뺏고 뺏기는 영주들의 영토 싸움, 일본이 세계 최대 화승총 보유국이 된 이유는?

Ойын-сауық

티빙에서 스트리밍 : tving.onelink.me/xHqC/30a78d6f
{벌거벗은 세계사}
[화] 저녁 8:40 tvN 방송
#벌거벗은세계사 #은지원 #규현 #이혜성
#티빙에서스트리밍

Пікірлер: 138

  • @user-ru7qs2xv5t
    @user-ru7qs2xv5t2 жыл бұрын

    저 시대에 국산화해서 양산할 생각을 했다는 것 자체가 이미 조선과 일본의 운명을 갈랐다고 본다

  • @hanniballecter4874

    @hanniballecter4874

    2 жыл бұрын

    운명은 이미 고려시대 부터 갈라져있었음. 고려 말부터 이미 일본이 고려 앞지름

  • @user-cg6mi4gs4g

    @user-cg6mi4gs4g

    2 жыл бұрын

    민주당 180석 손바닥뒤집듯 바뀌듯이 현재 대한민국의 반도체 자동차 이차전지 바이오 게임 전 산업이 일본을 압도하려고 시도중임 이대로가면 십년뒤면 일본보다 잘살게됨

  • @user-di4im5zz5r

    @user-di4im5zz5r

    2 жыл бұрын

    @@user-cg6mi4gs4g 그 모든 산업이 일본 금융업 하나를 못따라감. 희망을 가지는건 좋으나 낙관은 파멸임

  • @user-cg6mi4gs4g

    @user-cg6mi4gs4g

    2 жыл бұрын

    @@user-di4im5zz5r 그 자본가지고 삼십년동안 후퇴만 하고있는게 지금 일본임 반도체 자동차 이차전지 바이오 엔터 어느하나 선두하는기업이 없음 자본주의에서 기업의 성장이 밀리면 끝임 순식간에 다 뒤집힘

  • @user-yf9ch8vj8o

    @user-yf9ch8vj8o

    2 жыл бұрын

    @@hanniballecter4874 그나마 인터넷의 보급으로 울나라애들도 여러곳에서 역사적인 사실과 여러 정보와 지식을 얻다보니 이젠 알게 되는구나.. 20년전에 이런말을 하면 씨알도 안먹혔는데..

  • @user-pe8ej6bi7q
    @user-pe8ej6bi7q2 жыл бұрын

    모든건 다 시간이 지나고 나서 결과를 보니 그 시대의 문제점이 보이는 것...그 시대 사람들이 무능해보여도 역사를 보다 보면 각 시대마다 우리랑 생각하는게 별 차이가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됨.

  • @hanbangsabjill
    @hanbangsabjill2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조총에 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해서 생략된 부분이 있는데, 당시 대마도주 소 요시토시가 조선에 진상한 후 조정에서 이 조총을 주력무기로 쓰느냐 마느냐로 회의 했음 그리고 활과 조총을 비교하기도 했는데 아무래도 연사력은 활이 더 나았기 때문에 조총은 탈락한거임 일본의 경우는 3조였나 4조로 나눠서 연사력을 커버했다고 알고있고 어찌되었건 전쟁 중후반에는 조선도 조총의 위력을 실감하고 노획해서 많이 썼다고 함

  • @HDunicorns

    @HDunicorns

    2 жыл бұрын

    머스킷 총을 3열 4열 교대로 쏘는건 걍 그 시대 다른 나라들도 쓰던 운용법이라 일본만의 특별한 아이디어는 아니었고 그냥 당시 조선 정세에 필요없는 물건이라 판단한게 더 크겠죠.

  • @KimLime12

    @KimLime12

    2 жыл бұрын

    조선 진짜 평신 같음.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조총은 그냥 인상적이었을 뿐이지, 현실은 보병전력이 일본이 월등했음. 전국시대로 다져진 일본의 전력은 단순히 일본 아시가루 하나가 조선 군관급의 무력을 가졌었음. 당시 명나라를 제외하면 세계 어느 나라도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 이기기 힘들었음.

  • @user-my3xh7kv6r

    @user-my3xh7kv6r

    4 ай бұрын

    제가 알기론, 조총 을 주력무기로 쓰네 마네 의논을 한 적은 없어요. 조총을 안 쓴다는 말도 없었고 쓴 다는 말도 없이 일단은 군기시 창고에 둔 것입니다. 조선은 그 전까지 조총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어서 대마도가 조총을 진상 했지만, 그닥 관심이 없었을 뿐이고 쓸까 말까 회의를 한 적이 없어요. 일단은 창고에 두고 차츰 차츰 생각해 보겠다는 것임. 이때 조선이 조총을 쓴다고 해도, 소승자 총통처럼 소수의 병력들이 쓰는 정도일 뿐 대규모 수준은 아님. 소승자총통이 일본의 조총을 모방한 것라서 조선은 그다지 큰 관심을 두지 않았을뿐임. 조선에서 조총을 쓰네 안 쓰네 회의 수준까지는 안 가고 임금과 신하들이 조총에 대해서 몇마디 말 나눈 후에 차츰 차츰 관심을 두겠다는 하고는 군기시 창고에 넣습니다.

  • @user-sj1xr5im4f
    @user-sj1xr5im4f Жыл бұрын

    이미 저 시대에 일본은 네덜란드 상인들을 출도에 거주시키고 세계정세를 파악하고 있었습니다

  • @clemencepaul3209

    @clemencepaul3209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지금도 국제정서에 어둡죠^^주한미군 철수 요구하는 인간들 많아요

  • @kkk97295
    @kkk97295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처음 받은 조총을 연구해서 제조에 성공하지만, 우리나라는 일본이 선물로 준 조총에 전혀 관심없이 그냥 창고에 썩혔다는 차이. 신 기술 습득에 대한 차이가 일본의 침략을 불러 일으킨 것을 본다. 우물안 개구리식 문약한 죄가 큰 것이다.

  • @jac256

    @jac256

    2 жыл бұрын

    관심이 없었던게 아니라 조선은 문인, 문과쟁이 의 나라였고 "무" 은 천시했습니다. 문인들은 무능한 애들이고 문과쟁이들이 글로 세뇌해서 사람을 조정해서 착취하려는 애들이라서 이게 거짓말 이라는것을 밝힐 수 있는 과 학과 기술을 못하게 했답니다.

  • @user-lf2ow5rj8i

    @user-lf2ow5rj8i

    2 жыл бұрын

    아 그런애들이 지네 배에 대포도 제대로 못달아서 판옥선에 개털렸나요? ㅋㅋㅋ

  • @R_rite

    @R_rite

    2 жыл бұрын

    역사는 당시 시대를 봐야 정확히 이해할수있어요 당시 조선의 원거리 무기인 활과 조총을 비교해보면 사거리 연사 명중률 모두가 활이 조총보다 우월했어요 그래서 조선에서 관심이없었죠 다만 조총의 앞도적인 장점이 숙련도가 낮다 이것인데 실제로 활은 제대로 다루는데 10년이 걸린다고 말이나오지만 조총은 2주면 되죠 이차이는 앞도적인보급력이 뒷받침된다면 조총이 훨씬더 많은 군인을 데려올수가있다는 장점이있지요 후대의 시각으로 마냥 조롱하기에는 좀무리가있어요

  • @user-ih5lp5qd6s

    @user-ih5lp5qd6s

    2 жыл бұрын

    @@user-lf2ow5rj8i 아 그 거북선만드는애들이 후에 일본식민지가 되나요?

  • @user-yf9ch8vj8o

    @user-yf9ch8vj8o

    2 жыл бұрын

    @@user-lf2ow5rj8i 또 역사를 어설프게 아는 애들이 헛소리를 하네. 조선배는 평저선 이고 원양 그러니까 파도가 높고 깊은 바다를 항해하는 배는 첨저선이 유리하다. 그러니까 뻘이있고 가까운 바다 항해하는데는 평저선이 절대적으로 유리한데 먼바다 나갈려면 너무 힘들다.. 노젓는게 배로 힘들고 속도도 빠르지 않고 그리고 깊은 파도를 만나면 뒤집힌다. 그래서 파도높고 깊은바다는 첨저선이야.. 이건 그당시 유럽이나 어느나라나 마찬가지야.. 일본이 조선보다 배만드는 기술이 딸린다는 소리는 ..그건 우리만 알고 있는 정신승리같은 소리이고. 실제로 일본은 첨저선을 사용했기에 배안에 대포를 달수가 없었다.. 그러니까 오뚜기를 보면 넘어져도 다시 일어서지.. 허나 약간만 힘을 가해도 중심이 흔들리지.. 그런 차이야... 조선의 평저선은 멀리 못간다.. 만약 현해탄 도망가는 일본배 절대 못따라 가고 낙오한다.. 대신 아주 튼튼하고 쉽게 배가 파괴되지 않는다. 일본이 조선과 전쟁때 해전이 많이 있으리라곤 전혀 예상을 못했기에 이순신장군에게 패전한거다.

  • @walkgo7772
    @walkgo7772 Жыл бұрын

    여기 동영상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그 이전에 일본은 은을 많이 보유 하고 있었죠 당시에는 은이 기축통화 였고 포르투칼 , 스페인 ( 당시 에스파냐 ) 는 많은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고 또 무격거래를 하고 있었죠 아마도 당시 시기적으로 은을 많이 가지고 있었던 일본은 포르투칼에게 있어서 매력적인 나라 였을겁니다 사실 그 이전에 조선은 은 제련 기술이 상당했지만 당시 조선은 명 나라에게 은을 납세 해야 했죠 당시 패권국이었던 명나라는 조선에게 은을 조공하라기 위해 상당히 피곤했을겁니다 그때마다 조선은 어쩔수 없이 매번 은을 조공하는 입장에서 대규모 은광을 가지고 있었던 조선에게 은은 그저 납세를 해야하는 은본위제가 아니라 피의 상징이었겠죠 때문에 당시 조선은 함경도 단천에 있는 은광을 폐광 시기고 말죠 당시 연산군 때만 하더라도 우리나라는 연은분리법을 개발 하였지만 활용하지 못했답니다 결국 이 기술은 일본으로 흘러가죠 사실 일본은 은을 제련할줄 몰랐기 때문에 이전에는 은광석을 배애 싫고 조선으로 가지고 와서 조선인들이 제련을 따로 해줬는데 이제는 일본인들도 은을 제련할줄 알게 된거죠 ( 특히 조선인 김검동 , 김감불 같은 사람의 기술은 ) 그때 부터 일본은 이와미 은광을 개발하고 부자나라가 되었다고 합니다 이때가 1530 년대로 추정합니다 일본은 조총도 조총이지만 은을 저장함으로서 부자 나라가 되었기 때문에 전쟁을 하는데 기반이 되었죠 인구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었고요 결국 명 나라 , 류쿠제국 까지 침략하겠다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망상 즉 아시아를 점령하고 말겠다는 망상은 그가 살아서는 이루지 못했지만 훗날 제국주의 일본은 조선을 침략하고 중국을 넘어 동남아 전체를 침략하죠 그리고 아직도 일본인들은 그 제국주의 시절을 잊지 못하고 지금도 아시아를 침략하려고 역사를 수정하고 이웃국가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일본에게 억까지 않으려면 적어도 강한 군사력과 풍족한 경제력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인구도 느는거에요

  • @user-bl3bs9fq4d

    @user-bl3bs9fq4d

    Жыл бұрын

    교수님보다 더 해박하시네요!!!

  • @Buttwink
    @Buttwink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근본적으로 선구안이 다르긴함.... 일본은..지금도...경제력..세계 3위임

  • @ehrksl

    @ehrksl

    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영토 인구 경제력 넘사죠

  • @iuyoon6713

    @iuyoon6713

    Жыл бұрын

    애초에 한반도에 있는 나라는 죽어도 중국 일본 못이긴다

  • @user-ml6ec8lt5z
    @user-ml6ec8lt5z21 күн бұрын

    빅삼헌 교수님께서 위안부 영상에 대해서도 말씀해주셨으면 좋겠어요 ㅎㅎ 이번에 판결나서 할 말 많으실 것 같은데 ㅋㅋ

  • @user-ml6ec8lt5z

    @user-ml6ec8lt5z

    21 күн бұрын

    아 없을려나 ㅋㅋ

  • @delmont2793
    @delmont2793 Жыл бұрын

    저 당시 유럽에서 온 무역선들 엄청나게 발전했었을텐데 일본이 내전이 주로 육전 위주고 해전은 내해에서 해적들이 주도하던때라 발전된 유럽배 기술을 굳이 도입하지 않은게 조선한테는 다행이네 일본의 해상전투 패러다임이 구시대에 머물러 있기에 망정이지 아니었으면 아무리 이순신 장군이라 해도 압도적 물량에 쉽지 않았을듯한데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Жыл бұрын

    일본은 나무가 좋지 않아 그렇게 큰 배는 만들기 힘들었음. 서양인들이 기술을 제공해 만들어봤자 기껏해야 100톤 내외의 캐러밸 정도? 그래봤자 판옥선보다 훨씬 작고 안택선 정도의 크기에 불과함. 심지어 싸움이 연안에서 벌어졌기에 갤리선이 훨씬 유리해 판옥선은 커녕 자국 세키부네만도 못했을 확률이 높음. 판옥선은 당시 동아시아 최대함선이어서 확실히 승산을 가져가려면 당시 서양 최신 주력함인 갤리온을 가져와야 가능했을 듯.

  • @overlg3909
    @overlg39092 жыл бұрын

    교수님진짜 잘 가르치신다..👍

  • @disastermoon420

    @disastermoon420

    2 жыл бұрын

    다 좋은데 근현대 전공자라 그런지 다른 시대 얘기는 오류랄까 이미 옛날에 아니라고 판정난 얘기도 하시더라구요. 나가시노 전투 얘기는 특히..

  • @user-ny1vk1zl9c

    @user-ny1vk1zl9c

    2 жыл бұрын

    근데 말을 너무 느리게함.... 너~~무.. 1.5배로 들어야 정상적으로 들리던데..

  • @user-ry6dy3bl7e

    @user-ry6dy3bl7e

    Жыл бұрын

    댓글부대 한 놈 있네

  • @user-ny1vk1zl9c

    @user-ny1vk1zl9c

    Жыл бұрын

    @@user-ry6dy3bl7e 누구요?

  • @jake-xy3kq
    @jake-xy3kq2 жыл бұрын

    심지어 조총없이 치루는 백병전 마저 일본군들이 넘사인걸 알고 육지에 땅을 아예 못 밟도록 이순신장군은 해전으로 다 처단시키신게 진짜 신의 한수...

  • @user-ih5lp5qd6s

    @user-ih5lp5qd6s

    2 жыл бұрын

    어떻게든 치욕적인역사 반성할줄 모르고 국뽕으로 소스치고 자기만족하는 한국인들도 신의 한수ㅋㅋㅋㅋㅋ.

  • @uiciii

    @uiciii

    2 жыл бұрын

    @@user-ih5lp5qd6s 고마운 사람한테 고마워할줄도 모르는 일뽕의 한마디...

  • @user-qe7jr1te9w

    @user-qe7jr1te9w

    2 жыл бұрын

    충청도와 경상도 방면에서 전라도로 진격해온 일본 육군들도 있었고 관군, 의병이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네요. 이순신이 무슨 수로 육군의 진격까지 막나요. 조헌 장군 700의병, 2차진주성전투 등 그 희생이 적지 않았습니다.

  • @user-ww8uj4sr5h

    @user-ww8uj4sr5h

    2 жыл бұрын

    조총따윈 필요없다 활이짱이다 싹무시한 무능한 조선정부,권율장군 걍 기병으로 밀어붙이면 다쓸린다 드넓은 평지에 무식한 전술인 기병술써서 조총에 맞써는 무능한 조선장수 / 이순신빼고

  • @user-mx3ms3nc5c

    @user-mx3ms3nc5c

    2 жыл бұрын

    @@user-ih5lp5qd6s ㅋㅋ 사람들이 치욕적인 역사를 반성 할줄 모른다고 생각하는 아메바같은 너 도 배울 수 있는 한글이라는게 정말 놀라운 세종대왕의 신의 한 수 오 대왕이시여 대체 몇수 앞을 보신 겁니까. 이런 아메바 도 배울수있는 글자라뇨... 한자였으면 이런 모지리는 절대 글을 못쓰고 살았지요 ㅠ

  • @chungsunghee2213
    @chungsunghee22132 жыл бұрын

    여기 내용 못지않은 놀라운 사실 한일의 격차는 영 정조시절에도 벌어지고 있었음

  • @hanniballecter4874
    @hanniballecter48742 жыл бұрын

    조총따위보다 개인의 무술능력+진법+무기부터 일본이 넘사벽이었는데 뭘…. 일본 무사 한명이 조명연합군 속으로 뛰어들어서 장검을 휘두르니까 전열이 무너지고 장졸들이 겁먹어서 앞으로 나가지 못했다는 기록만 봐도…….

  • @golice

    @golice

    2 жыл бұрын

    조총따위보다 ㅋㅋㅋ 딱 조선 마인드네 ㅋㅋㅋㅋ 오다가 3열 시스템 구성하고 나서 연발사격이 되기 시작하면서 기병이 박살이 나는데 ㅋㅋ

  • @hanniballecter4874

    @hanniballecter4874

    2 жыл бұрын

    @@golice 아까 댓글 달았는데 지워져서 다시 올린다 오다노부나가 3단철포->걍 구전되어 오다가 야마오카 소하치 라는 작가의 소설에 실린것을 기반으로 와전된 썰이다. 심지어 일본티비프로에서 나가시노 전투 추정지에 가서 발굴시도까지 했는데 결국 근거없는 무용담임. 조총->임진왜란 당시 조총수 부대 편제를 봐라. 그거 보고도 조총때문에 졌다고 하면 너는 당시 우리 조상들을 바보 취급하는거다. 현자총총,지자총통이 있는 나라가 아무리 개인화기라도 조총때문에 밀렸다? 비겁하게 조총탓하는거다.

  • @golice

    @golice

    2 жыл бұрын

    @@hanniballecter4874 아 그래? 그렇게 쓸모없는 조총의 수가 왜 계속 늘어났는지나 설명해봐 ㅋㅋ 넌 쓸모없는 무기를 전체 원거리병력의 3분1이나 장비시킨다고 생각해?

  • @golice

    @golice

    2 жыл бұрын

    @@hanniballecter4874 니 마인드가 딱 임란 초기 조선마인드라니까 ㅋㅋ 대체 그 쓸모없는 조총따위를 왜 임란 끝나고 주력 재식병기로 채택한건지도 설명해볼래? ㅋㅋ

  • @hanniballecter4874

    @hanniballecter4874

    2 жыл бұрын

    @@golice 조총때문에 밀렸다는건 헛소리라는걸 이따위로 받아치네 ㅎㅎㅎㅎ 전 후 조선이 조총 편제를 늘린거는 역발상이지 안그래도 민족 특성상 백병전 못하는데 그 백병전상황을 한번에 뒤집는게 조총이다 게다가 숙련도도 활보다 낮고 그러니 포수 비중이 늘어날 수 밖에 없지않니??? 가뜩이나 근접전만 하면 무기버리고 도망가는 조선군이 갑옷에 맞으면 튕겨나가는 활보다 조총에 눈독들였겠지 그런데 이거를 사용한 일본군 편제를 보라고 윗 댓글에 써놓은거 안보이냐? 조총이 당시 파괴력이 강하고 엄청난 무기라 쳐도 전쟁에서 승패를 가를정도가 된건 아니잖니… 오히려 전 후에 조선이 하는거 보면 결국 백병전 잘하려면 살수들을 길러내야하는데 검,창같은 냉병기는 기본 10년 이상 걸린단다. 그니까 걍 근접전 막아내려고 조총편제 늘린걸로 밖에 안보이지. 왜? 제조법 알겠다. 원래 화약은 다룰줄 알았고 훈련기간도 짧으니 훨씬 경제적이거든. 그냥 임란 이후에 조선군이 조총편제가 늘어난 이유=임진왜란때 조총으로 유린당해서 이게 성립 못한단 말이야

  • @sk8ciov7
    @sk8ciov72 жыл бұрын

    구미랑 조삐에로는 저기서도 티격태격하넼ㅋㅋㅋㅋㅋㅋ

  • @OO-ri8ow
    @OO-ri8ow Жыл бұрын

    근데 임진왜란때 화승총 거의 안 썼음

  • @user-ne4fw5zj9n
    @user-ne4fw5zj9n Жыл бұрын

    포르투갈은 왜 하필 일본에 접근했나. 다 계획이 있었던 거지.

  • @user-hq5nb2xl7c
    @user-hq5nb2xl7c2 жыл бұрын

    일본 역사에서 가장 재미있을 부분입니다. 평가는 자제 하겠습니다.

  • @gheal2000
    @gheal20002 жыл бұрын

    대포 조총 부대 운용은 전국시대 내내 전장의 주요 전력이 아닌 보조 전력이고 장창병을 이용한 냉병기가 여전한 시대였는데 압축하고 생략을 너무 하니 의미와 주제 마저 변색되네.

  • @delmont2793

    @delmont2793

    Жыл бұрын

    ㄹㅇ 댓뽀부대는 진짜 전력의 극 일부분일 뿐이었는데 저때까지도 장창부대가 주력이었죠. 전국시대 배경으로한 일본 영화들 봐도 주로 장창으로 싸웁니다 근데 우리나라에서만 무슨 조총 무적설처럼 루머가 퍼져서 조총이 다 한것처럼 잘못알고들 있죠. 조총이 유의미한 전술변화를 가져온 것은 맞지만 아직까지 조총만으로 전황이 판가름나던때는 아니었는데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Жыл бұрын

    중세전장은 보통 모루보병, 충격보병, 궁병, 충격기병, 궁기병으로 이뤄졌는데 조선은 기병전력은 우위였지만 수가 많지 않았고 궁병과 조총병은 큰 차이가 없었음. 오히려 소폭 우위였지. 압도적으로 불리했던 건 보병이었음. 보병 수준이 원체 차이가 심해서 궁병과 기병의 우위마저 다 씹어먹을 정도였음.

  • @user-ml4zh2py2x
    @user-ml4zh2py2x2 жыл бұрын

    일본사 재밌어요

  • @user-eo7qf7gp1n
    @user-eo7qf7gp1n2 жыл бұрын

    도요토미가 조선과 전쟁하기전에 포르투칼한테 갤리온 3척 살려고 했었음,. 근데 구매거절당해서 전력화 못한거지.. 만일 갤리온 3척을 구매해서 횽내내라도 내서 복사했으면 조선해군도 힘든전투 했을것임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Жыл бұрын

    일본은 갤리온 만들 나무가 없었음 ㅋㅋ 몇척 만들어봤자 많이는 못 만드니 큰 의미가 없고 뭣보다 연안 싸움에서 범선인 갤리온이 갤리선인 판옥선보다 강하다고 보기도 힘들고. 오히려 조선수군에 노획되서 조선이 설계 더 잘 써먹었을걸 ㅋㅋ 조선은 대형함을 만들 나무가 있었으니까.

  • @user-eo7qf7gp1n

    @user-eo7qf7gp1n

    Жыл бұрын

    @@user-ok4zf6hj7h 1602년인가 포르투칼 갤리온 청나라상선이 남해로 들어와서 판온석 30여척이 함포 사격하는데 침몰 못시킴.... 갤리온 방어력을 우습게 보면 안됨 거기다 화력도 판옥선보다 쌔고

  • @SD-xf2vq
    @SD-xf2vq2 жыл бұрын

    아시카가 요시아키는 1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의 동생입니다. 정정해주세요.

  • @user-ux5hl3nt9d
    @user-ux5hl3nt9d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아직도 삼국시대에 살고 있고 서로 못잡아서 안달인데 진짜 웃프다 이나라ㅋㅋㅋ

  • @user-hm8ve5jd7e
    @user-hm8ve5jd7e2 жыл бұрын

    여기에는 오다 노부나가가 잔인하게만 설명이 많지만. 사실상 저 시대에 과거의 리더는. 잔인함도 겸비해야 하지만. 자상함과. 가신과 백성들이 받아들이는 이유도 있습니다. 오다 노부나가는. 정치에 개입이 없다면 기독교도 수용했고. 무역. 교류. 상업도 개방 해줬습니다. 늘 사람들이 지금 시각으로만 보는데. 과거에 행동. 시개를 도덕적 관념을. 지금으로 보면 안된다는 것. 그리고 일본 문화 역사라도. 알고 배워야. 과거의 아픔. 역사를 반복 하지 않는 겁니다.

  • @user-ru7qs2xv5t
    @user-ru7qs2xv5t2 жыл бұрын

    저때 저 배가 조선에 왔다면.. 아마 일본처럼 쫘르르 세팅하기보단 목이 잘렸을듯 ㅋㅋㅋㅋㅋㅋㅋ 헬피엔딩

  • @user-ky9dt7tv4h
    @user-ky9dt7tv4h2 жыл бұрын

    근데 화약이 있었음? 화약 아주 귀한건데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Жыл бұрын

    화약이 왜 없음; 애초에 조선 화약도 일본에서 유황 수입해와서 만들던 건데

  • @admandburke.
    @admandburke.2 жыл бұрын

    조선의 무능

  • @user-bb9mj8sj6d
    @user-bb9mj8sj6d2 жыл бұрын

    결국 경쟁이 있어야 발전하는거임 중국과 한반도는 너무 안정됫기 때문에 발전이 멈춤 원 명교체기 여말선초가 사실상 중국과 한반도의 마지막 불꽃이지

  • @OO-ri8ow

    @OO-ri8ow

    Жыл бұрын

    조선이 안정? ㅋㅋㅋ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Жыл бұрын

    @@OO-ri8ow 전조에 비해 전쟁과 반란이 적긴 했음.

  • @jac256
    @jac2562 жыл бұрын

    문 vs 무 가 싸우면? 누가 이길까? 무가 이김

  • @golice

    @golice

    2 жыл бұрын

    무가 단순히 쌈질이 아님 무 = 실사구시 = 과학도 연관됨

  • @sumyoshi
    @sumyoshi7 ай бұрын

    歴史番組らしいが、”空想映画”を資料に使っている。ちょっとおかしいな。当時の絵もお粗末なものしかない。こんな程度か。

  • @justine5804
    @justine5804 Жыл бұрын

    이혜성 멍청한게 오다는 사람을 태워 죽이고 몽둥이로 때리는 사람이라는데 겨우 그깟 외모 비하한게 제일 대단한거마냥 반응하는게 웃기네

  • @hermesis000
    @hermesis0002 жыл бұрын

    중국 게스트는 안나왔으면 좋겠다

  • @user-gq4lg5ox3b
    @user-gq4lg5ox3b11 ай бұрын

    국민의힘 간첩들이 이런걸보고 배워야되는데

  • @user-ny1vk1zl9c
    @user-ny1vk1zl9c2 жыл бұрын

    이 교수님 말을 너무 느리게함.... 강의에 적합한 교수가 강연식 프로그램에 나와서 설명하네.... 듣기에 개 답답함... 고구마 800개 먹은 느낌 1.5배로 듣는거 추천...

  • @user-ih3qp1lx5u

    @user-ih3qp1lx5u

    2 жыл бұрын

    강의랑 강연이랑 다른가요?

  • @user-yj7yb1gg8g
    @user-yj7yb1gg8g2 жыл бұрын

    아 설민석이 그립다 정말 디테일하게 가르쳤는데

  • @twglhk

    @twglhk

    2 жыл бұрын

    비전문가 설민석이요?

  • @user-kt3zk9ly6p

    @user-kt3zk9ly6p

    2 жыл бұрын

    사이비 설씨 ㅋㅋㅋ

  • @user-di4im5zz5r

    @user-di4im5zz5r

    2 жыл бұрын

    암 그라제 구라로 알려줘도 가슴만 웅장해지면 상관없제잉

  • @golice

    @golice

    2 жыл бұрын

    갬성 선동가 설민석? ㅋㅋㅋ

  • @user-ih5lp5qd6s

    @user-ih5lp5qd6s

    2 жыл бұрын

    그 국뽕소스전문가 설민석이요?

  • @Henry_SH7
    @Henry_SH7 Жыл бұрын

    아니 왜 한국의 역사강사가 일본 왕을 천황이라고 하는겁니까? 일본왕은 일왕 내지 왜왕이라는 표현을 쓰셔야죠. 하늘의 왕이라는 표현은 일본인들이 쓰는거지.. 정정바랍니다

  • @OO-ri8ow

    @OO-ri8ow

    Жыл бұрын

    역사는 팩트야 정신승리가 아니고

  • @user-vl3jt9lq7n

    @user-vl3jt9lq7n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천황이라는 호칭을 공식적으로 쓰긴 합니다. 하지만 부르는건 그냥 개인의 자유 아닐까요?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Жыл бұрын

    천황은 고유명사라 국제적으로 천황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나라 외교부 공식입장도 천황이라고 부르는 게 맞다고 하고.

  • @user-jh6yr8ks5q

    @user-jh6yr8ks5q

    27 күн бұрын

    중국도 천황이라 합니다 왜요 일본두목 한국이승만소통령 이라하지요 일본은 번체제라 다이묘가(왕급)있어 천황이 맞습니다 다만천황폐하또는텐노헤이카는 안되겠지요

  • @user-jh6yr8ks5q

    @user-jh6yr8ks5q

    27 күн бұрын

    정싫다면 중국천자는=병자 천황=일본오야붕 한국=소통령 이라 부르시면됩니다 자유니까요 개인의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