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신 역전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1등급받는 내신공부법 총정리

분명 열심히 했는데,
내신 성적이 원하는대로 나오지않아
답답한 분들 많으시죠
이건 순전히 공부를 못해서 그런게 아니라
대비하는 방법을 몰라서 그런건데요
오늘은 중고등학생들이 지금 당장 적용할 수 있는
내신 대비 꿀팁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Пікірлер: 41

  • @user-gu5ss2ty5g
    @user-gu5ss2ty5gАй бұрын

    제가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들을 딱 고대로 얘기해주셔서 신기하네요^^ 정말 말씀하신 방법들대로만 한다면 분명 성적상승 할수있을듯합니다!!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맞아요!! 댓글 감사합니다 😊😊 해당 방법으로만 제대로 공부하면 분명 점수 상승을 할꺼라고 자부해요!! 우리 아이들이 이 영상을 꼭 봤으면 좋겠네요 ㅎㅎ 🤗

  • @zuso0zuso0
    @zuso0zuso0Ай бұрын

    말씀하신대로 그날 배운거 복습하는 구조로 했는데요 시험보는 전주까지 진도나가더라고요. 미리 진도가 안끝나기때문에 회독도 할수없고요 미리 학교진도 생각말고 공부하게 되더라도요 오히려 학교수업이 복습용인셈이죠.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맞네요 😢😢 진도가 느리게 끝나셔서 힘드셨겠어요 ㅠㅠ 그럴때에는 돌아오는 주말을 이용해서 정리하고 주간테스트 형식으로 문제들을 뽑아서 풀어보시는건 어떨까요?! 그렇게 되면 시험대비를 하지않고 주간테스트를 봤던 문제들만 보고 시험에 들어가셔도 괜찮으실꺼예요! 주말을 잘 활용하셔서 주중에 했던 내용들을 복습해주는거죠!! 테스트 문제들은 학원을 다니시지 않는다면 내신코치나 족보닷컴을 이용해서 구하시는것도 좋으실꺼같아요!!

  • @user-by7bn9dw8z
    @user-by7bn9dw8zАй бұрын

    대입 끝나고 보니 미리 알았다면 좋았을 것이지만 돌아봐도 후회는 없이 제 최선을 다한 것 같네요 ㅎ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그럼요! 후회가 없다면 그 행동들은 모두 최고의 선택이었을 것입니다!! 저도 어쩔 수 없이 직업상 학생들이 대학에 들어가는 것이 목표지만 학생들이 좋은 대학을 붙는것보다 학창시절을 올바르게 보내고 멋진 모습으로 성장하는 걸 볼 때가 더 보람찹니다! 앞으로도 항상 후회 없는 선택을 하시도록 꼭 응원하겠습니다 ㅎ 감사합니다!!

  • @user-hb2wk9io6k
    @user-hb2wk9io6kАй бұрын

    공부의욕 올리는 방법 조언구합니다 그리고 시험볼때 불안심리가 있는데 어떻게 하면 줄일수 있을까요? 아이가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방법 다 알고 실천하다 또 못하고 반복 되고 ... 전체적으로 무기력하고 자신감도 많이 결여되있어요 엄마로써 답답하고 안타깝네요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ㅠㅠ 참으로 안타까운 이야기입니다. 공부의욕을 올린다는 게 가장 힘든 거라고 생각해요! 일단 우리 아이가 공부를 왜 해야 되는지 이유를 모를 가능성이 큽니다. 근데 이 부분은 누가 알려준다고 아이가 깨닫는 게 아니라 아이 스스로 느껴야지 공부를 진심으로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아이들에게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서 공부를 하라고 하는 거보다 하기 싫은 일은 하지 않기 위해 공부를 하는 게 어떠냐고도 물어봅니다! 물론 이렇게 얘기한다고 애들이 잘 듣지는 않더라고요 ㅠㅠ 학원의 학생들의 경우 시험성적이 올라서 오른 성적을 유지하고 싶어서 열심히 공부하는 친구들도 많이 보았습니다. 그렇게 공부에 대한 의욕을 시험성적이나 아이에 대한 칭찬 같은 것들로 올려주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추가로 수학에 대한 흥미만 단편적으로 올릴 수 있는데 코로나의 종식날짜를 예측하는 일도 커피를 가장 맛있게 내리는 방법도 모두 수학과 교수님들의 논문으로 나왔습니다. 이처럼 수학이 왜 필요하고 뭐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아이가 알게 되면 흥미를 찾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시험을 볼 때 아이들은 항상 불안해하죠! 근데 그 불안감은 보통 시간에서 오게 마련입니다. 시간이 부족하니 아이가 문제를 찍고 불안해하는 거죠. 그래서 항상 타임 공격 공부를 하셔야 해요. 평소에 시험도 많이 봐야 합니다. 그 후에 나오는 불안감은 검토를 하지 않아서 or 실수를 하지는 않았을까? 에 대한 불안감인데 그 불안감은 자신감으로 가릴 수 있습니다. 결국 "나는 문제를 틀리지 않을 거야, 이 힌트들을 이용하면 무조건 맞는다." 라는 생각을 계속해줘야 아이가 불안에서 나올 수 있어요. 이 과정이 아주 힘들겠지만, 불안은 시간압박과 자신감의 결여로 오기 때문에 이 부분을 충분히 채워주셔야 합니다!! 저도 너무 안타까워요 아이가 공부의욕을 얼른 찾고 원하는 일을 위해 열심히 공부하는 모습이 보고 싶네요 ㅠㅠ

  • @bring1913
    @bring1913Ай бұрын

    요번에 중간에 수학 잘말아 먹어서 열심히 수학 할려고하는데.. 개념을 하고 개념배경도 이해하고 공부를 했는데왜...기억이 남지 않을까요 ... 빡대가리잉가요... 학원도 다녀야 되는데 아직 못찾았고...원방 끝까지라고 하셨는데 ㅠㅠ 아직 원방 끝까지도 못했구요..저 바닥이에요 ㅠㅠ 혼자 공부 하고는 싶은데요 ㅠㅠ 늘 말아먹고 그래서 학원을 다녀야 되는지 늘 고민이에요 ㅠㅠ 살려줘요 ㅠㅠ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암기가 잘안되는 학생의 경우 많이 봐주는게 관건이예요! 일단 학생이 이런 영상을 찾아보고 공부를 잘하고 싶어한다는게 참 대견하네요! 그것만으로도 공부를 시작한거와 다름이 없네요 ㅎ 일단 진도를 빼는거에 너무 연연해하지말고 5월달까지만 끝내준다는 생각을 해주면 좋아요! 그리고 개념공부할 때는 항상 텍스트 한줄한줄 이해하고 암기해야되고 그걸 백지노트에 옮겨적을 수 있을정도의 암기가 되어있어야합니다. 고1 기말고사의 경우 부등식과 도형의 방정식 정도가 시험범위기때문에 양이 엄청 많지는 않아요. 매일매일 백지에 개념을 쓰는 연습을 하시고 추가적으로 공식을 암기해주세요! 그거만 잘해도 충분히 기억할꺼예요! 자투리 시간을 잘활용해주시고 문제를 푸시고 실수노트도 하나 만들어서 실수한 내용을 모두 적어보세요~ 그리고 그 옆에는 해당 개념을 써보는거예요! 그렇게 공부하시면 실수를 줄일 수도 있고 실수노트를 보면서 다시 그 개념이 떠오를 수 있어요!!! 지금도 늦지않았어요 무조건 혼자 공부할 수 있습니다! 학원은 천천히 알아보시고 이거만 기억해주세요! 1. 개념을 빠르게 회독하면서 백지에 개념을 적는 연습을 한다(매일매일), 예제와 유제급의 문제만 돌린다. 2. 1번이 끝나면 마플시너지와 같은 유형서를 홀수나 짝수 or 3의 배수만 풀면서 빠르게 돌린다. 3. 고쟁이나 일품과 같은 심화서로 고득점을 노린다. 이 모든 과정에서 문제를 빠르게 풀어내야하는 연습은 하셔야합니다!! 공부를 하시면서 안되는게 있으시면 계속 댓글 달아주세요~ 저도 최대한 도와드리겠습니다 ㅎㅎ 곧 학생의 점수가 오를꺼예요 걱정말고 화이팅해보세요 ㅎㅎ

  • @user-xf6pb3cl7e
    @user-xf6pb3cl7eАй бұрын

    현재 고1입니다 시험범위를 영어빼고는 예측을 못합니다 나머지과목은 진도복습만 계획에 넣나요? 7월첫째주에 기말고사치는데 플랜을 어떻게 짜면좋을까요?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 요즘 선생님들은 왜 시험범위를 알려주지 않는걸까요 ㅠ? 매년 나왔던 시험범위를 생각하시면 좋을거같아요 현재 고1이시면 도형의 방정식까지는 나올거같아요! 학교에서 나가는 이차함수는 당일복습과 주중복습을 해주시고 도형은 미리 예습을 해가면 이해하는데 두배로 도움이 되실꺼예요! 예습을 하실때는 개념서 한권을 준비해주셔서 한줄한줄 텍스트를 이해하는 연습을 해주세요! 예시를 활용하면 더 도움이 되실꺼예요! 도형의 방정식에서는 기본기가 탄탄해야되니까 하다 잘안되시면 중3 내용을 보셔야할수도 있으시겠어요! 이차부등식 파트는 고1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과목이라 최대한 쉬운 풀이를 생각해서 풀어주셔야합니다! 영상으로 풀이영상을 올릴 수 있으면 최대한 빨리 올려볼께요!! 그래서 당일복습과 주말 테스트 + 예습을 꼭해주세요! 그리고 시험 1달전부터는 반드시 많은 문제를 풀어야하니까 마플시너지와 같은 내신 유형서를 구매하셔서 많은 문제를 풀어보시는게 좋을꺼예요! 개념은 빠르게 나가시고 많은 반복을 통해 많은 문제를 푸는게 핵심입니다! 보다 자세한 계획이 필요하시면 도움을 더 드려볼께요❤❤

  • @user-vx4hh2mu3i

    @user-vx4hh2mu3i

    Ай бұрын

    방학때 쎈과 마플시너지(다른문제집 3~4권)를 다 풀었는데 기말고사 대비 쎈과 마플시너지를 또 풀까요~아니면 다른 문제집을 풀까요~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마플 시너지를 다 푸셨다면 틀린 문제를 다시 풀어보시고 개념정리하는게 중요해서 어떻게 틀린지가 항상 중요하거든요. 그리고 고등학생 친구들은 반드시 심화 문제를 풀어봐야하기때문에 고쟁이와 같은 심화서를 풀어주시는게 좋아요. 내신대비용 문제는 마플시너지로 충분하니 고득점을 위한 고쟁이나 학원에서 주는 기말고사 대비 문제집을 푸시는게 좋을거같아요! 추가적으로 고등학교 기출문제는 많이 중요하다보니 다양한 학교의 기출문제를 기출비나 족보닷컴등과같은 각종 사이트에서 다운받아서 풀어보시는거 추천드릴께요!

  • @user-kz3ed4jy9f
    @user-kz3ed4jy9fАй бұрын

    선생님 백지복습하기전에 복습을 어떻게해야할지 감이잘안잡혀요ㅠㅠ 그리고 시간이없을경우엔 그 주 주말까지는 괜찮을까요?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네~ 당일 복습이 힘들면 그 다음날에 하는게 좋고 그것도 힘들다면 반드시 주말까지는 해주셔야해요! 점차 기억을 잃어가는 속도는 가속화가 되기때문에 반드시 당일에 하는게 좋습니다 ㅎ 복습이란건 항상 빠르게 해주시는게 좋아요~ 예를들어 오늘 부등식에 대한 내용을 배웠다면 개념을 다시 눈으로 쓰윽 읽어보시고 유형별로 문제를 하나씩만 풀어주시는거예요! 그렇게 되면 복습하는데 1시간도 안걸리거든요 빠르면 30분이면 할 수 있구요! 그렇게 복습을 마치고 오늘 배운 내용과 공식을 백지에 쭉~ 써보는거죠 ㅎ 근데 이렇게 하면 고득점에 대한 훈련은 아직 되지않은거라 개념+복습이랑 고득점 훈련은 따로 해주셔야해요 ㅎ!! 한마디로 뭔가 빨리 끝나는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1. 개념을 다시 읽는다. 2. 해당유형을 푼다. 3. 이 과정을 당일, 일주일 뒤, 이주일 뒤 이런식으로 텀을 줘가면서 한다. 이렇게 하시게 되면 다양한 파트의 내용을 까먹는 일이 줄어들꺼예요!!

  • @user-kz3ed4jy9f

    @user-kz3ed4jy9f

    26 күн бұрын

    @@growth_math 네! 정말 감사합니다ㅠㅠ 선생님 그러면 수학이아니여도 다른과목들도 문제를 풀어보기는 해야겠죠?

  • @growth_math

    @growth_math

    26 күн бұрын

    다른과목도 당연히 복습을 해주는게 좋아요!! 근데 다른과목의 경우 개념을 활용해서 푸는 문제가 많이 없고 단순 암기가 필요하기때문에 백지복습보다는 오랫동안 기억을 유지할 수 있게 가급적이면 많이 봐주는게 중요해요! 영단어처럼 말이죠~ 그래서 매일매일 지나다니는 동선에 포스트잇을 활용해서 자주보게 만들어준다면 아마 다른과목도 잡을 수 있을꺼예요~!!😄🤗❤️👍👍

  • @user-eg6vs8sm8w
    @user-eg6vs8sm8wАй бұрын

    고1아들 과목마다 객관식은 다 맞고 주관식을 많이 틀렸어요ㅜㅜ 주관식을 위해서 무엇을 중점으로 공부해야 할까요?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수학에서의 서술형 문제들은 사실 학생의 논리를 얼마나 질서 있게 나열하는지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아이들을 가르칠 때 항상 문제에서 얻은 힌트들을 먼저 답안지가 아닌 시험지에 쭉 써보라고 해요. 실제로 답이 틀려도 내가 구한 힌트들을 나열했다면 부분 점수는 항상 받을 수 있습니다. 근데 문제를 풀 때 기억에 의존해서 혹은 이 방법 저 방법 사용하다가 답을 도출해 내는 학생들은 서술형 답안을 쓸 때 많이 힘들어하더라고요 ㅠ 평소에 힌트를 나열하고 정리하는 습관을 기르는데 좋을듯해요! 객관식을 다 맞았다는 건 수학을 제대로 공부하고 있는 친구라고 생각해요 ㅎ 문제를 텍스트를 한 줄씩 읽고 해당 개념을 꺼내고 힌트들을 나열하는 것만으로도 서술형 답안을 쓸 때 굉장히 도움이 되니 그런 식으로 훈련을 시켜주세요!! 그리고 이런 훈련들을 잘해주시면 분명 수시 논술에서도 많은 이점이 있을꺼예요! 😄😄

  • @user-yk2bl4kw2k
    @user-yk2bl4kw2kАй бұрын

    우리 아들도 고1 첫 중간고사 수학을 망쳤어요ㅜㅜ 중학교때 수학은 100점 아니면 1번 문제, 실수로 중2 첫 시험에 손이 너무 떨려서 틀렸어요ㅜㅜ 중딩때는 항상 쎈 c단계까지 풀고, 일품 풀고 학기 마무리 했어요. 3학년 2학기때는 블랙라벨도 더 풀어보고 마무리 했구요. 그리고 3모는 수학 1등급 받았는데 중간고사는 74점인가 받았어요ㅜㅜ 개념원리-쎈 c단계까지 2회독-일품 최고난이도 문제까지 풀었어요. 개념들도 시험 전에 백지로 써보고 했는데... 점수를 보니 눈물이 앞을 가리네요ㅜㅜ 시간이 모자라서 객관식3문제 찍고, 서술형 1문제도 아예 손도 못 됐다고 하더라구요ㅜㅜ(그리고 1문젠 본인 계산 실수, 서술형 1문제는 식은 맞는데 마지막 답 틀려서 부분점수 받구요ㅜㅜ) 이렇다 보니 기말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할 지 막막 하네요ㅜㅜ 일단 지금은 개념원리 다시 보고 있고, 오늘 단원 50분 시간 재고 쎈B단계를 푸니 38문제 풀고 3개 틀리더라구요. 틀린 3개는 다시 풀어 바로 맞추구요. 일품은 오늘 사서 아직 풀어 보지는 않았어요. 이렇게 준비하면 중간고사 보다 좀 더 나은 점수 받을 까요?ㅜㅜ 중간이랑 너무 똑같은 문제집만 푸는 건 아닌지 걱정도 되네요ㅜㅜ 제발 해답 좀 알려 주세요ㅜㅜ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어머님, 정말 가슴 아픈 이야기입니다. 고1 첫 중간고사는 사실 타임어택 공부를 하지 않은 친구들은 점수가 잘나오지 않아요 ㅠ 그걸 중학교때부터 시켜주시는분들이 많이 없고 학생들도 중학교때 성적이 잘나와서 그게 걱정하지 않았을꺼예요! 당연히 3월 모의고사에서도 100분이라는 시간이 주어지기때문에 더더욱 시간에 대한 압박을 받아본적이 없겠죠.. 하지만 고1 중간고사는 50분이라는 시간동안 23-24문제를 풀어야하기때문에 당연히 시간적인 압박이 큽니다. 그래서 항상 고등학생 친구들은 시간을 세이브할 수 있는 방법을 많이 생각하셔야 돼요! 학생들이 혼자 하는게 많이 힘들겠지만 문제 하나를 풀 때마다 무조건 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는 풀이를 기억하셔야 돼요. 고1 기말고사에 해당되는 유형중 이를테면 A, B, C 라는 점이 주어져서 삼각형을 만들고 내부에 점P를 찍어서 (AP의 제곱)+(BP의 제곱)+(CP의 제곱)의 합이 최소가 되는 점P를 구하는 문제가 나왔을 때, 도형의 방정식으로 거리를 하나하나 구해서 문제를 풀게된다면 시간이 엄청 오래걸리겠죠... 하지만 그 유형을 이해하고 그 점이 무게중심이라는 것을 알게되면 해당 유형은 정말 빠르게 풀어낼 수 있어요! 이렇게 내신문제에서는 통하는 정형화되어있는 유형들을 최대한 빨리 맞춰주는게 중요해요! 아이가 많은 문제를 푸는거보다 어떻게 하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지 연습해주시는게 좋을거같아요! 저도 그런 문제들때문에 채널을 새로파서 알려드릴 생각도 하고있어요 ㅎㅎ 처음에는 오로지 속도만 생각하고 문제를 풀어주고 그 다음에는 정확성을 높히는 연습을 해주세요! 아이가 정말 힘들어하겠지만 스톱워치를 이용해 한 문제를 2분안에 풀어내는 연습을 해주시게되면 이번 기말고사에서 아주 좋은 결과를 받으실 수 있을거같아요!! 아이의 점수가 다시 정상으로 가기를 바랍니다 ㅎ

  • @user-yk2bl4kw2k

    @user-yk2bl4kw2k

    Ай бұрын

    @@growth_math 빠르게 피드백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첫 중간 치고, 너무 전략이 없었구나를 많이 느끼긴 했습니다ㅜㅜ 말씀해 주신 대로 한 문제당 2분 안에 풀기 연습을 해 보겠습니다. 혹시 2분 안에 풀기 연습 할 문제집으로 추천해 주실것이 따로 있으신가요?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네~ 개념원리 RPM이 너무 쉬우면 마플시너지, 쎈, 일등급수학 이렇게 추천드립니다. 아마 쎈이나 마플시너지도 2분안에 풀기가 많이 힘들어서 먼저 RPM으로 시작하고 들어가셔도 좋을거같습니다~

  • @user-yk2bl4kw2k

    @user-yk2bl4kw2k

    Ай бұрын

    @@growth_math 감사합니다~^^ 열심히 준비해서 기말은 좀 더 높은 점수 받을 수 있도록 해 보겠습니다~^^ 토요일 늦은 밤까지 답글 주셔서 너무 감사 합니다~^^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네 아이의 성적이 오르길 바래요~ 화이팅입니다 ㅎㅎ!!

  • @user-ch1bh6xt6g
    @user-ch1bh6xt6gАй бұрын

    선생님 안녕하세요 중1여아 엄마입니다. 아이가 욕심도 많고 공부도 최선을 다하는것 같진 않지만 꾸준히는 하고 있습니다. 아이는 말씀드리기 부끄럽지만 1학년 2학기 첫시험에 전교1등을 하고 싶어합니다. 참고로 지방에 있는 평범한 여중입니다. 제가봤을때는 아직 공부방법도 부족하고 공부량도 전교1등 할정도는 아닌것 같습니다. 평소에 제가 당일복습을 강조해 주고있긴한데 어디까지 중학교때 공부하는것이 맞는지 감이 잡히지 않습니다. 학습법 강의를 보면 말로 설명할 수 있어야 진짜 아는거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중학교 주요과목 국영수사과 전부를 배운개념에대해 말로 설명할 수 있을만큼 해야되는건가요? 그렇게 하려면 정말 공부량이 어마어마 해야될것 같아서요. 중학교때 어느정도까지 학습해야되는지 답변주시면 정말 감사할것 같아요 부탁드립니다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어머님, 아이가 전교1등을 하고싶어하단 말이 참 대견스럽네요~! 모든 과목을 말로 설명할 수 있을정도가 되면 너무 좋겠지만 그건 선생님들도 불가능해요 !! 개념을 설명할 수 있어야하는 과목은 그 개념을 응용해서 문제를 풀어내야하는 수학같은 과목만 해당돼요~ 사회 과학 한국사와 같은 과목들은 암기위주의 과목이다보니 내용의 큰 줄기를 잡는게 중요합니다! 아이도 공부할 때 내가 지금 어느지점에 와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내용을 배우는지 알면 좋을거같네요~ 중학교 정도의 국어 영어 같은 경우에는 교과서에 내용이 대부분으로 출제되고 내신서 백발백중이라는 교재에서 많이 연계가 되기때문에 연계교재를 많이 봐주시는게 중요합니다! 중학교 2학년까지는 꾸준히 중학교 내신위주의 공부를 해주시고 중학교 3학년부터는 반드시 고등학교를 위한 대비를 해주셔야합니다!! 전교1등하는 친구도 매일매일 하루에 5시간씩 막 공부를 하고 그런건 아니니까 걱정마시고 일단 이번 방학때 기출문제와 같이 테스트를 많이 보시면서 아이의 성적을 어느정도 파악해보셔야할것 같습니다!! 일단 아이가 전교1등을 하고싶어하는거부터 공부는 시작된거니까 아이가 흔들리지않게 중심을 잘 잡아주세요 ㅎㅎ!!

  • @user-ch1bh6xt6g

    @user-ch1bh6xt6g

    Ай бұрын

    선생님 빠르고 자세한 답변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수학은 개념을 설명할 수 있을정도로 만들어주고 나머지과목은 개념공부하고 문제집 풀면서 완성도를 높여가면 될까요? 그리고 중학3년동안 배우는 국어,사회,과학이 고등 내신 또 수능과도 직접적 관련이 있는거겠죠? 모두 열심히 해두는게 고등가서도 도움 되겠죠? 그리고 수학개념은 교과서나 문제집에 예를들어 유리수이면 유리수에관한 개념설명부분을 이해하고 자기표현으로 말할수 있게 만들면 될까요? 또 중학교때 심화는 어느정도까지 하는게 좋을까요. 아이가 응용까지는 가능하다는 가정하에서요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네! 일단 개념을 설명할 수 있으면 너무 좋고 해당 개념을 사용해서 푸는 유형서를 이용해서 반복숙달해주시면 좋습니다! 심화문제는 고쟁이나 블랙라벨같은 문제들을 통해 풀어주시면 되는데 일단 쎈과같은 유형서를 먼저풀고 그 다음에 일품 그 다음에 고쟁이를 풀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학생이 문제 풀 때 먼저 문제를 풀게하지마시고 어떤 개념을 이용해서 문제를 풀어야하는지 써보라고 하는게 좋아보입니다! 일반적인 유형서에는 유형이 나눠져있으므로 기출문제 같은걸 이용해서 숙달시켜주시면 좋을것같네요~ 그리고 아쉽지만 과학 사회의 경우 연계가 되는 부분도 있겠지만 사실 고등학교 사과탐과 크게 연계되지는 않습니다! 아이가 아무리 사회과학을 잘해도 고등학교 1학년때 수능 사과탐을 준비하지 않으면 많이 힘들어할꺼예요! 아직 급하지는 않으니까 중학교 사회과학에만 신경쓰셔도 될거같네요~ 결국 목표가 수능 잘보고 고등학교 내신 잘따는거죠~? 수학 같은 과목은 현행 열심히 하시고 고난이도 문제에 대한 도전과 수학에 대한 자신감만 있으면 문제 없습니다!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본인의 표현으로 만드는것도 좋지만 그냥 있는 개념을 그대로 쓰기만 해도 완전 성공입니다!!!

  • @user-ch1bh6xt6g

    @user-ch1bh6xt6g

    Ай бұрын

    네 선생님 감사합니다 선생님 영상도 아이와 함께보며 말씀주신 방법으로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부탁드립니다

  • @limhj119
    @limhj119Ай бұрын

    공부방법 다 아는데 공부하기가 싫은거라는 아이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특히 수학 ㅜㅠ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정말 공감이 가는 댓글이네요 😂😂 저도 그런 학생들을 정~말 많이 가르쳐봤는데요.. 아이와 같이 떡볶이를 먹기도하고 농구와 같은 운동을 같이 하기도 했었어요! 근데 공부는 그 때만 잠깐 열심히하지 결국 다시 돌아가더라구요 ㅠ 근데 어떤 케이스가 있었냐면 학원에서 한 달에 한번 보는 시험이 있는데 그 시험에 나오는 문제를 다 알려주고 시험을 잘봐보자라고 한적이 있었어요! 그렇게 그 학생은 나름 좋은 시험 점수를 받은거예요~ 주변친구들도 저도 놀랐고 그게 수학에 대한 자신감으로 이어져서 점점 수학을 잘하고 피하지않는 아이가 되었더라구요. 학생마다 케이스가 너무 달라서 정확한 진단을 내려드리긴 힘들지만 보통의 학생의 경우 “나는 수학을 못해, 해도 안돼” 라는 생각이 은연중에 있을꺼예요. 그 생각만 자신감으로 바꿔주면 수학이라는 과목을 열심히 하지않을까요? 😊😊

  • @user-ed3wz3nb3b
    @user-ed3wz3nb3b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영상이 도움이 됩니다. 저희 아이는 중학교 다니는동안 늘 100점맞았지만 고등가서 4등급이 나와서 큰 절망을 느끼고 있는대요.ㅠ 중학교랑은 다르고 정말 어렵다고 많이 들었지만요 멕이 빠집니다. 예전 수학학원에서 고등선행을 하나도 하지않았구요. 바꾼 학원에서 준비를 겨울방학에 3개월 동안 수학상하 수1까지한바퀴 개념공부만 하고 이번 중간고사는 망쳤답니다. 학원을 계속 다니는게 의미가 있을지 어디서부터 잘못 된건지 너무 어렵네요. 그리고 멘탈을 어떻게 잡는건지 부모로서 어떻게 도와줘야할까요.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아이고 참으로 마음이 아픈 사연입니다 ㅠㅠㅠㅠㅠ 곧 선행에 대한 영상이 업로드 되어서 참고하시면 좋으시겠지만 선행을 강조하지는 않아요 ㅠ 확실히 중학교 내용과 고등학교 내용은 많이 달라서 기본 유형서인 쎈 B단계 문제를 푸는것도 많이 힘들꺼예요 ㅠㅠ 중학교 수학과 고등학교 수학의 차이는 적용과 추론능력에 있어요! 중학교 수학은 단편적인 개념으로 문제가 풀리지만 고등학교 수학은 개념을 적용하고 추론하는 능력이 필요해요. 아이가 중학교때 일품이나 고쟁이와 같은 심화서를 혹시 풀었을까요? 심화문제에 대한 준비를 해온상태라면 4등급에서 등급을 금방 올리실 수 있어요! 만약 기본 유형서와 기출문제 정도만 돌려서 100점을 맞아왔다면 앞으로는 아예 다른 공부방법을 택해야할수도 있어요! 제가 이번주에 공부법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기도 합니다. 아이가 여태까지 어떻게 공부해왔는지 대략적으로 알려주시면 제가 최소한의 대비방법이라도 알려드리겠습니다! 아이가 고등학교 첫 중간고사를 망쳤다니 마음이 너무 아프네요 😢😢

  • @user-ed3wz3nb3b

    @user-ed3wz3nb3b

    Ай бұрын

    @@growth_math 감사합니다. 아이는 제가 볼때 중학교까지 쎈 수학 정도까지 했으며 쎈 b정도 맞추는 수준이었던 것 같아요. 다 맞지는 못하고요 한두개씩 틀리구요. C단계는 풀때도 물론 있지만 어렵다고 했었어요. 고등학교 시험범위 양이 방대하고 워낙 잘하는 아이들이 많지만 성실하고 열심히 한 저희 아이에게 꼭 도옴을 주고싶어요. 엄마의 기분따라 이랬다 저랬다 하는 방법말고 꾸준히요 말씀하신대로 공부스타일을 어떻게 바꿔봐야 할까요 한등급이라도 아이가 기말고사에서 올릴수 있길 바래서 길게 말씀드렸습니다. 죄송해요~~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네~ 어머님, 아이가 심화문제에 대한 연습을 중학교때에 충분히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아요~ ㅠㅠ 기본 유형서랑 기출문제만 돌려도 충분히 100점이 나올 수가 있거든요! 그래도 A등급에 항상 100점을 놓치지 않았다면 기초는 거의 충분히 잡혀있을꺼예요! 문제는 고등학교 시험이 50분에 문제가 23~24개가 나오고 서술형까지 나와서 시간이 많이 부족했을 가능성이 제일 크고 첫 시험이라 긴장도 많이했을꺼예요.... 일단 기말고사를 대비할 수 있는 방법을 좀 알려드려볼께요!! 우선 예습이라도 좋으니 개념서에 나오는 개념과 유제 예제급의 문제들을 빠르게 회독해주세요. 부등식과 도형의 방정식 같은 경우에는 중3까지의 과정이 잘되어있으면 혼자 독학을 하는것도 가능해요! 학원에서 수업나가는거 이외에 혼자 예습을 좀 해주면 좋을거같아요. 그렇게 하루에 한 단원씩 끝낸다는 목표를 잡고 3번 이상의 회독을 해주세요. 어차피 개념과 문제량이 많지않기때문에 아이에게 큰 부담이 될정도는 아니예요. 그 다음에는 마플시너지와 같은 내신대비용 유형서 문제를 풀어주시면 되는데 문제량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짝수번이나 홀수번 문제만 풀거나 아니면 유형별로 한 문제씩만 풀어주시는게 좋아요. 이 과정은 유형을 익히는 과정이예요. 그리고 그 다음에는 고쟁이와 같은 심화문제와 다양한 학교별 기출문제를 풀게 권해주세요. 그래야 아이가 고득점에 대한 도전과 추론능력을 기를 수 있어요. 아이에게 기존에 하던방법이 아닌 새로운 공부방법을 권한다는건 항상 리스크가 있어요. 그러니 한번에 다 바꾸려고 하시지마시고 조금씩 권하시면서 아이가 납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면 좋을거같아요! 수학에 대한 지식이 있는 친구니까 금방 오를 수 있을 것 같아요!!!

  • @user-ed3wz3nb3b

    @user-ed3wz3nb3b

    Ай бұрын

    @@growth_math 정말 감사합니다 학원 숙제량도 어마어마하지만 말씀처럼 그전의 방법과는 다른 조율이 필요한것 같아요. 빠르게 3회독 하는 예습을 먼저 해보자고 해야겠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 @growth_math

    @growth_math

    Ай бұрын

    아이가 다시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길 바랍니다 😊❤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