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조건 등급 오르는 비문학 공부법 | 수능 국어 만점, 정시, 국어 공부, 최상위권

많이 하는 질문
* 일대일 대응 분석법의 효과 및 분석 방법
: 국어에서 가장 위험한게 뇌피셜인데, 지문에서 읽었떤 기억만으로 풀면 뇌에서 필터링 될 확률이 높아요. 아까 그런 내용이 있었던 것 같은데...?! 하는 느낌만 가지고 가면 중간에 왜곡해서 해석할 수 있어요. 그래서 정확히 몇 문단 몇 번째 줄에 있는 특정 부분을 근거로 삼고 객관적으로 문제를 푸는 거예요. 풀고나서 다시 선지를 분석해보는 이유는 해설지랑 비교하면서 내가 근거라고 생각했던 거랑 다시 맞춰보기 위한건데요. 나는 근거로 생각했지만 해설에서는 다른 부분을 제시한다면 내 생각을 수정해야겠죠..?! 그래서 정확한 분석을 기반으로 풀이하는 과정이 필요해요 :)
* 일대일 대응 분석 방법을 쓴다고 해서 안구 운동만 하는 건 아닙니다. 추론의 기반이 되는 핵심 키워드나 전제도 마찬가지로 확실피 체크를 하고 넘어가야 지문을 더 자세히 분석할 수 있습니다 :)
물론 실제 시험장에서는 시간이 없으니 이 과정을 눈으로만 해주셔야 합니다. 손으로 분석하고 정리하는건 시험 본 이후에 하는 분석 방법이에요.
인스타: @2.dyong
#수능 #비문학 #국어공부법

Пікірлер: 965

  • @hoody4531
    @hoody45313 жыл бұрын

    유리님 김승리 쌤이 언급했어요 찐실력자라고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감격입니다,,🙏🏻

  • @hoody4531

    @hoody4531

    3 жыл бұрын

    @@yuriday 승리쌤과 콜라보 존버합니다,,,🙏🏻

  • @user-oe8ky1wn9g

    @user-oe8ky1wn9g

    3 жыл бұрын

    어디서 언급하셨나용?

  • @user-bb8cd2ce2m

    @user-bb8cd2ce2m

    3 жыл бұрын

    아 ㅋㅋㅋㅋ 이분이셨구나 인강들으면서 도대체 누굴까했는데

  • @vvs2538

    @vvs2538

    3 жыл бұрын

    어디 인강에서요?? 아수라??

  • @user-rn8dh3lt1x
    @user-rn8dh3lt1x3 жыл бұрын

    내가 보려고 다는 영상 요약 1. 문단표기 2. 한 문단에 보통 주요 핵심단어 문장 한두개 단어에 네모 문장에 밑줄 3. 첫문단엔 글의 화제, 핵심단어 뽑고가기 4. 새로운 개념 정의에는 표시 5. 대비되는 개념 중요히 다루기 6. 공통점 중요히 다루기 7. 사회지문 예시로 이해하기 8. 어느 문단에 어느 내용이 많이 나오는지 체크 9. 다만 그러나 그런데 하지만 -> 세모표시 10. 전체적으로 훑은 후 문제 확인 11. 비교대조 포인트 매우중요 문제를 풀고 나서 정리법 ->'일대일 선지 대응 분석방법'

  • @user-vt4uj9vw3i

    @user-vt4uj9vw3i

    3 жыл бұрын

    와드

  • @user-qz5zy9ys9u

    @user-qz5zy9ys9u

    3 жыл бұрын

    .

  • @o.wisee2k846

    @o.wisee2k846

    3 жыл бұрын

    ㅇㄷ

  • @user-mw8tv3pf3p

    @user-mw8tv3pf3p

    3 жыл бұрын

    ㅇㄷ

  • @user-suwbdkfoqhk

    @user-suwbdkfoqhk

    3 жыл бұрын

    ㅇㄷ

  • @inseoul8855
    @inseoul88553 жыл бұрын

    6:44 문제를 푼 후 지문 분석 방법

  • @isfj9638

    @isfj9638

    3 жыл бұрын

    저ㅠ이해가 안되는데 어떻게 하는건가요? 정답을 모르는 상태에서 찾는거아닌가요..?

  • @user-ju1lg6jy8n

    @user-ju1lg6jy8n

    3 жыл бұрын

    @@isfj9638 ㅇㄷ

  • @user-pv6qk2ki3h

    @user-pv6qk2ki3h

    3 жыл бұрын

    @@isfj9638 음....문제를 다 풀고 다시 볼 때를 말하는 거 아닐까요?

  • @user-nq7bh1nz9y
    @user-nq7bh1nz9y Жыл бұрын

    1. 문단번호 매기기 2. 핵심단어 네모 핵심문장 밑줄 3. 첫 문장 잘 읽기 4. 개념 정의 부분 표시 5. 대비 개념 잘 표시 6. 예시 통해서 이해하기 7. 접속부사 세모표시 *일대일대응 방식 -선지와 지문 대응시켜보기

  • @user-fi1fi6wg4l

    @user-fi1fi6wg4l

    11 ай бұрын

    글이 왜 쓰였는지, 필요한 문단만 뽑듯이 보기 글을 읽는 기계처럼 만들고, 분석하는 연습을 끊임없이 하다보니까 멘탈이 나가있어도 눈이랑 손이 알아서 문제를 푸는 경지에 다다름

  • @user-sw8kt6pm7v

    @user-sw8kt6pm7v

    10 ай бұрын

    고1 여름방학부터 고2 여름방학인 지금까지 정시만 판 학생인데요... 1~7 말고 맨 아래에 있는 대응하기만 정확히 해도 1뜹니다.... 실화예요 실제로 저 등급 조온나아게 올렸어요

  • @user-ck5cl1qy7h

    @user-ck5cl1qy7h

    10 ай бұрын

    @@user-sw8kt6pm7v고3되면 안 통할수도 있어요 ㅎ 추론도 필요함

  • @Koreandramashorts365
    @Koreandramashorts3653 жыл бұрын

    현실적인 노하우 공유해주셔서 많은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저희 채널에선 1일3지문 읽기,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간이 부족하신 분들께 지문 체크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수험생 여러분, 대박나세요~~^^

  • @Bruno-kw3jz
    @Bruno-kw3jz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공기업 준비하는 취준생입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저 혹시 비문학 과학이나 인문 지문 같은 유형이 나왔을 때 지문에 대해 이해가 안 돼서 시간이 항상 오래 걸리더라고요. 혹시 과학이나 인문 관련된 문제는 어떻게 지문을 접근하고 어떻게 풀이해야 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user-qm8ov1bk6t
    @user-qm8ov1bk6t3 жыл бұрын

    결론은 시험장에서 문제를 풀때도 핵심 단어랑 문장들을 체크하고 문제를 본뒤에 다시 해당 문단으로 돌아오고 하는거죠??무슨단어가 어디있었는지 기억날정도로만 읽으면 될까요?핵심단어에 대한 세세한 설명들까지는 기억을 안하고 문제와 문단을 번갈아 봐도 시간이 오래 걸리진 않을까요?ㅜㅜ항상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라..암튼 영상 정말 잘봤습니다👍😭

  • @Ah_Ah_Ah_A
    @Ah_Ah_Ah_A3 жыл бұрын

    글을 처음에 쭉 다 읽고 이해해서 바로 문제 다 푸는 스타일이었는데 고1 ~ 고2 6월까지는 되게 문학보다도 쉽게 풀었는데 9월 11월 부터 비문학 정보량이나 이해하기 까다로운 정보들이 너무 많이 생겨서 등급이 세 등급이나 떨어지더라고요 ㅠㅠ 영상처럼 풀어보고 연습해볼게요 !! 감사합니다!!

  • @rrraaa.

    @rrraaa.

    3 жыл бұрын

    오 다행이다

  • @park7410
    @park74103 жыл бұрын

    대박수능체조가있네요ㅋㅋkzread.info/dash/bejne/gZyf2qquYcy3nbQ.html

  • @user-xb6hk7yl7v
    @user-xb6hk7yl7v3 жыл бұрын

    선지 근거 찾기 7:33~8:00 여유 있으면 배경지식 쌓아두기 10:50

  • @user-zr6vr3qt3g
    @user-zr6vr3qt3g3 жыл бұрын

    아시는 분 아무다 대답 해주세요 ㅠㅠ!!🙇🏻‍♀️ 문제를 푼 후 지문 분석 방법 이라는 건 실제로 한 문제를 풀고 바로 저 방법을 쓰고 이런식으로 해야하는 건가요..? 저 방법을 언제 쓰라는 건질 모르겠어요 다 채점을 하고 나서..? 아니면 아까 말했다 싶이 문제를 하나 풀고 바로 저 방법 쓰고 하나 풀고 저 방법 쓰고..?

  • @user-hc6bn9om5s
    @user-hc6bn9om5s3 жыл бұрын

    유리님 저 이 영상 보고 따라해 봤는데 진짜 실력이 정말 많이 올랐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 @user-zt3dd6qt5o
    @user-zt3dd6qt5o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도움 많이 되는 스킬 하나 배워가네요 ㅠㅠ 문제 다 풀고 매기고 나서 어떻게 분석 해야할지 잘 몰랐었는데 영상을 통해 잘 알 수 있었어요! 비문학 풀 때 좀 대충대충 날리면서 푸는 경향이 강했었는데 연습 열심히 해서 많이 맞춰볼게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풀고나서 저렇게 분석하면 진짜 좋아요🥰 영상 잘봐줘서 저두 고마워요!

  • @user-ff7uv8dv2f
    @user-ff7uv8dv2f3 жыл бұрын

    추상적이었던 국어 공부법 틀이 잡히는 느낌이에요ㅠㅠ 감사합니당

  • @user-ut7fx5li2z
    @user-ut7fx5li2z Жыл бұрын

    지문 훑어볼 때 1.핵심 키워드에 동그라미 2.대비되는 개념과 공통점 찾기 3.예외상황(다만, 그러나, 그런데) 찾기 선지 분석 :일대일 대응하기 맞는 선지의 근거가 지문에 어느 부분에 나와있는지, 틀린것은 어느 부분에서 틀렸는지

  • @bormi4756
    @bormi47563 жыл бұрын

    이 방법으로 공부하고 독서 0점인 제가 처음으로 독서 다 맞았어요 ㅠㅠ 원래 항상 독서는 다 틀리거나 못풀어서 한지문 푸는데 15분 넘게 걸렸는데 중요 지문을 찾으려고 계속해서 노력하고 수능에서 당황해서 풀때도 풀 수 있도록 연습해서 문제 푸는데 감으로 풀지 않고 제대로 풀 수 있게 되었어요!! 적게 일하시고 많이 버시길 바랍니다ㅠㅠ 국포자를 일으켜 주셔서 감사합니다💜 - 순서대로 총 소요 시간: 3~4분 • 문단체크 • 지문 분야 체크 • 핵심 단어 체크 • 단어 뜻, 해석 찾기 • 문단 내 중요 문장 밑줄 • 반대 되는 내용: 대조표시 이거! 같은 내용: =, -> (화살표) • 중요 단어의 장점 단점 표시 • 한계점 ()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와 대박🥰♥️♥️ 고마워요!! 국어 만점 갑시당

  • @bormi4756

    @bormi4756

    3 жыл бұрын

    도움 정말 많이 됐어요! 감사합니다 정말 ㅠㅠ💜

  • @user-hc1bf2qv6i

    @user-hc1bf2qv6i

    3 жыл бұрын

    헐 ㅠㅠㅠ 감사합니다 적어주셔서

  • @bormi4756

    @bormi4756

    3 жыл бұрын

    @@user-hc1bf2qv6i 공부 열심히 해서 같이 만점 받아요 !💜

  • @teddy-kt7em

    @teddy-kt7em

    3 жыл бұрын

    3분4분이 소요됐다는게 한지문에 있는 문제를 다 푸는데 걸린 시간인 건가요 ?

  • @jinjjajeong
    @jinjjajeong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유리한데이님! 국어 영역 정진짜 선생입니다. 내가 본 일반 학생들의 국어 영상 중 비문학 독해의 가장 구체적인 지문 분석법을 제시하고 있군요. 다른 여타 서울대 학생들 영상 올린 것을 보면 어려운 지문인데 쫄지 말라, 대화를 하라는 식의 말도 안 되는 추상적인 이야기들을 언급하는데 유리한데이님의 내용은 매우 좋습니다. 앞으로도 후배들을 위해 좋은 영상 많이 올려 주시길 바랍니다.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정진짜 선생님 안녕하세요! 좋은 말씀 정말 감사드립니다 :)

  • @jinjjajeong

    @jinjjajeong

    3 жыл бұрын

    @@yuriday 정말 앞으로 국어 선생님이나 강사하면 좋은 강사가 되실 것 같습니다^^

  • @user-lx7co2eb2l

    @user-lx7co2eb2l

    2 жыл бұрын

    근데 지문을 완전히 이해하고 문제 푸는게 좋을까요? 아님 흝고 문제 풀어야하나요

  • @dddd1290

    @dddd1290

    2 жыл бұрын

    @@user-lx7co2eb2l 문제먼저 보고 판단하는것도 좋습니다

  • @user-di1vq5fu7z

    @user-di1vq5fu7z

    2 жыл бұрын

    @@jinjjajeong 추상적인 이야기가 먹히는 이유? 정시 서울대생

  • @user-vc3yu1lt7t
    @user-vc3yu1lt7t2 жыл бұрын

    5:11 비문학 분석법 정리

  • @wj7342
    @wj73423 жыл бұрын

    과학 기술같이 복잡한 지문은 어떤식으로 푸셨나요?ㅠㅠ 그림에 접목시키는 유형같은건 손도 못대겠어요ㅠ

  • @user-bx5pu4wn2c
    @user-bx5pu4wn2c3 жыл бұрын

    영상 너무 잘 봤어요😍근데 만약 일대일 대응을 하는 식으로 풀때는 응용문제는 어떤 식으로 처리하나요?무조건 이해해야지 풀 수 있는 응용 문제가 꼭 3점짜리로 나오던데 그럴 땐 다시 돌아가서 이해를 할려면 시간이 오래걸리지 않을까요??꿀팁 궁금합니당🙃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심화편도 올릴게요 :)

  • @YOONY_88
    @YOONY_883 жыл бұрын

    유리님~그럼 평소 문제는 중심단어,문장 체크하면서 풀고 나서 오답 후 지문 분석 시에는 굳이 다시 지문을 일일이 뜯어보기보다는 일대일 대응 근거 찾기만 해도 충분하다는 말씀이신가요?? 넘넘 감사합니다 ^_^

  • @user-ni5to2ht4l
    @user-ni5to2ht4l3 жыл бұрын

    원래 비문학 반포기자였는데 이 영상 본 이후부터 비문학 거의 다 맞고있어요.. 진짜 너무 신기 ..

  • @user-vk1wc6gn8x

    @user-vk1wc6gn8x

    3 жыл бұрын

    몇달만에 효과보셨어요??

  • @beagreatdt

    @beagreatdt

    3 жыл бұрын

    @@user-vk1wc6gn8x 묻지말고 하세요 ㅋㅋㅋㅋㅋ

  • @user-vk1wc6gn8x

    @user-vk1wc6gn8x

    3 жыл бұрын

    @@beagreatdt 넼ㅋㅋㅋㅋㅋㅋㅋㅜㅜ

  • @user-pv2jw1qr6y

    @user-pv2jw1qr6y

    3 жыл бұрын

    @@beagreatdt ㅋㅋㅋ 정답

  • @akremember9398
    @akremember93983 жыл бұрын

    내가 하고잇던 방법이랑 똑같아서 너무 신기함 ㅋㅋ 문제번호랑 동그라미치는것까지 같음 ㅎㅎ

  • @dncoskeffclsaj
    @dncoskeffclsaj2 жыл бұрын

    데이님! 데이님께서 설명해주신 방법으로 문제 푸니까 6문제 중에 3개 틀리는 비문학이 1개 밖에 안틀려요 ㅜㅜ 감사합니다! 남은 290일 데이님의 공부법으로 꾸준히해서 좋은 결과 나올 수 있게 노력할게요 감사합니다 ❤️ 앗 그리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 @yuriday

    @yuriday

    2 жыл бұрын

    고마워요 파이팅😍👍🏻

  • @user-zo6pk9dl9z
    @user-zo6pk9dl9z3 жыл бұрын

    평소 비문학을 보기 지문 제외하고는 항상 다 맞았는데 최근들어 흔들려서 방법의 문제인가 싶어서 보러왔어욥 대부분 비슷한데 제가 덜 꼼꼼했던 것 같네요 공부법 감사합니다 1맞고 올게요!!

  • @user-nc7br5eq9t

    @user-nc7br5eq9t

    3 жыл бұрын

    ㄹㅇ 3점짜리는 지문에서 tmi처럼 보이는 것들 가지고 냄

  • @user-wf5iz9ot6z
    @user-wf5iz9ot6z3 жыл бұрын

    선지 일대일 대응 분석은 연습때만 그렇게 하라는거죠? 실제 수능에서는 답으로 고른 선지만 대응시키고 넘어가야 하나요 아니면 다섯개 다 대응시키는게 유리님이 추천하시는건가요?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넵 연습때만!! 개인적으로 적절한 선지는 확실하면 바로 체크하고 넘겼고, 적절하지 않은 선지는 나머지 선지 근거가 지문에 있는지 체크하고 넘겼습니다

  • @user-zp9is8jq4r
    @user-zp9is8jq4r3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지문분석 중요하다고 그래서 해보려 했더니 감이 잘 안왔는데 이거 보고 내일부터 연습 해볼게요!!

  • @user-qt2dt6gc3r
    @user-qt2dt6gc3r2 жыл бұрын

    언니 오늘부터 공부 진짜 개빡시게 시작하려구요 !! 연대 물리치료학과 꼭 가겠습니다! 도움 넘 많이 돼요!! 탐구 공부법 관련해서도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user-dy2lc4cx7l
    @user-dy2lc4cx7l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ㅠㅠ 덕분에 비문학 지문이 더 잘 풀리는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 @user-dl7mm2jy4s
    @user-dl7mm2jy4s3 жыл бұрын

    헐ㅠㅠ 이 영상도 도움 정말 많이 됐어요!! 비문학에서 어떤 걸 기억에 남기고 가야하는지 아직 정립이 안 된 느낌이었는데 감사합니다ㅠㅠ 혹시 어려운 과학 지문도 올려주실 생각이 있으신가요?? 정보량이 여러 문단에서 각각 폭단으로 쏟아질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어서요... 아 그리고 혹시 수능장에 가서 글이 안 읽힐 때는 약간 기계적으로 1:1 대응을 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의도로 말씀하신 건가요?? 만약 멘붕이 왔다 해도 어느정도 이해는 기본으로 해야하는 거겠죠ㅠㅠ 전 모평때 너무 긴장해서 안 읽히는 글을 도대체 어찌 해야할지도 모르겠고 머리에 안 들어오니까 문제도 안 풀려서 멘탈이 나갔던 것 같아요... 수능 때도 이럼 안 되는데...😂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과학 지문도 따로 다뤄볼게요 ㅎㅎ 그냥 저렇게 연습하다보니 지문 근거를 기계처럼 잘 찾게 될 수 있었다는 뜻이었어요! 약간 틀린그림찾기 느낌..?

  • @Ss-xc8ch
    @Ss-xc8ch2 жыл бұрын

    대비개념 표시 공통점 표시 이해가 안되면 예시를 보자 첫문단에는 핵심용어만 그리고 글의 유기적 흐름 중요한 접속부사 세모 문제풀때 선지의 근거가 되는 부분을 적기 (=일대일대응)

  • @JioByun
    @JioByun2 жыл бұрын

    누님 소중한 공부 팁을 거리낌없이 모두에게 공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uu3hj3hs3z
    @user-uu3hj3hs3z3 жыл бұрын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저 포함 정말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 될 거 같아요!

  • @nalin3428
    @nalin34283 жыл бұрын

    무료로 이렇게 유익한 영상 제작해주셔서 감사해요!!ㅠㅠ 진짜 복 받으세요 데이님!!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

  • @user-xh9lp7yg8i
    @user-xh9lp7yg8i3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봤던 비문학 분석법중에 제일 깔끔하고 이해가 잘돼서 좋았어여ㅠㅠ수능 전에 이런 영상을 볼 수 있어서 좋았고 도움 많이 받고 갑니다!!:)감사합니다ㅠㅠ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당 홧팅💓💓

  • @akdncb
    @akdncb3 жыл бұрын

    갑자기 왜 뜨나 햇다 이분이시구나 ... 승리쌤의 선택 ㅠㅠ

  • @user-pe9xt8wl6r
    @user-pe9xt8wl6r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예비고1학생입니다 예3비 이방법으로 연습해서 풀었는데 원래 5분초과에 3문제씩 틀리다가 이젠 1~2분 초과에 2문제씩 틀리네요 더 열심히 해서 1등급 받아올게용 ㅎㅎ 감사합니다

  • @yy7859
    @yy78592 жыл бұрын

    요즘 방학이라 국어 공부하려고 했는데 영상 도움이 됐어요. 원래는 지문을 눈으로만 읽었는데 확실히 손을 많이 써서 푸니까 선지비교하기도 쉽고 유용해요 감사합니다!

  • @saeip_c3
    @saeip_c3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저 예비 고1인데.. 고1 비문학은 어찌저찌 기본 독해력으로 잘 풀고 고2 문제를 푸는데 정말 막막하더라고요 ㅜㅜㅠㅠ 특히 경제지문이요...ㅜ 그래서 이 동영상을 기적처럼 만나 그대로 따라했더니 진짜 글이 잘 읽히고 문제도 잘 풀려요😍 진짜 너무 신기하고 비문학 정말 싫어했는데 정말 재미있어졌어요ㅜㅜㅜ 너무 감사해요 선생님!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

  • @user-pq5zr7jv5h
    @user-pq5zr7jv5h3 жыл бұрын

    국어에 대한 신경을 별로 쓰지않았는데 이제 고2 올라가니까 중요성을 좀 느낀거 같아서 요즘 국어 열심히하고 있는데 비문학 부분에서 너무 많이 틀려서 어떻게해야할지 고민도 많이 했었는데 이런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해욯..ㅠㅡ 비문학.. 열심히 해볼게요 ..♡

  • @user-lb8ub7qt4q
    @user-lb8ub7qt4q2 жыл бұрын

    오 완전 꿀팁 영상이에요. 저는 문제 요구사항을 캐치하기 전 처음부터 세부적 이해를 하고 넘어가려다가 시간을 많이 쓴 것 같은데, 유리쌤 말씀 듣고 처음엔 핵심 위주로 시각화를 제대로 해놔야겠다고 느꼈어요. 접속부사 시각화의 중요성도 알게 되었고, 예외적인 부분도 집중해서 봐야겠어요. 캐치해야할 핵심정보의 시각화를 좀 더 주의깊게 연습 해야겠습니다. 도움주셔서 감사해욤😍😍 구독 좋아요가 저절로 눌러지는 영상 퀄리티... 채널 더더 유명해지셔서 많은 분들이 도움받으시면 좋겠어요!

  • @yuriday

    @yuriday

    2 жыл бұрын

    파이팅♥️♥️

  • @user-lo1pe4dt9l

    @user-lo1pe4dt9l

    Жыл бұрын

    저도 같은 상황이어서 고민 많았는데 좀 해결된 거 같아서 후련해용 ㅜㅜ

  • @user-rx4kq8fd5s
    @user-rx4kq8fd5s Жыл бұрын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문제에 선지와 근거를 매치시키는 것을 시험 볼때도 하시는 건가요? 아니면 연습할 때만 하시는 건가요? 시험 볼 때도 하나하나 매치시키면 시간이 부족하지 않나요?

  • @user-qv3sq2hm7n
    @user-qv3sq2hm7n2 жыл бұрын

    구조화를 왜 해야하는지 이해가 안갔는데.. 너무 감사합니다!!! 1. 핵심어, 핵심문장 2. 그러나, 그래서, 하지만 같은 부사에 세모표시 3. 비교대상의 대조 또는 공통점 찾기 문단의 요지를 어느정도 정리해가며 읽고있었는데 문제는 그 문단속 핵심문장을 찾아서 근거를 대며 푸는 것들이 많아서 어떻게 밑줄을 그어가며 미리 근거를 잡아놓아야하나 막막했거든요 ㅠㅠ 좋은 추가 방법들이 더 생겨서 너무 좋습니다!! 적용해볼께요!! 그리고 혹시~! 문제의 선지가 정답인 이유는 지문에서 근거를 찾는 연습을 하면 제가 지문을 읽고 대략 맞겠거니~하며 푼게 아니라 지문으로 푼 것이기 때문에 정답의 확률을 높이는 방법인거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 @yuriday

    @yuriday

    2 жыл бұрын

    네 맞아요 :) 더보기 설명란에 있어요

  • @victory_111
    @victory_111 Жыл бұрын

    유리님! 수능 1년 깨진 예비고3입니다ㅠㅠㅠ 영상 너무잘 봤어요 감사합니다 영상 관련 몇 가지 질문 드려도 될까요 🥹🥹 1.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있어도 제시해주신 일대일대응방법으로 풀면 크게 문제되지 않나요? 2. 비문학에 다양한 형태의 문제가 있는데 일대일대응은 일치불일치 같은 거 말고 까다로운 문제에도 적용이 잘 되는 풀이법인가요? 3. 실제 문제 풀면서 일대응대응으로 하나요? 아니면 문제풀이 후 분석으로 하는건가요?? 희망학과가 국어 비중이 매우높아서 국어가 제일 중요한 학생인데 비문학때문에 만년 3등급이라 답답했던 차에 이거 떠서 봤어요! 저는 항상 첫회독을 꼼꼼하게 하고 기억으로 풀려고 했는데 학년이 올라갈수록 지문 수준도 높고 정보가 너무 많아서 한계가 느껴지더라고요 가르쳐주시는 방법과 제가 풀던 방법 비교해보니까 이제까지 왜 비문학 성적이 안 올랐는지 깨달았어요 감사합니다!!

  • @user-vh6ci1eb5u
    @user-vh6ci1eb5u2 жыл бұрын

    헉 그러면 지문 맨 처음에 읽을 때 내용을 다 이해하고 들어가는 게 아니라 내용의 위치만 파악해두고 문제 풀면서 이 부분 어디있었지? 하고 돌아가서 풀어서 지워내고 이런 건가요?? 아무나 답변 부탁드릴게요ㅠㅠ

  • @user-wq1lw2le9y
    @user-wq1lw2le9y3 жыл бұрын

    근데 핵심단어에 네모치라고 하시는데 네모랑 동그라미랑 어떻게 구분지어야 할 지 모르겠어요ㅠㅠ

  • @user-zy4kg9ux9g
    @user-zy4kg9ux9g3 жыл бұрын

    지문에서 근거 찾는 연습 상당히 오래걸려서 시간낭비라고 생각했었는데 이게 최상위학생들이 공부하는 방법이라니.. 충격받고 저도 근거 찾는 연습 해보겠습니다! +근거찾는 연습(일대일 대응)을 하면 뭐가 좋아지나요?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동영상 더보기란 참고해주세요 :)

  • @user-sr1fz2cs8i
    @user-sr1fz2cs8i3 жыл бұрын

    혹시 3점 문제처럼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제면 일대일 대응으로 어떻게 푸나요?

  • @msj9736

    @msj9736

    2 жыл бұрын

    ㅇㄷ

  • @apple__farm
    @apple__farm Жыл бұрын

    언니 그러면 비문학 구조화는 시간 낭비인거죠? 솔직히 분석도 왜 도움이 되는지 모르겠어요 ㅠㅠ 그냥 틀린 문제만 답지보고 확인해서 필기하면 될 것 같은데... 분석을 꼭 해야 하는 이유를 알려 주세요!

  • @user-zk3rf6hx1b
    @user-zk3rf6hx1b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유리님 영상 잘봤는데요, 제가 잘 이해한게 맞다면 빠르게 지문에서 중요한 개념과 문장을 체크하며 위치를 같이 알아 둔 후 문제에서 요구하는 개념이나 문장을 찾을 때 다시 돌아간다고 하신거 같은데요, 이번 수능을 시작으로 추론문제 비율이 높아진다고 하는데 한번 훑고 추론문제를 풀기에는 어려움이 있을거 같아요. 이 부분에 대해서도 팁 있다면 알려주세요!!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심화편도 업로드 예정입니다 :)

  • @user-km7vq7gw7f
    @user-km7vq7gw7f3 жыл бұрын

    문제를 풀고 답을 확인한 후 정답의 근거를 1대1로 찾는 공부법의 효과가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정답의 근거를 1대1로 찾는 공부방법은 유용하다고 생각되지만 답을 확인한 후에 정답의 근거를 1대1로 찾는 공부법은 뭔가 사후조치인거 같아서요.... 단지 유리님의 생각이 궁금해서 댓글 남겨봅니다. 그리고 꿀팁 감사합니다.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더보기 설명란 참고해주세요 :)

  • @user-vk6tb1ft9h
    @user-vk6tb1ft9h3 жыл бұрын

    잘봤어요☺️☺️곧 수능치는데 습관이 명료화 되는 기분이에요ㅎㅎ감사합니다🤍좋은하루 되세요🥰

  • @user-pq5kw1iq9x
    @user-pq5kw1iq9x3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공부법 레전드네요.. 항상 유튜브에 ~공부법 쳐 보면 항상 나오는 대답은 형식적인 대답이라 진절머리 났는데 이렇게 세세하게 알려주시는게 대단하신 것 같아요 설명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닌데 이해도 엄청 쉽게 잘 풀어서 나가주시는 것 같네요 레전드👍🏻👍🏻 이 영상 보자마자 구독 누릅니다

  • @werhzyxjzj6120
    @werhzyxjzj61202 жыл бұрын

    8:13 초에서 처음에 지문 읽을때 3문단 예시 부분은 안 읽고 넘어가도 되는건가요??

  • @user-ju1it3on2h
    @user-ju1it3on2h3 жыл бұрын

    와 비문학 풀 때마다 진짜 속 터져서 머리 잡아뜯었는데 이거 보고 비문학에 맛들렸어요....

  • @user-sj7wq9yr3l
    @user-sj7wq9yr3l3 жыл бұрын

    유리님 올해 예비 고1인데요. 어제 2021 수능 국어 영역을 쳐봤는데, 다들 어렵다는 채권 파트를 포함한 비문학은 다 맞았는데 자꾸 화작문에서 틀려요.....화작문 안 틀리는 방법이 있을까요ㅠㅠ

  • @user-dv3su1cl5m
    @user-dv3su1cl5m3 жыл бұрын

    오오옹 좋은 방법 이네요 ㅠㅠ전 몰랐는데 ㅠㅠ 이제 부터라도 분석 연습 많이 해서 모의고사, 수능에 꼭! 써먹어야 겠어요

  • @user-px4pq1bf1l
    @user-px4pq1bf1l2 жыл бұрын

    일대일 선지 대응 분석 정말 도움 많이 됩니다ㅠㅠ 정말 감사합니다!!

  • @hiru3333
    @hiru33333 жыл бұрын

    국교짬 대박... 진짜 잘 듣고 갑니다 ❤️

  • @user-pf1gw3sw4i
    @user-pf1gw3sw4i3 жыл бұрын

    유리님! 예비 고3인데요 비문학 공부를 최근에야 시작했어요! 저는 지문을 읽을때 유리님처럼 네모표시, 밑줄 들으면서 읽고 바로 여백에 정리를 해두는 식으로 풀었거든요.. 그래서 문제를 풀면서 지문을 다시 안보도록 풀려고 했었어욤 그런데 최근에 이렇게 읽으면 시간이 약간 부족할 긋 같다는 느낌에 좀 불안한거에여 그래서 이 영상을 보게 되었는데 일대일 대응 방식으로 푸신다거하고 댓 보니 다들 이방법으로 푼다고 하셔서 제가 과연 맞게 하는게 맞나 불안해서유ㅠ 언니도 지문 읽으면서 여백에 필기 하시나요?? 제 방식으로 했을 때 시간 얼추 맞고 괜찮다고 생각되면 방법을 굳이 바꾸지 않아도 괜찮을까요??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비례 반비례 관계만 표시하고 나머진 따로 안썼어요! 시간이 오래걸려서

  • @ls-qq4iv

    @ls-qq4iv

    3 жыл бұрын

    여백정리는 비추입니당..

  • @user-pf1gw3sw4i

    @user-pf1gw3sw4i

    3 жыл бұрын

    @@ls-qq4iv 역시 시간 때문인가요?

  • @user-zt3fe7ww7w
    @user-zt3fe7ww7w3 жыл бұрын

    비문학풀때 이해보다는 전체적으로 개념과 대조등을 빨리 체크하고 문제풀때 찾아가는 방식으로 푸는것인가요???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네 맞습니당 ㅎㅎ

  • @user-te4co5lr2u
    @user-te4co5lr2u3 жыл бұрын

    승리쌤이 왜 실력자라고 언급 하셨는지 알겠네.. 문제 접근 방식 및 알려주신 팁들에서 승리쌤이 보이는 듯 하네요 ㅎㅎ

  • @user-aeong-e
    @user-aeong-e3 жыл бұрын

    오늘 나온 내용 중에 ‘일대일 대응 연습’ 이랑, 비문학 기본 배경지식은 알아두는 거 진짜 공감해요 ㅠㅠㅠ 일대일 대응 같은 경우는 화작 문제 푸는 데도 적용되는 거라, 연습 많이 해 두면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자신만의 표시법이 중요한 거 같아요! 그리고 저는 경제지문 같은 경우는 용어들 미리 알아두는 게 도움이 많이 되더라고요! 금리, 통화, 환율같은 단어들이 평소에는 익숙하더라도 시험 칠 때는 쏟아져 나오면 멘붕 오는데, 정리해두면 훨 마음도 편해지는 거 같았어요! 올해 수능치는 사람이라 꿀팁도 많이 얻고, 또 제 공부법 점검도 해볼 수 있었던 거 같아요! 좋은 영상 늘 감사해요💕💕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이 방법 진짜 유용한데ㅠㅠㅠㅠ세상 사람들 다 알았으면 좋게따.. 🥺 오늘도 영상 피드백 넘 고마워🤍🖤🤍🖤 홧팅

  • @user-vu3mz8if2b
    @user-vu3mz8if2b2 жыл бұрын

    와... 예전에는 지문 읽어봐도 이해안되는 부분이 있었는데 문제 푸는 포인트를 안 후에 혼자 지문 분석해봣는데 이해 잘된다 ㄷㄷ

  • @darinos9568
    @darinos95683 жыл бұрын

    너무 영상 잘 봤어요ㅠㅠ 근데 뭐랄까 요즘 기출들이 구조는 쉬운데 단순나열 느낌? 그런데 정보량이 너무 너무 많아서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어서요ㅠㅠ 그냥 구조나 위치만 파악하고 문제 풀 때 다시 지문으로 돌아가는게 최우선인가오ㅠㅠ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정보량이 쏟아질땐 간단한 메모를 통해 비례,정비례 관계를 표시하거나 개념들을 간단히 구조화해서 대조합니다!

  • @user-jt2ku5dr2r
    @user-jt2ku5dr2r3 жыл бұрын

    방금 매3비 풀고왔는데ㅎㅎ 오늘은 편집이 조금 더 업그레이드 된 느낌이예요 ㅎㅎ 내일부터는 알려주신것들 적용해서 풀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당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편집 점점 발전하고 있다니,,,(행복) 낼부터 적용해봐요오💗

  • @user-jt2ku5dr2r

    @user-jt2ku5dr2r

    3 жыл бұрын

    @@yuriday 고전시어 자료두 잘 받았어요!!!! 열심히 할게요오~♡

  • @user-jp6xf8tv8u
    @user-jp6xf8tv8u3 жыл бұрын

    질문 있습니다!! 제가 글 읽으면서 표시를 굉장히 많이 하는 편인데 실제 수능볼땐 더보기란에서 말씀하신 것 처럼 이것들이 훈련되어서 눈으로만 읽어야 하나요? ㅠㅠ 아님 간단한 표기들 정돈 읽으면서 하는게 좋을까요?

  • @user-nw5gw9ko8f
    @user-nw5gw9ko8f3 жыл бұрын

    유리님은 한지문을풀면 그 지문부터 풀고 저렇게 분석하고 다음지문했나용 아니면 3지문이있다하면 먼저 3지믄다풀고 저렇게하셨나요..? 3지문다풀고 다시 첫지문으로돌아오면 내용이잘 생각이안나여 ㅠㅠ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모르는 문제는 표시하고 다른 문제 풀고 돌아오긴 했어요 :) 보통 한 지문 다 풀고 넘기는게 좋긴해요!

  • @user-bk6dh9yq2d
    @user-bk6dh9yq2d3 жыл бұрын

    언니 혹시 한지문 +문제 풀때(약4문제정두) 얼마정도 시간 걸리나요??.. 지금 제가 예비고1인데 시간을 얼마정도 잡아야 안전한지 궁금해요 ㅠㅠ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7-10분잡고하면 됩니당

  • @user-qr5ey9cd2n
    @user-qr5ey9cd2n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작년 12월에 이 영상을 보고 쭉 이 방법대로 비문학을 공부하는 현 고3 학생입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이 방법은 정말 최고라고 자부할 수 있어요. 평소에 비문학을 다 맞추지 못하고 3점 6점씩 꼭 깎아먹었는데 이 방법으로 공부하고 나서부터는 3점자리 문제가 두렵지도, 틀릴까봐 겁나지도 않아요. 새롭고 어려운 비문학 문제를 보더라도 자신감 있게 풀어나갈 수 있게되었고 영상에서 소개해주신 이 방법이 비문학 점수 향상에 큰 도움이 된 것 같아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모든 시험을 준비하시는 학생, 성인분들 모두 화이팅 하시고 저도 좋은 결과 보여드릴 수 있도록 노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ie9qr4ui2m

    @user-ie9qr4ui2m

    2 жыл бұрын

    악 지금 시작해듀 안 늦었겠죠... ㅜㅜ

  • @Guyul
    @Guyul Жыл бұрын

    와 일대일 대응 분석.. 토익에서 엄청 써먹었었는데 국어에서도 가능한거였구나..😭

  • @user-vd7pr3ks7m
    @user-vd7pr3ks7m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27번에 1번같은 경우에 사실상의 지배란 말이 사용하다랑 비슷한 뜻으로 생각이 나기 쉽지 않은 것 같은데 점유의 정의까지만 읽고도 사실상의 지배란 말이 사용하다 정도의 의미가 되겠다란 게 파악이 되셨던 건가요?

  • @user-nw4bn7wx8
    @user-nw4bn7wx82 жыл бұрын

    요즘 과학 지문을 푸는데 힘들어서 어제 이 영상보고 오늘 영상 다시보며 나름대로 풀이법 필기후 지문풀때 적용해봤는데 확실히 감이 좀 잡히고 잘 풀리더라구요! 6문제중 정답률 낮았던 한문제밖에 안틀렸어요 제가 과학지문 푼거 치고 정말 선방한거라 뿌듯했네요... 아직 시간은 좀 걸리지만 더 감 잡고 적응하면 될거같아요!!ㅠㅠ 정말 감사합니다❤️

  • @yuriday

    @yuriday

    2 жыл бұрын

    파이팅♥️👍🏻👍🏻

  • @user-kn2wc7zo3m
    @user-kn2wc7zo3m3 жыл бұрын

    비분학 풀고 나서 일대일 대응 분석만 하고 따로 지문 분석은 안 하시는 거예용ㅇ?? 저는 지문 분석을 위주로 하고 지문 분석을 뒤로 두는데 영상 보고 나서 느낀 게 이러면 안 될 것 같아요 이제... 문학도 아니고 본문 분석 위주로 해 봤자 뭔 소용이 있겠어요 문제 패턴이 중요하지... 이제 풀 때 저렇게 분석하면서 정리하는 습관을 들이고 문제 패턴에 집중해 볼게요!!!@@ 감사합니다

  • @user-jw2wd1qv5t
    @user-jw2wd1qv5t3 жыл бұрын

    항상 영상 유익하게 잘 보고 있어요! 영상 보고 질문 몇 가지만 혹시 드려도 될까요?? 1. 틀린 문제 말고 맞은 문제도 모두 일대일선지대응방식으로 분석하는지 2. 문단 나눠서 번호 붙이기는 필수적인가요?? 제 기준으론 굳이 나눌 필요가 있나 생각했는데 주변에선 다 번호 붙이기를 추천하더라구요 3. 비문학 외에 문학도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분석하시나요?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1. 처음 20개 지문은 맞은 것도 해주고 그 이후부터는 틀린 것만 했어요! 2. 구조화시키기 좋아서 저는 하는편이에요 3. 문학은 조금 달라요! 나중에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 @user-jw2wd1qv5t

    @user-jw2wd1qv5t

    3 жыл бұрын

    @@yuriday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yu1yz1sp2m
    @user-yu1yz1sp2m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예비고1인데 비문학 너무너무 어려웠는데 감사해용 ㅠㅡㅠ

  • @hgvccff
    @hgvccff3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드럽게 안읽히던 지문이 있었는데 데이님처럼 저만의 표시법을정해서 표시하면서 읽으니깐 훨씬 술술 읽혀서 깜짝 놀랐어요……..지금까지 표시안하면서 읽었는데 저를 너무 과대평가 했던거 같아요ㅋ큐ㅠ 정말 절 5억번 박고 갑니다

  • @user-ru3rl8lm8z
    @user-ru3rl8lm8z3 жыл бұрын

    혹시 문학도 가르쳐주실 수 있나요ㅠㅠㅠ

  • @user-pw4ju6ud5o
    @user-pw4ju6ud5o3 жыл бұрын

    일대일 대응 연습으로 분석하면 문제의 근거를 찾는 거에 대한 전체적인 감이 생기는 건가요...? 이 문단에서 이 문장이 문제로 출제되겠구나 이렇게 예상할 수 있는 감이 생기는 걸까요...?ㅠㅠㅠㅠㅜ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감각이나 뇌피셜로 푸는게 아니라 정확한 근거를 통해 문제를 풀어갈 줄 아는 능력이 생겨요 :) 어떤 부분이 문제로 잘 구현되는지 보게되기도 해요!

  • @hanbyeol609
    @hanbyeol6093 жыл бұрын

    헉 혹시 저렇게 분석하고 문제 푸시나요..? 유리쌤 비문학 지문 풀 때 꼭 시간 재면서 풀어야 되나요..? 아직 뭔가 지문 분석하는 연습이 필요 할 것 같아서 시간 안 재고 풀고 있는데 이게 맞는 지 모르겠어요 ㅠㅠ

  • @user-ub7nu9cv5s
    @user-ub7nu9cv5s2 жыл бұрын

    🐤문제 보기전! 1.핵심단어,핵심문장 표시 (정의,대비되는 개념,공통점) 2.처음 볼땐 너무 꼼꼼하게 읽지x (몇문단에 무슨 내용이 있다 정도로만) 3.역접속사에 표시 (하지만,그러나,반면에) 🐵문제풀때 1.일대일 방식 (선지마다 근거찾기) ➕ 1.예전 기출문제로 배경지식 연습 (경제,법,기술,과학) 2.국어는 손으로 푸는거!! 3.20지문정도 이 방법으로 분석하면 실력 향상

  • @user-jh9uf7uc7n

    @user-jh9uf7uc7n

    2 жыл бұрын

    정리의 고수!!

  • @user-xt7rl3yy2y
    @user-xt7rl3yy2y3 жыл бұрын

    지금 유리님 방법대로 비문학 풀었는데 다 맞았어요...!!!!!! 국어 노베이고 비문학에서 싹 다 말아먹었는데 이 방법 사용하자마자 다 맞네요..!!!!!! 사랑헙니더

  • @jaylee1832
    @jaylee18323 жыл бұрын

    문제 풀이에 대한 사고방법을 제시하는 게 멋있네여 이상적이지 않고 현실적인 방법이라 더 와닿습니다 난 수험생도 아닌데 왜 이거 보고 있지..

  • @smile-oo5gf
    @smile-oo5gf3 жыл бұрын

    너무 도움되는 영상이에요.. 감사합니다~

  • @SeongHoChoi-rq5ye
    @SeongHoChoi-rq5ye3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user-mk3me3jc1o
    @user-mk3me3jc1o3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좋은 팁 감사합니다 👍

  • @user-wx5ci4ky5v
    @user-wx5ci4ky5v Жыл бұрын

    제가 내신국어는 항상 잘받는데 모의고사 국어가 항상 3밖에 못받더라구요... 그리고 3학년이 되니까 시간이 많이 부족해져서 비문핫 두지문은 못보고 끝나요...근데 내신 국어할때 비문학분석을 항상 일대일 대응 방식대로 했더라구요 그래서 내신 풀때는 엄청 잘되는데 모의고사는 일단 평소에 연습 잘안하기도 했고..막상 시험칠때 그렇게 봐지지도 않아서요...지금 수능 며칠 안남았는데 매일 저렇게 분석해보면 시간이 줄어들까요..?

  • @user-cu8nu8lr5z
    @user-cu8nu8lr5z2 жыл бұрын

    이방법대로 문제풀으니깐 전에 한번만읽었을때 기억나지못한 부분까지 키워드보고 판단할수있어 도움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rw3rt6mv5e
    @user-rw3rt6mv5e Жыл бұрын

    너무 도움 됐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당☺️

  • @user-qi2he6ks8x
    @user-qi2he6ks8x3 жыл бұрын

    엇 알고리즘에 떠서 보게됐는데 제 공부법이랑 ㄹㅇㄹㅇ 비슷해서 신기해여 ,,, 다들 꼭 따라하십셔 !!! 저두 저렇게 공부 했었는데 비문학은 늘 다 맞았었어요 나름 산 증인임다 ^_^

  • @yuriday

    @yuriday

    3 жыл бұрын

    꺄 조쿤여🥰 고마워용!

  • @user-dt7fq2fr4q
    @user-dt7fq2fr4q3 жыл бұрын

    궁금한점이 있어서 댓글 남겨요 문제풀기전에 핵심내용만 뽑고 간다고 했었잖아요 그렇게 글의 유기적인 흐름과 핵심단어들만 뽑아내고 문제를 푸시는 건가요? 그래도 글을 이해를 해야 고난도 문제들도 해결할 수 있을것 같아서요ㅠㅠ 아니면 저렇게 체크하면서 읽으면 글이 거의 이해가 되는건가요?ㅠㅠ

  • @user-hv9nr6mx7b
    @user-hv9nr6mx7b Жыл бұрын

    처음에는 지문을 읽는 것에 비중을 두는 것보단 그냥 표시하고 중심문장 찾는 거 위주로 하고 이후 선지를 보면서 그 부분을 찾고 그 부분이 맞는 지 아닌 지를 판단하는 방식일까요?ㅠㅠ 또 혹시나 이해를 바탕으로 한 활용문제를 풀어야 하는 경우에는 처음부터 지문을 읽을 때 그 부분을 이해하고 읽어야 하나요??ㅠㅠ

  • @user-ry8ij9xd1q
    @user-ry8ij9xd1q3 жыл бұрын

    구독 누르고 가요 앞으로도 유익한 정보 많이 들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ㅎㅎ

  • @user-qw3vh3bk9b
    @user-qw3vh3bk9b3 жыл бұрын

    정말 도움됐어요 뻥안치고 감사합니다

  • @user-ye2uq5xw9x
    @user-ye2uq5xw9x2 жыл бұрын

    평소 비문학 어려워했는데 이 영상보고 용기 얻어서 비문학 공부 해보겠습니다..!

  • @user-sk6ye3jz6q
    @user-sk6ye3jz6q3 жыл бұрын

    영상 너무 도움되었어요 감사합니다!

  • @user-uh9on8ov2x
    @user-uh9on8ov2x3 жыл бұрын

    손으로 계속 체크하면서 지문을 읽으면 글의 내용에 집중이 되나요..? 체크하는 데에 신경이 쓰여서 다 읽고 나면 지문의 내용이 머릿속에 안남아 있는 것 같아요ㅠㅠ 어떡하죠??

  • @user-hp3fb1bs3w

    @user-hp3fb1bs3w

    3 жыл бұрын

    비문학은 눈으로만 하는 영역이 아니라서...꾸준히 연습을 하다보면 읽는 패턴이 있다 라는걸 알게되고 그 때 몸이 자동반사처럼 밑줄을 긋고 있으실 겁니다 반복연습을 해야 결국에 저렇게 실제 시험장에서도 적용할 수 있어요 애초에 10분이내에 지문 절대 이해 다 못합니다 머릿속에 최대한 남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결국 저렇게 체크하는 거니까 천천히 연습해보세요 지금 신경 쓰이시는건 연습부족이라 그렇습니다

  • @jnker8177
    @jnker81773 жыл бұрын

    내일 한 번 해볼게요.. 이렇게 깔끔한 분석영상 유튜브에서 거의 못본 것 같은데ㅠㅠㅜㅜㅠㅠㅜ 느헝헝유

  • @saraitne1234
    @saraitne1234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유리한데이님은 과학 기술 제재에 대한 배경지식적인 공부는 어떻게 하셨나요?? 경제나 법지문 처럼 기존 기출문제에 출제된걸 다 숙지해두셨나요??

  • @user-uy1ds9eb5u
    @user-uy1ds9eb5u2 жыл бұрын

    처음 접해보는 독서방식이라서 그런지 질문이 있습니다!!! 첫번째로 처음에 지문을 스캔하듯이 읽고 가져가야할 정보를 체크하고 가져가신다 하셨는데, 그러면 읽으면서 이해가 되지 않는 문장은 그냥 줄만 긋고 넘어가면 되나요??? 저는 읽으면서 이해가 안되면 다음으로 잘 못나가는 타입이라서 ㅠㅠㅠ 두번째로 한 번에 읽는다는 느낌보다는 빠르게 훑어보고 문제와 지문을 왔다갔다 하는 식으로 읽어야 하나요???? 세번째로 실전(수능)에서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빠르게 스캔 후 문제로 넘어가면 되나요???

Келесі