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베이스 때 봤다면 1년 아꼈을 영상

심찬우 선생님의 강의와 컨텐츠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모두 만나실 수 있습니다
■ 온라인 강의
오르비클래스 / 국어영역
→ class.orbi.kr/teacher/94
■ 오프라인 강의
메가스터디 러셀(단과)
→ russel.megastudy.net/intro/ga...
- 러셀 (대치, 분당, 목동, 센텀, 울산, 기숙)
- 러셀 코어Live(대구, 광주)
■ 핸드폰 / 카톡 / 이메일
010-5383-3803 / simchanwoo2 / simchanwoo@naver.com

Пікірлер: 453

  • @simpathy
    @simpathy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 기호를 쓰지 말라는 것의 핵심은 생각하지 않고, 글을 이해하지 않고 무지성으로 글을 읽는 것을 경계하라는 의도입니다. 저희도 수업 때 밑줄을 쓰는 지점들이 있습니다. 물론 원칙에 입각해서 쓰지만요. 생각하면서 글을 읽읍시다.

  • @user-eu6qw5mr5j

    @user-eu6qw5mr5j

    Жыл бұрын

    조잡한 기호가 착각이자 강박인거 정말 공감합니다. 고1 수능 국어 입문할 때는 글을 이해하지 않고 죽 따라가기만 하며 여러가지 기호를 치고 결국은 다시 돌아가서 찾아보기 급급했습니다. 이 때는 정말 글을 이해하려고 지문을 읽는게 아니라 내가 배운 있어보이는 기호들을 글에 적용시켜 보려고 발버둥 친 것 같습니다. 모의고사 전부 안정적으로 1등급 나오던(수능 멸망) 저는 지금 가끔 핵심적인 내용이다 싶으면 줄을 자연스럽게 그으면서 읽고 이해하고 난 후에 나중에 찾아볼 수 있겠다 싶은 키워드들에만 투박하고 빠르게 동그라미를 3번정도 갈기고 지나갑니다. 혹은 사람 이름 자동적으로 네모 정도? 강박에서 벗어나서 본인만의 규칙 속에 기호를 글 읽는 과정 그 자체로 만들면 나름 훌륭한 보조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user-jufs5hdgiiz368

    @user-jufs5hdgiiz368

    7 ай бұрын

    선생님 예시를 든 사뭇은 지조나 절개의 뜻이 아닌 보기보다 , 보기와는 딴판으로 다르게 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만...국어사전을 찾아보신 걸까요?

  • @user-hu7kt1ew9x

    @user-hu7kt1ew9x

    7 ай бұрын

    ​@@user-jufs5hdgiiz368 저분은 사뭇이라는 단어의 뜻을 해설하려는 의도로 지조와 절개를 적어놓은게 아니라 느낌으로만 알뿐 실제 정확한 의미는 모르는 단어의 예로 사뭇, 지조, 절개를 각각 적어놓은 겁니다

  • @user-fx2kl8os2f

    @user-fx2kl8os2f

    7 ай бұрын

    @@user-jufs5hdgiiz368바본가..

  • @user-ue8ro8wc6w

    @user-ue8ro8wc6w

    4 ай бұрын

    @@user-jufs5hdgiiz368지린다

  • @user-cz5yk5oi1r
    @user-cz5yk5oi1r Жыл бұрын

    작수 국어 백분위 99 입니다. 밑줄 치는 건 죄가 아닙니다. 무지성으로 치지 말라는 것이지요. 자신이 글을 읽는 데에 방해되지 않는 선에서 소량의 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상 지나가던 길, 마저 가겠습니다.

  • @user-cg3ux7lx7t

    @user-cg3ux7lx7t

    Жыл бұрын

    멋있어요 형 …

  • @user-my1xx6gj3g

    @user-my1xx6gj3g

    Жыл бұрын

    ㄹㅇ 밑줄을 그냥 어 중요해보이네? 밑줄 벅벅 이런식이 안 된다는거지 중요 정보에 밑줄 그으면서 나중에 문제풀 때 다시 찾고 쉽게 이해하고 독해하는게 맞음 본인이 국어 황이 아니라면

  • @nje246

    @nje246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음. 도구를 쓰지 말아야지 라는 강박이 생기면 이게 더 방해가 됨. ‘최소한의 도구’만 가지고 독해한다. 이게 가장 현실적인 방법. 아예 안쓰면 제일 좋고^^

  • @user-hz7rg5wo5x

    @user-hz7rg5wo5x

    Жыл бұрын

    아멘

  • @Pp-sj2wm

    @Pp-sj2wm

    Жыл бұрын

    그나이 쳐먹고 프로필 ㅎㅎ 어매 억장롸르르

  • @user-sq9nr4ym7i
    @user-sq9nr4ym7i Жыл бұрын

    이 쌤 말 다 맞음. 지금 고3들, 옆에 친구들이 빨리 읽고 넘어간다고 이해 하지도 않고 그냥 읽고 넘어가버리면 안됨. 무조건 “이해”의 바탕으로 글을 읽어나가야 실력이 오르기 때문에, 빠르게 내 실력이 어떤지 파악하고 차근차근 한 문장씩 이해해 가면서 읽어가야됨. 물론 하위권에서 상위권으로 가기 위해서 몇달이 걸릴수도 있지만, 꾹 참고 이해하면서 글을 읽어나가다 보면 글 읽는 속도는 점점 올라갈테고 안보이던 핵심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할테니깐, 모든 수험생들 화이팅 해서 국어 뿌시길 바람.

  • @user-vq6cs4iq3m

    @user-vq6cs4iq3m

    Жыл бұрын

    제가 처음에 이 방법을 쓰다가 당장에 실력이 안올라서 너무 답답하고 불안했는데 꾸준히 몇개월 하다보니까 지금은 진짜 보면서 정리도 되고 자연스럽게 속도도 붙고 오답도 줄이게 됐어요

  • @user-lh4zr2qg5w

    @user-lh4zr2qg5w

    Жыл бұрын

    영상 보고 가장 크게 깨달은게 '연습할 때는 급하게 풀지 않기' 인 것 같아요...

  • @Y-NOT-

    @Y-NOT-

    6 ай бұрын

    그럼 너무 오래걸림

  • @user-jk3mx5wt5c
    @user-jk3mx5wt5c Жыл бұрын

    국어 공부법 정리 1. 어휘- 사전에서 단어를 찾고 예시를 익힘 2. 잡다한 도구로부터 해방되라- 동그라미, 세모, 잡다하게 밑줄 치기 XX 어느 정도 밑줄은 괜찮지만 잡다하게 하지 말 것 양

  • @user-wx5lj3oe7b

    @user-wx5lj3oe7b

    11 ай бұрын

    결론은 책을 많이 읽어야 하는군요 😊

  • @user-hl9vw9cs3x
    @user-hl9vw9cs3x Жыл бұрын

    다른분야 공부를 가르치는 사람입니다 모든 공부의 출발지점에 필요한 필수요소들이네요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

  • @takt5885
    @takt5885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딱 가장 중요한 것들을 말씀 해 주시네...

  • @user-og6ws8yc2v
    @user-og6ws8yc2v Жыл бұрын

    이것은 비단 수능 뿐만 아니라 언어논리나 언어이해 언어추론과 같은 psat leet 시험에서도 통합니다. 저도 처음에는 지문을 다 이해하기위해서 시간이 많이 걸렸었고 문제 푸는것도 상당히 느렸습니다. 저도 처음엔 지문에 낙서가 되어 있었고 이해도 안되는 느낌이었습니다. 하지만 점점 중요한 단어 새로나오는 개념 전환시점 말고는 할 필요가 없어져 점점 깨끗하게 되더군요. 어느순간 저의 감을 믿고 답을 정했을 때 그 정확도가 올라간것이 느껴졌습니다. 아직도 부족한게 많이 느껴지는지라 공부하면 할수록 끝이 없다는것을 느꼈고 적어도 2년3년은 해야 자리 잡힐 꺼 같았습니다. 이동시간이나 폰 할 시간에 소설책들을 주로 읽기 시작해서부턴 글 읽고 이해 하는속도가 아주 조금씩 증가했습니다. 아주 미묘한 변화지만 이것이 쌓이다보니 글이 더 와 닿는 느낌이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 자신이 원하는 목표에 당당히 합격 하길 기원합니다. 모두 화이팅입니다.

  • @Ha_Surok

    @Ha_Surok

    10 ай бұрын

    이동시간에 책 읽으셨다고 하셨는데, 혹시 소설책 말고도 다른 책 읽으셨다면 어떤 분야의 책을 읽으셨을까요? (6개월 전이라 답장 올지는 모르겠습니다만😅)

  • @rkang6726
    @rkang6726 Жыл бұрын

    영상속 내용 공감... 일단 어휘력이 좋아야합니다.. 그리고 시간 재지 말라고 하셨지만 처음에 입문하실때, 그니까 시간을 정하고 풀지말고 제대로 푸는시간을 측청하는것을 해보았으면 합니다. 몇분내로 풀어야 한다가 아니고 이 비문학 지문에서는 몇분을 사용하는지 즉, 얼마나 이 지문에 시간을 할애했는지 보아야 지금 본인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본인의 위치를 알고 시작은 해야합니다. 많은 연습을 하면 좋겠네요. 시간은 정말 하다보면 줄어듭니다. 자기가 강점인 비문학주제가 있을 수 있고 약점인 파트가 있기마련... 몇분내로의 압박감 버리셨으면.... 저같은 경우 11년수능시험자로써 고3때 6등급에서 3개월만에 2등급을 찍어보았지만 얼마나 걸리는지 측정하여 통계를 내보니 일반 인문학은 5분대, 과학지문은 7~9분대 이렇게 걸리는걸 알 수 있었습니다. 자신의 데이터를 가지고 약점을 파고들었더니 1등급은 아니지만 드라마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문단의 주제와 키워드에 동그라미 세모 밑줄을 많이 그엇지만 시간이 갈 수록 그 문단의 키워드만 체크하는 현상을 발견하기도 했구요. 영상에서 강사분께서 말씀하신것처럼 해보세요... 스스로 변화를 느끼셔야 결과가 좋을거라 생각합니다. 수험생분들 힘내세요.

  • @nyang0514
    @nyang0514 Жыл бұрын

    1. 어휘: 모르는단어 사전적의미 외우지말고 용례(단어가 사용된 예시)를 볼것 2. 독해: 지문 읽을때 부호사용해가며 정확히 이해하지못하고 읽는것X 기호들 사용안해도 이해만 완벽히 하면됨 3. 시간: 시간재면서 풀지말것

  • @23kim43

    @23kim43

    Жыл бұрын

    진짜 공감이에요...국어 모고 6등급 나오다가 최근에 3등급으로 올라왔어요.수능도 3등급이면 만족할 텐데...나왔으면 좋겠다..진짜 다른 과목에 비해 죽어라 노력해도 안나오는 과목이였는데...빨리 이걸 알았어야 했는데...

  • @user-xb6hy5eb2n
    @user-xb6hy5eb2n Жыл бұрын

    유투브 알고리즘으로 이렇게 다시 보네요 선생님 서초메가로 반수하러 갔을때 도움 정말 많이 받았습니다 (종종 잘생겼다고도 해주셨는데 은근 힘이 됐습니다ㅋㅋ) 특히 수능끝나고 선생님이 주신 편지 읽고 눈물 참느라 혼났던 기억이 나네요 ㅎㅎ 덕분에 22수능에서 백분위 100맞고 약대 다니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xt6tz2vx4h

    @user-xt6tz2vx4h

    Жыл бұрын

    와 잘생겼는데 약대 ㄷㄷㄷㄷㄷㄷㄷ궁금

  • @user-ty9ne1kj1e

    @user-ty9ne1kj1e

    Жыл бұрын

    와.. 친해져요...

  • @CAKE-jv9ts
    @CAKE-jv9ts Жыл бұрын

    제가 국어 공부를 열심히 하는줄 알았는데, 확실히 지문을 풀 때 밑줄, 시간 제한 등 잡다한 도구에 속박 되어 있었네요. 우선 지문 하나를 머릿속에 완벽히 이해할 수 있도록 지금보다 좀 더 노력 하겠습니다.

  • @user-ez2qn7jj9p

    @user-ez2qn7jj9p

    4 ай бұрын

    많은 변화가 있었나요?

  • @jbjjj2119
    @jbjjj2119 Жыл бұрын

    너무 신기해요 쌤 말대로 2주하니까 진짜 문제 답이 바로바로 보이고 막 그래서 재밌었어요

  • @doctorbahn
    @doctorbahn Жыл бұрын

    시대인재 재종에서 들었던 한 쌤과 같은 말을 하시네요 놀랐습니다... 여러분 이 쌤 말 제발 잘 들어서 실천하시길 바랍니다 화이팅!!

  • @user-ck2xw7li1x
    @user-ck2xw7li1x Жыл бұрын

    저는 영어강사지만 지문을 접근하는데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원리라고 생각합니다. 영어도 사실 그렇거든요. 영어도 국어와 같이 '이해'의 영역입니다. 물론 국어에 비하면 새발의 피지만... 시간재지말라는 말씀이 인상깊네요. 말씀하신대로 시간은 글만 이해되면 알아서 줄어듭니다. 그리고 지문의 이해 수준에따라 푸는 시간이 각각 다 달라지구요. 그건 시험장가서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달라집니다. 결국 평소에 학습은 문제를 많이 푸는게 아니라, 한 지문을 필자가 의도한방향대로 완전히 이해해서 넘어가는게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대부분 학생들은 양에 매몰되어있지만, 그렇게 하면 결국 1등급까지는 가지 못하더라구요. 영상 시간가는지 모르고 봤습니다. 좋은영상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hq9hp9vo3b
    @user-hq9hp9vo3b Жыл бұрын

    이거 진짜 ㄹㅇ입니다 제가 전교 1등짜리 국어 모의고사 시험지 본적있는데 개깨끗해가지고 놀란적이있었어요

  • @uzer.jstin8au
    @uzer.jstin8au Жыл бұрын

    시간을 재지 말라니… 항상 이해보단 시간 줄이는거에 급급하던 저를 되돌아보게 하네요… 고2 모고때 제일 약한 비문학부터 풀다가 이해 안되서 다시 읽고 다시 읽느라 문학은 단 한문제도 풀지 못한 뒤로도 비문학은 아직도 제일 어려운데.. 이해를 위한 공부를 해봐야겠어요

  • @eliottj1862
    @eliottj1862 Жыл бұрын

    초중고 책읽는거 많이 좋아했었고..고등학생때 공부 놨었는데 언어 모고 1개 틀리더라고요. 공부에 관심이 없으니 저런 표시하는 요령 그런거 전혀 모르고 시험지에 줄도 안쳤던거 같긴 하네요. 책 많이 읽는게 도움이 확실히 됩니다. 그리고 기억에 언어영역 지문을 대각선 세로로 쫙쫙 읽으면서 내려갔는데 그게 속독 방법인거같더라고요? 문학때 시간 한...10분 15분씩 남았었던거 같습니다. 하지만 그런것도 다 옛말이고..책을 안읽으니까 그런 능력 다 사라지더라구요. 방학때 도서관 가서 책 많이 읽으세요 학생분들..

  • @ink____

    @ink____

    7 ай бұрын

    1개...밖에?

  • @user-go4ww7hr8g
    @user-go4ww7hr8g Жыл бұрын

    어휘는 진짜에요. 단어는 영어만 찾는게 아니에요. 국어단어 엄청 중요합니다. 이거랑 기출분석이 되면 단어만으로도 선지를 고르거나 거를수있는 경지가 됩니다

  • @user-sh9lb9mu1f

    @user-sh9lb9mu1f

    Жыл бұрын

    국어에서 모르는 단어가 너무 많은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 @simpathy

    @simpathy

    Жыл бұрын

    @@user-sh9lb9mu1f 어휘 캐스트를 참고하세요.

  • @user-sh9lb9mu1f

    @user-sh9lb9mu1f

    Жыл бұрын

    @@simpathy 그게 뭔가요?ㅜ

  • @simpathy

    @simpathy

    Жыл бұрын

    @@user-sh9lb9mu1f kzread.info/dash/bejne/qGelx9xmotGbY7A.html 참고하세요.

  • @user-sh9lb9mu1f

    @user-sh9lb9mu1f

    Жыл бұрын

    @@simpathy 감사합니다!

  • @user-bt4hz1mz6d
    @user-bt4hz1mz6d Жыл бұрын

    중하위권 시험지가 딱 내 시험지네.. 너무 똑같아서 소름돋을 정도임 맨날 시간 강박비슷한 그런거 있어서 스톱워치 딱 맞춰놓고 푸는데 진짜로 눈에 글이 잘 들어오지도 않고 무조건 빨리 읽으려고만 해서 이해도 안되는데 종이 펄럭펄럭 거리면서 풀고 있음 그래서 시간 부족으로 다 못풀지,,

  • @hoody158
    @hoody158 Жыл бұрын

    공부하다가 쉬는시간에 보고있는 평범한 대학생입니다:) 수능이랑은 이젠 관련이 없는데.. 강사님 말하시는거랑 판서가 너무 듣기도 좋고 깔끔해서 다 보게되네요...ㅋㅋㅋㅋ ㅋㅋㅋㅋ 그렇다고해서 도움이 되지도 않는 것도 아니구요..ㅎㅎ 전공 관련 법학 공부 중인데 강사님이 말씀하신 내용이 참 공감 가네요.. 저는 본능적으로 하고있었는가 봅니다😂😂공부하다가 쉬는시간에 보는데 너무 재밌게 잘보고 있습니다:) 앞으로 정말 잘 되실 강사님이신 거 같아요ㅎㅎ 비록 수험생은 아니지만, 또 많은 걸 이해하고 얻어갑니다:)

  • @user-zp1kf9kd6m
    @user-zp1kf9kd6m Жыл бұрын

    하 공부 시작하니까 딱 나타나주시네 땡큐쏘마치

  • @frizmworks7130
    @frizmworks7130 Жыл бұрын

    심멘. . 조회수보니 진짜사주처럼 올해 떡상하실것같네요 역시 진가를발휘하시는군요 저도 이륙할때의경험살려 앞으로 열시미살겠습니다

  • @user-iw5ql8ye3l
    @user-iw5ql8ye3l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을 그냥 볼 수 있다니 유튜브 세상은 참 좋다

  • @user-nx1ii4kr7t
    @user-nx1ii4kr7t Жыл бұрын

    풀어보고나서 틀린거 정리하고 오답할 때 독서든 문학이든 그 지문 전체 내용을 요약정리하면서 오답을 해야할까요? 아니면 지문에서 정답으로 나왔던 부분만 체크하고 넘어가면 되는건가요ㅠㅠ 어떤 방식으로 오답정리를 하고 내꺼로 만들 수 있는지를 아직 잘 모르겠어요.. 나름 한다고 하는데 제대로 한다는 느낌은 안들어서요 그냥 그 때 아~하고 말 것 같은 느낌..

  • @simpathy

    @simpathy

    Жыл бұрын

    요약 정리를 하는 것보다 이해를 했다는 것을 점검해보는게 중요합니다. 다른 글들에서도 댓글을 달아드렸는데, 결국 본인이 제대로 읽었는지 초반에는 강사의 강의와 비교해보면서 학습하는게 중요하세요.

  • @user-bg6tg6yj9q
    @user-bg6tg6yj9q Жыл бұрын

    이거 ㄹㅇ 도움되는 것 같네요 이제 고1올라가는데 이거 참고하고 공부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nb6xo3bj6s
    @user-nb6xo3bj6s Жыл бұрын

    대박입니다.

  • @spring_j
    @spring_j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저는 공시생인데 국어가 어려워서 고민하고 있던 찰나에 알고리즘의 추천을 받아서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어느 1타 강사님보다 국어에 진심이신것 같네요! 참고하여 공부해보겠습니다ㅎㅎㅎㅎ 감사합니다ㅠㅠ 이걸 공짜로 들을 수 있다니ㅠㅠ

  • @user-wg7ty2lb7n

    @user-wg7ty2lb7n

    Жыл бұрын

    국가직 어찌 되셨는지요

  • @oliverlli2332

    @oliverlli2332

    11 ай бұрын

    ​@@user-wg7ty2lb7n학생 글 내려 ㅋㅋ

  • @user-uz5pn9yi8l
    @user-uz5pn9yi8l Жыл бұрын

    이거 맞는 말입니다ㅠ 선생님이 말한 안좋은 예시들 제가 고딩때 유행하던 공부 방법이었어요ㅠㅠ 저도 계속 따라했는데 몇년 내내 수능국어 3,4등급이었어요.. 그러다 뒤늦게 논술 공부해서 대학은 좋은 곳 결국 갔는데요..문과가 국어 못하니까 뭘하든 장애에요...피셋이든 리트든 행시든ㅠ 시작부터 올바랐다면 헛수고 하지않고 시간 노력 버리지 않았을거에요... 늦은 나이에 다시 독서하고 이 동영상 보고 또다시 국어 공부하려합니다ㅠㅠ 저처럼 후회하지 마세요

  • @user-rc4uh7hh8z
    @user-rc4uh7hh8z Жыл бұрын

    이 분이 진짜 찐입니다 저는 대학 갈 때도 수강하고 리트 준비할 때도 다시 한 번 들었네요..

  • @user-nd9oj2xp7i

    @user-nd9oj2xp7i

    8 ай бұрын

    혹시 리트에서도 이 방법이 통하나요?

  • @user-rc4uh7hh8z

    @user-rc4uh7hh8z

    8 ай бұрын

    @@user-nd9oj2xp7i 모든 글읽기에 통합니다

  • @user-tv8qb1zj3u
    @user-tv8qb1zj3u Жыл бұрын

    이해에 있어서 기초적인 배경지식 인텔리젼스도 쌓여있으면 도움이 될것 같군요.

  • @qwer8550
    @qwer8550 Жыл бұрын

    이래서 강좌 수강 여부를 문학 개념어, 문법은 반필수로 보지만 독서는 굳이? 라는 생각을 함. 물론 진짜 손을 놔서 가망없고 혼자서는 아무것도 못한다면 강의를 당연히 들어야겠지만 5등급정도로 평균적인 수준은 된다는 가정하에 인강없이도 처음부터 무작정 읽고 사고를 하고 그 사고를 정리하다보면 어떻게 읽어야할지를 수준에 따라서 시간의 편차는 있어도 무조건 스스로 깨우칠 수 밖에 없는 구조임. 공부만 제대로하면 11월까진 누구나 무조건 됨.

  • @user-nc4sg1vo6u
    @user-nc4sg1vo6u7 ай бұрын

    찬우야 처음봤을때가 언젠지도 기억 안나네 그때도 다른강사들이랑 다르게 진짜 글 읽는 방법 알려주려고 노력 많이 했던걸로 기억하는데 여전하구나 난 이번에 중학교 졸업한다 앞으로도 화이팅해

  • @user-gx2yq2je5f

    @user-gx2yq2je5f

    7 ай бұрын

    ?

  • @pinetre_e

    @pinetre_e

    7 ай бұрын

    @@user-gx2yq2je5f잘은 모르겠지만 중딩교사같음 그냥 중딩 끝내고 고등학교 가르치러 가는걸 은어로 ~ 졸업한다라고 하는듯? 확실한건 아님

  • @user-mw9ri6dq1h

    @user-mw9ri6dq1h

    7 ай бұрын

    @@pinetre_e걍 드립친거임..

  • @ZZZYUBZZZYUBZZZYUBMFS

    @ZZZYUBZZZYUBZZZYUBMFS

    7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otoomzazi4839

    @dotoomzazi4839

    6 ай бұрын

    @@pinetre_e부옹신

  • @KJH_127
    @KJH_127 Жыл бұрын

    열심히 할게요. 선생님.

  • @user-wlsk0324
    @user-wlsk0324 Жыл бұрын

    평소에 독서를 아예 안하는 학생입니다 이제 고등학교에 올라가서 국어 공부도 해볼려고하는데 독서를 많이 하는게 좋나요? 만약 그렇다면 어떤 종류의 책들을 읽는게 읽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많이 되나요? 문해력이 너무 떨어진다는게 평소 일상생활에서조차 느껴질 정도입니다...

  • @simpathy

    @simpathy

    Жыл бұрын

    독서를 많이 하는게 당연히 좋죠. 교과서부터 또박또박 정독하시길 권합니다.

  • @user-in5ep6tr1j
    @user-in5ep6tr1j7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고3 올라가기 전에 봐서 정말 다행입니다. 남은 1년 열심히 달려 원하는 입결 쟁취하겠습니다.

  • @gongboo2021
    @gongboo2021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sw4nl4su4f
    @user-sw4nl4su4f8 ай бұрын

    이게 너무 맞는 말씀이신게 어릴때부터 책 꾸준히 읽어 온 사람은 바로 통용되는 독해법을 익혀두 적용이 되지만 공부를 늦게 시작한 사람은 이 영상에 나온 내용을 먼저 공부하는게 맞죠ㅠㅠ 진짜 노베때 알았다면 너무 좋았을듯😢

  • @badhaahss1531
    @badhaahss1531 Жыл бұрын

    국어 3등급인 고3에게 확신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국어가 정말 약해서 고2때 시간재고 분석 한답시고 별 이상한짓을 다 하면서 시간을 빼다가 겨울방학이 들어오고서 독서 하루에 한지문만 꾸준히만 하루하루씩 이해해보자라는 생각으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제 공부 방법이 느리지만 정확하다고 생각 할 수 있는 확신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green_dollar_sign

    @green_dollar_sign

    Жыл бұрын

    이해를 했는지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들은바로는 가르치듯 설명할 수 있으면 이해한거라고 하는데 이것도 뭔가 이해했다의 기준이 애매한거 같아서요

  • @simpathy

    @simpathy

    Жыл бұрын

    @@green_dollar_sign 1차 적으로는 문제가 깔끔하게 풀려야 합니다. 그 외에는 수업이나 질문을 통해 확장해가시는 겁니다.

  • @user-vq6cs4iq3m

    @user-vq6cs4iq3m

    Жыл бұрын

    계속해서 꾸준히 하시면 됩니다. 당장에 실력이 안오른다고 불안해하지 마시고 저도 이 방법으로 성적도 오르고 독해력도 많이 상승했어요

  • @user-ix2ij7gh9v
    @user-ix2ij7gh9v Жыл бұрын

    맞아... 글 읽을때는 읽고 나서 머리속에서 정리가 돼야 하는데.. 저런거 치면서 하면 저런 기호 치는거에만 신경쓰여서 정신이 자꾸 산만해지는거 같음..

  • @user-vy2fq1wt5t
    @user-vy2fq1wt5t Жыл бұрын

    수학도 ㅇㄱㄹㅇ임 많이푸는것 보다는 킬러 준킹러도 적더라도 체화해내는게 중요한듯

  • @user-rp5fv2qm5x
    @user-rp5fv2qm5x Жыл бұрын

    또르르!!! 눈물이 떨어진 자국이 정답ㅋㅋㅋㅋㅋ, 화생방 8.9초 ㅋㅋㅋㅋㅋㅋ 오늘도 재미있고~ 유익하고~ 좋은 강의! 잘보고가요 쌤 ♡

  • @user-vu2gb2fx4l
    @user-vu2gb2fx4l Жыл бұрын

    천재!!! 믿습니다.

  • @handle55947
    @handle55947 Жыл бұрын

    맞는말이라고 생각합니다. 학습은 인지에 부담을 오지게줘야함. 네모세모 이런도구같은거는 솔직히 이미 씹갓인 사람기준에서 하위권대상으로 강의할려다 보니까 탄생한거라 생각함. 사실은 독해력만 뒷받침되면 저런 도구같은 사고는 당연히 독해하면서 따라온다생각함. 추가적으로 내느낀점을 말해보자면 비문학은 오히려 어려울수록 대략적 주제라도 잡아야함. 이건 영어하면서 특히 느낀건데(왜냐면 영어는 제시문 길이한계때문에 보통 주제가 일관이라서 문장 몇개스킵해도 주제는 보임) .. 일단 주제를 잡아야 문제풀때 정답근거 오답근거에 힘이 생김. 그 과정에서 문제를 풀면서 자연스레 지문독해에 힘이붙고 이를 바탕으로 꽤재독하면서 킬러문제까지 풀어내야하는듯. 요약하면 --- 쉬운문제와 딸려있는 선지까지 지문이 주는 힌트라고 생각해야한다.

  • @user-wb3wo6uw1m
    @user-wb3wo6uw1m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요번에 중3 올라가는 중학생입니다. 이제 고등학생이 1년뒤면 되니까 이런 공부 조언 영상을 보면서 제 공부에 적용해보고 하는 과정을 거치는 중인데요. 매3문 문제집을 푸는데 항상 시간이 오버하게 되서 빨리 읽고 풀려고 하다보니 계속 많이 틀리게 되고 합니다. 제가 문제를 풀때 선생님께서 말씀해주신 공부법과 똑같이 풀고 있는데 선생님 말씀대로 너무 시간에 얽매이지 말고 더 그 글 자체를 이해하도록 노력하는게 좋을까요? 다른 친구들은 학원 다니면서 벌써 모의고사 풀고 등급 나온다고 한다는데 그럴때마다 제가 뒤쳐지는거 같아 초조해지기도 해요. 나중에 모의고사 봤을때 웃을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 @simpathy

    @simpathy

    Жыл бұрын

    혼자 웃게 되실 겁니다.

  • @user-wb3wo6uw1m

    @user-wb3wo6uw1m

    Жыл бұрын

    @@simpathy 감사합니다 선생님 열심히 해볼께요!!

  • @user-ub2bx7sk2m

    @user-ub2bx7sk2m

    Жыл бұрын

    ​@@user-wb3wo6uw1m 이쁘고 대견한 학생이네요. 분명 좋은 결과있을거에요

  • @user-wb3wo6uw1m

    @user-wb3wo6uw1m

    Жыл бұрын

    @@user-ub2bx7sk2m 감사합니다 오랜만에 중3이 되어 시험준비를 하다가 유튜브에 들어왔는데 답글이 있어보니 기분이 좋네요!! 응원해주시니 너무 감사합니당!!

  • @heewon792

    @heewon792

    5 ай бұрын

    시간 재지 마세요 의미 없어요...

  • @user-lh4zr2qg5w
    @user-lh4zr2qg5w Жыл бұрын

    작년 9월모고 5등급 나와서 슬펐는데 이번 3월 모고때 3등급 목표로 삼아서 쌤 말씀하신 대로 오늘부터 시도해볼게요 🙇

  • @user-mp3pe7dc3v
    @user-mp3pe7dc3v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sweet712
    @sweet712 Жыл бұрын

    본질을 알려주시네요

  • @user-tu6zz8qs8e
    @user-tu6zz8qs8e Жыл бұрын

    뼈 맞았다 감사합니다

  • @user-jm5pw9rt7b
    @user-jm5pw9rt7b Жыл бұрын

    내가.. 고등학교때 언어영역 3등급 4등급 따리였음.. 근데 고3때 공부가 하기 싫어서 독서실 옥상에 올라가서 그냥 하염없이 노래만 들었음 그러면서 가사 보면서 작사가에 몰입해서 가사 하나하나 곱씹으면서 노래를 들었음 어떤 심정으로 이런 가사를 썼는지.. 그 속에서 비유적인 표현들을 보면서 감탄 하기도 하고 발라드나 힙합을 주로 들었던거 같음.. 다른 과목에 비해 따로 언어영역 공부를 많이 하지는 않았는데도 고3 6월 모평에서 한문제를 틀렸고 수능 날 까지 계속 1등급이였음..

  • @league-ni6dq
    @league-ni6dq9 ай бұрын

    문학은 혼자 독학못하겠어서 국일만 읽었는데 문학푸는법 깨달아서 안틀리고 독서는 절대 양치기 하면 안되고 지문읽을때 속도보다는 글에서 할 수 있는 온갖 반응을 하면 문제도 내가 글 읽으면서 했던 생각들이 문제에 그대로 나와있어서 안틀림

  • @Parkseheon02
    @Parkseheon02 Жыл бұрын

    05 수능학번입니다. 어릴때 부터 책한번 읽어본적이없었고, 고등학교 3년 내내 언어영역에 절망을 봤었고 공부가된다는 느낌 조차 받아본적이없는 과목이 언어였습니다. 어릴때 책을 안읽어서 단순히 습관이 안되서 그런건가, 무작정 읽으면 되는건가, 누군가 내가 왜 안되는지 알려줬으면 좋겠고... 그게 20년이 지났는데 아직도 한이 맺힙니다. 야자시간에 공부안하고 무협지만 읽어대는 친구들은 언어가 매번 1등급인데 3년내내 주궁창창 비문학 문제집만 풀면서도 난 대체 뭘하고있는걸까 이해는 하고있는걸까, 내가 지금 공부는 하고있는게 맞는걸까, 원망하며 눈물을 흘렸던 그 느낌이 아직도 생생하네요. 그러다가 우연히 유튜브에서 이영상을 봤는데 이제서야 나이먹고 내가 뭘 몰랐는지 왜 안되는지 자신을 알지 못했기 때문이였네요. 내가 왜 그렇게 언어 과목에 답답함을 느꼈는지 알게되는 영상이었습니다. 지난 과거로 돌아갈수만 있다면 수능을 포기하지말고 다시한번 공부해보고 싶네요. 언어가 항상 1교시라서 수능당일에도 1교시 끝나고 나서 거의 자포자기 였고 20살에 대학교 자퇴하고 바로 군대 가서 제대후 그냥 고졸 학력으로 취업했습니다. 언어영역때문에 아직도 가끔 악몽을 꾼답니다. 지난 세월의 한을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ix5ql8zy9r
    @user-ix5ql8zy9r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고3 국어 5등급 학생입니다 사실 모고 풀 때 그냥 시간이 부족한대로 1번부터 차근차근 풀다가 항상 40번부터는 꼭 찍게 되게 되더라구요 그리고 국어 공부는 언젠가 하겠지 하면서 미루고 미뤄서 결국 고3 겨울방학이 왔고 시작을 해야하는데 뭐부터 시작을 해야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래도 영상에서 말씀하신 대로 지문 이해를 제대로 하는 연습부터 시작을 하는 게 좋을까요?

  • @simpathy

    @simpathy

    Жыл бұрын

    지문 이해를 제대로 하는 것부터 시작하셔야 합니다. 다만 처음에는 혼자 하기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강사의 강의를 들으면서 차근차근 따라가주세요.

  • @user-nq1ye1lq9o
    @user-nq1ye1lq9o11 ай бұрын

    제가 현역 수능때 봤던 헤겔의 변증법 지문이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았습니다. 재수를 했을 때도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3수째 하는 도중에 계속 읽어봤는데 지문중에 ‘논증’이라는 말이 있는거에요. 근데 이게 진짜 쉬운 단어임에도 불구하고 모르는 단어였던거에요. 이런걸 짚고 넘어가는게 진짜 중요한거같아요

  • @redsan3742
    @redsan3742 Жыл бұрын

    이 선생님을 고3 학업 끝나고 보게되다니...

  • @user-lc2kb1cn8q
    @user-lc2kb1cn8q Жыл бұрын

    정말 딱 저의 이야기여서 놀랐어요... 쌤이 말씀해주신것처럼 해봐야겠어요ㅠㅠ

  • @user-pu2rn4bh2y
    @user-pu2rn4bh2y Жыл бұрын

    같은 인트로 브금 다른 깨달음 오늘도 배우고갑니다

  • @wtfishandle
    @wtfishandle Жыл бұрын

    국어공부를 안해도 항상 2등급이 나와서 부족한 과목인 수학만 하다가 이제야 수능 1등급~만점을 목표로 공부 시작하려 하는데 저같은 케이스는 어떻게 하면 제일 좋을까요? 누구든 도움이 간절할거고 그 도움은 스스로 찾는 게 제일 좋다는 건 잘 알지만 혹시나.. 제가 모르고 있는 부분이 있나 해서 여쭤보아요 19살 자퇴생입니다

  • @simpathy

    @simpathy

    Жыл бұрын

    영상에 올라간대로 차근차근 문장 독해부터 시작해주세요. 초반에는 방향을 못 잡을 수 있기 때문에 강의와 함께 국일만 교재를 활용해주시면 됩니다.

  • @wtfishandle

    @wtfishandle

    Жыл бұрын

    @@simpathy 정말 감사합니다!!

  • @ill874
    @ill874 Жыл бұрын

    이 강사는 찐이네요 굳

  • @user-gd7mz8ky2v
    @user-gd7mz8ky2v Жыл бұрын

    이분 뭔가 찐이다......와

  • @Synthesis783
    @Synthesis7838 ай бұрын

    23수능때 국어 4등급받고 나머지는 잘 봐서 경희대 공대를 갔지만 군대가서 다시 수능쳐서 약대를 도전하려고 고민하던 중에 제 발목을 잡던 국어에 대한 해결책을 어느정도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보고갑니다 다시 도전해봐야겠네요

  • @user-wp6cm7os7d

    @user-wp6cm7os7d

    7 ай бұрын

    어떻게 되셨어요??

  • @Synthesis783

    @Synthesis783

    7 ай бұрын

    @@user-wp6cm7os7d 네? 저 아직 군대도 안 갔어요..25수능 볼려고요!

  • @user-hm9be8vi6b

    @user-hm9be8vi6b

    7 ай бұрын

    @@Synthesis783다른 과목 얼마 나오심?

  • @Yisangs_library

    @Yisangs_library

    5 ай бұрын

    현역인데 무섭다....

  • @hahahaha99
    @hahahaha99 Жыл бұрын

    내가 삼수까지 독학하면서 얻게된 국어공부방법이 여기다있다.. 근대 어릴때 이영상을 봤다면 잘 와닿지 않았겠지. 국어공부방법이라는 영상이 넘쳐나고있으니까

  • @user-ob9dc2od8h
    @user-ob9dc2od8h5 ай бұрын

    수능본지 10년은 넘었는데 어쩌다 우연히 봤습니다. 글씨가 굉장히 이쁘시네요

  • @user-zb3yp8vy2u
    @user-zb3yp8vy2u Жыл бұрын

    중2 겨울방학중 최고의 선택

  • @user-zo9zd7dm4d
    @user-zo9zd7dm4d6 ай бұрын

    딱 필요한 영상이 알고리즘에 ...

  • @user-in8wl4bg4d
    @user-in8wl4bg4d18 күн бұрын

    진짜 제목 야무지게 잘 만드네요

  • @user-tj1io3xl6r
    @user-tj1io3xl6r3 ай бұрын

    주옥같은 말씀이네요! 당분간은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정확한 어휘로 지문을 이해하는것이 중요.

  • @user-ro2qg2yv5c
    @user-ro2qg2yv5c Жыл бұрын

    10학번 수능.. 그러니까 09수능 봤는데요 저는 일생의 취미가 신문 읽기와 책 읽는 거 밖에 없었습니다. 솔직히 언어 시험은 저에게 굉장히 즐거웠어요. 물론 노력은 필요하지만 자연스러운 어휘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일찌감치 많은 글을 읽는게 큰 도움이 될 듯 싶습니다.

  • @rofa7538

    @rofa7538

    Жыл бұрын

    @@user-zy3nk9op8w 09년에 봣다고 하시고 싶으셨나봐요

  • @fadsfdwefad9674
    @fadsfdwefad9674 Жыл бұрын

    선생님께서 말씀하시는 글 읽기 방법이, 제가 아는 모 선생님과 결이 다르다고 느꼈습니다. 그러나 계속 곱씹어보니 궁극적인 목표 즉, 글의 이해를 위해선 한지문을 여러번 회독한다는 점에서 둘다 추구하는 방법이 같더군요. 선생님의 은사께 배우는 저는 이 영상에서 많이 배우고 갑니다. 확실한 믿음 또한요.

  • @jbjjj2119
    @jbjjj2119 Жыл бұрын

    작수 국어 6등급. 몇주전부터 이 영상 보고 실천중입니다 예체능학생이라 3등급이 목표엿는데 2등급 목표로 할려구요!! 확실히 너무너무 도움 된 거 같기도 해요’!!! 이번엔 꼭 제대로 잘 보겠습니다

  • @apasionadamente6724

    @apasionadamente6724

    Жыл бұрын

    너의 맞춤법, 띄어쓰기를 보면 불가능하다

  • @user-gimu4

    @user-gimu4

    Жыл бұрын

    @@apasionadamente6724 일침충 ㅇㄷ

  • @user-gv6xy2pt9w
    @user-gv6xy2pt9w Жыл бұрын

    이제 고2 국포자 국어 최근모고 6등급 공부법 하나도 모름. 하지만 믿고 이렇게 해봅니다.

  • @kangyena9561
    @kangyena9561 Жыл бұрын

    생활한복이신가요? 멋지시네요 좋은 말씀 감사해요!

  • @aheb725
    @aheb725 Жыл бұрын

    항상 시간을 재고 문제를 풀어야 할까요? 너무 시간에 쫓기는 느낌 때문에 지문을 이해한다기 보다 문제만 풀어재끼는 기분이 들어서요

  • @simpathy

    @simpathy

    Жыл бұрын

    아뇨. 실력부터 키우고 자연스레 시간이 줄어들 때까지 훈련해주세요.

  • @zizikimi
    @zizikimi Жыл бұрын

    이거 ㄹㅇ임 내가 독학으로 터득한거랑 완전 일치함 기술 이런거 다 필요없음 본질을 파악해야됨..이거만 되어도 2,3등급 정도는 충분히 끌어올릴 수 있음

  • @suel771
    @suel7716 ай бұрын

    수능본지 10년도 넘었는데 일상 업무 글 읽는 능력은 항상 기본이.되어야 한다. 영상 정독해야겠다..

  • @user-103swwssaa
    @user-103swwssaa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예비고1 노베 학생입니다. 제가 1월중순부터 매일매일 독서지문 읽는 훈련하고있습니다. 그런데 이제 개학해서 학교다니다보면 수행평가 내신공부등등 학교생활하느라 독서지문 읽는훈련할 시간이 부족할 것 같습니다. 훈련한 기간이 한달밖에 안되서 아직 실력이 느는느낌은 1도못받았는데 개학한다고 멈추게되면 지금까지 공부했던게 효과가 사라지지 않을까요? 아니면 시험기간(4주)를 제외하고 그냥 학기중에는 꾸준히 한두 지문이라도 해야할까요..?

  • @simpathy

    @simpathy

    Жыл бұрын

    시간 많을 것 같은데요. 유튜브 볼 시간에, 화장실에서 볼일 볼 시간에, 무의미하게 보낼 시간에 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user-103swwssaa

    @user-103swwssaa

    Жыл бұрын

    @@simpathy 네ㅠㅜ 내신기간에도 해야할까요?

  • @simpathy

    @simpathy

    Жыл бұрын

    @@user-103swwssaa 틈나면요 ^^

  • @wonb8285
    @wonb82858 ай бұрын

    수학 학원선생입니다. 지금까지 제가 수천번은 말한걸 여기서 찾게되네요. 무조건 읽고또읽고. 구조파악하면 글이해하기쉬우니까 구조찾고. 단락정리하는연습해서 글내용이해하고. 정말 공감합니다. 200%정답입니다.

  • @khj3662
    @khj3662 Жыл бұрын

    결국 본질은 독해력입니다!

  • @caven6917
    @caven6917 Жыл бұрын

    진짜 맞는말만 하네 한 마디도 거를 게 없다

  • @user-pq2fx5wc7w
    @user-pq2fx5wc7w29 күн бұрын

    오프닝부터 파카가 땡기네 ㅋㅋ 파카 보러 간다잉

  • @user-nx8ph2th7z
    @user-nx8ph2th7z Жыл бұрын

    크.. 코드를 제대로 아시는 올바른 국어선생님.

  • @Hijhkim2064

    @Hijhkim2064

    Жыл бұрын

    스터디코드 말씀 하시는건가요

  • @Aesthetics0010

    @Aesthetics0010

    Жыл бұрын

    남호의 반짝이는 머리가 떠오르는 댓글

  • @user-nj2mp7zh7d

    @user-nj2mp7zh7d

    Жыл бұрын

    @@Aesthetics001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dhjmiknauejhe
    @sdhjmiknauejhe3 ай бұрын

    참 똑똑하시다 강사니까 당연한거지만 모든 지적 능력이 뛰어난 느낌

  • @시마홀릭
    @시마홀릭2 ай бұрын

    수학도 똑같았던거 같아요. 이해될 때까지 그 문제를 고민해보는 시간을 갖는 것... 그 시간 덕분에 수학 1등급 받긴했는데, 국어에선 그런 시간을 가지지 않았던거같네요. 후회가됩니다.

  • @Cognaclover
    @Cognaclover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덕분에 성대 8칸으로 지원합니다 감사했습니다

  • @notthings6443
    @notthings6443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tw1vj6ee1q
    @user-tw1vj6ee1q Жыл бұрын

    전 문학은 그냥 눈으로만 푸는데 비문학은 그게 안 돼요,, 실모 칠 때는 타임어택에 강박이 생겨서 발췌독으로 어영부영 풀어버리고 연습할 때는 동그라미 세모 네모 밑줄 슬래쉬 치면서 읽게 되는데 어떡하죠… 지금은 1등급 뜨는데 수능 때는 망할 것 같아요 7달…샤발 내가 왜 고3이지????.????.??????????.??

  • @user-ji9fo3ir8g
    @user-ji9fo3ir8g9 ай бұрын

    소위 국어 빼고 다 잘하는 이과생이었는데 고3 여름방학때 매일 기출 한개분 거의 6시간씩 투자해서 모든 지문이랑 보기에 대해서 해설지 보면서 분석했었음. 이렇게 하니까 매번 80점대 나오던게 9월이랑 수능때는 시간이 남았음. 수능 친지는 한참됐지만 결국 글읽기를 잘해야 국어점수도 잘나온다는건 변하지 않는것 같음.

  • @ls-qq4iv
    @ls-qq4iv Жыл бұрын

    어제 학원에서 독서 문제풀라고 시간 줬는데 옆에 애가 다읽고 문제풀러 넘어갔을때 나는 반도 못읽었었음 불안했지만 시간이 남았었고 공부방법 바꿔보자는 다짐을 했었기때문에 묵묵히 참고 다 이해하며 읽음 결과는 결국 내가 더 빨리 풀고 정답률도 더 높았음 내가 다 풀었을때도 걔는 두문제밖에 못풀었더라 이때 내 국어공부의 방향성을 확신했음

  • @fullbster
    @fullbster Жыл бұрын

    와 찬우형 16년도 말인가? 군에 있을 때 본 거같은데 시간 개빠르네

  • @kaps92a95

    @kaps92a95

    Жыл бұрын

    16년도가 벌써 7년전이네 ㄷ

  • @user-xf1gc1sb2p
    @user-xf1gc1sb2p Жыл бұрын

    인트로가 많이 친숙하네요

  • @user-xn8gx3md4p
    @user-xn8gx3md4p Жыл бұрын

    네 형 믿을게요

  • @user-cu5mm7gh8u
    @user-cu5mm7gh8u Жыл бұрын

    너를 국어 일등급으로 만들어주마 에서 말하는 핵심이랑 유사한것같네요

  • @user-cl5wh4fj4m

    @user-cl5wh4fj4m

    Жыл бұрын

    책 저자분이 이 선생님한테서 많은 영향 받으셨다고 하셨어요

  • @user-zk5yk8cg6e

    @user-zk5yk8cg6e

    Жыл бұрын

    그 저자가 이분 제자이심

  • @vy-bq3hd
    @vy-bq3hd Жыл бұрын

    어휘 [예시 많이 보기 -사전] 잡도한 도구로부터 해방되기

  • @user-em6ie3nj5e
    @user-em6ie3nj5e6 ай бұрын

    이래서 국어가 재능이란 말이 있는 거임 어릴 때부터 책 읽는 게 습관화되어 있는 애들은 학교 공부로만 모고 2등급부터 시작

  • @daniellunar1840
    @daniellunar1840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독서를 할때도 속독이 아니라 탐독을 하는게 중요함. 읽는속도가 아니라 이해의 속도를 높이는거

  • @Y-NOT-
    @Y-NOT-6 ай бұрын

    예시와 용례 맥락의 힘 이건 모든 학습영역에서 중요함

  • @user-io4sy7ss5p
    @user-io4sy7ss5p Жыл бұрын

    진짜 감사합니다.제 얘기하는 줄요..........

  • @user-wz3qo2ke6r
    @user-wz3qo2ke6r Жыл бұрын

    고1인데 진짜 존경합니다..ㅇㅇ

  • @user-xw1zm4ow7d
    @user-xw1zm4ow7d Жыл бұрын

    이용진 굉장하다

  • @user-dm7oh2pp4k
    @user-dm7oh2pp4k3 ай бұрын

    선생님 믿어볼게요

  • @ai-tq9mg
    @ai-tq9mg7 ай бұрын

    05학번 아재인데...무협 판타 소설책을 과장없이 수 백권(지금은 천권은 될듯) 읽었더니 어느 순간 글자가 그림처럼 인식되고 페이지를 넘길때 해석하는 수준으로 바뀌니까 수능 언어쳤을때 비문학 지문 2번씩 읽어도 20분이상 남았었던... 고득점이 이것도 컸지만, 조금더 추가한 트레이닝이 있다면 비문학 한지문에 6문단 있다면 각 문단에 소제목 붙여보는 연습하고 답지랑 비교해서 내 견해랑 비교해보는 방법으로 트레이닝 했던거 같아요.

  • @Soyoung-i

    @Soyoung-i

    7 ай бұрын

    역시 책을 많이 읽어야하나요ㅜㅠ 전 책 하나도 안읽은 주제에 수능 공부 할려는 제 자신이 미워지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