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들 때문에 비판받고 상처받을 때 [성장문답]

Q. 가까운 사람에게 안 좋은 소리를 들었습니다. 해야하고 또 들어야할 이야기일지라도 가깝게 생각했던 사람이 내 편이 아니라는 게 상처가 되네요. 이렇게 가까운 사람에게 비판과 상처를 받을 땐 어떻게 해야 하나요?

Пікірлер: 460

  • @bompoko7614
    @bompoko7614 Жыл бұрын

    "내 편이라고 생각을 하지 말아야 돼요. 누구에 대해서도" 가장 강렬한 말입니다.

  • @iilililili1506
    @iilililili15066 жыл бұрын

    사람들에게 인정받는 삶을 살지마세요. 인정받는 삶은 허구 허상입니다. 자신을 위한게 아니라 남을 위한것들이에요 인정이란것은.

  • @GG-ci8ml

    @GG-ci8ml

    4 жыл бұрын

    그러네요. SNS에 집착하는것도 그런것중하나일까요??

  • @mini9941

    @mini9941

    4 жыл бұрын

    @@GG-ci8ml 저돈데...

  • @user-rs9ip4xg1u

    @user-rs9ip4xg1u

    4 жыл бұрын

    크으 공감함

  • @user-ve1ew8hf7x

    @user-ve1ew8hf7x

    4 жыл бұрын

    그치만 사람이기에 인정욕구를 추구하는건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어쩔 수 없다고 봐요.. 당장 유투브같이 작은 공간에서 내 댓글이 많은 사람에게 공감받고 인정받아 높이 떠 있기만 해도 기분은 좋아지는걸요. 인정받는 삶을 살지 말라는 너무 극단적인 표현같고.. 인정받으면 자신이 기분 좋은건데 남을 위한건 아니죠. 그러나 인정을 추가적인 옵션 정도로, 받으면 좋고 못 받아도 그만인 것 정도로만 여겨야 한다고 봅니다. 상대가 좋아해주면 고마운거고 아니면 마는거죠. 나의 삶의 기준을 나에게 둘 때 따라오는 인정은 모두에게 행복을 주니까요.

  • @Natt327

    @Natt327

    4 жыл бұрын

    좋은 글 감사합니다

  • @alliswell8811
    @alliswell88116 жыл бұрын

    나도 어릴때, 20살 초중반까지만 해도 '내 사람' 이라는 것에 굉장히 집착하고 살았고 상처받고 고민하고 좌절하고 행복하고 그러고 살았다. 그런데 나이가 서른이 넘고보니까 그 모든것들이 참 부질없었다 라는 생각이 든다. 그렇게 가지려고 노력했던 관계는 나이가 들어 자연스럽게 멀어져 더이상 관계라고 할 수 없을 지경이 되는 일이 태반이고, 반면 딱히 지키려고 노력하지 않았던 관계는 여전히 남아있다. 참 아이러니한 것이 인간관계란 생각이 든다. 이익에 따라 움직이고, 상황에 따라 움직이는 게 인간이며 곧 그것이 인간관계다. 영원히 변하지 않는 것도 없고 어제와 내일의 관계가 같을 수 없다는 것, 이것을 깨닫고 나니까 오히려 예전에 지독하게 시달렸던 외로움이나 혼자 있는 것의 불안함으로부터 많이 해방이 됐다. 지금은 혼자 있는것이 자유롭고 좋고, 당장 내 옆에 누군가가 있지 않아도, 지금 누군가와 진심으로 관계를 맺고 있지 않아도 딱히 불만스럽지 않다. 나 자신을 지킬 수 있는 것은 오롯이 나 이고 내 편은 오롯이 나뿐이라는 걸 세월을 통해 알게됐다. 주변인들에게 차갑게 대하고 거리를 일부러 둘 필요도 없지만 마찬가지로 일부러 거리를 좁히기 위해 노력할 필요도 없다. 그냥 구름에 달 가듯이, 그냥 길을 지나는 나그네가 길가다 마주치는 사람들, 산 동물을 대하는 그런 자연스러운 마음으로 대하면 그만이다. 어떤 것도 소유할 수도 없고 지켜낼 수도 없는거다. 원체 내것은 없기 때문이다. 사람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관계에 대한 욕심을 버리니까, 오히려 당장 주변에 사람은 줄었지만 내 마음은 훨씬 편해졌다.

  • @user-kr6iw6ms6h

    @user-kr6iw6ms6h

    5 жыл бұрын

    오리발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많이도움이됐어용ㅜㅜ

  • @seunghochoi4945

    @seunghochoi4945

    5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piamina8306

    @piamina8306

    5 жыл бұрын

    완전 공감

  • @visitoronearth5384

    @visitoronearth5384

    5 жыл бұрын

    오는사람 막지말고 가는사람 잡지말라.

  • @somi236

    @somi236

    5 жыл бұрын

    공감~~!!

  • @stanleyyoon4964
    @stanleyyoon49647 жыл бұрын

    인간관계를 난로에 비교하더군요. 모든 관계는 적당한 거리가 필요하다고...

  • @yo3175

    @yo3175

    5 жыл бұрын

    완전히 가까워지면 계속 가깝든 멀어지든 합니다 난로처럼 간격을두면 영원히 알수없어요 간격의 이야기는 나만의 성향의 자율적인 부분에 대한 침해를 거부하는 차원의 말이구요 인간관계는 말그대로 알아갈수록 좋아지고 이해하게되든지 끝나든지 둘중하나겠지요 이렁게 해야되는 관계가 있는거라 생각해요 대부분은 이럴 필요가없겠지요 하지만 대부분의 보편적인 말씀을 하시는거같지는 않네요 유시민 작가님 말씀이요

  • @user-df1qk4it2h

    @user-df1qk4it2h

    5 жыл бұрын

    오...

  • @user-gm7kz9bk5n

    @user-gm7kz9bk5n

    4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난로

  • @user-cm7iv8xr7b
    @user-cm7iv8xr7b8 жыл бұрын

    '내 편' 이라는 생각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 저는 저 문장을 "자신과 가까운 사람중 나의 한 울타리 안의 사람이라고 생각 할 것이 아니라 나와의 관계가 어떠하든지 간에 그 사람은 그 사람 자체일 뿐이지, 내 사람, '내 편'이라는 것은 없다."라고 해석, 수용해봅니다.

  • @toycams

    @toycams

    7 жыл бұрын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 @hgo2358
    @hgo23587 жыл бұрын

    명절에 고속도로를 타면 많은 사람들이 나와 같은 방향으로 갑니다. 그런데 어디부터는 가는 길이 달라지고, 다른 길에서 온 사람과 같은 길에서 만나기도 합니다. 인생도 그런 것 같습니다. 어디까진 같은 길로 가고 어디부턴 내 길을 기는 겁니다.

  • @billy949

    @billy949

    6 жыл бұрын

    나이스 맞는 말이네요

  • @sungwu0114

    @sungwu0114

    6 жыл бұрын

    나이스 ㅓ

  • @user-iu7ni1wt1l

    @user-iu7ni1wt1l

    4 жыл бұрын

    공감 백배

  • @hjl2896

    @hjl2896

    3 жыл бұрын

    뭔가 확 와닿네요

  • @hga3927

    @hga3927

    3 жыл бұрын

    👍

  • @user-gb2ne6vr9x
    @user-gb2ne6vr9x7 жыл бұрын

    길지도 짧지도 않은 수십년을 살아오며 느낀건 영원한 내 편도 영원한 내 적도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애초에 기대도 안하고 실망도 안하려 한다. 한때 정말 절친이라 믿었던 친구들이 자연소멸 되고 이제는 다른 인간에게 기대는게 얼마나 부질없는 짓인지 안다. 그럼에도 인간관계를 맺어갈수 밖에 없는건 인간은 혼자 살아갈수 없기 때문이다.

  • @user-ep7ic1ef4m

    @user-ep7ic1ef4m

    4 жыл бұрын

    와 명언 인정

  • @user-vt7oh6mm5l

    @user-vt7oh6mm5l

    4 жыл бұрын

    확실한 답이네요^^

  • @kjh9883

    @kjh9883

    Жыл бұрын

    인정

  • @Lee_Seo_Lynn
    @Lee_Seo_Lynn9 жыл бұрын

    냉철하게 얘기하자면 솔직히... 내 편은 어디에도 없죠. 저마다 이익에 따라서 움직이는 겁니다. 무의식적이던 의식적이던 사람은 자기의 행복때문에 움직이는 겁니다.

  • @user-rm1gf2ju1k

    @user-rm1gf2ju1k

    6 жыл бұрын

    이슬비 맞습니다.독버섯이 인간 입장에선 사람을 죽이는 나쁜 존재이지만 그 독버섯 입장에서는 자기는 인간한테 먹히려고 태어난 게 아니거든요.결국 각자 자기 이유때문에 살아가는 것 같아요.

  • @user-pm6pq9qq9z

    @user-pm6pq9qq9z

    6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이거 들으면서 몇몇 분들은 그래도 나는 이익을 바라면서 남을 만나지 않는다 하지만 사랑을 통해서 행복과 기쁨을 느끼는것도 정서적 이익이거든요

  • @user-rd1os5ot9f

    @user-rd1os5ot9f

    6 жыл бұрын

    이서린 부모가 나를 위한다고 핏대 올리는 것이 나를 위한 것이 아니듯

  • @EEEEEEEEEE0

    @EEEEEEEEEE0

    5 жыл бұрын

    자신의 이익에 따라 움직이는 사람이 있고 공의에 따라 움직이는 사람이 있습니다. 대다수는 자신의 이익에 따라 줄을 습니다만 아닌사람도 있어요. 자신의 이익에 따른다고 주장하는 분들은 다른세상, 다른 부류가 있다는걸 생각못해본 분들 같네요. 여기서 말하는 이익은 이득적인 개념이지 정서적이익을 애매하게 끼우면 안됩니다. 그렇게 치면 어느쪽에 줄을 서든 둘다 정서적 이익은 있으니까요.

  • @user-wk5gc5mt6n

    @user-wk5gc5mt6n

    5 жыл бұрын

    팩트!

  • @user-it4nh4rt2x
    @user-it4nh4rt2x8 жыл бұрын

    사람 너무 믿으면 뒤통수 진심 세게맞아서 상처받음..

  • @user-jp6yl2il9v

    @user-jp6yl2il9v

    6 жыл бұрын

    오설아 ㄹㅇ..

  • @user-dy8pc5hx4o

    @user-dy8pc5hx4o

    5 жыл бұрын

  • @user-kq8dl9it3f

    @user-kq8dl9it3f

    4 жыл бұрын

    유시민도 그렇지...극진한 문빠일줄이야

  • @user-rs9ip4xg1u

    @user-rs9ip4xg1u

    4 жыл бұрын

    진심 믿었더니 그 아줌마는 떠버리였음 입싼 아줌마

  • @orangesky8161
    @orangesky81618 жыл бұрын

    내가 받은 상처에 대해서만 너무 깊이 생각했던 제 모습을 반성하게되네요 저도 누군가에게 상처를 줬을텐데말이죠..내게 준 상처도 사실은 의도하지 않은 거라는 얘기도 많이 공감되고 그말에 많이 위안을 얻습니다.좋은 말씀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user-rs7ol4wo1u

    @user-rs7ol4wo1u

    7 жыл бұрын

    bo-kyung kim

  • @kjh9883

    @kjh9883

    Жыл бұрын

    명답입니다

  • @user-lw3je1sr6v
    @user-lw3je1sr6v5 жыл бұрын

    내 편은 나 뿐임. 친한 사람은 무조건 내편이어야만 한다고 생각하지만, 가깝기 때문에 그만큼 그 사람에게 상처받을 가능성도 큼. 내 편이어야만 한다는 미련과 기대를 버릴 필요가 있음. 흘러가는대로 흐름에 맞춰 살면 됨. / 상대방이 정말 마음을 담은 비판을 해줬으면 고마워하면 되고, 나를 오해하고 혼자 단정짓고 멋대로 비난하는 거면 그 사람 잘못이니 무시하면 됨. / 그리고 그 사람이 나에게 뭐라 한 것이 꼭 공격하려는 의도로 그러는 게 아닐 수도 있기도 함... 무조건 공격하려고 저러는구나 라고 단정지을 필요 없음. 상대장 입장에서 저 말을 왜 했을까 하고 이해해볼 필요도 있음.

  • @user-jl2hk6hw6q
    @user-jl2hk6hw6q8 жыл бұрын

    친한 친구들 중 1명과 어쩌다 사이가 멀어졌어요.. 그 친구들 중에 단 한명만이라도 완벽한 내 편을 들어줄 사람을 찾고 싶었는데 결국 모두와 멀어지게 되었습니다. 작가님 마지막 말씀을 1년전에 들었더라면 그 친구들과 헤어지지 않았을 것 같네요.. 이 세상에 완벽한 내 편은 없다. 마음에 새기고 살겠습니다.

  • @user-qf3st9hb8v

    @user-qf3st9hb8v

    7 жыл бұрын

    저랑 상황이 똑같아요 ㅠㅠ

  • @user-it5bo1he9c

    @user-it5bo1he9c

    6 жыл бұрын

    니편네편 편 나누면 피곤해요.ㅠ.ㅠ.

  • @haim997722
    @haim9977228 жыл бұрын

    부모님도 마찬가지 내편은 나자신밖에 없음

  • @starsin6286

    @starsin6286

    7 жыл бұрын

    인정

  • @user-qj4dj3hs6v

    @user-qj4dj3hs6v

    7 жыл бұрын

    Haim Park 그건 너처럼 부모님한테 조건부사랑상처받고 서러운애들얘기고 무한사랑받는 일반인들과는다름

  • @happyending7901

    @happyending7901

    7 жыл бұрын

    Haim Park 그건 확실함 내편은 결국 나자신밖에없음 부모자식도 마찬가지임

  • @oaksam5499

    @oaksam5499

    7 жыл бұрын

    호영백 ㅋㅋㅋㅋ 배기 생각이 짧네 ㅉ

  • @noranzzi

    @noranzzi

    7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되려 배우자가 평생 자기 편이라고 생각해야 하는 사람이겠지요. 여튼 어떤 관계든 적당한 거리가 있는 것이 건강하게 오래 가는거 같습디다. ㅎㅎ

  • @lomjo2161
    @lomjo21618 жыл бұрын

    맞다. 누군가를 혹은 어떤 관계를 소유하려고 미련을 갖는 것은 수준낮은 자기애에 불과할뿐이다. 내 이십대초중반에 이러한 미련에서 벗어나기위해 얼마나 많은 감정을 소모했던가...

  • @ahffkthsu

    @ahffkthsu

    7 жыл бұрын

    lom Jo 와...정말 공감...

  • @user-kj2bm6jd4e

    @user-kj2bm6jd4e

    6 жыл бұрын

    네 저는 어떤 개새끼때문에 그런 미련함을 20대 초반에 못떨어트렸네요 그 씹얼럼은 존나 얌체새끼였는데

  • @user-ld8kp8vc4v
    @user-ld8kp8vc4v8 жыл бұрын

    비판이면 듣고 비난이면 안들으면 됩니다. 오해는 되도록이면 빨리 설명해주고 시간이 지나면 커짐

  • @HappydayQueen

    @HappydayQueen

    5 жыл бұрын

    오해가 아니고 스스로 그렇다 하고 거짓을 사실로 만들어 괴롭히고 그것은 지속적으로 그 사람 마음에 남아 나를 미워하는 것이 있고, 누구냐하면 남의편이 그래요

  • @hj8914
    @hj89147 жыл бұрын

    잘해주고 상대방이 똑같이 잘해주길 바라면 안된다는 걸 알기에 그냥 잘해줬다. 나이차가 나는 동생이어서 그냥 이뿌다이뿌다 해주고 힘들어할때 자존감 올려주게 진심으로 서포트해주고 물질적으로는 내가 전혀 미련이 없을 범위 안에서 잘해줬다. 그 동생이 나한테 내가 해준만큼 해주기를 바란 적이 없었다. 그런데 뒤에서 내욕을 욕을 ㅋㅋㅋㅋ그냥 건설적인 비판이 아닌 그냥 인신공격성의 욕, 거짓말까지 보태가며 그냥 사람이 너무 싫어서 말로 살해하는 수준의 그런 인신공격성 발언을 하고 거짓말로 사람을 ㅂ신을 만들어놨더라. 물론 그러는 와중에 나한테는 따로 편지나 말로 진심 친언니처럼 생각한다는 식으로 관리했음은 물론이다. 이 부분에서 내가 충격을 많이 받았다. 내가 싫으면 그냥 싫어하고 내버려둘것이지 왜 그랬을까? 나는 누가 그 동생 욕해도 단 한번도 공감 해주기는 커녕 그 아이 입장은 그게 아니였을 거야하며 좋게 변론해주고 그랬는데. 그 아이는 내 뒤에서 누가 하는 내욕에 동참한 수준이 아니라 지가 나서서 그렇게ㅋㅋㅋ. 아직도 세상에는 내가 상상하지도 못한 수준의 악의적인 사람이 있구나를 배웠다. 그건 내가 어떻게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그 아이는 세상을 향한 가치관도 뒤틀려있는 걸 나중에 알았다. 그걸 미리 알아차리지 못하고 내 삶에, 내 인간괸계에 둔 내 잘못도 있는 것이다 이렇게 생각한다. 아무리 겉으로는 좋은 사람 코스프레를 하려고 해도 인성이 썩었다보니 그게 티가 나게 되어있고 결국 커뮤니티에서 그 아이는 은근 모두와 멀어지게 되었다. 아무튼 그렇게 나는 세상을 또 배웠는데 그녀도 배웠으려나. ㅋㅋㅋㅋ아마 또 이런 일을 내 남은 인생에 또 겪으면 그때는 형사고소를 하지 않을까 싶다. 다행히 한 사람이 그렇게 떠들고 다닌다고 해서 내가 그동안 사람들한테 하고 산 것들이 다 묻히지는 않더라. 그러니 여러분들도 그냥 주위에 나를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잘하시고 항상 불의와 타협하는 걸 멀리하는 노력을 한다면 유시민 작가님이 하신 말씀대로 하기가 더 수월할 거라 생각한다. 정의롭고 정많은 손해보고 사는 그대들 화이팅!!

  • @user-tn1ek3wn9j

    @user-tn1ek3wn9j

    6 жыл бұрын

    B 저도 그렇게 가까운 사람으로 부터 상상도 못할 악의적인 일을 겪어본적이 있네요. 살아오면서 그런류의 사람을 처음 겪어봐서 충격도 많이 먹고 해결 되어지지 않는 일에 시간쓰고 마음쓰고 했지만 변하는 건 하나도 없었습니다 이젠 유시민 작가님 말처럼 '이건 내 문제가 아니라 그 사람 문제다' 생각하며 상관않고 살렵니다. 이해도 설득도 기본적인 생각자체가 삐뚤어지면 어떻게 해도 안된다는 걸 알았거든요..

  • @GG-ci8ml

    @GG-ci8ml

    4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사람을 굳이 좋게만 바라볼 필요도 없는것같아요. 적당히 잘해주고 적당한거리가지고..

  • @jinny0131

    @jinny0131

    4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런 일을 겪었었고 지금 회복중에 있으나 또 생각하면 심장이 벌벌벌 떨립니다. 1여년이 지난 지금은 최근의 마지막 연락을 계기로 정신이 번쩍들어 내가 왜 그런 형편없는 사람을 곁에 두었었는지 지금이라도 떼어낸 게 정말 다행이라 생각해요...님도 화이팅해요^^

  • @jian4849
    @jian48494 жыл бұрын

    유시민 선생님, 말씀 감사드립니다. 가까운, 내가 가깝다고 생각한 동료, 일터에서 느끼는 배신감에 휩싸여 마음이 진정되지 않아요. 지금 해주시는 말씀을 들으며, 눈시울이 붉어지네요. 마지막 말씀이 저를 다잡아주네요. ‘내 편이라고 생각하지 말아야 되요. 그 누구에 대해서도.. ‘ 현실을 직시하게 되었습니다. 나이 지긋하신, 편안하고 따뜻한 표정으로 진정한 어른의 말씀에 힘을 얻고 갑니다. 오래전 나의 아버지는 돌아가셨지만, 이렇게 유튜브 속에는 나를 다독여주는 아버지 같은 분이 계셔서 마음이 위로가 됩니다 🧡

  • @LifeQuestion_sebasi
    @LifeQuestion_sebasi9 жыл бұрын

    Q. 가까운 사람에게 안 좋은 소리를 들었습니다. 해야하고 또 들어야할 이야기일지라도 가깝게 생각했던 사람이 내 편이 아니라는 게 상처가 되네요. 이렇게 가까운 사람에게 비판과 오해를 받을 땐 어떻게 해야 하나요? 누군가에게 상처를 받고, 또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는 것. 이게 인간관계의 냉정한 현실입니다. 성장은 이런 삶의 순간들을 어떻게 잘 극복하며 성찰하느냐로부터 비롯됩니다. 오늘 성장문답의 물음에 유시민 작가가 답합니다.

  • @user-tr5jo1ik8m

    @user-tr5jo1ik8m

    7 жыл бұрын

    항상 본의 아니게 남에게 상처를 주고, 나도 상대방을 파악을 잘 못하고 오해를 하여 상처를 받기도 하는거 같습니다. 본디 항상 자기 자신을 제일 먼저 아는 것이 중요할것 같으네요.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 @user-pj6tn1lm9d

    @user-pj6tn1lm9d

    6 жыл бұрын

    성장

  • @mintzk438
    @mintzk4389 жыл бұрын

    자책하지않았으면 좋겠다. 자책하지마세요. 누구도 .. 유시민교수님도요

  • @shingo336
    @shingo3368 жыл бұрын

    마지막 한 마디가 정말 현답이 아닐까 싶다. 나도 그리 오랜 세월은 살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저렇게 생각하지 못할 때 너무 너무 괴로운 순간들이 닥쳐왔었고 또 올 수도 있다는 걸 알기 때문에 ,,현실을 살면서도 동시에 초연할 수 있는 맘의 여유를 꼭 가져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유시민 작가님의 통찰력있는 한마디 한마디를 들을 때 마다 참 존경스럽고 또 감사하다.~

  • @user-kv6vq7pi2h
    @user-kv6vq7pi2h7 жыл бұрын

    가족도 남이라고 생각 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가족을 내편이라고 생각하면 조금만 자기 편을 안듣거나 자기랑 생각이 다르면 더 실망할거 같습니다

  • @locomotive9720

    @locomotive9720

    7 жыл бұрын

    면정학 유시민은 사랑과 연대가 인생의 절반을 차지한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어째서 자기보호를 위해 그것을 팽개치자고 이야기하십니까? 왜곡된 것 같습니다.

  • @user-hg6ys4ev8l

    @user-hg6ys4ev8l

    3 жыл бұрын

    애미뒤진소리하네

  • @honeykim2139
    @honeykim21398 жыл бұрын

    어떻게 나한테 그럴 수가 있어. 이 말은 정말 쓸데없는 말이다.

  • @GG-ci8ml

    @GG-ci8ml

    6 жыл бұрын

    왜요???

  • @gsiovssjbdduihahk

    @gsiovssjbdduihahk

    6 жыл бұрын

    honey kim 가장 필요한 말이지. 잘 생각해보렴

  • @user-zt8tu8qy8s

    @user-zt8tu8qy8s

    5 жыл бұрын

    @@wordninja3230 ㄱㄱㅋㄱㅋㄱㅋㄱ ㄱ ㄱㄲ

  • @user-uj5ex4pq1f

    @user-uj5ex4pq1f

    5 жыл бұрын

    영상 안 봤나...

  • @sssoooososo

    @sssoooososo

    5 жыл бұрын

    honey kim 다들 댓 안보고 대댓 다나.. 말귀를 이해못하네

  • @user-ex7ry6gm1x
    @user-ex7ry6gm1x8 жыл бұрын

    상처받지않으려면, 내편은 없다고 생각하라. 상처받을지 말지 고민해봅니다.

  • @user-cp3fm2nn5p

    @user-cp3fm2nn5p

    5 жыл бұрын

    지혜유 저도 입니다.. 소속감에 질투나면 안돼지만 저도 모르게 그렇게 되네요

  • @wjdjstk
    @wjdjstk7 жыл бұрын

    남은 그저 남이니까 상관없지만 가족은 진짜 어렵네요

  • @sijinlee7567
    @sijinlee75676 жыл бұрын

    인간관계에서 상처를 주고 받는 것은 세상사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다. 성장은 이런 삶의 순간들을 어떻게 극복하며 성찰하느냐로부터 비롯된다.

  • @user-fw4bb7bw2p
    @user-fw4bb7bw2p7 жыл бұрын

    말씀은 정말 좋은데 아무리 괜찮게 생각하려해도 그런말 들으면 하루종일 기분안좋고.. 말처럼 하기가 너무 힘드네요ㅠ

  • @user-hi6hx3cy7t

    @user-hi6hx3cy7t

    7 жыл бұрын

    양반김 사회생활이든 가족관계에서든..모든 사람은 날 좋아하진 않아요..그렇게 편하게 생각하세요.생각보다 말처럼 쉽진 않겠지만 노력해보세요.팟이팅!!

  • @GG-ci8ml

    @GG-ci8ml

    4 жыл бұрын

    @@user-hi6hx3cy7t 내편이아닌것까지는 좋은데... 그걸로 저에 대해 안좋은 얘기를 하고다닌다던지 대놓고 꼽준다던지 이런게 힘들게하네요ㅋㅋㅋ 그냥 혼자만 싫어하고 말 안걸면 안되는지...

  • @user-xj6ju8vu6q
    @user-xj6ju8vu6q6 жыл бұрын

    남이 나를 알아주지 못함에 속상해하지 말고 내가 남을 알아주지 못한 건 없는지. 내가 정말 잘 하고 있는지 한번 더 성찰하라는 공자님 말씀과 닿는 말씀이군요... 정말 귀한 말씀입니다.

  • @user-lm1wr8ir5w
    @user-lm1wr8ir5w5 жыл бұрын

    3년 전에 올라온 동영상이지만 몇 년이 지나도 참 많은 공감이 되고 하시는 말씀 하나하나가 가슴에 새겨진다 유시민 작가가 전하고픈 뜻은 이 세상에 '완전한' 내 편은 없다는 뜻인 거 같다 항상 인간관계 부딪혀 상처를 받는 날이면 이 영상을 찾아서 보게 된다 정말 몇 번을 봐도 질리지 않고 작가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말들이 귀에 박힌다 덕분에 가슴에 돋았던 가시들이 하나 둘씩 빠지는 느낌이 든다 오늘도 좋은 말씀을 남겨주신 유시민 작가께 고마움을 전한다

  • @user-qe3jb6bh5t
    @user-qe3jb6bh5t5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말이라서 영상 속 모든 말을 제가 따로 적어서 보관해놓았는데, 혹시 도움이 될까 하고 댓글에도 올려봅니다. 가까운 사람. 내 편이라고 생각했던 사람이 나를 좀 서운하게 하면 사람들이 토라지죠. 그래서 근본적으로 말하면 우리가 살아간다는 것은 끊임없이 누구에게 상처를 주거나, 또는 내가 누구에게 상처를 받거나 이 과정의 연속이에요. 왜 이럴수밖에 없냐하면, 누군가 가까운 사람이고 나를 잘 이해해주고, 내가 같은 편이라고 느끼는 어떤 사람에 대해서 나는 평소에 그 사람에 대해서 어떻게 해주는가를 생각해보라고요. 그 사람 입장에서 느끼고 그 사람 입장에서 생각하고 그 사람 입장에서 이해하고 누군가 그 사람을 험담할때 그럴때 그 사람이 되어서 그 험담에 대해서 이것이 맞는건지 아닌지를 얼마나 생각해보냐는 거예요. 그렇게 하는 사람 거의 없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나도 남한테 상처를 주고요. 남도 나한테 상처를 줘요. 상처를 주거나 상처를 받는 것이 잘못되었거나 또는 이상하거나 일어나서는 안 되는 일이 일어나는 게 아니에요. 우리가 하루 24시간 중에 3분의 1을 자고 나머지 시간에 사람들하고 관계를 맺으면서 살아가는데 내가 만나는 또는 내가 알고 있는 모든 사람에 대해서 어떻게 그렇게 할 수가 있겠어요. 감당이 안돼요 우리가. 그래서 사람들으 누구나 많건 적건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살아가게 돼있다고요. 그렇게 상처를 많이 받는 것은 그 사람이 가깝기 때문에 그래요. 멀리 있는 사람은 나한테 상처를 주기 어려워요 아무리 활을 싸봐야 멀어서 나한테 안 닿는다고. 내가 안 보는 곳, 내가 듣지 못하는 곳에서 누가 내 험담을 한다고 해서 내가 그걸 들을 수 있어요? 누가 화살을 쏴도 나한테까지 안 와요. 오는 거는 다 가까운 사람이라고요. 원래 상처는 가까운 사람한테 받는거에요. 또 나에게 상처를 줬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경우에도 그 사람은 그걸 의식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그래서 이거는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생각을 하고, 이것에 대해 매우 너그러워야 돼요. 그렇지 않으면 예컨대 누가 내 편이라 생각했던 가까운 사람이 나를 험담했다. 이럴 때 그 험담이 첫째, 옳은 지적이거나.. 둘째, 옳지 않은 비난이거나.. 둘 중에 하나일 거 아니에요. 옳은 지적이면 고맙게 생각하고 받아들여야죠. 옳지 않은 지적이라고 생각이 들면 그거 아니라고 얘기를 하고, 그런데도 그 상대방이 받아들이지 않으면 그건 그 사람의 문제예요. 내 문제가 아니고. 옳지 않게 나를 비난하는 사람. 사실이 아닌 걸로 그걸 오해해서, 그 사람의 생각이 잘못되었기 때문에 그 사람의 가치관을 삐뚤어져서. 그래서 내가 해명을 하고 설명을 해줘도 안 받아들인다. 그러면 그건 내 문제가 아니고 그사람의 문제에요. 그러니까 옳은 비판에 대해서 상처를 받으면 내 잘못이고, 내 잘못이 아닌 것에 대해서 내가 상처를 받으면 그것도 내 잘못이에요. 이거를 두번째 화살이라고 하는데요. 우리는 사방 화살을 쏘면서 살아요. 누군가 쏜 화살에 맞아요. 그 사람이 나를 맞추려고 했을수도 있고, 그냥 쐈는데 내가 맞았을 수도 있어요. 상대방은 나를 맞췄다는 생각을 아예 못할수도 있어요. 이럴 때 그거에 대해서 내가 뭘 잘못해서, 내 탓이어서, 그러면서 나를 괴롭히는 거. 또는 내 탓이 전혀 아님에도 불구하고 아무리 생각해봐도 내 탓이 아닌데... 그럼 그 사람이 잘못이잖아요. 그것때문에 분노를 느끼거나 토라지거나 속이 상하거나 이러면 내 잘못이 아닌 어떤 것때문에 내가 나를 괴롭히는 거니까 둘다 별로 좋지 않은거죠. 그래서 이 문제에 관해서는 살면서 누구나 부딪히는 문젠데, 내 편이라고 생각을 하지 말아야 돼요. 누구에 대해서도.

  • @rachely.3712
    @rachely.37126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옳은 비판은 받아들이고 고치면되고 옳지않은 비판과 오해는 그사람의 몫이죠^^ 명쾌한 정리 늘 감사합니다

  • @user-ou9ug9px4y
    @user-ou9ug9px4y6 жыл бұрын

    "내 편이라고 생각하지 말아야 돼요.누구에 대해서도" 맞는 말씀인 거 같네요

  • @user-kt8wc6rn8y

    @user-kt8wc6rn8y

    21 күн бұрын

    정확한 말씀이네요

  • @n_limbo9156
    @n_limbo91566 жыл бұрын

    옳은 지적임을 알고 받아들일 줄 아는 마음, 옳지 않은 지적을 혹시 내가 했을 때 반박도 너그러이 받아줄 수 있는 마음. 포용력을 기르는 게 가장 먼저인 것 같다.

  • @onsim7358
    @onsim73589 жыл бұрын

    누구도 자기 편이라고 생각하지 말라는 말씀이 많이 남네요.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 @withnotbrain
    @withnotbrain8 жыл бұрын

    칭찬은 듣기 좋아서 좋은 것이고, 비판은 생각할수있게해줘서 좋은것이다... 먹는것도 단것만 먹으려고 들면 당뇨병 걸립니다...

  • @SH-kh6ne
    @SH-kh6ne7 жыл бұрын

    작가님처럼 나이들고 싶어요.

  • @jihoonbang3830

    @jihoonbang3830

    7 жыл бұрын

    Seiyoung Han 저도요!

  • @user-bu7fp6sh4p

    @user-bu7fp6sh4p

    6 жыл бұрын

    간절히..

  • @jamesk3774

    @jamesk3774

    5 жыл бұрын

    사람이 계속 깨어 있는 다는게, 자기생활, 습관이 안 돼있으면, 힘들듯...

  • @user-ii4ck1vj9z

    @user-ii4ck1vj9z

    4 жыл бұрын

    추하게 나이들고 싶다는 얘기군요

  • @user-lq8fc3fg2s

    @user-lq8fc3fg2s

    2 жыл бұрын

    정치는 호불호갈려도 교양적인 면이나 지식적인 면에선 확실히 수준 높음

  • @orrroa
    @orrroa8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멘트가 좀 씁쓸한 느낌을 주지만, 그것도 나 하기에 따라 달렸으니 마냥 비관적으로 생각할 것 없어요. 내가 마음의 여유를 갖고 관계에서 수용을 잘 하게되면 상대방도 반작용으로 나에게 너그러워지기 마련이잖아요. 너무 씁쓸할 것 없어요. 결국 내가 지향하는 지향점대로 살 수 있다고 봐요. 느리던 빠르던 각자 자기만의 페이스로요.

  • @user-md7ht1ws4x
    @user-md7ht1ws4x2 жыл бұрын

    정치적이나 유시민 작가님에 대한 존경으로 이 영상을 본 것이 아닙니다. 영상제목처럼 여러가지 이유로 너무 힘들어 우연히 보게 되었어요. 유튜브의 홍수같은 영상들을 보다 보니 진심으로 답이 되는 영상들은 없고, 그저 조회수 올리기에 급급한 영상들이 대부분이고 인생의 경험이 많거나 신뢰할 수 있는 영상들이 없었어요. 그러다 이 영상을 봤는데 마음의 위로가 되고 제 스스로 저를 되돌아 보게 되었습니다. 나보다 나은 존경할 만한 사람에게 인생에 있어서의 문제를 해결받으니 너무나 후련하네요.

  • @jepuiros
    @jepuiros7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말은 붓다가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말을 연상케 하네요

  • @user-yz1ju5np9o
    @user-yz1ju5np9o6 жыл бұрын

    작가님..말씀이 정답..어느 순간부터 완벽한 내편은 없을수 있단 생각을 하고나서 부터 인간관계에 초연할수 있게 됐고..그래서 인지 대인관계는 더 좋아진거 같아여

  • @user-rh5pq9nj5l
    @user-rh5pq9nj5l6 жыл бұрын

    아~~~누구든지 내편이 아니라고 생각해야한다~~~어느 정도의 선을 갖어야 한다는 말씀이시네요~~! 순간 놀랬습니다 맘이요 ~~맞는말씀이신듯~~~!!!

  • @hjin23
    @hjin237 жыл бұрын

    좋네요 . 각자의 입장이 있다..각자 시각이 다를 수 있다..하고 생각하면 좀 더 편하게 마음이 풀리더라구요. 그래도 뒷담화는 정말 싫죠

  • @manggom2
    @manggom26 жыл бұрын

    정말 맞는 말이에요. 가족보다 더 믿었던 사람에게서 배신을 당한 뒤로는 그 아무도 믿지 못하게 됐고, 또다시 상처받기 싫어서 가까이 대하지 않게 됐어요. 가까운 사람이 없으니 저 또한 그들에게 좋은 사람인 척 노력하지 않아도 되고 그렇게 제멋대로 살게 되었습니다. 확실히 마음은 편해요. 상처받을 일이 없으니깐요. 그런데 믿었던 사람에게 상처받은 자리는 여전히 느껴지고, 내 일상을 궁금해하는 사람이 없다는 생각에 공허하고 외로워지더라구요. 사람은 그래서 어쩔 수 없나봐요. 상처를 줄 걸, 받을 걸 알면서도 결국 같이 지내야 한다는 것. 이 아픈 진실을 느끼는 요즘입니다.

  • @user-uw9qk1sz2p
    @user-uw9qk1sz2p6 жыл бұрын

    남이 나에게 주는 상처에 너그러워야된다 왜냐면 나도 남에게 무의식적으로 상처를 주니까 그말이 귀담아지네요

  • @Sarangchongman
    @Sarangchongman3 жыл бұрын

    인간관계에서 항상 불안하고 답답했었는데 보자마자 가슴이 뻥 뚫리는 기분이었습니다! 내 아픔은 결국 무지에서 온 것이었음을 깨달았네요ㅜㅠ 남의 문제까지 내 문제로 여겼으니.... 내가 2차로 내자신을 아프게 한 거죠. 우울하고 답답함을 호소하는 내 마음 신호를 받고 영상을 찾아봤으니 앞으로는 같은 실수 반복하지 않고 더 건강해지렵니다!

  • @user-dhudisksro
    @user-dhudisksro3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볼려고 본게 아니고 우연히 봤는데 한 마디 한 마디가 위로 되는것 같다ㅠㅠ 감사합니다

  • @leemijin9662
    @leemijin96627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입니다. 한 가지 첨언하자면 옳지 않은 비난에 대해 설득해도 상대방이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까지 전파되고 마치 기정사실인 것처럼 호도되는 경우에, 내 탓이다 하고 넘어가다가는 진짜 큰 오해로 되돌아오는 경우가 있더군요. 연예인 악플도 오히려 문제가 복잡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송까지 가는게 그런 경우겠죠. 최근에는 개인들도 각종 매체로 의견을 전달할 수 있다보니, 가만히만 있다가는 가마니됩니다. ^^

  • @user-qk7oh2rr1r
    @user-qk7oh2rr1r5 жыл бұрын

    가끔 회사생활하면서 말수가 많지않고 표현을 않하는편이라서 오해를 받은적있어요 말씀감샤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coachgunny-5890
    @coachgunny-58907 жыл бұрын

    상처를 주고 받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여기며 너그럽게 받아들인다.. 그렇지 못하다면 비난이나 지적이 어떤지 살펴보게 되는데, 옳은 지적이라면 고맙게 받아들이고, 근거없는 비난에 불과하다면 상대방의 잘못이므로 신경쓸 필요가 없다.

  • @hyejeongyu3673
    @hyejeongyu36737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살면서 느낀걸 저렇게 정리해 주시네.......마지막 말에 격공하고 갑니다

  • @mojinggg
    @mojinggg7 жыл бұрын

    처음 이 영상 보면서 하염없이 울었습니다. 제 생각이 변하고 내 인생이 변할 것 같단 생각이 듭니다. 반복해서 보려구요! 정말 큰 도움입니다.

  • @MuMu-xd4wy
    @MuMu-xd4wy6 жыл бұрын

    친하다고 생각했던 지인들과 최근 어떤 문제로 조금 트러블이 있었어요. 저를 향한 작은 비난의 말이 저에게는 엄청난 충격적인 화살로 돌아오더라구요, 제가 저도 모르게 '그들은 다 이해해주겠지...'했던 마음도 있었던것 같아요. 많이 마음써가면서 스트레스 받고 있었는데, 성장문답 보고누구도 내편이 아니다... 라고 생각하니 마음이 한결 편해졌습니다.

  • @williamcwm
    @williamcwm3 жыл бұрын

    유시민 작가님의 말씀이 참 좋습니다. 삶을 살아가는데 도움이 됩니다. 건강하세요^^

  • @brainsolite9656
    @brainsolite96567 жыл бұрын

    내가 나를 모르는데 넌들 나를 알겠느냐

  • @haim997722
    @haim9977228 жыл бұрын

    아빠가 정서적폭력하는건....

  • @seokchanhong993
    @seokchanhong9936 жыл бұрын

    공감.. 결국 부모님조차도 나를 백프로 이해하실수는없다는 현실을 받아들이면 오히려 마음이 편안해지고 너그러워지게된다!!!

  • @joonwoo
    @joonwoo4 жыл бұрын

    인생은 상처를 주고받는 과정이라는 말이 너무 공감되네요..

  • @user-st9bj1un4k
    @user-st9bj1un4k8 жыл бұрын

    그렇지.... 누가 내편이여

  • @user-bo7bz1cg7n
    @user-bo7bz1cg7n9 жыл бұрын

    공감하고 잘보고 가네요~ 살다보면 화살쏘는사람은 쏘기만하고 맞는사람은 맞기만하는 세상인건 저만의 생각일까요? 화살안쏘고 맞지않으려 노력하는 삶을 살기를 바라는데~

  • @user-dv9xg9zt9d
    @user-dv9xg9zt9d6 жыл бұрын

    맞는말씀예요...내편이라고 생각하는순간 그만큼 상대방에 대한 기대치가 커지거든요...그또한 욕심이죠...감사합니다...

  • @user-il6cy8vt3o
    @user-il6cy8vt3o5 жыл бұрын

    여태껏 모르고 살았는데 오늘 믿었던 친구에게 큰 배신감을 느꼈던 하루였습니다 그로 인해 지난 한 해를 돌아보면서 정말로 내가 이번 한 해 동안 어떤 사람이였고 어떤 일을 하였고 어떤 사람을 만났는지에 대해 깊게 생각해 본 시간을 가졌습니다 생각에 잠기다 보니 저는 의미 없게 살았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느새 자존감도 낮아지구요 그 친구의 탓은 아니지만 항상 옆에서 내 편에는 많다고 애기를 늘 해주셨지만 이번 영상을 통해 위로를 받으며 깨달았습니다 제가 의미 없는 한 해를 보내왔다는 건 바로 "내가 편이라고 생각했던 사람에게 쓸데없는 관심을 주었기 때문이다" 여서 입니다 이 영상을 보고 앞으론 남에게는 엄격해지지 않을 거 같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2018년도 수고 많이 하셨고 2019년에도 좋은 영상으로 성장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 @Eunbyeol20
    @Eunbyeol209 жыл бұрын

    좋은 말 이네요... 우연히 보게 되었다가 구독을 눌렀다는... ㅎㅎ 그렇지만 이세상에 누구도 내편이라고 생각지 않으면 상처는 덜 받겠지만 점점 냉소적이게 변할것 같은 생각도 드네요.... 내편이 아무도 없다 보다는 가족이던 친구던 모르는 사람이던 비판을 할때 당신은 내가 아니니까 나는 나를 사랑하고 소중히 하니까 받아들일 수 없는 부분에 대한 비판은 받지 않겠다... 정도로 방어하는게 어떨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보네요~ 암튼 성장문답 도움되는 영상이 많고 지루하지 않게 짧게 짧게 포인트만 나와서 더 보기 좋네요

  • @user-nn6jz8xm7v
    @user-nn6jz8xm7v3 жыл бұрын

    살아가는데 뭔가 불편한 마음이 좀 그럴때 들려주는 자연스러운 대화가 되었어요ㆍ 유작가님

  • @user-bj3ff9ib6d
    @user-bj3ff9ib6d6 жыл бұрын

    놀라운 통찰 입니다 인간 실존에 힘들어 하는 저같은 사람을 위해 앞으로 더좋은 강연 기대하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user-tg5td3zy4n
    @user-tg5td3zy4n Жыл бұрын

    가까운 사람이라면 그 말이 나에게 일부러 상처를 주고자 하는 말이 아닌 나를 위한 조언일지라도 상처를 받기 마련인 것 같아요. 그만큼 그 관계에 대해서 진심이고 그사람을 믿고 상처받기 싫은 욕심이 작용하는 것 같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좋은 생각과 반성을하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user-tr5jo1ik8m
    @user-tr5jo1ik8m7 жыл бұрын

    항상 원인은 본인에게 있는 것이었네요. 누구에 대해서도 내편이 있다 생각하지 말아야 하겠네요. 공감 100. 짧은 강의지만 삶의 지헤를 얻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tb3wc8ld7y
    @user-tb3wc8ld7y7 жыл бұрын

    남의 입장에서 생각하면서 상처를 안줄려고 노력하면서 서운한 일이 있을 때 만약에 내 잘못이면 미안하다고 바로 사과할까 아니면 그냥 있을까 고민하고 , 내 잘못이 아니더라도 뭔가 그냥 내 탓이라고 나 자신을 괴롭히며 살았던 것 같네요

  • @yejungpark5813
    @yejungpark58137 жыл бұрын

    크게 공감하고 , 많이 깨닫고 갑니다.. 특히나 마지막 말씀.. 알면서도 자꾸 기대게 되거나 기대하게되는 제 자신에 대해서 자괴감이 드네요 .. 여러번 깨지고 겪으면서 자연히 터득하게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youngsoonkim3371
    @youngsoonkim33714 жыл бұрын

    부처님 같은 말씀! 그런데 인간사 인간 심성 참 요상해요. 바람이 일고, 회오리 일고, 돌풍 일고.... 유 시민님의 정직해보이는 깔끔하고 소박한 말씀과 인상 존경드립니다.

  • @user-qm8lh6pu2e
    @user-qm8lh6pu2e4 жыл бұрын

    짧은 동영상이지만 집중해서 봤어요 특히 마지막에 내편이라고 생각하지 말아야한다는말이 엄청나게 공감가네요

  • @user-qk5fz4oc7m
    @user-qk5fz4oc7m7 жыл бұрын

    그래도 끝까지 진심을 말하며 살아요. 상처 받으면 어때요. 내가 진심을 말하고 전한게 잘못은 아니잖아요? 그걸 진심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이 잘 못 된거죠. 내 잘못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그러니 거기에 너무 신경쓰며 살 필요 없다고 생각해요. 내 진심을 알아봐주고 받아주는 사람은 분명 존재한다고 생각해요. 그럼 그게 제 편이죠. 다른게 더 필요한가요?

  • @user-sh4hr5of9t

    @user-sh4hr5of9t

    6 жыл бұрын

    홍성령 맞눈말씀잉데 쓰레기한테는 진심 말해도 안통해요.. 지멋대로 지.기준대로 남배려없이 살아서요 제가 진하게.겪어서 알아요.똑같이.대해주거나 인성ㅇ같아지니.그갓도.싫으면 안보는게.상책

  • @user-qz9gv7du2g

    @user-qz9gv7du2g

    5 жыл бұрын

    진심을 말하는 것과 개념없이 말하는 것은 구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jongmoonkim8998
    @jongmoonkim89988 жыл бұрын

    내 '편' 이라는 말 자체가 편가르기를 하게 되는거라 사소한 오해에도 내 '편'인 친구를 오해하고 미워하게되는것 같습니다 제 좋은 친구들은 그냥 좋은 친구로 두고 진심으로 믿는수밖에 없다고 이 영상을 보면서 생각 해봅니다

  • @Backpacking_Explorer
    @Backpacking_Explorer6 жыл бұрын

    그럼 궁금한게 힘들때 진정으로 내편이 되어주는 사람들도 반드시 생기기 마련입니다. 그럼 그사람들 조차 내 편이 아니라고 생각해야 하나요?

  • @kinrencooking7506
    @kinrencooking7506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작가님.잘 들었습니다.배우고 갑니다.

  • @user-pq5ni9us5c
    @user-pq5ni9us5c3 жыл бұрын

    저도 어릴적부터 가까운 부모님부터 친구들까지 많은 상처와 멍들을 달고 다녔었습니다. 하지만 어느순간 해탈했습니다. 상처받는것이 의미가 없어졌습니다. 내가 상처받을지 결정하는것은 나입니다. 물론 화가나고 슬프고 이런저런 감정을 느끼지 말라는게 아닙니다. 오히려 적당히 제어하면서 표출도 할줄 알아야합니다. 하지만 내가 상처받았다고 하루종일 울거나, 하던일을 그만두거나, 하루종일 아무것도 하지않거나.....이런 행동들을 하지 말자는겁니다. 우리가 상처를 받았다고 그 상처를 질질끌어가는것은 나입니다. 그냥 훌훌 털어버리세요. 한귀로 듣고 한귀로 흘리세요. 아무일없던것 처럼 나는 일어서는겁니다. "너 따위가 나한테 상처를 줄수 없어"라는듯이요. 우리는 혼자입니다. 무덤에 들어가는것은 오직 나 자신이죠. 남에게 너무큰 기대를 하거나 의지를 하게되면 나중에 서로 길이 갈라지거나 문제가 생길때 나 자신이 많이 힘들게 됩니다. 항상 적당한 선을 유지하며 지내야 합니다. 우리는 살면서 많은 웃음과 눈물을 흘릴것입니다. 하지만 웃기 위해서는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눈물을 닦고 툭툭 털어내고 일어설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나 자신 스스로에게 정직해지세요. 마음의 말을 들어보세요. 그리고 스스로 당당해 지세요.

  • @timofree12
    @timofree124 жыл бұрын

    사람은 믿으면 안되더라구요..그냥 사랑해야지..^^

  • @user-ep7ic1ef4m

    @user-ep7ic1ef4m

    3 жыл бұрын

  • @suknamsang8543
    @suknamsang85435 жыл бұрын

    정치적 안목도 뛰어나신데 인생 상담까지 해주시닞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 @user-nn1su3yg5z
    @user-nn1su3yg5z27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지금 저에게 딱 필요했던 영상입니다 다들 마음의평온 찾으시길 바라요 .. 🌳

  • @user-ku4op7lh7t
    @user-ku4op7lh7t3 жыл бұрын

    좋은말씀에 위안을 얻습니다.고맙습니다.,,,

  • @michaeljung4398
    @michaeljung43988 жыл бұрын

    나와 상대를 구분 안할수는 없스나, 내"편"이라는 개념 자체가 분리, 분단을 품고 대립적인 관계를 전제로 합니다. 표현하기는 힘들지만, 어떻한 관계의 상태를 말하는것이 더 좋을듯 합니다. 나와 가까운 사람들, 친구, 가족등과의 상태. 가까운 사람이 없는 인생은 고달풉니다. 가까운 사람에게서 비판 받는것이 그럴 사람이 없는것 보다 더 좋습니다. 그리고, 가까운 사람의 비판은 해명, 해결을 하지만 비판도 아니고 어정쩡한 거리에서 쏘는 화살은 처리하기가 상당히 곤란합니다.

  • @user-qi2sb5zj4d
    @user-qi2sb5zj4d6 жыл бұрын

    누구도 내편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스스로의 판단으로 살아야. . . 좋은 말씀

  • @songsong8503
    @songsong85035 жыл бұрын

    엄청 좋은 말씀을 들었네요 댓글 달아주신 분들도 좋은 말씀 많네요~~ 생각이 깊어지는 느낌이에요~

  • @user-rx3es3fu3h
    @user-rx3es3fu3h7 жыл бұрын

    내편이라고 생각하지 말아야되요 누구에대해서도........ 맞네요...엄마조차 내편이 아니니....대화할때마다 니가문제같다고하는데 앞으론 성인답게 제가판단내리고 행동해야겠어요

  • @enzo1384

    @enzo1384

    6 жыл бұрын

    님처럼 그런 경우 엄청 많아요 저는 부모때문에 자살한 친구도 있고 저또한 어머니때문에 병에 걸렸습니다..

  • @yoh1276
    @yoh12765 жыл бұрын

    아~~속상한 상태였는데 위로가되는 말씀이네요 감사합니다~

  • @leehyungs
    @leehyungs6 жыл бұрын

    요즘 저에게 가장 필요한 말씀을 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xe6wm7oe7j
    @user-xe6wm7oe7j7 жыл бұрын

    마지막 하신말씀이 정답인듯 싶습니다

  • @user-oq5dp3bn8b
    @user-oq5dp3bn8b6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말씀에 깊이 공감합니다!

  • @Chranny9
    @Chranny95 жыл бұрын

    지혜의 말씀 고맙습니다

  • @Grace-Elderflower
    @Grace-Elderflower5 жыл бұрын

    유시민님이 직접 오지랖 대처법 말씀하시는 영상 아시는 분 ㅠㅠㅠㅠ 주변에 오지랖이 너무 많아 힘듬.. 무시하려해도 어쩔수없이 자주 봐야하는 가족 친인척....ㅠㅠㅠㅠ

  • @user-bd3mp8hc8p
    @user-bd3mp8hc8p5 жыл бұрын

    깊이가 다른 답 이건 작가님의 통찰력 때문일까요 아무튼 존경합니다

  • @user-zj7vn2uu8p
    @user-zj7vn2uu8p5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하신 말씀 ㄹㅇ 띵언이네여..

  • @n_limbo9156
    @n_limbo91566 жыл бұрын

    입장을 바꿔 생각하는 것에도 한계가 존재한다. 엄연히 나는 나고 너는 너인데 어떻게 모든 입장을 바꿔서 생각해 볼 수 있을까. 어찌 보면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망상일 수 있다. 혹여 그럴 수 있다고 해도 대화 중에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그리 길지도 않은 상황에서 올바른 답변과 리액션 만을 골라 녹여내는 것도 불가능하다. 본인이 생각하기에는 굉장히 좋은 조언이고 좋은 구절일 수 있을 말도 듣는 사람은 잔소리이고 짜증일 수 있다. 그렇기에 집착하지 말자. 왜 내가 이렇게 좋은 얘기를 하는데 듣질 않지? 쟤 진짜 내 친구 맞나? 왜 내가 이런 소리를 들어야 하지? 쟤 내 편 맞나? 라고 생각하지 말자. 그 사람이 현재 듣지 못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을 거고 시간 지나 고마움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그 사람이 하는 말이 정말 정답이고 감사할 구절일 수 있다. 본인에 상황에 맞춰주는 말을 타인이 언제나 해줄 수는 없다. 고로 너무 집착하지 말자.

  • @user-oc9pm8uq7x
    @user-oc9pm8uq7x6 жыл бұрын

    마음이 너무너무 아픈데 좋은 말씀 해주셔서 감사해요

  • @user-sz2fi2bt5z
    @user-sz2fi2bt5z6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사실 내 편은 아무도 없다는 것을 알아야하죠.

  • @bbulls2065
    @bbulls20656 жыл бұрын

    전 이런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불가(불교)의 마음공부가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수천년전에 이미 이런것들을 다 생각하고 깨닫고 했으니 말이죠. 사람의 생각과 마음의 흐름과 이치를 차분히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감정이 일어나는 원인을 알고 그것에 대한 나의 반응이 합당한가를 고민하는 것...그리하여 스스로 아는것.. 이게 정말 쉬운게 아닌데 말이죠. 유시민작가가 한 말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나를 둘러싼 상황과 현실을 바라보는 나의 인식이 왜곡된건 아닌지 늘 살펴야 겠습니다.

  • @user-ok6ur4tt5h
    @user-ok6ur4tt5h2 жыл бұрын

    상처받는 일은 살아가면서 어쩔수 없는 일이다. 담담하게 받아들일수 있는 삶의 자세가 필요하네요^^

  • @jeongdonghwa9880
    @jeongdonghwa98805 жыл бұрын

    우리는 나 자신의 몸과 마음과도 잘 지내기 힘들다. 타인의 몸과 마음과 잘 지내는 것은 기적에 가깝다. 인간은 심지어 타인의 몸과 마음을 내 것으로 하려는 어리석은 집착에 종종 사로잡힌다. 상처받은 부재의 고통을 번제하거나 채우기위해 헛된 물질이나 망상 이데아에 홀로 사로잡힌다. 내가 내 스스로와 만날때처럼 타인을 만나자.

  • @user-bu6kv6xg2n
    @user-bu6kv6xg2n7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많이 배우고가요.

  • @user-pk2zx4rh4q
    @user-pk2zx4rh4q6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을 대할 때 그 사람 입장에서는 그 사람 생각에서는 그렇게 할 수 있겠다 생각들이 들다보니 자연스레 제 입장은 잠시 미뤄두고 그 사람 입장에서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해 지내게 되더라구요 .. 하하 댓가를 바라고 행동하는 것이 옳지는 않지만 정말로 저는 정말 열심히 이해하려고 상처주지 않으려고 아둥바둥 거리는데 저는 정작 고대로 상처를 받을 때 정말로 이렇게 살아가려면 내 인생한테 너무한 짓이 아닐까 .. 이제와서 되돌아보니 후회되고 저를 원망하게 되고 잘 살고싶네요 .. 내가 힘든 것보다 남이 힘든걸 먼저 챙겨야 내가 바르다 라고 생각해왔는데 진짜 정신병 걸린거같은 기붕이리고 해야하나 ..하하

  • @user-cu7mi5kb5g

    @user-cu7mi5kb5g

    5 жыл бұрын

    조아랑 매우동감합니다 저도 그런상황이에요

  • @mhlm3302
    @mhlm33025 жыл бұрын

    이걸 보는데 마음이 따듯해지면서 좋은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 @lamidth
    @lamidth7 жыл бұрын

    제가 요새 이문제로 너무 힘들었는데 여기서 해답이 풀리네요 ㅠㅠ. 저는 되게 중립적인 사람이였는지, 상대방이 비판 비난을 하더라도 크기 상처받질않고 제어가 가능했는데, 멘탈이 무너지면서부터 달라졌던것 같아요. 그러다 누군가 내편이되어 응원해주니 너무 힘이나더라구요 그래서 의식적으로 상대방들이 힘들 때 전 그사람들 편에 서서 응원해줬죠 하지만 사람들은 대부분 저와같이 그래주지않았죠. 그래서 제가 상처가 컸던것같아요. 나도 내편이되어주길 바랐는데.. 그래서 공감을 갈구했던것같아요 그럴수록 초라해졌죠 작아지고 상처받고. 예전에는 중립적으로 볼 땐, --악의가있냐없냐--로만 봤어요. 가치간이 잘못되어도 악의가없다생각하면 그먕 생각이 없는거려니, 왠만한건 넘어가고 아니다싶으면 딱딱 말하고. 단계밟고. 그렇다고 내편이 아니다? 그런 생각은 안했어요. 그리고 힘든일있으면 그냥 들어만 달라고 했고 상대방이 듣기힘든 욕설 알아먹기힘든말은 베제하는선에서요. 물론 너무 무책임하거나 인격폭력적인건 제외하고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