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효과 볼 겁니다. 수능날까지 눈 딱감고 매일 해보세요. (ft. 국어 공부법)

심찬우 선생님의 강의와 컨텐츠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모두 만나실 수 있습니다
■ 온라인 강의
오르비클래스 / 국어영역
→ class.orbi.kr/teacher/94
■ 오프라인 강의
메가스터디 러셀(단과)
→ russel.megastudy.net/intro/ga...
- 러셀 (대치, 분당, 목동, 센텀, 울산, 기숙)
- 러셀 코어Live(대구, 광주)

Пікірлер: 189

  • @qawsedrf616
    @qawsedrf6168 ай бұрын

    느려보이지만 성적이 오르는 것들. 1. '흥미'를 가지고 책읽기, 2. 활자 노출늘리기, 3. 기출지문을 읽고 관련정보를 찾아보거나 글로 남겨보기. 4. 활자 읽고 각성하는 느낌을 확보하고 유지하고 늘려보기. 5.책추천 ex)살아있는 경제교과서

  • @Y-NOT-

    @Y-NOT-

    5 ай бұрын

    덕분에 시간아꼈어요

  • @Ji-P

    @Ji-P

    5 ай бұрын

    '살아있는 경제교과서'의 정확한 책 원 제목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qawsedrf616

    @qawsedrf616

    5 ай бұрын

    @@Ji-P 저도 모릅니다 ㅠㅠ 저게 책 제목일줄 ...

  • @user-zo9zd7dm4d

    @user-zo9zd7dm4d

    4 ай бұрын

    어떻게든 활자를 많이 접하면 굿

  • @user-qx6yu5wh7o

    @user-qx6yu5wh7o

    4 ай бұрын

    심지어 느리지도 않음 이번 겨울방학동안 하루 30분씩 독서를 했는데 3->1됨

  • @summer_shower
    @summer_shower11 ай бұрын

    이거 내 친구 ㄹㅇ임 진짜 문학 덕후가 있는데 어릴때부터 한국소설, 일본소설, 프랑스 영미… 별의 별 책 다 읽고 웹소설까지 전부 섭렵한 친구임 (생선으로 시집 사줌) 걔 국어 모의고사 공부, 특히 문학공부는 안함. 그래도 1등급 나옴. 저도 따라서 책 읽다가 성적 많이 오름. 그 친구 문관데 배경지식도 많아서 영어, 사탐 다 1등급 나옴. 그리 공부를 많이 하는 게 아닌데도. (수학은… 논외) 그 친구 신문도 읽고 무슨 활자 중독 수준임… 책 읽는 거 진짜 도움돼요. 특히 문학. 다들 한 번만 깊게 짙게 공감하고 상상하고 이입하며 읽어보세요. 진짜 눈물 투둑 떨어집니다. 그리고 무언가 깨달음이 와요. 심찬우쌤이 말씀하신 그 ‘깨달음’이 와요. 정말 p.s 저도 책 따라 읽다가 6모 1 처음 맞아봤습니다 턱걸이였긴한데 만년 3이었기에… 지금 모의고사 보면 2중간은 나오는 듯

  • @user-rq4xs3es4w

    @user-rq4xs3es4w

    11 ай бұрын

    그럼 그 영어는 영단어가 관건일텐데 영단어는 어떻게 외우셨을까요

  • @emilyson4790

    @emilyson4790

    11 ай бұрын

    ​@@user-rq4xs3es4w영어책 다독하면 영단어 따로 안외워도 되더라구요

  • @user-rq4xs3es4w

    @user-rq4xs3es4w

    11 ай бұрын

    @@emilyson4790 와우 대단하네요

  • @user-re8im7db1x

    @user-re8im7db1x

    11 ай бұрын

    울랄라

  • @Jordanbutterson

    @Jordanbutterson

    11 ай бұрын

    고대 다니는 문과생과 이런저런 이야기 했는데 수능 문과 과목은 어느정도 수준으로 올라가면 공부할 게 없어서... 중간에 헤이해진다더라구여 ㄷㄷㄷ 국어, 영어, 사탐 모두

  • @_yeonda
    @_yeonda11 ай бұрын

    저는 나이들어 죽을 때까지 배우고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지나가는 30대 중반입니다. 읽고 싶은 책은 많고 사놓긴 하는데 못 읽고 있는 멍청이에게 이 영상을 보여준 알고리즘에 고맙다고 해야겠네요ㅋㅋㅋㅋ 이만 책 읽으러 가볼게요😅

  • @Blue1120
    @Blue112011 ай бұрын

    생각해보면 어릴때 갖가지 만화책과 동화책, 때로는 글책도 읽던 그때가 지금보다 더 잡다한 여러 지식도 많이 알고있었고 오히려 지금이 그때보다 아는게 적어졌다라고 생각되기도 하네요

  • @user-hn1zs1wj1t

    @user-hn1zs1wj1t

    11 ай бұрын

    ㄹㅇ 우리집 벽 4개가 책장이라 옛날에는 만화 동화 장편 소설 판타지 순문학 다 읽을때는 진짜 아는게 많았던거 같은데

  • @KWKO1234

    @KWKO1234

    4 ай бұрын

    그럴수밖에없음. 수능은 굉장히 한정적인 지식을 요구함. 사실 국어에서는 지식을 딱히 요구하지도 않음

  • @Jordanbutterson
    @Jordanbutterson11 ай бұрын

    이과에 언어 버렸던 사람인데(60점대), 다른과목도 잘 하려면 국어능력이 필요하다고 해서 매일 비문학 2지문 풀고, 30분 정도 책을 읽었습니다(설득의 심리학, 1년 동안 책1권 다 못읽은 건 비밀). 그결과 수능은 2등급 나와서... 언어도 보는 좋은 학교 들어갔었죠.

  • @jiyeongjeong

    @jiyeongjeong

    10 ай бұрын

    와...

  • @user-cycycy

    @user-cycycy

    2 ай бұрын

    몇 달 정도 하셨나요?

  • @commander_7777
    @commander_77773 ай бұрын

    동기부여 씨게 되네요.... 그동안 책을 읽지 않고 유튭을 보며 버렸던 시간들이 너무나 아깝게 느껴집니다.. 늦었더라도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ha-lf4gq
    @ha-lf4gq8 ай бұрын

    내면세계 심상을 이해하는 닥터에서 빵 터졌어요^^ 선생님 감사합니다. 국어공부의 본질을 말씀해주셔서... 일타강사님들이 그냥 일타가 아니시구나 싶어요

  • @yejikim9043
    @yejikim904311 ай бұрын

    초등학생 엄마인데 정말 아이가 학교가서 졸아요. 유튜브 그 숏츠인가 보면서 자기전 휴대폰 하는거 때문에 미칠거 같았는데 이 영상 보니까 자기전 책 읽는거 너무 너무 좋은 생각인거 같아요

  • @user-mi2ok8rz6x
    @user-mi2ok8rz6x11 ай бұрын

    핵심을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도록 짧고 간단하게 설명해주셔서, 이 분의 강의를 사거나 현강을 듣진 않았지만, 가끔 이런 영상 볼 때마다 내 공부법의 잘못된 방향을 인식하게 되고, 국어에 대한 내 근자감은 터무니없는 자만이었다는 걸 깨닫는다.

  • @user-sp5hd8kl6g
    @user-sp5hd8kl6g11 ай бұрын

    입시 말고도 그냥 사람들한테도 필요한 조언.

  • @llilll3574
    @llilll357411 ай бұрын

    ㄹㅇ 진짜 진리는 가르쳐주시는 선생님 말씀 잘 듣고 그대로 하는 거다.. 저도 오늘부터 자기 전에 꼭 한 시간 씩 독서지문이 됐든 뭐가 됐든 글을 읽겠습니다 !!

  • @user-ux4rr4rv4d

    @user-ux4rr4rv4d

    11 ай бұрын

    웹소설을 어떤가요

  • @user-mc9kh8qp2u

    @user-mc9kh8qp2u

    11 ай бұрын

    @@user-ux4rr4rv4d 은근 좋음 ㅇㅇ

  • @lilillilllilil

    @lilillilllilil

    11 ай бұрын

    ​@@user-vq3yd8lt6c수특 독서 좋죠

  • @big680

    @big680

    11 ай бұрын

    ​@@user-ux4rr4rv4d화산귀환 조져

  • @user-wj5ol6rr4v

    @user-wj5ol6rr4v

    11 ай бұрын

    그냥 책을 좀 읽어.. 뭘 웹소설이니 뭐니

  • @monkeyjennyradybugjinny7386
    @monkeyjennyradybugjinny73865 ай бұрын

    뭔지 알아요^^ 제대로된 조언입니다

  • @user-fn8uk4rf4k
    @user-fn8uk4rf4k3 ай бұрын

    정말 어릴적 책읽기 습관 중요한거 같아요. 고1부터 모고는 쭉 1등급 고정이였어요. 고등시절에 아침밥 먹으면서 잠깐의 독서도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아요.

  • @user-zj9xi1qo9f
    @user-zj9xi1qo9f11 ай бұрын

    개극공감입니다. 정도가 가장 빠른 길인데 덜덜덜하면서 앞만 보고 가죠

  • @user-vi7ww5le7i
    @user-vi7ww5le7i11 ай бұрын

    너무 교육적이고 좋아요

  • @user-cq8dw1ub8n

    @user-cq8dw1ub8n

    11 ай бұрын

    😊ㅔㅔ

  • @sea_luv
    @sea_luv11 ай бұрын

    11:40 아 개웃겨요 쌤ㅠㅠㅋㅋㅋㅋㅋ

  • @user-xq2xr7td5d
    @user-xq2xr7td5d11 ай бұрын

    순진한 학생들에게 하는 강사들 혀놀림을 정말 싫어하는데, 이 영상은 '자 읽는법을 가르쳐줄게' 이런식이 아니라 좋네 그리고 책을 꾸준하게 읽는 건 너무 좋은 습관!!

  • @user-er6nn7ei9p
    @user-er6nn7ei9p7 ай бұрын

    격하게응원합니다

  • @tothemoon5340
    @tothemoon534011 ай бұрын

    이거 진짜 맞아요 초등학교 다닐 때 저희 엄마가 학교 도서관 사서셨어요 그 덕분에 방과 후에 도서관 가서 책 진짜 많이 봤어요 딱딱한 책 말고 그냥 소설 수필 같은 거 읽었어요 근데 그 때 그게 나한테 재산이 되더라구요 지금도 문해력이 베이스가 되니까 웬만한 비문학 문학 지문 빨리 풀어요

  • @seongphilchang2880
    @seongphilchang28808 ай бұрын

    중학교때부터 공부를 접고 놀았는데 이상하게 국어는 공부를 안해도 1등급 고정. 기출 이런거 풀어본적이 없음. 그리고 고1 겨울방학때 두달간 영어만 하루 10시간씩 공부하고 그 뒤론 공부안하고 단어만 가끔씩 외웠는데 영어도 1등급. 그냥 어려서부터 책을 많이 읽었더니 그런가봄. 어떤 책을 읽고 재밌으면 관련된 책을 더 찾아서 읽고, 그 저자의 다른 책들을 찾아서 읽고, 밤엔 책 내용으로 일기를 썼는데... 여기 선생님이 딱 정리해주시네. "흥미로운걸 읽고, 관련 내용을 더 찾아보고, 스스로 정리해봐라"

  • @8-letters
    @8-letters11 ай бұрын

    키시베 로한이 이 영상을 좋아합니다

  • @geeyonsong7329
    @geeyonsong732911 ай бұрын

    그래서 어렸을때 부터 독서가 중요한거죠~~한글 책 많이 읽으면 수능 영어 독해에도 도움 되더라구요

  • @user-de2tw9kz7l
    @user-de2tw9kz7l4 ай бұрын

    격하게 공감합니다~!

  • @user-qw8pw9gu6b
    @user-qw8pw9gu6b5 ай бұрын

    공감 백퍼 😂😂😂😂😂😂😂

  • @elislee1005
    @elislee100511 ай бұрын

    웹소설 괜찮냐고 물으시는 분들은 진짜 모르시나요.. 웹소설이 짜임새 있고 용어들도 고등수준으로 쓰는 뭐 그런거라면 모르겠습니다. 근데 다들 아실텐데요...유튜브 쇼츠보는거랑 별반 다를 거 없다는거... 이 영상을 보면서도 이렇게 여쭤보는 이유가 뭔지..참... 내가 '글자 자체도 보는 게 싫다' 정도가 아니라면 일반 문학장르에서 시작해서 비문학 장르로 넓혀가면 좋을겁니다.

  • @minwoo212
    @minwoo21211 ай бұрын

    고3인데 6모 국어 7등급 뜬 거 보고 식겁해서 학교에서 밀리의서재로 책 읽어보는데 논술의 정석 60페이지 읽는데 1시간 반정도 걸림.. 작가가 중고딩 대상으로 쓴 책이라는데 문장 이해가 안돼서 한문장을 많으면 5번까지 읽음... 한페이지 읽는데 1분에서 2분까지 걸림 ㅠ 계속하면 속도 빨라지겠죠?★ 3학년 내신 국어(언매)는 2등급 떴어요 ㅋ.....

  • @user-vc3lh8wh7z
    @user-vc3lh8wh7z5 ай бұрын

    심찬우 선생님 우리딸의 빛

  • @user-pi1uy6xu8u
    @user-pi1uy6xu8u11 ай бұрын

    선생님 왜 맨날 같은 티만 입어요? 큐티 프리티X

  • @KSY-wf1oi
    @KSY-wf1oi11 ай бұрын

    드디어 떴다 내 저녁 반찬…

  • @policetime2727
    @policetime27276 ай бұрын

    감명깊은 강의 입니다 수능 최고의 선생님

  • @cocoroachlago
    @cocoroachlago11 ай бұрын

    도전

  • @user-vx6ic4bq2k
    @user-vx6ic4bq2k10 ай бұрын

    혹시 그냥 소설같은 걸 읽어도 도움이 될까요??

  • @lilililililiiiilllilililil6552
    @lilililililiiiilllilililil65525 ай бұрын

    사람마다 방법이 다르겠죠. 저는 내신을 제외하고 국어 영역 모의고사는 1번도 안 풀어봤고요. 다른 과목들만 공부해서 1등급을 유지했었습니다. 자연스럽게 2등급은 나와줬던 기억이 나네요. 벌써 10년 전이지만 ㅎㅎㅎㅎ... 유튜브 알고리즘으로 해당 영상이 왜 뜨는지 모르겠네용 ...그냥 덧글 남겨봐요

  • @ml5525
    @ml55255 ай бұрын

    어릴때부터 활자중독이었는데 정말 큰 노력 들이지 않아도 수능 국어는 잘 봤다. 저 강사님 말씀 정말 맞다. 심지어 국어 문제집도 취미로 풀 정도로 너무나 즐겁고 스트레스 푸는 용도로 1주일에 1권씩 풀어버렸다. 커서가 아니라 어릴때부터 책 읽는 습관은 정말 중요하며 성적을 논외하고서라도 인생 전반에 걸쳐 정말 가장 중요한 교육이라 생각한다.

  • @lee2536
    @lee25364 ай бұрын

    어릴 때부터 책 좋아했던 예비 고1입니다. 5살, 6살 때부터 생일 선물, 크리스마스 선물로 책 받고 싶다고 했었습니다. 저는 태어나서 한 번도 국어 학원 다녀본 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현재 수능까지는 아니더라도 고3 모의고사는 1, 2 등급 나옵니다. 제발 책 많이 읽으세요. 특히 초등학생 때는 학원 갈 시간에 차라리 책을 읽고, 독서에 흥미를 붙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한 분야의 책만 읽는다고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저도 초딩때는 why책, who책, 소설책만 봤는데, 점점 시간 지나면서 경제, 과학, 인문 책등 다양하게 보게 됐습니다. 제 동생한테 매번 말하는데도 안 듣네요. 그래서 여기다 써봐요. 제발 제발 책 많이 읽으세요. 그리고 특히 어린 친구들은 독서에 흥미를 붙여보세요. 정말 인생이 바뀝니다.

  • @user-wk9km6kp9z
    @user-wk9km6kp9z3 ай бұрын

    이분 욕하실때 약간 랄로같으심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랑 생각 많이 비슷하셔서 기분좋네요 옳은방향성 같아서 수능은 아니고 다른 시험이지만 정진해보겠습니다

  • @user-hs2du7mi2j
    @user-hs2du7mi2j11 ай бұрын

    집에 특정 분야에 관한 책보다는 소설책이 좀 많은데 소설책도 도움되겠죠?

  • @OoIlIlIl

    @OoIlIlIl

    5 ай бұрын

    소설책, sf, 무협지, 라이트노벨 다 좋습니다. 그냥 활자로된 아무거나 다 봐도 도움됨.ㅇ

  • @user-uj5zx7hg6z
    @user-uj5zx7hg6z11 ай бұрын

    영~차 바로 진행시켜!!

  • @user-morningbbang
    @user-morningbbang6 күн бұрын

    어릴 때부터 진짜 책 많이 봤어서 매년 다독왕이었음 책 종류 편식해서 소설만 주구장창 읽음 권장도서에 시집&과학&경제 책 있으면 진짜 제일 싫어했음….현재 국어에서 시&과학기술&경제지문만 기막히게 틀리는 중 책 아무리 많이 읽어도 한 분야만 읽는다면 그저 글 읽는 속도만 빨라질 뿐입니다…..

  • @jitaeju625
    @jitaeju6253 ай бұрын

    어차피 평가원은 논리 뺴면 시체임. 진짜 국어 어렵다고 느껴진다면 최대한 많은 기출을 최대한 반복적으로 모든 선지에 대한 근거 찾기 훈련을 해보는 걸 권함. 국어 능력이 떨어지면 평가원이 어떤 논리 구조로 어떤 유형의 문제를 출제하는지에 대해 익숙해지기라도 해야지. 그리고 이거 나름 알파이자 오메가임.

  • @user-mz2sd9xv5z
    @user-mz2sd9xv5z10 ай бұрын

    모든 과목이 이해력 독해력이 없으면(암기력이 탁월하지 않는한)참!힘들죠 그러니까 여러종류의 책을 많이 읽어야하는데 어릴때부터 습관이(문자에 익숙해지는 좋아지는)안되면 금방은 힘들죠 자기가 흥미와 재미를 느끼는 책부터시작!저는 만화책이라도 좋으니 책을 읽도록 합니다

  • @user-vj1fl2vi4t
    @user-vj1fl2vi4t11 ай бұрын

    찬우야이

  • @user-gk1gi2px2h

    @user-gk1gi2px2h

    11 ай бұрын

    ㅋㅋㄹㅋㄹㅋㄹㅋㄹㅋㅋㅋㅋㅋㅅㅂ

  • @user-ug3cv7xo9f

    @user-ug3cv7xo9f

    11 ай бұрын

    꼬두메로 가자

  • @user-bw3in2qf8n

    @user-bw3in2qf8n

    11 ай бұрын

    ㅇ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weiity

    @sweiity

    11 ай бұрын

    에필로그 폼 ;;;;

  • @user-qv9bc2do2p

    @user-qv9bc2do2p

    11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tu8lp3wx5x
    @user-tu8lp3wx5x11 ай бұрын

  • @user-en5se5hj6g
    @user-en5se5hj6g11 ай бұрын

    요즘 영상플렛폼이 대세긴 하지만 세계를 움직이는 힘은 아직 텍스트에 있습니다. 많이 읽고 많이 써보고 단어도 찾아보고 해보세요 학생 여러분. 지금 여러분의 눈앞에 너무 큰 장벽이 있긴 하지만 사람 자체의 실력, 유능함의 근간에는 텍스트를 다루는 실력이 포함되있을 거에요. 그걸 가장 쉽게 키우는건 독서입니다.

  • @user-ym1ys9ib1g
    @user-ym1ys9ib1g11 ай бұрын

    고1입니다. 이번 여름을 시작으로 정기고사 한달 전을 제외하고 다른 기간들에는 자기 전에 책을 읽는다면 수능날 국어 1등급을 받을 수 있나요? 그리고 글의 분야는 어떤 것으로 읽는 것이 좋나요? 물론 말하신 대로 활자에 노출되어 있기만 하면 좋다고 하셨지만 그래도 추천해주시는 분야가 있으시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user-kb8id8bc2q

    @user-kb8id8bc2q

    11 ай бұрын

    3년이 얼마나 긴 시간인지 감도 안잡힐 것입니다 책에 흥미를 가지세요 그것이야말로 남들과 다른 강력한 무기가 됩니다

  • @user-jj7yh2zb3t

    @user-jj7yh2zb3t

    11 ай бұрын

    책보단 기출푸는게 더 이득이긴함 고딩이면

  • @user-bl9rz6kk3v

    @user-bl9rz6kk3v

    10 ай бұрын

    @@user-kb8id8bc2q나도 이분 말에 동의함 3년이면 긴 시간이니까 조급하지 말고 그냥 재밌어보이는 책부터 시작하면 좋을 거 같음 입시에 관심 있으면 입시에 관련한 책을 읽는것도 도움이 될거고… 자기 힘으로 도저히 해결되지 않는 거 같은 일이 있을 때 책에서 찾아낸다 라는 마인드로 살다보면 책이랑 멀어질수가 없는 거 같음

  • @sophie-ig1mg

    @sophie-ig1mg

    10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고3 이과 학생입니다. 고등학교 1~2학년, 3학년 3월 모의고사까지는 1~3등급으로 매번 국어 성적이 왔다갔다 했는데요, 3월 모고 이후에는 계속 국어 모의고사 점수는 98점으초 나왔어요.(언매 선택) 근데, 저는 딱히 국어 기출을 매일 풀거나 그렇지는 않아서 왜 갑자기 실력이 늘었지? 의문을 가졌어요. 그래서 3월 모고 이후 제가 했던 활동을 돌이켜보니 국어 수행평가 발표를 준비하면서 논문 10~20개 정도 찾아 읽었더라구요. 근데, 수행평가 과제였던 지라 제한된 시간 안에 핵심 내용을 빨리, 이해해야지 하면서 읽었어요. 그래서! 저는 그냥 교과시간에 수행평가 보고서 작성할 때 논문 읽고 참조하듯이 관심 있으신 분야 논문 하루에 3~4편 정도 읽는 거 추천해요! 이러면 나중에 보고서 제출할 시즌에 논문 읽었던 내용으로 보고서 써서 제출하면 생기부 채우는데 도움이 될 구 있구요! 아, 근데 만약에 경제, 법 같이 자기가 특별히 지식이 얕은 분야가 있다면 그 분야의 쉬운 아무 책이나 찾아 읽는 것도 좋을 거 같아요. 요즘 비믄학 공부하는데 경제랑 법 분야에 익숙치 않은 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거든요!

  • @artche181

    @artche181

    9 ай бұрын

    추천하는건 점심 전 아무 쉬는시간에 도서관 가서 그날 꽂히는거 빌리고 , 점심 좀 후딱 먹고 휘뚜루마뚜루 그날 가볍게 읽고 딱 끝내기요 루틴만든다 생각? 전 고딩때 그렇게 생활했어요...ㅎ 책이 유일한 낙...

  • @user-yw4yh5wx2w
    @user-yw4yh5wx2w11 ай бұрын

    수특 고전소설 전문 심심할 때 읽는데 소설이라도 괜찮은가요?

  • @OoIlIlIl

    @OoIlIlIl

    5 ай бұрын

    소설책, sf, 무협지, 라이트노벨 다 좋습니다. 그냥 활자로된 아무거나 다 봐도 도움됨.

  • @user-pr4ce1qg2e

    @user-pr4ce1qg2e

    4 ай бұрын

    수특 독서 읽는 거는 어떤가요?

  • @deded11

    @deded11

    3 ай бұрын

    ​@@user-pr4ce1qg2e 글만 읽으려는 용도면 추천. 문제풀이까지 해볼까?는 비추

  • @user-fv8tq3rv4t
    @user-fv8tq3rv4t11 ай бұрын

    로맨스소설책도 괜찮나요.....??

  • @baejinsu
    @baejinsu11 ай бұрын

    책 읽는 습관 들여야겠다

  • @plodding_bernard
    @plodding_bernard4 ай бұрын

    8:54 조급해 하지 말고 즐겁게 책 읽기

  • @fuckinpumpkin4220
    @fuckinpumpkin422011 ай бұрын

    오늘 어떤 제재로 나올까 ㄹㅇ독서게이네 개웃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lt-qy7le

    @lt-qy7le

    11 ай бұрын

    근데 사설보기 전엔 그 느낌이 좀 있음

  • @fuckinpumpkin4220

    @fuckinpumpkin4220

    11 ай бұрын

    @@lt-qy7le ㄷㄷ 공부 제대로 하시네

  • @lt-qy7le

    @lt-qy7le

    11 ай бұрын

    @@fuckinpumpkin4220 파이널 가면 다들 느낄거임ㅋㅋ

  • @lilillilllilil

    @lilillilllilil

    10 ай бұрын

    ​@@lt-qy7le약간 새로운 글 보면 흥분됨

  • @user-gi9gz1wt9f
    @user-gi9gz1wt9f3 ай бұрын

    교과서 읽는 것도 도움될까요?

  • @user-taekim
    @user-taekim2 ай бұрын

    매일 읽는 책이 같은거여도 될까요?

  • @tangs2
    @tangs28 ай бұрын

    3년 전부터 책 읽는거 친구덕에 좋아하게 됐는데 저는 이제 2~3등급은 되더라고요.. 문학 요새 잘 안읽고 비문학(주로 철학) 읽다보니까 점수가 괜찮더라고요.

  • @user-oj5vl9uf5g
    @user-oj5vl9uf5g9 ай бұрын

    요약:자기 전에 핸드폰 할 시간 1시간에 책을 읽자.

  • @_bamboo_
    @_bamboo_3 ай бұрын

    괜찮네

  • @user-ve3wb2zt8f
    @user-ve3wb2zt8f11 ай бұрын

    와.... 나 고딩때 심찬우쌤이랑 권규호쌤 국어 들었었는데 ㅋㅋㅋㅋㅋ 그때 완전 신세계였는데...👍

  • @user-ve3wb2zt8f

    @user-ve3wb2zt8f

    11 ай бұрын

    심찬우쌤 진짜 잘가르키십니다!

  • @Proxima_Centauri_A

    @Proxima_Centauri_A

    11 ай бұрын

    @@user-ve3wb2zt8f지금은 연세가 어찌 되시나요?

  • @tt-mn8hy

    @tt-mn8hy

    11 ай бұрын

    ​@@Proxima_Centauri_A 90년생인걸로 알고있어요

  • @Proxima_Centauri_A

    @Proxima_Centauri_A

    11 ай бұрын

    @@tt-mn8hy ㅋㅋㅋㅋ아녀 찬우쌤 말고 저 루피 분이요

  • @tt-mn8hy

    @tt-mn8hy

    11 ай бұрын

    @@Proxima_Centauri_A 아 지송 ㅋㅋㅋㅋ

  • @alphado_dev
    @alphado_dev11 ай бұрын

    어릴 때는 밤 새서 소설 읽고 그랬는데 언제부턴가....

  • @user-pn7rz2oh3n

    @user-pn7rz2oh3n

    4 ай бұрын

    ㄹㅇ...새벽까지 책읽고 도서관에서 살았었는데 고등학교 입학하고 책이랑 단절됨..

  • @user-vl3ui2jz2n
    @user-vl3ui2jz2n4 ай бұрын

    글 읽을때 생각하고 읽으세요

  • @user-qb8or6dk5j
    @user-qb8or6dk5j4 ай бұрын

    강사님 독서 한지 1년 조금 넘어가는데 눈으로 글을 읽는데 자꾸 빨라지는 느낌이 들어서 확 넘기는데,제가 의미를 생각하면서 보는 건지,올바른 건지 모르겠습니다.

  • @mnbvcxzlkjh2869
    @mnbvcxzlkjh286911 ай бұрын

    현실은 책 본지 5분만에 딥슬립...

  • @25378
    @25378Күн бұрын

    이러한 이유로 교육부 공식 블로그나 이감 사이트의 글들을 보고 있는데 교육부 티스토리 섭종..

  • @user-pb2mt9sk8w
    @user-pb2mt9sk8w11 ай бұрын

    살아있는 경제 교과서가 정확한 책 제목인가요~?? 인터넷에 치니까 안나와서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simpathy

    @simpathy

    11 ай бұрын

    살아있는 *과학 교과서 입니다. 정정하겠습니다.

  • @user-nr3uj7su3v
    @user-nr3uj7su3v4 ай бұрын

    교과서가 국어 수학 과탐 이런거 다 되는건가욥?

  • @Sidnmdisknci
    @Sidnmdisknci3 ай бұрын

    지금 사태 보면 진짜 명언이다 ㅋㅋㅋㅋ

  • @Naaaad_osu
    @Naaaad_osu7 ай бұрын

    지금부터 해도 되나요?

  • @user-rt7sp5wc9c
    @user-rt7sp5wc9c11 ай бұрын

    ❤❤❤❤❤❤

  • @user-sn3is2qh5g
    @user-sn3is2qh5g9 ай бұрын

    현 중2입니다.. 자사고 준비 때문에 국어 수능준비 느낌으로 하게됬는데요..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노베라서요 도와주실분 안계실까요... (의미는 없지만 고1모고는 고정 1등급나와요)

  • @simpathy

    @simpathy

    9 ай бұрын

    자사고를 준비한다고 해서 특별히 무엇인가를 해야한다고 생각하지마세요. 교과서 잘 읽으시고 학교 수업 열심히 들으세요. 책을 많이 봐두세요. 활자에 대한 노출 빈도가 높아야 합니다.

  • @user-lm5rm9dc7h
    @user-lm5rm9dc7h10 ай бұрын

    형님 지금도 훌륭하시지만 1-2년 안에 진짜 거의 일타로 개떡상할거같습니다

  • @sjkruc
    @sjkruc8 ай бұрын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어때요? 번역첸데 괜찮나요?

  • @user-ke8pv8zs2w

    @user-ke8pv8zs2w

    3 ай бұрын

    좋아요

  • @user-jy9km4pt2f
    @user-jy9km4pt2f11 ай бұрын

    자기 전에 소설책 읽는 것도 괜찮나여?

  • @user-dg9tx9uv7e
    @user-dg9tx9uv7e11 ай бұрын

    이러면 양치기도 답이 될 수 있을까요

  • @user-tj1io3xl6r
    @user-tj1io3xl6r3 ай бұрын

    심찬우쌤은 어디서 강의하시나요? 인강으로요 이투스 메가는 아니지요,

  • @simpathy

    @simpathy

    3 ай бұрын

    오르비 클래스에서 하고 있습니다.

  • @user-tj1io3xl6r

    @user-tj1io3xl6r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고1엄마인데 유튜브보고 궁금했어요. 오늘도 많이배웁니다. @@simpathy

  • @user-vd9pg8co7u
    @user-vd9pg8co7u6 ай бұрын

    저 학원다닐 때 학원원장이 책읽을 시간 있냐고 꼽줬었는데...두달 있다 관둬서 계속 운영하시는진 모르겠네요.

  • @user-gd7bx9xk6n
    @user-gd7bx9xk6n11 ай бұрын

    선생님 소설책같은것도 괜찮나요?? 아니면 건설적인 책을 읽어야하나여??

  • @nurgul2017

    @nurgul2017

    11 ай бұрын

    핵심은 책 읽는 습관을 길들여서 그 집중력을 오랫동안 유지하는 힘을 기르란 말입니당, 조금씩 재밋는거 부터 읽다가 점점 늘려보세요 그리고 비문학을 풀 때 시간 측정하지말고 다 이해될때 까지 계속 무한 반복으로 회독해보세요 제일 중요한 것이 그 글을 읽으며 집중하는 능력인겁니다!

  • @user-ml1bh2vr1g

    @user-ml1bh2vr1g

    11 ай бұрын

    솔직하게 말씀드리면 소설은 그닥 도움 안됩니다.. 책 읽는 흥미는 높여주지만 그외에 지식을 얻거나 그런건 전혀 안 늘어요…소설 읽다가 문학읽고 차차 건설적인 내용으로 넓혀나가는게 좋아,ㄹ것 같아요

  • @user-ge7qs7hj7u

    @user-ge7qs7hj7u

    10 ай бұрын

    @@nurgul2017안녕하세요 비문학을 풀지 않고 지문만 읽는건 소용이 없을까요? 수능이 얼마 안남은 시점에서 제게 한번만 도움을 주세요 감사합니다ㅠㅠ

  • @OoIlIlIl

    @OoIlIlIl

    5 ай бұрын

    소설책, sf, 무협지, 라이트노벨 다 좋습니다. 그냥 활자로된 아무거나 다 봐도 도움됨.

  • @deded11

    @deded11

    3 ай бұрын

    우선 본인이 원하거나 좋아하는 장르로 읽으시는 걸 추천

  • @ddaeng-goo
    @ddaeng-goo4 ай бұрын

    진짜 국어공부 1도 안하는데도 중딩때 책 많이 읽은 친구들은 1등급 우습게 나오더라..

  • @user-he1eg4fj3k
    @user-he1eg4fj3k11 ай бұрын

    코로나때찍은거임?

  • @user-jy9km4pt2f
    @user-jy9km4pt2f11 ай бұрын

    문학은 재밌는데 독서는 재미없어요,, 왜 이런걸까요,,

  • @user-re9lm8st7w
    @user-re9lm8st7w8 күн бұрын

    그러나 세모 겁나 좋아하네 ㅋㅋㅋㅋㅋㅋㅋ

  • @user-nw7ov3it3w
    @user-nw7ov3it3w11 ай бұрын

    이거 진짜 ㄹㅇ인게 학교에서 어떤애가 볼때마다 나무위키 글 열심히 정독중이던데 걔 국어 모고 풀때 보면 항상 1등급이고 일부러 0점 맞아오는 경우도 있었음

  • @user-th2yy7vv9e

    @user-th2yy7vv9e

    11 ай бұрын

    ㄹㅇ 지랄좀

  • @user-pf2gm3cu9o
    @user-pf2gm3cu9o11 ай бұрын

    오늘부터 지지관계에서 벗어나 심찬우와 나는 한몸으로 일체가 된다 심찬우에 대한 공격은 나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한다 세상에 70억명의 심찬우 팬이 있다면, 나는 그들 중 한 명일 것이다. 세상에 1억명의 심찬우 팬이 있다면., 나 또한 그들 중 한 명일 것이다. 세상에 천만 명의 심찬우 팬이 있다면, 나는 여전히 그들 중 한 명일 것이다. 세상에 백 명의 심찬우 팬이 있다면, 나는 아직도 그들 중 한 명일 것이다. 세상에 한 명의 심찬우 팬이 있다면, 그 사람은 아마도 나일 것이다. 세상에 단 한 명의 심찬우 팬도 없다면, 나는 그제서야 이 세상에 없는 것이다. 심찬우, 나의 사랑. 심찬우, 나의 빛. 심찬우, 나의 어둠. 심찬우, 나의 삶. 심찬우, 나의 기쁨. 심찬우, 나의 슬픔. 심찬우, 나의 안식. 심찬우, 나의 영혼. 심찬우, 나. 수강생입니다❤ 이제 닥치고 공부할게여

  • @PKDONG
    @PKDONG4 ай бұрын

    이분 대성에서 본거같은데

  • @user-sn6br7ft2u
    @user-sn6br7ft2u11 ай бұрын

    이분 인강 어디서 들어요? 고1인데 뭐들어야되요?

  • @user-um5vd4we5w

    @user-um5vd4we5w

    10 ай бұрын

    피램푸셈

  • @user-lchan

    @user-lchan

    7 ай бұрын

    오르비인강이요

  • @chapuli505
    @chapuli5055 ай бұрын

    본인 웹소설에 미쳐있는 사람인데 필력이랑 스토리라인이 그지같은 웹소설 마저 속독으로 3년 읽으니까 국어/영어 지문 ㅈㄴ 빨리 읽히더라

  • @user-tt4np6tu9v
    @user-tt4np6tu9v3 ай бұрын

    환자가 얼마나 힘들었을까를 떠올리는 의사가 좋지 그러나에 세모치는 문제 막 푸는 의사..ㅋㅋㅋㅋ

  • @dddddd4629
    @dddddd46299 ай бұрын

    아기들 ㅅㅂ ㅋㅋㅋㅋㅋㅋㅋㅋ맞춤번역 ㅅㅂ 개웃기네

  • @soleil7064
    @soleil706411 ай бұрын

    세모치는 의사 ㅋㅋㅋㅋㅋㅋㅋ

  • @user-ic8pp8fx6x
    @user-ic8pp8fx6x6 ай бұрын

    말투 조금만 둥글둥글하시면 사촌동생한테 추천해볼 법 하네요~~.. 요즘 인강들은 요정도가 디폴트이려나요 혹시..🥲

  • @user-hg4ms5cf6f
    @user-hg4ms5cf6f11 ай бұрын

    진짜 내면세계 인식 공감 닥터 드립 개웃기네 ㅋㅋㅋㅋㅋㅋ

  • @user-hv6km3mn2k
    @user-hv6km3mn2k11 ай бұрын

    댓글이 다른 의미로 어질어질하네

  • @user-pv9ty9xs5i
    @user-pv9ty9xs5i11 ай бұрын

    만고불변의 진리입니다

  • @studyhard199

    @studyhard199

    11 ай бұрын

    동의

  • @user-pm3pq7bm5g
    @user-pm3pq7bm5g11 ай бұрын

    고3인데 이번 7월 부터 심찬우T 현강 시작해도 괜찮을까요

  • @simpathy

    @simpathy

    11 ай бұрын

    본인에게 필요하고 맞다면요.

  • @user-ll2es6iu7e

    @user-ll2es6iu7e

    11 ай бұрын

    ​@@simpathy아... 이 사람 고객에게 솔직하게 대해주는 구나...

  • @Ek-ch7xe
    @Ek-ch7xe11 ай бұрын

    웹소설 포함인갘ㅋㅋㅋㅋㅋㅋ

  • @kim-re8ei
    @kim-re8ei5 ай бұрын

    미국처럼 의사 쉐도잉,의료병원 봉사 몇 년씩 한 애들 뽑아야디. 한국은 미국에서 더러운 것만 배웠다 아이가.

  • @slstreet1
    @slstreet111 ай бұрын

    정답 : 하루 한 시간만 수면하세요

  • @user-ku5bh8cc4w
    @user-ku5bh8cc4w2 ай бұрын

    욕 좀.....ㅠㅠ

  • @user-ll8dq5dx8h
    @user-ll8dq5dx8h11 ай бұрын

    로맨스 소설 읽어도 되나요

  • @utubbom

    @utubbom

    11 ай бұрын

    놉..

  • @user-xw1zo5rt3l

    @user-xw1zo5rt3l

    11 ай бұрын

    네~

  • @user-cx6hr7fz1q

    @user-cx6hr7fz1q

    11 ай бұрын

    ㅋㅅㅋㅋㅅㅋㅅㅋㅅㅋㅅㅋㅅㅋㅅㅋㅋ 로맨스 소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같이 읽어요

  • @zoo3548

    @zoo3548

    11 ай бұрын

    머…제가 별건 아니지만 전 평생 비문학, 건설적인책 심지어 에세이 같은거 전혀,, 안읽고 오로지 소설만 읽었는데 국어 모의고사나 내신 문학은 공부 하나도 안해도 1등급 나오더라고요. 주변에서는 재능이라고 하지만 재능이 전혀 아니라 독서량이었어요. 증명으로는.. 수학은 공부해도 하위권이라는 점을 들겠습니다..ㅎㅎ 전 맨날 소설만 읽엇습니당…. 해보세요

  • @user-yh6st6ts9n
    @user-yh6st6ts9n11 ай бұрын

    그러나 세모치코 ㅋㄱㄱㄱㄱㄱㅋ

  • @krazy_ant
    @krazy_ant10 ай бұрын

    케케 05년생들...올해는 우리가 먹을게~ 1년만 더 꿇고 와~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