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한자사전 : 한자로드(路)]한자의 이해(1)한자의 변천과정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한자는 오랜 시간 수많은 변천 과정을 거치며 만들어진 것입니다. 이번시간에는 갑골문과 금문, 전서(소전), 예서, 초서, 해서, 행서 등 한자가 변천하는 과정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한자 #한자의 기원 #갑골문 #漢字
00:00 언어와 문자의 변천
02:34 결승 조자설(結繩造字說)
03:28 창힐 조자설(倉頡造字說)
05:17 도문(陶文)
06:27 갑골문(甲骨文)
12:01 금문(金文)
14:04 전서(대전,소전)(篆書)
17:09 예서(隷書)
18:48 초서(草書)
20:32 해서(楷書)
21:40 행서(行書)

Пікірлер: 81

  • @user-nf9it4jl6x
    @user-nf9it4jl6xАй бұрын

    아주 정성을 많이 드려서 만드신 자료로 깔끔하고 이해하기에도 아주 편리하게 잘 정리해 주셨군요. 감사합니다..._{}_...^^...

  • @user-hz5ri3mq7l
    @user-hz5ri3mq7l3 жыл бұрын

    멋진 강의 내용에 감사드립니다.

  • @user-ji3ui8je4r
    @user-ji3ui8je4r3 жыл бұрын

    너무 보고싶었어요~ 가장 기다리던 채널~

  • @user-ns1ei1gz6d
    @user-ns1ei1gz6d3 жыл бұрын

    너무 기다렸습니다. 겨속 진행해주세요!

  • @user-ej5ng8qz9g
    @user-ej5ng8qz9g3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큰도움됩니다

  • @woongpark1679
    @woongpark16793 жыл бұрын

    늘 감사합니다 정말 반갑네요

  • @user-fj2pr7sk7n
    @user-fj2pr7sk7n3 жыл бұрын

    항상 👍👏🙏

  • @lukem8024
    @lukem80243 жыл бұрын

    컴백^^ 감사합니다😭😭

  • @user-ri5qk2bf1k
    @user-ri5qk2bf1k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정보와 깔끔한정리에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ct5go4ss5v
    @user-ct5go4ss5v3 жыл бұрын

    차분하게 말씀 해주시니 더 좋아요

  • @user-ed7qc2cw6q
    @user-ed7qc2cw6q2 жыл бұрын

    정말감사합니다~~^^

  • @hangzhoumamama
    @hangzhoumamama Жыл бұрын

    최고네요!!감사드립니다!

  • @user-hq4qc1tb8b
    @user-hq4qc1tb8b Жыл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 @user-fq2ql3qv9c
    @user-fq2ql3qv9c Жыл бұрын

    매번 도움 많이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shorts_hanja
    @shorts_hanja Жыл бұрын

    한자의 변천 과정 깔끔하고 알기 쉽네요. 잘 배우고 갑니다

  • @summer_12325
    @summer_123253 ай бұрын

    와 한자 이야기 너무 재밌게 들었습니다~

  • @Tunacatchpark
    @Tunacatchpark3 жыл бұрын

    다시 돌아오셨군요 ;;다른 한자해석은 너무 자의성이 강해서 ㅎㅎㅎ

  • @kangsyking
    @kangsyking Жыл бұрын

    늘 외우라고만 하고 어렵게만 느꼈던 한자가 이렇게 접하니 정말 재미있고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 같습니다. 이렇게 좋은 컨텐츠를 제작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user-ri8wn8cd6t
    @user-ri8wn8cd6t3 жыл бұрын

    점말 듣도 보도 못한 강의 정말 귀가 열리고 있어요. 한자강의?

  • @user-zx4kq4rl5w
    @user-zx4kq4rl5w3 жыл бұрын

    이게 왜 재밌는거죠 ㅋㅋㅋㅋ 한자 공부 시작하려고 부수 강의 찾다가 흘러 흘러 여기까지 오게 됐어요 재생목록의 1강이 한자의 변천과정이길래, 이걸 봐야하나 싶었는데.. 그래도 우선 봤거든요 근데 생각보다 너무 재밌고, 친절한 설명에 이해도 쏙쏙되네요 ㅋㅋㅋㅋㅋㅋ 이게 머여 중간 중간 바깥외자의 상형원리?와 솥정자가 현대에도 잘 쓰이는 이유 등을 같이 설명해주신것도 좋았어요 무료로 볼 수 있어서 진짜 너무 감사하고 ㅜㅠㅜ 남은 부수 강의 전부 다 완강해볼게요~ 감사합니다!

  • @zack0934
    @zack09343 жыл бұрын

    네이버 한자사전을 보고.. 겨우 여기를 찾았습니다. 네이버에서 출처를 좀 더 자세히 남겨놓았더라면 이렇게 수고롭지 않았을텐데...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doorbrother303
    @doorbrother303Ай бұрын

    한자 공부 시작했는데, 혹시나 몰라 유투브에 한자의 기초적인 이해 관련 영상이 있을까 했는데, 맛있는거 하나 발견했네요 ㅎㅎ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wy6vp4wc2t
    @user-wy6vp4wc2t3 жыл бұрын

    1편 이 더 재미있네요

  • @gangsan7868
    @gangsan7868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반갑습니다.

  • @user-iw8vv8pu7n
    @user-iw8vv8pu7n3 жыл бұрын

    와 이제서야 이 채널을 알게 되다니ㅠㅠ 제가 봤던 한자 관련 채널중에서 제일 유익한 것 같아요!!

  • @jinyanlu5623

    @jinyanlu5623

    3 жыл бұрын

    일부 사람들은 오라클이 한국 출신이라고 말합니다.

  • @mrlsy0101
    @mrlsy01013 жыл бұрын

    다시 시작하셨군요 반갑습니다^^

  • @leeeunmi4367
    @leeeunmi4367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감사합니다 ^^

  • @user-gi4md2cc8k
    @user-gi4md2cc8k Жыл бұрын

    정확하게 또박또박 설명해 주셔서 이해하기 좋았습니다. 집안의 어른들의 자료를 정리하다 보니 해서체 같은 자료를 발견하였습니다. 저로서는 도저히 해독이 불가능한데 선생님 께서 해독이 가능 하실까요 ?

  • @user-gj4jx6xp8b
    @user-gj4jx6xp8b3 жыл бұрын

    어릴 때 한문 선생님 싫어서 한문 포기했던 사람입니다. 사회생활 하다보니 한자 공부의 필요성을 느껴 알아보는 중에 한자로드님을 만났네요. 이 분이 중학교 때 한문 선생님이었다면 포기하지 않았을텐데요.ㅎㅎ 고맙습니다.

  • @sosogg875
    @sosogg8752 жыл бұрын

    한자를 모르면 세상을 이해하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어렸을때 영어는 싫어했어도 한자만은 항상 1등했는데 그것이 바로 (진짜 세상 공부)산교육과 연결되어 현재도 조금 더 현명한 결정들을 하는 것 같습니다.

  • @user-hq4qc1tb8b
    @user-hq4qc1tb8b Жыл бұрын

    한자의 변천과정을 배우면서 알았습니다 甲骨文, 금서, 전서, 예서, 초서, 해서, 행서

  • @gumdansan21
    @gumdansan213 жыл бұрын

    간체자 사용이 가장 큰 한자의 변천 같습니다. 붓으로 쓰는 시대도 아니고 컴퓨터로 쓰는 시대에 더 복잡해진 느낌입니다. 간체자가 표의문자의 의미를 퇴색시킬 수 있습니다.

  • @hanjaroad

    @hanjaroad

    3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간체자로는 글자의 생성의도를 파악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도 간체자는 한자를 이해하는데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본래 목적이었던 문맹퇴치에는 큰 공헌을 했습니다. 문맹퇴치가 주 목적이었기에 생성의도에 대한 희생은 감수한 것으로 보입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 @user-he1ii1ef8x

    @user-he1ii1ef8x

    3 жыл бұрын

    정간논쟁은 진행형이죠

  • @clemencepaul3209

    @clemencepaul3209

    7 ай бұрын

    일본어 하면 한자 많이 알게됨

  • @mjj_
    @mjj_ Жыл бұрын

    출처 밝히고 참고하여 보고서 써도 될까요? 감사합니다!

  • @monddia3650
    @monddia3650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너무 반갑습니다!!

  • @user-yr6od2uk5f
    @user-yr6od2uk5f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우선 좋은 영상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실례지만 그럼 혹시 저희가 지금 시대에 배우고 사용되는 한자는 해서라고 보면 되나요 행서라고 보면 되나요?

  • @user-jk5hu8ut5r
    @user-jk5hu8ut5r2 жыл бұрын

    차분한 강의 학습에 많이 도움이 됩니다. 단지 글자 크기가 너무 작아 보기가 어려우니 크기를 시원하게 드러나도록 더 키움이 어려울까요?

  • @user-neonggag
    @user-neonggag3 жыл бұрын

    값진 영상을 무료로 볼 수 있다니....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 @jinyanlu5623

    @jinyanlu5623

    3 жыл бұрын

    일부 사람들은 오라클이 한국 출신이라고 말합니다.

  • @user-qh1cj7rk5q
    @user-qh1cj7rk5q3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 @astrocatcomet1493
    @astrocatcomet14933 жыл бұрын

    오랫만에 돌아오셨네요! 근데 한자에 대해서 지난 100회때 마무리한다고 말했는데요, 혹시 더 할건가요? 제가 요즘 네이버 한자사전에서 검색하는 한자 중에서도 아직 올라오지 않은 한자들, 예를 들면: 날 일 자가 들어간 한자, 사람 인 자가 들어간 한자, 수레 차가 들어간 한자- 이런 중요한 부수가 들어가 있는 한자들도 많은데요, 혹시나 해서 물어본거에요. 왜냐면 올해 저의 목표는 한자들을 더 배우는 게 제 목표거든요. 원리들을 더 배우고 더 똑똑해지도록, 아니면 유식해지도록 배우려고요. 그럼므로, 선생님 항상 이렇게 좋고 신나는 강의 업로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

  • @hanjaroad

    @hanjaroad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이번 영상은 만들어놓은게 있어 추가로 업로드했습니다. 유튜브용은 제작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고 또 요즘은 눈이 좋지 않아서 작업하기가 좀 어렵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즐겨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uq6lu4hf7n
    @user-uq6lu4hf7n Жыл бұрын

    정리가 잘 되어 이해하기 쉬었습니다 대단합니다 한자의 기원전을 중국보다 더 잘하는 것 같습니다

  • @user-ie8vt4lm1l
    @user-ie8vt4lm1l3 жыл бұрын

    오메 돌아오셨군요 ㅠㅡㅠ

  • @user-ph2mr8ib2b
    @user-ph2mr8ib2b2 жыл бұрын

    너무 잘 만드셨습니다. 수업할 때 정말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非常感谢您! 참고로 한자의 기원에 대해 결승조자설과 창힐조자설 이외에 학자들이 옛사람들이 자연을 근거로 삶, 용구,각종 형상을 개괄한 결과물이라고 연구 하고 내린 결론이랍니다. 한 마디로 한자는 자연형상과 인류의 사상과 지혜의 결합된 것입니다. (考古发现证明,汉字是先民根据自然事物,人类自身以及生活用具等各种形象加以概括归纳而创造并确认的。可以说汉字从一诞生开始便是自然物象与人类思维相结合的产物)

  • @ggg577
    @ggg5772 жыл бұрын

    혹시 영상에서 언급한 한자 역사 부분과 관련된 교양서가 있을까요? 서적으로 보고 싶은데 전공서넉 밖에 안보여서요ㅜㅜ 쉬운 전공서적이라도 있으면 좋겠네요..

  • @ggg577

    @ggg577

    2 жыл бұрын

    아 댓글에 출간하신다는 내용이 있네요... 얼른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너무 재미있고 두근거려요

  • @user-oj3tp3yd5n
    @user-oj3tp3yd5n2 жыл бұрын

    한자옥편보여주세요

  • @youngchung7807
    @youngchung78079 ай бұрын

    아 대단한 강의였습니다.

  • @user-mq1wd7gy5w
    @user-mq1wd7gy5w2 жыл бұрын

    14:33 개인적으로 이때 문자가 통일되지 않고 각자 발전시켰으면 문자학적으로 더 흥미로웠을 것 같네요

  • @user-rc1or2dj6s
    @user-rc1or2dj6s3 жыл бұрын

    혹시 책이나 따로 강의 영상 같은 것이 있나요?? 한자어원 공부를 하니 효율적이라서 책이 있으면 좋을 것 같아서요!!

  • @hanjaroad

    @hanjaroad

    3 жыл бұрын

    여러 사정으로 동영상부터 제작했습니다. 책은 준비중에 있습니다. 출간이 되면 공지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rc1or2dj6s

    @user-rc1or2dj6s

    3 жыл бұрын

    @@hanjaroad 넵 답변해드려서 감사합니다!! 네이버 한자사전에는 신동윤 교수님 출처로 되어있던데 유투브 채널은 어느 분이 운영하시는건가요??

  • @hanjaroad

    @hanjaroad

    3 жыл бұрын

    @@user-rc1or2dj6s 본인 맞습니다.

  • @user-rc1or2dj6s

    @user-rc1or2dj6s

    3 жыл бұрын

    신세대에 맞게 유투브 영상으로 올려주시다니!! 정말 멋있는 교수님이신거 같습니다👍👍

  • @hanjaroad

    @hanjaroad

    3 жыл бұрын

    @@user-rc1or2dj6s 도움이 되신거 같아 보람있네요.^^ 말씀 감사합니다

  • @alexpark9450
    @alexpark94503 жыл бұрын

    哇,好久不见了,新年快乐。

  • @hanjaroad

    @hanjaroad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user-xc1mm7dz6y
    @user-xc1mm7dz6y Жыл бұрын

    혹 날일자와 길영자가합쳐진자가무슨자인지 아시면좀아려주세요

  • @user-jx4ib9li1e
    @user-jx4ib9li1e19 күн бұрын

    혹시 자료 출처를 알 수 있을까요 ㅠㅠ 고등학생인데 보고서할때 참고하고 싶습니다

  • @hsk3612
    @hsk3612 Жыл бұрын

    갑골 문자 이야기가 다르다고 생각합 거부이 등겁지를 강화하기 위해 불에 달꿨다 달구는 과정에서 뼈가 갈라졌다 그리고 그 등겁질에 송곳과 같은 날카로운 물건으로 글자를 새겼다고 생각합니다. 뜨거울 것으로 달궈서 갈라진 것이 글자가 된것이 아니라 말이죠. 그시절 옥을 가공을 했는데 옥은 다이아몬든 보다 더 단단한 것을 가공할 기술이 있었는데 벼를 달궈서 갈자진 것으로 글자를 삼았다는 것이 전혀 맡지 않는 소리라 생각합니다.

  • @user-he1ii1ef8x
    @user-he1ii1ef8x3 ай бұрын

    참고문헌이 궁금합니다

  • @user-ko1uj1vl2m
    @user-ko1uj1vl2m4 ай бұрын

    서예에서는 전 예 해 행 초 순서라고 배웠습니다

  • @beshuah99
    @beshuah995 ай бұрын

    초서가 마지막이 아니라 해서 앞이예요???

  • @hsk3612
    @hsk3612 Жыл бұрын

    아래를이어서 말하는데 새로운 글자체를 만드는 건 역사를 자신들의 정권에 유리하게 하기위해여 해로운 글자를 만들려는데 그러기에는 너무 어려우니 새로운 문자가 아니라 원래 있던 글자의 모양만 변경하여 세로운 문자의 형태를 만들어 이전 정권의 글를 읽지 못하게 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 @OJK84
    @OJK8411 ай бұрын

    갑골문 금문 전서 예서 초서 해서 행서 1.갑골문 : 거북이 배딱지와 소뼈에 새긴 점괘와 그 내용 2.금문 : 신에게 바치는 제단에서 사용된 쇠그릇에 새겨진 문자 3.전서 : 대전과 소전,대전은 진나라 통일 이전 금문의 형태가 많이 남아있고, 소전은 진나라 통일 후 전국에서 각자 다양하게 변형된 문자를 규격화 시킨 것으로 일반적으로 전서=소전이라 함. 최초로 한자체계 정립 @편방의 위치를 정함=이체자 발생억제 @필획 규정=문자 통일성 4.예서 :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한자의 모양으로 발전, 둥근 모양이 글자 쓰는데 속도면 등에서 효율성이 떨어져서 직선형태로 변형 발전, 변형부수 탄생 5.초서 : 필기체, 한나라 때 예서체에서 보다 빨리 쓰려고 사관들이 사용하던 서체, 빠르게 작성하느라 획이 생략되는 등 모양이 변형되어 해독이 난해함. 중화인민공화국 간체자로 발전 6.해서 : 당나라 때 字體 표준화 함. 예서의특징(정확한필획)+초서의특징(필기체)=해서(궁서체st.) 7.행서 : 초서 + 해서 특징을 합한 서체 1~4 -> 문자화 과정(2000년에 걸친) 5~7 -> 서체의 발전(현재도 간체자化로 진행중)

  • @cleanclear7838
    @cleanclear78383 жыл бұрын

    해서 행서 초서 순이 아닌가요??

  • @hanjaroad

    @hanjaroad

    3 жыл бұрын

    영상 초반에서도 언급했듯이 예서 이후의 글자체는 시대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학자마다 순서를 조금씩 다르게 구분하기도 하는데요. 그러다보니 어느 누구의 주장이 옳고 그르다를 말하기는 어려운거 같습니다. 그래도 순서는 나열해야 해서 국내 학자분의 의견과 중국백과사건에 명시된 순서를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 @user-zy3up7ix9r
    @user-zy3up7ix9r4 күн бұрын

    천자는 갑골과 금문을 보면 사람과 똑같이 생겼었다 그게 전예초해행이 되면서 ....

  • @habbyson
    @habbyson2 жыл бұрын

    15:40

  • @user-rc8or5xz4v
    @user-rc8or5xz4v2 жыл бұрын

    금문→갑골문

  • @user-gs7wg6vd2i
    @user-gs7wg6vd2i2 жыл бұрын

    산비

  • @jemanon73
    @jemanon73 Жыл бұрын

    10:56 "점 복"자가 구멍과 갈라진 획을 상형화한 문자라구요? "점 복"자는 고대 부족국가 시절까지 국가의 길흉을 점쳐서 정책을 결정하는 데 기여를 했던 국가의 무당(주몽의 신녀 같은)이 점칠 때 쓰던 나뭇가지를 상형화한 문자라는 게 중론인데요? 그래서 나라의 나아갈 바를 결정하는 일종의 도구였던 저 나뭇가지를 글자로 만든 게 "점 복"이고 그래서 저런 모양의 나뭇가지를 들고 수맥을 찾으러 다니는 사람도 있는 거고 오늘날에는 그 의미를 되살려, 나라의 나아갈 바를 국민들에게 맡긴다는 의미로, 좌우 상하 대칭되지 않는 디자인도 한 몫 해서, 투표의 기표 도구인 도장에 넣은 건데 어디서 이런 "설"을 가져오셨는지 심히 궁금합니다. 설득력이 너무 떨어지는 설이라 생각합니다.

  • @user-oj3tp3yd5n
    @user-oj3tp3yd5n2 жыл бұрын

    하자옥편검색

  • @user-ko1uj1vl2m
    @user-ko1uj1vl2m4 ай бұрын

    한자 라는 이름 붙인게 19세기말 일본이 자기네 히라가나 가타카나하고 다른 문자라고 해서 한자 라고 이름지었다고 한다. 중국인들은 이름붙이지 않았다. 현대 중공에선 중문 이라 부른다. 우리는 우리 조상이 만든 글자를 일제시대 거치며 한자라고 부른다. 수치스럽다.

  • @TV-oj3rr
    @TV-oj3rr Жыл бұрын

    한자 한글 우리문자 7만년 역사 천부경 환단고기 증거 삼아야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