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의 4가지 문제점 (사이먼 시넥)

Translated by Albert
영상 출처 (미번역) : • Simon Sinek on Millenn...
인터뷰 년도 : 2016년
DISCLAIMER
- The copyright of the original video belongs to the original copyright holder.
- We check the copyright permission through the KZread system, and if it is not confirmed within the system, we proceed with the translation work in the process of seeking permission through separate e-mails.
- The Korean subtitles of the video were added within the scope of not distorting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video in order to share the valuable video with more Korean viewers.
- The purpose of this video is ONLY for the public good, such as education, motivation, or sharing of ideas with a wider public, and is not used for any additional purpose. In particular, there is NO revenue generated through KZread AT ALL.
- If you(copyright holder) request deletion, removal, correction, etc in any reasons caused by uploading the video, please contact us at 'businessnewsdaily@naver.com' and we will make corrections accordingly.

Пікірлер: 113

  • @tomakeitvisible
    @tomakeitvisible6 ай бұрын

    아아.. 사실 다 알면서도 잘 되지 않는 것들인데 영상을 주기적으로 다시 보면서 리마인드 해야겠어요ㅠ 공유해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비즈카페님!!!

  • @naksicat
    @naksicat6 ай бұрын

    MZ(80년생 포함)의 문제는 "신뢰 있는 관계를 구축하지 못한다"는 거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 @checkout82

    @checkout82

    6 ай бұрын

    70년생의 정치질로 고통 받고 있는 80년생입니다. 저는 제 일을 좋아하고 성과도 내고 있어서 야근 주말 출근도 하고 있습니다. 세대도 세대인데 개인의 문제, 회사 구조의 문제도 크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70년생 차장님은 언제나 칼퇴를 합니다. 출근해서 회사욕 신세한탄 혼잣말로 욕하기가 차장님 주특기인데, 주특기로 직원들 분위기를 망쳐 놓습니다..

  • @user-cb2ik9kq5v

    @user-cb2ik9kq5v

    6 ай бұрын

    ​@@checkout82 그러게요. 애초에 기득권 분들이 사회부조리에 순응하고 그걸 젊은 세대들에게 재현하고 있으니 MZ세대들이 반발하는 것 같네요. 수직적인 관계가 보다 수평적으로 재정립 되는 거라 저는 좋게 봅니다.

  • @user-fg9oj3wb2m

    @user-fg9oj3wb2m

    5 ай бұрын

    다 늙은 사람들이 진정한 친구는 한명이어도 운 좋다고 말하는데 혼자 어디서 태어나고 자람?

  • @christopherchoi7350

    @christopherchoi7350

    4 ай бұрын

    경우에 따라 신뢰있는 관계를 구축하지 못하는게 MZ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조직의 경우, 경직된 기업문화를 바탕으로 기존 올드보이들이 이너써클을 조성하고 있다면 이런 부분도 충분히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raymondshin5793
    @raymondshin57936 ай бұрын

    공감이 많이 가는 영상입니다. 다른 분께도 추천드려야 겠네요

  • @kgb8h5
    @kgb8h56 ай бұрын

    결국 스마트폰이성공할수 있었던것도 사람들을 알콜중독처럼 중독시켰기때문일지도 결국 성공하려면 중독시켜야 하는건가

  • @ashleylee-xl6bc
    @ashleylee-xl6bc6 ай бұрын

    저 또한 SNS와 즉각적인 정보에 만족하며 스트레스 해소하고 있었다고 생각했는데, 도파민에 중독되어 있었네요. 스스로를 망치는 중독현상으로 조금씩 줄어나갈게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sun3856

    @user-sun3856

    6 ай бұрын

    도파민 감소를 도파민 중독이라 표현하면 좀 이상한거같긴 한데

  • @happinessthegreat9999
    @happinessthegreat99996 ай бұрын

    나중에 vr까지 상용화되면, 게으른 현실도피자들 많을겁니다. 사회문제가 될거구요. 게임, 웹툰, sns, shorts, 유튜브, 넷플릭스 등 진짜 뇌가 여유를 가지거나 더 가치있고 깊은 일을 하기 힘든 세상입니다. 몸은 점점 더 편해지지만 정신은 더 여유가 없어지죠. 이젠 전자문명을 인내심 있게 현명히 잘 다루기만 해도 인재일겁니다. 보통은 전자문명에 삼켜져 노예가 되니까요

  • @refrigerate_after_opening

    @refrigerate_after_opening

    6 ай бұрын

    VR+가상인간+AI 조합으로 인간관계 마저도 대체하겠죠

  • @jmll9792
    @jmll97926 ай бұрын

    공감가는 영상이네요....

  • @moneyychacha
    @moneyychacha6 ай бұрын

    기술의 발전으로 모든 것이 빨라지고, 편리해진 지금. 우리가 지루하고, 힘들고, 불편한 과정을 통해 얻는 것들이 얼마나 귀중한 것인지를 깨닫게 해주는 영상. 더불어 결과 이전에 그러한 과정을 즐기는 것이 엄청난 강점인 시대.

  • @sehyunpark1724
    @sehyunpark17246 ай бұрын

    너무 너무 맞는 말입니다 정말 !!

  • @LifeOfChanwoo
    @LifeOfChanwoo6 ай бұрын

    오늘도 너무 훌륭한 영상이네요. 저는 여기에 대한민국 MZ세대의 문제점에 '꿈이 없는 것'을 추가하고 싶습니다. 20대 초반인데, 지금껏 인생을 살면서 제 꿈이 뭔지 진지하게 고민해볼 기회가 없었거든요.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저를비롯한 제 또래들 (고등학생 ~ 대학생)은 전부 다 자신이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 대신 '좋은 직장에 들어가기'라는 꿈을 갖게 됩니다. 제가 최근에 올린 영상에 관련된 내용이기도 한데, 오늘 이 영상을 보니까 스마트폰이 여기에 영향을 적지않게 미친것 같기도 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오늘도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iremindongbudak4968

    @iremindongbudak4968

    6 ай бұрын

    세대를 막론하고 원래 대부분이 다 그래요

  • @mooki9408

    @mooki9408

    6 ай бұрын

    모든 세대가 그러했는데, 문제는 이전 세대들은 비교하고 경쟁할 대상이 주변의 동창, 동기, 회사원들 딱 그 정도였다면 MZ세대는 대한민국 모든 청년, 나아가 세계 각국의 인재들이 비교대상이 되었다는게 문제죠 SNS에 떠도는 화려한 인생들에 비하면 자신의 삶이 한없이 하찮게 보이니까요 그리고 그들에게 이길 가망성이 안보이니까 일찌감치 포기하는거죠

  • @byebyebye514

    @byebyebye514

    5 ай бұрын

    스트레스를 해결하기 위한 장기적인 계획이 아닌 즉각적인 해소를 하려는 도파민 영향 때문인 것 같습니다 꿈을 꾸는 것에서 도파민을 얻고 그 힘으로 인생을 살아간다? 도파민에 의지하지 않고 목표의식을 갖는 것이 성공하는 길입니다 꿈은 거창한게 아닙니다. 현실의 문제점을 하나하나 해결해가는 것 어떤 것들은 장기적으로 해결해야하는 것이고 그걸 해결하는 것이 꿈이 되는 겁니다

  • @user-xf2df2qn7o

    @user-xf2df2qn7o

    5 ай бұрын

    이건 어느세대나 다 그랬어요. 그런데 일이나 알바를 하게되면 어렴풋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직업을 먼저 정하는것보다 일을 먼저하고 직업을 찾는 방법이 더 나을수도 있습니다

  • @wlee5698

    @wlee5698

    5 ай бұрын

    강사는 꿈을 찾는것. 꿈이 없다고 헤매이는것 자체가 밀레니얼의 문제라고 이야기 하고있죠.

  • @ovovibes3146
    @ovovibes31466 ай бұрын

    살짝 한국과 정서가 다르긴 한데, sns를 비롯한 즉각적인 도파민 시스템이 우리의 인내심을 고갈시키고 장기적인 목표를 위한 struggle을 꺼리게 만드는 것 같음.

  • @llollapalooza

    @llollapalooza

    6 ай бұрын

    어떤 행위나 약물에 의한 도파민의 무분별한 즉각 붐비는 정서와 인종 문화와 전혀 연관없음. SNS는 양날의 검임. 누구한테는 사업의 기회이자 배움의 기회이지만, 누군가에게는 마약같은 중독성만 남김. 지구상 누구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됨. 어떻게 다루냐는 개인의 선택임.

  • @ovovibes3146

    @ovovibes3146

    6 ай бұрын

    라고 말하면서 계속 쇼츠를 보는 나

  • @ruru7161

    @ruru7161

    6 ай бұрын

    그건 mz세대 뿐만 아니라 돈 많은 사람이면 다 공통되는 얘기임.

  • @uubee

    @uubee

    5 ай бұрын

    I am 동의해요

  • @llollapalooza

    @llollapalooza

    5 ай бұрын

    @@ovovibes3146 that’s u bruh, seek for the opportunities

  • @trilingirljj
    @trilingirljj6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미국에서 시작했으니 미국에서 개선이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살다 오니 싫든 좋은 미국은 다른 나라의 미래를 살고 있으니 … How are things ? I’ve been thinking about you. 라고 말할 수 있는 존재가 주변에 있다는 건 행복합니다…😊

  • @user-vm8yn4hb4w
    @user-vm8yn4hb4w6 ай бұрын

    되게 좋습니다..

  • @skylikey
    @skylikey6 ай бұрын

    단지 SNS를 안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게 특별한 능력이 될줄이야... 세상이 이상하다;;

  • @user-ht7qb6ur5k
    @user-ht7qb6ur5k6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dffa1284
    @dffa12844 ай бұрын

    이젠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더 재미에 몰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으니...

  • @Midni95t
    @Midni95t5 ай бұрын

    서양권에서는 MZ를 묶지 않음. 왜 한국만 Z까지 묶어서 MZ 하는지 도통 이해가 안감. 영상에서도 밀레니얼 세대를 말하는데 썸네임도 댓글들도 Z를 집어넣어서 묶어버린다. 총 25-30년의 세대를 하나로 싸잡아는건데 이거 나중에 Z세대의 대부분이 30대 이상 될쯤엔 사회적 문제가 생길거임.

  • @veritasastro
    @veritasastro6 ай бұрын

    시넥의 사상에 크게 동의합니다. 어떤 세대보다도 압도적인 편리함, 기술에 노출되어 있지만, 역설적으로 그렇기에 그만큼이나 깊은 사유, 중심을 갖기 어려운 시대. 시넥도 조언하지만 다들 핸드폰 너무 오래 보는거, 그만 둡시다. 제발. 하루에 딱 일정 시간만 보고, 나머지 시간에는 차라리 산책을 하자, 바깥 배경 보면서 멍이나 때리자..하는게 절실합니다. 요즘 젊은 사람들, 다들 너무나도 자존감, 자기확신이 부족하고 심지어 옛날 세대들보다 상상력이 없어요. 편리한 것은 조금만 취하고 어느 정도는 옛날 스타일로 불편하게 살아야 할 필요도 있습니다. 인간에게는 분명히 그런게 필요해요.

  • @user-sun3856

    @user-sun3856

    6 ай бұрын

    상상력이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선 님 말이랑 시넥이랑 반대인듯

  • @veritasastro

    @veritasastro

    6 ай бұрын

    @@user-sun3856 예 그럴 수 있겠네요, 시넥은 창의력이 뛰어나다고 말하고 있고 저도 그렇다고 생각은 하거든요. 근데 상상력은 또 약간 다른 문제라서. 암튼 상상력은 예전 세대들보다 약한 편이라고, 저는 그렇게 생각하긴 합니다.

  • @user-sun3856

    @user-sun3856

    6 ай бұрын

    @@veritasastro 창의성이랑 상상력이랑 큰 차이 없다고 보는게 맞지 않나요?

  • @veritasastro

    @veritasastro

    6 ай бұрын

    @@user-sun3856 네 많은 경우에 서로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약간의 차이점들을 생각해보자면 창의성 - 기존에 정립되어 있거나 만들어져있는 기술, 개념 등을 보기 좋게(상황에 따라서 대부분 사람들에게 납득 받을 수 있도록) arrange할 수 있는 능력 상상력 - 기존에 있던 것이라기 보다는 새롭고 생소한 발상, 그것을 구현시켜가기 위한 여러가지 측면들을 구상하는 것..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사람에 따라서는 그 두가지를 조금 다르게 볼 수 도 있겠습니다. 또 예를 들어 훈련 받은 일부 동물들은 창의력을 이용해서 먹이를 더 쉽게 먹을 수 있거나, 더 나은 방법으로 자신의 생명을 보호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물들에게서는 상상력은 거의 존재할 수 없다고 보는 학자들이 다수이죠. 그래서 상상력은 창의력을 압도하거나, 혹은 우위에 있다고 보는 학자들이 많기도 합니다.

  • @user-et2rn7yr3q

    @user-et2rn7yr3q

    6 ай бұрын

    60,70년대 분들이 지금 태어나 사셔도 똑같은 상황이 발생하겠죠. 환경이 참 중요한것 같습니다. 다음 세대는 어떻게 변할지 궁금하기도 하지만 걱정이 되네요. ‘ 우리는 가로로 태어나 세로로 살다 다시 가로가 된다. ’ 대학생때 우연히 봤던 책의 한 문장인데 정확하지는 않지만 기억에 남아서 적습니다. 10년 마다 강산이 바뀐다는 말이 절대 허투루 나온것이 아님을, 그리하여 각 세대가 서로를 이해하고 인류가 보다 더 나은 방향으로 나이갈 수 있음을, 인간의 삶이 짧은것은 결코 우연이 아님을 모두가 잘 알고 그렇게 자연 처럼 살아가기를 바랍니다.

  • @user-pl5pu6it5x
    @user-pl5pu6it5x6 ай бұрын

    처음보는 사람인데 정말 날카로운 사람이네요

  • @user-fi5fi6om5v

    @user-fi5fi6om5v

    6 ай бұрын

    골든서클 만든 유명한 사람임

  • @jungyoonchoi671
    @jungyoonchoi6715 ай бұрын

    태도가 가장 문제 핑계를 너무 많이 댐

  • @rjqnrdl1234
    @rjqnrdl12346 ай бұрын

    같은 mz세대로써 정말 공감함. 특히나 한국은 교육이 정말 문제지. 그냥 학교라는곳 자체가 아이들이 뭔가 자유롭게 질문하고 뛰어놀수 있는 장이아니라 골반 트여질것같은 휘어진 의자와 책상에서 책으로만 공부를 하는데 정작 그 공부자체도 주입식이라 하나도 애들이 이해를 하거나 집중을 못함. 거의다 부모들은 학원을 보내서 남보다 뛰어나게하려고 욕심을 부리니 애들이 공부를 전혀 흥미를 느끼지 못하도록 만들어 놓으니 20대 가서 애들이 수포자도 많음. 제대로된 인성이나 어른과의 대화가 적으니 당연히 세대갈등도 심해지고 남녀갈등, 혐오가 아주 이슈인 세대가 되어버림.

  • @byebyebye514

    @byebyebye514

    5 ай бұрын

    이 시대의 리더들은 자본주의에 적응한 사람들인데 선생들은 경쟁을 포기하고 현실에 안주하려는 사람들이기 때문이죠 공무원도 똑같죠 공무원의 문제점은 드러나고 있는데, 선생의 문제는 수혜자인 학생들이 평가할 능력이 안되니 아직 수면위로 안떠오르고 있지만 조만간 사회적으로 크게 이슈가 될겁니다. 그 시기가 많이 늦지 않길 바랄뿐이네요

  • @donghwankim2401

    @donghwankim2401

    5 ай бұрын

    20대 가서 수포를 한다는게 뭔말임? 스무살 쳐먹고 수능 또봐? 진짜 뭔말이냐 ㅋㅋㅋ 수학 포기한다는게 수능을 본다는걸 전재로 하는거 아니냐 ?ㅋㅋㅋ 포기 하고 말고할게 있음? ㅋㅋㅋ 대학가서 수학포기는 있을 수 없는 일이고 ㅋ 진심 뭔말이냐 이거

  • @rjqnrdl1234

    @rjqnrdl1234

    5 ай бұрын

    @@donghwankim2401 ??? ㅋㅋㅋ. 넌 20대때 수학을 안했나보구나. 고졸? 그리고 대학을 가서 수학포기가 왜 없어... ㅋㅋ 수포자라는 단어는 수능 보는 사람만 해당이되는 법이라도 있는거니? 실제로 단어 뜻도 대학생 그 이상 성인한테도 쭉 수학을 포기한체로 사는 사람들을 의미하기도한단다. 이건 진짜 그냥 너가 능지문제라 어쩔 도리가없어. 대체 20대도 수포자가 있다는 말을 왜 이해를 못하는것인지 이걸 왜 딴지를 거는지 도무지 너의 능지를 보듬어 줄 수 없을것 같다. 진짜 가끔 너같은 유형들 보면 신기해 ㅋㅋ.

  • @whp5324
    @whp53245 ай бұрын

    멋지다. 사이먼 사이넥. 진짜 20대 30대 직원들 구하면, 하나같이 금세 그만두고, 대화가 안되고 ㅎㅎ 아...그리고 면접 오기로 해놓고 안오는 사람들도 너무너무 많아서....하물며 안온다고 연락도 안주고...ㅎㅎ 뭔가 40대 50대가 느끼기엔 뭔가 기본이 안되었다는 생각이 드는데...결국 그 아이들이 다 내 또래 친구들이 낳아서 키운 애들이니, 우리가 잘 못 키운건가 싶은거죠. 그냥 왜저러나 싶기만 하고 깊이 생각해본적이 없었는데, 정말 지혜의 메세지를 들었네요.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어른으로서 책임감을 느끼네요.

  • @Helper873
    @Helper8736 ай бұрын

    끝 영상까지 보면, 이것을 단순히 세대 탓만으로 하는 사람들은 제목과 초반, 혹은 끝만 집중적으로 본듯요.ㅋㅋ. 마지막까지 보면 ' 과정성과론( 시넥분이 말하는 이상적인 자본주의 사회속 자아 발전)이 아닌 결과성과론(성과와 매출)이 강요되어지는 무한경쟁주의'에 대해 비판하는 모습 (오늘날 mz세대의 문제점이 그 무한경쟁주의의 폐해로서 드러남)이고, 윗세대부터 과정성과론적인 인재(즉각적인 성과 강요x 복잡하지만 절차적 발전요구) 양성방법을 들여야함과 mz세대는 '나 잘났어요'라고 말하는 것이 '시대적 병폐'임을 메타인지적 관점에서 깨닫고 나오세요인데?... '21세기 온고지신'. 乃

  • @user-hk6fq1uo7f

    @user-hk6fq1uo7f

    6 ай бұрын

  • @kwangjinkim4130
    @kwangjinkim41305 ай бұрын

    개미와 베짱이 결과도 바뀌는세대 ㅋㅋ

  • @user-lx2xn4jg3q
    @user-lx2xn4jg3q6 ай бұрын

    중요한건 스마트폰이 있었기에 이 영상을 볼 수 있었다는거다 스마트폰의 자아성찰이라 할 수 있다 똑똑한 스마트폰

  • @noohesmik

    @noohesmik

    5 ай бұрын

    스마트폰 중독이 없었다면 성찰 할 필요가 없는걸 반추해야된다는게 스마트한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 @lkate206
    @lkate2065 ай бұрын

    시넥정도가 저렇게 분석하고 생각할 수 있는 거의 마지막 세대일 듯.. 그 이후로는 이미 mz

  • @user-hc5bs4zf6b
    @user-hc5bs4zf6b6 ай бұрын

    말 ㅈㄴ 잘하내

  • @user-tg9se1ws9p
    @user-tg9se1ws9p5 ай бұрын

    요거 원본좀요

  • @user-vl2ez6ul4n
    @user-vl2ez6ul4n6 ай бұрын

    세대를 거듭할수록 눈치가 점점 없기 때문에 더닝크루거에 빠진 아이들이 이전보다 많아짐 남한테 드러내는거 좋아하고 보는 사람이 어떻게 생각할지 그 이면은 잘 모름

  • @heaum1320

    @heaum1320

    6 ай бұрын

    어떻게 생각하든 말든 신경 안 쓰는 게 달라진 본질적 성격 아닌가

  • @bnmy6581i
    @bnmy6581i4 ай бұрын

    Easy come Easy go

  • @happinessthegreat9999
    @happinessthegreat99996 ай бұрын

    오히려 현대가 맘 먹으면 성공하기 쉽습니다. 시간과 정신을 말그대로 'killing'하는 게 너무 많거든요.

  • @user-zq4uw6sx8u
    @user-zq4uw6sx8u6 ай бұрын

    Mz가 문제가 아니다 문제는 다른곳에 있고 mz는 결과일뿐

  • @bawitdol

    @bawitdol

    5 ай бұрын

    또 회피한다

  • @dodoit-tn3xo
    @dodoit-tn3xo5 ай бұрын

    물류회사에서 일하면 휴대폰중독에서 바로 치료됩니다 ㅋㅋ... 203040 전부 휴대폰 끄고싶어져 죽으려고하죠. 아침부터 다음날 새벽까지 전화가 수백통이 울리고 안받으면 바로 쌍욕 날라옴 ㅠ

  • @bawitdol
    @bawitdol5 ай бұрын

    언젠가부터 인기를 얻은 전통가치를 깨는 이야기들(예: 아픈건 아픈거다. 티끌은 모야봐야 티끌이다)이 얘들을 다 망가뜨렸어요.

  • @MyGomdi
    @MyGomdi6 ай бұрын

    그 이전 세대도 문제가 많죠...

  • @muzik3026
    @muzik30265 ай бұрын

    다른 건 갸우뚱하게 되는데 신뢰관계를 잘 구축하지 못한다는 부분에서 매우 공감했습니다.

  • @shitttt1537
    @shitttt15376 ай бұрын

    연쇄팩트살인마네요 마니아픔니다 😅😮😢

  • @chancepark247
    @chancepark2475 ай бұрын

    말빨 미쳤다 ㅋㅋㅋㅋ

  • @brynarieddie
    @brynarieddie6 ай бұрын

    답은 모두 다 압니다.

  • @user-ku6qp2ob4f
    @user-ku6qp2ob4f6 ай бұрын

    세대가 아니라 MZ시대

  • @user-wd7gy1um9l
    @user-wd7gy1um9l6 ай бұрын

    어디서 본것같은 얼굴인데 누구였더라

  • @castlename986

    @castlename986

    6 ай бұрын

    사이먼 시넥

  • @user-sun3856

    @user-sun3856

    6 ай бұрын

    @@castlename986 그게 누구임?

  • @pv10t

    @pv10t

    6 ай бұрын

    약간 캡틴 아메리카 닮음

  • @sunteacher
    @sunteacher4 ай бұрын

    이래서 직장 생활을 못하는구나

  • @banghyomoon
    @banghyomoon5 ай бұрын

    거위 뭐 했던 이야기 또하고 아조씨 x세대는 뭐 이런소리 안들은줄 암?

  • @user-bl1lz9dc3f
    @user-bl1lz9dc3f6 ай бұрын

    방청객들이 왜 웃지? 내용이 너무 심각한데..모든 사람들이 봐야할 내용

  • @Roo_t

    @Roo_t

    6 ай бұрын

    중간 중간 조크 날려주는데 웃고 반응해줘야지 사람 관계 맺을 줄 ㅈㄴ모르네 이런세끼들도 문제임

  • @user-kp5je6tz9m

    @user-kp5je6tz9m

    4 ай бұрын

    @@Roo_t라고 말하는것도 사회성 정상은 아닌거 같은데...ㅋㅋㅋㅋㅋ

  • @user-zt5ql3gn5c
    @user-zt5ql3gn5c6 ай бұрын

    걍 사회가 너무 풍족해지고 즐길게 많아지고 걍 집에만 있어도 안굶어죽으니까 그렇지 그렇게치면 모든 사람이 다 그래야지... 변명이지 머어느정도는 맞다고생각하는데 다른시대는 그런게없었나? 인간의 역사는 그냥 마약의 역사인데 술담배보단 낫다고봄

  • @user-rl9ng5wn9i
    @user-rl9ng5wn9i6 ай бұрын

    저건 미국 밀레니얼 세대의 문제인거 같은데 우리나라랑은 사정이 좀 다르니 어느정도 걸러들을 필요가 있을듯

  • @lkate206

    @lkate206

    5 ай бұрын

    똑같아요. 작은실패를 견디지 못하고 공황장애를 일으키는 애들이 얼마나 많은지.. 주위에 심리상담센터랑 정신과가 얼마나 계속 늘어나고 있는데요.. 예약하기도 매우 어렵습니다

  • @hohograndfather

    @hohograndfather

    5 ай бұрын

    별로 다르지 않은 것 같아요

  • @user-ue5my9pp5p
    @user-ue5my9pp5p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생기부세대로 정리할 수 있음. 그놈의 생기부가 공정이라는 잣대를 기괴하게 바꿔놓았음. 사회에서 선생님께 따지듯 요구해댐

  • @SA-og7lf
    @SA-og7lf6 ай бұрын

    꼬우면 안 쓰시면 됩니다. 자본주의가 그런거죠.

  • @user-dc1rd4gi9h
    @user-dc1rd4gi9h6 ай бұрын

    하....귀담아듣자

  • @user-dp6ie4gg9o
    @user-dp6ie4gg9o5 ай бұрын

    사이먼시넥의 편협한 사고 방식 이라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저는 전혀 저렇지 않거든요

  • @user-cg2wf8xz4z
    @user-cg2wf8xz4z5 ай бұрын

    아무문제 없습이다 문제라 생각하눈게 문제입니더

  • @user-ld7uh5dh3e
    @user-ld7uh5dh3e6 ай бұрын

    자본주의는 약육강식의 원리와 정글의 생태계를 가졌음에도 이들은 온실 속 화초처럼 자라왔다. 마쉬멜로우 이야기는 인내와 고통을 성장의 바탕이라 여기는 이들이 성공하는 동화지만 이들은 너무나 많이 쉽게 마쉬멜로우를 쥘 수 있었기에 스스로 열매를 따지도, 그럴 의지도 없는 것이다. 무엇보다 거만하다. 한마디로 싸가지가 없다.

  • @user-mv5js2fe8b
    @user-mv5js2fe8b6 ай бұрын

    MZ세대만의 특징은 아니네요. 우리모두 뇌를 미분시켜버렸고 이상한 사회는 그 결과일 뿐입니다. 반성합니다~

  • @albertB215
    @albertB2156 ай бұрын

    단순히 그 전 세대보다 더 똑똑하기 때문이죠. 자본주의 세상은 철저히 자본에 따라 움직일텐데, 그안에서 자본 없이 태어나버린 대부분의 일반인은 일개미처럼 자본가 재산만 쌓아주고 세금내다 죽는거죠 😂 그게 당연하다 생각하면 그러다 죽으면 되죠. 다만 요즘 애들은 인생을 자본가를 위해서가 아닌 본인을 위해 쓰고싶어 하기때문에 요구가 많아 진겁니다 ㅎㅎ

  • @user-cm2kc5qp7y

    @user-cm2kc5qp7y

    6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님 말은 자본주의의 세상에서 태어났는데 내 집은 자본가의 집이 아니니까 나는 결국 노예로 살거기때문에 나는 그걸 거부할거고 그 방법은 결혼과 애를 낳지않고 나만을 위한 나만의 인생을 살겠어! 라는게 똑똑하다는거죠? 음.. 영상의 24초를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WEAI-en5zd

    @WEAI-en5zd

    6 ай бұрын

    더 똑똑하다고 생각하시는 근거가 궁금하네요

  • @sonhuengmin1

    @sonhuengmin1

    6 ай бұрын

    ​@@WEAI-en5zd우월감

  • @dreamssweet1994

    @dreamssweet1994

    6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본 시간이 헛되지 않았다는 걸 증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ye7fj6px4n

    @user-ye7fj6px4n

    6 ай бұрын

    이해합니다 나 역시 그런 생각때문에 30대를 헛되게 날렸으니까요

  • @capturethemall
    @capturethemall5 ай бұрын

    mz세대는 여기 댓글에도 나타나지만 자신들이 매우 창의적이고 이전 세대와는 질적으로 다른 세대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그래서 꼰대라는 말과 아재라고 비아냥 거리죠. 10년에서 20년이 지나 본인들이 그나이 먹어도 나이를 망각한채 꼰대, 아재거릴게 분명해 보이죠. 다른 세대와 구분짓고 싶고 자기들은 특별한것 같고 그런거에요. 그래서 직장에서 쉽게 그만두고 하죠. 그들이 자신들이 이렇다는걸 인정하거나 할것이라면 이런 토론 자체도 없었겠죠. 자신들 인생 자신들이 개척하는 것입니다. 부디 나이먹으면서 자신들의 모자람을 사회탓이나 주변 사람(부모등) 탓으로 돌리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 @user-iw8xs7cq8i
    @user-iw8xs7cq8i5 ай бұрын

    개소리 그자체. Mz의 문제는 그 문제를 진단하는 사람들이 그저 mz이전의 세대이기 때문. 부머세대도 그 이전세대에게는 똑같이 인식되었을꺼임. 그냥 인간의 본성 자체가 자기 세대 이외의 것들은 문제라고 생각하는거

  • @user-iw8xs7cq8i

    @user-iw8xs7cq8i

    5 ай бұрын

    @@ooo7037 너도 뭐 있어보이진 않아ㅋ

  • @user-kp5je6tz9m

    @user-kp5je6tz9m

    4 ай бұрын

    영상 내용은 하나도 반박 안하고 그냥 바로 지 생각뱉는거 보니 애초에 영상 보지도 않은듯 ㅋㅋㅋㅋㅋㅋ

  • @jvydee6195
    @jvydee61956 ай бұрын

    이건 단순히 세대를 논할 게 아니라 시대와 환경에 크게 영향받고 귀속될 수 밖에 없는 인간이라면 당면할 수 밖에 없는 실존적 문제일 뿐임. 결국 개인의 선택의 문제지. 소비자가 되서 그 시스템의 노예로 길들여질 것인가 내가 생산자가 되서 그들을 소비자로 만들 것인가. 혹은 자신만의 인생의 의미를 찾기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고 탐구할 것인가 그런데 생산자가 되어 자기 발전을 하고 독립한다고 해서 남을 이용해서 경제적 이익을 얻는다는 딜레마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인간이란 그저 이 불완전한 세계에 귀속되어 영향을 받으며 끊임없이 고민하면서 살 수 밖에 없는거임. 왜냐면 전에 살았던 놈들이 짜놓은 판 위에서 게임을 시작해야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