 재미, 비디오머그 VIDEOMUG
#비디오머그 #폐비닐 #재활용 #VMG
▶비디오머그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mugTube
▶Homepage : n.sbs.co.kr/videomug
▶Facebook : / videomug
▶Twitter : / videomug_sbs

Пікірлер: 220

  • @alterrrrrrr
    @alterrrrrrr2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런 업체들은 전폭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 @user-vd2wl1tu3d

    @user-vd2wl1tu3d

    10 ай бұрын

    누가 지원 지원 아닌 투자 개인 장사

  • @user-vd2wl1tu3d

    @user-vd2wl1tu3d

    8 ай бұрын

    누가 지원 .생산 연료 사용처 찿아 판매.원료 수거 하여 생산.수거 누가. 생산 위한 원료 투입 사람. 생산 공정 자동.열분해유 연료 무엇 입까. 초기 경유 .비닐 에서 나온 기름 사용 판매

  • @user-pt7lz9bn1d

    @user-pt7lz9bn1d

    4 ай бұрын

    ​@@user-vd2wl1tu3d 니 제대로 모르네.

  • @Yorido_jua
    @Yorido_jua2 жыл бұрын

    멋진 자원 활용 감사합니다.! 지구가 건강해지길.!.!!

  • @user-wx2fi9ue3o
    @user-wx2fi9ue3o2 жыл бұрын

    너무 감격스러워요 가슴이 뭉클했어요 플라스틱 분리 하면서 아이들에게 환경오염이라는 커다란 문제를 물려 주는 것 같아서 죄책감이 컸는데 우리나라에 이런 기술력이 있다니 정말 다행입니다 이것을 시작으로 지구를 더 깨끗하고 안전하게 지켜줄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 @roks0308

    @roks0308

    2 жыл бұрын

    자연을 파괴할수록 발전하는 과학기술 적당한 파괴는 필요한거같아요

  • @user-sz3bl1jr3y

    @user-sz3bl1jr3y

    5 ай бұрын

    @@roks0308그쵸 후대에게 문명발전 없이 좋은 자연 환경 물려줄까 자연이 좀 파괴돼도 기술 빌전 문명을 물려줄까 물어보면 대부분 후자를 택할듯

  • @leeChosim
    @leeChosim2 жыл бұрын

    이런 업체는 국가 지원사업에 포함시켜서 꾸준히 발전해 나갈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 @user-fb5ev1io1z
    @user-fb5ev1io1z2 жыл бұрын

    정말 이런 산업이 더 발전되어야 하고 지원이 크게 들어가서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전에 쓰레기 발생 자체를 줄이기 위한 기업들의 적극적인 노력과 행동이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좋은 뉴스 감사합니다!

  • @user-ge6ey9pc4l
    @user-ge6ey9pc4l Жыл бұрын

    주변어르신께서 하셨던 사업인데, 한 25년 30년?정도 전에 하려고 했던 사업니다. 같은걸 목적으로하는 유사기술로 당시 이런 재활용기술에 별로관심없는 사람들이 태반이고, 공장있던지역에 지역공구원의 횡포로 무엇인가 허가를 안해줘서 결국 사업망하셨다고 들었어요. 너무 안타까웠는데 이제 시대가 지나 인식이 바뀌고 해당사업의 중요성을 알아봐주는걸 보니 좋습니다. 어르신께 영상보여드려야겠어요

  • @user-dy6li1cc8u

    @user-dy6li1cc8u

    Жыл бұрын

    매번 그런식 이죠 ㅋ 너가 만들면 불법. 내가 만들면 합법 ㅋ

  • @user-vd4gt7kd8r

    @user-vd4gt7kd8r

    Жыл бұрын

    아이고...ㅠ 지금이라도 인구 소멸되는곳에 공장세우시는게..... 지방도시들 인구소멸로 골머리를 앓아서 어떻게든 늘리려고 안간힘을 쓰더라구요

  • @user-cv4zg2nt9w
    @user-cv4zg2nt9w2 жыл бұрын

    농촌에 보조금대신 이런시설 만들어서 온일재배 농가에 공급하고 폐열도 활용하게끔 만들어라

  • @user-rj2uo1ek2e
    @user-rj2uo1ek2e2 жыл бұрын

    이런건 나라에서 지원하고 많이 만들어야 하는데...

  • @user-ss3ji6iv5z

    @user-ss3ji6iv5z

    2 жыл бұрын

    환경부에서 설치 많이 한다고 자막나오네요

  • @meunggeunsong2874

    @meunggeunsong2874

    Жыл бұрын

    나라가 망하라고 기도하는 인간이 이리많을 줄이야.

  • @W.O_O.K
    @W.O_O.K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아무래도 자원이 부족하니 저런식으로 어떻게든 환경에 악영향 안주면서 재활용하는 방법 찾아내면 좋을듯 기름 한방울 안나오는 나라인데

  • @Demacia365
    @Demacia3652 жыл бұрын

    재생유로 만들 수 있는 이유는 비닐이 원유가 정제되는 과정에서 나온 물질로 만들어졌기 때문이지 그건 플라스틱도 마찬가지

  • @ivoryyyyyyy
    @ivoryyyyyyy2 жыл бұрын

    친환경 기술 개발이 활발해지고있는거같아서 너무 기쁘네요..!!

  • @IQ20626
    @IQ206262 жыл бұрын

    이런 친환경 산업을 정유사에 시켜서 시설투자 하게 해서 활성화하면 폐기물 문제도 해결되고 재생에네지 활용해서 전기생산에도 도움이 될듯하네 정치인들이 관심있게 봤으면

  • @moscos9965
    @moscos99652 жыл бұрын

    신기술이네요. 축하합니다. 연구해주신 분들 잘 되길 바랍니다. 그럼 쓰레기 분리수거만 잘하면 비용없이 버릴 날이 오는 것인가요?ㅎㅎㅎ

  • @user-is2vy5jl2u
    @user-is2vy5jl2u2 жыл бұрын

    나온 기름 정재도 해야되고 그리고 기름이 되고 남은 찌꺼기 처리도 고민해야되고 아직 좀 더 시간이 걸린다고 들었습니다.

  • @user-os8uw7iz8t

    @user-os8uw7iz8t

    2 жыл бұрын

    수증기로 만들어서 2차 정재까지 할수있구 찌꺼기도 재활용한다고 들었어요

  • @goat692
    @goat6922 жыл бұрын

    제발 이런 시설 많아져라 ㅠㅠ

  • @jeongyun767
    @jeongyun7672 жыл бұрын

    기자분님 수고가많으세요 돈이야, 풉 제발 널리 실용화 되길 바랍니다

  • @user-fn8bh3fp2r
    @user-fn8bh3fp2r2 жыл бұрын

    비닐을 기름으로 만들다니, 사람들이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정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이런 기술 개발과 적용이 활발히 진행되어 앞으로도 많은 쓰레기가 재생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MrSilverseal
    @MrSilverseal2 жыл бұрын

    등유면 90년대 디젤 승합차(무쏘, 겔로퍼,이스타나)에 많이들 넣고 다녔죠. 그래서 고속도로에서 매연을 많이 뿜어내던 차를 본 기억이 나네요. 앞으로 기술이 더 발전해서 재활용 기술이 환경 오염을 줄였으면 좋겠습니다.

  • @user-yw6kd2xp5f
    @user-yw6kd2xp5f2 жыл бұрын

    폐비닐오일, 페타이어오일 모두 연료로 가능합니다. 다만 우리나라석유사업법, 대기환경관련법이 이러한 재생연료활성화에 걸림돌이 되었는데 지금은 괜찮은지.모르겠습니다. 온실난방기구 연료로 가능한데 다만 농업용면세유와 비교해서 경제성이 있는지 검토가 필요합니다.

  • @Ni_Ge

    @Ni_Ge

    2 жыл бұрын

    그 등유로 나온다 했는데 등유는 민간용 비행기나 군용 비행기에도 쓰이지만 영상엔 안 나왔네요. 또한 SK에선 원유로 추출한다는 말이 있어 정제만 하면 석유로도 나온다 합니다

  • @user-iy3vz8yn2d
    @user-iy3vz8yn2d2 жыл бұрын

    요즘 코로나다뭐다해서 가정집쓰레기 생활쓰레기가엄청 쏟아지면서 살짝 이쓰레기들이끼칠환경오염들을생각하니 끔찍햇엇는데 이런걸 해결해주는분들이잇어서 다행입니다 정말 대단하신일을 해주십니다

  • @user-vl6ci9xk5o
    @user-vl6ci9xk5o2 жыл бұрын

    그냥 소형 소각장인데 다만 기름이 조금 나온다는거 태우는 열에너지 비용이 더 나오겠네

  • @user-px1og3eu1q
    @user-px1og3eu1q2 жыл бұрын

    저런건 혈세 감안하면서 진행하는 친환경 에너지 사업이랑 같은 측면같은데... 원가 500원이라지만 운송비 인건비 유지관리비 다하면 본전이거나 마이너스각...

  • @user-dy6li1cc8u
    @user-dy6li1cc8u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은 휘발유 찌꺼기 이기 때문에 첨가제 넣어 가공해서 경유 만들수 있겠죠. 배보다 배꼽이 커요 석유는 물 퍼오듯 퍼내는 것

  • @kimyonghyun6060
    @kimyonghyun6060 Жыл бұрын

    만들어 지는 연료 양보다 사용되는 연료양이 당연히 더 많겠죠... 경제성은 없습니다만 폐기물처리에 따른 비용, 소각보다 탄소배출이 적다는 잇점은 좋은거 같습니다.

  • @moon-df2fo
    @moon-df2fo2 жыл бұрын

    앞으로 이 기업이 늘어나서 바다 생태계가 환경이 살아나길 기도 드립니다.전세계적으로 이기술을 알리는 기업이 되길 바랄게요~

  • @user-jc6tn8kg4s
    @user-jc6tn8kg4s2 жыл бұрын

    이기술 개발된지 한참되었는데 이제 상용화되나보네요

  • @johnfk2061
    @johnfk20612 жыл бұрын

    오우 세상에 이런게 가능하구나 너무 신기하다 !

  • @KimsanggAng
    @KimsanggAng Жыл бұрын

    저렇게 열분해된 재생유가 실생활에 널리 쓰일수 있는 기름으로 발전한다면 정말 환경보존과 리사이클의 매우 큰 업적이 되겠네요!! 멋있습니다! 더 더욱 발전하기를!!

  • @meunggeunsong2874

    @meunggeunsong2874

    Жыл бұрын

    저게 수지타산 맞으려면, 핵융합 에너지가 실용화 되던가 해야 수지타산이 맞는다는거. 들어가는 에너지 대비 나오는 에너지가 적은 초 비효율적인 감성팔이 사업이 성공하려면, 앞으로 30년은 더지나야 가능할지 말지 판단이 설겁니다.

  • @user-pt7lz9bn1d

    @user-pt7lz9bn1d

    4 ай бұрын

    ​@@meunggeunsong2874 미래로선 수지타산있지. 다름아니라 자연환경과 인체를 보호한대.

  • @regal4445
    @regal44452 жыл бұрын

    소각 매립 하는것 보다.... 열처리 후에 잔여물이 적어서 나머지 매립을 한다고 해도 1석2조 효과를... 대단하네요

  • @sinamon3908
    @sinamon39082 жыл бұрын

    대박이네요. 이 기술이 우리나라라는게 자랑스럽네요. 이 기술은 다른나라로 팔려가지 않게 정부에서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으면 좋겠네요.

  • @catchtiger205

    @catchtiger205

    2 жыл бұрын

    태우는 데 들어가는 에너지가 더 큰데 누가 따라하겠니

  • @leesangju22
    @leesangju222 жыл бұрын

    아마도 유통하는순간 은팔찌를 차고 엄청난 과징금이 부과 될것이다. 행정관청의 허가를 득하지 않은 석유류의 가공,유통,판매 행위는 엄청난 법적제제와 행정제제 형사제제를 받게 되어있다~~사용과 유통을 위해선 엄청난과정과 기존정유사의 압박에 시달리며 허가나려면 서울에서 뻔히 보이는곳에 폐프라스틱류 동산이 만들어져야만 그때서야 허가관청이 움직일것이자명하기때문, 아마도 생산된기름은 자체 기름사용 또는 수출만이 울며겨자먹기식 허가가 날것이다~허가날때까지 망하길 바라며(?? ?)최대한 늦추어 기존석유유통판매대기업이 움직일때까지 허가가 안날것이며, 아마도 그때되면 중소기업 또는 재활용업자는 빚을견디지 못하여 대기업또는 금융권에 설비를 있는그대로 넘겨야할껄~ 그리고 그대기업은 가치가 없다며 폐기할것이고~ 정부에선 기업간의 문제라 할꺼고~~ 그것이 한국의 석유업계의 정석? 이다. 실례로 세녹스가 허가를득하여 전국단위주유소를 모집하여 홍보하고 오픈을 몇칠남기고 불법석유류유통이라고 불법화되어 사실상 세녹스기술은 사장되었고, 그를달래기위해 알뜰주유소가 다급하게생긴것이며, 세녹스의 불법화로 손쉽게 세녹스기술 이 해외로 탈취되어 바이오석유류로 해외에 모든 기술이 유출되어 해외에서는 바이오석유류기술이 상용화가 불가능하였으나 전세계에 떠다니는 기술이된 세녹스기술을 습득하여 양산형바이오석유류가 탄생하였고 현재 중국,유럽등지에선 바이오석유류가 주유소기름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여전히 불법이며 유통금지이다.아마도 지금은 세녹스 기본기술만알지 대량생산유통가능한 세녹스를 만들수있는기술은 새로이 세녹스를녹여 상용화된 바이오석유기술을 역으로 수입해들여와야만 하는 우리순수기술을 우리가 몰라 수입해와 로얄티를 주어야하는 골때리는 상황이 발생한것이다

  • @user-xl2yx6qb5g
    @user-xl2yx6qb5g2 жыл бұрын

    생산단가 공장내구성 그리고 유해물질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경제성이 결정되겠네요

  • @user-nb5cs8uf7y
    @user-nb5cs8uf7y2 жыл бұрын

    와 대단하세요 굿입니다 👍👍👏👏👏👏👏

  • @hardcorejhp
    @hardcorejhp2 жыл бұрын

    결국은 수지타산이 맞아야

  • @voninctrl
    @voninctrl2 жыл бұрын

    신기술은 아니고 오래된 기술인데 그냥 이제 어쩔 수 없이 저 기술을 써야 할 상황이 된거

  • @sarang...

    @sarang...

    2 жыл бұрын

    오래된 기술인데 어쩔 수 없이 사용할 상황이라는 표현은 맞지 않습니다. 아직까지는 양질의 석유가 유전에서 콸콸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굳이 저급 기름을 만들어 쓸 필요는 없습니다. 오래 전부터 이런 연구들이 계속 되어 왔습니다. 그러니까 오래된 기술 이라기 보다는 오래된 연구쪽에 가깝죠. 이런 연구는 영상에 나온 (주)에코크레이션이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등에서 오래 전부터 해오고 있었지만 기술의 단계가 상용화를 하기에는 너무 경제성이 없은 그런 단계이기 때문에 이 기술을 사용 한다는 것은 아니고 이런 기술도 있다고 보여주는 그런 영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런 연구를 해왔고 지금도 하고 있을겁니다. 그리고 영상에나온 정도의 기술은 다른 나라에서도 이미 가지고 있는 기술 일겁니다. 단지 아직까지는 경제성이 없는 수준의 기술단계여서 주목받지 못하는 것이겠죠. 이 영상은 2021. 12. 29 자 영상이였습니다. 그렇게 시간이 흐르고 새로운 뉴스가 나왔습니다. 도시유전 이라는 업체에서 폐비닐과 폐플라스틱으로 석유를 생산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합니다. 이 기술은 이미 20여개 나라에서 특허를 받았고 영국등의 나라와 구매계약도 성사 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GS칼텍스와 납품계약까지 했다고 뉴스는 전하고 있습니다.

  • @joemun4606

    @joemun4606

    2 жыл бұрын

    @@sarang... 사이다

  • @voninctrl

    @voninctrl

    2 жыл бұрын

    @@sarang... 석유가 없어서 저 기술을 써야 하는게 아니라 플라스틱, 해양 플라스틱이 너무 많이 나와서 처리 곤란이죠. 그나마 재활용이 가능한 순수 플라스틱들은 분래 배출 잘하면 가능하지만 영상에 투입되는 폐 비닐들은 다시 비닐로 재활용하기 힘든 것들 입니다. 그래서 그냥 소각로에서 태우거나 매립해오고 있죠.

  • @k007neverdie1
    @k007neverdie12 жыл бұрын

    얼마나 빠른 속도로 기름을 추출하는냐가 관건일듯

  • @user-yp6ew1rs7x
    @user-yp6ew1rs7x2 жыл бұрын

    지구를 살리는 기술이네요 훌륭합니다

  • @whentheygolow_wegohigh7306
    @whentheygolow_wegohigh73062 жыл бұрын

    어느 정도는 뽑아낼 수 있다고들었는데 가성비가 되야지 뭐 아직은 더 관심있게 지켜보고 지원해야할 시점.

  • @user-ir2pk4xz5b
    @user-ir2pk4xz5b2 жыл бұрын

    이사님이 너무 이쁘다 ^^

  • @donlee0901
    @donlee09012 жыл бұрын

    열소각하는데 드는 에너지 고려하면 별로친환경적인거같지 않은데

  • @user-js8tk4tl1b
    @user-js8tk4tl1b2 жыл бұрын

    스파클은 무라벨로 배송된답니다~! 100% 재활용될 수 있게 빈 병 회수도 해드려요~(^0^)~

  • @TeshinDax
    @TeshinDax2 жыл бұрын

    정제 해서 차에도 기름 쓸수 있게 만들면 정말 좋을듯 그럼 기름 고갈날 상황은 안올텐데 ㅎㅎ

  • @user-zv2ne7oh6x

    @user-zv2ne7oh6x

    2 жыл бұрын

    이미 우리나라 기업에서 차에도 들어갈수있을정도에 기름도 만들수있는 기술을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정부가 허가를 안해줬습니다.왜일까요??

  • @TeshinDax

    @TeshinDax

    2 жыл бұрын

    @@user-zv2ne7oh6x 그건 기득권이 문제...

  • @user-ch6hy3mi4w
    @user-ch6hy3mi4w Жыл бұрын

    오우~ 정말 좋은 기술이네요. 앞으로 비닐류 분리수거 더 열심히 해서 배출해야겠습니다~!

  • @yarn75
    @yarn752 жыл бұрын

    알류미늄 중금속이 기름성분이 있을것이고 250도 가열후 쓰레기를 보여주는 업체는 없군요. 여기서 나오는 폐기물은 어떤게 처리하는지가 문제임.

  • @user-fb9hd7dy1i
    @user-fb9hd7dy1i2 жыл бұрын

    이건 10년전에도 있었는데 자본이 없고 광고가 부족해서 시도를 잘 안했지

  • @englishmaninnewyork927
    @englishmaninnewyork9272 жыл бұрын

    수지타산이 중요하죠...

  • @user-qx5vg6vi5x
    @user-qx5vg6vi5x2 жыл бұрын

    기름 만드는 과정에서 생기는건 전기나 만들고 저 기름은 휘발유나 경유가 안되는건 아쉬운데 등유는 되요?

  • @JoEunMei
    @JoEunMei2 жыл бұрын

    재생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가는 건 아닐까요? 내용에는 경제성에 대해서는 말이 없네요.

  • @user-hv2re1mi9e
    @user-hv2re1mi9e2 жыл бұрын

    자랑스럽고 기쁨니다 😄👍

  • @suziq2443
    @suziq2443 Жыл бұрын

    진정한 영웅이십니다, 죄책감을 가지고 살았는데요, 개발하신 분들과 관련업계모든 분들, 천복을 받으실겁니다, 지구를 살리고 계세요!

  • @user-sj4uv5jv1y
    @user-sj4uv5jv1y2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비닐 소각에 사용되는 연료는 뭔가요??

  • @CoMiSeGGi
    @CoMiSeGGi2 ай бұрын

    산소 접촉 없이 진공관에 고온 고압을 적용해서 즙을 짜버리면 탄소 배출 없이 그냥 석유 원액을 추출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한데. 진공 상태에서 전기로 금속에 열을 적용하면 연기 발생 없이 금속의 미세한 입자로의 분해가 가능하던데...음..뭔가 테스트 해보고 싶다..

  • @user-of1cl1vw7g
    @user-of1cl1vw7g4 ай бұрын

    기름 값 보다, 분해하는 비용이 더 들겠다..

  • @user-ex3gw3iw7t
    @user-ex3gw3iw7t2 жыл бұрын

    너무 감사합니다.

  • @fact82
    @fact82 Жыл бұрын

    열분해하는 에너지는 어느정도 들어가는지요?

  • @user-wj7lv6vq5g
    @user-wj7lv6vq5g2 жыл бұрын

    가열할 때 쓰는 석유가 더 많지 않을지...

  • @imny0119
    @imny01194 ай бұрын

    늘 재활용 사업에 관심이 많은 일반인으로써 재활용사업을 민간인이 잘할수있게 정부지원을 좀해주면좋겠다. 재활용사업은 기본 20억들구시작해야하니 민간인이 하기 너무 벽이 높다....

  • @keukkeuk79
    @keukkeuk792 жыл бұрын

    이사님 여신입니다

  • @user-wy8iy6pq8c
    @user-wy8iy6pq8c2 жыл бұрын

    열처리비용이 최소10배는 더들듯ㅋ

  • @allthatlove904
    @allthatlove9042 жыл бұрын

    어쩐지 엄청난 기술같은데 이상하게 조용하다 했다

  • @user-hz5kj7sx5y
    @user-hz5kj7sx5y2 жыл бұрын

    프라스틱의 기름 환원은 가능한데, 원가가 안맞아요. 회수 > 분리 > 파쇄 > 세척 > 대량 처리로 이어지는 프로세스 때메 도저히 기존 유가와 경쟁이 안돼요. 국제유가가 베럴 당 한 $500이 된다면 머 가능성이 있겠죠. 결국 나라에서 사주거나 인건비 없는 재소자로 처리장을 돌리면 모를까 ,,, 사업성이 없어요. 2번째 방법 처럼 탄화시키는 게 나아요.

  • @user-ph2sf2dj3k

    @user-ph2sf2dj3k

    2 жыл бұрын

    환경파괴를 막는다는 측면도 있고...매립지비용도 크고...매립지 자체도 바닥이고...땅도 작으니...잘해서 좋은기술로 만들면 좋을듯...

  • @user-tl4of3xt7m
    @user-tl4of3xt7m2 жыл бұрын

    식용유보다 훨씬 좋은거 같아요 저희 식당에서는 식용유 대신 재생유 쓰고 있어요

  • @the.givingtree
    @the.givingtree Жыл бұрын

    폐비닐 1.37 킬로그램당 재생유 1리터면 거의 1킬로그램인데. 남은 쓰레기는 어떤 상태의 어떤물질 일까. 필요한 애너지는 얼만큼일까 궁금. 재생유의 애너지로 자체 순환 할수 있으면 멋질듯. 남는 애너지가 있다면 그걸로 남은 가루들을 벽돌 같은걸로 만들어서 쓰면 되지 않을까.

  • @art-pv3ie
    @art-pv3ie Жыл бұрын

    재활용의 중요성이 다시 대두되고 있네요.

  • @EcoCreation
    @EcoCreation2 жыл бұрын

    우리회사도 나오는군요^^

  • @user-tg2bn5ok2z
    @user-tg2bn5ok2z Жыл бұрын

    굿 !

  • @nanhyang0818
    @nanhyang08182 жыл бұрын

    하하하 그 기름은 과연 ~? 산유국에서 원유 안들여와도 되겠네~? 정유회사도 정제비용 절약되고~? 문제는 저 기름을 연소시키면 과연 공해물질이 안나오냐는거다~! 저온열분해유화기술이 이미 저온열분해가스화기술에 비해 비용면이나 환경면에서 현저하게 낮은 결과로 사양기술인데도 몇몇 업체와 일부미디어가 계속 홍보하는데 실제로는 문제가 많습니다. 단순하게 폐플라스틱에서 기름을 추출한다는 것이 과연 ~? 실제로 생성되는 기름은 저질유로 다시 리화이너리과정을 거치는 과정의 설명도 없이 보여주기식의 홍보는 지양되야 할 것입니다. 질량불변의 법칙조차도 .......

  • @user-tm8zi1bj8e
    @user-tm8zi1bj8e6 ай бұрын

    문제는 돈이 너무 많이 들어갈것같다. 저런 사업은 인건비가 저렴한 나라에서 진행하면 좋을듯

  • @user-hg8yo1ke2h
    @user-hg8yo1ke2h Жыл бұрын

    다이옥신 나오는데 이걸 신재생에너지라고 세탁하다니 ㄷㄷ 대단하다

  • @user-gm4wt5xt2s

    @user-gm4wt5xt2s

    Жыл бұрын

    요즘은 800도 이상의 열분해말고 300도 이하 비연소식 파장분해해서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 안나오는 방식도 개발되고 있어요

  • @ROU_AI
    @ROU_AI Жыл бұрын

    곧 겨울인데 상용화 된다면 겨울에는 따뜻하겠어요

  • @jerryjuntube
    @jerryjuntube Жыл бұрын

    이제는 차량유를 어떻게 만들면 될 지가 과제네요...

  • @user-nw2op9yl8s
    @user-nw2op9yl8s2 жыл бұрын

    설비 규모랑 생산량을 볼 때, 재생할수록 더 환경오염일거 같은데요. 설비 가동하는 연료가 더 많이 들 듯.

  • @user-tt8nd5sz8u
    @user-tt8nd5sz8u2 жыл бұрын

    꼭 이런 기업은 투자하고 싶은데 상장 안되어있음

  • @user-mr6cc8tc5o
    @user-mr6cc8tc5o2 жыл бұрын

    저거만들고 남은 찌꺼기 엄청날껀데 그건?

  • @kbsmd0
    @kbsmd02 жыл бұрын

    수집비용은 0원이라 하더라도 과연 경제성을 갖출지가 관건이네요.

  • @Jwososo
    @Jwososo2 жыл бұрын

    기계설비 지원해주면 한기 장만하고싶다. 이건뭐 지열보일러나 태양광보일러보다 실용적일듯

  • @user9269
    @user92693 ай бұрын

    정부야 이런분야 연구해서 그리고 연구하는사람 100% 지원해서 기름값 낯추고 환경도 살릴수 있는곳에 적극 투자하고 개발후 임상 실험 까지 거친후 바로 사용 가능할때 공포해라 연구자들에게 아낌 없이 지원좀 하고 환경도 살리고 얼마나 좋은 일이야 적극 지지 합니다

  • @Cristianderson_Rib
    @Cristianderson_Rib2 жыл бұрын

    Que bom ver o que era "inútil" ser bem reaproveitado.

  • @abcd2944
    @abcd29442 жыл бұрын

    이런기업 적극지원 해야됨

  • @user-vl6qm2lt9j
    @user-vl6qm2lt9j2 жыл бұрын

    이런거 국영화해서 범죄자들이 비닐 선별하게해라. 절세, 이윤까지

  • @ysk9601
    @ysk96012 жыл бұрын

    화력발전대신 원자력이나 재생에너지로 전부 대체되지 않는이상 거의 무의미한 기술이라봐도 무방하지않나?

  • @user-vd2wl1tu3d
    @user-vd2wl1tu3d3 ай бұрын

    농촌 흙 묻은 비닐. 철 드럼 통 상부 높은 굴뚝 안에 소각 재 종량제 담아 배출

  • @user-xz1kw1ln3x
    @user-xz1kw1ln3x2 жыл бұрын

    사기꾼 아닌지 주의해라....이런 폐비닐을 기름으로 만들려고 시도한 사람이 이 사람이 처음도 아니고 이런 뉴스가 처음도 아니다...

  • @hdanjun2002

    @hdanjun2002

    4 ай бұрын

    맞음

  • @user-vf3cu6cy8m
    @user-vf3cu6cy8m2 жыл бұрын

    물질은 화학구조상~불지르기 쉬움, 원리이자~철학🙋‍♀️😎김보라 박사~

  • @user-mc4gx5xx9c
    @user-mc4gx5xx9c2 жыл бұрын

    마진은 안나오겠구먼 그대신 환경이 살긋군

  • @ChubbyCat1990
    @ChubbyCat19902 жыл бұрын

    그럼 등유보일러, 등유난로를 부담없이 잡아돌릴수 있겠네

  • @user-jy4dc4uf9v
    @user-jy4dc4uf9v Жыл бұрын

    이게 계속 기술이 발전하게 되면 차량이나 비행기 각종 이동수단에도 사용이 가능하겠는데..

  • @user-uv9cr7qp8n
    @user-uv9cr7qp8n4 ай бұрын

    소각대비 적은 공기오염을 배출하는거지 오염물배출없는거를 만들어야지 답답,,

  • @jyh6516
    @jyh65162 жыл бұрын

    1:55 이때 400도 가열?? 400도 넘으면 다이옥신 나온다고 그러던데, 다른 영상 보니까 270도라 그러네요

  • @copyshin9201
    @copyshin92012 жыл бұрын

    태양열 사업보다 더 나은것 같네요~~

  • @NomasWorks
    @NomasWorks2 жыл бұрын

    난방유만 해도 어디에요 ^^ 정재하면 자동차용 도 가능하지 않겠어요 ^^ 대한민국 화이팅 입니다!!!

  • @user-vd2wl1tu3d
    @user-vd2wl1tu3d3 ай бұрын

    폐 비닐 인쇄 된것도 됩까. 흙 묻은것 빼고 흙 물로 세척 세척비 부담 그냥 소각 .열기 배출 높은 통.불티 안 날리게 주위 화재 예방 소각 투입 문

  • @pses601
    @pses6012 жыл бұрын

    처리과정에 드는 비용에 대한 언급음 없네요 그게 제일 중요할거같은데

  • @AppleMango.
    @AppleMango.2 жыл бұрын

    세라믹분해가 더 좋아보이는데

  • @user-vd2wl1tu3d
    @user-vd2wl1tu3d7 ай бұрын

    저희 업체는 폐유 수거 끊여 수분 증발 폐유 정제 시골 연소용. 국내 폐유 대신 국외 폐유 수입 정제.기름 품질 1 수분 1.0 마만

  • @user-en5fv4lk6p
    @user-en5fv4lk6p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이게 너무나도 절실하다

  • @user-iq9tm8rq7r
    @user-iq9tm8rq7r Жыл бұрын

    2022.09.19.월요일 오후 18:04 작성. 짱구야. 쓰레기수거와 수거량 등에 있어서 차량 미사용과 함께 농돈수산물 난방과 주거용 난방과 목욕에 조리를 동시에 가능한 구조로 신도시나 타국이나 가장 유리한 곳에 설치하는것이 신도시를 건설하는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근데 태워서 이 모든것을 처리하는 경우와 각 조건들에서와 기름을 얻는경우에 있어서 효율을 생각한다면 환경에 있어서 가치를 환산하고 소각후 유독가스 남은것의 처리에 있어서나 미세먼지를 소각후 남은것의 처리에 들어가는 비용을 생각하면 우선 가장 바람직한 것에서 복합적으로 가장 나은 효율을 생각해봐야 할것 같다. 결국 발전기도 가능하다면 소형화에 충전도 가능하다면 그만큼의 가치가 나오면 경제성은 있을것 같다. 기간에 시간에 그 들의 삶에 있어서 쓰레기가 없어도 불편이 없어야 맞을거야. 똥가스가 된다면 버스를 움직이듯이 운반은 똥가스트럭으로 가능할지도 모르겠다. 이속에 소각후 유독가스나 남은 불순물과 똥가스제조시 복합으로 사용 가능할지도 생각해봐야겠다. 유독가스 제거 효과에 있어서 땅과 설비시설에 있어서 지하와 지상으로 동시에 이루어질수 있는 구조로는 이런 경우의 경제적 가치를 두고 있는곳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 @__-ct3fc
    @__-ct3fc2 жыл бұрын

    저기서 나온 기름 어디다 쓰는데 ??

  • @user-ho7wt9lb3q
    @user-ho7wt9lb3q2 жыл бұрын

    참 황당한 방송 요점은 기름만드는데 드는비용! 1litre만드는네 1000원 사는데 100원이라면 이기술은? 즉 사기라는거지

  • @alterrrrrrr

    @alterrrrrrr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저런 기업은 기름팔아서 이윤을 창출하는 게 아니라 정부지원으로 크는 거임

  • @23_1
    @23_1 Жыл бұрын

    저게 좋은게 지금은 제질별로 분리를 해야하지만 저건 복합제질이든 HDPE든 PE든 LDPE든 다 넣어도 제대로 나온다고 함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