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리 난 '미용실 직원 1인시위' 사진에 사장 "억울".. 양쪽 얘기 들어봤더니|크랩

#크랩 #미용실 #헤어
이번 주 여러 인터넷 커뮤니티를 떠들썩하게 만든 사진 한 장. 누군가 길거리에서 1인시위를 하는 사진인데, 피켓에는 "월 240시간 일했는데 67만 원 웬 말이냐"는 문구가 적혀있습니다. 화제가 되면서 미용실 측을 향해 "악덕 업주"라는 비난이 쏟아졌습니다.
어떻게 된 일일까요? 그리고 미용실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어떤 방식으로 돈을 받고 있을까요? 크랩이 해당 미용실 사장과 1인시위를 한 사람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봤습니다.

Пікірлер: 8 500

  • @jyso9837
    @jyso9837 Жыл бұрын

    이래서 꼭 양쪽 얘기를 들어봐야 함.. 판단은 듣는사람 몫 양쪽 얘기를 전해준 크랩 수고했어요

  • @user-dz2jo8wt9c

    @user-dz2jo8wt9c

    Жыл бұрын

    사장이 다음부터 사람쓰려면 공부를 좀 해야할듯 [근로기준법 제 2조] '근로자란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사람을 말한다' -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계약의 형식에 관계없이 그 실질에 있어 종속적인 관계에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한다. - 업무내용을 사용자가 정하고 업무수행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상당한 지휘 감독을 받았다면 프리랜서가 아니라 근로자 - 사용자에 의하여 근무시간과 근무장소가 지정되고 근로자가 이에 구속받으면 프리랜서가 아니라 근로자 [근로기준법 제 47조] '사용자는 도급이나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제도로 사용하는 근로자에게 근로시간에 따라 일정액의 임금을 보장하여야 한다' - 여기서 말하는 도급이란 성과급제를 말하는 것임 - 2조에서 근로자성이 인정되므로 사장은 성과급에 기본금을 포함한 임금을 보장해야함

  • @user-gd9tu9rk5y

    @user-gd9tu9rk5y

    Жыл бұрын

    깍새들 풀발기로 글싸질러놨네 옛날부터 노예로 부리고 간호사들 처럼 태움을 하는곳이 미용실이다 못배운것들끼리 선생님 선생님하니깐 진짜 잘난줄알고 한번 깍는데 최하 1만5천원이 말이 되냐?

  • @advil-1225

    @advil-1225

    Жыл бұрын

    @@user-dz2jo8wt9c "2. 도급제(성과급제)의 경우에도 일정부분 기본급을 반드시 지급해야함. 이는 사장 잘못" 판례에 매출액 배분 계약은 업주 죄가 없다는 판례가 있는데 무슨 혼자 뇌내망상으로 사장 잘못 이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dvil-1225

    @advil-1225

    Жыл бұрын

    @@user-dz2jo8wt9c 근로자성이 있는지 프리랜서가 맞는지는 따져볼 문제지 니가 땅땅땅 할 문제가 아님

  • @dolly5764

    @dolly5764

    Жыл бұрын

    여자 직원은 꼭 저러더라 ㅉㅉ

  • @user-wz9yz7uk8f
    @user-wz9yz7uk8f Жыл бұрын

    저 프리랜서가 잘 못 알고 있는 겁니다. 직원이나 알바가 아닙니다. 자기한테 유리하게 계약했는데 손님이 없어서 못 번걸 업주에게 책임져라 하는 겁니다.

  • @lifestylek8983

    @lifestylek8983

    Жыл бұрын

    동영상 끝 까지 보고 답글 달아라 ㅋ

  • @jhlee8316

    @jhlee8316

    Жыл бұрын

    @@lifestylek8983 그치만 끝까지 봤는데 소송을 1인시위 이후 걸은걸 이전에 걸었다고 한거란 생각밖에 들지 않는걸

  • @user-cq3pn7xr7s

    @user-cq3pn7xr7s

    Жыл бұрын

    끝까지 봄 그런 잡무를 정말 시켰다면 그에 대해 입증을 해야 하고 업무한 시간만큼 보싱하며 물론 거짓말을 하였기에 벌금도 물어야 한다 생각한다

  • @user-cq3pn7xr7s

    @user-cq3pn7xr7s

    Жыл бұрын

    물론 입증 못 하면 명예훼손으로 인한 매출액 감소 등 여러 죄목으로 민사소송을 받을 것이다

  • @user-oy2mo5tn1m

    @user-oy2mo5tn1m

    Жыл бұрын

    @@lifestylek8983 끝까지 봤다. 저 프리랜서에게 궁금한 점 1. 그럴거면 왜 직원으로 계약 안하고 프리랜서로 했는가? 2. 전단지나 청소를 시켰다고 하는데 지시하는 순간은 어쩔 수 없지만 본인이 청소하거나 전단지 돌리는 증거 영상/사진이 있는가? 3. 프리랜서는 사장과 직원처럼 완전 상하관계는 아닌데 그렇다면 사장이 전단지 시키거나 청소 시킨 게 맞다면 왜 그걸 받아들였는가? 자신은 프리랜서인데 이건 부당하고 내 일이 아니라고 말하는 게 맞지 앉나? 왜 그때는 말 안하고 지금와서 말하는가?

  • @prematurely_1004
    @prematurely_10042 ай бұрын

    3개월 지나서 67만원 벌었다면 실력에 문제 있는겁니다. 보통 미용실에서는 3개월간 250만원 정착금이라고 주고 4개월부터는 자기가 한만큼 대략40~ 50% 가져 갑니다. 프리랜서는 염색약부터 영양제 전기세 등등 자기가 부담하는건 없습니다. 단지 자기가 쓰던 가위 같은것은 자기 거고 그리고 카드수수료나 세금도 없어요.단지 3.3% 세금내는거 밖에 없는건데? 맨처음부터 프리랜서 말고 월급제로 사장하고 합의를 했어야지요. 아나운서가 돈많이 벌려고 프리선언 했는데 돈 못번다고 자기 예전에 공영방송에서 받던 월급 내놓으라고 하는것과 같은거죠.

  • @user-ij3pb1pd4y

    @user-ij3pb1pd4y

    Ай бұрын

    노노 종합소득세 내야해여^^13.3이라고 봐야함

  • @user-nk5uc3os4j

    @user-nk5uc3os4j

    Ай бұрын

    카드수수료10% 네이버수수료15~22% 카카오헤어샵수수료15% 인스타그램광고비(자유) 블로그업체사용비용(20만원) 등등 나가는거 많은데요

  • @SaBumy

    @SaBumy

    25 күн бұрын

    미용인인데 정착금 250만원 첨듣네요 어디 매장이죠?

  • @user-qc2wy8ge4r

    @user-qc2wy8ge4r

    14 күн бұрын

    그래도 돈은 줘야지 ㅋㅋㅋㅋ 해고하던가

  • @LI0HDl

    @LI0HDl

    11 күн бұрын

    님 영상 보고 댓글 다는건가요? 4~50% 가져가는게 아니라 30%라고 되어있고 프리랜서라는게 상부의 간섭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일할 수 있는게 장점 중 하나인데 전단지 30분동안 돌려라, 손님 없다고 퇴근 못하게하고, 매장 청소해라 등 일 시켰으면 미용실 사장님이 계약조건을 어긴거죠;; 프리랜서로 계약해놓고 근로자(직원)처럼 부려먹은게 맞는거죠

  • @sisu6288
    @sisu62884 ай бұрын

    대부분의 미용실에서 정착지원금은 평균3개월을 주고 그 3개월동안 근무태도나 영업 시술 역량 등 평가해서 추후 매출을 더 올릴만한 디자이너라고 판단되면 6개월까지 주는 경우도 있음 하지만 몇 신입 디자이너들 슬렁슬렁 워킹손님만 깔짝 깔작 받다가 정착지원금3개월만 받아먹고 다른 미용실로 옮겨서 또 3개월 개꿀빨기 반복하는거 너무 많이 봐서 이쪽 업계 해본사람들은 업장 입장도 들어봐야겠는데? 싶은게 당연한듯

  • @Kor_Manda

    @Kor_Manda

    Ай бұрын

    저도 디자이너로 활동중이지만 더배울려고 미용학원다니면서 일하고 있긴 하지만 프리랜서로 1년계약하고 월 정착지원금 2개월에서 3개월정도 주다가 정착금이 끝난 달에는 월급이 적게 나온다며 계약한지 6개월안에 그만두는 사람들 보면 정착지원금을 50%는 돌려줘야한다고 생각해요. 월 수입이 꾸준하게 평균이 있는게 아니라 들쑥날쑥하는데 날먹하는 프리랜서들을 너무 많이 봤기 때문에

  • @user-nk5uc3os4j

    @user-nk5uc3os4j

    Ай бұрын

    날먹하는 사람도 있지만 최선을 다했는데도 그 목표액을 벌때까지는 오래걸릴 수도 있는거죠. 그리고 매장 사람들이랑 원장님이 하는 대우가 어떤지에따라 다른거고. 도저히 다닐 곳이 안되서 빠른 판단하에 그만두는데 50%를 지불한다? 그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user-mp7fo2jm3j

    @user-mp7fo2jm3j

    Ай бұрын

    미용쪽은 좀 썩은마인드가지고있는원장들이많죠 디자이너들이 나와서 일하는게 자기시간투자하고 하는건데 ㅋㅋ 그게 돈주기아까우면 혼자 쳐일해야지 직원을왜고용하냐 ㅋㅋㅋ마인드는 엣날디자이너원장들이 더썩었지

  • @user-ds5bz3mi3r
    @user-ds5bz3mi3r Жыл бұрын

    현 프리랜서 입니다. 프리랜서는 말 그대로 일한 만큼 받아가는게 맞습니다. 허나 프리랜서의 가장 큰 장점은 어디에 소속된게 아니니 다른 곳에서도 일할 권리가 있다는 거고 그걸 살리지 않고 200시간 이상 한 미용실에만 있던건 바보같은 행동입니다. 만약 다른 미용실에서 일하는데 제약을 뒀다면 위법이지만 그게 아니면 스스로 책임질 문제입니다.

  • @user-sb1pg1sy6u

    @user-sb1pg1sy6u

    Жыл бұрын

    저거 오래 전부터 있었던 일인데 사장이 꼼수부린 겁니다. 미용실 업계에서 직원으로 채용을 잘 안해요. 저렇게 프리랜서라는 명목으로 채용을 많이 해서 출퇴근 관리나 여러 잡무 시킵니다. 정직원이랑 똑같이 출근해서 똑같이 퇴근을 하고. 그냥 미용 프리랜서하는 분들은 프리랜서 그만두세요. 좋지도 않습니다.

  • @followtheparty9498

    @followtheparty9498

    Жыл бұрын

    너 국짐당지지자구나 ? ㅉㅉ 기업들 자영업들같은 적폐들을 편을 드네 이래서 빨리 굥을 끌어내리고 민주당이 집권해야 기업들 자영업자들 모두 청산시키고 국고회수하고 모두가 평등한 사회가 되는것임다

  • @user-sb1pg1sy6u

    @user-sb1pg1sy6u

    Жыл бұрын

    @@user-ju7sd2eq4g 제가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저 계약서를 쓴 디자이너들의 잘못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저렇게 임금을 준 것에 대해서 나무랄 것도 없습니다. 계약서 적힌 그대로 임금을 지불했으니까 잘못된 부분은 없죠. 다만, 저런 고용형태로 채용을 하는 미용실 사업주분들이 많고 맡은 업무 외 다른 잡무들도 시키니까 본질적으로 문제라는 거죠. 프리랜서라는 직종 자체가 자유롭게 일을 하는 것인데 껍데기만 프리랜서지, 일은 정규직처럼 부려먹는 업주들이 현재도 과거도 많으니까 제가 이 부분에 대해서 지적을 하는 겁니다. 돈 잘 버는 디자이너들은 잘 벌고, 못 버는 디자이너들은 왜 못 버냐고 물어보셨습니까? 그 디자이너들이 아주 유명한 가게에서 훌륭한 영업실력과 업무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이죠. 단순합니다. 나머지는요? 우리나라 사회처럼 못 사는 놈들은 죽어나가는 거죠. 그래서 제가 말했잖아요. 미용 프리랜서를 안 하는 것이 좋다고

  • @iready4u

    @iready4u

    Жыл бұрын

    업계 전체에 시스템적 문제가 있다면 저 디자이너 분만의 개인적 차원에서 접근할 문제가 아닙니다. 최저 임금 지급을 회피할 꼼수로 정직원 대신 프리랜서로 고용하고는 정직원 처럼 가게 홍보에 청소까지 시킨다는 점, 그리고 거의 모든 미용실이 이런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문제지 저 디자이너분이 미련하게 한 미용실만 다녔다는게 문제가 아닙니다. 달을 보세요. 가르키는 손가락을 보지 마시고.

  • @user-zr2zh6hc9o

    @user-zr2zh6hc9o

    Жыл бұрын

    @@user-ju7sd2eq4g 연예인중에 가수를 예로 들어볼까요? . 돈 잘버는 가수들 많죠? 잘 벌면 수백억도 벌지요.. 허나 못버는 가수들이 훨씬더 많습니다. 무대에 서는것조차 힘드니까요.. 그분들 노래 못부를까요? 미용이나 가수나 기회의 문은 좁습니다. 그 좁은문을 통과하기위해 매달리는 사람들이 태반이고 그것을 이용한 열정페이로 부려먹는 경우가 많죠.. 더 얘기 안해도 이해하시겠죠? 매달리고 절박하게 도전하고 미끄러지고 다시 도전하다가 나이도 들고 도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user-vv6br9he6w
    @user-vv6br9he6w Жыл бұрын

    계약서에 업무추진비 3개월이라고 써있는데 6개월 주장부터 이미 질 싸움인거 같네요 이래서 계약서를 꼼꼼하게 봐야합니다.

  • @user-pd8wt9vp2p

    @user-pd8wt9vp2p

    Жыл бұрын

    딱 보니까 주둥이로 업무추진비 6개월이고 계약서는 3개월 해놨네 녹취기록 없으면 헛방이고 인센티브제를 택했으니 60얼마 받은거임

  • @user-qv5kg4kj1i

    @user-qv5kg4kj1i

    Жыл бұрын

    ㄹㅇ 사장말 들어도 양아치임. 법망 피해서 꼼수로 노예계약인거지 '근무지에 있지만 이사람이 일은 하지 않았다' ㅅㅂㅋㅋㅋ 이게 말이냐 방구냐

  • @user-oz2hr1mk4b

    @user-oz2hr1mk4b

    Жыл бұрын

    @@user-qv5kg4kj1i 그럼 그냥 월급을 받지

  • @user-cy2rm9me4o

    @user-cy2rm9me4o

    Жыл бұрын

    @@HIDEKILLER83 그.. 혹시 법망의 허점을 잘 피하기만 하면 뭐든 해도 된다고 생각하시나요?

  • @user-ei6qf1nr6k

    @user-ei6qf1nr6k

    Жыл бұрын

    입벌구ㅋ

  • @wooseo9906
    @wooseo99064 ай бұрын

    단골 많아지니까 미용사들 나가서 미용실 새로 하던데 돈 잘벌더라고(나도 따라서 이동하게 되엇는데) 미용실 탑미용사들도 잘벌지만 일이 힘들지! 기계로 대체 못하고 사람 머리카락은 계속 관리해줘야함. 화이팅입니다

  • @fdgna
    @fdgna13 күн бұрын

    250만원이라는 금액이 최저월급을 넘는 금액임. 3개월간 프리라면 그매출이 안나오는데 얹어줬고 출퇴근시간 적게나와도 매출잘빼면 상관없는데 안나오는데 일도적게하면 지원금 투자한게 아깝지 미용실은 공용공간을 이용하기에 서로 독립된 사업자지만 손님없는 사람이 파마도 도와주고 청소도 도와줌. 그러지 않고 연속으로 손님을 받다보면 엉망진창 되서 다른 디자이너에 피해주고 매장이 돌아갈까?그리고 매장이 잘 홍보되야 서로 매출이 느는거니까 관련된 전단지 일도 같이분담 하는게 도의적으로 맞다고 본다.한명이 전단지 돌려서 손님3명 데리고왔는데 그중에 전단지 한번도 안돌리던 애가 손님1명 데리고 가면 안빡치겠냐?만약에 원장에게 매장 제공외에 매장홍보, 청소등전반적인 업무에대해 전부 지원받고자한다면 사전에 알려서 인센티브 비율에대해 논의후 계약해야된다고본다

  • @MIDAS_0503
    @MIDAS_0503 Жыл бұрын

    이래서 뭐든 서로 확실하게 해야 하는거네

  • @user-xj5fs9kk2j

    @user-xj5fs9kk2j

    Жыл бұрын

    @@hanpar8875그건 진실인지 알수없죠 한쪽의 일방적인 주장인데

  • @pcb86

    @pcb86

    Жыл бұрын

    @@hanpar8875 동료로서 도와달라할수있고 도와주는걸 거부할수있는거죠....결국 광고인데 자기 손님 없으면 밖에 나가서 자기 pr할수도 있는거고 결국 능력문제 같음...

  • @user-cc3mn7sy1d

    @user-cc3mn7sy1d

    Жыл бұрын

    사장은 확실하게했는데 프리랜서가 말귀못알아먹고 삽질했는데?

  • @Su-kn9ez

    @Su-kn9ez

    Жыл бұрын

    매출액의 25%가 아니라 매출액 중 제품 판매액의 25%고 전체매출액으로 계산했을때는 25%가 아니라 40~45%로 보입니다

  • @hairstylistgyeom5680

    @hairstylistgyeom5680

    Жыл бұрын

    미용실 원장들 부들부들 법 바낄까봐 글 오지게 써대네 ㅋㅋ

  • @user-zy4lq9dg4y
    @user-zy4lq9dg4y Жыл бұрын

    현직 미용사이고 개인 샵 운영중인데 우선 계약서대로라면 직원이 사장에게 더 청구할 것은 없어 보이고 다만 마지막 직원의 말대로 대부분 디자이너들이 프리랜서 계약으로 채용되지만 실제 프리랜서 개념으로 근무하는 것은 아닙니다 거의 출퇴근 시간과 업무를 지시 받는 직원 입장인데도 근로법이 강화되면서 그렇게 계약 체결되는 일이 많아졌어요 앞으로 서로 간 개선되어야 할 여지는 분명 있긴 해요

  • @pink_panther1

    @pink_panther1

    Жыл бұрын

    매출이 170~180인데 3개월동안 250씩 챙겨준거는 그럼 뱉어내야하는건가요? 서로간에 어느정도 배려하고 유도리있게 진행하는걸 청소로 태클걸거면 돈도 더 받으면 안되는거였죠

  • @vrkepsw9238

    @vrkepsw9238

    Жыл бұрын

    돈더받을때는 입싸물고 있고 매출떨어지는거에 대해서는 서로가 유도리있어야되고 참 공평한 세상이다 그죠

  • @user-fi8wf5ts9w

    @user-fi8wf5ts9w

    Жыл бұрын

    매출에서 저렇게 때가는 업주 홍보 관리 청소 안해 ?? 먼 현대판 노예 제도냐 ??

  • @user-bw9gx7gn4l

    @user-bw9gx7gn4l

    Жыл бұрын

    @나무아♥️미아멘 전단지는 매출이 딸리면 매출 끌어올려야 내 매출도 올라가니까 같이 해야 한다고 봅니다 청소나 이런건...3개월 동안 더 챙겨준 금액을 사장님에게 돌려주고 안하는게 맞다고 생각되구요 서로 계산을 철저하게 해야 하는데 사장이 초반에 직원에게 더 퍼줘서 애매해 진것 같습니다....

  • @user-ss4ed3pd6k

    @user-ss4ed3pd6k

    Жыл бұрын

    글 잘 쓰시네요. 프리라고 해도 샾 청소를 혼자 한 거 아니라 같이 했다면 사장 문제 아니라고 봅니다. 지가 커트 해서 나온 머리카락도 있으니까요. 전단지 돌리는 것도 샾 전체 매출 업에 영향을 줘서 본인도 혜택인데, 이걸 부당한 업무 지시로 몰 것도 아니죠. 그리고 얼마나 못하거나 게으르면 매출 180만원이 나오는지도 참...

  • @Bruce-dt7ej
    @Bruce-dt7ej2 ай бұрын

    3:45 노동청은 웬만하면 근로자 입장편에서 싸워주는데 노동청에서 조차 힘들거라고 하면 자기가 무리수 던지고 있다는것 정도는 꺠달아야 하지 않나

  • @user-eq4il7ds8e
    @user-eq4il7ds8e6 ай бұрын

    양쪽 이야기 다 들어봐야 하는게 맞네요

  • @black-jn5mz
    @black-jn5mz Жыл бұрын

    이건 직원이 잘못함 ㄹㅇ 계약서 잘 보지도 않고 저렇게 시위하는건 아닌거 같음.. 진짜 사장님 힘내세여!!

  • @Roctarogar

    @Roctarogar

    Жыл бұрын

    먼 개삽솔이세요?

  • @lootb4960

    @lootb4960

    Жыл бұрын

    @@user-xj1xr7mq1v 사회생활안해본 잼민이라그럼

  • @user-jo2tl2kj3g

    @user-jo2tl2kj3g

    Жыл бұрын

    처음부터 프리랜서라고 계약했고, 3개월동안 매달250 정착비줬고 , 250이라는 정착비를 받는대 청소,전단지 정도는 돌릴수있는것이라고 생각함 그리고 같은공간에서 일하면 청소는 너일 내일이 아니지 않음?

  • @user-ub1yg2ow9z

    @user-ub1yg2ow9z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한달 매출 180만원이면 저 프리랜서는 하루종일 놀은거네 울집 애들도 매직만 해도 1~20만원 나오는데 저 프리랜서 참 한심하네

  • @anton_udintsev

    @anton_udintsev

    Жыл бұрын

    @@user-jo2tl2kj3g 프리랜서의 계약서를 정확히 봐야되지만 위탁계약이 헤어디자이너에 관련된 것이라면 장소제공과 그에 소모되는 원자재 비용등은 미용실측이 부담하고 헤어디자이너는 서비스만 제공하는 계약이 대부분이며 계약서에 청소를 하고 30분마다 전단지를 뿌리라는등에 관한 내용이 들어가는 순간부터 강제성을 뜀으로 프리랜서라고 할 수 없음으로 근로자성이 인정되어 최저임금을 보장 받을 수 있게됩니다 그럼으로써 그게 계약서에 있었다면 그 순간부터 프리랜서가 아니게 되며 그 내용이 없었다한들 그 행위를 입증할만한 증거가 있다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분류됨으로 단순히 돈을 받는다고 그정도는 시켜도 뮈라할 수 없을정도로 간단한 것이 아니지요 또한 본인이 자율적으로 한것이라면 할 수 있지만 영상내에선 지시를 한 상황이지요 또한 실질적으로 청소나 전단지를 뿌리는 것을 강제로 지시받으며 자율성없이 강제로 정해진일을 정해진 시간마다 하는 것은 프리랜서가 아닌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이지요 또한 250의 정착지원금은 계약서에도 있으며 이는 영상에도 나와있듯 청소를 하고 전단지를 뿌리는 것을 댓가로 주는것이 아닌데 영상에서 계약서상의 내용을 강하게 주장하는데 왜 계약서상에 존재하지도 않으며 법적으로도 매우 큰 의의를 가지며 그런 강제성을 뛰는 노동행위가 계약서에 없었음으로 최저임금의 적용을 받지않는 프리랜서가 된건데 어찌 그게 할 수 있는 정도이며 또한 회사에서 계약서에 없는 회식 같은 것들은 대부분 본인의 의사에 따라 결정이 되는데 본인이 하겠다고 한 것도 아니고 계약서에도 없는 내용을 하라고 지시하는것이 회식에 참석할 것을 지시하는 것이나 뮈가 다른 것 인지요

  • @user-lu8lq4jw9b
    @user-lu8lq4jw9b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 취재네요. 감사합니다.

  • @T1WorldsWin
    @T1WorldsWinАй бұрын

    오... 이런 방식인지 몰랐는데 알아가네요. 샵마다 다르겠지만 그럼 혹시 미용실 첫 방문이라 잘 몰라서 디자이너 예약 못하고 갔을때 명함주는 이유가 다 디자이너고 본인 손님유치를 위한건가요? 간혹 새로 오픈하거나 옮기면 문자로 연락오긴 하던데 옮겼다고 이쪽으로 오시라고 ㅋㅋㅋ

  • @cooldent777
    @cooldent7773 ай бұрын

    기술배우고 싶으면 학원가서 마스터 해와야 하는세상 임 기술직은 당연 현장에서 사고도 치고 실수도 해가며 자기 실력 올리고 자기 가치 올려서 기술 마스터 하면 몸값 올려서 이직함 그 기간의 책임은 모두 업주가 지고 직원 떠나면 그 사장만 개털됨 최저 시급이 너무 올라서 기술 없는 초짜에게 최저시급 맞춰줘 가며 영업하기 너무 어려움

  • @kahnarelsade
    @kahnarelsade Жыл бұрын

    사장님이 똑똑한분이라서 미용사 말만보면 억울한가 싶엇는데 사장님 말이 맞앗고 정착금도 250씩 3달이나 주셧네 손님도 별로 없어보이는데 저 미용실 주변분들 많이 이용해주세요

  • @shrimp_on_the_road

    @shrimp_on_the_road

    Жыл бұрын

    요즘 남자 컷트 얼마정도 하나요?

  • @user-zi8rg1qw9d

    @user-zi8rg1qw9d

    Жыл бұрын

    ​@@shrimp_on_the_road 우리쪽은 12000

  • @Susra408

    @Susra408

    Жыл бұрын

    @@user-zi8rg1qw9d 난 2년전부터 13000냈었는데 흑흑, 번화가도 아님, 당장13000으로 올리세요

  • @yksh1234

    @yksh1234

    Жыл бұрын

    @@shrimp_on_the_road 저가 가는곳은 15000원 입니다 .. 전에 1만원짜리도 잇어서 같는데 별로라 안가고 15000원짜리 갑니다

  • @htis.1710w

    @htis.1710w

    Жыл бұрын

    8000...

  • @user-mt1yt3zd3f
    @user-mt1yt3zd3f Жыл бұрын

    미용업 종사하고 있는 입장에서 좀 안타까운 상황이긴 한 게, 디자이너가 프리랜서로 분류되긴 하지만 출퇴근이 자유롭지 못한 매장이 대다수인 건 맞음..

  • @ueckbueck

    @ueckbueck

    5 ай бұрын

    노동법으로 넘어가면 말은 프리랜서여도 시간 고용주가 지정하고 서비스재료 제공하면 고용인으로 보호받아요…

  • @user-re8rz5pd4l

    @user-re8rz5pd4l

    5 ай бұрын

    저두 프리랜서입니다 ㅋ 근데 매출보니까 저가샵도 저정도는 놀면서 일한겁니다 저월급은 제가 초디때 한달일한 매출보다 약해요 저 커트만원. 파마3만원짜리에서4일제로 8 시간 프리45프로 근무했어요 쉬엄쉬엄~~~ 그리고 거기4층. 홍보도없었던곳 10년전에 그사람 실력이 어는정돈지 알겠네요 너무 놀았다

  • @CoCo-ok8vo

    @CoCo-ok8vo

    5 ай бұрын

    ​@@ueckbueck계약 자체를 처음부터 근로계약이라고 가정해도 사업주는 최저임금 이상을 이미 지불했는데요..?

  • @ueckbueck

    @ueckbueck

    5 ай бұрын

    @@CoCo-ok8vo 노동부에 물어보세요… 인간적으로 서로 이해하지못하고 이리만 챙기고 그러면 법적으로 가야죠. 아마 ”프리랜서“라고 했으면 4대보험 가입 안해주고 실업급여도 없었을껄요? 실업급여가 얼만데… 정착금으로 주었다니 딱히 처음부터 불공평한 조건은 아니였던것 같아요.. 문제는 갑질이… 알 수 없는 일이죠. 서로 소통안하고 그랬으면…

  • @user-oz4qv8mp1f

    @user-oz4qv8mp1f

    5 ай бұрын

    @@ueckbueck이미 최저임금 이상으로 업주가 지불 했구만 업주는 잘못이 없는디

  • @SereneSleeps0686
    @SereneSleeps06863 ай бұрын

    누가 와서 제발 일해달라고 칼들고 협박했냐.

  • @Kknd626
    @Kknd626Ай бұрын

    15년전에 호주에서도 그랬어요.이민자 국가이다보니. 뭐다 노동청 신고하고 다양한 인종때문에 그래서 .렌트 체어 시스템 바뀜. 헤어샵 가면 카드 포스기 2~3개 있고. 샵안에 간판이 2개 있습니다.

  • @user-wb5hw4kb2h
    @user-wb5hw4kb2h Жыл бұрын

    프리랜서란 지위를 제대로 보장 받았냐가 핵심이겠네요. 가령,프리랜서나 개인화물 같은건 어디에 소속된 근로자가 아니라 개인사업자죠. 그렇기에 사용자는 고용보험이나 퇴직금 등을 정산해줄 의무가 없고 개인사업자는 자유롭게 일거리가 있는데 찾아갈수 있습니다. 그런데, 일부 사용자 중엔 꼼수를 부리는 경우가 있죠. 개인사업자라는 위치를 이용해 각종 지급금을 피해가고 조건은 근로자와 같은 구속시키는겁니다. 이경우 타미용실 업무금지, 의무적근로시간, 투잡금지 이런 강제조항이 있었는지 봐야할거 같네요. 근로자와 똑같은 강제조항을 두고 프리랜서처럼 지급했다면 사용자가 편법을 썼다는 뜻이니까요.

  • @sungjmo2

    @sungjmo2

    Ай бұрын

    궁금한데 계약서에 이 근무지 있다가 이직할때 3키로 범위내 근무 금지 조항은 프리랜서로 계약할때 부당한 계약서 인가요?

  • @musicianthe4128
    @musicianthe4128 Жыл бұрын

    이번에는 계약서도 있고 양측의 주장이 팽배하니 더 알아봐야겠지만 미용계에서 열정페이 논란은 좀 오래된 관례나 이런거 처럼 오래 되긴했음 판례중에는 프리랜서(개인사업자) 계약을 했지만 출퇴근 시점과 내부에서 지시를 받았는지 여부로 근로자로 판단한 판례가 있음 씨씨티비나 이런거 있으면 출퇴근 시간과 청소나 지시받는 정황같은게 있으면 근로를 주장하시는 분한테 유리함

  • @wcydoe

    @wcydoe

    Жыл бұрын

    프리랜서 계약자에게 그럴 여지가 전혀 없으니 근로감독관이 어렵다고 한 것임. 녹음, 녹화, 지시받은 문자, 카톡 이런 증거 제출할게 조금이라도 있었으면 업주 소환하고 합의보라고 합니다.

  • @user-tr7fi4nc1y

    @user-tr7fi4nc1y

    Жыл бұрын

    정착금을 3개월간 750씩이나 준데서 이미 열정페이고 뭐고 없음. 최소라 봐서 그때도 인센 50씩만 이라고 쳐도 저사람은 일도 없는데 300씩 3달 받아간 거임.

  • @user-wg7hy8yl7u

    @user-wg7hy8yl7u

    Жыл бұрын

    @@user-tr7fi4nc1y 정착금이 문제가아니라 출퇴근시간을 정한거라던가 그런게 노동자한테 유리하다고요 프리랜서가아니라 직원으로써 해야하는상황이 연출됐으니 말이죠 프리랜서면 출퇴근터치 못하니깐요

  • @user-sm5cy5yl4c

    @user-sm5cy5yl4c

    Жыл бұрын

    방구석에서 인터넷만 찾아보셨네 잼민이군~ 사회가 만만한게 아냐. 영상 속 프리랜서랑 비슷한 마인드시네.

  • @user-sm5cy5yl4c

    @user-sm5cy5yl4c

    Жыл бұрын

    @@user-wg7hy8yl7u 직원으로 역할했다는것도 그냥 구두주장뿐이야. 그정도가 어느정도인지 입증도 안되고. 어느선까지를 정식업무라고 구분할수도없어. 눈물이 그증거입니다는 이미 철지난 떡밥이고. 3개월 계약서에 6개월 주장하는것으로도 오히려 고소당한다. 그래서 영상에서도 고소이야기 나온거고, 계약서에 첨부사항으로 세부업무내용같은걸 적었어야지. ㅣ

  • @SonBaeksu
    @SonBaeksu5 ай бұрын

    계약서가 우선이다...부당하다고 느껴졌다면 그때 시정조치를 했어야지....

  • @kakarot79428

    @kakarot79428

    Ай бұрын

    제가 볼땐 미용업계 관행상 계약서와 상관없이 암묵적으로 이뤄지는겁니다 모두가 그렇게 하니 부당하더라도 참고 하는거죠 미용업계 뿐만아니라 다른업계에서도 저런식의 부당한 대우 받는데 암묵적으로 다 쉬쉬 하니 말을 못하는겁니다

  • @user-ii8hy4nf7h

    @user-ii8hy4nf7h

    Ай бұрын

    ​@@kakarot79428 이게 맞지 ㅋㅋ

  • @gogijoayo
    @gogijoayo5 ай бұрын

    계약서는 괜히 있는게 아니죠

  • @Luppy90
    @Luppy90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이래서 양쪽 입장 다 들어봐야된다.. 정착금 지원 250만원씩 3개월 준거보면 악덕은 아닌거 같은데요. 3개월 끝나고 본인 능력이 부족해서 당골손님 못 만들어놓고 사장탓을 하는거네요.

  • @Alnica1788

    @Alnica1788

    Жыл бұрын

    단골

  • @uiotry1174

    @uiotry1174

    Жыл бұрын

    프리랜서를 직원처럼 부렸으면 악덕 맞는데? 정말 양쪽 입장을 다 들었으면 '퇴근 마음대로 못 했다. 청소시켰다. 30분마다 전단지 돌렸다' 다 들었을텐데?

  • @bml2133

    @bml2133

    Жыл бұрын

    @@uiotry1174 먼 헛소리야 ㅋㅋㅋ 자기 pr도 안하고 자기가 생활하는곳 정리정돈하고 돈만 벌겠다고 에라이 인간아 ㅋㅋㅋㅋㅋㅋ

  • @MaxxYun

    @MaxxYun

    Жыл бұрын

    @@bml2133 디자이너 본인 명함 돌리는게 아니라 가게 전단지 돌리는거자나.. 그게 자기 pr 이냐? 가게 홍보지..

  • @yuyin4409

    @yuyin4409

    Жыл бұрын

    ​@@MaxxYun 그 전단지에 본인 명함 도 같이 돌릴생각은 왜 안했을까? 나도 프리랜스 프리낸스. 할려면 기술도 사장보딘 좋아야 하고 서비스도 더 해야하고 그래서 자리 잡아야지 세상에 공짜는 없음

  • @user-sd9fk6gd4p
    @user-sd9fk6gd4p9 ай бұрын

    현직 미용사입니다 월 240시간 근무하고 넷째달 매출이 180만원이면 그사람이 문제라고 봅니다... 벌어다 주는돈이 180만원 인데 월급은 250만원 받고 싶다고하면... 저라면 죄송해서라도 열심히 전단지 뿌릴거같은데요...같은MZ이자 같은미용사로서 이미지 망치지말고 다른직업 구하세요 놀면서 핸드폰 하루종일 하고 일할수있는 꿀직장을 구하시길바랍니다

  • @kangjun0408

    @kangjun0408

    Ай бұрын

    계약을 하지 않으면 일 할수 없는 노예 계약서로 판단 할수 밖에. . . . . 뻔데기 .

  • @user-kr9dh5pe2x

    @user-kr9dh5pe2x

    Ай бұрын

    근데 3개월동안 매월250만원 지급하고 차후 본인 매출액에따라 일정부분 수익분배하면 미용실이 처음3개월 투자비용 다 뽑고 그사람이 계속 일하면 일할수록 이익을 얻는 구조인걸로 보이네요 실제로 영상보면 해당 프리랜서가 180만원 ~200만원 매출 올리고 60~70만원 받아갔으면 첫 3개월후 달에 120~150만원 미용실이 이익을 가져가는 구조면 미용실 손해가 전혀 없다고 봅니다 프리랜서로 구하는 미용실이면 해당 미용실에서 최저임금에 월급주면 손해보는 구조이니 프리랜서 로 싸게 사람 쓰는걸로 보이네요

  • @dumaflagek7274

    @dumaflagek7274

    Ай бұрын

    @@user-kr9dh5pe2x 사장은 땅파서 장사하는게 아니니까요... 동네 아줌마가 하는 구멍가게 미용실도 아니고, 디자이너 쓰는 미용실이면 상권 자체가 임대료만 해도 어마어마하게 나오는 곳일테고 그만큼 유지비도 꽤 들텐데... 계산기 두들겨봤을때 불합리한 수준은 아니다 싶네요. 애초에 자영업자든 기업이든 '손해'를 보려고 직원을 쓸 일이 있습니까?

  • @user-kr9dh5pe2x

    @user-kr9dh5pe2x

    Ай бұрын

    미용실 잘못되었다고 지적한게 아닙니다. 영상보고 미용실이 손해를 보고있지 않다고 말하는거고 실제로 미용실 최저인금도 못받고 일하는거 알만한 사람은 다암 제가 말하고 싶은거는 프리랜서 계약자(노동자)가 계약 내용에 맞게 일해야하는데 돈도 적게주면서 은근 슬쩍 다른일도 같이 시키는게 문제 라는겁니다 솔직히 미용실비싼동네 아니면 최저인금 때문에 사람 못쓰는거 많이 봤기도 했구요 가게에서 계약내용에 맞게 운영 해야한다는거죠 아니면 기타사항에 본인이 받은손님의 대해서 뒷정리나 청소도 본인이 해야한다 및 그외 계약내용에 맞지 않는 일은 시키지 말아야죠 돈도 저렇게 안줄려고 하면서

  • @user-zl6fg9ul4c

    @user-zl6fg9ul4c

    Ай бұрын

    @@user-kr9dh5pe2x 프리랜서는 사장입니다 간단하게 계약내용에 없으니 청소 안하고 그냥 놔두자고요 그럼 그자린 누가 치울까요 지저분하겠죠 그럼 손님이 올까요? 결국에는 본인 매출을 위해서 책임을 가지고 하는겁니다. 홍보도 보자구요 계약 내용에는 없어요 근데 홍보하면서 저 머리 잘 잘라요 한번 오세요 하면서 본인 손님 만들어놓으면 실력이 있고 대화 잘통하고 센스 있는 미용사라면 금방 본인을 찾는 고객이 늘어날겁니다 3개월이나 했는데도 월 200여만원밖에 못하는 매니져였다면은 실력도 없고 센스도 없고 프리랜서로 일할 그릇이 안되는 사람이였던 겁니다. 프리랜서는 본인이 장사를 하기전에 마지막으로 거치는 단계입니다. 그만큼 실력과 인성 장사하는 센스까지 모든게 준비되어 있는 단계에서 본인가게를 오픈하기위한 돈을 모으는 단계의 디자이너들이 하는겁니다 아무것도(실력.자질.인성) 안되면서 프리랜서를 하면 저런꼴 나는겁니다. 돈욕심은 많고 일은 하기싫고 그런사람들이 사회에 적응하지못하는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보여집니다.

  • @SPEWEEDY
    @SPEWEEDY5 ай бұрын

    노사관계 절대 단순하지 않고 답도 없지. 역으로 잘되는 경우에는 정착금 + 단골 데리고 자기 가게 차리는 경우도 많음. 기술쪽은 사람쓰기도 힘들고 누구 밑에서 일하기도 힘듬 완벽한 제로섬 게임

  • @user-zf6cm4vw8n
    @user-zf6cm4vw8n5 ай бұрын

    프리랜서도 업주측의 요구와 지시를 듣습니다 디자이너로 누구는 더벌고 더벌고 그건 개인역량 차이면서 근로자처럼 일했다는건 같이쓰는 장소 청소같이하고 정리 같이하는건 당연한게 아닐까.. 동업자정신이 필요한시점같은데

  • @fodkwif83oiu51
    @fodkwif83oiu51 Жыл бұрын

    내가 근로자로서 일했다를 증명할 수 없다면 무조건 업주분의 승리겠네요

  • @user-so8kz2br2y
    @user-so8kz2br2y Жыл бұрын

    추후에 님같은 직원 꼭 만나세요. 사장님 힘내세요.

  • @user-rc7cq4nl8p

    @user-rc7cq4nl8p

    Жыл бұрын

    저분이 직원을 둘수있을거 같진않음.

  • @user-fi8wf5ts9w

    @user-fi8wf5ts9w

    Жыл бұрын

    ㅋㅋㅋ 프리라니까 사장 응원 하면서 직원으로 여기네 ㅋㅋㅋㅋ 와 개 쩐다 2찍마인드랑 똑같네 이분

  • @user-ss4ed3pd6k

    @user-ss4ed3pd6k

    Жыл бұрын

    ​@@user-fi8wf5ts9w 대체 뭔 소린지. 이상할 거도 없는 말에 혼자 이상한 해석을 하고는 이상한 소리나 꺼내고 있어

  • @jigukbapdeh2245

    @jigukbapdeh2245

    Жыл бұрын

    @@user-fi8wf5ts9w 1찍 마인드지 웬 2찍마인드 1찍마인드는 남에돈 등쳐먹고 공짜돈 좋아하는데

  • @user-fz3ug4lw3z

    @user-fz3ug4lw3z

    Жыл бұрын

    @@user-fi8wf5ts9w 세상밖으로 나와 사람들과 소통하길 권해봅니다

  • @dori1328
    @dori13286 ай бұрын

    업계 관행이 프리 계약하고 직원처럼 굴려먹는것 같은데.. 바뀌어야 할것 같네요. 사회 초년생들 저런걸로 엄청 당합니다. 아무리 못해도 업주가 최저 임금은 보장을 해줘야죠. 안그럼 사람을 쓰지 말든가

  • @user-cw3nm5lc7p

    @user-cw3nm5lc7p

    5 ай бұрын

    그럼 프리계약을하지말고 직원으로갔어야징ㆍ느

  • @backgo88

    @backgo88

    5 ай бұрын

    그러면 직원으로 채용하는 곳에서 일하시면 됩니다. 프리랜서 한다면 본인이 사용하고 이용한 시술도구,공간은 청소하는게 맞고 그외 관련 없는 일들은 사장이 업무 지시하면 안됨.

  • @lemon74845

    @lemon74845

    4 ай бұрын

    프리가 뭔줄 모르시는모양ㅋㅋ

  • @fhjtvv

    @fhjtvv

    3 ай бұрын

    정착지원금 한달 250 줬다는데 이게 부려먹는거라니 ㅎㅎ

  • @user-qh4cs5vh5g
    @user-qh4cs5vh5g6 ай бұрын

    해결책은 그냥 월급제로 하고 성과가 더 있으면 인센티브를 지급 하는 쪽으로 하면 된다

  • @mynio8558
    @mynio8558 Жыл бұрын

    프리랜서로 계약하고 자기가 돈못버니 저러는건 쫌,,,,,,,,,,그럼 첨부터 직원으로 계약하던지,,,,,,우기면 다되는것이 아닌데,,,,노답 그냥 직접 미용실을 차리는게 맞는듯,, 원장님 억울하실듯

  • @user-dc9hz8uo3i

    @user-dc9hz8uo3i

    Жыл бұрын

    근데 어르신들은 채팅칠 때 ,,,,,, 이거 왜 연타함? 주변 어르신들 다 그러던데, 온라인이지만 채팅만 봐도 연세가 눈에 보임

  • @lucky_strike93

    @lucky_strike93

    Жыл бұрын

    원장이 직원 고용을 안할려고 했겠지 직원급여 주면 고정지출이 생기는건데 프리랜서로 고용하면 일을 똑같이 시키고 급여는 재량이라는 명분 하에 직원보다 적게 줄수 있으니

  • @HHHHHHHHHHHHHHHH1

    @HHHHHHHHHHHHHHHH1

    Жыл бұрын

    @@user-dc9hz8uo3i 님은 왜 쓸데없는 딴지를 걸음? 진짜 몰라서 물어봄

  • @user-xw5ox5rw3m

    @user-xw5ox5rw3m

    Жыл бұрын

    사장은 영업이 잘 안되는걸 알고서 시급 아낄려고 프리랜서로 계약했을꺼고 미용사는 예상 매출이나 일반적인 정산금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하고 계약했을 확률이 높죠

  • @user-lx4qk6on4r

    @user-lx4qk6on4r

    Жыл бұрын

    @@HHHHHHHHHHHHHHHH1 이름만 봐도 어르신이네 ㅋㅋ 아재요

  • @KJ-wj9mf
    @KJ-wj9mf Жыл бұрын

    노동청에 갔는데 힘들다고 이야기했음 이건 이미 끝난거 아닌가~

  • @user-sr1ox8hg6g
    @user-sr1ox8hg6g5 ай бұрын

    매출 잘 나오면 인센 덜 받아가는게 아니라면 매출 적게 나와서 인센이 적으면 더 달라고하는 이치에 맞지 않음

  • @Krause772
    @Krause7725 ай бұрын

    매출액배분으로 계약이 만연한 이유는 사실 일한만큼 가져간다기보다는 일이있을때도 있고 없을때도 있는 경우가 크기때문에 점주들 편의로 생겨난거겠죠.뭐 그게 나쁘단건 아닌데 최저시급계약보다 불리한 계약은 없어져야함.

  • @saystory58

    @saystory58

    3 ай бұрын

    유능한 프리렌서라면 당연히 최저시급보다 훠~얼씬 더 받지 않을까요? 오픈시기이니 단골손님이 없는건 당연한것이고 유능하고 서비스 좋은 디자이너라면 손님이 더 찾을것이고. 그렇게 되면 1년후 2년후엔 최저시급보다 두배 세배는 더 벌어갈수 있는 구조가 프리렌서가 아닌가생각이 드네요.

  • @korea375

    @korea375

    2 ай бұрын

    어찌 최저시급적용을한답니까? 그럼 업체 최저이익도 프리랜서가 보장해줘야하지않음? 이영상은 업체가 오히려 마이너스인데? 프리랜서는 책임과의무도없으면 이익에대한것도 없어야죠

  • @user-se6pv1eh3x

    @user-se6pv1eh3x

    2 ай бұрын

    한달 월급도아니고 매출200도 못찍는 수준이면 커트만 친거 아니고선 한달 30여명 받을까 말깐데...이건 일을 안헌거아님?

  • @user-tg5hc3lz7q
    @user-tg5hc3lz7q Жыл бұрын

    처음부터 저 직원은 프리랜서 계약인줄 알고 서로 협의하에 들어간거 아닌가요 미용실 사장님만 일 제대로 안하는 직원 손해보묜서 3개월 정착지원금 나간 꼴인거죠 일 잘 하는 사람이었음 저렇게 급여가 나갔을까요 저 디자이너는 그게 현실이라는걸 알면서 처음 3개월은 그럼 가만히 있다가 본인이 받을거 다 받고 나서 저렇게 들고 일어나는게 웃기는 일인거 같아요 다큰 성인이 계약서에 싸인 했으면 그대로 인정하고 가야죠 법적으로도 대응하기 어려우니 저렇게 커뮤니티까지 올려서 이슈 만드는듯요

  • @hyunwoo0105

    @hyunwoo0105

    Жыл бұрын

    @@vamos1273 4:45에 매출 배분 계약을 체결한 헤어 디자이너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안본다는 2021 대법원 판례가 있는데요...?

  • @user-dc1nl8ex4r

    @user-dc1nl8ex4r

    Жыл бұрын

    진작에 업무부당하다하지 3개월동안 받을꺼 다받고 그이후에 업무부당하다고 근로자처럼 일했다고 하는건쫌

  • @daewookkim1736

    @daewookkim1736

    Жыл бұрын

    계약서 제대로 확인안한건 본인책임 아닌가요?

  • @aegis-

    @aegis-

    Жыл бұрын

    @@vamos1273 그냥 매장 차리라고 하세요

  • @hyunwoo0105

    @hyunwoo0105

    Жыл бұрын

    원댓글 삭제했네..ㅋㅋㅋ

  • @choigunhee1004
    @choigunhee10046 ай бұрын

    1인 시위 할정도로 문제가 있다면 노동청에 고발하면 되잖아. 가게 이미지 추락하게 만들려고 하는 저 사람에게 손해배생 청구해야 합니다.

  • @changseokhan4628

    @changseokhan4628

    6 ай бұрын

    그게 쉽냐

  • @user-dt5pb5wk1n

    @user-dt5pb5wk1n

    6 ай бұрын

    ​@@changseokhan4628 진짜 쉽습니다. 고용노동부에 온라인 접수 하면 해당지역 공무원이 전화와서 사실관계 확인하고 업주에게 압박 합니다 전 받는거 30분 걸렸습니다.

  • @emmarose5894

    @emmarose5894

    6 ай бұрын

    프리랜서라면 근로자가 아니기 때문에 노동청에서 관여할 권리가 없죠.

  • @ComposeCoffee

    @ComposeCoffee

    6 ай бұрын

    시위한 놈이 노동청 갔는데 힘들거라고 했는데 그래도 시위한거잔아

  • @user-rj3fg7ew5e

    @user-rj3fg7ew5e

    5 ай бұрын

    영상을 겉핧듯이 보지마시고 자세히좀 보고 글 올리세요~

  • @user-sx9mu4ue2d
    @user-sx9mu4ue2d3 ай бұрын

    저거 꽤 애매한 부분이다. 옛날에도 저거 문제였는데 아직도 저러나 보네. 어느쪽 편들기 힘든 상황임.

  • @user-ue2yp3pp7c
    @user-ue2yp3pp7c2 ай бұрын

    사장님 셔츠 어디꺼에요?

  • @user-jq2gq9vg3n
    @user-jq2gq9vg3n Жыл бұрын

    사장말들으면 사장입장 이해되고 직원말 들으면 직원말 이해감 이럴때는 계약서에 나온대로 할수밖에 없는데 계약서가 사장한테 유리한것같음

  • @coco_jerry

    @coco_jerry

    Жыл бұрын

    본인이 알면서 선택한 계약임. 불안했으면 안전하게 1년 계약 동안은 월급제로 그다음 연장할때 프리랜서나 계속 월급제로 할지 그것도 건의할수있는 문제였음. 본인이 시작부터 프리랜서를 택했고 다른곳에 비해 훨씬 만은 금액의 추진금도 챙겼음. 사장은 본인이 마이너스 하면서 추진금 준건 3개월 안정되기까지 보장과 투자개념이었는데 사장한테 절대 유리한게 아님.

  • @user-iq7kf7vc3m

    @user-iq7kf7vc3m

    Жыл бұрын

    ㅇㅇ 자기도 프리가 편할가같아서 계약한거일텐데 3개월씩 꼬박꼬박 250받고 자유롭게 일했으면서 징징거리네

  • @ilililliliiilllilililiiliiiii

    @ilililliliiilllilililiiliiiii

    Жыл бұрын

    지나치게 유리한 악법이죠. 프리랜서계약을 월매출 6백이하는 체결이 안되도록 개정을 해야합니다. 월매출6백이라쳐도 인센 50% 반반나눠도 3백도못가져갑니다. 근데 그이하를 저런 계약으로 나누면서 4대보험,퇴직금,연차도없이 굴려먹는다는게 말이되는계약인지 조금비싼곳은 50%가 뭡니까 30%대주는데

  • @dreamx6711

    @dreamx6711

    Жыл бұрын

    응 능력없는 디자이너이면 사장이 유리한거고 능력있음 디자이너가 유리한 구조네...ㅡㅡ 사무직이야???? 서비스업인데 능력대로 받아간다는건데.......... 매출 3천 올려도 250 받아갈거야???? 그걸 원해????? 하루 일하면서 매출 30만원도 못벌면 사장은 남는게 있겠냐????? 그럴거면 직원도 필요없겠다.....ㅡㅡ

  • @hjdsh6152

    @hjdsh6152

    Жыл бұрын

    ​@@ilililliliiilllilililiiliiiiiㅋㅋ 진짜 어이가 없네. 프리랜서 계약을 그렇게 강제해야하는 근거가 뭔데요? 프리랜서가 뭔지 알긴 해요?

  • @user-mw9pd6zf8p
    @user-mw9pd6zf8p Жыл бұрын

    본인은 노동청이고 뭐고 다 알아보고 할만큼 하다 불리해지니 일인 시위.. 저런 사람 만날까 진짜 무섭다 미용실 사장님 힘내세요 ~~~~~

  • @saywhat7572

    @saywhat7572

    Жыл бұрын

    구분도 못하는 사람 발견

  • @user-li6jr5mp3t

    @user-li6jr5mp3t

    Жыл бұрын

    아닌데

  • @user-to5je4lc1o

    @user-to5je4lc1o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이런 날강도 입사할까바 걱정입니다

  • @NKIM-ir2uh

    @NKIM-ir2uh

    Жыл бұрын

    근데 영상 끝까지 보면 청소 및 전단지 업무까지 간간히 시켰다고 했어요. 그런 기본 수당은 챙겨줘야 된다고 생각해요 ... 업무 외 시간에 일한거잖아요 :)

  • @A-cup-of-coffee

    @A-cup-of-coffee

    Жыл бұрын

    ​@@NKIM-ir2uh 에혀 청소 전단지 그게 어찌 별개로 보시나요 자신의 손님 만들려면 자진해서 해야죠 본인한테도 이득이 되는 건대요 프리랜서 괜히 프리랜서가 아닙니다 능력이 돼야 프리랜서 하는 겁니다 능력이 안되어 한달 매출 180이면 본인 스스로 그만 둬야지요 ㅡㅡ누굴 탓 하겠습니까 ㅡㅡ

  • @abba8823
    @abba88235 ай бұрын

    근데 미용사 말도 일리가 있음. 보통 프리로 일하는 형태가 많은 업계는 정해진 스케줄 외 어떻게 관리하든 관여하지 않을 뿐더러 시간시간이 다 돈이기 때문에 일이 적어도 띄엄띄엄 텀 두고 스케줄 잡는 것도 선호하지 않음. 그러니 돈 줄 거 아니면 전단지 돌리게 하거나 매장에 상주해 있게 하는 등의 업무지시는 문제가 있는 게 맞음

  • @user-zl6fg9ul4c

    @user-zl6fg9ul4c

    5 ай бұрын

    미용실에 상주를 해 있어야 손님이 왔을때에 머리를 자르죠..... 저 사람은 매출의 30%를 가져가는 프리랜서였는데 일을 못하는 사람이 돈만 바라보고 프리랜서 계약을 한 것이라고 봅니다. 일잘 하는사람 특성 30%계약을 맺지만 매출을 일정수준 초과달성할경우 옵션조항을 넣고 전단지를 돌리고. 방문한 손님들과 유대감을 쌓아서 단골로 만드는데 신경을 쓰고 내 노하우를 발전시켜 매출을 올리려 신경을 쓸 것입니다 그리고 매장이 깨끗해야 손님이 오더라도 나의 자부심이 살기때문에 나를 위해서 청소도 스스로 할겁니다. 이런식으로 나를 발전시켜나가고 내장사를 하기 위한 노하우를 축적시켜 나갈겁니다. 3개월의 시간동안 250만원을 받으며 시간을 줬는데도 4개월차에 한달매출이 200만원이라면 그것은 그 프리랜서가 게으르고.직업정신또한 없는 문제가 많은 사람인것입니다. 직원은 배워가면서 할수 있지만 프리랜서는 가게안의 또다른사장입니다. 그런 오너 마인드조차도 없는 사람이 프리랜서를 한다는것이 문제인것 입니다.

  • @user-vu6dj2cm6p

    @user-vu6dj2cm6p

    4 ай бұрын

    일리가 어딨어. 비즈니스는 계약한대로 하는거지. 일리가 있었으면 소송을 할수있었겠지.

  • @nangman712

    @nangman712

    4 ай бұрын

    12는 알리입니다

  • @Duukbaeee07

    @Duukbaeee07

    4 ай бұрын

    ​@@user-zl6fg9ul4c글만 길지 헛소리를 하네 상주를 시키고 미용실 다른 일 시킨건 문제가 맞지 상주를 해야 일을 하지는 본인 판단할 일이고

  • @sejinJ

    @sejinJ

    4 ай бұрын

    영상에 잠깐 나온거로 추정해보자면 프리렌서가 상주하면서 청소 정리업무를 하고도 페이를 못받은거로 인해 업주와 분쟁이 이미 있었고 1인시위 하기 전에 업주가 고소를 진행했다는 점 업주가 계약이니 뭐니 방어막을 치는데 자기 불리한건 쏙 빼고 말함 애초에 예의와 상도의를 지켰다면 분쟁이 안났을것이다 그리고 매출 고작 30프로를 먹고 상주하면서 청소 정리도 하는게 과연 프리렌서가 맞는가? 출퇴근이 자유롭다라는거도 개소리로 보임 개인사업자 등록해야하는 택배기사가 자유로운 개인사업자인가? 저 미용실 프리렌서는 월급 200도 못벌고 일 못쉬는 노예가 되는거임 애당초 불공정계약이고 업주는 월급 줄 형편이 안되면 직원을 쓰면 안된다

  • @user-fl1xu2gc7b
    @user-fl1xu2gc7b3 ай бұрын

    국가 지원금들도 없으니..그래도 계속되고...전에 그랬다고 지금도 그래야 하는건 아니고요. 그래도 기본금은 줘야 일 하죠

  • @user-ss5jk6jn7p
    @user-ss5jk6jn7p Жыл бұрын

    미용실 업계 변화가 필요 해요 회비도 달달이 꼬박꼬박 강제로 받아 가면서 내역도 없이 회비는 어디에쓰는지 알우가 없어요 비리가 많아요

  • @3ae992
    @3ae992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미용실 원장이 프리랜서 계약대로 임금을 제대로 지급한게 맞는데, 근로자는 자기가 계약 외 업무까지 해야했기 때문에 사실상 프리랜서로 보기 어렵고 프리랜서 임금만 받은게 부당하다는거죠? 사정이 이해는 되는데 뭐 별 수 없지 않을까요.. 사장이 계약 내용보다 일 더 시킬 때 그때 따지던가 했었어야지..

  • @user-rb1jl8lt9g

    @user-rb1jl8lt9g

    Жыл бұрын

    사장이 갑이고 못따질거 아니까 아쉬운사람 상대로 못된짓 한거겠죠 그게 행동의결과입니다 말안해서 몰랐다는 사이코패스들의 마인드입니다 인간은 말안해도 입장을바꿔서 생각해보면 부당하다고 충분히 느낄수 있는동물입니다 아는데 모르는척 하는거에요 이기심때문에

  • @user-dm4zi3cr3b

    @user-dm4zi3cr3b

    Жыл бұрын

    @@user-rb1jl8lt9g 그럼 계약서를 쓰지말아야지ㅋㅋㅋ계약서가 그냥 종이쪼가리에 사인 하는거예요??

  • @one.two.three.

    @one.two.three.

    Жыл бұрын

    따지면 뭐 짤리라고?

  • @D_lightx

    @D_lightx

    Жыл бұрын

    @@one.two.three. 아니 잘리는게 아니라 나가야지 요구를 안 들어주면ㅋㅋㅋㅋㅋㅋㅋ 애초에 프리랜서 계약을 했는데 근로자처럼 쓰고 돈은 프리랜서로 준다고 가정하면 거기서 일 하지말고 다른 곳을 찾는게 당연한 거 아니냐? 뭔 잘리려고야ㅋㅋㅋ 사회생활 ㅈ같이 못하는 거 훤히 보이네.

  • @user-rb1jl8lt9g

    @user-rb1jl8lt9g

    Жыл бұрын

    @@user-dm4zi3cr3b 계약서에 부당한 내용을 기재하고 상대방이 사인했다고 무조건 게약서에 사인했으니깐 ㅇㅋ 가 성립되지는 않습니다 제가 알기로는요 좀 다르긴하지만 비유를 하자면 제가 밤길 걷던 님을 죽기직전까지 때리고 아무런 법적 요구도 하지 않겠습니다 사인하게 하면 사인했으니까 ㅇㅋ? 그상황에서 달리 선택지가 없으니깐 사인 하겠죠 스스로도 '애초에 밤길을 걷지 말았어야지' 그러실거임? 부당하다는건 관점에따라 다르겠죠 그래서 지금 법적분쟁이 되는거구요 계약서를 쓰지말아야지 가 아니라 만약 저런 부당한 계약서를 쓰기로 업계가 담합하고 사회초년생한테 그걸 고를수밖에 없게 만들었다면 그건 사회적인 문제겠죠

  • @user-xu3fw9pm9p
    @user-xu3fw9pm9p5 ай бұрын

    계약서써버리고 나중 문제생기면 소송가도 힘들지 계약서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다 읽어보고 싸인이나 도장찍어야되요

  • @Jack-lv4fs
    @Jack-lv4fs5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각자 근로계약서를 똑바로 보고 거기에 맞게 행동합시다. 이런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하려고 계약서 쓰는거니까 계약서 내용과 다른 업무지시는 따르지마시고, 계약서에 없는 내용을 구두계약으로 담지도 마세요.

  • @lifewood
    @lifewood Жыл бұрын

    출퇴근을 자유롭게 했느냐 업무지시가 있었느냐가 관건이겠네요.

  • @ms920930

    @ms920930

    Жыл бұрын

    글쎄요, 프리랜서 미용사분이 계약상 이행하지 않아도 될 노동에 대한 업무요청이나 지시가 있었다면 이행하지 않으면 됩니다. 이미 두 사람은 계약을 했고, 둘 중에 하나가 계약 내용을 지키지 않는다면 계약을 파기하면 그만인거니까요. 통상적인 고용관계처럼 해고될까봐 참는 관계도 아닙니다. 심지어 급여가 자신의 기준에 충족되지 못하는 모양인데 그렇다면 더더욱 눈치를 볼 일도 없겠죠. 최저시급을 보장해주는 곳에 가서 일을 하면 더 나은 환경이 되니까요. 결국 이 상황은 프리랜서로서 매출액을 많이 낼수록 많이 가져가는 구조를 택했지만 자신이 실제로 매출을 내지는 못하니까, 자신이 필요한만큼의 금액을 사장님 돈에서 뺏어가고 싶은 심보에서 비롯된 거라고 밖에는 볼 수 없겠습니다. 노동자로서 임금 보장도 받고 싶고, 자영업자로서의 매출액에 비례하는 수익도 갖고 싶다는 의미입니다. 책임없는 권리는 없죠. 시위하시는 미용사 분은 모든 책임은 버리고 싶고 권리만을 갖고 싶어하고 계십니다.

  • @user-sp6yb5yd4x

    @user-sp6yb5yd4x

    Жыл бұрын

    그건 입장차땜에 못밝힐듯한데 미용사가 을 입장에서 일햇을듯

  • @ms920930

    @ms920930

    Жыл бұрын

    @@user-sp6yb5yd4x 세상에 어떤 갑이 금전적 손해를 보나요...눈을 뜨고 누가 이득을 보고 누가 손해를 봤는지 좀 보세요...ㅜㅜ

  • @user-un7lt7vl3s

    @user-un7lt7vl3s

    Жыл бұрын

    @@ms920930 눈뜨고 보니까 사장님이 손해봤네요 정착금으로 마이너스나더라도 돈줬더니 단골도 못만들고 정착금 끝나니까 돈더줘 이러면서 시위해서 매장 이미지 망가트리고 스트레스 받고

  • @user-gg8oi5bj7v

    @user-gg8oi5bj7v

    Жыл бұрын

    정착금 250 줄때는 업무 지시가 있었겠죠~~ 영상속 미용실 잘못은 없다고 봅니다.

  • @user-ld8zx7dj2k
    @user-ld8zx7dj2k Жыл бұрын

    매출을 180을 했는데 250 타갔으면 직원대우 해준거 아님? 그때는 당연히 청소든 뭐든 시키는거고,, 프리때 매출을 못했으면 그만큼 받아야지 ?? 프리개념을 모르시나봄,,, 이래서 양쪽얘기를 들어봐야,,

  • @user-nc7mb8tp1p

    @user-nc7mb8tp1p

    Жыл бұрын

    프리랜서로 한달매출180이면 심각한거아닌가~그냥 미용을 때려쳐라....

  • @user-xk5tz8ch2h
    @user-xk5tz8ch2h2 ай бұрын

    무서운 세상

  • @dadbull5928
    @dadbull592811 күн бұрын

    미용실 디자이너들 중에 잘 벌어 나가서 자기 가게 차린 사람들 상당히 많습니다 자기 가게가 없기 때문에 남의가게에서 고객도 확보하면서 커 가는 거죠 그러다가 단골 많이 생기면 가게도 내고 확장도 하고 이런 식으로 하는 것입니다

  • @user-kn9qk6gc2m
    @user-kn9qk6gc2m Жыл бұрын

    결국엔 능력있는 직원뽑아서 투자하고 3개월이후부터 수익을 내야하는데 무능력한애 뽑아서 투자하고 고소미만 먹은 사연이네

  • @kakura1234
    @kakura1234 Жыл бұрын

    근무 당시의 상황을 증빙할 수 있는 증거가 있다면 뒤집을 수 있겠지만 영상대로 구두로 진행한부분들에 있어 녹취록이 없다면 업주의 정당성이 인정받는것이 마땅하다고 봅니다.

  • @user-qq5qy9gz1l
    @user-qq5qy9gz1l5 ай бұрын

    법적으로 되지도 않는 억지를 부리면 크게 후회할것...... 영업방해 및 명예훼손으로 망할 듯

  • @dokkuh4522
    @dokkuh4522Ай бұрын

    하나 하나 따져보면 서로 할말 맣겠지 근데 각자 주장과 말이 다르니 계약이란게 있고 법이란게 있는거 아닌가 화장실 들어갈때랑 나올때 맘이 바뀌는건 이해하는데 그럴꺼면 애초에 프리랜서로 하지말고 직원으로 취업했어야지

  • @moonjju
    @moonjju Жыл бұрын

    스텝들은 정해진 시간 출퇴근을하고도 기본급을 주지않으면 노동청신고 가능합니다 하지만 프리랜서 디자이너로 계약한다면 저기 원장님이 말이 맞습니다 3.3프로 떼고 샵과 몇대몇으로 나누니까요, 출퇴근도 확실하게 하려면 계약서에 적었어야 하네요..

  • @eun0830
    @eun0830 Жыл бұрын

    요즘 저런 친구들이 너무 많네요.. 정착금만받고 그만두는 돈들여 기술 가르쳐놓으면 그냥 그만둬버리고 저런친구들 때문에 정말 열심히 일하는 친구들이 더 손해를봅니다 1인 시위햘시간에 능력을 키우고 실력을 늘리세요 미용은 끊임없는 공부가 필요합니다

  • @user-th9pw5jl4c

    @user-th9pw5jl4c

    Жыл бұрын

    공감 저런 사람들때문에 환경은 더 안좋아질수밖에없지요

  • @jungwollee409

    @jungwollee409

    Жыл бұрын

    ㅇㅈ 끈기도업음 ㅋㅋ

  • @ilililliliiilllilililiiliiiii

    @ilililliliiilllilililiiliiiii

    Жыл бұрын

    저런친구들이 많으면 많은 이유를 알아내서 그거에 맞춰서 경영을 해야 맞는겁니다. 사회풍토나 생각이 다 바뀌고있는데 나때는 이랬는데 하면서 이정도만 해줘도 감지덕지지 하니깐 계속 나가는거에요~ 그 이유를 제대로 알려고 하질 않고 나가는사람 탓만하는데 무슨 열심열심타령입니까. 회사원기준으로 말하면 니들이 취업못하는건 니가 더 열심히 노오력하지 않아서라는 꼰대들 마인드랑 다른게 뭔가요?

  • @user-vg7iw2kz6l
    @user-vg7iw2kz6l5 ай бұрын

    사장님 힘내세여~~ 매장에 피해가 엄청 심하셨을텐데 손해배상 청구 꼭 받아내시길 바랍니다

  • @davidahn1097
    @davidahn10973 ай бұрын

    계약서가 관계협약 내용이니 그걸 기준으로 따지는것이 옳은것 같은데, 이런 억울함이 없으려면 구두 계약이 아닌 서면으로된 사인이 있는 계약서를 작성하는게 맞다고 생각이드네요.

  • @bseintd
    @bseintd6 ай бұрын

    이건본인선택인데 정착금만받아먹고 그만두는사람도많이있습니다 말이프리렌서지 프로테이지해도 직원처럼 일하면서 하는매장도많이있구요 귀에걸면귀걸이코에걸면코걸이

  • @LJYunJJ
    @LJYunJJ Жыл бұрын

    사장님이 법적으로 유리해 보이는데 즉슨 사장님은 법대로 하신 거죠. 저도 근로자이지만 결과만 놓고 봤을 때 사장님 입장에 좀 더 저도 공감이 갑니다. 직원 분은 처음 계약 맺을 때 프리로 할 때 유리해 보이니 프리로 한 것 아닌가요.. 매출 올리지 못해 어려움이 있으니 분명 내 조건에 무엇이 불리한가 살폈을 것이고 1인 시위까지 나서신 게 아닌가 합니다... 부디 이번 일 계기로 법적인 부분 잘 고려해서 처신하시고 불이익 없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십 원 한 장 땅파면 나오지 않는 게 세상살이이지만 좀 더 능력 계발에 몰두하셔서 월등한 실력으로 단골분들 만드시는 게 정신 건강에 좋을 듯합니다

  • @user-auto4788

    @user-auto4788

    Жыл бұрын

    근로자가 저렇게 하면, 사업주만 피해를 봅니다. 악용할 여지가 매우큼

  • @user-tj6ps9hu7t

    @user-tj6ps9hu7t

    Жыл бұрын

    보통 사업자는 직원으로 고용하기보단 프리랜서로 고용하는 것을 더 선호합니다. 왜냐하면 정직원이든 계약직이든 근로자가되면 세금이나 보험등 같이 부담할게 많고 퇴직금도 줘야해서 싫어하거든ㅋㅋ 그래서 본인 동네 업장 매출 뻔히 아는데도 인센티브 가져갈 수 있다고 말하면서 프리로 계약 유도 많이 함ㅋㅋ 3.3만 떼면 되니까 프리가 더 좋을거라면서ㅋㅋ 근데 계약하고나면 그사람은 프리가 아니라 걍 직원으로 부려짐. 본인 기술을 제외하고 다른 잔업이나 계약에 명시되어 있지 않는 업무외 일들도 처리함. 업장에서 지시한 물품들만 쓰게하고 자유롭게 휴가나 쉬는시간도 못씀. 사실상 걍 직원인거임ㅋㅋ 이런식으로 사람 싸게 부릴려는 사업자들 개많은데 현실은 프리랜서들이 욕심많다고 욕먹음. 노얼척임.

  • @LJYunJJ

    @LJYunJJ

    Жыл бұрын

    @@user-tj6ps9hu7t 미용업계는 말씀하신 게 더 심하다고 보시나요? (궁금해서 여쭙는 겁니다~^^)

  • @LJYunJJ

    @LJYunJJ

    Жыл бұрын

    @이하루 하루 네 그럴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처음 써둔 글 그대로 두고 저도 넓게 보도록 하겠습니다

  • @user-tj6ps9hu7t

    @user-tj6ps9hu7t

    Жыл бұрын

    @@LJYunJJ 미용업에서 일을 해보진 않아서 더 심한지는 모르겠습니다. 적당한 답변이 되지 않아 죄송합니다. 다만 제가 일한 곳은 그랬거든요ㅎㅎ.. 주변 프리랜서만 봐도 다 저런 꼴이라... 뉴스에 나온 프리랜서분이 욕심쟁이로 욕먹는 모습이 안타까워 대댓글 달았습니다.

  • @user-jh92uh6gfs
    @user-jh92uh6gfs5 ай бұрын

    저 프리랜서가 한달에 180~190매출 올렸대잖아 최저임금요구는 턱도 없지 직원으로 굴렸으면 월 천만원어치는 일 시키고 급여줬을건데 매출이 180~190이면 사실상 하루 매출 10만원꼴이라는건데 일도 제대로 안하고 무슨 최저임금이야..계약서도 제대로 작성했고 정착지원금 3개월 250씩 줬으면 사장님이 손해구만

  • @user-cs8gg4yk7o

    @user-cs8gg4yk7o

    4 ай бұрын

    ㅇㅈ하지만 양측의 입장이 어느 것 하나 일치하는 말이 없네여 ㅋㅋ 사장의 말이 전부 맞다면 직원이 프리랜서 계약을 이해를 잘 못해서 벌어진일이니.. 직원 잘못인거고.. 결론은 근로계약서 확인 잘해야함 ㄹㅇ..

  • @user-bl9tr6lo2z
    @user-bl9tr6lo2z5 ай бұрын

    계약은 프리랜서인데 실질적으로 미용실 직원마냥 출퇴근 지시. 잡일 시킨게 문제인데 사장편 드는 사람들 지능이 모자라나

  • @user-hv2wg7yq2z
    @user-hv2wg7yq2z Жыл бұрын

    근데 사장님이 정말 청소시키거나 전단지 돌리는 등등의 일을 시켰다면 이건 프리랜서를 악용한건 맞음. 프리랜서로 계약해서 근로 실상은 직원처럼 하는 경우가 이 업계뿐 아니라 관행처럼 여러곳에 너무너무너무 많아서… +) 대댓글에 프리랜서랑 직원 개념을 혼동하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첨언함. 프리랜서는 엄연히 개인사업자임. 프리랜서가 미용실 전단지 돌리는건 비유하자면 배민어플에 등록된 음식점사장이 배민 홍보해주는거임ㅋㅋㅋㅋ그것도 배민이 시켜서. 청소도 자기자리만 청소하면 되지 그 이외에 청소시키는건 음식점사장이 배민사옥 청소하는거라고 ㅋㅋㅋ 이렇게 말하면 얼마나 말이 안되는 일인지 알겠나? 뭘 프리랜서는 받기만 하냐고 그래.. 미용실에 수수료든 자리이용료든 떼주겠지. 그게 사업주와 사업주간의 관계인거임.

  • @user-tm8lv6ro3g

    @user-tm8lv6ro3g

    Жыл бұрын

    사장님도 스스로 말하는데 다들 프리랜서로 고용한다 -> 이건 그냥 직원 두고서 월급 꼬박꼬박 주고 기타 4대보험 부담하기 싫으니까 위탁계약 해서 책임은 안 지고 싶다 고용의 외주화나 다름 없는거 같아요

  • @user-jg3mj7qq7x

    @user-jg3mj7qq7x

    Жыл бұрын

    너희들이이래서 mg세대라고하는거다 저축은할줄아니?

  • @korea_traveler

    @korea_traveler

    Жыл бұрын

    기본급이 없는데 홍보랑 청소는 시키면 안되지. 기본급이라도 주고 시키면 얘기가 복잡해지지만

  • @user-tm8lv6ro3g

    @user-tm8lv6ro3g

    Жыл бұрын

    @@user-jg3mj7qq7x 사장님~ 요즘 세상에는 월급도 계좌이체로 줘서 자동으로 저축이 돼요 최저시급도 안 주려고 현금박치기로 월급 줘봤으니 몰랐을거 같아서 미안하네요 ㅎㅎㅎ 그리고 mg는 무슨 새마을금고에요? ㅋㅋ

  • @JIMIN-fp8gj

    @JIMIN-fp8gj

    Жыл бұрын

    ​@@user-gb2sy4ef8s그래서 수익나면 거기에서 %로 수수료 떼는건데요? ㅋㅋㅋ 사장영업 도울거고 시키는 대로 할거면 프리 아니라 직원으로 들어가야죠

  • @finnnico7942
    @finnnico7942 Жыл бұрын

    이래서 양쪽말을 들어봐야 됨 서로 입장차가 있으니..

  • @user-hh3fh1xy9s
    @user-hh3fh1xy9sАй бұрын

    사용자가 빡세게 힘든 경우네.

  • @john6652
    @john66525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관행으로 계약은 프리랜서로 하고 직원처럼 부려먹는다는말인데 그건 그쪽 업계 사람들이 끊어야하는거고 법적으로는 보장해줄 수 없음. 애초에 근로자 계약을 하는 관행으로 만들던가 아니면 프리랜서면 프리랜서 답게 일하는 관행을 만들던가. 솔직히 근데 이런쪽은 실력이랑 명성이 있는 사람이 그렇게 바꿔야지 바꿔지는거라 본인이 성공하지 못했으면 바꾸긴 힘들긴할거임

  • @user-th2mt5qn9i
    @user-th2mt5qn9i Жыл бұрын

    저런 직원들 처벌은 안되나? 영업방해죄 무고죄 정말 노답이고 머리 아픈 세상이다

  • @user-dx8zt5if2n

    @user-dx8zt5if2n

    Жыл бұрын

    근로자 외칠거면 기본급있는곳으로 가지 어차피 손님 없으면 돈도 많이 못 받는거 알아놓고 이제와서 쓰레기짓을 하네 에라이

  • @PLAN-R

    @PLAN-R

    Жыл бұрын

    사장이 억울한 입장으로 비춰질 수 있으나 사실상 사업자 잘못 입니다. 고용에 대한 책임 관계를 영업 운영상 직원과 원만하게 해결해야 하고 고용에 있어서 직원에게 고지해야할 의무가 있는데 애초에 프리랜서 고용한입장에서는 프리랜서를 고용하고 싶어서 고용한게 아닙니다. 사실상 어리숙한 직원 싸게 이용하고 손실이 없었으면 하는 입장에서 고용 한거로 볼 수가 있습니다. 출퇴근이 자유롭게 한다고 해도 출근 근무시간을 원래는 업장에 기록해야 산정이 가능하며 프리랜서는 시간 포괄이 아니라 건바이건 이고 초과되는 경우에는 초과형태의 협의를 해야 맞는 것입니다. 프리랜서에게 전단지 배포나 청소같은건 건수로 되는 일이 아니기 때문에 포괄된 업무에서는 계약서만 프리로 형식적인거지 근로관계로 봐야되는 것입니다. 또한 미숙한 직원을 보통은 프리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사실상 고용형태 유리하게 이용할 생각으로 고용한거라 직원이 미숙한 직원을 이용한거라 법적인형태에서는 아무런 문제가없다 해도 책임여부를 따져볼때 원장의 생각이 부족하고 고용의 조건을 책임감있는 생각에서 나온 계약은 아니라볼 수 있습니다.

  • @_10R

    @_10R

    Жыл бұрын

    ​@@PLAN-R님이 몰라서 그러는거임. 모든 미용실이 똑같은데 저 디자이너만 문제인게 맞음. 헤어디자이너는 애초에 1인사업주임. 가게만 같이 쓰고 각각 사업증 등록하고 일을 하는거임. 그래서 직원으로 일을 못함. 프리렌서가 무조건적이고 우리매장에 들어오는 조건으로 몇시간 채우는 프리렌서로 계약하는게 다반사임

  • @PLAN-R

    @PLAN-R

    Жыл бұрын

    @@_10R 님 말씀이 맞습니다. 제가 잘 모른 부분에서 이야기한게 맞아요. 그런데 미용실만 그런게 아닙니다. 소규모로 가게를 운영하면 세금등 운영에 문제가 있어서 고용인을 둘수가 없는 입장 이기 때문에 프리랜서로 고용해서 사업간의 파트너이고 기간제로 노사문제가 역기기 때문에 프리로 계약하는것 입니다.그런데 프리는 본래가 기본급+ 건수+ 근무외 초과수당에 대한 구분이 있게되는데 계약서부터 갑을관계로 포괄임금제형태로 관행적으로 하기때문에 문제가 있지만 미용실 운용 사업구조로서는 너무 문제로만 여길 수도 없기는 합니다. 그래서 고용관계상 사업주가 근로형태 구분을 잘해야 하는것 입니다. 미용실 실태조사 통계에 의하면 4대보험 미가입이 82프로가 넘고요 출퇴근 시간이 95프로가 정해져있습니다. 주당 근로시간이 53시간이고 66프로가 52시간 초과합니다. 평균 시간당 임금이 8000 이 안되고 최저임금이 74프로가 위반입니다. 기본급이 150 만원도 미치못하는게 20퍼센트가 됩니다.기본급으로만 구성이 26퍼고 성과급으로만 구성이 59.2프로로 기본급을 안주는게 많거나 기본급이라는것은 최저시급에 맞게 산정되어야하는데 사실 그렇게 주진 않을겁니다. 이게 관행적으로 그냥 그렇게 운영하는데 사실 규정에 맞추지 못하는 실정이죠.그래서 고용실태가 문제가 있어서 고용하면 고용부분에서는 이행을 해줘야 맞는거 아닌가 생각합니다. 고용인이 이행이 마음에 들지 않아도 시간부분에는 맞게 지불하는게 본래에 맞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프리인데 왜시간을 이야기하냐 그럴수 있는데 출퇴근 시간이 있으면 거기에 산정하는게 맞고 근로규정에 나와있습니다. 시간외 근무도 규정에 있습니다. 이게 넷마블 사건 일로 규정이 개정되었습니다.

  • @superstarj9599

    @superstarj9599

    6 ай бұрын

    ​@@PLAN-R법정에서 두 사람의 업무관계 따져야 할 문제.

  • @user-jq5su4xb2b
    @user-jq5su4xb2b Жыл бұрын

    근데 보통미용실 프리랜서이지만 출퇴근 시간이 정해져있어요.... 자유 출퇴근이아니죠 이럴땐 근로자 이럴땐 프리랜서이니 ... 그러니 퇴직금도 못받고 ...

  • @user-cj5wl6mh3f

    @user-cj5wl6mh3f

    4 ай бұрын

    퇴직금은 받을수 있습니다. 1년마다 쌓이지 않고 정산될뿐

  • @user-jq5su4xb2b

    @user-jq5su4xb2b

    4 ай бұрын

    @@user-cj5wl6mh3f 퇴금직 없다고 계약서 써요 ㅋㅋㅌ

  • @lobo_lobo_

    @lobo_lobo_

    3 ай бұрын

    프리랜서는 퇴직금이 없을수도 있을 것 같은데​@@user-cj5wl6mh3f

  • @user-je9yi6wx8i

    @user-je9yi6wx8i

    2 ай бұрын

    꼭 프리랜서란 말에 의미를 두고 그거에 벗어나면 이 세상이 잘못된 것처럼 말하는데.. 프리중에 돈을 평소 보다 더 많이 벌면 저런말을 할까 자기들도 회사이름빌려 장사하는거라고 보면되는데 어느정도 그 회사 방향에따라 규율을 지켜야지 ㅋㅋ프리랜서!! 이 단어에 빠져서 프리랜서니까 지맘대로 해야한다는거 자체가 웃기는 일임ㅎㅎㅎ

  • @ThS-dh5mf
    @ThS-dh5mf5 ай бұрын

    딱봐도 알겠다

  • @user-ke3qr5kn8r
    @user-ke3qr5kn8r5 ай бұрын

    나는 예전에 미용 기술 가르처 준다고 하루종일 청소하고 삼푸하고 디자이너들 수발들고 하루 12시간 일하고 월급 35만원 받앗는데... 아직도 미용업계가 참 ....

  • @beanie_REAL_military_model
    @beanie_REAL_military_model Жыл бұрын

    이래서 혼자일하는 아이템으로 장사나 사업하는게 편해요~ 월급에 퇴직금에 4대보험료에....매출이 엄청 많이 떠서 꼭 직원써야 하는거 아닌이상....머리 아픕니다!!

  • @garr-mang
    @garr-mang Жыл бұрын

    미용실 뿐만 아니라 모든 업계에서 프리랜서로 계약하는 회사들 많습니다... 비투비라서 계약서상 회사들이 유리합니다 그러니 업무나 내용보면 거의 정직원회사원처럼 일해야해요. 업무도 그렇고 출퇴근도 그렇고 진짜 이거 문제에요. 프리랜서로 계약하고싶다고 회사쪽에서 말하면 4대보험도 못들어요 계약하지마시구요 법적으로도 대응이 어려워요 다른회사 알아보시거나 진짜 맘먹고 일해야해요...이거 사회적인 문제입니다..돈 아낄려고 회사들 프리랜서 명목으로 직원구합니다...일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너무나 힘듦니다...차리리 n년계약직이라고 말이라고 하거나 계약직으로 구한다고 말이라고 하던가 이런부분들이 취준생 직장인 울려요 그러지들 맙시다 중,소기업들 제발... 프리랜서면 계약서상 업무배분합시다... 다들 대우 잘받으면서 일하는 그날까지.. 빠팅입니다...

  • @user-mc7su1ej6r

    @user-mc7su1ej6r

    Жыл бұрын

    직원 하면되는건데 아니면 자신이 가게를 차리든가 욕심인거지

  • @user-tp1zk5st4l

    @user-tp1zk5st4l

    Жыл бұрын

    중, 소를 말하셨는데 대기업이 제일 심하지 않나요.

  • @user-gq4eo9mj1e

    @user-gq4eo9mj1e

    Жыл бұрын

    ​@@user-tp1zk5st4l 중 소가 젤 심해요 소사장 제도로 사업자로 들어가서 회사 대 회사 계약 관계인데 당연 계약서는 원청회사가 유리하죠 허나 근태관리 여러행태로 인해 법원 판결은 근로자로 봐야한다는 판결도 있고 해서 여러 제재나 강압 등등 정직과 같은 시간 근로를 하게 하며 더 노예스럽게 일 시키죠 그러면서 법 테두리에서 교묘하게 벗어 나게끔 일 시켜 조금 힘든 부분이 있을거에여 위 영상 미용쪽은 잘 모르지만 저 프리랜서도 아마 이런식 일거 같네여 ~

  • @user-gq4eo9mj1e

    @user-gq4eo9mj1e

    Жыл бұрын

    @@KOR87MATH 글을 제대로 읽으셨나요? 제 글의 요점은 위분댓글을 얘기한 부분입니다

  • @aaaa23831
    @aaaa238314 ай бұрын

    이런거를 보면 미용사들이 정말 대단하다는게 느껴진다..

  • @LUXl
    @LUXl5 ай бұрын

    걍… 물가, 최저시급은 오르는데 시술비용이 안올라서 생기는 트러블… 그렇다고 업계자체가 단합이 되는 업계가 아님. 점점 인턴들, 직원들이 줄어드는 이유가 있음. 이 건의 경우에는 무식하게 거기서만 일한 디자이너 잘못이 큼. 거기서 못클것 같으면 좋은 매장을 알아보고 갔으면 됐다. 그리고 매출을 올리고 싶으면 기술을 쌓고 연습하고 홍보하고 영업에 대해 공부를 하길 바란다…..

  • @user-ch2bl5zv3w
    @user-ch2bl5zv3w Жыл бұрын

    3:31 보면 근무 기간이 2022년 9월 26일부터 2022년 12월 31일임. 업무추진비 250만원씩 3개월간 주는 건 날름 먹고, 잡일 시켰다고 빼액은 에반데..

  • @abbc-te1qy

    @abbc-te1qy

    3 ай бұрын

    사장님도 안된다고하고 노동청에서 힘들다고해서 1인시위를ㅋㅋㅋㅋ 그걸 어거지라고부른답니다

  • @sm0168good
    @sm0168good Жыл бұрын

    현직 디자이너 인데 예전에는 진짜 프로테지를 가져가야 해서 힘든데 요즘은 기본급 인정해주고 기본급 이상의 매출 발생시 인센티브 적용해주고 하는 미용실 널렸는데 왜 굳이 저런 조건으로 일을 하겠다고 했으면서 태세전환을 하는지 모르겠네..요즘 미용실도 사람 귀해서 충분히 면접 때 조율이 가능하고 그게 서로 안맞으면 일을 안하는거고 선택이 있는데... 본인이 선택을 하고 저러면 진자 화날듯.. 사장 이야기 들어보니까 원장의 개입 전혀 없이 출퇴근 자율이면 이거에서 오는 매출이나 수입도 본인이 책임지는게 당연한건데 왜 저러는거지...

  • @Sennheiser999

    @Sennheiser999

    6 ай бұрын

    보통 어떤회사에 취촉 계약직이나, 프리랜서로 들어갈 경우 내가 영혼을 갈아 넣으면 그만큼 수확을 거둘수있는 곳인가? 대표의 능력과 회사 이미지. 소위 "깜냥"을 보고 들어가지요. 딱 일한 만큼 댓가를 받는 비교적 책임감이 덜한 알바가 아닌이상 어느선 부터는 프리랜서라고 하여 시간이 주는 "베네핏"은 없습니다. 출퇴근 제약으로 ,현실적으로 두가지 이상의 직장을 갖기 어렵고 영업을 해야 하기때문이죠 특출난 사람이 아닌이상 그만큼 소요되는 에너지가 (영업, 마케팅)커요 아무리 각자도생 , 서바이벌 자유 경쟁 사회라지만 지켜야 할 선이 있지요 특히 기술+서비스가 들어간 미용직은 다른 순수한 영업직과는 달라야한다 봐요 기본적으로 어느정도 생활할수 있는 기반 즉, 환경을 조성하고 좀만 열심히 해도 정착할수 있게 오너라면 최소한의 환경은 보장해줘야지요 보험처럼 맨땅에 헤딩하는 대신 수당 500% ~1000% 되는것도 아니잖아요? 자유계약이나 위촉계약에 본질은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좋은회사 영업직인 경우 정착할수 있을때까지 , 기본수당 깔아주고 영업적으로 어느정도 서포트 해주지요 그게 사용자 측에서 책임감이고 일터로써 , 적응할수 있게 연속성을 제공해 줘야 하는것입니다. 한명을 고용함에 있어 그에 딸린 식구들이 있어요 준비안된 회사에 영업직 , 위촉직 마구잡이로 고용하지 마시고 부디, 책임감을 갖기 바랍니다. 미용도 엄연히 기술 직종이기 때문에 자신의 실력을 고객에게 알리는데까지 3개월로는 부족합니다 특히 다른 영업직 처럼 마음껏 돌아다니거나 자유로운 영업을 펼칠수 있는 환경이 아니고 시간이나 "장소에 제약"이 있지요 명목상 위촉, 계약관계지만 그실상은 청소부터 영업, 서비스 까지 해야 하는 "반 일꾼"인 셈입니다. 이게 사용자(고용주)측에서 제도를 잘 이용해 노동자를 부려 먹는것이죠 계약에 자유의지를 빌미로 그 헛점을 노리는것. 자신의 미용실이 허접한건 모르고 자꾸 .. 직원 영업력 핑계 대고 경기 탓하고 하지마세요 다시말하지만 , 반드시 시간과 동선을 철저하게 나누어 계산된 노동을 할 수 있는 단순 아르바이트에 (프리랜서) 개념과 다를것입니다. 너가 선택한것이다. 너가 일못한거라. 그래서 이정도 댓가이다. 그건 보험이나, 영업직에 통용되는 말이고 육체적인 노동과 +기술+서비스 미용직을 하는 사람에게는 너무 가혹한 환경이지요 누구를 위한 노동이죠? 우리가 만든 사회는 우리에게 부메랑 처럼 되돌아 옵니다. 참고로 저는 저는 미용과 전혀 다른 업종이고 회사를 운영하고있습니다. 능력이 안되는 직원은 집에서 쉬어야 한다면 능력이 안되는 회사는 직원을 고용하지말거나 접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게 공평한거죠 그게 공평한 것입니다. 강자만 독식 할수있는 세상이 아닙니다 자본주의 파수꾼 인냥 자본주의 파수꾼 인냥 자본주의 파수꾼 인냥 자본주의 파수꾼 인냥 직원 영업력, 실력 운운 하며 남탓하며 너무 "기업 친화적"으로 세상을 바라보지 마세요 .

  • @1ekferf

    @1ekferf

    5 ай бұрын

    @@Sennheiser999 세 줄 요약 부탁 드립니다

  • @user-ow5oq8sw2w

    @user-ow5oq8sw2w

    3 ай бұрын

    기본급 있는 곳이요...?! 어딥니까 대체 ㅠㅠ 저도 가고 싶어요

  • @user-mp7fo2jm3j

    @user-mp7fo2jm3j

    29 күн бұрын

    @@user-ow5oq8sw2w 서울에많아요 시골이면 없겠지만

  • @user-yi1ii6fd7d
    @user-yi1ii6fd7d5 ай бұрын

    계약서가 있는데 구두약정 주장은 먹힐리 없을텐데. 대한민국 노동청에 알아봤는데 안된다고 한건 힘듦. 무고죄, 업무방해죄 고소 당할수 있는 사안이네요

  • @bboygwon
    @bboygwonАй бұрын

    많이 받네 감사하며 살아가길

  • @user-if4jn9rp8t
    @user-if4jn9rp8t Жыл бұрын

    미용업계에는 유리할땐 가족같은직원 불리할땐 프리랜서 라는 말이 존재하죠… 프차에서 보통 쓰는말임

  • @user-xv4ox6ix8r
    @user-xv4ox6ix8r Жыл бұрын

    역시 양쪽말을 다 들어봐야 하네요. 세상에 공짜는 없는데.. 사장님 힘내세요

  • @user-cd3cx2qi9y

    @user-cd3cx2qi9y

    Жыл бұрын

    프리랜서가 사실살 강요된 일자리인데 누가 직원으로 구함? 직원이면 미용실 손해나는데 미용실업계 문제가 심각한건데 그런 분위기에서 사장편?

  • @AdeZbv

    @AdeZbv

    Жыл бұрын

    @@user-cd3cx2qi9y 계약 불이행이 싫으면, 시급 제대로 주는 다른 일을 하면 되는 거 아님? 250만원 줄 때는 왜 불만이 없었나요? 그때도 청소 시켰을 거 아님. (근로자의 말에 따르면) 이 문제는 미용업계의 부조리가 있다 한들, 그것이 포인트가 되는 일이 아님. 평소 책 좀 읽고 사세요.

  • @user-lg1eg8zz8f

    @user-lg1eg8zz8f

    Жыл бұрын

    ​@성이름 직원 뽑는 곳 자체가 적고 일부러 업계관행처럼 프리랜서로만 뽑는 경우가 많다는 이야기도 있어서 그럼 더 좋은 곳 갔어야지 같은 말응 해결책이 되긴 어려워 보이네요...

  • @cjftjd0831

    @cjftjd0831

    Жыл бұрын

    ​@@user-lg1eg8zz8f그러게요 ᆢ윗분 이상하네요 ᆢ생각을 하고 댓글을 쓰는지 종업원으로 계약을 했어야지 ᆢ

  • @user-Wexr

    @user-Wexr

    Жыл бұрын

    @@user-cd3cx2qi9y 프리랜서가 강요된 일자리면 계약서를 왜씀?ㅋㅋㄱㅋㄱㅋ 추진비는 넙죽넙죽 받아먹고ㅋㅋ ㅋ

  • @user-fs5ir5eh7q
    @user-fs5ir5eh7q6 ай бұрын

    아직도각종 중장비 부기사 는 월급조차없이하는곳 많죠 ?

  • @Choihyungwook
    @Choihyungwook4 ай бұрын

    미용실뿐만아니라 프리랜서가 없이 근로법이 변한다면 과연 좋기만 할까요? 그럼 미용실을 예로 들면 월급제 미용사 에게 월급을 많이 주는 방식이 될까요? 잘하시는 미용사들은 업계에서 천단위도 벌탠데 그런 사람들이 만들어 질까요? 250만원짜리 능력으로 밎춰질꺼같은데 예를들어 좋은 공무원도 있지만 우리가 주민센터만 가도 답답한 경우들 몇번 있잖아요? 결국 그런 서비스들이 돌아가는건 소비자몫인데 전체적으로 수준이 떨어지지 않을까요? 그리고 저 직원은 프리랜서가 아니라 정해진 급여 주는곳가서 일 찾으시는게 마음 안다치고 빠를거 같네요.

  • @timecollabo
    @timecollabo Жыл бұрын

    그럼에도 하는 사람이 있고, 그렇게 해서 올라간 사람도 있는데… 루저들의 사고방식은 이해해주기가 쉽지 않네. 본인이 눈치보고 본인이 판단해서 해놓고, 이렇게 하면 이렇게 해주겠지라는 기대감에 사는 사람들도 있긴하더라. 이거 보상해주면 같은 방식으로 살아갈텐데… 라는 아쉬움

  • @daddyme3360
    @daddyme3360 Жыл бұрын

    근로계약서에 내용이 다나와있는데.. 프리랜서로 인센티브로 받기로 했는데 이거 노동청신고해도 원장님 잘못없어요. 저는 저미용실 가본적도 없고 원장님 얼굴도 모르지만..원장님 응원합니다.

  • @user-cv1qv2gn2b
    @user-cv1qv2gn2b5 ай бұрын

    인센티브 받고 싶어서 프리랜서로 계약했는데 돈이너무적으니 꼬라지부리는거고 원장이라는 작자는 잔심부름시키면서 업무분담 확실히 안하고 사장은 원장한테 위임하고 신경을 안썼으니 이럼일이 벌어지지

  • @LI0HDl
    @LI0HDl11 күн бұрын

    논점은 프리로 계약했는데 사장님이 청소시켜 전단지돌리라고 시켜 퇴근 못하게해 그래서 이건 사장님이 계약위반한거다 최저시급 다줘라 라고 하는게 논점인데 250만원 얘기를 왜꺼내는거임;;

  • @iris7king
    @iris7king Жыл бұрын

    프리랜서면 말 그대로 자유직업인데. 사장이 청소해라, 전단지 하루에 30분 돌려라 이런식으로 지휘, 감독을 한거면 사장이 잘못한거 같은데.

  • @user-mg1pf5vl7k

    @user-mg1pf5vl7k

    Жыл бұрын

    여기서 프리랜서는 개인사업자를 말하는 거고 사장은 장소 제공과 부대 비용을 투자하는 거라 매출 정산을 받는 구조라면 프리랜서가 버는 매출에 대한 권리는 공동명의라고 봐야합니다. 본인 실력이 미숙하거나 본인 컨셉이 매장에 맞지 않으면 본인을 홍보해야하는 것(전단지 돌리기)은 당연한거고 본인이 일하고 난 자리는 직원이 아니니까 본인이 청소해야하는 것이 맞겠죠. 프리랜서라고 해도 다 똑같은 프리랜서가 아닙니다.

  • @user-jc6ls1cp1y

    @user-jc6ls1cp1y

    Жыл бұрын

    자기일하는곳에 알아서 청소해야하는것 아닌가 홀이 지저분하면 누가 다시오겠노 그리고 매출없이 사무실 가만히 앉아있는것 보다 전단지라도 돌려 매출을올려야지 누구나 충고하겠다

  • @user-zl6fg9ul4c

    @user-zl6fg9ul4c

    Ай бұрын

    프리랜서는 사장입니다 간단하게 계약내용에 없으니 청소 안하고 그냥 놔두자고요 그럼 그자린 누가 치울까요 지저분하겠죠 그럼 손님이 올까요? 결국에는 본인 매출을 위해서 책임을 가지고 하는겁니다. 홍보도 보자구요 계약 내용에는 없어요 근데 홍보하면서 저 머리 잘 잘라요 한번 오세요 하면서 본인 손님 만들어놓으면 실력이 있고 대화 잘통하고 센스 있는 미용사라면 금방 본인을 찾는 고객이 늘어날겁니다 3개월이나 했는데도 월 200여만원밖에 못하는 매니져였다면은 실력도 없고 센스도 없고 프리랜서로 일할 그릇이 안되는 사람이였던 겁니다. 프리랜서는 본인이 장사를 하기전에 마지막으로 거치는 단계입니다. 그만큼 실력과 인성 장사하는 센스까지 모든게 준비되어 있는 단계에서 본인가게를 오픈하기위한 돈을 모으는 단계의 디자이너들이 하는겁니다 아무것도(실력.자질.인성) 안되면서 프리랜서를 하면 저런꼴 나는겁니다. 돈욕심은 많고 일은 하기싫고 그런사람들이 사회에 적응하지못하는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보여집니다.

  • @sso4156
    @sso4156 Жыл бұрын

    한쪽 주장만 들어볼게 아니라 양쪽 다 말을 들어봐야 안다. 그리고 이건 어느 누가 잘못했다 라고 판단을 하기가 힘든것 같다. 그냥 양쪽 다 완만하게 합의를 봤으면 좋겠다.

  • @choding00l00
    @choding00l005 ай бұрын

    근데 청소 전단지 돌리는 걸 했다면 프리랜서가 아니고 직원으로 봐야지. 노동청이 잘 못 이해한 듯

  • @user-zl6fg9ul4c

    @user-zl6fg9ul4c

    Ай бұрын

    프리랜서는 사장입니다 간단하게 계약내용에 없으니 청소 안하고 그냥 놔두자고요 그럼 그자린 누가 치울까요 지저분하겠죠 그럼 손님이 올까요? 결국에는 본인 매출을 위해서 책임을 가지고 하는겁니다. 홍보도 보자구요 계약 내용에는 없어요 근데 홍보하면서 저 머리 잘 잘라요 한번 오세요 하면서 본인 손님 만들어놓으면 실력이 있고 대화 잘통하고 센스 있는 미용사라면 금방 본인을 찾는 고객이 늘어날겁니다 3개월이나 했는데도 월 200여만원밖에 못하는 매니져였다면은 실력도 없고 센스도 없고 프리랜서로 일할 그릇이 안되는 사람이였던 겁니다. 프리랜서는 본인이 장사를 하기전에 마지막으로 거치는 단계입니다. 그만큼 실력과 인성 장사하는 센스까지 모든게 준비되어 있는 단계에서 본인가게를 오픈하기위한 돈을 모으는 단계의 디자이너들이 하는겁니다 아무것도(실력.자질.인성) 안되면서 프리랜서를 하면 저런꼴 나는겁니다. 돈욕심은 많고 일은 하기싫고 그런사람들이 사회에 적응하지못하는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보여집니다.

  • @user-iv4kf3ec8z
    @user-iv4kf3ec8z3 ай бұрын

    서류가있는데 ㅋㅋㅋ일단서류가 중요하지

  • @user-xr4br8vl5j
    @user-xr4br8vl5j Жыл бұрын

    손님이 없어도 계속 자리 지키고 있어야 자기 순번에 신규고객님 받을 수 있어요.갑자기 들어오실 수도 있고. 보통 그렇게 1년이상은 고생해야 고정고객님이 잡히고 매출이 안정적이게 되고 거기서 기술과 언변이 좋으면 소개도 많고.. 많이버는거죠ㅎㅎ 개인능력이기 때문에.. 한가할 때 다른 직원들과 같이 청소도 하고 다른 디자이너 바쁘면 도와주고 그러면 본인도 바쁠때 그만큼 베푼거 받는거구요. 기술직이고 사람상대하는 일이라 서로 몸이 힘들기 때문에 돕지않으면 도움 못받아요.. 인턴분들이나 다른분들 도움없이 절대 혼자 많이 벌 수 없어서 당연히 부당한부분 있을 수 있지만 다르게 생각해보시길.. 손님없다고 나가서 놀다가 갑자기 손님 들어오면 뛰어오실건가요..? 그럼 손님입장은요? 당신이 얼마나 대단한 디자이너라고 기다리겠어요. 고정고객님 아닌이상 다른 디자이너분께 시술받겠죠. 그럼 매출은 점점 줄겠죠.

  • @sajaeil9939

    @sajaeil9939

    Жыл бұрын

    맞읍니다 언젠가 그분도 자기 미용실하면 인턴 이용할때 알게되겠죠 다들 그입장에 놓여봐야지만 알수있지요

  • @user-jv3rf3vd5l

    @user-jv3rf3vd5l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

  • @user-mw9pd6zf8p

    @user-mw9pd6zf8p

    Жыл бұрын

    보통 이런 걸 투자라고 하죠 자영업은 시설이나 권리투자 하듯 프리랜서도 투자가 필요하다 봅니다

  • @user-xr4br8vl5j

    @user-xr4br8vl5j

    Жыл бұрын

    @@JA-hw6kw 본인이 한만큼 많이 벌 수 있는 직업이에요.손해없이 어떻게 많이 법니까ㅋㅋ 본인이 아무것도 안해도 손님이 막 찾아올까요? 돈써서 광고해도 신규1명 얻기 힘든 경기입니다. 잡무라뇨. 그렇게 생각하시면 안되죠.프리랜서인데 공간 빌려주고 기계 빌려주고 손님 영입도와주고 샵에서도 도움을 준다고 생각합니다.JA님 말대로면 샵인샵 개념으로 자리 빌리는것처럼 보증금내고 월세내고 관리비 다 내고 자기시간 맘대로쓰고 광고도 혼자해야죠. 참 본인생각만 하시네

  • @o_0...

    @o_0...

    Жыл бұрын

    뭐야 미용실 돈 잘 버는 줄 알았더니 아닌가봐??

  • @song12357
    @song12357 Жыл бұрын

    이래서 저렇게 애매하면 계약서 + 녹음 + 상호합의에 따라 영상 데이터도 남겨야함

  • @user-oz2hr1mk4b

    @user-oz2hr1mk4b

    Жыл бұрын

    계약서 있는데.. 문서가 젤 우선하지

  • @user-sm5cy5yl4c

    @user-sm5cy5yl4c

    Жыл бұрын

    먼소리야, 계약서도 문제없고, 을입장에서 자신이 생각한것만큼 매출을 못올렸을뿐이야. 그게 불가항력이든, 본인의 부족함이든. 프리랜서는 자영업이고, 만약 대박나서 단골많이 잡아서 본인앞으로 천만원가져간다고,사장이 매장관리비 공과금이라면서 더 떼어간다고 하면 그것도 지금처럼 이해해줄래?

  • @user-mq2cq4es8j
    @user-mq2cq4es8j5 ай бұрын

    저런 미용사 미용안했음 합니다 제발~물흐리지 말고 딴길찿으시길

  • @user-bj4ff6xr7s
    @user-bj4ff6xr7s5 ай бұрын

    고소 해야한다

  • @Dabin0907
    @Dabin0907 Жыл бұрын

    진짜 미용업계가 자기가게하는경우가아니면 다들이렇게 열악한환경이드라구요 돈벌기 힘든구조~~

  • @jamong_240
    @jamong_240 Жыл бұрын

    와..처음에 저 사진보고 사장님이 되게 나쁘다고만 생각했었는데 양쪽 이야기를 다 들어보니 확실히 다르네요... 이래서 양쪽의 이야기를 들어보라고 하는거군요..

  • @kissred5490

    @kissred5490

    Жыл бұрын

    양쪽 다 들어봐도 사장이 나쁜데요 ?

  • @user-wk6qw9ny2w

    @user-wk6qw9ny2w

    Жыл бұрын

    둘다 잔머리에요ㅎ

  • @ONtheINthe

    @ONtheINthe

    Жыл бұрын

    @@kissred5490 프리랜서가 하기 싫으면 250받으면서 직원디자이너 하면됩니다 근데 잘벌어도 250까지밖에 못받는 문제가 있다고 나오네요ㅎㅎㅎ원장입장에선 프리랜서가 190매출올리는데 250 챙겨주고 월세 약값 다떼면 손해아닌가요?그럼에도 불구하고 3개월 250 챙겨줬다네요ㅋㅋㅋ더벌려다 안되니까 1인시위한게 뭐 잘한거라고 다 영상에 나온내용입니다 뭐가잘못된거죠?

  • @user-dk6de9iu2v

    @user-dk6de9iu2v

    Жыл бұрын

    ​@@kissred5490 몰 나뻐~계약서에 있는대로 준건데 ~난독증 이세요? 프리랜서 입니다 일한만큼 자기 손님에서 먹는거 이말은 본인이 손님이 없어 67만원 정산 받은건데

  • @user-ud2zf2bl4n

    @user-ud2zf2bl4n

    Жыл бұрын

    직원의 말이 맞다는 가정하에 사장측이 잘못한듯. 애초에 사장은 출퇴근이자유롭고 손님이없으면 쉴수있다는 식으로 말하는데 직원의 말이 맞다면 출퇴근도 자유롭게 못하게했고 전단지 돌리기 청소등 시키면 안되는거 아닌가요?

  • @sehunlee9989
    @sehunlee99894 ай бұрын

    5:03 자영업 사장 밑에서 일하면 안되고, 돈 모아서 빨리 자기 가게 차려야 하는 이유

  • @hiraimari
    @hiraimari3 ай бұрын

    프리렌서를 왜 전단지를 돌리게함?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