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I 연찬⎪김누리⎪거대위기 시대, 교육 대전환

PaTI 연찬: 김누리, ”거대위기 시대, 교육 대전환”. 2023.8.9 PaTV 유튜브 생중계 녹화.
-김누리 (중앙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독일연구소 소장)
제작: 파티영상공작실, 연출-이형곤, 촬영-이선우, 천니은.
#김누리 #교육대전환 #미래교육 #거대위기시대 #독일연구소 #PaTI #파티연찬
* 파티연찬은 매주 물날 아침 파티 스승들이 공부하는 모임입니다.

Пікірлер: 93

  • @haha-sr4ev
    @haha-sr4ev9 ай бұрын

    김누라교수님의 열정과 희망이 현실이 되기를 바랍니다. 대학입시 없어지면 대학등록금 없어지면 대학서열이 없어지면 학생들이 행복해집니다.

  • @user-vu7wd9vl3l
    @user-vu7wd9vl3l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교육을 근본적으로 개혁해야 합니다.김누리교수님 공영방송에 자주 나오셔서 전국민에게 강의 부탁드립니다

  • @user-bj2mh2fx9j
    @user-bj2mh2fx9j9 ай бұрын

    교수님 말씀을 듣고 우리나라의 갈길을 봅니다. 정치에 크게 기대할게 없으니 국민 한사람 한사람이 깨어있어야 합니다. 교수님 힘내세요. 누군가는~ 한사람이라도~ 깨어나고 있으니까요

  • @circle0301
    @circle03019 ай бұрын

    서울과학고에 10살에 입학한 천재 백강현이가 형들에게 무언의 폭력과 왕따를 견디지 못하고 한학기만에 자퇴한 일이 더욱 맘속에 사무칩니다.

  • @_Chaeyoon
    @_Chaeyoon9 ай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의 이 강연 우리국민 모두가 시청하셔서 교육개혁에 적극 동참했으면 좋겠네요

  • @user-vv3gu8po2m

    @user-vv3gu8po2m

    2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 @user-lk1qy6gw7w
    @user-lk1qy6gw7w9 ай бұрын

    반드시 사람을 존중하는 이런 방향으로 교육을 바꿔나가야 합니다 남북으로 분단된 우리에게 더욱 필요할지 모릅니다.

  • @itmasspeaker684
    @itmasspeaker6849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연 좋아요...잼버리 독일 청소년들이 템플스테이하고 감명받고 삭발했다던데....역시 독일이 철학의 나라 답습니다..애들까지 철학이 있네요

  • @user-hi4ws4mk5f
    @user-hi4ws4mk5f9 ай бұрын

    우리교육의 문제는 주입식교육의 생각귀차니즘 발로인 역지사지 불가능 인간생산 교육현장이라 교수님 말씀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 @anonin-B-612
    @anonin-B-6129 ай бұрын

    독일은 교사들도 정치,토론이 오픈되어 있어 충분히 토론되고 있으므로 교사들의 의견이 존중받는 기초가 된다고 보인다

  • @user-dz9pk7mg9u
    @user-dz9pk7mg9u9 ай бұрын

    환생한 니체... 우리도 학교현장에서 보고싶네ㅛ♡

  • @user-gv9xt1kj6s
    @user-gv9xt1kj6s10 ай бұрын

    선생님의 말씀에 동의합니다

  • @user-dz9pk7mg9u
    @user-dz9pk7mg9u9 ай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건행한모습...반갑습니다 존경합니다..♡

  • @parkjun8009
    @parkjun80099 ай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강의를 듣고 한번 주변에 지인들에게 경쟁은 야만이라고 경쟁은 이미 망가진것이다. 그러나 어른들은 경쟁은 당연시 하다고 경쟁이 있어야 평등하다고 합니다. 특히 서열이 있어야 평등하다고 합니다. 서열은 경쟁이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전 서열을 별로 좋아하지 않고 경쟁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한국에서는 따돌림은 사유있는 사람들을 비판하는자는 한국에서는 사회에서 매장시키기 때문에... 사회가 없는 사회가 되었다고 봅니다.

  • @yunsu2018
    @yunsu20189 ай бұрын

    교수님덕에 강의듣고 깨어나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 @DiamondGoYoucandoit
    @DiamondGoYoucandoit9 ай бұрын

    선생님같은분이 계시기에 교육은 희망적이라 믿습니다😢

  • @gameboy-fm3cg
    @gameboy-fm3cg9 ай бұрын

    호주에선 청소부와 대학교수 사이에 임금차이가 거의 없는 걸로 아는데 한국은 아니죠. 니가 능력이 없어 청소나 하고 있다고 생각하니... 교수보다 사회유지를 위해 더 중요한 사람이 청소부인데.

  • @JaeKim-yi7he

    @JaeKim-yi7he

    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수고 많네요. 더욱더 꼬집 네요.

  • @user-nd1xw8uz5p

    @user-nd1xw8uz5p

    Ай бұрын

    절대적으로 동의합니다, 그들이 없으면 삶의 시스템이 멈출것인데 그것이 얼마나 소중한지 모르고 함부로 대하는 인간들을 보면, 그게 또 뉴스가 되는. 한심합니다!

  • @user-vd3iq7mk4o
    @user-vd3iq7mk4o9 ай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 @user-jq8wp9nk9k
    @user-jq8wp9nk9k9 ай бұрын

    교육혁명 절대적으로 응원합니다 🎉🎉🎉

  • @user-ut8sm6hm5p
    @user-ut8sm6hm5p9 ай бұрын

    교수님! 늘 깨우침 주시는 강의 감사합니다~^^

  • @PaTV
    @PaTV10 ай бұрын

    PaTV는 파주타이포그라피배곳 PaTI의 공식 유튜브 채널입니다. 구독을 부탁드립니다.

  • @creativefree_soul
    @creativefree_soul8 ай бұрын

    교사 양성과정의 변화도 필요하다는데 정말 동감합니다. 부모가 되보면, 얼마나 교육과 양육이 어려운 일인지 알게 되는 것처럼, 교육의 시스템 변화와 더불어 교육자, 부모, 진정한 어른이 되기 위해 우리 함께 노력했으면 좋겠습니다.

  • @user-kl1es8gp6f
    @user-kl1es8gp6f9 ай бұрын

    몇년 전만 해도 이해나 인정, 또는측은심을 발휘하는 아이들이 더 많았거든요.

  • @user-kl1es8gp6f
    @user-kl1es8gp6f9 ай бұрын

    그나마 몇몇 살아있는 구성원의 덕행과 희생으로 우리가 정화되고 있는것 같아요. 이미 아이들은 우경화되었어요. 경쟁에 지친 아이들은 무기력자 또는 훼방꾼이 되는 경향이 있죠. 이걸보고 보통 아이들 중 많은 아이들이 처벌이나 규제법을 강하게 만들어야한다고 자신있게 주장한답니다.

  • @imk.7029

    @imk.7029

    9 ай бұрын

    우경화? 좌경화가 아니고? 좌.우도 아니라야 함.

  • @catlol212

    @catlol212

    Ай бұрын

    전체적으로 보면 우경화가 맞죠. 우리나라는 기존의 관습과 환경, 나아가 일정한 틀의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세습화 됐어요. 좌우가 중요한 것이 아님에는 동의하지만 우경화된 것에선 일단 벗어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user-hu3zp7gv9m
    @user-hu3zp7gv9m9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의 공부많이 됩니다 대학입시 없애고 대학평준화 하고 대학등록금 없애자에 크게 공감합니다 교수님 힘 내십시요~~!!

  • @user-ni8nq8hz8e

    @user-ni8nq8hz8e

    8 ай бұрын

    전국대학을 통합해서 모두 서울대로 만들고 전공만 고민해서 선택하면 좋겠습니다.

  • @user-tx2pl9mg8c
    @user-tx2pl9mg8c9 ай бұрын

    독일의 교육 혁신..꼭 이뤄지면 좋겠어요 교수님의 강연 공감하며 적극 지지합니다

  • @user-tk6xv4yd5v
    @user-tk6xv4yd5v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우리나라교육에 선각자이십니다

  • @user-moonmary
    @user-moonmary9 ай бұрын

    우리 아이들에게 미안합니다...ㅠㅠ 잘못된 교육이 지금 젊은 친구들의 마음을 병들게 한것 같습니다.. 내 아이들부터..ㅠㅠ 독일에 가보고 싶습니다....

  • @user-gs9cr2wz9s

    @user-gs9cr2wz9s

    9 ай бұрын

    크신 노고와 열정에 깊은 감명을 느끼며 타오르 불길이되기를 희망합니다.🎉

  • @user-ye7ri1zb1l
    @user-ye7ri1zb1l7 ай бұрын

    감동

  • @user-ci9cr4tx6b
    @user-ci9cr4tx6b9 ай бұрын

    질문하는 여학생 참~사유가 깊고 똑똑하네요❤

  • @user-wr1sm2ev5g
    @user-wr1sm2ev5g8 ай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의 강의가 온누리에 빨리 널리 퍼져나가길 기원해봅니다. 우리나라는 교육혁신이 가장시급합니다.교육제도만 바뀌면 모든 부정부패.부조리.불평등이 다 해결될것입니다.

  • @user-bb6sc3rz5s
    @user-bb6sc3rz5s9 ай бұрын

    한국도 독일처럼 대학 평준화를 해야 한다. 박정희때 고교 평준화해서 추첨으로 학교 선택하듯이. 대학 평준화해서 대학 서열을 없애야 한다.

  • @user-wb1yc4yl7w
    @user-wb1yc4yl7w5 ай бұрын

    매우동감

  • @user-xt5le9xb5j
    @user-xt5le9xb5j6 ай бұрын

    교수님 늘 힘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건강하세요❤

  • @seonglee8294
    @seonglee82948 ай бұрын

    인간은 환경에서 만들어 지죠.. 맹수들도 어렸을적 자기를 사랑으로 키워준 사람은 공격하지않습니다

  • @user-ye7ri1zb1l
    @user-ye7ri1zb1l7 ай бұрын

    통탄이 되고 가슴이 아픈 한국교육 교수님의 강의는 심장에 피를 돌게합니다. 고맙습니다.

  • @user-rl5mw6jb3u
    @user-rl5mw6jb3u4 ай бұрын

    교수님.간만에 제가 추구하는 성향의 분을 찾게 되어 너무너무 기쁩니다. 유투브를 통해 교수님강의 골고루 잘듣고 있습니다. 기회되면 현장강의 꼭 듣고싶습니다. 교수님강의 일정을 알려면 어떻게 해야는지 궁금합니다.

  • @Username34857
    @Username348576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압축 성장시기에는 그렇다 치더라도 이제부터 인간중심 교육으로 변환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 @user-tk7qz3ob4w
    @user-tk7qz3ob4w8 ай бұрын

    지금 우리나라가. 여기까지. 온건 나자신의. 문제도 있지만. 좌우분변. 못하는 우리에게 . 지식인들의. 침묵도 하나의. 큰. 원인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성공. 명성을. 위해. 학자의. 양심도. 파는. .

  • @user-bb6sc3rz5s
    @user-bb6sc3rz5s9 ай бұрын

    노자의 부쟁(경쟁하지 않는) 사상으로 돌아가자.

  • @user-kg4et4ss5s
    @user-kg4et4ss5s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qewotayhgdfkewy
    @qewotayhgdfkewy8 ай бұрын

    한국사회는 얼마나 어리석은지 스스로 어리석은 줄도 모르죠 마치 바보가 스스로 바보인 줄 모르듯…

  • @user-yc7hg3gf3h
    @user-yc7hg3gf3h9 ай бұрын

    기득권들은천년만년가도변하지않아요 이제는속지마세요 진짜국민을위한정치인은없다

  • @okjhp226
    @okjhp2269 ай бұрын

    공감 합니다...........교육개혁이 있지 않으면.....................이나라는 죽는다.....................출산률 저조도 교육제도 때문에 온다.................

  • @aquinas851
    @aquinas8519 ай бұрын

    교수님 말씀에 전적으로 동의하나 우리나라는 글렀습니다.

  • @imk.7029
    @imk.70299 ай бұрын

    진정한 진보. 죄파가 존재해야 한다. 현재는 절대 아니다.

  • @user-dq1kg9ec1z

    @user-dq1kg9ec1z

    9 ай бұрын

    보수는 없애야 되겠죠 그들이 막는것도 많아요

  • @user-kl1es8gp6f
    @user-kl1es8gp6f9 ай бұрын

    거시적인 눈이 작은 아이들이 무슨 잘못이겠어요. 우리 성인들이 이렇게 만든거죠ㅜㅜ

  • @user-uq8si1jt2n
    @user-uq8si1jt2n9 ай бұрын

    죽었다. 죽었어. 죽는다. 죽음뿐인 사회. 짐승들만 현존하는 사회. 죽은 시인의 사회. 6. 8. 혁명이 없는 사회. 비사유를 원하는 사회. 정신불능의 사회. 비관 그 자체의 세계. 죽음뿐인 사회.

  • @user-vv3gu8po2m
    @user-vv3gu8po2m2 ай бұрын

    "한국 교육의 혁명" 지지 공감 합니다~~~

  • @user-mp4cn2yx7o
    @user-mp4cn2yx7o9 ай бұрын

    왜 한국 교육은 안바뀌고, 사회의식도 안바뀌는걸까요?

  • @user-ni8nq8hz8e
    @user-ni8nq8hz8e8 ай бұрын

    독일이 변화한 시발점이 정치가 개혁해서 국민들이 따라온게 핵심인지 궁금합니다. 학부모로서 우리가 혁명을 일으켜서 아이들을 구해야 하는건지 정치제도부터 바뀌어 학교제도가 바뀌고 입시방식이 바뀌고 하면 빨리 바뀔건 같아요. 부모들은 제도에 따라가거든요. 지금은 부모가 욕심이 목에찬것으로 빗대어지는데 부모는 사교육을 해야 입시에 성공한다고 하니 울며겨자먹기로 시키는 겁니다. 아이들은 살인적인 일상입니다. 미치지 않는게 신기하고 고마울 정도예요. 책을 만권 읽고 입시에서 자기생각을 쓰게 한다 라고 하면 그렇게 바로 다음날부터 태세전환을 할겁니다. 입시에서 부모가 올바른생각으로 내아인 사교육 안시켜 라고 하면 대학을 못가고 취직도 안되고 가난으로 전락하는 사회. 그래서 똑똑한 젊은이들이 찾은 방안이 부모가 안되어야겠다라는 출생률0.53의 현실입니다. 변화의 스텝을 알려주세요. 대학 서열을 없애려면 프랑스 대학제처럼 해라. 독일처럼 졸업시험만 봐라. 이런 것을 하기 위해 1차적으로 사회보장제도가 되어야 할 것같은데 그럼 세금을 더 걷어서 복지제도를 더 구축해야 가능한건지.. 스텝바이스탭을 제시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왜냐 너무 뜬구름 같은 얘기에는 사람들이 그게 되겠어 말이야 좋지 합니다.

  • @user-ns7qq3rc9m
    @user-ns7qq3rc9m8 ай бұрын

    교사의 정치기본권은 반드시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

  • @user-wq7vs1yc1q
    @user-wq7vs1yc1q9 ай бұрын

    촛불집회 때 각 분야의 개혁을 바랬습니다. 알고보니 교육 개혁이 모든 문제의 중심이군요. 열매는 정치권이 독식하고 여전한 오늘입니다. 빌리 브란트같은 위로부터의 변화는 난망한 일이고 학생 학부모 교사들이 이백만명 정도 광화문에 모이는 해법은 가능할 지 역시 부정적입니다. 결국 촛불신당의 출현 외에 현실성은 없다고 봅니다.

  • @user-ur5ho2uw8r

    @user-ur5ho2uw8r

    8 ай бұрын

    그 놈의 촛 불ㆍ촛불 ㆍ북한에서 존 나 들더만

  • @user-dv1cx5pi4q
    @user-dv1cx5pi4q2 ай бұрын

    모두가 부동산 가진자들이 부자가 된 상대적박탈감이 초래한 결과다. 그래서 젊은이들이 고개숙이고 결혼할 의지도 없다.

  • @TV-jo2lm
    @TV-jo2lm6 ай бұрын

    한국의 자본주의는 제국주의 침략속에서 한민족의 민족과 국가를 지켜내기위한 생존전략이 아루어낸 특이한 자본주의이며 우리에게는 아직도 이러한 자주와 자강의 자본주의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 @dhch716

    @dhch716

    6 ай бұрын

    특이한 자본주의가 아니라,"만주국"의 사회시스템을 얘기하나 보네..ㅎ

  • @ps-tl4ls
    @ps-tl4ls10 ай бұрын

    업로드 감사합니다.

  • @seonglee8294
    @seonglee82948 ай бұрын

    11:25 대한민국은 끝났다고 봅니다. 제인생도 끝났고요

  • @user-yg7ou9ni5f
    @user-yg7ou9ni5f8 ай бұрын

    바로 오늘, 지금, 2023년 10월 1일 일요일 19시경부터 한국의 유일무이한 교육방송 EBS에서 소위 수백억대 소득의 일타 강사로 유명세를 타고있는 ㅇㅇㅇ을 출연시켜 극단의 자본주의화된 성공? 사례가 방송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교육방송도 이미 재벌화된 사교육 사설학원에게 점령 당했다는 겁니다.

  • @user-pf1eo7hd1k
    @user-pf1eo7hd1k9 ай бұрын

    마음이 좁은 자는 얼굴에 쓰여 있습니다 작년에 당신의 글을 읽고 알지 못했던 사실, 생각지 못했던 교육 사건, 교육 현실, 국가 현실 등등을 많이 알았습니다 물론 독일의 현실에 짜맞추기도 어렵고 첩첩산중 풀어야 할 과제가 도저히 우리 손으로는 어떤 것도 해결못함 물론 당신도 어떤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해결못한 난제로 책을 쓰고 강연을 하고 뚜렷한 해결책을 내놓고 논의 합시다

  • @TV-jo2lm
    @TV-jo2lm6 ай бұрын

    한국자본주의가 야수자본주의임은 사실이며 강대국의 지정학적인 구조속에 나타난 전략이며 인간의 존엄성을 교육이 지향하기에는 이르다고 봅니다

  • @Perfect_day6
    @Perfect_day69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의 듣고 싶은 고2아들이 교수님책을 중1때부터 접하고 꿈을 키워나가고 있습니다. 현재는 고2가 되었고 교수님 강연 너무 듣고 싶습니다ㅠ 방법이 없을까요?ㅠㅠ

  • @user-bl4nc4fg5g
    @user-bl4nc4fg5g9 ай бұрын

    다 좋은데 모든 강연이 녹음기 틓어놓은 듯 똑같아지네여

  • @user-pf1eo7hd1k
    @user-pf1eo7hd1k9 ай бұрын

    세게에서 자살률이 가장 높은 나라 해결책을 찾아 솔선수범 해본적 있나요? 당신은 부모 잘 만나 외국유학도 다녀오고 교수직을 얻었고, 이른바 엘리트 집안에서 부를 누리면서 살았고, 도중에 배 고파본 적 있나요?

  • @atom8844

    @atom8844

    9 ай бұрын

    그걸 개혁하려 하는 거잖소 누구나 배움에 차별을 받아선 안된다 대학서열화 해지방법도 말하고 다니고 계시죠 이게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합니디 힘냅시다 다음세대위해

  • @TV-jo2lm
    @TV-jo2lm6 ай бұрын

    공감은 하지만 너무 낭만적인 생각으로 구체적인 실천플랜이 없는 몽상입니다 독일의 아비투어는 기능공의 진로애 대하여 아무런 학부모의 항의가 없는 사회입니다

  • @user-bb6sc3rz5s
    @user-bb6sc3rz5s9 ай бұрын

    남녀 간 사랑(섹스 포함)을 안해 본 인간은 절대 "네 이웃을 내 몸처럼 사랑할"수 없다. 교육은 성교육부터 시켜야 한다.

  • @coolrain0919

    @coolrain0919

    9 ай бұрын

    ??????????

  • @user-co1rz5zd2u
    @user-co1rz5zd2u9 ай бұрын

    파시스트의 대표적인 곳이 검찰이다? 법치를 하지 말자는 뜻 인가요? 왜 갑자기 검찰로 화살을 돌리는지 궁금합니다

  • @janelee9376

    @janelee9376

    9 ай бұрын

    지금 검찰이 정의로운 집단인가요? 유전무죄 무전유죄가 가능토록 법을 입맛대로 농간하는 가장 가증스런 깡패집단이 됐잖아요!

  • @tomjonestevie

    @tomjonestevie

    9 ай бұрын

    검찰이 정상인가요? 정권 바뀌면 납작 엎드리고 잘못 저질러 놓고 반성 한다고 큰절하고 하면서 연명한 집단아닙니까. 검찰이 정상이라고 생각하세요? 어디서 법치라는 단어를 들이댑이까?

  • @JHSEO120
    @JHSEO1209 ай бұрын

    유럽 어학•문학 같은 잉여분야로 학생들의 피같은 등록금 강탈해 먹고 사는 주제에. 본인 양심부터 개혁하셔야지.

  • @chipmunkmoleskin1033

    @chipmunkmoleskin1033

    9 ай бұрын

    유럽 어문학이 잉여라니... 호메로스 베르길리우스부터 단테 셰익스피어 세르반테스, 로렌스 스턴 괴테 니체 쇼펜하우어 프루스트 카뮈 사르트르 등등 수많은 고대- 중세- 근현대 넘어오는 뿌리와 허리 곳곳에 스며들어있고 그걸로인해 지금 문화예술, 개인의 철학과 사상이 되고, 계속 변하는 법과 질서 선진문화가 된건데...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