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명언구절, 논어 선진편 해설 강의 1부

논어 명언구절, 논어 선진편 해설 강의 특강 1부
선진편 1장
교사: "예악을 먼저 공부하는 사람은 서민이고, 예악을 나중에 배우는 사람은 귀족이라 할 것이다. 만일 그 중 등용한다면, 나는 예악을 먼저 배운 쪽을 택하겠다." 이 말씀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학생: 예악을 먼저 공부한 사람은 서민인데, 그들을 더 높이 평가하신다는 의미인가요?
교사: 맞아요. 예악은 예의와 음악을 말하는데, 공자는 예악을 먼저 배운 사람이 더 근본적으로 중요한 덕목을 갖춘 사람으로 보았어요. 서민이더라도 예악을 먼저 배운 사람이 더 올바른 사람이기 때문에 그들을 등용하겠다는 뜻이죠.
학생: 그렇다면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예악을 먼저 배우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교사: 예악은 단지 예의와 음악을 배우는 것만이 아니라, 인간 관계와 사회 질서를 배우는 과정이기도 해요. 그래서 예악을 먼저 배우는 것이 더 중요한 가치관과 윤리의식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되죠.
선진편 2장
교사: "진나라와 채나라에서 나를 따라다니며 고생했던 제자들이 지금은 모두 문하에 없구나." 이 말씀은 어떤 상황에서 나온 걸까요?
학생: 공자께서 제자들과 함께 고생하던 시절을 회상하는 말씀이신가요?
교사: 네, 공자는 어려운 시절에 함께 고생한 제자들을 그리워하고 있습니다. 이는 스승과 제자 간의 깊은 유대감을 보여주고 있죠.
학생: 우리도 친구나 가족과 함께 어려움을 겪을 때 더 강한 유대감을 느끼는 것과 같은 맥락이군요.
교사: 맞습니다. 공동의 고난을 겪는 것이 사람들을 더 단단히 묶어줍니다. 공자께서는 그런 관계를 소중히 여기셨죠.
선진편 3장
교사: "덕행에는 안연, 민자건, 염백우, 중궁이 뛰어났다. 언어에는 재아와 자공이 뛰어났다. 정치에는 염유와 계로가 뛰어났다. 학문에는 자유와 자하가 뛰어났다." 여기서 덕행, 언어, 정치, 학문이 각각 무엇을 의미할까요?
학생: 덕행은 도덕적 행위, 언어는 말재주, 정치는 나라를 다스리는 일, 학문은 지식을 쌓는 일을 말하는 것 아닌가요?
교사: 네, 정확해요. 공자는 제자들의 특출난 분야를 언급하며 그들을 칭찬하고 있어요. 이는 사람마다 강점이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죠.
학생: 우리도 각자의 강점을 살려서 서로 돕고 협력해야겠네요.
교사: 그렇죠. 각자의 강점을 발휘하는 것이 팀워크와 공동체 생활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선진편 4장
교사: "회(안회)는 나를 돕는 자가 아니다, 내 말에 대해 기뻐하지 않는 바가 없었다" 이 말씀은 어떤 의미일까요?
학생: 안회는 공자의 모든 말씀을 기쁘게 받아들였다는 뜻인가요?
교사: 맞아요. 안회는 공자의 말씀을 항상 진심으로 받아들이고 기뻐했어요. 이는 스승에 대한 깊은 존경과 신뢰를 보여줍니다.
학생: 우리가 존경하는 사람의 말을 기쁘게 받아들이는 것과 같네요.
교사: 그렇습니다. 존경과 신뢰가 깊을수록 그 사람의 가르침을 더 잘 받아들이게 되죠.
선진편 5장
교사: "효성스럽구나, 민자건이여! 그의 부모형제가 그를 칭찬하는 말에 사람들이 의심을 품지 않는구나." 여기서 효성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학생: 부모에 대한 효도와 형제에 대한 사랑을 의미하는 것 아닐까요?
교사: 맞습니다. 효성은 부모와 형제에 대한 사랑과 존경을 의미해요. 민자건은 그러한 덕목을 잘 실천하는 사람으로 칭찬받고 있죠.
학생: 우리도 가족 간의 사랑과 존경을 잘 실천해야겠네요.
교사: 네, 가족 간의 관계를 잘 유지하는 것이 사회적 덕목의 기본이 됩니다.
선진편 6장
교사: "남용은 시경에 나오는 백규라는 시를 여러 번 반복해서 외우자, 공자께서는 형의 딸을 남용에게 시집보냈다." 이 말씀은 어떤 상황을 말하는 걸까요?
학생: 남용이 시경을 잘 외워서 공자가 그를 높이 평가한 것 아닌가요?
교사: 그렇습니다. 남용의 학문적 열정과 능력을 공자가 높이 평가하여 그를 신뢰하게 되었죠. 이는 능력을 인정받은 사례라고 할 수 있어요.
학생: 학문에 대한 열정과 능력이 신뢰를 받는 데 중요하군요.
교사: 네,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 신뢰를 얻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선진편 7장
교사: "계강자가 물었다. '제자 중에 누가 배우기를 좋아합니까?'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안회라는 제자가 배우기를 좋아하였는데, 불행히도 명이 짧아 일찍 죽어 지금은 그런 사람이 없습니다.'" 이 말씀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요?
학생: 배움에 대한 열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울 수 있을 것 같아요.
교사: 맞아요. 안회는 배움을 좋아하는 제자였고, 공자는 그런 안회를 높이 평가하셨죠. 배움에 대한 열정이 중요한 덕목임을 보여줍니다.
학생: 우리도 배움을 지속적으로 좋아하고 추구해야겠네요.
교사: 그렇죠. 배움에 대한 열정이 개인의 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선진편 8장
교사: "안연이 죽자, 부친인 안로가 공자의 수레를 팔아서 안연의 겉관을 만들어 달라고 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재주나 재능이 있거나 없거나 역시 각자 자기 아들을 위해 하는 것이다. 내 아들 리가 죽었을 때도 속관은 있었지만 겉관은 없었다. 나는 걸어 다니면서까지 겉관을 만들어 주지 않았다. 내가 말석이나마 대부의 지위에 있었기 때문에 걸어 다닐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말씀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학생: 자신의 자식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의미인가요?
교사: 네, 맞아요. 하지만 공자는 현실적인 한계를 인정하면서도,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한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는 무리한 욕심을 부리지 않고 현실을 받아들이는 자세를 보여줍니다.
학생: 우리도 현실적인 한계를 인정하고 최선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군요.
교사: 그렇습니다. 현실을 받아들이고 그 안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진편 9장
교사: "안연이 죽자, 공자께서 애통해 하셨다. '아! 하늘이 나를 저버리는구나! 하늘이 나를 저버리는구나!'" 이 말씀에서 공자의 마음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요?
학생: 공자가 안연의 죽음에 대해 깊이 슬퍼하셨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교사: 네, 공자는 안연을 매우 아끼셨고 그의 죽음에 깊이 슬퍼하셨습니다. 이는 스승과 제자 간의 깊은 유대감을 보여줍니다.
학생: 우리도 소중한 사람의 죽음을 슬퍼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감정이군요.
교사: 맞습니다. 슬픔을 표현하는 것은 인간다운 감정이며, 그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진편 10장
교사: "안연이 죽자, 공자께서 통곡을 심하게 하셨다. 따르는 제자들이 '지나치게 통곡하십니다'라고 하자, 공자께서 '심하게 통곡하였느냐? 이 사람을 위해서 통곡하지 않으면 누구를 위해서 통곡하겠느냐?'라고 말씀하셨다." 이 말씀에서 공자의 슬픔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요?
학생: 공자가 안연을 매우 아끼셨고 그의 죽음에 대해 깊이 슬퍼하셨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교사: 네, 공자는 안연을 매우 아끼셨고 그의 죽음에 깊이 슬퍼하셨습니다. 이는 스승과 제자 간의 깊은 유대감을 보여줍니다.
학생: 우리도 소중한 사람의 죽음을 슬퍼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감정이군요.
교사: 맞습니다. 슬픔을 표현하는 것은 인간다운 감정이며, 그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진편 11장
교사: 안연(안회)이 죽자 문인들이 그를 성대하게 장례를 지내려 하였다. 공자께서 "그렇게 해서는 안된다"라고 말리셨으나, 문인들은 성대하게 장례를 치렀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안회는 나를 아버지처럼 대해 주었는데, 나는 그를 아들처럼 대할 수 없게 되었구나. 나 때문이 아니라 저 제자들 때문이다." 라고 말씀하셨다." 이 말씀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학생: 공자가 안연을 자신의 아들처럼 여겨서 형식적인 의식보다는 마음이 담긴 소박하면서도 가족적인 장례를 치루고 싶었다는 뜻인가요?
교사: 네, 맞아요. 공자는 안연을 매우 아끼셨고 그의 죽음을 매우 슬퍼하셨습니다. 이는 스승과 제자 간의 깊은 유대감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자식처럼 생각하는 안연의 장례는 허례허식에 치우치기 보다는 정성과 슬픔을 담아 조촐하게 치루고 싶었다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학생: 우리도 소중한 사람의 죽음을 슬퍼하는 것은 겉으로 드러나는 형식보다는 마음과 정성을 담아야 한다는 가르침이군요.
선진편 12장
교사: "계로가 귀신을 섬기는 일에 대해 여쭈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아직 사람도 제대로 섬기지 못하는데, 어떻게 귀신을 섬길 수 있겠느냐?'라고 하셨다. 계로가 또 '감히 죽음에 묻겠습니다.'라고 하자 공자는 '아직 사는 것도 잘 모르는데, 어떻게 죽음을 알겠느냐?'라고 하셨다." 이 말씀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학생: 사람을 제대로 섬기지 못하면 귀신도 제대로 섬길 수 없고, 사는 것을 모르면 죽음도 알 수 없다는 의미인가요?
교사: 맞아요. 공자는 우리가 먼저 현실에서 사람들을 잘 섬기고 살아가는 법을 알아야 한다고 강조하셨습니다. 사람과의 관계를 소홀히 하고 귀신이나 죽음에 대해 알기를 바라는 것은 본말이 전도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일상에서 가족이나 친구와의 관계를 소홀히 하면서 신앙이나 철학에만 몰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겠죠.
선진편 13장부터 25까지와 총평은 블로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논어 선진편 강의 대본은 Chat GPT에서 생성하였습니다.
블로그에서 원문과 주석, 해석을 자세히 보기
blog.naver.com/creidea7/22314...
논어 선진편 강의 동영상은 브루에서 제작하였습니다.
이미지는 빙에서 생성하였습니다.
#논어, #선진편, #공자, #논어, #논어구절, #논어문장, #논어명언, #논어책

Пікірлер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