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명언구절, 논어 술이편 해설 강의 1부

논어 명언구절, 논어 술이편 해설 강의 특강 1부
술이편 1장
교사: "나는 전달할 뿐 창작하지 않았고, 믿고 옛 것을 좋아함을 살며시 나의 노팽에 견주어 본다."라고 공자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공자가 스스로를 겸손하게 바라보며, 자신이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옛 것을 전달하고 믿으며 사랑한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노팽'은 학식이 높은 성현으로, 자신의 공부나 교육이 오래된 지식에 바탕을 둔 것임을 의미합니다. 그럼 이 문장을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요?
학생: 선생님, 옛 것을 사랑하고 전달하는 것에 대한 예시를 들어주실 수 있나요?
교사: 물론이죠. 예를 들어, 당신의 할머니가 오랫동안 가족에게 전해져 내려오는 전통 요리법을 가르쳐주신다고 생각해 보세요. 할머니는 새로운 요리법을 발명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들이 오랫동안 즐겨왔던 요리법을 그대로 전달하고, 그 맛과 방법을 지키는 것이죠. 공자께서도 마찬가지로, 자신이 옛 성현들의 가르침을 창작하지 않고 전달하며, 그것을 믿고 사랑한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학생: 아, 이해가 됩니다. 할머니가 요리법을 전수하는 것처럼 공자도 옛 성현들의 지식을 전수하는 거군요.
교사: 그렇습니다. 공자께서 스스로를 '노팽'에 견준다는 것은 자신이 새로운 것을 만들기보다는 오래된 지식을 소중히 여기고 그것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죠.
술이편 2장
교사: "배운 것을 묵묵히 기억하고, 배움을 싫증내지 않으며, 남을 가르치는 데 지치지 않으니, 이 모든 것이 나에게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공자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배움에 대한 끊임없는 열정을 표현한 말씀입니다.
학생: 선생님, 이런 열정을 어떻게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을까요?
교사: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학생이 좋아하는 스포츠나 악기를 생각해 보세요. 예를 들어, 피아노 연주를 좋아하는 학생이 있다고 합시다. 그 학생은 매일 연습을 하면서 배운 것을 잊지 않으려 노력하고, 연습하는 과정에서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또, 자신이 배운 것을 다른 친구들에게 가르쳐 줄 때도 지치지 않고 열심히 합니다. 이런 열정이 바로 공자께서 말씀하신 배움에 대한 자세입니다.
학생: 그러면 공자께서 말씀하신 것은 어떤 상황에서도 배움을 멈추지 말고,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것도 중요하다는 거군요.
교사: 맞습니다. 공자께서는 배움과 가르침에서 오는 기쁨과 성취감을 강조하신 것입니다. 이는 우리가 일상에서 끊임없이 배우고 가르치는 과정을 통해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술이편 3장
교사: "덕을 닦지 못하고, 배움을 탐구하지 못하며, 의를 듣고도 실천하지 못하며, 좋지 못한 것을 고치지 않는 것이 나의 걱정거리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자신의 내적 성장과 도덕적 실천에 대한 고민을 표현한 말씀입니다.
학생: 선생님, 이런 고민을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교사: 예를 들어볼게요. 만약 여러분이 시험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아서 성적이 좋지 않다면, 이는 곧 여러분이 배움을 탐구하지 못한 결과입니다. 그리고 친구에게 약속을 지키지 않거나 정직하지 못한 행동을 했다면, 이는 의를 실천하지 못한 것입니다. 나쁜 습관을 고치지 않아서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면, 그것이 바로 공자께서 걱정하셨던 부분입니다.
학생: 아, 그래서 공자께서는 자신의 행동을 끊임없이 반성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을 강조하신 거군요.
교사: 그렇습니다. 공자께서는 자신의 내적 성장을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술이편 4장
교사: 오늘은 술이편 4장을 공부해보죠. "공자께서 한가로이 계실 적에는 단정한 옷차림으로 행동이 느긋하고 여유가 있는 모습이셨다." 이 문장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학생: 음, 공자께서 한가할 때도 단정한 모습을 유지하셨다는 걸까요?
교사: 맞아요. 이 문장은 공자의 태도와 품격을 보여줍니다. 단정한 옷차림과 느긋한 행동은 공자의 내면적인 평온함과 질서를 나타내죠. 마치 우리가 집에서 편안하게 있을 때도 옷차림을 신경 쓰고, 행동을 조심하는 것과 같아요.
학생: 그러니까, 항상 격식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씀이신가요?
교사: 그렇죠. 예를 들어, 우리가 학교에서든 집에서든 항상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 것은 우리 자신과 타인을 존중하는 방법입니다. 공자께서는 이런 태도를 통해 제자들에게도 동일한 가르침을 주고 계십니다.
술이편 5장
교사: 다음은 술이편 5장입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심하도다, 나의 노쇠함이여! 오래되었도다, 내가 다시 꿈에서 주공을 뵙지 못한 지가.'" 공자께서 무엇을 말씀하시는 걸까요?
학생: 공자께서 나이가 들었다고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요?
교사: 맞아요. 여기서 주공은 주나라를 세운 위대한 인물로, 공자께서 매우 존경했던 분이죠. 공자께서는 나이가 들면서 주공의 이상을 실현하는 것이 어렵다고 느끼셨던 거지요. 마치 우리가 꿈을 꾸다가 현실에서 그 꿈을 이루기 어려운 것과 같은 느낌이랄까요?
학생: 그렇군요. 그래서 공자께서 꿈에서 주공을 뵙지 못했다는 것이군요.
교사: 맞아요. 이는 공자께서 자신의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느끼셨다는 의미죠. 우리도 때때로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느낄 때가 있지 않나요?
학생: 네, 저도 꿈이 있지만, 가끔은 그 꿈을 이루기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어요.
교사: 그렇죠.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 꿈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노력해야 합니다. 공자께서도 주공을 꿈꾸면서 그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셨듯이 말이죠.
술이편 6장
교사: 이번에는 술이편 6장을 봅시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도에 뜻을 두고, 덕을 근거로 하며, 인에 의지하며, 예법, 음악, 활쏘기, 마차운전, 서예, 수학에서 노닐어라.'" 이 문장은 무엇을 말하고 있을까요?
학생: 도와 덕, 인에 대해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요.
교사: 맞아요. 공자께서는 인생의 목표를 도(道)에 두고, 덕(德)을 기반으로 삼으며, 인(仁)을 의지하라고 가르치고 있어요. 이는 마치 우리가 인생의 가치를 중요시하고, 도덕적인 기준을 따르며,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인정을 베풀라는 뜻입니다.
학생: 그럼 예법, 음악, 활쏘기, 마차운전, 서예, 수학은 어떤 의미인가요?
교사: 이들은 모두 당시 교육의 중요한 부분이었죠. 예법과 음악은 사회적 예의와 감정을 다스리는 법을 배우는 것이고, 활쏘기와 마차운전은 신체적 기술과 용기를 키우는 것, 서예와 수학은 지적인 훈련을 의미해요. 현대적으로 말하자면, 우리는 다양한 분야에서 균형 잡힌 교육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이 될 것입니다.
학생: 아, 그래서 공자께서는 여러 가지를 배우라고 하신 거군요.
교사: 그렇죠. 다양한 학문과 기술을 통해 우리는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어요. 공자께서도 제자들에게 여러 가지를 배우고 익히라고 강조하셨어요.
술이편 제 7장
교사: 자, 오늘은 술이편 제 7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속수(육포) 이상의 예를 행한 자에게는 내 일찍이 가르치지 않은 적이 없다."라고 하셨습니다. 이게 무슨 뜻일까요?
학생: 음... "속수 이상의 예를 행한 자"라는 말이 좀 어렵네요.
교사: 맞아요. 이 문장은 공자가 사람을 가르칠 때 기준을 말하고 있어요. "속수"는 말 그대로 육포인데, 이는 예를 다하는 작은 행동을 말해요. 그러니까 작은 예절이라도 행하는 사람에게는 공자가 반드시 가르침을 주었다는 뜻이죠. 쉽게 말해서,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 사람에게는 공자가 가르침을 주었다는 거예요.
학생: 아, 그러면 예의가 중요하다는 말씀이군요?
교사: 맞아요. 일상생활에서도 우리가 작은 예절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죠. 예를 들어, 친구에게 작은 선물을 주거나, 어른에게 인사를 하는 것처럼요. 그런 작은 예절을 지키는 사람이 더 큰 가르침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다는 의미예요.
학생: 이해가 됐어요. 작은 예절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이군요.
술이편 제 8장
교사: 다음은 술이편 제 8장입니다. "스스로 분발하지 않으면 이끌어주지 않고, 표현해내지 않으면 일깨워주지 않으며, 하나를 가르쳐주면, 나머지 세 가지를 스스로 알아내는 모습을 보이지 않으면 반복해서 가르치지 않는다." 이 문장은 공자가 제자를 어떻게 가르쳤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학생: 여기서 "분발"이라는 말이 무슨 뜻인가요?
교사: "분발"은 스스로 노력하는 것을 말해요. 공자는 제자들이 스스로 노력하지 않으면 이끌어주지 않았고, 자신이 이해한 것을 표현해내지 않으면 일깨워주지 않았다는 뜻이에요. 그리고 하나를 가르쳐주면 그 나머지 세 가지를 스스로 알아내는 모습을 보여야 반복해서 가르치지 않았다는 거죠. 이는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노력하고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태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말해요.
학생: 그러니까, 스스로 노력하고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씀이시군요.
교사: 맞아요. 일상생활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많아요. 예를 들어, 운동을 할 때 코치가 모든 동작을 일일이 설명해주기보다는, 기본 동작을 가르치고 나면 나머지는 스스로 연습하면서 몸에 익히는 것이 중요하죠. 그렇게 해야 더 빨리 실력이 향상되잖아요.
학생: 네, 저도 축구를 할 때 기본 동작을 배운 후에 많이 연습하면서 실력이 늘었어요. 이해가 됩니다.
술이편 제 9장부터 19장까지는 블로그를 참고바랍니다.
논어 술이편 강의 대본은 Chat GPT에서 생성하였습니다.
블로그에서 원문과 주석, 해석을 자세히 보기
blog.naver.com/creidea7/22314...
논어 술이편 강의 동영상은 브루에서 제작하였습니다.
이미지는 빙에서 생성하였습니다.
#논어, #술이편, #공자, #논어, #논어구절, #논어문장, #논어명언, #논어책

Пікірлер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