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발달은 이미 ‘돈’으로부터 정해져있다? 돈으로 인해 뇌마저 대물림 되는 불편한 현실│부의 불평등이 심각한 사회문제인 이유│돈이 뇌에 미치는 영향│다큐프라임│

이 영상은 2020년 3월 31일에 방송된 <다큐프라임 - 뇌로 보는 인간 1부 ‘돈’ : 인간은 왜, 돈을 좋아하지만 제대로 다루지 못할까>의 일부입니다
인간이 돈을 만든 것은 20만년 인간의 역사에서 아주 최근의 일이다. 우리의 뇌는 아직 돈을 잘 다룰 만큼 진화하지 못했다. 뇌는 돈을 식욕, 성욕처럼 생존에 꼭 필요한 것이라 여기고, 민감하게 반응하고 절박하게 매달린다. 그래서 인간이 만들어낸 ‘돈’의 마력에 휘둘리며 산다.
인간의 뇌는 돈이 많고 적음에 아주 예민하게 반응한다. 인간의 뇌는 돈이 많아지면 공감 능력을 담당하는 미주 신경(Vagus Nerve)의 활동이 저하 되고, 돈이 적어지면 인지 능력이 저하된다. 인간에게는 돈이 많아도 문제, 돈이 적어도 문제이다. 우리는 이런 뇌로 자본주의를 잘 살아가고 있는 걸까?
뇌로 보는 인간 1부 돈편에서는 돈이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인간은 오래된 뇌로 복잡한 자본주의를 잘 살아가고 있는지 알아본다. 인간이 겪는 문제도, 해결책도 모두 뇌 안에 있다.
✔ 프로그램명 : 다큐프라임 - 뇌로 보는 인간 1부 ‘돈’ : 인간은 왜, 돈을 좋아하지만 제대로 다루지 못할까
✔방송 일자 : 2020.03.31
#뇌로보는인간 #다큐프라임 #돈 #부의불평등 #경제 #경제다큐 #자본주의 #가난의대물림 #부의대물림

Пікірлер: 403

  • @user-yp7cs6do3m
    @user-yp7cs6do3m8 күн бұрын

    가난한 어린시절을 보냈고 불만과 분노로 꽉 차있었지만 ..그후 착한남편 만나 차근차근 살림을 키워가며 아들 딸도 잘키웠네요.지금은 시골서 만족하며 삽니다..비교 말고 주어진 것에 감사하며 최선을 다하면 행복한 삶이 되는 것같습니다

  • @emiral8847
    @emiral884722 күн бұрын

    맹모가 옳아. 결국 주변 환경이라는게 엄청난 영향임. 그 영향 중에서도 큰게 부모.

  • @ssamj777

    @ssamj777

    22 күн бұрын

    부모가 생각하는게 버러지면 손절이 답이다. 그 부모 말 듣다간 평범한 인생 살다가 가는거

  • @yoonbly9331

    @yoonbly9331

    9 күн бұрын

    강남 8학군을 기를 쓰고 들어가야 하는 이유가 과학적으로 증명이 되는 순간 ㄷㄷㄷ 스카이캐슬같은 드라마로 그들을 풍자했지만 현실은 그들이 옳은 세상이라는 불편한 진실 실제로 가난한 사람들은 부자들이 망가지는 드라마를 재밌어하고 좋아한다 자신의 현실의 괴리를 그렇것들로 대리 만족하기 때문이다

  • @user-qv7mk8gk9e
    @user-qv7mk8gk9e21 күн бұрын

    부의 대물림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여러 번 도전해도 되는 가정환경, 자포자기보다는 자신감있는 마인드, 부모로부터 배우는 생활태도 등인 것같네요.

  • @hipdream2023

    @hipdream2023

    20 күн бұрын

    실패할 수 있는 자유가 가난한 집에서는 없죠. 실패하지 않을 만큼만 도전하고 실패하면 다 같이 죽는다는 두려움이 다른 생각을 할 수 없는게 제일 큰 문제같아요

  • @user-iz3gy2dg9r
    @user-iz3gy2dg9r22 күн бұрын

    돈걱정없으면 다양한 방면으로 관심을 가질수있으므로 뇌가 더 활성화될거고 말하자면 좀 똑똑해질 가능성있음

  • @user-gv8hw9ul6s

    @user-gv8hw9ul6s

    21 күн бұрын

    ㅇㅈ 어릴 때 부모님이 힘든 와중에도 뭐 사줄까? 어디 갈까? 하면 항상 돈생각해서 아냐 괜찮아만 반복했더니 성인되서 세상 보는 안목이 남들보다 떨어지는걸 느꼈음

  • @user-xm2wx3uf8h

    @user-xm2wx3uf8h

    20 күн бұрын

    ​@@user-gv8hw9ul6s엄마가 미안해 하지만 난 니가 나보다 훨씬 똑똑하게 잘 살거라 믿어의심치 않어 사랑한다

  • @user-xs5jt3gb8g

    @user-xs5jt3gb8g

    20 күн бұрын

    ​@@user-gv8hw9ul6s요즘 그래서 지역별로 은근 축제 많이 열드라고요.. 무료 박물관도 많고..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각종 체험형 행사 안내)과 종로 박물관투어 현대미술관투어 추천...그렇다고 갈증이 다 해소가 되진 않겠지만, 없는 거보단 나음

  • @e0173

    @e0173

    20 күн бұрын

    @@user-xm2wx3uf8h그 부모도 늙어서는 미안해 엄만 괜찮아 달고살면 자식은 정신만 피폐해지지 잘사는애들 부모들 하나같이 요령안피우고 치열하게 사는거 보고 배워서 그런 저질스런말 안함 ㅋㅋ

  • @user-zb2ru2dq6n

    @user-zb2ru2dq6n

    15 күн бұрын

    꼭 그지만 않는게 돈이 있으면 뇌발달보다는 말초적인 거에 도파민중독이 되기도 쉬움. 결국 적정 수준의 돈이 뇌발달에 최적의 환경이 되고, 아무리 최적의 환경이라도 공부에 관심이 없으면 안 됨.. 돈질에도 한계가 있음...

  • @user-ci5gz9to2j
    @user-ci5gz9to2j22 күн бұрын

    가난...진짜 무서워요 너무 공감합니다 포기를 금방 배우더라고요 어차피 안되는거 알고.... 실제로는 될수있고 붙을수있는데말이죠...

  • @user-xr1nt9ku3t

    @user-xr1nt9ku3t

    19 күн бұрын

    아 내가 포기가 빠른게 현명한게 아니라 가난해서 였구나 ㅋㅋㅋㅋ

  • @eliot9622

    @eliot9622

    18 күн бұрын

    당연한 결과죠... 부자들은 실패해도 다음 기회가 있는 반면 가난한 이들은 실패엔 두번의 기회가 없으니 차선을 향한 포기가 빨라질 수밖에요.

  • @sksinfndkxk7

    @sksinfndkxk7

    17 күн бұрын

    부자. 도전-> 실패->도전->실패->도전-> 성공. “역시 노력하면 다 되는구나. 게으른 사람들이 언제나 불평하지.” 가난. 도전->실패->죽음. “( )” 전 요즘 부자올려치기 하는 대한민국이 너무나 두렵습니다. 유튜브 댓글 보면 대부분이 중소기업, 자영업하는 거지 서민 주제에 시건방지게 부자 코스프레 하고 누구의 목줄이 더 빛나는지 부자 추앙해주면서 희열을 느끼고 있더군요. 참 한심하고 벌레같은 인생이 따로 없더군요. 또 뭔 강남사람들은 다 인성이 좋다니 뭐니 뭔 개소리를 하지 않나 ㅋㅋㅋㅋㅋㅋㅋㅋ 금방 생각해봐도 정신병적으로 부자를 치켜세우는 사람들을 너무나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아마 자신의 거지같은 인생을 부정하기 위해 부자에게 자아의탁하여 일종의 리플리 증후군이 아닐까 싶을 정도네요.

  • @user-ql1ig5lr2q

    @user-ql1ig5lr2q

    6 сағат бұрын

    잘생각해보세요 ㅋㅋㅋ 과연 내가 빌게이츠보단 더 열심히 사는가 아니면 망나니로 사는가

  • @user-uy8pd1cl3r
    @user-uy8pd1cl3r19 күн бұрын

    확률적으로 부자 부모님들은 계속 뭔가 배우고 공부하고 도전을 많이 합니다... 가난한 부모님들은 다는 아니지만 부자 부모님들보다 공부를 덜하고 도전을 덜합니다..

  • @EastSnow

    @EastSnow

    18 күн бұрын

    넉넉하면 실패해도 리스크가 적죠. 얼마든 재도전 가능하니까요. 가난하면 한 번 삐끗하면 끝입니다.

  • @sksinfndkxk7

    @sksinfndkxk7

    17 күн бұрын

    ⁠​⁠@@EastSnow 이런 당연한 말도 해줘야 하는 게 저 인간의 지능이 매우 심각해 보이네요. 여유가 있으니까 당연히 배우고 도전할 기회가 있는 건데 뭔 성선설, 성악설 마냥 부자는 dna자체가 노력하고 도전하고 공부하는데 가난한 부모는 게으르고 노력 안 한다는 듯 한심한 소리만 하네요 ㅋㅋㅋㅋㅋㅋㅋ

  • @sssydmdd

    @sssydmdd

    12 күн бұрын

    자본주의에서 가난한건 본인탓임 ㅇㅇ.

  • @Curse_of_Leo
    @Curse_of_Leo22 күн бұрын

    "젊어서 돈이 최고라 생각했다. 나이가 들어서 그것이 사실이었음을 깨달았다." -오스카 와일드

  • @supark_

    @supark_

    22 күн бұрын

    오스카와일드도 2024년에 살고있다면 이런말 않했을것~~~돈이 최고는 이니지만 많은 일에 필수요소가 됨😅

  • @legeno-

    @legeno-

    22 күн бұрын

    @@supark_ 건강도 돈으로 사는데 최고지

  • @user-ng7hd9dy7k

    @user-ng7hd9dy7k

    21 күн бұрын

    인간고뇌의 99%는 돈과 관련되어있다-인도속담-

  • @BlueSkyl004

    @BlueSkyl004

    17 күн бұрын

    ​@@supark_어리석구나

  • @JohnB-hm5nf

    @JohnB-hm5nf

    16 күн бұрын

    자본주의의 유일한 단점은 빈익빈부익부의 가속화 정도껏 해야하는데 그 폭이 너무 큼

  • @user-rg2vt2sj6p
    @user-rg2vt2sj6p18 күн бұрын

    "가난"한 부모를 만나면 "가난"을 먼저 배웁니다... 매번 "돈 돈 돈" 그러면서 부모 본인들은 바꾸려 하지 않습니다. 그러면서 간섭은 더더욱 심해집니다

  • @user-no8gg9yw9m

    @user-no8gg9yw9m

    17 күн бұрын

    그리고 매사 투자개념이 전혀 없습니다 자식농사에서도 투자가 필요한데 알아서 공부해주길 바라고 알아서 말잘듣고 자라주기만을 바라고 성인되면 알아서 취직 잘해서 집안에 보탬되겠지 안일한 생각이 주를 이룹니다. 가난해도 잘되는 집은 마인드라도 가난하지 않았고 자녀에게 부정적태도가 없고 끝없는 관심과 없는 형편에도 믿고 밀어주는 마인드...결국은 시간이 흐르면 그런 집안은 잘됩니다. 근데 가난속에서 대부분 그걸 못하고

  • @-investment_techniques_story
    @-investment_techniques_story22 күн бұрын

    제가 한 번 극복해보겠습니다!

  • @user-yz1kc6mc1h

    @user-yz1kc6mc1h

    19 күн бұрын

    굿굿!👍

  • @-investment_techniques_story

    @-investment_techniques_story

    19 күн бұрын

    @@user-yz1kc6mc1h 응원 감사합니다!

  • @irumiiru

    @irumiiru

    19 күн бұрын

    힘 내봅시다.

  • @user-mb4gd4ik3f

    @user-mb4gd4ik3f

    18 күн бұрын

    할 수 이따

  • @user-on5mg8uw3i

    @user-on5mg8uw3i

    18 күн бұрын

    맞아 가난은 하나님도 어떻게 못함 단지 하나님은 번성하고 정복할 수 있다고 누구에게나 열어두셨다 당신의 이름으로 자기개발서 코너에 책한권 똭 올려져 있길 기대한다

  • @user-ou5dp4ke1w
    @user-ou5dp4ke1w22 күн бұрын

    가난보다는 가난으로 인한 부모의 스트레스가 아이들 지능에 영향이 크다는 것이지,!!!

  • @aaaaa75

    @aaaaa75

    22 күн бұрын

    그게 그거자나요...

  • @yeonghwankang8416

    @yeonghwankang8416

    22 күн бұрын

    머가 그게 그거야 아후!!!

  • @Spharkling

    @Spharkling

    22 күн бұрын

    ​@@aaaaa75 가난해도 스트레스 받지 않는다면?

  • @user-ri7rh7ui2v

    @user-ri7rh7ui2v

    22 күн бұрын

    @@Spharkling 돈이 많다고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건 아니지만 돈을 써서 스트레스 요인을 해결할수가 있다

  • @user-sq1lh5ff5n

    @user-sq1lh5ff5n

    22 күн бұрын

    @@yeonghwankang8416 결국 가난때문이네요

  • @ehrksl
    @ehrksl21 күн бұрын

    원래 부유하면 용감하고 부유하면 지혜롭게 모험적이고 진취적이고 관용도 베풀고 착하고 마 다합니다 ㅋㅋㅋ

  • @user-my3yc3is5w

    @user-my3yc3is5w

    17 күн бұрын

    마 다합니다 고마

  • @user-sj6uk7cd1z

    @user-sj6uk7cd1z

    13 күн бұрын

    ㅋㅋㅋ 진짜 이게 맞더라 자신감부터 다름

  • @gh-qh1xv

    @gh-qh1xv

    10 күн бұрын

    영화 기생충을 보면 가난한 것들이 더 사악하고 사회악임.

  • @soso-ii5ns

    @soso-ii5ns

    8 күн бұрын

    그 부를 착실하게 오로지 본인능력으로 벌었다면 인정

  • @user-my3yc3is5w

    @user-my3yc3is5w

    8 күн бұрын

    @@soso-ii5ns 그래야지 님 마음이 편함?ㅋㅋ

  • @gwisekor
    @gwisekor22 күн бұрын

    다 평등 할 수는 없지만 공정한 사회가 되야죠. 누구는 잔고증명 위조해서 몇백억을 벌어도 솜방망이 처벌을 받고, 주가조작을 해도 수사 받지 않고, 론스타가 외환은행 소유 할 수 없는데 알수 없는 팩스 5장으로 금감원이 허가해주는 이런 공정하지 못하니 문제가 되는 거겠죠. 모두가 평등 할 수는 없다. 단 공정은 해야 한다.

  • @user-ok4qu7mi9m

    @user-ok4qu7mi9m

    22 күн бұрын

    그러게요.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라는 달콤한 말로 국민을 속이며 지자식들은 특목고에 미국유학에 1년에 6000만원드는 대안학교 보내며 카르텔을 형성하고 법대교수랑 의대교수가 짜고 자식들 스펙만들어 의사시키고 판검사 시키기 쉬운 나라로 만들어 놓는 카르텔사회를 만들어 놓고도 뻔뻔하게 나만그런거 아니다 편법은 했지만 불법은 안했다는 기득권의 야비함. 사법고시 없앤 이유가 지자식들 로스쿨보내서 알음알음으로 끌어주고 정치입문시키려는 저들의 속내를 우리는 간파해야합니다. 대기업은 악이고 부자세습은 악의 근원이라며 지들은 지위세습이 가능한 제도로 국가의 사다리를 없애버리는 음모를 우린 알아야합니다. 혁신교육이니 뭐니하고 사교육 없는 나라 만든다니 머니하며 지자식들은 몰래 사교육시키는 것들. 그것들이 바로 사회악이죠. 더이상 그 기득권의 달콤한 말에 속아서는 안됩니다.

  • @ink3908

    @ink3908

    22 күн бұрын

    정답일세

  • @user-mg1jq1xw5u

    @user-mg1jq1xw5u

    21 күн бұрын

    누구는 문서위조를 해도 솜방망이로 좀만 살다 가석방도 되구요. 심지어 그런 범죄행위를 관례라며 쉴드치는 짐승들도 있더라구요. 심지어 음주운전을 해도 쉴드치고, 칼로 사람을 살해해도 높은사람 지인이라고 단순 데이트 폭력이라 폄하하구요. 성범죄 피해자보고 피해호소인이라 하지 않나.. 아니면 세금 삥땅치거나 법을 악용해 탈세한 사실조차 그걸 밝히면 명예훼손으로 처벌하겠다고 법안내구요. 진짜 공정은 사라졌죠

  • @JK-xy3zn

    @JK-xy3zn

    21 күн бұрын

    대장동 혐의나와도 김앤장급 변호사써서 활개치고 다니는건 쏙빼면 어떻게 합니까

  • @gwisekor

    @gwisekor

    21 күн бұрын

    @@JK-xy3zn 50억 클럽 돈 받은 사람들이 공범이겠죠. 누구든 돈 받으면 처벌을 받아야죠.

  • @esajam11
    @esajam1122 күн бұрын

    이미 정해져 있다고 믿으면 정해져 있는 거고. 본인의 잠재력을 믿고 새로운 세상을 마주하면 기회는 있는거고. 유튜브, 각종 서적 과거에 비해서 세상을 마주할 기회는 훨씬 늘어났다.

  • @gonran4661
    @gonran466122 күн бұрын

    당장 소득수준별로 애들한테 질문해봐도 답하는게 다르지 외부자극으로 부터 느끼고 배운다는데 스펙트럼 자체가 다르니까 크고 넓게보고 생각이 트이거나 당장 오늘 하루도 갇혀사는 애들은 그대로 생각이 틀에 갇혀서 굳어버리는데 해가갈수록 격차는 더 커질 수 밖에

  • @yejinirang5332

    @yejinirang5332

    21 күн бұрын

    ㅋㅋ 밑바닥서부터 올라간 사람 못이긴다.

  • @litgune_driving_lover
    @litgune_driving_lover22 күн бұрын

    보는 눈이 다르고 경험의 누적치가 다르다. 그래서 첫 자취는 무조건 싼곳이 아니라 비싸더라도 감당 가능한 수준에서 좋은곳을 얻으라고 하는거.. 환경은 그사람의 분위기가 되고 그 분위기는 생각을 바꾸고 생각은 행동을 행동은 운명을 바꾼다

  • @user-hf9gh1ov7i

    @user-hf9gh1ov7i

    22 күн бұрын

    저의 첫자취는 고시원이였고, 지금은 한강뷰 아파트에 삽니다. 제 경험에서선 환경이나 다른 요인은 중요한것 같지는 않아요. 인간다움을 잃지 않는게 중요하죠 차별없는 세상.......

  • @user-xs5jt3gb8g

    @user-xs5jt3gb8g

    20 күн бұрын

    ​@@user-hf9gh1ov7i고시원에 실 정도면 살던 집의 환경을 얼마나 좋게 꾸며놨냐가 아니라 어디를 어떻게 누볐느냐가 큰 차이를 만들지 않았을까요..? 고시원해봤자 침대책상화장실있는게 다니까..

  • @THEHORSFIELDII
    @THEHORSFIELDII19 күн бұрын

    아이를 낳으면 누구나 부모가 되지만 아이를 훌륭히 키우는건 부모가 되는 것과는 별개의 문제다. 아이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이끌어 주고 지원해주느냐에 따라 돌맹이서부터 보석까지 다양하게 될 것이다. 그대가 어른이고 독신인데 돌맹이같이 보잘 것 없다 생각하면 부모가 되려하지 말고 ,스스로에게 부모가 되어 자신의 능력과 가치관을 바꿔라! 비록 그대의 부모가 어리석고 탐욕적이어서 그대를 돌맹이로 버려두었다면 그들이 모자란 것이지 그대가 모자란게 아니다. 그러니 이제부터는 스스로가 보석이 되도록 해야한다. 스스로를 포기한 자는 누구도 구해주지 않고 그대를 길바닥의 돌맹이처럼 걷어찰 것이다. 잊지말라 소중한 것은 결코 땀과 희생없이는 얻을 수 없음을

  • @user-nr6bg7oj9p

    @user-nr6bg7oj9p

    13 күн бұрын

    감동을 주는글 감사합니다~ ❤

  • @user-so8ll7do9k
    @user-so8ll7do9k20 күн бұрын

    마시멜로 실험의 진실이 그렇다죠... 1개를 참으면 2개먹을 수 있는게 기다림이 인내심이 좋은게 아니었고... 1개를 못참고 빨리먹어버린애들들은 대부분 가난한 환경에 큰애들이었고 그아이들은 1개라도 기회가 있을떄 먹지못하면 못먹으니까....

  • @yes-4186
    @yes-418619 күн бұрын

    평등은 불가능 하지만 적어도 공정은 해야죠 주가 조작 서류조작 학력의조 경력위조 이런 사기꾼들이 처벌도 안받고 조사도 안받고 감옥가도 금방 풀려나고 이런건 언론에 나오지도 않고 적어도 공정은 해야 뭐라도 해보려고 하지 않겠냐고

  • @yoonyoon-fm3zl

    @yoonyoon-fm3zl

    18 күн бұрын

    맞음 부유한 친구들도 노력 함 근데 자기 노력이 다 전부 인줄 앎 예를 들면 아버지 건물 1층에서 카페를 해서 대박나면 그게 다 자기가 잘해서 그런줄 앎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거시 아버지 건물이고 월세 안낸건 비밀이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러면서 왜 당신들은 노력 안했냐고 뭐라함 ㅋㅋㅋ 마치 월급 코딱지만큼 주고서 주인의식 가지세요! 랑 비슷한 결이지 왜 주인의식을 갖지 못하는지에 대한 고찰은 쏙 빠지고

  • @user-mv7sx1cf4d

    @user-mv7sx1cf4d

    18 күн бұрын

    맞어. 전과 4범에다 여러재판을 받는자가 설치고, 또 빨아주는 세상이 불평등보다 훨 심각하지

  • @yes-4186

    @yes-4186

    18 күн бұрын

    @@user-mv7sx1cf4d 100원 훔쳐도 기소 되면 범죄자 되고 100억 훔쳐도 기소 안되면 범죄자가 안되는 대한민국 그건 모르시나봐요?

  • @soso-ii5ns

    @soso-ii5ns

    8 күн бұрын

    이거임 부자든 가난한자든 출발지점에서 똑같이 달려야지 물론 신체능력은 다르더라도 100미터 달리기에서 출발선은 같아야지 그게 공정한거지

  • @user-do4it8lv6m
    @user-do4it8lv6m15 күн бұрын

    저도 극복 해보겠습니다

  • @jhkim5388
    @jhkim538822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주변환경이 미치는 요소가 절대로 미미하지 않다는 것!!!

  • @jwo9737
    @jwo973722 күн бұрын

    원숭이 실험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양극화가 심해지면 결국 사회 시스템이 무너지는것을 볼 수 있음

  • @jwo9737

    @jwo9737

    22 күн бұрын

    그리고 이미 사회는 무너져가고있음

  • @36sjgxr9uvksv1

    @36sjgxr9uvksv1

    3 күн бұрын

    규칙이 무너지고 폭동이 일어남. 그래서 적절한 사회복지 시스템이 꼭 필요한거죠.

  • @user-lt7re6rx7n
    @user-lt7re6rx7n21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잘 사는 국가임 상위 5프로의 삶이 중산층의 삶이라고 착각하며 사느라 불행한것임. 작은 것에도 감사할 줄 알았음...

  • @sunflowerTC
    @sunflowerTC22 күн бұрын

    오늘 아이랑 큰 병원 갔는데..돈 30만원때문에 울었네요ㅠㅠ 하핫!

  • @user-me9ec3bq3l
    @user-me9ec3bq3l21 күн бұрын

    나 잘사는친구랑 못사는친구다있고 정상적인 아빠 흙출신엄마 둘다 보고 자라서 차이 ㅈㄴ큰게 느껴짐 나도 옛날부터 이게 되게 궁금했는데 요즘 느낀게 좋은환경이 좋은 유전자를 만들면서 환경이 시너지효과를 보는거같음 가끔 조상유전자받아서 부모가 이상해도 개천에서 용나는케이스들이 있긴한데 표본이적음 ㄹㅇ인게 가난하게 자란엄마는 성격 이상하고 아빠는 ㄱㅊ게 살아서 그런지 정상적임

  • @parkerjames7991

    @parkerjames7991

    15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요즘 결혼할때 동질혼 거리잖음

  • @user-gh9dc1rb9g
    @user-gh9dc1rb9g22 күн бұрын

    인간집단사회는 인간 개개인마다 기질과 재능차이가 있고 부의 불평등을 통해 각자 분업을 해서 돌아가는 시스템이다.

  • @tansicu
    @tansicu22 күн бұрын

    23:39 교수님...지킬박사와 하이드씨입니까?

  • @user-hr3dr1re2e
    @user-hr3dr1re2e19 күн бұрын

    이 다큐 진짜 좋았다

  • @user-zb2oz5bf2g
    @user-zb2oz5bf2g4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ej3jh5qo2w
    @user-ej3jh5qo2w22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인류에 전쟁이. 끝나지않는겁니다

  • @user-rz7zf3he5k
    @user-rz7zf3he5k6 күн бұрын

    소크라테스가 그랬지 ..너 자신을 알라 이 말이 정말 진리같다 주제파악을 정확히 하는게 시간낭비를 줄일수있음 근데 주제가 파악이 안되는 애들이 많다 요즘 나 포함.모두 주제파악하고 살자

  • @user-iz3gy2dg9r
    @user-iz3gy2dg9r22 күн бұрын

    돈은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이 아니다. 돈과 행복은 교집합이다.

  • @Immorta1ity
    @Immorta1ity2 күн бұрын

    우리 모두 힘들지만 최선을 다해보자 !!!! 이겨내보자!!!

  • @user-vc8jh7my2v
    @user-vc8jh7my2v20 күн бұрын

    좀사는 동네와 못사는동네만 가봐도 어린이 수준이 천차만별이다

  • @user-it9tk6yc9l
    @user-it9tk6yc9l21 күн бұрын

    출산이라는 행위는 항상 부모의 번식 행동으로만 이루어진다. 출산을 하지 않으면 아이가 태어나지 않아 쾌락을 누리지 못하여도 애초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런 일도 문제도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출산을 해버리면 태어난 아이에게 고통(잠재적으로 고통 받을 여지)과 죽게 될 운명을 일방적으로 강제했기 때문에 아이가 받는 고통과 죽음에 대한 책임과 잘못은 전적으로 부모에게 있다. 출산은 낳는 부모도 더 고생을 하게 되서 문제지만 진짜 큰 문제는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태어난 아이가 평생 고생을 하게 될 운명을 강제로 받게 된다는 것이다. 덮어놓고 낳아놓지 말자.

  • @mydreamissungduck
    @mydreamissungduck22 күн бұрын

    씁쓸

  • @hhchoice
    @hhchoice22 күн бұрын

    배경음악 너무크다

  • @roaming_bear
    @roaming_bear22 күн бұрын

    평등이라는 개념이 우리 문명보다 역사가 길다는 것이 진짜 충격이네요. 다큐 감사합니다~

  • @namugomu7981

    @namugomu7981

    22 күн бұрын

    보고 싶은 것만보는....

  • @user-lh7uc3gz2t
    @user-lh7uc3gz2t22 күн бұрын

    머리 좋은 사람이 돈을 잘 범 (당연함) -> 머리 좋은 자식을 낳음 (당연함) -> 머리 좋은 자식은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좋은 머리와 좋은 환경의 시너지 효과로 부모보다 더 많은 돈을 벌어서 진짜 부자가 됨 가난하고 머리 나쁜 부모에게서 가난과 나쁜 머리를 물려받았을 때 탈출 방법은 한 가지뿐임 머리 좋은 자식을 낳아 좋은 환경 속에서 키우면 적어도 노후만은 보장됨 문제는 머리 나쁜 부모가 머리 좋은 자식을 낳을 확률이 무척 낮다는 것이고 낮은 확률로 머리 좋은 자식을 낳았어도 제대로 키울 능력이 없다는 거임 머리 나쁜 부모는 돈만 없는 게 아니라 자식을 제대로 양육할 능력도 없어서 가정교육 역시 허접하게 함 머리 나쁜 부모는 자신을 닮아 머리도 나쁘고 재능도 개뿔 없는 자식을 상대로 책상 앞에 엉덩이 붙이고 앉아 열심히 공부하면 얼마든지 성공이 가능하다는 헛소리를 주입하며 자신의 능력으로는 가질 수 없었던 것을 갈망하게 됨 문제는 부모의 갈망을 실현시켜줘야 할 자식들 역시 부모를 꼭 닮았기 때문에 부모는 헛돈 쓰면서 자신들의 노후는 물론이고 자식들의 미래마저 완전히 망쳐버리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할 수밖에 없어짐 아무리 오래 책상 앞에 앉아 있어도, 아무리 수준 높은 사교육을 받아도 타고난 두뇌의 한계는 극복할 수는 없다는 것을 인정하지 못하면 부모와 자식이 함께 불행해짐 페라리는 페라리로 출시됐기 때문에 페라리로 사용하는 것이고 자전거는 자전거로 출시됐기 자전거로 사용하는 거임 자전거를 페라리로 개조하겠다는 어리석은 개꿈은 이제 그만 꾸기 바람 자전거를 페라리로 개조하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과 얼마나 많은 비용과 얼마나 고난도의 기술이 필요할지 생각해 봤음? 자전거로 출시됐으면 자전거로 사용하면 되는 거임 자전거는 자전거로 사용하는 것이 최고의 가치 실현임

  • @user-ng7hd9dy7k

    @user-ng7hd9dy7k

    21 күн бұрын

    그렇죠. 부모가 둘다 대학을 나왔다는것은 자식에게는 굉장한 축복이죠. 정서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여유롭고 좀더 넓은 세계관을 가지겠죠

  • @user-me9ec3bq3l

    @user-me9ec3bq3l

    21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재능이없는 유전자 환경이 안좋은건 시너지로 보통 따라감 그래서 기회를 많이주고 대학이 아니여도 잘살수잇는세상이 오면 좋겠음

  • @user-xs5jt3gb8g

    @user-xs5jt3gb8g

    20 күн бұрын

    ​@@user-ng7hd9dy7k대학 안나오고 좀 더 많은 사람을 만나면서 성공한 쪽이 세계관은 더 넓고 건강할때도 많긴 한데....

  • @bapbirb

    @bapbirb

    20 күн бұрын

    ​@@user-ng7hd9dy7k대학보다는 직업과 소득이 중요함

  • @e0173

    @e0173

    20 күн бұрын

    자전거가 페라리로 되고 이기심이 극에 달해 다른 자전거한테 낙인찍고 자식에 최대치 세습하려 발악하는것도 있는데 뭘 ㅋㅋㅋㅋ 장애아를 낳은게 아닌이상 개천용도 천지네요

  • @user-ji8bz5zp9e
    @user-ji8bz5zp9e6 күн бұрын

    평등보다 정의가 살아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user-mn4fu9xi8y
    @user-mn4fu9xi8y20 күн бұрын

    돈없고 행복한 사람보면 좀 모자른 사람들 뿐인듯. 물론 해탈이나 큰 가르침을 얻은 사람도 일부있겠지만 그리고 가난한집 애들은 대체로 돈에대해 잘 모름. 한달 연금저축펀드 50 꼭 넣으라고 말해도 그거 모아서 뭐하냐고 절대 안넣음. 니가 부자가 안될거같음 니 아들이라도 부자 만들라고.... 사회초년생때 연봉 1-2천 차이나는데 부자집 애들은 부모 도움도 있겠지만 대체로 모음. 돈이 모이면 무섭고 복리를 자연스럽게 배움. 가난한 친구들은 돈쓸 이유가 계속 생김 특히 감정적으로. 전두엽 박살난듯. 체면 디게 중요시하고 돈씀. 자기가 뭐라도 돼는사람인줄 암

  • @yoonyoon-fm3zl

    @yoonyoon-fm3zl

    18 күн бұрын

    너무 가난한사람 적대시 편파적인데? 먹고살만해도 도박으로 날린 인간들도 많은데 너무 적대적 표현이다 가난한 애들이 그러고 싶어서 그러냐 내가 본 차이는 이래 돈 많은 집 애들 중 돈 욕심 없는 사람덜 보면 월 200벌어도 됨 200다 저축할 수 있거든? 근데 가난한 집은 월1000 벌어도 이거저거 메꾸고 뭐하고 뭐하면 그 저축 월급 200다 가능한 부유한 친구보다 결국 가난하더라 연봉 2400이냐 1억이냐가 중요한게 아니게되는거지 아무리 발버둥 쳐도 굴레고 속박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마치 랩으로 얼굴 뚫기 같은거지 뚫음 자는 공기를 마시고 다음스텝 갈 수 있지만 대다수는 뚫기가 어려우니까 어차피 해도 안되네 마인드를 갖기시작하고 모아봤자 달라질게 없어되는건데 그걸 무작정 비판 비난 하는것도 좀 아니지~

  • @user-ky4bt5vz8h
    @user-ky4bt5vz8h17 күн бұрын

    개천에서 용날수있어야한다! 무서운건 불평등을 해소하는방법이 부자꺼를 빼앗아 빈자에게 주자는 것! 가난한 사람들에게 자기발전 기회제공하고 노력하면 이룰수있다는 경험을 주는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 @user-hs6ph8ke1r
    @user-hs6ph8ke1r22 күн бұрын

    충분한 쉴 공간, 삼시세끼 걱정 하지 않아도 되고, 깨끗하고 오염되지않은 자연을 누릴수있는 환경, 여러가지 교육 및 여행을 즐길수있는 돈. 이정도 없으면 내 아이들의 지능을 온전히 키워줄수 없는거야? 인간답게 살기 참 힘드네. 근데 이렇게 불평등한 사회는 어떻게 해야 마지막에 사람들이 말한 나름 평등한 부의 배분(나름 이상적인)을 이룰수있을까? 그것도 너무 어려운일 아니야?

  • @user-rr1ug7mq3h
    @user-rr1ug7mq3h22 күн бұрын

    건축가 유현준씨가 돈을 많이 들여지으면 좋은 건물은 학교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대부분의 시민이 학교를 12년동안 다니고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기 때문이겠죠 가정에서의 경제적 격차가 심하다면 이를 조금이라도 극복하고 다양한 경험을 가능하게 해 줄 수 있는 곳이 학교라고 생각합니다 국영수사과도 중요하지만 문화적 체험도 하고 아이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게 재정적지원을 해 주어 소중한 아이들이 잘 자라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국가가 지원해야 하는데 윤석열정부는 교육비 예산을 대폭 삭감해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 @user-vp1wx6rp8v

    @user-vp1wx6rp8v

    22 күн бұрын

    유현준 교수님이 외국사례를 들으면서 집을 사야할 이유를 조목조목 적은 글은 보셨나요? 현정부를 옹호할 마음은 없지만, 집을 살 수있게 도와주는 정책과 몇십만원 뿌리고 임대주택이나 뿌리는 정부중 궁극적으로 서민에게 도움되는게 어느방향인지 서민들은 대부분 모르죠..

  • @goldsilver6088

    @goldsilver6088

    22 күн бұрын

    @@user-vp1wx6rp8v그 나라 대부분이 우리보다 못살지 않나요? ㅋㅋㅋㅋ

  • @goldsilver6088

    @goldsilver6088

    22 күн бұрын

    이번에 예산 줄인건 세부내역을 보고 오시구요. 결국 지자체랑 소집단 쌈쌈이 예산 다 거른겁니다 ^^ 님 세금으로 누군가 자리 빛내주신 행사 한다면 싫자나요 ㅋㅋㅋㅋ 그런거 다 없앤거에요. 어차피 고향이 전라도라 이런건 볼 생각 안하죠?

  • @katiekim4385

    @katiekim4385

    21 күн бұрын

    @@user-vp1wx6rp8v 지금도 지방으로 내려가면 집은 충분히 살 수 있어요. 문제는 대부분이 원하는 집이 교통, 병원, 상권 같은 좋은 인프라를 갖춘 지역에 위치한 집이란게 문제죠. 도와준다한들 그런 지역에 살 수 있는 최소한의 여력을 갖춘 사람들은 중상층 이상이라 장기적으로 보면 결국 소득 수준이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여살게 되겠죠.

  • @gj1404

    @gj1404

    20 күн бұрын

    청와대 용산 이전. 용산뷰가 좋다는 유현준. 표절 건축가 아닌가요?

  • @user-xw6lt3qz3h
    @user-xw6lt3qz3h21 күн бұрын

    다들 알고있던 사실, 외면하고 싶었던 현실이 학문적으로 검증이 된 세상이 되버린 것. '낳음당했다.'라는 신조어를 뒷받침해주는 근거다.

  • @LevisKIM
    @LevisKIM22 күн бұрын

    불평등이 우주의 법칙이고, 객체 하나 하나가 에너지의 불평등에 위해 생겼났다는 사실을 이해한다면.. 그 우주의 법칙으로부터 불편함을 느끼기 보다는, 그 법칙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제대로 된 공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3000년 전 고대의 선인들도 이 당위성을 꾸준히 설명하고 있어.

  • @user-xv1nz9jy2r
    @user-xv1nz9jy2r22 күн бұрын

    부자들은 자녀들에게 어떻게 부자가 되는지를 가르친다

  • @user-ub1fv9fh6t

    @user-ub1fv9fh6t

    22 күн бұрын

    바보인가?? 부자들의 자녀는 태어나면 부자가 되어 있다. 이게 맞지 뭔 부자가 되는 법을 가르켜...

  • @user-ne4ft4kk7l

    @user-ne4ft4kk7l

    22 күн бұрын

    ​@@user-ub1fv9fh6t니가 그래서 부자가 못된다

  • @user-xv1nz9jy2r

    @user-xv1nz9jy2r

    22 күн бұрын

    @@user-ub1fv9fh6t부모가 부자면 자식도 무조건 부자가 되는지 아나본데 돈이 그대로 자녀에게 가는게 아님 각종 합법적인 세금, 절차, 관리, 자산 배분, 돈에 대한 태도,자산별로 특징, 노동소득과 자본소득의 이해 등을 부자 부모는 가르침 그런걸 배워서 진짜 자산을 지키고 키울수 있는 부자의 자녀가 되는것임 자녀는 부모를 보고 자라는 것임 매너부터 배우고 오길,,,

  • @user-xv1nz9jy2r

    @user-xv1nz9jy2r

    22 күн бұрын

    @@user-ub1fv9fh6t 부자들의 자녀들이 태어나자마자 부자가 될 환경적 여건이 좋은건 맞다 하지만 부자의 부모의 돈이 무조건 자녀의 돈이 되는것이 아니다 부자의 부모들은 세금, 법규, 절차, 자본소득과 시간의 관계, 돈에 대한태도 등을 자녀들에게 교육 함으로써 자녀들도 진짜 부자가 되는것이고 자산도 지켜나가는것임 매너부터 배우고 오시길,,

  • @ssamj777

    @ssamj777

    22 күн бұрын

    @@user-ub1fv9fh6t 이야기의 논점 파악도 못하는 거 보면 니 미래는 30년 뒤에도 그저그런 인생

  • @user-soha
    @user-soha19 күн бұрын

    뜬금없지만 23:40 행동경제학자 수염이 얼굴의 반은 없고 반만 있는데 일부러 그렇게 깍은건지 궁금..

  • @user-ij3wl6ms6l

    @user-ij3wl6ms6l

    19 күн бұрын

    다른 다큐에서 그분 어렸을적에 불이나서 화상을입고 얼굴에 반이 수염이 없다고 얘기했었어요

  • @user-soha

    @user-soha

    19 күн бұрын

    @@user-ij3wl6ms6l 아 진짜요? 근데 그러기엔 화상입은 흉터 없이 깔끔하게 수염만 안나는것도 신기하고. 한쪽에 수염이 안나는데 굳이 다른쪽에 덥수룩 수염을 기르는 고집도 신기해요.ㅎㅎ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 @user-pc4rt8ms7j

    @user-pc4rt8ms7j

    16 күн бұрын

    @@user-soha 하비덴트 같고 멋있잖아~

  • @RlarjsEor
    @RlarjsEor22 күн бұрын

    돈은 주조된 자유다.

  • @user-fc1ns7pt2m
    @user-fc1ns7pt2m20 күн бұрын

    나에게 adhd는 학대와 폭력으로 인한것인줄 알았지만 생존을 위해 선택한 것인지도 모른다 내게 그 질병이 없었다면 나는 벌써 숨을 끊었을것이다

  • @user-rz6kt7bj8y
    @user-rz6kt7bj8yКүн бұрын

    어릴때 돈걱정하는 대화를 매일 들어서 일까 40이 넘는나이에도 미래에 대한 불안도가 높은편이예요

  • @user-om5yj6lb8c
    @user-om5yj6lb8c3 күн бұрын

    돈 있으면 머리가 좋아지는게 아니고 타고난걸 전부 발휘할수 있단말이네 돈없으면 평범하게 태어나서 바보되는거고ㅠㅠ

  • @liujay1670
    @liujay167021 күн бұрын

    근로소득이 자본소득에 뒤진 거는 아마도 구석기시대 이후부터 계속된 현상이고.. 초중고부터 금융에 대한 교육을 시켜야한다고 본다

  • @user-lh7uc3gz2t

    @user-lh7uc3gz2t

    21 күн бұрын

    공감합니다 구석기시대에는 더 날카롭고 더 쥐기 편한 주먹도끼를 가지고 있던 사람이 더 많은 소득을 올릴 수 있었을 게 분명하네요

  • @user-bz8qu3mj1z

    @user-bz8qu3mj1z

    18 күн бұрын

    사유재산 즉 자본이 모이고 계급이 발생한 것은 구석기가 아닌 청동기시대부터입니다.

  • @puppy2628
    @puppy262818 күн бұрын

    가장 제가 의문을 가지게 되는건…. 왜 평등해 져야하는것이고… 평등해 진다는 의미는 진짜 무엇일까요? 똑같은 시간을 일하고 똑같은 돈을 받을경우에… 어떤일이 생겨 날까요? 아마도 어렵고 공부를 많이 해야지 되거나 노력을 많이 하는일을 선호하지 않겠죠… 그럼 불평등해졌을때 보다 평등해 졌을때 더 큰 문제가 생기는건 아닐까요? 그럼 이런경우도 경제적인 발전에 저하도 된다고 치면 과연 불평등의 문제가 아닌 평등과 불평등의 발렌스 아닐까요?

  • @user-id6rz8kx6h
    @user-id6rz8kx6h19 күн бұрын

    가난의 불편함을 감수하는 습관이 대물림되는게 가장 깨기 어렵더군요.

  • @ddurrlelab9502
    @ddurrlelab950212 күн бұрын

    브금 지리네

  • @user-yx3em9uu6z
    @user-yx3em9uu6z22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돈 없는 사람들이 부자들 걱정하는것이다...

  • @kalopsiakimmy4132
    @kalopsiakimmy413222 күн бұрын

    자막이 너무 흐리고 잘 안 보여요

  • @richart1555
    @richart1555Күн бұрын

    주머니에 돈이 두둑하면 일어나서 잠들때까지 이 돈으로 무엇을 해야 더 쉽고 편하고 빠르게 더 많은 돈을 벌수 있을지 고민하거든

  • @_jung_4784
    @_jung_478422 күн бұрын

    굳이 뇌를 보여줄 필요는 없습니다

  • @user-py6vi9mh3g
    @user-py6vi9mh3g18 күн бұрын

    가난이 찾아오면 행복이 나가버리는 구조를 잊지 맙시다.

  • @Coinbug5
    @Coinbug522 күн бұрын

    마지막 교수님 수염스타일 지린다 ㄷㄷ

  • @user-ng5lr4nc2b
    @user-ng5lr4nc2b17 күн бұрын

    가난한 환경에 오래 노출되면 서서히 적응되고 적응되면 편안해짐. 이게 문제임.

  • @sksinfndkxk7

    @sksinfndkxk7

    17 күн бұрын

    적응되면 편해지는 게 아니라 한계가 오랫동안 학습돼서 시야가 좁아지는 거지. 더군다나 현실적인 가난으로 인해 배움의 기회나 질이 현저히 불리하니 뒤처지고 가난의 대물림이 이어지는 거.

  • @user-rq9jc8ui3t
    @user-rq9jc8ui3t21 күн бұрын

    공평함을 추구한다해도 과연 가진자가 자신의 것을 빼앗아서 공평을 만든다고 한다면 그걸 좋아할까? 가진자들의생각도 궁금하네요.

  • @Tamgusanghwal

    @Tamgusanghwal

    18 күн бұрын

    애초에 그건 공평이 아니다

  • @user-fk9gu2ob3i

    @user-fk9gu2ob3i

    12 күн бұрын

    세금이 그렇지 않나요? 누구나 싫어하죠. 덜내고 싶어하고...

  • @yessen-gd9qj

    @yessen-gd9qj

    8 күн бұрын

    불평등을 인지하고 나누는게 공정이고 이득이라는 걸 가르치는 게 "교육"임

  • @user-jj8bc1sk2r
    @user-jj8bc1sk2r20 күн бұрын

    부동산은 가격이 안 떨어지니까 못 사는 사람은 계속 못 살고 잘 사는 사람은 잘 살 지 제도를 잘못 만들어 놓고 무슨 개소린 지 모르겠네 만약 집을 오늘 가격이 1억에 집을 지었다고 가정한다면 내일은 1원이라도 떨어지고 10년이면 몇 천만 원이 떨어진다면 못 사는 사람은 떨어진 집을 열심히 벌어 살 수 있을 텐데 건설업자는 집을 한 채 짓더라도 신중하고 다양하고 실용적이며 예술적이고 등등 가진 자에게 판다면 부의 균형도 존재하며 자연스럽게 암묵적 합의로 부자들을 인정하는 사회가 될 것이고 무분별한 난 계발은 없을 것인데 지나친 계발지향주의나 자본적주의가 판치다보니 사회는 각박하고 몰인정한 사회가 되고 발전만을 추구하니 공해로 환경은 급속히 안 좋아 인간이 환경으로 인해 동물들 멸종을 걱정할 것이 아니라 이제는 인간 멸종을 걱정해야지 않나 싶다 모든 물건은 쓰다보면 감가상각비라는 것이 있는데 집은 그런 게 없어 돈을 벌면 저축도 하고 세금도 내고 생활도 하고 해서 서로 적당히 굴러가야 하는데 정부는 돈만 풀고 기업은 지나친 이윤만 추구하고 자유무역주의라 하여 각국이 이익만을 추구하는 무한경쟁이 군사충돌로 이어져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고 있다 인플레는 돈을 계속 찍어내기만 하니 당연하지 않을까 정부 기업 가계가 조화를 이룰 때 경기가 좋든 싫든 세상은 안정되며 그런대로 잘 굴러간다고 생각한다 정부는 되도록이면 세금으로 운영하돼 필요에 의해 좀금씩만 찍어내면 경제성장과 물가상승과 임금인상에 맞게 잘 운영한다면 모든 분야의 발전을 저해하지 않고 세상은 옳은 방향으로 나아갈 텐데 세상을 채찍질할 만큼의 매년 물가 상승은 필요하다 기업은 이윤추구만을 하면 환경과 각박하게 하고 민주적이질 못해 사회질서를 해치고 전통을 말살한다 정부의 제도는 지나치게 기업의 위주로 돼 있어 세계가 위험에 처해있다 그로인해 가계는 쪼그라들대로 쪼그라들어 인간들이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는 것 같다 지금은

  • @user-nv3lu1gb5n
    @user-nv3lu1gb5n4 күн бұрын

    23:46 지킬앤하이드😂😂😂😂

  • @user-ny8mi3os4p
    @user-ny8mi3os4p22 күн бұрын

    불공정과 불평등은 다른데, 여기서는 뭉뚱그려서 같은걸로 해 놨네.. 부자들을 보면 물려받은 부자도 많지만, 본인이 노력해서 성공한 부자도 많다. 그들은 정말 미친듯이 일을 해서 부를 일군 사람들이다. 부자처럼 일하고 싶진 않지만 부자들이 힘들여 일한 돈은 나눠 갖고 싶은게 과연 평등한 사회로 가는것인가? 의사나 변호사처럼 공부하고 싶지는 않지만 그들과 똑같은 월급을 받고 싶은게 평등한 사회란 말인가? 글쎄다.

  • @BoxingMaster

    @BoxingMaster

    21 күн бұрын

    24:43 에도 나오듯 상위 20%가 미국 전체 부의 84%를 갖고있고 하위 40%가 미국 부의 0.3%를 갖고있는데, 이중 하위 40%가 상위 20%와같이 똑같이 열심히 일하고 원숭이 실험처럼 똑같이 돌을 주며 일해도 절대 부의 80%를 가질순 없음. 아무리 열심히 일해봐야/ 상위 20%보다 더 열심히 일해도, 상위 20%만큼 부자가 될순 없죠. 불평등이 맞는것같은데요

  • @user-ny8mi3os4p

    @user-ny8mi3os4p

    21 күн бұрын

    @@BoxingMaster 미국 최상위 부자들의 면면을 보면 일론 머스크, 제프 베조스, 페이스북 창업자, 빌게이츠, 워렌버핏 등등 다 본인이 창업을 하고 열심히 일해서 부자가 된 사람들이죠. 조상 대대로 부자였던 사람들이 대물림으로 부자가 된 사람들이 아닙니다. 지금 당장 50살 60살인 사람들이 하루 20시간씩 열심히 일하고 공부한다고 일론머스크처럼 돈을 벌지는 못하겠죠. 왜? 그들은 10대때부터 그렇게 일했으니까요. 하지만 지금부터라도 하루에 2잡, 3잡 열심히 일한다면 10년쯤 후에는 상위 20% 안에는 들꺼라고 봅니다. 우리는 미국의 빈부격차가 심해서 정말 가난하다고 생각하는데, 미국은 연봉 1억이 넘어도 생활 보조금 받는 나라입니다. 미국에서 10년쯤 열심히 일해서 모은돈으로 한국 오면 상위 10% 안에 드는 부자로 살 수 있는 나라 라는거죠.

  • @user-lf5wc3yz4u

    @user-lf5wc3yz4u

    19 күн бұрын

    모두가 평등 할 순 없지만 적어도 공정 해야한다고 생각함

  • @sksinfndkxk7

    @sksinfndkxk7

    17 күн бұрын

    @@user-ny8mi3os4p 말이 모순적이네. 물려받은 부자가 압도적으로 많은데 뭔 “물려받은 부자도 많지만 노력해서 성공한 부자도 많다” 이딴 개소리를 하지 ㅋㅋㅋㅋㅋㅋㅋㅋ 오히려 부자들이 돈을 번 과정에서 불공정한 부의 대물림이란 비열함을 숨기고 노력이란 정당성을 넣어 불공정을 상쇄시키려 하는 게 가관이네 ㅋㅋㅋㅋ 아니면 니가 거지라서 부자편 들면 수준높아 보일까봐 거지가 부자 추앙하는 거거나 ㅎㅎ

  • @gimk5646

    @gimk5646

    5 күн бұрын

    @@BoxingMaster천재는 대를 이어가며 만들어진다는 말이 있습니다. 내가 하위권에 속하는 사람이라면 죽어라 노력해서 자식은 중위권에 속하는 사람으로, 또 다음 세대는 상위권에 속하는 사람으로 만들 수 있죠. 자식이 아니어도 어떠한 방법으로든 선한 영향력을 끼쳐 많은 이들이 좋은 영향을 받아 또 다른 신분상승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겁니다.

  • @sg379eheh
    @sg379eheh3 күн бұрын

    천장의 높이가 곧 생각의 방 크기

  • @c_daylight
    @c_daylight20 күн бұрын

    사시 부활 수시 폐지 공정한 사회 만듭시다

  • @user-eq6bu2qv4z
    @user-eq6bu2qv4z22 күн бұрын

    사회생활을 해 봤으면, 월세랑 사대보험 떼가는거때문이더라도 돈 모아 좋은 집 이사간다는건 그저 꿈이라는걸 알텐데 EBS면 국가의 교육방송이 말도안되는 개소리나 하고있네 어휴, 월세랑 사대보험료 합치면 월급의 4할이 넘어요 ㅋㅋ 중세시대 농노가 영주한테 생산작물의 3할을 바쳤어요...

  • @sjcjx9883

    @sjcjx9883

    19 күн бұрын

    이말이정답이네 중세시대 농노보다 더한 대한민국이네

  • @sjcjx9883

    @sjcjx9883

    19 күн бұрын

    자영업자세금좀 그만뜯어가라 세끼들아

  • @Redrock32
    @Redrock3218 күн бұрын

    그러면 가난한 사람도 자본소득을 같도록 교육하는 것은 어떤가 ? 안된다고만 말하지말고

  • @user-ij7jx6yd4y
    @user-ij7jx6yd4y22 күн бұрын

    부의 평등이란, 물론 있을 수 없는 말 이지만 세금 이라는 국가의 통제를 통해서 부의 흐름을 바꿀 수는 있다. 그것을 제대로 하지 않고 부자들을 위한 정책만을 일삼고, 부정부패를 저지르기 때문에 혈관이 막히듯 돈의 흐름을 막아서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결국 모든것은 인간의 욕심에서 비롯 되지만, 그 욕심을 국가가 나서서 잘 통제 해야하는게 지금을 살고있는 모든 인류의 과제가 아닐지..

  • @MKS-yq5ce
    @MKS-yq5ce22 күн бұрын

    원래 인생은 태어난 환경과 유전자에 의해서 모든게 결정됨 ㅅㄱ

  • @sjb6648
    @sjb664822 күн бұрын

    있는 사람들이 좀 베풀어야 하는건 맞다 근데 있는사람을 ,사기쳐서 모은게 아니라면, 나쁜넘 취급하는건 잘못됐다. 부자를 죄진사람 마냥 취급하면 베풀고 싶은 맘도 싹 사라진다... 베풀 가치도 없다고 생각이 듬

  • @user-mn4fu9xi8y

    @user-mn4fu9xi8y

    20 күн бұрын

    열심히 모았는데 나쁜놈 취급 당하는데 왜 베픔 ㅋㅋㄱ 그냥 냅두면 지들끼리 술담배 여자에 빠져서 자발적 노예로살텐데

  • @e0173

    @e0173

    20 күн бұрын

    @@user-mn4fu9xi8y나쁜 놈 취급당한다는 망상은 어디서 하는거임? 현실에선 다들 남 부리고 명령질 지시질만 하는 포지션인데 넷세상에선 취급못받아서 그냥 베풀기 싫고 평생 세습, 강도질만 하고픈거야 ㅋㅋ

  • @sjb6648

    @sjb6648

    20 күн бұрын

    @@e0173 그런 사람들이 있음 이게 망상이면 님 말한 남 부리고 명령질 지시질만 하는것도 님의 망상일뿐 돈 있다고 다 그런게 아닐텐데

  • @jean8395

    @jean8395

    19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부자한테 점심을 사라고 하죠... 부자에게 점심 살 여유가 있는 사람이 되어야죠..

  • @Hermit1920

    @Hermit1920

    19 күн бұрын

    @@e0173 너가 돈 많이벌면 보이는 세계가 다를거야 ㅎㅎ 한번 부자가 되고 세상을 바라보렴 무리겠지만 ㅎㅎ

  • @user-jo9kp4vw8s
    @user-jo9kp4vw8s21 күн бұрын

    돈을 잘 버는 엄빠들의 뇌와 못 버는 엄빠들의 뇌가 대물림 되는것일뿐.

  • @user-zz4cq9hr8r
    @user-zz4cq9hr8r21 күн бұрын

    논지는 불공평인데 실험은 불공평이 아닙니다. 애초에 10만원의 수입에 대한 우선선택권이 A에게 들어왔습니다. 법에 저촉되지않는 운에 따른 수입가능성이 생겼을때 주위 사람들은 그의 소득이 옳다고 생각할까요? 누군가는 가졌을 이를테면 운이라는 요소를 본인은 소유를 못했다고 상대의 권리가 옳지 못하다고 판단하는 것이 불평등일까요?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즉, 이의 원인은 일종의 상대방의 소유물에 대한 소유욕이며 이게 현 자본주의 사회의 발전 밑거름이라 생각합니다.

  • @user-dk8xt7tx6m
    @user-dk8xt7tx6m17 күн бұрын

    있는 자

  • @pekka2580
    @pekka258011 күн бұрын

    개천에서 용이 나올 수는 있다, 그치만 용궁에서는 늘 용이 나온다.

  • @hkg6683
    @hkg668318 күн бұрын

    공평함의 반댓말은 불공평인가요 불평등인가요?

  • @user-yf5vr2uo5q
    @user-yf5vr2uo5q3 күн бұрын

    저 뇌과학자 방송에서 비싼 차들이 더 빵빵거리고 롯데월드 프리패스 티켓을 부자들의 착취라고 한, 과학보다 정치성향이 먼저 앞서는 사람임

  • @user-wy6rw2fn2p
    @user-wy6rw2fn2p21 күн бұрын

    그냥 이제 교육 이런걸 떠나서 자본소득의 상승을 노동소득이 결코 따라잡지 못하는 시대가 왔어요. 예전 세대에서 그냥 결혼하면서 하나 사서 실거주하던 그 서울 아파트 한채가. 이젠 평생 늙어죽을때까지 돈을 모아도 못사는거에요. 자본의 상승이 노동소득 상승보다 크고 빠릅니다. 2030이 영끌과 한탕에 미쳐가는 이유죠. 정상적으로 한푼두푼 모아서 내가 절대 저 사다리 위로 못올라갈걸 이젠 다 압니다

  • @user-lh7uc3gz2t

    @user-lh7uc3gz2t

    21 күн бұрын

    이전 세대는 대부분 작은 방 2칸짜리 단독 전세에서 시작했습니다 요즘 세대처럼 수 억원이 넘는 자기 아파트를 사거나 아파트 전세로 시작할 수 있는 운 좋은 신혼부부는 거의 없었습니다 그 이전 세대는 작은 방 1칸이 고작이었고요 이전 세대가 자기 소유 아파트를 가질 수 있게 된 것은 작은 방 2칸짜리 전세에서 시작해 결혼 후 10년 이상을 알뜰하게 아껴 모아서 겨우 아파트 하나 샀더니 그게 운좋게 부동산붐과 맞아 떨어진 것 뿐입니다 요즘 세대는 이전 세대가 그렇게 힘들게 자기집을 샀던 과정은 싸그리 무시하고 그저 자기 소유 아파트 가지고 있는 것만 보고는 결혼하면 자기 아파트 정도는 가지고 있는 게 당연한 거구나 착각하고 자빠진 거죠 요즘 세대는 자기 아파트 사서는 그것도 멀쩡한 아파트 내부를 다 뜯어내고 돈 들여 인테리어 새로하고, 결혼식 비용까지 몇천만원 들여서 초호화판으로 결혼하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니 미치고 환장하겠는 거죠 그렇게 자식 결혼에 거액을 턱턱 내놓을 수 있을만큼 경제력 넘쳐나는 부모는 예전에도 별로 없었고 지금도 별로 없으며 앞으로도 별로 없을 겁니다 혀는 짧은 주제에 침은 길게 뱉으려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요즘 세대가 딱 그렇네요 침은 자기 혓바닥 길이에 맞게 뱉어야 옷이 침에 더럽혀지지 않는 겁니다

  • @user-pi1zh3sq2d

    @user-pi1zh3sq2d

    21 күн бұрын

    ⁠​⁠@@user-lh7uc3gz2t결혼해서 전세살면서 월 300씩 10년모아도 3.6억이에요. 서울 변두리 30년 아파트도 기본 7-8억인데..20년 모아서 그 아파트 대출금 다 갚으면..그 아파트는 50년차가 되겠죠? 운나쁘게 부동산 상승기를 만나 희망 없는 세대. 미디어에서는 부모보다 가난할 첫 세대라고도 하더라구요? 전 결혼식 생략할 맘도 있는데요, 열심히 모으면 빌라는 살 수 있을 것 같네요. 빌라에 대한 거지같은 인식만 없어졌으면 하네요. 빌라왕때문에 작살났지만요

  • @e0173

    @e0173

    20 күн бұрын

    @@user-lh7uc3gz2t당연한게 아니라 모든 결혼업체가 젊은층한테 강도질할 생각으로 담합에 있어요 할아버지야… 다들 식 포기하고 디딤대출로 단촐하게 잘 시작하는 젊은층도 많은데 어디서 병든내용만 물어와서는

  • @joyparkyful

    @joyparkyful

    19 күн бұрын

    자본을 형성할 방법을 찾아라. 예전에는 더 힘든었다.

  • @santokki15
    @santokki1522 күн бұрын

    음악이 너무 안맞음..

  • @user-fh7qj7uo8p
    @user-fh7qj7uo8p6 күн бұрын

    부의 불평등....학생들을 위한 방송인 EBS가 늘 이런주제로만 영상제작하는지 한번쯤 물어보고싶다...

  • @HoddoPa
    @HoddoPa22 күн бұрын

    사실 한국도 드론 띄우기 어려워서 그렇지 지도앱 항공뷰만 봐도 ..

  • @jackstare4072
    @jackstare407219 күн бұрын

    가난한 집 부모님들은 거의 집에서 놀고 부자들은 짬내서 어디막 다니려고하고 그러더라구요

  • @sksinfndkxk7

    @sksinfndkxk7

    17 күн бұрын

    돈과 여유가 있으니 당연한 거 아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jackstare4072

    @jackstare4072

    17 күн бұрын

    @@sksinfndkxk7 ㄹㅇ 반대가 되어버림

  • @pandemoniumx5999
    @pandemoniumx599918 күн бұрын

    그냥 간단하게 생각하면됨 똑똑하니 부자가되는거고 똑똑하지 않으니 가난해지는거임 그냥 머리 좋은 사람이 공부든 뭐든 잘하는건 불변인듯

  • @user-hm7rt6ko4t
    @user-hm7rt6ko4t18 күн бұрын

    가난보다는 환경이라는 말이 더 맞을 듯 합니다. 보고 듣고 경험한 것 이상의 것을 생각하고 실행하기는 쉽지 않거든요. 그러나 제 주변에는 가난해서 (극도의 가난 제외) 더 열심히 살고 그래서 성공한 분들이 많습니다. 그분들은 또 이렇게 말합니다. 결핍이 성공을 부른다고.

  • @sksinfndkxk7

    @sksinfndkxk7

    17 күн бұрын

    당신 같은 사람이 가장 무섭습니다. 극소수 가난극복 사례 일반화하면서 99%대다수의 가난 실패사례는 게으름이나 노력부족이라 치부하는 벌레 같은 마인드… 다리가 없는 사람은 못 걷는 게 당연한데 기적같은 노력으로 무릎뼈로 걷는 극소수 사람을 보고 다리없는 사람들에게 저 사람은 걸을 수 있는데 너는 왜 못하냐, 결핍이 성공을 부르는데 도대체 너는 왜 못 걷냐라고 하는 폭력을 지금 님이 하고 있네요.

  • @user-no8gg9yw9m

    @user-no8gg9yw9m

    17 күн бұрын

    가난하더라도 결정적인 방해요소가 없으면 가능하지요. 본인 목표에 집중하면 되니까요 근데 가난이라는게 생존과도 직결되는거라 굉장히 부정적인 요소(가족의 질병 ,폭력, 빚) 들에 둘러쌓여 있으면 일단 절망을 학습하게 되는게 문제입니다. 심리적으로 타격이 커서 극복하기 힘들수도 있습니다

  • @user-jn2bk1oo8m
    @user-jn2bk1oo8m20 күн бұрын

    강남서초숭파에서 원룸 고시원 그리고 숙소생활하면서 또는 지인집에 얹혀살면서 느낀 것은 편의 시설이 그나마 잘 되어있다는 것과 배우고 관리해서 자산증식을 하기도 쉽다는 것이다.. 내 평생 이런 기회속에서 돈을 많이 못 모으고 집을 못 산 것이 후회스럽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집이 없는 것보다 서러운 내 가족이 없는 것은 실로 안타까우면서도 또 다른 지역에 살았으면 있었을까? 아니 이런 댓글도 못 썻겠지

  • @user-fc1ns7pt2m
    @user-fc1ns7pt2m20 күн бұрын

    나는 멍청해서 아직 살아있다 하지만 부모보다는 배웠으므로 낳지 않을것이다 내 부모가 못났다는것도 아니다 내가 좀 더 알았을뿐 이만 그만해야한다.

  • @qtsy
    @qtsy6 күн бұрын

    타고난 기질은 못 바꾸죠 타고난 유전도 못바꾸고

  • @user-kg3mi3st4m
    @user-kg3mi3st4m21 күн бұрын

    중간중간 뮬움표 생기는 장면이 있네

  • @user-ry8kh4dj5f
    @user-ry8kh4dj5f11 күн бұрын

    미국도 우리나라처럼 젊은사람들은 아이를 낳지않겠구나 흑인들마저

  • @user-jq9jo5rd1z
    @user-jq9jo5rd1z4 күн бұрын

    5:11 스스로 지옥을 만든 것임. 누구의 잘못도 아님. 불평등은 매우 좋은 거임. 불평등은 기회를 의미함.

  • @servicemarket
    @servicemarket9 күн бұрын

    원숭이 시험에서 보상이 바뀌었을때 반응이 없는게 아쉽네요.

  • @herren-house
    @herren-house22 күн бұрын

    정말 억울함.

  • @blessings2u826
    @blessings2u82618 күн бұрын

    저 실험에서 “적은 돈이라도 갖는 것이 낫겠다”는 선택을 왜 이성적인 판단으로 보시는지요? 오히려 그 선택을 결정하기까지에는 많은 감정들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까요? 그리고 ”불공평“이라는 생각을 한 것이 오히려 합리적인 생각을 제대로 해낸 것이고 그 이성적인 생각이 분노라는 감정을 이끌어냈다는 것이 제 의견임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user-zb2ru2dq6n
    @user-zb2ru2dq6n15 күн бұрын

    뇌발달로 돈이 결정된다고 보는 게 더 맞는 거 같음. 돈으로 뇌발달이 결정되는 측면보다...

  • @user-ht276
    @user-ht2767 күн бұрын

    정말 뇌의 차이라고 보세요?지금 한국사회를 보면 개인노력차이라고 인정되세요?기득권 고착화 사회구조를 이상하게 개인차로 몰아가네

  • @initialDKorea
    @initialDKoreaКүн бұрын

    세상에 평등이란게 있다고 믿나?! ㅉㅉ Ai도 작동 시작하면 신품이랑 불평등하게 되는 것인데 인간이 평등할 수 있다고 보니

  • @SatoruGojo3756
    @SatoruGojo375622 күн бұрын

    행복을 돈으로 살 순 없지만 돈이 있으면 행복하다 -누가 말했는지 까먹음-

  • @kkojh1782
    @kkojh178222 күн бұрын

    이미 자녀세대는 대충 체감하고 이미 체념된 이야기 입니다 부자들은 금융소득+노동소득 거지들은 노동소득 거지들이 노동소득으로 부자들처럼 된다? 몇 년이 아니라 몇 세대를 겪어야 계층 이동이 생길까? 과거에 개천에서 용난다? 그거 그시대 신기술들 일본이나 미국에서 가져와서 비슷하게 시작해서 배끼면되던거였고 지금은 아예 기술격차도 줄어서 혁신기술을 만든 사람이 용되는거지 옛날이랑 지금이랑 용될 난이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차이나는데 어캐 엘리트교육받은 부자님들을 따라잡는디? 그냥 부자들이 일부다체제 해서 애들이나 많이 낳길 기도나해야함ㅋㅋㅋ

  • @user-ts2eu6rf6i

    @user-ts2eu6rf6i

    22 күн бұрын

    계층 이동은 꼭 극적으로 이루어져야 되는 것도 아니고 시간이 좀 걸릴 수 있죠.그리고 일부다처제라니 정신 나간 소리하지 마세요.

  • @joyparkyful

    @joyparkyful

    19 күн бұрын

    조선시대에도 힘들었고 70년대도 힘들었고 아프리카는 우리보다 더 힘들지. 너의 그런 사고방식이 흙수저임을 대변한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