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선물에서 오염의 주범으로? 플라스틱과 재활용의 진실

#SK지오센트릭 #플라스틱 #재활용
신의 선물? 오염의 주범?
플라스틱 재활용의 진실은

Пікірлер: 263

  • @hjshin5235
    @hjshin52357 ай бұрын

    실제로 레고사에서 플라스틱을 재활용한 레고를 만들기 위해 연구했는데, 그런 레고를 만드는 것이 현재는 오히려 생태계 파괴를 일으킨다고 판단되어 연구를 중단했다고 합니다.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기술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여요

  • @valdirnery8975

    @valdirnery8975

    4 ай бұрын

    Wdi1😊😊

  • @jeip2447

    @jeip2447

    2 ай бұрын

    몰라서 여쭙는데 왜 폐플라 재활용이 더 생태계를 파괴시키는 건가요? 어째서인지 시각을 넓히고 싶네요

  • @andrew3289

    @andrew3289

    2 ай бұрын

    선택했던 재활용 방법이 잘못되어서 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사용하는 주요 재료 중의 하나가 ABS 라는 것인데 이것을 버려진 생수병 (PET로 만듬)을 잘게 부수어 만든 재활용 소재로 대체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런데 PET 병을 재활용 하는 것 자체에도 에너지가 들어가고 탄소 배출도 되지만, 무엇보다 레고 블록을 만드는데 PET의 특성상 ABS 보다 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고 더 많은 탄소가 발생하게 됩니다. 게다가 PET 소재를 사용하려면 기존에 사용했던 멀쩡한 생산설비를 싹 다 바꿔야 해서, 결론적으로 ABS를 생수병을 재활용 해서 만든 소재로 대체하게 되면 환경에 더 안좋게 된다는 결론을 내리게 된거지요. 즉, 생수병을 재활용 하는 것이 환경에 안 좋은것이 아니라 (재활용 해야 합니다), 이것을 가지고 신재 ABS 소재를 대체하려고 보니 오히려 더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고 더 많은 탄소가 발생하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에 포기한 것입니다. 게다가 토이 블록이 가져야 하는 중요 품질 측면에서도 별로라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 @jeip2447

    @jeip2447

    2 ай бұрын

    @@andrew3289 아하 역시 레고쪽 재활용에도 생태계 파괴보다는 에너지 효율쪽이 더 안좋았군요 의견 감사합니다~

  • @user-pp6mg4fq6m
    @user-pp6mg4fq6m6 ай бұрын

    플라스틱용기들을 보면 PP인지 페트 등등 분류표기명들이 있는데, 문제는 눈에 잘 안띄는 곳에 있다는겁니다, 포장지 뜯어내고나서 용기만으로 찾으려고보연 오래걸리거든요, 그리고 제발좀 플라스틱 용기 종류 줄이는걸 국가에서 제제해주면 좋겠네요 , 분리배출하고싶어도 대체 왜케 어렵고 복잡하고 힘들게 만든건지 왜 다 시민에게 재활용을 다 떠맡기는건지 모르겠네요, 주저리 하소연해봅니다 😟

  • @dshin7618
    @dshin76187 ай бұрын

    지속가능성을 공부하는 대학원생입니다. 최근에 순환 경제라는 키워드도 배웠는데 그래서 더 반가운 컨텐츠네요. 플라스틱이 백퍼센트 재활용이 가능하다면 좋겠지만 그게 아직까진 불가능하니 소비/생산 자체를 줄이는 게 환경적으로 더 긍정적이지 않을까 합니다. 예를 들어 일회용 컵이나 배달용기 같은 경우는 다회용기를 사용해서 소비를 줄이는 거죠. 제로웨이스트 생활방식 주변에 전파하면서 왜 이렇게 유난이냐는 반응이 많았는데 이 영상에서처럼 경각심을 가지는 사람들이 더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 @gy7236
    @gy72367 ай бұрын

    교수님처럼 영향력있는 분이 이런 주제를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환경과 관련있는 분야에서 연구하는 업을 가진 사람인데, 이 문제가 생각보다 심각하고 중요한데 주목은 받지 못하는 게 현실입니다. 대다수는 필요+불필요한 소비를 함으로써 의도치않게 환경을 파괴하는 방향으로 가는 게 현실이죠

  • @skuj7918

    @skuj7918

    7 ай бұрын

    관심을 받아야 연구비를 더 받으실텐데 아쉽네요

  • @vamp_c502

    @vamp_c502

    6 ай бұрын

    말씀하시는 ‘이 문제’라는 것이 영상 속 ‘플라스틱 재활용’에 관한 문제만 말씀하시는지 아니면 알루미늄, 종이, 플라스틱 등 재활용 & 쓰레기 처리 그리고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전기차 지원 등 ‘전반적인 환경 개선 문제’를 말씀하시는지 궁금하네요. ‘환경과 관련있는 분야‘가 넓다보니 주목을 받지 못 한다고 하신 부분이 구체적으로 어떤 분야인지 잘 가늠이 안 가서…

  • @33-pv6hj

    @33-pv6hj

    6 ай бұрын

    어디서 플라스틱 수거일 하시나보네요 ㅋ

  • @user-cc3me9wg7h
    @user-cc3me9wg7h7 ай бұрын

    자기 전에 유익한 강의(?)가 떠서 평온하게 듣고 잘 수 있겠네요~ 감사합니다😊

  • @user-cj1hv2fu2j
    @user-cj1hv2fu2j7 ай бұрын

    뜬 구름 잡는 것처럼 혼자서 생각만 하던 포인트를 정확한 용어와 쉬운 설명으로 접할 수 있어서 좋은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기술의 발전이 윤리와 철학을 가지고 나아가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도 함께 고민해봅니다. 감사합니다!!!

  • @user-ej4do8xx4g
    @user-ej4do8xx4g7 ай бұрын

    덕분에 좋은지식 얻고 갑니다 항상 응원할게요^^

  • @Deer3AM
    @Deer3AM7 ай бұрын

    기술의 발전이 엄청나네요. 이러한 화학적 재활용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며 더욱 지원하고 발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 @Gray-qv3ud

    @Gray-qv3ud

    7 ай бұрын

    아직 갈길이멈 기술발전이라고하기에는 지금 친환경기술들은 다른 오염물질 배출하는 수단 뿐임 아니면 정말 친환경스러운 기술들은 정말 정말 비효율적이라 답이없는 수준의 걸음마수준이고 지금은 친환경이라는 네이밍자체가 잘못된 수준임 다른오염물질 대체하는 수준인지라 한참 먼이야기임 친환경은 아마도 다음세기정도 에서 다음세대정도가야 답이보이는 수준일꺼임

  • @gunofGalois

    @gunofGalois

    6 ай бұрын

    @@Gray-qv3ud 어떤 근거로 현재 친환경 기술들이 비효율적이고 답이 없는 걸음마수준이라는 걸까요??

  • @Gray-qv3ud

    @Gray-qv3ud

    6 ай бұрын

    @@gunofGalois 지금 알고있는것들중 간단한 예로 친환경제품들의경우 제품자체는 친환경이 맞는데 그제품 공정단계가 기존의 공장들에서 나오는것들이라 제품 만드는데 들어가는 소비되는것들은 기존것들보다 에너지소비가 크다보니 전체적인 환경오염수준은 엇비슷함 요즘 말많이나오는것중에 이름이 갑자기 생각이 안나는데 가구나 목제 가공품제작후 폐기물을 재활용해서 난방용으로사용 할수있게 나온제품이있는데 그거요즘 폐자제를 재활용하는게아니라 생나무로 만들고있기도하고 재활용 플라스틱 다시 녹여서 새로만드는건 재가공하면서 나오는 농축오염 물질이 기존꺼보다 처리가 더까다롭다고하고 지금의기술력으로는 제품의질도 낮고 소비량도 충족못시키는 생산력이라 소비자가 만족할만한 퀄리티를 충족하기위해서는 지금의 재활용기술로는 한계가 명확함 단적으로 말하자면 지금의 친환경이니 재활용에너지 어쩌고 이런거 전부다 거짓말이거나 수준미달제품이라는 소리임

  • @carlcoxmyeoruchi
    @carlcoxmyeoruchi6 ай бұрын

    와 진짜 교수님 상상력 대박…. 아는 게 많으시니 어떤 새로운 정보를 접했을 때 거기서 파생되는 아이디어를 연달아 제시할 수 있군요 통찰과 창의성에 감탄했습니다 이동식 해양 플라스틱 재활용 공장 아이디어가 꼭 사업화 되었으면 좋겠네요

  • @user-rk7hv3ku6w
    @user-rk7hv3ku6w7 ай бұрын

    유교수님. 존경 합니다.🙏

  • @sophia20_inspire
    @sophia20_inspire7 ай бұрын

    교수님 보면서 오늘도 배웁니다.

  • @Silver_099
    @Silver_0997 ай бұрын

    교수님 영상을 보면 자연 생태계 얘기로 끝나는게 아니라 번뜩이는 아이디어와 건축에서도 어떻게 활용될 지,다각도로 시야를 넓힐 수 있어서 좋아요.👍👍👍👍👍

  •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6 ай бұрын

    건축도 자연생태계의 일부죠..

  • @strangerlog
    @strangerlog7 ай бұрын

    쉽게 설병해주신 덕분에 귀에 쏙쏙 둘어와요 😊

  • @hayeonkim7838
    @hayeonkim78387 ай бұрын

    오늘도 정말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 @user-gi8cl5ii9n
    @user-gi8cl5ii9n7 ай бұрын

    소중하고 유익한 정보 전달 감사합니다~!

  • @Tranohisasi
    @Tranohisasi7 ай бұрын

    매번 좋은 내용들을 가져와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시는 것 같아서 너무 좋습니다ㅠㅠ!! 대기업이 조금이나마 환경을 위한 기술적 발전을 하고 그걸 활용해 다양한 제품을 만드는 것 자체가 좋은 더 나은 미래를 위한 그들만의 행보라고 생각하기에 보는 내내 뭔가 흐믓하고 뿌듯한 기분이였습니다ㅎㅎ 개인적으로 조금 더 의견을 말하자면 사실 대기업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에서도 이런 행보들이 많이 보이고 있는데.. 알지 못하는 경우가 좀 있는 것 같아요. 특히 생필품 쪽에서 다회차로 사용하고 버릴 경우 자연 속에서 순환되는 제품을 만들려는 노력이 많은 걸로 알고 있어요. 대표적으로 종이로 만든 치실이나 대나무 칫솔 그리고 플라스틱 용기 사용을 줄이기 위해서 린스바나 샴푸바 같은 비누 제품 등 나름에 행보를 하고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화장품 회사도 화장품을 다 사용하면 용기를 수거해서 재활용하는 방식으로 환경을 위한 행보를 그들 나름 하고 있구요. 그래서 생각한게.. 소비자들 또한 이런 환경을 위한 소비를 조금 더 많이 이루어져야 조금 더 많은 대기업들로 부터 플라스틱이나 비닐 등 재활용하는 기술력에 대한 관심이 더 많이 생기고 그런 사업들을 많이 지원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그리고 앞으로 그런 기술력으로 건축 뿐만 아니라 가구, 전자제품 등의 실제 사람들의 삶에 대한 발전과 생각의 변화도 어떻게 변화될지 많이 궁금하고 기대가 되는 것도 있네요ㅎㅎ 많이 좀 길어졌네.. 진짜 유익하고 좋은 내용이였습니다.

  • @HeraKang-st5dr
    @HeraKang-st5dr7 ай бұрын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 우리나라에도 이렇게 바람직한 일을 하는 좋은 기업이 있다니 기쁘네요 ~~~^^👍 셜록현준님의 빛나는 제안도 최고예요 ~~~^^👍

  • @uussuupp
    @uussuupp7 ай бұрын

    셜록현준님 설명 들으니 쏙쏙 이해하기 쉽네요!! 미래를 위해서라도 꼭 필요한 기술이라고 생각합니다

  • @whentheygolow_wegohigh7306
    @whentheygolow_wegohigh73067 ай бұрын

    정보 항상 감사합니다. 👍

  • @sua.1
    @sua.17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입니다 ^^ 더 많은 좋은 방법이 많이 생겼으면 좋겠네요 ㅎㅎ♡

  • @user-ww9su5ml5i
    @user-ww9su5ml5i7 ай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플라스틱 재활용 진짜 중요한거 같아요

  • @joosoook
    @joosoook7 ай бұрын

    플라스틱 재활용 관련해서 자세히 알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ye1qf3qs2p
    @user-ye1qf3qs2p7 ай бұрын

    오늘도 셜록현준님의 영상 잘 봤습니다 !

  • @user-er8gy3ei8w
    @user-er8gy3ei8w7 ай бұрын

    화학적 재활용을 최대한 활용하는게 가장 중요하겠네요~ 업사이클링 제품들도 애용해야겠어요

  • @user-vi5kj1gr4w
    @user-vi5kj1gr4w7 ай бұрын

    건축썰 듣고싶어서 구독한 건데 한 번씩 이런 얘기도 나쁘지 않네요ㅋㅋ 광고긴 한데ㅋㅋ 유익한 얘기인 듯

  • @uou0u
    @uou0u7 ай бұрын

    이런 기술 너무 좋은것 같아요ㅠㅠㅠ개인으로 노력하는 부분도 분명 필요하지만 기업이 노력하는 부분도 꼭 필요하다고 봅니다ㅠ

  • @user-oh2lo3ug9c
    @user-oh2lo3ug9c7 ай бұрын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영상이네요 잘 보고 갑니다

  • @user-ip7gu2cy1h
    @user-ip7gu2cy1h7 ай бұрын

    교수님 반팔이라 지난방송인줄 ㅎㅎ 좋은정보 늘 감사드립니다.

  • @jjh9440
    @jjh94407 ай бұрын

    SK지오센트릭의 기술이야말로 앞으로 정말 필요한 가치라고 생각해요. 환경을 위한 노력은 지금부터라도 관심을 가져서 더 많은 예산이 투자됐으면하는 바람입니다!!

  • @parkinbaby1170
    @parkinbaby11707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잘보고 갑니다~! 영상 덕분에 앞으로는 더 환경문제에 경각심을 가지고 생활하려고 합니다~!!

  • @mieux4604
    @mieux46047 ай бұрын

    잘봤습니다 정말 좋은 내용이네요

  • @blueberry485
    @blueberry4855 ай бұрын

    교수님 음성을 듣고 있으면 이상하게 집중력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어요. 지식도 얻고 집중력도 찾고 참 좋습니다

  • @Q-connect
    @Q-connect7 ай бұрын

    생각보다 플라스틱이 삶에 많이 가까이 있었군요. 무엇보다 플라스틱이 이렇게 순환 될 수 있다는 게 정말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도 멋진 영상 감사합니다.^^

  • @user-yq7rx1tp4q
    @user-yq7rx1tp4q7 ай бұрын

    모든 과정 속에, 모든 사람들이 환경을 위해 힘써나가서 언젠가는 그것이 일상이 되는 날이 오면 좋겠네요 많이 찔리고 배우고 갑니다 ㅋㅋㅋ

  • @beautiful-sky
    @beautiful-sky6 ай бұрын

    배워가는게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jh7fv8ow3z
    @user-jh7fv8ow3z7 ай бұрын

    유익한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 @user-vx5sc4kv5r
    @user-vx5sc4kv5r7 ай бұрын

    뭔놈의 광고가 이렇게 유익하고 알차냐 ㅋㅋㅋ

  • @user-zm2ti9kf3p
    @user-zm2ti9kf3p7 ай бұрын

    항상 생각했던게 재활용 기술이 생기는 건 좋지만, 끝에는 그런 플라스틱 용품을 만드는 것을 부추기는 것이 아닌가라고 생각했었는데, 마지막에 교수님께서 결국에는 순환구조가 필요하다는 말씀을 듣고 인공적인 순환체계를 만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오늘도 많이 배워갑니다!

  • @user-sd3uq4le5j
    @user-sd3uq4le5j7 ай бұрын

    셜록현준채널을 통해 짧지만 정말 재밌고 유익한 정보들 많이 얻어갑니다..!! 항상 잘 보고 있어요..!!!@

  • @user-sj1ks9xq1d
    @user-sj1ks9xq1d7 ай бұрын

    셜록님이 설명해 주시니 귀에 쏙쏙 박히네요.. 기업에서 노력하는 만큼 저도 경각심을 갖고 노력해야겠어요~~

  • @user-yw7pm2ym5h
    @user-yw7pm2ym5h7 ай бұрын

    공간인 도시도 플라스틱도 자원 활용도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은 교수님 메시지처럼 의지에 기술을 결합해서 개선해 나가야 할 거 같아요. 스마드시티 너무 감명 받았습니다!

  • @hyebeenshin
    @hyebeenshin7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이네요ㅎㅎ 플라스틱 줄이려고 하긴 하는데 좀 더 노력해야겠어요!

  • @user-zt4jv8kf2o
    @user-zt4jv8kf2o7 ай бұрын

    진짜 의미있는 내용 잘 들었습니다. 환경에 관심갖고 나름의 노력을 해보면서 근심걱정이 많았습니다. 플라스틱은 정말 깨끗하게 설거지해서 배출하는데 어떻게 재활용이 되어지는 지 궁금했습니다. 가정에서 녹여서 쓸 수 없을까요? 요즘 3D프린터와 3D펜이 제법 보편화 된 시점에서 믹서기에 넣고 갈고 태양열로 녹여서 3D로 뭔가를 만들어 쓰는 자급자족 형태로 가면 어떨까 생각해봤습니다.

  • @user-xb4yn6dg7b
    @user-xb4yn6dg7b7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셜록현준 짱 sk지오센트릭 짱

  • @vamp_c502

    @vamp_c502

    7 ай бұрын

    SK지오센트릭 관계자님께서 굉장히 흐뭇해 하고 계실 겁니다 ㅋㅋㅋ

  • @user-jr2or4uj9i
    @user-jr2or4uj9i7 ай бұрын

    역시 셜록님이네요 버려지는 폐품에 대한 경각심과 함께 업사이클의 중요성을 알 수 있어 좋았어요!

  • @ally_in_apr
    @ally_in_apr7 ай бұрын

    플라스틱으로 컨테이너 박스를 만든다는 생각은 한 번도 안 해봤는데..ㅇ0ㅇ 색다른 관점이네요

  • @alieninseoul9499
    @alieninseoul94994 ай бұрын

    교수님 의견을 보면서 항상 느끼는게, 사람이 단순히 독특해야지만 창의성이 있을수 있는게 아니고, 매우 뛰어난 통찰력을 바탕으로 지식과 논리를 확립한 후에 실현 가능하면서도 더 창의성이 있을수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 @rose1004yu
    @rose1004yu7 ай бұрын

    고민되는 주제네요~ 교수님 폐 플라스틱 옷 ㅎㅎ 어울리네요~ 모델이 좋아서~~^^♡

  • @user-gd9yu7vh6y
    @user-gd9yu7vh6y7 ай бұрын

    볼때마다 느끼는데, 교수님 뒤에 깔려 있는 호랑이(?) 러그가 넘 귀엽네요~~ 어떤 재품인지 알고 싶어서 찾아보기도 했는데 같은걸 못 찾겠어오ㅠㅜ

  • @jangwine8242
    @jangwine82427 ай бұрын

    아니 건축가님 아이디어가 진짜 너무좋은데요?

  • @hyun2597
    @hyun25977 ай бұрын

    플라스틱 재활용도를 더욱 높여가면서 플라스틱 사용을 오히려 늘려야 된다고 봅니다. 관련 기술이 더욱 빠르게 발전하길!

  • @user-xx1iy7mh6b
    @user-xx1iy7mh6b7 ай бұрын

    교수님 저희학교 오셔서 강의하신거 잘 봤습니다! 연예인 본 거 같았어요!!!

  • @user-we1hx8ur3e
    @user-we1hx8ur3e7 ай бұрын

    교수님이 말씀 하신것 처럼 이런 자원 순환이 SK 지오 센트릭 뿐만이 아니라 다른 큰 대기업에서도 이런 시스템에 투자를 해야할것이고 정부 또한 지금 우리에게 닥친 현실적인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자각하고 노력만 하기에는 시간적 여유가 그리많지 않음을 안타깝게 느껴야하지않나 십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헙니다.

  • @user-nw8dt1kn9d
    @user-nw8dt1kn9d7 ай бұрын

    교수님 안녕하세요 ~^^ 요즘 페트병을 모아서 패트분쇄자판기에 넣으면 한개당 작지만 포인트 적립이 된다고 합니다~^^ 깨끗한패트병만요!😊

  • @IIllIIIllllllIlil
    @IIllIIIllllllIlil7 ай бұрын

    지금이야 플라스틱 취급이 이렇지만 사실상 플라스틱이 없었다면 문명의 발전이 지금보다 훨씬 뒤에 있었을 듯 …플라스틱을 완전히 대체 할수 있는 온전한 물질을 찾는 게 오히려 나을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듬

  • @kkanariaekjeot7398
    @kkanariaekjeot73986 ай бұрын

    플라스틱 생수 아직 집에 많이 있는데 ..무지했네요.. 물 끓여 먹어야겠어요

  • @dorams9865
    @dorams98657 ай бұрын

    셜록현준 채널을 보고있노라면 현실세계에서 심시티를 하는 기분이에요 아기자기한게 기분조음..

  • @user-mp6dz2ri8t
    @user-mp6dz2ri8t7 ай бұрын

    화학적으로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비용이 새로 플라스틱을 만다는 비용보다 높다는 면에서 취약한 경제성을 갖고 있는데 그 부분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아서 앗아쉽네요

  • @thy2039
    @thy20396 ай бұрын

    저도 예전에 논문으로 이 관련 주제를 조사해보면서 느낀건 기술이 없는건 아니지만 돈이 너무 비싸다로 결론이 귀결되더라고요. 결국 기업과 정부들이 경제적인 이득을 줄이더라도 이쪽으로 시선을 돌리지 않으면 안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gukhyunkim5518
    @gukhyunkim55187 ай бұрын

    LEED도 좋지만 대한민국에 맞는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및 '제로에너지인증'에 대한 교수님 의견이 궁금합니다!!

  • @changho8743
    @changho87437 ай бұрын

    리사이클링도 중요한데 너무 많이 버리는게 문제입니다. 게다가 몇몇 명품 브랜드에서는 국내 의류 재고를 그냥 폐기한다고 하더군요. 그런짓을 허용하지 않도록 제도부터 손보는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 @user-vz3ob6zc5n
    @user-vz3ob6zc5n5 ай бұрын

    정말 중요한 기술입니다

  • @BlueDeepSKyinTheOCEAN
    @BlueDeepSKyinTheOCEAN7 ай бұрын

    예전에 알쓸신잡에서 유현준 교수님의 김상욱 교수님과의 데이터센터 문제를 주제로 한 대화에서 그분의 말이 떠오르네요. 에너지 효율을 높이면 사람들은 에너지를 더 많이 쓸 거라고. 결국 모든 자원에 적용되는 논리죠. 쓰레기 생산 자체를 줄이는게 당연히 중요하며 기업들도 자극적이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위해 소비하는 자원들을 줄이고..결과적으론 무한 성장, 무한 경쟁의 사회가 조금 쉬어갈 필요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 @ohmmanivanmehum7290
    @ohmmanivanmehum72907 ай бұрын

    해중합 반응기가 얼마나 대단한지 홍보가 되었으면.. 그냥 녹이는것보다 더 깨끗하고 에너지효율적인..

  • @user-bsjkdk627sokvjf83h

    @user-bsjkdk627sokvjf83h

    7 ай бұрын

    말이 쉽지 정제하는 것도 엄청난 비용

  • @ahhhhhmorani

    @ahhhhhmorani

    7 ай бұрын

    해중합은 아직 한참 멀었는데 냉정하게 해중합을 하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드는 에너지와 비용 인력이 그로 인해 얻게 되는 산물의 투입대비 생산량 순도를 생각하면 스캠 수준의 무언가임 왜냐면 해중합을 한다는 얘기는 분리수거를 해간 그것들을 누군가 완벽하게 다시 재분리를 한다는 것인데 이건 지금도 단가가 안맞아서 못하는 일이니 지금도 단가가 안맞는걸 그때는 단가가 왜 맞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건지 잘 모르겠음

  • @SHHwang-if9qg

    @SHHwang-if9qg

    7 ай бұрын

    중합반응은 열역학적으로 발열반응이라 해중합을 하려면 반대로 에너지를 많이 공급해줘야합니다. 에너지적으로 효율적이지는 않아요. 그냥녹여서 재활용하는 이른바 기계적 재활용이 에너지적으로는 가장 효율적입니다.

  • @jyh6597

    @jyh6597

    6 ай бұрын

    맞아요 이쪽 업계에 있는데 이분은 그냥 책만보고 줄줄줄 이네요. 결국은 돈이고 우리나라 같은경우 세척하기 매우 힘든 시스템이어서 법적제도 완화 민원등 나라가 직접 관리하지 않는 이상 재활용보다 폐기가 압도적으로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 @Haritage

    @Haritage

    6 ай бұрын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의 90% 이상이 중국 인도가 배출한거임. 선진국은 알아서 잘 처리하고 있으니 걱정 ㄴㄴ 중국 인도인들 정신계몽이 더 시급함

  • @sunyounglim2625
    @sunyounglim26257 ай бұрын

    앞으로 더 다양한 플라스틱이 재활용 될 수 있다니 반가운 소식이네요! SK지오센트릭의 기술 기대할게요~

  • @KittyChacha
    @KittyChacha7 ай бұрын

    금속재료가 남김없이 재활용되는 장점은 있지만 가공에 들어가는 애너지가 너무 많이 필요해 결국 석탄 에너지 소모와 탄소 배출이라는 문제가 크죠 거의 영구적인 내구성을 지닌 금속재료의 특성에 맞게 소비자가 한번 구매한 물건을 오래 사용해 준다면 그게 베스트이겠지만 플라스틱을 효율 높게 재활용 하는 기술이 어서 일반화되면 참 좋겠네요

  • @unknown3906
    @unknown39067 ай бұрын

    폐플라스틱으로 옷이나 신발을 만들 경우, 다른 플라스틱 활용보다 이후 재활용이 힘들어진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재활용 방법 부재, 세탁기 등에 의해 마모되어 하수도로 유출)

  • @CodePsy-2001

    @CodePsy-2001

    7 ай бұрын

    그걸 생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것보단 낫습니다

  • @boyoungbae901

    @boyoungbae901

    7 ай бұрын

    @@CodePsy-2001 저도 이 부분이 늘 의문이었어요.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든 옷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엄청나게 나오는데, 미세 플라스틱은 잘 보이지 않아서 수거 및 다시 재활용하는 것이 힘들다고 들었는데, 교수님이 강조하신 큰 그림으로 보자면, 생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것보다 낫다는 거죠?

  • @goodluck3269
    @goodluck32697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 결국 인간 에게 돌아 오는 거죠 ㅠㅠ 악순환의 연속이죠 텀블러 사용 부터 ^^ 하나씩 바꿔 나가야 되겠습니다 요즘에는 명품에도 환경을 생각 해서 나오는추세 이죠 esg 경영을 많이 하는 환경을 생각하는 기업들이 많아졌음 좋겠습니다 오늘도 멋지신 ❤교수님 감사합니다

  • @user-xh1zf6xh5x
    @user-xh1zf6xh5xАй бұрын

    편리함에있어서 엄청난 환경오염 재활용기술만이 살길이네요

  • @guhamalba7439
    @guhamalba74397 ай бұрын

    플라스틱 분리배출이라도 잘하려고 노력중입니다

  • @JH-zv3zi
    @JH-zv3zi5 ай бұрын

    취지는 아주 좋고 공감 합니다만.. 저 공장에서 또 얼마나 많은 탄소가 배출될까 싶기도 하네요..😂

  • @k.joomihyun
    @k.joomihyun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ue9pc3ml7s
    @user-ue9pc3ml7s7 ай бұрын

    11:20 실제로 이런 선박과 결합된 형태로 발전을 하는 형식의 기술이 있다고 알고 있는데 재미있는 아이디어네요.

  • @user-ku5vv4gb5z
    @user-ku5vv4gb5z7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건축공학과 학생입니다 이런 환경문제를 볼때마다 건축에서 할 수 있는게 뭘까라는 생각을 하는데 우리나라의 패시브하우스의 발전은 가능할까요? 그렇다면 시기는 언제쯤일까요.. 교수님의 견해를 듣고싶습니다

  • @user-ob4ej6hm6d
    @user-ob4ej6hm6d6 ай бұрын

    원래 대단한 기술이겠지만 이분이 광고하니까 존나 대단해보이네

  • @user-ew5bg6lf5f
    @user-ew5bg6lf5f4 ай бұрын

    현실적으로 폐비닐로 비닐제품을 만들거나 폐플라스틱으로 플라스틱제품을 만드는 형태의 재활용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비닐제품이나 플라스틱제품을 만들 때 불순물이 0.1%만 들어가도 불량품이 되거든요. 폐비닐 폐플라스틱은 아무리 조심해도 오염물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어서 현실적으로 가능한 최선의 재활용은 연료화인데 이건 또 대기오염이 문제가 됩니다. 이래저래 폐비닐 폐플라스틱은 금속류나 종이류 재활용과는 차원이 다르게 어렵습니다.

  • @Jeesooification
    @Jeesooification6 ай бұрын

    전 언제나 가장 좋은 방법은 자연에서 나온 물질을 쓰는것이라 생각합니다. 나무소품, 면100프로 옷들 등등.. 이런 멋진 기술이 우리 미래를 뒷받침해주고 있다고 마냥 쓰던대로 플라스틱을 펑펑 쓸게 아니라 어떻게든 실생활이나 재료 선택에 있어서도 가급적이면 인공적 재료를 덜쓰는 습관도 필요하다고 봐요.

  • @user-sp7xg5yh2g
    @user-sp7xg5yh2g7 ай бұрын

    자연 물질은 자연순환으로 생명의 에너지가 되는데 인공 물질은 인간이 인위적으로 공과 열을 들이지 않으면 생태계뿐만 아니라 지구에 독이 되네요. 독이 퍼진 세상엔 울 인간도 살 수 없겠죠😢 유익한 정보 알차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

  • @user-cj3ie3fy2l
    @user-cj3ie3fy2l7 ай бұрын

    근데 밀웜이 스티로폼 소화시키는거 보면 결국 플라스틱도 언젠가는 자연적으로 분해되지 않을까??

  • @jieunlee4225
    @jieunlee42257 ай бұрын

    조만간 건물을 짓게 되어 공부하느라 1회부터 정주행 중입니다. 최근 건물 설계 저작권 문제로 법원에서 철거 명령을 내린 일이 있었는데요, 설계 저작권에 대해 한번 다뤄 주시면 좋겠습니다.

  • @sarang_00
    @sarang_007 ай бұрын

    7:59초 32만톤으로 수정이 필요합니다!

  • @hosungeeee
    @hosungeeee7 ай бұрын

    모든 동영상을 모아놓은 재생목록도 하나 만들어주시면 안될까요

  • @user-hg4yq2ms8z
    @user-hg4yq2ms8z7 ай бұрын

    와.. 바다에 떠다니는 플라스틱 분해 공장이라니 좋네요

  • @user-fb5xf8wn8k
    @user-fb5xf8wn8k6 ай бұрын

    SK지오센트릭 홍보 자료를 그대로 읽어주시는 거군요. 그냥 기업광고인가?

  • @user-rd3ok2ys3k
    @user-rd3ok2ys3k2 ай бұрын

    재활용공장이 탑재된 배!!! 찌찌뽕!!! 오 그 아이디어 저도 생각했었는데, 반갑네요, 같은 생각을 하신 분이 계신다니... 근데 실제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도 문제지만, 만일, 실제로 구현한다면, 그 배는 유엔군이나 미 항공모함이나 전함 뒷 꽁무니에 붙여야할 것 같아요. 바다에는 해적도 많고 여러 위험요소가 많다던데, 전 세계 바다 어디에나 마음 놓고 휘젔고 다닐 수 있는 배는 그것 뿐이니까요. 지구환경정화라는 공익에는 필요하지만 경제성은 없을 수 밖에 없는 배가 공격이라도 받아서 침몰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그렇게 한다 하더라도 미세 플라스틱은 건져 올릴 미세한 그물이 없으니, 어짜피 우리 인간들의 힘으로는 해결이 불가능 할 것 같아요. 언젠가 미세 플라스틱을 에너지 원으로 삼는 조류라던가 하는 해양 생명체가 등장하지 않는한...체르노빌원전 사고지역에서 살아남은 생명체 중에는 방사능에의한 유전자 변형 피해를 입지 않는 선충이 발견된다고 하더군요. 쥬라기 공원 영화에 나왔던 대사처럼 자연은 언제나 길을 찾아내겠지요. 그것이 인류 명종전이냐, 이후이냐가 우리 인간들에겐 문제겠지만요...

  • @whiskeywoods5822
    @whiskeywoods58227 ай бұрын

    시티즈 스카이라인1이나 2로 도시계획을 어떻게해야하는지, 게임논리 말고 실제 어떻게 된 도시가 제대로 된 도시인지 플레이하면서 설명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user-ku9ez8ic3d
    @user-ku9ez8ic3d7 ай бұрын

    오션클린업을 활용해보세요

  • @user-gs3re6qe9b
    @user-gs3re6qe9b6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설록님 근데 오늘 주신 정보는 일부만 맞는 부분이 있어 처음 댓글 달아봐요. SK측으로 부터 받은 정보위주로 전달해 주셔서 그런거 같은데,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선 1) 다른 소재 사용을 통해 사용량 자체를 줄여여하고 2) 내용물 리필문화 확산을 통해 용기 재사용을 늘려😂야하고 3) 못쓰는 용기는 물리적 재활용을 높이고 마지막으로 4) 화학적 재활용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환경 전문가들이 그렇게 방향성을 잡고 있고요. 거대 장치산업인 석유화학 회사들은 플라스틱 소재 생산을 통해 지금까지 성장할 수 있었으므로 지금의 플라스틱 쓰레기와 기후위기의 기여자(??)라고 할 수 있어요. 그들 입장에선 비슷한 화학공정인 화학적 재활용이 기술을 선점하는 측면, ESG 워싱 하는 측면, 제조공정 측면에서 플라스틱을 세척하고 녹여 물리적으로 재활용하는 것보다 화학적 재활용이 훨씬 유리하기 때문에 그렇게 마케팅 하고 있습니다. 물론 두가지 재활용 사업을 투트랙을 하고 있기는 하지만요. 무엇보다 투명페트 자원순환 시스템에 대기업이 투자를 많이 해서 물리적 재활용률을 높이는데 가장 우선시 되어야한 기술적, 마케팅적 투자하고 생각합니다. 아래 링크 자료 참고해 주세요. instagram.com/p/Cz-4dFwy6XK/?igshid=MzRlODBiNWFlZA== 좋은 컨텐츠 항상 감사합니다. 응원합니다❤❤❤

  • @baskasunda
    @baskasunda7 ай бұрын

    글쎄요... 문제는 재활용율이 그다지 얼마 되지않는다는데, 그 안에서도 일부를 차지하는 방법이 전체 '엔트로피' 의 문제해결에 얼마나 영향을 줄지 모르겠네요. 문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더러운 부분에 대해 이야기해야 할것 같은데, 일부 사람들 기분만 좀 나아지게하는 눈가리고 아웅 정도의 분야에 대한 이야기 같습니다...

  • @lionlamb688
    @lionlamb6887 ай бұрын

    영상에서 거론한 문제점 때문에(기본적으로 비닐이나 플라스틱 분자가 여러가지인게 문제..) 리사이클링도 완벽하진 않을거라 생각하는 편이라..리사이클링도 노력하는 한편 플라스틱을 먹고 생존하거나 분해하는 박테리아나 곰팡이같은 걸로 순식간에 대량 처리할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프로젝트도 필요하다고 생각..지금은 경제성이라던가 분해하는데 너무 오래 걸리는 시간적 난제 때문에 여전히 어렵긴 하지만 거시적으로 지속가능한 환경을 생각한다면 연구가 계속되길...

  • @amedagrasso
    @amedagrasso7 ай бұрын

    재활용도 지금 당장은 좋은 방법이지만 우주공학이 발달해서 우주 먼 곳에 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기술이 빨리 나오는 쪽이 좋겠네요

  • @oclis711
    @oclis7117 ай бұрын

    저는 이런 생각을 20년 전에 했습니다. 하지만 제가 돈이 없네요 일단 태양광을 에너지로 하는 전기선 만드는 것 자체가 아직도 대중화 되지 않았으니

  • @user-wl1oc7yz3o
    @user-wl1oc7yz3o7 ай бұрын

    최근 변화된 광화문 광장에 다녀왔습니다! 교수님이 이전에 말씀하신 허허벌판 광화문 광장에 어느 정도 공원 비스무리한 것도 생겼더라구요. 저에게는 큰 변화로 다가왔는데 이렇게 새로 변신한 광화문 광장에 대한 교수님의 생각은 어떤지 여쭙고 싶습니다!

  • @user-og1oz2iy7c
    @user-og1oz2iy7c7 ай бұрын

  • @kaychoi9932
    @kaychoi99327 ай бұрын

    우리가 사는 지구에 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그린 건축에 대해서도 이야기 해주시면 너무 좋을 것 같습니다 😊

  • @btc_1217
    @btc_12177 ай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 @booming6509
    @booming65097 ай бұрын

    쓰레기가 가치 없어 보이지만, 원석과 원유의 순도를 생각해보면 굉장히 고순도의 자원인데, 아직 관심이 덜해서 기술이 못 개발된게 참 아쉽네요

  • @user-vk7qk5rz2x
    @user-vk7qk5rz2x7 ай бұрын

    미세 플라스틱은 정말 심각한 문제입니다. 우리가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우리 자손들은 지구에서 살지 못할수도 있습니다.

  • @lattecream3104
    @lattecream31047 ай бұрын

    어디에서 본듯한데 친환경 재활용에 대해서 단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것 뿐만 아니라, 어떤 물건이 만들어 질때 발생하는 탄소배출량도 신경써야 한다고 들음. 예를들어 일화용컵 안좋다고 텀블러 사서 쓰는데, 막상 텀블러도 일정 기간 못쓰고 자주 바꾸면 일회용컵 쓰는것보다 탄소배출량이 더 많아서 환경파괴 한다고함.

  • @parkkea
    @parkkea7 ай бұрын

    7:57 32만톤이라 말하셨는데 자막이 잘못 적힌건가요? 32톤도 아주 적은 양은 아니지만 1년에 겨우 32톤? 이라고 이상하게 느껴졌는데, 32만톤으로 들리는데 말이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